KR20210084540A - 피부용 피막 - Google Patents

피부용 피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4540A
KR20210084540A KR1020217015697A KR20217015697A KR20210084540A KR 20210084540 A KR20210084540 A KR 20210084540A KR 1020217015697 A KR1020217015697 A KR 1020217015697A KR 20217015697 A KR20217015697 A KR 20217015697A KR 20210084540 A KR20210084540 A KR 202100845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component
film
less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5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5471B1 (ko
Inventor
슌 사사오카
šœ 사사오카
아야 기리노
히로시 스즈키
겐이치 나가노
유 가베
마사유키 우치야마
Original Assignee
카오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오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카오카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845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45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54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54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41Containing particulates characterized by their shape and/or structure
    • A61K8/027Fibers; Fibri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6/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wound dressings or bandages in liquid, gel or powder form
    • A61L26/0009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wound dressings or bandages in liquid, gel or powder form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26/0052Mixture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0Alcohols; Phenols; Salts thereof, e.g. glycerol; Polyethylene glycols [PEG]; Poloxamers; PEG/POE alkyl 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24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oxygen, halogen, nitrogen or sulfur, e.g. cyclomethicone or phospholip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28Steroids, e.g. cholesterol, bile acids or glycyrrhetin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carbomers, poly(meth)acrylates, or polyvinyl pyrrolid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44Oils, fats or waxes according to two or more groups of A61K47/02-A61K47/42; Natural or modified natural oils, fats or waxes, e.g. castor oil, polyethoxylated castor oil, montan wax, lignite, shellac, rosin, beeswax or lanol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2Alcohols having more than seven atoms in an unbroken cha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29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Compositions of hydrolysed polymers or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g. polyvinylmethyleth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35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cyloxy radical of a saturated carboxylic acid, of carbonic acid or of a haloformic aci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g. vinyl esters (polyvinylacet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6Poly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7Polyureth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07Drug-containing films, membranes or she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6/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wound dressings or bandages in liquid, gel or powder form
    • A61L26/0061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26/0076Sprayable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6Emollients or protectives, e.g. agains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4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 A45D2200/057Spray nozzles; Generating atomised liqu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3Electrophoresis; Electrodes; Electrolytic phenomen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00/0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2400/12Nanosized materials, e.g. nanofibres, nanoparticles, nanowires, nanotubes; Nanostructured surfa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Toxic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피부에 적용하기 위한, 섬유 집합체와 액제를 포함하는 섬유층으로서, 섬유 집합체의 평량과 액제의 유전율을 소정의 범위로 함으로써, 투습도가 컨트롤된 피막을 얻는다. 섬유층을 구비하는 인간 피부용 피막으로서, 섬유층은 섬유 직경이 50 ㎚ 이상 10000 ㎚ 미만인 수불용성 폴리머에 의한 섬유가 퇴적되어 있는 섬유 집합체와, 섬유 집합체에 있어서의 섬유간 및 섬유의 표면에 존재하는 액제 X 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섬유 집합체의 평량 Q 는 0.08 ㎎/㎠ 이상 1.0 ㎎/㎠ 이하이고, 상기 액제 X 는, 평량 P 가 0.5 ㎎/㎠ 이상 2.3 ㎎/㎠ 이하, 비유전율이 1.0 이상 27 이하이고, 성분 (a) 20 ℃ 에서 액상의 비유전율이 0.5 이상 20 이하인 유제를 함유하며, 또한, 성분 (b) 20 ℃ 에서 액상인 폴리올의 액제 X 중의 함유량이 50 질량% 이하인 인간 피부용 피막.

Description

피부용 피막
본 발명은 나노 파이버의 퇴적으로 이루어지는 섬유 집합체와 액제를 구비하는 섬유층으로서, 인간의 피부에 형성되는 피부용 피막에 관한 것이다.
정전 스프레이에 의해서 섬유를 포함하는 피막을 피부에 형성하는 방법이 여러 가지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는, 휴대식 전기 방사 장치를 사용하여 사람의 피부 등에 섬유를 형성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 에는, 정전 스프레이에 의해서 피부에 피막 형성능을 갖는 폴리머를 정전 스프레이하여 피막을 형성하는 공정과, 물, 폴리올 및 20 ℃ 에서 액체인 오일을 함유하는 액제를 피부에 실시하는 공정과 액제를 피부에 실시하는 액제 적용 공정을 구비하는 피막의 제조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3 에는, 인간에게 직접 정전 스프레이하여 섬유를 형성하는 방법이 기재되고, 구체예로서 폴리비닐알코올을 물-에탄올 용액에 용해시키는 조성물을 정전 스프레이하여 형성하는 피막이 기재되어 있다.
일본 공표특허공보 2004-525272호 일본 공표특허공보 2006-95332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325934호
본 발명은, 섬유층을 구비하는 인간 피부용 피막으로서,
섬유층은 섬유 직경이 50 ㎚ 이상 10000 ㎚ 미만인 수불용성 폴리머에 의한 섬유가 퇴적되어 있는 섬유 집합체와, 섬유 집합체에 있어서의 섬유간 및 섬유의 표면에 존재하는 액제 X 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섬유 집합체의 평량 Q 는 0.08 ㎎/㎠ 이상, 1.0 ㎎/㎠ 이하이며,
상기 액제 X 는, 평량 P 가 0.5 ㎎/㎠ 이상, 2.3 ㎎/㎠ 이하, 비유전율이 1.0 이상 27 이하이고, 성분 (a) 20 ℃ 에서 유동성이 있는 비유전율이 0.5 이상 20 이하인 유제를 함유하며, 또한, 성분 (b) 20 ℃ 에서 액상인 폴리올의 액제 X 중의 함유량이 50 질량% 이하인 인간 피부용 피막에 관한 것이다.
도 1 은, 정전 스프레이 장치를 사용하여 정전 스프레이법을 행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서 적절하게 사용되는 정전 스프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피막에서는, 액화 중합체에 의해서 형성된 피막은 기재되어 있지만, 섬유층만으로 이루어지는 피막이기 때문에, 피부의 수분 증산을 적당하며 또한 지속적으로 억제하기에는 더 한층의 개량이 필요하다. 이에 대해서, 특허문헌 2 에 기재된 피막에서는, 액제와 섬유층의 조합에 의해서 섬유층의 밀착성이 향상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피부의 수분 증산을 적절히 억제하는 과제, 및 구체적인 수단은 기재되어 있지 않아 검토의 여지가 있다.
특허문헌 3 에 기재된 피막은, 폴리비닐알코올은 수용성이기 때문에, 피부에 직접 분무할 경우에는, 조성물을 건조시키기 위해서 고온의 환경에서 분무시키는 등의 조건이 필요하여, 액적으로서 스프레이함으로써 섬유상의 막을 형성하기는 곤란한다. 또한, 수용성 섬유를 형성한 경우여도 섬유만이 형성된 것이 되어, 피부의 수분 증산을 적절히 억제하는 데에 과제가 남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인간의 피부에 형성하는 피막으로서, 섬유의 퇴적물인 섬유 집합체와, 섬유의 표면 또는 섬유간에 존재하는 액제에 의해서, 피부에 대한 압박감이 억제된 사용감을 유지하면서, 수분 증산이 적절히 억제된 인간 피부용 피막, 및 인간 피부용 피막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피부의 표면에 형성하는 피막으로서, 수분 증산을 적절히 억제할 수 있는 피막에 대해서, 섬유의 퇴적물로 이루어지는 섬유 집합체와, 섬유층의 표면 또는 섬유간에 존재하는 액제의 조합에 대해서 여러 가지로 검토한 결과, 소정의 평량의 섬유 집합체와, 액유 (液油) 를 포함하는 특정한 액제를 조합한 피막이, 사용감과 수분 증산 컨트롤의 양립에 유익한 것을 알아내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인간 피부용 피막에 의하면, 사용감이 우수함과 함께, 피부로부터의 수분 증산을 적절히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수분 증산을 적절히 억제하는 인간 피부용 피막의 적용에 의해서 피부의 대사 개선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인간 피부용 피막은, 섬유층을 구비하고 있다. 당해 섬유층은, 섬유 직경이 50 ㎚ 이상 10000 ㎚ 이하인 이른바 나노 파이버로 불리는 섬유의 퇴적에 의한 섬유 집합체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인간 피부용 피막은, 직접 피부에 형성된 피막으로서, 후술하는 성분 (e) 휘발성 물질 및 (f) 수불용성 폴리머를 함유하는 조성물 B 를, 직접 피부에 일렉트로스피닝 장치, 에어졸 용기, 축압식 트리거-스프레이 용기를 사용하여 토출함으로써, 성분 (f) 에 의한 상기 섬유 직경의 나노 파이버를 형성할 수 있다. 보다 확실하게 상기 섬유 직경의 나노 파이버를 형성하는 관점에서 일렉트로스피닝법에 의해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렉트로스피닝법은, 전술한 조성물 B 에 정 (正) 또는 부 (負) 의 고전압을 인가하여 조성물 B 를 대전시키고, 대전된 조성물 B 를 피부를 향하여 토출하는 방법이다. 토출된 조성물 B 는 쿨롱 반발력에 의해서 미세화를 반복하면서 공간에 확산되고, 그 과정에서, 또는 피부에 부착된 후에, 휘발성 물질인 성분 (e) 가 증발함으로써, 피부의 표면에 섬유의 퇴적에 의한 섬유 집합체를 형성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상기한 조성물 B 는, 일렉트로스피닝법이 행해지는 환경 하에 있어서 액체의 것이다. 이 조성물 B 는, 이하의 성분 (e) 및 성분 (f) 를 함유하고 있다.
(e) 알코올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휘발성 물질.
(f) 피막 형성능을 갖는 수불용성 폴리머.
이하, 조성물 B 의 각 성분에 대해서 설명한다.
성분 (e) 의 알코올은 휘발성 물질이고, 액체의 상태에 있어서 휘발성을 갖는 물질이다. 조성물 B 에 있어서 성분 (e) 는, 전계 내에 놓여진 조성물 B 를 충분히 대전시킨 후, 장치의 노즐 선단으로부터 피부로 향하여 토출되고, 성분 (e) 가 증발해 가면, 조성물 B 의 전하 밀도가 과잉이 되고, 쿨롱 반발에 의해서 더욱 미세화되면서 성분 (e) 가 더욱 증발해 가고, 최종적으로 건조된 피막을 피부 상에 형성시키는 목적에서 배합된다. 이 목적을 위해서, 휘발성 물질인 알코올은, 1 가의 사슬형 지방족 알코올, 1 가의 고리형 지방족 알코올, 1 가의 방향족 알코올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1 가의 사슬형 지방족 알코올로는 C1 ∼ C6 알코올이, 1 가의 고리형 지방족 알코올로는 C4 ∼ C6 사슬형 알코올이, 1 가의 방향족 알코올로는 벤질알코올, 페닐에틸알코올 등을 각각 들 수 있다. 그것들의 구체예로는,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코올, 부틸알코올, 페닐에틸알코올, n-프로판올, n-펜탄올 등을 들 수 있고, 섬유 형성성과 감촉의 관점에서,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코올, 부틸알코올, n-프로판올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이 바람직하고, 적어도 에탄올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에탄올이 보다 더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휘발성 물질이란, 그 증기압이 20 ℃ 에 있어서 1.33 ㎪ 이상, 40.00 ㎪ 이하인 것으로 생각한다.
조성물 B 에 있어서의 성분 (e) 의 함유량은, 일렉트로스피닝에 의한 섬유 형성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45 질량%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질량%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5 질량%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95 질량%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94 질량%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질량% 이하이다. 에탄올을 함유할 경우, 에탄올의 함유량은, 성분 (e) 의 휘발성 물질의 전체량에 대해서, 바람직하게는 50 질량%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질량% 이상이며, 100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 질량% 여도 된다.
섬유를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 B 는, 성분 (e) 와 함께, 성분 (f) 인 피막 형성능을 갖는 수불용성 폴리머를 함유한다. 성분 (f) 인 피막 형성능을 갖는 수불용성 폴리머는, 일반적으로, 성분 (e) 의 휘발성 물질에 용해되는 것이 가능한 물질이다. 여기서, 용해된다는 것은 20 ℃ 에서 분산 상태에 있고, 그 분산 상태가 육안으로 균일한 상태, 바람직하게는 육안으로 투명 또는 반투명한 상태인 것을 말한다.
성분 (f) 피막 형성능을 갖는 수불용성 폴리머로는, 성분 (e) 의 휘발성 물질의 성질에 따라서 적절한 것이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수불용성 폴리머」란, 1 기압·23 ℃ 의 환경 하에서 폴리머 1 g 을 칭량한 후에, 10 g 의 이온 교환수에 침지하고, 24 시간 경과 후, 침지된 폴리머의 0.5 g 초과가 용해되지 않는 성질을 갖는 것을 말한다.
성분 (f) 피막 형성능을 갖는 수불용성 폴리머로는, 예를 들어 피막 형성 후에 불용화 처리할 수 있는 완전 비누화 폴리비닐알코올, 가교제와 병용함으로써 피막 형성 후에 가교 처리할 수 있는 부분 비누화 폴리비닐알코올, 폴리(N-프로파노일에틸렌이민) 그래프트-디메틸실록산/γ-아미노프로필메틸실록산 공중합체 등의 옥사졸린 변성 실리콘, 폴리비닐아세탈디에틸아미노아세테이트, 제인 (옥수수 단백질의 주요 성분), 폴리에스테르, 폴리락트산 (PLA), 폴리아크릴로니트릴 수지, 폴리메타크릴산 수지 등의 아크릴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폴리비닐부티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폴리아미드이미드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수불용성 폴리머는 단독으로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수불용성 폴리머 중, 피막 형성 후에 불용화 처리할 수 있는 완전 비누화 폴리비닐알코올, 가교제와 병용함으로써 피막 형성 후에 가교 처리할 수 있는 부분 비누화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부티랄 수지, (아크릴산알킬·옥틸아미드) 공중합체 등의 아크릴 수지, 폴리(N-프로파노일에틸렌이민) 그래프트-디메틸실록산/γ-아미노프로필메틸실록산 공중합체 등의 옥사졸린 변성 실리콘,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에스테르, 제인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섬유 집합체를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 B 에 있어서의 성분 (f) 의 함유량은, 섬유 형성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5 질량%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7 질량% 이상이며, 수불용성 폴리머에 의한 조성물 B 의 점도 상승에 의한 토출성 저하를 방지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35 질량%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질량% 이하이다. 또한, 최적의 성분 (f) 의 함유량은, 성분 (f) 의 성질과 토출할 때의 조건에 따라서 적절히 조정된다.
섬유 집합체를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 B 는, 추가로, 물, 20 ℃ 에서 액상인 유제, 20 ℃ 에서 액상인 폴리올 등의 여러 가지의 성분을, 섬유 형성을 방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함유할 수 있다. 조성물 B 에 있어서의 물의 양은, 섬유 형성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8 질량%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 질량%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 질량% 이하이다.
또, 조성물 B 에 함유되는 물, 상기 유제, 상기 폴리올 등은, 섬유 집합체를 형성할 때에, 섬유 내에 함유되어 형성되는 경우도 있지만, 블리드 아웃되는 경우나 블리드 아웃되지 않는 경우도 포함하여, 본 발명에서는, 섬유 집합체에 있어서의 섬유간 및 섬유의 표면에 존재하는 액제 X 에 함유하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액제 X 는, 외용 조성물 A 및 조성물 B 로부터 알코올 등의 휘발 성분, 그리고 수불용성 폴리머를 제외한 액상분이 된다.
조성물 B 에 있어서의, 20 ℃ 에서 액상인 유제 및 20 ℃ 에서 액상인 폴리올은, 섬유 형성성의 관점에서, 성분 (f) 에 대해서 질량비 (유제 + 폴리올)/성분 (f) 가, 바람직하게는 3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0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이상이다.
일렉트로스피닝법 등에 의해서 섬유의 퇴적물로 이루어지는 섬유 집합체를 형성할 경우, 그 섬유의 굵기 (섬유 직경) 는, 원 상당 직경으로 나타낼 경우, 50 ㎚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100 ㎚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 ㎚ 이상이며, 10000 ㎚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2000 ㎚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 ㎚ 이하이다. 섬유의 굵기는, 예를 들어 주사형 전자 현미경 (SEM) 관찰에 의해서 섬유를 10000 배로 확대하여 관찰하고, 그 이차원 화상으로부터 결함 (섬유의 덩어리, 섬유의 교차 부분, 액적) 을 제외하고, 섬유를 임의로 10 개 선출하여, 섬유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선을 긋고, 섬유 직경을 직접 판독함으로써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섬유 집합체에 있어서의 섬유는, 연속 섬유인 것이 바람직하고, 연속 섬유는 적어도 섬유의 굵기의 100 배 이상의 길이를 갖는 것으로 한다. 예를 들어, 섬유 흡수체의 섬유가, 성분 (f) 를 함유하는, 바람직하게는 10 ㎛ 이상의 길이,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 이상의 길이,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 ㎛ 이상의 길이의 섬유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섬유 단면 형상은, 바람직하게는 원형 또는 타원형이고, 섬유의 굵기는 원형일 경우에는 직경, 타원형일 경우에는 장경의 길이이다. 그리고, 섬유 집합체는, 1 개 또는 2 개 이상의 연속 섬유의 퇴적물로 이루어지고, 섬유의 교차 부분은 있어도, 전체적으로 다공성이고 불연속 피막이며, 집합체로서 1 장의 시트상을 이룬다. 또한, 섬유의 교차 부분에 있어서 섬유가 밀착되어 있는 것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섬유 집합체의 평량 Q 는, 섬유를 형성하는 수불용성 폴리머의 고형분에 의한 평량으로 하고, 섬유를 형성하기 위해서 토출한 조성물 B 중의 수불용성 폴리머의 질량과, 조성물 B 의 토출에 의해서 섬유 집합체를 형성한 면적에 의해서 구할 수 있다. 피막의 안정적인 투습도를 확보하는 관점에서, 0.08 ㎎/㎠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0.1 ㎎/㎠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2 ㎎/㎠ 이상이며, 보다 압박감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1.0 ㎎/㎠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0.8 ㎎/㎠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 이하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바람직한 일렉트로스피닝법은 정전 스프레이 장치를 사용하여 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인간의 손으로, 본체 또는 토출노즐을 구비하는 조작부를 파지할 수 있는 핸디 타입의 정전 스프레이 장치를 사용하여, 피부에 직접 토출시켜 섬유 집합체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전 스프레이 장치는, 일렉트로스피닝용의 조성물 B 를 수용하는 용기와, 조성물 B 를 토출하는 노즐과, 용기에 수용되어 있는 조성물 B 를 노즐에 공급하는 공급 장치와, 노즐에서 전압을 인가하는 전원을 구비한다. 도 2 에, 본 발명에서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정전 스프레이 장치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2 에 나타내는 정전 스프레이 장치 (10) 는, 정전압 전원 (11) 을 구비하고 있다. 저전압 전원 (11) 은, 수 V 내지 수십 V 의 전압을 발생시킬 수 있는 것이다. 정전 스프레이 장치 (10) 의 가반성 (可搬性) 을 높일 목적에서, 저전압 전원 (11) 은 1 개 또는 2 개 이상의 전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저전압 전원 (11) 으로서 전지를 사용함으로써, 필요에 따라서 교체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는 이점도 있다. 전지 대신에, AC 어댑터 등을 저전압 전원 (11) 으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정전 스프레이 장치 (10) 는, 고전압 전원 (12) 도 구비하고 있다. 고전압 전원 (12) 은, 저전압 전원 (11) 과 접속되어 있고, 저전압 전원 (11) 에서 발생된 전압을 고전압으로 승압하는 전자 회로 (도시 생략) 를 구비하고 있다. 승압 전자 회로는, 일반적으로 트랜스, 캐패시터 및 반도체 소자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정전 스프레이 장치 (10) 는, 보조적 전기 회로 (13) 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다. 보조적 전기 회로 (13) 는, 상기 서술한 저전압 전원 (11) 과 고전압 전원 (12) 사이에 개재하여, 저전압 전원 (11) 의 전압을 조정하여 고전압 전원 (12) 을 안정적으로 동작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추가로, 보조적 전기 회로 (13) 는, 피스톤 펌프 (14) 또는 마이크로 기어 펌프 (14) 에 구비되어 있는 모터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기능을 갖는다. 모터의 회전수를 제어함으로써, 용기에 수용되어 있는 조성물 B 를 노즐에 공급하는 공급 장치로서 작용한다.
보조적 전기 회로 (13) 와 저전압 전원 (11) 사이에는 스위치 (SW) 가 장착되어 있고, 스위치 (SW) 의 온오프에 의해서, 정전 스프레이 장치 (10) 를 운전/정지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정전 스프레이 장치 (10) 는, 노즐 (16) 을 추가로 구비하고 있다. 노즐 (16) 은, 금속을 비롯한 각종 도전체나, 플라스틱, 고무, 세라믹 등의 비도전체로 이루어지고, 그 선단으로부터 조성물 B 의 토출이 가능한 형상을 하고 있다. 노즐 (16) 내에는 조성물 B 가 유통되는 미소 공간이, 그 노즐 (16) 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이 미소 공간의 횡단면의 크기는, 직경으로 표시하여 100 ㎛ 이상 100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노즐 (16) 은, 관로 (17) 를 개재하여 마이크로 기어 펌프 (14) 또는 피스톤 펌프 (14) 와 연통되어 있다. 관로 (17) 는 도전체여도 되고, 혹은 비도전체여도 된다. 또, 노즐 (16) 은, 고전압 전원 (12) 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로써, 노즐 (16) 에 고전압을 인가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 노즐 (16) 에 인체가 직접 닿았을 경우에 과대한 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노즐 (16) 과 고전압 전원 (12) 은, 전류 제한 저항 (19) 을 개재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관로 (17) 를 개재하여 노즐 (16) 과 연통되어 있는 마이크로 기어 펌프 (14) 또는 피스톤 펌프 (14) 는, 용기 (15) 중에 수용되어 있는 분무용 조성물을 노즐 (16) 에 공급하는 공급 장치로서 기능한다. 마이크로 기어 펌프 (14) 또는 피스톤 펌프 (14) 는, 저전압 전원 (11) 으로부터 전원의 공급을 받아 동작한다. 또, 마이크로 기어 펌프 (14) 또는 피스톤 펌프 (14) 는, 보조적 전기 회로 (13) 에 의한 제어를 받아 소정량의 조성물 B 를 노즐 (16) 에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조성물 B 를 수용하고 있는 용기 (15) 는, 카트리지식의 교환 가능한 형태를 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구성을 갖는 정전 스프레이 장치 (10) 는, 예를 들어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용할 수 있다. 도 1 에는, 한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치수를 갖는 핸디 타입의 정전 스프레이 장치 (10) 가 나타내어져 있다. 동 도면에 나타내는 정전 스프레이 장치 (10) 는, 도 2 에 나타내는 구성도의 부재의 전체가 원통형의 케이싱 (20) 내에 수용되어 있다. 케이싱 (20) 의 길이 방향의 일단 (10a) 에는 노즐 (도시 생략) 이 배치되어 있다. 노즐은, 그 조성물 B 의 송풍 방향을 케이싱 (20) 의 세로 방향과 일치시키고, 피부측을 향하여 볼록상이 되도록 그 케이싱 (20) 에 배치되어 있다.
노즐 선단이 케이싱 (20) 의 세로 방향에 있어서 피막 형성 대상물을 향하여 볼록상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케이싱에 조성물 B 가 잘 부착되지 않게 되어, 안정적으로 피막을 형성할 수 있다.
정전 스프레이 장치 (10) 의 사용자가 자신의 피부에 섬유 집합체를 형성할 경우, 정전 스프레이 장치 (10) 를 동작시킬 때에는, 사용자, 즉 정전 스프레이에 의해서 자신의 피부에 피막을 형성하는 사람이 그 장치 (10) 를 손으로 파지하여, 노즐 (도시 생략) 이 배치되어 있는 그 장치 (10) 의 일단 (10a) 을, 정전 스프레이를 행할 대상 부위로 향하게 한다. 도 1 에서는, 사용자의 팔뚝부 내측에 정전 스프레이 장치 (10) 의 일단 (10a) 을 향하게 하고 있는 상태가 나타내어져 있다. 이 상태 하에서, 장치 (10) 의 스위치를 온으로 하여 정전 스프레이법을 행한다. 장치 (10) 에 전원이 들어감으로써, 노즐과 피부 사이에는 전계가 발생된다. 도 1 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서는, 노즐에 정의 고전압이 인가되어 피부가 부극이 된다. 노즐과 피부 사이에 전계가 발생되면, 노즐 선단부의 조성물 B 는 정전 유도에 의해서 분극되어, 그 선단 부분이 원추상으로 되고, 원추 선단으로부터 대전된 조성물 B 의 액적이 전계를 따라서, 피부를 향하여 공중에 토출된다. 공간에 토출되면서 그리고 대전된 조성물 B 로부터 용매인 성분 (e) 가 증발되어 가면, 조성물 B 표면의 전하 밀도가 과잉이 되고, 쿨롱 반발력에 의해서 미세화를 반복하면서 공간으로 확산되어, 피부에 도달한다. 이 경우, 조성물 B 는 공간에 토출되고 있는 동안에, 용매인 휘발성 물질의 성분 (e) 를 조성물로부터 휘발시켜, 용질인 피막 형성능을 갖는 수불용성 폴리머를 고화시키면서, 전위차에 의해서 신장 변형시키면서 섬유를 형성하고, 그 섬유를 피부의 표면에 퇴적시킬 수 있다. 이로써, 섬유의 퇴적물로 이루어지는 섬유 집합체가 피부의 표면에 형성된다. 또한, 노즐과 피부 사이의 거리나, 노즐에 인가하는 전압을 조정하는 것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한다.
정전 스프레이법을 행하고 있는 동안에는, 토출 대상물인 피부와 노즐 사이에 높은 전위차가 발생되어 있다. 그러나, 임피던스가 매우 크기 때문에, 인체를 흐르는 전류는 매우 미소한다. 예를 들어, 통상적인 생활 하에서 발생되는 정전기에 의해서 인체에 흐르는 전류보다, 정전 스프레이법을 행하고 있는 동안에 인체에 흐르는 전류 쪽이 몇 단계 작은 것을 본 발명자는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인간 피부용 피막은, 섬유 집합체에 있어서의 섬유의 표면 또는 섬유간에 액제 X 를 구비한다. 액제 X 는, 외용 조성물 A 가 섬유 집합체의 적용 부위에, 섬유가 형성되기 전 또는 후에 피부에 적용되어 액제 X 를 구성하는 것 외에, 섬유 집합체를 형성할 때에 섬유와 함께 피부에 적용되는 액상 성분을 함유한다. 또한, 액제 X 에는 알코올 등의 휘발 성분은 함유되지 않는다.
또, 액제 X 는 피부 상의 피막의 조성이지만, 시간 경과 후에 수분 등이 증발되거나 혹은 피부의 표면에 밀착되는 점에서, 액제 X 의 평량과 조성은, 피막 형성 직후의 평량과 조성이고, 적용된 조성물 A 및 조성물 B 로부터 계산되는 값으로 한다.
본 발명의 액제 X 의 평량 P 는, 피부에 대한 압박감을 억제하여 의류 등에 대한 전사나 끈적거림 등의 사용감의 관점, 및 섬유 퇴적물과 액제 X 의 혼합층 형성성의 관점, 그리고 인간 피부용 피막의 투습성의 양립의 관점에서, 0.5 ∼ 2.3 ㎎/㎠ 이다. 액제 X 의 평량은, 동일한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0.7 ∼ 2.0 ㎎/㎠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8 ∼ 1.8 ㎎/㎠ 이다.
그리고, 동일한 관점에서, 액제 X 를 구성하기 위한 외용 조성물 A 의 피부에 대한 적용량의 평량은, 바람직하게는 0.5 ∼ 2.3 ㎎/㎠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7 ∼ 2.0 ㎎/㎠ 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8 ∼ 1.8 ㎎/㎠ 이다.
본 발명의 액제 X 또는 외용 조성물 A 의 평량 P 와, 섬유 퇴적물의 평량 Q 의 비 (P/Q) 는, 본 발명의 인간 피부용 섬유층에 있어서의 섬유 퇴적물과 액제 X 의 밸런스의 관점, 및 피막의 투습도를 안정적으로 확보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2.5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8 이하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액제 X 또는 외용 조성물 A 의 비유전율은, 액제 X 또는 외용 조성물 A 중의 20 ℃ 에서 액상인 유제 및 20 ℃ 에서 액상인 폴리올의 비유전율에 질량비를 곱한 합계치로 하고 있다. 여기서, 20 ℃ 에서 액상인 폴리올은 함유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액제 X 또는 외용 조성물 A 의 질량비를 계산할 때에는, 투습성과의 관계를 고려하기 위해서, 수분을 제외한 질량 중의 각 성분의 질량비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피막의 수분 증산성은, 고체지 (固體脂) 등의 물리적으로 폐색되는 것을 제외하고, 액상의 오일과 폴리올의 비유전율이 수분 증산성에 영향을 준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구해진 비유전율로부터 상정되는 수분 증산성, 바꿔 말하면 피막의 투습도는, 고체지 등의 물리적으로 폐색되는 성분의 추가에 의해서 작은 수치가 된다 (수분 증산이 억제된다). 이러한 비유전율을 일정한 수치 이하로 함으로써, 적절히 수분 증산이 억제된 피막을 얻을 수 있다고 생각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액제 X 및 외용 조성물 A 의, 20 ℃ 에서 액상인 유제와 20 ℃ 에서 액상인 폴리올에 의한 비유전율은, 1 이상 27 이하이고, 적절한 수분 증산성을 갖는 피막을 얻는 관점에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이상 25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 이상 23 이하이다.
20 ℃ 에서 액상인 오일 및 20 ℃ 에서 액상인 폴리올의 유전율은, 임피던스 측정 장치 (SI1260, 솔라트론사 제조) 에 의해서, 측정 단자 (SH-Z), 25 ℃, φ 10 ㎜, 거리 1 ㎜ 의 조건에 의해서 측정할 수 있다.
비유전율은, 각 성분의 유전율을 진공의 유전율로 나눈 값으로 한다. 예를 들어 진공의 유전율은 8.85 pF/m 인 것이 알려져 있고, 스쿠알란 오일의 유전율이 7.19 pF/m 일 경우, 스쿠알란 오일의 비유전율은 0.8 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액제 X 또는 외용 조성물 A 의 비유전율은, 액제 X 또는 외용 조성물 A 에 있어서의 후술하는 성분 (a) 와 성분 (b) 에 의한 비유전율의 질량비를 곱하여 합계한 값으로 하고 있고, 전술한 질량비는 액제 X 에 있어서의 물 및 에탄올 등의 휘발 성분을 제외한 질량에 대한 각 성분의 질량비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액제 X 또는 외용 조성물 A 는, 성분 (a) 20 ℃ 에서 액상인 유제를 함유하고, 바람직하게는 20 ℃ 에서 액상인 에스테르유, 탄화수소유, 실리콘유, 고급 알코올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함유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20 ℃ 에서 액상인 유제란, 유동성을 가지면 되고, 고체를 제외한 것을 액상으로 하고 있다. 예를 들어, 바셀린은, 물이나 올리브유와 같은 높은 유동성은 없지만, 20 ℃ 에서 형태가 변화하는 유동성을 갖고, 고형은 아니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액상으로서 성분 (a) 에 함유시킨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액제 X 또는 외용 조성물 A 중의 성분 (a) 20 ℃ 에서 액상인 유제는, 섬유 집합체와의 조합에 의해서 투습성을 제어하는 관점에서, 비유전율이 0.5 이상 20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0.5 이상 15 이하이다.
성분 (a) 에 있어서의 에스테르유는, 20 ℃ 에서 액상이며, 또한, HLB 치가 8 이하인 에스테르 구조를 갖는 오일이다. 여기서, HLB 치는, 친수성-친유성의 밸런스 (Hydrophile Lipophile Balance) 를 나타내는 지표로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오다 및 테라무라 등에 의한 다음 식에 의해서 산출된 값을 사용한다.
(수학식 1)
HLB = (Σ무기성 값/유기성 값) × 10
성분 (a) 에 함유되는 20 ℃ 에서 액체인 에스테르유로는, 직사슬 또는 분기 사슬의 지방산과, 직사슬 또는 분기 사슬의 알코올 또는 다가 알코올로 이루어지는 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미리스트산이소프로필, 옥탄산세틸, 미리스트산옥틸도데실, 팔미트산이소프로필, 스테아르산부틸, 라우르산헥실, 미리스트산미리스틸, 올레산데실, 디메틸옥탄산헥실데실, 락트산세틸, 락트산미리스틸, 아세트산라놀린, 스테아르산이소세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12-하이드록시스테아릴산콜레스테릴, 디2-에틸헥산산에틸렌글리콜, 디펜타에리트리톨 지방산 에스테르, 모노이소스테아르산N-알킬글리콜, 디카프르산네오펜틸글리콜, 말산디이소스테아릴, 디2-헵틸운데칸산글리세린, 트리2-에틸헥산산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이소스테아르산트리메틸올프로판, 테트라2-에틸헥산산펜타에리트리트,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르산트리메틸올프로판, 세틸2-에틸헥사노에이트, 2-에틸헥실팔미테이트,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디에틸헥실, 벤조산(탄소수 12 ∼ 15)알킬, 세테아릴이소노나노에이트, 트리(카프릴산·카프르산)글리세린, (디카프릴산/카프르산)부틸렌글리콜, 트리라우르산글리세릴, 트리미리스트산글리세릴, 트리팔미트산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르산글리세릴, 트리2-헵틸운데칸산글리세릴, 트리베헨산글리세릴, 트리 야자유 지방산 글리세릴, 피마자유 지방산 메틸에스테르, 올레산올레일, 팔미트산2-헵틸운데실, 아디프산디이소부틸, N-라우로일-L-글루타민산-2-옥틸도데실에스테르, 아디프산디2-헵틸운데실, 에틸라우레이트, 세바크산디2-에틸헥실, 미리스트산2-헥실데실, 팔미트산2-헥실데실, 아디프산2-헥실데실, 세바크산디이소프로필, 숙신산디2-에틸헥실, 시트르산트리에틸, 파라메톡시신남산2-에틸헥실, 디피발산트리프로필렌글리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에스테르유는, 유전율을 낮추어 피막의 투습성을 억제하는 관점 (수분 증산을 억제하는 관점), 사용감이 우수한 관점에서, 미리스트산옥틸도데실, 미리스트산미리스틸, 스테아르산이소세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세테아릴이소노나노에이트, 아디프산디이소부틸, 세바크산디2-에틸헥실, 미리스트산이소프로필, 팔미트산이소프로필, 말산디이소스테아릴, 디카프르산네오펜틸글리콜, 벤조산(탄소수 12 ∼ 15)알킬, 트리(카프릴산·카프르산)글리세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이 바람직하고, 미리스트산이소프로필, 팔미트산이소프로필, 말산디이소스테아릴, 디카프르산네오펜틸글리콜, 벤조산(탄소수 12 ∼ 15)알킬, 트리(카프릴산·카프르산)글리세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이 보다 바람직하고, 디카프르산네오펜틸글리콜, 벤조산(탄소수 12 ∼ 15)알킬, 트리(카프릴산·카프르산)글리세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이 더욱 바람직하다.
트리글리세라이드로는, 지방산 트리글리세라이드가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올리브유, 호호바유, 마카데미아 너트유, 메도우폼유, 피마자유, 홍화유, 해바라기유, 아보카도유, 카놀라유, 행인유, 쌀배아유, 미강유 등에 함유된다.
성분 (a) 에 함유되는 20 ℃ 에서 액체인 탄화수소유로는, 유동 파라핀, 스쿠알란, 스쿠알렌, n-옥탄, n-헵탄, 시클로헥산, 경질 이소파라핀, 유동 이소파라핀 등 외에 바셀린 등의 페이스트상의 탄화수소유를 들 수 있고, 사용감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유동 파라핀, 스쿠알란, 바셀린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피막의 투습성을 억제 (피부의 수분 증산을 억제) 하는 관점에서, 탄화수소유의 30 ℃ 에 있어서의 점도는, 바람직하게는 10 mPa·s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mPa·s 이상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30 ℃ 에 있어서 점도가 10 mPa·s 미만인,이소도데칸, 이소헥사데칸, 수소 첨가 폴리이소부텐의 액제 X 혹은 외용 조성물 A 에 있어서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10 질량%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 질량%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 질량% 이하이고,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질량% 이하이고, 함유하지 않아도 되다. 여기서의 점도는, 30 ℃ 에 있어서 BM 형 점도계 (토키메크사 제조, 측정 조건 : 로터 No.1, 60 rpm, 1 분간) 에 의해서 측정된다. 또한, 성분 (a) 는 20 ℃ 에서 액체이기 때문에, 30 ℃ 에 있어서의 점도의 상한은, 유동성이 있는 범위이면 되고, 바람직하게는 10000 mPa·s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0 mPa·s 이하이다.
성분 (a) 에 함유되는 실리콘유로는, 디메틸폴리실록산, 디메틸시클로폴리실록산,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메틸하이드로겐폴리실록산, 고급 알코올 변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 등을 들 수 있고, 이 중에서도 사용감의 관점에서 디메틸폴리실록산이 바람직하다.
성분 (a) 에 함유되는 고급 알코올로는, 탄소수 12 ∼ 20 의 액상의 고급 알코올을 들 수 있고, 분기 지방산 혹은 불포화 지방산의 고급 알코올이 바람직하며, 데실테트라데칸올, 옥틸도데칸올, 이소스테아릴알코올, 헥실데칸올, 올레일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액제 X 또는 외용 조성물 A 에 있어서의 성분 (a) 의 함유량은, 양호한 사용감을 갖게 하면서, 피막에 적당한 투습성을 부여하는 관점, 본 발명의 비유전율의 범위를 충족하는 범위에서, 바람직하게는 100 질량%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3 질량%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 질량% 이상이다.
본 발명의 액제 X 또는 외용 조성물 A 는, 성분 (b) 20 ℃ 에서 액상인 폴리올을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성분 (b) 의 액제 X 에 있어서의 함유량은 50 질량% 이하이다. 성분 (b) 의 액제 X 에 있어서의 함유량은, 본 발명의 피부용 피막의 투습성을 적절히 억제하면서, 피부에 대한 압박감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질량%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질량% 이하이며, 함유하는 경우에는, 바람직하게는 2 질량%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 질량% 이상이다.
본 발명의 액제 X 또는 외용 조성물 A 는, 성분 (b) 를 함유하지 않아도 되지만, 성분 (b) 를 함유할 경우에는, 성분 (b) 와 성분 (a) 의 질량비 (b/a) 는, 본 발명의 피부용 피막의 투습성을 적절히 억제하면서, 피부에 대한 압박감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5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0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 이상이다.
성분 (b) 의 폴리올로는, 예를 들어,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1,3-프로판디올, 1,3-부탄디올 등의 알킬렌글리콜류 ; 디에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중량 평균 분자량 2000 이하의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등의 폴리알킬렌글리콜류 ;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트리글리세린 등의 글리세린류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 도포시의 매끄러움 등의 사용감의 관점에서,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1,3-부탄디올, 디프로필렌글리콜, 중량 평균 분자량 2000 이하의 폴리에틸렌글리콜, 글리세린, 디글리세린이 바람직하고, 또한 프로필렌글리콜, 1,3-부탄디올, 글리세린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액제 X 또는 외용 조성물 A 는, 성분 (c) 20 ℃ 에서 고체인 고체지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20 ℃ 에서 고체인 고체지는, 피막의 투습성을 낮추는 효과를 갖는다. 20 ℃ 에서 고체인 고체지를 함유할 경우, 피막의 투습성을 극단적으로 낮추는 것에 의한 과잉된 폐색을 억제하여, 피부에 대한 압박감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성분 (c) 20 ℃ 에서 고체인 고체지를 함유할 경우에는, 성분 (b) 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성분 (c) 의 함유량과 성분 (b) 20 ℃ 에서 액체인 폴리올의 질량비 (b/c) 가, 바람직하게는 1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이상이고, 양호한 사용감을 더욱 향상시키는 관점에서는 2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8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6 이하이다.
본 발명의 액제 X 또는 외용 조성물 A 에 있어서의 성분 (c) 의 함유량은, 함유하지 않아도 되고, 바람직하게는 0 질량% 이상이고, 함유할 경우에는, 피막의 투습성을 제한하면서, 양호한 사용감을 확보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 질량%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 질량%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 질량%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10 질량%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8 질량% 이하이다.
성분 (c) 20 ℃ 에서 고체인 고체지로는, 콜레스테롤, 탄소수 14 이상의 직사슬 포화 지방산의 고급 알코올, 탄소수 14 이상의 직사슬 포화 지방산의 지방산 글리세릴, 탄소수 14 이상의 직사슬 포화 지방산, 세라마이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고체지로는, 세틸알코올, 스테아릴알코올, 베헤닐알코올 등의 고급 알코올 ; 베헨산글리세릴 등의 지방산 글리세릴 ; 스핑고신, 디하이드로스핑고신, 피트스핀고신 등의 세라마이드 ;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베헨산 등의 지방산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외용 조성물 A 및 액제 X 는, 성분 (d) 물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액제 X 는 피부 상에 형성되는 피막이고, 성분 (d) 물은 시간 경과와 함께 증발하기 때문에, 액제 X 에 있어서의 성분 (d) 의 양은 도포시의 양으로 한다. 액제 X 또는 외용 조성물 A 에 있어서의 성분 (d) 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 질량%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질량%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80 질량% 이하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외용 조성물 A 는, 액상이고, 유액, 크림, 페이스트를 포함한다. 외용 조성물 A 는, 섬유 집합체의 형성 전 또는 형성 후에 피부에 적용할 수 있다. 적용 방법은, 손이나 코튼 등을 사용한 도포, 스프레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액제 X 와 섬유 집합체를 구비하는 인간 피부용 피막은, 일정 시간 피부에, 적당한 투습도로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적용 시간은, 바람직하게는 3 시간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 시간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24 시간 이하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인간 피부용 피막의 투습도는, 바람직하게는 300 ∼ 3000 g/㎡·24h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50 ∼ 2700 g/㎡·24h 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400 ∼ 2400 g/㎡·24h 이다. 이와 같은 투습도, 혹은 이와 같은 투습도를 지속하는 것은, 종래의 외용 조성물이나 화장료에서는 실현하기가 곤란하고, 또, 섬유의 퇴적물만으로도 실현에 과제가 있는 바, 특정한 섬유의 퇴적물과 액제 X 를 함유하는 본 발명의 피막에 의해서 용이하고 지속적으로 컨트롤된 투습도를 얻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건강한 피부란, 외관으로서 각질층의 벗겨짐이나 홍반이 보이지 않고, 체내의 수분을 유지하는 능력이 많아, 그로 인해 수분량이 적당히 많은 피부, 외계의 자극으로부터 체내를 지키는 베리어능을 갖는 피부를 말한다. 따라서, 투습도가 섬유의 퇴적물이나 화장료와 같이 큰 (수분이 증산되기 쉬운) 경우에는, 피부의 수분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는 한편, 랩 필름과 같이 밀폐되면, 피부의 수분량은 언듯 보기에는 증가하지만, 피부가 팽윤되어 버려, 오히려 베리어능이 저하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에 비해서 본 발명의 인간 피부용 피막에 의하면, 수분 증산은 억제되지만, 피부 호흡을 방해하지 않을 정도의 적당한 투습도를 실현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투습도의 본 발명의 인간 피부용 피막을 적용함으로써, 피부의 대사가 개선되는 것을 알아내었다. 여기서, 피부의 대사의 개선이란, 각질층의 형성에 필요한 단백질, 피부의 수분량을 높이기 위해서 필요한 단백질, 즉 세포간 지질, NMF 의 산생에 관련되는 단백질의 산생이 증산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세라마이드나 세포간 지질의 원천인, 라메라 과립의 마커인 Suprabasin, NMF 의 산생에 관련되는 SASPase, Filaggrin, Bleomycin, Caspase-14, 세포 골격을 만드는 Transglutaminase 가 증산되는 것을 들 수 있다. 이들 단백질이 증산되는 것은, 결과적으로 피부의 대사가 개선되어, 피부가 정상화되는 것을 촉진하고, 이로써 거친 피부가 개선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거나, 피부의 톤을 개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인간 피부용 피막은, 피부 대사 개선용의 피막으로서, 피부 정상화용의 피막으로서, 거친 피부 개선용의 피막, 피부의 톤 개선용의 피막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투습도는, 인간의 피부에 형성된 피막을 직접 측정하는 것이 아니라, 동일한 조건에서 제조된 피막의 투습도를 동등한 투습도의 것으로서 취급한다. 본 발명의 투습도는, JIS Z2080 (1976) 법에 기초하여 측정하는데, 편의상, 섬유 집합체와 액제 X 를 유지하기 위해서, 투습도가 매우 높은 메시 시트 (0.1 × 60 mesh, 아사닷슈 주식회사 제조) 를 사용하여, 메시 시트에 일렉트로스피닝에 의해서 섬유 집합체를 형성하고, 섬유 집합체에 외용 조성물 A 를 적용하여 측정을 행한다. 투습 컵은 JIS Z2080 (1976) 규격의 컵이고 나사 체결식 (주식회사 이모토 제작소) 을 사용하였다. 여기서, 섬유 집합체의 평량은 0.16 ㎎/㎠, 외용 조성물 A 의 평량은 1 ㎎/㎠ 가 되도록 형성하였다. 섬유 집합체는 25 ℃, 30 RH 환경에서, 섬유 직경은 400 ∼ 700 ㎚ 가 되도록, 스피닝의 시간, 인가 전압, 장치로부터 조성물 B 의 토출 스피드, 및 장치의 노즐로부터 메시 시트까지의 거리를 조정하였다.
상기와 같은 양호한 투습도를 갖는 인간용 피막의 제조 방법으로는, 다음 방법이 바람직하다.
피부의 표면에 투습도 300 ∼ 3000 g/㎡·24h 의 피막을 형성하는 인간용 피막의 제조 방법으로서, 외용 조성물 A 를 피부에 평량 0.5 ∼ 2.3 ㎎/㎠ 적용하는 공정과, 피부에 조성물 B 를 일렉트로스피닝법에 의해서 적용하여, 평량 0.08 ∼ 1.0 ㎎/㎠ 의 섬유 집합체를 형성하는 공정을 구비하고,
상기 외용 조성물 A 는, 이하의 성분 (a) 를 함유하고, 비유전율이 1.0 ∼ 27 이며, 상기 조성물 B 가, 조성물 B 중에 이하의 성분 (e) 40 ∼ 95 질량% 및 성분 (f) 5 ∼ 35 질량% 를 함유하는 인간 피부용 피막의 제조 방법.
성분 (a) 20 ℃ 에서 액상의 비유전율이 0.5 ∼ 20 인 유제
성분 (e) 알코올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휘발성 물질
성분 (f) 피막 형성능을 갖는 수불용성 폴리머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 관하여, 본 발명은 또한 이하의 피막, 피막의 제조 방법, 피부 대사 개선 용도를 개시한다.
<1> 섬유층을 구비하는 인간 피부용 피막으로서,
섬유층은 섬유 직경이 50 ㎚ 이상 10000 ㎚ 미만인 수불용성 폴리머에 의한 섬유가 퇴적되어 있는 섬유 집합체와, 섬유 집합체에 있어서의 섬유간 및 섬유의 표면에 존재하는 액제 X 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섬유 집합체의 평량 Q 는 0.08 ㎎/㎠ 이상 1.0 ㎎/㎠ 이하이며, 상기 액제 X 는, 평량 P 가 0.5 ㎎/㎠ 이상 2.3 ㎎/㎠ 이하, 비유전율이 1.0 이상 27 이하이고, 성분 (a) 20 ℃ 에서 액상의 비유전율이 0.5 이상 20 이하인 유제를 함유하며, 또한, 성분 (b) 20 ℃ 에서 액상인 폴리올의 액제 X 중의 함유량이 50 질량% 이하인 인간 피부용 피막.
<2> 상기 섬유 집합체의 평량 Q 는, 바람직하게는 0.1 ㎎/㎠ 이상 0.8 ㎎/㎠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2 ㎎/㎠ 이상 0.5 ㎎/㎠ 인 상기 <1> 에 기재된 인간 피부용 피막.
<3> 상기 액제 X 의 평량 P 가, 바람직하게는 0.7 ㎎/㎠ 이상 2.0 ㎎/㎠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8 ㎎/㎠ 이상 1.8 ㎎/㎠ 이하인 상기 <1> 또는 <2> 에 기재된 인간 피부용 피막.
<4> 상기 액제 X 의 평량 P 와, 섬유 집합체의 평량 Q 의 비 (P/Q) 는, 바람직하게는 2.5 이상 10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 이상 9 이하인 상기 <1> ∼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인간 피부용 피막.
<5> 상기 액제 X 의 비유전율은, 바람직하게는 1.5 이상 25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 이상 23 이하인, 상기 <1> ∼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인간 피부용 피막.
<6> 상기 섬유 집합체는, 인간의 피부에 직접 형성되고, 섬유 집합체의 형성 전 또는 형성 후에 성분 (a) 를 함유하는 외용 조성물 A 를 피부에 적용하는 것에 의해서 형성된 것인 상기 <1> ∼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인간 피부용 피막.
<7> 상기 섬유 집합체는 인간의 피부에 일렉트로스피닝법에 의해서 형성된 것인 상기 <6> 에 기재된 인간 피부용 피막.
<8> 상기 외용 조성물 A 의 비유전율은, 바람직하게는 1 이상 27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이상 25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 이상 23 이하인 상기 <6> 또는 <7> 에 기재된 인간 피부용 피막.
<9> 상기 외용 조성물 A 및 액제 X 는, 성분 (c) 20 ℃ 에서 고체인 오일을 함유하고, 성분 (b) 와 성분 (c) 의 질량비 (b/c) 는, 바람직하게는 8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6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1.5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 이상인 상기 <1> ∼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인간 피부용 피막.
<10> JIS Z2080 (1976) 법으로 측정한 투습도가 300 ∼ 3000 g/㎡·24h 이고, 바람직하게는 350 ∼ 2700 g/㎡·24h 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400 ∼ 2300 g/㎡·24h 인 상기 <1> ∼ <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인간 피부용 피막.
<11> 상기 외용 조성물 A, 액제 X, 또는 양자에 있어서의 성분 (a) 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3 질량% 이상 100 질량% 이하인 상기 <1> ∼ <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인간 피부용 피막.
<12> 상기 외용 조성물 A, 액제 X, 또는 양자에 있어서의 성분 (b) 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30 질량%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질량%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0 질량%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 질량%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 질량% 이상인 상기 <1> ∼ <1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인간 피부용 피막.
<13> 상기 섬유 집합체를 구성하는 섬유의 직경은, 바람직하게는 100 ㎚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 ㎚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2000 ㎚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 ㎚ 이하인 상기 <1> ∼ <1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인간 피부용 피막.
<14> 상기 섬유 집합체를 구성하는 수불용성 폴리머 (f) 는, 완전 비누화 폴리비닐알코올, 부분 비누화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부티랄 수지, 아크릴 수지, 옥사졸린 변성 실리콘,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에스테르, 및 제인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인 상기 <1> ∼ <1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인간 피부용 피막.
<15> 투습도 300 ∼ 3000 g/㎡·24h 에서, 바람직하게는 투습도 350 ∼ 2700 g/㎡·24h 에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400 ∼ 2300 g/㎡·24h 에서, 5 시간 이상 적용하기 위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7 시간 이상 적용하는 상기 <1> ∼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인간 피부용 피막.
<16> 상기 <1> ∼ <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인간 피부용 피막의, 피부 대사 개선을 위한 사용.
<17> 상기 <1> ∼ <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피부 대사 개선 시트의 제조를 위한 피막의 제조 방법.
<18> 피부의 표면에 투습도 300 ∼ 3000 g/㎡·24h 의 피막을 형성하는 인간용 피막의 제조 방법으로서,
외용 조성물 A 를 피부에 평량 0.5 ∼ 2.3 ㎎/㎠ 적용하는 공정과, 피부에 조성물 B 를 일렉트로스피닝법에 의해서 적용하여, 평량 0.08 ∼ 1.0 ㎎/㎠ 의 섬유 집합체를 형성하는 공정을 구비하고,
상기 외용 조성물 A 는, 이하의 성분 (a) 를 함유하고, 비유전율이 1.0 ∼ 27 이며,
상기 조성물 B 가, 조성물 B 중에 이하의 성분 (e) 40 ∼ 95 질량% 및 성분 (f) 5 ∼ 35 질량% 를 함유하는 인간 피부용 피막의 제조 방법.
성분 (a) 20 ℃ 에서 액상의 비유전율이 0.5 ∼ 20 인 유제
성분 (e) 알코올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휘발성 물질
성분 (f) 피막 형성능을 갖는 수불용성 폴리머
<19> 상기 성분 (e) 가, 바람직하게는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코올, 부틸알코올, n-프로판올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을 함유하는 알코올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인 상기 <18> 에 기재된 인간용 피막의 제조 방법.
<20> 상기 성분 (f) 가, 완전 비누화 폴리비닐알코올, 부분 비누화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부티랄 수지, 아크릴 수지, 옥사졸린 변성 실리콘,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에스테르, 및 제인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인 상기 <18> 또는 <19> 에 기재된 인간용 피막의 제조 방법.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서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러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는「질량%」를 의미한다.
〔실시예 1〕
(1) 섬유용 조성물의 조제
섬유용 조성물의 성분 (e) 로서 에탄올 (와코 순약 공업 (주) 사 제조 : 상품명 에탄올 (99.5 %)) 을 사용하였다. 성분 (f) 로서 후술하는 폴리비닐부티랄을 사용하였다. 성분 (g) 로서 이온 교환수를 사용하였다. 각 성분을, 표 1 에 나타내는 양이 되도록 유리 용기에 측정하여 넣고, 마그네틱 스터러를 사용하여 상온에서 12 시간 정도 교반하여, 균일 투명한 용액을 얻었다. 이것을 섬유용 조성물,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일렉트로스피닝용 조성물로서, 이하에 나타내는 조건에서 일렉트로스피닝법에 의해서 섬유의 퇴적층을 형성하였다.
Figure pct00001
(2) 외용 조성물 A 의 도포 1
외용 조성물 A 로서 표 2 에 기재된 피부 외용제 1 을, 피검자 17 명의 정강이부 외측의 5 ㎝ × 5 ㎝ 의 범위를 피검 부위로 하여, 1.4 ㎎/㎠ 도포하였다. 피검자는, 거친 피부를 실감하고, 중증의 거친 피부를 나타내는 여성 (연령 35 세 내지 55 세, African-American 혹은 Caucasian) 이다.
Ⅰ 군은, 한쪽 다리의 정강이부 외측에 피부 외용제 1 을 도포한 후, 후술하는 일렉트로스피닝용 조성물에 의해서 섬유층을 형성하고 (실시예 1), Ⅱ 군은, 타방의 다리의 정강이부 외측에 피부 외용제 1 만을 도포하여 섬유층을 형성하지 않았다 (비교예 1). Ⅲ 군은, 정강이부 외측에 피부 외용제 1 을 도포한 후, 폐색막인 테가담 (1626W, 3M 사 제조) 을 첩부하였다 (비교예 4).
이와 같은 사용을 1 일 1 회 행하고 2 주일 계속하였다. 평가는, 사용 개시 전의 1 회째의 (Base), 사용 개시부터 1 주일 후, 2 주일 후, 및 이것들의 사용 종료부터 1 주일 후 (Regression Phase) 를 평가 대상으로 하였다.
또한, Ⅰ 군 (실시예 1) 은, 피부 외용제 1 의 도포, 및 후술하는 일렉트로스피닝용 조성물에 의한 섬유층의 형성을 1 일 1 회 행했지만, 휴일에는 피부 외용제 1 만을 도포하였다.
Figure pct00002
(3) 일렉트로스피닝에 의한 섬유 집합체의 형성
도 2 에 나타내는 구성을 갖고, 도 1 에 나타내는 외관을 갖는 일렉트로스피닝 장치 (10) 를 사용하여, 피부 외용제 1 을 도포한 범위에 하기의 조건에서 표 1 에 기재된 일렉트로스피닝용 조성물 1 에 의해서 섬유 집합체를 형성하였다.
·인가 전압 : 10 ㎸
·노즐과 피부의 거리 : 100 ㎜
·토출 시간 : 60 sec
·일렉트로스피닝용 조성물의 토출량 : 0.10 ㎖/min
·환경 : 21 ℃ ± 1 ℃, 40 %RH
이 일렉트로스피닝에 의한 피막은, 섬유 집합체 중의 (f) 수불용성 폴리머의 평량은 토출액의 비중 0.8 로 계산하여, 0.35 ㎎/㎠ 이다. 섬유 직경은 400 ∼ 700 ㎚ 이다.
피검 부위의 평가는 이하와 같이 행하였다. 또한, 평가 전에는, Cetaphil Daily Facial Wash 를 사용하여 정강이부 외측을 세정하고, 수분을 제거 후 15 분간 순화 (馴化) 시켰다. 평가의 측정은, 환경 가변실 (실온 21 ± 1 ℃, 습도 40 %RH) 에서 실시하였다.
〔평가 1〕피부의 거칠음
훈련된 전문 판정자에 의해서, 피검 부위의 거칠음 스코어를 0 내지 4 단계 (0.5 마다) 에서 육안으로 평가하였다. 스코어는 전혀 거칠음이 없는 스코어를 0 으로 하고, 거친 피부를 4 로 하였다. 각 피검자의 평가를 평균한 평가 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
표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피막인 실시예 1 은, 피부 외용제 1 만을 적용한 비교예 1 에 비해서 피부의 거칠음 스코어의 유의한 개선이 1 주일 후에서, 개선 경향이 2 주일 후에서 확인되었다.
Figure pct00003
〔평가 2〕각질층 수분량 (컨덕턴스)
각질층의 수분량은, Dermalab (Cortex Technology 사 제조) 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실시예 1, 비교예 1 및 비교예 4 의 피검 부위의 각질층 수분량을 측정하고, 각 피검자의 측정치의 평균치를 구하였다. 측정 결과를 표 4 및 표 5 에 나타낸다.
표 4 및 표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의 피부 외용제 1 과 섬유층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피막은, 피부 외용제 1 만을 적용한 비교예 1 군에 비해서 각질층 수분량 (컨덕턴스) 의 유의한 개선이 1 주일 후와 2 주일 후 및 Regression 으로 확인되었다.
또, 실시예 1 의 피부 외용제 1 과 섬유층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피막은, 피부 외용제 1 을 도포한 후, 폐색막인 테가담을 첩부한 비교예 4 군에 비해서 각질층 수분량 (컨덕턴스) 의 유의한 개선이 1 주일 후와 2 주일에서 확인되었다.
Figure pct00004
Figure pct00005
〔평가 3〕각질층의 단백질의 해석
피부 표면에 테이프 (테라오카 제작소 필름 마스킹 테이프 465#40 을, 2.5 ㎝ × 5.0 ㎝ 의 크기로 자른 것) 를 눌러대고, 동일 부위로부터 연속하여 2 장, 상이한 3 개 지점에서 합계 6 장 채취하였다.
채취된 테이프를 수용액 (7 ㏖/ℓ Urea, 2 ㏖/ℓ Thiourea, 12 m㏖/ℓ Sodium deoxycholate, 12 m㏖/ℓ SLS 수(水), 100 m㏖/ℓ Tris-HCl (pH 9) 의 혼합물 수용액) 1 ㎖ 에 침지시켜, 20 분간 빙수 중에서 초음파 처리하였다. 그곳에, 1 ㏖/ℓ Dithiothreitol, 50 m㏖/ℓ Ammonium bicarbonate 혼합물 수용액을 10 ㎕ 첨가하여, 37 ℃ 에서 하룻밤 진탕하였다. 그곳에 1 ㏖/ℓ Iode Acetoamide, 50 m㏖/ℓ Ammonium bicarbonate 혼합 수용액 50 ㎕ 첨가하고, 30 분간 실온에서 정치 (靜置) 하여, 단백질의 추출 용액으로 하였다.
30 분간 실온에서 정치하여, 단백질 추출 용액으로 하였다.
EZQ protein assay 에 의해서, 단백질량을 정량하였다.
추출 용액에 50 m㏖/ℓ Ammonium bicarbonate 수용액 2 ㎖ 를 첨가하고, 0.2 ㎍/㎕ 로 조제한 Lys-C 용액을 단백질 중량에 대해서 100 분의 1 이 되도록 첨가하여, 37 ℃ 에서 3 시간 진탕하였다. 그 후, 0.2 ㎍/㎕ 로 조제한 Trypsin 용액을 단백질량에 대해서 100 분의 1 이 되도록 첨가하여, 37 ℃ 에서 20 시간 진탕하였다. 시료 용액을 2 ㎖ 튜브로 나누고, 각각 아세트산에틸 1 ㎖ 및 50 % TFA 수용액을 종농도 0.5 % 가 되도록 첨가한 후, 2 분간 교반하고, 15,000 r/min 으로 3 분간 원심 분리하였다. 상층의 아세트산에틸을 제거하고, 나머지의 시료 용액을 50 ℃ 에서 감압 건고하였다. 그 후, 탈염 처리를 행하고, 0.1 % TFA 함유 2 % 아세토니트릴 수용액을 첨가하고 용해시켜, 단백질 종농도 1 ㎍/㎕ 의 시료 용액을 조제하였다.
(LC-MS 측정)
조제된 시료에 대해서, 이하와 같이 LC-MS 측정을 행하였다.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이하,「LC」라고도 한다) 로서 nanoAcquity UPLC System with 2D Technology (상품명, Waters 사 제조) 를, 질량 분석계 (이하,「MS」라고도 한다) 로서 LTQ Ortbitrap Velos (상품명, Thermo Fisher Scientific 사 제조) 를 사용하였다.
LC 조건 및 MS 조건은,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1) LC 조건
장치 : nanoAcquity UPLC (Waters 사 제조)
트랩 칼럼 : Nano Ease Xbridge BEH130 C18 (상품명),
입자 직경 5 ㎛, 내경 0.3 ㎜ × 길이 50 ㎜ (Waters 사 제조)
시료 로드 용액 : 0.1 % 포름산 수용액 : 0.1 % 포름산 함유 아세토니트릴 = 98 : 2
시료 주입 후, 5 ㎕ /min 으로 3 분간 세정
분리 칼럼 : nanoAcquity UPLC BEH130 C18 (상품명),
입자 직경 1.7 ㎛, 내경 0.1 ㎜ × 길이 100 ㎜ (Waters 사 제조)
용리액 A : 0.1 % 포름산 수용액
용리액 B : 0.1 % 포름산 함유 아세토니트릴
유속 : 400 nL/min
그레이디언트 : 용리액 B 5 % (0 ∼ 1 분) → 40 % (120 분) → 95 % (121 ∼ 130 분) → 5 % (131 ∼ 140 분)
주입량 : 1 ㎕
칼럼 온도 : 35 ℃
(2) MS 조건
이온화법 : 나노 일렉트로 스프레이 이온화 (nano ESI) 법
스프레이 팁 : Pico Tip NanoSpray Emitter FS360-50-15-N (상품명)
외경 360 ㎛, 선단 외경 50 ㎛, 내경 15 ㎛ (New Objective)
극성 : Positive
스프레이 전압 : 1,800 V
캐필러리 온도 : 250 ℃
Range (FT-MS) : m/z 300 ∼ 1,250
질량 분해능 : 60,000 (at m/z 400)
MS/MS (IT-MS) : 충돌 유기 해리 (CID) 법
Data dependent scan : Top15
Exclusion time : 180 s
Range (IT-MS) : m/z 100 ∼ 2,000
Collision Energy (CE) : 35
각 단백질의 효소 소화물의 동정에는, 데이터 베이스로서 Swiss-Prot (http://web.expasy.org/docs/swiss-prot_guideline.html) 를, 데이터 베이스 검색 엔진으로서 MASCOT Server (Matrix Science) 를, 해석 소프트웨어로서 Proteome Discoverer (Thermo Fisher Scientific) 를 사용하였다.
검색 조건은,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3) 단백질 데이터 베이스 서치
해석 소프트웨어 : Proteome discoverer ver.1.3
검색 엔진 : Mascot ver.2.3
데이터 베이스 : Swiss-Prot 2012/02
Enzyme : Trypsin
Static modification : Carbamidomethyl (C)
Variable modification : Oxidation (M)
Maximum missed cleavage : 1
Precursor Mass tolerance : ±10 ppm
Fragment Mass tolerance : ±0.8 Da
(4) 단백질 동정 조건
FDR : 5 %
Peptide Rank : 1
취득된 LC-MS 데이터에 대해서, Thermo Fisher Scientific 사의 독자적인 .raw 형식으로부터, 범용 형식인 .mzML 로 파일 형식을 변환하였다. 데이터 형식의 변환에는 Proteo Wizard 의 msconvert 를 사용하여, 범용 데이터 교환 형식인 .mzML 파일로 변환하였다.
.mzML 형식으로 변환된 데이터는, R ver.3.0.1 (http://www.r-project.org/) 를 사용하여 해석하였다. 해석에는, CRAN (The Comprehensive R Archive Network, http://cran.r-project.org/) 및 Bioconductor (http://www.bioconductor.org/) 로부터 전송되는 패키지를 사용하였다 (mzR, doParallel, compiler, Matrix).
해석 방법의 상세한 것은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단백질의 귀속에 사용된 모든 펩티드의 m/z 에 대한 추출 이온 크로마토그램을 얻었다. 또한, 대상으로 하는 펩티드가 검색된 경우에는, 추출 이온 크로마토그램의 피크 면적을 산출하였다. 대상으로 하는 펩티드가 검색되지 않은 경우에는, 모든 시료에서 검출된 펩티드를 기준으로 유지 시간을 보정하고, 펩티드의 존재가 예상되는 유지 시간역의 신호 강도를 피크 면적으로 하였다. 이후에는, 단백질마다 해당되는 펩티드의 피크 면적을 평균화한 값을 단백질의 양으로 취급하였다.
2 주일 후의 단백질량을, 실시예 1 (피부 외용제 1 과 섬유층)/비교예 1 (피부 외용제 1 만) 의 비로서 표 6 에 나타낸다.
표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은 비교예 1 에 대해서 각질층의 형성에 필요한 단백질, 피부의 수분량을 높이기 위해서 필수인 단백질, 즉 세포간 지질, NMF 의 산생에 관련되는 단백질의 증산이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는, 세라마이드나 세포간 지질의 원천인, 라메라 과립의 마커인 Suprabasin, NMF 의 산생에 관련되는 SASPase, Filaggrin, Bleomycin, Caspase-14, 세포 골격을 만드는 Transglutaminase 의 증산이 확인되었다.
Figure pct00006
〔평가 4〕투습도
표 1 의 일렉트로스피닝용 조성물 2 에 의한 섬유 집합체와 표 2 의 피부 외용제 1 에 의한 피막, 표 1 의 일렉트로스피닝용 조성물 2 에 의한 섬유 집합체와 피부 외용제 2 에 의한 피막, 및 표 1 의 일렉트로스피닝용 조성물 2 에 의한 섬유 집합체와 피부 외용제 3 에 의한 피막의 투습도를 측정하였다. 투습도는, JIS Z2080 (1976) 법에 의거하여 측정한다. 섬유 집합체와 피부 외용제 1, 2, 3 을 유지하기 위해서 메시 시트 (0.1 × 60 mesh, 아사닷슈 주식회사 제조) 를 사용하여, 메시 시트에 일렉트로스피닝용 조성물 2 를, 이하의 조건에서 일렉트로스피닝법에 의해서 섬유 집합체를 형성하였다.
·인가 전압 : 10 ㎸
·노즐과 피부의 거리 : 80 ㎜
·토출 시간 : 30 sec
·토출 면적 직경 6 ㎝
·일렉트로스피닝용 조성물의 토출량 : 0.10 ㎖/min
·환경 : 21 ℃ ± 1 ℃, 40 %RH
이 일렉트로스피닝에 의한 피막은, 섬유 중의 폴리머의 평량은 토출액의 비중 0.8 로 계산하여, 0.16 ㎎/㎠ 이다. 섬유 직경은 400 ∼ 700 ㎚ 이다.
또한, 피부 외용제 1, 2 또는 3 을 적용하여, 투습도를 측정하기 위한 피막을 준비하였다. 다음으로 투습도를 측정한다. 투습 컵은 JIS Z2080 (1976) 규격의 컵이고 나사 체결식 (주식회사 이모토 제작소) 을 사용하여, JIS Z2080 (1976) 에 정해진 방법에 의해서 투습도를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를 표 2, 표 7, 표 10 에 나타낸다.
〔평가 5〕유전율
표 2 에 나타내는 피부 외용제 1, 표 7 에 나타내는 피부 외용제 2, 표 9 의 유제 1 ∼ 5 에 함유되는 20 ℃ 에서 액상인 폴리올과 오일, 및 표 10 에 나타내는 피부 외용제 3 의 유전율을 측정한다. 유전율의 측정은, 임피던스 측정 장치 (SI1260, 솔라트론사 제조) 에 의해서, 측정 단자 (SH―Z), 25 ℃, φ10 ㎜, 거리 1 ㎜ 의 조건에 의해서 측정한다. 측정된 유전율을 진공의 유전율 (8.85 pF/m) 로 나눈 값을 비유전율로 한다. 또한, 피부 외용제 1, 2, 3, 유제 1 ∼ 5 에 함유되는 물을 제외한 성분 중의 질량비와 비유전율의 곱의 총합을 계산하여, 각 외용 조성물의 비유전율로 하였다. 결과를 표 2, 7, 9, 10 에 각각 나타낸다.
(실시예 2, 비교예 2)
(1) 표 7 에 나타내는 피부 외용제 2 를, 30 명의 피검자의 좌우의 볼에 5 × 7 ㎝ 의 범위에서, 평량 1 ㎎/㎠ 의 양으로 도포하였다. 피검자는 30 대 내지 40 대의 여성이고, 거친 피부 또는 건조 의식에 대한 관심이 높은, 정상 피부의 45 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2) 일렉트로스피닝에 의한 섬유 집합체의 형성
도 1 에 나타내는 구성을 갖고, 도 2 에 나타내는 외관을 갖는 일렉트로스피닝 장치 (10) 를 사용하고, 피부 외용제 2 를 도포한 범위 (5 × 7 ㎝) 에, 하기의 조건에서 표 1 에 기재된 일렉트로스피닝용 조성물 2 에 의해서 섬유 집합체를 형성하여 (N = 30) 실시예 2 로 하여 시험을 행하였다. 또한, 섬유 집합체를 형성하지 않은 군 (N = 15) 을 비교예 2 로 하여 시험을 행하였다.
·인가 전압 : 10 ㎸
·노즐과 피부의 거리 : 80 ㎜
·토출 시간 : 35 sec
·분무용 조성물의 토출량 : 0.10 ㎖/min
·환경 : 21 ℃ ± 1 ℃, 40 %RH
이 일렉트로스피닝에 의한 피막은, 섬유 중의 폴리머의 평량은 토출액의 비중 0.8 로 계산하여, 0.17 ㎎/㎠ 이다.
〔평가 2〕
실시예 2 와 비교예 2 에 대해서, 6 시간의 적용 후에 각질층의 수분량을 측정하였다. 각질층의 수분량은, 코르네오 미터 CM825 (Courage + Khazaka 사 제조) 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실시예 2 및 비교예 2 에 대해서, 적용 부위에 대해서, 적용 전과 적용 후의 각질층의 수분량을 측정하여, 적용 전후의 차를 계산하고, 그 평균치를 측정 결과로 하였다. 결과를 표 8 에 나타낸다. 표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2 는 비교예 2 에 비해서 피부의 수분량이 증가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Figure pct00007
Figure pct00008
(실시예 3 ∼ 6, 비교예 3)
표 1 의 일렉트로스피닝용 조성물 1 에 의한 섬유 집합체와 표 9 의 유제 1 ∼ 5 에 의한 비교예 3, 실시예 3 ∼ 6 의 피막을 제조하여, 투습도를 측정하였다. 투습도는, JIS Z2080 (1976) 법에 기초하여 측정한다. 섬유 집합체와 피부 외용제 1, 2 를 유지하는 위해서 메시 시트 (0.1 × 60 mesh, 아사닷슈 주식회사 제조) 를 사용하여, 메시 시트에 일렉트로스피닝용 조성물 1 을, 이하의 조건에서 일렉트로스피닝법에 의해서 섬유 집합체를 형성하였다.
·인가 전압 : 10 ㎸
·노즐과 피부의 거리 : 80 ㎜
·토출 시간 : 30 sec
·토출 면적 직경 6 ㎝
·일렉트로스피닝용 조성물의 토출량 : 0.10 ㎖/min
·환경 : 21 ℃ ± 1 ℃, 40 %RH
이 일렉트로스피닝에 의한 피막은, 섬유 중의 폴리머의 평량은 토출액의 비중 0.8 로 계산하여, 0.16 ㎎/㎠ 이다. 섬유 직경은 400 ∼ 700 ㎚ 이다.
또한 유제 1 ∼ 5 를 적용하여, 투습도를 측정하기 위한 비교예 3, 실시예 3 ∼ 6 의 피막을 준비하였다. 다음으로 투습도를 측정한다. 투습 컵은 JIS Z2080 (1976) 규격의 컵이고 나사 체결식 (주식회사 이모토 제작소) 을 사용하여, JIS Z2080 (1976) 에 정해진 방법에 의해서 투습도를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를 표 9 에 나타낸다. 표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용 조성물의 비유전율의 값이 커지면, 피막의 투습도도 커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Figure pct00009
Figure pct00010
10 : 정전 스프레이 장치
11 : 저전압 전원
12 : 고전압 전원
13 : 보조적 전기 회로
14 : 마이크로 기어 펌프
15 : 용기
16 : 노즐
17 : 관로
18 : 플렉시블 관로
19 : 전류 제한 저항
20 : 케이싱

Claims (9)

  1. 섬유층을 구비하는 인간 피부용 피막으로서,
    섬유층은 섬유 직경이 50 ㎚ 이상 10000 ㎚ 미만인 수불용성 폴리머에 의한 섬유가 퇴적되어 있는 섬유 집합체와, 섬유 집합체에 있어서의 섬유간 및 섬유의 표면에 존재하는 액제 X 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섬유 집합체의 평량 Q 는 0.08 ㎎/㎠ 이상 1.0 ㎎/㎠ 이하이며,
    상기 액제 X 는, 평량 P 가 0.5 ㎎/㎠ 이상 2.3 ㎎/㎠ 이하, 비유전율이 1.0 이상 27 이하이고, 성분 (a) 20 ℃ 에서 액상의 비유전율이 0.5 이상 20 이하인 유제를 함유하며, 또한, 성분 (b) 20 ℃ 에서 액상인 폴리올의 액제 X 중의 함유량이 50 질량% 이하인 인간 피부용 피막.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제 X 의 평량 P 와, 섬유 집합체의 평량 Q 의 비 (P/Q) 가 2.5 이상 10 이하인 인간 피부용 피막.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 집합체는, 인간의 피부에 직접 형성되고, 섬유 집합체의 형성 전 또는 형성 후에 성분 (a) 를 함유하는 외용 조성물 A 를 피부에 적용함으로써 형성된 것인 인간 피부용 피막.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 집합체는 인간의 피부에 일렉트로스피닝법에 의해서 형성된 것인 인간 피부용 피막.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제 X 는, 성분 (c) 20 ℃ 에서 고체인 오일을 함유하고, 성분 (b) 와 성분 (c) 의 질량비 (b/c) 가 8 이하인 인간 피부용 피막.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외용 조성물 A 는, 성분 (c) 20 ℃ 에서 고체인 오일을 함유하고, 외용 조성물 A 에 있어서의 성분 (c) 와 성분 (b) 의 질량비 (b)/(c) 는, 8 이하인 인간 피부용 피막.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JIS Z2080 (1976) 법으로 측정한 투습도가 300 ∼ 3000 g/㎡·24h 인 인간 피부용 피막.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투습도 300 ∼ 3000 g/㎡·24h 에서, 5 시간 이상 적용하기 위한 인간 피부용 피막.
  9. 피부의 표면에 투습도 300 ∼ 3000 g/㎡·24h 의 피막을 형성하는 인간용 피막의 제조 방법으로서,
    외용 조성물 A 를 피부에 평량 0.5 ∼ 2.3 ㎎/㎠ 적용하는 공정과,
    피부에 조성물 B 를 일렉트로스피닝법에 의해서 적용하고, 평량 0.08 ∼ 1.0 ㎎/㎠ 의 섬유 집합체를 형성하는 공정을 구비하고,
    상기 외용 조성물 A 는, 이하의 성분 (a) 를 함유하고, 비유전율이 1.0 ∼ 27 이며,
    상기 조성물 B 가, 조성물 B 중에 이하의 성분 (e) 40 ∼ 95 질량% 및 성분 (f) 5 ∼ 35 질량% 를 함유하는 인간 피부용 피막의 제조 방법.
    성분 (a) 20 ℃ 에서 액상의 비유전율이 0.5 ∼ 20 인 유제
    성분 (e) 알코올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휘발성 물질
    성분 (f) 피막 형성능을 갖는 수불용성 폴리머
KR1020217015697A 2018-11-26 2019-11-26 피부용 피막 KR1026554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220755 2018-11-26
JPJP-P-2018-220755 2018-11-26
PCT/JP2019/046152 WO2020111055A1 (ja) 2018-11-26 2019-11-26 皮膚用被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4540A true KR20210084540A (ko) 2021-07-07
KR102655471B1 KR102655471B1 (ko) 2024-04-05

Family

ID=70854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5697A KR102655471B1 (ko) 2018-11-26 2019-11-26 피부용 피막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031578A1 (ko)
EP (1) EP3888753A4 (ko)
JP (1) JP7158364B2 (ko)
KR (1) KR102655471B1 (ko)
CN (1) CN113164406A (ko)
WO (1) WO20201110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3553A (ko) * 2020-11-30 2023-07-31 카오카부시키가이샤 피막 형성 조성물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0819A (ko) * 1999-08-18 2002-03-15 데이비드 엠 모이어 피부 케어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비연속성 필름
JP2004002356A (ja) * 2002-03-29 2004-01-08 Shiseido Co Ltd 変色性化粧料及びそれを用いた化粧方法
JP2004525272A (ja) 2001-03-20 2004-08-19 ナイキャスト リミテッド 携帯式電気紡糸装置
JP2007325934A (ja) 1996-07-23 2007-12-20 Battelle Memorial Inst 配量装置および材料を形成する方法
JP2009536647A (ja) * 2006-05-08 2009-10-15 イーストマン ケミカル カンパニー 皮膚送達用活性剤を含む水分散性パッチ
JP2012017297A (ja) * 2010-07-08 2012-01-26 Kao Corp スティック化粧料
KR20180051670A (ko) * 2015-10-19 2018-05-16 카오카부시키가이샤 피막의 제조 방법
JP2018087186A (ja) * 2016-11-22 2018-06-07 花王株式会社 化粧料用被膜の製造方法
JP2018108991A (ja) * 2016-12-28 2018-07-12 花王株式会社 被膜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330960B4 (de) * 2003-07-08 2005-09-08 Stockhausen Gmbh Wirkstoffdotierte absorbierende Polymerteilchen , Zusammensetzung beinhaltend Polykondensatmatrix und absorbierendes Polymer zur Freisetzung einer Wundheilsubstanz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25934A (ja) 1996-07-23 2007-12-20 Battelle Memorial Inst 配量装置および材料を形成する方法
KR20020020819A (ko) * 1999-08-18 2002-03-15 데이비드 엠 모이어 피부 케어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비연속성 필름
JP2006095332A (ja) 1999-08-18 2006-04-13 Procter & Gamble Co 不連続フィルムの形成方法
JP2004525272A (ja) 2001-03-20 2004-08-19 ナイキャスト リミテッド 携帯式電気紡糸装置
JP2004002356A (ja) * 2002-03-29 2004-01-08 Shiseido Co Ltd 変色性化粧料及びそれを用いた化粧方法
JP2009536647A (ja) * 2006-05-08 2009-10-15 イーストマン ケミカル カンパニー 皮膚送達用活性剤を含む水分散性パッチ
JP2012017297A (ja) * 2010-07-08 2012-01-26 Kao Corp スティック化粧料
KR20180051670A (ko) * 2015-10-19 2018-05-16 카오카부시키가이샤 피막의 제조 방법
JP2018087186A (ja) * 2016-11-22 2018-06-07 花王株式会社 化粧料用被膜の製造方法
JP2018108991A (ja) * 2016-12-28 2018-07-12 花王株式会社 被膜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11055A1 (ja) 2020-06-04
JP2020090487A (ja) 2020-06-11
CN113164406A (zh) 2021-07-23
EP3888753A1 (en) 2021-10-06
KR102655471B1 (ko) 2024-04-05
EP3888753A4 (en) 2022-08-24
US20220031578A1 (en) 2022-02-03
JP7158364B2 (ja) 2022-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0751B1 (ko) 피막의 제조 방법
KR101998043B1 (ko) 피막의 제조 방법
KR102208595B1 (ko) 피막의 제조 방법
WO2012002389A1 (ja) ナノファイバ
CN109982681A (zh) 化妆品用覆膜的制造方法
US11571381B2 (en) Composition for forming coating
JP6480059B2 (ja) 皮膚表面に被膜を形成する方法
KR20200106517A (ko) 피막 형성용 조성물
KR102655471B1 (ko) 피부용 피막
JP7216485B2 (ja) 化粧被膜の製造方法
WO2023027151A1 (ja) 被膜の製造方法
JP7337897B2 (ja) 美容方法
WO2022059591A1 (ja) 繊維形成組成物
JP2023177929A (ja) 被膜形成用組成物
JP2008127386A (ja) 保湿化粧剤としてのアルキルオキサゾリジノンの使用及び皮膚の保湿方法
US20210196613A1 (en) Method for producing coa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