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3553A - 피막 형성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막 형성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3553A
KR20230113553A KR1020237017892A KR20237017892A KR20230113553A KR 20230113553 A KR20230113553 A KR 20230113553A KR 1020237017892 A KR1020237017892 A KR 1020237017892A KR 20237017892 A KR20237017892 A KR 20237017892A KR 20230113553 A KR20230113553 A KR 202301135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ss
mass
film
forming composition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78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츠야 후지모토
신고 히로노
가오리 이시다
히데오 고바야시
Original Assignee
카오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오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카오카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1135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35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1Amines
    • A61K8/415Aminophen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more than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66Triazine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1Cellulose; Quaternized cellulose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41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5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mides or imides, e.g. (meth) acrylamide;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5Polyes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61K2800/412Microsized, i.e. having sizes between 0.1 and 100 micr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41Containing particulates characterized by their shape and/or structure
    • A61K8/027Fibers; Fibri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자외선 방어 효과가 우수하고 또한 불균일한 도포를 실시한 경우에도 햇볕에 탄 불균일이 발생하기 어려운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
다음의 성분 (a) 및 (b) : (a)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는 불휘발성 유분 ; (b) 평균 섬유 직경 0.1 ㎛ 이상 7 ㎛ 이하의 섬유 피막 형성 조성물 중 0.5 질량% 이상 10 질량% 이하 ;
를 함유하고, (평균 섬유 직경)2/섬유 함유량 (㎛2/질량%) 이, 0.005 이상 7 이하인, 피막 형성 조성물.

Description

피막 형성 조성물
본 발명은, 피막 형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 중에 섬유를 함유시키는 기술은 잘 알려져 있고, 예를 들어, 화장품 중에 미립자를 장기적이고 안정적으로 분산시키기 위해, 열가소성 고분자로 이루어지고 수평균에 의한 단섬유 직경이 1 ∼ 500 ㎚ 이며 단섬유 비율의 합 Pa 가 60 % 이상인 섬유 분산체를 용매와 함께 배합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1).
또, 특허문헌 2 에는, 섬유 길이 0.3 ∼ 1.5 ㎜, 굵기 0.9 Dtex (≒ 섬유 직경 10.7 ㎛) 의 폴리아미드 섬유 및 UV 스크리닝제 등을 배합한 유체 에멀션이 기재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320506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293731호
본 발명은, 다음의 성분 (a) 및 (b) :
(a)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는 불휘발성 유분 ;
(b) 평균 섬유 직경 0.1 ㎛ 이상 7 ㎛ 이하의 섬유 피막 형성 조성물 중 0.5 질량% 이상 10 질량% 이하 ;
를 함유하고, (평균 섬유 직경)2/섬유 함유량 (㎛2/질량%) 이, 0.005 이상 7 이하인, 피막 형성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상기의 피막 형성 조성물을 피부에 적용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피부 표면 상에 있어서의 피막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피막 형성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막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은, 섬유의 형성에 사용한 정전 스프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 는, 네트워크 형성 있음의 일례를 나타내는 참고 SEM 화상이다.
도 3 은, 네트워크 형성 없음의 일례를 나타내는 참고 SEM 화상이다.
도 4 는, 실시예 2 의 조성물을 도포 직후의 도막의 상태를 나타내는 화상이다.
도 5 는, 실시예 2 의 조성물을 도포하고 나서 15 분간 경과 후의 도막의 상태를 나타내는 화상이다.
자외선 차단 화장료를 도포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햇볕에 탄 불균일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햇볕에 탄 불균일을 억제하고 싶다는 요구가 있는데, 자외선 방어 효과를 불균일 없이 얻기 위해서는 적절한 도포가 필요하다고 되어 있었다. 예를 들어, 화장료를 적용부에 직접 얹지 않고 손바닥에 얹고 양손의 손바닥에 배이게 한 후 바른 경우나 적정 사용량보다 도포량이 적은 경우에는 불균일한 도포가 되어, 햇볕에 탄 불균일이 발생하기 쉬워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는 불휘발성 유분과 함께, 특허문헌 2 에 기재된 상기 유체 에멀션에서 사용되고 있는 굵기 0.9 Dtex (≒ 섬유 직경 10.7 ㎛) 의 섬유를 배합한 화장료는, 햇볕에 탄 불균일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도포가 필요한 것이었다.
본 발명은, 자외선 방어 효과가 우수하고 또한 불균일한 도포를 실시한 경우에도 햇볕에 탄 불균일이 발생하기 어려운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는 불휘발성 유분과 함께, 평균 섬유 직경 0.1 ㎛ 이상 7 ㎛ 이하의 섬유를, (평균 섬유 직경)2/섬유 함유량 (㎛2/질량%) 이 특정 범위가 되도록 또한 특정량 조합한 조성물이, 피부에 도포되어 건조된 경우에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는 불휘발성 유분이 도포부에 확산되어 가 균일성이 높은 피막을 형성하고, 자외선 방어 효과가 우수하고 또한 불균일한 도포를 실시한 경우에도 햇볕에 탄 불균일이 발생하기 어려운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피막 형성 조성물은, 자외선 방어 효과가 우수하고 또한 불균일한 도포를 실시한 경우에도 햇볕에 탄 불균일이 발생하기 어렵다.
<성분 (a)>
본 발명의 피막 형성 조성물은, (a)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는 불휘발성 유분을 함유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자외선 흡수제 (이하, 성분 (a1) 이라고도 칭한다)」는, 유용성의 자외선 흡수제이면 되고, 1 기압하 25 ℃ 에서 액체인 유용성 자외선 흡수제, 1 기압하 25 ℃ 에서 고체인 유용성 자외선 흡수제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유용성 자외선 흡수제란, 물에 대한 용해도가 0.01 질량% 미만인 자외선 흡수제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1 기압하 25 ℃ 에서 액체인 유용성 자외선 흡수제를 자외선 흡수제로서 적어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1 기압하 25 ℃ 에서 액체인 유용성 자외선 흡수제와 함께 1 기압하 25 ℃ 에서 고체인 유용성 자외선 흡수제를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는 불휘발성 유분」은, 상기와 같은 유용성 자외선 흡수제를 적어도 포함하는 불휘발성 유분이면 되는데,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는 불휘발성 액상 유분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는 불휘발성 액상 유분이란, 유용성 자외선 흡수제를 적어도 포함하는 불휘발성 유분 중 액상인 것을 말하고, 당해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는 불휘발성 액상 유분을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본 발명의 피막 형성 조성물에는, 예를 들어, 1 기압하 25 ℃ 에서 액체인 유용성 자외선 흡수제만을 불휘발성 유분으로서 함유하는 양태, 1 기압하 25 ℃ 에서 액체인 유용성 자외선 흡수제와, (a2) 유용성 자외선 흡수제 이외의 불휘발성 유제 (이하,「다른 유제」라고도 칭한다) 및 1 기압하 25 ℃ 에서 고체인 유용성 자외선 흡수제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루어지는 불휘발성 액상 유분을 함유하는 양태, 1 기압하 25 ℃ 에서 고체인 유용성 자외선 흡수제와 다른 유제 중 액상인 것을 조합하여 이루어지는 불휘발성 액상 유분을 함유하는 양태가 포함된다.
성분 (a) 의 합계 함유량은, 피막의 균일성 등의 관점에서, 본 발명의 피막 형성 조성물 중, 바람직하게는 0.5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5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7.5 질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질량% 이상이고, 또, 사용감 (번들거림이나 끈적임이 없음) 등의 관점에서, 본 발명의 피막 형성 조성물 중, 바람직하게는 90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65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45 질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40 질량% 이하이다. 구체적인 범위로는, 본 발명의 피막 형성 조성물 중, 0.5 질량% 이상 90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2.5 질량% 이상 65 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5 질량% 이상 45 질량%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7.5 질량% 이상 45 질량%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10 질량% 이상 40 질량%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성분 (a) 의 합계 함유량은, 예를 들어, NMR, 크로마토그래피, IR 분석 등의 공지된 기술이나 그 조합에 의해 각 유제 분자의 골격 구조를 동정하고 그 골격 구조를 나타내는 부분의 측정값의 강도로부터 측정할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의 함유량은, 자외선 방어 효과, 햇볕에 탄 불균일 억제 효과, 피막의 균일성 등의 관점에서, 본 발명의 피막 형성 조성물 중, 바람직하게는 0.1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 질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7 질량% 이상이고, 또, 사용감 (번들거림이나 끈적임이 없음) 등의 관점에서, 본 발명의 피막 형성 조성물 중, 바람직하게는 55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45 질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40 질량% 이하이다. 구체적인 범위로는, 본 발명의 피막 형성 조성물 중, 0.1 질량% 이상 55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1 질량% 이상 50 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3 질량% 이상 45 질량%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7 질량% 이상 40 질량%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자외선 흡수제의 함유량을 7 질량% 이상으로 한 경우에, 자외선 방어 효과, 햇볕에 탄 불균일 억제 효과, 피막의 균일성이 특히 개선된다.
또, 성분 (a) 불휘발성 유분의 합계 (자외선 흡수제에 더하여 상기 (a2) 다른 유제를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자외선 흡수제와 다른 유제의 합계) 에 대한 성분 (a1) 자외선 흡수제의 함유 질량비〔(a1)/(a)〕는, 자외선 방어 효과, 햇볕에 탄 불균일 억제 효과, 피막의 균일성 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0.1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3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0.7 이상이고, 또, 자외선 흡수제의 용해성, 사용감 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 이하이다. 구체적인 범위로는, 0.1 이상 1 이하가 바람직하고, 0.3 이상 1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0.5 이상 1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0.7 이상 1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함유 질량비〔(a1)/(a)〕를 0.5 이상으로 한 경우에, 자외선 방어 효과, 햇볕에 탄 불균일 억제 효과, 피막의 균일성이 특히 개선된다.
(성분 (a1))
자외선 흡수제로는, 예를 들어, 벤조산계 자외선 흡수제, 안트라닐산계 자외선 흡수제, 살리실산계 자외선 흡수제, 계피산계 자외선 흡수제, 벤조일메탄계 자외선 흡수제, 트리아진계 자외선 흡수제, 벤조페논계 자외선 흡수제, 히단토인계 자외선 흡수제 등을 들 수 있다. 이것들 중에서는, 자외선 방어 효과 등의 관점에서, 벤조산계 자외선 흡수제, 계피산계 자외선 흡수제 및 트리아진계 자외선 흡수제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이 바람직하다.
또한, 자외선 흡수제는, 1 종만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벤조산계 자외선 흡수제로는, 예를 들어, 파라아미노벤조산, 글리세릴파라아미노벤조산, 에틸디하이드록시프로필파라아미노벤조산, 옥틸디메틸파라아미노벤조산, 파라디메틸아미노벤조산아밀, 디에틸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벤조산헥실 등을 들 수 있다.
안트라닐산계 자외선 흡수제로는, 예를 들어, 안트라닐산메틸 등을 들 수 있다.
살리실산계 자외선 흡수제로는, 예를 들어, 살리실산호모멘틸, 살리실산2-에틸헥실, 살리실산트리에탄올아민 등을 들 수 있다.
계피산계 자외선 흡수제로는, 예를 들어, 파라메톡시계피산2-에틸헥실, 디파라메톡시계피산모노2-에틸헥산산글리세릴, 2,5-디이소프로필계피산메틸, 트리메톡시계피산메틸비스(트리메틸실록시)실릴이소펜틸, 파라메톡시계피산이소프로필, 파라메톡시계피산이소프로필·디이소프로필계피산에스테르 혼합물, 파라메톡시계피산2-에톡시에틸, 파라메톡시계피산디에탄올아민염 등을 들 수 있다.
벤조일메탄계 자외선 흡수제로는, 예를 들어, 4-이소프로필디벤조일메탄, 4-ter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등을 들 수 있다.
트리아진계 자외선 흡수제로는, 예를 들어, 2,4,6-트리스[4-(2-에틸헥실옥시카르보닐)아닐리노]-1,3,5-트리아진, 2,4-비스-[{4-(2-에틸헥실옥시)-2-하이드록시}-페닐]-6-(4-메톡시페닐)-1,3,5-트리아진 등을 들 수 있다.
벤조페논계 자외선 흡수제로는, 예를 들어, 2,4-디하이드록시벤조페논, 2,2'-디하이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2'-디하이드록시-4,4'-디메톡시벤조페논, 2,2'4,4'-테트라하이드록시벤조페논, 4-(2-β-글루코피라노실록시)프로폭시-2-하이드록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n-옥틸옥시벤조페논 등을 들 수 있다.
히단토인계 자외선 흡수제로는, 예를 들어, 디메톡시벤질리덴디옥소이미다졸리딘프로피온산2-에틸헥실 등을 들 수 있다.
그 밖의 자외선 흡수제로는, 예를 들어, 옥토크릴렌, 시녹세이트, 페닐벤즈이미다졸술폰산, 1-(3,4-디메톡시페닐)-4,4-디메틸-1,3-펜탄디온, 3-(4-메틸벤질리덴)캠퍼, 메틸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틸부틸페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에서 예시한 디에틸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벤조산헥실, 2,4,6-트리스[4-(2-에틸헥실옥시카르보닐)아닐리노]-1,3,5-트리아진, 2,4-비스-[{4-(2-에틸헥실옥시)-2-하이드록시}-페닐]-6-(4-메톡시페닐)-1,3,5-트리아진 등은, 1 기압하 25 ℃ 에서 고체인 유용성 자외선 흡수제이다. 또, 상기에서 예시한 파라메톡시계피산2-에틸헥실, 파라메톡시계피산이소프로필, 파라메톡시계피산2-에톡시에틸 등은, 1 기압하 25 ℃ 에서 액체인 유용성 자외선 흡수제이다.
(성분 (a2))
본 발명의 피막 형성 조성물은, 자외선 흡수제에 더하여, (a2) 유용성 자외선 흡수제 이외의 불휘발성 유제 (다른 유제) 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다른 유제로는, 예를 들어, 에스테르유, 에테르유, 탄화수소유, 고급 알코올, 실리콘유 및 불소유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유제를 들 수 있고, 자외선 흡수제의 용해성, 사용감 등의 관점에서, 에스테르유, 에테르유, 탄화수소유 및 고급 알코올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유제가 바람직하고, 에스테르유, 에테르유 및 탄화수소유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유제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 다른 유제로는, IOB 값 0 초과 0.6 이하의 것이 바람직하고, IOB 값 0.05 이상 0.3 이하의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IOB 값이란, Inorganic/organic balance (무기성/유기성 비) 의 약칭으로서, 무기성 값의 유기성 값에 대한 비율을 나타내는 값이고, 유기 화합물의 극성의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가 되는 것이다. IOB 값은, 구체적으로는,「IOB 값 = 무기성 값/유기성 값」으로서 나타내어진다. 여기서,「무기성 값」,「유기성 값」의 각각에 대해서는, 예를 들어, 분자 중의 탄소 원자 1 개에 대해「유기성 값」이 20, 동수산기 1 개에 대해「무기성 값」이 100 과 같이, 각종 원자 또는 관능기에 따른「무기성 값」,「유기성 값」이 설정되어 있고, 유기 화합물 중의 모든 원자 및 관능기의「무기성 값」,「유기성 값」을 적산함으로써, 당해 유기 화합물의 IOB 값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지타 저,「화학의 영역」제 11 권, 제 10 호, 제 719 페이지 ∼ 제 725 페이지, 1957 년 참조).
상기 에스테르유로는, 직사슬 또는 분기 사슬의 지방산과 직사슬 또는 분기 사슬의 알코올 또는 다가 알코올로 이루어지는 에스테르, 및 트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트리글리세라이드) 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미리스트산이소프로필, 옥탄산세틸, 미리스트산옥틸도데실, 팔미트산이소프로필, 스테아르산부틸, 라우르산헥실, 미리스트산미리스틸, 올레산데실, 디메틸옥탄산헥실데실, 락트산세틸, 락트산미리스틸, 아세트산라놀린, 스테아르산이소세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12-하이드록시스테아릴산콜레스테릴, 디2-에틸헥산산에틸렌글리콜, 디펜타에리트리톨 지방산 에스테르, 모노이소스테아르산n-알킬글리콜, 디카프르산네오펜틸글리콜, 말산디이소스테아릴, 디2-헵틸운데칸산글리세린, 트리2-에틸헥산산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이소스테아르산트리메틸올프로판, 테트라2-에틸헥산산펜타에리트리틸,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르산트리메틸올프로판, 세틸2-에틸헥사노에이트, 2-에틸헥실팔미테이트,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디에틸헥실, 벤조산 (탄소수 12 ∼ 15) 알킬, 세테아릴이소노나노에이트, 트리(카프릴산·카프르산)글리세린, (디카프릴산/카프르산)부틸렌글리콜, 트리라우르산글리세릴, 트리미리스트산글리세릴, 트리팔미트산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르산글리세릴, 트리2-헵틸운데칸산글리세릴, 트리베헨산글리세릴, 트리 야자유 지방산 글리세릴, 피마자유 지방산 메틸에스테르, 올레산올레일, 팔미트산2-헵틸운데실, 아디프산디이소부틸, N-라우로일-L-글루탐산-2-옥틸도데실에스테르, 아디프산디2-헵틸운데실, 에틸라우레이트, 세바크산디2-에틸헥실, 미리스트산2-헥실데실, 팔미트산2-헥실데실, 아디프산2-헥실데실, 세바크산디이소프로필, 숙신산디2-에틸헥실, 시트르산트리에틸, 및 디피발산트리프로필렌글리콜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들 수 있다.
에스테르유 중에서는, 자외선 흡수제의 용해성, 사용감 등의 관점에서, 미리스트산옥틸도데실, 미리스트산미리스틸, 스테아르산이소세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세테아릴이소노나노에이트, 아디프산디이소부틸, 세바크산디2-에틸헥실, 미리스트산이소프로필, 팔미트산이소프로필, 말산디이소스테아릴, 디카프르산네오펜틸글리콜, 벤조산 (탄소수 12 ∼ 15) 알킬, 및 트리(카프릴산·카프르산)글리세린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이 바람직하고, 미리스트산이소프로필, 팔미트산이소프로필, 말산디이소스테아릴, 디카프르산네오펜틸글리콜, 벤조산 (탄소수 12 ∼ 15) 알킬, 및 트리(카프릴산·카프르산)글리세린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미리스트산이소프로필, 디카프르산네오펜틸글리콜, 벤조산 (탄소수 12 ∼ 15) 알킬, 및 트리(카프릴산·카프르산)글리세린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고, 디카프르산네오펜틸글리콜 및 벤조산 (탄소수 12 ∼ 15) 알킬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에테르유로는, 세틸디메틸부틸에테르 등의 알킬-1,3-디메틸부틸에테르 외에, 에틸렌글리콜디옥틸에테르, 글리세롤모노올레일에테르, 디카프릴릴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1 종만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에테르유 중에서는, 디카프릴릴에테르가 바람직하다.
상기 탄화수소유로는, 스쿠알란, 스쿠알렌, n-헵탄, n-옥탄, 시클로헥산, 유동 파라핀, 경질 이소파라핀, 유동 이소파라핀 등의 20 ℃ 에서 액상인 탄화수소유 ; 바셀린, 세레신, 파라핀 왁스,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오조케라이트, 수소 첨가 폴리이소부텐, 폴리에틸렌 왁스, 폴리올레핀 왁스 등의 20 ℃ 에서 고체 또는 반고체인 탄화수소유를 들 수 있다. 이들 중 1 종만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탄화수소유 중에서는, 스쿠알란, 유동 파라핀, 경질 이소파라핀, 유동 이소파라핀, 바셀린, 세레신, 파라핀 왁스,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폴리에틸렌 왁스 및 폴리올레핀 왁스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이 바람직하고, 스쿠알란, 유동 파라핀, 및 경질 이소파라핀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상기와 같은 20 ℃ 에서 액상, 고체 또는 반고체인 탄화수소유로는, 대기압에 있어서의 비점이 260 ℃ 이상인 것 및 25 ℃ 에 있어서의 증기압이 0.02 mmHg 이하인 것 중 적어도 어느 조건을 만족하는 탄화수소유가 바람직하고, 25 ℃ 에 있어서의 증기압이 0.01 mmHg 이하인 탄화수소유가 보다 바람직하고, 물보다 증기압이 낮은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고급 알코올로는, 탄소수 12 ∼ 20 의 알코올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세틸알코올, 스테아릴알코올, 이소스테아릴알코올 및 올레일알코올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들 수 있다.
또, 에스테르유나 탄화수소유를 포함하는 동식물유를 다른 유제로서 사용해도 된다. 동식물유로는, 예를 들어, 올리브유, 호호바유, 마카다미아 너트유, 메도우폼유, 피마자유, 홍화유, 해바라기유, 아보카도유, 카놀라유, 살구씨유, 미배아유, 미강유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1 종만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동식물유 중에서는, 올리브유가 바람직하다.
실리콘유로는, 메틸폴리실록산, 메틸페닐폴리실록산,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아미노 변성 실리콘, 카르복시 변성 실리콘, 지방산 에스테르 변성 실리콘, 알코올 변성 실리콘, 에폭시 변성 실리콘, 불소 변성 실리콘, 알킬 변성 실리콘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1 종만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불소유로는, 퍼플루오로데칼린, 퍼플루오로아다만탄, 퍼플루오로부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 퍼플루오로펜탄, 퍼플루오로옥탄, 퍼플루오로노난, 퍼플루오로데칸, 퍼플루오로도데칸,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1 종만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성분 (b)>
성분 (b) 는, 평균 섬유 직경 0.1 ㎛ 이상 7 ㎛ 이하의 섬유이다. 평균 섬유 직경이 0.1 ㎛ 미만인 경우에는, 응집하기 쉬워지고, 또, 평균 섬유 직경이 7 ㎛ 초과인 경우에는, 피막 중에서 네트워크가 형성되지 않아 피막의 균일성이나 햇볕에 탄 불균일 억제 효과가 불충분해진다.
평균 섬유 직경은, 피막의 균일성, 햇볕에 탄 불균일 억제 효과, 응집하기 어려움 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0.2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3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4 ㎛ 이상이고, 또, 피막의 균일성, 햇볕에 탄 불균일 억제 효과, 네트워크 형성 용이성, 자외선 방어 효과 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5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4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0.8 ㎛ 이하이다. 구체적인 범위로는, 0.2 ㎛ 이상 5 ㎛ 이하가 바람직하고, 0.3 ㎛ 이상 4 ㎛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0.4 ㎛ 이상 3 ㎛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0.4 ㎛ 이상 1.5 ㎛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0.4 ㎛ 이상 0.8 ㎛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평균 섬유 직경은, 원칙적으로 섬유의 단면의 직경이다. 즉, 섬유의 단면이 원인 경우에는 직경이지만, 단면이 타원인 경우에는 장경이다.
평균 섬유 직경은, 다음과 같이 하여 구할 수 있다. 즉, SEM 관찰에 의해 2000 배 또는 5000 배로 섬유를 확대하여 관찰하고, 그 이차원 화상으로부터 결함 (예를 들어, 섬유의 덩어리, 섬유의 교차 부분) 을 제외한 섬유를 임의로 100 개 선출하고, 섬유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선을 그어 직접 판독한 섬유 직경의 측정값을 상가 평균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또한, 섬유가 피막 형성 조성물 중에 분산되어 있는 경우에는, 피막 형성 조성물을 기판에 얇게 도포하여 SEM 관찰에 의해 계측한다.
성분 (b) 의 평균 섬유 길이는, 네트워크 형성 용이성, 피막의 균일성, 햇볕에 탄 불균일 억제 효과, 피막의 내구성, 밀착성 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40 ㎛ 이상이고, 또, 응집하기 어려움 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30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50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 ㎛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50 ㎛ 이하이다. 구체적인 범위로는, 1 ㎛ 이상 300 ㎛ 이하가 바람직하고, 3 ㎛ 이상 300 ㎛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20 ㎛ 이상 300 ㎛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25 ㎛ 이상 250 ㎛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30 ㎛ 이상 200 ㎛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40 ㎛ 이상 150 ㎛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평균 섬유 길이는, 다음과 같이 하여 구할 수 있다. 즉, 섬유의 길이에 따라 250 배 내지 750 배로 확대하여 SEM 관찰에 의해 관찰하고, 그 이차원 화상으로부터 결함 (예를 들어, 섬유의 덩어리, 섬유의 교차 부분) 을 제외한 섬유를 임의로 100 개 선출하고, 섬유의 길이 방향으로 선을 그어 직접 판독한 섬유 길이의 측정값을 상가 평균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또한, 섬유가 피막 형성 조성물 중에 분산되어 있는 경우에는, 피막 형성 조성물을 기판에 얇게 도포하여 SEM 관찰에 의해 계측한다.
또, 성분 (b) 의 섬유의 애스펙트비 (평균 섬유 길이/평균 섬유 직경) 는, 피막의 균일성, 햇볕에 탄 불균일 억제 효과 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8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60 이상이고, 또, 피막의 균일성, 햇볕에 탄 불균일 억제 효과, 응집하기 어려움 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30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5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50 이하이다. 구체적인 범위로는, 8 이상 300 이하가 바람직하고, 10 이상 25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5 이상 200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20 이상 150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30 이상 150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60 이상 150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성분 (b) 의 섬유의 애스펙트비 (평균 섬유 길이/평균 섬유 직경) 를 15 이상으로 한 경우에, 자외선 방어 효과, 햇볕에 탄 불균일 억제 효과, 피막의 균일성이 특히 개선된다.
성분 (b) 의 섬유 길이의 CV 값 (변동 계수 : Coefficient of Variation) 은, 네트워크 형성 용이성, 피막의 균일성, 햇볕에 탄 불균일 억제 효과 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40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42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45 % 이상이고, 또, 네트워크 형성 용이성, 피막의 균일성, 햇볕에 탄 불균일 억제 효과, 보존 안정성 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0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95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 이하이다. 구체적인 범위로는, 40 % 이상 100 % 이하가 바람직하고, 42 % 이상 95 %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45 % 이상 90 %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CV 값은, 상기의 측정법에 의하여 얻어진 섬유 길이의 측정값으로부터 (측정한 섬유의 길이의 표준 편차)/(평균 섬유 길이) × 100 [%] 를 산출하여 얻어진 값이다.
성분 (b) 의 섬유는, 네트워크 형성 용이성, 피막의 균일성, 햇볕에 탄 불균일 억제 효과 등의 관점에서, 섬유의 전체 개수에 대한 섬유 길이 40 ㎛ 이상인 섬유의 개수 비율이, 바람직하게는 5 % 이상 10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8 % 이상 100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 이상 100 % 이하이다.
섬유의 상기 개수 비율은, SEM 의 하나의 촬상 화면에 20 ∼ 30 개의 섬유가 들어가도록, 섬유 길이에 따라 SEM 의 배율을 × 200 ∼ × 750 으로 조정하고, 그 상태에서 화면 내에 있는 모든 섬유에 대해 섬유 길이를 측정함으로써, 자의성을 배제하고, 합계 200 개 이상 측정하여 산출한다.
성분 (b) 의 섬유로는, 네트워크 형성 용이성, 피막의 균일성, 햇볕에 탄 불균일 억제 효과 등의 관점에서, 수불용성 폴리머의 섬유가 바람직하다.
여기서,「수불용성 폴리머의 섬유」란, 1 기압 23 ℃ 의 환경하에 있어서, 섬유 1 g 칭량한 후에 탈이온수 10 g 에 침지하고 나서 24 시간 경과 후, 침지한 섬유의 0.5 g 초과가 용해되지 않는 성질을 갖는 것을 말한다.
또, 성분 (b) 의 섬유는, 예를 들어, 다양한 공지된 방사 기술에 의해 섬유 형성성 폴리머로부터 얻어진 섬유를 단섬유화 처리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여기서, 섬유 형성성 폴리머는, 통상적으로 열가소성 또는 용제 가용성의 사슬형 고분자이지만, 열가소성 수지가 바람직하고, 중량 평균 분자량 10000 이상 200000 이하의 열가소성 수지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 섬유 형성성 폴리머로는, 피막 형성 조성물 중에서 섬유의 형상을 유지하기 위해서, 수불용성 폴리머가 바람직하다. 또, 방사법으로는, 섬유 직경이 작은 섬유를 효율적으로 얻기 위해서, 일렉트로스피닝법 (전계 방사법) 이 바람직하다.
수불용성 폴리머로는, 예를 들어, 피막 형성 후에 불용화 처리할 수 있는 완전 비누화 폴리비닐알코올, 가교제와 병용함으로써 피막 형성 후에 가교 처리할 수 있는 부분 비누화 폴리비닐알코올 등의 폴리비닐알코올류 ; 폴리(N-프로파노일에틸렌이민) 그래프트-디메틸실록산/γ-아미노프로필메틸실록산 공중합체 등의 옥사졸린 변성 실리콘 ; 폴리비닐아세탈디에틸아미노아세테이트, 제인 (옥수수 단백질의 주요 성분), 폴리락트산 (PLA), 폴리부틸렌숙시네이트, 폴리글리콜산, 폴리카프로락톤, 폴리하이드록시알칸산 등의 생분해성 수지 ; 폴리락트산 (PLA),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 (메트)아크릴산 또는 그 염 유래의 구조 단위,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유래의 구조 단위, (메트)아크릴로니트릴 유래의 구조 단위, (메트)아크릴아미드 유래의 구조 단위, 및 N-치환 (메트)아크릴아미드 유래의 구조 단위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구조 단위를 함유하는 폴리머 등의 (메트)아크릴계 수지 ; 셀룰로오스, 키틴, 키토산 등의 수불용성 다당류 ; 나일론 등의 폴리아미드 수지 ; 폴리이미드 수지, 폴리아미드이미드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폴리비닐부티랄 수지,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각종 폴리펩티드 (콜라겐, 젤라틴, 피브린, 카세인 등)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수불용성 폴리머는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의 수불용성 폴리머 중에서도, 네트워크 형성 용이성, 피막의 균일성, 햇볕에 탄 불균일 억제 효과 등의 관점에서, 옥사졸린 변성 실리콘, 생분해성 수지 (보다 바람직하게는 폴리비닐아세탈디에틸아미노아세테이트, 제인, 폴리락트산), 폴리에스테르 수지, (메트)아크릴계 수지, 수불용성 다당류, 폴리아미드 수지, 피막 형성 후에 불용화 처리할 수 있는 완전 비누화 폴리비닐알코올, 가교제와 병용함으로써 피막 형성 후에 가교 처리할 수 있는 부분 비누화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부티랄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및 폴리프로필렌 수지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이 바람직하고, 나노파이버의 형성 용이성의 관점에서, 폴리에스테르 수지, (메트)아크릴계 수지, 수불용성 다당류,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비닐부티랄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및 폴리프로필렌 수지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폴리에스테르 수지, (메트)아크릴계 수지, 수불용성 다당류 및 폴리아미드 수지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고,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메트)아크릴계 수지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고, (메트)아크릴계 수지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 (메트)아크릴계 수지로는, (알킬(메트)아크릴아미드/(메트)아크릴산하이드록시알킬/(메트)아크릴산알킬아미노알킬) 코폴리머가 바람직하고, (옥틸(메트)아크릴아미드/(메트)아크릴산하이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산부틸아미노에틸) 코폴리머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 폴리락트산, 폴리부틸렌숙시네이트, 폴리글리콜산, 폴리카프로락톤, 폴리하이드록시알칸산과 같은 생분해성 수지를 사용하는 것도 환경 부하 경감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생분해성」이란, JIS K6953-1 에 준해 측정되는 생분해도가 30 % 이상인 것이다.
또, 셀룰로오스로는, 셀룰로오스 I 형 결정 구조를 갖고, 그 셀룰로오스 섬유에 수식기가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개질 셀룰로오스 섬유가 바람직하다. 또, 수식기는, 그 셀룰로오스 섬유의 일부 혹은 모든 하이드록시기이거나, 또는 글루코오스 유닛의 C6 위치의 기 (-CH2OH) 가 카르복실기로 변환된 그 카르복실기에 결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수식기로는, (a) 탄화수소기, (b) 실리콘 사슬, 및 (c) 알킬렌옥사이드 사슬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수식기가 결합하는 셀룰로오스 섬유로는, 수식기의 결합 용이성의 관점에서, 아니온 변성 셀룰로오스 섬유가 바람직하다.
또, 섬유를 단섬유화 처리하는 수단으로는, 절단, 전단, 파쇄, 분쇄, 해쇄 및 해섬에서 선택되는 처리를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기계식 와류 분쇄기, 해머 크러셔 등의 충격 파쇄기, 제트 밀 등의 제트 분쇄기, 볼 밀, 로드 밀 등의 매체식 분쇄기, 커터 밀 분쇄기, 디스크 밀 분쇄기 등의 건식 분쇄 ; 액체 매체를 사용한 미디어 분쇄기, 미디어리스 분쇄기를 사용한 습식 분쇄기를 들 수 있고, 이들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단섬유화 처리하는 수단으로는, 나노파이버가 교락된 섬유 집합체 (예를 들어, 부직포를 들 수 있지만, 면상체 등의 소정의 두께를 가진 것도 포함된다) 를 제조하고, 당해 섬유 집합체를 적절한 크기로 절단한 후, 기계식 와류 분쇄기, 커터 밀 분쇄기, 디스크 밀 분쇄기, 습식의 고속 전단형 미디어리스 분쇄기, 또는 습식의 고압 전단형 미디어리스 분쇄기를 사용하여 실시하는 단섬유화 처리가 바람직하다.
성분 (b) 의 섬유의 함유량은, 피막 형성 조성물 중 0.5 질량% 이상 10 질량% 이하이다. 성분 (b) 의 섬유의 함유량이 0.5 질량% 미만인 경우에는, 피막 중에서 네트워크가 형성되지 않아 피막의 균일성이나 햇볕에 탄 불균일 억제 효과가 불충분해진다. 또, 성분 (b) 의 섬유의 함유량이 10 질량% 초과인 경우에는, 피막의 균일성이나 햇볕에 탄 불균일 억제 효과가 불충분해진다.
성분 (b) 의 섬유의 함유량은, 네트워크 형성 용이성, 피막의 균일성, 햇볕에 탄 불균일 억제 효과, 자외선 방어 효과 등의 관점에서, 본 발명의 피막 형성 조성물 중, 바람직하게는 0.7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 질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3 질량% 이상이고, 또, 피막의 균일성, 햇볕에 탄 불균일 억제 효과, 자외선 방어 효과, 응집하기 어려움, 사용감 등의 관점에서, 본 발명의 피막 형성 조성물 중, 바람직하게는 9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8.5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8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6 질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5 질량% 이하이다. 구체적인 범위로는, 본 발명의 피막 형성 조성물 중, 0.7 질량% 이상 9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1 질량% 이상 8.5 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2 질량% 이상 8 질량%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3 질량% 이상 6 질량%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3 질량% 이상 5 질량%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피막 형성 조성물 전체 질량에 대한 성분 (b) 의 섬유의 함유량은, 다음과 같이 하여 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성분 (b) 의 섬유가 수불용성 폴리머인 경우에는, 피막 형성 조성물에 포함되는 섬유 중 수불용성 폴리머의 섬유를 회수한다. 이어서, 당해 섬유가 불용인 용제로 세정 후, 여과함으로써 수불용성 폴리머의 섬유만을 얻는다. 성분 (b) 의 섬유가 폴리락트산 등의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섬유인 경우에는, 상기 용제로는 에탄올이 바람직하고, 또, 성분 (b) 의 섬유가 (메트)아크릴계 수지의 섬유인 경우에는, 상기 용제로는 물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여 회수된 수불용성 폴리머의 섬유에 대해 질량을 계측하고, 이하의 식에 의해 성분 (b) 의 섬유의 함유량을 구할 수 있다.
(성분 (b) 의 섬유의 함유량 (질량%)) = (세정 후의 성분 (b) 의 섬유 질량)/(세정 전 조성물 (즉 피막 형성 조성물) 의 질량) × 100
또, 성분 (a) 에 대한 성분 (b) 의 함유 질량비〔(b)/(a)〕는, 피막의 균일성, 햇볕에 탄 불균일 억제 효과, 피막의 내구성, 밀착성 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0.00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2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0.1 이상이고, 또, 피막의 균일성, 햇볕에 탄 불균일 억제 효과, 응집하기 어려움, 비틀림의 발생하기 어려움 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4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4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25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0.2 이하이다. 구체적인 범위로는, 0.005 이상 5 이하가 바람직하고, 0.02 이상 4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0.05 이상 3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0.1 이상 2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0.1 이상 0.4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0.1 이상 0.25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0.1 이상 0.2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피막 형성 조성물은, 성분 (b) 의 (평균 섬유 직경)2/섬유 함유량 (㎛2/질량%) 이, 0.005 이상 7 이하이다. (평균 섬유 직경)2/섬유 함유량 (㎛2/질량%) 이 0.005 미만 또는 7 초과인 경우에는, 피막 중에서 네트워크가 형성되지 않아 피막의 균일성이나 햇볕에 탄 불균일 억제 효과가 불충분해진다.
성분 (b) 의 (평균 섬유 직경)2/섬유 함유량 (㎛2/질량%) 은, 피막의 균일성, 햇볕에 탄 불균일 억제 효과, 응집하기 어려움, 자외선 방어 효과 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0.01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2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03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0.05 이상이고, 또, 피막의 균일성, 햇볕에 탄 불균일 억제 효과, 자외선 방어 효과 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6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4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2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0.1 이하이다. 구체적인 범위로는, 0.01 이상 6 이하가 바람직하고, 0.02 이상 5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0.03 이상 4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0.05 이상 3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0.05 이상 1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0.05 이상 0.5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0.05 이상 0.2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0.05 이상 0.1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섬유 함유량이란, 피막 형성 조성물 전체 질량에 대한 성분 (b) 의 섬유의 함유량 (질량%) 을 의미하고, (평균 섬유 직경)2/섬유 함유량 (㎛2/질량%) 의 값은, 피막 형성 조성물에 포함되는 섬유의 누적 길이의 지표이고, 이 수치가 커질수록 누적 길이가 짧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피막 형성 조성물로는, 네트워크 형성 용이성, 피막의 균일성, 햇볕에 탄 불균일 억제 효과, 사용감 등의 관점에서, 성분 (a) 및 (b) 에 더하여, 추가로 휘발성 성분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휘발성 성분으로는, 물, 알코올, 아미드류, 케톤 및 휘발성 실리콘유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들 수 있지만, 물, 알코올 및 휘발성 실리콘유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이 바람직하다.
알코올로는, 예를 들어, 1 가의 사슬형 지방족 알코올, 1 가의 고리형 지방족 알코올, 1 가의 방향족 알코올을 들 수 있다.
1 가의 사슬형 지방족 알코올의 탄소수로는 1 ∼ 6 이 바람직하고, 1 가의 고리형 지방족 알코올의 탄소수로는 4 ∼ 6 이 바람직하고, 1 가의 방향족 알코올로는 벤질알코올, 페닐에틸알코올이 바람직하다.
알코올의 바람직한 구체예로는, 에탄올, n-프로판올, 이소프로필알코올, 부틸알코올, n-펜탄올, 페닐에틸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도, 안전성의 관점에서, 에탄올이 바람직하다. 또한, 알코올은, 1 종만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휘발성 실리콘유로는, 예를 들어, 휘발성 메틸폴리실록산, 휘발성 고리형 실리콘을 들 수 있다.
휘발성 성분의 함유량은, 사용감 등의 관점에서, 본 발명의 피막 형성 조성물 중, 바람직하게는 20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45 질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50 질량% 이상이고, 또, 피막의 균일성, 햇볕에 탄 불균일 억제 효과, 자외선 방어 효과 등의 관점에서, 본 발명의 피막 형성 조성물 중, 바람직하게는 99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95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질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85 질량% 이하이다. 구체적인 범위로는, 본 발명의 피막 형성 조성물 중, 20 질량% 이상 99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30 질량% 이상 95 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45 질량% 이상 90 질량%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50 질량% 이상 85 질량%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피막 형성 조성물은, 상기 각 성분 외에, 분체, 계면 활성제, 유화 안정제, 20 ℃ 에서 액체인 폴리올, 수용성 폴리머, 방부제, pH 조정제, 보습제, 청량제, 아미노산, 향료, 금속 봉쇄제 등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이들 중 1 종만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분체는, 자외선 산란제, 자외선 산란제 이외의 분체 (예를 들어, 유기 분체, 무기 분체, 유기 무기 복합 분체) 로 대별된다. 이들 중 1 종만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분체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구상, 판상, 봉상, 방추상, 침상, 부정형상 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 산란제로는, 소수화 처리 자외선 산란제가 바람직하고, 소수화 처리 미립자 금속 산화물이 보다 바람직하다.
소수화 처리 미립자 금속 산화물에 사용하는 미립자 금속 산화물로는, 입수 용이성의 관점에서, 산화아연, 산화티탄, 산화세륨, 산화철 및 산화크롬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미립자 금속 산화물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의 미립자 금속 산화물에, + 2 가 이상의 미량 원소를 함유시킬 수 있고, 철, 지르코늄, 칼슘, 망간, 마그네슘, 이트륨 등의 금속을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미립자 금속 산화물에 함유시킬 수 있다.
계면 활성제로는, 비이온 계면 활성제, 아니온 계면 활성제, 카티온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폴리옥시에틸렌·메틸폴리실록산 공중합체, 폴리(옥시에틸렌·옥시프로필렌)메틸폴리실록산 공중합체, 가교형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가교형 알킬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세틸디메티콘코폴리올, 모노스테아르산프로필렌글리콜, 모노올레산소르비탄, 스테아르산글리세릴,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소르비탄세스퀴올레이트, 모노스테아르산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모노올레산디글리세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계면 활성제 중 1 종만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계면 활성제의 함유량은, 본 발명의 피막 형성 조성물 중, 0 질량% 이상 10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0.01 질량% 이상 7.5 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0.05 질량% 이상 5 질량%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0.1 질량% 이상 3 질량%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20 ℃ 에서 액체인 폴리올로는, 예를 들어,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1,3-프로판디올, 1,3-부탄디올 등의 알킬렌글리콜류 ; 디에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바람직하게는 중량 평균 분자량 2000 이하의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등의 폴리알킬렌글리콜류 ;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트리글리세린 등의 글리세린류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1 종만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이것들 중에서는,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1,3-부탄디올, 디프로필렌글리콜, 중량 평균 분자량이 2000 이하인 폴리에틸렌글리콜, 글리세린, 디글리세린이 바람직하고, 프로필렌글리콜, 1,3-부탄디올, 중량 평균 분자량이 2000 이하인 폴리에틸렌글리콜, 글리세린이 보다 바람직하다.
수용성 폴리머로는, 예를 들어, 카르보머, (아크릴레이트/아크릴산알킬 (C10-30)) 크로스 폴리머, (아크릴산 Na/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린 Na) 코폴리머, (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린암모늄/메타크릴산베헤네스-25) 크로스 폴리머, (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린암모늄/VP) 코폴리머, (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린암모늄/아크릴산카르복시에틸암모늄) 크로스 폴리머, (VA/크로톤산) 코폴리머, (아크릴레이트/메타크릴산스테아레스-20) 코폴리머, (아크릴레이트/메타크릴산베헤네스-25) 코폴리머,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 (아크릴레이트/네오데칸산비닐)크로스 폴리머, (PEG-150/데실알코올/SMDI) 코폴리머, (PEG-150/스테아릴알코올/SMDI) 코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1 종만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수용성 폴리머의 함유량은, 본 발명의 피막 형성 조성물 중, 0 질량% 이상 10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0.001 질량% 이상 5 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0.005 질량% 이상 3 질량%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0.01 질량% 이상 1 질량%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방부제로는, 예를 들어, 페녹시에탄올, 파라옥시벤조산메틸, 파라옥시벤조산에틸, 파라옥시벤조산프로필, 파라옥시벤조산이소프로필, 파라옥시벤조산부틸, 파라옥시벤조산이소부틸, 파라옥시벤조산벤질, 파라아미노벤조산에틸, 에틸헥산디올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1 종만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본 발명의 피막 형성 조성물은,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성분을 필요에 따라 가열하여 혼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피막 형성 조성물은, 피부에 도포되어 건조된 경우에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는 불휘발성 유분이 도포부에 확산되어 가 균일성이 높은 피막을 형성하여, 자외선 방어 효과가 우수하고 또한 불균일한 도포를 실시한 경우에도 햇볕에 탄 불균일이 발생하기 어렵다. 또, 피부에 대한 적용 조작도 간편하여, 광범위하게 적용하기 쉬운 것이다.
불균일한 도포를 실시한 경우에도 햇볕에 탄 불균일이 발생하기 어렵다는 효과가 얻어지는 이유는, 본 발명의 피막 형성 조성물이 피부에 도포되었을 때에 성분 (b) 의 섬유가 피부에 균일하게 부착되어 건조시에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또한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는 불휘발성 유분이 성분 (b) 의 섬유를 통하여 확산되어 가 균일성이 높은 피막을 형성하기 때문이라고, 본 발명자들은 추찰한다.
또한, 피막 중에서 섬유가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는지의 여부는 주사형 전자 현미경 (SEM) 에 의해 확인할 수 있다. 또, 네트워크란, 피막 중에 분산된 섬유끼리가 서로 교점을 가짐으로써, 섬유 사이에 간극을 가지도록 한 상태이고, 피막 형성 조성물에 함유되는 성분을 그 간극에 유지할 수 있는 상태이다. 섬유끼리의 교점은, 예를 들어, 하나의 섬유가 다른 2 이상의 섬유와 2 이상의 교점을 갖고, 서로 관련되어 있는 상태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피막 형성 조성물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액상, 고형상, 반고형상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유액, 페이스트, 크림제, 젤제, 로션제, 투명액제, 스프레이제 (에어로졸형, 논에어로졸형), 폼제 (에어로졸형, 논에어로졸형), 고형 제제, 반고형 제제 등이어도 되고, 또, 본 발명의 피막 형성 조성물을 함침액으로서 시트 기제에 함침시킨 시트제여도 된다.
또, 본 발명의 피막 형성 조성물로는, 유화 조성물 (구체적으로는,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 유중수형 유화 조성물), 다층 분리형 조성물, 유성 조성물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막 형성 조성물은, 화장료로서 사용하는 데에 적합하고, 자외선 차단제로서 사용하는 데에 특별히 적합하다. 또, 본 발명의 피막 형성 조성물은, 피부 화장료로서의 사용에 적합하고, 두피를 제외한 피부에 도포하여 사용하는 데에 보다 적합하고, 얼굴, 신체 및 손발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에 도포하여 사용하는 데에 더욱 적합하다.
또, 본 발명의 피막 형성 조성물의 피부에 대한 적용 수단으로는, 손가락에 의한 도포, 스프레이에 의한 도포, 롤러나 스펀지 등의 기구를 사용한 도포, 스틱상 고형 화장료의 도포 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형성되는 본 발명의 피막의 두께는, 도포량에 따라 다르기도 하지만 통상적인 사용 범위 (도포 평량 1 mg/㎠ 이상 3 mg/㎠ 이하) 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0.3 ㎛ 이상 30 ㎛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 이상 20 ㎛ 이하이다. 피막의 두께는, 피막 형성 조성물을 PET 제 기판에 도포한 후, 접촉식 막후계 (주식회사 미츠토요 제조 라이트매틱 VL-50A) 로 측정하면 된다.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 관하여, 본 발명은 더욱 이하의 피막 형성 조성물 등을 개시한다.
<1> 다음의 성분 (a) 및 (b) :
(a)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는 불휘발성 유분 ;
(b) 평균 섬유 직경 0.1 ㎛ 이상 7 ㎛ 이하의 섬유 피막 형성 조성물 중 0.5 질량% 이상 10 질량% 이하 ;
를 함유하고, (평균 섬유 직경)2/섬유 함유량 (㎛2/질량%) 이, 0.005 이상 7 이하인, 피막 형성 조성물.
<2> 성분 (a) 가, 바람직하게는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는 불휘발성 액상 유분인, <1> 에 기재된 피막 형성 조성물.
<3> 성분 (a) 의 함유량이, 피막 형성 조성물 중, 바람직하게는 0.5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5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7.5 질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질량% 이상이고, 또, 피막 형성 조성물 중, 바람직하게는 90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65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45 질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40 질량% 이하인, <1> 또는 <2> 에 기재된 피막 형성 조성물.
<4> 성분 (a) 의 함유량이, 피막 형성 조성물 중, 바람직하게는 0.5 질량% 이상 90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질량% 이상 65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 질량% 이상 45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7.5 질량% 이상 45 질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질량% 이상 40 질량% 이하인, <1> 또는 <2> 에 기재된 피막 형성 조성물.
<5> 자외선 흡수제의 함유량이, 피막 형성 조성물 중, 바람직하게는 0.1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 질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7 질량% 이상이고, 또, 피막 형성 조성물 중, 바람직하게는 55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45 질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40 질량% 이하인, <1> ∼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피막 형성 조성물.
<6> 자외선 흡수제의 함유량이, 피막 형성 조성물 중, 바람직하게는 0.1 질량% 이상 55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 질량% 이상 50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 질량% 이상 45 질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7 질량% 이상 40 질량% 이하인, <1> ∼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피막 형성 조성물.
<7> 상기 불휘발성 유분의 합계에 대한 상기 자외선 흡수제의 함유 질량비가, 바람직하게는 0.1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3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0.7 이상이고, 또, 바람직하게는 1 이하인, <1> ∼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피막 형성 조성물.
<8> 상기 불휘발성 유분의 합계에 대한 상기 자외선 흡수제의 함유 질량비가, 바람직하게는 0.1 이상 1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3 이상 1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이상 1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0.7 이상 1 이하인, <1> ∼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피막 형성 조성물.
<9> 자외선 흡수제가, 바람직하게는 벤조산계 자외선 흡수제, 안트라닐산계 자외선 흡수제, 살리실산계 자외선 흡수제, 계피산계 자외선 흡수제, 벤조일메탄계 자외선 흡수제, 트리아진계 자외선 흡수제, 벤조페논계 자외선 흡수제, 및 히단토인계 자외선 흡수제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벤조산계 자외선 흡수제, 계피산계 자외선 흡수제 및 트리아진계 자외선 흡수제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파라아미노벤조산, 글리세릴파라아미노벤조산, 에틸디하이드록시프로필파라아미노벤조산, 옥틸디메틸파라아미노벤조산, 파라디메틸아미노벤조산아밀, 디에틸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벤조산헥실, 파라메톡시계피산2-에틸헥실, 디파라메톡시계피산모노2-에틸헥산산글리세릴, 2,5-디이소프로필계피산메틸, 트리메톡시계피산메틸비스(트리메틸실록시)실릴이소펜틸, 파라메톡시계피산이소프로필, 파라메톡시계피산이소프로필·디이소프로필계피산에스테르 혼합물, 파라메톡시계피산2-에톡시에틸, 파라메톡시계피산디에탄올아민염, 2,4,6-트리스[4-(2-에틸헥실옥시카르보닐)아닐리노]-1,3,5-트리아진, 및 2,4-비스-[{4-(2-에틸헥실옥시)-2-하이드록시}-페닐]-6-(4-메톡시페닐)-1,3,5-트리아진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인, <1> ∼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피막 형성 조성물.
<10> 추가로, 유용성 자외선 흡수제 이외의 불휘발성 유제를 함유하는, <1> ∼ <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피막 형성 조성물.
<11> 유용성 자외선 흡수제 이외의 불휘발성 유제가, 바람직하게는 에스테르유, 에테르유, 탄화수소유, 고급 알코올, 실리콘유 및 불소유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유제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에스테르유, 에테르유, 탄화수소유 및 고급 알코올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유제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에스테르유, 에테르유 및 탄화수소유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유제인, <10> 에 기재된 피막 형성 조성물.
<12> 에스테르유가, 바람직하게는 미리스트산옥틸도데실, 미리스트산미리스틸, 스테아르산이소세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세테아릴이소노나노에이트, 아디프산디이소부틸, 세바크산디2-에틸헥실, 미리스트산이소프로필, 팔미트산이소프로필, 말산디이소스테아릴, 디카프르산네오펜틸글리콜, 벤조산 (탄소수 12 ∼ 15) 알킬, 및 트리(카프릴산·카프르산)글리세린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미리스트산이소프로필, 팔미트산이소프로필, 말산디이소스테아릴, 디카프르산네오펜틸글리콜, 벤조산 (탄소수 12 ∼ 15) 알킬, 및 트리(카프릴산·카프르산)글리세린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미리스트산이소프로필, 디카프르산네오펜틸글리콜, 벤조산 (탄소수 12 ∼ 15) 알킬, 및 트리(카프릴산·카프르산)글리세린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디카프르산네오펜틸글리콜 및 벤조산 (탄소수 12 ∼ 15) 알킬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인, <11> 에 기재된 피막 형성 조성물.
<13> 유용성 자외선 흡수제 이외의 불휘발성 유제가, 바람직하게는 IOB 값 0 초과 0.6 이하의 불휘발성 유제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IOB 값 0.05 이상 0.3 이하의 불휘발성 유제인, <10> 에 기재된 피막 형성 조성물.
<14> 성분 (b) 의 평균 섬유 직경이, 바람직하게는 0.2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3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4 ㎛ 이상이고, 또, 바람직하게는 5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4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0.8 ㎛ 이하인, <1> ∼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피막 형성 조성물.
<15> 성분 (b) 의 평균 섬유 직경이, 바람직하게는 0.2 ㎛ 이상 5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3 ㎛ 이상 4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4 ㎛ 이상 3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4 ㎛ 이상 1.5 ㎛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0.4 ㎛ 이상 0.8 ㎛ 이하인, <1> ∼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피막 형성 조성물.
<16> 성분 (b) 의 평균 섬유 길이가, 바람직하게는 1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40 ㎛ 이상이고, 또, 바람직하게는 30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50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 ㎛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50 ㎛ 이하인, <1> ∼ <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피막 형성 조성물.
<17> 성분 (b) 의 평균 섬유 길이가, 바람직하게는 1 ㎛ 이상 30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 ㎛ 이상 300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 이상 300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 이상 250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 이상 200 ㎛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40 ㎛ 이상 150 ㎛ 이하인, <1> ∼ <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피막 형성 조성물.
<18> 성분 (b) 의 섬유의 애스펙트비 (평균 섬유 길이/평균 섬유 직경) 가, 바람직하게는 8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60 이상이고, 또, 바람직하게는 30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5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50 이하인, <1> ∼ <1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피막 형성 조성물.
<19> 성분 (b) 가, 바람직하게는 수불용성 폴리머의 섬유인, <1> ∼ <1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피막 형성 조성물.
<20> 수불용성 폴리머가, 바람직하게는 피막 형성 후에 불용화 처리할 수 있는 완전 비누화 폴리비닐알코올, 가교제와 병용함으로써 피막 형성 후에 가교 처리할 수 있는 부분 비누화 폴리비닐알코올 등의 폴리비닐알코올류, 폴리(N-프로파노일에틸렌이민) 그래프트-디메틸실록산/γ-아미노프로필메틸실록산 공중합체, 폴리비닐아세탈디에틸아미노아세테이트, 제인 (옥수수 단백질의 주요 성분), 폴리락트산 (PLA), 폴리부틸렌숙시네이트, 폴리글리콜산, 폴리카프로락톤, 폴리하이드록시알칸산, 폴리락트산 (PLA),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메트)아크릴산 또는 그 염 유래의 구조 단위,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유래의 구조 단위, (메트)아크릴로니트릴 유래의 구조 단위, (메트)아크릴아미드 유래의 구조 단위, 및 N-치환 (메트)아크릴아미드 유래의 구조 단위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구조 단위를 함유하는 폴리머, 셀룰로오스, 키틴, 키토산, 나일론, 폴리이미드 수지, 폴리아미드이미드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폴리비닐부티랄 수지,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그리고 각종 폴리펩티드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인, <19> 에 기재된 피막 형성 조성물.
<21> 수불용성 폴리머가, 바람직하게는 옥사졸린 변성 실리콘, 생분해성 수지 (보다 바람직하게는 폴리비닐아세탈디에틸아미노아세테이트, 제인, 폴리락트산), 폴리에스테르 수지, (메트)아크릴계 수지, 수불용성 다당류, 폴리아미드 수지, 피막 형성 후에 불용화 처리할 수 있는 완전 비누화 폴리비닐알코올, 가교제와 병용함으로써 피막 형성 후에 가교 처리할 수 있는 부분 비누화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부티랄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및 폴리프로필렌 수지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메트)아크릴계 수지, 수불용성 다당류,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비닐부티랄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및 폴리프로필렌 수지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메트)아크릴계 수지, 수불용성 다당류 및 폴리아미드 수지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메트)아크릴계 수지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메트)아크릴계 수지인, <19> 에 기재된 피막 형성 조성물.
<22> (메트)아크릴계 수지가, 바람직하게는 (알킬(메트)아크릴아미드/(메트)아크릴산하이드록시알킬/(메트)아크릴산알킬아미노알킬) 코폴리머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옥틸(메트)아크릴아미드/(메트)아크릴산하이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산부틸아미노에틸) 코폴리머인, <21> 에 기재된 피막 형성 조성물.
<23> 성분 (b) 의 섬유의 함유량이, 피막 형성 조성물 중, 바람직하게는 0.7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 질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3 질량% 이상이고, 또, 피막 형성 조성물 중, 바람직하게는 9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8.5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8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6 질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5 질량% 이하인, <1> ∼ <2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피막 형성 조성물.
<24> 성분 (b) 의 섬유의 함유량이, 피막 형성 조성물 중, 바람직하게는 0.7 질량% 이상 9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 질량% 이상 8.5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 질량% 이상 8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 질량% 이상 6 질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3 질량% 이상 5 질량% 이하인, <1> ∼ <2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피막 형성 조성물.
<25> 성분 (a) 에 대한 성분 (b) 의 함유 질량비〔(b)/(a)〕가, 바람직하게는 0.00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2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0.1 이상이고, 또, 바람직하게는 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4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4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25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0.2 이하인, <1> ∼ <2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피막 형성 조성물.
<26> 성분 (a) 에 대한 성분 (b) 의 함유 질량비〔(b)/(a)〕가, 바람직하게는 0.005 이상 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02 이상 4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 이상 3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이상 2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이상 0.4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이상 0.25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0.1 이상 0.2 이하인, <1> ∼ <2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피막 형성 조성물.
<27> 성분 (b) 의 (평균 섬유 직경)2/섬유 함유량 (㎛2/질량%) 이, 바람직하게는 0.01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2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03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0.05 이상이고, 또, 바람직하게는 6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4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2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0.1 이하인, <1> ∼ <2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피막 형성 조성물.
<28> 성분 (b) 의 (평균 섬유 직경)2/섬유 함유량 (㎛2/질량%) 이, 바람직하게는 0.01 이상 6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02 이상 5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03 이상 4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 이상 3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 이상 1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 이상 0.5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 이상 0.2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0.05 이상 0.1 이하인, <1> ∼ <2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피막 형성 조성물.
<29> 성분 (b) 의 (평균 섬유 직경)2/섬유 함유량 (㎛2/질량%) 이, 0.02 이상 0.5 이하이고, 성분 (b) 의 섬유의 애스펙트비 (평균 섬유 길이/평균 섬유 직경) 가, 15 이상이고, 또한 자외선 흡수제의 함유량이, 피막 형성 조성물 중 7 질량% 이상인, <1> ∼ <2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피막 형성 조성물.
<30> 성분 (b) 의 (평균 섬유 직경)2/섬유 함유량 (㎛2/질량%) 이, 0.02 이상 0.5 이하이고, 성분 (b) 의 섬유의 애스펙트비 (평균 섬유 길이/평균 섬유 직경) 가, 15 이상이고, 또한 상기 불휘발성 유분의 합계에 대한 상기 자외선 흡수제의 함유 질량비가, 0.5 이상인, <1> ∼ <2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피막 형성 조성물.
<31> 추가로, 휘발성 성분을 함유하는, <1> ∼ <3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피막 형성 조성물.
<32> 휘발성 성분이, 바람직하게는 물, 알코올, 아미드류, 케톤 및 휘발성 실리콘유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물, 알코올 및 휘발성 실리콘유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인, <31> 에 기재된 피막 형성 조성물.
<33> 휘발성 성분의 함유량이, 피막 형성 조성물 중, 바람직하게는 20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45 질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50 질량% 이상이고, 또, 피막 형성 조성물 중, 바람직하게는 99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95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질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85 질량% 이하인, <31> 또는 <32> 에 기재된 피막 형성 조성물.
<34> 추가로, 분체, 계면 활성제, 유화 안정제, 20 ℃ 에서 액체인 폴리올, 수용성 폴리머, 방부제, pH 조정제, 보습제, 청량제, 아미노산, 향료, 및 금속 봉쇄제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함유하는, <1> ∼ <3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피막 형성 조성물.
<35> 바람직하게는 액상, 고형상 또는 반고형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유액, 페이스트, 크림제, 젤제, 로션제, 투명액제, 스프레이제 (에어로졸형, 논에어로졸형), 폼제 (에어로졸형, 논에어로졸형), 고형 제제, 또는 반고형 제제인, <1> ∼ <3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피막 형성 조성물.
<36> 바람직하게는 피부 화장료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두피를 제외한 피부에 도포하여 사용하는 화장료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얼굴, 신체 및 손발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에 도포하여 사용하는 화장료인, <1> ∼ <3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피막 형성 조성물.
<37> 바람직하게는 화장료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자외선 차단제인, <1> ∼ <3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피막 형성 조성물.
<38> <1> ∼ <3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피막 형성 조성물을 피부에 적용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피부 표면 상에 있어서의 피막의 제조 방법.
<39> <1> ∼ <3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피막 형성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막.
<40> 도포 평량 1 mg/㎠ 이상 3 mg/㎠ 이하에 있어서의 피막의 두께가, 바람직하게는 0.3 ㎛ 이상 30 ㎛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 이상 20 ㎛ 이하인, <39> 에 기재된 피막.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섬유의 평균 섬유 직경과 평균 섬유 길이의 측정 방법은 이하와 같다.
(평균 섬유 직경의 측정 방법)
SEM 관찰에 의해 2000 배 또는 5000 배로 섬유를 확대하여 관찰하고, 그 이차원 화상으로부터 결함 (예를 들어, 섬유의 덩어리, 섬유의 교차 부분) 을 제외한 섬유를 임의로 100 개 선출하고, 섬유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선을 그어 직접 판독한 섬유 직경의 측정값을 상가 평균함으로써, 평균 섬유 직경을 구하였다.
(평균 섬유 길이의 측정 방법)
섬유의 길이에 따라 250 배 내지 750 배로 확대하여 SEM 관찰에 의해 관찰하고, 그 이차원 화상으로부터 결함 (예를 들어, 섬유의 덩어리, 섬유의 교차 부분) 을 제외한 섬유를 임의로 100 개 선출하고, 섬유의 길이 방향으로 선을 그어 직접 판독한 섬유 길이의 측정값을 상가 평균함으로써, 평균 섬유 길이를 구하였다.
(아니온 변성 셀룰로오스 섬유의 아니온성기 함유량의 측정 방법)
측정 대상인 셀룰로오스 섬유 0.5 g (건조 질량) 을 비커에 취하고, 탈이온수 또는 메탄올/물 = 2/1 (체적비) 의 혼합 용매를 첨가하여 전체로 55 mL 로 하고, 여기에 0.01 M 염화나트륨 수용액 5 mL 를 첨가함으로써 분산액을 조제하였다. 셀룰로오스 섬유가 충분히 분산될 때까지 분산액을 교반하였다. 이 분산액에 0.1 M 염산을 첨가하여 pH 를 2.5 ∼ 3 으로 조정한 후, 자동 적정 장치 (토아 DKK 사 제조, 상품명「AUT-701」) 를 사용하여, 0.05 M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대기 시간 60 초의 조건으로 상기 분산액에 적하하고, 1 분마다의 전도도 및 pH 의 값을 측정하였다. pH 11 정도가 될 때까지 측정을 계속하여, 전도도 곡선을 얻었다. 이 전도도 곡선으로부터, 수산화나트륨 적정량을 구하고, 측정 대상인 셀룰로오스 섬유의 아니온성기 함유량을 다음 식에 의해 산출하였다.
아니온성기 함유량 (mmol/g) =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적정량 (mL) ×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농도 (0.05 M)]/[측정 대상인 셀룰로오스 섬유의 질량 (0.5 g)]
(아니온성기에 결합한 금속 이온량의 측정 방법)
건조시킨 아니온 변성 셀룰로오스 섬유 약 1 g 과, 탈이온수 100 g 을 혼합하고, 20 ℃ 에서 1 시간 교반 (100 rpm) 한 후, 여과지 (No.5) 를 사용하여 여과하였다. 이 세정 조작을 합계 3 회 실시하였다. 세정 후의 아니온 변성 셀룰로오스 섬유를 동결 건조시켜 칭량하고, 재화하고, 염산에 용해시켜, ICP 발광 분광 분석 장치 (서모 피셔·사이언티픽사 제조 iCAP 6500Duo) 를 사용하여, 유도 결합 플라즈마 발광 분석법 (ICP-AES) 으로 금속 이온량을 측정하였다.
〔제조예 A1 단섬유 (성분 (b)) 의 제조〕
(1) 표 2 의 아크릴 수지 ((옥틸아크릴아미드/아크릴산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크릴산부틸아미노에틸) 코폴리머) 를 에탄올에 용해하여, 18 질량% 의 용액을 얻었다. 이 용액을 사용하여 도 1 에 나타내는 장치로 일렉트로스피닝법에 의해, 콜렉터의 표면에 나노파이버 시트를 형성시켰다. 나노파이버의 제조 조건은 다음과 같다.
·인가 전압 : 30 ㎸
·캐필러리-콜렉터 사이 거리 : 150 ㎜
·용액 토출량 : 12 mL/hour
·환경 : 25 ℃, 30 %RH
(2) 얻어진 나노파이버 시트를 적당한 크기로 절단한 후에, 교반 시스템 (프라이믹스 주식회사 제조, 라볼루션 (등록상표)) 에 디스퍼 날개를 장착하고, 회전수 5000 rpm 으로 30 분간 분쇄하여, 섬유를 얻었다.
〔제조예 A2 ∼ A3 단섬유 (성분 (b)) 의 제조〕
표 1 에 기재된 폴리머 농도, 회전수, 전단 시간으로 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A1 과 동일하게 하여 섬유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B1 단섬유의 제조〕
표 1 에 기재된 폴리머 농도, 회전수, 전단 시간으로 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A1 과 동일하게 하여 섬유를 제조하였다.
Figure pct00001
〔제조예 A4 단섬유 (성분 (b)) 의 제조〕
(1) 표 2 의 에스테르 수지 (폴리락트산) 를, 클로로포름과 디메틸포름아미드 (질량비 80 : 20) 의 혼액에 용해하여, 10 질량% 의 용액을 얻었다. 이 용액을 사용하여, 도 1 에 나타내는 장치로 일렉트로스피닝법에 의해, 콜렉터의 표면에 나노파이버 시트를 형성시켰다. 나노파이버의 제조 조건은 다음과 같다.
·인가 전압 : 30 ㎸
·캐필러리-콜렉터 사이 거리 : 150 ㎜
·용액 토출량 : 12 mL/hour
·환경 : 25 ℃, 30 %RH
(2) 얻어진 나노파이버 시트를 분산 장치 (타이헤이요 기공 주식회사 제조, 마일더) 에 투입하고, 회전수 13500 rpm, 순환 라인 순환수 8 회의 조건으로 전단하여, 섬유를 얻었다.
〔제조예 B2 단섬유의 제조〕
폴리머 농도를 20 질량% 로, 회전수를 13500 rpm 으로, 순환수를 16 회로, 각각 변경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A4 와 동일하게 하여 섬유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 ∼ 12 및 비교예 1 ∼ 4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
(제조 방법)
제조예 A1 ∼ A4 및 B1 ∼ B2 에서 얻어진 섬유를 사용하여, 표 2 ∼ 4 에 나타내는 처방에 따라 배합하여,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로 하였다. 또한, 얻어진 섬유의 특성을 표 2 ∼ 4 에 나타낸다.
(측정 방법 및 평가 방법)
(1) 네트워크 형성성
상기에서 얻어진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을 인공 피혁에 2 mg/㎠ 로 도포하여 피막을 형성시켰다. 형성된 피막에 대하여, 네트워크 형성의 유무를 SEM (JEOL 제조 JSM-IT500, 배율 : 500 배) 에 의해 평가하였다. 네트워크 형성의 평가는, 섬유가 다른 섬유와 2 개 지점 이상의 교점을 갖고, 섬유에 둘러싸인 간극이 존재하는 상태를 전체에 확인할 수 있는 경우를 네트워크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평가를 하고, 표 중에「○」 로 기재하였다. 섬유에 둘러싸인 간극이 존재하는 상태를 거의 확인할 수 없는 경우에는, 네트워크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평가를 하고, 표 중에「×」로 기재하였다.
결과를 표 2 ∼ 4 에 나타낸다. 또,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네트워크의 형성 유무를 판단하는 기준으로 한, 네트워크 형성 있음의 참고 SEM 화상을 도 2 에, 네트워크 형성 없음의 참고 SEM 화상을 도 3 에, 각각 나타낸다.
(2) 피막 균일성
상기에서 얻어진 조성물을 PMMA 플레이트 (Helioscreen 사 제조, HELIOPLATE HD) 에 2 mg/㎠ 로 도포하여 피막을 형성시켰다. 도포로부터 15 분간 경과 후에 자외선 (310 ㎚) 도막 화상의 흡광도에 있어서의 CV 값을 측정하고, 이 CV 값으로부터 피막의 균일성을, 이하의 기준으로 4 단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2 ∼ 4 에 나타낸다.
또, 실시예 2 의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의 도포 직후의 도막의 상태를 도 4 에, 도포로부터 15 분간 경과 후의 피막의 상태를 도 5 에, 각각 나타낸다. 도 4 ∼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2 의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은,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는 불휘발성 유분이 경시적으로 도포부에 확산되어 가 균일성이 높아지는 것이었다.
(피막 균일성의 평가 기준)
4 : CV 값이 0 % 이상 20 % 미만
3 : CV 값이 20 % 이상 30 % 미만
2 : CV 값이 30 % 이상 40 % 미만
1 : CV 값이 40 % 이상
(3) 자외선 방어 효과 (in vitro SPF)
상기에서 얻어진 조성물을 PMMA 플레이트 (Helioscreen 사 제조, HELIOPLATE HD) 에 2 mg/㎠ 로 도포하여 피막을 형성시켰다. 도포로부터 15 분간 경과 후에, SPF 애널라이저 (Labsphere 사 제조, UV-2000S) 에 의해 in vitro SPF 를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2 ∼ 4 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표 중의 기호는, 각각 이하를 나타낸다.
*1 : AMPHOMER 28-4910 (아크조노벨사 제조)
*2 : Ingeo6252D (Natureworks 사 제조)
*3 : Uvinul MC80 (BASF 사 제조)
*4 : Uvinul A Plus (BASF 사 제조)
*5 : TINOSORB S (BASF 사 제조)
*6 : Uvinul T-150 (BASF 사 제조)
*7 : Finsolv TN-O (Innospec Performance Chemicals 사 제조)
*8 : PEMULEN TR-1 (Lubrizol Advanced Materials, Inc. 사 제조)
〔제조예 A5 단섬유 (성분 (b)) 의 제조〕
천연 셀룰로오스로서 침엽수의 표백 크라프트 펄프 (웨스트 프레이저사 제조, 상품명 : 힌톤) 10 g 을 이온 교환수 990 g 중에서 충분히 교반한 후, 이 펄프 10 g 에 대해, 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1-옥실 (ALDRICH 사 제조, 98 질량%) 0.13 g, 브롬화나트륨 1.3 g, 차아염소산나트륨 수용액 (10.5 질량% 수용액) 27 g 을 이 순서로 첨가하였다. 반응 종료 후, 세정 및 pH 조정을 실시하였다.
이 때, 자동 적정 장치 (토아 DKK 주식회사 제조, AUT-701) 로 pH 스태트 적정을 사용하여, 0.5 M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적하하여 pH 를 10.5 로 유지하였다. 20 ℃, 교반 속도 200 rpm 으로 반응을 120 분간 실시한 후, 이온 교환수로 충분히 세정하고, 이어서 탈수 처리를 실시하여, 고형분 44.6 % 의 아니온 변성 셀룰로오스 섬유를 얻었다. 얻어진 아니온 변성 셀룰로오스 섬유의 아니온성기는 카르복실기이고, 카르복실기 함유량은 1.0 mmol/g 이었다.
상기에서 얻어진 아니온 변성 셀룰로오스 섬유 10.0 g (절건 질량) 및 이온 교환수 987.6 g 을 혼합한 후, 고압 호모게나이저 (요시다 기계 흥업 주식회사 제조, 나노베이타 L-ES) 를 사용하여 미세화 처리를 실시하여, 아니온성기로서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미세 셀룰로오스 섬유 분산액을 얻었다. 얻어진 미세 셀룰로오스 섬유 분산액의 고형분 농도는 1.0 질량% 이고, 미세 셀룰로오스 섬유의 평균 섬유 직경은 0.17 ㎛, 평균 섬유 길이는 3 ㎛ 였다.
얻어진 분산액에 대하여, 고속 냉각 원심기 (주식회사 히타치 제작소사 제조, CR21G III) 를 사용하여 10,000 G, 20 분간의 조건으로 고액 분리 처리를 실시하였다. 얻어진 침전물을 회수하고, 아니온 변성 미세 셀룰로오스 섬유의 분산체 (고형분 농도 12.0 질량%) 를 얻었다.
〔제조예 A6 단섬유 (성분 (b)) 의 제조〕
카르복시메틸화셀룰로오스 섬유 (닛폰 제지사 제조, SLD-F1, 아니온성기 함유량 1.7 mmol/g) 10.0 g 및 1 M 염산 수용액 300.0 g 을 혼합하고, 얻어진 혼합물을 1 시간 교반 후, 여과지로 고형분을 여과 분리하였다. 여과지 상에 유지된 고형분의 위에서부터 탈이온수를 첨가하여, 고형분을 세정하였다. 세정은, 전기 전도율계 (호리바 제작소사 제조, LAQUAtwin EC-33B) 에 의해, 여과액의 전기 전도도가 20 μS/㎝ 이하가 된 것을 확인하고 종료하였다. 세정 종료 후, 여과액의 유출이 정지될 때까지 정치하고, 셀룰로오스 섬유의 아니온성기에 대해 염형 아니온성기가 0 % 인 카르복시메틸화셀룰로오스 섬유를 얻었다. 얻어진 섬유의 고형분 함유량은 73 질량% 였다.
상기에서 얻어진 카르복시메틸화셀룰로오스 섬유 30.0 g (절건 질량) 및 탈이온수 900.0 g 을 혼합한 후, 1 M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셀룰로오스 섬유의 아니온성기에 대해 염형 아니온성기가 10 mol% 가 되도록 첨가하고, 계속해서 셀룰로오스 섬유 수용액이 1000 g 이 되도록 탈이온수를 첨가하고, 1 시간 교반하였다. 또한 매스 콜로이더 (마스코 산업사 제조, MKCA6-2) 를 사용하여 미세화 처리를 3 회 실시하고, 셀룰로오스 섬유의 아니온성기에 대해 염형 아니온성기가 10 mol% 의 카르복시메틸화셀룰로오스 섬유 분산액 (고형분 함유량 3.0 질량%) 을 얻었다. 얻어진 미세 셀룰로오스 섬유 분산액의 평균 섬유 직경은 0.34 ㎛, 평균 섬유 길이는 5 ㎛ 였다.
〔실시예 13 ∼ 14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
제조예 A5 ∼ A6 에서 얻어진 셀룰로오스 섬유를 사용하여, 표 5 에 나타내는 처방에 따라 배합하여,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로 하였다. 이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에 대하여, 네트워크 형성성, 피막 균일성 및 자외선 방어 효과를 상기와 동일하게 하여 평가한 결과, 실시예 13 ∼ 14 의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은, 네트워크 형성성, 피막 균일성 및 자외선 방어 효과가 우수한 것이었다. 피막 균일성 및 자외선 방어 효과에 대한 평가 결과를 표 5 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5
10 : 정전 스프레이 장치
11 : 시린지
12 : 고전압원
13 : 도전성 콜렉터
11a : 실린더
11b : 피스톤
11c : 캐필러리

Claims (13)

  1. 다음의 성분 (a) 및 (b) :
    (a)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는 불휘발성 유분 ;
    (b) 평균 섬유 직경 0.1 ㎛ 이상 7 ㎛ 이하의 섬유 피막 형성 조성물 중 0.5 질량% 이상 10 질량% 이하 ;
    를 함유하고, (평균 섬유 직경)2/섬유 함유량 (㎛2/질량%) 이, 0.005 이상 7 이하인, 피막 형성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불휘발성 유분의 합계에 대한 상기 자외선 흡수제의 함유 질량비가, 0.1 이상 1 이하인, 피막 형성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성분 (b) 가, 수불용성 폴리머의 섬유인, 피막 형성 조성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불용성 폴리머가,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메트)아크릴계 수지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인, 피막 형성 조성물.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불용성 폴리머가, (메트)아크릴계 수지인, 피막 형성 조성물.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성분 (b) 의 평균 섬유 길이가, 20 ㎛ 이상 300 ㎛ 이하인, 피막 형성 조성물.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성분 (a) 의 함유량이, 피막 형성 조성물 중 0.5 질량% 이상 90 질량% 이하인, 피막 형성 조성물.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자외선 흡수제의 함유량이, 피막 형성 조성물 중 0.1 질량% 이상인, 피막 형성 조성물.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성분 (b) 의 (평균 섬유 직경)2/섬유 함유량 (㎛2/질량%) 이, 0.02 이상 0.5 이하이고, 성분 (b) 의 섬유의 애스펙트비 (평균 섬유 길이/평균 섬유 직경) 가, 15 이상이고, 또한 자외선 흡수제의 함유량이, 피막 형성 조성물 중 7 질량% 이상인, 피막 형성 조성물.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성분 (b) 의 (평균 섬유 직경)2/섬유 함유량 (㎛2/질량%) 이, 0.02 이상 0.5 이하이고, 성분 (b) 의 섬유의 애스펙트비 (평균 섬유 길이/평균 섬유 직경) 가, 15 이상이고, 또한 상기 불휘발성 유분의 합계에 대한 상기 자외선 흡수제의 함유 질량비가, 0.5 이상인, 피막 형성 조성물.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자외선 차단제인, 피막 형성 조성물.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피막 형성 조성물을 피부에 적용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피부 표면 상에 있어서의 피막의 제조 방법.
  13.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피막 형성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막.
KR1020237017892A 2020-11-30 2021-11-30 피막 형성 조성물 KR2023011355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198589 2020-11-30
JPJP-P-2020-198589 2020-11-30
PCT/JP2021/043804 WO2022114215A1 (ja) 2020-11-30 2021-11-30 皮膜形成組成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3553A true KR20230113553A (ko) 2023-07-31

Family

ID=81755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7892A KR20230113553A (ko) 2020-11-30 2021-11-30 피막 형성 조성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4252862A1 (ko)
JP (1) JP2022087077A (ko)
KR (1) KR20230113553A (ko)
CN (1) CN116782870A (ko)
TW (1) TW202237060A (ko)
WO (1) WO2022114215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93731A (ja) 2001-03-23 2002-10-09 L'oreal Sa 皮膚の老化に対抗するための、繊維を含む組成物
JP2005320506A (ja) 2004-03-16 2005-11-17 Toray Ind Inc 配合溶液、乳液またはゲル状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52564B (zh) * 2018-09-28 2024-02-09 花王株式会社 水包油型防晒化妆品
KR102655471B1 (ko) * 2018-11-26 2024-04-05 카오카부시키가이샤 피부용 피막
JP6845510B2 (ja) * 2018-12-27 2021-03-17 株式会社佐野商会 化粧料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93731A (ja) 2001-03-23 2002-10-09 L'oreal Sa 皮膚の老化に対抗するための、繊維を含む組成物
JP2005320506A (ja) 2004-03-16 2005-11-17 Toray Ind Inc 配合溶液、乳液またはゲル状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237060A (zh) 2022-10-01
EP4252862A1 (en) 2023-10-04
WO2022114215A1 (ja) 2022-06-02
JP2022087077A (ja) 2022-06-09
CN116782870A (zh) 2023-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06587B1 (de) Zusammensetzungen auf wachsbasis und verwendung als körperpflegemittel
US20040116542A1 (en) Emulsions made from particular emulsifers
EP2094771A2 (en) Treated substrates having improved delivery of impregnated ingredients
EP0941057A1 (en) Cosmetic compositions
JP2006525958A (ja) ゲルネットワークを含む濡れた皮膚用のトリートメント組成物
KR20100015309A (ko) 분산액, 겔 및 유화계
JP2012193139A (ja) 化粧料
US20040053041A1 (en) Emulsions based on special emulsifiers
JP2002536566A (ja) エマルジョン含有含浸剤組成物または柔軟剤組成物
CN104066421B (zh) 化妆品组合物
KR20230113553A (ko) 피막 형성 조성물
EP1515686A2 (de) Verdickte kosmetische zusammensetzung
JP6986179B2 (ja) 皮膜形成組成物
EP3081208A1 (en) Skin care spray compositions comprising microfibrillated cellulose
KR102407900B1 (ko) 피막 형성 조성물 및 극세 단섬유
WO2004075866A1 (de) Konservierung getränkter tücher
KR20230113554A (ko) 피부용 피막 형성 조성물
EP3389621A1 (de) Emulsionen mit uv-lichtschutzfaktoren und carnosinen
JP2020196712A (ja) 皮膜形成組成物
KR20230113555A (ko) 피부용 피막 형성 조성물
DE10327348A1 (de) Verdickte kosmetische Zusammensetzu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