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0751B1 - 피막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피막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0751B1
KR102020751B1 KR1020197017671A KR20197017671A KR102020751B1 KR 102020751 B1 KR102020751 B1 KR 102020751B1 KR 1020197017671 A KR1020197017671 A KR 1020197017671A KR 20197017671 A KR20197017671 A KR 20197017671A KR 102020751 B1 KR102020751 B1 KR 1020207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component
composition
mass
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76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8655A (ko
Inventor
나오미 아마리
다케히코 도조
겐타 무카이
Original Assignee
카오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오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카오카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786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86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07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07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61K8/022Powders; Compacted Pow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41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5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mides or imides, e.g. (meth) acrylamide;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5/00Electrostatic spraying apparatus; Spraying apparatus with means for charging the spray electrically; Apparatus for spra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other electric means
    • B05B5/16Arrangements for su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B5/1691Apparatus to be carried on or by a person or with a container fixed to the discharge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41Containing particulates characterized by their shape and/or structure
    • A61K8/027Fibers; Fibri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1Hydrocarb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2Alcohols having more than seven atoms in an unbroken cha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5Ketones, e.g. benzophen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29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Compositions of hydrolysed polymers or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g. polyvinylmethyleth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1/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1/02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performed by spraying
    • B05D1/04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performed by spraying involving the use of an electrostatic fiel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6Optical properties
    • A61K2800/262Transparent; Transluc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3Electrophoresis; Electrodes; Electrolytic phenomen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7Application Devices; Containers; Packag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5/00Devices for applying media, e.g. remedies, on the human body
    • A61M35/003Portable hand-held applicators having means for dispensing or spreading integral medi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피막의 제조 방법은, 피막 형성 대상물의 표면에 피막을 형성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은, 피막 형성 대상물에 조성물을 직접 정전 스프레이하여 섬유의 퇴적물을 포함하는 피막을 형성하는 정전 스프레이 공정을 구비한다. 상기 조성물이, 이하의 성분 (a), 성분 (b) 및 성분 (c) 를 포함한다. (a) 물, 알코올 및 케톤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휘발성 물질. (b) 피막 형성능을 갖는 폴리머. (c) 20 ℃ 에서 액체인 오일 및 폴리올로부터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함유하는 액제.

Description

피막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피막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장료, 화장료 성분 혹은 외상용 의약제를 피부에 유효하게 활용하기 위해,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는, 화장료 혹은 화장료 성분을 유지시켜 이루어지는 화장용 시트가 기재되어 있다. 또, 예를 들어 특허문헌 2 및 3 에는, 정전 스프레이에 의해 피막을 형성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8-179629호 US6531142(B1) WO9803267(A1)
본 발명은, 피막 형성 대상물의 표면에 피막을 형성하는 피막의 제조 방법이다. 피막의 제조 방법은, 상기 피막 형성 대상물에 조성물을 직접 정전 스프레이하여 섬유의 퇴적물로 이루어지는 피막을 형성하는 정전 스프레이 공정을 구비하고, 상기 조성물이, 이하의 성분 (a), 성분 (b) 및 성분 (c) 를 포함한다. (a) 물, 알코올 및 케톤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휘발성 물질. (b) 피막 형성능을 갖는 폴리머. (c) 20 ℃ 에서 액체인 오일 및 폴리올로부터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함유하는 액제.
도 1 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정전 스프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 는, 정전 스프레이 장치를 사용하여 정전 스프레이법을 실시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 은, 실시예 3 의 피막의 SEM 화상이다.
도 4 는, 비교예 1 의 피막의 SEM 화상이다.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화장용 시트는, 화장료 혹은 화장료 성분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화장료 등을 피부에 유효하게 활용시킬 수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화장용 시트는, 미리 제작된 시트에 화장료 등을 함유시키기 때문에, 착용 중에 마찰력이 가해지면 시트의 가장자리로부터 박리되기 쉽다. 또, 미리 제작된 시트의 섬유 중에, 화장료 등에 더하여, 아몬드유, 아보카도유, 혹은 올리브유 등의 불휘발성의 오일이나 폴리올을 함유한 상태로 보관하면, 시트의 구성 섬유의 섬유 형태가 붕괴되어 시트 형태가 붕괴되기 쉽고, 보존 안정성이 나빠진다.
특허문헌 2 에 기재된 정전 스프레이에 의한 피부의 처리 방법은, 입자상 분말 물질인 입자를 정전기적 적용에 의해 피부를 처리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피막이 섬유의 퇴적물은 아니기 때문에, 1 장의 막의 형태를 유지하기 어렵고, 사용 중에 부분적으로 입자가 탈락하는 등 내구성이 뒤떨어지고, 또, 사용 후에 박리하기 어렵다.
한편, 특허문헌 3 에 기재된 정전 스프레이에 의한 피복을 형성하는 방법은, 형성되는 피막이 섬유의 퇴적물이기 때문에, 1 장의 막으로서 취급할 수 있고, 사용 후에 박리하기 쉬워진다. 그러나, 정전 스프레이에 의해 형성된 피막과 기판의 밀착성이 충분하지 않아, 마찰 등의 외력에서 기인하여 피막이 손상되거나 박리되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특허문헌 3 에는, 섬유의 퇴적물로 이루어지는 피막을 투명화하고 피부를 자연스러운 상태로 피복하는 것에 관하여, 전혀 기재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이 갖는 결점을 해소할 수 있는 피막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은, 피막 형성 대상물의 표면에 피막을 형성하는 피막의 제조 방법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소정의 성분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피막 형성 대상물의 일례인 사람의 피부의 표면에 직접 가하여 피막을 형성한다. 피막의 형성 방법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정전 스프레이법을 채용하고 있다. 정전 스프레이법은, 조성물에 정 또는 부의 고전압을 인가하여 그 조성물을 대전시키고, 대전한 그 조성물을 피막 형성 대상물을 향하여 분무하는 방법이다. 분무된 조성물은 쿨롱 반발력에 의해 미세화를 반복하면서 공간에 퍼지고, 그 과정에서, 또는 피막 형성 대상물에 부착된 후에, 휘발성 물질인 용매가 건조됨으로써, 피막 형성 대상물의 표면에 피막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상기의 조성물 (이하, 이 조성물을 「분무용 조성물」이라고도 한다.) 은, 정전 스프레이법이 실시되는 환경하 (예를 들어 20 ℃) 에 있어서 액체의 것이다. 이 조성물은, 이하의 성분 (a), 성분 (b) 및 성분 (c) 를 포함하고 있다.
(a) 물, 알코올 및 케톤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휘발성 물질.
(b) 피막 형성능을 갖는 폴리머.
(c) 20 ℃ 에서 액체인 오일 및 폴리올로부터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함유하는 액제.
분무용 조성물은, 정전 스프레이법에 의해, 피막 형성 대상물의 일례인 사람의 피부에, 섬유를 포함하는 퇴적물로 이루어지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피막을 형성하는 피막의 제조 방법에 사용된다.
이하, 각 조성물에 대하여 설명한다.
성분 (a) 의 휘발성 물질은, 액체의 상태에 있어서 휘발성을 갖는 물질이다. 분무용 조성물에 있어서 성분 (a) 는, 전계 내에 놓여진 그 분무용 조성물을 충분히 대전시킨 후, 노즐 선단으로부터 피막 형성 대상물인 예를 들어 피부를 향하여 토출되고, 성분 (a) 가 증발되어 가면, 분무용 조성물의 전하 밀도가 과잉이 되고, 쿨롱 반발에 의해 더욱 미세화되면서 성분 (a) 가 더욱 증발되어 가고, 최종적으로 건조된 피막을 형성시키는 목적으로 배합된다. 이 목적을 위해, 휘발성 물질은 그 증기압이 20 ℃ 에 있어서 0.01 ㎪ 이상, 106.66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13 ㎪ 이상, 66.66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67 ㎪ 이상, 40.00 ㎪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1.33 ㎪ 이상, 40.00 ㎪ 이하인 것이 한층 더 바람직하다.
성분 (a) 의 휘발성 물질 중, 알코올로는 예를 들어 1 가의 사슬형 지방족 알코올이나, 1 가의 고리형 지방족 알코올이나, 1 가의 방향족 알코올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그들의 구체예로는,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코올, 부틸알코올, 페닐에틸알코올, 프로판올, 펜탄올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알코올은, 이들로부터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성분 (a) 의 휘발성 물질 중, 케톤으로는 예를 들어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케톤은 1 종을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성분 (a) 의 휘발성 물질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코올, 부틸알코올, 및 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에탄올, 및 부틸알코올로부터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이고, 그리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이다. 또, 성분 (a) 의 휘발성 물질은, 후술하는 성분 (b) 가 수불용성 폴리머인 경우, 성분 (b) 의 분산성의 관점에서, (a1)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코올, 및 부틸알코올로부터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함유하고, 전하 부여의 관점에서 (a2) 물과의 혼합액이 바람직하다. 성분 (a2) 와 성분 (a1) 의 질량비 (a2)/(a1) 은, 분무용 조성물에 의한 섬유의 형성성과 피막의 밀착성의 관점에서 0.0025 이상 0.3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분무용 조성물은, 성분 (a) 와 함께, 성분 (b) 인 피막 형성능을 갖는 폴리머를 함유한다. 성분 (b) 인 피막 형성능을 갖는 폴리머는, 일반적으로, 성분 (a) 의 휘발성 물질에 용해하는 것이 가능한 물질이다. 여기서, 용해한다란 20 ℃ 에 있어서 분산 상태에 있고, 그 분산 상태가 육안으로 균일한 상태, 바람직하게는 육안으로 투명 또는 반투명한 상태인 것을 말한다.
피막 형성능을 갖는 폴리머로는, 성분 (a) 의 휘발성 물질의 성질에 따라 적절한 것이 사용된다. 구체적으로는, 피막 형성능을 갖는 폴리머는 수용성 폴리머와 수불용성 폴리머로 대별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수용성 폴리머」란, 1 기압·23 ℃ 의 환경하에 있어서, 폴리머 1 g 을 칭량한 후에, 10 g 의 이온 교환수에 침지하고, 24 시간 경과 후, 침지한 폴리머의 0.5 g 이상이 물에 용해하는 성질을 갖는 것을 말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 있어서 「수불용성 폴리머」란, 1 기압·23 ℃ 의 환경하에 있어서, 폴리머 1 g 을 칭량한 후에, 10 g 의 이온 교환수에 침지하고, 24 시간 경과 후, 침지한 폴리머의 0.5 g 초과가 용해하지 않는 성질을 갖는 것을 말한다. 피막 형성능을 갖는 폴리머는, 수불용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용성인 피막 형성능을 갖는 폴리머로는, 예를 들어 풀루란, 히알루론산, 콘드로이틴황산, 폴리-γ-글루탐산, 변성 콘스타치, β-글루칸, 글루코올리고당, 헤파린, 케라토황산 등의 뮤코다당, 셀룰로오스, 펙틴, 자일란, 리그닌, 글루코만난, 갈락투론산, 사일리움 씨드 검, 타마린드 종자 검, 아라비아 검, 트래거캔스 검, 대두 수용성 다당, 알긴산, 카라기난, 라미나란, 한천 (아가로오스), 푸코이단, 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등의 천연 고분자, 부분 비누화 폴리비닐알코올 (가교제와 병용하지 않는 경우), 저비누화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돈 (PVP),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아크릴산나트륨 등의 합성 고분자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수용성 폴리머는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수용성 폴리머 중, 피막의 제조가 용이한 관점에서, 풀루란, 및 부분 비누화 폴리비닐알코올, 저비누화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돈 및 폴리에틸렌옥사이드 등의 합성 고분자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용성 폴리머로서 폴리에틸렌옥사이드를 사용하는 경우, 그 수 평균 분자량은, 5만 이상 300만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만 이상 250만 이하인 것이 한층 더 바람직하다.
한편, 수불용성인 피막 형성능을 갖는 폴리머로는, 예를 들어 피막 형성 후에 불용화 처리할 수 있는 완전 비누화 폴리비닐알코올, 가교제와 병용함으로써 피막 형성 후에 가교 처리할 수 있는 부분 비누화 폴리비닐알코올, 폴리(N-프로파노일에틸렌이민)그래프트-디메틸실록산/γ-아미노프로필메틸실록산 공중합체 등의 옥사졸린 변성 실리콘, 폴리비닐아세탈디에틸아미노아세테이트, 제인 (옥수수 단백질의 주요 성분), 폴리에스테르, 폴리락트산 (PLA), 폴리아크릴로니트릴 수지, 폴리메타크릴산 수지 등의 아크릴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폴리비닐부티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폴리아미드이미드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수불용성 폴리머는 단독으로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수불용성 폴리머 중, 피막 형성 후에 불용화 처리할 수 있는 완전 비누화 폴리비닐알코올, 가교제와 병용함으로써 피막 형성 후에 가교 처리할 수 있는 부분 비누화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부티랄 수지, (아크릴산알킬·옥틸아미드) 공중합체 등의 아크릴 수지, 폴리(N-프로파노일에틸렌이민)그래프트-디메틸실록산/γ-아미노프로필메틸실록산 공중합체 등의 옥사졸린 변성 실리콘, 폴리에스테르, 제인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무용 조성물은, 성분 (a) 및 성분 (b) 와 함께, 성분 (c) 인 20 ℃ 에서 액체인 오일 및 폴리올로부터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함유하는 액제를 함유한다. 성분 (c) 는, 액체의 상태에 있어서 불휘발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성분 (c) 는, 일반적으로, 성분 (b) 의 폴리머와 마찬가지로, 성분 (a) 의 휘발성 물질에 용해하는 것이 가능한 물질이다. 여기서, 용해한다란, 20 ℃ 에 있어서 분산 상태에 있고, 그 분산 상태가 육안으로 균일한 상태, 바람직하게는 육안으로 투명 또는 반투명한 상태인 것을 말한다.
성분 (c) 인 20 ℃ 에서 액체인 오일으로는, 성분 (a) 의 휘발성 물질의 성질에 따라 적절한 것이 사용된다. 상기 오일으로는, 20 ℃ 에 있어서 액상인 탄화수소유, 에스테르유, 실리콘유, 고급 알코올을 들 수 있고, 이들로부터 선택되는 액체유를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20 ℃ 에 있어서 액체인 오일을 「액체유」라고도 한다. 여기서 에스테르유란, 식물유에 포함되는 트리아실글리세라이드(트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등의 오일 이외에, HLB 값이 10 이하인 에스테르 구조를 갖는 화합물도 포함된다. 여기서 HLB 값은, 친수성-친유성의 밸런스 (Hydrophile Lipophile Balance) 를 나타내는 지표이고, 본 발명에 있어서는, 오다 및 테라무라 등에 의한 다음 식에 의해 산출한 값을 사용한다.
HLB = (Σ무기성 값/Σ유기성 값) × 10
성분 (c) 는, 성분 (b) 의 폴리머의 피막 형성 대상물에 대한 밀착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20 ℃ 에 있어서 액체인 오일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극성을 갖고, 성분 (b) 의 폴리머의 피막 대상물에 대한 밀착성을 보다 양호하게 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에스테르유, 및 고급 알코올로부터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에스테르유로부터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성분 (c) 로서 상기 서술한 20 ℃ 에서 액체인 탄화수소유로는, 유동 파라핀, 스쿠알란, 스쿠알렌, n-옥탄, n-헵탄, 시클로헥산, 경질 이소파라핀, 유동 이소파라핀 등을 들 수 있고, 사용감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유동 파라핀, 스쿠알란이 바람직하다. 또, 정전 분무된 피막을 피부에 밀착시키는 관점에서, 탄화수소유의 30 ℃ 에 있어서의 점도는, 바람직하게는 10 mPa·s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mPa·s 이상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30 ℃ 에 있어서 점도가 10 mPa·s 미만인, 이소도데칸, 이소헥사데칸, 수소 첨가 폴리이소부텐의 분무용 조성물 중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10 질량%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 질량%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 질량% 이하이고,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0.5 질량% 이하이고, 함유하지 않아도 된다. 여기서의 점도는, 30 ℃ 에 있어서 BM 형 점도계 (토키멕사 제조, 측정 조건 : 로터 No.1, 60 rpm, 1 분간) 에 의해 측정된다. 또한, 성분 (c) 는 20 ℃ 에서 액체이기 때문에, 30 ℃ 에 있어서의 점도의 상한은, 유동성이 있는 범위이면 되고, 바람직하게는 2000 mPa·s 이하이다.
성분 (c) 로서 상기 서술한 20 ℃ 에서 액체인 에스테르유로는, HLB 값이 10 이하인 에스테르 화합물을 들 수 있고, 지방산에스테르, 지방산알코올에스테르, 다가 알코올에스테르,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를 들 수 있고, 이들로부터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로는, 모노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디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트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가 포함된다.
성분 (c) 로서 상기 서술한 20 ℃ 에서 액체인 에스테르유로는, 예를 들어, 미리스트산이소프로필, 옥탄산세틸, 미리스트산옥틸도데실, 팔미트산이소프로필, 스테아르산부틸, 라우르산헥실, 미리스트산미리스틸, 올레산데실, 디메틸옥탄산헥실데실, 락트산세틸, 락트산미리스틸, 아세트산라놀린, 스테아르산이소세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12-하이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디2-에틸헥산산에틸렌글리콜, 디펜타에리트리톨지방산에스테르, 모노이소스테아르산N-알킬글리콜, 디카프르산네오펜틸글리콜, 말산디이소스테아릴, 디2-헵틸운데칸산글리세린, 트리2-에틸헥산산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이소스테아르산트리메틸올프로판, 테트라2-에틸헥산산펜타에리트리트,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르산트리메틸올프로판, 세틸2-에틸헥사노에이트, 2-에틸헥실팔미테이트,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디에틸헥실, 벤조산 (탄소수 12 ∼ 15) 알킬, 이소노닐이소노나노에이트, 세테아릴이소노나노에이트, 트리(카프릴산·카프르산)글리세린, (디카프릴산/카프르산)부틸렌글리콜, 트리라우르산글리세릴, 트리미리스트산글리세릴, 트리팔미트산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르산글리세릴, 트리2-헵틸운데칸산글리세릴, 트리베헨산글리세릴, 트리야자유지방산글리세릴, 트리올레산글리세릴, 트리리놀산글리세릴, 피마자유지방산메틸에스테르, 올레산올레일, 팔미트산2-헵틸운데실, 아디프산디이소부틸, N-라우로일-L-글루탐산-2-옥틸도데실에스테르, 아디프산디2-헵틸운데실, 에틸라우레이트, 아디프산이소부틸, 세바크산디에틸, 세바크산디2-에틸헥실, 미리스트산2-헥실데실, 팔미트산2-헥실데실, 아디프산2-헥실데실, 세바크산디이소프로필, 숙신산디2-에틸헥실, 시트르산트리에틸, 파라메톡시신남산2-에틸헥실, 디피발산트리프로필렌글리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는, 정전 분무된 피막을 피부에 밀착시키는 관점 및 피부에 도포했을 때의 감촉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미리스트산옥틸도데실, 미리스트산미리스틸, 스테아르산이소세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세테아릴이소노나노에이트, 아디프산이소부틸, 세바크산디에틸, 세바크산디2-에틸헥실, 미리스트산이소프로필, 팔미트산이소프로필, 말산디이소스테아릴, 디카프르산네오펜틸글리콜, 벤조산 (탄소수 12 ∼ 15) 알킬, 이소노닐이소노나노에이트, 트리(카프릴산·카프르산)글리세린, 및 올레산, 스테아르산, 팔미트산, 에이코센산, 이코센산, 및 도코센산 등의 지방산을 구성 요소로 하는 트리아실글리세라이드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 종 (1 종 또는 2 종 이상) 이 바람직하고, 미리스트산이소프로필, 팔미트산이소프로필, 말산디이소스테아릴, 세바크산디에틸, 디카프르산네오펜틸글리콜, 벤조산 (탄소수 12 ∼ 15) 알킬, 이소노닐이소노나노에이트, 트리(카프릴산·카프르산)글리세린, 및 올레산, 에이코센산, 이코센산, 도코센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구성 요소로 하는 트리아실글리세라이드로부터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서술한 트리글리세라이드 등의 에스테르유를 포함하는 올리브유, 호호바유, 마카데미아 너트유, 메도폼유, 피마자유, 홍화유, 해바라기유, 아보카도유, 카놀라유, 살구씨유, 쌀배아유, 쌀겨유 등의 식물유, 라놀린 등을 포함하는 동물유를 사용할 수도 있다.
성분 (c) 로서 상기 서술한 20 ℃ 에서 액체인 에스테르유에 포함되는,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로는, HLB 값이 10 이하인, 이소스테아르산폴리글리세릴, 디이소스테아르산폴리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르산폴리글리세릴, 스테아르산폴리글리세릴, 올레산폴리글리세릴, 세스퀴카프르산폴리글리세릴을 들 수 있다. 또, 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로는, HLB 값이 10 이하인, 모노스테아르산소르비탄, 모노올레산소르비탄, 세스퀴올레산소르비탄, 세스퀴이소스테아르산소르비탄, 모노팔미트산소르비탄, 트리스테아르산소르비탄, 트리올레산소르비탄, 야자유지방산소르비탄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는, 정전 분무된 피막을 피부에 밀착시키는 관점 및 피부에 도포했을 때의 감촉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이소스테아르산폴리글리세릴, 디이소스테아르산폴리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르산폴리글리세릴, 스테아르산폴리글리세릴, 올레산폴리글리세릴, 세스퀴카프르산폴리글리세릴이 바람직하고, 디이소스테아르산폴리글리세릴이 보다 바람직하다.
성분 (c) 로서 상기 서술한 20 ℃ 에서 액체인 실리콘유로는, 디메틸폴리실록산, 디메틸시클로폴리실록산,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고급 알코올 변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분무용 조성물은, 피부 등에 대한 밀착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실리콘유의 분무용 조성물 중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10 질량%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7 질량%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0.1 질량%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 질량% 이상이다. 또한, 실리콘유는, 본 발명의 분무용 조성물 중에 함유하지 않아도 되고, 그 경우는, 함유량은 5 질량%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 질량% 이하이고,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0.1 질량% 이하이다.
25 ℃ 에 있어서의 실리콘유의 동점도는, 정전 분무된 피막을 피부 등에 밀착시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3 ㎟/s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 ㎟/s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 ㎟/s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30 ㎟/s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s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s 이하이다. 이들 중에서는 정전 분무된 피막을 밀착시키는 관점에서, 실리콘유는 디메틸폴리실록산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성분 (c) 로서 상기 서술한 20 ℃ 에서 액체인 고급 알코올로는, 탄소수 12 ∼ 20 의 액상의 고급 알코올을 들 수 있고, 분기 지방산 혹은 불포화 지방산의 고급 알코올이 바람직하고, 이소스테아릴알코올, 올레일알코올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성분 (c) 가 폴리올인 경우, 성분 (a) 의 휘발성 물질의 성질에 따라 적절한 것이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올로는,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1,3-프로판디올, 1,3-부탄디올 등의 알킬렌글리콜 ; 디에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수 평균 분자량이 1000 이하인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등의 폴리알킬렌글리콜 ;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트리글리세린 등의 글리세린 또는 폴리글리세릴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사용감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1,3-부탄디올, 디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글리세린, 디글리세린이 바람직하고, 프로필렌글리콜, 1,3-부탄디올, 글리세린, 디프로필렌글리콜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에틸렌글리콜은, 그 수 평균 분자량이, 보다 바람직하게는 600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400 이하이다.
성분 (c) 의 예로서 상기 서술한 20 ℃ 에서 액체인 오일 및 폴리올은,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성분 (c) 는, 피막 형성능을 갖는 폴리머의 가소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상기 성분 (c) 는, 탄화수소유, 에스테르유, 실리콘유, 및 고급 알코올로부터 선택되는 20 ℃ 에서 액체인 오일, 및 알킬렌글리콜, 폴리알킬렌글리콜, 글리세린 및 트리글리세린으로부터 선택되는 폴리올로부터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물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분무용 조성물에 있어서의 성분 (a) 의 함유량은, 50 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55 질량%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60 질량% 이상인 것이 한층 더 바람직하다. 또한 98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96 질량%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94 질량% 이하인 것이 한층 더 바람직하다. 분무용 조성물에 있어서의 성분 (a) 의 함유량은, 50 질량% 이상 98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5 질량% 이상 96 질량%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60 질량% 이상 94 질량% 이하인 것이 한층 더 바람직하다. 이 비율로 분무용 조성물 중에 성분 (a) 를 배합함으로써, 정전 스프레이법을 실시할 때에 분무용 조성물을 충분히 휘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분무용 조성물에는,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고체상이나 반고체상의 오일, 즉, 성분 (c) 이외의 오일을 함유할 수 있다. 피막의 피막 형성 대상물에 대한 밀착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분무용 조성물의 안정성의 관점에서, 성분 (c) 이외의 오일은, 분무용 조성물 중에는, 10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8 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6 질량%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분무용 조성물에 있어서의 성분 (b) 의 함유량은, 분무용 조성물의 점도를 적당한 범위로 하여 섬유의 굵기를 적당히 조정하는 관점에서, 2 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4 질량%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6 질량% 이상인 것이 한층 더 바람직하다. 또한 50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45 질량%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40 질량% 이하인 것이 한층 더 바람직하다. 분무용 조성물에 있어서의 성분 (b) 의 함유량은, 2 질량% 이상 50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4 질량% 이상 45 질량%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6 질량% 이상 40 질량% 이하인 것이 한층 더 바람직하다. 이 비율로 분무용 조성물 중에 성분 (b) 를 배합함으로써, 목적으로 하는 피막을 순조롭게 형성할 수 있다.
또, 분무용 조성물에 있어서의 성분 (c) 의 함유량은, 0.5 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질량%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1.5 질량% 이상인 것이 한층 더 바람직하다. 또한 30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5 질량%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20 질량% 이하인 것이 한층 더 바람직하다. 분무용 조성물에 있어서의 성분 (c) 의 함유량은, 0.5 질량% 이상 30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 질량% 이상 25 질량%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1.5 질량% 이상 20 질량% 이하인 것이 한층 더 바람직하다. 이 비율로 분무용 조성물 중에 성분 (c) 를 배합함으로써, 목적으로 하는 피막의 피막 형성 대상물에 대한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분무용 조성물 중에는, 상기 서술한 성분 (a), 성분 (b) 및 성분 (c) 만이 포함되어 있어도 되고, 혹은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성분 (a), 성분 (b) 및 성분 (c) 에 더하여 다른 성분이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다른 성분으로는, 예를 들어, 착색 안료, 체질 안료, 염료, HLB 값이 10 초과인 계면 활성제, UV 방어제, 향료, 기피제, 산화 방지제, 안정제, 방부제, 제한제 (制汗劑), 각종 비타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 각 제는, 각 제로서의 용도에 한정되지 않고, 목적에 따라 다른 용도, 예를 들어 제한제를 향료로서 사용할 수 있다. 혹은, 다른 용도와의 병용으로서, 예를 들어 제한제와 향료로서의 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분무용 조성물 중에 다른 성분이 포함되는 경우, 당해 다른 성분의 배합 비율은, 0.1 질량% 이상 30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5 질량% 이상 20 질량%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정전 스프레이법을 실시하는 경우, 분무용 조성물로서, 그 점도가, 25 ℃ 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1 mPa·s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mPa·s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mPa·s 이상인 것을 사용한다. 또한 점도가, 25 ℃ 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5000 mPa·s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0 mPa·s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500 mPa·s 이하인 것을 사용한다. 분무용 조성물의 점도는, 25 ℃ 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1 mPa·s 이상 5000 mPa·s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mPa·s 이상 2000 mPa·s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mPa·s 이상 1500 mPa·s 이하이다. 이 범위의 점도를 갖는 분무용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정전 스프레이법에 의해 피막, 구체적으로는 섬유의 퇴적물로 이루어지는 다공성 피막을 순조롭게 형성할 수 있다. 분무용 조성물의 점도는, 밀착성과 감촉의 양립의 관점에서, 25 ℃ 에 있어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mPa·s 이상 1000 mPa·s 이하이다. 다공성 피막의 형성은, 피부의 땀참 방지 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유리한 것이다. 분무용 조성물의 점도는, E 형 점도계를 사용하여 25 ℃ 에서 측정된다. E 형 점도계로는 예를 들어 도쿄 계기 주식회사 제조의 E 형 점도계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터로는, 로터 No.43 을 사용할 수 있다. 점도를 측정할 때의 조건, 구체적으로는, 로터의 형번, 회전수, 회전 시간 등은, 각 E 형 점도계에 있어서 점도에 따라 정해진 것을 사용한다.
분무용 조성물은 정전 스프레이법에 의해, 피막 형성 대상물인 예를 들어 사람의 피부에 직접 분무된다. 정전 스프레이법은, 정전 스프레이 공정에 있어서, 정전 스프레이 장치를 사용하여, 피부에 분무용 조성물을 정전 스프레이하여, 피막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그 정전 스프레이 장치는, 분무용 조성물을 수용하는 용기와, 분무용 조성물을 토출하는 노즐과, 용기 중에 수용되어 있는 분무용 조성물을 노즐에 공급하는 공급 장치와, 노즐에 전압을 인가하는 전원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도 1 에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정전 스프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에 나타내는 정전 스프레이 장치 (10) 는, 저전압 전원 (11) 을 구비하고 있다. 저전압 전원 (11) 은, 수 V 내지 수십 V 의 전압을 발생시킬 수 있는 것이다. 정전 스프레이 장치 (10) 의 가반성 (可搬性) 을 높이는 목적으로, 저전압 전원 (11) 은 1 개 또는 2 개 이상의 전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저전압 전원 (11) 으로서 전지를 사용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교체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는 이점도 있다. 전지 대신에, AC 어댑터 등을 저전압 전원 (11) 으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정전 스프레이 장치 (10) 는, 고전압 전원 (12) 도 구비하고 있다. 고전압 전원 (12) 은, 저전압 전원 (11) 과 접속되어 있고, 저전압 전원 (11) 에서 발생한 전압을 고전압으로 승압하는 전자 회로 (도시 생략) 를 구비하고 있다. 승압 전자 회로는 일반적으로 트랜스, 캐패시터 및 반도체 소자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정전 스프레이 장치 (10) 는, 보조적 전기 회로 (13) 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다. 보조적 전기 회로 (13) 는, 상기 서술한 저전압 전원 (11) 과 고전압 전원 (12) 사이에 개재하고, 저전압 전원 (11) 의 전압을 조정하여 고전압 전원 (12) 을 안정적으로 동작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추가로 보조적 전기 회로 (13) 는, 후술하는 마이크로 기어 펌프 (14) 에 구비되어 있는 모터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기능을 갖는다. 모터의 회전수를 제어함으로써, 후술하는 분무용 조성물의 용기 (15) 로부터 마이크로 기어 펌프 (14) 로의 분무용 조성물의 공급량이 제어된다. 보조적 전기 회로 (13) 와 저전압 전원 (11) 사이에는 스위치 (SW) 가 장착되어 있고, 스위치 (SW) 의 온오프에 의해, 정전 스프레이 장치 (10) 를 운전/정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정전 스프레이 장치 (10) 는, 노즐 (16) 을 추가로 구비하고 있다. 노즐 (16) 은, 금속을 비롯한 각종 도전체나, 플라스틱, 고무, 세라믹 등의 비도전체로 이루어지고, 그 선단으로부터 분무용 조성물의 토출이 가능한 형상을 하고 있다. 노즐 (16) 내에는 분무용 조성물이 유통하는 미소 공간이, 그 노즐 (16) 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이 미소 공간의 횡단면의 크기는, 직경으로 나타내어 100 ㎛ 이상 100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노즐 (16) 은, 관로 (17) 를 개재하여 마이크로 기어 펌프 (14) 와 연통되어 있다. 관로 (17) 는 도전체여도 되고, 혹은 비도전체여도 된다. 또, 노즐 (16) 은, 고전압 전원 (12) 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로써, 노즐 (16) 에 고전압을 인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경우, 노즐 (16) 에 인체가 직접 접촉한 경우에 과대한 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노즐 (16) 과 고전압 전원 (12) 은, 전류 제한 저항 (19) 을 개재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관로 (17) 를 개재하여 노즐 (16) 과 연통되어 있는 마이크로 기어 펌프 (14) 는, 용기 (15) 중에 수용되어 있는 분무용 조성물을 노즐 (16) 에 공급하는 공급 장치로서 기능한다. 마이크로 기어 펌프 (14) 는, 저전압 전원 (11) 으로부터 전원의 공급을 받아 동작한다. 또, 마이크로 기어 펌프 (14) 는, 보조적 전기 회로 (13) 에 의한 제어를 받아 소정량의 분무용 조성물을 노즐 (16) 에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마이크로 기어 펌프 (14) 에는, 플렉시블 관로 (18) 를 개재하여 용기 (15) 가 접속되어 있다. 용기 (15) 중에는 분무용 조성물이 수용되어 있다. 용기 (15) 는, 카트리지식의 교환 가능한 형태를 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구성을 갖는 정전 스프레이 장치 (10) 는, 예를 들어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용할 수 있다. 도 2 에는, 한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치수를 갖는 핸디 타입의 정전 스프레이 장치 (10) 가 도시되어 있다. 동 도면에 나타내는 정전 스프레이 장치 (10) 는, 도 1 에 나타내는 구성도의 부재의 전부가 원통형의 케이스 (20) 내에 수용되어 있다. 케이스 (20) 의 길이 방향의 일단 (10a) 에는, 노즐 (도시 생략) 이 배치되어 있다. 노즐은, 그 조성물의 분무 방향을, 케이스 (20) 의 세로 방향과 일치시켜, 피막 형성 대상물인 피부측을 향하여 볼록상이 되도록 그 케이스 (20) 에 배치되어 있다. 노즐 선단이 케이스 (20) 의 세로 방향에 있어서 피막 형성 대상물을 향하여 볼록상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케이스에 분무용 조성물이 잘 부착되지 않게 되고, 안정적으로 피막을 형성할 수 있다.
피막 형성 대상물이 사용자 자신의 피부인 경우, 정전 스프레이 장치 (10) 를 동작시킬 때에는, 사용자, 즉 정전 스프레이에 의해 자기의 피부에 피막을 형성하는 사람이 그 장치 (10) 를 손으로 파지하고, 노즐 (도시 생략) 이 배치되어 있는 그 장치 (10) 의 일단 (10a) 을, 정전 스프레이를 실시하는 대상 부위로 향하게 한다. 도 2 에서는, 사용자의 아래팔부 내측으로 정전 스프레이 장치 (10) 의 일단 (10a) 을 향하게 하고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 상태하에, 장치 (10) 의 스위치를 온으로 하여 정전 스프레이법을 실시한다. 장치 (10) 에 전원이 들어감으로써, 노즐과 피부 사이에는 전계가 발생한다. 도 2 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서는, 노즐에 정 (正) 의 고전압이 인가되고, 피부가 부극이 된다. 노즐과 피부 사이에 전계가 발생하면, 노즐 선단부의 분무용 조성물은, 정전 유도에 의해 분극하여 그 선단 부분이 콘 형상이 되고, 콘 선단으로부터 대전한 분무용 조성물의 액적이 전계를 따라, 피부를 향하여 공중에 토출된다. 공간에 토출되며 또한 대전한 분무용 조성물로부터 용매인 성분 (a) 가 증발되어 가면, 분무용 조성물 표면의 전하 밀도가 과잉이 되고, 쿨롱 반발력에 의해 미세화를 반복하면서 공간에 퍼지고, 피부에 도달한다. 이 경우, 분무용 조성물의 점도를 적절히 조정함으로써, 분무된 그 조성물을 액적의 상태로 피부에 도달시킬 수 있다. 혹은, 공간에 토출되어 있는 동안에, 용매인 휘발성 물질의 성분 (a) 를 그 조성물로부터 휘발시키고, 용질인 피막 형성능을 갖는 폴리머를 고화시키면서, 전위차에 의해 신장 변형시키면서 섬유를 형성하고, 그 섬유를 피부의 표면에 퇴적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분무용 조성물의 점도를 높이면, 그 조성물을 섬유의 형태로 피부의 표면에 퇴적시키기 쉽다. 이로써, 섬유의 퇴적물로 이루어지는 피막이 피부의 표면에 형성된다. 섬유의 퇴적물로 이루어지는 피막은, 노즐과 피부 사이의 거리나, 노즐에 인가하는 전압을 조정함으로써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정전 스프레이법을 실시하고 있는 동안에는, 피막 형성 대상물인 피부와 노즐 사이에 높은 전위차가 발생되어 있다. 그러나, 임피던스가 매우 크기 때문에, 인체를 흐르는 전류는 매우 미소하다. 예를 들어 통상적인 생활하에서 발생하는 정전기에 의해 인체에 흐르는 전류보다, 정전 스프레이법을 실시하고 있는 동안에 인체에 흐르는 전류 쪽이 여러 자릿수 작은 것을, 본 발명자는 확인하였다.
정전 스프레이법에 의해 섬유의 퇴적물을 형성하는 경우, 그 섬유의 굵기는, 원상당 직경으로 나타낸 경우, 1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50 ㎚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300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0 ㎚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섬유의 굵기는, 예를 들어 주사형 전자 현미경 (SEM) 관찰에 의해, 섬유를 10000 배로 확대하여 관찰하고, 그 2 차원 화상으로부터 결함 (섬유의 덩어리, 섬유의 교차 부분, 액적) 을 제외하고, 섬유를 임의로 10 개 골라내어, 섬유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선을 긋고, 섬유 직경을 직접 판독함으로써 측정할 수 있다.
정전 스프레이법에 의해 형성된 섬유의 퇴적물인 피막은, 구성하는 섬유의 표면측에, 성분 (c) 가 존재하는 액제 담지 피막을 가지고 있다. 섬유의 표면측이란, 표면 혹은, 표면의 일부, 섬유 사이를 의미한다. 분무용 조성물에 있어서의 성분 (c) 의 함유량이, 폴리머와 성분 (c) 의 친화성에도 의존하지만, 대략 1 질량% 이상이면, 구성하는 섬유가 팽윤하여 부드러워지고 피부에 대한 추종성이 높아지고, 또한 구성하는 섬유 중으로부터 성분 (c) 가 블리드 아웃하기 쉬워, 구성하는 섬유와 섬유끼리의 사이에 상기 액제 담지 피막이 형성되기 쉽고, 한편, 분무용 조성물에 있어서의 성분 (c) 의 함유량이 1 질량% 미만이면, 구성하는 섬유의 표면에 상기 액제 담지 피막이 형성되기 어렵다. 이와 같이 피막을 구성하는 섬유에 상기 액제 담지 피막이 형성되면, 피막 형성 대상물인 피부와의 밀착성이 높아지고, 피막이 투명화되는 경향이 있고, 자연스러운 외관에 가까워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투명 또는 반투명한 피막이란, 피막이 피막 형성 대상물에 형성된 상태에서, 예를 들어, 피막 대상물이 사람의 피부인 경우에는, 피막을 통해 피막 형성 대상물인 사람의 피부의 색, 바람직하게는 미세한 모양 등을 시인할 수 있는 상태를 말하고, 피부의 색 등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피부의 피구 (皮丘) 등의 미세한 구조를 육안으로 시인할 수 있는 상태이고, 피막의 존재를 인식하기 어려운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반투명한 피막의 경우, 피막이 피부 등의 피막 형성 대상물의 표면에 대한 존재를 인식하기 어렵게 하는 관점에서, 피막의 색은 백색인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투명 또는 백색의 대상물에 정전 스프레이한 경우의 L 값은, 바람직하게는 80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이상이고, 동일한 관점에서, a 값, b 값은 바람직하게는 -20 ∼ 30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20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 ∼ 10 이다. 또한 L 값은 CIE 1976 (L*, a*, b*) 색공간 (CIELAB) 에 정해진 값이고, 100 이 백색, 0 이 흑색이다. 또한, 밀착의 지속성이 높아지는 점에서 피막 형성 대상물인 피부의 보습성, 혹은 피부의 상태 개선에 효과적이다.
피막 형성 대상물이 땀이나 피지 등을 포함하는 피부인 경우, 섬유 중에 성분 (c) 가 복합됨으로써, 섬유가 팽윤하고 가소화되기 쉬워진다. 예를 들어, 동일한 용액 조성물을, 수분이나 유분을 포함하지 않는 금속 표면과, 수분이나 유분을 포함하는 피부 표면, 예를 들어 손바닥에 대하여 5 초간 정전 스프레이하여 박막을 제조한 경우, 섬유 직경의 변화를 시간 경과적으로 관찰하면, 피부 표면에 정전 스프레이된 섬유는, 금속 표면에 정전 스프레이된 섬유보다, 팽윤에 의해 시간 경과적으로 대직경화된다. 이와 같이, 정전 스프레이에 의해 형성된, 섬유를 포함하는 피막이, 피부 중의 유분이나 수분으로 가소화되어 한층 더 부드러워짐으로써, 섬유 자체의 피부의 살결에 대한 추종성이 향상되고, 또한 섬유로부터 액제, 즉 성분 (c) 가 블리드 아웃하여, 섬유 표면이나 섬유와 섬유 사이에 존재함으로써, 섬유를 포함하는 피막이 반투명 또는 투명화되고, 외관의 자연스러움이 부여된다. 피막 형성 대상물이 땀이나 피지 등을 포함하는 피부인 경우, 팽윤에 의한 섬유 직경은 이하의 (1) 식을 만족한다.
(피부에 대하여 방사하고, 30 초 후의 섬유 직경) > (금속판에 대하여 방사하고, 30 초 후의 섬유 직경) ···(1)
정전 스프레이법에 의해 형성된 섬유의 퇴적물인 피막 혹은 분무용 조성물에 있어서의, 성분 (c) 와 성분 (b) 의 합계량에 대한 성분 (c) 의 질량비 ((c)/((b) + (c))) 의 값은, 피막의 밀착성과 피막의 외관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0.05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8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이상이고, 정전 스프레이에 의한 피막의 형성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0.75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7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55 이하이다. 동일한 관점에서, 피막 혹은 분무용 조성물에 있어서의, 성분 (c) 와 성분 (b) 의 합계량에 대한 성분 (c) 의 질량비 ((c)/((b) + (c))) 는, 0.05 이상 0.7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08 이상 0.7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0.1 이상 0.55 이하인 것이 한층 더 바람직하다. ((c)/((b) + (c))) 의 값이 상기의 범위 내이면, 섬유가 형성되기 쉽고, 정전 스프레이에 의해 형성된 피막 표면의 끈적임이 억제되고, 피막의 감촉이 향상된다.
분무용 조성물인 성분 (a), 성분 (b) 및 성분 (c) 의 함유량은 이하와 같이 하여 측정한다. 휘발성 물질인 성분 (a) 는 형성된 피막에 존재하지 않거나, 또는 존재하더라도 휘발하기 때문에, 형성된 피막에는 성분 (b) 및 성분 (c) 만이 함유되는 상태에서 측정하고, 그 함유량은 이하와 같이 하여 측정한다.
<분무용 조성물의 성분 (a), 성분 (b) 및 성분 (c) 의 함유량의 측정법>
용액 상태에서 액체 크로마토그래프 (HPLC) 에 의한 분리 동정이나, 적외 분광 광도계 (IR) 로 동정하는 방법이 있다. 액체 크로마토그래프에서는, 분자량이 큰 성분부터 용출하기 때문에, 분자량의 예측이나, 성분의 용출 위치에 의해 조성을 동정할 수도 있다. IR 분석에서는 개개의 흡수체로부터 관능기를 귀속하여 동정하는 것도 가능하고, 일반적으로는 시판 첨가제의 표준 차트와 성분의 IR 차트를 비교함으로써 동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형성된 피막에 있어서의 성분 (b) 및 성분 (c) 의 함유량의 측정법>
피막을 용해 가능한 용매의 탐색을 실시하고, 용매에 피막을 용해 후, 액체 크로마토그래프 (HPLC) 에 의한 분리 동정이나, 적외 분광 광도계 (IR) 로 동정한다.
피막을 형성하는 상기 섬유는, 제조 원리상으로는 무한 길이의 연속 섬유가 되지만, 적어도 섬유의 굵기의 100 배 이상의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형성된 피막은, 성분 (b) 를 포함하는, 바람직하게는 10 ㎛ 이상의 길이,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 이상의 길이,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 ㎛ 이상의 길이의 섬유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섬유의 굵기의 100 배 이상의 길이를 갖는 섬유를 「연속 섬유」로 정의한다. 섬유의 단면 형상은 바람직하게는 원형, 또는 타원형이고, 섬유의 굵기는 원형의 경우에는 직경, 타원형의 경우에는 장경의 길이이다. 그리고, 정전 스프레이법에 의해 제조되는 피막은, 1 개 또는 2 개 이상의 연속 섬유의 퇴적물로 이루어지는 다공성의 불연속 피막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형태의 피막은, 섬유 자체가 유연하고 부드럽기 때문에, 집합체로서 1 장의 시트로서 취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매우 부드러운 특징을 가지고 있고, 그것에 전단력이 가해져도 따로따로 흩어지기 어렵고, 신체의 움직임에 대한 추종성이 우수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 피막의 완전 제거가 용이하다는 이점도 있다. 이에 대하여, 세공을 갖지 않는 연속 피막은 박리가 용이하지 않고, 또한 땀의 방산성이 낮기 때문에, 피부에 땀참이 생길 우려가 있다. 또, 입자의 집합체로 이루어지는 다공성의 불연속 피막은, 피막을 완전하게 제거하기 위해, 피막 전체에 마찰을 가하는 등의 동작이 필요해지는 등, 피부에 대한 데미지 없이 완전 제거하는 것은 곤란하다.
추가로, 본 발명은, 분무용 조성물이 성분 (c) 를 함유함으로써, 형성된 피막은, 섬유끼리가 교차하는 부분에 있어서 결합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결합부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피막을 피부의 표면에 형성한 경우에, 당해 피부를 포함하는 신체의 움직임에 대한 추종성이 양호해지고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섬유끼리가 점착되어 있는 레벨이어도 되고 완전하게 결합되어 있는 것이어도 된다. 상기 결합부는 SEM 의 화상에 의해 확인할 수 있다.
정전 스프레이 장치 (10) 를 사용한 정전 스프레이 공정에 있어서, 정전 스프레이되어 섬유상으로 된 분무용 조성물은, 성분 (a) 가 증발하면서, 성분 (b) 및 성분 (c) 가 대전한 상태로 피부에 직접 도달한다.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피부도 대전되어 있기 때문에, 섬유는 정전력에 의해 1 장의 막의 형태로 피부에 밀착한다. 피부의 표면에는 살결 등의 미세한 요철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 요철에 의한 앵커 효과와 아울러 섬유는 1 장의 막의 형태로 피부의 표면에 한층 더 밀착한다. 이와 같이 하여 정전 스프레이가 완료되면, 정전 스프레이 장치 (10) 의 전원을 끈다. 이로써 노즐과 피부 사이의 전계가 소실되고, 피부의 표면은 전하가 고정화된다. 그 결과, 1 장의 막의 형태의 피막의 밀착성이 한층 더 발현되고, 착용 중에 피막의 가장자리로부터의 박리가 되기 어렵고, 사용 중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또, 피막을 구성하는 섬유가 성분 (c) 를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피부에 별도 액체를 도포하지 않아도, 피부에 피막을 충분히 밀착시킬 수 있다. 이 이유로는, 성분 (c) 가 섬유 중에 존재함으로써, 가소 효과에 의해 섬유 자체가 부드러워지고 미세한 요철면에 대한 추종성이 높아지는 점이나, 성분 (c) 가 섬유 표면에 블리드 아웃함으로써 섬유와 피부 사이를 액체 가교하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또한, 피막을 구성하는 섬유의 섬유 사이 또는 섬유의 표면에 성분 (c) 가 존재하는 액제 담지 피막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피막을 구성하는 섬유가 광을 반사하기 어렵고, 피막의 외관이 투명해지기 쉽고, 외관이 자연스러운 상태로 피부를 피복할 수 있다.
노즐과 피부 사이의 거리는, 노즐에 인가하는 전압에도 의존하지만, 50 ㎜ 이상, 150 ㎜ 이하인 것이, 피막을 순조롭게 형성하는 데에 있어서 바람직하다. 노즐과 피부 사이의 거리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비접촉식 센서 등으로 측정할 수 있다.
정전 스프레이법에 의해 형성된 피막이 다공성의 것인지의 여부를 불문하고, 피막의 평량은, 0.1 g/㎡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 g/㎡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50 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40 g/㎡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피막의 평량은, 0.1 g/㎡ 이상 50 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 g/㎡ 이상 40 g/㎡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피막의 평량을 이와 같이 설정함으로써, 피막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피막 형성 대상물인 피부에 피막을 직접 형성하고 있지만, 피막 형성 대상물은, 피부 이외의, 예를 들어 자동차의 보디 혹은 시스템 키친 등을 구성하는 스테인리스나 식기 등의 금속 부분이나 세라믹스여도 된다. 피막 형성 대상물은, 종래와 같이, 기대 (基臺) 에 막을 형성하고 나서 대상물에 막을 부착시키는 경우의 기대가 아니고, 분무시켜 직접 피막을 형성하는 대상물이다. 따라서, 피막 형성 대상물의 표면은, 크고 작은 요철이 있는 표면이나, 굽히고 펴는 등의 움직이는 대상물, 굴곡이 있는 표면이어도, 본 발명의 피막은 높은 밀착성과 우수한 외관을 얻을 수 있다. 피막 형성 대상물로는, 예를 들어, 만곡 부분이나 단차가 있는 식기, 차, 미세한 요철이나 세공이 있는 벽, 혹은, 피부, 손톱 등을 들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피부, 손톱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피부이다.
피막 형성 대상물이 피부인 경우, 본 발명의 피막 제조 방법은, 인체의 수술, 치료 또는 진단 방법을 목적으로 하지 않는 각종 미용 방법으로서 유용한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피막 제조 방법을, 미용의 목적으로, 피부의 미백, 피부의 검버섯 등의 은폐, 피부의 칙칙함·다크서클의 은폐, 피부의 주름의 은폐, 피부의 바림, 자외선으로부터의 피부의 보호, 피부의 보습에 적용할 수 있다. 이외에, 가정 내에서 개인적으로 실시하는 피부의 보호를 위한 각종 행위, 예를 들어 찰과상, 절창, 열창 및 자창 등의 각종 창상의 보호, 욕창의 방지 등에 본 발명의 피막 제조 방법을 적용할 수도 있다. 형성된 피막은, 관절 등의 피부의 신축의 정도가 큰 부위나, 어깨 등의 곡률이 큰 부위에 피막을 형성해도, 그 박리나 파단 등이 잘 생기지 않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자기의 피부에 피막을 형성시키고 싶은 사람이 정전 스프레이 장치 (10) 를 파지하고, 그 장치 (10) 의 노즐과 그 사람의 피부 사이에 전계를 발생시켰지만, 양자 사이에 전계가 발생하는 한, 자기의 피부에 피막을 형성시키고 싶은 사람이 정전 스프레이 장치 (10) 를 파지할 필요는 없다. 또,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전 스프레이 장치 (10) 는, 사람의 손으로 파지 가능한 장치이지만, 사람의 손으로 파지 가능한 스프레이 노즐을 구비하는 조작부를 갖는 정전 스프레이 장치여도 된다.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 관하여, 본 발명은 추가로 이하의 피막의 제조 방법을 개시한다.
<1>
피막 형성 대상물의 표면에 피막을 형성하는 피막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피막 형성 대상물에 조성물을 직접 정전 스프레이하여 섬유를 포함하는 퇴적물로 이루어지는 피막을 형성하는 정전 스프레이 공정을 구비하고, 상기 조성물이, 이하의 성분 (a), 성분 (b) 및 성분 (c) 를 포함하는, 피막의 제조 방법. (a) 물, 알코올 및 케톤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휘발성 물질. (b) 피막 형성능을 갖는 폴리머. (c) 20 ℃ 에서 액체인 오일 및 폴리올로부터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함유하는 액제.
<2>
상기 피막은, 구성하는 상기 섬유의 표면측에, 상기 성분 (c) 가 존재하는 액제 담지 피막을 가지고 있는, 상기 <1> 에 기재된 피막의 제조 방법.
<3>
상기 피막 혹은 분무용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성분 (b) 와 상기 성분 (c) 의 합계량에 대한 상기 성분 (c) 의 질량비 ((c)/((b) + (c))) 의 값이, 바람직하게는 0.05 이상 0.75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8 이상 0.7 이하인, 상기 <1> 또는 <2> 에 기재된 피막의 제조 방법.
<4>
상기 피막 혹은 분무용 조성물에 있어서의, 성분 (b) 와 성분 (c) 의 합계량에 대한 성분 (c) 의 질량비 ((c)/((b) + (c))) 의 값이, 바람직하게는 0.1 이상 0.55 이하인, 상기 <1> 또는 <2> 에 기재된 피막의 제조 방법.
<5>
상기 성분 (c) 가, 탄화수소유, 에스테르유, 실리콘유, 고급 알코올, 및 폴리올로부터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물질인,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피막의 제조 방법.
<6>
상기 정전 스프레이 공정에 있어서, 정전 스프레이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피막 형성 대상물에 상기 조성물을 정전 스프레이하여, 섬유의 퇴적물로 이루어지는 피막을 형성하고, 상기 정전 스프레이 장치가, 상기 조성물을 수용하는 용기와, 상기 조성물을 토출하는 노즐과, 상기 용기 중에 수용되어 있는 상기 조성물을 상기 노즐에 공급하는 공급 장치와, 상기 노즐에 전압을 인가하는 전원을 구비하는 상기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피막의 제조 방법.
<7>
상기 성분 (a) 의 휘발성 물질은, 그 증기압이 20 ℃ 에 있어서 0.01 ㎪ 이상 106.66 ㎪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0.13 ㎪ 이상 66.66 ㎪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67 ㎪ 이상 40.00 ㎪ 이하이고, 한층 더 바람직하게는 1.33 ㎪ 이상 40.00 ㎪ 이하인, 상기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피막의 제조 방법.
<8>
상기 성분 (a) 의 휘발성 물질은, 알코올을 함유하고, 바람직하게는 1 가의 사슬형 지방족 알코올, 1 가의 고리형 지방족 알코올, 및 1 가의 방향족 알코올로부터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함유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코올, 부틸알코올, 페닐에틸알코올, 프로판올, 및 펜탄올로부터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함유하는, 상기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피막의 제조 방법.
<9>
상기 성분 (a) 의 휘발성 물질이, (a1)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코올, 부틸알코올로부터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과, (a2) 물의 혼합액이고, 바람직하게는 성분 (a2) 와 성분 (a1) 의 질량비 (a2)/(a1) 이 0.0025 이상 0.3 이하인, 상기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피막의 제조 방법.
<10>
상기 성분 (a) 의 휘발성 물질은, 케톤을 함유하고, 바람직하게는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및 메틸이소부틸케톤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함유하는, 상기 <1>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피막의 제조 방법.
<11>
상기 성분 (a) 의 휘발성 물질은, (a1)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코올, 부틸알코올, 및 (a2) 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에탄올, 및 부틸알코올로부터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및 (a2) 물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a1) 에탄올 및 (a2) 물인, 상기 <1>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피막의 제조 방법.
<12>
피막 형성능을 갖는 폴리머는 수용성 폴리머를 함유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용성인 피막 형성능을 갖는 폴리머는, 풀루란, 히알루론산, 콘드로이틴황산, 폴리-γ-글루탐산, 변성 콘스타치, β-글루칸, 글루코올리고당, 헤파린, 케라토황산 등의 뮤코다당, 셀룰로오스, 펙틴, 자일란, 리그닌, 글루코만난, 갈락투론산, 사일리움 씨드 검, 타마린드 종자 검, 아라비아 검, 트래거캔스 검, 대두 수용성 다당, 알긴산, 카라기난, 라미나란, 한천 (아가로오스), 푸코이단, 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등의 천연 고분자, 부분 비누화 폴리비닐알코올 (가교제와 병용하지 않음), 저비누화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돈 (PVP), 폴리에틸렌옥사이드, 및 폴리아크릴산나트륨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인, 상기 <1> 내지 <1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피막의 제조 방법.
<13>
성분 (b) 피막 형성능을 갖는 폴리머는 수불용성 폴리머를 함유하고, 상기 수불용성인 피막 형성능을 갖는 폴리머는, 피막 형성 후에 불용화 처리할 수 있는 완전 비누화 폴리비닐알코올, 가교제와 병용함으로써 피막 형성 후에 가교 처리할 수 있는 부분 비누화 폴리비닐알코올, 옥사졸린 변성 실리콘, 폴리비닐아세탈디에틸아미노아세테이트, 제인, 폴리에스테르, 폴리락트산 (PLA), 폴리아크릴로니트릴 수지, 아크릴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폴리비닐부티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및 폴리아미드이미드 수지로부터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성분 (b) 는 수불용성 폴리머인, 상기 <1> 내지 <1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피막의 제조 방법.
<14>
상기 성분 (c) 인 20 ℃ 에서 액체인 오일은, 20 ℃ 에 있어서 액상인 탄화수소유, 에스테르유, 실리콘유, 및 고급 알코올로부터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에스테르유, 및 고급 알코올로부터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에스테르유로부터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함유하는, 상기 <1> 내지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피막의 제조 방법.
<15>
상기 성분 (c) 가, 탄화수소유, 에스테르유, 실리콘유, 및 폴리올로부터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인, 상기 <1> 내지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피막의 제조 방법.
<16>
상기 성분 (c) 인 20 ℃ 에서 액체인 오일은, 바람직하게는 20 ℃ 에 있어서 액상인 탄화수소유, 에스테르유, 실리콘유, 및 고급 알코올로부터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 에 있어서 액상인 탄화수소유, 에스테르유, 및 실리콘유로부터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포함하는, 상기 <1> 내지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피막의 제조 방법.
<17>
상기 성분 (c) 인 20 ℃ 에서 액체인 탄화수소유는, 유동 파라핀, 스쿠알란, 스쿠알렌, n-옥탄, n-헵탄, 시클로헥산, 경질 이소파라핀, 및 유동 이소파라핀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유동 파라핀, 및 스쿠알란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인, 상기 <14> 내지 <1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피막의 제조 방법.
<18>
상기 탄화수소유의 30 ℃ 에 있어서의 점도는, 바람직하게는 10 mPa·s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mPa·s 이상인, 상기 <14> 내지 <1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피막의 제조 방법.
<19>
30 ℃ 에 있어서 점도가 10 mPa·s 미만인, 이소도데칸, 이소헥사데칸, 및 수소 첨가 폴리이소부텐의 상기 조성물 중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10 질량%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 질량%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 질량% 이하이고,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0.5 질량% 이하이거나, 또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성물은 30 ℃ 에 있어서 점도가 10 mPa·s 미만인, 이소도데칸, 이소헥사데칸, 및 수소 첨가 폴리이소부텐을 함유하지 않는, 상기 <1> 내지 <1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피막의 제조 방법.
<20>
상기 성분 (c) 인 20 ℃ 에서 액체인 에스테르유는, HLB 값이 10 이하인 에스테르 화합물이고, 지방산에스테르, 지방산알코올에스테르, 다가 알코올에스테르,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로부터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인, 상기 <14> 또는 <16> 에 기재된 피막의 제조 방법.
<21>
상기 성분 (c) 인 20 ℃ 에서 액체인 에스테르유는, 미리스트산이소프로필, 옥탄산세틸, 미리스트산옥틸도데실, 팔미트산이소프로필, 스테아르산부틸, 라우르산헥실, 미리스트산미리스틸, 올레산데실, 디메틸옥탄산헥실데실, 락트산세틸, 락트산미리스틸, 아세트산라놀린, 스테아르산이소세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12-하이드록시스테아릴산콜레스테릴, 디2-에틸헥산산에틸렌글리콜, 디펜타에리트리톨지방산에스테르, 모노이소스테아르산N-알킬글리콜, 디카프르산네오펜틸글리콜, 말산디이소스테아릴, 디2-헵틸운데칸산글리세린, 트리2-에틸헥산산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이소스테아르산트리메틸올프로판, 테트라2-에틸헥산산펜타에리트리트,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르산트리메틸올프로판, 세틸2-에틸헥사노에이트, 2-에틸헥실팔미테이트,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디에틸헥실, 벤조산 (탄소수 12 ∼ 15) 알킬, 이소노닐이소노나노에이트, 세테아릴이소노나노에이트, 트리(카프릴산·카프르산)글리세린, (디카프릴산/카프르산)부틸렌글리콜, 트리라우르산글리세릴, 트리미리스트산글리세릴, 트리팔미트산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르산글리세릴, 트리2-헵틸운데칸산글리세릴, 트리베헨산글리세릴, 트리야자유지방산글리세릴, 트리올레산글리세릴, 트리리놀산글리세릴, 피마자유지방산메틸에스테르, 올레산올레일, 팔미트산2-헵틸운데실, 아디프산디이소부틸, N-라우로일-L-글루탐산-2-옥틸도데실에스테르, 아디프산디2-헵틸운데실, 에틸라우레이트, 아디프산이소부틸, 세바크산디에틸, 세바크산디2-에틸헥실, 미리스트산2-헥실데실, 팔미트산2-헥실데실, 아디프산2-헥실데실, 세바크산디이소프로필, 숙신산디2-에틸헥실, 시트르산트리에틸, 파라메톡시신남산2-에틸헥실, 디피발산트리프로필렌글리콜로부터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인, 상기 <20> 에 기재된 피막의 제조 방법.
<22>
상기 성분 (c) 인 20 ℃ 에서 액체인 에스테르유의 지방산에스테르, 지방산알코올에스테르, 다가 알코올에스테르, 및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는, 바람직하게는 미리스트산옥틸도데실, 미리스트산미리스틸, 스테아르산이소세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세테아릴이소노나노에이트, 아디프산이소부틸, 세바크산디에틸, 세바크산디2-에틸헥실, 미리스트산이소프로필, 팔미트산이소프로필, 말산디이소스테아릴, 디카프르산네오펜틸글리콜, 벤조산 (탄소수 12 ∼ 15) 알킬, 이소노닐이소노나노에이트, 트리(카프릴산·카프르산)글리세린, 트리아실글리세라이드로부터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미리스트산이소프로필, 팔미트산이소프로필, 말산디이소스테아릴, 세바크산디에틸, 디카프르산네오펜틸글리콜, 벤조산 (탄소수 12 ∼ 15) 알킬, 이소노닐이소노나노에이트, 트리(카프릴산·카프르산)글리세린, 및 트리아실글리세라이드로부터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인, 상기 <21> 에 기재된 피막의 제조 방법.
<23>
상기 성분 (c) 인 20 ℃ 에서 액체인 에스테르유의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는, HLB 값이 10 이하인, 이소스테아르산폴리글리세릴, 디이소스테아르산폴리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르산폴리글리세릴, 스테아르산폴리글리세릴, 올레산폴리글리세릴, 및 세스퀴카프르산폴리글리세릴로부터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이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디이소스테아르산폴리글리세릴인 상기 <20> 에 기재된 피막의 제조 방법.
<24>
상기 성분 (c) 인 20 ℃ 에서 액체인 에스테르유의 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는, HLB 값이 10 이하인, 모노스테아르산소르비탄, 모노올레산소르비탄, 세스퀴올레산소르비탄, 세스퀴이소스테아르산소르비탄, 모노팔미트산소르비탄, 트리스테아르산소르비탄, 트리올레산소르비탄, 야자유지방산소르비탄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인, 상기 <20> 에 기재된 피막의 제조 방법.
<25>
상기 성분 (c) 인 20 ℃ 에서 액체인 실리콘유는, 디메틸폴리실록산, 디메틸시클로폴리실록산,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고급 알코올 변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인, 상기 <14> 또는 <16> 에 기재된 피막의 제조 방법.
<26>
상기 실리콘유의 조성물 중의 함유량은, 10 질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5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 질량% 이하,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0.1 질량% 이하이고,
25 ℃ 에 있어서의 상기 실리콘유의 동점도는, 3 ㎟/s 이상, 바람직하게는 4 ㎟/s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5 ㎟/s 이상이고, 30 ㎟/s 이하, 바람직하게는 20 ㎟/s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s 이하이고,
상기 실리콘유는 디메틸폴리실록산을 포함하는, 상기 <25> 에 기재된 피막의 제조 방법.
<27>
상기 성분 (c) 인 20 ℃ 에서 액체인 고급 알코올은, 탄소수 12 ∼ 20 의 액상의 고급 알코올이고, 상기 고급 알코올은, 분기 지방산 혹은 불포화 지방산의 고급 알코올로부터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이소스테아릴알코올, 및 올레일알코올로부터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인, 상기 <14> 또는 <16> 에 기재된 피막의 제조 방법.
<28>
상기 성분 (c) 인 폴리올은,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1,3-프로판디올, 1,3-부탄디올, 디에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수 평균 분자량이 1000 이하인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및 트리글리세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수 평균 분자량이 600 이하인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1,3-부탄디올, 디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글리세린, 및 디글리세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프로필렌글리콜, 1,3-부탄디올, 글리세린, 및 디프로필렌글리콜로부터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인, 상기 <1> 내지 <2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피막의 제조 방법.
<29>
상기 성분 (c) 의 20 ℃ 에서 액체인 오일 및 폴리올은, 탄화수소유, 에스테르유, 실리콘유, 및 고급 알코올로부터 선택되는 20 ℃ 에서 액체인 오일, 그리고 알킬렌글리콜, 폴리알킬렌글리콜, 글리세린 및 트리글리세린으로부터 선택되는 폴리올로부터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물질이고, 바람직하게는, 유동 파라핀, 스쿠알란, 미리스트산이소프로필, 팔미트산이소프로필, 말산디이소스테아릴, 세바크산디에틸, 디카프르산네오펜틸글리콜, 벤조산 (탄소수 12 ∼ 15) 알킬, 이소노닐이소노나노에이트, 트리(카프릴산·카프르산)글리세린, 트리아실글리세라이드, HLB 값이 10 이하인, 이소스테아르산폴리글리세릴, 디이소스테아르산폴리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르산폴리글리세릴, 스테아르산폴리글리세릴, 올레산폴리글리세릴, 세스퀴카프르산폴리글리세릴, 이소스테아르산폴리글리세릴, 디이소스테아르산폴리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르산폴리글리세릴, 스테아르산폴리글리세릴, 올레산폴리글리세릴, 세스퀴카프르산폴리글리세릴, 디메틸폴리실록산, 수 평균 분자량이 600 이하인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1,3-부탄디올, 디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글리세린, 및 디글리세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인, 상기 <1> 내지 <2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피막의 제조 방법.
<30>
상기 성분 (a) 가 (a1) 에탄올과 (a2) 물을 포함하고, 성분 (b) 가 완전 비누화 폴리비닐알코올, 부분 비누화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부티랄 수지, (아크릴산알킬·옥틸아미드) 공중합체, 옥사졸린 변성 실리콘, 폴리에스테르 및 제인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이고, 성분 (c) 가 탄화수소유, 에스테르유, 실리콘유, 및 폴리올로부터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인, 상기 <1> 내지 <2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피막의 제조 방법.
<31>
상기 성분 (a) 가 (a1) 에탄올과 (a2) 물을 포함하고, 성분 (b) 가 폴리비닐부티랄 수지, (아크릴산알킬·옥틸아미드) 공중합체로부터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이고, 성분 (c) 가 탄화수소유, 에스테르유, 실리콘유, 및 폴리올로부터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인, 상기 <1> 내지 <2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피막의 제조 방법.
<32>
상기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성분 (a) 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50 질량% 이상 98 질량%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5 질량% 이상 96 질량%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질량% 이상 94 질량% 이하인, 상기 <1> 내지 <3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피막의 제조 방법.
<33>
성분 (c) 이외의 오일은, 상기 조성물 중의 함유량이, 바람직하게는 10 질량%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8 질량%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6 질량% 이하인, 상기 <1> 내지 <3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피막의 제조 방법.
<34>
상기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성분 (b) 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2 질량% 이상 50 질량%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 질량% 이상 45 질량%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6 질량% 이상 40 질량% 이하인, 상기 <1> 내지 <3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피막의 제조 방법.
<35>
상기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성분 (c) 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5 질량% 이상 30 질량%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 질량% 이상 25 질량%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질량% 이상 20 질량% 이하인, 상기 <1> 내지 <3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피막의 제조 방법.
<36>
상기 조성물에 있어서의 성분 (a) 의 함유량이 55 질량% 이상 96 질량% 이하이고, 성분 (b) 의 함유량이 4 질량% 이상 45 질량% 이하이고, 성분 (c) 의 함유량이 1 질량% 이상 25 질량%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질량% 이상 20 질량% 이하인, 상기 <1> 내지 <3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피막의 제조 방법.
<37>
상기 조성물 중에는, 상기 성분 (a), 상기 성분 (b) 및 상기 성분 (c) 만이 포함되어 있거나, 혹은, 그 성분 (a), 그 성분 (b) 및 그 성분 (c) 에 더하여 다른 성분이 포함되어 있고,
상기 다른 성분은, 착색 안료, 체질 안료, 염료, HLB 값이 10 초과인 계면 활성제, UV 방어제, 향료, 기피제, 산화 방지제, 안정제, 방부제, 제한제, 각종 비타민인, 상기 <1> 내지 <3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피막의 제조 방법.
<38>
상기 조성물 중의 상기 다른 성분의 배합 비율은, 0.1 질량% 이상 30 질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0.5 질량% 이상 20 질량% 이하인, 상기 <37> 에 기재된 피막의 제조 방법.
<39>
상기 조성물은, 그 점도가, 25 ℃ 에 있어서, 1 mPa·s 이상, 바람직하게는 10 mPa·s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mPa·s 이상이고, 또, 25 ℃ 에 있어서, 5000 mPa·s 이하, 바람직하게는 2000 mPa·s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500 mPa·s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1 mPa·s 이상 5000 mPa·s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mPa·s 이상 2000 mPa·s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mPa·s 이상 1500 mPa·s 이하인, 상기 <1> 내지 <3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피막의 제조 방법.
<40>
상기 피막 형성 대상물이 사람의 피부의 표면인, 상기 <1> 내지 <3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피막의 제조 방법.
<41>
상기 피막은, 피막의 형성 후에 피막을 통해 피부의 색을 시인할 수 있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상기 <40> 에 기재된 피막의 제조 방법.
<42>
상기 조성물은 20 ℃ 에서 액상으로서, 상기 섬유는 상기 액상의 조성물이 정전 스프레이되어 형성되는, 상기 <1> 내지 <4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피막의 제조 방법.
<43>
상기 피막을 형성하는 섬유가 연속 섬유인, 상기 <1> 내지 <4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피막의 제조 방법.
<44>
상기 피막은, 형성하는 섬유의 교차하는 부분에 있어서의 결합부를 포함하는, 상기 <1> 내지 <4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피막의 제조 방법.
<45>
상기 피막 형성 대상물이 사람의 피부이고, 정전 스프레이에 의해 피부에 섬유를 포함하는 퇴적물로 이루어지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피막을 형성하기 위한 상기 <1> 내지 <4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피막의 제조 방법을 위한 상기 조성물의 사용.
<46>
상기 피막 형성 대상물이 사람의 피부이고, 상기 조성물의 상기 <1> 내지 <4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정전 스프레이에 의한 피막의 제조를 위한 사용.
<47>
상기 정전 스프레이에 사용하는 장치가, 사람의 손으로 파지 가능한 정전 스프레이 장치 또는 사람의 손으로 파지 가능한 스프레이 노즐을 구비하는 조작부를 갖는 정전 스프레이 장치인, 상기 <1> 내지 <4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피막의 제조 방법.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러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는 「질량%」를 의미한다.
[실시예 1]
(1) 분무용 조성물의 조제
분무용 조성물의 성분 (a) 로서 에탄올 (와코 순약 공업 (주) 사 제조 : 상품명 에탄올 (99.5)) 을 사용하였다. 분무용 조성물의 성분 (b) 로서 폴리비닐부티랄 (세키스이 화학 공업 (주) 사 제조 : 상품명 S-LEC B BM-1) 을 사용하였다. 분무용 조성물의 성분 (c) 로서 글리세린 (카오 (주) 사 제조 : 상품명 화장품용 농글리세린) 을 사용하였다. 분무용 조성물에 있어서의 배합 비율은, 표 1 및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또한, 표 1 및 2 에 나타내는 에탄올 및 글리세린의 양은, 유효량이며 물을 포함하지 않는다.
(2) 정전 스프레이 공정
도 1 에 나타내는 구성을 갖고, 도 2 에 나타내는 외관을 갖는 정전 스프레이 장치 (10) 를 사용하고, 직접 피부를 향하여 정전 스프레이법을 20 초간 실시하였다. 정전 스프레이법의 조건은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였다.
·인가 전압 : 10 ㎸
·노즐과 피부의 거리 : 100 ㎜
·분무용 조성물의 토출량 : 5 ㎖/h
·환경 : 25 ℃, 30 % RH
이 정전 스프레이에 의해, 피부의 표면에 섬유의 퇴적물로 이루어지는 1 장의 막의 형태인 피막이 형성되었다. 피막은 직경 약 4 ㎝ 의 원이고, 질량은 약 3.8 ㎎ 이었다. 상기 서술한 방법으로 측정된 섬유의 굵기는 660 ㎚ 였다.
[실시예 2 ∼ 실시예 5]
분무용 조성물에 있어서의 성분 (a), (b) 및 (c) 를, 이하의 표 1 에 나타내는 조건으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정전 스프레이 공정을 실시하고, 섬유의 퇴적물로 이루어지는 피막을 얻었다.
[실시예 6 ∼ 실시예 10]
분무용 조성물에 있어서의 성분 (c) 를 디이소스테아르산폴리글리세릴-2 (닛신 오일리오 그룹 주식회사 제조 : 상품명 코스몰 42V) 로 변경하고, 이하의 표 1 에 나타내는 조건으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정전 스프레이 공정을 실시하고, 섬유의 퇴적물로 이루어지는 피막을 얻었다.
[실시예 11]
분무용 조성물에 있어서의 성분 (a) 를 실시예 1 에 사용한 에탄올에 1-부탄올 (와코 순약 공업 (주) 사 제조 : 상품명 1Butanol) 을 추가로 첨가한 것으로 변경하고, 성분 (b) 를 (아크릴산알킬·옥틸아크릴아미드) 코폴리머 (Akzonobel 사 제조 : 상품명 DERMACRYL 79) 로 변경하고, 성분 (c) 를 디이소스테아르산폴리글리세릴-10 (마츠모토 파인케미컬 주식회사 제조 : 상품명 마츠네이트 MI-102) 으로 변경하고, 이하의 표 1 에 나타내는 조건으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정전 스프레이 공정을 실시하고, 섬유의 퇴적물로 이루어지는 피막을 얻었다.
[비교예 1]
분무용 조성물에 성분 (c) 를 함유하지 않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정전 스프레이 공정을 실시하고, 섬유의 퇴적물로 이루어지는 피막을 얻었다.
[비교예 2]
분무용 조성물에 성분 (c) 를 함유하지 않고, 성분 (a) 를 실시예 1 에 사용한 에탄올에 1-부탄올 (와코 순약 공업 (주) 사 제조 : 상품명 1Butanol) 을 추가로 첨가한 것으로 변경하고, 성분 (b) 를 (아크릴산알킬·옥틸아크릴아미드) 코폴리머 (Akzonobel 사 제조 : 상품명 DERMACRYL 79) 로 변경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정전 스프레이 공정을 실시하고, 섬유의 퇴적물로 이루어지는 피막을 얻었다.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형성된 피막에 대하여, 피부와의 밀착성, 피막의 외관을,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피부와의 밀착성>
1 : 정전 스프레이 공정에서의 방사 직후부터 피막이 거의 전부 박리된다.
2 : 정전 스프레이 공정에서의 방사 직후에는 피막이 첩착되지만, 정지 상태 30 분 후에 피막 면적의 50 % 이상이 박리된다.
3 : 정전 스프레이 공정에서의 방사 직후에는 피막이 첩착되지만, 정지 상태 30 분 후에 피막 면적의 50 % 미만이 박리된다.
4 : 정전 스프레이 공정에서의 방사 후, 정지 상태에서 30 분간은 피막이 첩착되지만, 손가락으로 평행 방향으로 전단력을 부여하면 박리된다.
5 : 정전 스프레이 공정에서의 방사 후, 정지 상태에서 30 분간은 피막이 첩착되고, 손가락으로 평행 방향으로 전단력을 부여해도 박리되지 않는다.
<피막의 외관>
1 : 피막의 외관이 희게 보인다.
2 : 피막의 외관이 흰색에 가까운 반투명으로 보인다.
3 : 피막의 외관이 반투명으로 보인다.
4 : 피막의 외관이 옅은 반투명으로 보인다.
5 : 피막의 외관이 투명으로 보인다.
Figure 112019062958958-pct00001
[실시예 12]
실시예 3 의 분무용 조성물을 사용하고, 실시예 1 의 정전 스프레이 공정으로, 이하에 나타내는 대상물 (d) 및 (e) 에 정전 스프레이법을 5 초간 실시하였다. 부착하고 나서 30 초 경과 후의 섬유의 퇴적물로 이루어지는 피막을 얻었다.
(d) 손바닥
(e) 100 ㎜ × 100 ㎜ × 10 ㎜ 의 알루미늄 금속판 표면
[실시예 13]
실시예 7 의 분무용 조성물을 사용하고, 실시예 12 와 동일하게 하여 정전 스프레이 공정을 실시하고 섬유의 퇴적물로 이루어지는 피막을 얻었다.
[실시예 14]
분무용 조성물에 있어서의 성분 (a), (b), (c) 를, 이하의 표 2 에 나타내는 조건으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2 와 동일하게 하여, 정전 스프레이 공정을 실시하고, 섬유의 퇴적물로 이루어지는 피막을 얻었다.
[비교예 3]
비교예 1 의 분무용 조성물을 사용하고, 실시예 1 의 정전 스프레이 공정으로, 실시예 12 와 동일하게 하여, 정전 스프레이 공정을 실시하고, 섬유의 퇴적물로 이루어지는 피막을 얻었다.
[평가]
대상물 (d) 와 (e) 에 정전 스프레이하여 30 초간 부착시킨 후에, 피막을 박리하고, 주사형 전자 현미경 (SEM) 관찰에 의해, 섬유 직경을 직접 판독함으로써 평균 섬유 직경을 얻었다. 섬유의 굵기는, 주사형 전자 현미경 (SEM) 관찰에 의해, 섬유를 10000 배로 확대하여 관찰하고, 그 2 차원 화상으로부터 결함 (섬유의 덩어리, 섬유의 교차 부분, 액적) 을 제외하고, 섬유를 임의로 10 개 골라내어, 섬유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선을 긋고, 섬유 직경을 직접 판독함으로써 측정하였다. (1) 식을 만족하는 경우에는 피부와의 밀착성이나 피막의 외관이 양호해지고, (2) 식을 만족하는 경우에는 피부와 잘 밀착되지 않고, 외관도 희고 부자연스러운 상태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d) 의 평균 섬유 직경 > (e) 의 평균 섬유 직경 ···(1)
(d) 의 평균 섬유 직경 ≤ (e) 의 평균 섬유 직경 ···(2)
Figure 112019062958958-pct00002
표 1 및 표 2 에 나타내는 결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각 실시예의 방법에 의해 형성된 피막은, 비교예의 방법에 의해 형성된 피막에 비하여, 피부와의 밀착성이 높고, 투명성이 높은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15 ∼ 실시예 28]
표 3, 표 4 에 나타내는 분무용 조성물에 대하여,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정전 스프레이 공정을 실시하고, 섬유 퇴적물로 이루어지는 피막을 얻었다.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피부와의 밀착성, 피막의 외관의 평가와, 하기의 피막의 감촉의 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 3 및 표 4 에 나타낸다.
<피막의 감촉>
실시예 15 ∼ 실시예 28 의 피막에 대하여, 피막 형성 후 30 분 후의 피막을 손가락으로 눌렀을 때의 감촉을 이하의 평가 기준에 의해 평가하였다. 평가는 3 명으로 실시하고, 협의의 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
1 : 끈적끈적함
2 : 약간 끈적거림
3 : 촉촉한 감촉
4 : 매끄러움
5 : 미끄러질 것처럼 매끄러움
- : 밀착성의 평가가 5 미만
Figure 112019062958958-pct00003
※1 KF-96A-63CS (신에츠 화학 공업 주식회사 제조)
※2 에스테몰 N-01 (닛신 오일리오 그룹 주식회사 제조)
※3 사라코스 99 (닛신 오일리오 그룹 주식회사 제조)
Figure 112019062958958-pct00004
실시예 23, 25 ∼ 28 의 피막의 형성에 사용한 분무 조성물의 점도를 하기의 조건에서 측정하였다. 그 점도의 측정 결과와, 실시예 23, 25 ∼ 28 의 피막의 밀착성 및 감촉의 평가를 표 5 에 나타낸다.
표 5 에 나타내는 실시예 26, 28 의 피막은, 피부와의 밀착성이 높고 촉촉한 감촉의 피막이지만, 약간 택력 (tackiness) 이 있고, 성분 (b) 가 완전하게 건조되지 않아 택력이 발현된 것에 의한 감촉이라고 생각된다. 한편, 성분 (b) 에 대하여 성분 (c) 의 함유량이 많은 실시예 27 의 피막은, 피부와의 밀착성이 높고 약간 끈적거리는 감촉이고, 성분 (c) 에 유래하는 끈적거림이라고 생각된다.
점도의 측정 조건은, 분무 조성물을 조제 후 1 일 25 ℃ 에서 보존 후, 25 ℃ 에 있어서, E 형 점도계 (Visconic EMD, 도쿄 계기 주식회사 제조) 에 의해, 로터 No.43 을 사용하고, 회전수는 1280 mPa·s 이상의 경우에는 1 rpm, 128 mPa·s 이상 1280 mPa·s 미만의 경우에는 10 rpm, 128 mPa·s 미만의 경우에는 100 rpm 으로 하였다.
Figure 112019062958958-pct00005
실시예 3 의 피막과, 비교예 1 의 피막의 SEM 화상을 각각 도 3, 도 4 에 나타낸다. SEM 화상은, 피막 형성을 하고 나서 30 분 경과 후, 금 증착 처리하고, 가속 전압 10 ㎸, 5000 배의 조건에서 전자 현미경 (JEOL, JSM-6510) 에 의해 관찰하여 촬영한 화상이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3 의 피막에는 섬유끼리의 교차 부분에 결합되어 있는 결합점의 존재가 확인된다.
[실시예 29]
표 6 에 기재된 분무 조성물에 대하여,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정전 스프레이 공정을 실시하고, 섬유 퇴적물로 이루어지는 피막을 얻었다.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피막의 외관의 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 6 에 나타낸다.
Figure 112019062958958-pct00006
표 6 에 나타내는 결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실시예 29 의 피막은, 외관이 반투명하였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에 의하면, 피막 형성 대상물과 정전 스프레이에 의해 형성된 피막의 밀착성이 높아짐과 함께, 피막의 외관이 투명하고 피막 형성 대상물을 자연스러운 상태로 피복할 수 있다.

Claims (15)

  1. 피막 형성 대상물의 표면에 피막을 형성하는 피막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피막 형성 대상물에 조성물을 직접 정전 스프레이하여 섬유를 포함하는 퇴적물로 이루어지는 피막을 형성하는 정전 스프레이 공정을 구비하고,
    상기 조성물이, 이하의 성분 (a), 성분 (b) 및 성분 (c) 를 포함하고,
    상기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성분 (a) 의 함유량은 50 질량% 이상이고,
    상기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성분 (b) 의 함유량은 6 질량% 이상 40 질량% 이하이고,
    상기 피막 혹은 상기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성분 (b) 와 상기 성분 (c) 의 합계량에 대한 상기 성분 (c) 의 질량비 ((c)/((b) + (c))) 의 값이, 0.05 이상 0.75 이하인, 피막의 제조 방법.
    (a) 물, 알코올 및 케톤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휘발성 물질.
    (b) 피막 형성능을 갖는 수불용성 폴리머.
    (c) 20 ℃ 에서 액체인 오일 및 폴리올로부터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함유하는 액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막은, 구성하는 상기 섬유의 표면측에, 상기 성분 (c) 가 존재하는 액제 담지 피막을 가지고 있는, 피막의 제조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 (c) 가, 탄화수소유, 에스테르유, 실리콘유, 고급 알코올, 및 폴리올로부터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물질인, 피막의 제조 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 스프레이 공정에 있어서, 정전 스프레이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피막 형성 대상물에 상기 조성물을 정전 스프레이하여, 섬유의 퇴적물로 이루어지는 피막을 형성하고,
    상기 정전 스프레이 장치가, 상기 조성물을 수용하는 용기와, 상기 조성물을 토출하는 노즐과, 상기 용기 중에 수용되어 있는 상기 조성물을 상기 노즐에 공급하는 공급 장치와, 상기 노즐에 전압을 인가하는 전원을 구비하는 피막의 제조 방법.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피막 형성 대상물이 사람의 피부의 표면인 피막의 제조 방법.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성분 (a) 가 성분 (a1)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코올, 및 부틸알코올로부터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과 성분 (a2) 물을 함유하는 피막의 제조 방법.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성분 (c) 가, 탄화수소유, 에스테르유, 실리콘유, 및 폴리올로부터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인 피막의 제조 방법.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20 ℃ 에서 액상으로서, 상기 섬유는 상기 액상의 조성물이 정전 스프레이되어 형성되는 피막의 제조 방법.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피막 형성 대상물이 사람의 피부로서, 피막은 피막의 형성 후에 피막을 통해 피부의 색을 시인할 수 있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피막의 제조 방법.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피막을 형성하는 섬유가 연속 섬유인 피막의 제조 방법.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피막은, 형성하는 섬유의 교차하는 부분에 있어서의 결합부를 포함하는 피막의 제조 방법.
  1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성분 (a) 가 (a1) 에탄올과 (a2) 물을 포함하고, 성분 (b) 가 완전 비누화 폴리비닐알코올, 부분 비누화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부티랄 수지, (아크릴산알킬·옥틸아미드) 공중합체, 옥사졸린 변성 실리콘, 폴리에스테르, 및 제인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이고, 성분 (c) 가 탄화수소유, 에스테르유, 실리콘유, 및 폴리올로부터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인 피막의 제조 방법.
  1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 스프레이의 장치가, 사람의 손으로 파지 가능한 정전 스프레이 장치 또는 사람의 손으로 파지 가능한 스프레이 노즐을 구비하는 조작부를 갖는 정전 스프레이 장치인 피막의 제조 방법.
  14. 이하의 성분 (a), 성분 (b) 및 성분 (c) 를 포함하는 조성물로서,
    상기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성분 (a) 의 함유량은 50 질량% 이상이고,
    상기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성분 (b) 의 함유량은 6 질량% 이상 40 질량% 이하이고,
    피막 혹은 상기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성분 (b) 와 상기 성분 (c) 의 합계량에 대한 상기 성분 (c) 의 질량비 ((c)/((b) + (c))) 의 값이, 0.05 이상 0.75 이하이고,
    피막 형성 대상물에 직접 정전 스프레이하여, 섬유를 포함하는 퇴적물로 이루어지는 피막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조성물.
    (a) 물, 알코올 및 케톤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휘발성 물질.
    (b) 피막 형성능을 갖는 수불용성 폴리머.
    (c) 20 ℃ 에서 액체인 오일 및 폴리올로부터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함유하는 액제.
  15. 삭제
KR1020197017671A 2016-12-28 2017-12-27 피막의 제조 방법 KR1020207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255100 2016-12-28
JPJP-P-2016-255100 2016-12-28
PCT/JP2017/047079 WO2018124227A1 (ja) 2016-12-28 2017-12-27 被膜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8655A KR20190078655A (ko) 2019-07-04
KR102020751B1 true KR102020751B1 (ko) 2019-09-11

Family

ID=62709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7671A KR102020751B1 (ko) 2016-12-28 2017-12-27 피막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1571371B2 (ko)
EP (1) EP3563935B1 (ko)
JP (2) JP6453434B2 (ko)
KR (1) KR102020751B1 (ko)
CN (3) CN114917147A (ko)
AU (1) AU2017388849B2 (ko)
BR (1) BR112019013464A2 (ko)
TW (1) TWI682783B (ko)
WO (1) WO20181242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83487B2 (en) * 2018-08-09 2023-02-21 Kao Corporation Method for producing coating
JP7169813B2 (ja) * 2018-08-09 2022-11-11 花王株式会社 被膜の製造方法
WO2020111055A1 (ja) * 2018-11-26 2020-06-04 花王株式会社 皮膚用被膜
JP7288754B2 (ja) * 2018-12-07 2023-06-08 花王株式会社 塗膜の形成方法
JP7145058B2 (ja) * 2018-12-07 2022-09-30 花王株式会社 塗膜の形成方法
KR102470724B1 (ko) * 2019-05-31 2022-11-25 카오카부시키가이샤 피막 형성 조성물
US20220233410A1 (en) * 2019-05-31 2022-07-28 Kao Corporation Composition for forming coating film and ultrafine short fiber
JP6903794B2 (ja) * 2019-05-31 2021-07-14 花王株式会社 皮膜形成組成物
JP6894552B2 (ja) * 2019-05-31 2021-06-30 花王株式会社 極細短繊維
JP2021024862A (ja) * 2019-08-07 2021-02-22 花王株式会社 被膜形成用組成物
WO2021085394A1 (ja) 2019-10-28 2021-05-06 花王株式会社 繊維堆積体の製造方法、膜の製造方法及び膜の付着方法
CN114599828B (zh) 2019-10-28 2023-04-07 花王株式会社 纤维堆积体的制造方法、膜的制造方法及膜的附着方法
EP4101436A1 (en) * 2021-06-11 2022-12-14 IONIQ Skincare GmbH & Co. KG Electrostatically sprayable skin caring formulation
CN117425470A (zh) * 2021-07-19 2024-01-19 科蒂公司 止汗剂组合物
WO2023027151A1 (ja) * 2021-08-26 2023-03-02 花王株式会社 被膜の製造方法
TW202345771A (zh) * 2022-04-04 2023-12-01 日商花王股份有限公司 覆膜形成用組成物
CN115317655A (zh) * 2022-08-11 2022-11-11 百达联康生物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纤维膜及其制备方法
CN115418796A (zh) * 2022-09-14 2022-12-02 百达联康生物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抗菌纤维膜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115277D0 (en) 1991-07-15 1991-08-28 Unilever Plc Spraying system
GB9224191D0 (en) 1992-11-18 1993-01-06 Unilever Plc Cosmetic delivery system
ATE263629T1 (de) 1996-07-23 2004-04-15 Battelle Memorial Institute Vorrichtung zum spenden und verfahren zur formung eines materials
US6252129B1 (en) * 1996-07-23 2001-06-26 Electrosols, Ltd. Dispensing device and method for forming material
US20080119772A1 (en) * 2001-01-11 2008-05-22 Ronald Alan Coffee Dispensing device and method for forming material
US6514504B1 (en) * 1999-08-18 2003-02-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continuous films from skin care compositions
US6558682B2 (en) 1999-08-18 2003-05-0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continuous films from skin care compositions
US6461626B1 (en) 1999-08-18 2002-10-0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Wear resistant topical compositions having improved feel
US6531142B1 (en) * 1999-08-18 2003-03-1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table, electrostatically sprayable topical compositions
FR2816831B1 (fr) * 2000-11-23 2002-12-27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a phase continue lipophile contenant des fibres
US20020187181A1 (en) 2001-05-14 2002-12-1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ystem for delivering cosmetics and pharmaceuticals
US7008979B2 (en) 2002-04-30 2006-03-07 Hydromer, Inc. Coating composition for multiple hydrophilic applications
EP1643964A1 (en) 2003-06-19 2006-04-1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olyol-in-silicone emulsions
WO2005075090A1 (en) * 2004-02-09 2005-08-1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Electrostatic spraying device
CN101080252B (zh) * 2005-09-09 2010-10-13 宝洁公司 包含基于油包水乳液的多层的固体护肤组合物
JP4777760B2 (ja) * 2005-12-01 2011-09-21 株式会社Snt 網目状構造体を含む複合構造体
FR2910295B3 (fr) * 2006-12-20 2009-09-18 Oreal Procede de maquillage des matieres keratiniques et kit pour la mise en oeuvre d'un tel procede
JP2008179629A (ja) 2006-12-27 2008-08-07 Snt Co 化粧用シート
WO2011143131A1 (en) * 2010-05-11 2011-11-17 Shaosheng Dong Film forming personal care compositions and methods
TWI722028B (zh) * 2015-10-19 2021-03-21 日商花王股份有限公司 覆膜之製造方法
JP2018177724A (ja) 2017-04-18 2018-11-15 花王株式会社 外用薬
JP2018177725A (ja) 2017-04-18 2018-11-15 花王株式会社 外用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9038856A (ja) 2019-03-14
US20190343731A1 (en) 2019-11-14
CN112402296A (zh) 2021-02-26
BR112019013464A2 (pt) 2020-01-07
EP3563935B1 (en) 2021-09-08
EP3563935A1 (en) 2019-11-06
CN110121391B (zh) 2022-05-03
WO2018124227A1 (ja) 2018-07-05
TW201841604A (zh) 2018-12-01
KR20190078655A (ko) 2019-07-04
JP6453434B2 (ja) 2019-01-16
EP3563935A4 (en) 2020-08-19
JP2018108991A (ja) 2018-07-12
TWI682783B (zh) 2020-01-21
AU2017388849B2 (en) 2022-02-17
AU2017388849A1 (en) 2019-07-11
CN112402296B (zh) 2022-03-11
US11571371B2 (en) 2023-02-07
CN110121391A (zh) 2019-08-13
CN114917147A (zh) 2022-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0751B1 (ko) 피막의 제조 방법
KR101998043B1 (ko) 피막의 제조 방법
KR101892425B1 (ko) 피막의 제조 방법
KR102208595B1 (ko) 피막의 제조 방법
KR102095182B1 (ko) 피막 형성용 조성물
KR20190137096A (ko) 자외선 방어 피막의 제조 방법
KR20190137095A (ko) 피막의 제조 방법
JP2018177797A (ja) 化粧被膜の製造方法
EP3613409A1 (en) Method for producing ultraviolet protection coating fil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