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8911A - 엘리베이터의 도어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도어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8911A
KR20210058911A KR1020217011016A KR20217011016A KR20210058911A KR 20210058911 A KR20210058911 A KR 20210058911A KR 1020217011016 A KR1020217011016 A KR 1020217011016A KR 20217011016 A KR20217011016 A KR 20217011016A KR 20210058911 A KR20210058911 A KR 202100589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dynamic brake
circuit
brake control
control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1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6283B1 (ko
Inventor
도오루 하라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589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89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62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62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4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B13/143Control systems or devices electr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4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B13/143Control systems or devices electrical
    • B66B13/146Control systems or devices electrical method or algorithm for controlling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21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being independent of the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27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o permit passengers to leave an elevator car in case of failure, e.g. moving the car to a reference floor or unlocking the door

Abstract

정전 발생시에 엘리베이터의 도어를 안전하게 도어 닫힘시키고, 또한 구조 작업자에게 추가의 부담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도어 제어 장치는, 엘리베이터의 도어가 중간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정전이 발생되었을 경우에, 도어 완전 닫힘이 검출될 때까지의 동안에는 도어 모터(2)의 다이내믹 브레이크 제어를 실시하고, 도어 완전 닫힘이 검출되면 다이내믹 브레이크 제어를 해제하는 도어 다이내믹 브레이크 제어 회로(15)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도어 제어 장치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도어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의 도어가 중간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정전이 발생하면, 도어가 급속히 도어 닫힘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정전 발생시에 도어 모터를 감속 제어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개평 11-21052호 공보
정전 발생시에 엘리베이터의 도어를 저속으로 도어 닫힘시키기 위해서, 예를 들면, 도어 모터의 다이내믹 브레이크 제어를 실시하는 것이 고려된다. 그렇지만, 다이내믹 브레이크 제어가 실시되고 있는 경우, 도어를 수동으로 여는 것이 어렵게 될 수 있다. 이 경우, 도어의 완전 닫힘 후에 엘리베이터 칸 내 갇힘 구출 작업을 행하는 구조 작업자의 부담이 증대된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그 목적은, 정전 발생시에 엘리베이터의 도어를 안전하게 도어 닫힘시키고, 또한 구조 작업자에게 추가의 부담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도어 제어 장치는, 엘리베이터의 도어가 중간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정전이 발생되었을 경우에, 도어 완전 닫힘이 검출될 때까지의 동안에는 도어 모터의 다이내믹 브레이크 제어를 실시하고, 도어 완전 닫힘이 검출되면 다이내믹 브레이크 제어를 해제하는 도어 다이내믹 브레이크 제어 회로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도어 완전 닫힘이 검출될 때까지의 동안에는 다이내믹 브레이크 제어가 실시되고, 도어 완전 닫힘이 검출되면 다이내믹 브레이크 제어가 해제된다. 이 때문에, 정전 발생시에 엘리베이터의 도어를 안전하게 도어 닫힘시키고, 또한 구조 작업자에게 추가의 부담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도어 제어 장치를 나타내는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도어 제어 장치의 정전 발생시에 있어서의 각 전원 및 신호의 타이밍 차트이다.
도 3은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도어 제어 장치의 정전 복구시에 있어서의 각 전원 및 신호의 타이밍 차트이다.
도 4는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도어 제어 장치를 나타내는 전체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각 도면에 있어서,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가 부여된다. 중복되는 설명은, 적절히 간략화 혹은 생략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도어 제어 장치를 나타내는 전체 구성도이다.
도어 제어 장치는 통상시에 동력 전원(1)으로부터 전력의 공급을 받고, 도어 모터(2)에 전력을 공급한다. 도어 모터(2)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의 도어를 개폐시킨다. 도어 모터(2)로서는, 예를 들면, PM모터가 이용된다.
도어 제어 장치는 컨버터 회로(3), 평활 전해 캐패시터(4), 인버터 회로(5), 도어 제어 회로(6), 도어 완전 닫힘 검출 회로(7), 도어 제어 전원(8), 정전 검출 회로(9), 비상용 배터리(10), 비상용 제어 전원(11), 전환 회로(12), 단락 회로(13) 및 비상용 제어 회로(14)를 구비한다. 비상용 배터리(10)는, 예를 들면, 제어반 내에 마련되어 있다.
비상용 제어 회로(14)는 도어 다이내믹 브레이크 제어 회로(15)를 구비한다.
비상용 제어 회로(14)는, 예를 들면, 정전등 제어 회로(16)를 구비한다. 비상용 제어 회로(14)는, 예를 들면, 인터폰 제어 회로(17)를 구비한다.
인버터 회로(5)는 도어 모터(2)에 교류 전력을 공급한다. 도어 제어 회로(6)는 통상시에 인버터 회로(5)를 통해서 도어 모터(2)를 제어한다.
도어 완전 닫힘 검출 회로(7)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의 도어가 도어 완전 닫힘의 상태인지 여부를 검출한다.
도어 제어 회로(6) 및 도어 완전 닫힘 검출 회로(7)는, 통상시에 도어 제어 전원(8)으로부터 전력의 공급을 받는다.
정전 검출 회로(9)는, 예를 들면, 정전 발생시에 통상시의 동력 전원(1)이 소실된 것을 검출한다.
전환 회로(12)는 도어 제어 회로(6) 및 도어 완전 닫힘 검출 회로(7)의 전력 공급원을 통상시의 도어 제어 전원(8)으로부터 비상용 제어 전원(11)으로 전환하는 기능을 가진다.
단락 회로(13)는, 예를 들면, 도어 모터(2)의 상간(phase-to-phase)을 단락시키는 기능을 가진다.
정전등 제어 회로(16) 및 인터폰 제어 회로(17)는, 예를 들면, 정전 검출 회로(9)에 의해서 동력 전원(1)의 전원 소실이 검출되었을 경우에 동작한다. 정전등 제어 회로(16)는 정전시 등에 엘리베이터 칸 내의 정전등(18)을 구동 제어한다. 인터폰 제어 회로(17)는 정전시 등에 엘리베이터 칸 내의 인터폰(19)을 구동 제어한다.
도 2는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도어 제어 장치의 정전 발생시에 있어서의 각 전원 및 신호의 타이밍 차트이다.
도어 제어 회로(6)는, 정전 검출 회로(9)에 의해서 동력 전원(1)의 전원 소실이 검출되면, 인버터 회로(5)를 정지시킨다. 이와 같이, 정전 발생 직후에 인버터 회로(5)를 정지시켜 평활 전해 캐패시터(4)의 부하를 줄임으로써, 도어 제어 전원(8)은 몇 초간 소실되지 않는다.
도어 제어 회로(6)는, 정전 검출 회로(9)에 의해서 동력 전원(1)의 전원 소실이 검출되면, 도어 위치의 판정을 행한다. 도어 위치의 판정이란, 도어 완전 닫힘 검출 회로(7)에 의해서 도어 완전 닫힘 상태가 검출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것이다. 도어 완전 닫힘 상태가 검출되지 않는다고 하는 것은, 도어가 중간 위치에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어 위치의 판정은, 동력 전원(1)이 소실되고 나서 도어 제어 전원(8)이 소실될 때까지의 동안에 행해진다.
도어 위치의 판정 시점에서 도어 완전 닫힘 상태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 도어 제어 회로(6)는 전환 회로(12)에 정전 발생시 전환 신호를 송신하고, 비상용 제어 회로(14) 내의 도어 다이내믹 브레이크 제어 회로(15)에 다이내믹 브레이크 구동 지령 신호를 송신한다.
도어 제어 회로(6)는, 예를 들면, 정전 발생시 전환 신호의 송신 및 다이내믹 브레이크 구동 지령 신호의 송신을 동시에 행한다.
또한, 도어 위치의 판정 시점에서 도어 완전 닫힘 상태가 검출되는 경우, 도어 제어 회로(6)는 전환 회로(12)에 정전 발생시 전환 신호를 송신하지 않고, 비상용 제어 회로(14) 내의 도어 다이내믹 브레이크 제어 회로(15)에 다이내믹 브레이크 구동 지령 신호를 송신하지 않는다.
전환 회로(12)는, 도어 제어 회로(6)로부터 정전 발생시 전환 신호를 수신하면, 도어 제어 전원(8)으로부터 도어 제어 회로(6) 및 도어 완전 닫힘 검출 회로(7)로의 전력 공급을 차단한다.
도어 다이내믹 브레이크 제어 회로(15)는, 도어 제어 회로(6)로부터 다이내믹 브레이크 구동 지령 신호를 수신하면, 전환 회로(12)에 정전 중 전환 신호를 송신한다. 전환 회로(12)는, 도어 다이내믹 브레이크 제어 회로(15)로부터 정전 중 전환 신호를 수신하면, 비상용 제어 전원(11)으로부터 도어 제어 회로(6) 및 도어 완전 닫힘 검출 회로(7)로의 전력 공급을 개시시킨다.
도어 다이내믹 브레이크 제어 회로(15)는, 도어 제어 회로(6)로부터 다이내믹 브레이크 구동 지령 신호를 수신하면, 단락 회로(13)를 동작시킴으로써 도어 모터(2)의 상간을 단락시킨다. 이것에 의해, 도어 모터(2)의 다이내믹 브레이크 제어가 개시된다.
도어 다이내믹 브레이크 제어 회로(15)는, 예를 들면, 정전 중 전환 신호의 송신 및 단락 회로(13)의 동작 개시를 동시에 행한다.
도어 다이내믹 브레이크 제어 회로(15)는, 예를 들면, 단락 회로(13)의 동작 개시 후에, 도어 제어 회로(6)에 대해서 다이내믹 브레이크 구동 중 신호의 송신을 개시한다.
도어 모터(2)의 다이내믹 브레이크 제어에 의해, 도어는 저속으로 도어 닫힘 동작한다. 그 후, 도어 완전 닫힘 검출 회로(7)에 의해서 도어 완전 닫힘 상태가 검출되면, 도어 다이내믹 브레이크 제어 회로(15)는 전환 회로(12) 및 단락 회로(13)의 동작을 해제시키고, 도어 제어 회로(6)로의 다이내믹 브레이크 구동 중 신호의 송신을 정지한다.
도 3은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도어 제어 장치의 정전 복구시에 있어서의 각 전원 및 신호의 타이밍 차트이다.
도 3은 정전 발생에 의해 도어 다이내믹 브레이크 제어가 개시된 후이며 또한 도어 완전 닫힘 상태가 검출되기 전의 시점에서 정전 복구된 경우를 나타낸다.
도 3에 나타내는 타이밍에서 정전 복구된 경우여도, 도어 다이내믹 브레이크 제어 회로(15)는, 도어 완전 닫힘 검출 회로(7)에 의해서 도어 완전 닫힘 상태가 검출될 때까지 다이내믹 브레이크 제어를 지속시킨다. 도어 다이내믹 브레이크 제어 회로(15)는 도어 완전 닫힘 검출 회로(7)에 의해서 도어 완전 닫힘 상태가 검출될 때까지 다이내믹 브레이크 구동 중 신호의 송신을 계속한다. 도어 제어 회로(6)는 다이내믹 브레이크 구동 중 신호가 정지될 때까지 인버터 회로(5)를 재시동시키지 않는다.
그 후, 도어 다이내믹 브레이크 제어 회로(15)는, 도어 완전 닫힘 검출 회로(7)에 의해서 도어 완전 닫힘 상태가 검출되면, 다이내믹 브레이크 제어를 해제한다. 도어 다이내믹 브레이크 제어 회로(15)는, 도어 완전 닫힘 검출 회로(7)에 의해서 도어 완전 닫힘 상태가 검출되면, 다이내믹 브레이크 구동 중 신호의 송신을 정지한다. 도어 제어 회로(6)는, 다이내믹 브레이크 구동 중 신호가 정지되면, 인버터 회로(5)를 재시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도어 제어 장치는 통상의 도어 개폐 동작 모드로 복구된다.
또한, 도어가 완전 닫힘 상태이며 또한 도어 다이내믹 브레이크 제어 회로(15)가 다이내믹 브레이크 제어를 실시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정전이 복구된 경우에는, 통상과 마찬가지로 도어 제어 장치가 기동한다.
이상으로 설명한 실시 형태 1에 의하면, 도어 다이내믹 브레이크 제어 회로(15)는, 엘리베이터의 도어가 중간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정전이 발생되었을 경우에, 도어 완전 닫힘이 검출될 때까지의 동안에는 도어 모터(2)의 다이내믹 브레이크 제어를 실시하고, 도어 완전 닫힘이 검출되면 다이내믹 브레이크 제어를 해제한다. 이 때문에, 정전 발생시에 엘리베이터의 도어를 안전하게 도어 닫힘시키고, 또한 구조 작업자에게 추가의 부담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어 제어 회로(6)는 도어 모터(2)에 교류 전력을 공급하는 인버터 회로(5)를 정전 발생시에 정지시키고, 다이내믹 브레이크 제어가 개시되고 나서 도어 완전 닫힘이 검출될 때까지의 동안에 정전 복구된 경우에는 다이내믹 브레이크 제어가 해제될 때까지 인버터 회로(5)를 재시동시키지 않는다. 이 때문에, 신속하게 정전 복구된 경우여도, 도어가 일단 완전하게 닫힐 때까지는 통상의 도어 개폐 동작이 아니라 다이내믹 브레이크 제어가 행해진다. 그 결과, 확실하게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어 다이내믹 브레이크 제어 회로(15)는, 예를 들면, 기설된 비상용 제어 회로(14) 내에 마련된다. 이 경우, 비상시에 정전등(18) 및 인터폰(19) 등을 제어하는 종래의 회로에 간이 회로를 추가하는 것만으로, 도어 모터(2)의 다이내믹 브레이크 제어를 실시 가능하게 된다.
실시 형태 2.
이하, 실시 형태 2에 대해 설명한다. 실시 형태 1과 중복되는 설명은 적절히 생략한다.
도 4는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도어 제어 장치를 나타내는 전체 구성도이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동력 전원(1)과 컨버터 회로(3)의 사이에는, 도어 제어 장치 차단 스위치(20)가 마련되어 있다. 도어 제어 장치는 운전 모드 전환 스위치(21)를 구비한다.
도어 제어 장치 차단 스위치(20)가 전환되면, 동력 전원(1)으로부터 도어 제어 장치로의 전력 공급이 차단된다. 도어 제어 장치 차단 스위치(20)는,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칸 주위의 보수 작업시 등에 사용된다.
정전 검출 회로(9)는, 도어 제어 장치 차단 스위치(20)가 사용되었을 경우에도, 동력 전원(1)이 소실된 것을 검출한다.
운전 모드 전환 스위치(21)는, 예를 들면, 도어 제어 장치의 운전 모드를 자동 운전 모드 또는 보수 모드로 전환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운전 모드 전환 스위치(21)의 상태는, 도어 다이내믹 브레이크 제어 회로(15)에 의해서 취득된다.
도어 다이내믹 브레이크 제어 회로(15)는, 운전 모드 전환 스위치(21)가 보수 모드시의 상태가 아닌 경우, 도어 제어 회로(6)로부터 다이내믹 브레이크 구동 지령 신호를 수신하면, 단락 회로(13)를 동작시킨다.
도어 다이내믹 브레이크 제어 회로(15)는, 운전 모드 전환 스위치(21)가 보수 모드시의 상태인 경우, 도어 제어 회로(6)로부터 다이내믹 브레이크 구동 지령 신호를 수신해도, 단락 회로(13)를 동작시키지 않는다.
이상으로 설명한 실시 형태 2에 의하면, 도어 다이내믹 브레이크 제어 회로(15)는, 운전 모드 전환 스위치(21)가 보수 모드시의 상태인 경우에는 다이내믹 브레이크 제어를 실시하지 않는다. 즉, 운전 모드 전환 스위치(21)에 의해 운전 모드가 보수 모드로 전환되어 있으면, 보수 작업시에 도어가 중간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도어 제어 장치 차단 스위치(20)에 의해 동력 전원(1)이 소실되었다고 해도, 다이내믹 브레이크 제어는 실시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도어의 개폐 상태에 상관없이, 보수 작업시에는 다이내믹 브레이크가 유효하게 되지 않는 도어 제어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그 결과, 도어를 수동으로 개폐하는 보수 작업자에게 추가의 부담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 1 및 2에 있어서의 단락 회로(13)는, 예를 들면, 도어 모터(2)의 상간을 단락시키는 것이 아니어도 된다. 예를 들면, 평활 전해 캐패시터(4)의 전하가 단시간에 0으로 될 수 있는 경우, 단락 회로(13)는 모터 상간이 아니라 컨버터 회로(3)의 모선 사이를 단락시키는 1 소자만의 구성으로 해도 된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다이내믹 브레이크 제어를 실시 가능한 엘리베이터의 도어 제어 장치에 이용할 수 있다.
1 : 동력 전원 2 : 도어 모터
3 : 컨버터 회로 4 : 평활 전해 캐패시터
5 : 인버터 회로 6 : 도어 제어 회로
7 : 도어 완전 닫힘 검출 회로 8 : 도어 제어 전원
9 : 정전 검출 회로 10 : 비상용 배터리
11 : 비상용 제어 전원 12 : 전환 회로
13 : 단락 회로 14 : 비상용 제어 회로
15 : 도어 다이내믹 브레이크 제어 회로
16 : 정전등 제어 회로 17 : 인터폰 제어 회로
18 : 정전등 19 : 인터폰
20 : 도어 제어 장치 차단 스위치 21 : 운전 모드 전환 스위치

Claims (4)

  1. 엘리베이터의 도어가 중간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정전이 발생되었을 경우에, 도어 완전 닫힘이 검출될 때까지의 동안에는 도어 모터의 다이내믹 브레이크 제어를 실시하고, 도어 완전 닫힘이 검출되면 다이내믹 브레이크 제어를 해제하는 도어 다이내믹 브레이크 제어 회로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도어 제어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어 모터에 교류 전력을 공급하는 인버터 회로를 정전 발생시에 정지시키고, 다이내믹 브레이크 제어가 개시되고 나서 도어 완전 닫힘이 검출될 때까지의 동안에 정전 복구된 경우에는 다이내믹 브레이크 제어가 해제될 때까지 상기 인버터 회로를 재시동시키지 않는 도어 제어 회로를 더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도어 제어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도어 다이내믹 브레이크 제어 회로는 기설된 비상용 제어 회로 내에 마련된 엘리베이터의 도어 제어 장치.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다이내믹 브레이크 제어 회로는 운전 모드 전환 스위치가 보수 모드시의 상태인 경우에는 다이내믹 브레이크 제어를 실시하지 않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제어 장치.
KR1020217011016A 2018-11-26 2018-11-26 엘리베이터의 도어 제어 장치 KR1024762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8/043424 WO2020110176A1 (ja) 2018-11-26 2018-11-26 エレベーターのドア制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8911A true KR20210058911A (ko) 2021-05-24
KR102476283B1 KR102476283B1 (ko) 2022-12-09

Family

ID=70853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1016A KR102476283B1 (ko) 2018-11-26 2018-11-26 엘리베이터의 도어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10292129A1 (ko)
JP (1) JP7078136B2 (ko)
KR (1) KR102476283B1 (ko)
CN (1) CN113039146B (ko)
DE (1) DE112018008168T5 (ko)
WO (1) WO202011017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62827A1 (ja) * 2021-10-15 2023-04-20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のドア装置
WO2023227359A1 (de) 2022-05-24 2023-11-30 Inventio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STEUERN EINER SCHLIEßBEWEGUNG EINER TÜR EINER AUFZUGKABINE BEI EINEM STROMAUSFALL, VERFAHREN ZUM NACHRÜSTEN EINER TÜR EINER AUFZUGKABINE, TÜR FÜR EINE AUFZUGKABINE UND AUFZUGANLAG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1052A (ja) 1997-07-08 1999-01-26 Toshiba Elevator Kk エレベータのドア制御装置
JP2003261281A (ja) * 2002-03-12 2003-09-16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のドア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88385A (ja) * 1985-02-15 1986-08-22 株式会社東芝 エレベ−タ戸の開閉装置
JPH0697875B2 (ja) * 1987-05-20 1994-11-30 日本オ−チス・エレベ−タ株式会社 エレベ−タ駆動用インバ−タ
JPH03106788A (ja) * 1989-09-20 1991-05-07 Hitachi Ltd エレベータの扉制御装置
JPH04161095A (ja) * 1990-10-22 1992-06-04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ドア制御装置
JP3106788B2 (ja) 1993-08-27 2000-11-0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車載用音場補正装置
JPH10167638A (ja) * 1996-12-16 1998-06-23 Hitachi Ltd ドアのブレーキ装置
US6175204B1 (en) * 1998-11-25 2001-01-16 Westinghouse Air Brake Company Dynamic brake for power door
JP4161095B2 (ja) 2003-12-08 2008-10-08 豊丸産業株式会社 遊技機
JP4769748B2 (ja) * 2007-03-08 2011-09-07 三菱電機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自動ドアの開閉制御装置
JP5534716B2 (ja) * 2009-05-27 2014-07-02 三和シヤッター工業株式会社 セミオート回転ドアにおける駆動装置
JP2012076862A (ja) * 2010-09-30 2012-04-19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ドア制御装置
KR102229239B1 (ko) * 2012-10-30 2021-03-18 인벤티오 아게 파워 어큐뮬레이터에 의해 야기된 도어 리프의 과속을 방지하기 위한 디바이스
JP2015009954A (ja) * 2013-06-28 2015-01-19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エレベータのドア制御装置
JP6297942B2 (ja) * 2014-07-25 2018-03-2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1052A (ja) 1997-07-08 1999-01-26 Toshiba Elevator Kk エレベータのドア制御装置
JP2003261281A (ja) * 2002-03-12 2003-09-16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のドア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6283B1 (ko) 2022-12-09
DE112018008168T5 (de) 2021-08-12
CN113039146B (zh) 2023-06-02
US20210292129A1 (en) 2021-09-23
CN113039146A (zh) 2021-06-25
JP7078136B2 (ja) 2022-05-31
JPWO2020110176A1 (ja) 2021-09-27
WO2020110176A1 (ja) 2020-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534111B (zh) 一种电梯安全控制系统及方法
JPS63290197A (ja) エレベ−タ駆動用インバ−タ
KR102476283B1 (ko) 엘리베이터의 도어 제어 장치
CN107840218B (zh) 一种电梯故障后应急自救系统
JPH07328966A (ja) ロボットのブレーキ制御方式
KR920010419B1 (ko) 엘리베이터의 구출운전장치
JPS6027629B2 (ja) エレベ−タ−安全装置
EP3106571A1 (en) Rotation drive device for construction machine
JP4866637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2012076862A (ja) エレベータのドア制御装置
JPH10231080A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KR100528957B1 (ko) 엘리베이터의 정전시 제동회로
JP2006151545A (ja) マンコンベアの制御装置
CN113467414B (zh) 车门控制装置、轨道车辆和车门控制方法
KR100802981B1 (ko) 엘리베이터의 개문발차 방지를 위한 제어장치 및 그제어방법
JPH1121052A (ja) エレベータのドア制御装置
JPH115676A (ja) エレベータの停電時自動着床装置
JP2598180B2 (ja) エレベータの停電時救出運転装置
CN111788138B (zh) 电梯控制装置以及电梯控制方法
JP6072625B2 (ja) エレベータ安全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制御方法
JPH05254754A (ja) 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
JPS63680Y2 (ko)
KR100907482B1 (ko) 엘리베이터용 로프 브레이크 모터 구동 보호 회로
KR940003093B1 (ko) 정전시 비상운전이 가능한 vvvf 방식의 엘리베이터 전원장치
JP2004323140A (ja) エレベータのかごドア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