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10419B1 - 엘리베이터의 구출운전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구출운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10419B1
KR920010419B1 KR1019890010043A KR890010043A KR920010419B1 KR 920010419 B1 KR920010419 B1 KR 920010419B1 KR 1019890010043 A KR1019890010043 A KR 1019890010043A KR 890010043 A KR890010043 A KR 890010043A KR 920010419 B1 KR920010419 B1 KR 9200104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elevator
car
closing
comm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00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3050A (ko
Inventor
시게히고 스즈끼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전기주식회사
시끼 모리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전기주식회사, 시끼 모리야 filed Critical 미쓰비시전기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9000030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30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104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04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27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o permit passengers to leave an elevator car in case of failure, e.g. moving the car to a reference floor or unlocking the door

Landscapes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구출운전장치
제1도는 이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구출운전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전체 구성도.
제2도는 종래의 엘리베이터 구출운전장치의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엘리베이터카 2 : 균형추
3 : 활차 5 : 전동기
6 : 속도제어장치 16 : 운전제어장치
17 : 도어구동장치 19 : 고장검출장치
20 : 전화자동통보장치 21 : 엘리베이터관리부서
14,22 : 전화기 24 : 호스트컴퓨터
25 : 지령송출부
이 발명은 엘리베이터카(이하 카로 약칭한다)내에 갇혀있는 승객을 구출하는데 적합한 엘리베이터의 구출운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 제어장치의 고장에 의하여 카가 도어존(door zone)밖에서 비상정지하게 되면, 도어가 열지않으므로 카내에 승객이 갇혀있게 된다. 이런 경우, 될 수 있는 한 빨리 승객을 구출할 필요가 있다.
종래, 이와같은 엘리베이터 구출운전장치로서는 일본국특개소 57-13073호 공보에 기재된 것이 알려져 있다.
제2도에 종래 엘리벡이터 구출장치의 구성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카(1)와 그 균형추(2)는 활차(3)에 로프(4)에 의하여 두레박식으로 메달려있다.
5는 활차(3)를 추동시키는 전동기로서, 전동기(5)는 속도제어장치(6)에 의하여 제어되고 속도제어장치(6)는 계전기회로(7)에서 신호를 얻는다. 8은 마이크로컴류터로 구성된 고장검출장치이며 엘리베이터의 고장을 검출하면 전화자동통보장치(9)로 지령을 발생시키며 엘리베이터관리부서(10)의 전화기(11)가 자동다이어링되어 전화회선(12)을 통하여 고장이 발생될 것을 통보하도록 되어 있다. 또 전화회선(12)을 통하여 고장검출장치(8)에서 송출되는 신호는 엘리베이터관리부서(10)내의 호스트컴퓨터(13)에 의하여 수신되며 그 고장 내용이 감시인이 이해할 수 있도록 CRT 디스플레이(도시없음)에 표시하게끔 되어있다. 또 자동전화통보장치(9)와 카(1)내의 전화기(14)간은 전화케이블(15)에 의하여 접속되어 엘리베이터관리부서(10)의 전화기(11)와 통화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구성된 종래 엘리베이터의 구출운전장치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주행중에 안전장치가 동작하여 카가 중간에 정지하였다고 하면 이것을 검출한 고장검출장치(8)는 그 사실을 자동통보장치(9)를 통하여 엘리베이터관리부서(10)에 통보하며 이것을 받은 관리부서(10)의 계원은 호스트컴퓨터(13)의 디스플레이상에서 고장의 내용을 보고 카가 중간에 정지되어 있는 것을 확인함과 동시에 전화기(11),(14)를 통하여 카내에 승객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승객기 갇혀있는 상태가 확인되고, 또, 디스플레이상의 표시내용에서 구출운전이 가능하다는 것이 확인되면 관리부서(10)에서 카의 구출운전에 과한 지령을 전화회선(12)을 통하여 계전기회로(7)에 전송하며 계전기회로(7)를 동작시켜 브레이크를 개방시키며 구출운전회로를 동작시켜 카를 가장 가까운층으로 구출운전시킨다.
그런데, 승객이 카내에 갇혀있는 상태로 되는 원인중의 하나로서, 카도어에 이물질이 끼워져서 도어가 완전하게 닫쳐져있는 것을 확인하는 안전장치의 접점이 주행중에 열려 엘리베이터가 비상정지하는 경우인 것이다. 이런경우, 종래방식에서는 도어안정장치의 접점이 열려있는 것을 호스트컴퓨터의 디스플레이상에 확인할 수 있지만, 엘리베이터관리부서로부터의 지령으로 도어에 이물질이 끼워져서 도어의 전폐확인용접점의 개방상태를 전폐상태로 복귀조작할 수 없으며 이때문에 관리부서로부터의 지령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구출운전은 불가능하며 계원이 현장에 도착하여 이물질을 제거하여 전폐확인 용접점을 정상적인 상태로 복귀하기 까지 장시간, 승객이 갇혀있는 상태로 있게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도어에 이물질이 끼워져서 엘리베이터주행중에도 도어전폐확인용접점이 개로상태로 되어 카가 층간에 비상정지히여 승객이 갇혀있는 상태로 되어도 엘리베이터관리부서로부터의 지령에 의하여 구출운전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구출운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발명의 엘리베이터구출운전장치는 엘리베이터고장 및 이에 수반하여 카가 층간에 정지한 사실을 수신하는 엘리베이터관리부서에 카측 도어의 개폐지령을 송출하는 수단과, 이 지령을 송출수단으로부터의 도어 개폐지령에 의하여 도어구동장치를 제어함으로써 카도어를 개폐동작시킴과 동시에 이로 인하여 도어의 전폐를 확인한 후 엘리베이터구동장치를 제어하여 카의 구출운전을 행하는 운전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이 발명에 있어서, 카가 층간에 정지하여 승객이 카내에 갇힌 상태가 되었을때 지령송출수단에서도 도어 개폐지령을 운전제어수단에 부여하여 카도어를 일단 열고 이로인하여 이물질등에 의한 도어전폐확인수단의 개문상태를 제거하고 그후 카도어를 닫음으로써 도어의 전폐를 확인하여 엘리베이터를 구출운전시킨다.
따라서, 이 발명에 있어서는, 도어에 이물질이 끼워져서 엘리베이터가 비상정지하여도 계원을 현장에 판견함이 없이 엘리베이터관리부서로부터의 지령에 의하여 도어의 개문원인을 제거할 수 있고 엘리베이터의 구출운전을 할 수 있다.
이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도면은 이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구출운전장치의 전체구성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1은 엘리베이터카, 2는 균형추이며, 이들카(1) 및 균형추(2)는 활차(3)에 감겨있는 로프(4)에 의하여 두레방식으로 매달려 있다. 5는 활차(3)를 구동시키는 전동기로서, 이 전동기(5)는 속도제어장치(6)에 의하여 제어되도록 되어 있으며, 이 속도제어장치(6)는 운전제어장치(16)에서 속도신호를 얻는다.
17은 카(1)위에 설치한 도어구동장치로서, 이 도어구동장치(17)에는 제어 케이블(10)을 통하여 운전제어장치(16)에서 도어제어지령이 공급된다. 19는 운전제어장치(16)에 접속된 엘리베이터의 고장검출장치로서, 엘리베이터고장을 검출하면 전화자동통보장치(20)에 지령신호를 발생시키고 엘리베이터관리부서(21)의 전화기(22)에 자동다이어링되어 전화회선(23)을 통하여 고장이 발생된 것을 통보한다.
고장검출장치(15)로부터의 송출신호는 엘리베이터관리부서(21)에 설치된 감시용 호스트컴퓨터(24)에도 공급되며 고장검출장치(19)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여 고장내용을 감시인에게 판별할 수 있도록 CRT디스플레이(도시없음)상에 표시한다. 또 관리부서 (21)의 호스트컴퓨터 (24)에는 카측도어의 개폐지령을 송출하는 지령송출부(25)가 접속되어 있다.
상기 전화자동통보장치(20)에는 카(1)내에 설치된 전화기(14)가 전화케이블(26)을 통하여 접속되어, 엘리베이터관리부서(21)의 전화기(22)를 통하여 카내의 승객과 엘리베이터관리부서(21)의 감시인이 통화할 수 있다.
다음에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이 실시예에 있어서, 승객이 카내에 갇치는 사고가 발생하였을때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엘리베이터가 주행운전중에 안전장치의 접점이 동작하면 이것을 검출한 고장검출장치 (19)가 운전제어장치(16)에 비상정지지령을 부여하여 엘리베이터를 비상정지시켰다고 한다.
이때, 카의 정지위치가 도어존밖이면 도어가 열리지 않으므로 카(1)내에 승객이 갇혀지게 된다
한편, 고장검출장치(19)가 도어존밖에서 카가 정지한 것을 검출하여 고장으로 판단하고 자동통보장치(20)에 신호를 보낸다.
이에따라, 자동통보장치(20)는 관리부서(21)의 전화기(22)에 자동다이어링하여 고장이 발생된 사실을 통보하고 이것을 받은 관리부서에서는 감시인이 호스트 컴퓨터(24)의 디스플레이상에 표시된 내용을 봄으로서 카가 도어존밖에서 정지되어 있는 것을 알게된다.
이때 전화기(22)를 통하여 승객과의 통화를 시도하고 이에 대하여 응답이 있으면 승객이 카내에 갇혀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 감시인은 CRT디스플레이상에 어떤 안정장치가 동작하고 있는지를 알 수 있으므로 이때 도어전폐확인용 접짐이 개방되어있으면 감시인은 전화기(22)를 통하여 승객에게「도어를 일단 열겠으므로 카내의 도어의 반대쪽으로 대피하십시오」와 같은 지시를 하고 승객이 대피한 것을 확인한후 지령송출부(25)에서 호스트컴퓨터(24)를 통하여 도어의 개폐지령을 전화회선(23)을 통하여 운전장치(16)에 보내어 도어구동장치(17)를 동작시켜 도어를 일단 소정량 연후재차 닫는다.
또 이때 도어의 개문량은 승객이 잘못하여 승강로내로 전락하는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사람이 지나갈 수 없는 범위로 제한한다. 일반적으로 도어를 일단 열므로써 이물질은 제거되지만 단순한 개폐동작으로 제거할 수 없는 경우에는 전화기(22) 및 (14)를 통하여 승객에게 의뢰하여 이물질을 제거할 수도 있다.
감시인은 이물질이 제거되고 도어전폐확인용 접점이 폐쇄된것을 호스트컴퓨터(24)의 CRT디스플레이상에서 확인되면 다음의 호스트컴퓨터(24)의 입력장치(도시에 없음)에서 구출운전신호를 운전제어장치(16)에 보내어 속도제어장치(6)를 동작시켜 카를 도어개폐존까지 운전하여 도어를 전개시켜 승객을 갇힌 상태에서 구출한다.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도어전폐확인용 접점이 폐쇄된후 엘리베이터관리부서(21)에서 감시인의 지령에 의하여 엘리베이터를 구출운전하는 경우에 관하여 설명하였지만, 고장검출장치(19)가 도어전폐확인용 집점의 패쇄를 확인하여 운전제어장치(15)에 구출운전신호를 보냄으로서 자동적으로 구출운전하여도 된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도어에 이물질이 끼워있는 경우에 관하여 설명하였지만 기타요인(예컨데, 도어전폐확인용 접점자체의 접촉불량등)에 의하여 도어전폐확인용 접점이 개방상태로 되어 카가 층간에 정지하여 승객을 갇힌 상태로된 경우에서도 마찬가지로하여 관리부서(21)에서 도어의 개폐지령을 보내어 도어를 개폐시킴으로써 도어전폐화인용 접점을 폐쇄상태로 복귀시켜 엘리베이터의 가장 가까운 층으로 구출운전하여 승객을 빠르게 갇힌상태에서 구출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이 발명에 의하면 도어에 이물이 끼워져서 엘리베이터주행중에 도어전체확인용 접점이 개방상태로되고 카가 층간에 비상정지하여 승객이 갇힌상태로 되었을때 도어개폐지령을 엘리베이터관리부서에서 엘리베이터 운전제어부에 부여하여 일단 도어를 열고 이물질등에 의한 도어전폐확인용접점의 개방원인을 제거한후 도어를 닫음으로써 도어전폐확인용접점의 폐쇄상태를 확인하여 엘리베이터를 구출운전하도록 하였으므로 도어에 이물질이 끼워져서 카가 층간에 비상정지하여도 계원을 현장에 판견함이없이 엘리베이터관리부서로부터의 도어개폐지령만으로 도어전폐확인용접점의 개방원인을 제공할 수 있고 그리고 엘리베이터를 구출운전하여 승객을 갇힌상태에서 구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엘리베이터카를 승강시키는 전동기(5)를 제어하는 속도제어장치(6), 엘리베이터카 및 승강장치의 도어를 개폐시키는 도어구동장치(17), 상기 속도제어장치(6)와 도어구동장치(17)에 각각 기동지령, 도어개폐지령을 발생하는 운전제어장치(16), 상기 도어가 전폐시 동작하는 도어전폐확인수단, 엘리베이터의 고장을 검출하는 고장검출장치(19), 고장발생시 그 고장내용과 엘리베이터카가 중간층에 정지한 것을 엘리베이터관리부서(21)에 전화회선(23)을 통하여 자동통보하는 통보수단(20)을 구비한 엘리베이터운전장치에 있어서, 엘리베이터가 중간층에 정지하였을때 상기 엘리베이터관리부서(21)에서 카측도어의 개폐지령을 송출하는 수단(25)을 구비하고, 이 지령송출수단(25)으로부터의 도어개폐지령을 상기 전화회선(17)를 제어함으로써 엘리베이터카의 도어를 개폐시키고, 그후 도어전폐확인수단으로 도어의 전폐상태를 확인후 상기 속도제어장치를 제어하여 엘리베이터카의 구출운전을 실행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구출운전장치.
KR1019890010043A 1988-08-11 1989-07-14 엘리베이터의 구출운전장치 KR9200104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10 1988-08-11
JP63200710A JPH0755772B2 (ja) 1988-08-11 1988-08-11 エレベータの救出運転装置
JP88-200710 1988-08-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3050A KR900003050A (ko) 1990-03-23
KR920010419B1 true KR920010419B1 (ko) 1992-11-27

Family

ID=16428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0043A KR920010419B1 (ko) 1988-08-11 1989-07-14 엘리베이터의 구출운전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014825A (ko)
JP (1) JPH0755772B2 (ko)
KR (1) KR920010419B1 (ko)
CN (1) CN1051052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71824A (en) * 1994-11-16 1997-09-30 Keegan; E. Kevin Vertically movable emergency egress system
FR2842512B1 (fr) * 2002-07-16 2005-07-22 Jean Patrick Azpitarte Systeme de securisation du fonctionnement des portes palieres d'un ascenseur
US7823702B2 (en) * 2005-12-05 2010-11-02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Elevator monitoring system including automatic passenger detection
JP2008105767A (ja) * 2006-10-23 2008-05-08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のブレーキ開放装置及びブレーキ開放方法並びにエレベータの改修方法
CN102219139A (zh) * 2010-04-15 2011-10-19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电梯安全监控系统及方法
US20110284330A1 (en) * 2010-05-24 2011-11-24 Samuel Joseph Massameno Elevator emergency phone - light combination
CN102674113A (zh) * 2012-05-25 2012-09-19 巨人通力电梯有限公司 无机房家用电梯
CN102674105A (zh) * 2012-05-25 2012-09-19 巨人通力电梯有限公司 无机房家用电梯救援柜
JP6456267B2 (ja) * 2015-10-14 2019-01-23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ドア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閉込救出方法
RU2641758C1 (ru) * 2017-03-20 2018-01-22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научное учреждение "Федеральный 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центр "Красноярский научный центр Сибирского отделения Российской академии наук" (ФИЦ КНЦ СО РАН, КНЦ СО РАН) Способ сульфатирования органосольвентного лигнина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70772A (en) * 1928-05-19 1932-08-09 Westinghouse Electric & Mfg Co Elevator gate system
JPS52133646A (en) * 1976-04-30 1977-11-09 Mitsubishi Electric Corp Emergency escape device for elevator
US4367810A (en) * 1979-12-27 1983-01-11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car and door motion interlocks
US4308936A (en) * 1980-02-19 1982-01-05 Westinghouse Electric Corp. Elevator system
JPS5713073A (en) * 1980-06-27 1982-01-23 Hitachi Ltd Rescue driving device for elevator
JPS5889570A (ja) * 1981-11-24 1983-05-27 三菱電機株式会社 交流エレベ−タの制御装置
JPS58157686A (ja) * 1982-03-16 1983-09-19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タの運転装置
JPS60262783A (ja) * 1984-06-12 1985-12-26 三菱電機株式会社 交流エレベ−タの停電時自動着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755772B2 (ja) 1995-06-14
KR900003050A (ko) 1990-03-23
CN1040181A (zh) 1990-03-07
JPH0252883A (ja) 1990-02-22
US5014825A (en) 1991-05-14
CN1051052C (zh) 2000-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12571B2 (ja) エレベータ装置
CN100522783C (zh) 电梯控制装置
KR101223303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920010419B1 (ko) 엘리베이터의 구출운전장치
KR100928118B1 (ko)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CN102381604A (zh) 电梯装置
JP2012025558A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H04235881A (ja) 個人住宅用エレベータ非常時遠隔救出装置
JP3681602B2 (ja) エレベーターの閉じ込め遠隔救出装置
JP3412401B2 (ja) エレベーターの非常時運転装置
KR100975758B1 (ko) 엘리베이터 구조운전 회로
JP4265938B2 (ja) エレベータの非常用運転装置
JPH10231080A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KR100218404B1 (ko) 모터 구동용 컨트롤러를 이용한 구출 운전방법
JP2000169057A (ja) 油圧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5003060B2 (ja) エレベータの地震時救出運転方法
JPH06227771A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KR100809373B1 (ko) 엘리베이터 자동 구조운전 회로
JPH0680363A (ja) エレベータのかご戸ロック装置
JPH06211457A (ja) エレベータ非常停止時の閉じ込め解放装置
JP2007320757A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S6020314B2 (ja) エレベ−タ運転装置
JPH02182684A (ja) エレベータの停電時着床装置
JPH04345490A (ja) エレベータの非常運転装置
KR20230150355A (ko) 엘리베이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123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