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0863A - 보행형 관리기 - Google Patents

보행형 관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0863A
KR20210030863A KR1020200106811A KR20200106811A KR20210030863A KR 20210030863 A KR20210030863 A KR 20210030863A KR 1020200106811 A KR1020200106811 A KR 1020200106811A KR 20200106811 A KR20200106811 A KR 20200106811A KR 20210030863 A KR20210030863 A KR 202100308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rotating body
type manager
lever
oper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6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4652B1 (ko
Inventor
게이이치 세자키
신지 마에다
야스나오 야마시타
마사히로 나카시마
고이치로 마츠다
츠카사 오가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닛폰 플렉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닛폰 플렉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2100308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08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46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46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3/00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 A01B33/08Tools; Details, e.g. adaptations of transmissions or gear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3/00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 A01B33/02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with tools on horizontal shaft transverse to direction of trave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3/00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 A01B33/02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with tools on horizontal shaft transverse to direction of travel
    • A01B33/021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with tools on horizontal shaft transverse to direction of travel with rigid tools
    • A01B33/022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with tools on horizontal shaft transverse to direction of travel with rigid tools with helicoidal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K23/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ain transmission clutc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3/00Details of mechanically-actuated clutches not specific for one distinct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 Arrangement And Mounting Of Devices That Control Transmission Of Motive Force (AREA)

Abstract

조작구의 조작력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한 보행형 관리기를 제공한다.
레버(24)에 연결된 제1 케이블(31)과, 클러치 기구(9)에 연결된 제2 케이블(32)과, 회전 가능하게 지지됨과 함께, 제1 케이블(31)과 연결되는 제2 연결부(42c), 및 제2 케이블(32)이 연결되는 제2 연결부(42c)를 구비하고, 레버(24)의 조작에 의해 제1 케이블(31)을 통해 소정의 회전 방향으로 회전되면, 제2 케이블(32)을 통해 클러치 기구(9)를 작동시키는 회전체(42)를 구비하고, 제1 연결부(42b)는, 레버(24)가 최대한 조작된 상태에 있어서, 제2 케이블(32)에 의한 회전력이 작용하지 않는 사점 근방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보행형 관리기{WALK-BEHIND TYPE MANAGING MACHINE}
본 발명은, 조작구를 조작함으로써 클러치 기구를 작동시키는 보행형 관리기의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 조작구를 조작함으로써 클러치 기구를 작동시키는 보행형 관리기의 기술은 공지로 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바와 같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보행형 관리기는, 클러치 기구를 작동시키기 위한 클러치 레버(조작구), 및 경운 날이 장착되는 경운축 등을 구비한다. 상기 보행형 관리기에 있어서는, 클러치 레버를 조작함으로써 클러치 기구를 작동시켜, 엔진의 동력을 경운축에 전달하고, 경운 날을 회전시켜 포장의 경운을 행할 수 있다.
작업자는, 이러한 경운 작업에 있어서, 클러치 레버를 조작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조작구의 조작력(조작한 상태를 유지하는 데 필요한 힘)이 크면, 경운 작업에 있어서의 작업자의 부담이 증가해 버린다. 이 때문에,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조작구의 조작력을 저감할 것이 요구되고 있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7-175983호 공보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상황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이며, 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조작구의 조작력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한 보행형 관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과 같으며, 다음으로 이 과제의 해결 수단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보행형 관리기는, 조작구에 연결된 제1 케이블과, 클러치 기구에 연결된 제2 케이블과, 회전 가능하게 지지됨과 함께, 상기 제1 케이블과 연결되는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케이블이 연결되는 제2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조작구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제1 케이블을 통해 소정의 회전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제2 케이블을 통해 상기 클러치 기구를 작동시키는 회전체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조작구가 최대한 조작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2 케이블에 의한 회전력이 작용하지 않는 사점 근방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보행형 관리기는, 상기 조작구가 최대한 조작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사점 근방 위치로부터의 리턴력을 얻기 위해, 상기 제2 케이블에 접함으로써, 상기 제2 케이블에 장력을 부여하는 장력 부여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보행형 관리기는, 상기 회전체와 맞닿음으로써, 상기 회전체의 회전을 소정의 위치에서 규제하는 규제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보행형 관리기는, 상기 회전체, 상기 장력 부여부 및 상기 규제부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수용부는, 연료 탱크의 하방에 배치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수용부는, 엔진과 조종 핸들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조작구가 조작되고 있지 않을 때에 위치하는 초기 위치와, 상기 조작구가 최대한 조작되었을 때에 위치하는 최대 회전 위치 사이의 중도부에 있어서, 상기 제2 케이블에 의한 회전력이 최대가 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수용부는, 일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케이블을 내측으로 안내하는 제1 삽입 관통부와, 상기 회전체를 사이에 두고 상기 일측면과는 반대측의 타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케이블을 내측으로 안내하는 제2 삽입 관통부를 구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효과로서,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의 보행형 관리기는, 조작구의 조작력을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보행형 관리기는, 조작구의 조작을 해제하였을 때, 회전체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기 쉽게(소정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쉽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보행형 관리기는, 회전체의 회전을 소정의 위치에서 규제함으로써, 조작구에 의한 과도한 조작을 방지하고, 나아가서는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보행형 관리기는, 회전체, 장력 부여부 및 규제부를 보호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진흙이나 먼지의 부착에 의한 회전의 저해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보행형 관리기는, 연료 탱크의 하방의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보행형 관리기는, 엔진과 핸들 사이의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보행형 관리기는, 조작구를 조작하기 시작할 때와, 최대한 조작하였을 때의 조작력을 저감함으로써, 조작구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보행형 관리기는, 제1 케이블 및 제2 케이블을 직선상으로 경로 배정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보행형 작업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마찬가지로, 좌측면도.
도 3은 마찬가지로, 우측면도.
도 4는 마찬가지로, 확대 우측면도.
도 5의 (a)는 조종 핸들, 접속 케이블 및 조작력 저감 기구를 도시하는 측면도, (b)는 조작력 저감 기구를 도시하는 확대 측면도.
도 6은 레버를 조작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7은 레버를 조작하고 있는 중의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8은 레버를 최대한 조작한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9의 (a)는 변형예에 관한 조작력 저감 기구를 도시하는 측면도, (b)는 마찬가지로, 확대 측면도.
도 10의 (a)는 변형예에 있어서, 레버를 최대한 조작한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b)는 마찬가지로, 확대 측면도.
도 11의 (a)는 제2 변형예에 관한 조작력 저감 기구를 도시하는 측면도, (b)는 마찬가지로, 확대 측면도.
도 12의 (a)는 제2 변형예에 있어서, 레버를 최대한 조작한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b)는 마찬가지로, 확대 측면도.
이하에서는, 도면 중의 화살표 U, 화살표 D, 화살표 F, 화살표 B, 화살표 L 및 화살표 R로 나타낸 방향을, 각각 상측 방향, 하측 방향, 전방 방향, 후방 방향, 좌측 방향 및 우측 방향으로 정의하여 설명을 행한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보행형 관리기(1)에 대해 설명한다.
보행형 관리기(1)는, 기체 프레임(2), 엔진(3), 연료 탱크(4), 보닛(5), 커버(6), 미션 케이스(7), 경운 날(8), 클러치 기구(9), 펜더(10), 핸들 프레임(11), 이동륜(12), 저항봉(13), 성형체(14), 핸들 연결부(15), 조종 핸들(20), 접속 케이블(30) 및 조작력 저감 기구(40) 등을 구비한다.
기체 프레임(2)은, 판재를 적절하게 구부려 형성되는 부재이다. 기체 프레임(2)의 전방부에는, 개구부를 하방을 향하게 한, 정면으로 보아 대략 U자 형상인 범퍼(2a)가 마련된다. 엔진(3)은, 기체 프레임(2)에 적재된다. 연료 탱크(4)는, 엔진(3)의 후방에 배치된다. 당해 엔진(3) 및 연료 탱크(4)는, 보닛(5)에 의해 덮인다. 또한, 연료 탱크(4)의 캡(4a)은, 보닛(5)의 상면으로부터 노출되도록 마련된다. 엔진(3)의 좌측방에는, 엔진(3)의 동력을 미션 케이스(7)에 전달하는 클러치 기구(9)를 덮는 커버(6)가 마련된다.
미션 케이스(7)는, 기체 프레임(2)의 후방부에 고정된다. 미션 케이스(7)는, 엔진(3)으로부터의 동력이 전달됨으로써 회전하는 회전축(7a)을 갖는다. 회전축(7a)에는, 경운 날(8)이 고정된다. 클러치 기구(9)는, 경운 날(8)의 회전 및 회전의 정지를 전환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 형태의 클러치 기구(9)로서는, 풀리에 권회된 벨트에 장력(텐션)을 부여함으로써 동력을 전달 가능하게 하는, 이른바 벨트 텐션 클러치를 상정하고 있다.
미션 케이스(7)의 좌측 방향 및 우측 방향에는, 경운 날(8)을 상방으로부터 덮는 펜더(10)가 배치된다. 또한, 미션 케이스(7)의 후방부에는, 핸들 프레임(11)이 배치된다.
핸들 프레임(11)은, 조종 핸들(20)을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이다. 핸들 프레임(11)은, 후방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도 4에 도시하는 핸들 프레임(11)은, 고정 프레임(11a)을 통해 미션 케이스(7)에 고정된다. 당해 고정 프레임(11a)의 전방 상부에는, 연료 탱크(4)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프레임(11b)이 고정된다. 또한, 고정 프레임(11a)에는, 브래킷(11c)을 통해 이동륜(12), 저항봉(13), 성형체(14)가 마련된다. 브래킷(11c)은, 고정 프레임(11a)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마련된다.
또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하는 핸들 프레임(11)의 후방 상단부에는, 핸들 연결부(15)가 연결된다. 핸들 연결부(15)는, 핸들 프레임(11)과 조종 핸들(20)을 연결하는 것이다. 핸들 연결부(15)는, 노브를 갖는 볼트(15a)를 조임으로써, 조종 핸들(20)을 핸들 프레임(11)에 대해 고정할 수 있다.
조종 핸들(20)은, 작업자가 조종하기 위한 것이다. 조종 핸들(20)은, 조작 가능한 레버(24)를 구비하고, 당해 레버(24)가 접속 케이블(30)을 통해 클러치 기구(9)와 접속된다(도 5의 (a) 참조). 조작력 저감 기구(40)는, 레버(24)의 조작력을 저감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도 1에 있어서는, 설명의 편의상, 접속 케이블(30)의 기재를 생략하고 있다. 또한, 조종 핸들(20), 접속 케이블(30) 및 조작력 저감 기구(40)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보행형 관리기(1)는, 조종 핸들(20)의 레버(24)가 조작됨으로써, 상기 벨트에 장력이 부여되어 클러치 기구(9)가 작동된다. 이에 의해, 엔진(3)으로부터의 동력이 회전축(7a)으로 전달된다. 이에 의해, 보행형 관리기(1)는, 경운 날(8)을 회전시켜 포장을 경운할 수 있다. 이때, 브래킷(11c)을 적절하게 회동시켜, 도 2 등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성형체(14)를 하방을 향하게 한 상태로 함으로써, 경운 날(8)로 경운한 흙을 압박하여 이랑을 성형할 수 있다. 또한, 브래킷(11c)을 적절하게 회동시켜 저항봉(13)을 하방을 향하게 함으로써, 포장에 저항봉(13)을 꽂아 저항을 발생시켜, 보행형 관리기(1)의 전진 속도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보행형 관리기(1)는, 레버(24)의 조작이 해제됨으로써, 상기 벨트에의 장력의 부여가 정지되어, 클러치 기구(9)의 작동이 정지된다. 이에 의해, 경운 날(8)의 회전이 정지된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조종 핸들(20), 접속 케이블(30) 및 조작력 저감 기구(40)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레버(24)를 조작하고 있지 않은 상태(도 1에 도시하는 상태)를 기준으로 하여, 조종 핸들(20), 접속 케이블(30) 및 조작력 저감 기구(40)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하는 조종 핸들(20)은, 요동부(21), 접속부(22), 그립(23) 및 레버(24)를 구비한다.
요동부(21)는, 핸들 프레임(11)에 대해 전후로 요동하는 부분이다. 요동부(21)는, 대략 통 형상의 부재를 적절하게 구부려 형성된다. 요동부(21)는, 후방 상방으로 연장된 단부를 후방으로 구부린, 측면으로 보아 대략 L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요동부(21)는, 좌우 한 쌍 마련된다. 요동부(21)는, 전방 하단부가 핸들 연결부(15)에 연결된다. 요동부(21)는, 당해 핸들 연결부(15)의 노브를 갖는 볼트(15a)를 느슨하게 함으로써, 핸들 프레임(11)에 대해 전후로 요동시킬 수 있다. 또한, 요동부(21)는, 노브를 갖는 볼트(15a)를 조임으로써, 임의의 요동 위치에서 핸들 프레임(11)에 대해 고정된다.
접속부(22)는, 좌우 한 쌍의 요동부(21)를 접속하는 부분이다. 접속부(22)는, 축선 방향을 좌우 방향을 향하게 한 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접속부(22)의 좌측 단부는, 좌측의 요동부(21)에 고정된다. 접속부(22)의 우측 단부는, 우측의 요동부(21)에 고정된다.
그립(23)은, 작업자가 조종할 때에 쥐는 부분이다. 그립(23)은, 요동부(21)의 후방 상단부에 고정된다.
레버(24)는, 작업자가 경운 날(8)을 회전시킬(클러치 기구(9)를 작동시킬) 때에 조작하는 부분이다. 레버(24)는, 좌측의 요동부(21)의 후방 상단부에 마련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레버(24)는, 도 1에 도시하는 상태에 있어서, 하방으로 요동 조작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2, 도 3 및 도 5에 도시하는 접속 케이블(30)은, 조작력 저감 기구(40)를 통해 레버(24)와 클러치 기구(9)를 접속하는 케이블이다. 접속 케이블(30)은, 제1 케이블(31) 및 제2 케이블(32)을 구비한다. 또한, 도 5에 도시하는 방향의 정의는, 조작력 저감 기구(4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편의적으로 정의한 것이며,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하는 방향의 정의와는 다르다. 이것은, 도 6 내지 도 10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제1 케이블(31)은, 레버(24)와 조작력 저감 기구(40)를 접속하는 케이블이다. 제1 케이블(31)은, 제1 이너 케이블(31a)을 제1 아우터 케이블(31b)로 덮음과 함께, 제1 이너 케이블(31a)의 조작력 저감 기구(40)측의 단부에 제1 이너 엔드(31c)를 마련함으로써 형성된다.
제2 케이블(32)은, 조작력 저감 기구(40)와 클러치 기구(9)를 접속하는 케이블이다. 제2 케이블(32)은, 제2 이너 케이블(32a)을 제2 아우터 케이블(32b)로 덮음과 함께, 제2 이너 케이블(32a)의 조작력 저감 기구(40)측의 단부에 제2 이너 엔드(32c)를 마련함으로써 형성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조작력 저감 기구(4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레버(24)의 조작력을 저감하기 위한 것이다. 조작력 저감 기구(40)는, 수용부(41), 회전체(42), 제1 규제부(43), 제2 규제부(44) 및 맞닿음부(45)를 구비한다.
수용부(41)는, 회전체(42) 등을 수용하는 부분이다. 수용부(41)는, 대략 상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수용부(41)는, 핸들 프레임(11)의 지지 프레임(11b)에 마련되고, 연료 탱크(4)의 하방, 또한 미션 케이스(7)의 상방에 배치된다. 또한, 수용부(41)는, 엔진(3)과 조종 핸들(20)(도 3 참조)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수용부(41)는, 2개로 분할 가능한 상자 형상의 부재를 상정하고 있다. 도 5에는, 이러한 수용부(41)를 분할하여, 내부를 시인 가능하게 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수용부(41)는, 제1 삽입 관통부(41a) 및 제2 삽입 관통부(41b)를 구비한다.
도 5에 도시하는 제1 삽입 관통부(41a)는, 제1 케이블(31)을 삽입 관통하기 위한 부분이다. 제1 삽입 관통부(41a)는, 수용부(41)의 후방 하측의 코너부 근방에 형성된다. 제2 삽입 관통부(41b)는, 제2 케이블(32)을 삽입 관통하기 위한 부분이다. 제2 삽입 관통부(41b)는, 수용부(41)의 후방부에 있어서의 상하 중도부에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2 삽입 관통부(41b)는, 수용부(41) 중, 제1 삽입 관통부(41a)가 형성되는 부분과 동일한 측에 형성된다. 더 상세하게는, 제1 삽입 관통부(41a) 및 제2 삽입 관통부(41b)는, 측면으로 보아 대략 직사각 형상(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 수용부(41)의 후방측면에 형성된다.
제1 케이블(31) 및 제2 케이블(32)은, 이러한 제1 삽입 관통부(41a) 및 제2 삽입 관통부(41b)에 삽입 관통됨으로써, 서로가 이루는 각도(제1 아우터 케이블(31b) 및 제2 아우터 케이블(32b)의 수용부(41)측의 단부가 이루는 각도)가 예각이 되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당해 각도가 약 17°가 되도록 형성된다.
회전체(42)는, 레버(24)의 조작(요동 조작)에 의해 회전하는 부재이다. 회전체(42)는, 수용부(41)의 전후 중앙부보다 전방측에 배치된다. 회전체(42)는, 본체부(42a), 제1 연결부(42b) 및 제2 연결부(42c)를 구비한다.
본체부(42a)는, 축선 방향을 좌우 방향(도 5에 있어서의 지면 깊이 방향)을 향하게 한 대략 원주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체부(42a)는, 수용부(4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본체부(42a)는, 수용부(41)의 제2 삽입 관통부(41b)의 전방에 배치된다.
제1 연결부(42b)는, 제1 케이블(31)이 연결되는 부분이다. 제1 연결부(42b)는, 회전체(42)의 외주면으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도 5에서는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제1 연결부(42b)는, 폭(도 5에서는 상하 방향 폭)이 본체부(42a)의 외경과 대략 동일해지는, 측면으로 보아 대략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 연결부(42b)는, 측면으로 보아 대략 원 형상의 구멍부를 갖고, 당해 구멍부에 제1 이너 엔드(31c)가 끼워 맞추어짐으로써, 제1 케이블(31)이 연결된다.
제2 연결부(42c)는, 제2 케이블(32)이 연결되는 부분이다. 제2 연결부(42c)는, 회전체(42)의 외주면으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도 5에서는 후방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제2 연결부(42c)는, 폭이 본체부(42a)의 외경과 대략 동일해지는, 측면으로 보아 대략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 연결부(42c)는, 제1 연결부(42b)에 대해, 회전체(42)의 중심 C를 중심으로 도 5에 있어서의 시계 방향으로 약 120°위치를 어긋나게 하여 형성된다. 제2 연결부(42c)는, 측면으로 보아 대략 원 형상의 구멍부를 갖고, 당해 구멍부에 제2 이너 엔드(32c)가 끼워 맞추어짐으로써, 제2 케이블(32)이 연결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2 연결부(42c)의 구멍부는, 제1 연결부(42b)의 구멍부와는 다른 형상으로(예를 들어, 제2 연결부(42c)의 구멍부의 직경이, 제1 연결부(42b)의 구멍부의 직경보다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2 연결부(42c)와 제1 연결부(42b)를 서로 다른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조립 부착 시의 실수(제1 케이블(31)과 제2 케이블(32)을 반대로 부착하는 것)를 방지하여, 조립 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 규제부(43)는, 회전체(42)의 제1 연결부(42b)와 맞닿음으로써, 회전체(42)의 회전을 규제하는 것이다. 제1 규제부(43)는, 축선 방향을 좌우 방향을 향하게 한, 측면으로 보아 대략 반원 형상의 봉상 부재에 의해 구성된다. 제1 규제부(43)는, 수용부(41)의 후방 하부(회전체(42)의 중심 C의 후방 하방)에 배치된다. 제1 규제부(43)는, 제1 평면부(43a) 및 제1 곡면부(43b)를 구비한다.
제1 평면부(43a)는, 제1 규제부(43) 중, 평면을 이루는 부분이다. 제1 평면부(43a)는, 전방 하방을 향해 배치된다. 제1 곡면부(43b)는, 제1 규제부(43) 중, 곡면을 이루는 부분이다. 제1 곡면부(43b)는, 후방 상방으로 볼록한, 측면으로 보아 대략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 규제부(44)는, 회전체(42)의 제2 연결부(42c)와 맞닿음으로써, 회전체(42)의 회전을 규제하는 것이다. 제2 규제부(44)는, 축선 방향을 좌우 방향을 향하게 한, 측면으로 보아 대략 반원 형상의 봉상 부재에 의해 구성된다. 제2 규제부(44)는, 제2 연결부(42c)에 대해 도 5에 있어서의 시계 방향으로 인접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제2 규제부(44)는, 수용부(41)의 후방 상부(제1 규제부(43)의 상방)에 배치된다. 제2 규제부(44)는, 제2 평면부(44a) 및 제2 곡면부(44b)를 구비한다.
제2 평면부(44a)는, 제2 규제부(44) 중, 평면을 이루는 부분이다. 제2 평면부(44a)는, 전방 상방을 향해 배치된다. 제2 곡면부(44b)는, 제2 규제부(44) 중, 곡면을 이루는 부분이다. 제2 곡면부(44b)는, 후방 하방으로 볼록한, 측면으로 보아 대략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맞닿음부(45)는, 제2 케이블(32)과 맞닿음으로써, 당해 제2 케이블(32)에 장력을 부여하기 위한 것이다. 맞닿음부(45)는, 축선 방향을 좌우 방향을 향하게 한 대략 원주 형상으로 형성된다. 맞닿음부(45)는, 제1 규제부(43)와 제2 규제부(44) 사이, 또한 회전체(42)의 중심 C와 제2 삽입 관통부(41b) 사이에 배치된다.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조작력 저감 기구(4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있어서는, 도 6에 도시하는 레버(24)가 조작되고 있지 않은 상태로부터, 도 8에 도시하는 레버(24)가 최대한 조작된 상태까지 조작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조작력 저감 기구(4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에 도시하는 레버(24)가 조작되고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 클러치 기구(9)의 상기 벨트의 복원력 등에 의해, 제2 케이블(32)에 가압력 A1이 작용한다. 이에 의해, 제2 이너 케이블(32a)은, 후방으로 인장된다. 이에 의해, 회전체(42)의 제2 연결부(42c)가 후방으로 인장되고, 회전체(42)는, 도 6에 있어서의 시계 방향으로 가압된다. 또한, 회전체(42)는, 제2 연결부(42c)가 제2 규제부(44)의 제2 평면부(44a)와 맞닿음으로써,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이 규제된다.
이러한 상태로부터 레버(24)가 조작(하방으로 요동 조작)되면, 도 7에 도시하는 제1 케이블(31)에 조작력 A2가 작용한다. 이에 의해, 제1 케이블(31)은, 후방 하방으로 인장된다. 이에 의해, 회전체(42)에는, 조작력 A2에 따른 회전력이 가해진다. 당해 회전체(42)는, 가압력 A1(제2 케이블(32))에 의한 시계 방향의 회전력에 저항하여, 반시계 방향(도 7에 도시하는 화살표 B2 방향)으로 회전한다.
회전체(42)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을 개시하면, 제2 연결부(42c)가 도 6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전방 상방으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제2 이너 케이블(32a)(제2 연결부(42c)측의 단부)의 길이 방향이 서서히 회전체(42)의 접선 방향을 향하게 된다. 이에 의해, 가압력 A1에 의해 회전체(42)에 가해지는 회전력이, 초기 위치로부터 서서히 증대되게 된다.
도 7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레버(24)를 더 조작하면, 반시계 방향으로 더 회전한다. 이때, 제2 연결부(42c)는, 도 7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전방으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제2 이너 케이블(32a)은, 회전체(42)의 중심 C에 서서히 근접한다. 이에 의해, 가압력 A1에 의해 회전체(42)에 가해지는 회전력이 서서히 작아진다.
레버(24)가 더 조작되면, 제2 연결부(42c)가 하방으로 이동하여, 당해 제2 이너 케이블(32a)의 중도부는 맞닿음부(45)에 맞닿는다. 이에 의해, 제2 이너 케이블(32a)은, 맞닿음부(45)와 맞닿은 부분에서 약간 굴곡된다.
그리고 레버(24)를 최대한 조작하면,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는, 제2 연결부(42c)는, 직선 D1과 중복되도록 위치하고 있다. 또한, 직선 D1은, 회전체(42)의 중심 C와, 맞닿음부(45)의 상부(보다 상세하게는, 제2 이너 케이블(32a)과의 접점)를 통과하는 직선이다.
이와 같이 회전체(42)를 회전시킴으로써, 제2 케이블(32)을 통해 클러치 기구(9)를 작동시킬 수 있다. 작업자는, 이러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경운 날(8)(도 1 참조)을 회전시켜 경운 작업을 행하게 된다.
여기서, 가령, 제2 연결부(42c)(제2 이너 엔드(32c))의 중심이 도 8에 도시하는 직선 D1 상에 위치할 때까지 회전체(42)가 회전한 경우, 제2 이너 케이블(32a)(맞닿음부(45)와 맞닿는 부분으로부터 제2 이너 엔드(32c)측의 단부까지)의 길이 방향이 직선 D1과 일치하게 된다. 이 경우, 가압력 A1에 의해 회전체(42)에 가해지는 회전력이 0이 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이러한 회전력이 작용하지 않게 되는 제2 연결부(42c)의 위치를 「사점」이라고 칭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2 연결부(42c)가 직선 D1과 중복되는 정도까지, 제2 연결부(42c)를 사점의 근방에 위치시키고 있다. 이것에 의하면, 가압력 A1에 의해 회전체(42)에 가해지는 회전력을 저감할(적어도, 도 6에 도시하는 상태보다 저감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레버(24)를 최대한 조작한 상태(도 8에 도시하는 상태)에 있어서의 레버(24)의 조작력을 저감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레버(24)를 최대한 조작한 상태를 쉽게 유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경운 작업에 있어서의 작업자의 부담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회전체(42)는, 레버(24)를 최대한 조작해도, 사점을 넘지 않도록(제2 연결부(42c)의 중심이 직선 D1보다 상방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가압력 A1에 의한 회전력이 약간 작용하도록 하여, 회전체(42)를 원래의 위치(조작 전의 위치)로 복귀시키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레버(24)를 최대한 조작한 상태에 있어서, 제2 이너 케이블(32a)을 맞닿음부(45)에 맞닿게 하여, 제2 이너 케이블(32a)에 대해 장력(회전체(42)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힘(리턴력))을 부여하고 있다. 이에 의해, 레버(24)의 조작이 해제되었을 때, 회전체(42)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기 쉽게 할 수 있어, 회전체(42)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조작력 저감 기구(40)에 의해 레버(24)의 조작력을 저감함으로써, 조작력을 저감한만큼 레버(24)의 전체 길이를 짧게 하거나 하여, 레버(24)의 스트로크(조작량)를 저감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수용부(41)에 회전체(42), 제1 규제부(43), 제2 규제부(44) 및 맞닿음부(45)를 한꺼번에 수용하여, 조작력 저감 기구(40)를 유닛화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원하는 개소(예를 들어, 보행형 관리기(1) 중에서 비교적 설치하기 쉬운 개소)에 조작력 저감 기구(40)를 배치할 수 있어, 설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보행형 관리기(1)는, 레버(24)(조작구)에 연결된 제1 케이블(31)과, 클러치 기구(9)에 연결된 제2 케이블(32)과, 회전 가능하게 지지됨과 함께, 상기 제1 케이블(31)과 연결되는 제1 연결부(42b), 및 상기 제2 케이블(32)이 연결되는 제2 연결부(42c)를 구비하고, 상기 레버(24)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제1 케이블(31)을 통해 소정의 회전 방향(도 6에 있어서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제2 케이블(32)을 통해 상기 클러치 기구(9)를 작동시키는 회전체(42)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연결부(42c)는, 상기 레버(24)가 최대한 조작된 상태(도 8에 도시하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2 케이블(32)에 의한 회전력이 작용하지 않는 사점 근방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레버(24)의 조작력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버(24)가 최대한 조작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사점 근방 위치로부터의 리턴력을 얻기 위해, 상기 제2 케이블(32)에 접함으로써, 상기 제2 케이블(32)에 장력을 부여하는 맞닿음부(45)(장력 부여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레버(24)의 조작을 해제하였을 때, 회전체(42)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기 쉽게(도 8에 있어서의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체(42)와 맞닿음으로써, 상기 회전체(42)의 회전을 소정의 위치에서 규제하는 제1 규제부(43) 및 제2 규제부(44)(규제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회전체(42)의 회전을 소정의 위치에서 규제함으로써, 레버(24)에 의한 과도한 조작을 방지하고, 나아가서는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규제부(43) 및 제2 규제부(44)는, 회전체(42)와 맞닿지 않는 부분을 곡면 형상으로 형성(제1 곡면부(43b) 및 제2 곡면부(44b)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1 규제부(43) 및 제2 규제부(44)가 제1 케이블(31) 및 제2 케이블(32)과 접촉하였을 때의 제1 케이블(31) 및 제2 케이블(32)의 손상의 발생을 억제할(곡면을 접촉시켜 파손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체(42), 맞닿음부(45), 제1 규제부(43) 및 제2 규제부(44)를 수용하는 수용부(41)를 더 구비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회전체(42), 맞닿음부(45), 제1 규제부(43) 및 제2 규제부(44)를 보호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진흙이나 먼지의 부착에 의한 회전의 저해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부(41)는, 연료 탱크(4)의 하방에 배치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연료 탱크(4)의 하방의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수용부(41)는, 미션 케이스(7)보다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수용부(41)의 높이 위치가 지나치게 낮아지는 것을 억제하여, 수용부(41)를 조립 부착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부(41)는, 엔진(3)과 조종 핸들(20)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엔진(3)과 조종 핸들(20) 사이의 스페이스(전후의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연결부(42c)는, 상기 레버(24)가 조작되고 있지 않을 때에 위치하는 초기 위치(도 6에 도시하는 위치)와, 상기 레버(24)가 최대한 조작되었을 때에 위치하는 최대 회전 위치(도 8에 도시하는 위치) 사이의 중도부에 있어서, 상기 제2 케이블(32)에 의한 회전력이 최대가 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레버(24)를 조작하기 시작할 때와, 최대한 조작하였을 때의 조작력을 저감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레버(24)의 조작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으므로, 레버(24)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레버(24)는, 본 발명에 관한 조작구의 실시의 일 형태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맞닿음부(45)는, 본 발명에 관한 장력 부여부의 실시의 일 형태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제1 규제부(43) 및 제2 규제부(44)는, 본 발명에 관한 규제부의 실시의 일 형태이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보행형 관리기(1)는, 경운 작업을 행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보행형 관리기(1)의 용도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작업을 행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레버(24)를 최대한 조작한 상태에 있어서, 제2 연결부(42c)를 직선 D1과 중복시키고 있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레버(24)를 최대한 조작한 상태에 있어서의 제2 연결부(42c)의 위치는, 직선 D1에 대한 각도 R1(회전체(42)의 중심 C와 제2 연결부(42c)(제2 이너 엔드(32c))의 중심을 통과하는 직선과, 직선 D1이 이루는 각도, 도 8 참조)에 기초하여, 적절하게 설정되는 것이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2 연결부(42c)의 위치는, 예를 들어 각도 R1이 45° 이하가 되도록 설정해도 된다. 또한, 이러한 각도 R1은,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30° 이하의 각도가 바람직하고, 15° 이하의 각도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각도 R1은, 약 12°로 되어 있다.
또한, 회전체(42)의 축선 방향의 배향, 및 레버(24) 조작 시의 회전 방향은, 본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임의의 배향 및 회전 방향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제1 규제부(43) 및 제2 규제부(44)는, 반드시 본 실시 형태와 같은 제1 평면부(43a) 및 제2 평면부(44a)와 제1 곡면부(43b) 및 제2 곡면부(44b)를 갖는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임의의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수용부(41)는, 연료 탱크(4)의 하방, 또한 엔진(3)과 조종 핸들(20)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 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임의의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조작력 저감 기구(40)는, 적어도 회전체(42)를 구비하고 있으면 되고, 다른 부재(수용부(41) 등)는, 반드시 구비하고 있을 필요는 없다.
또한, 조작력 저감 기구(40)는, 회전체(42)의 회전을 규제하는 제1 규제부(43)와, 제2 이너 케이블(32a)에 장력을 부여하는 맞닿음부(45)가 별체였지만, 이들을 하나의 부품으로 통합해도 된다. 이 경우, 조작력 저감 기구(40)는,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하는 변형예에 관한 조작력 저감 기구(140)와 같은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조작력 저감 기구(140)는, 회전체(142)의 형상이 회전체(42)와 다르다는 점과, 제1 규제부(43) 및 맞닿음부(45) 대신에, 제1 규제부(143)를 구비한다는 점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조작력 저감 기구(40)와 상위하다.
회전체(142)는 제2 연결부(42c)의 제1 연결부(42b)에 대한 간격이, 본 실시 형태보다 이격되어 있다는(도 8에 있어서의 시계 방향으로 약 150° 어긋나게 배치된다는) 점에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회전체(42)와 상위하다. 또한, 제1 규제부(143)는, 회전체(42)의 후방(본 실시 형태에 관한 맞닿음부(45)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는 점에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제1 규제부(43)와 상위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조작력 저감 기구(140)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레버(24)가 최대한 조작되었을 때에 제1 연결부(42b)가 제1 규제부(143)의 평면부(143a)에 맞닿는다. 또한, 제2 케이블(32)의 제2 이너 케이블(32a)은, 제1 규제부(143)의 곡면부(143b)에 맞닿는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회전체(142)의 회전을 규제하는 제1 규제부(143)에 의해, 제2 케이블(32)에 장력을 부여할 수 있으므로, 부품 개수를 삭감할 수 있다.
또한, 제1 케이블(31)과 제2 케이블(32)의 위치 관계는, 상술한 실시 형태나 변형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1에는, 제1 케이블(31) 및 제2 케이블(32)이 본 실시 형태와는 다른 위치 관계로 배치된 경우의 조작력 저감 기구(240)(조작력 저감 기구의 제2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제2 변형예에 관한 조작력 저감 기구(240)에 대해 설명한다.
조작력 저감 기구(240)는, 수용부(241), 회전체(242), 제1 규제부(243), 제2 규제부(244) 및 맞닿음부(245)를 구비한다.
수용부(241)는, 제1 삽입 관통부(241a) 및 제2 삽입 관통부(241b)를 구비한다. 제1 삽입 관통부(241a)는, 수용부(241)의 후방부(후방측면)에 형성된다. 제1 삽입 관통부(241a)에는, 제1 케이블(31)이 전후 방향을 따라 삽입 관통된다.
제2 삽입 관통부(241b)는, 수용부(241)의 전방부(전방측면)에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2 삽입 관통부(241b)는, 수용부(241) 중, 제1 삽입 관통부(241a)가 형성된 후방측면과 반대측의 전방측면(후술하는 회전체(242)를 사이에 두고 반대측의 측면)에 형성된다. 제2 삽입 관통부(241b)에는, 제2 케이블(32)이 전후 방향을 따라 삽입 관통된다. 이와 같이 하여, 제2 케이블(32)(제2 아우터 케이블(32b))의 수용부(241)측의 단부는, 제1 케이블(31)(제1 아우터 케이블(31b))의 수용부(241)측의 단부와 평행이 되도록 배치된다. 이와 같이, 제2 변형예에 관한 제1 케이블(31) 및 제2 케이블(32)은, 수용부(241) 근방에 있어서, 전후 방향으로 대략 일직선상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된다.
회전체(242)는, 본체부(242a), 제1 연결부(242b), 제2 연결부(242c) 및 대향부(242d)를 구비한다. 본체부(242a)는, 축선 방향을 좌우 방향(도 11에 있어서의 지면 깊이 방향)을 향한 대략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 연결부(242b) 및 제2 연결부(242c)는, 본체부(242a)의 외주면으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제1 연결부(242b) 및 제2 연결부(242c)는, 서로 본체부(242a)의 축선 방향(도 11의 지면 깊이 방향) 및 주위 방향으로 위치를 어긋나게 하여 배치된다.
제1 연결부(242b) 및 제2 연결부(242c)는, 도 11에 도시하는 상태(레버(24)가 조작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 회전체(242)의 중심 C보다 상측에 형성된다. 제1 연결부(242b)에는, 제1 케이블(31)의 제1 이너 엔드(31c)가 연결된다. 제2 연결부(242c)에는, 제2 케이블(32)의 제2 이너 엔드(32c)가 연결된다.
대향부(242d)는, 도 11에 도시하는 상태에 있어서, 후술하는 제2 규제부(244)와 대향하는 부분이다. 대향부(242d)는, 본체부(242a)의 외주면으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대향부(242d)는, 제2 연결부(242c)의 우측 방향(도 11의 지면 안쪽)에 형성된다.
제1 규제부(243), 제2 규제부(244) 및 맞닿음부(245)는, 수용부(241)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더 상세하게는, 제1 규제부(243)는, 수용부(241)의 후방 하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제2 규제부(244)는, 수용부(241)의 전방 상부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맞닿음부(245)는, 수용부(241)의 전방 하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조작력 저감 기구(24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있어서는, 도 11에 도시하는 레버(24)가 조작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부터, 도 12에 도시하는 레버(24)가 최대한 조작된 상태까지 조작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조작력 저감 기구(24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에 도시하는 레버(24)가 조작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 제2 케이블(32)에 클러치 기구(9)에 의한 가압력 A1이 작용하여, 제2 이너 케이블(32a)은, 전방으로 인장된다. 이에 의해, 회전체(242)는, 도 11에 있어서의 반시계 방향으로 가압된다. 회전체(242)는, 대향부(242d)가 제2 규제부(244)와 맞닿음으로써,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이 규제된다.
이러한 상태로부터 레버(24)가 조작되면, 제1 케이블(31)에 조작력 A2(도 12 참조)가 작용하여, 제1 이너 케이블(31a)은 후방으로 인장된다. 이에 의해, 회전체(242)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레버(24)를 최대한 조작하면, 회전체(242)는, 제2 연결부(242c)가 제1 규제부(243)와 맞닿을 때까지 회전한다. 이 상태에 있어서, 제2 이너 케이블(32a)은, 맞닿음부(245)의 상단부와 맞닿아 약간 굴곡된다. 또한, 제2 이너 엔드(32c)는, 회전체(242)의 중심 C와 맞닿음부(245)의 상단부를 통과하는 직선 D1과 중복되어, 사점의 근방에 위치하게 된다. 이에 의해, 제2 변형예에 있어서도, 상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레버(24)를 최대한 조작한 상태를 쉽게 유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제2 변형예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241)는, 일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케이블(31)을 내측으로 안내하는 제1 삽입 관통부(241a)와, 상기 회전체(242)를 사이에 두고 상기 일측면과는 반대측의 타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케이블(32)을 내측으로 안내하는 제2 삽입 관통부(241b)를 구비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제1 케이블(31) 및 제2 케이블(32)이 비교적 똑바로(직선상) 경로 배정되기 쉬워진다. 제1 케이블(31) 및 제2 케이블(32)을 직선상으로 배치함으로써, 레버(24)가 조작되었을 때에 발생하는 미끄럼 이동 저항, 구체적으로는 제1 아우터 케이블(31b)에 대한 제1 이너 케이블(31a)의 미끄럼 이동 저항과, 제2 아우터 케이블(32b)에 대한 제2 이너 케이블(32a)의 미끄럼 이동 저항을 저감할 수 있다.
1: 보행형 관리기
9: 클러치 기구
24: 레버(조작구)
31: 제1 케이블
32: 제2 케이블
42: 회전체
42b: 제1 연결부(제1 연결부)
42c: 제2 연결부(제2 연결부)

Claims (11)

  1. 조작구에 연결된 제1 케이블과,
    클러치 기구에 연결된 제2 케이블과,
    회전 가능하게 지지됨과 함께, 상기 제1 케이블과 연결되는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케이블이 연결되는 제2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조작구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제1 케이블을 통해 소정의 회전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제2 케이블을 통해 상기 클러치 기구를 작동시키는 회전체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조작구가 최대한 조작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2 케이블에 의한 회전력이 작용하지 않는 사점 근방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보행형 관리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구가 최대한 조작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사점 근방 위치로부터의 리턴력을 얻기 위해, 상기 제2 케이블에 접함으로써, 상기 제2 케이블에 장력을 부여하는 장력 부여부를 더 구비하는,
    보행형 관리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와 맞닿음으로써, 상기 회전체의 회전을 소정의 위치에서 규제하는 규제부를 더 구비하는,
    보행형 관리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 상기 장력 부여부 및 상기 규제부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더 구비하는,
    보행형 관리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연료 탱크의 하방에 배치되는,
    보행형 관리기.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엔진과 조종 핸들 사이에 배치되는,
    보행형 관리기.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조작구가 조작되고 있지 않을 때에 위치하는 초기 위치와, 상기 조작구가 최대한 조작되었을 때에 위치하는 최대 회전 위치 사이의 중도부에 있어서, 상기 제2 케이블에 의한 회전력이 최대가 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보행형 관리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조작구가 조작되고 있지 않을 때에 위치하는 초기 위치와, 상기 조작구가 최대한 조작되었을 때에 위치하는 최대 회전 위치 사이의 중도부에 있어서, 상기 제2 케이블에 의한 회전력이 최대가 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보행형 관리기.
  9.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일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케이블을 내측으로 안내하는 제1 삽입 관통부와,
    상기 회전체를 사이에 두고 상기 일측면과는 반대측의 타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케이블을 내측으로 안내하는 제2 삽입 관통부를
    구비하는,
    보행형 관리기.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일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케이블을 내측으로 안내하는 제1 삽입 관통부와,
    상기 회전체를 사이에 두고 상기 일측면과는 반대측의 타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케이블을 내측으로 안내하는 제2 삽입 관통부를
    구비하는,
    보행형 관리기.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일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케이블을 내측으로 안내하는 제1 삽입 관통부와,
    상기 회전체를 사이에 두고 상기 일측면과는 반대측의 타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케이블을 내측으로 안내하는 제2 삽입 관통부를
    구비하는,
    보행형 관리기.
KR1020200106811A 2019-09-10 2020-08-25 보행형 관리기 KR1024946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164746A JP6853540B2 (ja) 2019-09-10 2019-09-10 歩行型管理機
JPJP-P-2019-164746 2019-09-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0863A true KR20210030863A (ko) 2021-03-18
KR102494652B1 KR102494652B1 (ko) 2023-01-31

Family

ID=74861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6811A KR102494652B1 (ko) 2019-09-10 2020-08-25 보행형 관리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853540B2 (ko)
KR (1) KR102494652B1 (ko)
CN (1) CN114071988B (ko)
WO (1) WO2021049097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28085A2 (en) * 1996-08-13 1998-03-11 Gearmaster Europe B.V. Automatic clutch
JP2000342002A (ja) * 1999-06-07 2000-12-12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耕耘機の操作レバー
JP2004145783A (ja) * 2002-10-28 2004-05-20 New Delta Ind Co グリップ式レバー
JP2017175983A (ja) 2016-03-29 2017-10-05 三菱マヒンドラ農機株式会社 歩行型管理機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88902A (ja) * 1998-12-25 2000-07-11 Iseki & Co Ltd 歩行型管理作業耕耘装置
CN1274195C (zh) * 2002-07-16 2006-09-13 来田农产株式会社 耕作机械及旋耕爪部件、旋耕爪安装装置及旋转耕作装置
CN201074647Y (zh) * 2007-09-20 2008-06-18 陈文礼 摩托车离合器的液压省力装置
DE102008012894A1 (de) * 2008-03-06 2009-09-10 Zf Friedrichshafen Ag Betätigungseinrichtung für eine Reibungskupplungseinrichtung und von diesen gebildete Drehmomentübertragungseinrichtung
CN201536479U (zh) * 2009-11-04 2010-08-04 重庆航天巴山摩托车制造有限公司 农机设备及其安全保护装置
CN102792791A (zh) * 2012-09-07 2012-11-28 曹明山 多功能田园管理机
CN103899674A (zh) * 2014-03-11 2014-07-02 李斯端 一种离合手柄操纵机构
WO2015146901A1 (ja) * 2014-03-28 2015-10-01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
CN104071290B (zh) * 2014-06-27 2017-05-17 瑞安市金吉机车零部件有限公司 带扳钮式驻车机构的摩托车把手刹车装置
CN104613099B (zh) * 2015-02-12 2018-05-15 中联重机股份有限公司 离合拉线安装机构及具有其的离合操纵装置
CN105393693A (zh) * 2015-11-30 2016-03-16 宁波大叶园林设备有限公司 具内金属罩和外树脂罩双层降温消声的二冲程lpg引擎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28085A2 (en) * 1996-08-13 1998-03-11 Gearmaster Europe B.V. Automatic clutch
JP2000342002A (ja) * 1999-06-07 2000-12-12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耕耘機の操作レバー
JP2004145783A (ja) * 2002-10-28 2004-05-20 New Delta Ind Co グリップ式レバー
JP2017175983A (ja) 2016-03-29 2017-10-05 三菱マヒンドラ農機株式会社 歩行型管理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853540B2 (ja) 2021-03-31
CN114071988B (zh) 2023-02-17
WO2021049097A1 (ja) 2021-03-18
KR102494652B1 (ko) 2023-01-31
CN114071988A (zh) 2022-02-18
JP2021040531A (ja) 2021-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42601B2 (ja) 作業具装着機構及び作業車
KR20210030863A (ko) 보행형 관리기
JP2019026169A (ja) ライセンスプレートの支持機構及びそれを具備する作業車両
JP7493722B2 (ja) 歩行型管理機
JP7166235B2 (ja) 歩行型管理機
JP7201163B2 (ja) スロットル操作装置
JP7479773B2 (ja) 作業機
JP2021052718A (ja) 歩行型管理機
JP7324177B2 (ja) 作業機
JP5221506B2 (ja) トラクタ
JP7478707B2 (ja) 歩行型管理機
JP7169955B2 (ja) 歩行型管理機
JP7252176B2 (ja) 作業機
JP2021040532A (ja) 歩行型管理機
JP7145138B2 (ja) 歩行型管理機
JP5734029B2 (ja) 歩行型管理機
JP2022102359A (ja) 作業機
JP4409451B2 (ja) 歩行型耕耘機
JP2023081192A (ja) 作業車両
JP5371559B2 (ja) 電気接続箱
JP4463241B2 (ja) ロータリ耕耘機のカバー装置
JP3527795B2 (ja) 操作レバーの操作ボックス構造
JPH0546966Y2 (ko)
JP2010094108A (ja) 農作業機
JP2010019424A (ja) 動力伝達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