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4932A - 반송 분류 장치 - Google Patents

반송 분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4932A
KR20210004932A KR1020207004204A KR20207004204A KR20210004932A KR 20210004932 A KR20210004932 A KR 20210004932A KR 1020207004204 A KR1020207004204 A KR 1020207004204A KR 20207004204 A KR20207004204 A KR 20207004204A KR 20210004932 A KR20210004932 A KR 202100049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conveyor
tilting
conveying
pos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4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히코 후지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ublication of KR202100049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49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30Belts or like endless load-carriers
    • B65G15/32Belts or like endless load-carriers made of rubber or plastics
    • B65G15/42Belts or like endless load-carriers made of rubber or plastics having ribs, ridges, or other surface proj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60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guiding belts, e.g. by fluid jets
    • B65G15/64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guiding belts, e.g. by fluid jets for automatically maintaining the position of the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02Belt- or chain-engaging elements
    • B65G23/04Drums, rollers, or wheels
    • B65G23/06Drums, rollers, or wheels with projections engaging abutments on belts or chains, e.g. sprocket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3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 B65G47/46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and distributing, e.g. automatically, to desired p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65G47/68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adapted to receive articles arriving in one layer from one conveyor lane and to transfer them in individual layers to more than one conveyor lane or to one broader conveyor lane, or vice versa, e.g. combining the flows of articles conveyed by more than one convey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4Devices for flexing or tilting travelling structures; Throw-off carriages
    • B65G47/945Devices for flexing or tilting travelling structures; Throw-off carriages tilting endless surfaces, e.g.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5/00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35/06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prising a load-carrier moving along a path, e.g. a closed path, and adapted to be engaged by any one of a series of traction elements spaced along the pa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nching, Merging, And Special Transfer Between Conveyors (AREA)
  • Sorting Of Articles (AREA)
  • Belt Conveyors (AREA)
  • Threshing Machine Elements (AREA)

Abstract

공항에서의 수하물 반송 분류를 위한 장치로서 활용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반송 분류 장치는, 반송 방향으로 병설된 복수의 틸팅 컨베이어 유닛을 구비하고, 각 틸팅 컨베이어 유닛은, 수평 반송 자세와, 피반송물을 반송 방향에 대해 측방으로 중력에 의해 배출하기 위한 경사 자세 사이에서, 반송 방향과 평행한 지축 둘레에서 자세 전환가능하게 구성되고, 이 각 틸팅 컨베이어 유닛이 구비하는 반송용 컨베이어는, 전후 한쌍의 풀리(26a, 26b) 사이에 벨트(26c)가 걸쳐진 벨트 컨베이어(26a)로 이루어지고, 이 벨트 컨베이어(26a)의 벨트(26c)는, 내측면에 폭방향 복수개의 돌기부(47)가 마련됨과 동시에, 외측면에는 폭방향을 따른 돌기부(48)가 벨트 길이 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마련되고, 전후 한쌍의 풀리(26a, 26b)에는, 상기 벨트(26c)의 양측변을 끼우는 플랜지부는 마련되지 않고, 벨트 내측면의 돌기부(47)가 각기 따로 감합하는 복수개의 오목홈(49)이 둘레면에 마련되어 있다.

Description

반송 분류 장치
본 발명은, 피반송물의 반송 경로 상에 설정된 분류 위치에 있어서, 피반송물을 측방으로 중력에 의해 미끄러져 움직이게 하여 분류할 수 있는 반송 분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반송 분류 장치로서는, 특허문헌 1에 기재되는 바와 같이, 반송 방향으로 병설된 복수의 틸팅(傾動) 컨베이어 유닛을 구비하고, 각 틸팅 컨베이어 유닛은, 수평 반송 자세와, 피반송물을 피반송물 반송 방향에 대해 측방으로 중력에 의해 배출하기 위한 경사 자세 사이에서, 피반송물 반송 방향과 평행한 지축(支軸) 둘레에서 자세 전환 가능하게 구성됨과 동시에, 피반송물의 반송용 컨베이어를 구비한 반송 분류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일본공표특허공보 특표2015-501770호
상기 특허문헌 1의 구성에서는, 각 틸팅 컨베이어 유닛 상에서 피반송물을 반송하는 반송용 컨베이어로서, 설정 속도로 확실하게 피반송물을 반송하기 위해서, 타이밍 벨트를 사용한 일반적인 벨트 컨베이어가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벨트 컨베이어를 구비한 틸팅 컨베이어 유닛을 병설해서 구성된 반송 분류 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생기는 것이 판명되었다. 즉, 일반적인 수평 반송 경로 상에서 피반송물을 반송하는 벨트 컨베이어에서는 문제없지만, 예를 들면 공항에서의 수하물을 반송 분류하는 시스템에서는, 사이즈나 바닥면(底面)의 형상, 무게가 다른 각종 수하물을 취급하는 관계로, 이 반송 분류 장치의 반송 경로에 적합한 사이즈의 트레이에 피반송물(수하물)을 재치(載置)해서 반송 분류하도록 되어 있고, 게다가, 전용의 트레이를 병용하는 관계로 인해 반송 속도도 비교적 고속으로 설정된다.
상기와 같은 상황에서는, 플랫한 트레이 바닥면과 컨베이어 벨트의 플랫한 표면이 면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그 양자 사이에서의 마찰력이 크게 되어 있는 것이 원인으로, 분류 동작의 전반에서의 틸팅 컨베이어 유닛의 수평 자세로부터 경사 자세로의 요동시와 분류 동작의 후반에서의 틸팅 컨베이어 유닛의 경사 자세로부터 수평 자세로의 요동시에, 트레이가 벨트 컨베이어에 대해서 거리적으로는 얼마 되지 않지만 원활하게 가로로 미끄러지지 않으면 안되는 바, 트레이에 끌려가서 컨베이어 벨트가 트레이의 가로이동(橫動) 방향으로 일체로 가로이동하는 경향이 강하고, 이 결과, 컨베이어 벨트(타이밍 벨트)가 풀리에 대해서 풀리 축방향으로 가로로 미끄러지게 된다. 일반적으로 타이밍 벨트 이용의 벨트 컨베이어에서는, 풀리의 축방향 양측에 벨트를 좌우 양측으로부터 끼우는 플랜지가 장착되어 있으므로, 결과로서 풀리에 대한 컨베이어 벨트의 진입 퇴출시에 상기 플랜지와 컨베이어 벨트의 측변 사이에 압접 상태에서의 상대 미끄럼이 발생하고, 컨베이어 벨트의 측변이 심하게 마모해서, 진애(塵埃)의 발생과 컨베이어 벨트의 내용 수명(耐用壽命)의 극단적인 저하로 이어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반송 분류 장치를 제안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관계된 반송 분류 장치는, 후술하는 실시예와의 관계를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 당해(當該)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사용한 참조 부호를 괄호 안에 기재하여 나타내면, 반송 방향으로 병설된 복수의 틸팅 컨베이어 유닛(10, 11)을 구비하고, 각 틸팅 컨베이어 유닛(10, 11)은, 수평 반송 자세와, 피반송물을 피반송물 반송 방향에 대해 측방으로 중력에 의해 배출하기 위한 경사 자세 사이에서, 피반송물 반송 방향과 평행한 지축(7) 둘레에서 자세 전환 가능하게 구성됨과 동시에, 피반송물의 반송용 컨베이어를 구비한 반송 분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반송용 컨베이어는, 전후 한쌍의 풀리(26a, 26b) 사이에 벨트(26c)가 걸쳐진 벨트 컨베이어(24a, 24b)로 이루어지고, 이 벨트 컨베이어(24a, 24b)의 벨트(26c)는, 내측면에, 벨트 길이 방향을 따른 돌기부(突條部, ridge)(47)가 폭방향으로 적당한 간격을 두고 복수개 마련됨과 동시에, 외측면에는 폭방향을 따른 돌기부(48)가 벨트 길이 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마련되고, 상기 전후 한쌍의 풀리(26a, 26b)에는, 상기 벨트(26c)의 양측변을 끼우는 플랜지부는 마련되지 않고, 벨트 내측면의 상기 돌기부(47)가 각기 따로 감합(嵌合)하는 복수개의 오목홈(凹溝)(49)이 둘레면에 마련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전후 한쌍의 풀리와 벨트 사이의 회전 방향의 마찰력은, 벨트측의 복수개의 상기 돌기부와 풀리측의 복수개의 상기 오목홈과의 감합에 의해, 단순한 평탄 둘레면의 풀리와 평벨트가 맞닿는 경우와 비교해서 현격히 커지고, 게다가 벨트 표면의 폭방향의 돌기부의 존재에 의해서, 당해 벨트에 대한 피반송물(트레이)의 벨트 길이 방향의 미끄럼 저항은 증대하므로, 전후 한쌍의 풀리의 한쪽에 주어지는 회전 구동력을 확실하게 벨트에 전함과 동시에 당해 벨트의 회동력을 확실하게 피반송물(트레이)에 전할 수 있고, 결과로서, 종래의 타이밍 벨트를 사용하는 경우와 손색없이, 피반송물(트레이)을 설정 속도로 확실하게 반송할 수가 있다.
게다가 전후 한쌍의 풀리에 벨트의 양측변을 끼우는 플랜지부가 마련되어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풀리에 대해서 벨트가 풀리 축방향으로 유동(遊動)하는 것은, 벨트측의 복수개의 상기 돌기부와 풀리측의 복수개의 상기 오목홈과의 감합에 의해 강력하게 저지되고 있으므로, 전후 한쌍의 풀리에 대해서 벨트가 풀리 축방향으로 유동할 가능성은 전혀 없고, 전후 한쌍의 풀리에 벨트의 양측변을 끼우는 플랜지부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것과 더불어, 전후 한쌍의 풀리에 대해서 벨트가 풀리 축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이 원인으로 되는 벨트의 마모 손상이나 진애의 발생도 없어진다. 한편, 벨트 표면의 폭방향의 돌기부는, 상기와 같이 당해 벨트에 대한 피반송물(트레이)의 벨트 길이 방향의 미끄럼 저항은 증대시키면서, 벨트 폭방향의 피반송물(트레이)의 미끄럼 저항은 적어지므로, 틸팅 컨베이어 유닛이 수평 자세로부터 경사 자세로 옮길 때의 피반송물(트레이)의 경사 아래쪽으로의 미끄럼은, 벨트를 경사 아래쪽으로 끌고가는 일없이 원활히 행해진다. 따라서 이 점에 있어서도, 벨트가 폭방향으로 가로이동하는 것에 기인하는 벨트의 마모 손상이나 진애의 발생도 억제된다.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경우, 상기 벨트 내측면의 돌기부(47)는, 단면 형상이 선단측일수록 폭이 좁아지는 사다리꼴(台形)로 하고, 상기 풀리 둘레면의 오목홈(49)은, 상기 벨트 내측면의 돌기부(47)의 경사 양측면에 맞닿는 경사 양측면을 구비한 형상으로 하고, 상기 벨트 내측면의 돌기부(47)가 상기 풀리 둘레면의 오목홈(49)에 감합된 상태에서는, 각각의 상기 경사 양측면끼리만이 서로 맞닿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풀리에 대한 벨트의 둘레방향의 상대 미끄럼을 확실하게 억제하는데 효과적이며, 타이밍 벨트를 사용하지 않는 것에 의한 단점을 거의 해소할 수 있다.
도 1a는, 반송 분류 장치의 일부 생략 측면도, 도 1b는 반송 분류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반송 분류 장치의 출구측 영역을 도시하는 주요부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반송 분류 장치의 출구측 영역을 도시하는 주요부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반송 분류 장치의 출구측을 도시하는 일부 절결 정면도이다.
도 5는, 반송 분류 장치를 구성하는 각 조립체를 도시하는 종단 배면도이다.
도 6은, 틸팅 컨베이어 유닛의 분류 동작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7은, 반송 분류 장치의 반송 분류 동작을 설명하는 개략 측면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주요부의 일부 횡단 평면도, 도 8b는, 도 8a의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 9a는, 도 8a의 종단 정면도, 도 9b는, 사용하고 있는 컨베이어 벨트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a 및 도 1b는, 반송 분류 장치를 구성하는 5개의 조립체(1A∼1E) 중, 중앙의 하나의 조립체(1C)의 도시를 생략한 개략 측면도와 동(同) 평면도로서, 입구측 단부의 조립체(1A)에는 반입용 컨베이어(2)가 접속되고, 출구측 단부의 조립체(1E)에는 반출용 컨베이어(3)가 접속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피반송물을 적재한 트레이(T)를 반송하는 반송 경로 상에 분류 영역이 1개소 또는 복수 개소로 설정되고, 이 분류 영역에 본 발명에 관계된 반송 분류 장치가 설치되고, 이 반송 분류 장치에서의 피반송물의 분류는, 반송되는 트레이(T)를, 반송 방향의 이동을 멈추는 일없이 좌우 어느 한쪽의 분류 방향으로 경사시켜서, 트레이(T) 상에 적재되어 있는 피반송물을 중력에 의해 트레이(T) 상으로부터 측방 아래쪽으로 미끄러져 움직이게 하여 낙하(滑動落下)시키는 것에 의해서 행해진다. 물론, 트레이(T)를 사용하지 않고 직접 피반송물을 반송하고, 상기와 같이 분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각 조립체(1A∼1E)의 상세 구조를, 도 2∼도 5에 근거하여 설명하면, 각 조립체(1A∼1E)는, 피반송물의 반송 방향 한쌍의 베어링(軸受)(5, 6)에 의해서 양단이 자전가능하게 지지되어, 피반송물 반송 분류 장치의 반송 방향과 평행하게 또한 피반송물 반송 분류 장치의 좌우 폭방향의 중앙 위치에 수평으로 위치하는 지축(7), 이 지축(7)에 각각 전후 한쌍의 베어링(8a, 8b 및 9a, 9b)에 의해서 지지된 전후 한쌍의 틸팅 컨베이어 유닛(10, 11), 및 각 틸팅 컨베이어 유닛(10, 11)을 각기 따로 수평 반송 자세와 경사 자세로 전환하는 2대의 틸팅용 모터(12, 13)로 구성되어 있다. 각 조립체(1A∼1E)의 전후 한쌍의 베어링(5, 6) 중, 반송 분류 장치의 반송 방향 양단에 위치하는 베어링(5, 6)은, 각각 1개의 기둥모양 지지 부재(14, 15)에 의해서 가대(架台)(16) 상에 지지되고, 인접하는 2개의 조립체 사이에서 인접하는 2개의 베어링(5, 6)은, 공통의 기둥모양 지지 부재(17) 상에 대좌(17a)를 거쳐 지지되어 있다.
조립체(1A∼1E)의 인접하는 2개의 조립체 사이에서는, 지축(7)의 단부끼리가 회전 전달용 이음쇠(繼手)(18)에 의해서 동심상으로 연동 연결되어, 반송 분류 장치의 전체길이에 걸쳐서 연속하는 1개의 연동 전동축(19)이 구성되고, 도 1a, 도 1b,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송 분류 장치의 출구측 단부에 위치하는 조립체(1E)의 지축(7)의 자유단(遊端)에는, 당해 조립체(1E)의 외측에서 가대(16)에 지지된 1대의 컨베이어 구동용 모터(20)가, 상하 방향의 와인딩(卷掛) 전동 수단(21)에 의해서 연동 연결되어 있다. 이 와인딩 전동 수단(21)으로서, 전동측 풀리(22a), 수동측 풀리(22b), 및 양풀리(22a, 22b) 사이에 걸쳐진 이음매없는(無端, endless) 벨트(22c)로 이루어지는 벨트 전동 수단을 도시하고 있지만, 체인을 이용하는 와인딩 전동 수단이더라도 좋다.
각 틸팅 컨베이어 유닛(10, 11)은 동일 구조의 것으로서, 평면에서 보았을 때(平面視)가 가로로 긴 직사각형(矩形)의 구체(軀體, structure)(23), 이 구체(23)에 마련된 좌우 한쌍의 피반송물 반송용의 벨트 컨베이어(24a, 24b), 및 구체(23)의 좌우 양단에 부설된 사이드 가이드(25a, 25b)로 구성되어 있다. 좌우 한쌍의 벨트 컨베이어(24a, 24b)는, 구동 풀리(26a)와 종동 풀리(26b) 사이에 이음매없는 벨트(26c)를 걸친 것으로, 이음매없는 벨트(26c)의 상측 반송 경로부가 구체(23)의 상면 상에 노출되도록 설치되고, 서로 동심상으로 위치하는 좌우 한쌍의 구동 풀리(26a)는, 베어링(27a, 27b)에 의해서 좌우 수평 방향으로 지탱된 좌우 한쌍의 회전축(28a, 28b)의 외단부에 장착되고, 이들 양회전축(28a, 28b)은, 구체(23) 내의 좌우 폭방향의 중앙 위치에 설치된 기어 박스(29)로부터 좌우 양측에 동심상으로 돌출하는 출력축(30a, 30b)에 회전 전달용 이음쇠(31a, 31b)를 거쳐 연동 연결되어 있다.
기어 박스(29)는, 구체(23) 내의 좌우 폭방향의 중앙 위치에서 후방으로 돌출하는 구동축(32)을 구비하고 있고, 이 구동축(32)의 회전에 의해 양출력축(30a, 30b)이 동일 방향으로 동일 속도로 연동 회전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그리고 구동축(32)은, 그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연동 전동축(19)(각 조립체(1A∼1E)의 지축(7))과 와인딩 전동 수단(33)에 의해서 연동 연결되어 있다. 이 와인딩 전동 수단(33)으로서, 전동측 풀리(34a), 수동측 풀리(34b), 및 양풀리(34a, 34b) 사이에 걸쳐진 이음매없는 벨트(34c)로 이루어지는 벨트 전동 수단을 도시하고 있지만, 체인을 이용하는 와인딩 전동 수단이더라도 좋다.
상기 구성에 의해, 반송 분류 장치의 출구측에 설치된 1대의 컨베이어 구동용 모터(20)를 가동시키는 것에 의해, 연동 전동축(19)(각 조립체(1A∼1E)의 지축(7))으로부터 와인딩 전동 수단(33)과 기어 박스(29)를 거쳐, 모든 조립체(1A∼1E)의 전후 한쌍의 틸팅 컨베이어 유닛(10, 11)이 구비하는 좌우 한쌍의 벨트 컨베이어(24a, 24b)를, 이들 벨트 컨베이어(24a, 24b) 상에서 지지되는 트레이(T)가 반송 분류 장치의 입구측으로부터 출구측으로 소정의 속도로 반송되도록, 회전 구동시킬 수가 있다. 이 때의 트레이(T)는, 그의 좌우 양측변이 각 틸팅 컨베이어 유닛(10, 11)의 좌우 양측변에 세워마련(立設)되어 있는 사이드 가이드(25a, 25b)에 의해서 반송 경로가 규제되지만, 이들 사이드 가이드(25a, 25b)의 반송 방향 전후 양단부에는, 트레이(T)의 좌우 양측면에 맞닿아 굴러가는 가이드 롤러(35)가 축지지(軸支)되어 있다.
조립체(1A∼1E)가 구비하는 전후 한쌍의 틸팅 컨베이어 유닛(10, 11)은, 연동 전동축(19)(각 조립체(1A∼1E)의 지축(7))에 대해, 각각 전후 한쌍의 베어링(8a∼9b)을 거쳐 좌우 양단부가 상하이동하는 방향으로 틸팅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지만, 이 틸팅 컨베이어 유닛(10, 11)을, 트레이(T)를 지지 반송하는 수평 반송 자세(도 5 참조)와,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축(7) 둘레로 좌우 어느 한쪽의 방향으로 예를 들면 45도 정도 경사진 경사 자세로 전환하기 위해서, 틸팅 컨베이어 유닛(10, 11)마다 틸팅용 모터(12, 13)가 연동 연결되어 있다. 이들 양틸팅용 모터(12, 13)에는, 1개의 틸팅 컨베이어 유닛(10/11)의 반송 방향의 가로폭보다도 축심 방향의 전체길이가 길어서, 구동 토크가 큰 대형의 감속기가 달린 서보모터가 사용되므로,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당해 틸팅용 모터(12, 13)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지축(7)의 좌우 양측에서 전후 서로 역방향으로 되도록, 각각의 축심 방향이 지축(7)과 평행하게 되도록 가대(16) 상에 설치되어 있다.
더욱더 상세하게 기술하면, 각 틸팅용 모터(12, 13)의 출력축(36, 37)에는, 전동측 타이밍 벨트 풀리(38a, 39b)가 장착되고, 이 전동측 타이밍 벨트 풀리(38a, 39b)로부터 돌출하는 출력축(36, 37)의 자유단부를, 각 틸팅용 모터(12, 13)를 지지하는 붙박이판(据付板)(40a, 40b) 상에 장착된 베어링(41a, 41b)에 의해서 지지하는 것에 의해, 당해 출력축(36, 37)을 양단 지지(兩持支持) 구조로 하고 있다. 한편, 각 조립체(1A∼1E)의 지축(7)의 양단을 지탱하는 베어링(5, 6)의 내측에는, 각 틸팅 컨베이어 유닛(10, 11)을 지축(7)에 의해서 틸팅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전후 한쌍의 베어링(8a∼9b) 중, 외측에 위치하는 베어링(8a, 9b)이 인접해 있고, 이들 베어링(8a, 9b)의 더욱더 내측에서 지축(7)에, 상기 전동측 타이밍 벨트 풀리(38a, 39a)와 쌍을 이루는 수동측 타이밍 벨트 풀리(38b, 39b)가 상대 회전가능하게 느슨하게 끼워지고, 이들 수동측 타이밍 벨트 풀리(38b, 39b)와 외측에 인접하는 베어링(8a, 9b)이 둘레방향 복수개의 결합용 볼트(42, 43)에 의해서 결합 일체화되어 있다. 그리고 전동측 타이밍 벨트 풀리(38a, 39a)와 수동측 타이밍 벨트 풀리(38b, 39b)에, 와인딩 전동구로서의 타이밍 벨트(38c, 39c)가 걸쳐지고, 타이밍 벨트 이용의 와인딩 전동 수단(44, 45)이 구성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상기와 같이 와인딩 전동 수단(44, 45)을 구성할 수 있는 위치에, 축심 방향이 지축(7)과 평행하게 되는 방향의 2개의 틸팅용 모터(12, 13)가, 지축(7)의 길이 방향의 중앙 1점 둘레에 점대칭으로 가대(16) 상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각 틸팅용 모터(12, 13)와 상기 베어링(41a, 41b)을 지지하는 붙박이판(40a, 40b)은, 가대(16) 상에 좌우 가로방향으로 위치 조정가능하게 붙박아놓여지고, 와인딩 전동 수단(44, 45)의 타이밍 벨트(38c, 39c)의 장력 조정을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연동 전동축(19)(각 조립체(1A∼1E)의 지축(7))의 회전을 틸팅 컨베이어 유닛(10, 11)의 벨트 컨베이어(24a, 24b)에 전달하기 위한 와인딩 전동 수단(33)의 전동측 풀리(34a)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와인딩 전동 수단(44, 45)의 전동측 타이밍 벨트 풀리(38a, 39b)의 내측에 인접하는 위치에서 지축(7)에 장착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반송 분류 장치의 사용 방법의 1예를 설명하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각 조립체(1A∼1E)가 구비하는 전후 한쌍의 틸팅 컨베이어 유닛(10, 11)의 좌우 한쌍의 벨트 컨베이어(24a, 24b)는, 1대의 컨베이어 구동용 모터(20)를 가동시키는 것에 의해, 그의 회전력을, 와인딩 전동 수단(21), 연동 전동축(19), 각 틸팅 컨베이어 유닛(10, 11)에 대응하는 와인딩 전동 수단(33), 기어 박스(29), 및 회전축(28a, 28b)을 경유하여 벨트 컨베이어(24a, 24b)의 구동 풀리(26a)에 전달되고, 이음매없는 벨트(26c)가 소정의 방향으로 소정의 속도로 회동하는 가동 상태로 된다.
한편, 모든 조립체(1A∼1E)의 틸팅 컨베이어 유닛(10, 11)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평 반송 자세에 있는 상태에서 틸팅용 모터(12, 13)가 정지하고 있는 것에 의해, 당해 틸팅용 모터(12, 13)의 기능에 의해서 수평 반송 자세로 보존유지(保持)되고 있으며, 중력에 의해 지축(7)/연동 전동축(19) 둘레로 요동 운동하는 일은 없다. 따라서, 모든 조립체(1A∼1E)의 틸팅 컨베이어 유닛(10, 11)이 수평 반송 자세로 보존유지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와 같이 컨베이어 구동용 모터(20)를 가동시켜서 벨트 컨베이어(24a, 24b)를 소정의 반송 방향으로 연동 회전 구동하는 것에 의해, 도 1a 및 도 1b에 도시하는 반입용 컨베이어(2)로부터 들여보내진 피반송물 적재 트레이(T)를 반출용 컨베이어(3)를 향해서 정속으로 반송하고, 반출용 컨베이어(3) 상으로 내보낼 수가 있다.
상기와 같이 모든 조립체(1A∼1E)의 틸팅 컨베이어 유닛(10, 11)에 있어서의 벨트 컨베이어(24a, 24b)를 가동시키고 있는 트레이 반송 상태에 있어서, 분류를 위해서 특정의 틸팅 컨베이어 유닛(10, 11)을 수평 반송 자세로부터 경사 자세로 전환할 때는, 그 경사 자세로 전환해야 할 틸팅 컨베이어 유닛(10/11)의 틸팅용 모터(12/13)를 가동시키고, 그의 출력축(36/37)의 회전을, 와인딩 전동 수단(44/45)의 전동측 타이밍 벨트 풀리(38a/39a), 타이밍 벨트(38c/39c), 및 수동측 타이밍 벨트 풀리(38b/39b)를 경유시켜서, 결합용 볼트(42/43)로 결합 일체화되어 있는 베어링(8a/9b)을 거쳐 목적의 틸팅 컨베이어 유닛(10/11)의 구체(23)에 전달하는 것에 의해, 상기 수동측 타이밍 벨트 풀리(38b/39b)의 회전 각도분만큼 당해 목적의 틸팅 컨베이어 유닛(10/11)을 지축(7)(연동 전동축(19)) 둘레로 소정의 방향으로 틸팅시킬 수가 있다. 또, 경사 자세의 틸팅 컨베이어 유닛(10/11)을 원래의 수평 반송 자세로 되돌릴 때는, 그 틸팅 컨베이어 유닛(10/11)의 틸팅용 모터(12/13)를, 틸팅 동작시의 회전 각도만큼 역회전시켜서, 틸팅 컨베이어 유닛(10/11)을 경사 자세로부터 원래의 수평 반송 자세로 되돌릴 수가 있다.
반입용 컨베이어(2)로부터 들여보내진 트레이(T)의 적재 피반송물이 이 반송 분류 장치가 있는 장소에서 분류하는 대상일 때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당해 트레이(T)가 반입용 컨베이어(2)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주행한 시점에서, 당해 트레이(T)를 지지하는 영역과 이 영역보다도 아래쪽측에 위치하는 소요(所要) 수의 틸팅 컨베이어 유닛(10/11)을 수평 자세로부터 분류측으로 요동시켜서 경사 자세로 전환하고, 지지하고 있는 주행중인 트레이(T)를 분류측으로 소요 각도만큼 경사시킨다. 이 결과, 트레이(T) 상의 피반송물(W)이 중력에 의해 트레이(T) 상을 경사 아래쪽으로 미끄러져 움직여서, 트레이(T) 상으로부터 미끄러져 떨어지게 된다. 일반적으로는, 이 경사 자세의 트레이(T) 상으로부터 미끄러져 떨어지는 피반송물(W)을 이어받아 목적의 짐 처리대 상으로 유도하는 슈트(46)가 병설된다.
상기한 분류 동작중에 있어서도, 각 틸팅 컨베이어 유닛(10/11)이 구비하는 벨트 컨베이어(24a, 24b)에 의해서 트레이(T)의 반송은 계속되고 있으므로, 경사 자세로 전환된 틸팅 컨베이어 유닛(10/11)의 영역 전체가, 트레이(T)의 반송 속도에 따라 트레이(T)의 주행 방향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당해 영역으로부터 후방으로 떨어진 틸팅 컨베이어 유닛(10/11)은, 순차 경사 자세로부터 수평 자세로 복귀하도록, 각 틸팅 컨베이어 유닛(10/11)의 자세가 제어된다. 그리고 분류를 위한 피반송물(W)의 배출이 완료한 트레이(T)를 지지하는 영역 내의 틸팅 컨베이어 유닛(10/11)은, 경사 자세로부터 수평 자세로 복귀 요동되지만, 트레이(T)를 지지하는 영역으로부터 아래쪽측에 있는 각 틸팅 컨베이어 유닛(10/11)은, 바로 뒤측의 수평 자세로 복귀 도중인 틸팅 컨베이어 유닛(10/11)과 연속하는 각도까지 수평 자세로부터 일단 아래쪽으로 요동한 후에, 바로 뒤측의 수평 자세로 복귀 도중인 틸팅 컨베이어 유닛(10/11)과 일체로 되어 수평 자세로 복귀 요동시켜진다. 이 일련의 동작에 의해, 분류를 위한 피반송물(W)의 배출이 완료한 트레이(T)가 소정의 속도로 주행하면서 수평 자세로 복귀하고, 최종적으로는 수평 자세로 반출용 컨베이어(3) 상으로 내보내진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고 또한 사용되는 반송 분류 장치에 있어서, 각 틸팅 컨베이어 유닛(10/11)이 구비하는 벨트 컨베이어(24a, 24b)는, 본 발명에 따라서 이하와 같이 구성된다. 즉,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벨트 컨베이어(24a, 24b)는, 구동 풀리(26a)와 종동 풀리(26b) 사이에 이음매없는 벨트(26c)를 걸친 것이지만, 구체적으로는, 도 8a∼도 9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음매없는 벨트(26c)는, 내측면에, 벨트 길이 방향을 따른 돌기부(47)가 벨트 폭방향으로 적당한 간격을 두고 복수개 마련됨과 동시에, 외측면에는, 벨트 폭방향을 따른 돌기부(48)가 벨트 길이 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마련된 것이며, 구동 풀리(26a)와 종동 풀리(26b)에는, 상기 이음매없는 벨트(26c)의 양측변을 끼우는 플랜지부는 마련되지 않고, 벨트 내측면의 상기 돌기부(47)가 각기 따로 감합하는 복수개의 오목홈(49)이 둘레면에 마련된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이음매없는 벨트(26c)의 내측면의 돌기부(47)는, 단면 형상이 선단측일수록 폭이 좁아지는 사다리꼴이며, 풀리(26a, 26b)측의 오목홈(49)은, 그의 양측면이 상기 돌기부(47)의 경사 양측면과 동일 각도로 경사지는 단면 삼각형으로 되어 있다. 이 오목홈(49)은, 가장 깊숙한 부분(最奧部)이 평탄면으로 되어 있는 단면 사다리꼴 모양으로 할 수도 있다. 바꾸어 말하면, 상기 벨트(26c)의 내측면의 돌기부(47)는 선단측일수록 열린 경사 양측면을 구비한 형상으로 하고, 상기 풀리(26a, 26b)의 둘레면의 오목홈(49)은, 상기 벨트 내측면의 돌기부(47)의 경사 양측면에 맞닿는 경사 양측면을 구비한 형상으로 하고, 상기 벨트 내측면의 돌기부(47)가 상기 풀리 둘레면의 오목홈(49)에 감합된 상태에서는, 각각의 상기 경사 양측면끼리만이 서로 맞닿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음매없는 벨트(26c)에 작용하는 장력에 의해 돌기부(47)의 경사 양측면과 오목홈(49)의 경사 양측면이 확실하게 밀접하도록, 돌기부(47)의 선단과 오목홈(49)의 바닥부가 서로 부딪치지 않는 형상임과 동시에, 돌기부(47) 사이의 골짜기(谷) 바닥부와 오목홈(49) 사이의 산(山) 정상부가 서로 부딪치지 않는 형상으로 구성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돌기부(47)는, 단면 사다리꼴로 함과 동시에 이 돌기부(47) 사이의 바닥부에 단면 직사각형의 오목홈부(47a)를 형성하고, 오목홈(49)은, 단면 삼각형으로 함과 동시에 이 오목홈(49) 사이의 산부도 단면 삼각형으로 하고 있다.
상기 구성의 벨트 컨베이어(24a, 24b)에 의하면, 예를 들면 종동 풀리(26b)를 구동 풀리(26a)에 대한 원근 방향으로 위치 조정해서, 이음매없는 벨트(26c)에 소정의 장력을 발생시켜 두는 것에 의해, 구동 풀리(26a)에 대한 이음매없는 벨트(26c)의 둘레방향의 마찰력이 매우 커지고, 구동 풀리(26a)에 대해서 이음매없는 벨트(26c)가 둘레방향으로 미끄러지는 일은 실질적으로 없어지므로, 이음매없는 벨트(26c)로서 타이밍 벨트를 사용한 경우와 동등하게 구동 풀리(26a)에 의해 이음매없는 벨트(26c)를 확실하게 소정 속도로 회전 구동시킬 수가 있다. 즉,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동 풀리(26a)를 회전 구동시켜서, 이음매없는 벨트(26c)를 소정의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것에 의해, 지지하는 트레이(T)를 소정의 방향으로 소정의 속도로 확실하게 반송시킬 수가 있다.
게다가 틸팅 컨베이어 유닛(10, 11)을 수평 자세로부터 경사 자세로 변화시켜서, 반송중인 트레이(T)를 경사시키는 것에 의해, 트레이(T) 상의 피반송물을 경사 아래쪽으로 중력에 의해 미끄러져 움직이게 하여 배출(滑動排出)시키는 분류 동작이 행해질 때, 트레이(T)는, 당해 트레이(T)의 가로폭과 틸팅 컨베이어 유닛(10, 11)의 좌우 양사이드 가이드(25a, 25b) 사이의 폭(가이드 롤러(35) 사이의 폭)과의 차이에 상당하는 여유분(遊代, allowance)의 범위 내에서 경사 아래쪽으로 벨트 컨베이어(24a, 24b) 상을 미끄러져 움직이게 되지만, 이 때 트레이(T)의 평탄한 바닥면은 이음매없는 벨트(26c)의 돌기부(48)의 상면을 당해 돌기부(48)의 길이 방향으로 미끄러져 움직이게 되므로, 이 돌기부(48)가 없어서 평탄한 이음매없는 벨트(26c)의 상면을 미끄러져 움직이는 경우와 비교해서 미끄러져 움직이는 저항(滑動抵抗)이 적다.
즉, 경사 아래쪽으로 미끄러져 움직이는 트레이(T)가, 그의 바닥면과 이음매없는 벨트(26c)의 상면(돌기부(48)의 상면) 사이의 마찰력을 거쳐 이음매없는 벨트(26c)를 경사 아래쪽으로 끌어들당기는 힘은 매우 작다. 게다가 이음매없는 벨트(26c)는, 전후 양풀리(26a, 26b)에 대한 당해 풀리(26a, 26b)의 축방향의 이동이, 돌기부(47)와 오목홈(49)과의 감합에 의해 강력하게 저지되고 있는 상태에 있기 때문에, 이음매없는 벨트(26c)가, 경사 아래쪽으로 미끄러져 움직이는 트레이(T)에 추종해서 전후 양풀리(26a, 26b)에 대해서 경사 아래쪽으로 이동하는 일은 전혀 없다. 이상의 이유에 의해, 벨트 컨베이어(24a, 24b)의 이음매없는 벨트(26c)의 측변이, 타이밍 벨트 사용시와 같이 풀리(26a, 26b)의 양측에서 장착된 위치결정용 플랜지에 슬라이딩접촉(摺接)해서, 진애를 발생시키거나, 이 이음매없는 벨트(26c)의 측변이 심하게 마모되는 바와 같은 일이 없어진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반송 분류 장치는, 공항에서의 수하물 반송 분류와 같이, 피반송물을 전용의 반송용 트레이에 적재해서 반송함과 동시에 반송처(반송할 곳)에 따라 자동 분류하지 않으면 안되는 바와 같은 피반송물의 반송 분류 장치로서 활용할 수 있다.
1A∼1E: 조립체
2: 반입용 컨베이어
3: 반출용 컨베이어
5, 6, 8a∼9b, 27a, 27b, 41a, 41b: 베어링
7: 지축
10, 11: 틸팅 컨베이어 유닛
12, 13: 틸팅용 모터
14, 15, 17: 기둥모양 지지 부재
16: 가대
18, 31a, 31b: 회전 전달용 이음쇠
19: 연동 전동축
20: 컨베이어 구동용 모터
21, 33, 44, 45: 와인딩 전동 수단
23: 직사각형 구체
24a, 24b: 벨트 컨베이어
25a, 25b: 사이드 가이드
29: 기어 박스
42, 43: 결합용 볼트
46: 슈트
47: 이음매없는 벨트 내측면의 돌기부
47a: 돌기부 사이의 단면 직사각형의 오목홈부
48: 이음매없는 벨트 외측면의 돌기부
49: 풀리 둘레면의 오목홈
T: 피반송물 적재용 트레이
W: 피반송물

Claims (2)

  1. 반송 방향으로 병설된 복수의 틸팅(傾動) 컨베이어 유닛을 구비하고, 각 틸팅 컨베이어 유닛은, 수평 반송 자세와, 피반송물을 피반송물 반송 방향에 대해 측방으로 중력에 의해 배출하기 위한 경사 자세 사이에서, 피반송물 반송 방향과 평행한 지축(支軸) 둘레에서 자세 전환가능하게 구성됨과 동시에, 피반송물의 반송용 컨베이어를 구비한 반송 분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반송용 컨베이어는, 전후 한쌍의 풀리 사이에 벨트가 걸쳐진 벨트 컨베이어로 이루어지고, 이 벨트 컨베이어의 벨트는, 내측면에, 벨트 길이 방향을 따른 돌기부(突條部)가 벨트 폭방향으로 적당한 간격을 두고 복수개 마련됨과 동시에, 외측면에는, 벨트 폭방향을 따른 돌기부가 벨트 길이 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마련되고, 상기 전후 한쌍의 풀리에는, 상기 벨트의 양측변을 끼우는 플랜지부는 마련되지 않고, 벨트 내측면의 상기 돌기부가 각기 따로 감합(嵌合)하는 복수개의 오목홈이 둘레면에 마련되어 있는, 반송 분류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 내측면의 돌기부는, 단면 형상이 선단측일수록 폭이 좁아지는 사다리꼴로 하고, 상기 풀리 둘레면의 오목홈은, 상기 벨트 내측면의 돌기부의 경사 양측면에 맞닿는 경사 양측면을 구비한 형상으로 하고, 상기 벨트 내측면의 돌기부가 상기 풀리 둘레면의 오목홈에 감합된 상태에서는, 각각의 상기 경사 양측면끼리만이 서로 맞닿도록 구성되어 있는, 반송 분류 장치.
KR1020207004204A 2018-04-27 2019-03-13 반송 분류 장치 KR2021000493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086871 2018-04-27
JP2018086871A JP6889411B2 (ja) 2018-04-27 2018-04-27 搬送仕分け装置
PCT/JP2019/010356 WO2019208000A1 (ja) 2018-04-27 2019-03-13 搬送仕分け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4932A true KR20210004932A (ko) 2021-01-13

Family

ID=68293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4204A KR20210004932A (ko) 2018-04-27 2019-03-13 반송 분류 장치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11186451B2 (ko)
EP (1) EP3733570B1 (ko)
JP (1) JP6889411B2 (ko)
KR (1) KR20210004932A (ko)
CN (1) CN111918828A (ko)
AU (1) AU2019258174B2 (ko)
CA (1) CA3085755A1 (ko)
DK (1) DK3733570T3 (ko)
ES (1) ES2918198T3 (ko)
PL (1) PL3733570T3 (ko)
RU (1) RU2768099C1 (ko)
SG (1) SG11202007255RA (ko)
TW (1) TWI798384B (ko)
WO (1) WO201920800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36747B2 (ja) * 2018-04-27 2021-03-03 株式会社ダイフク 搬送仕分け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501770A (ja) 2011-11-21 2015-01-19 クリスプラント アクティーゼルスカブ 動的な荷下ろしを伴う仕分け機構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14474Y1 (ko) * 1967-02-25 1973-04-20
CH475123A (fr) * 1968-04-11 1969-07-15 Gremeret Henri Dispositif à bande d'entraînement souple sans fin
JPS4639621B1 (ko) * 1968-06-25 1971-11-22
JPS5530887Y2 (ko) * 1975-11-08 1980-07-23
JPS5264483A (en) 1975-11-22 1977-05-27 Hiroshi Iizuka Production of arachidonic aczd
US4279337A (en) * 1979-09-10 1981-07-21 Kachnik Joseph E Positive drive conveyor system
JP2703791B2 (ja) * 1988-12-09 1998-01-26 ニッタ株式会社 ベルト搬送装置
JP2541002B2 (ja) * 1990-09-20 1996-10-09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エンドレスベルト搬送装置
JPH0632428A (ja) * 1992-07-13 1994-02-08 Hitachi Constr Mach Co Ltd コンベア装置
DE4225491C1 (de) * 1992-07-30 1993-10-21 Mannesmann Ag Vorrichtung zum Entleeren von Behältern
RU2080280C1 (ru) * 1993-07-30 1997-05-27 Давид Моисеевич Ихельсон Конвейер наклонный, двояковыступоленточный
JP2809119B2 (ja) * 1994-11-14 1998-10-08 ニチデン機械株式会社 ワーク搬送装置及び搬送方法
IT1281121B1 (it) * 1995-12-29 1998-02-11 C P M S P A Costruzioni Prefab Trasportatore per un impianto di movimentazione di carichi.
JPH1087060A (ja) * 1996-09-13 1998-04-07 Toyo Kanetsu Kk 仕分けコンベヤ
DE19755474C1 (de) * 1997-12-02 1999-02-11 Mannesmann Ag Förderer für die Sortierung von Stückgut
US6827198B1 (en) * 2001-01-09 2004-12-07 Laitram, L.L.C. Tilt conveyor
DE10318621A1 (de) * 2003-04-24 2004-11-25 Siemens Ag Förderer zum Transportieren von Lastträgern
CN101054127B (zh) * 2007-05-18 2011-07-20 苏州艾隆科技有限公司 斜坡式储药库
CN103350856A (zh) * 2013-07-02 2013-10-16 无锡天惠塑机有限公司 玉米输送机输送带结构
TWM510910U (zh) * 2015-07-29 2015-10-21 Probelt Global Ltd 具耐磨耗與節能功效的齒型輸送帶
JP6451660B2 (ja) * 2016-02-19 2019-01-16 株式会社ダイフク コンベヤ装置
JP6508086B2 (ja) * 2016-02-19 2019-05-08 株式会社ダイフク コンベヤ装置
CN105836354B (zh) * 2016-04-20 2018-08-17 北京信息科技大学 上药输送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501770A (ja) 2011-11-21 2015-01-19 クリスプラント アクティーゼルスカブ 動的な荷下ろしを伴う仕分け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33570A4 (en) 2021-09-08
PL3733570T3 (pl) 2022-07-11
AU2019258174A1 (en) 2020-08-20
TW201945270A (zh) 2019-12-01
US11186451B2 (en) 2021-11-30
JP2019189430A (ja) 2019-10-31
DK3733570T3 (da) 2022-06-20
US20200354163A1 (en) 2020-11-12
WO2019208000A1 (ja) 2019-10-31
SG11202007255RA (en) 2020-08-28
TWI798384B (zh) 2023-04-11
EP3733570A1 (en) 2020-11-04
ES2918198T3 (es) 2022-07-14
CN111918828A (zh) 2020-11-10
EP3733570B1 (en) 2022-05-11
CA3085755A1 (en) 2019-10-31
AU2019258174B2 (en) 2024-02-29
JP6889411B2 (ja) 2021-06-18
RU2768099C1 (ru) 2022-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5779B1 (ko) 벨트 컨베이어 분류기
JP6836747B2 (ja) 搬送仕分け装置
KR20210004932A (ko) 반송 분류 장치
US11155418B2 (en) Spiral conveyor construction as well as a drive tower
US9027742B2 (en) Conveyor system with different applications and isolation of the conveyed product in relation to the drive system
JP2012020810A (ja) ベルトコンベヤ
JP3361906B2 (ja) 搬送コンベア
WO2022196299A1 (ja) 物品仕分け方法及び物品仕分け装置(article sorting method and article sorting facility)
JP5018562B2 (ja) 搬送設備
CN111971241B (zh) 输送分类装置
JP7021712B2 (ja) 搬送仕分け装置
KR102367804B1 (ko) 과일 공급 장치
JP2017210348A (ja) バケットコンベヤ
JP6369256B2 (ja) 分岐コンベヤ
JPH11278654A (ja) コンベヤ斜め合流部の物品搬送姿勢コントロール機構
JPS62215412A (ja) ベルトコンベヤ
JPH1081416A (ja) 仕分けコンベ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