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2895A - 시린 이 및 치주질환 방지용 치약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시린 이 및 치주질환 방지용 치약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2895A
KR20210002895A KR1020190078729A KR20190078729A KR20210002895A KR 20210002895 A KR20210002895 A KR 20210002895A KR 1020190078729 A KR1020190078729 A KR 1020190078729A KR 20190078729 A KR20190078729 A KR 20190078729A KR 20210002895 A KR20210002895 A KR 202100028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paste
mineral
minerals
lost
electr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8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1917B1 (ko
Inventor
김천균
김창미
Original Assignee
김천균
김창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천균, 김창미 filed Critical 김천균
Priority to KR10201900787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1917B1/ko
Priority to PCT/KR2020/008335 priority patent/WO2021002637A1/ko
Priority to BR112021026657A priority patent/BR112021026657A2/pt
Priority to EP20835102.3A priority patent/EP4014955A4/en
Priority to US17/624,301 priority patent/US20220354774A1/en
Priority to JP2022500581A priority patent/JP2022540413A/ja
Priority to CN202080048502.5A priority patent/CN114080214A/zh
Publication of KR202100028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28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19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19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2Stomatological preparations, e.g. drugs for caries, aphtae, periodontit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species other than mammals or bi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mammals or bir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2Local antisep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30Characterized by the absence of a particular group of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05Corresponding aspects not provided for by any of codes A61K2800/81 - A61K2800/95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Zo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Onc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를 잃어버린 미네랄(금속성)들이 타 원소의 전자를 빼앗아와 안정화하려는 공유결합 또는 배위결합하려는 원리를 치약에 적용하여 각종 구강질환의 치료 및 예방효과가 우수한 전자를 잃어버린 미네랄을 함유한 치약을 이용한 시린 이 및 치주질환 방지용 치약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식품 등에서 추출한 각종 미네랄(금속성)들이 전자를 잃게 만들어 치약 조성물에 첨가하여, 전자를 잃은 미네랄(금속성)들이 마모되고 손상된 치아 표면에 공유결합 또는 배위결합 등을 하므로 치아에 강력한 금속성 피막이 형성할 뿐만 아니라 상아세관에도 공유결합을 함으로 상아세관을 밀봉하는 효과가 뛰어나 시린 이 등 자극에 민감한 치아의 자극을 단기간에 경감시킬 수 있으며, 많이 사용하면 할수록 손상되고 마모된 치아에 각종 미네랄(Fe, Cu, Zn 등) 들이 점점 더 두껍게 코팅(도금)되므로 시린 이가 단기간에 치유되며, 마모되거나 손상된 치아가 복원되고, 프라그와 치석과도 공유결합을 하므로 프라그와 치석이 제거될 수 있는 전자를 잃어버린 미네랄을 함유한 치약을 이용한 시린 이 및 치주질환 방지용 치약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시린 이 및 치주질환 방지용 치약 및 그 제조방법{Toothpaste for prevention of periodontal disease and periodontal diseas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시린 이 및 치주질환 방지용 치약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전자를 잃어버린 미네랄(금속성)들이 타 원소의 전자를 공유하여 안정화하려는 공유결합 또는 배위결합하려는 원리를 치약에 활용하여 각종 구강질환의 치료 및 예방효과가 우수한 전자를 잃어버린 미네랄을 함유한 치약을 이용한 시린 이 및 치주질환 방지용 치약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식품 등에서 추출한 각종 미네랄(금속성)들이 전자를 잃게 만들어 치약 조성물에 첨가하면, 전자를 잃은 미네랄(금속성)들이 마모되고 손상된 치아 표면에 공유결합 또는 배위결합 등을 하므로 치아에 강력한 금속성 피막이 형성될 뿐만 아니라 상아세관에도 공유결합을 함으로 상아세관을 밀봉하는 효과가 뛰어나 시린 이 등 자극에 민감한 치아의 자극을 단기간에 경감시킬 수 있으며, 많이 사용하면 할수록 손상되고 마모된 치아에 각종 미네랄(Fe, Cu, Zn 등) 들이 점점 더 두껍게 코팅(도금)되므로 시린 이가 단기간에 치유되며, 마모되거나 손상된 치아가 복원되고, 프라그와 치석과도 공유결합을 하므로 프라그와 치석이 제거될 수 있는 전자를 잃어버린 미네랄을 함유한 치약을 이용한 시린 이 및 치주질환 방지용 치약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를 잃은 미네랄들의 강 알칼리성이 산성화된 구강 환경에서 번식하고 사는 잇몸질환, 충치, 구취 등의 원인균들이 살 수 없는 알칼리성 환경으로 바꿈으로 부작용이 전혀 없이 각종 세균들의 성장억제 및 제거하는 효과가 있으며 각종 치주질환 치유와 예방 효과가 높은 전자를 잃어버린 미네랄을 함유한 치약을 이용한 시린 이 및 치주질환 방지용 치약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치약은 치아의 표면을 칫솔질할 때 사용하는 의약부외품으로, 특히 미백효과, 살균효과, 치간 청정 효과 등을 목적으로 주로 사용하며, 이를 위하여 일반적으로 치약은 연마제, 습윤제, 기포제, 감미제와 같은 성분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치약은 단순히 치아의 청결 목적 이외에 구강의 건강을 위한 다양한 기능성을 갖는 것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일예로는 치아의 과민증 현상(시린 이 현상 등)을 방지하기 위한 기능이 있다.
치아의 과민증 현상은 치아의 범랑질이 마모되거나 손상되어 상아질이 노출되어 찬 공기나 자극적인 음식물 등에 접촉되었을 때 민감하게 느껴지는 것으로서 가벼운 증상에서 격렬하고 지속적인 통증까지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증상의 경중은 상아세관의 노출 정도에 따라서 다양하게 나타난다. 치아는 겉 표면의 에나멜 질과 바로 밑의 상아질 그리고 신경과 혈관이 분포되어 있는 치수, 치아를 보호하는 잇몸조직으로 나눌 수 있다. 그러나 잘못된 칫솔질이나 잇몸 질환, 충치로 인해 에나멜 층이 손상을 입거나 잇몸의 함몰로 상아질이 드러나게 되면 외부자극이 상아질의 상아세관을 통해 치아 신경에 전달되어 짧지만 격렬하고 강한 통증을 느끼게 된다. 특히 요즘은 젊은 층에서도 시린 이 증상이 증가하고 있으며 초기단계부터 치료가 필요하다.
한편, 치아 우식증(dental caries)을 예방하기 위해 치약이나 구강 청정제에 0.05~0.1. w/v% 농도의 불소가 자주 사용되나, 최근의 보고에 의하면 치약이나 구강청정제 등에서 불소화합물의 사용이 치아의 우식증은 예방할 수는 있지만, 장기적이고 반복적인 불소화합물 사용은 잇몸에 염증 현상을 촉진하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다양한 치약이 개발되고 있고, 그 예로 특허문헌 1내지 3이 있다.
특허문헌 1은 i) 황련 20~25중량%, 지골피 20~25중량%, 자질려 15~20중량%, 포공영 30~35중량%, 감초 4~7중량%를 pH 7~10의 알칼리 이온수를 용매로 하여 40~85℃에서 1~5시간 동안 추출하는 단계; 및 ⅱ) 상기 추출된 여과액 100㎖을 기준으로 산화칼슘 10~30g을 가하여 교반한 후, 4~5℃에서 12~24시간 방치하여 상등액을 여과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치주질환 예방 및 치석 억제용 생약 추출물의 제조방법이고,
특허문헌 2는 (a)허브를 건조분말화한 다음 고온살균처리하여 발효원료를 준비하는 단계와; (b)상기 단계에서 얻은 발효원료에 식물성유산균을 접종하고 발효하여 발효물을 얻는 단계와; (c)상기 단계에서 얻은 발효물을 원심분리하여 발효액을 얻는 단계와; (d)상기 단계에서 얻은 발효액을 추출용매로 추출하여 발효 추출물을 얻는 단계와; (e)상기 단계에서 얻은 발효 추출물을 여과지로 여과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치, 치주질환, 구취 예방 및 개선 기능성 유산균 발효 허브 추출물 제조방법이며,
특허문헌 4는 치약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추 분말 2~10중량부, 귀리 분말 2~10중량부, 카올린 클레이1~5중량부, 강황 분말 0.5~2중량부, 어성초 분말 0.9중량부 및 유황 분말 0.005~0.1중량부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조성물이다.
이러한 종래의 치약은 다양한 기능성을 갖고 있으나, 불소를 사용함에 따라 염증 현상이 오히려 촉진되고 우식증을 줄이는 데 한계가 잇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50309호 대한민국 공개특허제10-2017-002910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1853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시린 이의 지각과민을 완화시키기 위해서 마모되거나 손상되어 노출된 상아세관을 전자를 잃은 미네랄들의 공유결합 등에 의하여 막거나 코팅이 되므로 치주질환을 근원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치약 조성물을 제공 목적과 또 치아 우식증을 유발하는 원인균인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균의 증식 억제 및 항균 효과가 높은 시린 이 및 치주질환 방지용 치약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불소를 사용하지 않으며, 무사카린과 무방부제로서 화학성분에 민감한 사용자에 대한 안전성을 높였을 뿐만 아니라, 각종 구강질환 및 잇몸질환을 치료 및 예방하는 효과를 갖는 시린 이 및 치주질환 방지용 치약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를 잃은 미네랄이 함유된 치약은 치약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전자를 잃은 미네랄을 0.5~15%를 첨가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미네랄은 3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를 잃은 미네랄이 함유된 치약을 제조하는 방법은 미네랄을 세척하는 단계; 이온화하여 전자 잃은 미네랄을 제조하는 단계; 전자 잃은 미네랄을 분쇄하는 단계; 치약의 기본 재료에 향료나(를) 전자 잃은 미네랄과 유기산을 물에 희석하여 혼합하는 조성물 혼합단계; 분쇄된 전자 잃은 미네랄에 정재수를 혼합하여 미네랄정재수를 제조하는 단계; 미네랄정재수에 혼합조성물을 혼합하여 숙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자 잃은 미네랄은 치약조성물 전체 중량의 0.1~15%가 첨가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자 잃은 미네랄은 미네랄을 다량으로 함유한 식품과, 한약제, 및 미네랄 함유 광물을 850℃ 이상에서 15분 이상 가열하여 미네랄이 전자를 잃게 하여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미네랄정재수는 정제수 전체 중량에 대하여 유기산 1~50 중량%와, 전자 잃은 미네랄을 1~50중량%를 혼합하여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한약제는 소뼈, 모려 원료, 석결명 원료 중 적어도 하나 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린 이 및 치주질환 방지용 치약은 전자 잃은 미네랄들이 안정화하려고 타 원소의 전자와 공유결합 또는 배위결합 등을 함므로 치아에 미네랄 피막이 형성되고 치아에 피막이 형성되면 각종 구강질환의 치료 및 예방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치아에 강력한 금속성 피막이 형성될(할) 뿐만 아니라 상아세관에도 공유결합을 함으로 상아세관을 밀봉하는 효과가 뛰어나 시린 이 등 자극에 민감한 치아의 자극을 단기간에 경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를 잃은 미네랄들의 강 알칼리성이 산성화된 구강 환경알칼리성 환경으로 바꿈으로 구강에서 번식하는 잇몸질환, 충치, 구취 등의 원인균들의 성장억제 및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린 이 및 치주질환 방지용 치약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과정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을 통해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각종 구강질환 및 잇몸질환을 치료 및 예방할 수 있는 치약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를 잃은 미네랄이 함유된 치약은 치약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전자를 잃은 미네랄을 0.5~15%를 첨가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자 잃은 미네랄을 0.1 중량% 이하로 하는 경우에는 치아표면에 코팅 효과가 미미하고, 15 중량% 이상으로 하는 경우에는 알카리성이 지나치게 강해져 잇몸이 벗겨질 우려가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잃은 미네랄은 상기한 범위 안에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최적으로는 치약 전체 중량의 3~9 중량%로 첨가하는 것이다.
또한 전자 잃은 미네랄은 파우더의 형태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입경 1.0~2.5 μ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미네랄은 3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고, 미네랄의 종류는 미네랄을 다량으로 함유한 식품이나 한약제, 및 미네랄 함유 광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될 수 있다.
상기 미네랄 함유 한약제는 소뼈, 모려 원료, 석결명 원료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상기 전자 잃은 미네랄은 미네랄 원료를 850℃ 이상에서 15분 이상 가열하여 미네랄이 전자를 잃게 하여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치약을 제조하는 방법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네랄을 세척하는 단계; 이온화하여 전자 잃은 미네랄을 제조하는 단계; 전자 잃은 미네랄을 분쇄하는 단계; 치약의 기본 재료에 향료를 혼합하는 기본 조성물 혼합단계; 분쇄된 전자 잃은 미네랄에 정재수를 혼합하여 미네랄정재수를 제조하는 단계; 미네랄정재수에 혼합조성물을 혼합하여 숙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물론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조된 치약은 용기에 충진함에 의해 제품이 완성된다.
상기 전자 잃은 미네랄은 치약조성물 전체 중량의 0.1~15%가 첨가하되 상기한 바와 같이 최적의 혼합비율은 치약 전체 중량의 3~9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자 잃은 미네랄은 미네랄을 다량으로 함유한 식품과, 한약제, 및 미네랄 함유 광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원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전자잃은 미네랄을 제조하는 방법은 상기한 미네랄을 포함하는 원료를 850℃ 이상에서 15분 이상 가열하여 미네랄이 전자를 잃게 하는 것이다.
상기 미네랄정재수는 정제수 전체 중량에 대하여 유기산 1~50 중량%와, 전자 잃은 미네랄을 1~50중량%를 혼합하여 만들어질 수 있다.
이하 상기한 방법으로 만들어지는 치약 제조 방법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재료 및 방법
(1)치약 조성물은 습윤제(글리세린, 소르비톨 액), 기포제(라우릴 황산나트륨), 감미제 (자일리톨), 약효 성분(프로폴리스), 향료(멘톨), 용제(정제수), 증백제(이산화 티탄) 등으로 치약을 구성하는 기본적 재료들은 시중에서 구입하였다.
(2)전자 잃은 미네랄은 소뼈, 전복, 굴 등을 구입하여 제조하였다.
(3)전자 잃은 미네랄 제조 - (2)의 원료를 전기로에 넣고 1250℃로 25분을 가열하여 미네랄들이 93% 이상 전자를 잃게 한 후에 꺼내어 분쇄기(Hallde SB-4 , 스웨덴)를 이용하여 10분간 파쇄하여 증류수(20℃)에 10%를 넣고 교반하였고, 이 액을 오존 처리하여 잔여 탈색과 냄새를 제거하였다.
(4)정재수에 유기산을 1~50 중량%와 전자를 잃은 미네랄을 1~50 중량% 넣어 전자를 잃은 미네랄이 다량 용해된 정재수를 제작하였다. (제조 정재수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나 전자를 잃은 미네랄 함량은 많이 높이면서 Ph를 낮추어야 할 경우에만 사용하여도 된다.)
2. 전자 잃은 미네랄을 함유한 치약 제조
Figure pat00001
상기한 표 1과 같은 조성비로 혼합하여 치약을 제조하였다.
3.구취 제거 효과 실험
구취가 있다고 자각하고 있는 남녀 20명을 임상적 실험 대상으로 한 후 같은 종류의 식사를 하게 한 후 할리메터(halimeter:모델SB-17,U.S.A)를 이용하여 구취의 정도를 정량화하여 구취가 약한 사람(60 이하) 아주 강한 사람(350 이상)은 실험에서 제외 후 비교 예 및 실시예의 군에 5명씩 나누어 측정 후 평균 값이 각 군 간에 비슷하도록 조절 하였다. 다음 날 재현성을 위하여 남녀 20명에게 동일한 식사 후 30분 및 60분 후 초기 구취 정도를 측정 하고 각 조성물별(실시 예)로 칫솔과 치약을 제공 후 동일한 방법으로 3분간 양치 후 30분 및 60분 후 말기 구취 정도를 측정 하였다.
Figure pat00002
주어진 값은 실험 2회 평균값
① 비교 예 1은 식후 30분 및 식후 60분 후는 구취제거율은 기준선에 비하여 15~25% 정도 감소하였다.
② 실시 예 1,2,3 은 기준선에 비하여 26~35% 정도 감소를 보였고 특히, 실시 예 3의 경우가 31~39% 감소로 가장 큰 감소를 보였다.
4. 치은염 억제 실험
본 실험은 비교적 동일한 환경에 있는 피검자 20명을 대상으로 , 피검자 전원이 실험 전 1차 구강정밀검사를 실시하여 기준선을 구하였다. 검사 방법은 단일 맹검 법으로, 실험 전 4주 동안의 잔류효과 제거기간 동안 피검자 전원에게 동일 세치 제 및 칫솔을 제공하였다.
실험 방법은 한 개의 치아 당 치은을 협면과 설면으로 구획하여 지수의 평균값으로 산출 하였다. 각 치은염은 로에와 실니스의 평점 기준에 따라 0점부터 3점까지로 평가하여 치아별 치은염 지수를 구한 뒤 평균성적으로 개체의 치은염 지수를 산출하였고, 실험은 2개월 간격으로 총 3차례 측정하였다.
Figure pat00003
주어진 값은 실험 2회 평균값
① 비교 예 1은 2개월~4개월 후에도 큰 변화가 없음.
② 실시 예 1,2,3 경우 2개월 후에는 18~33%, 4개월 후에는 21~37% 정도 감소를 나타냄.
③ 실시 예 3의 경우가 가장 큰 감소를 나타냄.
5.시린 이 감소 비교 실험
비교적 동일한 시린 이가 있는 피검자 25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피검자 전원이 실험 전 9℃의 찬물을 5회 음용하게 하여 시린 정도를 정밀 측정하여 기준선(baseline)을 구하였다.
실험은 피검자 전원에게 동일 세치제 및 동일규격의 칫솔을 제공하였다.
양치는 아침과 저녁 식후 3분간 하고 1개월 사용 후 시린 정도를 측정 하였다.
Figure pat00004
주어진 값은 실험 2회 평균함.
① 비교 예 1은 1개월 및 2개월 후에도 큰 변화 없음.
② 실시 예 1,2,3 은 1개월 후에는 기준선에 비하여 8~93% 감소, 2개월 후에는 10~98% 감소를 나타냄.
③ 실시 예 3이 가장 감소가 큰 것으로 나타냄.

Claims (5)

  1. 치약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전자를 잃은 미네랄을 0.5~15%를 첨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를 잃은 미네랄이 함유된 치약.
  2. 제1항의 치약을 제조하는 방법으로,
    미네랄을 세척하는 단계;
    이온화하여 전자 잃은 미네랄을 제조하는 단계;
    전자 잃은 미네랄을 분쇄하는 단계;
    치약의 기본 재료에 향료를 혼합하는 기본 조성물 혼합단계;
    분쇄된 전자 잃은 미네랄에 정재수를 혼합하여 미네랄정재수를 제조하는 단계;
    미네랄정재수에 혼합조성물을 혼합하여 숙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를 잃은 미네랄을 함유한 치약의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잃은 미네랄은 치약조성물 전체 중량의 0.1~15%가 첨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를 잃은 미네랄을 함유한 치약의 제조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잃은 미네랄은 미네랄을 다량으로 함유한 식품, 한약제, 및 미네랄 함유 광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850℃ 이상에서 15분 이상 가열하여 미네랄이 전자를 잃게 하여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를 잃은 미네랄을 함유한 치약의 제조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미네랄정재수는 정제수 전체 중량에 대하여 유기산 1~50 중량%와, 전자 잃은 미네랄을 1~50중량%를 혼합하여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를 잃은 미네랄을 함유한 치약의 제조방법.
KR1020190078729A 2019-07-01 2019-07-01 시린 이 및 치주질환 방지용 치약의 제조방법 KR1022219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8729A KR102221917B1 (ko) 2019-07-01 2019-07-01 시린 이 및 치주질환 방지용 치약의 제조방법
PCT/KR2020/008335 WO2021002637A1 (ko) 2019-07-01 2020-06-26 시린 이 및 치주질환 방지용 치약 및 그 제조방법
BR112021026657A BR112021026657A2 (pt) 2019-07-01 2020-06-26 Creme dental contendo minerais que perderam elétrons, e, método para fabricar um creme dental
EP20835102.3A EP4014955A4 (en) 2019-07-01 2020-06-26 TOOTHPASTE FOR PREVENTING TEETH SENSITIVITY TO COLD AND PERIODONTAL DISEAS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US17/624,301 US20220354774A1 (en) 2019-07-01 2020-06-26 Toothpaste for preventing cold teeth and periodontal diseas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JP2022500581A JP2022540413A (ja) 2019-07-01 2020-06-26 しみる歯及び歯周疾患防止用練り歯磨き及びその製造方法
CN202080048502.5A CN114080214A (zh) 2019-07-01 2020-06-26 牙齿酸痛及牙周病防止用牙膏及其制备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8729A KR102221917B1 (ko) 2019-07-01 2019-07-01 시린 이 및 치주질환 방지용 치약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2895A true KR20210002895A (ko) 2021-01-11
KR102221917B1 KR102221917B1 (ko) 2021-03-03

Family

ID=74100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8729A KR102221917B1 (ko) 2019-07-01 2019-07-01 시린 이 및 치주질환 방지용 치약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20354774A1 (ko)
EP (1) EP4014955A4 (ko)
JP (1) JP2022540413A (ko)
KR (1) KR102221917B1 (ko)
CN (1) CN114080214A (ko)
BR (1) BR112021026657A2 (ko)
WO (1) WO2021002637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7999A (ko) * 2000-01-03 2000-04-06 오순근 산호석회암의 이온화 제조법
KR101150309B1 (ko) 2012-01-09 2012-06-08 주식회사 경희매니지먼트컴퍼니 치주질환 예방 및 치석 억제용 생약 추출물과 분말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치약조성물
KR20160012257A (ko) * 2014-07-23 2016-02-03 원유용 양구방산백토 추출 화이트이온미네랄(sy2220)과 화이트이온미네랄 증류수(sy2216)를 이용한 액상치약과 조성물
KR20170029106A (ko) 2015-09-07 2017-03-15 이상수 유산균 발효 허브 추출물을 함유하는 치약 조성물
KR101818530B1 (ko) 2015-12-21 2018-01-15 주식회사 청화팜 천연 한방 물질을 사용한 치약 조성물
KR20180098754A (ko) * 2017-02-27 2018-09-05 김동환 항균성치약에 첨가되는 유기산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9137A (ja) * 1995-08-21 1997-03-04 Sanai Fujita 歯磨剤
JPH11279037A (ja) * 1998-03-30 1999-10-12 Lion Corp 歯磨組成物
JP2000072610A (ja) * 1998-08-31 2000-03-07 Daikei Shokuhin:Kk 殺菌剤、その製造方法、練歯磨、殺菌水、食品の殺菌方法、種子の殺菌保存方法、ほたて貝殻焼成物添加食品、その製造方法
JP3403956B2 (ja) * 1998-11-16 2003-05-06 東洋電化工業株式会社 歯磨き剤
JP2001131049A (ja) * 1999-11-04 2001-05-15 Lion Corp 皮膚外用剤
KR20020045307A (ko) * 2000-12-08 2002-06-19 석미수 혼합 무기이온항균제와 광물의 혼합물 제조 방법, 및 이를이용한 복합 기능성 제품의 제조 방법과 그것으로부터제조된 복합 기능성 제품
JP2002370954A (ja) * 2001-06-12 2002-12-24 Yoshinobu Nomiyama 歯みがき剤及びその製造方法
CN101161229B (zh) * 2006-10-13 2011-03-23 广东海洋大学 牡蛎壳美白牙膏
TWI381857B (zh) * 2008-12-10 2013-01-11 Univ Taipei Medical 口腔保健用之非晶性磷酸鈣之製備方法及其組成物
CN104721063B (zh) * 2013-12-19 2018-05-08 高露洁-棕榄公司 包含氧化锌和柠檬酸锌的洁齿剂组合物
JP2018197207A (ja) * 2017-05-23 2018-12-13 株式会社マツモト交商 口腔用組成物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7999A (ko) * 2000-01-03 2000-04-06 오순근 산호석회암의 이온화 제조법
KR101150309B1 (ko) 2012-01-09 2012-06-08 주식회사 경희매니지먼트컴퍼니 치주질환 예방 및 치석 억제용 생약 추출물과 분말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치약조성물
KR20160012257A (ko) * 2014-07-23 2016-02-03 원유용 양구방산백토 추출 화이트이온미네랄(sy2220)과 화이트이온미네랄 증류수(sy2216)를 이용한 액상치약과 조성물
KR20170029106A (ko) 2015-09-07 2017-03-15 이상수 유산균 발효 허브 추출물을 함유하는 치약 조성물
KR101818530B1 (ko) 2015-12-21 2018-01-15 주식회사 청화팜 천연 한방 물질을 사용한 치약 조성물
KR20180098754A (ko) * 2017-02-27 2018-09-05 김동환 항균성치약에 첨가되는 유기산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080214A (zh) 2022-02-22
JP2022540413A (ja) 2022-09-15
KR102221917B1 (ko) 2021-03-03
EP4014955A4 (en) 2023-11-15
US20220354774A1 (en) 2022-11-10
EP4014955A1 (en) 2022-06-22
WO2021002637A1 (ko) 2021-01-07
BR112021026657A2 (pt) 2022-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5085B1 (ko) 구강 청결 조성물
US4708864A (en) Method and compositions for treating dental structures
KR101992927B1 (ko) 잇몸질환 예방 및 개선용 치약 조성물
JP2010265310A (ja) モリンダ・シトリフォリアベースの口腔ケア組成物および方法
KR101194016B1 (ko) 구강 통증 개선과 구강항균 및 신경안정 효과를 가지는 천연항균 치약 조성물
KR101955468B1 (ko)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치약 조성물의 제조방법
US20090269288A1 (en) Black pearl toothpaste
CN108652993A (zh) 一种口腔护理组合物及其应用
US9554986B2 (en) Oral care composition
Waikhom et al. Antimicrobial effectiveness of Nano Silver Fluoride Varnish in reducing Streptococcus mutans in saliva and plaque biofilm when compared with Chlorhexidine and Sodium Fluoride Varnishes
Rapp et al. Dental caries in geriatric dentistry: an update for clinicians
KR102221917B1 (ko) 시린 이 및 치주질환 방지용 치약의 제조방법
KR101157088B1 (ko) 탱자를 주재로 한 구취개선 구강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80101954A (ko) 은입자가 함유된 분말치약 조성물
RU2355379C1 (ru) Лечебно-профилактический эликсир и способ его получения
JP7439352B2 (ja) 歯のエナメル質を再石灰化するための組成物
TWI730287B (zh) 口腔用組合物及其製備方法與用途
AU2019100471A4 (e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reducing tooth, root and dentin sensitivity
TWI730286B (zh) 口腔用組合物及其製備方法與用途
KR20080101955A (ko) 금입자가 함유된 분말치약 조성물
KR100482648B1 (ko) 구강 위생증진용 치약조성물
KR20180047704A (ko) 황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A1290252C (en) Method and compositions for treating dental structures
SAARUSREE et al. Comparative Evaluation of Antiplaque Effectiveness of Ayurvedic And Fluoridated Toothpaste-A Single Blind Randomized Control Trial.
KR20180068697A (ko) 녹차 함유 구강세척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