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7088B1 - 탱자를 주재로 한 구취개선 구강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탱자를 주재로 한 구취개선 구강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7088B1
KR101157088B1 KR1020110059836A KR20110059836A KR101157088B1 KR 101157088 B1 KR101157088 B1 KR 101157088B1 KR 1020110059836 A KR1020110059836 A KR 1020110059836A KR 20110059836 A KR20110059836 A KR 20110059836A KR 101157088 B1 KR101157088 B1 KR 1011570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d breath
tanza
oral composition
sancho
mou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98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0139A (ko
Inventor
이필우
백설옥
Original Assignee
백설옥
이필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설옥, 이필우 filed Critical 백설옥
Priority to KR10201100598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7088B1/ko
Publication of KR201100801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01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70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70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5Rutaceae (Rue family)
    • A61K36/752Citrus, e.g. lime, orange or lem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5Rutaceae (Rue family)
    • A61K36/758Zanthoxylum, e.g. pricklyas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Birds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탱자를 주재로 한 구취개선 구강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탱자(지각)와 산초(초피)를 100:1의 중량비로 하여 중탕기에 투입하고 상기 탱자와 산초의 혼합물에 정수(깨끗한 물)를 1:12의 체적비가 되게 정수를 부은 다음, 중탕기를 120℃로 30분 가열하고 다시 1시간 동안 식히는 방법의 가열 및 냉각 과정을 2차에 걸쳐 실시하여 끈적한 내용물들을 걸림채로 걸러내고 추출한 액상으로 된 구취개선 구강조성물을 제조하는 것으로서, 상기 구취개선 구강조성물을 1회에 20mg씩 입속에 넣고 수차례 가글한 후 입속에서 2 ~ 3분쯤 머금은 다음 내뱉는 방식으로 하루에 7 ~ 8회씩 하여 2 ~ 3일 정도 실시하여 구취를 개선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자를 주재로 한 구취개선 구강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탱자, 산초, 구취, 개선, 구강, 조성물

Description

탱자를 주재로 한 구취개선 구강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The oral composite that consist with Hardy Orange as mainly and the produc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탱자를 주재로 한 구취개선 구강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탱자(지각)와 산초(초피)를 100:1의 중량비로 하여 중탕기에 투입하고 상기 탱자와 산초의 혼합물에 정수(깨끗한 물)를 1:12의 체적비가 되게 정수를 부은 다음, 중탕기를 120℃로 30분 가열하고 다시 1시간 동안 식히는 방법의 가열 및 냉각 과정을 2차에 걸쳐 실시하여 끈적한 내용물들을 걸림채로 걸러내고 추출한 액상으로 된 구취개선 구강조성물을 제조하는 것으로서, 상기 구취개선 구강조성물을 1회에 20mg씩 입속에 넣고 수차례 가글한 후 입속에서 2 ~ 3분쯤 머금은 다음 내뱉는 방식으로 하루에 7 ~ 8회씩 하여 2 ~ 3일 정도 실시하여 구취를 개선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자를 주재로 한 구취개선 구강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주 질환은 흔히 풍치를 나타내며, 질환의 정도에 따라 치은염(gingivitis)과 치주염(periodontitis)으로 나뉜다. 비교적 가볍고 회복이 빠른 형태의 치주 질환으로 잇몸 즉, 연조직에만 국한된 형태를 치은염이라 하고, 이러한 염증이 잇몸과 잇몸 뼈 주변까지 진행된 경우를 치주염이라고 한다. 치주질환의 원인은 연령과도 관계가 깊은데 20세 이상의 성인의 경우에는 과반수 이상에서, 35세 이후에는 4명당 3명꼴로, 그리고 40세 이상의 장 노년층의 경우 80~90%에서 잇몸질환이 발생한다.
치주질환의 직접적인 원인은 치아에 지속적으로 형성되는 플라크(plaque)라는 세균막이 원인으로, 플라크는 끈적끈적하고 무색이며 이것이 제거 되지 않고 단단해지면 치석이 된다. 플라크와 치석이 쌓이면 잇몸이 치아로부터 떨어지고, 이로 인해 틈이 벌어지면서 치아와 잇몸 사이에 치주망이 형성된다. 염증이 진행되면 잇몸과 치아 사이가 더욱 벌어지고 치주골과 치주인대가 파괴되며, 결국에는 흔들리는 치아를 발거해야 한다. 단백질, 비타민의 영양부족, 임신한 경우나 당뇨병과 같은 호르몬 장애, 흡연, 후천성 면역결핍증(AIDS) 등이 질환을 악화시키는 원인이 된다.
종래에 흔히 사용되는 풍치나 구취 등과 같은 구강(입안)내의 제(諸) 질환 치료제는 화학적 물질로 제조된 약제를 주로 사용하는 하나, 이는 치료효과는 좋으나 장기간 사용시 인체에 좋지 않은 영향을 줄 염려가 있어 사람들이 이의 사용을 꺼리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구취 등의 구강내 질환을 효과적으로 개선시키고자 탱자와 산초를 주재로 한 구취개선 구강조성물을 체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탱자와 산초를 주재로 하되, 탱자와 산초를 100:1의 중량비로 하여 중탕기에 투입하고 상기 탱자와 산초의 혼합물에 정수를 1:12의 체적비가 되게 정수를 부은 다음, 중탕기를 120℃로 30분 가열하고 다시 1시간 동안 식히는 방법의 가열 및 냉각 과정을 2차에 걸쳐 실시하여 건더기는 걸러내어 제거하여 액상의 추출물로 된 구취개선 구강조성물을 제조하도록 되어 있는 것에 본 발명의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구취(입 냄새)에는 구강 질환 치료약을 복용하였지만 본 제품의 특징은 입안의 프라크 및 제반 유해균들을 제거함과 동시에 구강 건강에 필수 영양소가 직접 공급되는 것이 다른 제품과 특별히 다른 장점으로서 가장 효과적이면서 안전하고 빠른 효과를 나타내며 또 다른 장점으로는 친환경 생약성분인 탱자와 산초만을 사용한 구취개선 구강조성물로서, 이는 별도의 화학적 약품을 첨가하지 않아 인체에 무해하고 구강내의 치주염, 치은염 등의 풍치 질환와 구취정도를 크게 개선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치주염과 치은염 등의 구강질환과 구취를 효과적으로 개선시키기 위한 조성물로서, 탱자와 산초를 주재(主材)로 한 구취개선 구강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탱자나무는 원향과에 속하는 갈잎떨기나무로서, 중국이 원산지이고 국내에서는 주로 경기도 이남지역에 분포되어 있으며, 탱자나무의 크기는 3~4m이고 꽃은 5월에 피며 열매는 9~10월에 결실한다. 또한 탱자나무의 나무껍질은 회녹갈색이고 어린가지는 약간 편평하고 녹색이며 3~5cm되는 날카롭고 단단한 가시가 있으며 잎은 3출엽이며 잎자루는 길이가 25mm로 좁은 날개모양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탱자의 덜 익은 어린 열매를 지실(枳實)이라고 하고 성숙기에 가까운 열매를 지각(枳殼)이라고 부르며, 이러한 탱자의 약성 및 영양성분의 아래 표와 같다.
Figure 112012501113749-pat00001

상기한 지실(枳實) 및 지각(枳殼)은 약용으로 사용되며 특히 지각은 정유와 플라보노이드 배당체와 네오헤스 피피딘 배당체 및 비타민C 등의 영양소가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상기 분석된 성분 외에 강력한 살균작용으로 아토피질환의 치료제로도 사용되고 있으며, 예로부터 한방의학에서 약제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한편, 입안 질환을 일으키는 세균의 종류로 바실러스, 뮤탄스, 진지발레스, 포로시텐시스 인트메디아, 플라크, 렉투스, 포로피로모나스, 비타민A 결핍 등이 있으며, 설탕이나 전분이 분해되는 과정에 생기는 산에 의해 잇몸과 치아가 부식되고, 사람의 혀에는 상기한 균들이 서식하고 있으며 그 외에 수백종의 균들이 입안에 있는 것으로 학계에 보고되어 있다.
<탱자추출물질의 입안질환 개선효과>
구강 질환을 한 가지로 정의하기에는 너무 광범위하고 복잡하지만 대체적으로 입안청결상태의 유지가 잘 되지 않아 발생하고 그 외에도 영양부족, 당뇨와 같은 질병, 흡연, 음주등 기타 여러가지 측면에서 찾을 수 있지만 우리 입안에 서식하는 다양한 균들도 그중 중요한 이유가 된다. 즉 다양한 세균들 중 일부는 위와 장에서 소화흡수작용을 돕기도 하지만 그 수가 너무 많으면 입안질환을 일으키는 부작용이 있다.
탱자 추출물 중에서도 나이아신, 카로틴, 칼륨 등과 같은 성분들은 강력한 균 억제작용 및 향균 작용으로 청결을 유지하며 탱자에 들어있는 여러 군(郡)의 순도 높은 성분들(비타민 류)이 구강 내에 직접 투여후 가글하는 과정에서 구취를 완화시키는 작용을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과 그 제조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구취개선 구강조성물은 상기와 같이 구강질환 및 구취개선에 효과를 지닌 탱자(지각)와 산초를 주재로 하되, 탱자(지각)와 산초(초피)를 100:1의 중량비로 하여 중탕기에 투입하고 상기 탱자와 산초의 혼합물에 정수(깨끗한 물)를 1:12의 체적비가 되게 정수를 부은 다음, 중탕기를 120℃로 30분 가열하고 다시 1시간 동안 식히는 방법의 가열 및 냉각 과정을 2차에 걸쳐 실시하여 추출한 액상의 구취개선 구강조성물로 이루어진다.
이의 구체적인 제조방법은, 먼저 숙성된 탱자(지각)와 산초를 구비한 다음, 탱자(지각)를 4등분한 다음, 탱자와 산초를 100:1의 중량비가 되도록 탱자(지각) 500g과 산초(초피) 5g을 중탕기에 투입한 후, 정수(깨끗한 물)를 6060cc 부어 탱자와 산초의 혼합물과 정수를 1:12의 체적비가 되도록 혼합한 다음, 120℃의 온도에서 30분 동안 가열하고 다시 1시간동안 식히는 방법으로 가열 및 냉각 과정을 2차에 걸쳐 실시한다. 그렇게 하여 끈적한 내용물을 다시 걸림채에서 압축한 다음 건더기는 걸러서 제거하고 걸림채를 통과한 액상의 추출물을 구취개선 구강조성물로 제공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액상의 구취개선 구강조성물의 사용 방법은 다음과 같다.
상기 구취개선 구강조성물을 1회에 20mg씩 입속에 주입하여 수차례 가글한 후 입속에서 2~3분쯤 머금은 다음 내뱉는 방법을 하루에 7~8회 정도로 하여 2~3일 정도만 실시하면 풍치 뿐만 아니라 구강내 악취인 구취를 제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추출된 탱자를 주재로 한 구취개선 구강조성물을 풍치 등의 치주 질환과 구취가 있는 사람들에게 적용한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실시예>
먼저, 구취 질환의 종류를 6가지로 구분함.
5-풍치의 통증과 구취가 심한 상태,
4-풍치의 통증이 약간 있고 구취가 심한 상태 ,
3-풍치와 구취가 경미한 상태,
2-풍치는 없고 구취가 경미한 상태,
1-구취가 아주 경미한 상태,
0-풍치와 구취가 없는 정상 상태,
나이가 50세 이상이며 치과에 다닌 경험이 있거나 현재 다니고 있는 성인 5명과, 나이가 50세 이상이며 풍치가 있지만 치과에 다닌 경험이 없는 성인 남,녀 각각 5명씩과, 잇몸이 부실하고 구취가 나는 10대의 청소년 5명을 선정하되, 치과에 다닌 경험이 있거나 현재 다니고 있는 성인 5명을 A군으로 분류하고, 풍치가 있지만 치과에 다닌 경험이 없는 성인 남자 5명을 B군으로, 풍치가 있지만 치과에 다닌 경험이 없는 성인 여자 5명을 C군으로 분류하고, 마지막으로 10대 청소년 5명(남, 녀 포함)을 D군으로 분류하였다.
상기의 A, B, C, D군의 사람들에게 각기 본 발명의 구취개선 구강조성물인 탱자와 산초의 혼합추출물을 1회에 20mg씩 입속에 넣고 2 ~ 3분동안 가글한 후 뱉어내는 방법을 아침, 점심 및 저녁 식사 후로 하루에 3회 실시한 경우와 3번의 식사 후를 포함하여 하루에 7회 정도로 하는 과정을 3일 동안 실시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비교예로서 동일방법으로 제조된 탱자만을 추출한 추출물(비교예1)과 산초만을 추출한 추출물(비교예2)을 각각 1회에 20mg씩 입속에 넣고 2 ~ 3분동안 가글한 후 뱉어내는 방법을 아침, 점심 및 저녁 식사 후를 포함하여 하루에 7회 정도로 하는 과정을 3일 동안 실시한 결과를 아래 표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2501113749-pat00002
삭제
상기와 같이 실시예의 탱자와 산초의 혼합추출물을 1일 7회 가글하여 치주염 및 치은염과 구취정도 3 ~ 5인 사람들에게 사용한 경우 치주염 및 치은염이 크게 완화되고 구취정도가 0 ~ 1정도로 크게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으나, 비교예1의 탱자추출물만 100%로 하여 추출한 것을 사용한 경우 치주염 및 치은염은 미세한 정도로만 완화되고 구취정도가 3 ~ 4정도로 대략 1 ~ 2단계정도 구취가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으며, 비교예2의 산초추출물만 100%로 하여 추출한 것을 사용한 경우에는 치주염 및 치은염은 변화없거나 일부가 미세한 정도로만 완화되고 구취정도가 변화없거나 1단계 정도만 미약하게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다.
삭제
따라서, 탱자추출물 또는 산초추출물만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극히 미약한 구취개선효과를 볼 수 있어 본 발명에 따른 100:1의 중량비로 혼합된 탱자와 산초의 혼합추출물을 사용하는 경우에만 구취개선효과가 월등히 향상됨을 알 수 있다.
삭제
삭제

Claims (2)

  1. 탱자나 산초를 포함하여 제조된 구취개선 구강조성물에 있어서, 중량비로 탱자 대 산초를 100:1의 비율로 혼합하고 탱자와 산초의 혼합물에 정수를 넣고 가열냉각하여 추출된 산초를 포함한 탱자추출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자를 주재로 한 구취개선 구강조성물.
  2. 탱자나 산초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구취개선 구강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탱자와 산초를 100:1의 중량비로 하여 중탕기에 투입한 후 탱자와 산초의 혼합물과 정수를 체적비로 1:12가 되도록 정수를 넣은 다음 중탕기를 120℃로 30분간 가열 후 다시 1시간 동안 식히는 방법의 가열 및 냉각 과정을 2차에 걸쳐 실시하고 건더기는 걸러내어 제거하여 액상의 추출물로 된 구취개선 구강조성물을 제조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자를 주재로 한 구취개선 구강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110059836A 2011-06-17 2011-06-17 탱자를 주재로 한 구취개선 구강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1570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9836A KR101157088B1 (ko) 2011-06-17 2011-06-17 탱자를 주재로 한 구취개선 구강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9836A KR101157088B1 (ko) 2011-06-17 2011-06-17 탱자를 주재로 한 구취개선 구강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0139A KR20110080139A (ko) 2011-07-12
KR101157088B1 true KR101157088B1 (ko) 2012-06-21

Family

ID=44919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9836A KR101157088B1 (ko) 2011-06-17 2011-06-17 탱자를 주재로 한 구취개선 구강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708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4076A (ko) 2017-07-03 2019-01-11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민들레 추출물을 포함하는 무알코올 구강청결용 조성물
KR102373373B1 (ko) 2020-10-31 2022-03-11 주식회사 에코월드팜 구취 개선용 구강조성물
KR102621090B1 (ko) 2023-08-20 2024-01-23 주식회사 구강닥터 소취와 충치예방이 가능한 마시는 가글액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3915A (ko) * 2005-01-17 2006-07-21 성유경 산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위생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42364A (ko) * 2008-10-16 2010-04-26 전창순 구강원인구취 및 위장원인구취를 동시에개선하는 조성물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3915A (ko) * 2005-01-17 2006-07-21 성유경 산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위생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42364A (ko) * 2008-10-16 2010-04-26 전창순 구강원인구취 및 위장원인구취를 동시에개선하는 조성물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4076A (ko) 2017-07-03 2019-01-11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민들레 추출물을 포함하는 무알코올 구강청결용 조성물
KR102373373B1 (ko) 2020-10-31 2022-03-11 주식회사 에코월드팜 구취 개선용 구강조성물
KR102621090B1 (ko) 2023-08-20 2024-01-23 주식회사 구강닥터 소취와 충치예방이 가능한 마시는 가글액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0139A (ko) 2011-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5085B1 (ko) 구강 청결 조성물
CN106924162B (zh) 一种植物添加剂、抑菌剂、口腔护理产品以及植物添加剂在制备口腔护理产品中的应用
CN109843264A (zh) 一种含有草药提取物的牙膏组合物
Sagar Role of natural toothbrushes in containing oral microbial flora-a review
KR101157088B1 (ko) 탱자를 주재로 한 구취개선 구강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lmas et al. Miswak (salvadora persica chewing stick) and its role in oral health; an update
CN102349866A (zh) 抗菌消炎保健口洁露
Sandhu et al. Caries protective foods: A futurist perspective
KR101664810B1 (ko) 구강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16377B1 (ko) 치아 미백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40031512A (ko) 오미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치료 및 구취 억제용 조성물
Hamarneh THE FIRST KNOWN INDEPENDENT TREATISE ON: COSMETOLOGY IN SPAIN
KR102405338B1 (ko) 침향 발효추출물을 함유한 치약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CN107550763A (zh) 一种预防治疗牙龈出血、牙龈萎缩的漱口精油组合物
JPS63145216A (ja) 育毛養毛等美髪料
CN113546029A (zh) 一种具有消炎去口臭功能的口腔抑菌牙膏
KR20220099175A (ko) 생약 복합물을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Choudhary et al. Clinical evaluation of efficacy of Quercus Infectoria and Mimusops elengi Linn. herbal preparation in inhibition of gingivitis
RU2618889C1 (ru) Средство, обладающее противовоспалительным, антимикробным, ранозаживляющим действием, для полоскания полости рта
RU2355379C1 (ru) Лечебно-профилактический эликсир и способ его получения
KR102221917B1 (ko) 시린 이 및 치주질환 방지용 치약의 제조방법
KR102622954B1 (ko) 치은염 및 치주염 개선 또는 예방 효과가 있는 치약 조성물
KR102283663B1 (ko) 허브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101456655B1 (ko) 비듬 및 두피가려움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182574B1 (ko) 니파야자 꽃대를 이용한 구취 및 구강질환 예방 음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