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1090B1 - 소취와 충치예방이 가능한 마시는 가글액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소취와 충치예방이 가능한 마시는 가글액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1090B1
KR102621090B1 KR1020230108697A KR20230108697A KR102621090B1 KR 102621090 B1 KR102621090 B1 KR 102621090B1 KR 1020230108697 A KR1020230108697 A KR 1020230108697A KR 20230108697 A KR20230108697 A KR 20230108697A KR 102621090 B1 KR102621090 B1 KR 1026210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extract
mixture
ho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08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희
박진용
김우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구강닥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구강닥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구강닥터
Priority to KR10202301086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10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1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10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5Ketones, e.g. benzophen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6-membered ring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e.g. couma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2Starch; Amylose; Amylopectin;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mammals or bird
    • A61K8/986Milk; Derivatives thereof, e.g. but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species other than mammals or birds
    • A61K8/988Honey; Royal jelly, Propol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충치와 치주질환의 원인이 되는 구강 내 세균들의 활동을 억제하거나 살균하여 소취와 충취예방할 수 있는 소취와 충치예방이 가능한 마시는 가글액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 제조방법은 신우대 추출물 100중량부, 상기 신우대 추출물 기준으로 옥수수 속대 추출물 70∼130중량부, 소취살균제 50∼100중량부, 백지 열수 추출물 25∼65중량부, 세신 열수 추출물 15∼55중량부, 승마 열수 추출물 15∼55중량부 및 약모밀 열수 추출물 15∼55중량부 및 감초 추출물 5∼15중량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소취와 충치예방이 가능한 마시는 가글액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Drinking mouthwash composition capable of deodorizing and preventing tooth decay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구강 청결제로 사용하는 마시는 가글액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충치와 치주질환의 원인이 되는 구강 내 세균들의 활동을 억제하거나 살균하여 소취와 충취예방이 가능하고, 가글 후 점성을 가진 조성물이 장시간 머물면서 살균 기능을 지속하여 구강의 청량감을 개선할 수 있고, 성분이 주로 인체에 유익한 약초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마실 경우 건강에 더 유익하기 때문에 목넘김의 부담감 없이 편안하게 가글할 수 있는 소취와 충치예방이 가능한 마시는 가글액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음식물을 섭취하면 구강 내에 음식 찌꺼기가 남아 치아에 플라그가 생이고, 이 플라그를 이루고 있는 세균이 음식물 잔사나 남아있는 당분을 이용하고 만들어내는 산이 치아의 단단한 조직을 공격함으로써 충치, 즉 치아 우식증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건강한 치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바른 양치질과 치실 사용으로 치아에 붙어있는 치태와 치석 및 음식물 잔사를 제거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양치질과 치실을 바르게 사용하지 않으면 충치가 발생할 수 밖에 없으므로, 바르지 않은 양치 습관이나 장애로 인하여 바른 양치질을 할 수 없을 경우를 포함한 여러 가지 이유로 치아에 충치가 발생되거나 그럴 가능성이 있을 경우 액상의 가글액을 사용하게 된다.
종래 가글액은 항균물질, 예컨대 불화나트륨(NaF)이나 트리클로산(triclosan), 클로르헥시딘(chlorhexidine), 또는 항생물질인 반코마이신(vancomycin), 클로르헥시딘(chlorhexidine), 스피라마이신(spiramycin) 등의 화학적 요소들을 주성분으로 제조하였기 때문에 잦은 가글 과정에서 이들을 마시게 되면 구토, 설사, 복통 등의 부작용이 발생될 우려가 높은 문제가 있었다.
최근에 공개된 특허문헌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58464호의 가글용 생약 추출물 조성물이 2019년 12월 23일 공고되었다. 상기 특허문헌 1은 해죽순 발효 추출물을 10 중량부에 대하여 세신 에탄올 추출물과 솔잎 열수 추출물, 백지 열수 추출물, 승마 열수 추출물, 약모밀 발효 추출물 및 프로폴리스 에탄올 추출물을 각각 10 중량부씩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해죽순 발효 추출물은, 세절한 해죽순을 중량비로 3∼5배량의 정제수에 투입하여 40∼70℃의 온도에서 7∼8일동안 발효시킨 것이고, 상기 약모밀 발효 추출물은, 약모밀을 중량비로 5∼8배량의 정제수에 투입하여 95∼100℃에서 6∼8시간 열수 추출한 다음, 이렇게 하여 얻어진 약모밀 추출물에 흑설탕과 맥아를 혼합하여 35∼40℃에서 한달 동안 숙성 발효시킨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상기 특허문헌은 약초로 사용되는 식물을 주성분으로 하여 생약에 가깝게 만들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으나 충치 예방에 탁월한 효능이 있다는 불소 함유량이 높지 않다.
다른 특허문헌으로는 한국 등록특허 제10-0176015호(치주질환 예방 및 치료제 조성물), 한국 공개특허 제10-2012-0119933호(자연산 생약물질과 프로폴리스 추출물을 이용한 구강 청결 및 구취 제거제),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55814호(구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세균 억제용 항균 조성물), 한국 등록특허 제10-1157088호(탱자를 주재로 한 구취개선 구강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한국 등록특허 제10-0537834호(목단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취 억제용 구강 조성물), 한국 공개특허 제10-2005-0030791호(소회향에서 추출한 정유를 포함하는 구강위생 증진용 조성물), 한국 등록특허 제10-1017447호(회향 추출물을 함유하는 충치 예방용 구강 조성물 및항균용 조성물), 한국 공개특허 제10-2012-0022493호(금은화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치주질환 예방 및 치료용 식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등 다수가 있으나 마찬가지로 불소함유량이 높지 않아 본 발명과 구성이 다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58464호 대한한국 등록특허 제10-0176015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119933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55814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5708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37834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5-0030791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17447호
본 발명은 종래 가글액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구강 내 세균들의 활동을 억제하거나 살균하여 냄새완화와 충취예방이 가능한 소취와 충치예방이 가능한 마시는 가글액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불소 성분이 많이 함유된 식품을 발효시켜 충치예방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소취와 충치예방이 가능한 마시는 가글액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점성을 가지고 구강 내에 장시간 머물면서 살균 기능을 지속하여 구강의 청량감을 개선할 수 있는 소취와 충치예방이 가능한 마시는 가글액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소취와 충치예방이 가능한 마시는 가글액 조성물 제조방법은 신우대 추출물 100중량부, 상기 신우대 추출물 기준으로 옥수수 속대 추출물 70∼130중량부, 소취살균제 50∼100중량부, 백지 열수 추출물 25∼65중량부, 세신 추출물 15∼55중량부, 승마 추출물 15∼55중량부 및 약모밀 발효 추출물 15∼55중량부 및 감초 열수 추출물 5∼15중량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소취살균제는 죽염 100중량부, 상기 죽염 100중량부 기준으로 진저롤 60∼100중량부, 자일리톨 30∼60중량부, 프로폴리스 30∼60중량부, 카테킨 15∼45중량부 및 유기유황 15∼45중량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신우대 추출물 100중량부 기준으로 불소식품 발효추출물 10∼30중량부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불소식품 발효추출물은 홍차 우린물 100중량부와 이것을 기준으로 백미 20∼40중량부, 콩 20∼40중량부, 토마토즙 5∼15중량부, 치즈분말 2∼8중량부 및 커피분말 2∼8중량부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만드는 단계(S1);
상기 S1단계를 마친 혼합물을 10시간 이상 불리는 단계(S2);
상기 S2단계를 마친 혼합물에 옥수수전분 5∼15중량부를 넣고 교반하여 점성을 부여하는 단계(S3);
상기 S3단계를 마친 혼합물을 찜통에 넣고 100℃ 이상의 온도에서 30분 이상 가열하여 찌는 단계(S4);
상기 S4단계를 마친 혼합물과 녹차 우린물을 1:1∼3 중량비율로 혼합한 다음 누룩 곰팡이균 아스퍼질러스 속 또는 라이조푸스 속 곰팡이와 α-아밀라아제, β-아밀라아제 또는 글루코아밀라아제 중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당화 효소를 접종하여 52∼62℃의 온도에서 10∼18시간 당화시키는 단계(S5);
상기 S5단계를 마친 혼합물 100중량부에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Lactobacillus plantarum), 비피도박테리움 락티스 (Bifidobacterium lactis) 또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수스(Lactobacillus rhamnosus) 중 하나 이상의 유산균 2∼8중량부를 접종하는 단계(S6);
상기 S6단계를 마친 유산균이 접종된 혼합물을 발효기에 넣고 32∼50℃의 온도에서 15∼20시간 발효시키는 단계(S7);
상기 S7단계를 마친 발효 혼합물을 0.3∼0.5㎛ 여과필터로 여과시켜 액상으로 수득하는 단계(S8);
상기 S8단계를 마친 혼합물 100중량부와 발효 후 살균된 적포도주 2∼6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S9); 및
상기 S9단계를 마친 혼합물을 100℃ 이상에서 30초 이상 살균하는 단계(S1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홍차 우린물과 녹차 우린물은 정제수 100중량부에 각각 홍차분말과 녹차분말 10∼20중량부를 넣고 초기 그들을 합산한 초기 중량부 대비 50∼90중량부에 이를 때까지 끓이고, 이후 0.3∼0.5㎛ 여과필터로 여과시켜 액상으로 수득한다.
상기와 같이 제조되는 본 발명은 강력한 살균력이 있고 염증과 통증을 완화시키는 다수의 약초 성분이 함유되어 구강 내 세균들의 활동을 억제하거나 살균하여 냄새완화와 충취예방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불소 성분이 많이 함유된 식품을 발효시켜 첨가함으로써 충치예방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옥수수전분의 점성으로 인하여 구강 내에 장시간 머물면서 살균 또한 항균 기능을 지속하여 구강의 청량감을 개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불소식품 발효추출물의 제조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소취와 충치예방이 가능한 마시는 가글액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소취와 충치예방이 가능한 마시는 가글액 조성물 제조방법은 신우대 추출물 100중량부, 상기 신우대 추출물 기준으로 옥수수 속대 추출물 70∼130중량부, 소취살균제 50∼100중량부, 백지 열수 추출물 25∼65중량부, 세신 열수 추출물 15∼55중량부, 승마 열수 추출물 15∼55중량부, 약모밀 발효 추출물 15∼55중량부 및 감초 열수 추출물 5∼15중량부를 포함한다.
상기 신우대 추출물에 사용되는 신우대는 청정한 산자락에서 자라는 어린 신우대의 순 또는 잎 또는 이들을 함께 사용한다. 신우대는 페놀이라는 항산화성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치주염, 잇몸 질환을 예방하고, 세포의 산화를 억제하여 질병과 노화를 방지하기 때문에 오래 전부터 한방에서 천연 약재로 사용되는 만큼 인체에 이로운 약리 성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다. 신우대는 잎에 비타민K가 함유되어 있어 혈액을 맑게 하고 플라보노이드 성분은 콜레스톨을 제거하여 고혈압을 낮추는 등 혈관질환을 예방하고, 엽록소가 풍부하여 신진대사를 활성화시켜 면연력 향상에 도움을 줌과 함께 염증을 완화시키는 효과가 탁월하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효능 때문에 동의보감에서 신우대는 뇌졸중과 진정효과가 있어 심신안정에 효능이 있고, 전통의학서인 본초강목에 따르면 피부 건조증에 사용되었다고 기록될 정도로 다량의 수분을 보유하고 있다.
신우대 추출물의 추출방법은 정제수 100중량부에 세척 후 5∼10mm 정도의 크기로 절단한 신우대 20∼40중량부를 혼합한 후 이들이 담긴 용기를 가열하여 40∼60℃ 중온 상태에서 8∼10일동안 방치하고, 이후 여과필터를 이용하여 액상의 신우대 추출물을 수득한다. 상기 추출과정에서 추출온도의 경우 40℃ 미만의 온도에서 추출하면 온도가 너무 낮아 유효성분이 효과적으로 추출되지 않을 우려가 있고, 60℃를 초과하는 온도에서 추출하면 온도가 너무 높아 유효성분이 파괴될 우려가 있다. 이렇게 수득한 신우대 추출물을 본 발명을 구성하는 각 성분들의 함량 기준으로 삼아 100중량부를 사용하였다.
상기 옥수수 속대 추출물은 에탄올을 용매로 하여 추출한다. 옥수수 속대는 생옥수수를 잘 건조한 후 알곡을 제거하고 남은 것을 사용한다. 삶아서 먹고 남은 속대는 삶을 때 본 발명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유효성분들이 다 추출 소실되기 때문에 반드시 생옥수수를 건조한 속대를 사용해야 한다.
옥수수 속대에는 베타시토스테롤이라는 성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 치주염이나 치통완화에 효과가 있고, 구강 내에 존재하는 뮤탄스균 증식을 억제하여 치주질환을 예방하는 데 뛰어나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베타시토스테롤은 면역력 강화에도 효능이 있어 신진대사를 촉진시키는 효과도 있다.
옥수수 속대 추출물 제조는 환류냉각추출기를 이용하여 추출한다.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환류냉각추출기는 장기간의 가열을 통해 휘발성 물질이나 용매가 증발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냉각기를 이용하여 증발하는 기체를 액화시켜 다시 추출용기로 되돌아오게 하는 공지의 장치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옥수수 속대를 추출할 때 용매로 에탄올을 사용한다. 잘게 절단하고 건조한 옥수수 속대와 에탄올을 1:8∼12(w/v)의 비율로 혼합하여 80℃에서 4시간 동안 추출한다. 추출해서 얻어진 액상의 혼합물을 원심분리기에 넣고 1,500RPM으로 20분간 반복하여 원심분리하여 추출하고, 추출 후 상,하로 분리된 것 중에서 상층액을 수거하여 와트만 여과필터로 여과시켜 액상으로 추출한다.
이렇게 추출된 옥수수 속대 추출물은 신우대 추출물 사용량 대비 70∼130중량부 사용한다. 옥수수 속대 추출물을 70중량부 미만으로 사용하면 사용량 부족으로 옥수수 속대의 고유 기능, 즉 치주질환과 예방과 치통을 완화시키는 효과를 거의 기대할 수 없고, 130중량부를 초과하면 사용량 과다하여 본래 기능은 충분히 발휘할 수 있지만 그 외에 별다른 효과가 없어 재료만 낭비할 뿐이다.
상기 소취살균제는 본 발명이 소취와 충치예방이 가능한 마시는 가글액 조성물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매우 중요한 구성요소라 할 수 있다. 상기 소취살균제는 죽염 100중량부, 상기 죽염 100중량부 기준으로 진저롤 60∼100중량부, 자일리톨 30∼60중량부, 프로폴리스 30∼60중량부, 카테킨 15∼45중량부 및 유기유황 15∼45중량부를 포함한다.
상기 죽염은 대나무통에 천일염을 다져 넣고 황토로 입구를 봉한 다음 쇠가마에 넣어 쌓고 소나무 장작불을 태워 아홉 번을 반복해서 구운 뒤 그것을 곱게 갈아서 만들 것이 죽염이다.
참고로, 소금은 크게 두 종류로 나뉜다. 그 중 하나는 99% 이상이 염화나트륨(NaCl)으로 이뤄진 정제염(精製鹽)이다. 바닷물을 전기 분해해 염화나트륨을 얻어낸 후 불순물을 없앤 소금이다. 정제염에는 미네랄이 거의 들어 있지 않아서 몸에 이로운 효과가 거의 없다. 수분을 끌어당기는 성질이 있어서 정제염을 섭취하면 혈관 안으로 수분이 몰려 혈압이 높아지고, 소변으로 나올 때 칼슘까지 배출시키므로 뼈 건강에도 해롭다. 반면 천일염(天日鹽)은 바닷물을 그대로 농축시켜 얻어낸 소금으로, 정제 과정을 거치지 않기 때문에 몸에 필요한 칼슘·철·구리·아연·셀레늄·마그네슘·게르마늄 등 여러 종류의 미네랄이 풍부하게 들어 있고, 특히 철은 다른 소금에 비해 죽염에만 있고, 칼륨은 다른 소금에 비해 훨씬 함량이 높다.
치약이 없거나 구하기 어려울 때 많은 재료 중에서 특히 천일염으로 양치를 하는 것으로 보아 천일염의 미네랄이 구강 건강에 효능이 있는 것을 경험적으로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많은 미네랄을 함유하고 있는 천일염을 구워 만든 죽염은 항산화 기능이 있다. 목포대학교 천일염연구센터 연구진은 "죽염에 항산화 효능이 있다"는 사실을 세계 최초로 밝혀냈다. 연구진의 함경식 교수는 이미 노화가 진행된 쥐에게 여러 종류의 소금을 먹인 뒤 새로운 물건이 생겼을 때 이를 알아차리는 지를 알아보는 실험하여 죽염을 먹은 쥐만이 새로운 물건과 헌 물건을 구별했다고 밝혔다. 이 결과로부터 함 교수는 노화 때문에 지방산화물이 뇌에 쌓이면 기억을 담당하는 뇌 부위의 기능이 떨어지는 데, 죽염을 먹으면 지방산화물 생산이 저하되고, 몸속에 항산화 효소가 많이 생겨서 노화 증상 개선에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또한 미국 하버드대 의대 데이너 파버 암연구센터의 실험을 통해 죽염은 무해하면서 항암 효과가 있다고 하였다. 항산화는 암·염증질환 같은 질병 완화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2021년 12월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치의과대학 식품생명공학과 박건영 교수팀은 죽염과 정제염을 생쥐에 투여해 비장 세포에서 암세포 억제 능력을 비교해서 세포독성시험(MTT assay)결과 죽염의 항암효과가 정제염보다 높았다, 특히 9번 구운 죽염의 항암 능력은 매우 우수하고 강력했다고 밝혔다.
죽염은 대나무를 이용하여 구운 소금이므로 강알칼리성으로 변한다. 2012년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에 실린 논문 "죽염의 알칼리성 및 항산화 효과"의 논문에 의하면 정제염은 약간 산성이고, 천일염은 알칼리성이고, 죽염은 천일염보다 더 높은 알칼리성이라고 하였다.
이렇듯, 죽염에 관한 많은 연구 논문에서 죽염은 항산화 기능이 있어 암·염증질환 같은 질병을 완화하거나 예방하고, 해독작용, 병균을 살균하는 기능이 있은 것으로 발표되고 있다. 특히 구강건강과 관련하여서는 살균 방부효과, 식도의 염증과 독소 소멸, 치아염증 통증 해소, 항 바이러스 효과가 있다.
이렇게 제조한 죽염은 소취살균제 중에서 사용량이 가장 많은 100중량부를 사용하여 다른 요소들의 ?t량 기준으로 삼았다.
상기 진저롤은 생강의 매운맛 성분 중의 하나이다. 체내 지질 저하 효과, 항균효과 종양억제, DNA 손상억제 효과 등의 약리효능이 보고되고 있고, 편두통을 경감하고, 임신 또는 멀미로 인한 구토를 줄이는 역할도 있다고 두산백과에 기재되어 있다. 진저롤은 살균작용, 면역력강화, 항바이러스 기능, 식중독 예방, 혈행 강화에 도움을 주고 악취를 제거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진저롤은 생강에서 추출하여 동결결조시켜 분말형태로 만들고, 이러한 분말은 현재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다. 진저롤 분말을 물에 타면 커피와 같이 잘 분해되므로 본 발명에 적용하더라도 액상으로 추출하는 데 전혀 문제가 없다.
상기 진저롤은 소취살균제를 구성함에 있어 죽염 사용량 대비 60∼100중량부를 사용한다. 진저롤을 60중량부 미만으로 사용하면 사용량 부족으로 그의 고유 효과, 즉 살균, 항바이러스, 악취제거 기능을 포함한 다양한 효과가 약하고, 100중량부를 초과하면 사용량이 과다하여 본래 기능은 충분히 발휘할 수 있지만 혈관이 확장되어 출혈 위험이 있다.
상기 자일리톨은 충치의 원인이 되는 산을 형성하지 않은 천연 감미료로서, 자일로스를 가공하여 만들 알코올계의 당으로 설탕 대용으로 사용되고, 특히 치아 관리용품에 이용된다. 비타민D, 칼슘과 함께 과학적으로 질병 예방 효과가 입증된 건강기능식품이다.
1975년 핀란드의 생화학자 카우코 마키넨(Kauko Makinen)박사는 자일리톨이 설탕과 거의 똑같은 감미료의 역할을 하면서도 충치까지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고 발표했다. 자일리톨은 당을 발효시켜 산을 생성하는 충치균을 약화시키고 당의 발효를 막아 이 과정을 차단함으써 충치의 원인을 제거하게 된다. 더 구체적으로 충치균은 자일리톨을 설탕으로 착각하고 먹으나 자일리톨이 설탕과 다른 구조, 즉 탄소 원자가 5개 들어 있는 5탄당이어서 소화가 힘들어 젖산을 만들지 못하므로 뱉어 내고 또 다시 자일리톨을 먹고 뱉어내는 것을 계속 반복함으로써 에너지를 소모하여 활동이 약해지거나 죽게 된다.
이와 같이 충치를 방지하는 자일리톨은 충치 예방 외에도 당뇨 환자들에개 설탕 대체용으로 사용되고 있고, 충치균인 뮤탄스균의 번식을 억제하거나 살균하여 구강과 연결된 귀와 코에서 감염을 일으키는 균을 억제하고, 또한 체중 증가의 원인이 되는 설탕 대체용으로 사용되므로 다이어트에도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충치 예방에 탁월한 자일리톨은 죽염 사용량 대비 30∼60중량부를 사용한다. 자일리톨을 30중량부 미만으로 사용하면 사용량 부족으로 충치 예방효과가 크지 않고, 60중량부 초과 사용하면 사용량 과다하여 설사와 복통이 발생될 우려가 있다.
상기 프로폴리스는 꿀벌들이 자신들의 생존과 번식을 위하여 여러 가지 식물들에서 채취한 수지(樹脂)와 같은 물질에 꿀벌의 타액과 효소 등을 혼합하여 만든 물질로서, 로열젤리와는 다르고 한자어로는 봉교(蜂膠)라고 한다. 우리나라 식약처에서 프로폴리스는 항산화 작용과 구강 항균에 대해서만 기능성을 인정하고 있으므로 구강 내 치아 건강에 우수한 약리성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많은 논문에 의해 주로 알려진 효과로는 항산화 효과(antioxidant), 항생 효과(antibacterial), 항바이러스 효과(antiviral), 항진균 효과(antifungal), 여성 포진, 항원충 효과(antiprotozoan), 항종양 효과(antitumoral), 항염증 효과(anti-inflammatory), 간 보호(hepatoprotective), 항당뇨 효과(antidiabetic) 등이 있다. 또한 프로폴리스는 고혈압에도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가 존재하고, 물에 몇 방을 타서 양치하면 입냄새가 줄어든다고 한다. 상기 항산화 효과에 따라 면역력증강, 구내염 예방, 구취원인균 살균, 치은염 및 치주염 예방, 노폐물 배출, 아토피개선 등의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항산화 작용과 구강 항균이 탁월한 프로폴리스는 건강기능식품으로 식약처에서 기능성을 인정받고 있어 본 발명에 사용하였다. 프로폴리스는 액상의 형태이고, 죽염 사용량 대비 30∼60중량부를 사용한다. 프로폴리스를 30중량부 미만으로 사용하면 구강 항균 기능이 크지 않고, 60중량부 초과 사용하면 사용량 과다하여 알레르기, 설사 및 복통이 발생될 우려가 있다.
상기 카테킨은 녹차에서 발견되는 폴리페놀의 일종으로 녹차의 떫은 맛을 내는 성분이다. 카테킨은 기본적으로 지방 산화를 증가시켜 체중 감량에 도움을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항산화 작용을 통해 심혈관 건강에도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외에도 카테킨은 항균, 항바이러스, 항염, 항당뇨 등 매우 다양한 건강상의 이점이 있고, 해독작용과 충치예방, 구취제거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카테킨은 죽염 사용량 대비 15∼45중량부를 사용한다. 카테킨을 15중량부 미만으로 사용하면 그가 가지고 있는 항균, 항바이러스, 항염 기능이 크지 않고, 45중량부 초과 사용하면 사용량 과다하여 간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상기 유기유황(식이유황으로 불린다)은 미생물, 식물, 고등동물에 자연적으로 존재하고 있는 화학 성분이며, 식물에서 추출한 식물성 천연 유기유황을 사용한다. 유기유황을 장가간 복용하면 체내에 글루타티온으로 저장되고, 글루타티온의 체내 레벨이 상승하여 여러 염증 완화, 특히 잇몸 통증 완화, 관절 건강, 뼈 골밀도를 높여 뼈 보호, 피부 건강에 도움이 되며, 항산화 작용으로 면역력이 향상된다.
이러한 유기유황은 죽염사용량 대비 15∼45중량부를 사용한다. 유기유황을 15중량부 미만으로 사용하면 그가 가지고 있는 항산화 작용, 통증 완화, 관절보호, 면역력 증진이 크지 않고, 45중량부 초과 사용하면 사용량 과다하여 구토, 설사, 배앓이, 두통, 숙면방해, 알레르기 등이 유발되는 우려가 있다.
상기 소취살균제의 요소 중 프로폴리스를 제외한 나머지는 동결건조한 후 미세한 분말형태로 가공되므로, 함께 사용되는 다양한 추출물에 타서 교반하면 커피처럼 녹아 액상으로 음용할 수 있다.
상기 백지 열수 추출물은 백지 또는 구릿대로 불리는 약초를 열수 추출하는 것이다. 백지는 미나리과의 식물로서 주변의 물기가 많은 곳에서 자라고, 뿌리줄기와 씨를 약재로 사용한다. 뿌리줄기에 쿠마린(Coumarin), 안겔리칼(Angelical), 에둘틴(Edultin), 펠로프테린(Phellopterin) 등이 함유되어 있고 씨에는 통경작용을 하는 임페라트린(Imperatrin)이 함유되어 있다. 이 성분 증에서 임페라트린이 강력한 항염증 작용을 하고, 쿠마린은 항균작용을 한다. 또한 백지의 푸라노쿠마린, 크산토톡신, 임페라토린, 옥시푸세다닌과 같은 페놀성 화합물의 약리 활성에 관한 연구도 활발하여 암세포에 대한 세포독성 연구, 아세틸콜린에스테라아제 저해활성 연구 등이 보고되는 등 다량이 폴리페놀을 함유하고 이들은 우수한 생리활성을 나타내고 있다고 여러 논문에서 밝히고 있다.
백지는 동의보감의 처방법의 하나로 얼굴질환, 특히 치주질환, 치통, 풍치를 치료하는 "옥지산"에 사용되는 3대 주재료 중 하나이며 동의보감에 기록되어 있다.
백지의 효능은 여러 가지가 있으며, 그 중에서 미백효과, 여드름 제거, 염증 치료에 효과가 있고, 얼굴 부분의 염증치료 효과가 탁월히여 구강 내의 치주염 예방과 치료에 좋다고 한의학에서 널리 알려져 있다.
백지 열수 추출은 정제수와 건조 후 잘게 절단한 백지를 1:0.3∼0.7중량비율로 용기에 넣고 가열하여 이들을 합산한 초기 중량 대비 50∼90%에 이를 때까지 끓여 추출한 다음 0.3∼0.5㎛ 여과필터로 여과시켜 액상으로 수득한다. 이러한 추출한 백지 열수 추출물은 신우대 추출물 사용중량 대비 25∼65중량부를 사용한다. 백지를 25중량부 미만으로 사용하면 사용량이 부족하여 그의 효능이 크지 않고, 65중량부를 초과하면 혈압상승, 맥박 감소, 구토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세신 열수 추출물은 세신 또는 족도리풀이라 불리는 약초를 추출하는 것이다. 세신은 족도리풀이라고 하며, 우리나라 각처의 산지에서 자라는 다년생 초본이다. 반그늘 또는 양지의 토양이 비옥한 곳에서 잘 자라며, 여인의 족도리 같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세신(細辛)이라고 부르는 것은 뿌리가 아주 많이 달리는데 가늘고 맵고 그 수가 많아서 붙여진 이름이다. 휘발성 성분인 α-pinene, camphene, β-pinene, myrcene, sabinene, limomene 등이 함유되어 있어 씹으면 특이한 향취가 나고, 이른 봄에 새싹이 나오는 것을 채취하면 약리 효능이 좋다.
세신은 위에서 설명한 "옥지산"에 사용되는 3대 주재료 약초 중 하나에 속하므로, 얼굴부분의 잇몸 염증, 치주염이나 치통에 효능이 탁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세신은 비염, 축농증 치료에 효능이 좋고, 은단과 박하사탕의 원료로 사용될 정도로 입 냄새를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
세신 추출물의 추출방법은 위에서 설명한 옥수수 속대 추출물의 추출과정과 동일하므로 중복을 피하기 위해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추출을 완료한 세신 열수 추출물은 신우대 추출물 사용량 대비 15∼55중량부 사용한다. 세신 추출물을 15중량부 미만으로 사용하면 사용량 부족으로 치주질환과 치통 등 얼굴의 염증을 완화시키는 효과가 크지 않고, 55중량부 초과 사용하면 사용량 과다하여 본래 기능은 충분히 발휘할 수 있지만 메스꺼움과 구토 등이 발생하고 장기 복용 시에는 간, 신장에 독성반응을 유발시킬 우려가 있다.
승마 열수 추출물은 미나리아재비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인 승마의 뿌리줄기를 추출한다. 승마는 위에서 설명한 "옥지산"에 사용되는 3대 약초 중 하나에 속하므로, 얼굴부분의 잇몸 염증과 치통 치료와 예방에 효능이 탁월하다. 본초강목에는 승마가 모든 독을 해독하고 기운을 끌어올리고 독한 전염성 기운을 물리치며 복통, 두통, 발열로 인한 부종이나 전신의 피부종독을 치료한다고 기재되어 있다.
승마 열수 추출은 정제수와 건조 후 잘게 절단한 승마 1:0.3∼0.7중량비율로 용기에 넣고 가열하여 이들을 합산한 초기 중량 대비 50∼90%에 이를 때까지 끓여 추출한 다음 0.3∼0.5㎛ 여과필터로 여과시켜 액상으로 수득한다.
이러한 추출한 승마 열수 추출물은 신우대 추출물 사용중량 대비 15∼55중량부를 사용한다. 승마를 15중량부 미만으로 사용하면 사용량이 부족하여 그의 효능이 크지 않고, 55중량부를 초과하면 약간의 독성이 있어 구토와 어지럼증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약모밀을 추출하는 방법은 삼백초과의 여러해살이풀인 약모밀로 추출한다. 약모밀은 식물학적으로 메밀과 관련이 없지만 잎 모양이 메밀과 비슷하고 약으로 많이 쓰이므로 약모밀이라고 부른다. 어성초(魚腥草)로 많이 알려져 있는 것은 식물에서 풍기는 생선비린내 때문이며 또한 십약(十藥)이라고도 하며 열 가지 병에 약으로 쓰인다고 해서 부쳐진 이름이다. 약모밀의 성분들 중에서 쿠엘세틴, 쿠엘시트린, 이소쿠엘시트린, 히페린, 루틴 등은 플라보노이드류로서 폴리페놀(polyphenols)과 같은 항산화 작용, 항염작용이 있다. 그 밖에도 약모밀은 항균작용, 항진균작용, 항바이러스 작용이 입증되었고 항암작용도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악취성분은 데카노일아세트알데하이드(decanoylacetaldehyde)를 비롯한 지방족 알데하이드이며 동물시험에서 설파민보다 4만 배의 항균력을 나타내었다.
약모밀의 열수 추출방법은 정제수와 건조 후 잘게 절단한 약모밀 1:0.3∼0.7중량비율로 용기에 넣고 가열하여 이들을 합산한 초기 중량 대비 50∼90%에 이를 때까지 끓여 추출한 다음 0.3∼0.5㎛ 여과필터로 여과시켜 액상으로 수득한다.
이렇게 추출한 약모밀 열수 추출물은 신우대 추출물 사용중량 대비 15∼55중량부를 사용한다. 약모밀을 15중량부 미만으로 사용하면 사용량이 부족하여 그의 효능이 크지 않고, 55중량부를 초과하면 독성이 있어 구토와 어지럼증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감초 추출물은 정제수와 건조 후 잘게 절단한 감초 1:0.05∼0.2중량비율로 용기에 넣고 가열하여 이들을 합산한 초기 중량 대비 50∼90%에 이를 때까지 끓여 추출한 다음 0.3∼0.5㎛ 여과필터로 여과시켜 액상으로 수득한다.
이러한 추출한 감초 추출물은 신우대 추출물 사용중량 대비 5∼15중량부를 사용한다. 감초를 5중량부 미만으로 사용하면 사용량이 부족하여 그의 단맛이 약하고, 15중량부를 초과하면 조성물에서 단맛이 너무 강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감초는 뿌리를 건조시켜서 한약재로 사용하는데, 그 맛이 달기 때문에 감초(甘草)라 한다. 감초는 모든 약물과 배합이 잘 되어 다른 약의 작용을 순하게 하므로 다른 약에 첨가하여 중화제(조화제)·해독제로 널리 쓰인다. 따라서 감초는 본 발명의 조성물이 쓴 맛이 나는 약초성분으로 구성됨을 감안하여 쓴 맛을 중화시키는 기능을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충치 예방을 위한 가글액 조성물이므로 충치 예방에 탁월한 효능이 있는 불소 성분을 더 추가하고 사용 시 미각을 부드럽게 하기 위해 불소식품 발효추출물을 더 추가한다. 불소는 산에 대한 저항성을 높여주고 충치를 일으키는 박테리아나 효소의 작용을 억제하여 충치를 예방한다. 인체의 몸에 불소가 부족하면 충치가 쉽게 발생하고 노인이나 폐경기 여성의 경우 골다공증의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
상기 불소식품 발효추출물은 신우대 추출물 100중량부 기준으로 10∼30중량부 사용한다.
상기 불소식품 발효추출물은 홍차 우린물 100중량부와 이것을 기준으로 백미 20∼40중량부, 콩 20∼40중량부, 토마토즙 5∼15중량부, 치즈분말 2∼8중량부 및 커피분말 2∼8중량부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만드는 단계(S1);
상기 S1단계를 마친 혼합물을 10시간 이상 불리는 단계(S2);
상기 S2단계를 마친 혼합물에 옥수수전분 5∼15중량부를 넣고 교반하여 점성을 부여하는 단계(S3);
상기 S3단계를 마친 혼합물을 찜통에 넣고 100℃ 이상의 온도에서 30분 이상 가열하여 찌는 단계(S4);
상기 S4단계를 마친 혼합물과 녹차 우린물을 1:1∼3 중량비율로 혼합한 다음 누룩 곰팡이균(아스퍼질러스 속 또는 라이조푸스 속 곰팡이), α-아밀라아제, β-아밀라아제 또는 글루코아밀라아제 중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당화 효소를 접종하여 52∼62℃의 온도에서 10∼18시간 당화시키는 단계(S5);
상기 S5단계를 마친 혼합물 100중량부에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Lactobacillus plantarum), 비피도박테리움 락티스 (Bifidobacterium lactis) 또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수스(Lactobacillus rhamnosus) 중 하나 이상의 유산균 2∼8중량부를 접종하는 단계(S6);
상기 S6단계를 마친 유산균이 접종된 혼합물을 발효기에 넣고 32∼50℃의 온도에서 15∼20시간 발효시키는 단계(S7);
상기 S7단계를 마친 발효 혼합물을 0.3∼0.5㎛ 여과필터로 여과시켜 액상으로 수득하는 단계(S8);
상기 S8단계를 마친 혼합물 100중량부와 발효 후 살균된 적포도주 2∼6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S9); 및
상기 S9단계를 마친 혼합물을 100℃ 이상에서 30초 이상 살균하는 단계(S10);를 포함한다.
상기 S1단계는 홍차 우린물 100중량부와 이것을 기준으로 백미 20∼40중량부, 콩 20∼40중량부, 토마토즙 5∼15중량부, 치즈분말 2∼8중량부 및 커피분말 2∼8중량부를 혼합하는 공정이다.
홍차 우린물은 정제수와 홍차분말을 1:0.01∼0.2 중량비율로 혼합한 다음 그들을 합산한 초기 중량 대비 50∼90%에 이를 때까지 끓이고, 이후 0.3∼0.5㎛ 여과필터로 여과시켜 액상으로 수득한다.
이후, 상기 수득한 홍차 우린물과 콩, 토마토즙, 치즈분말, 커피분말을 함께 용기에 넣고 혼합한다. 이 혼합물은 백미와 콩을 제외한 나머지는 홍차 우린물에 녹아 액상의 상태로 변화된다.
한국영양학회 자료에 의하면 홍차는 불소 함유량이 0.373(mg/100g)으로 식품 중 1위에 해당할 정도로 불소 함유량이 높아 불소식품 발효추출물의 함유량의 기준으로 삼았다. 상기 성분 중에서 불소 함유량은 백미 0.041(mg/100g), 토마토즙 0.002(mg/100g), 치즈분말 0.035(mg/100g), 커피분말 0.091(mg/100g) 함유하고 있다. 상기 백미와 콩은 후 공정의 발효과정에서 당화되어 미생물의 먹이로 사용된다.
토마토즙은 본 발명의 조성물을 사용할 때 입안에서 느끼는 미각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한다. 그의 사용량이 5중량부 미만이 되면 사용량이 부족하여 미각을 향상시킬 수 없고, 15중량부를 초과하면 사용량이 많아 미각이 좋지 않을 우려가 있다.
상기 치즈분말은 기재한 바와 같이 불소 함유량이 0.035(mg/100g)으로 상당히 높고, 그의 단백질 성분이 당화되어 발효과정에서 미생물의 먹이로 사용토록 하였다.
상기 커피분말은 불소 함유량이 후술하는 적포도주 다음 4위에 해당할 정도로 높다. 또한 커피분말은 토마토즙과 같이 미각을 위해 사용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로 가글할 때 익숙한 커피향이 약하게 나도록 하여 가글을 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커피분말 사용량이 2중량부 미만이 되면 사용량이 부족하여 커피향의 거의 느낄 수 없고, 8중량부를 초과하면 사용량이 많아 커피향이 진하게 날 우려가 있다.
상기 S2단계는 S1단계를 마친 혼합물을 10시간 이상 불리는 공정이다. S2단계를 진행하면 백미와 콩은 혼합물에 침지된 상태가 되므로 불소함유량이 높은 홍차 우리물이 내부로 스며들어 많은 불소를 함유한 상태로 불려지게 된다.
상기 S3단계는 S2단계를 마친 혼합물에 옥수수전분 5∼15중량부를 넣고 교반하여 점성을 부여하는 공정이다. 옥수수전분의 불소 함유량은 0.051(mg/100g)으로 비교적 높다. 상기 옥수수전분을 S2단계에서 혼합하지 않고 굳이 S3단계에서 혼합한 이유는 S2단계에서 홍차 우린물이 각 성분에 스며들 때 옥수수전분의 끈적한 점성이 방해하지 않도록 하여 홍차 우린물이 잘 스며들도록 하였다. 또한 옥수수전분은 점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본 발명의 조성물에 약한 점성을 부여하여 가글할 때 조성물이 구강에 오랫동안 남아 가글의 효율성을 높이도록 하였다.
상기 S4단계는 S3단계를 마친 혼합물을 찜통에 넣고 100℃ 이상의 온도에서 30분 이상 가열하여 찌는 공정이다. 상기 S4단계를 마치면 백미와 콩은 쪄진 상태가 되어 발효가 진행될 수 있게 한다.
상기 S5단계는 S4단계를 마친 혼합물과 녹차 우린물을 1:1∼3 중량비율로 혼합한 다음 누룩 곰팡이균(아스퍼질러스 속 또는 라이조푸스 속 곰팡이), α-아밀라아제, β-아밀라아제 또는 글루코아밀라아제 중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당화 효소를 접종하여 52∼62℃의 온도에서 10∼18시간 당화시키는 공정이다. 이 공정이 완료되면 백미와 콩은 당화되어 미생물의 먹이가 되는 조건이 된다. 녹차의 불소 함유량은 0.115(mg/100g)로서 홍차 다음 2위에 해당할 정도로 함유랑이 높다. S5단계에서 녹차 우린물을 첨가하는 이유는 S5단계 이전에 녹차 우린물을 첨가하게 되면 그 보다 불소 함유량이 높은 홍차 우린물의 불소 농도를 희석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녹차 우린물은 정제수 100중량부에 녹차분말 10∼20중량부를 넣고 그들을 합산한 초기 중량부 대비 50∼90중량부에 이를 때까지 끓이고, 이후 0.3∼0.5㎛ 여과필터로 여과시켜 액상으로 수득한다.
상기 S6단계는 상기 S5단계를 마친 혼합물 100중량부에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Lactobacillus plantarum), 비피도박테리움 락티스 (Bifidobacterium lactis) 또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수스(Lactobacillus rhamnosus) 중 하나 이상의 유산균 2∼8중량부를 접종하는 공정이다. 이 공정에 의해 미생물이 접종됨에 따라 미생물은 S5단계에서 미리 당화된 백미와 콩을 먹이로 삼아 발효를 진행할 수 있다.
상기 S7단계는 S6단계를 마친 유산균이 접종된 혼합물을 발효기에 넣고 32∼50℃의 온도에서 15∼20시간 발효시키는 공정이다. 이 공정은 발효가 진행될 수 있는 적당한 조건을 설정하는 것이다. 발효온도가 32℃보다 미만이 되면 온도가 낮아 발효가 원활하게 진행되지 않고 50℃를 초과하면 발효온도가 너무 높아 미생물들이 사멸될 우려가 있다. 그리고 발효온도가 낮을수록 발효시간은 길어지고 발효온도가 높을수록 발효시간은 짧아지는 것은 감안하여 상기 설정된 온도와 시간을 적절하게 선택하여 발효가 원활하게 진행되게 한다.
상기 S8단계는 S7단계를 마친 발효 혼합물을 0.3∼0.5㎛ 여과필터로 여과시켜 액상으로 수득하는 공정이다. 발효가 완료되면 발효실에서 혼합물을 꺼내어 필터링하여 발효물을 얻는다.
상기 S9단계는 S8단계를 마친 발효물 100중량부와 적포도주 2∼6중량부를 혼합하는 공정이다. 적포도주의 불소 함유량은 0.105(mg/100g)로 녹차 다음으로 3위에 해당한다. 그리고 적포도주는 발효에 의해 제조되므로 다시 발효할 필요가 없어 S9단계에서 혼합시킨다. 적포주 사용량이 2중량부에 미치지 못하면 적포주의 양이 부족하여 불소 함유량을 높이는 의미가 없고, 6중량부를 초과하면 옥수수 속대를 에탄올로 추출하는 것을 감안하면 그 사용량이 많아 알코올 냄새가 날 우려가 있다.
상기 S10단계는 S9단계를 마친 혼합물을 100℃ 이상에서 30초 이상 살균하는 공정으로 용기에 포장하기 전에 무균처리하여 유통기간을 오랫동안 확보할 수 있게 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조한 불소식품 발효수출물은 신우대 추출물 사용량 대비 10∼30중량부를 사용한다. 불소식품 추출물이 10중량부 미만이 되면 불소 첨가량이 부족하여 충치를 예방하는 크게 도움이 되지 않고, 30중량부를 초과하면 조성물의 불소 함량이 높아 장시간 사용 시 치아 표면에 하얀색. 갈색 반점이 생기는 치아불소증에 노출 될 우려가 있다.
[실시예1 및 비교예1]
아래 표1의 조건으로 실시예1과 비교예1 소취살균제를 제조하였다. 죽염은 각 성분의 기준량이 되므로 동일하게 100g을 사용하였다. 비교예1은 진저롤, 자일리톨 및 프로폴리스를 사용하지 않았다. 이 중량비율로 제조한 소취살균제를 아래 표3에 적용하였다.
성분 실시예1 비교예1
죽염(g) 100 100
진저롤(g) 80 -
자일리톨(g) 45 -
프로폴리스(g) 45 -
카테킨(g) 30 45
유기유황(g) 30 45
다음은 아래 표2의 조건으로 불소식품 발효추출물을 제조하였다. 홍차 우린물은 각 성분의 기준량이 되므로 동일하게 1kg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비교예1은 토마토즙, 커피분말, 옥수수전분을 사용하지 않아 점성을 부여하지 않았다. 이 중량비율로 제조한 불소식품 발효추출물을 아래 표3에 적용하였다.
성분 실시예1
실시예2
비교예1
홍차우린물(kg) 1 1
백미(kg) 0.3 0.4
콩(kg) 0.3 0.4
토마토(kg)즙 0.1 -
치즈분말(kg) 0.05 0.05
커피분말(kg) 0.05 -
옥수수전분(kg) 0.03 -
녹차우린물(kg) 2 1
다음은 아래 표3의 조건으로 본 발명의 가글액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신우대 추출물은 각 성분의 기준량이 되므로 동일하게 2kg을 사용하였다. 비교예1은 옥수수 속대 추출물, 백지 열수 추출물, 세신 열수 추출물 및 감초 추출물을 사용하지 않았다.
성분 실시예1 비교예3
신우대 추출물(kg) 2 2
옥수수 속대 추출(kg)물 2 -
소취살균제(kg) 1.5 1.3
백지 열수 추출물(kg) 0.9 -
세신 열수 추출물(kg) 0.9 -
승마 열수 추출물(kg) 0.9 1.1
약모밀 열수 추출물(kg) 0.9 1.1
감초 추출물(kg) 0.4 -
불소식품 발효추출물(kg) 0.4 0.3
관능검사 미각 4.9 3.6
점성 4.8 3
기호도 4.7 3.5
관능검사 : 1점:매우 불량, 2점:불량, 3점:보통, 4점:양호, 5점:매우 양호
관능검사는 표3의 실시예1 및 비교예1의 조건에 따라 제조한 가글액 100g을 본 출원인의 영업소를 찾은 손님 100인에게 무상으로 제공하였고, 제공한 날로부터 2달 후에 3점 보통을 기준으로 하여 그에 대한 미각, 점성 및 기호도를 5점 척도법으로 평가하였다. 관능평가에 소요되는 기간이 2달로 매우 짧아 충치 예방에 대한 평가는 할 수 없는 점이 아쉬웠다.
관능검사 결과 표3과 같이 실시예1은 모든 부분에서 상당히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평가자들은 미각과 점성부분에서 실시예1이 상당이 뛰어나는 평가가 많았는 데, 그 이유는 불소식품 발효추출물에 사용된 토마토즙, 치즈분말, 커피분말의 영향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실시예1은 옥수수전분의 영향에 의해 약간의 점성이 있어 가글액 조성물이 입안에 안기는 듯한 느낌을 받아 편안한 느낌을 받았다는 평가가 있었다.
반면에, 비교예1은 실시예와 거의 유사하게 제조하였으나 불소식품 발효 추출물에서 미각에 관련된 요소들이 사용되지 않아 평가가 좋지 않았고, 또한 옥수수전분을 사용하지 않아 점성이 부족하여 낮은 평가를 받은 것으로 판단된다.
S1 : 혼합물을 만드는 단계
S2 : 혼합물을 불리는 단계
S3 : 옥수수전분의 점성을 부여하는 단계
S4 : 혼합물을 찌는 단계
S5 : 당화 효소 접종단계
S6 : 유산균 접종단계
S7 : 발효단계
S8 : 발효물 수득단계
S9 : 적포도주 혼합단계
S10 : 살균단계

Claims (5)

  1. 신우대 추출물 100중량부, 상기 신우대 추출물 기준으로 옥수수 속대 추출물 70∼130중량부, 소취살균제 50∼100중량부, 백지 열수 추출물 25∼65중량부, 세신 열수 추출물 15∼55중량부, 승마 열수 추출물 15∼55중량부, 약모밀 열수 추출물 15∼55중량부, 불소식품 발효추출물 10∼30중량부 및 감초 추출물 5∼15중량부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불소식품 발효추출물은 홍차 우린물 100중량부와 이것을 기준으로 백미 20∼40중량부, 콩 20∼40중량부, 토마토즙 5∼15중량부, 치즈분말 2∼8중량부 및 커피분말 2∼8중량부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만드는 단계(S1);
    상기 S1단계를 마친 혼합물을 10시간 이상 불리는 단계(S2);
    상기 S2단계를 마친 혼합물에 옥수수전분 5∼15중량부를 넣고 교반하여 점성을 부여하는 단계(S3);
    상기 S3단계를 마친 혼합물을 찜통에 넣고 100℃ 이상의 온도에서 30분 이상 가열하여 찌는 단계(S4);
    상기 S4단계를 마친 혼합물과 녹차 우린물을 1:1∼3 중량비율로 혼합한 다음 누룩 곰팡이균(아스퍼질러스 속 또는 라이조푸스 속 곰팡이), α-아밀라아제, β-아밀라아제 또는 글루코아밀라아제 중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당화 효소를 접종하여 52∼62℃의 온도에서 10∼18시간 당화시키는 단계(S5);
    상기 S5단계를 마친 혼합물 100중량부에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Lactobacillus plantarum), 비피도박테리움 락티스 (Bifidobacterium lactis) 또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수스(Lactobacillus rhamnosus) 중 하나 이상의 유산균 2∼8중량부를 접종하는 단계(S6);
    상기 S6단계를 마친 유산균이 접종된 혼합물을 발효기에 넣고 32∼50℃의 온도에서 15∼20시간 발효시키는 단계(S7);
    상기 S7단계를 마친 발효 혼합물을 0.3∼0.5㎛ 여과필터로 여과시켜 액상으로 수득하는 단계(S8);
    상기 S8단계를 마친 혼합물 100중량부와 발효 후 살균된 적포도주 2∼6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S9); 및
    상기 S9단계를 마친 혼합물을 100℃ 이상에서 30초 이상 살균하는 단계(S10);를 포함하여 수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시는 가글액 조성물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소취살균제는 죽염 100중량부, 상기 죽염 100중량부 기준으로 진저롤 60∼100중량부, 자일리톨 30∼60중량부, 프로폴리스 30∼60중량부, 카테킨 15∼45중량부 및 유기유황 15∼45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시는 가글액 조성물 제조방법.
  3. 삭제
  4. 청구항 1 있어서, 상기 홍차 우린물과 녹차 우린물은 정제수 100중량부에 각각 홍차분말과 녹차분말 10∼20중량부를 넣고 초기 그들을 합산한 초기 중량부 대비 50∼90중량부에 이를 때까지 끓이고, 이후 0.3∼0.5㎛ 여과필터로 여과시켜 액상으로 수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시는 가글액 조성물 제조방법.
  5. 청구항 1, 2 및 4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으로 제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시는 가글액 조성물.
KR1020230108697A 2023-08-20 2023-08-20 소취와 충치예방이 가능한 마시는 가글액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6210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8697A KR102621090B1 (ko) 2023-08-20 2023-08-20 소취와 충치예방이 가능한 마시는 가글액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8697A KR102621090B1 (ko) 2023-08-20 2023-08-20 소취와 충치예방이 가능한 마시는 가글액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1090B1 true KR102621090B1 (ko) 2024-01-23

Family

ID=89713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08697A KR102621090B1 (ko) 2023-08-20 2023-08-20 소취와 충치예방이 가능한 마시는 가글액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1090B1 (ko)

Citation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76015B1 (ko) 1996-03-26 1999-03-20 서치영 치주질환 예방 및 치료제 조성물
KR20050030791A (ko) 2003-09-26 2005-03-31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소회향에서 추출한 정유를 포함하는 구강위생 증진용 조성물
KR100537834B1 (ko) 2000-12-21 2005-12-1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목단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취 억제용 구강 조성물
KR20100080295A (ko) * 2008-12-30 2010-07-08 남지원 전통한약재를 주성분으로 하는 분말치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017447B1 (ko) 2007-06-20 2011-02-25 (주)에스.앤.디 회향 추출물을 함유하는 충치 예방용 구강 조성물 및항균용 조성물
KR20120055814A (ko) 2010-11-24 2012-06-01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구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세균 억제용 항균 조성물
KR101157088B1 (ko) 2011-06-17 2012-06-21 백설옥 탱자를 주재로 한 구취개선 구강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20119933A (ko) 2011-04-21 2012-11-01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자연산 생약물질과 프로폴리스 추출물을 이용한 구강 청결 및 구취 제거제
KR20190000955A (ko) * 2017-06-23 2019-01-04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치주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58464B1 (ko) 2018-08-02 2019-12-23 (주)비에이치바이온텍 가글용 생약 추출액 조성물
KR20200117411A (ko) * 2019-04-04 2020-10-14 (주)지웰바이오 구강 세균 억제용 항균 조성물 및 구강붕해필름
KR20210122439A (ko) * 2020-04-01 2021-10-12 주식회사 테라시온 바이오메디칼 해초추출물을 포함한 애완동물 구강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
KR20220107991A (ko) * 2021-01-26 2022-08-02 주식회사 마루치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 용도의 구강용 조성물
KR20220125392A (ko) * 2021-03-05 2022-09-14 (주)또르르 불소가 함유된 온천수 및 한방 복합 소재를 포함하는 다기능성 조성물

Patent Citation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76015B1 (ko) 1996-03-26 1999-03-20 서치영 치주질환 예방 및 치료제 조성물
KR100537834B1 (ko) 2000-12-21 2005-12-1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목단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취 억제용 구강 조성물
KR20050030791A (ko) 2003-09-26 2005-03-31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소회향에서 추출한 정유를 포함하는 구강위생 증진용 조성물
KR101017447B1 (ko) 2007-06-20 2011-02-25 (주)에스.앤.디 회향 추출물을 함유하는 충치 예방용 구강 조성물 및항균용 조성물
KR20100080295A (ko) * 2008-12-30 2010-07-08 남지원 전통한약재를 주성분으로 하는 분말치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55814A (ko) 2010-11-24 2012-06-01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구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세균 억제용 항균 조성물
KR20120119933A (ko) 2011-04-21 2012-11-01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자연산 생약물질과 프로폴리스 추출물을 이용한 구강 청결 및 구취 제거제
KR101157088B1 (ko) 2011-06-17 2012-06-21 백설옥 탱자를 주재로 한 구취개선 구강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00955A (ko) * 2017-06-23 2019-01-04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치주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58464B1 (ko) 2018-08-02 2019-12-23 (주)비에이치바이온텍 가글용 생약 추출액 조성물
KR20200117411A (ko) * 2019-04-04 2020-10-14 (주)지웰바이오 구강 세균 억제용 항균 조성물 및 구강붕해필름
KR20210122439A (ko) * 2020-04-01 2021-10-12 주식회사 테라시온 바이오메디칼 해초추출물을 포함한 애완동물 구강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
KR20220107991A (ko) * 2021-01-26 2022-08-02 주식회사 마루치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 용도의 구강용 조성물
KR20220125392A (ko) * 2021-03-05 2022-09-14 (주)또르르 불소가 함유된 온천수 및 한방 복합 소재를 포함하는 다기능성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278994A (zh) 青刺果口腔护理软胶囊
KR102288724B1 (ko) 항균, 살균, 항염 및 피부진정 기능의 향상과 피부 면역력의 강화를 위한 기능성 복합 조성물을 함유하는 애완동물용 복합 기능성 샴푸 및 그 제조 방법
CN102512345B (zh) 一种天然抗菌漱口液及其制备方法
KR20180137174A (ko) 발모 촉진, 탈모 완화 및 개선용 건강보조식품
KR101578070B1 (ko) 발모 촉진, 탈모 완화 및 개선, 혈당 조절, 위장 장애 증상 완화 및 개선용 건강보조식품
CN101181208B (zh) 一种含天然抗菌素的漱口液及其制备方法
KR101768184B1 (ko) 식품원료로 분류되는 한약재를 이용한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074663A (ko) 천연 비누 조성물
KR102197395B1 (ko) 황칠나무 발효 추출물과 매생이 발효 추출물이 혼합 조성된 숙취 해소 복합 발효 추출물의 제조방법
JP2009263332A (ja) オリーブ葉抽出物を含有する歯周組織健康維持剤
KR102621090B1 (ko) 소취와 충치예방이 가능한 마시는 가글액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171798B1 (ko)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취 감소 및 치주질환 예방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594674B1 (ko) 생약 복합물을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KR102577074B1 (ko) 원형 그대로의 반려동물용 수산물 수제 간식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원형 그대로의 반려동물용 수산물 수제 간식
CN106420574B (zh) 一种蜂胶型植物抗菌漱口水及其制备方法
CN110680794A (zh) 一种纯天然无化学添加剂的食品级珍珠蜂蜜茶味口腔护理组合物的绿色制备方法及其应用
KR102240938B1 (ko) 환성 건강식품 및 그 제조방법
KR101715076B1 (ko) 석창포를 주재료로 하는 기능성 샴푸 및 그 제조방법
CN106618128A (zh) 一种绿色环保线香及其制备方法
KR102173683B1 (ko) 목본류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1391788B1 (ko) 갈대 숯, 갈대 초액 및 황토를 포함하는 건강보조 용품
KR100707342B1 (ko) 오디, 부추 및 백토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 및 이의제조방법
KR20060004397A (ko) 식물 복발효 효소액 및 이를 사용한 기능성 음료
KR20050080501A (ko) 고혈압, 비만, 당뇨병환자를 위한 건강보조식품의 제조방법
KR102283663B1 (ko) 허브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