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3373B1 - 구취 개선용 구강조성물 - Google Patents

구취 개선용 구강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3373B1
KR102373373B1 KR1020200143990A KR20200143990A KR102373373B1 KR 102373373 B1 KR102373373 B1 KR 102373373B1 KR 1020200143990 A KR1020200143990 A KR 1020200143990A KR 20200143990 A KR20200143990 A KR 20200143990A KR 102373373 B1 KR102373373 B1 KR 1023733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d breath
oral composition
chitosan
green tea
tea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3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석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코월드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코월드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코월드팜
Priority to KR10202001439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3373B1/ko
Priority to JP2023500348A priority patent/JP7541780B2/ja
Priority to PCT/KR2021/011533 priority patent/WO2022092522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33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33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6Chitin; Chitosan;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6-membered ring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e.g. couma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취 개선용 구강조성물로 구취의 원인이 되는 황화수소, 메틸머캅탄 및 디메틸머캅탄 등과 같은 휘발성 황화물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휘발성 황화물을 발생시키는 단백질 노폐물 분해 성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구강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키토산 및 녹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취 개선용 구강조성물로, 상기 구취 개선용 구강조성물은 폴리올, 폴리머, 살균제, 치아우식 억제제, 구취 제거 유효성분, pH 조절제, 보존제, 방부제, 착향제, 감미제, 향료, 색소 및 용제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추가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구취 개선용 구강 조성물은 효과적으로 구취 제거를 통해 구취를 개선하며, 기호도가 우수하여 사용감도 뛰어나다.

Description

구취 개선용 구강조성물{OR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HALITOSIS}
본 발명은 구강조성물, 구체적으로 구취 성분을 제거하여 구취를 개선할 수 있는 구취 개선용 구강조성물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는 산업화 및 서구화가 됨에 따라 생활습관과 식생활의 변화로 구강 관련 질환의 원인과 증상이 다양해지고 있으며, 구강 관련 질환 및 관련 문제들은 심각한 사회문제로 보고되고 있다.
구강은 호흡과 음식물 섭취를 위해 매우 중요한 기관이지만, 공기와 음식물을 통해 끊임없이 외부 환경에 노출되는 기관이기도 하다. 때문에, 양치질을 통해 구강의 청결을 유지하지 않으면, 치아와 잇몸 주변부에 치태와 치석이 생성되어 여러 질병이 발생될 수 있다.
세계보건기구(WHO)에서는 치아우식, 치주질환, 구취 및 구강 통증과 같은 구강질환을 미래에 해결해야 할 주요 보건문제 중 하나로 인식하고 있으며, 세계보건기구의 치과질환에 관한 보고에 따르면, 전세계적으로, 청소년의 60 내지 90%와 성인의 60%가 치아우식과 치주질환을 겪고 있으며, 35세 내지 44세의 중년성인의 15 내지 20%는 심한 치주 질환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구강관련 질환은 치아 손실의 주요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심혈관계질환, 세균성 폐렴, 저체중 출생아, 당뇨합병증과 골다공증 같은 질병의 잠재적인 위험요소가 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공기와 음식물을 통해 끊임없이 외부 환경에 노출되는 기관인 사람의 구강은 습도가 높고 체온이 안정되게 유지되어 음식물이 썩기 쉬우며 세균이 번식하기에 좋은 환경이다. 사람의 구강 내에는 700종 이상의 다양한 균들이 상주하고 있으며, 구강 내 세균은 상주균과 병원균으로 구성되 어 있다. 상주균은 병원균의 번식을 막아 구강건강을 유지시켜주는 반면에, 구강질환을 유발하는 세균은 대부분 치아와 잇몸 사이에 형성되는 세균막인 치태(프라그)에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병원균은 치태(프라그)에 서 독소 및 산을 생성하고, 병원균이 생성한 독소는 치주 조직 내로 침입하여 치은의 염증, 치조골의 파괴 및 감염을 일으키며, 병원균에 의해 생성된 산은 치아 표면을 녹여 치아우식증의 원인이 되며, 구취 유발의 원인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상기 구취 유발과 관련하여, 사회발전에 따른 대인관계의 범위 및 활동의 증가, 위생개념의 발달에 따라 점진적으로 구취에 대한 인식이 증가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구취를 적극적으로 관리하고자 하는 소비자가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변화에 맞춰 구취 제거에 효과적인 시술을 하거나, 약효제를 치약, 양치액, 캡슐, 부착제 등에 배합하는 등 다양한 국내외 연구들이 이루어져 왔다.
구취의 원인은 크게 구강 내적 원인 구강 외적 원인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구강 내적 원인으로는 대표적으로 구강 내의 미생물 또는 치료되지 않은 치아우식증, 치주질환 등의 구강 질환이 있고, 구강 외적 원인으로는 호흡 기관계 질환, 위장관계 질환 등과 공복, 월경, 흡연, 음주 등의 다양한 원인이 있다.
상기 원인 중에서도 주된 원인인 구강 내적 원인에 의한 구취는 구강 내의 효소가 타액 중에 존재하는 음식물찌꺼기, 미생물, 구강 상피, 탈착된 구강점막이나 결합조직 등을 단백질원으로 하여 이들을 분해함으로써 휘발성 황화물을 생성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구취를 유발하는 주성분인 휘발성 황화물에는 황화수소, 메틸머캅탄 및 디메틸머캅탄 등이 있으며, 이들 휘발성 황화물 이외에 트리 에틸아민 등의 휘발성 아민화합물, 알데히드, 지방산 및 암모니아 등이 있다.
종래의 구취 제거 관련 기술을 살펴보면, 주로 구취를 유발하는 원인균에 대한 항균제 및 구취 원인 물질에 대한 마스킹 성분이 포함된 치약과 양치액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이들 제제는 구취 제거 효과를 발현하고 유지하기에는 다소 사용상의 제약이 있다. 예를 들어, 치약의 경우 양치 시간 이후에 효능 성분을 유지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폴리머를 적용하여 약물의 전달 효과를 증대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졌으나, 종래의 치약과 같은 연고상 제형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칫솔을 이용하여 양치를 하여야 하고, 또한 물로 헹구어내야 하므로 장소에 제약이 따른다는 단점이 여전히 남아 있다. 이 외에 마우스 스프레이나 브레스 필름 등의 제형과 관련된 연구가 진행되었다. 그러나, 마우스 스프레이나 브레스 필름의 경우 효능의 지속 시간이 짧아 효능 체감의 한계가 있는 문제점 있고, 특히, 브레스 필름의 경우에는 온도, 습도 등에 의해 제조된 필름의 수축, 뭉침 등의 현상이 있어 유통상의 문제점도 추가되고 있다.
이 외에 구강 내에서 발생하는 구취를 억제하기 위해서 구치를 유발하는 물질, 일 예로 단백질 노폐물 분해 성분인 황화수소, 메틸머캅탄 및 디메틸머캅탄 등과 같은 휘발성 황화물을 제거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는 그 효과가 제한적으로 인정되는 구취 발생과 관련된 미생물의 제어에 비하여 그 효과가 우수할 것으로 평가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효과적으로 구취 제거를 통해 구취를 개선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KR 2013-0116486A KR 1996-0000200A KR 10-1790034B KR 10-1157088B KR 10-0121550B
본 발명은 기존 치약 등과 달리 효과적으로 구취제거를 통해, 구취를 개선할 수 있는 구강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구취의 원인이 되는 황화수소, 메틸머캅탄 및 디메틸머캅탄 등과 같은 휘발성 황화물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휘발성 황화물을 발생시키는 단백질 노폐물 분해 성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구강 조성물인 구취 개선용 구강조성물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구취 개선용 구강조성물은 키토산 및 녹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취 개선용 구강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키토산은 중량평균분자량(Mw)이 10,000 Da 내지 57,000 Da일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상기 구취 개선용 구강조성물은 키토산 및 녹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취 개선용 구강조성물로 상기 키토산은 중량평균분자량(Mw)이 10,000 Da 내지 57,000 D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키토산의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취 개선용 구강조성물 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0.05 %(w/w)인 것일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상기 구취 개선용 구강조성물은 상기 구취 개선용 구강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키토산의 함량이 0.01 내지 0.05 중량부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녹차 추출물은 상기 녹차 추출물 내에 포함된 카테킨의 함량에 의해 구강 조성물 전체에 떫은 맛을 제공하여 구강 조성물 전체의 기호도를 낮출 수 있으므로, 상기 녹차 추출물의 함량은 상기 녹차 추출물에 포함된 카테킨 함량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이러한 측면에서, 상기 녹차 추출물의 함량은 상기 녹차 추출물에 포함되어 있는 카테킨 함량에 기초하여 조절될 수 있으므로, 상기 구취 개선용 구강조성물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녹차 추출물의 함량은 상기 녹차 추출물에 포함된 카테킨의 함량이 상기 구취 개선용 구강조성물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0.2%(w/w)가 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녹차 추출물의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녹차 추출물에 포함되어 있는 카테킨 함량을 기준으로, 상기 구취 개선용 구강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카테킨의 함량이 0.1 내지 0.2 중량부인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취 개선용 구강조성물은 폴리올, 폴리머, 살균제, 가용화제, 항균 성분, 구취 제거 유효성분, 잇몸 질환 예방성분, pH 조절제, 보존제, 방부제, 착향제, 감미제, 향료, 색소 및 용제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추가 성분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취 개선용 구강조성물은 천연물인 키토산과 녹차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사용하는 것이어서, 인체에 유해한 합성 화합물 사용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안전할 뿐만 아니라, 구취 제거 효과가 우수하면서도 떫은 맛 등 사용에 불편감을 주지 않고 기호도가 우수하여, 소비자의 사용감 및 만족감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취 측정과 관련하여 주요 구취 성분의 함량을 측정할 수 있는 구취 측정기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취 측정기를 이용하여 피실험자의 본 발명의 사용 전 및 후의 구취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결과물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구강 조성물의 구취 감소를 위한 구취 유발 물질의 제거 효과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재한다.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의해 어떤 식으로든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수행되는 변형 등도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키토산 및 녹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취 개선용 구강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구취 개선용 구강조성물은 키토산 및 녹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취 개선용 구강조성물로 상기 키토산은 중량평균분자량(Mw)이 10,000 Da 내지 57,000 Da인 것일 수 있다.
상기 구취 개선용 구강조성물은 상기 구취 개선용 구강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키토산의 함량이 0.01 내지 0.05 중량부인 것일 수 있다.
상기 키토산의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취 개선용 구강조성물 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0.05 %(w/w)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녹차 추출물은 카테킨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고, 상기 녹차 추출물의 함량은 상기 녹차 추출물에 포함되어 있는 카테킨 함량을 기준으로, 상기 구취 개선용 구강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카테킨의 함량이 0.1 내지 0.2 중량부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녹차 추출물은 카테킨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고, 상기 녹차 추출물 내에 포함된 카테킨의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취 개선용 구강조성물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0.2 %(w/w)인 것일 수 있다.
상기 구취 개선용 구강조성물은 폴리올, 폴리머, 살균제, 치아우식 억제제, 구취 제거 유효성분, pH 조절제, 보존제, 방부제, 착향제, 감미제, 향료, 소 및 용제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추가 성분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평균분자량(average molecular weight)이란 분자량이 다른 여러 분자종의 혼합물인 고분자 화합물의 분자량 즉, 분자량이 다른 여러 분자종의 분자량의 평균값을 의미한다. 상기 평균 분자량은 수평균분자량, 중량평균분자량처럼 평균을 취하는 방법을 명시하여 표시한다.
본 명세서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조성물 이란 명시된 성분들을 명시된 양으로 포함하는 생성물 뿐만 아니라, 명시된 양의 명시된 성분들의 배합물로부터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야기되는 생성물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본 명세서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유효량이란 목적하는 치료, 경감, 억제 또는 예방 효과를 발생시키는데 효과적인 본 발명의 추출물 또는 조성물의 양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가용화제(solubilizing agent)란 물에 용해되지 않는 물질을 가용화하기 위해 사용되는 계면활성제를 의미한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음이온 계면활성제, 양쪽성 계면활성제 또는 비이온 계면활성제일 수 있으며, 일 예로, 아마이드계 비이온 계면활성제, 라우릴황산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의 공중합체(폴록사머),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지방산 에스테르, 타우레이트계 등의 음이온 계면활성제 또는 베타인계 양쪽성 계면활성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기존 구취 개선용 구강조성물이 주로 구취 제거를 위해 구취 원인 물질인 황화수소, 메틸머캅탄 및 디메틸머캅탄 등과 같은 휘발성 황화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단백질 노폐물 분해 성분를 발생시키는 미생물의 제어에 집중하여 왔으며, 이를 위해 기존 구취 개선용 구강조성물에 천연물 유래 항균 물질이나 화합물 유래 항균 물질을 첨가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구취 제거 효과가 제한적임에 착안하여, 미생물의 제어가 아닌 단백질 노폐물 자체에 초점을 맞추어 단백질 노폐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구강조성물에 관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안전성이 문제되는 인공 화합물이 아닌 안전성이 검증된 천연물을 기초로 이러한 연구를 진행한 결과, 키토산과 녹차 추출물을 함께 사용하는 경우 간단한 가글만으로도 단백질 노폐물 제거가 용이하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러한 단백질 노폐물 제거 효과가 키토산의 분자량에 따라 영향을 받고, 녹차 추출물의 첨가량도 노폐물 제거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을 뿐만 아니라, 키토산 첨가량과 녹차 추출물, 구체적으로 녹차 추출물 내에 포함된 카테킨 함량이 구강 조성물 전체의 기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여, 상기 실험 결과에 기초하여, 키토산의 중량평균분자량(Mw)이 11,170 Da이고, 키토산의 함량이 0.05%(w/w)이며, 녹차 추출물의 함량이 상기 녹차 추출물에 포함되어 있는 카테킨 함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0.2%(w/w)인 경우가 가장 적합함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에 기초하여 제작된 구취 개선용 구강조성물은 천연물인 키토산과 녹차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사용하는 것이어서, 인체에 유해한 합성 화합물 사용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안전할 뿐만 아니라, 구취 제거 효과가 우수하면서도 떫은 맛 등 사용에 불편감을 주지 않고 기호도가 우수하여, 소비자의 사용감 및 만족감을 향상시켜, 기존 구취 개선용 구강조성물이 갖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것에 근거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기존 합성계면활성제를 사용하는 페이스트 제형의 치약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합성계면활성제를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일정 수준의 점성이 꾸준히 유지되어 부드러운 사용감 등 우수한 사용감을 확보할 수 있는 페이스트 제형의 구취 개선용 구강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취 개선용 구강조성물은 키토산 및 녹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취 개선용 구강조성물에 관한 것이.
상기 키토산은 단백질 노폐물 제거 효과 및 구취의 원인이 되는 황화수소, 메틸머캅탄 및 디메틸머캅탄 등과 같은 휘발성 황화물 생성 억제 효과의 측면에서, 중량평균분자량(Mw)이 10,000 Da 내지 57,000 Da, 바람직하게는 10,000 Da 내지 13,000 Da, 더욱 바람직하게는 11,150 내지 11,200 Da, 더 더욱 바람직하게는 11,170 Da일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상기 구취 개선용 구강조성물은 키토산 및 녹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취 개선용 구강조성물로 상기 키토산은 중량평균분자량(Mw)이 10,000 Da 내지 57,000 D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키토산(chitosan)은 게, 새우 등 갑각류의 껍질에 존재하는 키틴(chitin)을 고온, 강알칼리로 처리하여 탈아세틸화시킨 천연 고분자 물질을 의미한다. 상기 키토산은 항균활성, 항진균활성, 면역활성 증강효과 등의 다양한 생리 기능성을 갖는 물질이다.
상기 키토산은 구강세균의 생육을 억제하여 잇몸 질환을 예방함과 동시에 키토산의 흡착, 응집작용에 의하여 구강의 청결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키토산은 분자 내에 수소결합이 매우 강한 아세틸아미노기를 가지고 있어서, 물에 용해되지 않는 특성이 있으나, 상기 키토산을 저분자, 일 예로 분자량 10,000 내지 70,000 Da로 저분자화하는 경우 수용성을 가진다. 상기 키토산은 바람직하게는 물에 용해가 가능한 수용성 키토산이면서, 효과가 우수한 고분자량의 키토산, 일 예로 키틴을 탈아세틸화시켜 얻은 통상적인 키토산(비수용성 키토산)에 카르복실에틸(Carboxyethyl) 그룹을 겹합시킨 카르복실에틸키토산(N-Carboxyethyl Chitosan)일 수 있다.
상기 키토산의 함량은 구강조성물의 전체적인 기호도와 사용감의 측면에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취 개선용 구강조성물 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0.05 %(w/w)인 것일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상기 구취 개선용 구강조성물은 상기 구취 개선용 구강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키토산의 함량이 0.01 내지 0.05 중량부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녹차 추출물은 상기 녹차 추출물 내에 포함된 카테킨의 함량에 의해 구강 조성물 전체에 떫은 맛을 제공하여 구강 조성물 전체의 기호도를 낮출 수 있으므로, 상기 녹차 추출물의 함량은 상기 녹차 추출물에 포함된 카테킨 함량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이러한 측면에서, 상기 녹차 추출물의 함량은 상기 녹차 추출물에 포함되어 있는 카테킨 함량에 기초하여 조절될 수 있으므로, 상기 구취 개선용 구강조성물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녹차 추출물의 함량은 상기 녹차 추출물에 포함된 카테킨의 함량이 상기 구취 개선용 구강조성물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0.2%(w/w)가 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녹차 추출물의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녹차 추출물에 포함되어 있는 카테킨 함량을 기준으로, 상기 구취 개선용 구강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카테킨의 함량이 0.1 내지 0.2 중량부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녹차 추출물은 차나무 잎 추출물을 의미한다.
상기 차나무(tea plant)는 차나무과에 속하는 상록교목 또는 상록활엽관목으로 학명은 Camellia sinensis이다. 티베트와 중국 쓰촨성의 경계에 해당하는 산악지대가 원산지로 알려져 있고, 열대지방, 아열대 지방 및 온대지방에 자생하며, 현재에는 주로 한국, 일본, 중국, 인도 및 동남아지역에 분포되어 있다. 상기 차나무에는 변종이 많으며, 이들 변종은 그 모양이 각기 크게 다르다. 주로, 중국이나 일본에서 재배되는 소엽 종은 자연 상태에서도 높이가 약 2m 내지 약 3m 정도까지 자라는 관목이고, 인도 아삼 지방의 대엽종은 높이가 약 15m 내지 약 30m에 달하는 교목이다.
상기 차나무 잎은 품종이나 위치에 따라 변이가 크지만, 주로 길이 6cm 내지 20cm 및 폭 3cm 내지 4cm의 긴 타원 모양이며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고 끝과 밑 부분이 뾰족한 것이 특징이다. 잎의 질은 단단하고 약간 두꺼우며 표면에 광택이 있다. 품종에 따라 잎 빛깔의 진하고 엷음에 차 이가 있고 주름에도 변화가 있다. 어린잎이나 어린 싹의 뒷면에는 부드러운 털이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지리산에 자라는 야생종은 중국산 소엽종이고, 재배차의 경우에는 중국산 소엽종을 개량한 일본산 야부키타종이 주로 재배된다.
상기 녹차 추출물 즉, 차나무 잎 추출물은 통상의 식물 추출물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것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불순물을 제거한 차나무 잎, 상기 차나무 잎의 분쇄물 또는 상기 차나무 잎의 분쇄물의 건조물에 대해 용매 추출법, 초임계 추출법 또는 초음파 추출법을 수행하여 추출된 것일 수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상기 추출물은 추출용매로 추출한 용매 추출물, 초임계 추출물 즉, 초임계 유체의 의한 초임계 추출을 통한 추출물 또는 초음파 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용매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의 방법에 따라, 통상적인 온도와 압력의 조건 하에서 통상적인 용매, 구체적으로 추출용매를 사용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추출용매는 천연물 추출에 사용될 수 있는 물,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바람직하게는 물, 탄소수 1 내지 5의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더욱 바람직하게는 물일 수 있다. 상기 유기용매는 메탄올, 에탄올 등의 탄소수 1 내지 5의 직쇄 또는 분지형 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아세톤 등의 극성용매와 헥산 또는 디클로로메탄의 비극성용매, 탄소수 3 내지 5의 케톤 등의 중성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90%의 에탄올 등의 탄소수 1 내지 5의 직쇄 또는 분지형 알코올 수용액 또는 30 내지 90%의 탄소수 3 내지 5의 케톤,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80% 에탄올 수용액 또는 50 내지 80%의 아세톤 수용액,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75% 에탄올 수용액일 수 있다.
상기 추출용매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당업자에게 공지된 통상의 다른 용매로 대체될 수 있다.
상기 초임계 추출물은 이산화탄소를 유체로 감압 및 고온에 의한 초임계 조건에서 수행하는 초임계 추출법 또는 초임계 유체 추출법(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에 의해 추출된 것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초임계 유체는 기체가 고온 고압 조건에서 임계점에 도달하였을 때 갖는 액체 및 기체의 성질을 지니고 있으며, 화학적으로 비극성 용매와 유사한 극성을 지니고 있어, 지용성 물질의 추출에 효과적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산화탄소는 초임계 유체기기의 작동으로 압력 및 온도가 임계점까지 이르는 과정을 거치면서 액체 및 기체 성질을 동시에 지닌 초임계 유체가 되고, 그 결과 지용성 용질에 대한 용해도가 증가한다. 따라서, 상기 초임계 이산화탄소가 일정량의 시료를 함유한 추출 용기를 통과하게 되면 시료에 함유된 지용성 물질은 초임계 이산화탄소에 추출되며, 지용성 물질을 추출한 후 추출 용기에 남아있는 시료에 다시 소량의 공용매가 함유된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흘려 통과시키면 순수한 초임계 이산화탄소만으로는 추출되지 않았던 성분들이 추출되어 나오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상기 초임계 추출법에 사용되는 초임계 유체는 초임계 이산화탄소 또는 이산화탄소에 추가적으로 공용매를 혼합한 혼합유체일 수 있다. 상기 공용매는 클로로포름, 에탄올, 메탄올, 물, 에틸아세테이트, 헥산, 디에틸에테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추출과정에 사용된 이산화탄소는 실온에서 공기 중으로 휘발되므로, 상기 방법으로 얻은 추출물을 화장료 조성물로서 사용할 수 있으며, 공용매의 경우, 감압증발기로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초음파 추출물은 초음파 추출법에 의해 추출된 것을 의미한다. 상기 초음파 추출법은 초음파 진동에 의해 발생되는 에너지를 이용하는 추출방법으로, 상기 초음파가 추출용매 속의 시료에 전달되게 되면, 상기 초음파에 의해 온도가 상승하게 되고, 높은 국부온도로 인하여 주위에 위치하는 반응물 입자들의 운동에너지를 크게 하기 때문에 반응에 필요한 충분한 에너지를 얻게 되고, 초음파 에너지의 충격효과로 높은 압력이 유도되어, 시료에 함유된 물질과 추출용매의 혼합 효과를 높여주어 추출효율이 증가되게 된다.
상기 초음파 추출법에 사용할 수 있는 추출용매는 클로로포름, 에탄올, 메탄올, 물, 에틸아세테이트, 헥산, 디에틸에테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용매 추출법은 냉침추출법, 온침추출법, 가압추출법 또는 환류추출법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물은 추출과정을 수행한 이후, 감압 여과 과정을 수행하거나 추가로 농축 및/또는 동결건조를 수행하여 농축하거나 용매를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차나무 잎 추출물은 통상적 방법으로 건조된 추출물의 건조물과 통상적 방법으로 농축된 추출물의 농축물, 상기 추출물, 건조물 또는 농축물의 희석액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상기 수득한 차나무 잎 추출물은 사용 시까지 급속 냉동 냉장고(deep freezer)에 보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취 개선용 구강조성물은 폴리올, 폴리머, 가용화제, 항균 성분, 구취 제거 유효성분, 잇몸질환 예방성분, pH 조절제, 보존제, 방부제, 착향제, 감미제, 향료, 색소 및 용제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추가 성분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취 개선용 구강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구강조성물에 포함되는 보조 성분들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선택하여 첨가할 수 있다.
상기 가용화제는 물에 용해되지 않는 물질을 가용화하기 위해 사용되는 계면활성제를 말하며, 일 예로, 음이온 계면활성제, 양쪽성 계면활성제 또는 비이온 계면활성제일 수 있으며, 일 예로, 아마이드계 비이온 계면활성제, 라우릴황산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의 공중합체(폴록사머),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지방산 에스테르, 타우레이트계 등의 음이온 계면활성제 또는 베타인계 양쪽성 계면활성제일 수 있다.
상기 항균 성분은 항균 활성을 갖는 물질로, 충치균, 치주염 원인균 또는 치은염 원인균 등에 대한 항균 활성을 갖는 성분을 의미한다. 일 예로, 강한 삼투압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염화나트륨이나 상기 충치균, 치주염 원인균, 치은염 원인균 등에 대한 항균 활성을 갖는 천연 추출물, 일 예로 자몽종자 추출물, 프로폴리스 추출액, 포공영 추출물, 길경 농축액기스, 황백 농축액기스, 페퍼민트 추출물, 솔잎 추출물, 버드나무 추출물, 해조류 추출물 또는 천연 추출물 유래 성분, 일 예로 트리클로산(triclosan), 쿠르쿠마 잔토리자유, 염화세틸피리디늄(cetyl pyridium chloride), 염화벤제토늄(benzothonium chloride), 염화벤잘코늄(benzalconium chloride) 또는 세틸피리디늄클로라이드나 글루콘산클로르헥시딘(chlorohexidin gluconate)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항균성분은 구취 개선용 구강조성물 100 중량부에 0.01 내지 10 중량부 또는 0.05 내지 5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구취 제거 유효 성분은 비발효성 당 알코올(nonfermented sugar alcohol), 천연 추출물(extracts), 무기화합물(inorganic compounds), 효소(enzyme), 효소 저해제(enzyme inhibitor) 등일 수 있다.
상기 비발효성 당 알코올로는 자일리톨(xylitol), 솔비톨(sorbitol), 에리스리톨(erythritol), 만니톨(mannitol), 말티톨(maltitol), 락티톨(lactitol), 팔라티니톨(palatinitol), 팔라티노스(palatinose), 올리고당(oligosaccharide) 등일 수 있고, 상기 천연 추출물은 감잎 추출물(pancil extract), 생귀나리아 추출물(Sanguinaria extract), 목단피 추출물 등일 수 있으며, 상기 무기화합물(inorganic compounds)은 염화아연(zinc chloride), 글루콘산염(cupper gluconate), 피로인산나트륨(tetrasodium pyrophosphate, TSPP), 산성 피로인산나트륨(sodium acid pyrophosphate, SAPP), 메타인산나트륨(sodium hexametaphosphate, SHMP), 폴리인산나트륨(sodium tripolyphosphate, STP), 피로인산나트륨칼륨(sodium potassium tripolyphosphate, SKTP), 피로인산칼륨(tetrapotassium pyrophosphate, TKPP), 울트라메타인산염(acidic sodium meta-polyphosphate), 산성 폴리인산나트륨(acidic sodium polyphosphate)일 수 있으며, 상기 효소(enzyme)는 덱스트라나아제(dextranase), 포도당 산화효소(glucose oxidase), 글루코스 퍼옥시다아제(glucose peroxidase), 락토퍼옥시다아제(lactoperoxidase), 글루카나아제(glucanase), 프로테아제(protease) 또는 리소자임(lysozyme)일 수 있고, 상기 효소 저해제는 펩타이드(peptides) 저해제 및 콜라게나아제 저해제와 같이 구강 내 구취 발생에 관여하는 효소의 저해제일 수 있다.
상기 구취 제거 유효 성분은 단독 또는 2 종 이상 혼합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구취 제거 유효 성분은 상기 구취 개선용 구강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0.001 내지 30 중량% 또는 0.01 내지 10 중량%의 농도로 첨가할 수 있다.
상기 잇몸 질환 예방성분은 염화나트륨, 초산토코페롤, 염산피리독신, 알란토인, 알란토인클로로히드록시알루미늄, 트라넥사민산 또는 아미노카프론산일 수 있다.
상기 잇몸 질환 예방성분은 단독 또는 2 종 이상 혼합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잇몸 질환 예방성분은 상기 구취 개선용 구강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0.001 내지 30 중량% 또는 0.01 내지 10 중량%의 농도로 첨가할 수 있다.
상기 pH 조절제는 pH를 조절하거나 pH에 민감한 유효성분, 일 예로 항균 성분이나 약효물질을 위하여 pH 변화를 완충하기 위한 물질을 의미한다. 상기 pH 조절제는 인산나트륨, 인산이나트륨, 인산삼나트륨, 구연산나트륨, 탄산수소나트륨, 피로인산나트륨, 구연산(citric acid), 사과산(malic acid), 숙신산(succinic acid), 주석산(tartar acid), 개미산(formic acid) 또는 젖산(lactic acid)일 수 있다.
상기 pH 조절제는 단독 또는 2 종 이상 혼합 사용할 수 있다.
상기 pH 조절제는 상기 구취 개선용 구강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0.001 내지 30 중량% 또는 0.01 내지 10 중량%의 농도로 첨가할 수 있다.
상기 착향제는 구취 개선용 구강조성물에 상쾌함을 부여하고, 불결한 냄새를 억제하여 사용감과 기호도를 향상시킬 목적으로 부가되는 성분으로, 일 예로 인삼추출물, 프로폴리스추출물, 굴유, L-멘톨, 콜민트향(HF-61399), 민트향 착향제 또는 조합향료(사과향, HF-30630) 등일 수 있다.
상기 감미제는 구취 개선용 구강조성물에 일정한 미감을 제공하고, 청량감 등을 부여하기 위한 목적으로 부가되는 성분으로, 일 예로 사카린나트륨, 사카린나트륨수화물, 아스파탐, 스테비오사이드, 스테비올배당체, 자일리톨, D-자일로스(D-Xylose), 감초산, 카모마일 추출물, 세이지엑스 또는 프로폴리스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향료는 식용 가능한 항료가 사용되며, 일 예로 맨톨(Mentol), 아네톨(Anetol), 오이게놀(Eugenol), 리모넨(Limonene), 오시멘(Ocimene), n-도데실알콜(n-Dodecy Alcohol), 시트로네놀(Citronenol), 알파터피네올(a-Terpineol), 살리실메틸(Methyl salycilate), 메틸아세테이트(Methyl Acetate), 시트로네릴 아세테이트(Citronelyl Acetate), 시네올(Cineol), 리나롤(Linalool), 에틸리나롤(Ethyl Linalool), 바닐린(Vanillin), 티몰(Thymol), 스피아민트(Speamint) 오일, 세지(Sage) 오일, 로즈마리(Rosemary) 오일, 계피(Cinamon) 오일, 페파민트오일, 유칼립톨 오일 또는 과일 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색소는 주로 식용 색소가 사용된다.
상기 용제는 일 예로 물 또는 유기용매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물 또는 에탄올 수용액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물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구취 개선용 구강조성물은 구취 개선용 구강조성물에 배합할 수 있는 그 밖의 첨가제도 함유할 수 있다.
상기 구강조성물은 구강 세정제 또는 가글제일 수 있으며, 가글의 용이함을 위해 액상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구취 개선용 구강조성물의 유효성분의 제조
구취 개선용 구강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 유효성분인 키토산 및 녹차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우선, 키토산은 고분자 키토산을 0.5% 초산에 첨가하여 용해한 후, 상기 초산 키토산 용액에 키토산 분해효소를 사용하여 적당한 분자량이 되도록 분해시간을 조절하여 반응시킨 후, 각각의 시간 별 분해효소를 처리한 키토산 용액을 GPC를 사용하여 평균 분자량을 측정하여 중량평균분자량(MW)이 각각 108,210 Da, 55,130 Da, 11,170 Da, 5,208 Da 및 815 Da이 되도록 되는 키토산을 수득하였다.
또한, 상기 녹차 추출물의 첨가에 따른 기호도는 카테킨의 떫은 맛에 의해 영향을 받으므로, 녹차 추출물은 카테킨 함량이 20%인 녹차추출물 분말을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상기 구입된 녹차 추출물을 구강청정제에 첨가하여 녹차 추출물 농도가 0.1%(w/w, 카테킨 함량 0.02% w/w), 0.3%(w/w, 카테킨 함량 0.06% w/w), 0.5%(w/w, 카테킨 함량 0.1% w/w), 1%(w/w, 카테킨 함량 0.2% w/w)가 되도록 녹차 추출물 첨가량을 조절하여 사용하였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 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험은 각각 동일한 실험을 3회 이상 반복하여 수행하였으며, 각각의 실험결과로 얻어진 자료는 SPSS/WIN 12.0 version 통계프로그램(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IBM, USA)을 이용하여 평균 및 표준편차(Mean ± SEM)로 표시하였다. 집단간의 유의성 검증 위해,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통해 분석하였고, 사후검증(Post-Hoc test)은 Duncan's multiple range test에 의해 P < 0.05 수준에서 각 실험군 간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실험예: 유효성분에 따른 구취 개선 효과 확인
실험예 1-1. 기호도에 따른 유효성분의 첨가량 확인
구강조성물의 경우 구취 제거 효과가 중요하기는 하나, 사용자의 취향과 기호에 의해 다양한 제품이 선택될 수 있으므로, 우선 유효성분의 첨가량에 따른 기호도를 첨가하여 유효성분의 함량을 확인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구강조성물은 유효성분 외에 용제로 정제수를 사용하였고, 녹차 추출물(표 1) 및 키토산(표 2) 이 외에 멘톨(0.05 %(w/w), 자일리톨(3 %(w/w) 및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0.05 %(w/w)를 추가로 첨가하여 제조하였다. 상기 키토산은 평균분자량이 11,170 Da인 키토산을 사용하였다.
제조된 구강조성물의 유효성분 첨가량에 따른 기호도 조사는 실험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구강 질환 및 기타 질환이 없으며, 관능실험에 따른 훈련을 받은 성인 남녀 10명씩을 선별하여, 각각의 구강조성물을 사용하고, 전체적인 기호도를 5점 측정법으로 측정하였다. 5점이 가장 좋은 것을 의미하고, 1점은 떫은 맛이 아주 강하여 아주 좋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 상기 측정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원 료 함 량(%, w/w)
정제수 잔량(96.55 내지 95.15)
녹차 추출물 농도별(0.1 내지 1.5)
멘톨 0.05
자일리톨 3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0.3
원 료 함 량(%, w/w)
정제수 잔량(96.64 내지 96.5)
키토산 농도별(0.01 내지 0.15)
멘톨 0.05
자일리톨 3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0.3
녹차 추출물 키토산(평균분자량 11,170 Da)
농도(%, w/w) 전체적인 기호도 농도(%, w/w) 전체적인 기호도
0.1 4.1 0.01 3.7
0.3 3.8 0.03 3.4
0.5 3.55 0.05 3.05
1.0 2.7 0.1 1.9
1.5 1 0.15 1
상기 표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녹차 추출물 및 키토산의 함량이 증가하는 경우 떫은 맛이 강해져 전반적인 기호도가 낮아지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특히, 일정 수준의 함량을 넘어가는 경우에는 강한 떫은 맛으로 인해 기호도가 현격하게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에 따라 녹차 추출물의 경우 1.5% 이상 첨가되는 경우(카테킨 함량 기준으로 0.3%(w/w))에는 매우 강한 떫은 맛으로 인해 사용이 어려울 것으로 판단되며, 녹차 추출물이 1.0% 이하 첨가되는 경우(카테킨 함량 기준으로 0.2%(w/w))에는 일정 수준 이상의 기호도를 확보할 수 있어, 녹차 추출물은 1.0% 이하 사용이 요구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키토산의 경우 0.15% 이상 첨가되는 경우에는 매우 강한 떫은 맛으로 인해 사용이 어려울 것으로 판단되고, 0.1% 이상 첨가되는 경우에도 제품으로 판매되어 사용되는 것이 제한적일 것으로 판매며, 키토산이 0.05% 이하 첨가되는 경우에는 일정 수준 이상의 기호도를 확보할 수 있어, 키토산은 0.05% 이하 사용이 요구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실험예 1-2. 키토산 분자량에 따른 구취 제어 효과 확인
상기 실험예 1-1에서 확인된 첨가량을 기준으로 각각의 유효성분의 구취 제어 효과를 확인하였다. 우선, 키토산 분자량에 따른 구취 제어 효과를 하기 표 4의 구강조성물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원 료 함 량(%, w/w)
대조군 실시예
정제수 96.65 96.6
키토산 0 0.05
멘톨 0.05 0.05
자일리톨 3 3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0.3 0.3
상기 제조된 구강조성물의 구취 제어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험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구강 질환 및 기타 질환이 없는 성인 남녀 10명씩을 선별하여, 구취 변화 여부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험군이 2시간 별로, 구강조성물 사용 전과 구강조성물 12 mL를 사용하여 30초간 가글을 실시한 후 1시간이 경과된 시점에서 구취측정기(Oral Chroma, 대한민국, 도 1)를 사용하여 도 2와 같이, 구취 원인 물질(황화수소(H2S), 메틸메르캅탄(CH3SH), 디메틸설파이드 ((CH3)2S)을 이용하여 구취 수치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5 내지 표 7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5 내지 표 7에서 감소율은 사용전 대비 사용후 구취성분의 함량이 감소한 정도를 나타낸다.
키토산평균
분자량
815 Da 5,208 Da
구취 성분 황화
수소
메틸
메르캅탄
디메틸
설파이드
황화
수소
메틸
메르캅탄
디메틸
설파이드
사용전 140 36 25 142 35 27
사용후 123 32 21 113 26 21
감소율(%) 12 11.5 16 20 25 22
키토산평균
분자량
11,170 Da 55,130 Da
구취 성분 황화
수소
메틸
메르캅탄
디메틸
설파이드
황화
수소
메틸
메르캅탄
디메틸
설파이드
사용전 168 43 38 175 45 40
사용후 113 28 25 121 30 29
감소율(%) 32.5 34 32 30 33 27
키토산평균
분자량
108,210 Da 대조군
구취 성분 황화
수소
메틸
메르캅탄
디메틸
설파이드
황화
수소
메틸
메르캅탄
디메틸
설파이드
사용전 180 50 45 140 36 25
사용후 127 38 34 135 33 23
감소율(%) 29 24 24 3.6 8.3 8
상기 표 5 내지 표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키토산을 사용하는 경우 대조군에 비해 구취 제거 효과를 확인하기는 하였으나, 키토산의 평균분자량에 따라 구취 제거 효과가 다른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가장 효과가 좋은 것으로 확인된 11,170 Da의 경우에는 815 Da에 비하여 억제 효과가 약 175% 이상 개선되었으며, 108,210 Da에 비해서도 약 46% 이상 개선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대조군에 비해서는 약 9배 가까이 개선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구강 청정을 위해 키토산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평균분자량이 11,170 Da인 키토산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험예 1-3. 키토산 분자량에 따른 구취 제어 효과 확인
상기 실험예 1-2와 같이, 녹차 추출물의 양에 따른 구취 제어 효과를 하기 표 8의 구강조성물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원 료 함 량(%, w/w)
대조군 실시예
정제수 96.65 잔량
녹차 추출물 0 농도별(0.1 내지 1_
멘톨 0.05 0.05
자일리톨 3 3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0.3 0.3
상기 제조된 구강조성물의 구취 제어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험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구강 질환 및 기타 질환이 없는 성인 남녀 10명씩을 선별하여, 상기 실험예 1-2와 같이 구취 변화 여부를 확인하여, 결과를 하기 표 9 내지 표 11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9 내지 표 11에서 감소율은 사용전 대비 사용후 구취성분의 함량이 감소한 정도를 나타낸다.
녹차 추출물
농도
0.1%(w/w) 0.3%(w/w)
구취 성분 황화
수소
메틸
메르캅탄
디메틸
설파이드
황화
수소
메틸
메르캅탄
디메틸
설파이드
사용전 151 26 28 176 42 38
사용후 127 22 25 131 33 29
감소율(%) 15.8 14.2 24 25.6 22.6 24
키토산평균
분자량
0.5%(w/w) 1.0%(w/w)
구취 성분 황화
수소
메틸
메르캅탄
디메틸
설파이드
황화
수소
메틸
메르캅탄
디메틸
설파이드
사용전 150 31 20 125 25 26
사용후 80 16 11 69 14 15
감소율(%) 46.5 48 43.8 45 45 43
키토산평균
분자량
대조군
구취 성분 황화
수소
메틸
메르캅탄
디메틸
설파이드
사용전 151 26 28
사용후 137 24 25
감소율(%) 9.3 7.7 10.7
상기 표 9 내지 표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녹차 추출물을 사용하는 경우 대조군에 비해 구취 제거 효과가 개선되었으며, 사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구취 제거 효과가 개선되었으나, 0.5% 첨가한 경우와 1.0% 첨가한 경우는 그 차이가 제한적이었으며, 오히려 0.5% 첨가한 경우가 구취 제거 효과가 더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가장 효과가 좋은 것으로 확인된 0.5%와 달리, 1.0%에서 상기 실험예 1-1 및 표 3에 기재되 바와 같이, 기호도도 급격하게 감소하는 것이 확인되어, 구강조성물에 포함되는 녹차 추출물 함량은 0.5%(w/w)인 것이 가장 바람직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험예 1-4. 녹차 추출물과 키토산 분자량에 따른 구취 제어 효과 확인
상기 실험예 1-2 및 실험예 1-3에서 확인된 결과를 바탕으로 녹차 추출물 및 키토산을 함께 사용한 경우, 구취 제어 효과를 확인하였다. 구취 제어 효과를 하기 표 12의 구강조성물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원 료 함 량(%, w/w)
대조군 실시예
정제수 96.65 96.1
키토산 0 0.05
녹차 추출물 0 0.5
멘톨 0.05 0.05
자일리톨 3 3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0.3 0.3
상기 제조된 구강조성물의 구취 제어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험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구강 질환 및 기타 질환이 없는 성인 남녀 10명씩을 선별하여, 상기 실험예 1-2 및 1-3과 같이 구취 변화 여부를 확인하여, 결과를 하기 표 13 내지 표 15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13 내지 표 15에서 감소율은 사용전 대비 사용후 구취성분의 함량이 감소한 정도를 나타낸다.
키토산평균
분자량
815 Da 5,208 Da
구취 성분 황화
수소
메틸
메르캅탄
디메틸
설파이드
황화
수소
메틸
메르캅탄
디메틸
설파이드
사용전 150 28 21 160 30 25
사용후 72 13 11 67 13 12
감소율(%) 52 53 47 58 56.6 52
키토산평균
분자량
11,170 Da 55,130 Da
구취 성분 황화
수소
메틸
메르캅탄
디메틸
설파이드
황화
수소
메틸
메르캅탄
디메틸
설파이드
사용전 188 42.5 42 180 35 35
사용후 31 8.1 6.6 34 7.9 6.9
감소율(%) 83 81 84 81 77 80
키토산평균
분자량
108,210 Da 대조군
구취 성분 황화
수소
메틸
메르캅탄
디메틸
설파이드
황화
수소
메틸
메르캅탄
디메틸
설파이드
사용전 195 45 42 150 28 21
사용후 68 23 19 135 22.5 18.2
감소율(%) 65 48 54 9.3 19.6 13.3
상기 표 13 내지 표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녹차 추출물과 키토산을 함께 사용한 경우에 전반적으로 구취 제거 효과가 현저히 개선되었으나, 키토산 분자량에 따른 경향성은 녹차 추출물을 사용하지 않은 실험예 1-2와 같은 경향을 나타내어, 녹차 추출물이 키토산 분자량에 따른 구취 제거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니라고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가장 효과가 좋은 것으로 확인된 11,170 Da의 경우에는 815 Da에 비하여 억제 효과가 약 58% 이상 개선되었으며, 108,210 Da에 비해서도 약 21% 이상 개선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대조군에 비해서는 약 8배 가까이 개선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구강 청정을 위해 키토산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녹차 추출물과 함께 사용하는 경우에도 평균분자량이 11,170 Da인 키토산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험예 1-5. 녹차 추출물과 키토산에 의해 단백질 노폐물 제거 효과 확인
상기 실험예 1-2 내지 실험예 1-4에서 확인된 결과를 바탕으로 녹차 추출물 0.5% 및 평균분자량이 11,170 Da인 키토산 0.05%를 사용한 구강조성물을 이용하여 30초간 가글을 한 후, 구강 내 단백질 분해 부산물 즉, 단백질 노폐물 제거 효과를 확인하였다. 상기 구강 내 단백질 분해 부산물 흡착 배출 확인을 위하여, 카라멜 색소를 구강청정제에 용해시켜, 흡착된 부산물이 갈색의 카라멜 색소에 염색이 되어 가글 후 뱉었을 때 갈색 부산물로 단백질 분해 부산물을 확인하였다. 상기 실험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상기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녹차 추출물 0.5% 및 평균분자량이 11,170 Da인 키토산 0.05%를 사용한 구강조성물을 이용하여 30초간 가글을 한 후 뱉어낸 경우, 사용전에 비하여 현저하게 많은 구강 내 단백질 분해 부산물이 제거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상기 결과로, 본 발명의 구강 조성물은 구강 내 단백질 분해 부산물이 제거하여 구취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 본 발명은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Claims (4)

  1. 중량평균분자량(Mw)이 11,170 Da인 키토산 및 카테킨을 포함하는 녹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취 개선용 구강조성물로
    상기 중량평균분자량(Mw)이 11,170 Da인 키토산의 함량은 상기 구취 개선용 구강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05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취 개선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녹차 추출물의 함량은 상기 녹차 추출물에 포함되어 있는 카테킨 함량을 기준으로, 상기 구취 개선용 구강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카테킨의 함량이 0.1 내지 0.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취 개선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취 개선용 구강조성물은 폴리올, 폴리머, 살균제, 가용화제, 항균 성분, 구취 제거 유효성분, 잇몸 질환 예방성분, pH 조절제, 보존제, 방부제, 착향제, 감미제, 향료, 색소 및 용제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추가 성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취 개선용 조성물.
  4. 삭제
KR1020200143990A 2020-10-31 2020-10-31 구취 개선용 구강조성물 KR1023733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3990A KR102373373B1 (ko) 2020-10-31 2020-10-31 구취 개선용 구강조성물
JP2023500348A JP7541780B2 (ja) 2020-10-31 2021-08-27 口臭改善用口腔組成物
PCT/KR2021/011533 WO2022092522A1 (ko) 2020-10-31 2021-08-27 구취 개선용 구강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3990A KR102373373B1 (ko) 2020-10-31 2020-10-31 구취 개선용 구강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3373B1 true KR102373373B1 (ko) 2022-03-11

Family

ID=80814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3990A KR102373373B1 (ko) 2020-10-31 2020-10-31 구취 개선용 구강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7541780B2 (ko)
KR (1) KR102373373B1 (ko)
WO (1) WO202209252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48812A (zh) * 2022-05-30 2022-08-30 中山市多美化工有限公司 一种含除口臭抑菌组合物的口腔护理液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0200A (ko) 1994-06-29 1996-01-25 다카하시 미치나오 구강용 조성물
KR0121550B1 (ko) 1993-05-25 1997-11-27 장영신 구강용 조성물
KR20020028765A (ko) * 2001-07-25 2002-04-17 송병식 생약추출물과 키토산을 함유한 치주 질환 예방을 위한치약조성물
KR100450389B1 (ko) * 1995-11-25 2006-04-1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구취제거용구강용액체조성물
KR101157088B1 (ko) 2011-06-17 2012-06-21 백설옥 탱자를 주재로 한 구취개선 구강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30116486A (ko) 2012-04-05 2013-10-24 (주)아모레퍼시픽 프라그 억제용 구강조성물
KR20140055885A (ko) * 2012-11-01 2014-05-09 (주) 바이오에스텍 구강 위생 증진용 조성물
JP2016074723A (ja) * 2015-12-03 2016-05-12 ガバ・インターナショナル・ホールディング・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マウスリンス組成物
KR101790034B1 (ko) 2016-08-22 2017-10-25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충치 예방 및 구취 개선용 구강조성물
KR20200034570A (ko) * 2018-09-21 2020-03-3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구취제거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54339A (ja) 2003-11-26 2005-06-16 Morinaga & Co Ltd 口臭低減組成物
KR100805635B1 (ko) * 2006-07-06 2008-02-2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안정성이 강화된 상전이 구취제거제
JP2009091322A (ja) 2007-10-11 2009-04-30 Kao Corp 抗菌剤組成物
JP3193018U (ja) * 2014-07-01 2014-09-11 株式会社えがお 消臭組成物錠剤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1550B1 (ko) 1993-05-25 1997-11-27 장영신 구강용 조성물
KR960000200A (ko) 1994-06-29 1996-01-25 다카하시 미치나오 구강용 조성물
KR100450389B1 (ko) * 1995-11-25 2006-04-1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구취제거용구강용액체조성물
KR20020028765A (ko) * 2001-07-25 2002-04-17 송병식 생약추출물과 키토산을 함유한 치주 질환 예방을 위한치약조성물
KR101157088B1 (ko) 2011-06-17 2012-06-21 백설옥 탱자를 주재로 한 구취개선 구강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30116486A (ko) 2012-04-05 2013-10-24 (주)아모레퍼시픽 프라그 억제용 구강조성물
KR20140055885A (ko) * 2012-11-01 2014-05-09 (주) 바이오에스텍 구강 위생 증진용 조성물
JP2016074723A (ja) * 2015-12-03 2016-05-12 ガバ・インターナショナル・ホールディング・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マウスリンス組成物
KR101790034B1 (ko) 2016-08-22 2017-10-25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충치 예방 및 구취 개선용 구강조성물
KR20200034570A (ko) * 2018-09-21 2020-03-3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구취제거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541780B2 (ja) 2024-08-29
WO2022092522A1 (ko) 2022-05-05
JP2023533273A (ja) 2023-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1065200A (en) Flavour blend for masking unpleasant taste of zinc compounds
JP4246736B2 (ja) 薬草の口腔歯科治療用の組成物およびその調製方法
KR102408893B1 (ko) 갈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373373B1 (ko) 구취 개선용 구강조성물
KR102221423B1 (ko) 구취 억제 및 구강 위생 증진용 구강청결제 조성물
KR20200012181A (ko) 생약추출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약 조성물
KR101632910B1 (ko) 편백 추출물 및 생약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향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70103476A (ko) 금앵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81636B1 (ko) 갈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70142740A (ko) 천연 복합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638091B1 (ko) 미백기능을 갖는 치약조성물
KR20140055885A (ko) 구강 위생 증진용 조성물
KR102704053B1 (ko) 구강 건조 개선을 위한 성분을 포함하는 치약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344803B1 (ko) 후박 추출물과 금속이온 봉쇄제를 포함하는 구강 위생용 조성물
KR102612967B1 (ko) 비피두스엑스를 포함하는 구강용 액상 조성물
KR20170120411A (ko) 스코폴레틴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70103482A (ko) 연전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70103494A (ko) 과체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18211B1 (ko) 우방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62831B1 (ko) 조협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153847A (ko) 잇몸질환 예방과 구취제거 효과가 우수한 항균치약 조성물
KR102562830B1 (ko) 지부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62829B1 (ko) 고량강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40078208A (ko) 사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강 미생물에 대한 항균 및 치아 미백용 조성물
KR20240081680A (ko) 세리신 및 폴리감마글루탐산을 포함하는 구강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