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6486A - 프라그 억제용 구강조성물 - Google Patents

프라그 억제용 구강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6486A
KR20130116486A KR1020120035722A KR20120035722A KR20130116486A KR 20130116486 A KR20130116486 A KR 20130116486A KR 1020120035722 A KR1020120035722 A KR 1020120035722A KR 20120035722 A KR20120035722 A KR 20120035722A KR 20130116486 A KR20130116486 A KR 201301164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al composition
alginate
salt
plaque
antimicrobial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57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상균
이현기
김찬호
이존환
변경희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200357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16486A/ko
Publication of KR201301164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648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15Polysaccharides, i.e. hav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Derivatives thereof, e.g. ethers, es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15Polysaccharides, i.e. hav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Derivatives thereof, e.g. ethers, esters
    • A61K31/734Alginic acid

Abstract

본 발명은 프라그 억제용 구강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강조성물은 프라그 억제능을 가지는 유효성분이 치아 표면에 장시간 잔류하여, 바이오 필름의 생성을 억제함에 따라 프라그 생성을 억제하므로 잇몸질환을 예방하는데 유용하다. 특히 본 발명의 구강 조성물은 알긴산 또는 알긴산염이 치아 흡착 물질로 작용하여 양이온 항균제가 치아 표면으로 잘 전달되고, 세정시에도 치아 표면에 남아서 항균력을 지속시킬 수 있어서 유용하다.

Description

프라그 억제용 구강조성물{ORAL COMPOSITION FOR INHIBITING DENTAL PLAQUE}
본 발명은 프라그 억제용 구강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치아가 튼튼한 것을 다섯 가지 복 가운데 하나라고 하는 말이 전해져 내려오고 있다. 원래 오복이란 고대중국에서 발행된 상서(尙書)에서 언급된 것으로, 오래 살고, 부유하며, 편안하고, 훌륭한 덕을 닦고, 제 명에 죽는 것을 가리킨다. 하지만 어느 결엔가 건강한 치아가 오복의 하나로 꼽히게 됐고, 수백년간 진리처럼 받아들여지고 있다. 아울러, 활짝 웃는 사람의 이가 아주 하얀 색으로 잘 정돈되어 있다면 타인에게 좋은 첫 인상을 심어줄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청결을 중시하는 현대인의 대인관계에 있어서, 치아의 심미감 및 청결함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함에 따라, 현대인은 치약과 칫솔, 구강 청정제 등을 항상 휴대하여 치아 건강에 힘쓰고 있다.
치아 건강을 위한 근본적인 해결책인 프라그의 생성 및 확산의 억제를 위하여 다수의 치약 또는 구강 청정제 등이 개발되어 있으나, 구강내 타액으로 인하여 또는 세정과정 중 쉽게 희석되어 치아표면에 체류하지 못하게 되고 따라서 프라그 억제능이 미미하게 관찰된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 노력한 결과, 알긴산염 (alginate)과, 2가 양이온 항균제 및 1가 양이온 항균제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양이온 항균제를 포함하는 구강조성물을 이용하는 경우, 프라그 억제능이 세정과정 중에서도 유지된다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0560068 호
본 발명의 목적은 치아에 장시간 잔류하여 프라그 생성을 억제하는 구강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알긴산 또는 알긴산염; 및 양이온 항균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프라그 억제용 구강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구강조성물은 프라그 억제능을 가지는 유효성분이 치아 표면에 장시간 잔류하여, 바이오 필름의 생성을 억제함에 따라 프라그 생성을 억제하므로 잇몸질환을 예방하는데 유용하다. 특히 본 발명의 구강 조성물은 알긴산 또는 알긴산염이 치아 흡착 물질로 작용하여 양이온 항균제가 치아 표면으로 잘 전달되고, 세정시에도 치아 표면에 남아서 항균력을 지속시킬 수 있어서 유용하다.
본 발명은 일 관점에서 알긴산 또는 알긴산염; 및 양이온 항균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프라그 억제용 구강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양이온 항균제'는 항균효과를 가지면서 양이온을 포함하는 염을 의미하는 것이다. 즉, 본 명세서의 양이온 항균제는 수용액 상태에서 염이 해리되어 양이온을 띄는 항균제이다. 예컨대, 염화세틸피리디늄 클로라이드의 경우, 수용액상에서 염화세틸피리디늄이 양이온을 띔과 동시에 항균제로 작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알긴산염(alginate)'은 알긴산(alginic acid)의 염(salt) 형태이다. 알긴산은 갈조류의 세포막을 구성하는 다당류로, (C6H8O)n 의 화학식을 가지며, 대표적 분자량은 20,000-1,000,000 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알긴산염은 알긴산나트륨염, 알긴산칼륨염, 알긴산트리에탄올아민염, 알긴산암모늄염 및 알긴산프로필렌글라이콜염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프라그'는 치아 표면에 지속적으로 형성되는 무색의 세균막을 의미하는 것이며, 치태라고도 한다. 프라그는 치석의 전단계에 해당하며, 치주질병의 주요 원인이다. 치태 속에 있는 세균은 잇몸을 상하게 하는 독소와 유리산소를 만들어 치아를 둘러싸고 있는 조직을 파괴한게 되어 잇몸에 염증이 생겨 빨갛게 되면서 쉽게 붓고, 자주 피가 나게 된다. 본 명세서에서 '프라그를 억제'한다는 것은 치아 표면의 세균막의 생성을 억제하거나 또는 저해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바이오필름의 생성을 억제하거나 저해함에 의하여, 프라그를 억제하는 효능을 가진다.
본 발명의 일 관점인 프라그 억제용 구강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 항균제는 염화세틸피리디늄, 클로르헥시딘 디글루코네이트, 염산클로르헥시딘, 염화벤제토늄, 염화벤즈알코늄, 염화 아연 및 시트르산 아연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양이온 항균제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관점인 프라그 억제용 구강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 항균제는 염화세틸피리디늄, 클로르헥시딘 디글루코네이트, 염산클로르헥시딘, 염화벤제토늄 및 염화벤즈알코늄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1가 양이온 항균제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관점인 프라그 억제용 구강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 항균제는 염화 아연 및 시트르산 아연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2가 양이온 항균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관점인 프라그 억제용 구강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 항균제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3중량%로 함유될 수 있다. 양이온 항균제가 0.0001중량% 이하로 포함되면 프라그 억제능이 충분하지 않으며, 3중량% 이상으로 함유되면 오히려 구강 점막에 자극을 유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본 발명의 양이온 항균제는 프라그 억제용 구강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5 내지 2.5중량%, 0.01 내지 2중량%, 0.05 내지 1.5중량% 또는 0.1 내지 1중량%로 함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인 프라그 억제용 구강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알긴산염은 알긴산나트륨염, 알긴산칼륨염, 알긴산트리에탄올아민염, 알긴산암모늄염 및 알긴산프로필렌글라이콜염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염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알긴산 또는 알긴산염은 양이온 항균제를 치아 표면에 효과적으로 흡착하도록 하여, 양이온 항균제가 치아 표면으로 잘 전달되도록 할 뿐 아니라, 세정 후에도 양이온 항균제가 치아 표면에 남아 있도록 하여 항균성을 유지시켜 준다.
본 발명의 일 관점인 프라그 억제용 구강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알긴산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7중량%로 함유될 수 있다. 알긴산염이 0.01중량% 미만으로 함유되면 양이온 항균제를 치아표면에 잘 전달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으며, 7중량%를 초과하여 함유된 경우, 오히려 프라그 생성을 억제하는 능력이 떨어지고, 구강조성물의 점성이 너무 높아져서 사용하기 힘들다는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알긴산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3 내지 6.5중량%, 0.05 내지 6중량%, 0.07 내지 5.5중량%, 0.09 내지 5중량% 0.1 내지 4.5중량%, 0.12 내지 4중량%, 0.14 내지 3.5중량% 또는 0.16 내지 3중량%로 함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인 프라그 억제용 구강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구강조성물은 치약, 마우스워시, 크림 또는 패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치약은 액체 또는 고체 치약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그 제형에 제한이 없고, 마우스 워시는 구강 청정제라고도 한다. 크림은 구강 연고를 포함하는 것이고, 패치는 치아의 표면상에 붙여서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 실험예 1] 바이오필름 형성 억제능의 확인
[ 실험예 1-1] 구강조성물의 제조-치약
수용성분 일불소인산나트륨, 사카린나트륨, 방부제를 정제수에 녹인 후 솔비톨을 첨가하여 투명하게 될 때까지 녹였다. 알긴산나트륨염을 글리세린에 분산시킨 후 물 파트에 첨가하여 30분간 믹싱하였다. 그리고 나서 물에 녹인 양이온 항균제를 각각 투입하여 20분 동안 추가적으로 믹싱하였다. 마지막으로 연마제, 향 및 라우릴글루코사이드를 첨가하여 치약을 생성하였다.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향료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방부제 0.2 0.2 0.2 0.2 0.2 0.2 0.2 0.2
글리세린 5 5 5 5 5 5 5 5
소듐알지네이트 0.5 0.5 0.5 0.5 0.5 0.5
소듐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0.5
일불소인산나트륨 0.76 0.76 0.76 0.76 0.76 0.76 0.76 0.76
솔비톨 35 35 35 35 35 35 35 35
삭카린나트륨 0.2 0.2 0.2 0.2 0.2 0.2 0.2 0.2
염화세틸피리디늄 0.05 0.05 0.05
클로로헥시딘 디글루코네이트 0.05
염화벤제토늄 0.05
트리클로산 0.05
이소프로필메틸페놀 0.05
탄산칼슘 20 20 20 20 20 20 20 20
라우릴글루코사이드 2 2 2 2 2 2 2 2
정제수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 실험예 1-2] 치약조성물의 바이오필름 형성 억제능 확인( In - vitro )
상기 표 1에서 제조한 실시예 1~3, 비교예 1~5의 구강조성물 각각을 이용하여 프라그 형성 억제능을 평가하는 인-비트로 실험(In-vitro test)을 진행하였다. 동일한 실험을 실시예 1~3, 비교예 1~5의 구강조성물 각 시료에 대하여 10회 반복 후 평균값을 계산하였다.
a)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KCTC 3065) 균을 Brain Heart infusion 배지에서 35 ℃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b) 치아 모사물질인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플레이트를 70% 에탄올에 30분간 담구고 멸균한 후 멸균이온수로 3회 세정하였다. 세정한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플레이트를 한 개씩 24 웰 플레이트에 넣었다.
c) 각 웰에 1% 뮤신(mucin)을 함유한 멸균 이온수를 1mL씩 넣고 35℃에서 30분간 보관하여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플레이트를 뮤신으로 코팅하였다.
d) 실시예 1~3 및 비교예 1~5 각각의 구강조성물을 PBS 버퍼에 20% 희석한 후 1mL를 취하여 상기 c) 단계에 따라 얻어진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플레이트에 처리하고, 35℃에서 1시간동안 보관하여 실험물질을 코팅한 후 멸균이온수로 3회 세정하였다.
e) 배양시킨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의 배양액을 접종하여 35도, 24시간 배양하여 바이오필름을 형성시켰다.
f) 0.1% 크리스탈 바이올렛 용액을 처리하여 염색하고 완전히 건조시킨 후, 70% 에탄올을 넣어 염료를 추출하였다.
g) 추출된 염료 희석액의 농도를 광학밀도 OD (Optical Density, 590nm) 로 측정하였다.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대조군 (물)
OD 값 0.3593 0.3013 0.5947 2.2898 2.3896 2.19095 2.09845 1.8662 2.1536
OD 값이 낮다는 것은 충치균에 의한 바이오필름 형성이 억제되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알긴산염과 양이온 항균제를 동시에 사용한 경우 (실시예 1~3) 다른 샘플에 비해 OD값이 매우 낮게 나왔다. 그러므로 물로 세척한 후에도 양이온 항균제가 알긴산염에 의해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에 흡착되고 잔류하여 세균에 의한 바이오필름 형성을 억제함을 알 수 있다. 아울러, 양이온 항균제 중에서 특히 염화세틸 피리디늄 및 클로로헥시딘 디글루코네이트의 효과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알긴산염과 비이온 항균제를 처리한 경우 (비교예 1~2)에 바이오필름의 형성을 억제하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알긴산염이 없는 경우 또한 바이오필름 형성 억제력이 없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 실험예 1-3] 치약조성물의 치면세균막 지수 측정( In - vivo )
상기 표 1에서 제조된 실시예 1 및 비교예 1,3,4에 대해 치면세균막 지수를 평가하였다.
실험 대상자 150명의 초기 구강 상태를 확인한 후 실험 대상자의 전체 치아를 초음파치석제거기를 이용하여 치면을 세마하였다. 2주 후, 실시예 1 및 비교예 1,3,4로 제조된 치약 각각을 30명마다 나누어 제공한 후, 습관화된 방법으로 칫솔질을 하도록 하고 4주 후, 8주 후, 12주 후에 치태 지수를 검사하였다.
치면 세균막 지수 검사 방법으로는 검사를 위하여 착색액으로 염색한 후에 치태 분포에 따라 아래와 같이 점수를 부여하였다.
0점 : 치면세균막이 전혀 부착되지 않은 경우
1점 : 치은연부에 점상으로 치면세균막이 있는 경우
2점 : 치경부에 환상으로 1mm이하의 치면세균막이 있는 경우
3점 : 치경부측 1/3미만의 치면에 환상으로 1mm이상의 치면세균막이 있는
경우
4점 : 치경부측 2/3미만의 치면에 치면세균막이 있는 경우
5점 : 치경부측 2/3이상의 치면에 치면세균막이 있는 경우
치면 세균막지수 = 총평점 / 평점치면수
구분 평균 ± 표준편차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3 비교예 4
초기치 2.22±0.93 2.13±0.59 2.17±0.88 2.15±0.58
4주 1.82±0.83 1.97±0.56 2.12±0.87 2.02±0.32
8주 1.54±0.68 1.77±0.47 2.01±0.90 1.83±0.94
12주 1.32±0.59 1.71±0.41 1.94±0.88 1.75±0.21
알긴산염과 양이온 항균제로서 염화세틸피리디늄을 동시에 함유한 실시예 1의 경우, 알긴산염 및 비이온을 함유한 비교예 1, 알긴산염만을 함유한 비교예 3 및 염화세틸피리디늄만을 함유한 비교예 4보다 치면 세균막 지수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의하여 알긴삼염에 의해 치아 표면에 흡착되어 구강 내에 잔류하게 되는 염화세틸피리디늄이 지속적으로 치태의 형성을 억제해 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실험예 2] 알긴산 함량에 따른 평가
[ 실험예 2-1] 구강조성물의 제조
수용성분 일불소인산나트륨, 사카린나트륨, 방부제를 정제수에 녹인 후 솔비톨을 첨가하여 투명하게 될 때까지 녹였다. 알긴산나트륨염을 글리세린에 분산시킨 후 물 파트에 첨가하여 30분간 믹싱하였다. 그리고 나서 물에 녹인 양이온 항균제를 각각 투입한 후, 20분 동안 추가적으로 믹싱하였다. 마지막으로 연마제, 향 및 라우릴글루코사이드를 첨가하여 치약을 생성하였다.
실시예4 실시예5 비교예6 비교예7 비교예8
향료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방부제 0.2 0.2 0.2 0.2 0.2
글리세린 5 5 5 5 5
소듐알지네이트 0.5 2.0 4.0 0.125 0
일불소인산나트륨 0.76 0.76 0.76 0.76 0.76
솔비톨 35 35 35 35 35
삭카린나트륨 0.2 0.2 0.2 0.2 0.2
염화세틸피리디늄 0.05 0.05 0.05 0.05 0.05
탄산칼슘 20 20 20 20 20
라우릴글루코사이드 2 2 2 2 2
정제수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 실험예 2-1] 알긴산 함량에 따른 염화세틸피리디늄의 치아 잔류량 평가
상기 표 4의 실시예 4~5, 비교예 6~8 각각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구강조성물의 치아흡착 및 잔류효과를 측정하였다.
a)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 KCTC 3065)는 Brain Heart infusion 배지에서 35 ℃로 24시간동안 배양하였다.
b)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플레이트 (치아모사물질)를 70% 에탄올에 30분간 담궈 멸균하고 멸균이온수로 3회 세정한 후, 한 개씩 24웰 플레이트에 넣었다.
c) 각 웰에 1% mucin을 함유한 멸균이온수를 1mL씩 넣고 35℃에서, 30분간 보관하여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플레이트를 뮤신으로 코팅한다.
d) 실시예 4~5, 비교예 6~8의 구강용 조성물을 PBS 버퍼에 20% 희석 후 1mL를 취하여 상기 c) 단계에 따라 얻어진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플레이트에 처리하고, 처리하고, 35℃에서, 1시간 동안 보관하여 실험물질 각각을 코팅한 후 멸균이온수로 3회 세정한다.
e) 실시예 4~5, 비교예 6~8 각각의 실험물질이 코팅된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플레이트를 꺼낸 후 메탄올을 넣고 5분간 초음파 처리하여 표면에 남아있는 염화세틸피리디늄을 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정량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5 비교예 6 비교예 7 비교예 8
잔류량 (ppm) 167.34 105.41 N/D N/D N/D
그 결과, 알긴산염을 0.5중량%로 사용할 경우,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플레이트에 염화세틸피리디늄의 흡착량이 가장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음이온 고분자인 알긴산 나트륨염과 양이온 항균제인 염화세틸피리디늄이 컴플렉스를 형성하고 이것이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플레이트에 흡착된다. 그런데 알긴산 나트륨염의 함량이 높을 경우, 염화세틸피리디늄 대비 알긴산 나트륨염의 비율이 너무 높아서 불용성분이 생성되지 않고 이에 따라 플레이트 표면에 흡착되는 양이 적은 것으로 판단된다. 반면, 알긴산 나트륨염의 함량이 너무 낮으면 플레이트 표면과의 결합력이 떨어져서 흡착량이 적은 것으로 판단된다.
[ 실험예 2-3] 알긴산 함량에 따른 바이오필름 형성 억제능 확인( In - vitro )
상기 표 4에서 제조한 실시예 4~5, 비교예 6~8 각각의 구강조성물을 이용하여 프라그 형성 억제능을 평가하는 인-비트로 시험(In-vitro test)을 진행하였다. 동일한 실험을 실시예 4~5, 비교예 6~8의 구강조성물 각 시료에 대하여 10회 반복 후 평균값을 계산하였다.
a)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 KCTC 3065)를 Brain Heart infusion 배지에서 35 ℃로 24시간동안 배양하였다.
b) 치아모사물질인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플레이트를 70% 에탄올에 30분간 담구고 멸균한 후 멸균이온수로 3회 세정하였다. 세정한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플레이트를 한 개씩 24 웰 플레이트에 넣었다.
c) 각 웰에 1% 뮤신(mucin)을 함유한 멸균이온수를 1mL씩 넣고 35℃에서 30분간 보관하여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플레이트를 뮤신으로 코팅하였다.
d) 실시예 4~5 및 비교예 6~8 각각의 구강조성물을 PBS 버퍼에 20% 희석한 후, 1mL를 취하여 상기 c) 단계에 따라 얻어진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플레이트에 처리하고, 35℃에서 1시간 동안 보관하여 실험물질을 각각 코팅한 후, 멸균이온수로 3회 세정하였다.
e) 배양시킨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 배양액을 접종하여 35℃, 24시간 배양하여 바이오필름을 형성시켰다.
f) 0.1% 크리스탈 바이올렛 용액을 처리하여 염색하고 완전히 건조시킨 후, 70% 에탄올을 넣어 염료를 추출하였다.
g) 추출된 염료 희석액의 농도를 광학밀도 OD (Optical Density, 590nm) 로 측정하였다.
실시예4 실시예5 비교예6 비교예7 비교예8
OD 값 0.3593 0.4231 1.6614 1.8947 2.09845
그 결과, 알긴산염을 0.5중량%로 사용할 경우, 염화세틸피리디늄의 잔류량이 높아짐에 따라 바이오필름 억제효과가 뛰어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실험예 3] 바이오필름 형성 억제능의 확인
[ 실험예 3-1] 구강조성물의 제조- 마우스워시
수용성분 일불소인산나트륨, 사카린나트륨, 방부제를 정제수에 녹인 후 솔비톨을 첨가하여 투명하게 될 때까지 녹였다. 알긴산나트륨염을 글리세린에 분산시킨 후 물 파트에 첨가하여 30분간 믹싱하였다. 그리고 나서 물에 녹인 양이온 항균제를 투입하여 20분동안 추가적으로 믹싱하였다. 마지막으로 폴리옥시에칠렌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및 향을 첨가하여 마우스워시를 생성하였다.
실시예6 비교예9 비교예10 비교예11
향료 적량 적량 적량 적량
폴리옥시에칠렌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0.3 0.3 0.3 0.3
방부제 0.2 0.2 0.2 0.2
삭카린나트륨 0.01 0.01 0.01 0.01
소듐알지네이트 0.5 0.5 0.5
솔비톨 10 0.76 0.76 0.76
염화세틸피리디늄 0.05 0.05
트리클로산 0.05
정제수 적량 적량 적량 적량
[ 실험예 3-2] 마우스워시조성물의 바이오필름 형성 억제능 확인( In - vitro )
상기 표 7에서 제조한 실시예 6, 비교예 9~11의 구강조성물 각각을 이용하여 프라그 형성 억제능을 평가하는 인-비트로 시험(In-vitro test)을 진행하였다. 동일한 실험을 실시예 6, 비교예 9~11의 구강조성물 각 시료에 대하여 10회 반복 후 평균값을 계산하였다.
a)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 KCTC 3065)를 Brain Heart infusion 배지에서 35 ℃로 24시간동안 배양하였다.
b) 치아모사물질인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플레이트를 70% 에탄올에 30분간 담구고 멸균한 후 멸균이온수로 3회 세정하였다. 세정한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플레이트를 한 개씩 24 웰 플레이트에 넣었다.
c) 각 웰에 1% 뮤신(mucin)을 함유한 멸균이온수를 1mL씩 넣고 35℃에서 30분간 보관하여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플레이트를 뮤신으로 코팅하였다.
d) 실시예 6 비교예 9~11 각각의 마우스워시 조성물을 1mL를 취하여 처리하고, 35℃에서 1시간 동안 보관하여 실험물질을 코팅한 후 멸균이온수로 3회 세정하였다.
e) 배양된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 배양액을 접종하여 35도, 24시간 배양하여 바이오필름을 형성시켰다.
f) 0.1% 크리스탈 바이올렛 용액을 처리하여 염색하고 완전히 건조시킨 후, 70% 에탄올을 넣어 염료를 추출하였다.
g) 추출된 염료 희석액의 농도를 광학밀도 OD (Optical Density, 590nm) 로 측정하였다.
실시예6 비교예9 비교예10 비교예11
OD 값 0.5427 2.0521 2.4610 2.2395
상기 표 8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알긴산염과 염화세틸피리디늄을 동시에 함유한 실시예 6의 경우, 알긴산염 및 비이온 항균제를 함유한 비교예 9, 알긴산염만을 함유한 비교예 10 및 염화세틸피리디늄만을 함유한 비교예11에 비해 프라그 억제력이 월등히 좋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태양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6)

  1. 알긴산 또는 알긴산염; 및
    양이온 항균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프라그 억제용 구강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 항균제는 염화세틸피리디늄, 클로르헥시딘 디글루코네이트, 염산클로르헥시딘, 염화벤제토늄, 염화벤즈알코늄, 염화 아연 및 시트르산 아연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양이온 항균제인, 프라그 억제용 구강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 항균제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3중량%로 함유된 프라그 억제용 구강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긴산염은 알긴산나트륨염, 알긴산칼륨염, 알긴산트리에탄올아민염, 알긴산암모늄염 및 알긴산프로필렌글라이콜염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염인 프라그 억제용 구강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긴산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7중량%로 함유된 프라그 억제용 구강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조성물은 치약, 마우스워시, 크림 또는 패치를 포함하는 프라그 억제용 구강조성물.
KR1020120035722A 2012-04-05 2012-04-05 프라그 억제용 구강조성물 KR201301164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5722A KR20130116486A (ko) 2012-04-05 2012-04-05 프라그 억제용 구강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5722A KR20130116486A (ko) 2012-04-05 2012-04-05 프라그 억제용 구강조성물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2967A Division KR101810140B1 (ko) 2015-08-11 2015-08-11 프라그 억제용 구강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6486A true KR20130116486A (ko) 2013-10-24

Family

ID=49635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5722A KR20130116486A (ko) 2012-04-05 2012-04-05 프라그 억제용 구강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16486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0550A (ko) 2013-07-18 2015-01-2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구강 케어용 조성물
KR20170001140A (ko) 2015-06-25 2017-01-04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치면세균막 형성 억제용 조성물
KR20170003001A (ko) * 2015-06-30 2017-01-09 (주)아모레퍼시픽 프라그 기질 용해제
KR20180010671A (ko) * 2016-07-22 2018-01-31 애경산업(주) 구취억제용 구강 조성물
KR102373373B1 (ko) 2020-10-31 2022-03-11 주식회사 에코월드팜 구취 개선용 구강조성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0550A (ko) 2013-07-18 2015-01-2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구강 케어용 조성물
KR20170001140A (ko) 2015-06-25 2017-01-04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치면세균막 형성 억제용 조성물
KR20170003001A (ko) * 2015-06-30 2017-01-09 (주)아모레퍼시픽 프라그 기질 용해제
KR20180010671A (ko) * 2016-07-22 2018-01-31 애경산업(주) 구취억제용 구강 조성물
KR102373373B1 (ko) 2020-10-31 2022-03-11 주식회사 에코월드팜 구취 개선용 구강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42296B2 (en) Oral care compositions for promoting gum health
US11622926B2 (en) Oral care compositions for promoting gum health
US11090232B2 (en) Oral care compositions for promoting gum health
US10980728B2 (en) Oral care compositions for promoting gum health
KR20130116486A (ko) 프라그 억제용 구강조성물
KR101636430B1 (ko) 항염 및 살균력이 증진된 치주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US20190117532A1 (en) Oral care compositions for promoting gum health
AU2020207834B2 (en) Oral care compositions for promoting gum health
KR101810140B1 (ko) 프라그 억제용 구강조성물
Figuero et al. Supra and subgingival application of antiseptics or antibiotics during periodontal therapy
KR20120058713A (ko) 잇몸 질환 예방에 효과적인 구강용 조성물
Devi Antiplaque and Antigingivitis effect of a Dentifrice containing Bioactive Glass particulate-A Randomized Clinical Trial
KR20180081271A (ko) 알킬 글루코사이드를 함유하는 프라그 제거용 구강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