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4076A - 민들레 추출물을 포함하는 무알코올 구강청결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민들레 추출물을 포함하는 무알코올 구강청결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4076A
KR20190004076A KR1020170084182A KR20170084182A KR20190004076A KR 20190004076 A KR20190004076 A KR 20190004076A KR 1020170084182 A KR1020170084182 A KR 1020170084182A KR 20170084182 A KR20170084182 A KR 20170084182A KR 20190004076 A KR20190004076 A KR 201900040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oral
composition
oral cleansing
alcohol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41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44435B1 (ko
Inventor
윤현서
박충무
Original Assignee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841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4435B1/ko
Publication of KR201900040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40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44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44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30Characterized by the absence of a particular group of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otan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민들레 추출물을 포함하는 무알코올 구강청결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정제수 및 민들레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민들레 추출물을 포함하는 무알코올 구강청결용 조성물은 민들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면서 충분한 향균 및 항염 활성을 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민들레 추출물을 포함하는 무알코올 구강청결용 조성물은 알코올류를 전혀 포함하지 않으면서도 충분한 향균 및 항염 효과를 낼 수 있도록 함으로서 알코올류 사용에 따라 오히려 구강질환이 악화되는 문제를 개선할 수 있는 가글 즉, 구강청결제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민들레 추출물을 포함하는 무알코올 구강청결용 조성물{NON-ALCOHOL ORAL CLEANSING COMPOSITION CONTAINING DANDELION EXTRACT}
본 발명은 민들레 추출물을 포함하는 무알코올 구강청결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민들레 추출물을 포함하고 알코올류를 포함하지 않으면서도 구강 내 향균 효과를 높이고, 보존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알코올류 사용에 따른 구강 내 건조에 의한 질환 유발 등의 문제가 없는 무알코올 구강 청결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충치와 치주질환은 구강 내의 미생물에 의하여 발생한다. 이중 충치는 어린이부터 성인까지 치과 질환의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발생빈도가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같이 치과 질환을 일으키는 주요한 원인은 구강 내의 미생물에 의해 형성된 치면 세균막 즉, 치태(齒苔, dental plaque)에 의하여 유발된다. 구강 내에 세균의 발육에 필요한 영양분과 수분이 음식물과 타액 등에 의하여 공급되면 미생물이 생육하기에 적합한 환경이 조성된다. 구강세균 중 치아 우식증, 즉, 충치의 주요 원인균으로서 치태를 형성하는 대표적인 미생물로는 혐기성의 그람 양성 구균인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 S. mutans)가 대표적이다.
S. mutans는 구강 내에서 섭취한 음식물 중의 탄수화물, 특히 설탕, 포도당, 과당 등의 당류를 대사하고 부산물로서 주로 젖산을 생산함으로써 치아의 법랑질을 부식시킨다. 또한, S. mutans는 설탕을 이용하여 세포외 다당류인 점착성의 수불용성 글루칸(glucan) 형성에 관여한다. 즉, S. mutans는 균체 표층에 글루코실트랜스퍼라아제(glucosyltransferase, GTase)라는 효소를 분비하여 음식물 내 설탕을 기질로 하여 포도당의 중합체인 수불용성 글루칸을 치면에 형성하게 된다. 이 글루칸에 구강 내 다른 미생물들이 부착함으로써 치태를 형성하게 된다.
이 치태 내에서 S. mutans를 포함한 젖산균이 증식하여 당류로부터 젖산을 생산하면 수불용성 글루칸에 젖산이 농축되고 농축된 고농도의 젖산은 치아의 구성성분인 인산칼슘과 반응하여 치아의 외막인 법랑질(enamel)을 용해시킴으로서 충치를 유발하게 된다.
또한 치태는 점차 석회화되어 치아의 표면에 치석(dental calculus)을 형성하게 되며, 치태와 치석 중의 세균과 그 대사산물은 치주조직의 염증반응을 유발하여 치주질환을 일으키기도 한다. 치주질환은 치아지지 조직의 염증상태를 말하며, 치은염과 치주염으로 구분할 수 있다. 치태를 방치하면, 염증과 함께 잇몸 출혈이나 구취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치은염이라 하며, 치은염이 더 진행되면 치아와 잇몸사이에 치주낭이 생기고, 여기에 병원성 세균들이 번식하여 치주염을 일으킨다.
그리고 구취(입 냄새)는 구강 내의 음식물 잔사 등이 미생물에 의하여 분해됨으로써 휘발성 물질을 생산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구취를 유발하는 주성분으로는 휘발성 황화물인 황화수소(hydrogen sulfide), 메틸머캅탄(methyl mercaptan), 디메틸 머캅탄(dimethyl mercaptan) 등이 있으며, 이외에 트리에틸아민(trimethylamine) 등의 휘발성 아민 화합물, 알데히드, 지방산, 암모니아 등이 있다.
충치 및 치주질환을 예방하고 구취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하여는 물리적으로 이를 닦아 치태와 음식물 잔사를 제거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치태나 음식물 잔사가 칫솔질만으로는 완전한 제거가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구강환경관리를 철저하게 하여 치태가 치면에 형성되는 것을 예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에 구강환경관리와 함께 치태 중에 존재하는 S. mutans와 같은 미생물을 억제하기 위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져 왔다. 예를 들면, 항균물질인 불화나트륨(NaF), 트리클로산(triclosan), 클로르헥시딘(chlorhexidine)이나 항생물질인 반코마이신(vancomycin), 클로르헥시딘(chlorhexidine), 스피라마이신(spiramycin) 등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들 물질들은 S. mutans와 같은 미생물의 생육을 억제하는 데에는 효과가 있으나, 구토나 설사의 유발, 내성균의 출현 등의 문제점이 있어 일부는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따라서, 보다 효과적이고 부작용이 적은 치태억제제를 개발하기 위하여 생약재를 이용한 구강 위생용품이 개발되어 왔다.
한편, 최근 참기름이나 올리브유 등의 식용유를 사용하여 실시하는 가글링, 즉, 오일 풀링이 치아, 치주 및 양악의 건강 강화와 충치, 구취, 치주 출혈 및 인후 건조증의 예방에 효과가 있다고 하여 세간의 관한 관심이 다시 높아지고 있으며, 이에 관한 연구결과도 보고되고 있다. 오일 풀링은 고대 인도의 아유르베다의 의학서인 차라카 삼히타에 기술되어 있는 구강 건강 방법으로서 참기름을 사용하는 구강 가글링 방법이 소개되어 있으며(S. Asokan. 2008. Oil pulling therapy. Indian J. Dental Res. 19, 169), 아미쓰 등은 해바라기유로 오일 풀링을 하였을 때 치태와 치은 지수가 감소하여 구강건강에 효과가 있다고 하였고(HV Amith et al. 2007. Effect of Oil Pulling on Plaque and Gingivitis. J. Oral Health Comm. Dent. 1. 12), 두라이 아나드 등은 오일 풀링에 의하여 구강 내 충치균의 수가 다소 감소하였고, 40일간 실시하였을 때 충치에 대한 감수성이 저하되었으며, 충치균이 참기름에 중등도의 감수성이 있음을 보고하였다(T. Durai Anand et al. 2008. Effect of oil-pulling on dental caries causing bacteria. J. Microbiol. Res. 2, 63). 그리고 아소칸 등은 참기름으로 오일 풀링하였을 때 치태와 타액 중의 S. mutans 균이 감소하였고, 치태지수와 치은지수 그리고 치태 유발 치은염 환자의 치태 중의 호기성 미생물의 수가 감소하였다고 하였다(S. Asokan et al. 2008. Effect of oil pulling on Streptococcus mutans count in plaque and saliva using Dentocult SM Strip mutans test: A randomized, controlled, triple-blind study. J. Indian Soc. Pedodontics Prevnt. Dentist. 26, 12; S. Asokan et al. 2009. Effect of oil pulling on plaque induced gingivitis: A randomized, controlled, triple-blind study. Indian J. Dental Res. 20, 47).
관련하여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가글 즉, 구강청결제 또는 구강청결용 조성물의 경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 때문에 그 시장이 급속하게 성장하면서 보다 많은 사람들이 구강 위생용품으로 구강청결제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시중에 유통되는 대부분의 가글은 알코올을 베이스로 하여 제조된 것으로 알코올에 의한 세정효과를 과제해결원리로 하는 것이다. 특히 근래에는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가글이 개발된 예가 있으나 이 역시 구강 내 세정효과는 알코올류에 의한 세정효과에 의한 것이라는 한계를 가진다.
상술한 알코올류가 구강청결체에 포함되는 경우 일시적으로 구강 내 세균 등을 제거하거나 억제하는데 효과가 우수한 것은 사실이지만, 구강 내 유해균 뿐만 아니라 유익균까지 사멸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알코올류에 의한 세정의 경우 입안에서 가글링(Gargling)을 하는 정도의 물리력만으로는 구강 내 미세부분까지 효과적으로 세정효과를 낼 수 없다는 점과 가글링에 의한 알코올에 의한 세정효과가 닿지 않는 부분에 협기성 유해균이 상당히 많이 존재하므로 가글 후에 미세부분에 잔존하는 혐기성 유해균에 의해 충치 또는 구치 등 구강질환이 보다 활발하게 발생하게 된다는 문제를 가진다.
나아가 알코올이 포함된 구강청결용 조성물을 사용하면 가글 후 구강 내부가 알코올에 의해 건조해지기 때문에 치주 질환 등이 보다 활발하게 발생할 수 있어 구강청결 효과가 오히려 나빠진다는 문제를 가진다.
따라서 알코올류를 포함하지 않으면서도 알코올류를 포함한 구강청결용 조성물과 동등 또는 이 이상의 구강 세정효과를 낼 수 있고, 보존성의 문제가 없는 구강청결용 조성물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관련하여 종래기술을 보면, 구강청결 내지는 구강세정 등의 효과를 목적으로 하는 천연조성물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있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알코올류를 포함하는 구강청결제 사용에 따른 문제점에 대한 인식이 없다. 따라서 알코올류를 전혀 포함하지 않는 구강청결제에 대한 개발 역시 상당히 미흡한 실정이다. 즉 종래의 기술의 경우 알코올류를 사용하는 일반적인 구강청결용 조성물에 추가적으로 천연 추출물을 더 포함하도록 하여 특정한 활성을 높이도록 한 것에 불과하는 한계를 가진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천연 추출물의 경우 세정효과의 대부분을 알코올류에 의존하는 것이어서 알코올류를 전혀 포함하지 않고, 천연추출물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알코올류와 같이 구강 내에서 뛰어난 세정효과를 낼 수 없다는 한계를 가진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알코올류를 포함하지 않는 구강청결제를 개발하기 위해 종래의 알코올류에 첨가되던 천연 추출물의 한계를 인식하고 무알코올을 베이스로 하여 구강 내에서 향균 및 항염 활성을 충분해 낼 수 있도록 하는 천연추출물의 구성을 연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KR 10-1157088 B1 KR 10-0537834 B1
본 발명의 목적은 민들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면서 충분한 향균 및 항염 활성을 낼 수 있도록 하는 민들레 추출물을 포함하는 무알코올 구강청결용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알코올류를 전혀 포함하지 않는 민들레 추출물을 포함하는 무알코올 구강청결용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서 알코올류 사용에 따라 오히려 구강질환이 악화되는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민들레 추출물을 포함하는 무알코올 구강청결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알코올 구강청결용 조성물은 정제수 및 민들레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무알코올 구강청결용 조성물은 가지 추출물 및 우엉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무알코올 구강청결용 조성물은 개오동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무알코올 구강청결용 조성물은 털머위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무알코올 구강청결용 조성물은 개구리자리 추출물 및 개구리밥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무알코올 구강청결용 조성물은 패랭이꽃 추출물, 술패랭이꽃 추출물 및 수선화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무알코올 구강청결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민들레 및 정제수를 혼합 추출하여 민들레 추출물을 제조하는 민들레 추출물 제조단계; 상기 민들레 추출물에 가지 추출물 및 우엉 추출물을 혼합하여 제1 혼합 추출물을 제조하는 천연 추출물 혼합단계; 상기 제1 혼합 추출물에 pH 조절제 및 증점제를 혼합하는 물성조정단계; 상기 물성조정단계 이후에 상기 제1 혼합 추출물에 패랭이꽃 추출물, 술패랭이꽃 추출물 및 수선화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하나를 혼합하여 제2 혼합 추출물을 제조하는 조향단계 및 상기 제2 혼합 추출물을 정제수로 희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무알코올 구강청결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천연 추출물 혼합단계는 개구리자리 추출물 및 개구리밥 추출물을 더 혼합하여 제1 혼합 추출물을 제조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무알코올 구강청결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천연 추출물 혼합단계는 개오동 추출물 및 털머위 추출물을 더 혼합하여 제1 혼합 추출물을 제조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무알코올 구강청결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천연 추출물 혼합단계 이후 상기 조향단계 이전에 상기 제1 혼합 추출물을 1 내지 24 시간 방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알코올 구강청결용 조성물은 정제수 및 민들레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구강청결용 조성물은 가글링을 통하여 구강 내 향균 내지는 구취 제거 등을 위해 사용하는 세척액을 의미하며,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가글은 구강청결용 조성물을 함유한 구강청결제를 말한다.
상기 구강 청결제는 구강 내 세정 또는 세척 등을 위해 가글링 하여 사용하는 제품을 말한다.
상기 민들레(Taraxacum platycarpum Dahlst.)는 국화과 및 민들레 속에 속하는 쌍떡잎식물을 말하는데, 잎은 날개깃처럼 갈라졌으며 이른봄에 뿌리에서 모여 나와 땅 위를 따라 옆으로 퍼진다. 노란색의 꽃이 4 내지 5월에 핀다. 열매는 납작한 수과로 흰색 갓털이 있어 바람이 불면 쉽게 날려 간다. 한편 양지바른 곳에서 흔히 자라고 뿌리가 깊어 짓밟혀도 잘 죽지 않는다. 줄기가 부러지면 젖빛 즙이 나오는데 매우 쓰기 때문에 가축들이 잘 먹지 않는다.
상기 민들레 추출물을 사용하는 경우 구강 내 세정효과 및 향균효과로 유해균을 제거하는 능력이 우수하다. 특히 후술하는 다른 천연추출물과 혼합하여 사용되는 경우 구강 내 충분한 향균력 및 보존력을 갖출 수 있으므로 알코올을 포함하지 않는 구강청결제에 있어 알코올과 동등 또는 그 이상의 구취제거 및 충치 예방 등의 효과를 낼 수 있다. 나아가 상술한 바와 같이 알코올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알코올 사용에 따른 유익균 사멸 및 구강 내 혐기군 증가에 의한 구강 건강 악화의 문제, 나아가 구강 건조에 의한 구취 및 충치 유발 증가에 따른 문제를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무알코올 구강청결용 조성물은 가지 추출물 및 우엉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민들레 추출물에 상기 가지 추출물 및 우엉 추출물이 더 포함되는 경우 구강 내 향균 효과가 증진되는 효과를 낼 수 있다. 특히 각 추출물의 상호 작용으로 단순 혼합 이상으로 향균 활성이 증진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따라서 이러한 혼합 추출물에 의하는 경우 보다 적은 함량으로 구강 내 향균 활성도를 높일 수 있어 부작용 없이 구강청결조성물로 다양한 제형을 제공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무알코올 구강청결용 조성물은 민들레 추출물을 포함하고, 상기 민들레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가지 추출물 30 내지 80 중량부 및 우엉 추출물 30 내지 8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 의하는 경우 각 추출물의 상호 작용에 의한 구강 내 유해 균 및 구취제거의 향균 활성 및 세정효과가 증가하는 효과를 낼 수 있다.
상기 무알코올 구강청결용 조성물은 개오동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개오동(Catalpa ovata G.Don)은 능소화과에 속하는 큰키나무이다. 중국이 원산지이다. 우리나라에는 오래전부터 정원이나 마당에 심어 길러왔는데, 오동나무는 아니지만 오동나무와 비슷하다고 하여 개오동이란 이름이 붙었다. 잎이나 꽃의 생김, 냄새가 오동나무와 비슷하고 목재도 오동나무처럼 윤이 난다. 한편 열매가 노끈처럼 길게 자라며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수목이 아니어서 공원이나 정원, 주택 마당에 심어 기른다. 추위에 잘 견디고 각종 공해에도 강하며, 해풍에도 잘 이겨내기 때문에 전국 어디에서나 식재가 가능하다. 한편, 토심이 깊고 비옥한 토양에서 생장이 양호하며, 습기가 많은 곳에서 더 잘 자란다. 꽃은 6 또는 7월에 황백색의 양성화가 원추꽃차례로 모여 달린다. 열매는 9 또는 10월에 선형으로 길게 자라 아래로 처진다. 잘 자란 나무는 높이가 15m에 이른다.
상기 개오동 추출물을 포함하는 경우 구강 내 향균 활성이 크게 높아질 수 있어 구강청결제의 보다 높은 향균활성을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개오동 추출물은 상기 민들레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3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 의하는 경우 각 추출물의 상호 작용에 의한 상승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상기 무알코올 구강청결용 조성물은 털머위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털머위(Farfugium japonicum (L.) Kitam.)는 바닷가 근처에서 자란다. 높이 35∼75cm이다. 뿌리줄기는 굵고 끝에서 잎자루가 긴 잎이 무더기로 나와서 비스듬히 선다. 잎은 머위같이 생기고 두꺼우며 신장 모양으로서 길이 4 내지 15cm, 나비 6 내지 30cm이고 윤기가 있다. 가장자리에 이 모양의 톱니가 있거나 밋밋하며, 뒷면에 잿빛을 띤 흰색 털이 난다. 잎자루는 길이 10 내지 38cm이다. 꽃은 9 또는 10월에 노란색으로 피는데, 지름 5cm 정도로서 산방꽃차례로 달린다. 설상화는 암꽃이고 관상화는 양성화이며 모두 열매를 맺는다. 총포조각은 1줄로 늘어선다. 열매는 수과(瘦果)로서 털이 빽빽이 나고 갈색의 관모가 있다. 이는 관상용으로 뜰에 심기도 하고 어린 잎자루를 식용한다.
상기 털머위 추출물을 포함하는 경우 구강 내 향균 활성이 크게 높아질 수 있어 구강청결제의 보다 높은 향균활성을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털머위 추출물은 상기 민들레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3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 의하는 경우 각 추출물의 상호 작용에 의한 상승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상기 무알코올 구강청결용 조성물은 개구리자리 추출물 및 개구리밥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개구리자리(Ranunculus sceleratus L.)는 개구리자리는 우리나라 중부 이남의 논이나 개울에서 자라는 월년초이다. 생육환경은 물기가 많고 햇볕이 잘 들어오는 곳에서 자란다. 키는 50㎝이고, 잎은 긴 잎자루가 있고 잎 몸은 길이가 1 내지 4㎝로 3갈래로 갈라지며 옆으로 갈라진 2개의 잎은 끝에 둔한 톱니가 있다. 줄기는 털이 없고 매끈하며 광택이 나고 속은 비어 있다. 꽃은 원줄기나 가지 끝에 황색으로 한 송이씩 달리고 지름은 0.6 내지 0.8㎝이다. 열매는 7 또는 8월경에 달리며 길이 0.1㎝ 정도의 작은 종자가 많이 들어 있다. 어린잎과 줄기는 식용으로 쓰인다.
개구리밥(Spirodela polyrhiza (L.) Sch.)은 논이나 연못의 물위에 떠서 산다. 가을에 모체에서 생긴 타원형의 작은 겨울눈이 물속에 가라앉아서 겨울을 나고 이듬해 봄에 물위로 나와 번식한다. 엽상체는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으로 길이 5 내지 8mm, 나비 4 내지 6mm이고 앞면은 녹색이나 뒷면은 자주색이다. 엽상체 뒷면 가운데에서 가는 뿌리가 5 내지 11개 나오고 그 옆에서 새로운 싹이 생겨 번식한다. 꽃은 흰색이며 7 또는 8월에 간혹 피는 것이 있으나 매우 작아서 찾아보기 어렵다. 1개의 포 안에 2개의 수꽃과 1개의 암꽃이 생기며, 수꽃의 수술은 1개, 암꽃의 암술도 1개이며 화피가 없다. 열매는 포과로 10월에 익는다. 한편, 관상용으로 연못에 키우기도 한다. 한방에서는 풀 전체를 소변불리, 수종, 단독, 가려움증, 두드러기, 암종 등에 처방한다. 민간에서는 이질로 탈항이 되었을 때 가루로 빻아 상처에 뿌린다. 아시아, 유럽, 아프리카, 오스트레일리아 및 남북아메리카의 온대에서 열대에 걸쳐 분포한다.
상기 개구리자리 및 개구리밥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경우 구강내 향균 활성이 높아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성물의 보존력이 향상되어 별도의 방부제를 사용하지 않고 오랜 기간 동안 보존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특히 구강 청결제가 가글링 후 뱉어내는 과정에서 구강 내에 잔류하는 미량의 조성물이 남는 점을 고려할 때 구강청결제 자체의 보존력은 매우 중요한 사항이 되며, 합성 보존제 또는 방부제를 사용하지 않고 보존력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구강청결용 조성물의 경우 알코올류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므로 수분산에 의한 일반 구강청결조성물은 그 보존기간이 상당히 짧다는 문제를 개선하는데 상당한 의의를 가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무알코올 구강청결용 조성물은 민들레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개구리자리 추출물 10 내지 30 중량부 및 개구리밥 추출물 10 내지 3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개구리자리 추출물 및 개구리밥 추출물이 각각 10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보존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미미하며, 각각 3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전체적으로 향미가 크게 저하되어 기호성이 매우 낮아질 뿐만 아니라 상호 작용에 의한 향균 활성의 증진효과가 낮아지는다는 문제를 가진다.
상기 무알코올 구강청결용 조성물은 패랭이꽃 추출물, 술패랭이꽃 추출물 및 수선화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패랭이꽃(Dianthus chinensis L.)은 낮은 지대의 건조한 곳이나 냇가 모래땅에서 자란다. 줄기는 빽빽이 모여나며 높이 30cm 내외로서 위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잎은 마주나고 밑부분에서 합쳐져서 원줄기를 둘러싸며 줄모양으로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은 양성화로 6 내지 8월에 피고 가지 끝에 1개씩 달리며 붉은색이다.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고 밑은 원통형이다. 꽃잎은 5개이며 밑부분이 가늘어지고 현부는 옆으로 퍼지며 끝이 얕게 갈라지고 짙은 무늬가 있다. 수술은 10개, 암술대는 2개이다. 열매는 삭과로서 꽃받침으로 싸여 있고 끝에서 4개로 갈라지며 9 또는 10월에 익는다. 밑에 4 내지 6개의 포가 있다. 꽃과 열매가 달린 전체를 그늘에 말려 약재로 쓰며, 한국 또는 중국에 분포한다.
술패랭이꽃(Dianthus longicalyx Miq.)은 중부 이북의 고산에서 자생하는 다년생 초본이다. 생육환경은 습기가 많지 않은 곳과 서늘하며 반그늘에서 잘 자란다. 키는 30 내지 60㎝이고, 잎은 길이가 4 내지 10㎝, 폭은 0.2 내지 1㎝로 뾰족하며 끝이 좁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은 연한 홍색으로 가지와 원줄기 끝에 꽃줄기가 길게 올라와 달리고 아래로 계속 내려오며 달린다. 꽃잎 끝은 5갈래로 깊게 갈라지며 꽃잎 안쪽은 가는 털이 나있다. 열매는 9 또는 10월경에 원주형으로 달리고 끝은 4개로 갈라지고 안에는 편평하고 검은 종자가 많이 들어 있다. 꽃이 활짝 개화할 때 바람부는 방향에 있으면 은은한 향이 전해 온다. 관상용으로 쓰이며, 꽃을 포함한 잎 또는 줄기의 모든 부분이 약용으로 쓰인다
수선화(Narcissus tazetta var. chinensis Roem.)는 지중해 연안 원산이다. 비늘줄기는 넓은 달걀 모양이며 껍질은 검은색이다. 잎은 늦가을에 자라기 시작하고 줄 모양이며 길이 20 내지 40cm, 너비 8 내지 15mm로서 끝이 둔하고 녹색빛을 띤 흰색이다. 꽃은 12 내지 3월에 피며 통부(筒部)는 길이 18 내지 20mm, 꽃자루는 높이 20 내지 40cm이다. 포는 막질이며 꽃봉오리를 감싸고 꽃자루 끝에 5∼6개의 꽃이 옆을 향하여 핀다. 화피갈래조각은 6개이고 흰색이며, 부화관은 높이 4mm 정도로서 노란색이다. 6개의 수술은 부화관 밑에 달리고, 암술은 열매를 맺지 못하며 비늘줄기로 번식한다. 수선이란 중국명이며 하늘에 있는 것을 천선(天仙), 땅에 있는 것을 지선(地仙), 그리고 물에 있는 것을 수선이라고 하였다. 한편, 수선화의 속명인 나르키수스(Narcissus)는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나르시스(나르키소스)라는 청년의 이름에서 유래한다.
패랭이꽃 추출물, 술패랭이꽃 추출물 및 수선화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경우 상기 무알코올 구강청결용 조성물의 향균 활성이 높아질 뿐만 아니라, 상기 무알코올 구강청결용 조성물의 향미가 우수하여 별도의 합성 조향물을 첨가하지 않아도 구강 내에서 사용하는데 거부감이 없다는 장점을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패랭이꽃 추출물, 술패랭이꽃 추출물 및 수선화 추출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경우 전제적으로 향미가 우수하여 기호성 높은 무알코올 구강청결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무알코올 구강청결용 조성물은 민들레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패랭이 꽃 추출물 5 내지 10 중량부, 술래팽이꽃 5 내지 10 중량부 및 수선화 추출물 1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 의하는 경우 각 추출물의 상호 작용으로 구강 내 향균 활성이 높아질 뿐만 아니라, 개구리자리 추출물 및 개구리밥 추출물의 사용에 따라 저하된 향미를 개선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범위에 의하는 경우 별도의 합성 향을 첨가하지 않아도 사용자가 거부감 없이 가글링을 할 수 있을 정도로 높은 기호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범위의 무알코올 구강청결용 조성물을 사용하는 경우 알코올이 포함되지 않으면서도 알코올 동등한 정도의 향균 활성 및 보존력을 유지할 수 있고, 합성 향을 첨가하지 않으면서도 기호성 높은 향미를 가지고 있고 사용자가 편리하게 가글링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추출물'은 상술한 바와 같이 당업계에서 조추출물(crude extract)로 통용되는 의미를 갖지만, 광의적으로는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분획(fractionation)한 분획물도 포함한다. 즉, 식물 추출물은 상술한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얻은 것뿐만 아니라, 여기에 정제과정을 추가적으로 적용하여 얻은 것도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추출물을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통과시켜 얻은 분획,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도 본 발명의 식물 추출물에 포함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추출물은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무알코올 구강청결용 조성물은 증점제 및 pH 조절제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증점제 및 pH 조절제는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사용할 수 있는 증점제 및 pH 조절제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알코올 구강청결용 조성물은 점도가 1.2 내지 3.8 cps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알코올 구강 청결용 조성물은 알코올을 포함하지 않으므로 구강 내에 오래 잔류하여도 구강 내 건조 등의 문제를 발생시키지 않으며 오히려 향균성이 보다 오래 지속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무알코올 구강청결용 조성물의 점도가 상기 범위에 따르는 경우 가글 후 구강 내 잔류하는 량이 증가하며, 구강 내 침에 의해 점도가 낮아지면서 구강 내 미세기관 등에 향균력이 미칠 수 있고, 향균 활성이 오래 지속된다는 장점을 가진다.
상기 점도가 1.2 cps 미만인 경우 점도 증가에 따른 상술한 효과를 낼 수 없으며, 점도가 3.8 cps를 초과하는 경우 점도가 너무 높아 초가 가글링 자체가 잘 이루어지지 않아 세정 및 세척 효과가 크게 저하되는 문제를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무알코올 구강청결용 조성물은 pH가 7 내지 8.8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 의하는 경우 가글 사용에 따른 구강 내 산성화 및 산도에 의한 치아 또는 치아표면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어 이에 따른 구강 질환을 예방하는 효과를 낼 수 있다.
특히 상기 점도 범위에 의하는 경우 가글 후 구강 건조에 의해 pH가 낮아지면서 구강 내 산도 증가로 치아표면 부식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알코올성 구강청결제와 달리 일정한 점도에 의해 상기 무알코올 구강청결용 조성물이 구강 내 잔류하면서 상당 기간 동안 pH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구강 내 산도 증가에 따른 구강질환을 예방하는 효과가 확실히 탁월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무알코올 구강청결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민들레 및 정제수를 혼합 추출하여 민들레 추출물을 제조하는 민들레 추출물 제조단계; 상기 민들레 추출물에 가지 추출물 및 우엉 추출물을 혼합하여 제1 혼합 추출물을 제조하는 천연 추출물 혼합단계; 상기 제1 혼합 추출물에 pH 조절제 및 증점제를 혼합하는 물성조정단계; 상기 물성조정단계 이후에 상기 제1 혼합 추출물에 패랭이꽃 추출물, 술패랭이꽃 추출물 및 수선화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하나를 혼합하여 제2 혼합 추출물을 제조하는 조향단계 및 상기 제2 혼합 추출물을 정제수로 희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무알코올 구강청결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천연 추출물 혼합단계는 개구리자리 추출물 및 개구리밥 추출물을 더 혼합하여 제1 혼합 추출물을 제조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무알코올 구강청결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천연 추출물 혼합단계는 개오동 추출물 및 털머위 추출물을 더 혼합하여 제1 혼합 추출물을 제조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무알코올 구강청결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천연 추출물 혼합단계 이후 상기 조향단계 이전에 상기 제1 혼합 추출물을 1 내지 24 시간 방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방치단계에 의하는 경우 각 천연 추출물의 혼합에 따른 향균활성이 증진되고, 이후 조향단계에 따라 향균 활성 증진 및 향미가 높아지는 효과를 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민들레 추출물을 포함하는 무알코올 구강청결용 조성물은 민들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면서 충분한 향균 및 항염 활성을 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민들레 추출물을 포함하는 무알코올 구강청결용 조성물은 알코올류를 전혀 포함하지 않으면서도 충분한 향균 및 항염 효과를 낼 수 있도록 함으로서 알코올류 사용에 따라 오히려 구강질환이 악화되는 문제를 개선할 수 있는 가글 즉, 구강청결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알코올 구강청결용 조성물을 알코올성 가글과 달리 구강 내에 일정기간 동안 잔류하면서 구강 내 pH를 유지하고 향균활성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관련 구강질환을 보다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민들레 추출물을 포함하는 무알코올 구강청결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알코올 구강청결용 조성물에 대한 치태억제 및 제거효과 실험에 관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알코올 구강청결용 조성물에 대한 구강 세정 효과 및 구취 제거 효과 실험에 관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알코올 구강청결용 조성물에 대한 향미 및 구강내 자극 정도에 따른 기호성 평가 실험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조예: 식물 추출물의 제조]
1. 민들레 추출물의 제조
건조된 민들레에 20배 부피비의 4시간 동안 100℃에서 열수 추출하여 추출액을 제조한 뒤 상기 추출액을 여과지로 여과하고 감압하여 건조하여 민들레 추출물(E1)을 제조하였다.
2. 기타 식물 추출물의 제조
상기 민들레 추출물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 건조된 가지(Solanum melongena L.), 건조된 우엉(Arctium lappa L.), 건조된 개오동(Catalpa ovata G.Don), 건조된 털머위(Farfugium japonicum (L.) Kitam.), 건조된 개구리자리(Ranunculus sceleratus L.), 건조된 개구리밥(Spirodela polyrhiza (L.) Sch.), 건조된 패랭이꽃(Dianthus chinensis L.), 건조된 술패랭이꽃(Dianthus longicalyx Miq.) 및 건조된 수선화(Narcissus tazetta var. chinensis Roem.)를 사용하여 각각 가지 추출물(E2), 우엉 추출물(E3), 개오동 추출물(E4), 털머위 추출물(E5), 개구리자리 추출물(E6), 개구리밥 추출물(E7), 패랭이꽃 추출물(E8), 술패랭이꽃 추출물(E9) 및 수선화 추출물(E10)을 제조하였다.
3. 무알콜 가글 추출물의 제조
하기의 표 1과 같은 조성으로 상기 식물 추출물을 혼합하고, 정제수를 사용하여 하기의 표 1과 같이 혼합된 식물 추출물이 5중량%로 포함되도록 하여 무알콜 가글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한편, 구체적인 제조방법은 본 발명의 무알코올 구강세척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따랐으며, 상기 가글 추출물은 pH를 8.1로 조절하였으며, 점도가 1.8 내지 2.6cps가 되도록 조절하였다.
E1 E2 E3 E4 E5 E6 E7 E8 E9 E10
실시예 1 100 - - - - - - - - -
실시예 2 100 10 10 - - - - - - -
실시예 3 100 30 30 - - - - - - -
실시예 4 100 80 80 - - - - - - -
실시예 5 100 100 100 - - - - - - -
실시예 6 100 30 30 1 1 - - - - -
실시예 7 100 30 30 3 3 - - - - -
실시예 8 100 30 30 10 10 - - - - -
실시예 9 100 30 30 20 20 - - - - -
실시예 10 100 30 30 3 3 5 5 - - -
실시예 11 100 30 30 3 3 10 10 - - -
실시예 12 100 30 30 3 3 30 30 - - -
실시예 13 100 30 30 3 3 50 50 - - -
실시예 14 100 30 30 3 3 10 10 1 1 0.5
실시예 15 100 30 30 3 3 10 10 5 5 1
실시예 16 100 30 30 3 3 10 10 10 10 5
실시예 17 100 30 30 3 3 10 10 15 15 10
(단위: 중량부)
[실험예 1: 치태형성 억제 및 치태제거 효과 시험]
위 제조예에 따라 제조된 실시예 1 내지 17을 사용하여 비교적 치아 관리가 잘되고 있는 20대 학생을 피시험자로 선별하여 각 실시예별로 4인의 피실험자가 상기 실시예를 사용하여 식사 후 가글링을 하도록 하였다. 상기 피시험자는 실험 동안 동일한 식품을 섭취하였으며, 양치질은 물론 별도의 물양치(물만으로 가글링)도 하지 않았다.
1. 치태형성 억제 효과
대조군은 조식을 마치고 양치한지 3시간 후에 가글링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 치태염색액(disclosing solution)으로 일차 염색하여 염색정도를 관찰하였다. 각 실시예에 따른 실험군은 중식을 마치고 양치한 다음 30분 간격으로 1분씩 6회 가글링을 한 후 대조군의 염색정도와 비교평가 하였다.
치아염색은 치태 염색액(disclosing solution) 원액을 솜에 묻혀서 치아를 염색한 후 몇 번 물로 세척하고 볼쪽 면(치아 바깥쪽 면)과 혀쪽면(치아 안쪽 면)의 모든 치아의 염색정도를 관찰하였다. 평가기준으로 염색상태를 유관으로 평가하여 대조군(지수 10)을 기준으로 1 내지 10의 지수로 평가하였다.
2. 치태제거 효과
대조군은 아침에 기상하자 마자 식음료를 섭취하지 않은 상태에서 바로 일차 염색을 하여 치태를 관찰하였고, 각 실시예 시험군은 30분 간격으로 1분씩 6회 가글한 다음 치태를 관찰하여 대조군의 염색정도와 비교평가 하였다.
치아염색은 치태 염색액(disclosing solution) 원액을 솜에 묻혀서 치아를 염색한 후 몇 번 물로 세척하고 볼쪽 면(치아 바깥쪽 면)과 혀쪽면(치아 안쪽 면)의 모든 치아의 염색정도를 관찰하였다. 평가기준으로 염색상태를 유관으로 평가하여 대조군(지수 10)을 기준으로 1 내지 10의 지수로 평가하였다.
상기 치태형성 억제 및 치태제거 효과 시험에 따를 결과를 하기의 표 2 및 도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실시예7
실시예8
실시예9
실시예10
실시예11
실시예12
실시예13
실시예14
실시예15
실시예16
실시예17
비교예
치태형성억제
7
5
4
4
6
5
3
2
4
4
1
1
3
3
1
2
3
10
치태제거효과
8
6
4
4
6
5
2
2
5
5
2
2
3
4
2
2
5
10
(단위: 지수)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라 치태형성 억제 및 치태 제거에 효과가 나타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특히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11, 실시예 12, 실시예 15 및 실시예16에 의하는 경우 그 효과가 상당히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실시예 11, 실시예 12, 실시예 15 및 실시예16의 경우 알코올성 가글을 사용한 경우 보다 치태 제거효과가 우수하거나 적어도 그와 비슷한 정도의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2: 구취 제거 및 향균 효과 실험]
위 제조예에 따라 제조된 실시예 1 내지 17을 각 피시험자들이 일주일 간 사용하도록 한 뒤 치아표면에 형성된 세균막 및 구취 정도를 비교예(지수 10)와 비교하여 1 내지 20의 지수로 평가하여 하기의 표 3 및 도 2에 나타내었다. 상기 지수는 그 숫자가 낮을수록 효과가 우수한 것이다. 비교예로서 알코올성 가글을 사용하도록 하였다.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실시예7 실시예8 실시예9 실시예10 실시예11 실시예12 실시예13 실시예14 실시예15 실시예16 실시예17 비교예
세균막 13 12 11 10 11 12 8 8 10 9 7 7 10 9 7 7 8 10
구취 14 8 8 12 9 9 8 7 11 8 7 8 9 9 6 6 9 10
(단위: 지수)
상기 표 3 및 하기의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경우 알코올성 가글과 유사한 정도의 구취 제거 및 구강 내 향균 활성을 가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11, 실시예 12, 실시예 15 내지 16의 경우 혼합범위에 따른 상승효과가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해당 실시예의 경우 알코올성 가글에 비하여 우수한 구취제거 및 구강 내 향균 활성을 나타낸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경우 알코올을 포함하지 않아 구강 내 건조 에 의한 구강의 산성화 및 혐기성 세균의 증식에 따른 문제가 없다는 점을 감안할 때 알코올성 가글의 사용에 따른 문제를 개선하면서 보다 효과가 우수한 무알코올 구강청결제를 제공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향미 평가]
상기 실험예 2를 진행하면서 각 피시험자에게 실시예 1 내지 17의 사용에 따른 기호성을 평가하도록 하였고, 가글하는 과정에서 구강 내 향기와 구강 자극 정도를 지수로 평가하도록 하여 그 선호도를 지수로 평가하게 하였다. 기호도에 대한 지수는 1 내지 10로 구성하였으며, 향미가 우수하고 구강자극이 적어 선호도가 높을수록 높은 지수로 평가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의 표 4 및 도 3에 나타내도록 하였다.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실시예7 실시예8 실시예9 실시예10 실시예11 실시예12 실시예13 실시예14 실시예15 실시예16 실시예17
기호도 5 6 7 7 7 6 7 8 8 9 10 10 10 8 5 4 8
(단위: 지수)
상기 표 4 및 도 3을 참조하면 민들레 추출물을 사용하는 실시예 1의 경우 기호성이 상당히 우수하였지만, 복합추출물로 사용되는 경우 전체적인 향미가 좋지 않아 구강에 잔류하는 향에 선호도가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실시예 10 내지 실시예 13을 참조하면 개구리자리 추추출 및 개구리밥 추출물이 혼합되는 경우 혼합되는 범위에 불문하고 향미가 크게 저하되어 기호도가 상당히 나빠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만, 실시예 15 및 16을 참조하면, 패랭이꽃 추출물, 술패랭이꽃 추출물 및 수선화 추출물이 일정한 범위로 혼합되는 경우 전체적인 향미를 크게 개선하는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 15 및 16과 같은 조성에 의하는 경우 구강 내 치태를 억제 또는 제거하면서도 구취와 충치 유발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내면서 합성 향료의 첨가 없이 보다 기호성 높은 무알코올성 구강청결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근래에 그 사용에 편리함으로 사용량 및 사용자가 급증하고 있는 구강청결제의 경우 시장에 유통 중이 제품이 알코올성 가글류이기 때문에 장기간 사용하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구강 건강 및 위생을 오히려 저해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무알코올 구강청결용 조성물을 사용하는 경우 이러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그 간편함은 최대한 유지하면서 장기간 사용에도 알코올성 가글과 같은 문제가 생기지 않는다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0)

  1. 정제수 및
    민들레 추출물을 포함하는
    무알코올 구강청결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가지 추출물 및 우엉 추출물
    을 더 포함하는 것인
    무알코올 구강청결용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개오동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것인
    무알코올 구강청결용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털머위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것인
    무알코올 구강청결용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개구리자리 추출물 및 개구리밥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것인
    무알코올 구강청결용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패랭이꽃 추출물, 술패랭이꽃 추출물 및 수선화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인
    무알코올 구강청결용 조성물.
  7. 민들레 및 정제수를 혼합 추출하여 민들레 추출물을 제조하는 민들레 추출물 제조단계;
    상기 민들레 추출물에 가지 추출물 및 우엉 추출물을 혼합하여 제1 혼합 추출물을 제조하는 천연 추출물 혼합단계;
    상기 제1 혼합 추출물에 pH 조절제 및 증점제를 혼합하는 물성조정단계;
    상기 물성조정단계 이후에 상기 제1 혼합 추출물에 패랭이꽃 추출물, 술패랭이꽃 추출물 및 수선화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하나를 혼합하여 제2 혼합 추출물을 제조하는 조향단계 및
    상기 제2 혼합 추출물을 정제수로 희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무알코올 구강청결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 추출물 혼합단계는 개구리자리 추출물 및 개구리밥 추출물을 더 혼합하여 제1 혼합 추출물을 제조하는 것인
    무알코올 구강청결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 추출물 혼합단계는 개오동 추출물 및 털머위 추출물을 더 혼합하여 제1 혼합 추출물을 제조하는 것인
    무알코올 구강청결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 추출물 혼합단계 이후 상기 조향단계 이전에 상기 제1 혼합 추출물을 1 내지 24 시간 방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무알코올 구강청결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170084182A 2017-07-03 2017-07-03 민들레 추출물을 포함하는 무알코올 구강청결용 조성물 KR1019444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4182A KR101944435B1 (ko) 2017-07-03 2017-07-03 민들레 추출물을 포함하는 무알코올 구강청결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4182A KR101944435B1 (ko) 2017-07-03 2017-07-03 민들레 추출물을 포함하는 무알코올 구강청결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4076A true KR20190004076A (ko) 2019-01-11
KR101944435B1 KR101944435B1 (ko) 2019-04-17

Family

ID=65028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4182A KR101944435B1 (ko) 2017-07-03 2017-07-03 민들레 추출물을 포함하는 무알코올 구강청결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44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5461A (ko) 2022-07-05 2024-01-12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미산성 차아염소산수 및 벤조산나트륨을 포함하는 구강청결제 조성물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90704A1 (fr) * 2002-04-23 2003-11-06 Ezaki Glico Co., Ltd. Aliments ayant pour effet d'eliminer la mauvaise haleine
KR100537834B1 (ko) 2000-12-21 2005-12-1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목단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취 억제용 구강 조성물
KR101082208B1 (ko) * 2009-04-10 2011-11-09 곽성철 치약조성물
KR101157088B1 (ko) 2011-06-17 2012-06-21 백설옥 탱자를 주재로 한 구취개선 구강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295242B1 (ko) * 2010-11-24 2013-08-09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구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세균 억제용 항균 조성물
KR101392809B1 (ko) * 2013-09-23 2014-05-12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오동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에 대한 빛 조사물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KR20160090956A (ko) * 2015-01-22 2016-08-02 (주) 바이오에스텍 구취 유발균 및 구강내 점막 감염증에 대한 유효 성분으로 천연 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 위생 증진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7834B1 (ko) 2000-12-21 2005-12-1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목단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취 억제용 구강 조성물
WO2003090704A1 (fr) * 2002-04-23 2003-11-06 Ezaki Glico Co., Ltd. Aliments ayant pour effet d'eliminer la mauvaise haleine
KR101082208B1 (ko) * 2009-04-10 2011-11-09 곽성철 치약조성물
KR101295242B1 (ko) * 2010-11-24 2013-08-09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구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세균 억제용 항균 조성물
KR101157088B1 (ko) 2011-06-17 2012-06-21 백설옥 탱자를 주재로 한 구취개선 구강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392809B1 (ko) * 2013-09-23 2014-05-12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오동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에 대한 빛 조사물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KR20160090956A (ko) * 2015-01-22 2016-08-02 (주) 바이오에스텍 구취 유발균 및 구강내 점막 감염증에 대한 유효 성분으로 천연 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 위생 증진용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5461A (ko) 2022-07-05 2024-01-12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미산성 차아염소산수 및 벤조산나트륨을 포함하는 구강청결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4435B1 (ko) 2019-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9172B1 (ko) 항염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JP4246736B2 (ja) 薬草の口腔歯科治療用の組成物およびその調製方法
KR102058464B1 (ko) 가글용 생약 추출액 조성물
Fazeli-nasab et al. Classification and Evaluation of medicinal plant and medicinal properties of mastic
KR101941753B1 (ko) 기능성 물티슈용 방부제 조성물
KR102036480B1 (ko) 닭진드기 퇴치용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닭진드기 퇴치용 조성물
KR100989944B1 (ko) 항산화 미백 활성을 갖는 생약 혼합 추출물
KR101488764B1 (ko) 칠화수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44435B1 (ko) 민들레 추출물을 포함하는 무알코올 구강청결용 조성물
KR101782858B1 (ko) 약용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치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Naveed et al. The use of neem in oral health
KR102070316B1 (ko) 천연 복합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30888B1 (ko) 치약 조성물
KR20190048644A (ko) 천연 비누 조성물
KR101632910B1 (ko) 편백 추출물 및 생약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향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7260792A (zh) 包含天然复合物的用于预防或治疗口腔疾病的组合物
CN112791030A (zh) 一种漱口水及其制备方法
KR101978355B1 (ko) 우뭇가사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치주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Amalunweze et al. Production of herbal toothpaste using Moringa root essential oil extract
JP6918359B2 (ja) 腋臭用デオドラント組成物
CN110652465A (zh) 一种植物多肽护理组合物
KR101776202B1 (ko) 천연 복합 방부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90108520A (ko) 관중, 단삼 및 황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또는 항진균 활성을 갖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4321955B2 (ja) 育毛剤組成物
KR102283663B1 (ko) 허브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