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8355B1 - 우뭇가사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치주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우뭇가사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치주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8355B1
KR101978355B1 KR1020170180385A KR20170180385A KR101978355B1 KR 101978355 B1 KR101978355 B1 KR 101978355B1 KR 1020170180385 A KR1020170180385 A KR 1020170180385A KR 20170180385 A KR20170180385 A KR 20170180385A KR 101978355 B1 KR101978355 B1 KR 1019783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mposition
periodontal disease
treatment
preven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0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현서
박충무
김혜진
Original Assignee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803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83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83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83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2Algae
    • A61K36/04Rhodophycota or rhodophyta (red algae), e.g. Porphyr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2Algae
    • A61K36/03Phaeophycota or phaeophyta (brown algae), e.g. Fu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6Caryophyllaceae (Pink family), e.g. babysbreath or soapwo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61K36/535Perilla (beefsteak pla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06Algae
    • A61K8/9717Rhodophycota or Rhodophyta [red algae], e.g. Porphyr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2Stomatological preparations, e.g. drugs for caries, aphtae, periodontit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dental heal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rd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우뭇가사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치주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우뭇가사리 추출물을 포함하여, 치은섬유아세포(HGF-1, Human Gingival Fibroblast-1)의 염증에 대한 항염증 효과가 우수하다.
또한, 기존 항생 물질과 달리, 식용으로 사용하는 해조류 추출물 등을 이용하는 점에서, 내성 및 부작용이 문제되지 않고, 기호도가 우수한 치약, 구강 스프레이, 구강 청결제 및 츄잉검 등으로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우뭇가사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치주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ALLEVIATING PERIODONTAL DISEASE COMPRISING GELIDIUM AMANSII EXTRACT}
본 발명은 우뭇가사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치주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우뭇가사리 추출물의 치은섬유아세포(HGF-1, Human Gingival Fibroblast-1)에서의 염증을 완화할 수 있는 치주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치주조직은 치조골, 치은(잇몸) 및 치주인대로 이루어져 있다. 잇몸은 우리가 입안에서 볼 수 있는 치아 지지조직의 일부분으로 여기서 질환(치은염)이 시작되는데, 질환이 심화되어 지지조직으로 점점 깊게 퍼져나가면 치아 뿌리면과 치아를 둘러 싸고 있는 뼈 조직에 결합되어 있는 치주인대가 파괴되고 치아를 싸고 있는 치조골도 파괴되면서 치주병이 발생하게 된다.
치은염 및 치주병을 포함하는 치주질환은 세균에 의해 야기되는 치아지지 조직의 염증상태로서, 출혈, 치주낭의 형성 및 치조골의 파괴 등으로 인하여 치아의 상실을 가져오는 질환이다. 이러한 치주질환은 세균의 집락형성, 세균의 치주조직 침투 및 치주조직 파괴의 과정으로 진행된다.
구체적으로, 불량한 구강 위생 상태로 인하여 구강 세균이 치면 세균막을 형성하면 염증이 생겨 가끔 잇몸에서 피가 나고 구취가 나며, 이러한 상태로 더 진행되면 치아와 잇몸 사이의 벌어진 틈이 더 깊어져서 치주낭이 생기고, 여기에 치주질환을 일으키는 세균들이 번식하여 치주염이 발생된다.
치주염이 진행되면 칫솔 질과 같은 약한 자극에도 잇몸에서 피가 나기도 하며 붓고, 종종 급성염증으로 변화되어 통증을 유발한다. 이러한 염증은 교원질, 칼슘 및 인의 침척물(hydroxyapatite)로 단단한 뼈를 만드는 조골세포(osteoblast)의 골을 만드는 기능을 저하시키고, 파골세포(osteoclast)의 뼈를 파괴 또는 흡수(resorption)하는 작용이 높아져서 치조골이 점점 낮아지고 파괴되어 결국 치아를 상실하게 된다.
이때, 파골세포는 골수 내의 단핵구/대식세포 계통의 세포로부터 유래하고, 이 단핵전구세포 는 혈액 내로 순환되며 골내막층에서 전구세포들이 증식되어 다핵세포를 형성하기 위해 융합된다고 알려져 있으며(Scheven, B. A. A. et al., Nature, 321:79-81, 1986), 파골세포에는 특징적으로 타르트레이트(tartrate)에 대해 저항성을 나타내는 산성 포스파타제(acid phosphatase)인 TRAP(tartrate-resistant acid phosphatase)을 가지며 이는 다른 골 조직 세포와 구별할 수 있는 파골세포의 세포화학적 표지효소로 이용된다고 알려져 있다(Minkin, C., Calcif. Tissue Int., 34:285-290, 1982).
치주질환의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으나, 국소적 요인으로 치태가 치주낭 내에 축적되면 주변에 존재하는 혐기성 그람음성 세균들의 서식처가 되어, 치주낭의 심부로 증식되게 된다. 이때 증식된 혐기성 그람음성 세균의 독소 및 모든 산물이 직접 조직을 파괴하거나 면역계를 자극하여 자극된 면역계에서부터 여러 가지 작용이 일어나 치주조직 파괴와 더불어 염증을 유발하게 된다. 이에 대한 방어기전으로서 다형핵 백혈구의 기능과 면역반응이 전신적인 요인으로서 작용하게 된다.
치주질환의 치료는 환자의 개선된 구강위생의 확립, 비외과적 혹은 외과적인 치석제거술, 치근활택술, 치은소파술과 신부착을 응용한 치주조직의 재생술들이 이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런 외과적인 치료 방법은 치료를 위해 치과를 가야하는 번거로움으로 인해 효과적인 치료가 어렵고 또한 병의 예방보다는 병이 어느 정도 진행되었을 경우 행하는 치료에 국한되어 있어, 치료를 하지 않을 경우 만성질환으로 진행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부가적인 치료로 전신적인 항생제의 복용과 국소 서방형 제재가 사용되어 왔으나, 불필요한 부위에도 약물이 너무 많이 전달되어 그로 인한 부작용과 최근 사용되는 항생제 에 대한 내성을 나타내는 치주질환균이 분리된 예가 보고되고 있어 심각한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러한 외과적 치료의 한계성과 항생제 사용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치주질환 예방 및 치료효과를 발현하기 위해서는 파괴 및 소실된 치주조직을 원상회복시키는 활성을 지닌 제제의 출현이 필요하였다. 또한 종래 치료제에 의한 내성이나 안전성 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 치료제의 개발이 필요하다.
(특허 문헌 1) KR 10-1592549 B1
본 발명의 목적은 우뭇가사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치주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우뭇가사리 추출물을 이용하여, 치은섬유아세포(HGF-1, Human Gingival Fibroblast-1)의 염증을 완화할 수 있는 치주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치주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구강 청결용 조성물, 구강 청결제, 치약 및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주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은 우뭇가사리(Gelidium amansii)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치은섬유아 세포(HGF-1, Human Gingival Fibroblast-1)의 염증 완화 효과가 우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우뭇가사리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용매로 추출될 수 있다.
상기 치주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은 미역(Undaria pinnatifida), 다시마(Laminaria japonica), 참홑파래(Monostroma nitidum Wittrock), 매생이(Capsosiphon fulvescens), 기둥 청각(Codium cylindricum Holmes)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해조류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치주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은 버베인(Perilla frutescens var. acuta Kudo)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치주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은 벼룩이자리(Arenaria serpyllifolia L.)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청결용 조성물은 상기 우뭇가사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치주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청결제는 상기 우뭇가사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치주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약은 상기 우뭇가사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치주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용 조성물은 상기 우뭇가사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치주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주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은 우뭇가사리(Gelidium amansii)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상기 우뭇가사리 추출물은 치은섬유아 세포(HGF-1, Human Gingival Fibroblast-1)의 염증 완화 효과가 우수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러한 치은섬유아 세포의 염증에 대한 항염 효과로 인해, 치주 질환 예방 및 치료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우뭇가사리(Gelidium amansii)는 조간대 중부 및 하부의 바위에 착생하는 몸길이 10 내지 30cm, 주축나비 약 1mm의 홍조식물 우뭇가사리과의 바닷말로서, 한국, 일본, 인도네시아 등에 분포하는 생물체이다. 이와 같은 우뭇가사리는 한천질을 포함하므로 한천 제조의 주원료로 이용되는 해초로 잘 알려져 있으며, 한천 제조 이외에 도 묵 등의 식품 제조, 약품의 원료 등에 널리 사용되며, 화장품 제조시 첨가물이 침전되지 않도록 하는 안정화제로 사용되기도 하는 해초이다.
한편, 우뭇가사리는 섬유질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섬유질은 그 구조적 특성으로 인하여 인체 내에서 장의 연동운동을 촉진하기 때문에, 다이어트 식품으로도 많이 사용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우뭇가사리에서 유효한 성분만을 추출하여, 치은섬유아 세포에서의 우수한 항염증 효과가 나타내는 것을 이용하여, 치주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로 이용하고자 한다.
상기 우뭇가사리는 당업계에 공지된 추출 및 분리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천연으로부터 추출 및 분리하여 수득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정의된 '추출물'은 적절한 용매를 이용하여 우뭇가사리으로부터 추출 한 것이며, 예를 들어, 우뭇가사리의 열수추출물, 극성용매 가용 추출물 또는 비극성용매 가용 추출물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우뭇가사리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용매로 추출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에탄올을 추출용매로 추출한 우뭇가사리 에탄올 추출물일 수 있으며, 보다 상세하게는 75% 에탄올을 추출용매로 이용하여 추출한 우뭇가사리 추출물일 수 있으나, 상기 예시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우뭇가사리 추출물은 우뭇가사리을 사용하여 추출물을 제조한 뒤 이를 발효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우뭇가사리 추출물을 발효하는 경우, 안정성이 우수하여, 보관성이 향상되고, 상대적으로 높은 농도에서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발효에 사용하는 미생물로는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Lactobacillus salivarius),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 락토바실러스 람노수스(Lactobacillus rhamnosus),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Lactobacillus helveticus), 락토바실러스 퍼멘툼(Lactobacillus fermentum),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Lactobacillus paracasei), 락토바실러스 카세이(Lactobacillus casei), 락토바실러스 델브루에키(Lactobacillus delbrueckii), 락토바실러스 레우테리(Lactobacillus reuteri), 락토바실러스 부츠네리(Lactobacillus buchneri), 락토바실러스 가세리(Lactobacillus gasseri), 락토바실러스 존스니(Lactobacillus johonsonii), 락토바실러스 케피르(Lactobacillus kefir) 등과 같은 유산 바실리, 락토코코스 락티스(Lactococcus lactis), 락토코코스 플랜타룸(Lactococcus plantarum), 락토코코스 라피노락티스(Lactococcus raffinolactis), 엔테로코코스파에칼리스(Enterococcus faecalis), 엔테로코코스 파에시늄(Enterococcus faecium), 스트렙토코코스 터모필리우스(Streptococcus thermophilus), 류코노스톡락티스(Leuconostoc lactis),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Leuconostoc mesenteroides) 등과 같은 유산 콕사이 및 비피도박테리움 애닐멀스(Bifidobacterium animals), 비피도 박테리움 비피듐(Bifidobacterium bifidum),비피도박테리움 브레브(Bifidobacterium breve), 비피도박테리움 인판티스(Bifidobacterium infantis), 비피도바테리움 롱굼(Bifidobacterium longum), 비피도박테리움 수도롱굼(Bifidobacterium pseudolongum), 비피도박테리움 터모필룸(Bifidobacterium themophilum), 비피도박테리움 아돌센티스(Bifidobacterium adolescentis) 등과 같은 비피도박테리아를 포함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락토바실러스 람노수스(Lactobacillus rhamnosus), 비피도 박테리윰 비피듐(Bifidobacterium bifidum) 비피더스균, 비피도 박테리움 브레브(Bifidobacterium breve) 비피더스균, 및 락토바실러스 아시도 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치주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은 우뭇가사리 추출물 이외에, 미역(Undaria pinnatifida), 다시마(Laminaria japonica), 참홑파래(Monostroma nitidum Wittrock), 매생이(Capsosiphon fulvescens), 기둥 청각(Codium cylindricum Holmes)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해조류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역(Undaria pinnatifida)은 갈조식물문(Phaeophyta) 갈조강(Phaeophyceae) 다시마목(Laminariales) 미역과(Alariaceae)에 속하는 해조류로, 기부는 수지상이고, 줄기는 편원이며, 그 상부는 엽상부의 중륵으로 되고 잎은 자우에 우상열편을 가진다. 우리나라와 일본에 분포하며, 우리나라에서는 서해안의 백령도에서 동해안 끝에 이르기까지 넓은 영역에 분포하며, 부산, 완도 등 남해안 일대에서 양식하고, 우리나라와 일본에서 예로부터 식용되었왔다.
상기 다시마(Laminaria japonica)는 갈조식물문(Phaeophyta) 갈조강(Phaeophyceae) 다시마목(Laminariales) 다시마과(Laminariaceae)에 속하는 해조류로, 외관상 엽상부, 줄기, 뿌리로 구분되며, 엽상부는 띠모양으로 길고, 엽상부의 중앙부분은 두터운 중대부(中帶部)를 이루며, 중대부의 양가는 세로로 흠이 있다. 줄기는 보통 원주상이며 직립하며, 뿌리는 줄기의 하부에서 차상으로 분지하는 수지상의 형태를 나타낸다. 상기 다시마는 예로부터 우리나라를 비롯한 일본, 중국에서 식용으로 널리 사용되어 왔다.
상기 참홑파래(Monostroma nitidum Wittrock)는 우리나라의 남해안 및 제주도에 주로 분포하며, 동해 연안에서는 울릉도와 포항 영일만 등지에 분포한다. 몸은 막상의 엽체로 연약하며 체형은 불규칙하고 주름이 있다. 엽체의 색깔은 선록색으로 광택을 띠기도 한다. 크기는 2 내지 10cm 내외이지만, 때로는 20츠 이상으로 자라는 엽체도 있다. 파도가 조용한 조간대의 상부에서 많이 자라며 군락을 이룬다.
상기 매생이(Capsosiphon fulvescens)는 일어명 Kapusa-aonori의 울로드럭스목, 갈파래과에 속하는 해조류로서 전 세계에 널리 분포되고, 우리나라에는 남해안 각지에 분포한다. 몸은 관상, 또는 편압상이며 짙은 녹색이다. 길이 15 cm, 굵기 2 내지 5mm 에 달하는 단조체로서 질이 매우 연약하고 표면에서 보면 사각형의 세포가 2 내지 4개씩 짝을 지어 종렬하며 이 열은 커버글라스로 누르면 1열 또는 2열의 세로줄로 분리할 만큼 질은 연약하다. 생장함에 따라 이 열은 흐트러지며 매우 미끌미끌하다. 조간대 상부의 바위 위에 또는 김 양식장의 발에 밀생하여 김 생육에 해를 준다. 최근에는 식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 기둥 청각(Codium cylindricum Holmes)은 우리나라 남해안에서 주로 발견되는 종으로 동해안에서는 독도, 부산시 기장 등에서 생육한다. 몸은 굵고 길게 자라며, 규칙적으로 두갈래로 분지하는 특징이 있다. 몸은 전체적으로 원주상이지만, 분지한 부분은 편평하게 된다. 체색은 황록색으로 다육질이며, 대지에서 건조시키면 옆은 녹색으로 보이는 특징을 띤다. 저조선 부근에서 조하대에 생육한다. 파도의 영향이 크지 않은 조용한 곳을 선호하며, 크기는 1m 이상으로 자라는 경우도 있으며 굵기는 1cm 정도이다.
바람직하게는 우뭇가사리 추출물, 참홑파래 추출물, 매생이 추출물 및 기둥 청각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우뭇가사리 추출물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상기 해조류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함에 따라, 구성 성분의 혼합 사용에 따라, 치은섬유아 세포에 대한 항염증 효과가 상승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치주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은 치은섬유아 세포에 대한 항염증 효과를 더욱 상승시키기 위해, 상기 해조류 추출물 이외에 버베인(Vervain, Verbena officinalis) 추출물 및 벼룩이자리(Arenaria serpyllifolia L.)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베인(Vervain, Verbena officinalis)은 마편초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 한방에서는 지상부를 마편초라고 한다. 버베인은 포기전체에 Verbenalin 이라는 배당체가 함유되어 있어서 소염, 지혈, 진정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 져 있다. 스트레스나 우울증, 긴장감을 풀어주어 진정시킬 뿐 아니라 경련을 진정 시키는 효과도 있고, 발한 작용(發汗), 강장(强莊)작용, 이뇨작용, 최유(催乳)작용 등이 생리불순에도 좋고 간장병에도 치료제로 쓰인다. 상처, 피부염증과 부스럼에는 소독제로 쓰인다.
상기 벼룩이자리(Arenaria serpyllifolia L.)는 양지바른 곳에 자라는 1 내지 2년생 잡초로 높이 10 내지 25cm이고 원줄기는 밑에서부터 많이 갈라진다. 잎은 대생하고 잎자루가 없으며 난형 또는 넓은 타원형이고 양끝이 좁다. 꽃은 백색으로 4 내지 5월에 잎겨드랑이에서 화병이 나와 취산화서로 달린다. 종자는 신장형이며 짙은 갈색이다.
상기 해조류 추출물에, 버베인 추출물 및 벼룩이자리 추출물을 추가로 혼합함에 따라, 각 구성성분 간의 상호 작용에 의해, 치은섬유아 세포에 대한 항염증 효과 상승하고, 결과적으로 치주 질환 예방 및 치료에 보다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바람직하게 상기 치주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은 우뭇가사리 추출물을 포함하며, 상기 우뭇가사리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참홑파래 추출물 50 내지 80 중량부, 매생이 추출물 30 내지 50 중량부, 기둥 청각 추출물 30 내지 50 중량부, 버베인 추출물 20 내지 50 중량부 및 벼룩이자리 추출물 20 내지 50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에 의하는 경우 각 추출물의 상호 작용에 의한 상승효과로 임계적 의의가 있는 정도의 상승효과가 발현되며,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승효과가 급격히 저하되거나 거의 없게 된다.
본 발명의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추출 혼합물을 첨가할 수 있는 건강기능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고,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기능식품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동물을 위한 사료로 이용되는 식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천연 과일쥬스, 과일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치약 조성물, 구강청정제(가글) 및 구강 스프레이은 약효 성분으로서 약효 성분으로서 충치 예방제인 불화나트륨, 불화 인산나트륨, 불화아민, 불화주석 또는 크실리톨; 살균제인 클로로헥시딘, 세틸피리디움 클로라이드 또는 트리클로산; 생약제인 죽염 또는 프로폴리스; 염증 완화제인 알란토인, 아미노카프론산, 트라넥사민산, 초산토코페롤 또는 메틸설포닐메탄; 및 효소제인 덱스트라나제, 글루코스옥시다제, 글루코아밀라제, α,β-아밀라제, 락토퍼옥시다제 및 라이소자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치약 조성물, 구강 청정제 및 구강 스프레이는 연마제, 습윤제, 결합제, 기포제, 감미제,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 향료 및 색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물질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의 형태 는 페이스트상, 분말상, 액상(가글형태) 또는 분문상의 형태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치주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식품용 조성물 또는 구강 청결제용 조성물로 이용할 경우, 해조류 추출물의 고유의 비린 맛 및 텁텁함으로 인해 기호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버베인 추출물 및 벼룩이자리 추출물의 쓴맛도 문제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기호성이 떨어지는 문제를 방지하고, 치주 질환의 예방 및 치료 효과를 보다 상승시키기 위해, 감초(Glycyrrhiza uralensis) 추출물 및 전동싸리(Yellow melilot) 추출물을 추가로 소량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초(Glycyrrhiza uralensis)는 콩과 유럽감초, 만주감초, 기타 동속식물의 뿌리 및 근경으로, 봄과 가을에 채취해 수염 뿌리를 제거하고 볕에 말려 사용한다. 성질은 평이하고 맛이 달다. 생용하면 해동하는 성질이 있어 창양, 종독, 인후종통, 식중독을 치료할 수 있다. 또한 약을 조화시키는 성질이 있어 약의 준렬한 성질을 감쇄시킨다. 복통, 설사, 노권, 심계, 경간, 폐위 등을 치료할 수 있다.
상기 전동싸리(Yellow melilot)는 초목서(草木犀)·멜리토우스초라고도 한다. 중국 북부 원산이다. 저지대의 풀밭에 자란다. 높이 60 내지 90cm이고 가지가 갈라지며 마르면 향기가 난다. 어릴 때는 털이 있으나 후에 없어진다. 잎은 어긋나고 3개의 작은잎으로 된 겹잎이다. 작은잎은 긴 타원형 또는 거꾸로 선 바소꼴이며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다. 그리고 꽃은 7 또는 8월에 피고 노란색이며 가지 끝이나 잎겨드랑이에서 총상으로 빽빽하게 달린다. 꽃받침에는 잔 털이 있다. 열매는 달걀 모양이며 털이 없고 검게 익는다. 풀 전체를 해열·안질·신장염 등에 약용한다. 꽃이 보다 작고 흰색인 것을 흰전동싸리(M. alba)라고 한다. 모두 목초자원으로 재배하던 것이 번져서 야생으로 자란다.
상기 감초 추출물 및 전동싸리 추출물은 소량 포함되어, 치주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의 기호도를 상승시키고, 구성 성분과의 혼합 사용에 의해, 치은섬유아 세포에 대한 항염증 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치주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은 상기 우뭇가사리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참홑파래 추출물 50 내지 80 중량부, 매생이 추출물 30 내지 50 중량부, 기둥 청각 추출물 30 내지 50 중량부, 버베인 추출물 20 내지 50 중량부, 벼룩이자리 추출물 20 내지 50 중량부, 감초 추출물 10 내지 20 중량부 및 전동싸리 추출물 1 내지 5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에 의하는 경우 각 추출물의 상호 작용에 의한 상승효과로 임계적 의의가 있는 정도의 상승효과가 발현되며,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승효과가 급격히 저하되거나 거의 없게 된다.
본 발명의 우뭇가사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치주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의하면 치은섬유아세포(HGF-1, Human Gingival Fibroblast-1)의 염증을 완화할 수 있는 치주 질환의 예방 및 치료 효과가 우수하다.
또한, 기존 항생 물질과 달리, 식용으로 사용하는 해조류 추출물 등을 이용하는 점에서, 내성 및 부작용이 문제되지 않고, 기호도가 우수한 치약, 구강 스프레이, 구강 청결제 및 츄잉검 등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치주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처리한 경우의 BGF-1에서의 IL-6의 측정 결과에 관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치주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처리한 경우의 BGF-1에서의 IL-1β의 측정 결과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조예 1: 치주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의 제조]
1. 우뭇가사리 추출물(PE)의 제조
우뭇가사리를 깨끗하게 세척하여, 완전히 건조시킨 다음 분쇄기를 이용하여 분쇄하였다. 상기 분쇄한 김에 75% 에탄올 100ml를 가하여 하루 동안 상온에서 추출하여 추출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추출액을 여과하여, 수득한 여액을 감압증발기를 사용하여 감압 농축하여 우뭇가사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2. 기타 추출물의 제조
상기 우뭇가사리 추출물과 동일한 방법으로 참홑파래 추출물(ME), 매생이 추출물(QE), 기둥 청각 추출물(HE), 버베인 추출물(SE) 및 벼룩이자리 추출물(AE)을 제조하였다.
3. 치주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의 제조
상기 우뭇가사리 추출물(PE), 참홑파래 추출물(ME), 매생이 추출물(QE), 기둥 청각 추출물(HE), 버베인 추출물(SE) 및 벼룩이자리 추출물(AE)을 하기 표 1과 같은 조성으로 혼합하여 치주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KX1 KX2 KX3 KX4 KX5 KX6
PE 100 100 100 100 100 100
ME 30 50 60 70 80 90
QE 20 30 40 45 50 55
HE 20 30 40 45 50 55
SE 10 20 30 40 50 60
AE 10 20 30 40 50 60
(단위 중량부)
[실험예 1: 치은섬유아세포의 염증 반응에 대한 항염증 효과]
치은섬유아세포(HGF-1)에서 LPS를 처리하여 자극하여 염증 반응을 유도하였다. HGF-1의 배양은 20% FBS의 DMEM 배지를 사용하였다. 24-well plate에 HGF-1를 각 well 당 1.0×105개로 분주하고 하룻밤 동안 배양하였다.
KX1 내지 KX6 시료를 DMEM 배지(with 2% FBS)로 교환하고 3시간 동안 배양해서 전처리한다. LPS(1ug/mL) 처리하여 4 시간 동안 배양하고, -80℃ stock 후 사이토카인(cytokine, IL-6, IL-1beta)측정하였다. UN은 아무런 처리를 하지 않은 것이고, CON은 LPS를 1㎍/mL를 사용한 것을 의미한다.
그 결과는 하기 도 1 및 도 2와 같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IL-1β, IL-6 모두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의해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KX1 내지 KX6 조성물은 치은섬유아세포의 염증 반응에 대해 염증 완화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제조예 2: 혼합 조성물의 제조]
1. 감초 추출물(GE)의 제조
감초를 세척하고 건조한 뒤 이를 분쇄하였다. 상기 분쇄물을 정제수에 혼합하고 이를 2시간 동안 98 내지 100℃를 유지하고, 이를 냉각시킨 뒤 와트만 여과지로 여과하여 그 여액을 수득하였다.
2. 전동싸리 추출물(TE)의 제조
상기 감초 추출물과 동일한 방법으로 전동싸리 추출물(TE)을 제조하였다.
3. 혼합 조성물의 제조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한 KX4 조성물에 감초 추출물(GE) 및 전동싸리 추출물(TE)를 하기 표 2와 같은 조성으로 혼합하여 치주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KX4 WX1 WX2 WX3 WX4 WX5 WX6
PE 100 100 100 100 100 100 100
ME 70 70 70 70 70 70 70
QE 45 45 45 45 45 45 45
HE 45 45 45 45 45 45 45
SE 40 40 40 40 40 40 40
AE 40 40 40 40 40 40 40
GE - 5 10 14 18 20 22
TE - 0.5 1 2 4 5 7
(단위 중량부)
[실험예 2: 치은섬유아세포의 염증 반응에 대한 항염증 효과]
상기 제조예 2에서 제조한 혼합 조성물에 대해서, 각 추출물의 혼합 사용에 따른 상호작용에 의한 항염증 효과의 상승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치은섬유아세포의 염증 반응에 대해, 항염증 효과를 미리 확인한 KX4 조성물과 비교 평가를 진행하였다.
실험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비교 시험 결과를 보다 명확하게 나타내기 위하여, 지수를 이용하였다. 즉, KX4 조성물의 사이토카인(cytokine, IL-6, IL-1beta)측정 결과를 지수 5로 고정하고, 상기 혼합 조성물의 사용에 따른 결과를 이와 비교하여 1 내지 10의 지수로 나타내었다. 상기 지수는 그 숫자가 높을수록 치은섬유아세포의 염증 반응에 대해 염증 완화 효과가 우수함을 의미한다.
KX4 WX1 WX2 WX3 WX4 WX5 WX6
IL-6
production
5 4 5 7 8 6 5
IL-1β
production
5 4 5 8 7 6 6
(단위 지수)
상기 표 3에 따르면, KX4 조성물을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혼합 조성물을 이용한 경우, 치은섬유아세포의 염증 반응에 대해, 염증 완화 효과가 일부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3: 관능 실험]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한 KX4의 조성물 및 제조예 2에서 제조한 WX1 내지 WX6의 조성물에 대해 구강 청결제로 이용했을 때의 관능 실험을 진행하였다.
상기 KX4, WX1 내지 WX6의 조성물을 각 10 중량%에 물 90중량%를 혼합하여 구강 청결제로 제조 후, 성인남녀 10명에 대한 관능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관능성 평가는 청량감, 잔류감, 비릿한 맛 및 자극에 따라 1 내지 10의 지수로 평가하여 평균 지수로 구분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KX4 WX1 WX2 WX3 WX4 WX5 WX6
청량감 6 7 7 8 8 8 6
잔류감 7 5 5 2 3 5 4
비릿한 맛 8 5 5 3 2 3 1
자극 1 1 1 1 1 1 1
(단위 지수)
상기 표 4의 결과에 따르면, KX4는 비릿한 맛에 의해, 구강 청결제로 기호성이 떨어질 수 있다.
반면, WX1 내지 WX6의 경우에는 비릿한 맛이 KX4에 비해 대폭 개선되어, 구강 청결제로의 기호도를 높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9)

  1. 우뭇가사리(Gelidium amansii)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치은섬유아 세포(HGF-1, Human Gingival Fibroblast-1)의 염증 완화 효과가 우수하며,
    미역(Undaria pinnatifida), 다시마(Laminaria japonica), 참홑파래(Monostroma nitidum Wittrock), 청각(Codium fragile (Suringar) Hariot), 기둥 청각(Codium cylindricum Holmes)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우뭇가사리(Gelidium amansii) 추출물을 포함하는 치주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우뭇가사리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용매로 추출되는
    우뭇가사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치주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치주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은 버베인(Perilla frutescens var. acuta Kudo)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우뭇가사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치주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치주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은 벼룩이자리(Arenaria serpyllifolia L.)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우뭇가사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치주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6. 제 1항에 따른 우뭇가사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치주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구강 청결용 조성물.
  7. 제 1항에 따른 우뭇가사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치주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구강 청결제.
  8. 제 1항에 따른 우뭇가사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치주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치약.
  9. 제 1항에 따른 우뭇가사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치주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식품용 조성물.
KR1020170180385A 2017-12-27 2017-12-27 우뭇가사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치주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9783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0385A KR101978355B1 (ko) 2017-12-27 2017-12-27 우뭇가사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치주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0385A KR101978355B1 (ko) 2017-12-27 2017-12-27 우뭇가사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치주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8355B1 true KR101978355B1 (ko) 2019-05-14

Family

ID=66581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0385A KR101978355B1 (ko) 2017-12-27 2017-12-27 우뭇가사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치주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83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72807A1 (ja) * 2021-02-12 2022-08-18 一丸ファルコス株式会社 口腔ケア用組成物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48715A (ja) * 1995-08-04 1997-02-18 Lion Corp 口腔用組成物
KR19990003843A (ko) * 1997-06-26 1999-01-15 윤종여 잇몸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JP2002029952A (ja) * 2000-05-11 2002-01-29 Takayuki Kodama 歯磨用組成物
KR20040057021A (ko) * 2002-12-24 2004-07-01 김재범 우뭇가사리로부터 얻은 지방세포 (NIH3T3-L1 cell) 분화저해용 활성분획 조성물
KR20070099126A (ko) * 2006-04-03 2007-10-09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항염증 활성을 갖는 미역 추출물
KR20100007521A (ko) * 2008-07-14 2010-01-22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해조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04758459A (zh) * 2015-04-24 2015-07-08 王红垒 一种治疗牙龈炎的中药
KR20160002559A (ko) * 2014-06-30 2016-01-08 한국식품연구원 갈조류 초음파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염증 조성물
KR20160013805A (ko) * 2014-07-28 2016-02-05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톳 추출물을 포함하는 치주질환 치료용 조성물
KR101592549B1 (ko) 2015-06-29 2016-02-18 김용수 치주질환 및 충치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48715A (ja) * 1995-08-04 1997-02-18 Lion Corp 口腔用組成物
KR19990003843A (ko) * 1997-06-26 1999-01-15 윤종여 잇몸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JP2002029952A (ja) * 2000-05-11 2002-01-29 Takayuki Kodama 歯磨用組成物
KR20040057021A (ko) * 2002-12-24 2004-07-01 김재범 우뭇가사리로부터 얻은 지방세포 (NIH3T3-L1 cell) 분화저해용 활성분획 조성물
KR20070099126A (ko) * 2006-04-03 2007-10-09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항염증 활성을 갖는 미역 추출물
KR20100007521A (ko) * 2008-07-14 2010-01-22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해조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60002559A (ko) * 2014-06-30 2016-01-08 한국식품연구원 갈조류 초음파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염증 조성물
KR20160013805A (ko) * 2014-07-28 2016-02-05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톳 추출물을 포함하는 치주질환 치료용 조성물
CN104758459A (zh) * 2015-04-24 2015-07-08 王红垒 一种治疗牙龈炎的中药
KR101592549B1 (ko) 2015-06-29 2016-02-18 김용수 치주질환 및 충치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72807A1 (ja) * 2021-02-12 2022-08-18 一丸ファルコス株式会社 口腔ケア用組成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1629B1 (ko) 해조류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101841181B1 (ko)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치약 조성물
KR101978365B1 (ko) 김 추출물을 포함하는 치주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70029106A (ko) 유산균 발효 허브 추출물을 함유하는 치약 조성물
KR102062542B1 (ko) 기능성 사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이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기능성 사료 조성물
KR102313830B1 (ko) 해조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취 완화용 조성물
KR101978355B1 (ko) 우뭇가사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치주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N110731931B (zh) 一种含神秘果有效成分的保健牙膏
KR101782858B1 (ko) 약용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치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660467B1 (ko) 구기자 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KR100871627B1 (ko) 파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42400B1 (ko) 비누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비누
KR102438800B1 (ko) 유산균 발효 노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18625B1 (ko) 생균 양치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생균 양치 소금
KR101632910B1 (ko) 편백 추출물 및 생약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향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118102B1 (ko) 치주질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102350693B1 (ko) 연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치아 미백 및 명도 개선 활성이 우수한 치아 브라이트닝 조성물
KR101944435B1 (ko) 민들레 추출물을 포함하는 무알코올 구강청결용 조성물
CN110652465A (zh) 一种植物多肽护理组合物
KR102308516B1 (ko) 파래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치아 미백용 조성물
KR102156438B1 (ko) 급성 안면통증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CN110613801A (zh) 用于预防或治疗口腔疾病的包含黄花蒿和竹盐的组合物
KR102283663B1 (ko) 허브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20190124073A (ko) 노간주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생물의 바이오필름 형성 억제용 조성물
KR102142988B1 (ko) 천연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치주질환 치료효과를 갖는 구강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