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2549B1 - 치주질환 및 충치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치주질환 및 충치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2549B1
KR101592549B1 KR1020150092163A KR20150092163A KR101592549B1 KR 101592549 B1 KR101592549 B1 KR 101592549B1 KR 1020150092163 A KR1020150092163 A KR 1020150092163A KR 20150092163 A KR20150092163 A KR 20150092163A KR 101592549 B1 KR101592549 B1 KR 1015925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extract
periodontal disease
sampl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21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수
Original Assignee
김용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수 filed Critical 김용수
Priority to KR10201500921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25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25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25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4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 A61K31/705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 A61K31/706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1Solanaceae (Potato family), e.g. tobacco, nightshade, tomato, belladonna, capsicum or jimsonwe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otan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주질환 및 충치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지 꼭지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지 꼭지로부터 스트렙토코쿠스 무탄스(Streptococcus mutans) 및 황색포도상구균(Strephylococcus aureus)에 대한 우수한 항균효과를 갖는 성분을 효과적으로 추출하여 염증성 치주질환 및 충치를 효과적으로 예방 및 개선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구취 역시 억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치주질환 및 충치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Composition for treating and preventing periodontal disease and caries}
본 발명은 치주질환 및 충치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지의 꼭지로부터 추출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치주질환 및 충치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치주질환은 위장계 질환, 지질대사 질환 및 뇌졸증과 같은 질병과 직, 간접적으로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고, 치주질환의 유발원인을 한가지만으로는 설명할 수 없으며 통상 복합적인 원인에 의해 나타나는 만성 질환이라고 볼 수 있다.
구강 내에 상재하는 수많은 미생물 중의 하나인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는 균체 외 또는 균체 표면에 글루코실 트랜스퍼라아제(Glucosyl transferase, GTase)라는 효소를 분비한다. 이 효소는 치아 표면에 세균성 피막인 프라그를 형성하고, 프라그 내에서 증식하는 젖산균으로부터 생성된 젖산이 고농도로 축적됨으로써 치아의 칼슘 이온(Ca2+)이 소실된다. 이로 인해, 치아 외막 법랑질의 용해와 함께 충치가 유발되고 프라그로부터 유발된 독성 물질이 치아와 잇몸 사이의 틈새(crevice)로 스며들어 세포 내 염증 반응을 일으킴으로써 치은염, 치주염 등의 치주질환이 나타난다.
프라그에서 나오는 내독소(endotoxin) 또는 지질다당체(lipopolysaccharide, LPS)로 대표되는 세균성 항원 물질은 치은 조직 내로 침입하고, 이에 의해 유도된 호중구와 대식세포는 프라그에서 나온 세균성 항원 물질을 탐식함으로써 활성화되어 교원질 가수분해 효소(collagenase), 젤라틴 가수분해 효소(gelatinase), 엘라스틴 가수분해 효소(elastase), Cathepsin G 등의 효소를 세포 외로 방출한다. 이들 효소는 서로 협조적으로 작용해서 교원질이나 프로테오글리칸과 같은 치은 조직의 유기 성분을 분해한다. 한편, 호중구 또는 대식세포는 염증성 사이토카인(cytokine)을 방출하고 주위의 치은 섬유아세포를 자극해서 기질 금속단백질분해 효소 생산을 촉진하나, 이들 효소의 저해 물질인 TIMF(tissue inhibitor of metalloprotease) 생산량은 거의 변하지 않거나 오히려 억제되기 때문에 기질(교원질)이 분해된다. 따라서, 치은 조직의 연화 및 와해, 지속적인 출혈 등이 나타난다.
교원질 분해에 관여하는 효소의 중요 공급자로서 프라그에 분포하고 있는 포피로모나스 진지발리스(porphylomonas gingivalis)와 같은 치주질환 유발균을 꼽을 수 있다. 이 세균들은 교원질 가수분해 효소 및 trypsin과 유사한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를 분비하고 이 효소들에 의해 교원질과 피브로넥틴과 같은 결체조직이 분해된다.
또한, 세균성 효소들은 불활성 전구물질을 활성화시키거나 TIMF를 분해시킴으로써 MMP 활성을 나타낸다. 다양한 세균성 효소에 의해 치주조직 내의 프로테오글리칸이 분해될 수 있고, 자유 라디칼(free radical) 등의 정상적인 세포 대사산물에 의해 교원질, 프로테오글리칸 및 히아루론산(hyarulonic acid)와 같은 거대분자가 파괴되기도한다.
이와 같이 치주질환은 구강내 세균의 직접적인 또는 간접적인 작용에 의해, 정상적인 대사 산물인 자유 라디칼에 의해, 그리고 다른 신체 조직으로부터 전달된 신호물질 등에 의해 유발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항균작용, 항염증 작용, 프라그 생성 억제 작용, 항산화 작용 등의 기능을 갖는 성분 또는 제제를 적절히 사용해 줌으로써 치주질환의 예방 및 개선 효과를 거둘 수 있다.
현재 이러한 구강 질환을 치료하기 위해 보조적으로 항미생물 제제를 사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치아우식의 경우 치태관리를 위하여 클로로헥시딘(chlorhexidine) 0.2% 양치액을 사용하지만 치아얼룩의 부작용과 불쾌한 맛 때문에 단기요법에만 사용되고 있다. 치주질환에서는 일차적으로 치석 제거술을 시행하나 보조 요법으로 항미생물 제제 처치시에는 우식보다 더 다양한 미생물이 관여하고 있으므로 클로로헥시딘(chlorhexidine) 양치액 외에 테트라싸이클린, 메트로니다졸(tetracycline, metronidazole) 등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항미생물제들은 내성균의 발생, 비선택적 살균 등의 부작용을 불러올 수 있어 기존의 항미생물제를 대체할 수 있는 효과적인 물질을 찾는 것이 필요하다.
국내에서는 부작용은 줄이고 치료효과는 개선한 대체품으로 천연물 치료제가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일례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10-2002-0082308호에서는 귀전우 추출물을 이용한 조성물이 제안되었고,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10-2000-0047165호에서는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이 제안되었으며,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60084호에서는 꾸지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이 제안되었다.
이러한 천연물을 이용한 치료제는 기존 치료제에 의한 내성이나 안전성 문제를 극복할 수 있다. 또한, 충치의 경우, 칫솔질 및 구강청결이 중요하기 때문에 충치균에 항균력을 지닌 천연물 성분을 함유한 치약이나 구강청정제를 개발한다면 보건 및 경제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다. 아울러, 치은염과 치주염은 염증반응을 수반함으로 더욱 효과적인 염증균에 대한 억제 효과 역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KR 10-2002-0082308 A KR 10-2000-0047165 A KR 10-2013-0060084 A
본 발명의 목적은 가지 꼭지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구취 및 충치를 예방 및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염증성 치주질환을 예방 및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치주질환 및 충치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은, 가지 꼭지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지 꼭지의 추출물은 물을 용매로 하여 추출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추출은 저온추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지 꼭지의 추출물에는 솔라소닌(Solasonine)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가지 꼭지의 추출물을 0.01~0.05중량% 만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성물의 제형은 치약 또는 구강청정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치주질환은 황색포도상구균(S.a)에 의한 염증성 질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지 꼭지로부터 스트렙토코쿠스 무탄스 (Streptococcus mutans) 및 황색포도상구균(Streptococcus aureus)에 대한 우수한 항균효과를 갖는 성분을 효과적으로 추출하여 염증성 치주질환 및 충치를 효과적으로 예방 및 개선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구취 역시 억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험예 1의 결과를 나타낸 사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험예 2의 결과를 나타낸 사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험예 3의 결과를 나타낸 사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험예 4의 결과를 나타낸 사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시험예 5의 결과를 나타낸 사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시험예 6의 결과를 나타낸 사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시험예 7의 LC 분석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시험예 7의 LC/MS 분석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시험예 7의 유기물정성분석(물)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시험예 7의 유기물정성분석(헥세인)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시험예 8의 S.a에 대한 시험결과를 나타낸 사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시험예 8의 S.m에 대한 결과를 나타낸 사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시험예 9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시험예 10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치주질환 및 충치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은, 가지 꼭지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서 포함한다.
가지는 온대에서는 한해살이풀이나 열대에서는 여러해살이풀로서, 인도 원산이며, 열대에서 온대에 걸쳐 재배한다. 열매의 모양은 달걀 모양, 공 모양, 긴 모양 등 품종에 따라 다양하며 한국에서는 주로 긴 모양의 긴 가지를 재배한다. 이러한 가지는 열매를 쪄서 나물로 먹거나 전으로 부치고 가지찜을 해서 먹는다. 그러나 가지 열매의 꼭지, 즉 화경은 이용하지 못하고 그대로 버려지고 있는바,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가지의 꼭지로부터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유효성분이란 솔라소닌(Solasonine)을 의미하는데, 상기 솔라소닌은 알칼로이드계의 물질로, 솔라소딘(Solasodine)과 3개의 당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솔라소딘 부분은 독성을 포함하고 있으며, 가지의 꼭지 부분에 많이 함유되어 있다. 또한, 당의 구조와 다수의 OH기가 있어 극성을 띠며, 온도에 민감한 특징이 있다. 이러한 솔라소닌이 치주질환 및 충치의 예방 및 개선효과를 갖는 것은, 솔라소닌의 당 성분은 고리모양의 탄소 단결합체에 하이드록시기가 붙어 있는 구조이며, 이는 현재 사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화학살균제인 페놀, 알코올과 유사한 구조로서, 페놀, 알코올은 공통적으로 세균의 단백질을 변성시켜 살균 효과를 내는 것인데, 솔라소닌 역시 세균, 특히 스트렙토코쿠스 무탄스 (Streptococcus mutans, 이하 'S.m'이라 한다) 및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이하 'S.a'라 한다.)의 단백질을 변성시켜 항균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추측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의 가지 꼭지 추출물은 극성 용매인 물을 이용하여 저온추출된 것을 이용함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유효물질인 솔라소딘이 물을 용매로하여 저온추출한 추출물에 다량 함유되기 때문이다. 여기서, 상기 저온추출이란 100℃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20~80℃ 정도의 온도를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제형은 치약 또는 구강청정제일 수 있는데, 구강청정제로는 스프레이형은 물론 가글형 역시 가능하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가지 꼭지의 추출물은 치약 또는 구강청정제의 전체 조성물 100중량%에 대하여 0.01~0.05중량%만큼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조성물은 치주질환과 충치 그리고 구취에 효과적인데, 상기 치주질환 중 특히 황색포도상구균(S.a)에 의한 염증성 질환에 효과적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설명한다.
하기 시료들의 제조시, 동결건조는 -40℃에서 실시하였다.
( 실시예 1: 가지 꼭지 추출물의 치주질환균에 대한 항균효과 확인.)
시료 1의 제조.
다량의 가지를 구입하여 꼭지 부분을 따냈다. 그리고 가지 꼭지를 48시간 동안 동결 건조하고, 건조시킨 가지 꼭지 10g을 1000ml짜리 비커 안에 넣고 증류수 500mL를 넣었다. 그리고 증류수 위로 떠있는 가지 꼭지들을 가라앉히기 위해 500mL짜리 비커를 넣었다. 항온수조의 온도를 60℃로 맞춰놓고 비커를 넣어 24시간 동안 달였다. 다음으로, 달여진 가지 꼭지 추출물을 감압여과기로 걸러내고, 이를 동결건조관에 적당량 나눠 담아서 72시간 동안 동결건조시켰다. 동결건조가 끝나면 추출된 시료들을 긁어내어 작은 집기병에 보관하였다.
시험예 1: 시료 1의 치주질환균에 대한 항균효과 확인.
상기 시료 1의 풍치 유발균인 포르피로모나스 진지발리스(Porphyromonas gingivalis, 이하 'P.g'라 한다), 충치 유발균인 스트렙토코쿠스 무탄스(Streptococcus mutans, 이하 'S.m' 이라 한다), 염증 유발균인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이하 'S.a'라 한다)에 대한 항균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평판배지법을 통해 실험하였다.
그 방법은 다음과 같았다. 6mm 크기의 disc에 각각 1mg/disc, 5mg/disc 농도로 평판배지법을 실행하여 가루 추출물에 의한 P.g의 항균 효과를 확인하였다. S.m과 S.a에 대해 마찬가지로 항균 효과를 확인하였다. 효과가 명확하지 않을 시에는 20mg/disc로 위의 실험을 반복하였다.
첨부된 도 1은 시험예 1의 결과를 나타낸 사진으로서, S.a에서 1mg/disc와 5mg/disc에서 명확한 항균효과가 나타나지 않아, 20mg/disc의 농도로 적용하였으며, 그 결과 항균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S.m에서도 20mg/disc의 농도로 적용하여 항균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P.g에서는 항균효과를 확인할 수 없었다.
( 실시예 2: 가지 꼭지의 추출방법에 따른 치주질환균에 대한 항균효과 확인.)
시료 2의 제조: 저온 추출.
상기 시료 1에서와 같이, 건조시킨 가지 꼭지 5g을 500mL 비커 안에 넣고 증류수 300mL를 넣었다. 항온 수조를 60℃로 맞추고 건조시킨 가지 꼭지와 증류수가 담긴 비커를 넣어 24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추출한 추출물을 감압여과기로 걸러내고 동결건조관에 나눠 담아 72시간 동안 동결건조시켰다.
시험예 2: 시료 2의 치주질환균에 대한 항균효과 확인.
상기와 같이 제조된 시료 2를 S.a, S.m에 가했을 때 항균 효과를 평판배지법으로 확인하였다. 상기 실험은 3번 반복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1 및 도 2와 같았다.
시험예 2의 결과.
구분 1회 2회 3회 평균 표준편차
S.a

1mg/disc - - - - -
5mg/disc - - - - -
20mg/disc 12.9mm 12.4mm 13.9mm 13.07mm 0.76
S.m 20mg/disc 1.6mm 10.4mm 9.4mm 10.13mm 0.64
상기 표 1 및 도 2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S.a 20mg/disc 및 S.m 20mg/disc에서 항균 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S.a의 clear zone의 크기(직경)는 약 13.7mm이고, S.m은 약 10.13mm임을 확인하였다.
시료 3의 제조: 고온 추출.
상기 시료 1에서와 같이, 건조시킨 가지 꼭지 5g을 전기 포트 안에 넣고 증류수 300mL를 넣었다. 포트의 뚜껑을 닫고 전기 포트를 실행시켜 물을 끓이면서 30분 동안 추출하였다. 추출한 추출물을 감압여과기로 걸러내고 동결건조관에 나눠 담아 72시간 동안 동결건조시켰다.
시험예 3: 시료 3의 치주질환균에 대한 항균효과 확인.
상기와 같이 제조된 시료 3을 S.a, S.m에 가했을 때 항균 효과를 평판배지법으로 확인하였다. 상기 실험은 3번 반복하였다.
그 결과는 도 3과 같았다.
도 3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clear zone의 크기가 측정되지 않을 만큼 작았는바, 항균효과는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리고 그 이유는 항균효과가 있는 주요 성분이 고온에 의해 파괴되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색소 성분이 퍼진 곳에서 항균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므로 색소 성분과 항균에 효과가 있는 물질은 무관함을 확인하였다.
시료 4의 제조: 고온 후 식히며 추출.
전기 포트 안에 증류수 500mL를 넣고 끓였다. 그리고 열량계 2개에 각각 상기 시료 1에서와 같이 건조시킨 가지 꼭지를 2.5g씩 담고 끓인 물을 약 150mL씩 넣어 뚜껑을 닫고 2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다음으로, 추출한 추출물을 감압여과기로 걸러내고 동결건조관에 나눠 담아 72시간 동안 동결건조시켰다.
시험예 4: 시료 4의 치주질환균에 대한 항균효과 확인.
상기와 같이 제조된 시료 4를 S.a, S.m에 가했을 때 항균 효과를 평판배지법으로 확인하였다. 상기 실험은 3번 반복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2 및 도 4과 같았다.
시험예 4의 결과.
구분 1회 2회 3회 평균 표준편차
S.a

1mg/disc - - - - -
5mg/disc - - - - -
20mg/disc 10.7mm 9.9mm 10.5mm 10.37mm 0.42mm
S.m 20mg/disc - - - - -
상기 표 2 및 도 4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S.a를 가했을 때 나타나는 clear zone의 크기가 약 10.37mm 정도로 상기 시료 2와 비슷한 수준이었으나, S.m에서는 항균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시료 5의 제조: 초음파 추출.
500mL 비커에 상기 시료 1에서와 같이 건조시킨 가지 꼭지 10g, 증류수 300mL를 넣고 파라 필름으로 입구를 막은 뒤, 초음파 세척기에 넣어 30분 동안 가동시켰다. 이렇게 수득한 추출물을 감압여과기로 걸러내고 동결건조관에 나눠 담아 72시간 동안 동결건조시켰다.
시험예 5: 시료 5의 치주질환균에 대한 항균효과 확인.
상기와 같이 제조된 시료 5를 S.a, S.m에 가했을 때 항균 효과를 평판배지법으로 확인하였다. 상기 실험은 3번 반복하였다.
그 결과는 도 5과 같았다.
도 5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clear zone의 크기가 측정되지 않을 만큼 작았는바, 항균효과는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상기 시험예 2 내지 5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저온 추출에 의한 가지 꼭지의 추출물이 S.a와 S.m에 대한 항균효과가 가장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 실시예 3: 치주질환균에 대한 항균효과를 나타내는 성분 물질의 확인.)
시료 6의 제조: 메탄올 추출법에 의한 항균 물질의 추출.
치주질환균에 영향을 미치는 성분을 확인하기 위하여, 메탄올 추출법을 이용하여 물과 유기 용매인 헥세인으로 분획 후 물질을 추출하였다.
다량의 가지를 구매하여 꼭지 부분만 따로 채취하고, 이를 48시간 동안 동결 건조하였다. 동결 건조된 가지 꼭지를 막자사발로 잘게 분쇄하고, 1000mL 비커에 메탄올 500mL와 분쇄된 가지 꼭지 13g을 넣었다. 그리고 그 비커를 항온수조에 40℃의 온도로 96시간 동안 진행하여 추출한 후, 이를 감압여과기로 걸러내고 48시간 동안 동결 건조하였다. 동결건조 후 추출물을 물과 헥세인으로 녹여내고 혼합하였다. 그리고 물과 헥세인 층으로 구분되도록 30분간 방치 후 분획하였다. 그리고 물층과 헥세인 층을 각각 동결 건조하였다.
시료 6의 제조시 물의 경우 뚜렷한 가루 형태로 나타났으나, 헥세인의 경우 점액 상태로 추출되었다.
시험예 6: 시료 6의 치주질환균에 대한 항균효과 확인.
상기와 같이 제조된 시료 6을 S.a, S.m에 가했을 때 항균 효과를 평판배지법으로 확인하였다. 상기 실험은 3번 반복하였다.
그 결과는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6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시료 6의 물, 헥세인 분획 모두 항균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항균 효과를 나타내는 성분이 물(저온추출)에서는 추출되고 메탄올에서 추출되지 않는 것으로 미루어보아, 항균효과를 나타내는 성분의 극성도는 매우 높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시험예 7: 시료의 성분 분석.
동신대학교생물자원산업화지원센터에 시료 2 내지 5의 성분 분석을 의뢰하였으며, 시료 6의 성분 분석은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에 의뢰하였다. 이때, 시료 2 내지 5의 성분 분석은 LC(Liquid Chromatography)를 사용하여 다른 추출물들보다 저온 추출물(시료 2)에서 함량이 많은 성분을 UV검출기를 통해 찾아, 해당 성분을 MS(Mass Spectrometer)를 통해 확인하였다. 그리고 시료 6은 유기물정성분석 하였다.
도 7은 LC의 분석결과로서, 저온 추출물인 시료 2에만 유독 많은 함량을 가진 peak가 나타났으며, 이를 LC/MS 분석하여 성분을 추정하였다. LC/MS 분석 결과는 도 8에 나타내었다.
도 8을 통해 확인한 결과, 시료 2에만 유독 많은 함량을 가진 성분은 솔라소닌(Solasonine)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시료 6의 유기물정성분석 결과는 도 9(물) 및 도 10(헥세인)에 나타내었다. 도 9 및 도 10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항균효과를 나타내지 않은 메탄올 추출물에서는 솔라소닌 성분이 포함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성분 분석 결과, 항균효과를 나타내는 성분은 솔라소닌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실시예 4: 솔라소닌의 치주질환균에 대한 항균효과 확인.)
시료 7: 가지 꼭지로부터 솔라소닌만을 추출
가지 꼭지로부터 솔라소닌만을 따로 추출하였다.
시험예 8: 시료 7의 치주질환균에 대한 항균효과 확인
상기 시료 7을 S.a, S.m에 가했을 때 항균 효과를 평판배지법으로 확인하였다. 상기 실험은 3번 반복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를 표 3 및 도 11, 12에 나타내었다.
시험예 8의 결과.
구분 1회 2회 3회 평균 표준편차
S.a

2mg/disc 8.2mm 9mm 8.3mm 8.50mm 0.44
5mg/disc 12.4mm 13.7mm 12.8mm 12.97mm 0.67
10mg/disc 19.5mm 17.4mm 18.3mm 18.40mm 1.05
S.m

2mg/disc 28.7mm 28.2mm 26.6mm 27.83mm 0.47
5mg/disc 19.6mm 20.7mm 19.3mm 19.87mm 0.74
10mg/disc 28.7mm 28.2mm 26.6mm 27.83mm 1.10
상기 표 3 및 도 11, 12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S.a와 S.m 모두에 대하여 2mg/disc에서도 항균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아울러, 저온 추출물(시료 2)의 clear zone의 크기는 20mg/disc에서 S. a 13.07mm, S.m 10.13mm 있었는데, 솔라소닌은 10mg/disc에서 각각 18.40mm, 27.83mm로 농도가 절반임에도 불구하고 현저한 효과가 나타남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5: 가지 꼭지 추출물의 구취 제거 효과 및 유해성 검증.)
시험예 9: 가지 꼭지 추출물의 구취 제거 효과 확인.
가지 꼭지 추출물의 구취 제거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실시하였다.
음식물과 아밀레이스, 주사기 14개, 밀폐된 용기와 분사기, 페트리접시를 각각 4개 준비하였다. 분사기 내부에는 시료 2(0.5g/L), 시료 7(0.5g/L), 시중에 판매 중인 구취 제거제 성분 CPC(0.5g/L), 증류수를 각각 넣었다. 분쇄한 음식물과 아밀레이스 분말 1g, 황색포도상구균과 스트렙토코쿠스 무탄스을 액체배지(20ml) 상태로 혼합하여 인큐베이터에 37℃에서 1시간 동안 배양시켰다. 다음으로, 4개의 페트리 접시에 혼합물을 각각 50g씩 펴 바르고 밀폐된 용기에 페트리 접시를 각각 넣었다. 그리고 용기를 밀폐한 후 30분, 60분 후에 각각 주사기를 이용하여 용기 내의 기체를 포집하였다. 다음으로, 4가지 추출물을 각각 분사한 후 30분, 60분, 12시간 뒤 주사기를 이용하여 용기 내의 기체를 포집한다. 포집한 주사기들을 구취측정장치인 Oral Chroma를 통해 성분을 분석한다.
그리고 그 결과를 도 13에 나타내었다.
Oral Chroma를 통해 측정할 수 있는 성분은 hydrogen sulfide(
Figure 112015062792512-pat00001
), methyl mercaptan(
Figure 112015062792512-pat00002
), dimethyl sulfide(
Figure 112015062792512-pat00003
)이며 12시간이 지나간 후의 결과를 비교해 보았을 때 시료 7과 시료 2는 증류수에 비해 구취성분이 적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구취제거 성분인 CPC와 비교해 보았을 때에도 CPC에서는 methyl mercaptan(
Figure 112015062792512-pat00004
)이 높은 수치로 발생한 반면 시료 2 및 시료 7에서는 거의 발생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시료 2를 0.1g/L의 농도로 동일하게 시험하였다. 그 결과, 0.1g/L의 농도에서도 증류수에 비해 구취성분이 적음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10: 가지 꼭지 추출물의 세포 독성 여부 평가.
시료 2의 세포 독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MTT assay방법을 실시하였다.
MTT assay는 탈수소 효소작용에 의하여 노란색MTT(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가 살아있는 세포 내 미토콘드리아의 dehydrogenase 반응에 의해 보라색 formazan으로 환원되는 정도를 색의 변화로 판별하는 실헙법이다. 배양한 periodontal ligament cell 1.5×105 cells/mL를 96-wellplate에 분주하여 24시간 배양 후 시료 2를 농도별 (0,10,25,50,100,250,500μg/mL)로 첨가하여 37℃, 5% CO₂incubator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 500mg/L 농도의 MTT 시약(Sigma-Aldrich)을 well당 20μL씩 넣고 다시 4시간 배양하였다. 그 후 200㎕ 의 dimethyl sulfoxide(DMSO)를 넣어 10분간 실온에서 formazan을 완전히 용해한 후 microplatereader를 이용하여 540nm에서 흡광도 (obticaldensity;O.D)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으로 시료를 첨가하지 않고 PDL cell media,MTT 용액,DMSO을 넣었다. 대조군을 100%로 하여 상대적인 세포 독성을 평가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를 도 14에 나타내었다. 도 1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료 2는 모든 농도에 있어서 구강 세포에 대한 안정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 되었다.
상기한 실시예를 통해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지 꼭지로부터 추출된 추출물은 스트렙토코쿠스 무탄스(S.m) 및 황색포도상구균(S. a)에 대한 항균성을 가지는 것은 물론, 구취 제거에도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구강 세포에 대한 안정성은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안정적인 치주질환, 충치 및 구취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로서 이용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가지 꼭지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되,
    상기 가지 꼭지의 추출물은 물을 용매로 하여 20~80℃의 온도에서 저온추출된 것이고,
    상기 가지 꼭지의 추출물에는 솔라소닌(Solasonine)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주질환 및 충치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가지 꼭지의 추출물을 0.01~0.05중량% 만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주질환 및 충치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의 제형은 치약 또는 구강청정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주질환 및 충치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치주질환은 황색포도상구균(S.a)에 의한 염증성 질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주질환 및 충치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1020150092163A 2015-06-29 2015-06-29 치주질환 및 충치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1015925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2163A KR101592549B1 (ko) 2015-06-29 2015-06-29 치주질환 및 충치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2163A KR101592549B1 (ko) 2015-06-29 2015-06-29 치주질환 및 충치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2549B1 true KR101592549B1 (ko) 2016-02-18

Family

ID=55458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2163A KR101592549B1 (ko) 2015-06-29 2015-06-29 치주질환 및 충치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2549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8365B1 (ko) 2017-12-27 2019-05-14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김 추출물을 포함하는 치주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978355B1 (ko) 2017-12-27 2019-05-14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우뭇가사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치주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90124076A (ko) * 2018-04-25 2019-11-04 애경산업(주) 비자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생물의 바이오필름 형성 억제용 조성물
KR20190138518A (ko) 2018-06-05 2019-12-13 주식회사 닥스메디 꿩의다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002672A (ko) 2018-06-29 2020-01-08 의료법인사과나무의료재단 노루오줌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002671A (ko) 2018-06-29 2020-01-08 의료법인사과나무의료재단 청나래고사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012181A (ko) * 2018-07-26 2020-02-05 김정주 생약추출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약 조성물
KR102205548B1 (ko) 2020-06-05 2021-01-20 신명섭 안태음 한약재 추출물 함유 치약 조성물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7165A (ko) 1998-12-30 2000-07-25 박종헌 충치균 및 충치유발 효소 억제 물질 및 그것을 함유하는 구강용조성물
KR20020082308A (ko) 2001-04-20 2002-10-31 강중열 귀전우 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KR20040038401A (ko) * 2002-10-31 2004-05-08 강경숙 구내 종양 예방 및 조직 재생 분말
US20070275109A1 (en) * 2006-05-23 2007-11-29 Zital Corporation Eggplant extract for medical treatments
KR20130060084A (ko) 2011-11-29 2013-06-07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치주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20140070758A (ko) * 2012-11-27 2014-06-11 김선일 패각칼슘을 약효제로 포함하는 구강내 질환의 예방 및 치료기능성 세정제와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7165A (ko) 1998-12-30 2000-07-25 박종헌 충치균 및 충치유발 효소 억제 물질 및 그것을 함유하는 구강용조성물
KR20020082308A (ko) 2001-04-20 2002-10-31 강중열 귀전우 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KR20040038401A (ko) * 2002-10-31 2004-05-08 강경숙 구내 종양 예방 및 조직 재생 분말
US20070275109A1 (en) * 2006-05-23 2007-11-29 Zital Corporation Eggplant extract for medical treatments
KR20130060084A (ko) 2011-11-29 2013-06-07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치주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20140070758A (ko) * 2012-11-27 2014-06-11 김선일 패각칼슘을 약효제로 포함하는 구강내 질환의 예방 및 치료기능성 세정제와 그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 Medical Plants Research,제5권,11호,2309-15면(2011)* *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8365B1 (ko) 2017-12-27 2019-05-14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김 추출물을 포함하는 치주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978355B1 (ko) 2017-12-27 2019-05-14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우뭇가사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치주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90124076A (ko) * 2018-04-25 2019-11-04 애경산업(주) 비자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생물의 바이오필름 형성 억제용 조성물
KR102540804B1 (ko) 2018-04-25 2023-06-08 애경산업(주) 비자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생물의 바이오필름 형성 억제용 조성물
KR20190138518A (ko) 2018-06-05 2019-12-13 주식회사 닥스메디 꿩의다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002672A (ko) 2018-06-29 2020-01-08 의료법인사과나무의료재단 노루오줌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002671A (ko) 2018-06-29 2020-01-08 의료법인사과나무의료재단 청나래고사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60939B1 (ko) 2018-06-29 2021-06-04 의료법인사과나무의료재단 청나래고사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012181A (ko) * 2018-07-26 2020-02-05 김정주 생약추출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약 조성물
KR102090119B1 (ko) * 2018-07-26 2020-03-17 김정주 생약추출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약 조성물
KR102205548B1 (ko) 2020-06-05 2021-01-20 신명섭 안태음 한약재 추출물 함유 치약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2549B1 (ko) 치주질환 및 충치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Suzuki et al. Induction and inhibition of oral malodor
Subramaniam et al. Effect of pomegranate and aloe vera extract on streptococcus mutans: An: in vitro: study
KR101442083B1 (ko)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의 배양액을 방부제 또는 기능성 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EP1617915A2 (en) Activated citrus peel extract
CN107198704A (zh) 冰花愈伤组织萃取物于推迟皮肤细胞老化、调理皮肤、预防及治疗皮肤癌的用途
KR101743508B1 (ko) 감귤 또는 라임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세정제 및 그 제조방법
Abu-Obaid et al. Comparative evaluation of the antimicrobial effects of different mouthrinses against Streptococcus mutans: an in vitro study
KR102207872B1 (ko) 구강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Teke et al. In vitro antimicrobial activity of some commercial toothpastes
Byahatti et al. Chemical constituents, antimicrobial potential and antioxidant efficacy of essential oil from Boesenbergia pulcherrima (Wall.) Kuntze
KR101068210B1 (ko) 관중추출물, 솔잎추출물 및 석류추출물을 함유하는 치아우식 및 치주질환 억제용 조성물
KR101911753B1 (ko) 산청목 추출물 및 산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14491B1 (ko) 모과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 항균용 조성물
CN113750198B (zh) 一种复方口腔护理液及其制备方法
KR20220085035A (ko) 노각나무 추출물을 포함한 구강 건강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
Kim et al. Antimicrobial effect of commercially available mouth rinsing solutions and natural herbal extracts on Streptococcus mutans
KR20110121326A (ko) 시금치 추출물을 함유한 기능성 미용비누 조성물
KR101841976B1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진균 및 항균 조성물
Goldfaden Antibacterial efficacy of novel eastern medicine-inspired toothpastes compared to commercial formulations
Oshomoh et al. Phytochemical screening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ethanol and aqueous extracts of stem of Glyphaea brevis (spreng.) monachino on oral microorganisms
Goldstep Oral rinses for a proactive intervention approach to periodontal health
KR102147951B1 (ko) 솔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그람양성 또는 그람음성 세균에 대한 항균용 조성물
Poluan et al. The effectiveness test of 0.9 m nacl solution and 0.2% chlorhexidine gluconate on bacterial growth in the oral cavity of students batch 2018 at medical faculty, Universitas Kristen Indonesia
CN107753930A (zh) 乳酸链球菌素、西吡氯铵和氟化钠漱口水的制备及其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