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0612U - 유리 패키지 - Google Patents

유리 패키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0612U
KR20210000612U KR2020200001797U KR20200001797U KR20210000612U KR 20210000612 U KR20210000612 U KR 20210000612U KR 2020200001797 U KR2020200001797 U KR 2020200001797U KR 20200001797 U KR20200001797 U KR 20200001797U KR 20210000612 U KR20210000612 U KR 2021000061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plate
storage container
laminate
glass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17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타 미치하루
Original Assignee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0061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061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4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glass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 B65D81/1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blocks of shock-absorbing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 Buffer Packaging (AREA)
  • Pallets (AREA)

Abstract

[과제] 유리판 적층체를 수송할 때에, 유리판 적층체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유리 패키지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복수의 유리판(21)을 포함하는 적층체인 유리판 적층체(20)와, 경사 자세의 유리판 적층체(20)가 적재되는 지지체(30)와, 지지체(30)가 수납되는 수납 용기(10)를 구비하는 유리 패키지(1)로서, 유리판 적층체(20)의 하단으로부터 수납 용기(10)의 수납부(12)의 하면까지의 거리(A)가, 유리판 적층체(20)의 상단부(23)로부터 수납 용기(10)의 수납부(12)의 상면까지의 거리(B) 이상이 된다.

Description

유리 패키지{GLASS PACKAGE}
[0001] 본 고안은, 유리 패키지(梱包體, package)의 기술에 관한 것이다.
[0002] 액정 디스플레이나 유기 EL 디스플레이, 마이크로 LED 등의 디스플레이용 유리 기판, 또는 유기 EL 조명 등의 조명용 유리 기판에는, 유리판이 이용된다.
[0003] 유리판의 포장(梱包, packing) 형태로서는, 특허문헌 1과 같이, 유리판 적층체를 평평하게 놓은 자세(대략 수평 자세)로 지지체에 적재(積載)하여, 이 상태로 수송되는 형태가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와 같이, 유리판 적층체를 비스듬하게 기대어 세운 상태의 경사 자세로 지지체에 적재하여, 이 상태로 수송되는 형태가 있다.
[0004] 어느 형태에서도, 유리판 적층체는, 지지체와 함께 수납 용기(예컨대 컨테이너)에 수용된 상태로 수송된다.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10-168072호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17-149471호
[0006] 최근, 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제조에 유리해지도록, 보다 큰 유리 기판의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유리 기판이 커지면, 평평하게 놓인 포장으로는 유리판 적층체를 수납 용기에 수용할 수 없기 때문에, 유리판 적층체를 경사 자세로 수납 용기에 수용할 필요가 있다. 또한, 수송 시의 진동으로 인해, 대형 유리판은 파손되기 쉽다.
[0007]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과제를 감안하여, 유리판 적층체를 수송할 때에, 유리판 적층체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유리 패키지를 제공한다.
[0008]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과 같으며, 이하에서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에 대해 설명한다.
[0009] 즉, 본 고안에 있어서는, 복수의 유리판을 포함하는 적층체와, 경사 자세의 상기 적층체를 적재하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를 수납하는 수납 용기를 구비하는 패키지로서,
상기 적층체의 하단(下端)으로부터 상기 수납 용기의 내부 공간의 하면까지의 거리가, 상기 적층체의 상단(上端)으로부터 상기 수납 용기의 내부 공간의 상면까지의 거리 이상이 되는 것이다.
[0010] 본 고안에 있어서는, 상기 적층체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수납 용기의 내부 공간의 상면까지의 거리가 15mm 이상인 것이다.
[0011] 본 고안에 있어서는, 상기 적층체의 경사 각도와, 상기 수납 용기의 대각선의 각도와의 차(差)가 10° 이하인 것이다. 또한, 상기 유리판의 사이즈는, 2200mm×2500mm 이상인 것이다.
[0012] 본 고안에 있어서는, 상기 패키지는, 상기 지지체와 수납 용기의 하면과의 사이에 개재(介在)하는 동시에, 진동 흡수 부재를 구비하는 팰릿을 포함하는 것이다.
[0013] 본 고안에 있어서는, 상기 진동 흡수 부재는, 나선(螺旋) 형상 탄성체이며, 축 방향을 수평으로 하여 배치되는 것이다.
[0014] 본 고안의 효과로서, 이하에 나타낸 바와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0015] 본 고안에 있어서는, 적층체의 하단으로부터 수납 용기의 내부 공간의 하면까지의 거리를 크게 하므로, 수송에 수반되는 충격이 적층체에 전해지기 어려워져, 수송에 있어서의 유리판의 파손을 가급적 저감할 수 있다.
[0016]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는, 수납 용기에 유리판을 포함하는 적층체를 실어 넣을 때에, 유리판을 포함하는 적층체의 상단이 수납 용기의 내부 공간의 상면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0017]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는, 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제조를 위한 수요가 높아지고 있는, 보다 큰 유리판의 반송(搬送)에 이용할 수 있다.
[0018]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는, 수송에 수반되는 충격의 일부를, 진동 흡수 부재의 변형에 의해 흡수할 수 있어, 유리판을 포함하는 적층체에 도달하는 충격을 더욱 저감할 수 있다.
[0019]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는, 진동 흡수 부재를, 나선 형상 탄성체로 구성함으로써, 외부로부터의 충격 입력에 대해 방진기(防振器)의 나선 형상 탄성체가 유연하게 변형되기 때문에, 모든 방향으로부터의 동시(同時)발생적인 충격 입력을 충분히 흡수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유리판을 포함하는 유리판 적층체에 도달하는 충격을 더욱 저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른 유리 패키지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른 유리 패키지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유리 패키지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유리 패키지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방진기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방진기의 진동 흡수 시의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4의 방진기의 진동 흡수 시의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0021] 다음으로, 본 고안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른 유리 패키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이용하여 유리 패키지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전후 방향은, 도 1의 사시도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을 의미하고, 좌우 방향은, 도 1의 사시도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을 의미한다.
[0022] 유리 패키지(1)는, 수납 용기(10)와, 유리판 적층체(20)와, 지지체(30)를 구비한다. 수납 용기(10)는, 유리판 적층체(20)를 반송하는 용기이며, 직육면체의 컨테이너로 구성되어 있다. 수납 용기(10)는, 케이스(11)와, 케이스(11)의 내부에 형성되는 수납부(12)와, 도시하지 않은 도어를 가진다. 케이스(11)는, 직육면체를 형성하는 5개의 면(面)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후면(13), 상면(14), 하면(15), 양측면(16·16)으로 구성된다. 또한, 케이스(11)의 전면(前面)에는, 개구부(17)가 형성된다. 이 개구부(17)는, 도시하지 않은 도어를 닫음으로써 막을 수 있다.
[0023] 수납부(12)에는, 복수의 유리판(21)을 겹친 유리판 적층체(20)와, 유리판 적층체(20)를 지지하는 지지체(30)가 수납된다. 유리판 적층체(20) 및 지지체(30)는 개구부(17)로부터 반입되어, 수납부(12)에 수납된다. 유리판 적층체(20)는, 복수의 유리판(21)을 겹쳐서 형성한 것이며, 유리판(21)의 사이즈는, 2200mm×2500mm 이상인 것이다. 유리판(21)의 폭(L1)은, 수납 용기의 하면(15)의 폭(L2)보다도 길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유리판(21)끼리의 사이에는, 보호 시트(예컨대 유리 간지(間紙)나 발포 수지 시트)가 삽입되어 있어도 된다.
[0024] 지지체(30)는, 단면으로 보았을 때(斷面視), 대략 삼각 형상을 나타내며, 수납부(12)의 하면(15)에 배치되는 기대(基臺: 31)와, 유리판 적층체(20)를 재치(載置; 올려 놓음)하며, 기대(31)와 소정의 각도를 가지는 삼각형의 경사면인 지지부(32)와, 지지부(32)의 상변(上邊) 및 기대(31)의 상면을 연결하는 지지 다리(支脚; 33)를 구비한다. 또한, 지지 다리(33)는 지지부(32)의 상변보다도 아래인 위치와 기대(31)의 상면을 연결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0025] 기대(31)에는, 복수의 대략 사각 형상인 슬릿(31a)이 설치되어 있으며, 해당 슬릿(31a)에 포크리프트(forklift)의 클로(claw)를 삽입함으로써, 지지체(30)를 수납부(12) 내로 이동하여 수납시킬 수 있다. 또한, 지지부(32)의 하단은, 부착구(34)를 통해 기대(31)에 고정되어 있다. 이 부착구(34)는, 지지부(32)의 길이 방향과 대략 수직인 방향으로 지지부(32)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이러한 부착구(34)의 돌출부에 의해, 유리판 적층체(20)의 하단부(22)를 지지하여, 지지부(32)로부터 미끄러져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0026] 유리판 적층체(20)는, 도시하지 않은 벨트 등에 의해 지지체(30)에 고정된 상태로, 수납 용기(10)의 수납부(12)에 수납되며, 수납 용기(10) 내에서는, 수납부(12)의 대략 대각선 상을 따라 배치된다. 따라서, 수납 용기(10)의 개구부(17)로부터 삽입된 유리판 적층체(20)의 폭(L1)은, 수납부(12)의 하면(15)의 폭(L2)보다도 길어진다. 여기서, '대략 대각선 상을 따라'란, 유리판(21)의 수납 용기(10)로의 반입/반출 시의 때에 케이스(11)와 유리판(21)의 접촉으로 인한 유리판(21)의 균열이나 결손을 방지하는 범위로서, 유리판 적층체(20)의 경사 각도(θ2)와, 수납 용기(10)의 대각선의 각도(θ1)와의 차가 10° 이하가 되도록 경사지는 것을 의미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θ1은 45°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유리판 적층체(20)의 경사 각도(θ2)는, 35°∼55°의 범위 내의 각도가 된다. 유리판 적층체(20)의 경사 각도(θ2)와, 수납 용기(10)의 대각선의 각도(θ1)와의 차는, 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0027] 이와 같이 유리판 적층체(20)를 수납부(12)의 대략 대각선 상을 따라 배치함으로써, 대형 유리판을 포함하는 유리판 적층체(20)라 하더라도 수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유리판의 사이즈는, 2200mm×2500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400mm×2800mm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2800mm×3100mm 이상인 것이 더더욱 바람직하고, 2900mm×3300mm 이상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0028] 도 2는, 유리 패키지(1)의 제1 실시형태의 일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0029] 유리판 적층체(20)는, 반입/반출 시 및 수송 중에 있어서 케이스(11)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수납 용기(10)의 상면(14), 하면(15), 및 측면(16·16)에 대해, 소정의 간격을 두고 수납 용기(10)에 수납되어 있다.
[0030] 즉, 유리판 적층체(20)의 하단부(22)로부터 수납 용기(10)의 수납부(12)의 하면(15)까지의 거리(A)가, 유리판 적층체(20)의 상단부(23)로부터 수납 용기(10)의 수납부(12)의 상면(14)까지의 거리(B) 이상이 되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유리판 적층체(20)의 상단부(23)란, 정면에서 보았을 때(正面視) 가장 상측의 위치에 있는 유리판 적층체(20)의 모서리(角)의 위치이며, 유리판 적층체(20)의 하단부(22)란, 정면에서 보았을 때 가장 하측의 위치에 있는 유리판 적층체(20)의 모서리의 위치이다. 거리(A)가 크면 수송에 수반되는 충격이 수납 용기(10)의 수납부(12)의 하면(15)으로부터 유리 적층체(20)에 전해지기 어려워져, 수송에 있어서의 유리판(21)의 파손을 가급적 저감할 수 있다.
[0031] 거리(B)는 15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수납 용기(10)로의 반입/반출 시의 유리판 적층체(20)의 상단부(23)와 상면(14)과의 간섭을 방지하는 데 필요충분한 길이를 확보할 수 있다.
[0032] 또한, 지지체(30)의 좌단부(左端部; 35)로부터 수납 용기(10)의 수납부(12)의 좌측면까지의 거리(C), 및 지지체(30)의 우단부(右端部; 36)로부터 수납 용기(10)의 수납부(12)의 우측면까지의 거리(D)는, 반출 시에 있어서, 유리판 적층체(20)의 상단부(23)와 상면(14)과의 사이에 여유가 생기고, 적재 작업에 있어서, 유리판 적층체(20)와 양측면(16·16)과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는 거리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지지체(30)의 좌단부(35)는, 부착구(34)의 좌측단(左端)이며, 지지체(30)의 우단부는, 지지 다리(33)의 우측단(右端)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거리(C)와 거리(D)는 거의 동일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0033] 또한,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지지체(30)와 수납 용기(10)의 하면(15)과의 사이에 개재하는 동시에, 진동 흡수 부재(42)를 구비하는 팰릿(41)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호를 붙인 부재에 대해서는, 제1 실시형태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0034]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팰릿(41)은, 판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팰릿(41)은, 기대(31)의 좌우 방향의 폭과 거의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팰릿(41)은, 내부에 진동 흡수 부재(42)를 가진다. 진동 흡수 부재(42)는, 엘라스토머(elastomer) 등의 수지로 구성되어 있다. 유리판 적층체(20)를 지지체(30)에 고정시켜 수납 용기(10)에 반입할 때에는, 사전에 팰릿(41)을 수납 용기(10)의 하면(15)에 재치한 상태로, 지지체(30)를 반입한다. 이에 의해, 수송에 수반되는 충격은 팰릿(41)과 지지체(30)의 기대(31)와의 마찰 및 진동 흡수 부재(42)의 변형에 의해 흡수되게 되어, 유리판 적층체(20)의 하단부(22)에 도달하는 충격을 충분히 저감할 수 있다.
또한, 팰릿 자체를 진동 흡수 부재인 수지로 형성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진동 흡수 부재(42) 대신에 방진기를 이용해도 된다. 팰릿(41)에 포크리프트의 클로를 삽입하기 위한 슬릿을 마련하여, 사전에 지지체(30)를 팰릿(41)에 재치한 상태에서, 팰릿(41)을 수납 용기(10)에 반입해도 된다.
[0035] 또한,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기대(31)의 하부에, 진동 흡수 부재인 방진기(50)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호를 붙인 부재에 대해서는, 제1 실시형태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0036]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방진기(50)는, 중심축(X)이 수평 방향(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전후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 나선 형상 탄성체(51)와, 나선 형상 탄성체(51)를 유지하는 한 쌍의 유지구(52·53)를 구비하며, 전체적으로 대략 원통 형상을 이룬다.
방진기(50)는, 수납 용기(10)의 하면(15)과 지지체(30)의 기대(31)와의 사이에 복수 개가 배치된다.
[0037] 나선 형상 탄성체(51)는, 고무재를 포함하는 수지재 등이어도 되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느다란 금속선(예컨대 강철이나 스테인리스 등)을 함께 꼬거나, 및/또는, 짜넣음으로써 형성된 금속제 와이어 로프(금속재)이다. 특히, 금속재는, 내구성이나 내환경성의 관점에서, 스테인리스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0038] 상세하게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나선 형상 탄성체(51)는, 금속제 와이어 로프가 동일 중심축으로 반대로 감긴 나선을 그리며 서로 다른 단부(端部)를 향해 감겨진 것이다. 즉, 나선 형상 탄성체(51)는, 절곡부(折曲部; 51a)를 경계로 하여, 우방향 감김부(51b)와 좌방향 감김부(51c)를 가진다. 각 유지구(52·53)는, 길다란 판재(板材)이며, 그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나선 형상 탄성체(51)를 삽입통과시키기 위한 복수의 관통 구멍(52a·53a)을 가진다. 나선 형상 탄성체(51)는, 유지구(52)와 유지구(53)의 각 관통 구멍(52a·53a)에 번갈아 삽입통과되어, 나선 형상으로 감겨진 상태를 유지한다. 각 유지구(52·53)는, 나선 형상 탄성체(51)의 중심축(X)과 평행하게, 그리고, 중심축(X)을 사이에 두고 상하 방향으로 대향(對向)되도록 배치된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방진기(50)의 길이 방향이, 나선 형상 탄성체(51)의 중심축(X)의 방향과 일치한다.
[0039] 또한, 각 유지구(52·53)는, 부착 구멍(52b·53b)을 가지고 있으며, 이 부착 구멍(52b·53b)에 나사 등의 고정 부재가 삽입통과된다. 이에 의해, 방진기(50)가 수납 용기(10)의 하면(15)과 지지체(30)의 기대(31)와의 사이에 탈부착 가능하게 부착된다. 이와 같이 방진기(50)를 탈부착 가능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유리판 적층체(20)의 중량 등에 따라, 방진기(50)의 수나 부착 위치를 간단하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지지체(30)의 기대(31)가 방진기(50)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방진기(50)는,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된 탈부착이 불가능한 구성이어도 된다.
[0040] 이와 같이 구성된 방진기(50)는, 세로 방향의 충격을 흡수하는 변형(예컨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은 압축 변형)과, 가로 방향의 충격을 흡수하는 변형(예컨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전단 변형)이 상이한 요소의 변형이 된다. 그 때문에, 가로 방향의 충격을 흡수하는 변형과 세로 방향의 충격을 흡수하는 변형이 동시에 발생하더라도, 각 변형이 서로 저해하는 일 없이, 모든 방향으로부터의 동시발생적인 충격 입력을 충분히 흡수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가로 방향의 충격을 흡수할 때에, 진자(振子)와 같은 좌우 흔들림이 생기기 어렵고, 유리판 적층체(20)가 기울어지기 어렵다는 이점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수납 용기(10)의 하면(15)으로부터의 충격은 방진기(50)에 의해 흡수된다. 더욱이, 기타의 충격이나 진동도 방진기(50)에 의해 흡수되므로, 수송에 있어서의 유리판(21)의 파손은 가급적 저감된다.
[0041] 또한 방진기(50)는, 나선 형상 탄성체 외에, 엘라스토머 등의 수지 탄성체로 구성해도 되고, 수지 탄성체 및 나선 형상 탄성체의 조합으로 구성해도 된다.
[0042] 이상과 같이, 복수의 유리판(21)을 포함하는 적층체인 유리판 적층체(20)와, 경사 자세의 유리판 적층체(20)가 적재되는 지지체(30)와, 지지체(30)가 수납되는 수납 용기(10)를 구비하는 유리 패키지(1)로서, 유리판 적층체(20)의 하단으로부터 수납 용기(10)의 수납부(12)의 하면(15)까지의 거리(A)가, 유리판 적층체(20)의 상단부(23)로부터 수납 용기(10)의 수납부(12)의 상면(14)까지의 거리(B) 이상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수송에 수반되는 충격이 수납 용기(10)의 수납부(12)의 하면(15)으로부터 적층체에 전해지기가 어려워져, 수송에 있어서의 유리판(21)의 파손을 가급적 저감할 수 있다.
[0043] 또한, 유리판 적층체(20)의 상단부(23)로부터 수납 용기(10)의 수납부(12)의 상면(14)까지의 거리(B)가 15mm 이상인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수납 용기(10)에 유리판(21)을 포함하는 유리판 적층체(20)를 실어 넣을 때에, 유리판(21)을 포함하는 유리판 적층체(20)의 상단부(23)가 수납 용기(10)의 수납부(12)의 상면(14)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0044] 또한, 유리판 적층체(20)의 경사 각도와, 수납 용기(10)의 대각선의 각도와의 차가 10° 이하인 것이다. 또한, 유리판(21)의 사이즈는, 2200mm×2500mm 이상인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제조를 위한 수요가 높아지고 있는, 보다 큰 유리판의 반송에 이용할 수 있다.
[0045] 또한, 유리 패키지(1)는, 지지체(30)와 수납 용기(10)의 하면(15)과의 사이에 개재하는 동시에, 진동 흡수 부재(42)를 구비하는 팰릿(41)을 포함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수송에 수반되는 충격의 일부를, 진동 흡수 부재(42)의 변형에 의해 흡수할 수 있어, 유리판(21)을 포함하는 유리판 적층체(20)에 도달하는 충격을 더욱 저감할 수 있다.
[0046] 또한, 진동 흡수 부재인 방진기(50)는, 나선 형상 탄성체(51)를 구비하며, 축 방향을 수평으로 하여 배치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외부로부터의 충격 입력에 대해 방진기의 나선 형상 탄성체가 유연하게 변형되기 때문에, 모든 방향으로부터의 동시발생적인 충격 입력을 충분히 흡수할 수가 있다. 이 때문에, 유리판(21)을 포함하는 유리판 적층체(20)에 도달하는 충격을 더욱 저감할 수 있다.
[0047] 본 고안은, 유리 패키지의 기술에 이용할 수 있다.
1 유리 패키지
10 수납 용기
11 케이스
12 수납부
13 후면
14 상면
15 하면
16 측면
17 개구부
20 유리판 적층체
21 유리판
22 하단부
23 상단부
30 지지체
31 기대
32 지지부
33 지지 다리
41 팰릿
42 진동 흡수 부재
50 방진기(진동 흡수 부재)
51 나선 형상 탄성체

Claims (9)

  1. 복수의 유리판을 포함하는 적층체와, 경사 자세의 상기 적층체를 적재하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를 수납하는 수납 용기를 구비하는 패키지로서,
    상기 적층체의 하단(下端)으로부터 상기 수납 용기의 내부 공간의 하면까지의 거리가, 상기 적층체의 상단(上端)으로부터 상기 수납 용기의 내부 공간의 상면까지의 거리 이상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패키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수납 용기의 내부 공간의 상면까지의 거리가 15m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패키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의 경사 각도와, 상기 수납 용기의 대각선의 각도와의 차(差)가 1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패키지.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의 경사 각도와, 상기 수납 용기의 대각선의 각도와의 차가 1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패키지.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판의 사이즈는, 2200mm×2500m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패키지.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키지는, 상기 지지체와 수납 용기의 하면과의 사이에 개재(介在)하는 동시에, 진동 흡수 부재를 구비하는 팰릿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패키지.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패키지는, 상기 지지체와 수납 용기의 하면과의 사이에 개재하는 동시에, 진동 흡수 부재를 구비하는 팰릿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패키지.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흡수 부재는, 나선(螺旋) 형상 탄성체이며, 축 방향을 수평으로 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패키지.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흡수 부재는, 나선 형상 탄성체이며, 축 방향을 수평으로 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패키지.
KR2020200001797U 2019-09-04 2020-05-28 유리 패키지 KR20210000612U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161428 2019-09-04
JP2019161428A JP2021038005A (ja) 2019-09-04 2019-09-04 ガラス梱包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612U true KR20210000612U (ko) 2021-03-12

Family

ID=74848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1797U KR20210000612U (ko) 2019-09-04 2020-05-28 유리 패키지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21038005A (ko)
KR (1) KR20210000612U (ko)
CN (1) CN212862314U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68072A (ja) 2009-01-22 2010-08-05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ガラス板梱包体
JP2017149471A (ja) 2016-02-26 2017-08-31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板梱包用パレット及びガラス板梱包体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68072A (ja) 2009-01-22 2010-08-05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ガラス板梱包体
JP2017149471A (ja) 2016-02-26 2017-08-31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板梱包用パレット及びガラス板梱包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12862314U (zh) 2021-04-02
JP2021038005A (ja) 2021-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05592B2 (ja) 搬送ユニット
US8777008B2 (en) Package cushioning structure for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KR20090114351A (ko) 판상체의 곤포 팔레트
JP6028937B2 (ja) 矩形状薄板パネルの搬送ユニット
JP2013180787A (ja) 矩形薄板パネルの搬送ユニット
KR20130140118A (ko) 곤포 용기 및 곤포체
CN210259241U (zh) 防振托盘以及玻璃梱包体
KR102649102B1 (ko) 유리판 곤포용 펠릿 및 유리판 곤포체
JP3177476U (ja) 搬送用パレット
WO2019082298A1 (ja) 表示パネル用梱包トレーおよび梱包トレー積層体
KR20210000612U (ko) 유리 패키지
WO2021024686A1 (ja) ガラス板梱包体
KR200395284Y1 (ko) 편광필름 이송용 카트리지
JP4845946B2 (ja) 梱包装置
JP3205028U (ja) 可搬型収納ケース
JP2005239224A (ja) コンテナ収納台
JP5401983B2 (ja) 組み立て式コンテナ
WO2005092722A1 (ja) 輸送用箱
KR102486511B1 (ko) Lcd용 포장 박스
WO2021049264A1 (ja) ガラス板梱包用パレット、ガラス板梱包体及びガラス板梱包体の製造方法
CN216660717U (zh) 玻璃板捆包体
KR200464052Y1 (ko) 패널제품용 포장박스
JP2009023679A (ja) パレット装置
KR200464053Y1 (ko) 패널제품용 포장박스
JP5577203B2 (ja) 梱包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