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9102B1 - 유리판 곤포용 펠릿 및 유리판 곤포체 - Google Patents

유리판 곤포용 펠릿 및 유리판 곤포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9102B1
KR102649102B1 KR1020187025462A KR20187025462A KR102649102B1 KR 102649102 B1 KR102649102 B1 KR 102649102B1 KR 1020187025462 A KR1020187025462 A KR 1020187025462A KR 20187025462 A KR20187025462 A KR 20187025462A KR 102649102 B1 KR102649102 B1 KR 1026491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plate
belt
protrusions
pair
pel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54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4092A (ko
Inventor
히로시 쿠사카와
미치하루 에타
Original Assignee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140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40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91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91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38Details or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38Details or accessories
    • B65D19/44Elements or devices for locating articles on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4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glass she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 Pallet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관한 유리판 곤포용 펠릿(2)은 복수의 유리판(G)을 종자세로 적층해서 이루어지는 유리판 적층체(3)의 저변을 지지하는 저변 지지부(6)와, 유리판 적층체(3)의 배면을 지지하는 배면 지지부(5)와, 배면 지지부(5) 및 유리판 적층체(3)를 속박하는 벨트(13)와, 벨트(13)와 유리판 적층체(3) 사이에 배치된 누름 부재(14)를 구비한다. 누름 부재(14)는 벨트(13)와 면접촉하는 누름 부재(14)의 접촉면(14a)으로부터 돌출해서 벨트(13)의 폭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돌출부(21a, 21b)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유리판 곤포용 펠릿 및 유리판 곤포체
본 발명은 유리판 곤포용 펠릿 및 유리판 곤포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용 유리 기판의 대형화 및 박육화에 따라, 유리 기판의 곤포에 있어서는 유리 기판을 종자세로 적층한 상태에서 행하는 것이 주류로 되어 있다. 또한, 유리 기판을 종자세로 적층한 상태에서 곤포하기 위한 펠릿으로서는 복수의 유리 기판을 종자세로 적층해서 이루어지는 유리 기판 적층체의 저변을 지지하는 저변 지지부와, 유리 기판 적층체의 배면을 지지하는 배면 지지부를 구비한 것이 일반적이다. 이 경우, 유리 기판 적층체는 펠릿 상(저변의 지지면 상)에 적재되고, 펠릿에 적당한 수단으로 고정된다.
그런데, 이 종류의 펠릿을 사용한 곤포체의 수송에 있어서는 수송시의 진동 등에 의한 유리 기판 적층체의 어긋남이 문제가 된다. 곤포시의 위치로부터 어긋남으로써 유리 기판의 끝면이 주위와 불필요한 접촉이 일어나서, 파손에 이를 우려가 있기 때문에, 이 종류의 어긋남은 가급적으로 방지할 필요가 있다.
여기에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펠릿 상에 적재한 상태의 유리 기판 적층체의 폭방향 양단을 협지하기 위한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즉, 이 구조는 유리 기판 적층체의 폭방향 양 끝면과 접촉 가능한 한 쌍의 판재를 갖고, 한 쌍의 판재를 나사 기구에 의해 유리 기판 적층체의 폭방향 양 끝면에 근접 또는 이격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일본 특허공개 2005-154010호 공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구조에 의하면, 펠릿 상에 적재한 상태의 유리 기판 적층체를 그 폭방향 양측에서 협지 고정할 수 있으므로, 수송 중의 유리 기판 적층체의 폭방향으로의 어긋남 방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렇지만,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바와 같은 구조이면, 유리 기판 적층체를 유지하기 위한 기구가 대규모로 되기 때문에, 펠릿 구조의 복잡화나 펠릿의 대형화가 염려된다. 이러면, 펠릿의 제작 비용이 높아지고, 또한 수송 효율의 저하에 따른 수송 비용의 앙등이 문제가 될 우려가 있다.
이상의 문제는 하등 유리 기판 적층체의 폭방향 양단을 협지할 경우에 한정된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누름 바 등 유리 기판 적층체의 전면을 압박하는 부재를 사용할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일어날 수 있다.
이상의 사정을 감안하여, 본 명세서에서는 간이하게 유리판 적층체를 압박한 상태에서 곤포하는 것이 가능한 펠릿을 제공하는 것을 본 발명에 의해 해결해야 할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의 해결은 본 발명에 관한 유리판 곤포용 펠릿에 의해 달성된다. 즉, 이 펠릿은 복수의 유리판을 종자세로 적층해서 이루어지는 유리판 적층체의 저변을 지지하는 저변 지지부와, 유리판 적층체의 배면을 지지하는 배면 지지부와, 배면 지지부 및 유리판 적층체를 속박하는 벨트와, 벨트와 유리판 적층체 사이에 설치된 누름 부재를 구비한 유리판 곤포용 펠릿으로서, 누름 부재는 벨트와 면접촉하는 누름 부재의 접촉면으로부터 돌출해서 벨트의 폭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돌출부를 구비하는 점을 가져서 특징지워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펠릿에서는 누름 부재 중 벨트와 면접촉하는 접촉면으로부터 돌출해서 벨트의 폭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돌출부를 형성하도록 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벨트가 폭방향으로 어긋났다고 해도 돌출부와 접촉함으로써, 벨트가 압박 부재로부터 벗어나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종자세로 적층해서 이루어지는 유리판 적층체 및 배면 지지부를 속박하도록 벨트를 설치했을 경우, 누름 부재는 그 접촉면의 폭방향을 연직 방향에 가깝게 한 상태에서 벨트와 유리판 적층체 사이에 배치되게 된다. 그 때문에, 접촉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돌출부가, 예를 들면 접촉면의 높이 방향 상측에 위치하도록 누름 바를 배치함으로써, 돌출부가 벨트에 지지된 상태로 된다. 이것에 의해, 펠릿을 구성하는 다른 요소에 고정하지 않아도, 예를 들면 작업자가 누름 부재로부터 손을 뗀 상태에서 그 후의 곤포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매우 간이하게 곤포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누름 부재를 매우 단순한 구조로 할 수 있으므로, 펠릿의 구조가 복잡화 및 대형화되는 사태를 회피하여, 펠릿의 제작 비용 나아가서는 곤포체의 수송 비용을 낮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유리판 곤포용 펠릿은 돌출부가 벽 형상을 이루는 것이고, 접촉면의 폭방향 양측에 쌍을 이루어 형성되어 있는 것이어도 좋다. 또한, 이 경우 한 쌍의 돌출부의 접촉면으로부터의 돌출 높이가 벨트의 두께 치수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는 것이어도 좋다.
이렇게 돌출부를 벽 형상으로 해서 접촉면의 폭방향 양측에 쌍을 이루어 설치한 구조로 함으로써, 벨트가 폭방향 어느 측으로 어긋났다고 해도, 한 쌍의 돌출부 중 반드시 어느 일방의 돌출부와 접촉함으로써, 벨트가 누름 부재로부터 벗어나는 사태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한 쌍의 돌출부의 돌출 높이를 상술한 바와 같이 설정함으로써, 불의의 충격 등에 의해 벨트가 돌출부를 타고 넘어가는 사태를 고확률로 회피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유리판 곤포용 펠릿은 누름 부재가 유리판 적층체를 그 폭방향 양측으로부터 압박하는 사이드 스토퍼인 것이어도 좋다.
또한, 누름 부재가 사이드 스토퍼인 경우에, 본 발명에 관한 유리판 곤포용 펠릿은 한 쌍의 돌출부가 접촉면의 길이방향 전역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는 것이어도 좋다.
이렇게 함으로써, 벨트와 어느 일방의 돌출부가 광범위하게 걸쳐 접촉한 상태가 되기 때문에, 벨트가 사이드 스토퍼로부터 벗어나는 사태를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누름 부재가 사이드 스토퍼일 경우에, 본 발명에 관한 유리판 곤포용 펠릿은 한 쌍의 돌출부에 걸쳐서 천장부가 설치되고, 천장부와 한 쌍의 돌출부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에 벨트가 삽입통과 가능한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어도 좋다.
이렇게 사이드 스토퍼에 관통 구멍을 형성함으로써, 벨트의 폭방향으로의 어긋남은 물론, 벨트의 법선방향으로의 이동에 대해서도 규제할 수 있다. 따라서, 벨트가 사이드 스토퍼로부터 벗어나는 사태를 보다 확실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유리판 곤포용 펠릿은 누름 부재가 유리판 적층체를 그 전면측으로부터 압박하는 누름 바인 것이어도 좋다.
또한, 누름 부재가 누름 바일 경우에, 본 발명에 관한 유리판 곤포용 펠릿은 누름 바가 한 쌍의 돌출부를 2개 구비하고, 각 쌍의 돌출부가 접촉면의 길이방향 일단과 타단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어도 좋다.
누름 바는 유리판 적층체의 전면측을 압박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통상 그 길이방향 치수는 유리판의 폭방향 치수에 준한 크기가 된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한 쌍의 돌출부를 접촉면의 길이방향 전역에 형성했을 경우에는 누름 바 자체의 중량이 펠릿 전체의 중량에 비해서 무시할 수 없을 정도의 크기에 달할 우려가 생긴다. 그래서, 상술한 바와 같이 2쌍의 돌출부를 각각 누름 바의 길이방향 일단과 타단에만 형성함으로써, 벨트의 폭방향으로의 어긋남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면서도, 누름 바 자체의 중량을 적정한 범위 내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누름 부재가 누름 바일 경우에, 본 발명에 관한 유리판 곤포용 펠릿은 벨트의 들뜸을 규제하는 들뜸 규제부가 한 쌍의 돌출부에 걸쳐 설치되어 있는 것이어도 좋다.
이와 같이, 들뜸 규제부를 설치함으로써 벨트의 폭방향으로의 어긋남은 물론, 벨트의 법선방향으로의 이동에 대해서도 규제할 수 있다. 따라서, 벨트가 누름 바로부터 벗어나는 사태를 보다 확실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한 쌍의 돌출부에 들뜸 규제부가 설치되어 있을 경우에, 본 발명에 관한 유리판 곤포용 펠릿은 들뜸 규제부가 원기둥 형상을 이루는 부분을 갖는 것이어도 좋다.
들뜸 규제부를 상술한 형상으로 함으로써, 벨트와 들뜸 규제부의 접촉이 경감된다. 또한, 들뜸 규제부와 접촉면 사이에 벨트를 삽입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누름 바를 벨트에 대하여 용이하게 장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한 쌍의 돌출부에 들뜸 규제부가 설치되어 있을 경우에, 본 발명에 관한 유리판 곤포용 펠릿은 들뜸 규제부가 한 쌍의 돌출부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것이어도 좋다.
들뜸 규제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함으로써, 들뜸 규제부와 접촉면 사이에 벨트를 더욱 삽입하기 쉬워진다. 또한, 벨트와의 마찰을 저감할 수 있으므로, 장착 시에 있어서의 벨트의 마모를 억제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이상의 설명에 관한 유리판 곤포용 펠릿은 벨트가 누름 부재로부터 벗어나는 사태를 효과적으로 방지하면서도, 유리판 적층체의 곤포 작업을 간이하게 행할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예를 들면 이 유리판 곤포용 펠릿과, 유리판 곤포용 펠릿에 적재된 유리판 적층체를 구비한 유리판 곤포체로서 적합하게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에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유리판 곤포용 펠릿에 의하면, 간이하게 유리판 적층체를 압박한 상태에서 곤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유리판 곤포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유리판 곤포용 펠릿의 요부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내는 유리판 곤포용 펠릿의 요부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유리판 곤포체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내는 유리판 곤포체를 화살표(D)의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나타내는 누름 바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에 나타내는 누름 바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누름 바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누름 바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관한 유리판 곤포체의 요부를 도 4에 나타내는 화살표(D)의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관한 유리판 곤포체의 측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나타내는 유리판 곤포체를 화살표(E)의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에 관한 유리판 곤포체의 측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형태에 관한 유리판 곤포체 중 도 12에 나타내는 펠릿의 F부에 상당하는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를 도 1∼도 7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곤포 대상이 되는 유리판을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용 유리 기판으로 하고, 이 유리 기판이 합지를 개재해서 적층된 상태의 유리 기판 곤포체를 곤포할 경우를 예로 들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유리판 곤포체(1)의 사시도이다. 이 유리판 곤포체(1)는 유리판 곤포용 펠릿(2)과, 유리판 곤포용 펠릿(2) 상에서 곤포되는 유리판 적층체(3)를 구비한다.
유리판 적층체(3)는 복수매의 직사각형 형상 내지 정방형 형상의 유리판(G)이 종자세로 합지(I)를 개재해서 적층된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유리판 적층체(3)의 가장 배면측에는 합지(I)가 배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유리판 적층체(3)에 관한 제원의 일례에 대해서 설명하면, 유리판 적층체(3)의 중량은 200kg∼3800kg이다. 또한, 이때 유리판 적층체(3)를 구성하는 유리판(G)의 매수는 200매∼400매, 유리판(G)의 크기는 1000mm×1200mm∼2200mm×2500mm, 유리판(G)의 두께는 300㎛∼700㎛이다. 유리판 적층체(3)에 사용되는 합지(I)는, 예를 들면 순펄프지이다. 합지(I)의 크기는 통상 유리판(G)보다 크고, 유리판(G)끼리가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유리판(G)과 교대로 배치된다. 이것에 의해, 유리판(G)과 합지(I)가 교대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유리판 적층체(3)가 구성된다.
유리판 곤포용 펠릿(2)은 기대부(4)와, 배면 지지부(5)와, 저변 지지부(6)와, 유지부(7)와, 완충판(8), 및 저변측의 수용판(9)을 주로 구비한다. 배면 지지부(5)는 기대부(4)로부터 기립해서 유리판 적층체(3)의 배면을 지지한다. 저변 지지부(6)는 기대부(4) 상에서 유리판 적층체(3)의 저변(하단)을 지지한다. 완충판(8)은 유리판 적층체(3)와 배면 지지부(5) 사이에 배치되고, 저변측의 수용판(9)은 유리판 적층체(3)과 저변 지지부(6) 사이에 배치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3개의 완충판(8)이 배면 지지부(5)의 전면(5a)측에 배치됨과 아울러, 1개의 저변측의 수용판(9)이 저변 지지부(6)의 상면(6a)측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완충판(8)의 폭방향 치수(여기에서 말하는 폭방향이란 유리판(G)의 폭방향과 같다. 이하 동일)의 합계는 배면 지지부(5)의 전면(5a)의 폭방향 치수보다 작고, 전면(5a)의 상방 가장자리부와 양측방 가장자리부를 제외한 영역에 완충판(8)이 장착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때, 유리판 적층체(3)의 유리판(G)의 면적은 완충판(8)의 전면(8a)의 면적보다 작고,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리판(G)을 적층한 상태에서는 완충판(8)의 둘레 가장자리부가 유리판(G)(유리판 적층체(3))으로부터 밀려나온 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유리판(G)은 그 전면을(합지(I)를 개재해서) 완충판(8)의 전면(8a)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배면 지지부(5)의 전면(5a)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직방향에 대하여 소정 각도(예를 들면 5°∼25°)후방으로 경사져 있다. 또한, 배면 지지부(5)의 전면(5a)은 저변 지지부(6)의 상면(6a)(즉, 저변측의 수용판(9)의 지지면(9a))에 대하여, 예를 들면 90°∼100°의 각도를 이루고 있고, 저변 지지부(6)의 상면(6a)(저변측의 수용판(9)의 지지면(9a))은, 예를 들면 10°∼25° 수평방향에 대해 경사져 있다.
또한, 완충판(8)과 저변측의 수용판(9)은, 예를 들면 발포 수지 등 비교적 탄력성이 풍부한(강성이 낮은)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예를 1개 들면, 완충판(8)과 저변측의 수용판(9)은 모두 발포 폴리프로필렌을 주된 재질로 해서 형성된다.
유지부(7)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벨트(13)와, 누름 부재로서의 누름 바(14) 및 사이드 스토퍼(15)를 주된 요소로 해서 구성된다. 이 중 벨트(13)는, 예를 들면 래칫부(16)를 구비한 것(소위 래칫 벨트)이고, 배면 지지부(5)의 후방에 설치되는 훅(17)에 걸어서 2중으로 한 상태에서, 누름 바(14)의 전면(유리판 적층체(3)와 배반하는 측의 표면이고, 벨트(13)와 면접촉하는 접촉면(14a)) 상에서 래칫부(16) 등에 의해 조여진 상태로 고정된다. 또한, 이때 유리판 적층체(3)의 가장 전면측에는, 도 1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면측의 수용판(18)이 적재되고, 전면측의 수용판(18)의 더욱 전면측에는 프레임판(19)이 적재되어 있다. 프레임판(19)에는 훅(20)이 설치되어 있고, 이 훅(20)에 누름 바(14)를 탑재한 상태에서 누름 바(14)를 유리판 적층체(3)와 전면측의 수용판(18) 및 프레임판(19)과 함께 벨트(13)에 의해 배면 지지부(5)측으로 압박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 중, 누름 바(14)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길이방향을 유리판 적층체(3)의 폭방향에 맞춘 상태에서 벨트(13)에 장착된다(유리판 적층체(3)의 전면측에 배치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2개의 누름 바(14)가 유리판 적층체(3)의 폭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또한, 누름 바(14) 중 벨트(13)와 그 길이방향에 걸쳐 면접촉하는 접촉면(14a)의 폭방향 양측에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촉면(14a)으로부터 돌출하는 한 쌍의 돌출부(21a, 21b)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한 쌍의 돌출부(21a, 21b)는 함께 벽 형상을 이루는 것이고, 접촉면(14a)(누름 바(14))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하여 있다. 또한, 이들 한 쌍의 돌출부(21a, 21b)는 접촉면(14a)의 폭방향에서 대향함과 아울러, 접촉면(14a)의 길이방향 양단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한 쌍의 돌출부(21a, 21b)의 대향 간격(w1)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벨트(13)의 폭방향 치수(w2) 이상으로 설정된다. 이것에 의해, 벨트(13)는 한 쌍의 돌출부(21a, 21b) 사이에 설치된 상태에서 접촉면(14a)과 그 길이방향에 걸쳐 면접촉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한 쌍의 돌출부(21a, 21b)의 접촉면(14a)으로부터의 돌출 높이(t2)(도 6을 참조)가 벨트(13)의 두께 치수(t1)(도 6을 참조)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벨트(13)가 일방의 돌출부(21a)(또는 돌출부(21b))를 타고 넘어가는 사태를 가급적으로 방지 가능하게 하고 있다.
사이드 스토퍼(15)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리판 적층체(3)의 폭방향 양측에 있어서 유리판 적층체(3)와 벨트(13)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사이드 스토퍼(15) 중 벨트(13)와 그 길이방향에 걸쳐 면접촉하는 접촉면(15a)(도 5를 참조)의 폭방향 양측에는 접촉면(15a)으로부터 돌출하는 한 쌍의 돌출부(22a, 22b)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한 쌍의 돌출부(22a, 22b)는 함께 벽 형상을 이루는 것이고, 접촉면(15a)(사이드 스토퍼(15))의 길이방향에 따라 연장하여 있다. 또한, 이들 한 쌍의 돌출부(22a, 22b)는 접촉면(15a)의 길이방향 전역, 즉 사이드 스토퍼(15)의 길이방향 전역에 걸쳐 대향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도시는 생략하지만, 한 쌍의 돌출부(22a, 22b)의 대향 간격은 벨트(13)의 폭방향 치수 이상으로 설정된다. 이것에 의해, 벨트(13)는 한 쌍의 돌출부(22a, 22b) 사이에 설치된 상태에서 접촉면(15a)과 그 길이방향에 걸쳐 면접촉 가능하게 된다(도 1 및 도 5를 참조).
이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펠릿(2)에서는 누름 바(14) 중 벨트(13)와 면접촉하는 접촉면(14a)으로부터 돌출해서 벨트(13)의 폭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돌출부(21a)(또는 돌출부(21b))를 형성하도록 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벨트(13)가 폭방향으로부터 어긋났다고 해도 돌출부(21a)(또는 돌출부(21b))와 접촉함으로써, 벨트(13)가 누름 부재로부터 벗어나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와 같이, 돌출부(21a, 21b)를 벽 형상으로 해서 접촉면(14a)의 폭방향 양측에 쌍을 이루어 형성한 구조로 함으로써, 벨트(13)가 폭방향 어느 측으로 어긋났다고 해도, 한 쌍의 돌출부(21a, 21b) 중 반드시 어느 일방의 돌출부(21a, 21b)와 접촉함으로써, 벨트(13)가 누름 바(14)로부터 벗어나는 사태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누름 부재로서의 사이드 스토퍼(15) 중 벨트(13)와 면접촉하는 접촉면(15a)의 폭방향 양측에, 접촉면(15a)으로부터 돌출해서 벨트(13)의 폭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한 쌍의 돌출부(22a, 22b)를 형성하도록 했으므로, 벨트(13)가 사이드 스토퍼(15)로부터 벗어나는 사태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접촉면(15a)으로부터 돌출하는 한 쌍의 돌출부(22a, 22b) 중 연직방향의 장측에 위치하는 돌출부(22b)가 벨트(13)에 지지된 상태로 되기 때문에, 작업자가 사이드 스토퍼(15)로부터 손을 뗀 상태에서 그 후의 곤포 작업을 행할 수 있어서, 곤포 작업의 간이화를 도모할 수 있다. 더욱이, 사이드 스토퍼(15)를 매우 단순한 구조로 할 수 있으므로, 펠릿(2)의 구조가 복잡화 및 대형화되는 사태를 회피하여, 펠릿(2)의 제작 비용 나아가서는 곤포체(1)의 수송 비용을 낮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 본 발명에 관한 유리판 곤포용 펠릿 및 유리판 곤포체의 제 1 실시형태를 설명했지만, 이 펠릿 및 곤포체는 당연히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어서 임의의 형태를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
예를 들면 누름 바(14)에 대해서, 제 1 실시형태에서는 벨트(13)의 폭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기 위한 한 쌍의 돌출부(21a, 21b)를 접촉면(14a)의 길이방향양단 근방에만 형성했을 경우를 예시했지만(도 6 등), 물론 이것 이외의 형태를 취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누름 바(14)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이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한 쌍의 돌출부(23a, 23b)는 접촉면(14a)의 길이방향 전역, 즉 여기에서는 누름 바(14)의 길이방향 전역에 걸쳐 배치되어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벨트(13)와 어느 일방의 돌출부(23a, 23b)가 광범위하게 걸쳐 접촉한 상태가 되기 때문에, 벨트(13)가 누름 바(14)로부터 벗어나는 사태를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물론, 한 쌍의 돌출부(21)의 배치 형태는 그 사이에 벨트(13)를 배치 가능한 한에 있어서 임의이고, 예를 들면 도 6에 나타내는 형태의 한 쌍의 돌출부(21a, 21b)를 접촉면(14a)의 길이방향에 걸쳐 단속적으로 형성하는(길이방향 중앙 등 양단 이외의 개소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상의 도시예에서는 한 쌍의 돌출부(21a, 21b)를 접촉면(14a)의 폭방향에서 대향시킨 경우를 예시했지만(도 7 등을 참조), 물론 이 형태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시는 생략하지만, 일방의 돌출부(21a)와 타방의 돌출부(21b)를 길이방향에서 일부만 중복시키거나, 또는 전혀 중복하지 않도록 어긋나게 해서 교대로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
또한, 누름 바(14)에는 벨트(13)의 폭방향(접촉면(14a)의 폭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기 위한 부재(한 쌍의 돌출부(21a, 21b))를 설치할 뿐만 아니라, 벨트(13)의 법선방향으로의 이동(접촉면(14a)으로부터의 들뜸)을 규제하기 위한 부재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누름 바(14)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이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누름 바(14)는 접촉면(14a)의 폭방향에 있어서 대향하는 한 쌍의 돌출부(24a, 24b)를 가짐과 아울러, 한 쌍의 돌출부(24a, 24b)에 걸쳐서 배치되는 들뜸 규제부(25)를 더 갖는다. 이렇게 누름 바(14)를 구성함으로써, 벨트(13)는 접촉면(14a)의 폭방향으로의 이동이 한 쌍의 돌출부(24a, 24b)에 의해 규제됨과 아울러, 법선방향으로의 이동(들뜸)이 들뜸 규제부(25)에 의해 규제된다. 따라서, 불의의 충격 등에 의해 벨트(13)가 누름 바(14)로부터 벗어나는 사태를 보다 확실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들뜸 규제부(25)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적어도 벨트(13)와 접촉할 가능성이 있는 부분을 원기둥 형상으로 한 것이어도 좋다. 이렇게 함으로써, 벨트(13)와 들뜸 규제부(25)의 접촉이 경감된다. 또한, 들뜸 규제부(25)와 접촉면(14a) 사이에 벨트(13)를 삽입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누름 바를 벨트(13)에 대하여 용이하게 장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 경우, 들뜸 규제부(25)를 한 쌍의 돌출부(24a, 24b)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도록 해도 좋다. 이렇게 하면, 들뜸 규제부(25)가 이른바 롤러로서 기능하므로, 들뜸 규제부(25)와 접촉면(14a) 사이에 벨트(13)를 더 삽입하기 쉬워진다. 또한, 벨트(13)와의 마찰을 저감할 수 있으므로, 설치시에 있어서의 벨트(13)의 마모를 억제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
또한, 사이드 스토퍼(15)에 대해서 도 1에 나타내는 형태 이외의 형태를 취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0은 그 일례(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관한 사이드 스토퍼(26)의 정면도이다. 이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사이드 스토퍼(26)는 벨트(13)와의 접촉면의 폭방향(도 10에서 말하면 상하 방향) 양측으로부터 돌출하는 한 쌍의 돌출부에 걸쳐지는 천장부를 더 갖고, 이들 천장부와 한 쌍의 돌출부 및 접촉면으로 둘러싸여지는 영역에 벨트(13)가 삽입통과 가능한 관통 구멍(27)을 형성한 것이다. 이렇게 사이드 스토퍼(26)에 관통 구멍(27)을 설치함으로써, 적어도 사이드 스토퍼(26)와의 접촉 영역에 있어서는 벨트(13)는 사방을 둘러싸인 상태가 된다. 따라서, 벨트(13)의 폭방향으로의 어긋남은 물론, 벨트(13)의 법선방향으로의 이동에 대해서도 규제할 수 있어서, 벨트(13)가 사이드 스토퍼(26)로부터 벗어나는 사태를 보다 확실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상의 실시형태에서는, 예를 들면 도 1 및 도 5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쌍의 돌출부(22a, 22b)를 접촉면(15a)의 길이방향 전역, 즉 사이드 스토퍼(15)의 길이방향 전역에 걸쳐 배치하는 경우를 예시했지만, 물론 그 이외의 형태를 취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시는 생략하지만, 쌍을 이루는 돌출부(22a, 22b)를 사이드 스토퍼(15)의 길이방향 양단에만 배치하도록 해도 상관없다.
한편, 이상의 설명에서는 누름 부재로서 누름 바(14)와 사이드 스토퍼(15)를 함께 구비하고, 또한 누름 바(14)와 사이드 스토퍼(15) 모두에 본 발명에 관한 한 쌍의 돌출부(21a, 21b)(22a,22b)를 형성했을 경우를 예시했지만(도 1 등을 참조), 물론 이것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누름 바(14)와 사이드 스토퍼(15) 중 어느 일방에만 한 쌍의 돌출부를 형성한 구성을 취하는 것도 가능하고, 또한 그 경우에 한 쌍의 돌출부를 형성하지 않는 측의 누름 부재를 생략한 구성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요컨대, 벨트(13)에 의해 유리판 적층체(3)를 압박 가능한 누름 부재가 적어도 하나 있고, 또한 그 누름 부재에 한 쌍의 돌출부가 설치되어 있는 한에 있어서, 본 발명에 관한 유리판 곤포용 펠릿(2)은 임의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를 도 11 및 도 12에 근거해서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관한 유리판 곤포체(1)의 측면도, 도 12는 유리판 곤포체(1)를 도 11 중의 화살표(E)의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유리판 곤포체(1) 및 유리판 곤포용 펠릿(2)은 각각 한 쌍의 돌출부(21a, 21b)(22a,22b)를 설치해서 이루어지는 누름 바(14)와 사이드 스토퍼(15)를 구비함과 아울러, 종자세로 적층된 상태의 유리판 적층체(3)의 하단 양측에, 유리판 적층체(3)의 폭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한 쌍의 규제 부재(28)와, 규제 부재(28)를 지지하는 지지부(29)를 더 구비한다. 지지부(29)는, 예를 들면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대부(4) 상에 배치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규제 부재(28)와 유리판 적층체(3) 사이에는 완충 부재(30)가 배치되고, 완충 부재(30)를 통해서 유리판 적층체(3)가 한 쌍의 규제 부재(28)에 의해 협지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한 쌍의 규제 부재(28)를 설치함으로써 유리판 적층체(3)를 보다 확실하게 고정하여, 수송시의 어긋남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규제 부재(28, 28)와 이것을 지지하는 지지부(29)만, 바꿔 말하면 가동부를 갖지 않고 유리판 적층체(3)의 하단을 고정하기 위한 구조를 얻을 수 있으므로, 매우 간단한 구조로 마무리되어, 제작 비용의 앙등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매우 간단한 구조이기 때문에, 특허문헌 1과 같이 협지하는 기구와 비교하여, 유리판 곤포용 펠릿(2)의 대형화, 특히 폭방향의 대형화를 회피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수송 효율 나아가서는 수송 비용의 저감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
또한, 한 쌍의 규제 부재(28, 28)는 도 11에 나타내는 것 같이 판 형상을 이루는 것일 경우, 규제 부재(28)를 지지부(29)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구성하도록 해도 좋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에 관한 유리판 곤포체(1)의 측면도이다. 이 경우, 예를 들면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부(29)에 규제 부재(28)를 꽂아넣기 위한 슬릿(29a)을 형성하여 두고(지지부(29)의 상면에 개구를 형성하여 두고), 먼저 유리판 적층체(3) 등을 적재한다. 그런 후, 규제 부재(28)를 슬릿(29a)에 꽂아넣어서 규제 부재(28)를 지지부(29)에 장착한 후, 규제 부재(28)와 유리판 적층체(3) 사이에 완충 부재(30)를 설치한다. 이렇게 하면, 유리판(G)의 적층 작업 및 그 후의 곤포 작업을 용이하고 또한 효율적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완충 부재(30)는 완충판(8, 9)과 마찬가지로 비교적 강성이 낮고, 탄력성이 풍부한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력성이 풍부한 재료(이른바 탄성체)로 형성한 것이면, 유리판 곤포체(1)의 수송시에 충격을 받았을 때, 완충 부재(30)의 탄성 변형에 의해 충격을 흡수할 수 있으므로, 유리판(G)의 파손을 가급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 탄성력이 풍부한 재료로서는 고무 등의 엘라스토머나 발포 수지 등이 고려되지만, 발포 수지이면 고경량화에 기여할 수 있다. 특히 폴리올레핀계 발포 수지이면, 이 종류의 충격 흡수에 적합한 탄성을 발휘할 수 있다고 기대된다. 또한, 발포 수지 중의 기포는 연속 기포이어도 독립 기포이어도 좋지만, 독립 기포인 편이 충격 흡수의 관점에서는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7 실시형태>
또한, 완충 부재(30)는 하나의 재료만으로 구성해도 좋고, 2개 이상의 재료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4는 그 일례(본 발명의 제 7 실시형태)에 관한 유리판 곤포체(1)의 요부 확대도를 나타내고 있다. 이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완충 부재(30)는 서로 재질이 다른 제 1 완충층(30a)과 제 2 완충층(30b)을 조합시킴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예를 들면 유리판 적층체(3)의 하단에 가까운 측의 제 1 완충층(30a)은 규제 부재(28)에 가까운 측의 제 2 완충층(30b)에 비해서 단단한(탄성률이 높은) 재료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렇게 완충 부재(30)를 구성함으로써, 수송 중의 진동 등의 충격에 의한 유리판 적층체(3)의 어긋남을 억제하고, 또한 유리판 적층체(3)로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한편, 유리판 적층체(3)의 하단에 가까운 측의 제 1 완충층(30a)을 규제 부재(28)에 가까운 측의 제 2 완충층(30b)보다 유연한(탄성률이 낮은) 재료로 형성함으로써, 끝면에의 충격에 특히 약한 박육(예를 들면 0.5mm 이하)의 유리 기판에 대한 직접적인 충격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규제 부재(28)의 측에 상대적으로 단단한 완충층(30b)을 배치함으로써, 만일 유리판 적층체(3)가 그 폭방향으로 어긋남이 생겼다고 해도, 그 어긋남량(폭방향으로의 이동량)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상의 설명에서는 규제 부재(28), 지지부(29), 및 완충 부재(30)에 추가해서, 한 쌍의 돌출부(21a, 21b)를 갖는 누름 바(14)나 한 쌍의 돌출부(22a, 22b)를 갖는 사이드 스토퍼(15)를 구비한 유리판 곤포용 펠릿(2)을 예시했지만, 그 이외의 구성을 갖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즉, 한 쌍의 돌출부(21a, 21b)(22a,22b)를 생략한 누름 바(14)와 사이드 스토퍼(15)를 구비한 유리판 곤포용 펠릿(2)에 규제 부재(28)와 지지부(29), 및 완충 부재(30)를 장착해서 유리판 곤포체(1)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벨트(13) 이외의 고정 수단으로 유리판 적층체(3)를 고정 가능하게 하는 유리판 곤포용 펠릿에 규제 부재(28)와 지지부(29), 및 완충 부재(30)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상의 설명에서는 유리판(G) 사이에 합지(I)를 개재해서 적층하는 경우를 예시했지만(도 1 등), 물론 합지(I)를 생략하고 유리판(G)만을 적층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에 관한 유리판 곤포용 펠릿을 적용하는 것은 가능하다.

Claims (11)

  1. 복수의 유리판을 종자세로 적층해서 이루어지는 유리판 적층체의 저변을 지지하는 저변 지지부와,
    상기 유리판 적층체의 배면을 지지하는 배면 지지부와,
    상기 배면 지지부 및 상기 유리판 적층체를 속박하는 벨트와,
    상기 벨트와 상기 유리판 적층체 사이에 설치된 누름 부재를 구비한 유리판 곤포용 펠릿으로서,
    상기 누름 부재는 상기 벨트와 면접촉하는 상기 누름 부재의 접촉면으로부터 돌출해서 상기 벨트의 폭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돌출부는 벽 형상을 이루는 것이고, 상기 접촉면의 폭방향 양측에 쌍을 이루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돌출부의 상기 접촉면에서의 돌출 높이가 상기 벨트의 두께 치수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고,
    상기 누름 부재는 상기 유리판 적층체를 그 전면측으로부터 압박하는 누름 바이고,
    상기 벨트의 들뜸을 규제하는 들뜸 규제부가 상기 한 쌍의 돌출부 사이에 걸쳐서 설치되어 있고,
    상기 들뜸 규제부는 원기둥 형상을 이루는 부분을 갖고,
    상기 들뜸 규제부는 상기 한 쌍의 돌출부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 곤포용 펠릿.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 부재로서 상기 유리판 적층체를 그 폭방향 양측으로부터 압박하는 사이드 스토퍼를 더 구비하는 유리판 곤포용 펠릿.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돌출부는 상기 접촉면의 길이방향 전역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 유리판 곤포용 펠릿.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돌출부에 걸쳐서 천장부가 설치되고, 상기 천장부와 상기 한 쌍의 돌출부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에 상기 벨트가 삽입통과 가능한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유리판 곤포용 펠릿.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 부재는 상기 한 쌍의 돌출부를 2개 구비하고,
    상기 각 쌍의 돌출부는 상기 접촉면의 길이방향 일단과 타단에 형성되어 있는 유리판 곤포용 펠릿.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유리판 곤포용 펠릿과, 상기 유리판 곤포용 펠릿에 적재된 상기 유리판 적층체를 구비한 유리판 곤포체.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87025462A 2016-02-26 2016-12-20 유리판 곤포용 펠릿 및 유리판 곤포체 KR1026491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035985 2016-02-26
JP2016035985A JP6656586B2 (ja) 2016-02-26 2016-02-26 ガラス板梱包用パレット及びガラス板梱包体
PCT/JP2016/087943 WO2017145508A1 (ja) 2016-02-26 2016-12-20 ガラス板梱包用パレット及びガラス板梱包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4092A KR20180114092A (ko) 2018-10-17
KR102649102B1 true KR102649102B1 (ko) 2024-03-20

Family

ID=59686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5462A KR102649102B1 (ko) 2016-02-26 2016-12-20 유리판 곤포용 펠릿 및 유리판 곤포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656586B2 (ko)
KR (1) KR102649102B1 (ko)
CN (1) CN208699321U (ko)
TW (1) TWI694957B (ko)
WO (1) WO201714550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65707B2 (ja) * 2019-08-05 2023-04-27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板梱包体
JPWO2021215310A1 (ko) 2020-04-21 2021-10-28
WO2022044872A1 (ja) * 2020-08-31 2022-03-03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板梱包体
CN114229227A (zh) * 2022-01-21 2022-03-25 青岛融合光电科技有限公司 载板玻璃的长途运输装置及其降低破损的包装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55226A (ja) * 2001-02-28 2002-09-11 Nice Corp 梱包補助材とその使用法
JP2011246147A (ja) * 2010-05-25 2011-12-08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ガラス板梱包用パレット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09771U (ko) * 1978-01-14 1979-08-02
JPS5697004U (ko) * 1979-12-24 1981-08-01
JP4048339B2 (ja) * 1998-12-24 2008-02-20 旭硝子株式会社 曲面ガラス板搬送用パレットおよび曲面ガラス板の梱包方法
US6899946B2 (en) * 2000-10-04 2005-05-31 Ppg Industries Ohio, Inc. Reusable restraint for securing articles for shipping and/or storage
US7431547B2 (en) * 2000-10-04 2008-10-07 Ppg Industries Ohio, Inc. Corner restraint for securing articles on a shipping and/or storage rack
TWI268892B (en) * 2002-06-26 2006-12-21 Asahi Glass Co Ltd Glass plate packing device and packing method, and package
JP3739382B2 (ja) 2003-11-24 2006-01-25 サンスン コールニン プレシシオン ガラス コーポレーション リミテッド ディスプレイ用平面ガラス板の包装コンテナ
JP5630599B2 (ja) * 2010-01-15 2014-11-26 旭硝子株式会社 板状体積層体
JP5772262B2 (ja) * 2011-06-10 2015-09-02 日本ゼオン株式会社 梱包装置
ES2543369B1 (es) * 2014-02-17 2016-06-03 Transportes Matías Elipe, S.L. Sistema de embalaje y transporte de láminas de vidrio
JP5697004B1 (ja) 2014-05-02 2015-04-08 愼一 石井 免振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55226A (ja) * 2001-02-28 2002-09-11 Nice Corp 梱包補助材とその使用法
JP2011246147A (ja) * 2010-05-25 2011-12-08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ガラス板梱包用パレ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4092A (ko) 2018-10-17
TWI694957B (zh) 2020-06-01
TW201736203A (zh) 2017-10-16
WO2017145508A1 (ja) 2017-08-31
JP2017149472A (ja) 2017-08-31
CN208699321U (zh) 2019-04-05
JP6656586B2 (ja) 2020-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49102B1 (ko) 유리판 곤포용 펠릿 및 유리판 곤포체
US20140061092A1 (en) Package cushioning structure for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JP5787107B2 (ja) ガラス板梱包体
WO2012153598A1 (ja) 梱包構造体、梱包方法および搬送方法
JP6028937B2 (ja) 矩形状薄板パネルの搬送ユニット
JP2010168072A (ja) ガラス板梱包体
WO2012029217A1 (ja) 包装セット
US20140076765A1 (en) Package cushioning structure for module
KR101456918B1 (ko) 유리판 곤포체
JP2013177151A (ja) 緩衝材
KR20140081719A (ko) 유리판 곤포용 파렛트
WO2014194545A1 (zh) 一种液晶模组前框包装装置
WO2022044872A1 (ja) ガラス板梱包体
JP6922894B2 (ja) 梱包体および梱包体の製造方法
WO2021054034A1 (ja) ガラス板梱包体
JP5534085B2 (ja) ガラス板梱包体
JP2009234602A (ja) ガラス基板梱包用パレット
JP2010247852A (ja) 映像表示装置の包装部材
JP2010116175A (ja) 梱包装置
WO2021049264A1 (ja) ガラス板梱包用パレット、ガラス板梱包体及びガラス板梱包体の製造方法
CN217779531U (zh) 一种用于运输光伏组件的包装组件
JP5464466B2 (ja) ガラス板梱包体
CN212710851U (zh) 玻璃板捆包体
JP2007069937A (ja) 梱包部材と梱包方法
JP5732426B2 (ja) 緩衝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