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6918B1 - 유리판 곤포체 - Google Patents

유리판 곤포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6918B1
KR101456918B1 KR1020097018842A KR20097018842A KR101456918B1 KR 101456918 B1 KR101456918 B1 KR 101456918B1 KR 1020097018842 A KR1020097018842 A KR 1020097018842A KR 20097018842 A KR20097018842 A KR 20097018842A KR 101456918 B1 KR101456918 B1 KR 1014569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plate
pressing
laminate
glass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88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4728A (ko
Inventor
타카유키 노다
Original Assignee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447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47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69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69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4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glass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3/00Packaging fragile or shock-sensitive articles other than bottles; Unpacking eggs
    • B65B23/20Packaging plate glass, tiles, or shing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38Details or accessories
    • B65D19/44Elements or devices for locating articles on platforms

Abstract

유리판 적층체의 폭 방향에 걸치도록 누름바를 배치해서 그 누름바의 양단부를 체결해서 팰릿에 유지하는 곤포 형태를 채용하면서 폭 방향 양단부의 응력 집중에 의한 유리판의 파손을 저감하고, 또한 유리체 적층체의 짐무너짐을 방지한다. 팰릿(2) 상에 적층된 유리판 적층체(G)의 폭 방향에 걸치도록 누름바(4)를 배치하고, 유리판 적층체(G)의 폭 방향 양측의 외측으로 돌출된 누름바(4)의 양단부를 체결 부재(5)에 의해 팰릿(2)측으로 인입하도록 체결함으로써 유리판 적층체(G)를 팰릿(2) 상에 유지한 유리판 곤포체(1)로서, 누름바(4)와 유리판 적층체(G) 사이에 쌍방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압박판(6)을 개재시킴과 아울러 압박판(6)을 유리판 적층체(G)의 폭 방향 양단부를 제외한 폭 방향 중앙부에 접촉시켰다.
유리판 곤포체, 유리판 적층체, 누름바, 압박판, 체결 부재

Description

유리판 곤포체{GLASS PLATE PACKING BODY}
본 발명은 복수장의 유리판이 적층된 유리판 적층체가 팰릿 상에 유지된 유리판 곤포체의 개량 기술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액정 디스플레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등의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이하, 단지 FPD라고 함)용 유리 기판 등 각종 유리판을 수송할 경우 복수장의 유리판을 적층해서 이루어지는 유리판 적층체를 팰릿 상에 유지한 유리판 곤포체의 상태에서 행하여지는 것이 통례이다.
이 종류의 유리판 곤포체로서는 팰릿 상에 복수장의 유리판을 세로 자세로 적층한 상태로 유지한 것과 팰릿 상에 복수장의 유리판을 가로 자세로 적층한 상태로 유지한 것으로 대별된다.
전자의 곤포체로서는 기대부와, 기대부의 후방에 세워 설치된 등받이부를 구비한 팰릿이 이용된다. 그리고, 복수장의 유리판을 등받이부에 세워 걸치게 하여 기대부 상에 세로 자세로 적층한 후, 그 유리판 적층체의 전면을 등받이부측을 향해서 압박하여 유지함으로써 곤포체가 제작된다.
이 때, 유리판 적층체를 압박하는 방법으로서는 여러 가지의 것이 있지만, 예를 들면 하기의 특허 문헌 1에는 팰릿의 기대부의 전방에 앞쪽 프레임을 별도로 세워 설치함과 아울러 앞쪽 프레임에 링크 기구를 통해서 연결된 누름편에 의해 유리판 적층체를 등받이부측으로 압박해서 유지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앞쪽 프레임의 자세가 변화되면 누름편에 의한 압박력이 저하되므로 앞쪽 프레임의 상면과 등받이부의 상면 사이에 상부 바가 걸쳐져 앞쪽 프레임이 직립 상태로 유지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에서는 유리판 적층체를 누름편으로 압박하기 위해 앞쪽 프레임이나 상부 바를 망루 형상으로 조합시킬 필요가 있으므로 곤포체의 구성이 복잡해질 뿐만 아니라 곤포체의 제작에 번거롭고 또한 번잡한 작업이 강요되게 된다. 특히, 상부 바를 걸치는 관계이므로 앞쪽 프레임은 유리판보다 크게 하는 것이 필요 불가결하게 된다. 그 때문에, 곤포 대상이 되는 유리판이 클 경우에는 앞쪽 프레임도 대형화되어 핸들링성이 악화된다. 아울러, 이 경우에는 상부 바의 장착 작업을 높은 곳에서 행할 필요가 생기기 때문에 그 장착 작업을 원활하게 행하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그래서, 이러한 문제에 대처하는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구성에 의해 유리판 적층체를 압박해서 유지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즉, 팰릿 상에 적층된 유리판 적층체의 폭 방향에 걸치도록 누름바를 배치하고, 유리판 적층체의 폭 방향 양측의 외측으로 돌출된 누름바의 양단부를 체결 부재에 의해 팰릿측으로 인입하도록 체결함으로써 유리판 적층체를 압박해서 팰릿 상에 유지한 것이다(예를 들면, 하기의 특허 문헌 2).
이와 같이 하면, 팰릿에 앞쪽 프레임이나 상부 바를 별도 설치할 필요가 없 고, 누름바의 양단부를 체결 부재에 의해 체결하는 것만으로 유리판 적층체를 팰릿 상에 용이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평7-267290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 특허 공개 제 2006-347592 호 공보
그러나, 유리판 적층체의 폭 방향에 걸치도록 배치된 누름바의 양단부를 체결함으로써 유리판 적층체를 팰릿측에 압박해서 유지하면 유리판의 폭 방향 양단부에 응력이 집중되기 쉽다. 또한, 누름바 자체에 휘어짐도 생기기 때문에 유리판의 양단부에 의해 한층 응력이 집중되기 쉽다. 유리판의 단부는 파손을 일으키기 쉬운 부위이기 때문에 누름바에 의한 압박력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이, 유리판의 단부에 응력 집중이 생긴 상태에서 곤포했을 경우에는 짐풀기까지의 사이에 유리판이 파손된다는 문제가 생긴다.
또한, 누름바의 휨이 클 경우에는 유리판 적층체의 폭 방향 양단부만이 유지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곤포체를 수송하면 수송 중의 진동이나 충격 등에 의해 유리판의 폭 방향 중앙부가 누름바의 만곡과 같이 변형되어 짐무너짐을 일으킨다는 문제가 생긴다. 그리고, 수송처에서는 흡착 패드를 구비한 로봇에 의해 팰릿으로부터 유리판이 한 장씩 취출되는 것이 통례이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짐무너짐이 일어나서 유리판이 만곡되어 있으면 흡착 패드로 유리판을 적정하게 흡착할 수 없고, 로봇에 의한 취출 작업이 실질적으로 불가능하게 된다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문제는 복수장의 유리판을 세로 자세로 적층해서 곤포했을 경우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장의 유리판을 가로 자세로 적층해서 곤포했을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생길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정을 감안하여 유리판 적층체가 폭 방향에 걸치도록 누름바를 배치해서 그 누름바의 양단부를 체결하여 팰릿에 유지하는 곤포 형태를 채용하면서 폭 방향 양단부의 응력 집중에 의한 유리판의 파손을 저감하고, 또한 유리체 적층체의 짐무너짐을 방지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창안된 본 발명은 팰릿 상에 적층된 유리판 적층체의 폭 방향에 걸치도록 누름바를 배치함과 아울러 상기 유리판 적층체의 폭 방향 양측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기 누름바의 양단부를 체결 부재에 의해 상기 팰릿측으로 인입하도록 체결함으로써 상기 유리판 적층체를 상기 팰릿 상에 압박해서 유지한 유리판 곤포체에 있어서, 상기 누름바와 상기 유리판 적층체 사이에 쌍방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압박판을 개재시킴과 아울러 상기 압박판을 유리판 적층체의 폭 방향 양단부를 제외한 폭 방향 중앙부에 접촉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압박판은 유리판 적층체의 폭 방향 양단부와 비접촉이므로 누름바에 의한 압박력이 유리판의 폭 방향 양단에 작용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유리판 적층체의 폭 방향 양단부의 응력 집중이 생기기 어려워져 유리판의 파손을 효과적으로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유리판 적층체의 폭 방향 양단부를 제외한 폭 방향 중앙부에는 압박판이 접촉하고 있으므로 중앙부에는 누름바에 의한 압박력이 작용한다. 그 때문에, 유리판 적층체의 중앙부의 변위가 규제된다. 따라서, 곤포체를 수송했을 경우에도 유리판 적층체의 짐무너짐을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압박판 중 상기 누름바와 접촉하고 있는 부분이 상기 유리판 적층체의 폭 방향으로 연속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유리판 적층체의 폭 방향 양단부를 제외한 폭 방향 중앙부가 폭 방향으로 걸쳐져 연속적으로 압박된다. 그 때문에, 유리판 적층체의 폭 방향 중앙부를 폭 방향으로 단속적으로 압박했을 경우와 같이 유리판이 폭 방향으로 물결침과 같이 변형된다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변형에 의한 유리판의 파손이나 짐무너짐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압박판은 상기 유리판 적층체의 폭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치수가 상기 누름바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누름바의 유리판 적층체의 폭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치수가 압박판의 그것보다 작으므로 누름바에 의해 직접적으로 유리판 적층체를 압박하는 경우보다 유리판 적층체에 작용하는 압박력을 폭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넓은 범위로 분산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유리판의 폭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변형이 억제되어 유리판의 파손이나 짐무너짐을 방지함에 있어서 유리하게 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유리판 적층체는 복수장의 유리판을 세로 자세로 적층해서 이루어지고, 상기 팰릿은 유리판의 하변부를 지지하는 기대부와 유리판의 배면부를 지지하는 등받이부를 갖는 것이어도 좋다. 또한, 이 경우에는 유리판 적층체의 폭 방향은 유리판 적층체의 상하 방향(높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압박판의 하단부가 상기 팰릿의 기대부로부터 이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복수장의 유리판을 세로 자세로 적층한 유리판 적층체에서는 그 하변부가 팰릿의 기대부에 의해 지지되어 있고, 이 하변부는 변형이나 움직임의 자유도가 작게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이 하변부에 압박판을 접촉시켜 누름바에 의한 압박력을 작용시켰을 경우에는 압박력에 의한 응력 집중을 유리판의 변형 등에 의해 완화할 수 없으므로 유리판에 파손이 생기기 쉽다. 따라서, 상기 구성과 같이, 압박판의 하단부를 기대부로부터 이간시켜 유리판의 하변부에 압박력이 작용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유리판의 파손을 방지하는 관점에서도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압박판의 폭 방향 양측에 상기 유리판 적층체의 폭 방향 양측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암을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팰릿의 등받이부의 폭 방향 양측에 상기 유리판 적층체의 적층 방향으로 연장되며 또한 상기 암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가이드 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가이드 부재로 상기 암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압박판의 하단부를 상기 팰릿의 기대부로부터 이간시켜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압박판을 가이드 부재를 따라 슬라이딩시킴으로써 유리판의 적층 장수에 따른 적정한 위치에 압박판을 용이하게 위치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누름바를 상기 유리판 적층체의 상하 방향으로 복수개 배치함과 아울러 최상부의 누름바에 의해 상기 유리판 적층체에 작용하는 단위 면적당의 압박력을 최하부의 누름바에 의해 상기 유리판 적층체에 작용하는 단위 면적당의 압박력보다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복수장의 유리판을 세로 자세로 적층한 유리판 적층체에서는 하변부가 팰릿의 기대부와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움직이기 어려운 상태에 있는 것에 대하여 상변부는 비교적 자유롭게 움직이는 상태에 있다. 그 때문에, 유리판 적층체의 상방부의 적층 두께는 그 하방부의 적층 두께보다 변화되기 쉽다. 따라서, 유리판 적층체의 상방부와 하방부에 동등한 압박력을 작용시켰을 경우에는 상방부의 적층 두께가 하방부의 적층 두께보다 얇아져 적층 상태가 불균일해지기 쉽다. 그리고, 이러한 적층 상태의 불균일이 생기면 유리판 적층체의 상방부가 하방부보다 압박된 상태로 유지된다. 그 때문에, 수송 중에 곤포체에 밑에서부터 밀어올리는 충격이 더해지면 유리판이 상방으로 움직일 여지가 없어 그 충격이 유리판의 하변부에 직접 작용되어 파손될 우려가 있다. 그래서, 이러한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상기 구성과 같이 최상부의 누름바에 의해 유리판 적층체에 작용하는 단위 면적당의 압박력을 최하부의 누름바에 의해 유리판 적층체에 작용하는 단위 면적당의 압박력보다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유리판 적층체의 상방부가 하방부에 비해서 압박된 상태로 유지된다는 사태를 저감할 수 있고, 유리판 적층체의 적층 상태가 불균일하게 된다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유리판 적층체의 상방부와 하방부의 압박 상태를 동등 정도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수송 시에 상방으로 밀어올리는 충격이 가해진 경우에도 유리판이 일시적으로 상방으로 피해져 유리판에 파손이 생기기 어렵게 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압박판은 상기 최상부의 누름바에 의해 상기 유리판 적층체를 압박하는 상부 압박판과 상기 최하부의 누름바에 의해 상기 유리판 적층체를 압박하는 하부 압박판으로 적어도 분리되어 있고, 상기 상부 압박판의 상기 유리판 적층체와의 접촉 면적이 상기 하부 압박판의 상기 유리판 적층체와의 접촉 면적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상부 압박판의 유리판 적층체와의 접촉 면적이 하부 압박판의 유리판 적층체와의 접촉 면적보다 커지므로 상부 압박판에 의해 유리판 적층체에 작용하는 압박력이 하부 압박판에 의해 유리판 적층체에 작용하는 압박력보다 넓은 범위에 분산되어 약화되게 된다. 그 때문에, 최상부의 누름바에 의해 유리판 적층체에 작용하는 단위 면적당의 압박력을 최하부의 누름바에 의해 유리판 적층체에 작용하는 단위 면적당의 압박력보다 작게 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압박판은 상기 최상부의 누름바와 상기 최하부의 누름바 사이에 걸치도록 배치된 단일의 부재로서, 그 상방부의 상기 최상부의 누름바 상방으로의 돌출 치수가 그 하방부의 상기 최하부의 누름바 하방으로의 돌출 치수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압박판의 하방부의 최하부의 누름바 하방으로의 돌출 치수에는 압박판의 최하부가 누름바 하방으로 돌출되지 않을 경우, 즉 그 값이 0으로 될 경우도 포함된다.
이와 같이 하면, 최상부의 누름바에 의해 유리판 적층체에 작용하는 압박력이 최하부의 누름바에 의해 유리판 적층체에 작용하는 압박력보다 광범위하게 분산된다. 그 때문에, 최상부의 누름바에 의해 유리판 적층체에 작용하는 단위 면적당의 압박력을 최하부의 누름바에 의해 유리판 적층체에 작용하는 단위 면적당의 압박력보다 작게 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유리판 적층체가 복수장의 유리판을 가로 자세로 적층해서 이루어지고, 상기 팰릿은 유리판의 하면부를 지지하는 기대부를 갖는 것이어도 좋다. 또한, 이 경우에는 유리판 적층체의 폭 방향은 유리판 적층체의 전후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팰릿에 유리판의 후방에 위치하는 1변에 접촉하는 기준벽을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누름바를 상기 유리판 적층체의 전후 방향으로 복수개 배치하고, 최후방부의 누름바에 의해 상기 유리판 적층체에 작용하는 단위 면적당의 압박력을 최전방부의 누름바에 의해 상기 유리판 적층체에 작용하는 단위 면적당의 압박력보다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유리판의 후방에 위치하는 1변에 접촉하는 기준벽이 팰릿에 형성되어 있을 경우에는 유리판의 짐무너짐을 방지하는 관점에서도 수송 전후에 있어서 유리판의 후방에 위치하는 1변이 기준벽에 접촉한 상태인 것이 요구된다. 그리고, 상기 구성에 의하면 이러한 요구가 만족될 수 있다. 즉, 수송 중에 곤포체에 충격이 가해졌을 경우에는 단위 면적당의 압박력이 작은 후방측으로 각 유리판이 유도되므로 유리판의 후방에 위치하는 1변을 기준벽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수송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압박판은 상기 최전방부의 누름바에 의해 상기 유리판 적층체를 압박하는 전방부 압박판과 상기 최후방부의 누름바에 의해 상기 유리판 적층체를 압박하는 후방부 압박판으로 적어도 분리되어 있고, 상기 후방부 압박판의 상기 유리판 적층체와의 접촉 면적이 상기 전방부 압박판의 상기 유리판 적층체와의 접촉 면적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후방부 압박판의 유리판 적층체와의 접촉 면적이 전방부 압박판의 유리판 적층체와의 접촉 면적보다 커지므로 후방부 압박판에 의해 유리판 적층체에 작용하는 압박력이 전방부 압박판에 의해 유리판 적층체에 작용하는 압박력보다 넓은 범위로 분산되어 약화되게 된다. 그 때문에, 최후방부의 누름바에 의해 유리판 적층체에 작용하는 단위 면적당의 압박력을 최전방부의 누름바에 의해 유리판 적층체에 작용하는 단위 면적당의 압박력보다 작게 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압박판은 상기 최전방부의 누름바와 상기 최후방부의 누름바 사이에 걸치도록 배치된 단일 부재로서, 그 후방부의 상기 최후방부의 누름바 후방으로의 돌출 치수가 그 전방부의 상기 최전방부의 누름바 전방으로의 돌출 치수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압박판의 전방부가 최전방부의 누름바 전방으로의 돌출 치수에는 압박판의 전방부가 최전방부의 누름바의 전방으로 돌출되지 않을 경우, 즉 그 값이 0이 될 경우도 포함된다.
이와 같이 하면, 최후방부의 누름바에 의해 유리판 적층체에 작용하는 압박력이 최전방부의 누름바에 의해 유리판 적층체에 작용하는 압박력보다 광범위하게 분산된다. 그 때문에, 최후방부의 누름바에 의해 유리판 적층체에 작용하는 단위 면적당의 압박력을 최전방부의 누름바에 의해 유리판 적층체에 작용하는 단위 면적당의 압박력보다 작게 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유리판 적층체는 상기 압박 부재에 의해 압박되는 측의 표면에 완충판을 배치해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의 효과>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압박판이 유리판 적층체의 폭 방향 양단부와 비접촉이므로 누름바에 의한 압박력이 유리판의 폭 방향 양단부에 작용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유리판 적층체의 폭 방향 양단부의 응력 집중이 생기기 어려워 유리판에 파손을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한편, 유리판 적층체의 폭 방향 양단부를 제외한 폭 방향 중앙부에는 압박판이 접촉하고 있으므로 누름바에 의한 압박력이 유리판 적층체의 폭 방향 중앙부에 집중적으로 작용한다. 그 때문에, 유리판 적층체의 폭 방향 중앙부의 변위가 규제되는 결과, 유리판 적층체에 짐무너짐이 생긴다는 사태를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유리판 곤포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유리판 곤포체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체결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유리판 곤포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내는 유리판 곤포체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유리판 곤포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 다.
도 7(a)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유리판 곤포체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b)는 도 7(a)에 나타내는 유리판 곤포체의 부품 분해 배열 사시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유리판 곤포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b)는 도 8(a)에 나타내는 유리판 곤포체의 부품 분해 배열 사시도이다.
도 9(a)는 도 8에 나타내는 압박판과 암의 연결 부분을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9(b)는 도 9(a)에 나타내는 압박판과 암의 연결 부분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10(a)는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유리판 곤포체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b)는 도 10(a)에 나타내는 유리판 곤포체의 부품 분해 배열 사시도이다.
도 11(a)는 도 10(a) 및 도 10(b)에 나타내는 압박판과 다리부의 연결 부분을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11(b)는 도 11(a)에 나타내는 압박판과 다리부의 연결 부분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따른 유리판 곤포체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다.
도 13은 제 5 실시형태에 따른 유리판 곤포체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제 5 실시형태에 따른 유리판 곤포체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에 따른 유리판 곤포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나타내는 유리판 곤포체의 평면도이다.
도 17은 제 6 실시형태에 따른 유리판 곤포체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7에 나타내는 유리판 곤포체의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유리판 곤포체
2 - 팰릿
2a - 기대부
2b - 등받이부
2c - 기준벽
3 - 완충판
4 - 누름바
5 - 체결 부재
6 - 압박판
7 - 암
8 - 다리부
G - 유리판 적층체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유리판 곤포체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그 평면도이다. 이들 각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유리판 곤포체(1)는 팰릿(2) 상에 복수장의 유리판을 세로 자세로 적층함과 아울러 그 유리판 적층체(G)를 팰릿(2) 상에 유지한 것이다.
팰릿(2)은 유리판의 하변부를 지지하는 기대부(2a)와, 기대부(2a)의 후방에 세워 설치되고 또한 유리판의 배면을 지지하는 등받이부(2b)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복수장의 유리판의 각 하변부를 기대부(2a)에 탑재시켜 최후미의 유리판의 배면부를 등받이부(2b)에 세워 걸침으로써 복수장의 유리판이 세로 자세로 팰릿(2) 상에 적층되어 있다. 또한, 유리판 적층체(G)에는 각 유리판 사이에 발포 수지 시트가 개재되어 있고, 선두의 유리판의 전면부에는, 예를 들면 플라스틱 골판지 등에 의해 형성된 완충판(3)이 세워 걸어져 있다. 또한,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유리판 적층체(G)가 팰릿(2)과 접촉하는 부분에는 완충재가 부설되어 있다.
그리고, 유리판 적층체(G)의 최전면[완충판(3)]에는 그 폭 방향에 걸치도록 상하 방향으로 간극을 두고 2개의 누름바(4)가 배치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유리판 적층체(G)의 폭 방향 양측의 외측으로 돌출된 각 누름바(4)의 양단부는 체결 부재(5)에 의해 등받이부(2b) 측으로 인입되도록 체결되어 있다.
체결 부재(5)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이 실시형태에서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등받이부(2b)의 양측방으로부터 유리판 적층 방향으로 연장된 래크(5a)와 누름바(4)의 양단부에 내장된 피니언(5b)을 주된 구성으로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피니언(5b)을 래크(5a)에 맞물림으로써 누름바(4)가 래크(5a)에 대하여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피니언(5b)과 래크(5a)의 맞물림을 해제한 상태에서는 누름바(4)가 래크(5a)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피니언(5b)은 제 1 크랭크 샤프트(5c)에 연결되어 있다. 이 제 1 크랭크 샤프트(5c)는 피니언(5b)과 래크(5a)가 맞물린 상태에서는 이동이 규제되는 제 2 크랭크 샤프트(5d)에 장착된 스프링(5e)에 의해 도면 중의 좌측 방향으로 바이어싱(biasing)되어 있다. 이에 따라, 피니언(5b)과 래크(5a)가 맞물린 상태에서 피니언(5b)은 래크(5a)의 맞물림이 진행하는 방향(도면 중의 반 시계 방향)으로 스프링(5e)에 의해 바이어싱되어 있다.
누름바(4)와 유리판 적층체(G) 사이에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박판(6)이 개재되어 있다. 이 압박판(6)은 누름바(4)와 유리판 적층체(G) 쌍방에 접촉하고, 그 접촉 영역은 유리판 적층체(G)의 폭 방향 양단부를 제외한 폭 방향 중앙부에서 연속하고 있다. 즉, 누름바(4)의 폭 방향 중앙부가 압박판(6)에 의해 유리판 적층체(G)측으로 돌기된 상태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누름바(4)와 유리판 적층체(G)의 폭 방향 양단부 사이에는 압박판(6)의 두께에 상당하는 정도의 간극이 형성되어 있고, 누름바(4)에 의한 압박력이 유리판 적층체(G)의 폭 방향 양단부에 작용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한편, 유리판 적층체(G)의 폭 방향 중앙부에는 압박판(6)이 폭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접촉하고 있으므로 누름바(4)에 의한 압박력이 유리판 적층체(G)의 폭 방향 중앙부에 집중적으로 작용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유리판 적층체(G)의 폭 방향 양단부에 응력을 집중시킴이 없이 유리판 적층체(G)를 팰릿(2) 상에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유리판 적층체(G)의 폭 방향 양단부에 응력이 집중되어 유리판이 파손된다는 사태를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누름바(4)에 의한 압박력은 압박판(6)을 통해서 유리판 적층체(G)의 폭 방향 중앙부에 연속적으로 작용하므로 유리판 적층체(G)의 폭 방향 중앙부에 있어서의 휨 등의 변형은 규제된다. 그 때문에, 수송시의 진동 등에 의해 유리판 적층체(G)가 무너진다는 사태를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압박판(6)의 두께는 5㎜이상 4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이상 3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압박판(6)의 폭 방향 치수는 최소로 유리판 적층체(G)의 폭 방향 치수의 1/3, 최대로 압박판(6)의 폭 방향 양단이 유리판 적층체(G)의 폭 방향 양단으로부터 각각 50㎜ 내측에 위치하는 범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유리판 적층체(G)의 폭 방향 치수의 1/2이상 2/3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압박판(6)은 누름바(4)와 별체이어도 좋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누름바(4)과 일체화되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유리판 곤포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그 측면도이다. 이들 각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제 2 실시형태 에 따른 유리판 곤포체(1)가 상술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유리판 곤포체(1)와 상위한 것은 상하 2개의 누름바(4) 중 상방의 누름바(4)에 의해 유리판 적층체(G)에 작용하는 단위 면적당의 압박력을 하방의 누름바(4)에 의해 유리판 적층체(G)에 작용하는 단위 면적당의 압박력보다 작게 한 점에 있다.
일반적으로, 복수장의 유리판을 세로 자세로 적층한 유리판 적층체(G)에서는 하변부는 팰릿(2)의 기대부(2a)와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움직이기 어려운 상태에 있는 것에 대하여 상변부는 비교적 자유롭게 움직이는 상태에 있다. 그 때문에, 유리판 적층체(G)의 상방부의 적층 두께는 그 하방부의 적층 두께보다 변화되기 쉽다. 따라서, 유리판 적층체(G)의 상방부와 하방부에 동등한 압박력을 작용시켰을 경우에는 상방부의 적층 두께가 하방부의 적층 두께보다 얇아지고 적층 상태가 불균일해지기 쉽다. 그리고, 이러한 적층 상태의 불균일이 생기면 유리판 적층체(G)의 상방부가 하방부보다 압박된 상태로 유지된다. 그 때문에, 수송 중에 유리판 곤포체(1)에 밑에서부터 밀어올리는 충격이 가해지면 유리판이 상방으로 움직일 여지가 없어 그 충격이 유리판의 하변부에 직접 작용되어 파손될 우려가 있다.
그래서, 이러한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상하 2개의 누름바(4) 중 상부의 누름바(4)에 의해 유리판 적층체(G)에 작용하는 단위 면적당의 압박력을 하부의 누름바(4)에 의해 유리판 적층체(G)에 작용하는 단위 면적당의 압박력보다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유리판 적층체(G)의 상방부가 하방부에 비해서 압박된 상태로 유지된다는 사태를 저감할 수 있고, 유리판 적층체(G)의 적층 상태가 불균일하게 된다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유리판 적층체(G)의 상방부 와 하방부의 압박 상태를 동등한 정도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수송 중에 곤포체(1)에 밑에서부터 밀어올리는 충격이 가해진 경우에도 유리판이 일시적으로 상방으로 피해져 유리판에 파손이 생기기 어렵게 된다.
상세히 서술하면 이 실시형태에서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방의 누름바(4)에 의해 유리판 적층체(G)를 압박하는 압박판(6)의 유리판 적층체(G)의 접촉 면적이 하방의 누름바(4)에 의해 유리판 적층체(G)를 압박하는 압박판(6)의 유리판 적층체(G)의 접촉 면적보다 크게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상방의 누름바(4)에 의해 유리판 적층체(G)에 작용하는 압박력은 하방의 누름바(4)에 의해 유리판 적층체(G)에 작용하는 압박력에 비해서 광범위하게 분산된다. 그 결과, 상부의 누름바(4)에 의해 유리판 적층체(G)에 작용하는 단위 면적당의 압박력을 하부의 누름바(4)에 의해 유리판 적층체(G)에 작용하는 단위 면적당의 압박력보다 작게 할 수 있어 상술의 작용 효과를 발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니언(5b)을 래크(5a)와의 맞물림이 진행되는 방향으로 바이어싱하는 스프링(5e)의 힘을 상방의 누름바(4)보다 하방의 누름바(4)에서 강화함으로써 각 누름바(4)에 의해 유리판 적층체(G)에 작용하는 단위 면적당의 압박력에 상술한 바와 같은 차이를 형성하도록 해도 좋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유리판 곤포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동일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유리판 곤포체(1)가 상술의 제 1 ∼ 2 실시형태에 따른 유리판 곤포체(1)와 상위한 것은 상하 2개의 누름바(4)에 의해 단일의 압박판(6)을 압박하도록 한 점에 있다.
상세히 서술하면 압박판(6)은 간극없이 연속된 평판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방의 누름바(4)로부터 하방의 누름바(4)에 걸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압박판(6)은 유리판보다 작고, 유리판의 가장자리부에는 비접촉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누름바(4)에 의한 압박력이 유리판 적층체(G)의 폭 방향뿐만 아니라, 그 폭 방향과 직교하는 상하 방향으로도 작용한다. 그 때문에, 유리판이 보다 변형을 일으키기 어려운 상태가 되어 파손이나 짐무너짐을 억제함에 있어서 유리하게 된다.
또한, 경량화의 관점으로부터 압박판(6)은 도 7(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격자판으로 구성해도 좋다. 이 경우, 도 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박판(6) 중 누름바(4)가 배치되는 개소에는 격자체(6a)가 폭 방향으로 배치되고, 누름바(4)에 의한 압박력이 유리판 적층체(G)의 폭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작용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 2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하 2개의 누름바(4) 중 상방의 누름바(4)에 의해 유리판 적층체(G)에 작용하는 단위 면적당의 압박력을 하방의 누름바(4)에 의해 유리판 적층체(G)에 작용하는 단위 면적당의 압박력보다 작게 한다는 관점으로부터는 다음과 같이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6 및 도 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박판(6)의 상하 방향 중심 위치를 상하 2개의 누름바(4) 사이의 상하 방향 중심 위치보다 상방에 치우치게 함으로써 압박판(6)의 상방부가 상방의 누름바(4)로부터 상방으로의 돌출 치수를 압박판(6)의 하방부가 하방의 누름바(4)로부터 하방으로의 돌출 치수보다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상방의 누름바(4)에 의해 유리판 적층체(G)에 작용하는 압 박력이 하방의 누름바(4)에 의해 유리판 적층체(G)에 작용하는 압박력보다 광범위하게 분산되어 약화된다. 그 때문에, 상방의 누름바(4)에 의해 유리판 적층체(G)에 작용하는 단위 면적당의 압박력을 하방의 누름바(4)에 의해 유리판 적층체(G)에 작용하는 단위 면적당의 압박력보다 작게 할 수 있다.
도 8(a), (b)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유리판 곤포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동일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유리판 곤포체(1)가 상술의 제 1 ∼ 3 실시형태에 따른 유리판 곤포체(1)와 상위한 것은 압박판(6)의 폭 방향 양측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암(7)을 팰릿(2)에 설치된 래크(5a)에 걸리게 함으로써 압박판(6)을 팰릿(2)의 기대부(2a)로부터 이간된 상태로 지지한 점에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누름바(4)를 지지하는 래크(5a)가 압박판(6)을 지지하는 가이드 부재를 겸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압박판(6)의 암(7)을 래크(5a)에 걸리게 한 상태에서 래크(5a)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시킴으로써 유리판의 적층 장수에 따른 적정한 위치에 압박판(6)을 용이하게 위치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암(7)의 선단에는 하방으로 연장된 클로(7a)가 형성되어 있고, 이 클로(7a)가 래크(5a)의 외측면과 맞물려 압박판(6)의 폭 방향으로의 변위가 규제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시예에서는 상하 2개의 누름바(4) 중 하방의 누름바(4)를 지지하는 래크(5a)에 압박판(6)의 암(7)을 걸리게 해서 압박판(6)을 지지하도록 하고 있지만 상방의 누름바(4)를 지지하는 래크(5a)에 압박판(6)의 암(7)을 걸리게 해서 압박 판(6)을 지지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상하의 래크(5a)에 각각 암(7)을 걸리게 해서 압박판(6)을 지지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 암(7)은 유리판 적층체(G)의 폭 방향 양단부와 비접촉으로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암(7)에 의해 유리판 적층체(G)의 폭 방향 양단부에 압박력이 작용할 경우도 있어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도 9(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암(7)의 두께를 압박판(6)의 두께보다 얇게 해서 유리판 적층체(G)로부터 이간하거나, 또는 도 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암(7)을 압박판(6)의 전면측에 장착해서 유리판 적층체(G)로부터 이간한다.
또한, 도 10(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박판(6)의 하단부에 하방으로 연장되는 다리부(8)를 장착하고, 압박판(6)의 하단부를 팰릿(2)의 기대부(2a)로부터 이간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도 다리부(8)는 유리판 적층체(G)와 비접촉으로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도 1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리부(8)의 두께를 압박판(6)의 두께보다 얇게 해서 유리판 적층체(G)로부터 이간하거나, 또는 도 1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리부(8)를 압박판(6)의 전면측에 장착해서 유리판 적층체(G)로부터 이간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따른 유리판 곤포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 제 5 실시형태에 따른 유리판 곤포체(1)가 상술의 제 1 ∼ 4의 실시형태에 따른 유리판 곤포체(1)와 상위한 것은 체결 부재(5)를 벨트로 구성한 점에 있다.
상세히 서술하면, 유리판 적층체(G)의 폭 방향에 걸치도록 배치된 누름바(4) 상에 양단이 등받이부(2b)에 고정된 벨트(5)의 중간부가 걸쳐지고, 이 상태에서 벨트(5)에 의해 누름바(4)의 양단부가 등받이부(2b)측으로 인입되도록 체결되어 있다. 또한, 벨트(5)로서는 래칫식 래싱 벨트(lashing belt)를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누름바(4)의 양단부와 등받이부(2b) 사이에 벨트(5)를 걸쳐서 누름바(4)의 양단부를 등받이부(2b)측으로 인입하도록 체결하여도 좋다.
또한,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벨트(5)를 누름바(4)의 양단부로부터 등받이부(2b)의 이면에 걸쳐서 등받이부(2)의 이면에 있어서 체결함으로써 누름바(4)의 양단부를 등받이부(2b)측에 인입하도록 하여도 좋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에 따른 유리판 곤포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6은 그 평면도이다. 이들 각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제 6 실시형태에 따른 유리판 곤포체(1)가 상술의 제 1 ∼ 5 실시형태에 따른 유리판 곤포체(1)와 상위한 것은 유리판 적층체(G)를 복수장의 유리판을 팰릿(2)의 기대부(2a) 상에 가로 자세로 적층해서 구성한 점에 있다.
즉, 상술의 제 1 ∼ 5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사항은 복수장의 유리판을 가로 자세로 적층해서 곤포했을 경우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에는 수송시의 진동이나 요동에 의한 유리판의 가로 어긋남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가로 자세로 적층된 유리판 적층체(G)를 곤포할 때에는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로 자세로 적층된 유리판의 후방에 위치하는 1변에 접촉하는 기준벽(2c)을 팰릿(2)에 설치할 경우가 있다. 그리고, 이 경우에는 유리판 적층체(G)의 짐무너짐을 방지하는 관점으로부터도 수송 전후에 있어서 유리판의 후방측의 1변이 기준벽(2c)에 접촉한 상태가 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이 실시형태에 따른 유리판 곤포체(1)에서는 전후 방향으로 간극을 두고 배치된 2개의 누름바(4) 중 후방의 누름바(4)에 의해 유리판 적층체에 작용하는 단위 면적당의 압박력이 전방의 누름바(4)에 의해 유리판 적층체(G)에 작용하는 단위 면적당의 압박력보다 작게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후방의 누름바(4)에 의해 유리판 적층체(G)를 압박하는 압박판(6)의 유리판 적층체(G)의 접촉 면적이 전방의 누름바(4)에 의해 유리판 적층체(G)를 압박하는 압박판(6)의 유리판 적층체(G)의 접촉 면적보다 크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수송 시에 유리판 곤포체(1)에 충격이 가해진 경우에도 단위 면적당의 압박력이 작은 후방측으로 각 유리판이 유도된다. 따라서, 유리판의 후방에 위치하는 1변을 기준벽(2c)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수송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17 및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후 2개의 누름바(4)로 단일의 압박판(6)을 압박할 경우에는 압박판(6)의 전후 방향 중심 위치를 전후 2개의 누름바(4) 사이의 전후 방향 중심 위치보다 후방으로 치우치게 함으로써 압박판(6)의 후방부가 후방의 누름바(4)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는 치수가 압박판(6)의 전방부가 전방의 누름바(4)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치수보다 크게 되도록 하여도 좋다. 그리고, 도시예와 같이 압박판(6)을 격자판에 의해 구성할 경우에는 누름바(4) 가 배치되는 개소에 격자체(6a)가 배치되어 누름바(4)에 의한 압박력이 유리판 적층체(G)의 폭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작용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이 하면, 후방의 누름바(4)에 의해 유리판 적층체(G)에 작용하는 압박력이 전방의 누름바(4)에 의해 유리판 적층체(G)에 작용하는 압박력보다 광범위하게 분산되기 때문에 후방의 누름바(4)에 의해 유리판 적층체에 작용하는 단위 면적당의 압박력이 전방의 누름바(4)에 의해 유리판 적층체(G)에 작용하는 단위 면적당의 압박력보다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니언(5b)을 래크(5a)와의 맞물림이 진행되는 방향으로 바이어싱하는 스프링(5e)의 힘을 후방의 누름바(4)보다 전방의 누름바(4)에서 강화함으로써 전후의 누름바(4)에 의해 유리판 적층체(G)에 작용하는 단위 면적당의 압박력에 상술한 바와 같은 차이를 형성하도록 해도 좋다.
[실시예]
본 발명이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지의 여부를 인식하기 위해 이하에 나타내는 시험 및 그 검토를 행했다.
본 발명의 세로 자세로 유리판을 곤포하는 형태의 실시예 1로서 상술의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형태의 유리판 곤포체(1)를 50체 제작함과 아울러 편도 약 300㎞의 고속 도로를 약 100㎞/h로 왕복하고, 수송 후의 유리판의 파손 상황과 수송 전후에서의 유리판의 적층 두께의 변화를 확인했다. 또한, 유리판으로서 폭 방향 치수가 2250㎜, 상하 방향 치수가 1950㎜, 두께가 0.7㎜인 액정 디스플레이용 유리 기판을 사용했다. 그리고, 이 유리판을 200장 세로 자세로 적층해서 각 유리판 곤 포체(1)를 제작했다. 또한, 누름바(4)로서 폭 방향 치수가 2538㎜, 상하 방향 치수가 80㎜, 두께가 40㎜인 스테인레스제 각이 진 파이프를 사용했다. 또한, 압박판(6)으로서 폭 방향 치수가 1500㎜, 상하 방향 치수가 80㎜, 두께가 20㎜의 스테인레스제 각이 진 파이프를 사용하고, 이 압박판(6)을 누름바(4)에 접합해서 일체화했다.
그 결과, 10000장(50체×200장)의 유리판의 수송 후의 파손 장수는 0장이 되어 매우 양호한 결과를 얻었다. 또한, 유리판의 적층 두께의 최대 낙차 변화량은 평균 6㎜이고, 최대 낙차 9㎜(수송 전의 낙차 2㎜ + 수송 후의 낙차 변화량 7㎜)이었다. 그래서, 최대 낙차란 하나의 유리판 적층체(G)의 적층 방향에 있어서의 최전방부로부터 최후방부까지의 적층 두께 차(최대 두께 치수와 최소 두께 치수의 차)를 의미하고, 일반적으로 유리판이 짐무너짐을 일으켜서 적층 두께의 최대 낙차가 15㎜를 초과하면 흡착 패드를 갖는 로봇에 의해 유리판을 팰릿(2)으로부터 자동적으로 꺼낼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최대 낙차가 9㎜라는 결과는 실용상 문제가 없는 양호한 것이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 2로서 상술의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형태의 유리판 곤포체(1)를 50체 제작했다. 하방의 누름바(4)에는 압박판(6)으로서 폭 방향 치수가 1500㎜, 상하 방향 치수가 80㎜, 두께가 20㎜인 스테인레스제 각이 진 파이프를 접합했다. 또한, 상방의 누름바(4)에는 압박판(6)으로서 폭 방향 치수가 2150㎜, 상하 방향 치수가 160㎜, 두께가 20㎜인 스테인레스제 각이 진 파이프를 접합했다. 또한, 그 외의 조건은 상기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이다.
그 결과, 10000장(50체×200장)의 유리판의 수송 후의 파손 장수는 0장이 되어 매우 양호한 결과를 얻었다. 또한, 유리판의 적층 두께의 최대 낙차 변화량은 평균 4㎜이고, 최대 낙차 7㎜(수송 전의 낙차 2㎜ + 수송 후의 낙차 변화량 5㎜)이었다. 따라서, 최대 낙차가 허용 범위인 15㎜ 이하가 됨과 아울러 실시예 1보다 더욱 양호한 결과가 되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 3으로서 상술의 도 8(a)에 나타내는 형태의 유리판 곤포체(1)를 50체 제작했다. 압박판(6)은 단면이 40㎜×20㎜의 각이 진 파이프를 뼈대로 해서 격자 형상으로 조합되고, 두께가 20㎜, 폭 방향 치수가 유리판의 폭 방향 치수의 2/3인 1500㎜로 하고, 또한 상방의 누름바(4)로부터 상부가 350㎜ 돌출되도록 했다. 또한, 압박판(6)의 프레임 내에는 누름바(4)가 배치되는 개소에 누름바(4)와 동일한 상하 방향 치수 80㎜의 격자체(6a)를 배치하고, 누름바(4)와 압박판(6)이 폭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접촉하도록 했다. 또한, 그 외의 조건은 상술의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이다.
그 결과, 10000장(50체×200장)의 유리판의 수송 후의 파손 장수는 0장이 되어 매우 양호한 결과를 얻었다. 또한, 유리판의 적층 두께의 최대 낙차 변화량은 평균 2㎜이고, 최대 낙차 5㎜(수송 전의 낙차 2㎜ + 수송 후의 낙차 변화량 3㎜)이었다. 따라서, 최대 낙차가 허용 범위인 15㎜ 이하가 됨과 아울러 실시예 2보다 양호한 결과가 되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 4로서 상술의 도 10(a)에 나타내는 형태의 유리판 곤포체(1)를 50체 제작했다. 압박판(6)으로서는 상술의 실시예 3과 마찬가지의 것을 사 용하고 암(7) 대신에 다리부(8)를 장착했다. 또한, 그 외의 조건은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이다.
그 결과, 10000장(50체×200장)의 유리판의 수송 후의 파손 장수는 0장이 되어 매우 양호한 결과를 얻었다. 또한, 수송 후에 있어서의 유리판의 적층 두께의 최대 낙차 변화량은 평균 2㎜이고, 최대 낙차 6㎜(수송 전의 낙차 2㎜ + 수송 후의 낙차 변화량 4㎜)이었다. 따라서, 최대 낙차가 허용 범위인 15㎜ 이하가 됨과 아울러 실시예 2보다 양호한 결과가 되었다.
실시예 1∼4의 비교예 1로서 실시예 1에 있어서 압박판(6)을 제거하고 누름바(4)로 직접 글라스 적층체를 압박한 글라스 적층체를 50체 제작했다. 또한, 그 외에 조건은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이다.
그 결과, 10000장(50체×200장)의 유리판의 수송 후의 파손 장수가 4장 발생했다. 상세한 사항은 유리판의 하변부를 기점으로 해서 파손된 것이 2장이고, 유리판의 폭 방향 양단부를 기점으로 해서 파손된 것이 2장이었다. 한편, 수송 후에 있어서의 유리판의 적층 두께의 최대 낙차 변화량은 평균 17㎜이고, 최대 낙차 20㎜(수송 전의 낙차 2㎜ + 수송 후의 낙차 변화량 18㎜)이었다. 따라서, 최대 낙차가 허용 범위인 15㎜를 초과하는 결과가 되었다.
본 발명의 가로 자세로 유리판을 곤포하는 형태의 실시예 5로서 상술의 도 17 및 도 18에 나타내는 형태의 유리판 곤포체(1)를 50체 제작했다. 각 유리판 곤포체(1)는 상기와 마찬가지의 유리판을 200장 가로 자세로 적층해서 제작했다. 압박판(6)으로서는 실시예 3, 4와 마찬가지의 것을 사용하고, 그 후방부가 후방의 누 름바(4)로부터 기준벽(2c)측으로 350㎜ 돌출되도록 했다. 또한, 그 외의 조건은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이다.
그 결과, 10000장(50체×200장)의 유리판의 수송 후의 파손 장수는 0장이 되어 매우 양호한 결과를 얻었다. 또한, 수송 후에 있어서의 유리판의 적층 두께의 최대 낙차 변화량은 평균 2㎜이고, 최대 낙차 4㎜(수송 전의 낙차 2㎜ + 수송 후의 낙차 변화량 2㎜)이었다. 따라서, 최대 낙차가 허용 범위인 15㎜ 이하가 되는 양호한 결과가 되었다.
실시예 5의 비교예 2로서 실시예 5에 있어서 압박판(6)을 제거하고 누름바(4)로 직접 유리판 적층체(G)를 압박한 유리판 곤포체를 50체 제작했다. 또한, 그 외의 조건은 실시예 5와 마찬가지이다.
그 결과, 10000장(50체×200장)의 유리판의 수송 후의 파손 장수는 2장이 되었다. 상세한 사항은 파손된 2장의 유리판은 양쪽 모두 유리판의 폭 방향 양단을 기점으로 해서 파손된 것이었다. 한편, 수송 후에 있어서의 유리판의 적층 두께의 최대 낙차 변화량은 평균 13㎜이고, 최대 낙차 16㎜(수송 전의 낙차 2㎜ + 수송 후의 낙차 변화량 14㎜)이었다. 유리판의 가로 어긋남에 관해서는 수송 후의 유리판 전체가 기준벽(2c)으로부터 약 20㎜ 떨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했다. 따라서, 최대 낙차에 대해서는 허용 범위인 15㎜를 초과하여 유리판의 가로 어긋남이나 파손도 발생하는 결과가 되었다.

Claims (14)

  1. 팰릿 상에 적층된 유리판 적층체의 폭 방향에 걸치도록 누름바를 배치함과 아울러, 상기 유리판 적층체의 폭 방향 양측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기 누름바의 양단부를 체결 부재에 의해 상기 팰릿측으로 인입하도록 체결함으로써, 상기 유리판 적층체를 상기 팰릿 상에 압박해서 유지한 유리판 곤포체에 있어서,
    상기 누름바와 상기 유리판 적층체 사이에, 쌍방에 접촉된 상태에서 압박판을 개재시킴과 아울러, 상기 압박판의 폭방향 치수를 상기 유리판 적층체의 폭방향 치수의 1/3 이상으로 하고, 또한 상기 유리판 적층체의 폭 방향 양단부를 제외한 폭 방향 중앙부에 접촉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 곤포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판 중 상기 누름바와 접촉하고 있는 부분이 상기 유리판 적층체의 폭 방향으로 연속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 곤포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판은 상기 유리판 적층체의 폭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치수가 상기 누름바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 곤포체.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판 적층체는 복수장의 유리판을 세로 자세로 적층해서 이루어지고, 상기 팰릿은 유리판의 하변부를 지지하는 기대부와 유리판의 배면부를 지지하는 등받이부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 곤포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판의 하단부가 상기 팰릿의 기대부로부터 이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 곤포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판의 폭 방향 양측에 상기 유리판 적층체의 폭 방향 양측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암을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팰릿의 등받이부의 폭 방향 양측에 상기 유리판 적층체의 적층 방향으로 연장되며 또한 상기 암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가이드 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가이드 부재로 상기 암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압박판의 하단부를 상기 팰릿의 기대부로부터 이간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 곤포체.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바를 상기 유리판 적층체의 상하 방향으로 복수개 배치함과 아울러 최상부의 누름바에 의해 상기 유리판 적층체에 작용하는 단위 면적당의 압박력을 최하부의 누름바에 의해 상기 유리판 적층체에 작용하는 단위 면적당의 압박력보다 작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 곤포체.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판은 상기 최상부의 누름바에 의해 상기 유리판 적층체를 압박하는 상부 압박판과 상기 최하부의 누름바에 의해 상기 유리판 적층체를 압박하는 하부 압박판으로 적어도 분리되어 있고, 상기 상부 압박판의 상기 유리판 적층체와의 접촉 면적이 상기 하부 압박판의 상기 유리판 적층체와의 접촉 면적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 곤포체.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판은 상기 최상부의 누름바와 상기 최하부의 누름바 사이에 걸치도록 배치된 단일 부재이고, 그 상방부의 상기 최상부의 누름바 상방으로의 돌출 치수가 그 하방부의 상기 최하부의 누름바 하방으로의 돌출 치수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 곤포체.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판 적층체가 복수장의 유리판을 가로 자세로 적층해서 이루어지고, 상기 팰릿은 유리판의 하면부를 지지하는 기대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 곤포체.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팰릿에 유리판의 후방에 위치하는 1변에 접촉하는 기준벽을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누름바를 상기 유리판 적층체의 전후 방향으로 복수개 배치하고, 최후방부의 누름바에 의해 상기 유리판 적층체에 작용하는 단위 면적당의 압박력을 최전방부의 누름바에 의해 상기 유리판 적층체에 작용하는 단위 면적당의 압박력보다 작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 곤포체.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판은 상기 최전방부의 누름바에 의해 상기 유리판 적층체를 압박하는 전방부 압박판과 상기 최후방부의 누름바에 의해 상기 유리판 적층체를 압박하는 후방부 압박판으로 적어도 분리되어 있고, 상기 후방부 압박판의 상기 유리판 적층체와의 접촉 면적이 상기 전방부 압박판의 상기 유리판 적층체와의 접촉 면적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 곤포체.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판은 상기 최전방부의 누름바와 상기 최후방부의 누름바 사이에 걸치도록 배치된 단일 부재이고, 그 후방부의 상기 최후방부의 누름바 후방으로의 돌출 치수가 그 전방부의 상기 최전방부의 누름바 전방으로의 돌출 치수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 곤포체.
  1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판 적층체는 상기 압박판에 의해 압박되는 측의 표면에 완충판을 배치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 곤포체.
KR1020097018842A 2007-07-27 2008-06-17 유리판 곤포체 KR1014569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196142A JP4936062B2 (ja) 2007-07-27 2007-07-27 ガラス板梱包体
JPJP-P-2007-196142 2007-07-27
PCT/JP2008/061022 WO2009016893A1 (ja) 2007-07-27 2008-06-17 ガラス板梱包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4728A KR20100044728A (ko) 2010-04-30
KR101456918B1 true KR101456918B1 (ko) 2014-10-31

Family

ID=40304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8842A KR101456918B1 (ko) 2007-07-27 2008-06-17 유리판 곤포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4936062B2 (ko)
KR (1) KR101456918B1 (ko)
CN (2) CN101765552B (ko)
TW (1) TWI409197B (ko)
WO (1) WO200901689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23448A1 (en) * 2009-04-21 2010-10-28 Gyros Patent Ab Method for reducing adsorption losses on metal oxide surfaces
JP2010280426A (ja) * 2009-06-08 2010-12-16 Avanstrate Taiwan Inc ガラス板梱包用パレット
JP6619290B2 (ja) * 2016-05-13 2019-12-11 株式会社神戸製鋼所 梱包製品及び梱包パレット
CN106995090B (zh) * 2017-04-18 2018-03-23 正安鑫旺钢化玻璃有限公司 一种高档钢化玻璃的保护装置
JP2021046238A (ja) * 2019-09-20 2021-03-25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板梱包体
IT202100011402A1 (it) * 2021-05-05 2022-11-05 Gruppo Tecnoferrari Spa Pianale di supporto di lastre e struttura modulare di stoccaggi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39198A (en) 1954-06-07 1958-06-17 Pittsburgh Plate Glass Co Shipping and storage carrier for sheet material
JPH07267290A (ja) * 1994-03-29 1995-10-17 Nippon Sheet Glass Co Ltd リンク式伸縮機構にて進退される前面抑えを備えたガラス板等の板状物の運搬具
JP2006347592A (ja) 2005-06-16 2006-12-28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ガラス板の梱包装置
JP2007030964A (ja) 2005-07-29 2007-02-08 Kyokuhei Glass Kako Kk ガラス搬送パレット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09234A (en) * 1971-11-08 1974-05-07 Libbey Owens Ford Co Glass shipping rack
US5379904A (en) * 1993-03-29 1995-01-10 Ppg Industries, Inc. Restraint system for a sheet shipping rack
US5755339A (en) * 1996-10-15 1998-05-26 Belanger; Rosaire Retaining device for transporting stacks of on-edge supported sheets of float glass
JP4274394B2 (ja) * 1999-06-14 2009-06-03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ガラス基板積層体搬送体
JP4238982B2 (ja) * 2002-06-26 2009-03-18 旭硝子株式会社 ガラス板の梱包装置及び方法並びに梱包体
JP4735085B2 (ja) * 2005-04-12 2011-07-27 旭硝子株式会社 ガラス板搬送パレッ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39198A (en) 1954-06-07 1958-06-17 Pittsburgh Plate Glass Co Shipping and storage carrier for sheet material
JPH07267290A (ja) * 1994-03-29 1995-10-17 Nippon Sheet Glass Co Ltd リンク式伸縮機構にて進退される前面抑えを備えたガラス板等の板状物の運搬具
JP2006347592A (ja) 2005-06-16 2006-12-28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ガラス板の梱包装置
JP2007030964A (ja) 2005-07-29 2007-02-08 Kyokuhei Glass Kako Kk ガラス搬送パレ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914337A (en) 2009-04-01
KR20100044728A (ko) 2010-04-30
CN101765552A (zh) 2010-06-30
TWI409197B (zh) 2013-09-21
WO2009016893A1 (ja) 2009-02-05
CN102152909B (zh) 2012-07-25
JP2009029472A (ja) 2009-02-12
JP4936062B2 (ja) 2012-05-23
CN102152909A (zh) 2011-08-17
CN101765552B (zh) 2012-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82283B2 (ja) 板状体の梱包パレット
KR101456918B1 (ko) 유리판 곤포체
TWI423908B (zh) 玻璃板捆包集裝架以及玻璃板捆包體
JP5787107B2 (ja) ガラス板梱包体
KR101478682B1 (ko) 유리판 곤포체
TWI694957B (zh) 玻璃板梱包用托架及玻璃板梱包體
JP2010036948A (ja) ガラス板梱包体
KR20100058419A (ko) 유리판 곤포체
TWI402204B (zh) 玻璃板捆包用集裝架以及玻璃板捆包體
JP2011207483A (ja) ガラス板パレット、ガラス板積載方法、ガラス板梱包体、およびガラス板の取り出し方法
WO2021054034A1 (ja) ガラス板梱包体
JP2019112141A (ja) ガラス板梱包用パレット及びガラス板梱包体
CN215624146U (zh) 玻璃板捆包用托板及玻璃板捆包体
JP5534085B2 (ja) ガラス板梱包体
JP2021046239A (ja) ガラス板梱包体
CN114174181A (zh) 玻璃板捆包用托盘、玻璃板捆包体以及玻璃板捆包体的制造方法
WO2023181973A1 (ja) ガラス板梱包体
JP5464466B2 (ja) ガラス板梱包体
CN216660717U (zh) 玻璃板捆包体
WO2021106451A1 (ja) ガラス板梱包体
WO2023022018A1 (ja) ガラス板梱包体、ガラス板梱包体の運搬方法、及びパレット
CN117917363A (zh) 玻璃捆包体
TW202313414A (zh) 玻璃板包裝體
JP2009234602A (ja) ガラス基板梱包用パレ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