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40118A - 곤포 용기 및 곤포체 - Google Patents

곤포 용기 및 곤포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40118A
KR20130140118A KR1020137019015A KR20137019015A KR20130140118A KR 20130140118 A KR20130140118 A KR 20130140118A KR 1020137019015 A KR1020137019015 A KR 1020137019015A KR 20137019015 A KR20137019015 A KR 20137019015A KR 20130140118 A KR20130140118 A KR 201301401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glass plate
curved
glass
packing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90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지로 다니
Original Assignee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401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401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38Details or accessories
    • B65D19/44Elements or devices for locating articles on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4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glass she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 Pall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리판을 대략 수평 상태로 적재하여 보유 지지하는 곤포 용기이며,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 상에 배치되고 유리판을 적재하는, 평면에서 보아 직사각형인 적재판을 구비하고, 상기 적재판은, 4개의 코너부가 전부 중심부를 향해 만곡됨과 아울러, 적어도 2개의 코너부가 독립하여 중심부를 향해 만곡되어 있는 곤포 용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곤포 용기 및 곤포체 {PACKAGING CONTAINER AND PACKAGING BODY}
본 발명은 유리판을 수평 배치로 복수 매 적층 보유 지지하는 곤포 용기 및 곤포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FPD 등에 사용되는 대형 유리 기판의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대형 유리 기판을 곤포하는 곤포 파레트로서,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복수 매의 유리 기판을 세워서 배치한 상태에서 유리 기판을 고정하는 곤포 랙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의 곤포 랙은, 유리 기판을 세운 상태에서 운반하기 때문에, 대형 유리 기판으로 되면, 비행기의 높이가 낮은(예를 들어, 2m 이하) 격납실이나 종래의 트럭의 짐칸(예를 들어 2.2m 이하)에는, 높이의 제약을 받아 수납할 수 없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유리 기판을 세운 상태에서 운반하는 경우에는, 곤포 파레트의 전도 방지 등의 안정성 확보를 위해, 저면의 1변의 치수를 크게 잡지 않으면 안 된다(예를 들어, 곤포 파레트의 높이의 0.5배).
이 때문에, 특허문헌 1의 곤포 랙은, 적재하는 유리 기판의 매수에 비해 곤포 랙의 용적 및 중량이 증대되므로, 운반 효율이 불량하다는 결점이 있었다.
이러한 배경 하에 특허문헌 2에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 상에 지지 부재를 개재하여 설치됨과 아울러 복수 매의 유리체가 상면에 대략 수평으로 적층되는 판상체 적재판을 갖는 수평 배치의 곤포 파레트가 제안되어 있다. 이 곤포 파레트에서는, 판상체 적재판의 상면을 단면 V자 형상으로 형성하고 있는 것에 의해, 수평 쌓기에 의해 오목 형상으로 휜 유리판을 V자 형상의 저판을 따라 안정되게 보유 지지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특허문헌 3에는, 유리판의 적재면을 만곡 가능한 시트재로 형성함과 아울러, 이 적재면을 1축 주위로 만곡시킨 곤포 용기가 제안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0-272684호 공보 국제 공개 제2008/105190호 일본 특허 공개 제2010-13178호 공보
그런데, 특허문헌 2에서는 판상체 적재판의 상면을 단면 V자 형상으로 형성하고, 또한 특허문헌 3에서는 유리판의 적재면을 1축 주위로 만곡시키며, 이것에 의해 수평 쌓기에 의해 오목 형상으로 휜 유리판을 안정되게 보유 지지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예를 들어 트럭에 의한 운반 시 등에서는, 단면 V자 형상에 있어서의 절곡축(중심축)이나 만곡면에 있어서의 중심축의 길이 방향(축 방향)을 따라 유리판에 힘이 작용하면, 적재면에 적재된 유리판이 축 방향으로 위치 어긋남(횡어긋남)을 일으킬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유리판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하고, 보다 안정되게 유리판을 보유 지지 고정할 수 있는 곤포의 형태가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배경 하에 이루어진 것으로, 운반 시 등에 있어서 수평 배치한 유리판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하고, 보다 안정되게 유리판을 보유 지지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곤포 용기 및 곤포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곤포 용기는, 유리판을 대략 수평 상태로 적재하여 보유 지지하는 곤포 용기이며,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 상에 배치되고 유리판을 적재하는, 평면에서 보아 직사각형인 적재판을 구비하고, 상기 적재판은, 4개의 코너부가 전부 중심부를 향해 만곡됨과 아울러, 적어도 2개의 코너부가 독립하여 중심부를 향해 만곡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곤포 용기에 있어서, 상기 적재판은 4개의 코너부가 각각 독립하여 중심부를 향해 만곡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곤포 용기에 있어서, 상기 적재판은, 인접하는 2개의 코너부를 포함하는 1개의 변부 전체가 중심부를 향해 만곡되고, 다른 2개의 코너부가 각각 독립하여 중심부를 향해 만곡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적재판은 적재하는 유리판과 대략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곤포체는, 상기 곤포 용기와, 상기 곤포 용기의 상기 적재판 상에 수평 배치로 적층 보유 지지된 복수 매의 유리판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곤포 용기에 의하면, 유리판을 적재하는 적재판이, 4개의 코너부가 전부 중심부를 향해 만곡됨과 아울러, 적어도 2개의 코너부가 독립하여 중심부를 향해 만곡되어 있기 때문에, 적재판 상에 수평 배치로 적층 보유 지지된 복수 매의 유리판은, 특별히 독립하여 중심부를 향해 만곡되어 있는 2개의 코너부에 의해, 긴 변 방향 및 짧은 변 방향의 이동이 규제된다. 이것에 의해, 그의 면 방향에 있어서의 전방위에 대하여 그의 이동, 즉 횡어긋남(위치 어긋남)이 규제된다. 따라서, 운반 시 등에 있어서, 보다 안정되게 유리판을 보유 지지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곤포체에 의하면, 상기 곤포 용기와, 상기 곤포 용기의 상기 적재판 상에 수평 배치로 적층 보유 지지된 복수 매의 유리판을 구비하기 때문에, 운반 시 등에 있어서 보다 안정되게 유리판을 보유 지지 고정한 것으로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곤포체의 일 실시 형태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곤포체의 개략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곤포체의 A-A선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4의 (a) 및 도 4의 (b)는 진동 흡수 부재의 구성을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받침 접시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한 곤포 용기의 적재판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의 (a)는 도 1에 도시한 곤포 용기의 적재판의 형상의 개념도, 도 7의 (b)는 다른 실시 형태로서의 적재판의 형상의 개념도, 도 7의 (c) 내지 도 7의 (e)는 참고예의 적재판의 형상의 개념도이다.
도 8은 합지 누름 부재의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곤포 방법 및 곤포체의 일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 형태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의 유리판의 곤포체(1)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2는 곤포 용기(10) 상에 복수 매의 유리판(G)을 수평 배치로 적층 보유 지지하여 이루어지는 곤포체(1)의 개략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곤포 용기(10)에는, 복수 매(예를 들어 80 내지 150장)의 직사각형 유리판(G)이 대략 수평으로 적층되어 수납되어 있다. 또한, 유리판(G)의 상호 간에는, 유리판(G)보다 대면적이고 직사각형으로 형성된 합지(12)가 끼움 지지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 나타내는 유리판(G)은, FPD용으로 사용되는 박판의 대형 유리 기판이고, 예를 들어 판 두께가 0.5㎜ 내지 2.8㎜이며, 종횡 크기가 약 2400㎜×2100㎜ 내지 3200㎜×3000㎜인 대형 유리판이다.
또한, 합지(12)로서는, 합지(12) 중의 수지분이 유리판(G) 표면에 전사되어 종이 표면 무늬나 버닝이나 오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종이의 평활도(JIS P 8119, 1976)가 20초 이하, 바람직하게는 18초 이하인 조면으로 된 것이 사용된다. 이것에 의해, 유리판(G)의 표면에 관한 접촉 면적이 감소하여, 수지분의 전사가 억제된다. 또한, 수지분이 0.1질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0.05질량% 이하(JIS P 8205, 1976)로 조정됨으로써, 상기 조면과의 복합 작용에 의해 유리판(G)의 품질을 유지할 수 있는 합지(12)가 바람직하다.
곤포 용기(1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아 직사각형인 받침대(14) 및 적재판(16), 또한 합지 누름 부재(18)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곤포 용기(10)의 4개의 코너부에는, 용기 적층 수단을 구성하는 가이드 부재(20)가 각각에 세워져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곤포 용기(10)를 세로 방향으로 복수 단 적층하여 운반하는 경우에, 곤포 용기(10) 사이를 용이하게 위치 결정할 수 있고, 또한 곤포 용기(10) 사이를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받침대(14)는 도 1의 A-A선 화살표 방향에서 보아 선 단면도인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강재(22)에 의해 프레임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강재(22)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 합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압출재나 강판이 소정의 형상으로 절단된 것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강재(22)가 종횡으로 격자 형상으로 부착된 것이 적어도 2개 제작되고, 이들이 격자면을 대략 평행하게 하도록 강재(22)로 연결된 것에 의해, 받침대(1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강재(22)의 재질은 강성을 갖고, 파티클을 발생시키지 않는 재질이면 모든 금속 및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지만, 중량, 강성, 비용의 면으로부터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이 바람직하다.
받침대(14)의 전체 측면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크리프트(도시하지 않음)의 포크가 삽입되는 포크리프트용 개구부(28)가 받침대(14)의 일 측면당 2군데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곤포 용기(10)에 대하여 받침대(14)의 종횡 측면의 어떠한 방향으로부터도 포크리프트의 포크를 삽입할 수 있어, 효율적으로 작업을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재판(16)은 진동 흡수 부재(30) 및 경사 각도 설정 부재(32) 등을 개재하여 받침대(14)에 탑재되어 있다.
진동 흡수 부재(30)는 다수의 수축 흡수재(34) 및 신장 흡수재(36)로 구성됨과 아울러, 받침대(14)와, 경사 각도 설정 부재(32)가 설치된 받침 접시(38) 사이에 배치되어, 받침대(14)로부터 적재판(16)에 전해지는 진동을 흡수하게 되어 있다.
수축 흡수재(34)는 도 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을 갖는 젤재(40)를 구비하고, 이 젤재(40)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각각 금속제 플레이트(42)를 개재하여, 오목 형상의 브래킷(44, 44)이 볼트(46, 46)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하측의 브래킷(44)이 나사(48)에 의해 받침대(14)에 고정되고, 상측의 브래킷(44)이 나사(48)에 의해 받침 접시(38)에 고정됨으로써, 수축 흡수재(34)는 받침대(14)와 받침 접시(38) 사이에 고정되어 있다.
신장 흡수재(36)는 도 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을 갖는 젤재(50)를 구비하고, 이 젤재(50)의 상단부에 대략 역ㄷ자형의 브래킷(52)이 핀(54)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또한, 브래킷(52)의 하단부는 핀(56)에 의해 받침대(14)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젤재(50)의 하방에는 대략 역ㄷ자형의 브래킷(58)이 소정의 간극을 갖고 배치되며, 이 브래킷(58)의 상단부가 핀(59)에 의해 받침 접시(38)에 고정됨으로써, 신장 흡수재(36)는 받침대(14)와 받침 접시(38) 사이에 고정되어 있다.
수축 흡수재(34)와 신장 흡수재(36)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받침 접시(38)의 하면의 대략 전체면에 규칙적으로(예를 들어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운반 시의 진동에 의한 받침대(14)의 흔들림에 수반하는 상하 방향의 진동이 흡수되어, 이 진동이 받침 접시(38)를 통해 받침대(14) 상의 적재판(16)에 전달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즉, 받침 접시(38)와 받침대(14) 사이가 압축되면(도 4의 (a)의 화살표(F1) 방향), 수축 흡수재(34)를 구성하는 젤재(40)가 압축되어 수축됨으로써, 화살표(F1) 방향의 진동이 양호하게 흡수된다. 또한, 받침 접시(38)와 받침대(14) 사이가 신장되면(도 4의 (b)의 화살표(F2) 방향), 신장 흡수재(36)를 구성하는 젤재(50)가 브래킷(52)과 브래킷(58)으로 압축되어 수축됨으로써, 화살표(F2) 방향의 진동이 양호하게 흡수된다. 어떠한 경우에도, 젤재(40, 50) 자체는 압축되었을 때 진동을 흡수한다. 따라서, 받침대(14)로부터 받침 접시(38)를 통해 적재판(16)에 전달되는 진동에 기인하는, 유리판(G)의 위치 어긋남 등의 문제가 방지된다.
또한, 젤재(40, 50)는, 육상 수송 또는 항공 수송 시에, 차량 또는 비행기에 발생하는 고유 진동수를 고려하여, 예를 들어 8 내지 20㎐의 진동 주파수를 효율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재료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고무, 수지, 실리콘 등의 진동 흡수재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젤재(40, 50) 대신에 압축 고무 등의 탄성체, 또는 금속제의 압축 스프링을 사용해도 된다. 또한, 인장에 대하여 탄성 작용을 갖는 탄성체를 사용할 수도 있다.
받침 접시(38)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받침 접시 프레임(39)과 경사 각도 설정 부재(32)로 구성되어 있다. 받침 접시 프레임(39)은 예를 들어 알루미늄 합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압출재나 강판이 소정의 형상으로 절단되어 형성된 복수의 강재(61)가 종횡으로 짜여져 격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경사 각도 설정 부재(32)는 받침 접시 프레임(39) 상에 고정된 높이가 다른 복수 개의 강재(지지 부재)(60)로 구성되어 있다.
강재(60)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받침 접시(38)의 평면도인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의 4개의 코너부, 즉 평면에서 보아 직사각형인 적재판(16)의 4개의 코너부에 대응하는 각 코너부에 각각 배치된 강재(60a)와, 이들 4개의 코너부 이외에 배치된 다른 강재(60b)를 갖고 있다. 각 코너부에 배치된 강재(60a)는 다른 강재(60b)에 비해 소정 높이, 예를 들어 10㎜에서 50㎜ 정도 높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소정 높이는, 곤포 용기(10)에 적층 보유 지지되는 유리판(G)의 크기에 따라 적절하게 결정된다. 다른 강재(60b)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각 강재(60a, 60a) 사이에 배치됨과 아울러, 받침 접시 프레임(39)의 긴 변 방향을 따라 복수 개(도 5에서는 3개) 배치되어 있다. 단, 이들 다른 강재(60b)에 대해서는, 그의 수나 배치는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
또한, 각 코너부에 배치된 강재(60a)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그의 상단부면이 받침 접시 프레임(39)의 중심부를 향해 하방으로 경사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형성함으로써,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강재(60a, 60b) 상에 적재판(16)을 부착 설치했을 때, 그의 4개의 코너부가 중심부를 향해 완만하게 만곡되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있어서 중심부란, 반드시 받침 접시 프레임(39)이나 적재판(16)의 중심점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며, 이 중심점과 그 근방을 포함하는 비교적 넓은 범위를 의미하고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강재(60a)의 상단부면이 경사지는 중심부의 방향으로서는, 도 5 중에 이점쇄선으로 나타내는 마름모형(H)의, 각각 대향하는 변에 대한 수선(S) 방향으로 된다. 또한, 도 5 중의 마름모형(H)은, 평면에서 보아 직사각형의 받침 접시 프레임(39)의, 각 변의 중심점을 연결하여 형성된 것이다.
이들 각 강재(60(60a, 60b)) 상에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알루미늄판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적층 보유 지지되는 유리판(G)과 대략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의 적재판(16)이 부착 설치되어 있다. 이 적재판(16)은 각 강재(60(60a, 60b)) 상에 적재되고, 그의 4개의 코너부가 높은 위치에서 지지됨으로써 각 코너부로부터 중심부에 걸쳐 각각 자중에 의해 만곡된 후, 접착제나 양면 접착 테이프 등에 의해 강재(60(60a, 60b)) 상에 접착되고, 부착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적재판(16)은 도 5에 도시하는 각 코너부의 강재(60a)와, 마름모형(H) 내의 강재(60b)에 접착 등에 의해 부착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적재판(16)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4개의 코너부가 전부 중심부를 향해 만곡되어 있다.
즉, 적재판(16)은 마름모형(H) 내에서는 동일한 높이의 강재(60b)에 부착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평면(대략 수평면)으로 되지만, 각 코너부의 강재(60a)와 마름모형(H) 사이에서는 강재(60a)와 강재(60b)의 고저차에 기초하여 경사지고, 또한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볼록해지도록 만곡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적재판(16)은 그의 4개의 코너부(모서리부)가 전부 중심부를 향해 각각 독립하여 만곡되어 있다. 따라서, 적재판(16)에는, 그의 4개의 코너부(모서리부)에 각각 독립된 만곡부(16a)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중심부란, 전술한 바와 같이 적재판(16)의 중심점을 의미하지 않고, 이 중심점과 그 근방을 포함하는 비교적 넓은 범위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도 5 중에 이점쇄선으로 나타내는 수선(S)의 연장선이 상기 중심점에 가장 근접하는 부위를 의미하고 있다. 단, 설계상, 중심부를 중심점에 일치시켜도 됨은 물론이다.
또한, 이렇게 적재판(16)의 각 코너부를 만곡시키면, 보강을 위해, 각 만곡부(16a)와 강재(60b) 또는 받침 접시 프레임(39) 사이에 적절한 지지재를 개재시켜도 된다.
적재판(16)의 각 만곡부(16a)의 고저차는 경사 각도 설정 부재(32)의 강재(60a, 60b)의 고저차에 따라 결정되며,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10㎜에서 50㎜ 정도가 되어 있다. 10㎜ 이상으로 함으로써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적재판(16) 상에 적재되는 유리판(G)의 위치 어긋남(횡어긋남)을 보다 양호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50㎜ 이하로 함으로써, 유리판(G)을 싣거나 또는 내릴 때, 적층된 유리판(G)의 코너부가 싣거나 또는 내리기용 로봇 아암(도시하지 않음) 등과 간섭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각 만곡부(16a)의 고저차(10㎜ 내지 50㎜)는 도 5 중의 수선(S)에서의 경사각으로서 환산하면, 예를 들어 G8 크기(2200㎜×2500㎜)에서는 0.7° 내지 3.5° 정도이고, 또한 G10 크기(2880㎜×3130㎜)에서는 0.5° 내지 2.7° 정도이다. 따라서, 실제상은, 겉보기에는 거의 만곡되어(경사져) 있는 것을 모를 정도로 되어 있다.
또한, 적재판(16)으로서는, 강재(60a, 60b)의 고저차에 용이하게 추종하여 탄성 변형되고, 또한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볼록해지도록 만곡되는 재질 및 두께이면 되며, 알루미늄판 이외에도, 알루미늄 합금판이나 알루미늄제의 허니컴판 등 다양한 것이 사용 가능하다.
도 7의 (a)는 도 1에 도시한 곤포 용기(10)의 적재판(16)의 형상의 개념도이며, 이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재판(16)은 네 코너에 각각 독립하여 만곡부(16a)를 형성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적재판(16)은 도 7의 (a) 중에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코너부(만곡부(16a))마다 만곡축(T)을 가진 것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적재판(16)은 그 위에 적층 보유 지지되는 유리판(G)을, 그의 면 방향에 있어서의 전방위에 대하여 그의 이동, 즉 횡어긋남(위치 어긋남)을 규제하도록 되어 있다. 즉, 유리판(G)은 적재판(16)과 대략 동일한 크기 및 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그의 면 방향에 있어서의 어떠한 방향으로 이동하고자 하더라도, 만곡부(16a)의 상기 만곡축(T)과 교차하도록 되고, 따라서 이들 만곡부(16a) 중 어느 하나에 간섭되어 이동이 규제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적재판은 도 7의 (a)에 도시하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도 7의 (b)에 도시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다. 즉, 도 7의 (a)에 적재판(16)에서는 4개의 코너부가 각각 독립하여 중심부를 향해 만곡되어 있는 것에 비해, 도 7의 (b)에 도시하는 적재판(17)에서는, 인접하는 2개의 코너부를 포함하는 1개의 변부 전체가 중심부를 향해 만곡되어 만곡부(17b)를 형성하고, 다른 2개의 코너부가 각각 독립하여 중심부를 향해 만곡되어 만곡부(17a)를 형성하고 있다.
코너부에서 만곡되어 이루어지는 만곡부(17a)는 도 7의 (a)에 도시한 적재판(16)에 있어서의 만곡부(16a)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만곡부(17b)는 변부 전체가 적재판(17)의 긴 변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중심선을 향하여 만곡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만곡부(17b)를 구성하는 양 코너부는 상기 중심선 방향을 향하여 만곡되어 있음으로써, 적재판(17)의 중심부를 향해 만곡되어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적재판(17)에 있어서는, 도 7의 (b) 중에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각 만곡부(17a, 17b)마다 만곡축(T)을 가진 것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적재판(17)도 그 위에 적층 보유 지지되는 유리판(G)을, 그의 면 방향에 있어서의 전방위에 대하여 그의 이동, 즉 횡어긋남(위치 어긋남)을 규제하도록 되어 있다. 즉, 유리판(G)은 그의 면 방향에 있어서의 어떠한 방향으로 이동하고자 하더라도, 만곡부(17a, 17b)의 상기 만곡축(T)과 교차한다. 그리고, 독립하여 중심부를 향해 만곡되어 있는 만곡부(17a)에 간섭됨으로써, 유리판(G)의 짧은 변 방향 및 이들 만곡부(17a)를 향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만곡부(17b)에 간섭됨으로써, 만곡부(17b)를 향하는 방향으로의 이동도 규제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유리판(G)은 이들 만곡부(17a, 17b) 중 어느 하나에 간섭되어 이동이 규제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만곡부(17a, 17b)를 갖는 적재판(17)에 대해서는, 도 5에 도시한 강재(60b) 중, 한쪽의 짧은 변부에 있어서의 코너부 사이에 배치되는 강재(60b)를 코너부에 있어서의 강재(60a)와 동일한 높이로 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적재판의 구성으로서는, 참고예로서, 도 7의 (c) 내지 (e)에 도시한 바와 같은 것도 생각된다. 도 7의 (c)에 도시하는 적재판은 대향하는 양변부에 만곡부(17b)를 형성한 것이다. 그러나, 이 적재판에서는, 도 7의 (c) 중의 화살표(X) 방향에 대한 유리판(G)의 위치 어긋남에 대해서는, 이를 양호하게 방지할 수 있지만, 화살표(X) 방향과 직교하는 화살표(Y) 방향에 대해서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그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없다.
또한, 도 7의 (d)에 도시하는 적재판은, 한쪽의 대각선상에서 대향하는 한 쌍의 코너부에 대해서만, 만곡부(17a)를 형성하지만, 다른 쪽의 대각선상에서 대향하는 한 쌍의 코너부에 대해서는, 만곡부를 형성하지 않고, 평면 형상으로 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 적재판에서는, 한쪽의 대각선 방향, 즉 도 7의 (d) 중의 화살표(X) 방향에 대한 유리판(G)의 위치 어긋남에 대해서는, 이를 양호하게 방지할 수 있지만, 다른 쪽의 대각선 방향인 화살표(Y) 방향에 대해서는, 그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없다.
또한, 도 7의 (e)에 도시하는 적재판은, 1개의 변부에 만곡부(17b)를 형성함과 아울러, 다른 코너부 중 한쪽에만 만곡부(17a)를 형성한 것이다. 그러나, 이 적재판에서는, 다른 쪽의 코너부, 즉 도 7의 (e) 중의 화살표(Y) 방향에 대한 유리판(G)의 위치 어긋남에 대해서는, 이를 방지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곤포 용기(10) 및 곤포체(1)에 있어서의 적재판으로서는, 도 7의 (a) 또는 도 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만곡부에 대응하는 만곡축(T)이 전방위에 걸쳐 폐쇄되도록 구성된 것이 채용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적재판(16)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의 상면에, 반송 등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완충하기 위한 수지 시트(62)가 피착된다. 이 수지 시트(62)의 재질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그의 하지(下地)가 되는 적재판(16(17))의 표면 형상을 본떠, 만곡부(16a((17a, 17b))와 같은 만곡 형상을 형성할 수 있는 두께 및 성상의 것이 사용된다. 또한, 이러한 두께 및 성상의 것이며, 또한 쿠션성이 우수하고, 가공성이 양호하며, 열변형이 적고, 또한 유리에 영향을 미치는 탈가스가 없는 재질의 것이 적절하게 사용된다. 그리고, 이 수지 시트(62) 상에 다수 매의 유리판(G)이 합지(12)를 개재하여 적층되어 있다.
적층된 유리판(G)은, 예를 들어 그의 두께가 0.5㎜ 내지 2.8㎜ 정도로 매우 얇기 때문에, 적재판(16)의 표면 형상, 즉 수지 시트(62)의 표면 형상을 본떠서 휘어, 4개의 코너부가 전부 중심부를 향해 만곡되게 된다.
또한, 합지(12)는 합지(12)와 유리판(G)의 평면 방향의 대략 센터를 합쳐, 유리판(G)의 각 변으로부터 합지(12)가 소정량 밀려나오도록 적층된다. 그때, 유리판(G) 상에서는, 상기 유리판(G)과 마찬가지로, 4개의 코너부가 전부 중심부를 향해 만곡되게 된다.
합지 누름 부재(18)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받침 접시(38)의 4변의 각 변에 소정의 간격을 갖고 예를 들어 2개씩 배치되며, 나사(64, 64)에 의해 받침 접시(38)에 고정되어 있다. 나사(64)에 의해 합지 누름 부재(18)를 체결해 가면, 유리판(G)은 합지 누름 부재(18)에 의해 측면으로부터 가압된다. 이것에 의해, 유리판(G)은 그의 4변이 각 합지 누름 부재(18)에 의해 끼움 지지된다. 또한, 유리판(G)의 4변으로부터 밀려나오는 합지(12)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합지 누름 부재(18)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적재판(16)에 대하여 고정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받침 접시(38)의 각 변에 2개의 합지 누름 부재(18)를 배치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받침 접시(38)의 각 변에 각 변의 길이에 대응한 것을 1개만 설치해도 되고, 또는 각 변을 따라 3개 이상의 짧은 합지 누름 부재를 설치해도 된다.
또한, 합지 누름 부재(18)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리판(G)의 측면으로부터 밀려나와 하측으로 늘어뜨려진 합지(12)를 유리판(G)의 측면 방향으로 가압한다. 이때, 현수된 합지(12)의 단부가 중첩된 부분이 합지 누름 부재(18)에 의해 가압되기 때문에, 합지 누름 부재(18)는 유리판(G)의 측면에 직접 접촉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합지(12)의 유연성에 의해 유리판(G)이 보호되면서, 유리판(G)의 적층체는 그의 4변의 측면이 확실하게 가압되게 된다. 또한, 유리판(G)이 진동에 의해 상하로 움직이고자 하더라도, 현수된 합지(12)가 합지 누름 부재(18)와 유리판(G)의 측면 사이에 끼움 지지되고, 합지(12)가 적재판(16)에 대하여 고정되므로, 유리판(G)의 상하 이동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유리판(G)의 가로 방향의 위치 어긋남도 방지할 수 있다.
그런데, 합지 누름 부재(18)의 합지 가압면(19)에는, 중첩되는 합지(12)의 두께에 따라 상부로부터 하부를 향해 유리판(G)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합지 누름 부재(18)로 확실하게 합지(12)를 가압할 수 있음과 아울러, 합지(12)를 개재하여 적층된 각 유리판(G)의 단부변에 가해지는 가압력을 균등화할 수 있다. 따라서, 유리판(G)에 지나친 부하를 가하여, 유리판(G)을 손상시킬 우려가 없어진다.
본 실시 형태의 곤포 용기(10)에 의하면, 유리판(G)을 수평으로 쌓은 상태에서 운반되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기 때문에, 지금까지의 세로 배치형 반송 형태와 비교하여, 반송 수단에 대하여 충분한 적재 효율을 제공할 수 있음과 아울러, 비행기나 트럭 등의 천장이 낮은 격납고이어도, 세로 배치형 반송 형태와 비교하여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다.
또한, 이 곤포 용기(10)의 적재판(16(17))이 4개의 코너부가 전부 중심부를 향해 만곡함과 아울러, 적어도 2개의 코너부가 독립하여 중심부를 향해 만곡되어 만곡부(16a((17a, 17b))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적재판(16(17)) 상에 수평 배치로 적층 보유 지지된 복수 매의 유리판(G)을, 특별히 독립하여 중심부를 향해 만곡되어 있는 2개의 코너부에 의해, 긴 변 방향 및 짧은 변 방향의 이동을 규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그의 면 방향에 있어서의 전방위에 대하여 그의 이동, 즉 횡어긋남(위치 어긋남)을 규제할 수 있다. 따라서, 운반 시 등에 있어서, 보다 안정되게 유리판(G)을 보유 지지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이 곤포 용기(10)는 유리판(G)을 곤포, 운반하고, 곤포 개방하여 유리판(G)을 취출한 후, 빈 곤포 용기(10)를 그대로 재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재사용은 몇 번이고 반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곤포체(1)에 의하면, 상기 곤포 용기(10)와, 이 곤포 용기의 적재판(16(17)) 상에 수평 배치로 적층 보유 지지된 복수 매의 유리판(G)을 구비하기 때문에, 운반 시 등에 있어서, 보다 안정되게 유리판(G)을 보유 지지 고정한 것으로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주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적재판(16(17))으로서 강성이 높고 경량인 알루미늄제의 판재를 사용했지만, 이것을 알루미늄제의 허니컴판으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유리판(G) 사이에 합지(12)를 개재시키도록 했지만, 이렇게 합지(12)를 개재시키지 않고, 복수 매의 유리판(G)을 직접 수평 쌓기로 적층해도 된다.
본 발명을 상세하게, 또한 특정한 실시 형태를 참조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범위와 정신을 일탈하지 않고, 다양한 수정이나 변경을 가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있어 명확하다.
본 출원은, 2011년 1월 21일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1-010639호에 기초하는 것이며, 그의 내용은 여기에 참조로서 도입된다.
본 발명의 곤포 용기 및 곤포체에 의하면, 운반 시 등에 있어서 수평 배치한 유리판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하고, 보다 안정되게 유리판을 보유 지지 고정할 수 있도록 한, 우수한 곤포 용기 및 곤포체를 제공할 수 있다.
1: 곤포체
10: 곤포 용기
16: 적재판
16a: 만곡부
17: 적재판
17a: 만곡부
17b: 만곡부
60a, 60b: 강재
G: 유리판
T: 만곡축

Claims (5)

  1. 유리판을 대략 수평 상태로 적재하여 보유 지지하는 곤포 용기이며,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 상에 배치되고 유리판을 적재하는, 평면에서 보아 직사각형인 적재판을 구비하고,
    상기 적재판은, 4개의 코너부가 전부 중심부를 향해 만곡됨과 아울러, 적어도 2개의 코너부가 독립하여 중심부를 향해 만곡되어 있는 곤포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판은 4개의 코너부가 각각 독립하여 중심부를 향해 만곡되어 있는 곤포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판은, 인접하는 2개의 코너부를 포함하는 1개의 변부 전체가 중심부를 향해 만곡되고, 다른 2개의 코너부가 각각 독립하여 중심부를 향해 만곡되어 있는 곤포 용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판은 적재하는 유리판과 대략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는 곤포 용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곤포 용기와,
    상기 곤포 용기의 상기 적재판 상에 수평 배치로 적층 보유 지지된 복수 매의 유리판을 구비하는 곤포체.
KR1020137019015A 2011-01-21 2012-01-16 곤포 용기 및 곤포체 KR2013014011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010639 2011-01-21
JP2011010639 2011-01-21
PCT/JP2012/050745 WO2012099070A1 (ja) 2011-01-21 2012-01-16 梱包容器および梱包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0118A true KR20130140118A (ko) 2013-12-23

Family

ID=46515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9015A KR20130140118A (ko) 2011-01-21 2012-01-16 곤포 용기 및 곤포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WO2012099070A1 (ko)
KR (1) KR20130140118A (ko)
CN (1) CN103298712A (ko)
TW (1) TW201236943A (ko)
WO (1) WO201209907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3804B1 (ko) * 2020-11-18 2021-02-08 주식회사 이지스시스템 글래스 패널 운반용 수평 크레이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64794B (zh) 2010-11-30 2019-11-19 康宁股份有限公司 包装多个玻璃板的方法及玻璃板的包装
CN103043321B (zh) * 2013-01-23 2015-09-09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组装式包装箱
WO2014162953A1 (ja) * 2013-04-04 2014-10-09 旭硝子株式会社 板状体の梱包体
JP6237501B2 (ja) * 2014-07-02 2017-11-29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ガラス合紙
CN109335341A (zh) * 2018-09-28 2019-02-15 芜湖华宇彩晶科技有限公司 一种显示屏半成品转运工装及其使用方法
JP7292303B2 (ja) * 2018-11-02 2023-06-16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板梱包体
JP7323864B2 (ja) * 2019-11-26 2023-08-09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板梱包体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61038U (ko) * 1987-10-12 1989-04-18
WO2006009225A1 (ja) * 2004-07-23 2006-01-26 Asahi Glass Company, Limited 板状体梱包箱、板状体搬送方法及び板状体積載・取出し方法
JP2010036948A (ja) * 2008-08-04 2010-02-18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ガラス板梱包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3804B1 (ko) * 2020-11-18 2021-02-08 주식회사 이지스시스템 글래스 패널 운반용 수평 크레이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298712A (zh) 2013-09-11
TW201236943A (en) 2012-09-16
WO2012099070A1 (ja) 2012-07-26
JPWO2012099070A1 (ja) 2014-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40118A (ko) 곤포 용기 및 곤포체
JP5182283B2 (ja) 板状体の梱包パレット
TWI423908B (zh) 玻璃板捆包集裝架以及玻璃板捆包體
KR101478682B1 (ko) 유리판 곤포체
JP5787107B2 (ja) ガラス板梱包体
JP2010036948A (ja) ガラス板梱包体
WO2018105612A1 (ja) 防振パレットおよびガラス梱包体
JP4643683B2 (ja) 梱包装置
JP2008155995A (ja) 板状物用トレイと板状物の積層方法
JP2014198608A (ja) ガラス板梱包体のアダプタ
JP4941224B2 (ja) 板状物用トレイと板状物の積層方法
WO2021024686A1 (ja) ガラス板梱包体
JP7470293B2 (ja) ガラス板梱包用パレット及びガラス板梱包体
JP5534085B2 (ja) ガラス板梱包体
WO2021049264A1 (ja) ガラス板梱包用パレット、ガラス板梱包体及びガラス板梱包体の製造方法
KR100823902B1 (ko) 판형상체 곤포 상자, 판형상체 반송 방법 및 판형상체적재·취출 방법
WO2024024351A1 (ja) ガラス板梱包用パレット、ガラス板梱包体及びガラス板梱包体の製造方法
WO2023181973A1 (ja) ガラス板梱包体
JP5429257B2 (ja) 板状物用トレイと板状物の積層方法
JP2014069850A (ja) 板状体梱包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