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5996A - 내연 기관용 입자 필터의 재 적재의 결정 - Google Patents

내연 기관용 입자 필터의 재 적재의 결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5996A
KR20200125996A KR1020207028892A KR20207028892A KR20200125996A KR 20200125996 A KR20200125996 A KR 20200125996A KR 1020207028892 A KR1020207028892 A KR 1020207028892A KR 20207028892 A KR20207028892 A KR 20207028892A KR 20200125996 A KR20200125996 A KR 202001259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cle filter
loading
regeneration
measuring device
regeneration proc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88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34546B1 (ko
Inventor
랄프 슐츠
Original Assignee
바이에리쉐 모토렌 베르케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이에리쉐 모토렌 베르케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바이에리쉐 모토렌 베르케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2001259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59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45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45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9/00Electrical control of exhaust gas treating apparatus
    • F01N9/002Electrical control of exhaust gas treating apparatus of filter regeneration, e.g. detection of clogg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1/00Monitoring or diagnostic devices for exhaust-gas treatment apparatus, e.g. for catalytic activity
    • F01N11/002Monitoring or diagnostic devices for exhaust-gas treatment apparatus, e.g. for catalytic activity the diagnostic devices measuring or estimating temperature or pressure in, or downstream of the exhaust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 F01N3/021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filters
    • F01N3/023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filters using means for regenerating the filters, e.g. by burning trapped part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021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conditions exterior to the engine
    • F02D41/0235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conditions exterior to the engine in relation with the state of the exhaust gas treating apparatus
    • F02D41/027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conditions exterior to the engine in relation with the state of the exhaust gas treating apparatus to purge or regenerate the exhaust gas treating apparatus
    • F02D41/029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conditions exterior to the engine in relation with the state of the exhaust gas treating apparatus to purge or regenerate the exhaust gas treating apparatus the exhaust gas treating apparatus being a particulate fil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14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 F02D41/1438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using means for determining characteristics of the combustion gases; Sensors therefor
    • F02D41/1444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using means for determining characteristics of the combustion gases; Senso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bustion gases
    • F02D41/1448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using means for determining characteristics of the combustion gases; Senso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bustion gases the characteristics being an exhaust gas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560/00Exhaust systems with means for detecting or measuring exhaust gas components or characteristics
    • F01N2560/08Exhaust systems with means for detecting or measuring exhaust gas components or characteristics the means being a pressure sens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900/00Details of electrical control or of the monitoring of the exhaust gas treating apparatus
    • F01N2900/04Methods of control or diagnosing
    • F01N2900/0422Methods of control or diagnosing measuring the elapsed tim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900/00Details of electrical control or of the monitoring of the exhaust gas treating apparatus
    • F01N2900/06Parameters used for exhaust control or diagnosing
    • F01N2900/0601Parameters used for exhaust control or diagnosing being estim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900/00Details of electrical control or of the monitoring of the exhaust gas treating apparatus
    • F01N2900/06Parameters used for exhaust control or diagnosing
    • F01N2900/14Parameters used for exhaust control or diagnosing said parameters being related to the exhaust gas
    • F01N2900/1406Exhaust gas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900/00Details of electrical control or of the monitoring of the exhaust gas treating apparatus
    • F01N2900/06Parameters used for exhaust control or diagnosing
    • F01N2900/16Parameters used for exhaust control or diagnosing said parameters being related to the exhaust apparatus, e.g. particulate filter or catalyst
    • F01N2900/1611Particle filter ash amou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200/00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 F02D2200/02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the parameters being related to the engine
    • F02D2200/08Exhaust gas treatment apparatus parameters
    • F02D2200/0812Particle filter load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40Engine managemen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rocesses For Solid Components From Exhaust (AREA)
  • Exhaust Gas After Trea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자동차의 내연 기관용 입자 필터의 재 적재(ash loading)를 결정하기 위한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며, 이 경우 입자 필터의 재생 과정은, 재생 과정의 완료 후에는 사전 설정된 최소 그을음 적재가 입자 필터 내에 남아 있는 방식으로 실행되며, 그리고 측정 장치는, 내연 기관의 배기 시스템 내의 배기가스 하류에서 입자 필터 뒤에 배열된 압력 센서를 이용하여, 입자 필터의 재생 과정 동안의 적재 연소 동작을 특징짓는 실제 재생 변수를 결정하도록, 그리고 이 재생 변수 및 재생 과정의 시간적인 기간을 특징짓는 변수에 따라 입자 필터의 재 적재를 결정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Description

내연 기관용 입자 필터의 재 적재의 결정
본 발명은, 내연 기관용 입자 필터에 재(ash)가 적재(loading)되는 것을 결정하기 위한 측정 장치 및 측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 10 2017 116 405 A1호에는, 입자 필터 하류에서 람다 점프를 이용하여, 입자 필터 내에 이전에 퇴적된 산소가 방출되는 방출 시간이 결정됨으로써, 입자 필터의 재 적재를 확정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이 방출 시간을 참조해서, 재가 입자 필터에 적재되는 것이 결정된다.
본 발명의 과제는, 내연 기관용 입자 필터의 재 적재를 결정하기 위한 대체 측정 장치 및 대체 측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독립 특허 청구항들의 특징부들에 의해서 해결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종속 청구항들에 기술되어 있다. 일 독립 특허 청구항의 특징부들 없이 그 독립 특허 청구항에 의존하는 특허 청구항의 추가 특징부들이 또는 다만 그 독립 특허 청구항의 특징부들의 하위 특징부들과 조합된 상태에서만, 그 독립 특허 청구항의 전체 특징부들의 조합으로부터 독립적인 고유한 하나의 발명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고유한 발명이 독립 청구항, 분할 출원 또는 후속 출원의 대상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이 언급된다. 이와 같은 사실은, 명세서 내에 기술된 그리고 독립 특허 청구항의 특징부들로부터 독립적인 하나의 발명을 형성할 수 있는 기술적인 이론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는, 자동차의 내연 기관용 입자 필터의 재 적재를 결정하기 위한 측정 장치와 관련이 있다.
재 외에, 내연 기관의 작동 중에는 입자 필터에 그을음도 적재된다. 이 경우, 재는 일반적으로 오일의 연소 잔류물로 이루어지며, 그을음은 추진제 연소의 잔류물로부터 생성된다. 따라서, 입자 필터의 적재는 적어도 재가 입자 필터에 적재되는 것 그리고 그을음이 입자 필터에 적재되는 것을 포함한다.
입자 필터의 재생 과정은, 재생 과정의 완료 후에는 사전 설정된 최소 그을음 적재가 입자 필터 내에 남아 있는 방식으로 실행된다. 이 경우, 사전 설정된 최소 그을음 적재는 예를 들어 입자 필터, 내연 기관 또는 자동차를 개발하는 동안 입자 필터의 효율에 따라 사전 설정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로, 사전 설정된 최소 그을음 적재는 또한 입자 필터의 작동 동안 특히 연속적으로 조정될 수도 있다.
재생 과정에서는 그을음이 입자 필터 내에서 연소된다. 이 경우, 재생 과정은 특히 증가된 연료 소비를 야기할 수 있는 입자 필터의 완전한 적재를 방지한다. 하지만, 재생 과정에서 재가 전혀 연소되지 않음으로써, 결과적으로 입자 필터의 사용 수명 동안 입자 필터의 재 적재는 계속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이 경우, 본 발명에는, 입자 필터의 효율은 다른 무엇보다 그을음이 입자 필터에 적재되는 것에 의존한다는 발견이 기초가 된다.
이 경우, 비교적 높은 수준의 효율은, 특히 입자 필터에 적어도 최소 수준의 그을음이 적재된 경우에만 달성된다. 예를 들어, 이 경우에는 25%, 50% 또는 75%의 최소 적재가 다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입자 필터의 재 적재를 결정하기 위해 입자 필터 내에 퇴적된 그을음을 완전히 연소시키는 것은 특히 목적에 부합하지 않는다.
측정 장치는, 내연 기관의 배기 시스템 내의 배기가스 하류에서 입자 필터 뒤에 설치된 압력 센서를 이용하여, 입자 필터의 재생 과정 동안의 적재 연소 동작을 특징짓는 실제 재생 변수를 결정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재가 입자 필터에 적재되는 것뿐만 아니라 그을음이 입자 필터에 적재되는 것까지도 압력 센서에 의해 측정된 압력, 예를 들어 배기가스 배압에 기여한다.
상기 내용에 대해 대안적으로, 압력 센서는 또한 배기가스 상류에서 입자 필터 앞에 설치될 수도 있다.
압력 센서는, 특히 입자 필터 앞에서 그리고 뒤에서 차압을 결정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해, 입자 필터는 예를 들어 배기가스 상류에서 입자 필터 앞에 접근부를 하나 포함할 수 있고, 배기가스 하류에서 입자 필터 뒤에 접근부를 하나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압력 센서는, 또한 차압을 결정하기 위해 다만 입자 필터 앞에서 압력을 측정하도록 그리고 배기 시스템 내에서 입자 필터에 후속하는 부품들의 모델을 이용하여 입자 필터 뒤에서 압력을 결정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압력 센서에 의해 필요에 따라 결정되는 차압은, 예를 들어 실제 재생 변수를 결정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입자 필터의 재 적재에 의한 기여와 입자 필터의 그을음 적재에 의한 기여 간의 차이는, 다만 그을음이 완전히 연소된 사소한 경우에만 가능한데, 그 이유는 이 경우에는 그을음 적재에 의한 기여가 완전히 생략되기 때문이다.
이 목적을 위해, 측정 장치는, 특히 재생 과정 전의 입자 필터의 적재를 특징짓는 적재 변수를 결정하도록 그리고 압력 센서를 이용하여 재생 과정 후의 입자 필터의 적재를 특징짓는 적재 변수를 결정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적재 변수는 특히 압력일 수 있거나, 압력을 특징짓고 예를 들어 또 다른 영향 요소(예컨대 온도)의 값을 이용해서 정규화되는 변수일 수 있다.
실제 재생 변수는, 2개 적재 변수 간의 편차에 따라 측정 장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2개 적재 변수 간의 편차는, 예를 들어 2개 적재 변수 간의 차이 또는 2개 변수 서로에 대한 비율일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에는, 입자 필터의 재 적재가 연속적으로 증가하고 또한 입자 필터의 재생에 의해서도 감소될 수 없다는 발견이 기초가 된다. 하지만, 입자 필터의 재 적재는, 특히 2개 적재 변수를 결정할 때에, 재생 과정 전의 재 적재가 실질적으로 재생 과정 후의 재 적재에 상응하고 이로써 변경되지 않는다는 단순한 가정에 도달할 수 있을 정도로 느리게 증가한다.
측정 장치는, 또한 재생 변수 및 재생 과정의 시간적인 기간을 특징짓는 변수에 따라 입자 필터의 재 적재를 결정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재생 과정의 시간적인 기간을 특징짓는 변수는, 특히 예를 들어 밀리 초 단위로 지정할 수 있는 연속적인 시간 간격일 수 있다. 이에 대해 대안적으로, 재생 과정의 시간적인 기간을 특징짓는 변수는, 특히 예를 들어 실행된 재생 과정의 수와 같은 개별적인 시간 측정일 수도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측정 장치는, 연소 모델을 이용하여 재생 과정의 시간적인 기간에 따라 재생 과정 동안의 적재 연소를 특징짓는 모델링된 재생 변수를 결정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 경우, 연소 모델은, 특히 재생 과정의 시간적인 기간에 따라 재생 과정에 의해서 예상되는 입자 필터의 적재 감소를 사전에 설정한다. 짧은 재생 과정에 비해 긴 재생 과정의 경우에는, 연소 모델이 예를 들어 입자 필터의 적재를 더욱 강하게 감소시킨다.
측정 장치는, 또한 실제 재생 변수와 모델링된 재생 변수 간의 편차에 따라 입자 필터의 재 적재를 결정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실제 재생 변수와 모델링된 재생 변수 간의 편차는, 예를 들어 실제 재생 변수와 모델링된 재생 변수의 차이일 수 있다. 그에 대해 대안적으로, 예를 들어 실제 재생 변수 대 모델링된 재생 변수의 비율일 수도 있다. 그에 대해 대안적으로, 예를 들어 실제 재생 변수에 대한 모델링된 재생 변수의 비율일 수도 있다. 특히, 특정 장치는, 실제 재생 변수와 모델링된 재생 변수 간의 편차가 비교적 큰 경우에는 입자 필터의 비교적 높은 재 적재를 결정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그에 대해 대안적으로, 측정 장치는, 특히 실제 재생 변수와 모델링된 재생 변수 간의 편차가 비교적 작은 경우에는 입자 필터의 비교적 낮은 재 적재를 결정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또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연소 모델은, 배기가스 체적 흐름 및/또는 배기가스 온도 및/또는 입자 필터의 적재에 따라, 재생 과정 동안의 적재 연소를 특징짓는 모델링된 재생 변수를 결정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또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측정 장치는, 압력 센서를 이용하여 재생 과정 전의 입자 필터의 적재를 특징짓는 적재 변수를 결정하도록, 그리고 연소 모델을 이용하여 재생 과정의 시간적인 기간에 따라 재생 과정 후의 입자 필터의 적재를 특징짓는 적재 변수를 결정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더 나아가, 측정 장치는, 2개 적재 변수 간의 편차에 따라 모델링된 재생 변수를 결정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편차는, 예를 들어 2개 적재 변수 간의 차이 또는 2개 적재 변수 서로에 대한 비율일 수 있다.
또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측정 장치는, 2개 이상의 시점에 실제 재생 변수 및 모델링된 재생 변수를 각각 결정하도록, 그리고 제2 시점에 실제 재생 변수와 모델링된 재생 변수 간의 편차가 제1 시점에서보다 큰 경우에는, 제1 시점에 후속하는 제2 시점에 입자 필터의 재 적재의 증가를 확정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에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하는 입자 필터의 재 적재는 모델링된 재생 변수로부터의 실제 재생 변수의 편차가 점점 더 커지는 상황을 야기한다는 발견이 기초가 된다.
또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측정 장치는, 3개 이상의 시점에 실제 재생 변수 및 모델링된 재생 변수를 각각 결정하도록, 그리고 각각 2개 이상의 시점에 걸쳐 집계된 실제 재생 변수와 모델링된 재생 변수 간의 편차가 더 늦은 시점에 비해 더 이른 시점에서보다 늦은 시점에 더 큰 경우에는, 입자 필터의 재 적재의 증가를 확정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특히, 편차의 집계는 산술 평균 또는 중앙값의 결정일 수 있다. 집계된 편차는 예를 들어 각각 분리된 시점에 걸쳐 결정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집계된 편차를 슬라이딩 값으로서 결정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에는, 실제 재생 변수와 모델링된 재생 변수 간의 편차가 경우에 따라서는 불리한 점 형태의 간섭 영향에 종속될 수 있다는 발견이 기초가 된다. 이와 같은 점 형태의 간섭 영향은 필터링의 의미에서의 집계에 의해서 식별 및 보상될 수 있다.
또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측정 장치는, 압력 센서를 이용하여 입자 필터의 적재를 특징짓는 적재 변수를 결정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더 나아가, 측정 장치는, 적재 변수에 대한 제1 임계값에 도달하거나 초과하는 경우에는 모터 제어 유닛을 이용해서 재생 과정을 시작하도록, 적재 변수에 대한 제2 임계값에 도달하거나 초과하는 경우에는 모터 제어 유닛을 이용해서 재생 과정을 종료하도록, 그리고 재생 과정의 시간적인 기간에 따라 입자 필터의 재 적재를 결정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특히, 측정 장치는, 더 이른 시점에 결정된 입자 필터의 재 적재에 따라 제1 및/또는 제2 임계값을 조정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증가하는 재 적재가 확인되면 제1 및/또는 제2 임계값이 증가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에는, 그러나 내연 기관이 작동 중일 때에는 입자 필터의 재 적재가 연속적으로 서서히 증가한다는 발견이 기초가 된다.
특히, 측정 장치는, 시간적으로 더 짧은 재생 과정에 비해 시간적으로 더 긴 재생 과정에서는 입자 필터의 더 높은 재 적재를 결정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또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재생 과정은 하나 이상의 재생 단계 및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재생 단계로 구성된다. 재생 단계의 시간적인 기간은 특히 일정하게 사전 설정될 수 있고, 예를 들어 경험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에 대해 대안적으로, 재생 단계의 시간적인 기간은 특히 작동 중에도 연소 모델에 따라 측정 장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측정 장치는, 재생 단계의 완료 후에는 압력 센서를 이용하여 적재 변수를 결정하도록, 그리고 적재 변수가 아직까지 제2 임계값에 도달하지 않았거나 미달하는 경우에는 또 다른 재생 단계를 시작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때, 시작된 재생 단계의 수는 특히 재생 과정의 시간적인 기간을 특징짓는 변수로서 측정 장치에 의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양태는, 자동차의 내연 기관용 입자 필터의 재 적재를 결정하기 위한 측정 방법과 관련이 있다.
이 경우, 입자 필터의 재생 과정은, 재생 과정의 완료 후에는 사전 설정된 최소 그을음 적재가 입자 필터 내에 남아 있는 방식으로 실행된다.
측정 방법의 일 단계는, 입자 필터의 재생 과정에서의 적재 연소를 특징짓는 실제 재생 변수를 결정하는 단계이다.
측정 방법의 또 다른 일 단계는, 재생 변수 및 재생 과정의 시간적인 기간을 특징짓는 변수에 따라 입자 필터의 재 적재를 결정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측정 장치에 관한 상기 설명은 또한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측정 방법에 상응하는 방식으로 적용된다. 이 부분에서 그리고 청구 범위 내에서 명시적으로 기술되지 않은 본 발명에 따른 측정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전술되었거나 특허 청구 범위 내에 기술된 본 발명에 따른 측정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상응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부의 도움으로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된다. 도면부에서,
도 1은 내연 기관에 연결된 배기 시스템을 갖는 내연 기관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하며,
도 2는 입자 필터의 적재를 위한 예시적인 측정 지점을 도시하고,
도 3은 재생 변수에 대한 예시적인 값을 도시하며, 그리고
도 4는 입자 필터의 적재의 외삽된 프로파일을 도시한다.
도 1은 내연 기관(VM)을 도시하며, 여기서 내연 기관의 출력은 입자 필터(PF)로 가이드 된다. 배기가스 하류의 입자 필터(PF) 뒤에서는, 압력 센서(DS)가 배기 시스템 내에 설치되어 있다.
측정 장치(MV)는, 압력 센서(DS)에 의해 측정된 그리고 필요에 따라 전처리된 값을 수신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더 나아가서는, 또한 연소 모델(AM)도, 압력 센서(DS)에 의해 측정된 그리고 필요에 따라 전처리된 값을 수신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더욱이, 측정 장치(MV)는, 또한 연소 모델(AM)로부터 입자 필터에 대한 모델링된 적재 변수를 수신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 밖에, 측정 장치(MV)는, 엔진 제어 장치(DME)를 이용하여 내연 기관(VM)의 제어에 의해서 입자 필터(PF)의 재생 과정을 시작하도록 그리고 종료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도 2는, 입자 필터(PF)의 적재에 대한 예시적인 측정 지점을 도시한다.
이 경우, 입자 필터(PF)의 일 재생 과정(rp1)은, 재생 과정(rp1)의 완료 후에는 사전 설정된 최소 그을음 적재가 입자 필터 내에 남아 있는 방식으로 실행된다. 재생 과정(rp1)은 예를 들어 연료 차단(sa) 및 이에 연결된 데드 타임을 포함할 수 있다.
재생 과정(rp1) 동안에는, 경우에 따라 입자 필터(PF)의 적재(B)의 측정이 이루어질 수 없음으로써, 결과적으로 재생 과정(rp1)의 조절이 불가능할 수 있다.
자동차의 내연 기관(VM)용 입자 필터(PF)의 재 적재를 결정하기 위한 측정 장치(MV)는, 내연 기관(MV)의 배기 시스템 내의 배기가스 하류에서 입자 필터(PF) 뒤에 설치된 압력 센서(DS)를 이용하여, 입자 필터(PF)의 재생 과정 중의 적재 연소를 특징짓는 실제 재생 변수(tr)를 결정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실제 재생 변수(tr)를 결정하기 위해, 측정 장치(MV)는, 압력 센서(DS)를 이용하여 재생 과정 전의 입자 필터(PF)의 적재를 특징짓는 적재 변수(x1)를 결정하도록, 그리고 압력 센서(DS)를 이용하여 재생 과정 후의 입자 필터(PF)의 적재를 특징짓는 적재 변수(x2)를 결정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 경우, 실제 재생 변수(tr)는, 2개 적재 변수(x1, x2) 간의 편차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측정 장치(MV)는, 연소 모델(AM)을 이용하여 재생 과정의 시간적인 기간(td)에 따라, 재생 과정 동안의 적재 연소를 특징짓는 모델링된 재생 변수(mr)를 결정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연소 모델(AM)은, 배기가스 체적 흐름 및/또는 배기가스 온도 및/또는 입자 필터(PF)의 적재에 따라, 재생 과정 동안의 적재 연소를 특징짓는 모델링된 재생 변수(mr)를 결정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특히, 측정 장치(MV)는, 압력 센서(DS)를 이용해서는 재생 과정 전의 입자 필터(PF)의 적재를 특징짓는 적재 변수(xl)를 결정하도록, 연소 모델(AM)을 이용해서는 재생 과정의 시간적인 기간(td)에 따라 재생 과정 후의 입자 필터(PF)의 적재를 특징짓는 적재 변수(xm)를 결정하도록, 그리고 2개 적재 변수(xl, xm) 간의 편차에 따라 모델링된 재생 변수(mr)를 결정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측정 장치(MV)는, 실제 재생 변수(tr)와 모델링된 재생 변수(mr) 간의 편차에 따라 입자 필터(PF)의 재 적재를 결정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도 3은 재생 변수에 대한 예시적인 값을 도시한다. 이 경우, 측정 장치(MV)는, 2개 이상의 시점(t1, t4)에 실제 재생 변수(tr1, tr4) 및 모델링된 재생 변수(mr1, mr4)를 각각 결정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또한, 측정 장치는, 제2 시점(t4)에서의 실제 재생 변수(tr1, tr4)와 모델링된 재생 변수(mr1, mr4) 간의 편차가 제1 시점(t1)에서보다 큰 경우에는, 제1 시점(t1)에 후속하는 제2 시점(t4)에 입자 필터(PF)의 재 적재의 증가를 확정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로, 측정 장치(MV)는, 3개 이상의 시점(t1, t2, t3, t4)에 실제 재생 변수(tr1, tr2, tr3, tr4) 및 모델링된 재생 변수(mr1, mr2, mr3, mr4)를 각각 결정하도록, 그리고 각각 2개 이상의 시점(t1, t2; t3, t4)에 거쳐 집계된, 더 늦은 시점(t3, t4)에서의 실제 재생 변수(tr1, tr2; tr3, tr4)와 모델링된 재생 변수(mr1, mr2; mr3, mr4) 간의 편차가 더 늦은 시점(t3, t4)에 비해 더 이른 시점(t1, t2)에서보다 큰 경우에는, 입자 필터(PF)의 재 적재의 증가를 확정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도 4는, 입자 필터의 적재(B)의 외삽된 프로파일을 도시한다. 이 경우, 측정 장치(MV)는, 압력 센서(DS)를 이용하여 입자 필터(PF)의 적재를 특징짓는 적재 변수(x)를 결정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적재 변수에 대한 제1 임계값(os)에 도달하거나 초과하는 경우에는, 측정 장치(MV)가 모터 제어 유닛(DME)에 의해 재생 과정을 시작한다.
적재 변수에 대한 제2 임계값(us)에 도달하거나 미달하는 경우에는, 측정 장치(MV)가 모터 제어 장치(DME)에 의해 재생 과정을 종료한다.
또한, 측정 장치는, 재생 과정의 시간에 따른 기간(td)에 따라 입자 필터(PF)의 재 적재를 결정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 경우, 재생 과정은 하나 이상의 재생 단계(rp1, rp2, rp3)로 구성될 수 있으며, 측정 장치(MV)는, 재생 단계(rp1, rp2)의 종료 후에는 압력 센서(DS)를 이용하여 적재 변수(x)를 결정하도록 그리고 적재 변수(x)가 아직 제2 임계값(us)에 도달하지 않았거나 미달하는 경우에는 또 다른 재생 단계(rp2, rp3)를 시작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Claims (10)

  1. 자동차의 내연 기관(VM)용 입자 필터(PF)의 재 적재(ash loading)를 결정하기 위한 측정 장치(MV)로서,
    Figure pct00001
    입자 필터(PF)의 재생 과정은, 재생 과정의 완료 후에는 사전 설정된 최소 그을음 적재가 입자 필터 내에 남아 있는 방식으로 실행되며, 그리고
    Figure pct00002
    측정 장치는,
    Figure pct00003
    내연 기관(MV)의 배기 시스템 내의 배기가스 하류에서 입자 필터(PF) 뒤에 설치된 압력 센서(DS)를 이용하여, 입자 필터(PF)의 재생 과정 동안의 적재 연소 동작을 특징짓는 실제 재생 변수(tr)를 결정하도록, 그리고
    Figure pct00004
    상기 재생 변수(tr) 및 재생 과정의 시간적인 기간(td)을 특징짓는 변수에 따라 입자 필터(PF)의 재 적재를 결정하도록 설계되어 있는, 자동차의 내연 기관(VM)용 입자 필터(PF)의 재 적재를 결정하기 위한 측정 장치(MV).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장치(MV)가,
    Figure pct00005
    연소 모델(AM)을 이용하여 재생 과정의 시간적인 기간(td)에 따라 재생 과정 동안의 적재 연소를 특징짓는 모델링된 재생 변수(mr)를 결정하도록, 그리고
    Figure pct00006
    실제 재생 변수(tr)와 모델링된 재생 변수(mr) 간의 편차에 따라 입자 필터(PF)의 재 적재를 결정하도록 설계되어 있는, 측정 장치(MV).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장치(MV)가,
    Figure pct00007
    압력 센서(DS)를 이용하여 재생 과정 전의 입자 필터(PF)의 적재를 특징짓는 적재 변수(x1)를 결정하도록,
    Figure pct00008
    압력 센서(DS)를 이용하여 재생 과정 후의 입자 필터(PF)의 적재를 특징짓는 적재 변수(x2)를 결정하도록, 그리고
    Figure pct00009
    2개 적재 변수(x1, x2) 간의 편차에 따라 실제 재생 변수(tr)를 결정하도록 설계되어 있는, 측정 장치(MV).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장치(MV)가,
    배기가스 체적 흐름 및/또는 배기가스 온도 및/또는 입자 필터(PF)의 적재에 따라, 재생 과정 동안의 적재 연소를 특징짓는 모델링된 재생 변수(mr)를 결정하도록 설계되어 있는, 측정 장치(MV).
  5. 제2항,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장치(MV)가,
    Figure pct00010
    압력 센서(DS)를 이용하여 재생 과정 전의 입자 필터(PF)의 적재를 특징짓는 적재 변수(xl)를 결정하도록,
    Figure pct00011
    연소 모델(AM)을 이용하여 재생 과정의 시간적인 기간(td)에 따라 재생 과정 후의 입자 필터(PF)의 적재를 특징짓는 적재 변수(xm)를 결정하도록, 그리고
    Figure pct00012
    2개 적재 변수(x1, xm) 간의 편차에 따라 모델링된 재생 변수(mr)를 결정하도록 설계되어 있는, 측정 장치(MV).
  6. 제2항, 제3항,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장치(MV)가,
    Figure pct00013
    2개 이상의 시점(t1, t4)에 실제 재생 변수(tr1, tr4) 및 모델링된 재생 변수(mr1, mr4)를 각각 결정하도록, 그리고
    Figure pct00014
    제2 시점(t4)에 실제 재생 변수(tr1, tr4)와 모델링된 재생 변수(mr1, mr4) 간의 편차가 제1 시점(t1)에서보다 큰 경우에는, 제1 시점(t1)에 후속하는 제2 시점(t4)에 입자 필터(PF)의 재 적재의 증가를 확정하도록 설계되어 있는, 측정 장치(MV).
  7. 제2항, 제3항, 제4항,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장치(MV)가,
    Figure pct00015
    3개 이상의 시점(t1, t2, t3, t4)에 실제 재생 변수(tr1, tr2, tr3, tr4) 및 모델링된 재생 변수(mr1, mr2, mr3, mr4)를 각각 결정하도록, 그리고
    Figure pct00016
    각각 2개 이상의 시점(t1, t2; t3, t4)에 걸쳐 집계된 실제 재생 변수(tr1, tr2; tr3, tr4)와 모델링된 재생 변수(mr1, mr2; mr3, mr4) 간의 편차가 더 늦은 시점(t3, t4)에 비해 더 이른 시점(t1, t2)에서보다 늦은 시점(t3, t4)에 더 큰 경우에는, 입자 필터(PF)의 재 적재의 증가를 확정하도록 설계되어 있는, 측정 장치(MV).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장치(MV)가,
    Figure pct00017
    압력 센서(DS)를 이용하여, 입자 필터(PF)의 적재를 특징짓는 적재 변수(x)를 결정하도록,
    Figure pct00018
    적재 변수에 대한 제1 임계값(os)에 도달하거나 초과하는 경우에는, 모터 제어 유닛(DME)을 이용해서 재생 과정을 시작하도록,
    Figure pct00019
    적재 변수에 대한 제2 임계값(us)에 도달하거나 초과하는 경우에는, 모터 제어 유닛(DME)을 이용해서 재생 과정을 종료하도록, 그리고
    Figure pct00020
    재생 과정의 시간적인 기간(td)에 따라 입자 필터(PF)의 재 적재를 결정하도록 설계되어 있는, 측정 장치(MV).
  9. 제8항에 있어서, 재생 과정이 하나 이상의 재생 단계(rp1, rp2, rp3)로 구성되며, 상기 측정 장치(MV)가,
    Figure pct00021
    재생 단계(rp1, rp2)의 완료 후에는 압력 센서(DS)를 이용하여 적재 변수(x)를 결정하도록, 그리고
    Figure pct00022
    적재 변수(x)가 아직까지 제2 임계값(us)에 도달하지 않았거나 미달하는 경우에는 또 다른 재생 단계(rp2, rp3)를 시작하도록 설계되어 있는, 측정 장치(MV).
  10. 자동차의 내연 기관(VM)용 입자 필터(PF)의 재 적재를 결정하기 위한 측정 방법으로서,
    Figure pct00023
    입자 필터(PF)의 재생 과정은, 재생 과정의 완료 후에는 사전 설정된 최소 그을음 적재가 입자 필터 내에 남아 있는 방식으로 실행되며, 그리고
    Figure pct00024
    상기 측정 방법은,
    Figure pct00025
    입자 필터(PF)의 재생 과정에서의 적재 연소를 특징짓는 실제 재생 변수(tr)를 결정하는 단계, 및
    Figure pct00026
    재생 변수(tr) 및 재생 과정의 시간적인 기간(td)을 특징짓는 변수에 따라 입자 필터(PF)의 재 적재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내연 기관(VM)용 입자 필터(PF)의 재 적재를 결정하기 위한 측정 방법.
KR1020207028892A 2018-05-09 2019-05-03 내연 기관용 입자 필터의 재 적재의 결정 KR1024345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8207227.2 2018-05-09
DE102018207227.2A DE102018207227B4 (de) 2018-05-09 2018-05-09 Ermitteln einer Aschebeladung eines Partikelfilters für einen Verbrennungsmotor
PCT/DE2019/100398 WO2019214771A1 (de) 2018-05-09 2019-05-03 Ermitteln einer aschebeladung eines partikelfilters für einen verbrennungsmo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5996A true KR20200125996A (ko) 2020-11-05
KR102434546B1 KR102434546B1 (ko) 2022-08-22

Family

ID=66589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8892A KR102434546B1 (ko) 2018-05-09 2019-05-03 내연 기관용 입자 필터의 재 적재의 결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268425B2 (ko)
JP (1) JP7184923B2 (ko)
KR (1) KR102434546B1 (ko)
CN (1) CN112004999B (ko)
DE (1) DE102018207227B4 (ko)
WO (1) WO201921477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1116395A1 (de) 2020-09-28 2022-03-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Nichtflüchtige Speichervorrichtung, System mit derselben undVerfahren zum Herstellen derselb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8207227B4 (de) * 2018-05-09 2021-10-07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Ermitteln einer Aschebeladung eines Partikelfilters für einen Verbrennungsmotor
US10774722B2 (en) * 2018-09-04 2020-09-15 Afton Chemical Corporation Predictive methods for emissions control systems performan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97491A (ja) * 2007-10-19 2009-05-07 Denso Corp 内燃機関の排気浄化装置
JP2009270502A (ja) * 2008-05-08 2009-11-19 Denso Corp 内燃機関の排気浄化装置
EP2612003B1 (en) * 2010-08-31 2016-05-04 Scania CV AB Method and system for exhaust cleaning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05528B1 (en) * 2000-11-20 2002-06-18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Method for determining load on particulate filter for engine exhaust, including estimation of ash content
DE10223427A1 (de) 2002-05-25 2003-12-18 Bayerische Motoren Werke Ag Verfahren zur Regenerierung eines verstopften Partikelfilters
DE10234791A1 (de) * 2002-07-31 2004-02-19 Deutz Ag Aschebeladungsermittlung für Partikelfilter
JP3801135B2 (ja) * 2003-01-08 2006-07-26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エンジンの排気ガス浄化装置
DE102004007041A1 (de) * 2004-02-12 2005-09-01 Daimlerchrysler Ag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Partikelfilters
DE102004033412A1 (de) 2004-07-10 2006-02-02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in einem Abgasbereich einer Brennkraftmaschine angeordneten Partikelfilters und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KR100969370B1 (ko) 2007-12-14 2010-07-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매연여과장치의 유효체적 계산 방법
FR2935437B1 (fr) * 2008-09-03 2010-08-27 Renault Sas Procede de determination du chargement en suies d'un filtre a particules
US8097066B2 (en) * 2009-05-13 2012-01-1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Predicting ash loading using an electrically heated particulate filter
DE102009060509A1 (de) * 2009-12-23 2011-06-30 MTU Friedrichshafen GmbH, 88045 Verfahren zur Regeneration eines Partikelfilters
US9062576B2 (en) * 2010-12-22 2015-06-23 Caterpillar Inc. Exhaust particulate filter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DE102011053419B4 (de) * 2011-09-09 2014-11-06 Pierburg Gmbh Verfahren zur Steuerung eines Abgassystems eines Dieselmotors sowie Abgassystem eines Dieselmotors
EP2803830B1 (en) * 2012-01-13 2017-09-27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Tierra Co., Ltd. Construction machine
JP5798533B2 (ja) * 2012-09-05 2015-10-21 株式会社日本自動車部品総合研究所 内燃機関の排気浄化装置
US8919106B2 (en) * 2012-09-06 2014-12-30 Daimler Ag Method for operating a motor vehicle internal combustion engine with an exhaust particle filter
US9334772B2 (en) * 2012-10-29 2016-05-10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Particulate filter control system and method
JP6197377B2 (ja) * 2013-06-03 2017-09-20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排気浄化装置
DE102013014990A1 (de) * 2013-09-10 2015-03-12 Man Diesel & Turbo Se Abgasnachbehandlungssystem einer Brennkraftmaschine und Verfahren zum Betreiben desselben
DE102014203408A1 (de) * 2014-02-25 2015-08-27 Mtu Friedrichshafen Gmbh Verfahren zur Regeneration eines Partikelfilters im Betrieb einer Brennkraftmaschine, Steuergerät, Brennkraftmaschine, und Kraftfahrzeug
DE102014203621B4 (de) 2014-02-27 2016-02-04 Mtu Friedrichshafen Gmbh Verfahren zur Ascheerkennung in einem Partikelfilter eines Abgasnachbehandlungssystems einer Brennkraftmaschine, Steuereinrichtung und Brennkraftmaschine
DE102014209810A1 (de) * 2014-05-22 2015-11-26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Erkennung einer Ruß- und Aschebeladung eines Partikelfilters
US9587574B2 (en) * 2014-11-26 2017-03-07 Electro-Motive Diesel, Inc. Exhaust system using ash-compensating regeneration management
US20160160723A1 (en) * 2014-12-05 2016-06-0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 and system for removing ash within a particulate filter
US20160326934A1 (en) 2015-05-08 2016-11-10 Hyundai Motor Company Control method for informing a driver when to clean diesel particulate filter
JP6233450B2 (ja) * 2015-06-02 2017-11-2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排気浄化システムの制御装置
DE102015007722A1 (de) * 2015-06-16 2016-12-22 Mtu Friedrichshafen Gmbh Verfahren zur Ausführung mit einem Abgaspartikelfilter
JP6146447B2 (ja) * 2015-09-15 2017-06-14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排気浄化装置
US10066575B2 (en) 2016-07-15 2018-09-0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 and system for gasoline particulate filter operations
CN106837496B (zh) * 2017-01-25 2019-07-16 中国第一汽车股份有限公司 发动机微粒净化再生控制系统
JP2017129147A (ja) * 2017-03-03 2017-07-27 ルノー・トラックス 排気後処理装置を再生する方法及び内燃エンジン装置
DE102017211575B4 (de) * 2017-07-06 2019-07-04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Diagnose eines Differenzdrucksensors eines Partikelfilters
DE102017116405A1 (de) 2017-07-20 2017-10-26 FEV Europe GmbH Verfahren zum Bestimmen der Beladung eines Partikelfilters mit Asche
DE102018207227B4 (de) * 2018-05-09 2021-10-07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Ermitteln einer Aschebeladung eines Partikelfilters für einen Verbrennungsmotor
CN111118428B (zh) * 2019-12-28 2022-02-18 天津市工大镀锌设备有限公司 一种批量环保热镀高性能合金方法及设备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97491A (ja) * 2007-10-19 2009-05-07 Denso Corp 内燃機関の排気浄化装置
JP2009270502A (ja) * 2008-05-08 2009-11-19 Denso Corp 内燃機関の排気浄化装置
EP2612003B1 (en) * 2010-08-31 2016-05-04 Scania CV AB Method and system for exhaust clean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1116395A1 (de) 2020-09-28 2022-03-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Nichtflüchtige Speichervorrichtung, System mit derselben undVerfahren zum Herstellen derselb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004999B (zh) 2022-04-29
JP2021522442A (ja) 2021-08-30
DE102018207227A1 (de) 2019-11-14
US11268425B2 (en) 2022-03-08
JP7184923B2 (ja) 2022-12-06
DE102018207227B4 (de) 2021-10-07
CN112004999A (zh) 2020-11-27
WO2019214771A1 (de) 2019-11-14
US20210071562A1 (en) 2021-03-11
KR102434546B1 (ko) 2022-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04049B2 (en) Exhaust gas purifying system and regeneration end determining method
US7325395B2 (en) Exhaust gas purification device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2434546B1 (ko) 내연 기관용 입자 필터의 재 적재의 결정
US9890684B2 (en) Method of operating an exhaust gas aftertreatment
US8146352B2 (en) Diesel particulate filter control
JP2016223442A (ja) 排気浄化システムの制御装置
KR20180101011A (ko) Gpf의 재생 방법
CN115434793A (zh) 用于控制排气后处理部件的烟尘负载的方法、发动机和控制系统
RU2706858C2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управления регенерацией фильтра твердых частиц
JP2003083036A (ja) パティキュレートフィルタの再生制御装置
JP4247843B2 (ja) 温度検出装置の異常判定装置
JP2006057608A (ja) ディーゼルエンジンの排気後処理装置
JP2009103043A (ja) 内燃機関の排気浄化装置
CN101321937A (zh) 内燃机的控制系统和内燃机的控制方法
JP6510459B2 (ja) Dpf手動再生制御装置
JP6672577B2 (ja) ディーゼルエンジンの粒子フィルタ内に堆積した粒子の量を評価するための方法、システ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製品
KR101755906B1 (ko) Dpf시스템의 제어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차량
JP2004360684A (ja) 内燃機関の排気領域に配置されている構成部分の排気ガス成分を有しているローディング状態を求めるための方法およびこの方法を実施するための装置
CN110552765B (zh) 控制排气后处理系统的过滤器的过滤效率的方法
JP2006274978A (ja) 内燃機関の排気浄化装置
JP4403915B2 (ja) ディーゼルエンジンの排気後処理装置
JP2006316734A (ja) 内燃機関の排ガス浄化装置
JP2004513291A (ja) 排気ガス後処理システムの方法および装置
JP4259944B2 (ja) 微粒子フィルタに蓄積された微粒子の量を決定する方法
JP2006316732A (ja) 内燃機関の排ガス浄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