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3652A - 지질 미립자 분산물 - Google Patents

지질 미립자 분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3652A
KR20200103652A KR1020207015850A KR20207015850A KR20200103652A KR 20200103652 A KR20200103652 A KR 20200103652A KR 1020207015850 A KR1020207015850 A KR 1020207015850A KR 20207015850 A KR20207015850 A KR 20207015850A KR 20200103652 A KR20200103652 A KR 202001036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s
less
component
lipid
prefer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5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슌스케 다카기
šœ스케 다카기
Original Assignee
카오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오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카오카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1036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365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41Containing particulates characterized by their shape and/or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2Am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 A61K8/46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containing sulfonic acid derivatives; Sal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3Steroid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8Sphingolipids, e.g. ceramides, cerebrosides, ganglios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61K2800/412Microsized, i.e. having sizes between 0.1 and 100 micr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61K2800/413Nanosized, i.e. having sizes below 100 n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60Particulate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sition
    • A61K2800/65Characterized by the composition of the particulate/core
    • A61K2800/652The particulate/core comprising organic materi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세라마이드류 등의 고체지를 결정화시키지 않고, 미세한 입자로서 안정적으로 유화 분산시킨 조성물의 제공.
다음의 성분 (A) ∼ (E) 를 함유하고, pH 가 3.5 이상 8.0 이하인 지질 미립자 분산물이고, 당해 지질 미립자의 45 ℃ 이상 80 ℃ 이하의 온도 범위에 있어서의 융해 열량이 0.30 J/g 이하이고, 평균 입자경이 200 ㎚ 미만인 지질 미립자 분산물.
(A) 스테롤 및 그 유도체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
(B) 성분 (A) 이외의 25 ℃ 에서 고체 또는 반고체인 지질
(C) 아니온성 계면 활성제
(D) 수용성 용매
(E) 물

Description

지질 미립자 분산물
본 발명은, 지질 미립자 분산물 및 피부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피부의 최외층에 존재하는 각질층을 구성하는 각질 세포의 간극에는, 각층 (角層) 세포 간 지질로 불리는 지질이 존재하고 있다. 이 각층 세포 간 지질의 지질 조성은, 약 50 % 가 세라마이드이고, 그 외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에스테르, 지방산 등으로 이루어진다. 이 중 세라마이드는, 거친 피부, 건조 피부 등에 깊게 관여하고 있어, 세라마이드를 외용으로 보충함으로써 각질층의 상태를 개선할 수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세라마이드류 등의 고체지 (固體脂) 를 배합한 화장료가 여러 가지 보고되어 있다. 그런데, 이들 고체지는, 결정성이 높고, 또 융점이 높기 때문에 제제 중에서의 안정화가 어려운 점에서, 여러 가지의 안정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세라마이드 함유 입자, 융점이 30 ℃ 이하인 지방산,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아니온성 계면 활성제 등을 조합한 세라마이드 분산물 (특허문헌 1),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와 유분과 폴리옥시프로필렌·폴리옥시에틸렌 공중합체 디알킬에테르와 물을 함유하는 일상 (一相) 마이크로에멀션 조성물 (특허문헌 2), 세라마이드류와 탄소수 12 ∼ 30 의 지방족 알코올을 배합하고, 90 ℃ 에서 상용화 (相溶化) 한 지질 조성물 (특허문헌 3), 콜레스테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 5 종을 함유하는 감온성 콜레스테릭 액정 조성물 (특허문헌 4), 세라마이드와 콜레스테롤 등을 상 전이 온도 이상으로 가열하고, 다가 알코올을 첨가하고, 그 후 냉각시켜 액정형 에멀션으로 하는 기술 (특허문헌 5) 이 보고되어 있다.
국제 공개 제2010/38814호 팜플렛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15972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331595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2-191208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9-124432호
본 발명은, 다음의 성분 (A) ∼ (E) 를 함유하고, pH 가 3.5 이상 8.0 이하인 지질 미립자 분산물이고, 당해 지질 미립자의 45 ℃ 이상 80 ℃ 이하의 온도 범위에 있어서의 융해 열량이 0.30 J/g 이하이고, 평균 입자경이 200 ㎚ 미만인 지질 미립자 분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A) 스테롤 및 그 유도체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
(B) 성분 (A) 이외의 25 ℃ 에서 고체 또는 반고체인 지질
(C) 아니온성 계면 활성제
(D) 수용성 용매
(E) 물
상기 조성물 중에 있어서 세라마이드류 등의 고체지는, 결정화되거나, 당해 결정은 비교적 커 불안정하거나, 제제 중에 있어서 액정 상태에서는 불안정하다는 경우가 많거나 한 문제가 있어, 이것들의 조성물을 사용한 화장료에서는 시간 경과적으로 세라마이드류 등의 고체지의 작용을 충분히 발휘시킬 수 없었다.
한편으로 피부의 표면은 항상성을 유지하는 일환으로 약산성으로 유지되고 있다. 그 때문에, 저자극인 피부 화장료를 설계하는 데에 있어서는 제제를 피부에 가까운 pH 로 하여 약산성으로 조정하는 것이 선호된다. 그러나, 세라마이드 등의 고체지를 안정적으로 유화 (乳化) 분산시키기 위해서 특정한 아니온성 계면 활성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알칼리 환경하에서 특히 높은 계면 활성능을 발현하고, 약산성 내지 중성의 pH 에서는 그 계면 활성능이 실활된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산성 조건하에 있어서도 세라마이드류 등의 고체지를 결정화시키지 않고, 미세한 입자로서 안정적으로 유화 분산시킨 지질 미립자 분산물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그래서 본 발명자는, 세라마이드류 등의 고체지의 미세 분산화 및 결정화 방지 수단에 대해 여러 가지 검토한 결과, 스테롤류와 세라마이드류 등의 고체지를 병용하고, 아니온성 계면 활성제와 수용성 용매를 함유시킴으로써, 특정한 아니온성 계면 활성제를 사용했을 때에 중성 내지 알칼리성에 한정하지 않고, 산성 조건하에 있어서도, 세라마이드류 등의 고체지의 결정성이 낮고, 미세한 입자로서 안정적으로 유화 분산되는 지질 미립자 분산물이 얻어지는 것을 알아냈다.
본 발명의 지질 미립자 분산물은, 산성 조건하에 있어서도, 세라마이드류 등의 고체지의 결정성이 낮고, 미세한 입자로서 안정적으로 유화 분산되어 있으며, 또한 세라마이드류 등의 고체지의 결정성이 낮고, 미세한 입자로서 안정적으로 유화 분산됨으로써, 이들 고체지의 피부에 대한 작용이 충분히 발휘된다.
본 발명의 지질 미립자 분산물에 사용되는 성분 (A) 는, 스테롤 및 그 유도체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이다. 성분 (A) 는, 본 발명의 지질 미립자 분산물 중에 있어서, 성분 (B) 의 지질의 결정성을 낮추고, 입자경을 작게 안정화하는 데에 기여한다.
성분 (A) 로는, 콜레스테롤, 피토스테롤 및 그것들의 유도체를 들 수 있다. 콜레스테롤 및 피토스테롤의 유도체로는, 지방산 콜레스테롤에스테르, 지방산 피토스테롤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여기서, 지방산 콜레스테롤에스테르로는, 탄소수 12 ∼ 24 의 지방산과의 콜레스테롤에스테르가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라우르산콜레스테릴, 팔미트산콜레스테릴, 미리스트산콜레스테릴, 올레산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리놀레산콜레스테릴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이 바람직하다. 또, N-라우로일-L-글루탐산디(콜레스테릴/베헤닐/옥틸도데실), N-라우로일-L-글루탐산디(콜레스테릴/옥틸도데실), N-라우로일-L-글루탐산디(피토스테릴/베헤닐/옥틸도데실), N-라우로일-L-글루탐산디(피토스테릴/옥틸도데실), N-라우로일-L-글루탐산디(피토스테릴/옥틸도데실), N-미리스토일-N-메틸알라닌(피토스테릴/데실테트라데실) 등의 N-아실아미노산의 스테롤에스테르를 사용할 수도 있고, N-라우로일-L-글루탐산디(콜레스테릴/옥틸도데실), N-라우로일-L-글루탐산디(피토스테릴/옥틸도데실) 을 바람직하게 예시할 수 있다. N-아실아미노산의 스테롤에스테르의 시판품으로는 아지노모토사, 닛폰 세이카사로부터 판매되고 있는 「에르듀 PS-203」 「Plandool-LG2」(N-라우로일-L-글루탐산디(피토스테릴/옥틸데실)), 「에르듀 CL-301」(N-라우로일글루탐산디(콜레스테릴/베헤닐/옥틸도데실)), 「에르듀 CL-202」(N-라우로일글루탐산디(콜레스테릴/옥틸도데실)), 「에르듀 PS-304」 「에르듀 PS-306」 「Plandool-LG1」 「Plandool-LG3」 「Plandool-LG4」(N-라우로일글루탐산디(피토스테릴/베헤닐/옥틸도데실)), 「에르듀 APS-307」(N-미리스토일-N-메틸알라닌(피토스테릴/데실테트라데실))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성분 (A) 는, 1 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고, 성분 (B) 의 결정성을 낮추고, 입자경을 작게 안정화하는 관점에서, 본 발명의 지질 미립자 분산물 중에, 0.003 질량% 이상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08 질량% 이상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2 질량% 이상 함유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0.3 질량% 이상 함유하는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고, 0.4 질량% 이상 함유하는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다. 또, 동일한 관점에서 5.0 질량% 이하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0 질량% 이하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8 질량% 이하 함유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0.6 질량% 이하 함유하는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0.003 질량% 이상 5.0 질량% 이하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08 질량% 이상 1.0 질량% 이하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2 질량% 이상 0.8 질량% 이하 함유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0.3 질량% 이상 0.8 질량% 이하 함유하는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고, 0.4 질량% 이상 0.6 질량% 이하 함유하는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다.
성분 (B) 는, 성분 (A) 이외의 25 ℃ 에서 고체 또는 반고체인 지질이다. 여기서, 25 ℃ 에서 고체 또는 반고체란, 25 ℃ 에 있어서의 점도가 10000 mPa·s보다 큰 것을 말한다. 점도는, B 형 점도계 (VISCOMETER TVB-10, 토키 산업사 제조), 로터 No.4, 12 rpm, 1 분 동안 측정하는 것이다. 당해 성분 (B) 는, 피부에 대해 보습 작용, 배리어 기능 개선 작용 등을 나타내고, 화장료의 유효 성분이다. 여기서, 고체 또는 반고체의 지질로는, 융점이 50 ∼ 150 ℃ 인 지질을 들 수 있다. 성분 (B) 로는, 세라마이드류, 스핑고신류 (천연물과 합성물을 포함한다) 등의 스핑고 지질 ; 스테아르산, 베헨산 등의 탄소수 16 ∼ 22 의 지방산 ; 세틸알코올, 스테아릴알코올, 베헤닐알코올, 바틸알코올, 키밀알코올 등의 탄소수 12 ∼ 30 의 지방족 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세라마이드류로는, 천연 세라마이드, 스핑고신 유도체 등 외에,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62-228048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63-216812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63-227513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64-29347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64-31752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8-319263호 등에 기재된 세라마이드 유사 구조 물질 (합성 세라마이드) 이 예시된다. 구체적으로는, 다음의 일반식 (1) 및 (2) 에서 선택되는 화합물이 바람직하고, 특히 일반식 (1) 의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1]
Figure pct00001
〔식 중, R1b 는 탄소수 10 ∼ 26 의 탄화수소기, R2b 는 탄소수 9 ∼ 25 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X 는 -(CH2)n- (여기서 n 은 2 ∼ 6 의 정수 (整數) 를 나타낸다) 를 나타낸다.〕
[화학식 2]
Figure pct00002
(식 중, R1 및 R2 는 동일 또는 상이하고 탄소수 1 ∼ 40 의 하이드록실화 되어 있어도 되는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R3 은 탄소수 1 ∼ 6 의 알킬렌기 또는 단결합을 나타내고, R4 는 수소 원자, 탄소수 1 ∼ 12 의 알콕시기 또는 2,3-디하이드록시프로필옥시기를 나타낸다. 단, R3 이 단결합일 때, R4 는 수소 원자이다.)
또한, 상기 일반식 (1) 및 (2) 중, 탄화수소기로는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가 바람직하다.
일반식 (1) 의 화합물의 예로는, N-(헥사데실옥시하이드록시프로필)-N-하이드록시에틸헥사데칸아미드를 들 수 있고, 일반식 (2) 의 화합물의 예로는 장사슬 이염기산 비스3-메톡시프로필아미드를 들 수 있다.
이들 성분 (B) 중, 보습 작용, 배리어 기능 개선 작용의 관점에서, 천연 세라마이드, 상기 일반식 (1) 및 (2) 등의 합성 세라마이드, 탄소수 12 ∼ 30 의 지방족 알코올이 바람직하다. 이들 지질은,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성분 (B) 는, 보습 작용, 배리어 기능 개선 작용의 관점에서, 본 발명의 지질 미립자 분산물 중에 0.01 질량% 이상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1 질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0.3 질량%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며, 또, 결정성을 낮추고, 입자경을 작게 안정화하는 관점에서, 5.0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3.0 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0 질량%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구체적인 범위로는 0.01 질량% 이상 5.0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0.1 질량% 이상 3.0 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0.3 질량% 이상 1.0 질량%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지질 미립자 분산물에 있어서의 성분 (A) 와 성분 (B) 의 질량비 (A/B) 는, 성분 (B) 의 결정성을 낮추고 안정화시키는 관점에서, 0.1 이상이 바람직하고, 0.2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0.3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며, 또 1.0 이하가 바람직하고, 0.8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0.6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구체적인 범위로는 0.1 이상 1.0 이하가 바람직하고, 0.2 이상 0.8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0.3 이상 0.6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성분 (C) 는, 아니온성 계면 활성제이다. 아니온성 계면 활성제로는, 알칼리, 중성 조건 뿐만 아니라 산성 조건도 포함하는 pH 3.5 내지 8.0 에 있어서 충분한 계면 활성능의 발현의 관점에서, N-아실아미노산염, N-아실메틸타우린염, 알킬인산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인산염, 지방산염, 알킬황산에스테르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황산에스테르염, 알킬에테르카르복실산염, 디알킬술포숙신산염, 디아실아미노산리신염 등이 바람직하다. 이 중, N-아실아미노산염, N-아실메틸타우린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인산염, 지방산염, 디아실아미노산리신염, 알킬황산에스테르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황산에스테르염, 알킬에테르카르복실산염 및 디알킬술포숙신산염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이 바람직하다. 또한, N-아실아미노산염, N-아실메틸타우린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인산염, 지방산염, 디아실아미노산리신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황산에스테르염, 알킬에테르카르복실산염 및 디알킬술포숙신산염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N-아실아미노산염, N-아실메틸타우린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인산염, 지방산염 및 디아실아미노산리신염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고, N-아실아미노산염 및 N-아실메틸타우린염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이 보다 더 바람직하다.
N-아실아미노산염으로는, N-라우로일-L-글루탐산나트륨, N-스테아로일-L-글루탐산나트륨, N-스테아로일-L-글루탐산아르기닌, N-미리스토일-L-글루탐산나트륨, N-라우로일사르코신나트륨 등의 N-아실글루탐산염, N-아실사르코신염 등을 들 수 있다. N-아실메틸타우린염으로는, N-미리스토일-N-메틸타우린나트륨, N-라우로일-N-메틸타우린나트륨, N-스테아로일-N-메틸타우린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알킬인산염으로는, 모노미리스틸인산나트륨, 모노스테아릴인산나트륨, 디(C12-C15)파레스-8-인산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옥시에틸렌알킬인산염으로는,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인산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세틸에테르인산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릴에테르인산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지방산염으로는, 라우르산나트륨, 팔미트산칼륨, 스테아르산아르기닌염 등의 탄소수 12 ∼ 24 의 지방산염을 들 수 있다. 알킬황산에스테르염으로는, 라우릴황산나트륨, 라우릴황산칼륨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황산에스테르염으로는,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황산트리에탄올아민염 등을 들 수 있다. 알킬에테르카르복실산염으로는,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아세트산염 등을 들 수 있다. 디알킬술포숙신산염으로는, 디-2-에틸헥실술포숙신산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디아실아미노산리신염으로는, 디라우로일글루탐산리신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아니온성 계면 활성제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지질 미립자 분산물 중의 성분 (C) 의 함유량은, 제제의 안정성과 사용하는 피부 표면의 항상성의 관점에서, 0.002 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0.05 질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0.1 질량%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며, 또, 3.0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1.0 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0.5 질량%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0.002 질량% 이상 3.0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0.05 질량% 이상 1.0 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0.1 질량% 이상 0.5 질량%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지질 미립자 분산물에 있어서의 성분 (A), 성분 (B) 및 성분 (C) 의 합계 질량은, 보습 작용, 배리어 기능 개선 작용의 점에서, 지질 미립자 분산물 총량의 0.015 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0.33 질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0.5 질량%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며, 또 13.0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5.0 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2.0 질량%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구체적인 범위로는, 0.015 질량% 이상 13.0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0.33 질량% 이상 5.0 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0.5 질량% 이상 2.0 질량%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지질 미립자 분산물에 있어서의 성분 (A) 와 성분 (B) 의 합계 질량과 성분 (C) 의 질량의 비 (A + B/C) 는, 보습 작용, 배리어 기능 개선 작용이나 안정성의 점에서 0.05 이상이 바람직하고, 0.5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1.0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고, 2.0 이상이 보다 더 바람직하며, 또 6.0 이하가 바람직하고, 5.5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5.0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구체적인 범위로는, 0.05 이상 6.0 이하가 바람직하고, 0.5 이상 5.5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0 이상 5.5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2.0 이상 5.5 이하가 보다 더 바람직하다.
성분 (D) 는, 수용성 용매이다. 수용성 용매는, 본 발명의 지질 미립자 분산물에 있어서, 성분 (A) 및 성분 (B), 혹은 성분 (A), 성분 (B), 및 성분 (C) 를 효율적으로 균일 용해하는 것이나, 안정성의 향상, 사용감의 조정에 기여한다. (D) 수용성 용매로는,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평균 분자량 1000 미만),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평균 분자량 : 1000 미만),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폴리글리세린, 이소프렌글리콜, 1,2-펜탄디올, 1,3-프로판디올, 1,3-부틸렌글리콜, 헥실렌글리콜, 메틸글루세스 등의 다가 알코올, 메탄올, 에탄올 등의 저급 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 글리세린, 1,3-부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1,3-프로판디올 등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들 성분 (D) 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성분 (D) 의 함유량은, 성분 (A) 및 성분 (B), 혹은 성분 (A), 성분 (B), 및 성분 (C) 를 효율적으로 균일 용해하는 것이나, 안정성, 사용감의 점에서, 본 발명의 지질 미립자 분산물 중에 1.0 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2.0 질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3.0 질량%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며, 30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25 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20 질량%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구체적인 범위로는, 1.0 질량% 이상 30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2.0 질량% 이상 25 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3.0 질량% 이상 20 질량%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지질 미립자 분산물은, 추가로 성분 (E) 물을 함유한다. 본 발명의 지질 미립자 분산물 중의 (E) 물의 함유량은, 안정성, 사용감의 점에서 50 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70 질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80 질량%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며, 또, 97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95 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90 질량%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구체적인 범위로는, 50 질량% 이상 97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70 질량% 이상 95 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80 질량% 이상 90 질량%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지질 미립자 분산물은, 추가로 성분 (F)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를 함유하는 것이 안정성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F)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로는, HLB 10 ∼ 20 의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가 바람직하고, HLB 12 ∼ 15 의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가 보다 바람직하고, HLB 12.5 ∼ 14.5 의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가 더욱 바람직하다.
여기서, HLB (친수성 친유성 밸런스) 는, 예를 들어 하기 식에 의해 구할 수 있는 것이다.
식 : 〔HLB〕 = 7 + 1.171log (Mw/Mo)
(식 중, Mw 는 계면 활성제의 친수성기의 분자량, Mo 는 계면 활성제의 소수성기의 분자량, log 는 베이스가 10 인 로그를 나타낸다.)
또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 계면 활성제 X 와 계면 활성제 Y 의 2 종류를 병용하는 경우, 각각의 HLB 를 HLBX 및 HLBY 로 했을 때, 양자를 혼합한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의 HLB 는, 각각의 질량 분율을 WX, WY 로 하면,
식 : 〔HLB〕 = 〔(WX × HLBX) + (WY × HLBY)〕÷ (WX + WY)
에 기초하여 구해진다. 또,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 3 종류 이상을 병용하는 경우, 상기와 동일하게 하여 그것들을 혼합한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의 HLB 를 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혼합한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의 HLB 가 상기의 범위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HLB 10 ∼ 20 이외의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도 사용할 수 있다.
성분 (F) 의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로는, 예를 들어,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프로필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톨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프로필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피토스타놀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피트스테로오스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콜레스타놀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콜레스테릴에테르, 폴리옥시알킬렌 변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 폴리옥시알킬렌·알킬 공변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 등을 들 수 있다.
이것들 중, 안정성의 점에서, 옥시에틸렌기의 평균 부가 몰수가 25 ∼ 80 인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옥시에틸렌기의 평균 부가 몰수가 10 ∼ 140 인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테르, 탄소수가 12 ∼ 18 인 알킬기이고 옥시에틸렌기의 평균 부가 몰수가 20 인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탄소수가 16 ∼ 22 인 알킬기와 옥시에틸렌기의 평균 부가 몰수가 15 ∼ 25 인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옥시에틸렌기의 평균 부가 몰수가 10 ∼ 20 인 폴리옥시에틸렌·메틸폴리실록산 공중합체가 바람직하고, 옥시에틸렌기의 평균 부가 몰수가 25 ∼ 80 인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탄소수가 16 ∼ 22 인 알킬기와 옥시에틸렌기의 평균 부가 몰수가 15 ∼ 25 인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가 보다 바람직하고, 옥시에틸렌기의 평균 부가 몰수가 35 ∼ 65 인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탄소수가 16 ∼ 20 인 알킬기와 옥시에틸렌기의 평균 부가 몰수가 20 ∼ 25 인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 성분 (F) 로는,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40EO) 로서, 에마논 CH-40 (HLB 12.5, 카오사 제조),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60EO) 로서, 에마논 CH-60(K) (HLB 14.0, 카오사 제조), 폴리옥시에틸렌이소세틸에테르 (20EO) 로서, EMALEX1620 (HLB 14, 니혼 에멀션사 제조), 폴리옥시에틸렌이소스테아릴에테르 (25EO) 로서, EMALEX1825 (HLB 14, 니혼 에멀션사 제조) 등의 시판품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성분 (F) 는 1 종 또는 2 종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지질 미립자 분산물 중의 성분 (F) 의 함유량은, 안정성의 점에서, 0.01 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0.05 질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0.1 질량%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며, 또, 10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5.0 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0 질량%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구체적인 범위로는 0.01 질량% 이상 10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0.05 질량% 이상 5.0 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0.1 질량% 이상 1.0 질량%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지질 미립자 분산물은, 상기 성분 (A) 및 성분 (B) 가 수중에 분산 유화된 형태이고, 그 pH 는 3.5 이상 8.0 이하이다. 본 발명의 지질 미립자 분산물은, pH 가 3.5 이상 8.0 이하로 산성 조건도 포함시켜 결정성이 낮고, 미세한 입자로서 안정적으로 존재하기 때문에, 피부 표면의 항상성을 유지하면서 사용감이 양호하다. 당해 pH 는, 피부 표면의 항상성, 사용감의 점에서 3.5 이상 7.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3.5 이상 6.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3.5 이상 5.5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지질 미립자 분산물은, pH 를 상기 범위로 조정하기 위해, 추가로, 염기 및/또는 산을 함유할 수 있다.
염기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유기 염기여도 되고 무기 염기여도 된다.
유기 염기는, 염기성 아미노산, 알칸올아민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L-아르기닌, 리신, 히스티딘 등의 염기성 아미노산 ; 모노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아미노메틸프로판올, 아미노메틸프로판디올, 아미노에틸프로판디올, 트리스하이드록시메틸아미노에탄 등의 알칸올아민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이 바람직하다.
또, 무기 염기는, 수산화칼슘,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이 바람직하다.
이것들 중, L-아르기닌, 수산화칼슘,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산은, 유기산, 무기산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유기산은 모노카르복실산, 디카르복실산, 옥시카르복실산, 산성 아미노산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부티르산 등의 모노카르복실산 ; 숙신산, 프탈산, 푸마르산, 옥살산, 말론산, 글루타르산, 아디프산 등의 디카르복실산 ; 글리콜산, 시트르산, 락트산, 피루브산, 말산, 타르타르산 등의 옥시카르복실산 ; 글루탐산, 아스파르트산 등의 산성 아미노산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이 바람직하다.
또, 무기산은, 염산, 질산, 아질산, 황산, 아황산, 인산, 포스폰산, 포스핀산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이 바람직하다.
이것들 중에서, 아디프산 및 인산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들 염기 및/또는 산은, 본 발명의 지질 미립자 분산물의 pH 가 상기 범위가 되는 양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지질 미립자 분산물에는, 추가로 상기 성분 이외에, 통상적인 화장료에 사용되는 성분, 예를 들어, 유성 성분, 보습제, 산화 방지제, 방부제, 킬레이트제, 미백제, 자외선 흡수제, 비타민류, 식물 추출물, 그 밖의 각종 약효 성분, 분체, 향료, 색재 등을 함유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지질 미립자 분산물은, 예를 들어 성분 (A) ∼ (D) 를 함유하는 유성 성분을 혼합하고, 80 ∼ 95 ℃ 에서 가열 용해하고, 이것에 (E) 물을 첨가하여 교반하여 균일하게 유화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또, 성분 (A) ∼ (E), 및 필요에 따라 사용되는 그 밖의 성분 중, 유성 성분과 수성 성분을 각각 개별적으로 가열 용해하고, 각각을 일정량으로 유동시킴과 함께, 그것들을 합류시키고, 공경이 0.03 ㎜ 이상 20 ㎜ 이하인 세공에 유통시키는 마이크로믹서를 이용한 유화 방법 (일본 특허공보 제5086583호 기재) 에 의해서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지질 미립자 분산물은, 성분 (A) 및 성분 (B) 를 함유하는 미세화된 지질 미립자가, 결정성이 낮은 상태로 수중에 균일하게 유화 분산되어 있는 조성물이다. 당해 지질 미립자가 미세하고 또한 결정성이 낮은 상태로 존재하는지의 여부는, 동적 광산란법 및 시차 주사 열량 측정에 의해 확인할 수 있다. 즉, 우선, 지질 미립자의 존재와 그 입자경은 동적 광산란법에 의해 측정되는 큐물런트 직경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또, 그 지질 미립자의 결정성이 낮은 것인 것에 대해서는, 시차 주사 열량 측정으로 45 ℃ 이상 80 ℃ 이하의 온도역에 있어서의 융해 열량이 0.30 J/g 이하인 것에 의해 확인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지질 미립자 분산물 중에 유화 분산되어 있는 지질 미립자의 평균 입자경은 200 ㎚ 미만이고, 안정성의 점에서, 150 ㎚ 미만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30 ㎚ 미만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지질 미립자 분산물은, 미세한 지질 미립자가, 결정성이 낮은 상태로 수중에 균일하게 유화 분산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의 지질 미립자를 함유하지 않는 제제에 비해 사용감으로서 촉촉한감을 높일 뿐만 아니라, 동시에 도포 후의 피부를 탄력있게 하면서 끈적거림을 부여하지 않고 산뜻하게 매끄러운 촉감으로 하므로, 피부 화장료로서 유용하다. 또, 지질 미립자가 결정성이 낮은 상태로 수중에 균일하게 유화 분산되어 있기 때문에, 지질 미립자의 막 유동성이 높을 것으로 생각되고, 유효 성분의 각층에 대한 높은 침투성이나 높은 배리어 기능 개선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 관해, 본 발명은 추가로 이하의 조성물을 개시한다.
<1> 다음의 성분 (A) ∼ (E) 를 함유하고, pH 가 3.5 이상 8.0 이하인 지질 미립자 분산물이고, 당해 지질 미립자의 45 ℃ 이상 80 ℃ 이하의 온도 범위에 있어서의 융해 열량이 0.30 J/g 이하이고, 평균 입자경이 200 ㎚ 미만인 지질 미립자 분산물.
(A) 스테롤 및 그 유도체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
(B) 성분 (A) 이외의 25 ℃ 에서 고체 또는 반고체인 지질
(C) 아니온성 계면 활성제
(D) 수용성 용매
(E) 물
<2> 성분 (A) 가, 콜레스테롤, 피토스테롤 및 그것들의 유도체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콜레스테롤, 지방산 콜레스테롤에스테르, 지방산 피토스테롤에스테르, N-아실아미노산 콜레스테롤에스테르 및 N-아실아미노산 피토스테롤에스테르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을 함유하는 <1> 에 기재된 지질 미립자 분산물.
<3> 성분 (A) 의 함유량이, 바람직하게는 0.003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8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2 질량% 이상,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3 질량% 이상,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4 질량% 이상이며, 또 바람직하게는 5.0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8 질량%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6 질량%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0.003 질량% 이상 5.0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08 질량% 이상 1.0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2 질량% 이상 0.8 질량%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3 질량% 이상 0.8 질량%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4 질량% 이상 0.6 질량% 이하인 <1> 또는 <2> 에 기재된 지질 미립자 분산물.
<4> 성분 (B) 가, 세라마이드류, 스핑고신류, 탄소수 16 ∼ 22 의 지방산, 및 탄소수 12 ∼ 30 의 지방족 알코올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을 함유하는 <1> ∼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지질 미립자 분산물.
<5> 세라마이드류가, 다음의 일반식 (1) 및 (2) 에서 선택되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4> 에 기재된 지질 미립자 분산물.
[화학식 3]
Figure pct00003
〔식 중, R1b 는 탄소수 10 ∼ 26 의 탄화수소기, R2b 는 탄소수 9 ∼ 25 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X 는 -(CH2)n- (여기서 n 은 2 ∼ 6 의 정수를 나타낸다) 를 나타낸다.〕
[화학식 4]
Figure pct00004
(식 중, R1 및 R2 는 동일 또는 상이하고 탄소수 1 ∼ 40 의 하이드록실화 되어 있어도 되는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R3 은 탄소수 1 ∼ 6 의 알킬렌기 또는 단결합을 나타내고, R4 는 수소 원자, 탄소수 1 ∼ 12 의 알콕시기 또는 2,3-디하이드록시프로필옥시기를 나타낸다. 단, R3 이 단결합일 때, R4 는 수소 원자이다.)
<6> 성분 (B) 의 함유량이, 바람직하게는 0.01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3 질량% 이상이며, 또, 바람직하게는 5.0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질량% 이하이며, 또, 바람직하게는 0.01 질량% 이상 5.0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질량% 이상 3.0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3 질량% 이상 1.0 질량% 이하인 <1> ∼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지질 미립자 분산물.
<7> 성분 (A) 와 성분 (B) 의 질량비 (A/B) 가 바람직하게는 0.1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3 이상이며, 또, 바람직하게는 1.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8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6 이하이며, 또 바람직하게는 0.1 이상 1.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이상 0.8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3 이상 0.6 이하인 <1> ∼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지질 미립자 분산물.
<8> 성분 (C) 가, 바람직하게는 N-아실아미노산염, N-아실메틸타우린염, 알킬인산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인산염, 지방산염, 알킬황산에스테르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황산에스테르염, 알킬에테르카르복실산염, 디알킬술포숙신산염 및 디아실아미노산리신염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함유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N-아실아미노산염, N-아실메틸타우린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인산염, 지방산염, 디아실아미노산리신염, 알킬황산에스테르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황산에스테르염, 알킬에테르카르복실산염 및 디알킬술포숙신산염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함유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N-아실아미노산염, N-아실메틸타우린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인산염, 지방산염, 디아실아미노산리신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황산에스테르염, 알킬에테르카르복실산염 및 디알킬술포숙신산염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함유하고,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N-아실아미노산염, N-아실메틸타우린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인산염, 지방산염 및 디아실아미노산리신염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함유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N-아실아미노산염 및 N-아실메틸타우린염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함유하는 <1> ∼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지질 미립자 분산물.
<9> 성분 (C) 의 함유량이, 바람직하게는 0.002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질량% 이상이며, 또 바람직하게는 3.0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질량% 이하이며, 또, 바람직하게는 0.02 질량% 이상 3.0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질량% 이상 1.0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질량% 이상 0.5 질량% 이하인 <1> ∼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지질 미립자 분산물.
<10> 성분 (A), 성분 (B) 및 성분 (C) 의 합계 질량이, 바람직하게는 0.015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33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질량% 이상이며, 또 바람직하게는 13.0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질량% 이하이며, 또, 바람직하게는 0.015 질량% 이상 13.0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33 질량% 이상 5.0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질량% 이상 2.0 질량% 이하인 <1> ∼ <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지질 미립자 분산물.
<11> 성분 (A) 와 성분 (B) 의 합계 질량과 성분 (C) 의 질량의 비 (A + B/C) 가, 바람직하게는 0.0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2.0 이상이며, 또, 바람직하게는 6.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5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이하이며, 또 바람직하게는 0.05 이상 6.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이상 5.5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5.5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2.0 이상 5.5 이하인 <1> ∼ <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지질 미립자 분산물.
<12> 성분 (D) 가, 다가 알코올 및 저급 알코올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을 함유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에탄올, 글리세린, 1,3-부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및 1,3-프로판디올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을 함유하는 <1> ∼ <1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지질 미립자 분산물.
<13> 성분 (D) 의 함유량이, 바람직하게는 1.0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질량% 이상이며, 또 바람직하게는 30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질량% 이하이며, 또 바람직하게는 1.0 질량% 이상 30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질량% 이상 25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질량% 이상 20 질량% 이하인 <1> ∼ <1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지질 미립자 분산물.
<14> 성분 (E) 의 함유량이, 바람직하게는 50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질량% 이상이며, 또, 바람직하게는 97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95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질량% 이하이며, 또, 바람직하게는 50 질량% 이상 97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질량% 이상 95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질량% 이상 90 질량% 이하인 <7> ∼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지질 미립자 분산물.
<15> 추가로 성분 (F)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를 함유하는 <1> ∼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지질 미립자 분산물.
<16> 성분 (F) 가, 바람직하게는 HLB 10 ∼ 20 의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보다 바람직하게는 HLB 12 ∼ 15 의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더욱 바람직하게는 HLB 12.5 ∼ 14.5 의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를 함유하는 <15> 에 기재된 지질 미립자 분산물.
<17> 성분 (F) 가,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프로필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톨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프로필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피토스타놀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피트스테로오스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콜레스타놀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콜레스테릴에테르 및 폴리옥시알킬렌 변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 폴리옥시알킬렌·알킬 공변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을 함유하는 <15> 또는 <16> 에 기재된 지질 미립자 분산물.
<18> 성분 (F) 의 함유량이, 바람직하게는 0.01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질량% 이상이며, 또, 바람직하게는 10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질량% 이하이며, 또 바람직하게는 0.01 질량% 이상 10 질량%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질량% 이상 5.0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질량% 이상 1.0 질량% 이하인 <15> ∼ <1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지질 미립자 분산물.
<19> pH 가 바람직하게는 3.5 이상 7.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5 이상 6.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5 이상 5.5 이하인 <1> ∼ <1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지질 미립자 분산물.
<20> 성분 (A) 및 성분 (B) 를 함유하는 지질 미립자의 결정성이 낮고, 미세한 입자로서 수중에 균일하게 유화 분산되어 있는 <1> ∼ <1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지질 미립자 분산물.
<21> 지질 미립자 분산물 중에 유화 분산되어 있는 성분 (A) 및 성분 (B) 를 함유하는 지질 미립자의 평균 입자경이, 바람직하게는 150 ㎚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130 ㎚ 미만인 <1> ∼ <2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지질 미립자 분산물.
<22> <1> ∼ <2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지질 미립자 분산물을 함유하는 피부 화장료.
실시예
다음으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조 방법)
(1) 마이크로믹서법
표 1 ∼ 4, 7 ∼ 8 에 기재된 조성물 및 표 6 에 기재된 실시예 17 에 대해서는, 우선 성분 A, B, D, F 를 85 ℃ 에서 가열 용해하여, 균일한 유상 혼합물 X를 조제하였다. 다음으로 성분 C, E 를 85 ℃ 에서 가열 용해하여, 균일한 수상 혼합물 Y 를 조제하였다. 혼합물 X 및 Y 를 85 ℃ 에서 가열하면서 0.2 ㎫·s 의 압력하에서 각각을 일정량으로 유동시킴과 함께, 그것들을 합류시키고, 공경이 0.4 ㎜ 인 세공에 유통시켜 화장수상의 균일한 유화물 Z 를 얻었다. 일부의 성분 D, E 및 성분 A ∼ F 이외의 성분은 혼합하고, 균일 용해를 확인한 후에 유화물 Z 에 첨가함으로써 각 시료를 얻었다.
(2) 비커법
표 5 에 기재된 조성물 및 표 6 에 기재된 비교예 6 에 대해서는, 성분 A, B, C, D, F 를 85 ℃ 에서 가열 용해하여, 균일한 유상 혼합물을 얻었다. 이 유상 혼합물에 성분 E 를 교반하면서 적하함으로써 유화물을 얻었다. 일부의 성분 E 및 성분 A ∼ F 이외의 성분은 혼합하고, 균일 용해를 확인한 후에 유화물에 첨가함으로써 각 시료를 얻었다.
(평가 방법)
(1) 입자 상태
실시예 및 비교예의 지질 미립자 분산물에 대해, 입자경 분석 장치 (제타사이저 나노 ZS 말번사 제조) 를 사용한 동적 광산란법에 의한 측정 (20 배 희석액) 에 의해 얻어진 큐물런트 직경을 구하고, 이하의 A ∼ D 의 평가에 적용시켰다.
A : 130 ㎚ 미만
B : 130 ㎚ 이상 150 ㎚ 미만
C : 150 ㎚ 이상 200 ㎚ 미만
D : 200 ㎚ 이상
(2) 결정 상태
실시예 및 비교예의 지질 미립자 분산물에 대해, 시차 주사 열량 분석 장치(μDSCVIIevo 리가쿠사 제조) 를 사용한 측정 (승온 속도 : 0.3 ℃/min) 에 의해 얻어진 융해 곡선의 45 ℃ 이상 80 ℃ 이하의 온도 범위에 있어서의 전체 흡열량으로부터 융해 열량을 구하고, 이하의 A ∼ D 의 평가에 적용시켰다.
A : 열량 0.05 J/g 미만
B : 열량 0.05 J/g 이상 0.15 J/g 미만
C : 열량 0.15 J/g 이상 0.30 J/g 이하
D : 열량 0.30 J/g 을 초과한다
(3) 안정성
실시예 및 비교예의 지질 미립자 분산물에 대해, 규격 유리 용기 (마이티 바이알 No.7 애즈원사 제조) 에 충전하고 실온 및 50 ℃ 의 환경에서 1 개월 보관하고, 외관의 변화를 관찰하여, 평가하였다. 관찰시에 있어서는 제제에 상 분리가 없는 것, 크리밍이 일어나지 않는 것, 침전물 혹은 석출물이 없는 것을 확인하고, 어느 변화도 볼 수 없었던 경우만 합격「○」으로 하였다.
(4) 사용감
표 6 에 기재된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등량 피부에 사용했을 때에 대해, 전문 패널에 의해 「촉촉한감」,「탄력감」및 「매끄러움」에 대해 사용감이 양호한 순서로 4 단계 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 기준을 이하에 나타낸다.
A : 매우 느낀다
B : 약간 느낀다
C : 아주 조금 느낀다
D : 전혀 느끼지 않는다
표 1 ∼ 8 에 기재된 지질 미립자 분산물을 제조하고, 그 물성, 안정성 및 사용감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도 표 1 ∼ 8 에 함께 나타낸다.
Figure pct00005
Figure pct00006
Figure pct00007
Figure pct00008
Figure pct00009
Figure pct00010
표 7 에 기재된 지질 미립자 분산물에 대해서도, 세라마이드류 등의 고체지의 결정성이 낮고, 미세한 입자로서 안정적으로 유화 분산되어 있으며, 안정성 및 사용감에 대해서도 우수한 것이다.
Figure pct00011
Figure pct00012

Claims (7)

  1. 다음의 성분 (A) ∼ (E) 를 함유하고, pH 가 3.5 이상 8.0 이하인 지질 미립자 분산물이고, 당해 지질 미립자의 45 ℃ 이상 80 ℃ 이하의 온도 범위에 있어서의 융해 열량이 0.30 J/g 이하이고, 평균 입자경이 200 ㎚ 미만인 지질 미립자 분산물.
    (A) 스테롤 및 그 유도체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
    (B) 성분 (A) 이외의 25 ℃ 에서 고체 또는 반고체인 지질
    (C) 아니온성 계면 활성제
    (D) 수용성 용매
    (E) 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성분 (A) 와 성분 (B) 의 합계 질량과 성분 (C) 의 질량의 비 (A + B/C) 가 0.05 이상 6.0 이하인 지질 미립자 분산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성분 (A) 가 콜레스테롤 및 피토스테롤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을 함유하는 지질 미립자 분산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성분 (B) 가 천연 세라마이드, 합성 세라마이드 및 탄소수 12 ∼ 30 의 지방족 알코올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을 함유하는 지질 미립자 분산물.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성분 (C) 가 N-아실아미노산염 및 N-아실메틸타우린염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인 지질 미립자 분산물.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가로, 성분 (F)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를 함유하는 지질 미립자 분산물.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지질 미립자 분산물을 함유하는 피부 화장료.
KR1020207015850A 2017-12-28 2018-12-28 지질 미립자 분산물 KR2020010365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254874 2017-12-28
JPJP-P-2017-254874 2017-12-28
PCT/JP2018/048404 WO2019131987A1 (ja) 2017-12-28 2018-12-28 脂質微粒子分散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3652A true KR20200103652A (ko) 2020-09-02

Family

ID=67067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5850A KR20200103652A (ko) 2017-12-28 2018-12-28 지질 미립자 분산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564871B2 (ko)
EP (1) EP3733159A4 (ko)
JP (1) JP7278769B2 (ko)
KR (1) KR20200103652A (ko)
CN (1) CN111511345B (ko)
TW (1) TWI793240B (ko)
WO (1) WO201913198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49483A1 (ja) * 2019-09-13 2021-03-18 味の素株式会社 粉体の表面処理方法、それに使用する表面処理剤組成物、および表面処理された粉体
JP7411421B2 (ja) 2020-01-16 2024-01-11 株式会社ファンケル 化粧料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91208A (ja) 1989-01-18 1990-07-27 Pola Chem Ind Inc 化粧料
JPH09124432A (ja) 1995-10-26 1997-05-13 Kanebo Ltd 液晶型エマルションの製造方法および該製造方法によって得られる液晶型エマルション組成物
JP2004331595A (ja) 2003-05-09 2004-11-25 Takasago Internatl Corp 脂質組成物およびそれ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
JP2007015972A (ja) 2005-07-07 2007-01-25 Shiseido Co Ltd 一相マイクロエマルション組成物、及びo/w超微細エマルション外用剤の製造方法
WO2010038814A1 (ja) 2008-09-30 2010-04-0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セラミド分散物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28048A (ja) 1985-12-20 1987-10-06 Kao Corp アミド誘導体及びそれ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
JPH0692296B2 (ja) 1987-03-16 1994-11-16 花王株式会社 皮膚外用剤
JPH0692293B2 (ja) 1987-03-06 1994-11-16 花王株式会社 皮膚外用剤
JPH0676358B2 (ja) 1987-07-24 1994-09-28 花王株式会社 アミド誘導体及びこれ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
JPH078844B2 (ja) 1987-07-27 1995-02-01 花王株式会社 アミド誘導体及びそれ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
JP2775407B2 (ja) 1995-05-24 1998-07-16 花王株式会社 アミド誘導体、この製造中間体並びに該アミド誘導体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及び毛髪化粧料
JP4185240B2 (ja) 2000-09-13 2008-11-26 花王株式会社 水中油型乳化化粧料
JP4350269B2 (ja) 2000-05-11 2009-10-21 高砂香料工業株式会社 化粧料添加用組成物
CN1319508C (zh) * 2002-11-15 2007-06-06 株式会社高丝 半透明化妆品
JP4886204B2 (ja) 2005-03-31 2012-02-29 花王株式会社 水中油型乳化組成物の製造方法
JP4931370B2 (ja) * 2005-06-02 2012-05-16 花王株式会社 乳化組成物
JP5086583B2 (ja) 2006-08-10 2012-11-28 花王株式会社 セラミド微粒子分散液の製造方法
JP6139206B2 (ja) * 2012-03-30 2017-05-31 株式会社コーセー 半透明性乃至透明性組成物
JP2015093840A (ja) * 2013-11-08 2015-05-18 株式会社ミリオナ化粧品 セラミド類含有液状透明組成物、皮膚外用剤、およびセラミド類含有液状透明組成物の製造方法
JP6510177B2 (ja) * 2014-04-01 2019-05-08 ロレアル ナノ又はマイクロエマルションの形態の組成物
WO2018123883A1 (ja) 2016-12-27 2018-07-05 花王株式会社 セラミド微粒子分散物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91208A (ja) 1989-01-18 1990-07-27 Pola Chem Ind Inc 化粧料
JPH09124432A (ja) 1995-10-26 1997-05-13 Kanebo Ltd 液晶型エマルションの製造方法および該製造方法によって得られる液晶型エマルション組成物
JP2004331595A (ja) 2003-05-09 2004-11-25 Takasago Internatl Corp 脂質組成物およびそれ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
JP2007015972A (ja) 2005-07-07 2007-01-25 Shiseido Co Ltd 一相マイクロエマルション組成物、及びo/w超微細エマルション外用剤の製造方法
WO2010038814A1 (ja) 2008-09-30 2010-04-0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セラミド分散物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33159A1 (en) 2020-11-04
EP3733159A4 (en) 2021-10-27
TWI793240B (zh) 2023-02-21
CN111511345B (zh) 2023-03-31
TW201929835A (zh) 2019-08-01
US20210059910A1 (en) 2021-03-04
JP7278769B2 (ja) 2023-05-22
WO2019131987A1 (ja) 2019-07-04
JP2019119742A (ja) 2019-07-22
US11564871B2 (en) 2023-01-31
CN111511345A (zh) 2020-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67352B1 (ja) 乳化組成物
JP4709320B2 (ja) O/w乳化組成物の製造方法
JP2014073991A (ja) 乳化組成物
KR20150116655A (ko) 난용성 기능성 성분을 안정화한 화장료 조성물
EP2682094A1 (en) Manufacturing method for o/w emulsion composition
CN101827578B (zh) 反相囊泡组合物
KR20200103652A (ko) 지질 미립자 분산물
JP2010248178A (ja) 乳化化粧料
JP3715223B2 (ja) 水中油型乳化組成物の製造方法
JP2009263346A (ja) カイネチンを含有する乳化型化粧料
JP3662513B2 (ja) 乳化化粧料
JP2008120731A (ja) ベシクル組成物及びそれを配合した皮膚外用剤
JP2010222317A (ja) 水中油型乳化化粧料
JP4886204B2 (ja) 水中油型乳化組成物の製造方法
JP4931370B2 (ja) 乳化組成物
JP5243078B2 (ja) 高極性油配合水中油型超微細エマルション外用剤及びその水中油型超微細エマルション外用剤の製造方法
JPH11130651A (ja) 脂質分散組成物及びそれを含有する化粧料
JP5495255B2 (ja) リポソーム含有組成物、並びに該組成物を配合してなる皮膚用化粧料
JP6031182B1 (ja) 水中油型乳化組成物の製造方法
JP2007169174A (ja) O/w型乳化組成物
JPH1118697A (ja) 含油ゲル状組成物及び水中油型乳化組成物
JPH08245370A (ja) 水中油型乳化組成物
JP2007070329A (ja) マイクロエマルション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22063857A (ja) 乳化組成物の製造方法
JP2013124240A (ja) 水中油型乳化皮膚外用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