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9240A - 저 열팽창 계수를 갖는 폴리이미드 조성물 - Google Patents

저 열팽창 계수를 갖는 폴리이미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9240A
KR20200079240A KR1020207010625A KR20207010625A KR20200079240A KR 20200079240 A KR20200079240 A KR 20200079240A KR 1020207010625 A KR1020207010625 A KR 1020207010625A KR 20207010625 A KR20207010625 A KR 20207010625A KR 20200079240 A KR20200079240 A KR 202000792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imide
poly
polyimide composition
composition
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06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칼 에드워드 스프렌탈
트레버 폴리도르
무랄리 세투마드하반
Original Assignee
로저스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저스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로저스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2000792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9240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9/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only,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61/00 - C08L77/00
    • C08L79/04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Polyhydraz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08L79/08Polyimides; Polyester-imides; Polyamide-im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G12/00 - C08G71/00
    • C08G73/06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3/10Polyimides; Polyester-imides; Polyamide-im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08G73/1057Polyimide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hydrogen, nitrogen or oxygen in the main chain
    • C08G73/106Polyimide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hydrogen, nitrogen or oxygen in the main chain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G12/00 - C08G71/00
    • C08G73/06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3/10Polyimides; Polyester-imides; Polyamide-im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08G73/1067Wholly aromatic polyimides, i.e. having both tetracarboxylic and diamino moieties aromatically bou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3Fillers, pigments or reinforc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5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5/541Silicon-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08K5/5415Silicon-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oxygen containing at least one Si—O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02Fibres or whiskers
    • C08K7/04Fibres or whiskers inorganic
    • C08K7/14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22Expanded, porous or hollow partic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7/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7/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7/1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fluorine atoms
    • C08L27/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r tetrafluoroethe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2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inorganic substances
    • H01B3/06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inorganic substances asbesto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1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 H01B3/3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 H01B3/30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B3/38 or H01B3/302
    • H01B3/306Polyimides or polyesterimi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1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 H01B3/3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 H01B3/44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vinyl resins; acrylic resins
    • H01B3/443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vinyl resins; acrylic resins from vinylhalogenides or other halogenoethylenic compounds
    • H01B3/445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vinyl resins; acrylic resins from vinylhalogenides or other halogenoethylenic compounds from vinylfluorides or other fluoroethyle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79/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only,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J2361/00 - C08J2377/00
    • C08J2379/04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Polyhydraz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08J2379/08Polyimides; Polyester-imides; Polyamide-im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2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27/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J2427/1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fluorine atoms
    • C08J2427/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tetrafluoroethyl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16Applications used for fil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Forming Nitrogen-Containing Linkages In General (AREA)

Abstract

1 ppm/℃ 이하, 또는 -0.5 내지 0.5 ppm/℃의 선형 열 팽창 계수를 갖는 폴리이미드; 및 플루오로폴리머(fluoropolymer);를 포함하는 폴리이미드 조성물로서, 상기 폴리이미드 조성물은 10 기가 헤르츠의 주파수에서 5 이하, 또는 3.5 이하의 유전율(permittivity)을 갖는다.

Description

저 열팽창 계수를 갖는 폴리이미드 조성물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7년 11월 17일에 출원한 미국 가출원 제62/587,605호 및 2017년 12월 22일에 출원한 미국 가출원 제62/609,660호의 이익을 주장한다. 관련 출원은 전체가 본 명세서에 참조로 포함된다.
전자 산업에서, 폴리이미드 조성물은 종종 낮은 유전 상수, 낮은 응력, 높은 모듈러스 및 고유 연성으로 인해 코팅 용도 및 유전층으로서 사용된다. 따라서, 폴리이미드 층은 종종 하나 이상의 층과 물리적 및 열적으로 접촉한다. 이러한 다층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장치의 제조 및 사용 동안, 장치는 상당한 가열 및 냉각 사이클을 경험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다층은 가열 및 냉각의 다중 사이클을 경험할 수 있으며, 종종 제조 동안 350 ℃ 이상의 온도 범위를 커버한다. 가열 및 냉각 사이클은 열팽창 계수(CTE) 값의 차이 및 다른 층들 사이의 다른 변수의 결과로 응력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응력은 변형, 박리 및/또는 균열을 초래할 수 있으며, 이는 장치의 성능을 저하시키거나/시키고, 조기 고장을 야기할 수 있다.
특정 용도에서, 폴리이미드 CTE의 값이 장치에 사용된 기판 CTE의 값과 가능한 한 가깝게 일치하도록 폴리이미드의 CTE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이미드 및 인접하거나 근처의 구성 요소의 유사한 CTE 값은, 예를 들어 구리 클래드 라미네이트(copper clad laminate)에서 유전체로 사용되는 폴리이미드 조성물에서 열 사이클링과 관련된 열 응력을 완화시킬 수 있다. 이들 폴리이미드 조성물은 유리 직물(glass fabric)을 포함하여, 구리의 CTE와 일치하도록 폴리이미드 층의 열-기계적 특성을 제어하는 것을 돕는다. 이러한 유전체층에 대한 제한은 두께 제한, 유리 직물 상에의 폴리이미드의 유동성, 및 유전체 층의 평면에 걸친 유전체 특성의 미세한 차이로 인해 발생한다.
따라서, 유리 직물이 없는 개선된 폴리이미드 층은 전자 제품 용도로 사용하는 것에 상당한 이점을 줄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 폴리이미드 조성물이 개시된다.
일 측면에서, 폴리이미드 조성물은 1 ppm/℃ 이하, 또는 -0.5 내지 0.5 ppm/℃의 선형 열 팽창 계수(CTE)를 갖는 폴리이미드; 및 플루오로폴리머(fluoropolymer);를 포함하고, 상기 폴리이미드 조성물은 10 기가 헤르츠의 주파수에서 5 이하, 또는 3.5 이하의 유전율(permittivity)을 갖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 폴리(암산)(poly(amic acid)), 플루오로폴리머, 용매, 및 임의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nonionic surfactant)를 포함하는 조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조합물을 캐스팅(casting)하는 단계; 및 캐스팅한 조합물을 가열하여, 용매를 증발시키고, 폴리(암산)으로부터 폴리이미드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폴리이미드 조성물의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폴리이미드 조성물은 1 ppm/℃ 이하, 또는 -0.5 내지 0.5 ppm/℃의 선형 열 팽창 계수(CTE)를 갖는 폴리이미드; 및 플루오로폴리머(fluoropolymer);를 포함하고, 상기 폴리이미드 조성물은 10 기가 헤르츠의 주파수에서 5 이하, 또는 3.5 이하의 유전율(permittivity)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1 ppm/℃ 이하, 또는 -0.5 내지 0.5 ppm/℃의 선형 열 팽창 계수(CTE)를 갖는 폴리이미드; 및 플루오로폴리머(fluoropolymer);를 포함하는 폴리이미드 조성물을 포함하는 물품(article)이 개시되고, 상기 폴리이미드 조성물은 10 기가 헤르츠의 주파수에서 5 이하, 또는 3.5 이하의 유전율(permittivity)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기재된 및 다른 특징은 하기 상세한 설명 및 청구 범위로 예시된다.
1 ppm/℃(parts per million per degree Celsius) 이하의 선형 CTE를 갖는 폴리이미드 및 플루오로폴리머를 포함하는 폴리이미드 조성물은 10 기가 헤르츠(GHz)의 주파수에서 5 이하 또는 3.5 이하의 유전율을 갖는 폴리이미드 조성물을 생성할 수 있다는 것을 놀랍게도 발견했다. 이러한 결과는 이러한 낮은 유전율을 갖는 폴리이미드 조성물이 유리 직물 없이 달성되기 때문에 특히 놀랍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선형 CTE는 1 밀(mil)(0.0254 밀리미터) 두께의 샘플을 사용하여 -125 내지 20 ℃, 또는 0 내지 20 ℃에서 ASTM E831-06 또는 ASTM D3386-00에 따라 측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이미드로 필수적으로 구성되는 샘플의 선형 CTE는 ASTM E831-06에 따라 측정될 수 있고, 폴리이미드 조성물의 선형 CTE는 ASTM D3386-00에 따라 측정될 수 있다.
폴리이미드 조성물은 폴리이미드 및 플루오로폴리머의 총 부피를 기준으로 하여, 40 내지 80 부피 퍼센트(부피%), 또는 40 내지 70 부피%의 폴리이미드를 포함할 수 있다. 폴리이미드는 조성물은 폴리이미드 및 플루오로폴리머의 총 부피를 기준으로 하여, 20 내지 60 부피%, 또는 30 내지 60 부피%의 플루오로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다. 폴리이미드 조성물은 열경화성 폴리이미드를 포함할 수 있지만, 열가소성 폴리이미드가 바람직하다.
폴리이미드 조성물은 폴리(암산)(poly(amic acid)), 플루오로폴리머, 용매, 및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조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조합물을 캐스팅(casting)하는 단계; 및 캐스팅한 조합물을 가열하여, 용매를 증발시키고, 폴리(암산)으로부터 폴리이미드를 형성하는 단계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합물은, 예를 들어 용매 캐스팅(solvent casting), 스핀 캐스팅(spin casting), 그라이버 코팅(gravure coating), 3개 롤 코팅(three roll coating), 나이프 오버 롤 코팅(knife over roll coating), 슬롯 다이 압출(slot die extrusion), 또는 딥 코팅(dip coating)에 의해 기판 상에 필름으로 캐스팅될 수 있다. 캐스팅 후에, 조합물을 하나 이상의 단계에서 가열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폴리(암산) 중의 암산 작용기를 이미드화(imidization)로 불리는 고리화 탈수 반응(cyclodehydration reaction)을 통해 이미드(imide)로 전환시킬 수 있다. 가열은 이미드화 반응 동안 용매 및 물 부산물의 증발 중 하나 또는 모두를 촉진시키기 위해 진공 하에서 발생할 수 있다.
가열은 둘 이상의 가열 단계에서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열은 용매를 증발시키기 위한 제1 증발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증발 단계는 23 내지 100 ℃의 증발 온도에서 발생할 수 있다. 가열은 150 ℃ 이상, 또는 200 내지 350 ℃, 또는 250 내지 310 ℃의 경화 온도에서 발생할 수 있는 고리화 탈수 반응을 개시하기 위해 제1 가열 단계 후에 일어나는 제2 가열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물은 고리화 탈수 반응 동안, 예를 들어 진공 하에서 또는 진공이 아닌 증발에 의해 또는 물을 화학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제거될 수 있다. 물의 화학적 제거는 다이사이클로헥실카보디이미드(dicyclohexylcarbodiimide) 또는 무수물, 예를 들어 아세트산 무수물 중 적어도 하나와의 반응을 포함할 수 있다. 이미드화 촉매는 고리화 탈수 반응을 용이하게 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미드화 촉매는 3차 아민, 예를 들어 피리딘, 트리에틸아민, 이소퀴놀린, 또는 베타-피콜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폴리(암산)은 적어도 디아민 모노머 및 2무수물 모노머를 포함하는 모노머 조성물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폴리(암산)의 중합은 극성, 비양성자성 용매의 존재 하에서 발생할 수 있다. 극성, 비양자성 용매는 N-메틸-2-피롤리돈(NMP) 또는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DMAC)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중합은 70 ℃ 이하, 또는 10 내지 70 ℃, 또는 20 내지 30 ℃의 온도에서 발생할 수 있다. 디아민 대 2무수물의 몰 비는 2:1 내지 1:2, 또는 1.5:1 내지 1:1.5, 또는 1.1:1 내지 1:1.1일 수 있다.
디아민 모노머는 1-(4-아미노페녹시)-3-(3-아미노페녹시)벤젠, 1-(4-아미노페녹시)-4-(3-아미노페녹시)벤젠, 1,3-비스(3-아미노페녹시)벤젠, 1,3-비스(4-아미노페녹시)벤젠, 1,4-비스(3-아미노페녹시)벤젠, 1,4-비스(4-아미노페녹시)벤젠, 2,2-비스[4-(4-아미노페녹시)페닐]헥사플루오로프로판 (BDAF), 비스[4-(4-아미노페녹시)페닐]설폰, 2,2-비스[4-(3-아미노페녹시)페닐]설폰, 4-아미노페닐-3-아미노벤조에이트, N,N -비스(4-아미노페닐)아닐린, N,N -비스(4-아미노페닐)-n-부틸아민, 비스(3-아미노페닐)디에틸 실란, 2,2-비스(3-아미노페닐)-1,1,1,3,3,3-헥사플루오로프로판, 비스(4-[4-아미노페녹시]페닐)에테르, 2,2-비스[4-(4-아미노페녹시)페닐]-헥사플루오로프로판, 2,2'-비스(4-아미노페닐)-헥사플루오로프로판 (6F-디아민), N,N-비스(4-아미노페닐)메틸아민, 2,2-비스(4-아미노페닐)프로판, 비스(p-베타-아미노-t-부틸페닐)에테르, 벤지딘, 1,4-사이클로헥실디아민 (CHDA), 디아미노벤즈아닐리드, 1,2-디아미노벤젠, 3,5-디아미노벤조산, 4,4'-디아미노벤조페논, 1,4-디아미노부탄, 1,10-디아미노데칸 4,4'-디아미노디페닐 디에틸 실란, 3,4'-디아미노디페닐 에테르, 4,4'-디아미노디페닐 에테르, 4,4'-디아미노디페닐 에테르 포스핀 옥사이드, 4,4'-디아미노디페닐 메탄, 4,4'-디아미노디페닐 N-메틸 아민, 4,4'-디아미노디페닐 N-페닐 아민, 4,4'-디아미노디페닐 프로판, 4,4'-디아미노디페닐 설파이드, 3,3'-디아미노디페닐 설폰, 4,4'-디아미노디페닐 설폰, 1,4-디아미노부탄, 디아미노듀렌 (DMDE), 1,2-디아미노에탄, 1,7-디아미노헵탄, 1,6-디아미노헥산, 1,5-디아미노나프탈렌, 1,9-디아미노노난, 1,8-디아미노옥탄, 1,5-디아미노펜탄, 1,3-디아미노프로판, 2,6-디아미노피리딘, 3,3'-디클로로벤지딘, 3,3'-디메톡시벤지딘, p-비스(1,1-디메틸-5-아미노펜틸)벤젠, 3,3'-디메틸-4,4'-디아미노비페닐, 4,4'-이소프로필리덴디아닐린, p-비스-2-(2-메틸-4-아미노펜틸)벤젠, 4,4'-메틸렌비스벤젠아민, 4,4'-메틸렌비스(사이클로헥실아민)(MBCHA), 4,4'-메틸렌비스(2-메틸사이클로헥실아민), 3,3'-옥시디아닐린, 3,4'-옥시디아닐린, 4,4'-옥시디아닐린, 2,2'-비스(4-페녹시아닐린)이소프로필리덴, m-페닐렌디아민, o-페닐렌디아민, p-페닐렌디아민, m-자일렌디아민, p-자일렌디아민, 아미노-말단 폴리디메틸실록산, 아미노-말단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 또는 아미노-말단 폴리부틸렌 옥사이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2무수물은 벤젠-1,2,3,4-테트라카르복실산 2 무수물, 벤젠-1,2,4,5-테트라카르복실산 2무수물(피로멜리트산 2 무수물)(PMDA), 2,3,2',3'-벤조페논 테트라카르복실산 2 무수물, 3,3',4,4'-벤조페논 테트라카르복실산 2무수물, 3,3',4,4'-비페닐 설폰 테트라카르복실산 2무수물, 2,2',3,3'-비페닐 테트라카르복실산 2무수물, 3,3',4,4'-비페닐 테트라카르복실산 2무수물, 2,2-비스(3,4-디카르복시페닐)헥사플루오로프로판, 비스(3,4-디카르복시페닐)메탄 2무수물, 2,2-비스(3,4-디카르복시페닐)프로판 2무수물, 비스(3,4-디카르복시페닐)설파이드 2무수물, 비스(3,4-디카르복시페닐)설폭시드 2무수물, 2,6-디클로로나프탈렌-1,4,5,8-테트라카르복실산 2무수물, 2,7-디클로로나프탈렌-1,4,5,8-테트라카르복실산 2무수물, 3,3',4,4'-디페닐설폰 테트라카르복실산 2무수물, 4,4'-(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필리덴)디프탈산 무수물, 하이드로퀴논 2무수물, 4,4'-(4,4'-이소프로필리덴디페녹시)비스(프탈산 무수물), 나프탈렌-1,4,5,8-테트라카르복실산 2무수물, 나프탈렌-2,3,6,7-테트라카르복실산 2무수물, 4,4'-옥시디프탈산 무수물 (ODPA), 4,4'-옥시디프탈산 2무수물, 3,4,9,10-페릴렌 테트라카르복실산 2무수물, 페난트렌-8,9,10-테트라카르복실산 2무수물, 피라진-2,3,5,6-테트라카르복실산 2무수물, 피로멜리트산 2무수물, 2,3,6,7-테트라클로로나프탈렌-1,4,5,8-테트라카르복실산 2무수물, 티오펜-2,3,4,5-테트라카르복실산 2무수물, 또는 폴리실록산-함유 2무수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폴리머 백본의 선형성을 증가시키고 그것의 유연성을 감소시키는 것이 생성된 폴리이미드의 더 낮은 CTE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폴리(암산)은 선형의(예를 들어, 파라 치환된) 및 보다 강성인(예를 들어, 아릴렌 고리를 포함함) 것들 중 하나 또는 이둘 모두인 디아민 및 2무수물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아민은 파라-치환된 디아민(예를 들어, p-페닐렌 디아민(p-PDA))을 포함할 수 있고, 2무수물은 파라-치환된 2무수물(예를 들어, 3,3',4,4'-디페닐테트라카르복실산 2 무수물(대칭 BPDA 또는 s-BPDA) 또는 피로멜리트산 2무수물)을 포함할 수 있다. 2무수물은 s-BPDA를 포함할 수 있고, 디아민은 p-PDA를 포함할 수 있다. 2무수물은 피로멜리트산 2무수물을 포함할 수 있고, 디아민은 2,2'-디메틸벤지딘(DMB)을 포함할 수 있다.
열 팽창 계수를 감소시키는 것 이외에, 이들 선형 및/또는 강성인 모노머 중 하나 이상을 도입하는 것은 흡습 팽창 계수(coefficient of hydroscopic expansion, CHE)의 감소를 일으킬 수 있다. 흡습 팽창 계수는 환경적 상대 습도의 제공된 변화에 대한 치수 변화의 측정치이다. 또한, 흡습 팽창 계수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플루오르화기를 포함하는 소수성 반복 단위의 도입에 의해 감소될 수 있다. 플루오르화 모노머의 예는 2,2-비스[4-(4-아미노페녹시)페닐]헥사플루오로프로판 (BDAF), 2,2-비스(3-아미노페닐)-1,1,1,3,3,3-헥사플루오로프로판, 2,2-비스[4-(4-아미노페녹시)페닐]-헥사플루오로프로판, 2,2'-비스(4-아미노페닐)-헥사플루오로프로판 (6F-디아민), 4,4'-(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필리덴)디프탈산 무수물, 및 2,2-비스(3,4-디카르복시페닐)헥사플루오로프로판을 포함한다.
폴리(암산)의 중합은 가교제(crosslinker)의 존재 하에서의 중합을 포함할 수 있다. 가교제는 폴리(C2-20 알킬렌-alt-말레산 무수물)(예를 들어, 폴리(에틸렌-alt-말레산 무수물), 폴리(말레산 무수물-alt-1-옥타데칸), 또는 폴리(이소부틸렌-alt-말레산 무수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폴리이미드는 폴리이미드를 가교하는 적어도 하나의 산소화 탄화수소(oxygenated hydrocarbon)를 포함할 수 있다. 산소화 탄화수소는 아크롤레인(acrolein), 벤즈알데히드(benzaldehyde), 부틸알데히드(butylaldehyde), 신남알데히드(cinnamaldehyde), 크로톤알데히드(crotonaldehyde), 디아실옥시메탄(diacyloxymethane), 디(C1-6 알콕시)메탄, 1,3-디옥산, 디옥솔란, 1,3-디티안(1,3-dithiane), 글리옥살(glyoxal), 포름알데히드, 푸르푸랄(furfural), 글리시딜 에테르 이소-부틸알데히드(glycidyl ether iso-butylaldehyde), 라우린알데히드(laurinaldehyde), 메틸알(methylal), 나프트알데히드(naphthaldehyde), 1,3-옥사티안아세트알데히드(1,3-oxathianeacetaldehyde), 파라포름알데히드(paraformaldehyde), 프로피온알데히드(propionaldehyde), 살리실알데히드(salicylaldehyde), 스테아린알데히드(stearinaldehyde), 석신디알데히드(succindialdehyde), 테트라옥산(tetraoxane), 톨릴알데히드(tolylaldehyde), 트리옥산(trioxane), 또는 발레르알데히드(valeraldehyd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산소화 탄화수소는 파라포름알데히드, 포름알데히드, 디옥솔란, 또는 트리옥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폴리(암산)의 중합은 엔드캡퍼(endcapper)를 추가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엔드캡퍼는 디아민과 2무수물 사이의 반응이 완료된 후, 예를 들어 24시간 후에 도입될 수 있다. 엔드캡퍼는 1 작용성 아민 또는 1 작용성 무수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엔드캡퍼는 아민 말단기와 반응하기 위해 첨가되는 1 작용성 무수물을 포함할 수 있다. 엔드캡퍼는 가교성 1무수물을 포함할 수 있다.
폴리이미드는 부피가 큰 치환기(bulky substituent)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부피가 큰 치환기는 크기 때문에 분자내 및 분자간 사슬 결합을 방해하는 경향이 있는 모이어티(moiety)이다. 부피가 큰 치환기는, 예를 들어 폴리머 백본에서 페닐기들 사이에 공유 결합된 폴리이미드 백본의 일부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로, 부피가 큰 치환기는 테더(tether)(즉, 알킬기 또는 다른 치환기와 같은 연결기)를 통해 또는 폴리이미드 백본에 직접 결합하여(예를 들어, 폴리머 백본의 페닐기에 직접 결합하여) 폴리머 백본의 기에 공유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부피가 큰 치환기는 이온 결합, 수소 결합, 또는 다른 인력을 통해 폴리머와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다. 일 측면에서, 부피가 큰 기는 폴리이미드 조성물을 통해 분산될 수 있으며, 부피가 큰 치환기와 폴리이미드 사이에 필수적으로 화학적 상호 작용을 갖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호 작용의 조합이 사용될 수 있다. 보다 유연한 폴리이미드 조성물에 부피가 큰 치환기를 혼입하면, 폴리이미드의 세그먼트 이동성이 감소될 수 있고, 폴리이미드의 CTE가 감소될 수 있다.
부피가 큰 치환기는 폴리헤드랄 올리고머 실세스퀴옥산(polyhedral oligomeric silsesquioxane)(일반적으로 "POSS"라고 함, 본 명세서에서 "실세스퀴옥산"이라고도 함)을 포함할 수 있다. 실세스퀴옥산의 혼입은 산화 환경에서 폴리이미드의 내구성을 개선하는 추가 이점을 가질 수 있다. 실세스퀴옥산은 표면 상에 반응성 작용기를 가질 수 있는 실리카 코어(silica core)를 갖는 나노 크기의 무기 재료이다. 실세스퀴옥산은 정점(vertice)에서 규소원자를 포함하고, 산소 원자와 상호 결합되는 큐브 또는 큐브 유사 구조물을 가질 수 있다. 규소 원자 각각은 펜던트 R기에 공유 결합될 수 있다. 화학식(I)(R8Si8O12)의 실세스퀴옥산은 8개의 펜던트 R기를 갖는 코어 주변에 규소 및 산소 원자의 케이지를 포함한다.
[화학식 I]
Figure pct00001
각각의 R기는 독립적으로 수소, 하이드록시기, 알킬기, 아릴기, 또는 알케닐기일 수 있고, 여기서 R기는 1 내지 12개의 탄소원자 및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할 수 있다(예를 들어, 산소, 질소, 인, 규소, 또는 할로겐 중 적어도 하나). 각각의 R기는 독립적으로 알콜, 에폭시기, 에스테르, 아민, 케톤, 에테르, 또는 할라이드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반응성 기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R기는 독립적으로 실라놀, 알콕시드, 또는 클로라이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세스퀴옥산의 예는 옥타(디메틸실록시)실세스퀴옥산이다.
R기 중 적어도 하나는 폴리이미드에 실세스퀴옥산을 테더링할 수 있는 작용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테더(tether)는 실세스퀴옥산에 폴리이미드를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분자 쇄를 말한다. 테더 길이, 즉 실세스퀴옥산과 폴리머 쇄 사이에 위치하며 열에 연결되어 있는 원자는 3 내지 10개의 원자, 또는 4 내지 6개의 원자일 수 있다. 테더링하기 전에, R기들 중 적어도 하나는 반응성 작용기, 예를 들어 폴리(암산), 예를 들어 카르복실기 상에 작용기와 반응할 수 있는 아민 또는 알콜을 포함할 수 있다.
실세스퀴옥산은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여 폴리이미드로 혼입될 수 있다. 실세스퀴옥산은 폴리(암산)의 중합 전에 모노머에 테더링될 수 있다. 실세스퀴옥산은 폴리(암산)의 형성 후에 폴리(암산)에 테더링될 수 있다. 실세스퀴옥산은 둘 이상의 반응기, 예를 들어 둘 이상의 아민기를 포함할 수 있고, 폴리(암산)의 백본으로 및 궁극적으로 폴리이미드의 백본으로 혼입하기 위해 모노머와 반응할 수 있다.
실세스퀴옥산은 모노머 상에 반응기를 통해 폴리(암산)에 또는 모노머에 테더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암산)은 하나 이상의, 또는 1 내지 2개의 부착기, 예를 들어 카르복실산기를 포함하는 모노머(예를 들어, 디아민)로부터 유도되는 반복 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모노머의 예는 각각 화학식(II) 및 (III)에 나타내는 3,5-디아미노벤조산 (DBA) 및 4,4'-디아미노[1,1'-비페닐]-2,2'-카르복실산 (DBDA)을 포함한다.
[화학식 II 및 화학식 III]
Figure pct00002
실세스퀴옥산은 중합 전에 카르복실기와 반응할 수 있다. 실세스퀴옥산은 폴리(암산)의 중합 후에 카르복실기와 반응할 수 있다. 부착점을 포함하는 상대적인 양의 모노머를 제어하는 것은 분자 테더의 양을 가리킬 수 있다.
폴리이미드는 E831-06에 따라 측정된 5 ppm/℃ 이하, 또는 1 ppm/℃ 이하, 또는 -0.5 내지 0.5 ppm/℃, 또는 -0.1 내지 0.1 ppm/℃의 x-방향 및 y-방향에서의 열팽창 계수를 가질 수 있다 (-125 내지 20 ℃, 1 밀(mil)(0.0254 mm)의 z-방향 필름 두께, 또는 0 내지 20 ℃, 1 밀(0.0254 mm)의 z-방향 필름 두께).
폴리이미드 조성물은 플루오로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플루오로폴리머"는 플루오르화 알파-올레핀 모노머, 즉 적어도 하나의 불소원자 치환기를 포함하는 알파-올레핀 모노머, 및 임의로 플루오르화 알파-올레핀 모노머와 반응하는 비-플루오르화 에틸렌성 불포화 모노머로부터 유도되는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호모폴리머 및 코폴리머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플루오르화 알파-올레핀 모노머는 CF2=CF2, CHF=CF2, CH2=CF2, CHCl=CHF, CClF=CF2, CCl2=CF2, CClF=CClF, CHF=CCl2, CH2=CClF, CCl2=CClF, CF3CF=CF2, CF3CF=CHF, CF3CH=CF2, CF3CH=CH2, CHF2CH=CHF, 및 CF3CH=CH2, 및 퍼플루오로메틸 비닐 에테르, 퍼플루오로프로필 비닐 에테르, 및 퍼플루오로옥틸비닐 에테르와 같은 퍼플루오로(C2-8 알킬)비닐 에테르를 포함한다. 플루오르화 알파-올레핀 모노머는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CF2=CF2),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CClF=CF2), (퍼플루오로부틸)에틸렌, 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CH2=CF2), 또는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CF2=CFCF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비-플루오르화 모노에틸렌성 불포화 모노머는 에틸렌, 프로필렌, 부텐, 및 에틸렌성 불포화 방향족 모노머, 예를 들어 스티렌 및 알파-메틸-스티렌을 포함한다. 플루오로폴리머는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PCTFE),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ETFE), 폴리(에틸렌-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ECTFE), 폴리(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에틸렌-프로필렌),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플루오르화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FEP)로도 알려짐),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프로필렌)(플루오로엘라스토머로도 알려짐)(FEPM),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퍼플루오로프로필렌 비닐 에테르),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백본과 완전히 플루오르화된 알콕시 측쇄와의 공중합체(퍼플루오로알콕시 폴리머(PFA)로도 알려짐)(예를 들어,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퍼플루오로프로필렌 비닐 에테르)), 폴리비닐플루오라이드(PVF),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PVDF),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퍼플루오로설폰산, 또는 퍼플루오로폴리옥세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플루오로폴리머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을 포함할 수 있다.
플루오로폴리머는 복수의 입자의 형태일 수 있다. 복수의 입자는 10 ㎛ 이하, 또는 3 내지 8 ㎛의 평균 입자 크기를 가질 수 있다. 평균 입자 크기는 동적 광 산란을 사용하여, 예를 들어 평균 직경을 측정하여 결정될 수 있다. 너무 큰 입자는 캐스트 필름 상에 표면 조도의 형성을 일으킬 수 있고, 너무 작은 입자는 조합물의 점도를 상당히 증가시켜, 캐스팅을 더욱 어렵게 할 수 있다.
폴리이미드 조성물은, 폴리(암산), 플루오로폴리머, 용매, 및 임의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조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조합물을 캐스팅(casting)하는 단계; 및 캐스팅한 조합물을 가열하여, 용매를 증발시키고, 폴리(암산)을 이미드화하여 폴리이미드를 형성하는 단계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조합물은 조합물의 총 부피를 기준으로 하여, 50 내지 90 부피% 또는 60 내지 80 부피%의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용매는 아세트아미드, 아세톤, 아세토니트릴, 디클로로메탄, 디메틸아세트아미드,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설폭시드, 에틸 아세테이트, 포름아미드, N-메틸포름아미드, N-메틸피롤리돈, 또는 테트라하이드로푸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조합물은 조합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 내지 5 중량 퍼센트(중량%), 또는 1 내지 4 중량 퍼센트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1 내지 25 몰의 에틸렌 산화물을 갖는 C8-22 지방족 알콜 에톡실레이트 및 에틸렌 산화물의 좁은 호모로그 분포(narrow homolog distribution)("좁은 범위 에톡실레이트(narrow range ethoxylate)") 또는 에틸렌 산화물의 넓은 호모로그 분포(broad homolog distribution)("넓은 범위 에톡실레이트(broad range ethoxylate)")를 포함할 수 있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2 내지 18몰의 에틸렌 옥사이드를 갖는 C10-20 지방족 알콜 에톡실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시판되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예는 Dow 제품의 좁은 분자량 분포를 갖는 TERGITOL 15-S-9 (9 몰 에틸렌 옥사이드를 갖는 C11-15 선형 2차 알콜의 축합 생성물) 및 TERGITOL 24-L-NMW (6 몰 에틸렌 옥사이드를 갖는 C12-14 선형 1차 알콜의 축합 생성물)이다. 사용될 수 있는 다른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및 C6-12 알킬 페놀의 폴리부틸렌 옥사이드 축합물, 예를 들어 C6-12 알킬페놀의 몰당 4 내지 25몰의 에틸렌 산화물, 또는 C6-12 알킬페놀의 몰당 5 내지 18몰의 에틸렌 옥사이드를 갖는 화합물을 포함한다. 이러한 유형의 시판되는 계면활성제는 Dow 제품의 IGEPAL CO-630, TRITON X-45, TRITON X-114, TRITON X-100, TRITON X102, TERGITOL TMN-10, TERGITOL TMN-100X, 및 TERGITOL TMN-6 (전체 폴리에톡실화 2,6,8-트리메틸-노닐페놀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폴리이미드 조성물은 복수의 중공 마이크로스피어(hollow microsphere) 또는 세라믹 충전제(ceramic filler)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존재하는 경우에, 복수의 중공 마이크로스피어 및 세라믹 충전제는 조합물에 첨가될 수 있다. 중공 마이크로스피어는 세라믹 중공 마이크로스피어, 중합성 중공 마이크로스피어, 또는 유리 중공 마이크로스피어(예를 들어, 알칼리 보로실리케이트 유리(alkali borosilicate glass)로 제조된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폴리이미드 조성물은 폴리이미드 조성물의 총 부피를 기준으로 하여, 1 내지 70 부피%, 또는 5 내지 70 부피%, 또는 10 내지 50 부피%의 중공 마이크로스피어를 포함할 수 있다. 중공 마이크로스피어는 300 마이크로미터(㎛) 이하, 또는 15 내지 200 ㎛, 또는 20 내지 100 ㎛, 또는 20 내지 70 ㎛, 또는 30 내지 65 ㎛, 또는 40 내지 55 ㎛, 또는 35 내지 60 ㎛의 평균 외부 직경을 가질 수 있다.
폴리이미드 조성물은 유전 상수, 손실 계수(dissipation factor), 열팽창 계수, 및 폴리이미드 조성물의 다른 특성을 조절하도록 선택될 수 있는 유전체 충전제(dielectric filler)를 포함할 수 있다. 유전체 충전제는 티타늄 다이옥사이드(예를 들어, 루틸 및 아나타제), 바륨 티타네이트, 스트론튬 티타네이트, 실리카(용융된 비결정질 실리카를 포함함), 커런덤(corundum), 울러스터나이트(wollastonite), Ba2Ti9O20, 고형 유리 스피어(solid glass sphere), 중공 유리 스피어, 중공 세라믹 스피어, 석영, 보론 나이트라이드(boron nitride), 알루미늄 나이트라이드, 실리콘 카바이드, 베릴리아(beryllia), 알루미나; 알루미나 트리하이드레이트(alumina trihydrate), 마그네시아(magnesia), 마이카, 탈크, 나노클레이(nanoclay), 또는 마그네슘 하이드록사이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유전체 충전제는 실리콘-함유 코팅(silicon-containing coating), 예를 들어 유기 작용성 알콕시 실란 커플링제(organofunctional alkoxy silane coupling agent)로 표면 처리될 수 있다. 지르코네이트 또는 티타네이트 커플링제가 사용될 수 있다. 커플링제는 폴리이미드 조성물 중 충전제의 분산성을 개선하고, 마감된 폴리이미드 조성물의 수분 흡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폴리이미드 조성물은 폴리이미드 조성물의 총 부피를 기준으로 하여, 10 내지 80 부피%, 또는 20 내지 60 부피%, 또는 40 내지 60 부피%의 유전체 충전제를 포함할 수 있다.
폴리이미드 조성물은 50 ppm/℃ 이하, 또는 45 ppm/℃ 이하, 또는 25 ppm/℃ 이하, 또는 20 내지 42 ppm/℃의 x-방향 및 y-방향에서의 CTE를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x-방향 및 y-방향은 폴리이미드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평평한 층의 넓은 표면에 평행하고, z-방향은 넓은 표면에 수직이다. 폴리이미드 조성물은 150 ppm/℃ 이하, 또는 70 내지 110 ppm/℃, 또는 75 ppm/℃ 이하의 z-방향에서의 CTE를 가질 수 있다.
폴리이미드 조성물은 10 GHz의 주파수에서 3 이하의 유전율(종종 유전 상수라고 함)을 가질 수 있다.
폴리이미드 조성물은 10 GHz의 주파수에서 0.006 이하의 유전 손실(종종 손실 계수 또는 손실 탄젠트(loss tangent)라고 함)을 가질 수 있다. 폴리이미드 조성물은 10 GHz의 주파수에서 0.001 내지 0.006, 또는 0.005 이하의 유전 손실을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유전율 및 유전 손실은 실온, 예를 들어 23 ℃에서 측정될 수 있다.
폴리이미드 조성물은 층의 형태일 수 있다. 층은 10 밀리미터(mm), 또는 0.1 내지 5 mm, 또는 1 내지 3 mm의 z-방향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층은 10 mm 이하, 또는 0.05 내지 5 mm, 또는 0.05 내지 1 mm의 z-방향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물품은 폴리이미드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물품은 히트 싱크(heat sink), 본드 플라이(bond ply), 구리 클래드 라미네이트(copper clad laminate), 회로, 또는 회로 어셈블리(circuit assembly)일 수 있다. 물품은 특히 전자 장치에 유용하다.
하기 실시예는 단순히 설명을 위한 것이고, 본 개시 내용에 따라 제조된 물품 또는 장치를 여기에 제시되는 재료, 조건, 공정 파라미터로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다.
실시예
1 밀(mil)(0.0254 밀리미터) 두께의 샘플을 사용하여 -125 내지 20 ℃ 범위의 온도에서 ASTM D3386-00에 따라 CTE를 결정했다.
수분 흡수율은, 24시간 동안 실온의 물에 건조된 샘플을 침수시키고, 샘플을 제거하고, 페이퍼 타올로 샘플의 표면을 두드려 과량을 물을 제거함으로써 결정했다. 침수 후 질량의 차이를 보고했다.
실시예 1 및 2
미국 앨라배마 주의 헌츠빌 소재의 NeXolve의 제품인 NOVASTRAT 905, 평균 입자 크기가 6 ㎛인 TRITON X-100, 및 DMAC를 갖는 복수의 PTFE 입자에 대한 폴리(암산) 전구체를 포함하는 조합물을 형성함으로써 2개의 폴리이미드 조성물을 제조했다. 조합물은 폴리(암산) 전구체의 총 부피를 기준으로 하여, TRITON X-100의 3 중량 퍼센트 및 조합물의 총 부피를 기준으로 하여, 60 내지 80 부피%의 DMAC를 포함했다. 폴리(암산) 전구체 대 PTFE 입자의 상대적인 양을 부피%(vol%)로 표 1에 나타냈다. 조합물을 필름으로 캐스팅하고, 용매를 증발시키고, 캐스팅 필름을 300 ℃로 가열하여 폴리이미드를 형성했다. 유전체 및 열 특성을 측정하고, 표 1에 나타냈다.
[표 1]
Figure pct00003
본 개시 내용의 비제한적인 측면이 하기에 제시된다.
측면 1: 1 밀(mil)(0.0254 밀리미터) 두께의 샘플을 사용하여 -125 내지 20 ℃에서 ASTM E831-06 또는 ASTM D3386-00에 따라 측정되는 1 ppm/℃ 이하, 또는 -0.5 내지 0.5 ppm/℃의 선형 열 팽창 계수(CTE)를 갖는 폴리이미드; 및
플루오로폴리머(fluoropolymer);를 포함하는 폴리이미드 조성물로서,
상기 폴리이미드 조성물은 10 기가 헤르츠의 주파수에서 5 이하, 또는 3.5 이하의 유전율(permittivity)을 갖는 것인, 폴리이미드 조성물.
측면 2: 측면 1에 있어서, 상기 폴리이미드는 p-페닐렌 디아민(p-phenylene diamine) 또는 2,2'-디메틸벤지딘(2,2'-dimethylbenzidin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디아민으로부터 유도되는 것인, 폴리이미드 조성물.
측면 3: 측면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폴리이미드는 3,3',4,4'-비페닐테트라카르복실산 2무수물(3,3',4,4'-biphenyltetracarboxylic dianhydride) 또는 피로멜리트산 2무수물(pyromellitic dianhydrid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2무수물로부터 유도되는 것인, 폴리이미드 조성물.
측면 4: 측면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실세스퀴옥산(silsesquioxane)을 더 포함하는 것인, 폴리이미드 조성물.
측면 5: 측면 4에 있어서, 상기 실세스퀴옥산은 폴리이미드에 테더링되는 것인, 폴리이미드 조성물.
측면 6: 측면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플루오로폴리머는 동적 광 산란법에 의해 측정되는 평균 입자 크기가 10 ㎛ 이하, 또는 3 내지 8 ㎛인 복수의 입자의 형태인 것인, 폴리이미드 조성물.
측면 7: 측면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플루오로폴리머는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poly(chlorotrifluoroethylene)),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프로필렌)(poly(chlorotrifluoroethylene-propylene)), 폴리(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ethylene-tetrafluoroethylene)), 폴리(에틸렌-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poly(ethylene-chlorotrifluoroethylene)), 폴리(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poly(hexafluoropropylene)),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에틸렌-프로필렌)(poly(tetrafluoroethylene-ethylene-propylene)),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poly(tetrafluoroethylene-hexafluoropropylene)),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프로필렌)(poly(tetrafluoroethylene-propylene)),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퍼플루오로프로필렌 비닐 에테르)(poly(tetrafluoroethylene-perfluoropropylene vinyl ether));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백본(tetrafluoroethylene backbone)과 완전히 플루오르화된 알콕시 측쇄(fully fluorinated alkoxy side chain)와의 공중합체; 폴리비닐플루오라이드(polyvinylfluoride),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polyvinylidene fluoride),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poly(vinylidene fluoride-chlorotrifluoroethylene)),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perfluoropolyether), 퍼플루오로설폰산(perfluorosulfonic acid), 또는 퍼플루오로폴리옥세탄(perfluoropolyoxetan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폴리이미드 조성물.
측면 8: 측면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플루오로폴리머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을 포함하는 것인, 폴리이미드 조성물.
측면 9: 측면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폴리이미드 조성물은 폴리이미드와 플루오로폴리머의 총 부피를 기준으로 하여, 또는 폴리이미드 조성물의 총 부피를 기준으로 하여, 40 내지 80 부피%, 또는 40 내지 70 부피%의 폴리이미드를 포함하는 것인, 폴리이미드 조성물.
측면 10: 측면 1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폴리이미드 조성물은 폴리이미드와 플루오로폴리머의 총 부피를 기준으로 하여, 또는 폴리이미드 조성물의 총 부피를 기준으로 하여, 20 내지 60 부피 퍼센트, 또는 30 내지 60 부피 퍼센트의 플루오로폴리머를 포함하는 것인, 폴리이미드 조성물.
측면 11: 측면 1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복수의 중공 마이크로스피어(hollow microsphere) 또는 세라믹 충전제(ceramic filler)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인, 폴리이미드 조성물.
측면 12: 측면 1 내지 1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폴리이미드 조성물은 0 중량 퍼센트의 유리 직물(glass fabric)을 포함하는 것인, 폴리이미드 조성물.
측면 13: 측면 1 내지 1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폴리이미드 조성물은, ASTM D3386-00에 따라 측정된 50 ppm/℃ 이하, 또는 45 ppm/℃ 이하, 또는 25 ppm/℃ 이하, 또는 20 내지 42 ppm/℃의 x-방향 및 y-방향에서의 열팽창 계수;
ASTM D3386-00에 따라 측정된 150 ppm/℃ 이하, 또는 70 내지 110 ppm/℃ 이하, 또는 75 ppm/℃ 이하의 z-방향에서의 열팽창 계수; 및
10 기가 헤르츠의 주파수에서 0.006 이하, 또는 0.001 내지 0.006, 또는 0.005 이하의 유전 손실;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 것인, 폴리이미드 조성물.
측면 14: 측면 1 내지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폴리이미드 조성물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폴리(암산)(poly(amic acid)), 플루오로폴리머, 용매, 및 임의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nonionic surfactant)를 포함하는 조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조합물을 캐스팅(casting)하는 단계; 및
캐스팅한 조합물을 가열하여, 용매를 증발시키고, 폴리(암산)으로부터 폴리이미드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폴리이미드 조성물의 제조방법.
측면 15: 측면 14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아세트아미드, 아세톤, 아세토니트릴, 디클로로메탄, 디메틸아세트아미드,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설폭사이드, 에틸 아세테이트, 포름아미드, N-메틸포름아미드, N-메틸피롤리돈, 또는 테트라하이드로푸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폴리이미드 조성물의 제조방법.
측면 16: 측면 14 또는 15에 있어서, 상기 조합물은 조합물의 총 부피를 기준으로 하여, 50 내지 90 부피 퍼센트, 또는 60 내지 80 부피 퍼센트의 용매를 포함하는 것인, 폴리이미드 조성물의 제조방법.
측면 17: 측면 14 내지 1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조합물은 조합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 내지 5 중량 퍼센트, 또는 1 내지 4 중량 퍼센트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것인, 폴리이미드 조성물의 제조방법.
측면 18: 측면 1 내지 1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폴리이미드 조성물을 포함하는 물품(article).
측면 19: 측면 18에 있어서, 상기 폴리이미드 조성물은 층의 형태인 것인, 물품.
측면 20: 측면 19에 있어서, 상기 층은 10 mm 이하, 또는 0.1 내지 5 mm, 또는 1 내지 3 mm의 두께를 갖는 것인, 물품.
측면 21: 측면 19에 있어서, 상기 층은 10 mm 이하, 또는 0.05 내지 5 mm, 또는 0.05 내지 1 mm의 두께를 갖는 것인, 물품.
측면 22: 측면 18 내지 21 중 어느 하나의 물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조성물, 방법, 및 물품은 본 명세서에 기재되는 임의의 적절한 물질, 단계, 또는 성분을 대안적으로 포함하고, 이들로 이루어지거나 이들로 필수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조성물, 방법, 및 물품은 조성물, 방법, 및 물품의 기능 또는 목적의 달성에 필수적이지 않은 임의의 물질(또는 종들), 단계, 또는 요소가 존재하지 않거나 사실상 존재하지 않도록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제형될 수 있다.
용어 "a" 및 "an"은 양의 제한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참조 항목 중 적어도 하나의 존재를 나타낸다. 용어 "또는(or)"은 문맥에서 달리 명백하게 언급하지 않으면 "및/또는(and/or)"을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측면(an aspect)", "다른 측면(another aspect)", "일부 측면(some aspect)" 등은 측면과 관련하여 기재된 특정 요소(예를 들어, 특징, 구조, 단계, 또는 특성)가 본 명세서에 기재되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포함되고, 다른 측면에 존재하거나 존재하지 않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기재된 요소들은 다양한 측면들에서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조합"은 혼합물, 용액, 합금 등이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서 반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모든 시험 표준은 본 출원의 출원일 또는 효력이 주장되는 경우 시험 표준이 나타나는 최우선일의 출원일로부터 가장 최근의 표준이다.
동일한 성분 또는 특성을 가리키는 전체 범위의 종말점은 종말점을 포함하며, 독립적으로 결합할 수 있으며 모든 중간점과 범위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25 부피 퍼센트 이하 또는 5 내지 20 중량%(up to 25 wt%, or 5 to 20 wt%)"의 범위는 10 내지 23 중량% 등과 같은 "5 내지 25 중량%"의 범위의 모든 중간값 및 종말점을 포함한다.
화합물은 표준 명명법을 사용하여 기재된다. 예를 들어, 임의의 지시된 기로 치환되지 않은 임의의 위치는 지시된 결합 또는 수소원자로 원자가가 채워진 것으로 이해된다. 두 글자 또는 기호 사이에 있지 않은 대시("-")는 치환기의 부착 지점을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CHO는 카르보닐기의 탄소를 통해 부착된다.
달리 정의되지 않으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는 본 개시 내용이 속하는 기술의 당업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전체 인용 특허, 특허 출원 및 다른 참조 문헌은 전체가 참조로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그러나, 본 출원의 용어가 포함되는 참고 문헌의 용어와 모순되거나 상충되는 경우, 본 출원의 용어는 포함되는 참고 문헌의 상반되는 용어보다 우선한다.
특정 측면이 설명되지만, 현재 예상하지 못하거나 예상할 수 없는 대안, 수정, 변형, 개선 및 실질적인 균등물이 출원인 또는 당업자에게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출원되고 보정될 수 있는 첨부의 청구 범위는 이러한 모든 대안, 수정, 변형, 개선 및 실질적 균등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Claims (20)

1 밀(mil)(0.0254 밀리미터) 두께의 샘플을 사용하여 -125 내지 20 ℃에서 ASTM E831-06에 따라 측정되는 1 ppm(parts per million)/℃ 이하, 또는 -0.5 내지 0.5 ppm/℃의 선형 열 팽창 계수를 갖는 폴리이미드; 및
플루오로폴리머(fluoropolymer);를 포함하는 폴리이미드 조성물로서,
상기 폴리이미드 조성물은 10 기가 헤르츠의 주파수에서 5 이하, 또는 3.5 이하의 유전율(permittivity)을 갖는 것인, 폴리이미드 조성물.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이미드는 p-페닐렌 디아민(p-phenylene diamine) 또는 2,2'-디메틸벤지딘(2,2'-dimethylbenzidin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디아민으로부터 유도되는 것인, 폴리이미드 조성물.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이미드는 3,3',4,4'-비페닐테트라카르복실산 2무수물(3,3',4,4'-biphenyltetracarboxylic dianhydride) 또는 피로멜리트산 2무수물(pyromellitic dianhydrid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2무수물로부터 유도되는 것인, 폴리이미드 조성물.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실세스퀴옥산(silsesquioxane)을 더 포함하는 것인, 폴리이미드 조성물.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실세스퀴옥산은 폴리이미드에 테더링되는(tethered) 것인, 폴리이미드 조성물.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루오로폴리머는 동적 광 산란법에 의해 측정되는 평균 입자 크기가 10 마이크로미터 이하, 또는 3 내지 8 마이크로미터인 복수의 입자의 형태인 것인, 폴리이미드 조성물.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루오로폴리머는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poly(chlorotrifluoroethylene)),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프로필렌)(poly(chlorotrifluoroethylene-propylene)), 폴리(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ethylene-tetrafluoroethylene)), 폴리(에틸렌-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poly(ethylene-chlorotrifluoroethylene)), 폴리(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poly(hexafluoropropylene)),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에틸렌-프로필렌)(poly(tetrafluoroethylene-ethylene-propylene)),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poly(tetrafluoroethylene-hexafluoropropylene)),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프로필렌)(poly(tetrafluoroethylene-propylene)),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퍼플루오로프로필렌 비닐 에테르)(poly(tetrafluoroethylene-perfluoropropylene vinyl ether));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백본(tetrafluoroethylene backbone)과 완전히 플루오르화된 알콕시 측쇄(fully fluorinated alkoxy side chain)와의 공중합체; 폴리비닐플루오라이드(polyvinylfluoride),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polyvinylidene fluoride),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poly(vinylidene fluoride-chlorotrifluoroethylene)),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perfluoropolyether), 퍼플루오로설폰산(perfluorosulfonic acid), 또는 퍼플루오로폴리옥세탄(perfluoropolyoxetan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폴리이미드 조성물.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루오로폴리머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을 포함하는 것인, 폴리이미드 조성물.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이미드 조성물은 폴리이미드와 플루오로폴리머의 총 부피를 기준으로 하여, 40 내지 80 부피 퍼센트, 또는 40 내지 70 부피 퍼센트의 폴리이미드를 포함하는 것인, 폴리이미드 조성물.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이미드 조성물은 폴리이미드와 플루오로폴리머의 총 부피를 기준으로 하여, 20 내지 60 부피 퍼센트, 또는 30 내지 60 부피 퍼센트의 플루오로폴리머를 포함하는 것인, 폴리이미드 조성물.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복수의 중공 마이크로스피어(hollow microsphere) 또는 세라믹 충전제(ceramic filler)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인, 폴리이미드 조성물.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이미드 조성물은 0 중량 퍼센트의 유리 직물(glass fabric)을 포함하는 것인, 폴리이미드 조성물.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이미드 조성물은,
ASTM D3386-00에 따라 측정된 50 ppm/℃ 이하, 또는 45 ppm/℃ 이하, 또는 25 ppm/℃ 이하, 또는 20 내지 42 ppm/℃의 x-방향 및 y-방향에서의 열팽창 계수;
ASTM D3386-00에 따라 측정된 150 ppm/℃ 이하, 또는 70 내지 110 ppm/℃ 이하, 또는 75 ppm/℃ 이하의 z-방향에서의 열팽창 계수; 및
10 기가 헤르츠의 주파수에서 0.006 이하의 유전 손실;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 것인, 폴리이미드 조성물.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폴리이미드 조성물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폴리(암산)(poly(amic acid)), 플루오로폴리머, 용매, 및 임의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nonionic surfactant)를 포함하는 조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조합물을 캐스팅(casting)하는 단계; 및
캐스팅한 조합물을 가열하여, 용매를 증발시키고, 폴리(암산)으로부터 폴리이미드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폴리이미드 조성물의 제조방법.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아세트아미드, 아세톤, 아세토니트릴, 디클로로메탄, 디메틸아세트아미드,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설폭사이드, 에틸 아세테이트, 포름아미드, N-메틸포름아미드, N-메틸피롤리돈, 또는 테트라하이드로푸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폴리이미드 조성물의 제조방법.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조합물은 조합물의 총 부피를 기준으로 하여, 50 내지 90 부피 퍼센트, 또는 60 내지 80 부피 퍼센트의 용매를 포함하는 것인, 폴리이미드 조성물의 제조방법.
제14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합물은 조합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 내지 5 중량 퍼센트, 또는 1 내지 4 중량 퍼센트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것인, 폴리이미드 조성물의 제조방법.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폴리이미드 조성물을 포함하는 물품(article).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이미드 조성물은 층의 형태인 것인, 물품.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층은 10 밀리미터 이하, 또는 0.1 내지 5 밀리미터, 또는 1 내지 3 밀리미터, 또는 0.05 내지 5 밀리미터, 또는 0.05 내지 1 밀리미터의 두께를 갖는 것인, 물품.
KR1020207010625A 2017-11-17 2018-11-12 저 열팽창 계수를 갖는 폴리이미드 조성물 KR2020007924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762587605P 2017-11-17 2017-11-17
US62/587,605 2017-11-17
US201762609660P 2017-12-22 2017-12-22
US62/609,660 2017-12-22
PCT/US2018/060292 WO2019099329A1 (en) 2017-11-17 2018-11-12 Polyimide composition having a low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9240A true KR20200079240A (ko) 2020-07-02

Family

ID=64572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0625A KR20200079240A (ko) 2017-11-17 2018-11-12 저 열팽창 계수를 갖는 폴리이미드 조성물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90153225A1 (ko)
JP (1) JP2021503514A (ko)
KR (1) KR20200079240A (ko)
CN (1) CN111316382A (ko)
DE (1) DE112018005882T5 (ko)
GB (1) GB2579984A (ko)
TW (1) TW201922929A (ko)
WO (1) WO201909932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93034A (zh) * 2019-05-27 2019-08-06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改性的聚酰胺酸及其制备方法、复合膜层的制备方法
CN111499901B (zh) * 2020-04-29 2022-07-08 东莞东阳光科研发有限公司 一种含氟聚合物/聚酰亚胺复合薄膜的制备方法
KR20220031281A (ko) 2020-09-04 2022-03-11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폴리이미드 전구체, 폴리이미드 전구체 조성물, 폴리이미드 필름,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KR20220031272A (ko) 2020-09-04 2022-03-11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신규한 디아민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CN114479458B (zh) * 2022-01-24 2023-03-10 北京科技大学 一种全有机低介电聚酰亚胺复合薄膜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2023114867A (ja) * 2022-02-07 2023-08-18 株式会社有沢製作所 フッ素樹脂組成物、フッ素樹脂フィルム、積層フィルム、及び金属積層板
CN114479324A (zh) * 2022-03-08 2022-05-13 山东森荣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高频覆铜板用ptfe保护膜及其制备工艺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26032B2 (en) * 2003-11-05 2006-04-11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olyimide based compositions useful as electronic substrates, derived in part from (micro-powder) fluoropolymer, and methods and compositions relating thereto
US20120190802A1 (en) * 2011-01-26 2012-07-26 Nexolve Corporation Polyimide polymer from non-stoichiometric compon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316382A (zh) 2020-06-19
TW201922929A (zh) 2019-06-16
GB2579984A (en) 2020-07-08
US20190153225A1 (en) 2019-05-23
JP2021503514A (ja) 2021-02-12
GB202003822D0 (en) 2020-04-29
WO2019099329A1 (en) 2019-05-23
DE112018005882T5 (de) 2020-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79240A (ko) 저 열팽창 계수를 갖는 폴리이미드 조성물
US5108201A (en) Polyimide optical waveguide
US20110091732A1 (en) Polyamic acid resin composition and polyimide film prepared therefrom
JP5347306B2 (ja) シームレスベルト
KR102171061B1 (ko) 표면 품질이 개선된 폴리이미드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EP0610425B1 (en) Process for preparing a polyimide film with a preselected value for cte
TWI772946B (zh) 聚醯亞胺薄膜之製造方法、由該方法製得的聚醯亞胺薄膜、及包含其的多層薄膜、可撓性金屬箔層壓板和電子部件
KR102317327B1 (ko) 폴리이미드 필름 및 그 제조방법
WO2015093749A1 (ko) 폴리이미드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TW202039678A (zh) 液狀組合物、粉末、及粉末之製造方法
KR102362385B1 (ko) 고탄성 및 고내열 폴리이미드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2334124B1 (ko) 저유전 폴리이미드 복합 분말 및 그 제조방법
JP2023525572A (ja) エアロゲル層を含む高温断熱積層体
KR102347589B1 (ko) 저유전 폴리이미드 필름 및 그 제조방법
JP7446814B2 (ja) 樹脂組成物、樹脂フィルム及び金属張積層板
KR102162628B1 (ko) 연성금속박적층판
TW202124555A (zh) 樹脂組成物、樹脂膜及覆金屬層疊板
JP2987820B2 (ja) ポリイミド多層膜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6269558A (ja) フレキシブル積層基板の製造方法
CN114072451A (zh) 聚酰胺酸组合物、制备聚酰胺酸组合物的方法、包含该组合物的聚酰亚胺
JP7476721B2 (ja) 積層板の製造方法及び積層板
WO2021039735A1 (ja) フィルム、フィルムの製造方法、金属張積層体、及び被覆金属導体
TW202309152A (zh) 聚醯亞胺膜及電子裝置
JP2007106836A (ja) シラン変性ポリアミド酸樹脂組成物
KR102260038B1 (ko) 폴리아믹산 조성물, 폴리아믹산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폴리이미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