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6388A - 이층 강판 표면처리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표면처리된 강판 - Google Patents

이층 강판 표면처리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표면처리된 강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6388A
KR20200076388A KR1020180165449A KR20180165449A KR20200076388A KR 20200076388 A KR20200076388 A KR 20200076388A KR 1020180165449 A KR1020180165449 A KR 1020180165449A KR 20180165449 A KR20180165449 A KR 20180165449A KR 20200076388 A KR20200076388 A KR 202000763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steel sheet
composition
coating composition
corrosion res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54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8725B1 (ko
Inventor
최창훈
손원호
은희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801654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8725B1/ko
Priority to PCT/KR2019/012020 priority patent/WO2020130295A1/ko
Priority to JP2021534695A priority patent/JP7210742B2/ja
Priority to CN201980084594.XA priority patent/CN113227278B/zh
Priority to US17/416,210 priority patent/US20220055067A1/en
Publication of KR202000763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63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87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87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8Anti-corrosive paints
    • C09D5/082Anti-corrosive paints characterised by the anti-corrosive pigment
    • C09D5/084Inorganic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7/00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7/14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metal, e.g. car bo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7/00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7/50Multilayers
    • B05D7/52Two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7/00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7/50Multilayers
    • B05D7/52Two layers
    • B05D7/54No clear coat specified
    • B05D7/544No clear coat specified the first layer is let to dry at least partially before applying the second lay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D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D1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1/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eth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4/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onomer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f groups C09D183/00 - C09D183/16
    • C09D4/06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in combination with a macromolecular compound other than an unsaturated polymer of groups C09D159/00 - C09D187/00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8Anti-corrosive paints
    • C09D5/082Anti-corrosive paints characterised by the anti-corrosive pigment
    • C09D5/086Organic or non-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3Additives non-macromolecular organ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1/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1/28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performed by transfer from the surfaces of elements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brushes, pads,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2202/00Metallic substrate
    • B05D2202/10Metallic substrate based on F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2202/00Metallic substrate
    • B05D2202/10Metallic substrate based on Fe
    • B05D2202/15Stainless st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2420/00Indexing scheme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each layer within a multilayer coating relative to the substrate
    • B05D2420/01Indexing scheme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each layer within a multilayer coating relative to the substrate first layer from the substrate s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2420/00Indexing scheme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each layer within a multilayer coating relative to the substrate
    • B05D2420/02Indexing scheme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each layer within a multilayer coating relative to the substrate second layer from the substrate s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3/00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3/02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baking
    • B05D3/0254After-treatment
    • B05D3/0272After-treatment with ove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650/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2650/28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characterised by the polymer type
    • C08G2650/56Polyhydroxyethers, e.g. phenoxy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4Stabilisers against oxidation, heat, light or o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4Acids; 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6Silica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5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5/541Silicon-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08K5/5415Silicon-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oxygen containing at least one Si—O bond
    • C08K5/5419Silicon-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oxygen containing at least one Si—O bond containing at least one Si—C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5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5/541Silicon-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08K5/5425Silicon-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oxygen containing at least one C=C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5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5/541Silicon-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08K5/5435Silicon-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oxygen containing oxygen in a r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Other Surface Treatments For Metallic Materials (AREA)
  • Chemical Treatment Of Met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층 강판 표면처리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표면처리된 강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도용 코팅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페녹시 수지 1~12 중량%, 콜로이드 실리카 0.001~1.0 중량%, 실란커플링제0.001~1.0 중량%, 부식억제제 0.1~1.0 중량%, 장기내식성 개선제로 인산 화합물 0.001~1.0 중량% 및 잔부의 물을 포함하는 하도용 코팅 조성물; 및 상도용 코팅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아크릴산 수지 0.1~5.0 중량%, 콜로이드 실리카 30~50 중량%, 알콕시 실란 40~60 중량%,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5~15 중량%, 산도조절제 0.01~1.00 중량%및 잔부의 유기용매를 포함하는 상도용 코팅 조성물로 이루어진, 이층 강판 표면처리용 조성물, 이를 사용한 내식성 향상을 위한 강판의 표면처리 방법, 및 표면처리된 강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층 강판 표면처리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표면처리된 강판{TWO LAYEER COMPOSITION FOR SURFACE TREATING OF STEEL SHEET AND STEEL SHEET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이층 강판 표면처리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표면처리된 강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산에 대한 내식성이 우수한 이층 강판 표면처리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표면처리된 강판에 관한 것이다.
황산화물이나 질소산화물 등이 수분을 만나게 되면 황산이나 질산 등의 강산이 되는데, 화력발전소의 열 교환기, 덕트(Duct) 등의 설비들은 이러한 강산에 의한 부식 환경에 노출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노점부식을 저하시키기 위해 고가의 스테인리스스틸이나 법랑강판 등을 사용하거나, 상대적으로 저가이면서도 노점부식에 대한 저항성이 큰 내황산강 등을 적용하고 있다. 즉, 이와 같은 황산 또는 황산-염산 복합 내식강이 석탄 또는 석유 등 화석 연료를 연소하면서 생성되는 아황산가스 및 염소가스가 함유된 배기가스가 수분과 반응을 하여 황산 및 염산을 생성하여 황산 또는 황산-염산 복합 부식이 심각한 화력발전소 탈황 및 탈질설비 또는 복합 발전소의 배관 및 GGH(Gas Gas Heater)의 비교적 두꺼운 두께의 강판을 사용해야 하는 열소자(heat element) 소재 등으로 이용된다.
일반적으로, 황산-염산 복합 내식강은 황산 및 염산 복합 분위기에서 일반강 보다 부식속도를 지연시키기 위하여 강 중에 구리(Cu)를 다량 첨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구리(Cu)는 다른 첨가 원소에 비해 황산 부식속도를 크게 지연시키는 효과가 월등하지만 많이 첨가할 경우 열간압연 시 강판의 크랙발생을 유발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또한, 이와 같이, 황산-염산 복합 내식강에서 구리(Cu)의 함량이 높을수록 내식성의 향상이 가능한 반면, 구리(Cu)는 고가의 원소로서 함량이 증가할수록 제조원가가 높아질 뿐만 아니라 융점이 낮은 구리(Cu)가 편석되거나 농도가 높은 부위에서는 약간의 변형에 의해서도 크랙이 발생하기 쉬워, 연속 주조 과정에서 가공을 많이 받는 슬라브의 코너 등에 크랙이 발생하고 열간압연 후에는 표면결함으로 잔존하여 다른 부위보다 먼저 부식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560902호에서는 강판의 일 조성으로 Sb를 첨가함과 동시에, 열간압연 후 냉각조건을 적절히 제어하여 복합 내식성을 향상시키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으나, 이는 강판 자체의 성분 조정 등을 통해 내식성을 향상시키고자 한 것으로, 특정 강판 이외에 적용은 어려운 문제가 있다.
한편, 부식 반응은 구조체의 표면에서 진행되게 되는데 법랑강판을 제외한 대부분의 소재들은 표면에 별도의 코팅층 없이 사용되고 있는 현실이다. 따라서, 강판 자체의 성분조정이 아닌 강판의 표면에 코팅을 통해 상기 기술된 노점부식을 포함한 강산에 대한 내식성을 향상시키고 제품의 수명을 늘릴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되는 경우 관련 분야에서 널리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은, 강산에 대한 내식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층 강판 표면처리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기 본 발명의 이층 강판 표면처리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표면처리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상기 본 발명의 이층 강판 표면처리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표면처리된 강산에 대한 내식성이 향상된 강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견지에 의하면, 하도용 코팅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페녹시 수지 1~12 중량%, 콜로이드 실리카 0.001~1.0 중량%, 실란커플링제 0.001~1.0 중량%, 부식억제제 0.1~1.0 중량%, 장기내식성 개선제로 인산 화합물 0.001~1.0 중량% 및 잔부의 물을 포함하는 하도용 코팅 조성물; 및 상도용 코팅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아크릴산 수지 0.1~5.0 중량%, 콜로이드 실리카 30~50 중량%, 알콕시 실란 40~60 중량%,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5~15 중량%, 산도조절제 0.01~1.00 중량% 및 잔부의 유기용매를 포함하는 상도용 코팅 조성물로 이루어진, 이층 강판 표면처리용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견지에 의하면, 상기 본 발명의 이층 강판 표면처리용 조성물을 사용하여, 하도용 코팅 조성물을 강판에 도포하여 하도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하도층을 40 내지 80℃의 온도에서 건조하는 단계; 상도용 코팅 조성물을 강판에 도포하여 상도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상도층을 200 내지 300℃의 온도에서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내식성 향상을 위한 강판의 표면처리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견지에 의하면, 상기 본 발명의 이층 강판 표면처리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상기 하도용 코팅 조성물로 형성된 하도층; 및 상기 하도층 상에 상기 상도용 코팅 조성물로 형성된 상도층이 적층된 표면처리층을 적어도 일면에 포함하는, 표면처리된 강판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표면처리용 용액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된 코팅은 장시간 동안 산 부식에 대한 우수한 내식성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 의하면 황산과 염산 등과 같은 강산에 대한 내식성이 강한 내화학 코팅강판을 제작할 수 있다.
도 1은 장기 내식성 평가에서 국부 부식으로 인해 모서리가 떨어진 비교실험예 11의 시편(좌)과 양호한 실험예 1의 시편(우)의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강판의 표면에 강산에 대한 저항이 강한 코팅을 적용하여 내식성을 향상시키고 제품의 수명을 늘릴 수 있는 이층 강판 표면처리용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이층 강판 표면처리용 조성물은 하도용 코팅 조성물; 및 상도용 코팅 조성물로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의 이층 강판 표면처리용 조성물은, 하도용 코팅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페녹시 수지 1~12 중량%, 콜로이드 실리카 0.001~1.0 중량%, 실란커플링제0.001~1.0 중량%, 부식억제제 0.1~1.0 중량%, 장기내식성 개선제로 인산 화합물 0.001~1.0 중량% 및 잔부의 물을 포함하는 하도용 코팅 조성물; 및 상도용 코팅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아크릴산 수지 0.1~5.0 중량%, 콜로이드 실리카 30~50 중량%, 알콕시 실란 40~60 중량%,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5~15 중량%, 산도조절제 0.01~1.00 중량% 및 잔부의 유기용매를 포함하는 상도용 코팅 조성물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하도용 조성물에서 상기 페녹시 수지는 코팅 후 하도를 형성하는 피막을 형성하는 것으로, 하도용 코팅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12 중량%, 바람직하게는 2 내지 8 중량% 포함되며, 상기 페녹시 수지가 1 중량% 미만이면 충분한 피막 형성을 하지 못해 내식성을 확보하지 못할 수 있으며, 12 중량%를 초과하면 과다한 수지 성분으로 인해 경화도를 충분히 확보하지 못해 피막 박리가 발생하여 이로 인해 내식성을 확보하지 못할 수 있다.
상기 하도용 조성물에서 상기 페녹시 수지는 예를 들어 비스페놀 A형 페녹시 수지, 비스페놀 F 형 페녹시 수지, 비스페놀 AF 형 페녹시 수지, 비스페놀 S 형 페녹시 수지, 브롬화비스페놀 A 형 페녹시 수지, 브롬화비스페놀 F 형 페녹시 수지 및 인 함유 페녹시 수지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지일 수 있다.
상기 하도용 코팅 조성물의 실란커플링제는 밀착성 개선제로 사용되어 하도와 강판의 밀착성을 향상시켜 표면처리 강판의 내수성 및 내식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하도용 코팅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01 중량%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0.5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실란커플링제가 0.001 중량% 미만이면 강판과의 밀착성 열위로 인해 내식성을 확보하지 못할 수 있으며, 1.0 0.001 중량%를 초과하면 잔류 밀착성 개선제의 영향으로 내식성이 열위해질 수 있다.
상기 실란커플링제는 예를 들어 비닐클로로실란, 비닐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에톡시실란, 2-(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트리메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디에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p-스티릴트리메톡시실란, 3-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메타크릴옥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3-메타크릴옥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3-아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메틸트리에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트리에톡시실릴-N-(1,3-디메틸부틸리덴)프로필아민, N-페닐-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클로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머캅토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3-머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비스(트리에톡시실릴프로필)테트라설파이드 및 3-이소시아네이토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하도용 코팅 조성물의 부식억제제는 내식성을 향상시키고 피막 강도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하도용 코팅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부식억제제는 0.1~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0.8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부식억제제가 0.1 중량% 미만이면 내식성을 확보하지 못할 수 있으며, 1.0 중량%를 초과하면 지나친 강도로 인해 가공성이 열위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금속 표면처리용 하도 용액 조성물에서 상기 부식억제제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헥사플루오르지르코닉산, 헥사플루오르타이타닉산, 암모늄헥사플루오르지르코네이트 및 암모늄헥사플루오르타이타네이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하도용 코팅 조성물의 장기내식성 개선제는 산 환경에서 장기 내식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인산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으며, 하도용 코팅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인산 화합물 0.001~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0.5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장기내식성 개선제가 0.001 중량% 미만이면 장기내식성을 확보하지 못할 수 있으며, 1.0 중량%를 초과하면 잔류 장기내식성 개선제의 영향으로 대기 내식성이 열위해질 수 있다.
상기 인산 화합물은 폴리인산, 인산, 인산 아연, 인산 망간, 인산 유도체 및 아인산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인산과 인산망간을 1:2 내지 2:1의 중량비로 혼합한 인산 혼합물인 것이다. 이와 같은 인산 혼합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특히 높은 도막 밀착성과 같은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하도용 코팅 조성물의 상기 콜로이드 실리카는 내식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고형분이 20 내지 30 중량%인 수성 콜로이드 실리카일 수 있으며, 하도용 코팅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콜로이드 실리카는 0.001~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0.5 중량% 포함되며, 콜로이드 실리카가 0.001 중량% 미만이면 내식성을 확보하지 못할 수 있으며, 1.0 중량%를 초과하면 상도와의 밀착성이 열위해져 내식성을 확보하지 못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콜로이드 실리카는 입자 크기가 바람직하게는 5 nm 내지 50 nm인 것을 포함할 수 있으며, 고형분이 20 내지 30 중량%인 수성 콜로이드 실리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도용 코팅 조성물은 용매로써 물이 사용되며, 이에 따라 잔부의 물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이층 강판 표면처리용 조성물의 상도용 코팅 조성물은 솔젤법을 통한 무기 바인더를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는 저온 반응이 가능하도록 우수한 반응성을 갖는 금속 알콕사이드 전구체를 이용하여 콜로이드 상태의 졸에서 겔로 진행되는 건조 및 경화 과정을 통해 얻어질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의 상도용 코팅 조성물에 있어서 나노입자의 콜로이드 실리카와 3가 알콕시 실란의 솔젤 반응으로 중간체를 형성하고, 이에 유기 모노머인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를 추가 반응시켜 주수지를 합성한 후, 아크릴산 수지를 후첨할 수 있다.
상기 상도용 코팅 조성물은 상도용 코팅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아크릴산 수지 0.1~5.0 중량%, 콜로이드 실리카 30~50 중량%, 알콕시 실란 40~60 중량%,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5~15 중량%, 산도조절제 0.01~1.00 중량%및 잔부의 유기용매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도용 코팅 조성물에서 상기 아크릴산 수지는 코팅하고자 하는 소재와의 부착성을 증진시키고 건조성을 향상시켜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도용 코팅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1~5.0 중량%,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 중량% 포함되며, 상기 아크릴산 수지의 함량이 0.1 중량% 미만이면 코팅 시에 소재와의 부착성이 열위하거나 쉽게 건조되지 않아 내식성이 확보되지 않을 수 있으며, 5.0 중량%를 초과하면 내수성이 저하되어 도막 박리 현상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층 강판 표면처리용 조성물에서 상기 아크릴산 수지의 구체적인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폴리(메타)아크릴산, 아크릴산과 메타크릴산의 공중합체 및 에틸렌과 아크릴계 단량체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며, 나아가 폴리비닐알코올, 에틸렌과 초산비닐의 공중합체, 폴리우레탄, 아미노 변성 페놀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에폭시 수지 또는 이들의 조합과의 하이브리드(Hybrid) 수지, 또는 혼합물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하도용 코팅 조성물의 상기 콜로이드 실리카는, 예를 들어 고형분이 20 내지 30 중량%인 수성 콜로이드 실리카일 수 있으며, 상도용 코팅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콜로이드 실리카는 30~50 중량%,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45 중량% 포함되며, 콜로이드 실리카가 30중량% 미만이면 알콕시 실란과 충분한 결합하지 못하여 경도를 감소시키고 내식성을 확보하지 못할 수 있으며, 50중량%를 초과하면 실란과 미결합된 실리카가 잔존하여 도막형성을 저하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내식성을 확보하지 못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콜로이드 실리카는 입자 크기가 바람직하게는 5 nm 내지 50 nm인 것을 포함할 수 있으며, 고형분이 20 내지 30 중량%인 수성 콜로이드 실리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도용 코팅 조성물의 알콕시 실란은 금속 표면처리용 수지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40~60 중량%,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55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알콕시 실란이 40 중량% 미만이면 콜로이드 실리카와 충분한 결합을 하지 못해 도막형성이 되지 못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내식성을 확보하지 못할 수 있으며, 60 중량%를 초과하면 열분해로 인한 유기가스가 배출될 수 있으며 다량의 실란올이 잔존하여 도막 밀착성이 저해되고 이로 인해 내식성을 확보하지 못할 수 있다.
상기 상도용 코팅 조성물의 알콕시 실란은 바람직하게는 알콕시 그룹이 3개 이상이고 가수분해 후 안정화될 수 있는 실란으로, 예를 들어 비닐비닐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에톡시실란, 비닐트리이소프로폭시실란, 3-메타크릴옥시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 2-글리시딜옥시 프로필 트리메톡시 실란, 2-글리시딜옥시 프로필 트리에톡시 실란, 2-아미노프로필 트리에톡시 실란, 2-우레이도알킬 트리에톡시실란, 테트라에톡시실란, 트리에톡시페닐실란 및 트리메톡시페닐실란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상도용 코팅 조성물의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는 코팅 시 도막형성 및 가교반응에 기여하는 것으로, 상도용 코팅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5~15 중량%, 바람직하게는 7 내지 13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가 5 중량% 미만이면 실리카 및 합성 실란 중합체와 충분한 결합이 형성되지 않아 도막 형성이 저하될 수 있고 이로 인해 내식성을 확보하지 못할 수 있으며, 15 중량%를 초과하면 반응하지 않은 잔존 모노머로 인해 내수성이 저하되거나 내식성이 감소될 수 있다.
상기 상도용 코팅 조성물의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는 아크릴산(Acrylic acid, glacial),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 아크릴레이트, tert- 부틸아크릴레이트, tert- 부틸메타크릴레이트, 부탄디올 모노아크릴레이트, 로릴아크릴레이트, 디메틸아미노에틸 아크릴레이트 및 디하이드로디시클로펜타디에닐 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상도용 코팅 조성물에서 산도조절제는 실란의 가수분해를 도와주면서 실란의 안정성을 향상시켜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도용 코팅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1~1.0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0.8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산도조절제의 함량이 0.01 중량% 미만이면 가수분해 시간이 증가하여 전체 수지조성물의 용액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1.00 중량%를 초과하면 강판의 부식이 발생할 수 있으며 수지의 분자량 제어가 어려워질 수 있다.
상기 상도용 코팅 조성물의 산도 조절제는 유기산, 무기산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으며, 보다 상세하게는 아세트산, 포름산, 라틱산, 글리코닉산 등의 유기산; 황산, 질산, 염산, 불산 등의 유-무기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도용 코팅 조성물은 용매로써 유기용매가 사용되며, 상기 상도용 코팅 조성물의 유기용매는 알코올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용매는 실란의 물에 대한 상용성과 가수분해성, 수지조성물의 금속 표면 웨팅(Wetting)성, 건조속도 조절 등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잔부로 포함되나, 바람직하게는 상도용 코팅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15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유기용매의 함량이 1 중량% 미만이면 상용성이 저하되어 코팅액의 저장성이 떨어지고 코팅 후 내식성을 확보하지 못할 수 있으며, 15 중량%를 초과하면 점도가 지나치게 낮아져 용액의 안정성이 저하되고 코팅 후 내식성을 확보하지 못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금속 표면처리용 상도 용액 수지조성물에서 상기 유기용매의 구체적인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알코올, 바람직하게는 메탄올, 에탄올, 2-프로판올, 2-메톡시프로판올, 2-부톡시에탄올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본 발명의 상도용 코팅 조성물은 장기내식성 향상제 0.01~12.00 중량%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본 발명의 상도용 코팅 조성물에서 장기내식성 향상제는 코팅제의 장기내식성 평가에서 발생하는 국부부식을 개선하여 잔존 소재 두께의 균일성을 향상시켜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도용 코팅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1~12.00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8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장기내식성 향상제의 함량이 0.01 중량% 미만이면 장기내식성 향상 효과가 미미하며, 12.00 중량%를 초과하면 장기내식성 향상 효과는 미미한 반면 용액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다.
한편, 상도용 코팅 조성물에서 장기내식성 향상제는 세륨, 포타슘, 암모늄, 루비듐, 세슘, 탈륨 등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상기 상도용 코팅 조성물의 장기내식성 향상제는 세륨(III)나이트레이트, 하이드로늄 세륨나이트레이트 하이드레이트, 세륨나이트레이트 헥사하이드레이트, 세륨(IV)나이트레이트, 디포타슘디아쿠아펜타나이트라토세레이트, 디포타슘 헥사나이트라토세레이트, 트리포타슘 디세륨나이트레이트, 디암모늄 디아쿠아펜타나이트라토세레이트 디하이드레이트, 디루비듐 디아쿠아펜타나이트라토세레이트 디하이드레이트, 디세슘 디아쿠아펜타나이트라토세레이트 디하이드레이트, 디탈륨 디아쿠아펜타나이트라토세레이트 디하이드레이트, 비스4-(4H-1,2,4-트리아졸4일)이미노메틸 피리디니움 디아쿠아펜타나이트라토세레이트, 1,10-페난쓰롤린-H-디아쿠아펜타나이트라토세레이트, 하이드로늄 세륨나이트레이트 하이드레이트, 세릭마그네슘나이트레이트, 세릭 징크 나이트레이트, 세릭 니켈 나이트레이트, 세릭 코발트 나이트레이트 및 세릭 망가니즈 나이트레이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견지에 의하면, 상기 본 발명의 이층 강판 표면처리용 조성물을 사용하여 내식성 향상을 위한 강판의 표면처리 방법이 제공된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의 내식성 향상을 위한 강판의 표면처리 방법은 상기 본 발명의 이층 강판 표면처리용 조성물을 사용하여, 하도용 코팅 조성물을 강판에 도포하여 하도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하도층을 40 내지 80℃의 온도에서 건조하는 단계; 상도용 코팅 조성물을 강판에 도포하여 상도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상도층을 200 내지 300℃의 온도에서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하도용 코팅 조성물의 부착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1 mg/m2 내지 1000 mg/m2의 부착량으로 코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도와 같이 주로 무기계 성분으로 이루어진 코팅의 경우, 실리콘과 같은 특정 성분이 XRF와 같은 분석 장비를 이용하여 전체 면적에서 얼마나 코팅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부착량 (mg/m2)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도용 코팅 조성물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0.001 내지 10㎛ 일 수 있다.
상기 하도층은 40 내지 80℃의 온도에서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70℃의 온도에서 건조하는 것이다. 상기 건조 온도가 40℃ 미만인 경우에는 강판 코일이 빠르게 흐르는 연속 생산의 조건에서 미건조 혹은 느린 건조로 인한 코팅층 박리 등의 문제가 있으며, 80℃ 초과의 경우에는 강판 코일이 빠르게 흐르는 연속 생산의 조건에서 코일을 권취할 경우 잠열로 인한 내식성 저하, 도막 박리 등의 문제가 있다.
한편, 상도용 코팅 조성물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0 ㎛일 수 있다.
상기 상도층은 200 내지 300℃의 온도에서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30 내지 280℃의 온도에서 건조하는 것이다. 상기 건조 온도가 200℃ 미만인 경우에는 강판 코일이 빠르게 흐르는 연속 생산의 조건에서 미건조 혹은 느린 건조로 인한 코팅층 박리, 내식성 저하 등의 문제가 있으며, 300℃ 초과의 경우에는 과한 가열로 인한 도막층 열화, 도막 박리, 내식성 저하 등의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해 상기 본 발명의 이층 강판 표면처리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상기 하도용 코팅 조성물로 형성된 하도층; 및 상기 하도층 상에 상기 상도용 코팅 조성물로 형성된 상도층이 적층된 표면처리층을 적어도 일면에 포함하는, 표면처리된 강판이 획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층 강판 표면처리용 조성물을 적용할 수 있는 강판은 특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스테인리스 강판, 탄소강, 알코르(ANCOR)강 등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표면처리용 용액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된 코팅은 장시간 동안 산 부식에 대한 우수한 내식성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 의하면 황산과 염산 등과 같은 강산에 대한 내식성이 강한 내화학 코팅강판을 획득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이층 강판 표면처리용 용액 조성물의 제조
(1) 하도 용액 수지조성물
증류수에 장기내식성 개선제인 인산과 인산망간을 1:1 중량 비율로 넣어 pH를 4.0±1.5 범위로 조절 후 콜로이드 실리카 (Ludox HAS, 고형분30%, 입자크기 12nm, W.R. Grace & Co. Conn.), 밀착성 개선제로 실란 커플링제인 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부식억제제로 헥사플루오르지르코닉산을 각각 첨가 후 상온에서 약 1시간 동안 교반시킨다.
(2) 상도 용액 수지조성물
콜로이드 실리카 Ludox HSA(고형분30%, 입자크기 12nm, W.R. Grace & Co. - Conn.)에 실란으로 테트라에톡시실란(Tetraethoxysilane)과 용제로 에탄올 및 산도조절제인 아세트산을 각각 첨가 후 온도가 약 50℃를 초과하지 않도록 냉각시키며 약 5시간 동안 교반시킨다. 이 때 콜로이드 실리카는 실란에 의해 표면개질이 일어나고 실란은 가수분해된다. 충분히 반응을 시킨 후 모노머로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rylate)와 유기 수지로써 폴리(메타)아크릴산, 장기내식성 향상제로써 세륨나이트레이트를 각각 후첨하여 추가로 약 24시간 동안 반응시킨다.
하기 표 1과 같은 조성으로 제조된 하도용 조성물을 1.2mm 두께의 강판 표면에 바코팅한 후 약 60℃의 오븐에 넣어 건조한 후, 하기 표 2와 같은 조성으로 제조된 상도용 조성물을 상기 하도층이 코팅된 강판 표면에 바코팅한 후 약 250℃의 오븐에 넣어 건조 및 경화시켜 표면처리 강판을 제조하였다.
이 때, 하기 표 1와 같이 하도용 코팅 조성물의 조성을 변화시킬 때에 상도용 코팅 조성물의 조성은 실시예 9의 조성을 이용하였으며, 표 2의 상도용 코팅 조성물의 조성을 변화시킬 때의 하도용 코팅 조성물의 조성은 실시예 1의 조성을 이용하였다.
이와 같이 제조된 표면처리 강판의 황산부식 조건에서의 부식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표면처리 강판 시편을 70℃로 유지되는 황산 50 vol% 수용액에 6시간 동안 침지시킨 후 시편의 부식감량을 측정하였다.
또한, 황산-염산 복합부식조건에서의 부식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표면처리 강판 시편을 60℃로 유지되는 황산 16.9vol% 및 염산 0.35 vol% 혼합 수용액에 6시간 동안 침지시킨 후 시편의 부식감량을 측정하였다.
하도용 코팅 조성물
구분 부착량
(mg/m2)
수지 콜로이드
실리카
밀착성
개선제
부식억제제 장기내식성
개선제
증류수
실시예 1 346 1.4% 0.95% 0.50% 0.83% 1.42% 94.85%
실시예 2 150 10.9% 0.06% 0.91% 0.09% 0.94% 87.05%
실시예 3 837 0.7% 0.76% 0.72% 0.58% 0.58% 96.67%
실시예 4 185 4.3% 0.67% 0.54% 0.41% 0.08% 94.00%
비교예 1 364 0.0% 0.29% 0.32% 0.08% 0.24% 99.06%
비교예 2 760 2.0% 2.10% 0.89% 0.59% 0.98% 93.43%
비교예 3 924 11.5% 0.31% 3.10% 0.30% 1.74% 83.05%
비교예 4 766 3.9% 0.01% 0.20% 0.00% 1.35% 94.51%
비교예 5 115 8.7% 0.90% 0.27% 0.74% 0.00% 89.36%
비교예 6 148 6.9% 0.67% 0.00% 0.87% 1.73% 89.87%
비교예 7 184 11.4% 0.83% 0.05% 2.50% 0.10% 85.07%
비교예 8 471 6.2% 0.60% 0.23% 0.99% 3.70% 88.24%
비교예 9 294 1.3% 0.00% 0.64% 0.25% 0.25% 97.60%
비교예 10 1500 3.4% 0.80% 0.94% 0.40% 1.41% 93.00%
비교예 11 0 2.8% 0.55% 0.80% 0.60% 1.80% 93.45%
상도용 코팅 조성물
구분 코팅층
두께(㎛)
콜로이달
실리카
실란 용제 산도
조절제
모노머 유기수지 장기내식성
향상제
실시예 5 36 36% 44% 10.00% 0.50% 8.00% 0.50% 1.00%
실시예 6 19 37% 42% 3.40% 0.60% 6.00% 0.40% 10.60%
실시예 7 21 32% 42% 8.00% 0.60% 11.00% 0.40% 6.00%
실시예 8 4 35% 49% 4.00% 0.50% 6.00% 2.50% 3.00%
비교예 12 35 53% 40% 1.00% 0.20% 5.00% 0.20% 0.60%
비교예 13 32 50% 22% 14.00% 0.80% 6.50% 2.40% 4.30%
비교예 14 32 38% 40% 3.00% 2.50% 10.00% 0.50% 6.00%
비교예 15 43 39% 48% 0.00% 0.50% 5.50% 0.50% 6.50%
비교예 16 33 33% 41% 5.00% 0.60% 18.00% 0.40% 2.00%
비교예 17 6 36% 42% 3.60% 0.20% 5.70% 10.00% 2.50%
비교예 18 1 30% 62% 1.00% 0.70% 5.10% 0.20% 1.00%
비교예 19 0.03 38% 44% 3.40% 0.60% 10.00% 0.00% 4.00%
실시예 9 26 32% 45% 10.00% 0.60% 12.00% 0.40% 0.00%
비교예 20 65 32% 51% 9.50% 0.10% 5.00% 0.90% 1.50%
상기 각각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코팅 조성물을 이용한 표면처리 강판에 대하여 하기 제시된 방법으로 그 물성을 측정하였다.
2. 표면처리 강판의 물성 측정
(1) 황산 내식성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각각 제조된 표면처리 강판을 지름 38mm의 크기로 재단하여 시편을 제조한 후 70℃로 유지되는 황산 50 vol% 수용액에 6시간 동안 침지시킨 후 시편의 부식감량을 측정하였다. 황산내식성 평가 기준은 하기에 기초하였다.
<황산내식성 평가 기준>
○: 15 mg/cm2/hr 미만
△: 15 이상 65 mg/cm2/hr 미만
×: 65 mg/cm2/hr 이상
(2) 복합 내식성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각각 제조된 표면처리 강판을 지름 38mm의 크기로 재단하여 시편을 제조한 후 60℃로 유지되는 황산 16.9vol% 및 염산 0.35 vol% 혼합 수용액에 6시간 동안 침지시킨 후 시편의 부식감량을 측정하였다. 복합내식성 평가 기준은 하기에 기초하였다.
<복합내식성 평가 기준>
○: 3 mg/cm2/hr 미만
△: 3 이상 6 mg/cm2/hr 미만
×: 6 mg/cm2/hr 이상
(3) 도막밀착성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각각 제조된 표면처리 강판을 150cm×75cm(가로×세로)의 크기로 재단하여 시편을 제조하고, 상기 시편의 표면을 크로스 컷 가이드(cross cut guide)를 이용하여 1 mm의 간격으로 가로 및 세로 각각 100 개의 칸을 형성하도록 줄을 긋고, 상기 100 개의 칸이 형성된 부분을 에릭슨(Erichsen) 시험기를 이용하여 6 mm의 높이로 밀어 올리며, 밀어 올린 부위에 박리 테이프(NB-1, Ichiban사(제))를 부착한 후 떼어내면서 에릭슨 부분이 박리되는지 여부를 관찰하였다. 도막밀착성의 평가 기준은 하기에 기초하였다.
<도막밀착성의 평가 기준>
○: 표면의 박리가 없는 경우
△: 표면의 박리가 100 개 중 1개 내지 3개인 경우
×: 표면의 박리가 100 개 중 3개를 초과한 경우
(4) 가공 후 황산내식성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각각 제조된 표면처리 강판을 지름 38mm의 크기로 재단하여 시편을 제조하고, 상기 시편을 에릭슨(Erichsen) 시험기를 이용하여 6mm의 높이로 가공한 후 70℃로 유지되는 황산 50 vol% 수용액에 6시간 동안 침지시킨 후 시편의 부식감량을 측정하였다. 가공 후 황산내식성 평가 기준은 하기에 기초하였다.
<가공 후 황산내식성 평가 기준>
○: 15 mg/cm2/hr 미만
△: 15 이상 65 mg/cm2/hr 미만
× : 65 mg/cm2/hr 이상
(5) 장기내식성 부식감량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각각 제조된 표면처리 강판을 지름 38mm의 크기로 재단하여 시편을 제조한 후 70℃로 유지되는 황산 50 vol% 수용액에 96시간 동안 침지시킨 후 시편의 부식감량을 측정하여 초기 무게 대비 부식 후 시편의 무게를 측정하여 %로 표시하였다. 황산내식성 평가 기준은 하기에 기초하였다.
<황산내식성 평가 기준>
○: 초기 두께 대비 35% 이상
△: 초기 두께 대비 12% 이상 35% 미만
×: 초기 두께 대비 12% 미만
(6) 장기내식성 최소 두께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각각 제조된 표면처리 강판을 지름 38mm의 크기로 재단하여 시편을 제조한 후 70℃로 유지되는 황산 50 vol% 수용액에 96시간 동안 침지시킨 후 시편의 초기 두께 대비 부식 후 시편의 가장 얇은 부위 두께를 측정하여 %로 표시하였다. 황산내식성 평가 기준은 하기에 기초하였다.
<황산내식성 평가 기준>
○: 초기 두께 대비 25% 이상
△ : 초기 두께 대비 10% 이상 25% 미만
×: 초기 두께 대비 10% 미만
하도용 코팅 조성물로 상기 표 1의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10의 조성을 각각 사용하고, 상도용 코팅 조성물로 상기 표 2의 실시예 9의 조성을 사용하여 제조된 표면처리 강판에 대한 물성 측정 결과를 하기의 표 3에 기재하였다.
구분 하도 상도 황산 내식성 복합 내식성 도막밀착성 가공 후
황산내식성
장기내식성
부식감량
장기내식성
최소두께
실험예 1 실시예 1 실시예 9 O O O O O O
실험예 2 실시예 2 실시예 9 O O O O O O
실험예 3 실시예 3 실시예 9 O O O O O O
실험예 4 실시예 4 실시예 9 O O O O O O
비교실험예1 비교예 1 실시예 9 X X X X X X
비교실험예2 비교예 2 실시예 9 Δ X X X Δ Δ
비교실험예3 비교예 3 실시예 9 X X O X Δ X
비교실험예4 비교예 4 실시예 9 X X O Δ X Δ
비교실험예5 비교예 5 실시예 9 O O X X X X
비교실험예6 비교예 6 실시예 9 X X X X X O
비교실험예7 비교예 7 실시예 9 O O X X Δ O
비교실험예8 비교예 8 실시예 9 X X X X X Δ
비교실험예9 비교예 9 실시예 9 X X O X X X
비교실험예10 비교예 10 실시예 9 O O X O X X
비교실험예11 - 실시예 9 O O Δ X Δ X
상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하도용 코팅 조성물로 본 발명에 따른 실험예 1 내지 4를 이용한 경우 황산내식성, 복합내식성 및 도막밀착성이 매우 우수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비교실험예 1의 경우, 하도 용액 조성물에 수지가 포함되어 있지 않아 적절한 피막을 형성하지 못해 내식성과 가공성 등이 열위함을 알 수 있다. 비교실험예 2의 경우, 하도 용액 조성물에 콜로이드 실리카의 함량이 과량 첨가되어 상도와의 밀착성을 저하시켜 복합내식성 및 도막밀착성, 가공 후 황산내식성 등이 열위함을 알 수 있다. 비교실험예 3의 경우, 밀착성 개선제인 실란커플링제가 과량 첨가되어 코팅층 내 잔존 실량의 영향으로 황산내식성과 복합내식성 등이 열위함을 알 수 있다. 비교실험예 4의 경우, 부식억제제가 포함되지 않아 황산내식성과 복합내식성, 장기내식성 부식감량 등이 열위함을 알 수 있다. 비교실험예 5의 경우, 장기내식성 개선제가 포함되어 있지 않아 장기내식성 부식감량과 장기내식성 최소 두께가 열위함을 알 수 있다. 비교실험예 6의 경우, 밀착성 개선제가 포함되어 있지 않아 상도층과 하도층의 밀착성이 저하되어 내식성 및 도막밀착성 등이 열위함을 알 수 있다. 비교실험예 7의 경우, 부식억제제가 과량 첨가되어 가공성이 저하되며 도막밀착성이 열위함을 알 수 있다. 비교실험예 8의 경우, 장기내식성 개선제인 인산과 인산망간이 과량 포함되어 초과된 산의 영향으로 내식성과 도막밀착성 등이 열위함을 알 수 있다. 비교실험예 9의 경우, 콜로이드 실리카가 포함되어 있지 않아 황산내식성 및 복합내식성 등이 열위함을 알 수 있다. 비교실험예 10의 경우, 하도층의 부착량이 지나치게 높아 도막밀착성이 열위함을 알 수 있다. 비교실험예 11의 경우, 하도층이 코팅되어 있지 않아 가공 후 황산내식성과 장기내식성 최소두께 등이 열위함을 알 수 있다.
한편, 상도용 코팅 조성물로 상기 표 2의 실시예 5 내지 8 및 비교예 12 내지 21의 조성을 각각 사용하고, 하도용 코팅 조성물로 상기 표 1의 실시예 1의 조성을 사용하여 제조된 표면처리 강판에 대한 물성 측정 결과를 하기의 표 4에 기재하였다.
구분 하도 상도 황산내식성 복합내식성 도막밀착성 가공후 황산내식성 장기내식성
부식감량
장기내식성 최소두께
실험예 5 실시예1 실시예 5 O O O O O O
실험예 6 실시예1 실시예 6 O O O O O O
실험예 7 실시예1 실시예 7 O O O O O O
실험예 8 실시예1 실시예 8 O O O O O O
비교실험예 12 실시예1 비교예 12 X X X O O O
비교실험예13 실시예1 비교예 13 X X X O O O
비교실험예14 실시예1 비교예 14 X O O O O
비교실험예15 실시예1 비교예 15 X X X O O O
비교실험예16 실시예1 비교예 16 X X O O O O
비교실험예17 실시예1 비교예 17 X X O O O O
비교실험예18 실시예1 비교예 18 X X O O O
비교실험예19 실시예1 비교예 19 X X O X X O
실험예 9 실시예1 실시예 9 O O O O X X
비교실험예 20 실시예1 비교예 21 O O X X O O
상기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도용 코팅 조성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5 내지 9의 조성을 이용한 경우 황산내식성, 복합내식성, 도막밀착성 및 가공 후 황산내식성이 매우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코팅 및 건조 과정에서 끓음 현상 등의 표면결함이 발생하지 않아 매우 양호한 표면품질을 확보하였다.
그러나 비교실험예 12의 경우, 콜로이드 실리카의 함량이 과량 첨가되어 실란과의 반응에서의 잔류 실리카가 다량 남아 코팅층 형성을 방해하고 이로 인해 황산내식성과 복합내식성이 현저히 저하되고 도막밀착성도 열위함을 알 수 있다. 비교실험예 13의 경우, 실란의 함량이 부족하여 비교예 1과 같이 콜로이드 실리카의 표면이 충분히 개질되지 않고 이로 인해 다량의 잔류 실리카가 코팅층 형성을 방해하고 황산내식성과 복합내식성을 저하시키고 도막밀착성도 열위함을 알 수 있다. 비교실험예 14의 경우에는 산도조절제가 과량 첨가되어 실란으로 개질된 실리카와 모노머 및 유기 수지의 유무기 혼합 수지의 분자량이 지나치게 증가되어 용액의 겔화(Gelation)가 일어나거나, 코팅을 하더라도 황산내식성이나 복합내식성이 저하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잔류 산도조절제로 인해 강판의 부식이 진행될 수도 있다. 비교실험예 15의 경우에는 용제가 포함되지 않아 용액 조성물의 제조과정에서 겔화(Gelation)가 쉽게 일어나고, 코팅을 하더라도 황산내식성과 복합내식성이 저하됨을 알 수 있다. 비교실험예 16과 비교실험예 17의 경우에는 각각 모노머와 유기수지가 과량 첨가되어 있는데, 이와 같이 무기성분 대비 유기성분의 함량이 과량일 경우 황산내식성 및 복합내식성이 저하됨을 알 수 있다. 비교실험예 18의 경우에는 실란의 함량이 과량 첨가되어 용액 조성물 제조 과정에서 열분해로 인한 유기가스가 배출될 수 있고 다량의 잔존 실란으로 인해 코팅 후 내황산성이 저하됨을 알 수 있다. 비교실험예 19의 경우에는 코팅층의 두께가 부족하여 황산내식성, 복합내식성, 가공후 황산내식성 및 장기내식성이 열위함을 알 수 있다. 비교예 20의 경우에는 코팅층의 두께가 적정 두께를 초과하여 도막밀착성과 가공 후 황산내식성이 저하됨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Claims (16)

  1. 하도용 코팅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페녹시 수지 1~12 중량%, 콜로이드 실리카 0.001~1.0 중량%, 실란커플링제0.001~1.0 중량%, 부식억제제 0.1~1.0 중량%, 장기내식성 개선제로 인산 화합물 0.001~1.0 중량% 및 잔부의 물을 포함하는 하도용 코팅 조성물; 및
    상도용 코팅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아크릴산 수지 0.1~5.0 중량%, 콜로이드 실리카 30~50 중량%, 알콕시 실란 40~60 중량%,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5~15 중량%, 산도조절제 0.01~1.00 중량%및 잔부의 유기용매를 포함하는 상도용 코팅 조성물
    로 이루어진, 이층 강판 표면처리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도용 코팅 조성물은 장기내식성 향상제 0.01~12.00 중량%를 추가로 포함하는, 이층 강판 표면처리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도용 코팅 조성물의 페녹시 수지는 비스페놀 A형 페녹시 수지, 비스페놀 F 형 페녹시 수지, 비스페놀 AF 형 페녹시 수지, 비스페놀 S 형 페녹시 수지, 브롬화비스페놀 A 형 페녹시 수지, 브롬화비스페놀 F 형 페녹시 수지 및 인 함유 페녹시 수지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지인, 이층 강판 표면처리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도용 코팅 조성물의 실란커플링제는 비닐클로로실란, 비닐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에톡시실란, 2-(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트리메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디에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p-스티릴트리메톡시실란, 3-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메타크릴옥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3-메타크릴옥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3-아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메틸트리에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트리에톡시실릴-N-(1,3-디메틸부틸리덴)프로필아민, N-페닐-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클로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머캅토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3-머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비스(트리에톡시실릴프로필)테트라설파이드 및 3-이소시아네이토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이층 강판 표면처리용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도용 코팅 조성물의 부식억제제는 헥사플루오르지르코닉산, 헥사플루오르타이타닉산, 암모늄헥사플루오르지르코네이트 및 암모늄헥사플루오르타이타네이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이층 강판 표면처리용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도용 코팅 조성물의 인산 화합물은 폴리인산, 인산, 인산 아연, 인산 망간, 인산 유도체 및 아인산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이층 강판 표면처리용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도용 코팅 조성물의 장기내식성 개선제는 인산과 인산망간을 1:2 내지 2:1의 중량비로 혼합한 인산 혼합물인, 이층 강판 표면처리용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콜로이드 실리카는 고형분이 20 내지 30 중량%인 수성 콜로이드 실리카인, 이층 강판 표면처리용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도용 코팅 조성물의 아크릴산 수지는 폴리(메타)아크릴산, 아크릴산과 메타크릴산의 공중합체 및 에틸렌과 아크릴계 단량체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이층 강판 표면처리용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도용 코팅 조성물의 알콕시 실란은 비닐비닐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에톡시실란, 비닐트리이소프로폭시실란, 3-메타크릴옥시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 2-글리시딜옥시 프로필 트리메톡시 실란, 2-글리시딜옥시 프로필 트리에톡시 실란, 2-아미노프로필 트리에톡시 실란, 2-우레이도알킬 트리에톡시실란, 테트라에톡시실란, 트리에톡시페닐실란 및 트리메톡시페닐실란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이층 강판 표면처리용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도용 코팅 조성물의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는 아크릴산(Acrylic acid, glacial),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 아크릴레이트, tert- 부틸아크릴레이트, tert- 부틸메타크릴레이트, 부탄디올 모노아크릴레이트, 로릴아크릴레이트, 디메틸아미노에틸 아크릴레이트 및 디하이드로디시클로펜타디에닐 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이층 강판 표면처리용 조성물.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도용 코팅 조성물의 산도 조절제는 유기산, 무기산 또는 이들의 조합인, 이층 강판 표면처리용 조성물.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도용 코팅 조성물의 장기내식성 향상제는 세륨(III)나이트레이트, 하이드로늄 세륨나이트레이트 하이드레이트, 세륨나이트레이트 헥사하이드레이트, 세륨(IV)나이트레이트, 디포타슘디아쿠아펜타나이트라토세레이트, 디포타슘 헥사나이트라토세레이트, 트리포타슘 디세륨나이트레이트, 디암모늄 디아쿠아펜타나이트라토세레이트 디하이드레이트, 디루비듐 디아쿠아펜타나이트라토세레이트 디하이드레이트, 디세슘 디아쿠아펜타나이트라토세레이트 디하이드레이트, 디탈륨 디아쿠아펜타나이트라토세레이트 디하이드레이트, 비스4-(4H-1,2,4-트리아졸4일)이미노메틸 피리디니움 디아쿠아펜타나이트라토세레이트, 1,10-페난쓰롤린-H-디아쿠아펜타나이트라토세레이트, 하이드로늄 세륨나이트레이트 하이드레이트, 세릭마그네슘나이트레이트, 세릭 징크 나이트레이트, 세릭 니켈 나이트레이트, 세릭 코발트 나이트레이트 및 세릭 망가니즈 나이트레이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이층 강판 표면처리용 조성물.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도용 코팅 조성물의 유기용매는 알코올인, 이층 강판 표면처리용 조성물.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의 이층 강판 표면처리용 조성물을 사용하여, 하도용 코팅 조성물을 강판에 도포하여 하도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하도층을 40 내지 80℃의 온도에서 건조하는 단계;
    상도용 코팅 조성물을 강판에 도포하여 상도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상도층을 200 내지 300℃의 온도에서 건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내식성 향상을 위한 강판의 표면처리 방법.
  16.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의 이층 강판 표면처리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상기 하도용 코팅 조성물로 형성된 하도층; 및 상기 하도층 상에 상기 상도용 코팅 조성물로 형성된 상도층이 적층된 표면처리층을 적어도 일면에 포함하는, 표면처리된 강판.
KR1020180165449A 2018-12-19 2018-12-19 이층 강판 표면처리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표면처리된 강판 KR1021787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5449A KR102178725B1 (ko) 2018-12-19 2018-12-19 이층 강판 표면처리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표면처리된 강판
PCT/KR2019/012020 WO2020130295A1 (ko) 2018-12-19 2019-09-18 강판 표면처리용 이층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표면처리된 강판
JP2021534695A JP7210742B2 (ja) 2018-12-19 2019-09-18 鋼板表面処理用二層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て表面処理された鋼板
CN201980084594.XA CN113227278B (zh) 2018-12-19 2019-09-18 钢板表面处理用双层组合物及利用该双层组合物进行表面处理的钢板
US17/416,210 US20220055067A1 (en) 2018-12-19 2019-09-18 Bilayer composition for surface treatment of steel plate and surface-treated steel plate u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5449A KR102178725B1 (ko) 2018-12-19 2018-12-19 이층 강판 표면처리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표면처리된 강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6388A true KR20200076388A (ko) 2020-06-29
KR102178725B1 KR102178725B1 (ko) 2020-11-13

Family

ID=71102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5449A KR102178725B1 (ko) 2018-12-19 2018-12-19 이층 강판 표면처리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표면처리된 강판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20055067A1 (ko)
JP (1) JP7210742B2 (ko)
KR (1) KR102178725B1 (ko)
CN (1) CN113227278B (ko)
WO (1) WO202013029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0647B1 (ko) * 2023-02-21 2023-08-28 주성이엔지 주식회사 내식성과 내구성이 향상된 에폭시 분체도료와 이로 도장된 수도용 코팅강관 및 강관말뚝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5558B1 (ko) * 2021-06-01 2022-10-21 연규승 열대차 열풍을 이용한 강제 경화형 친환경 나노 무기세라믹 도료 및 그 도장 방법
CN115820114B (zh) * 2022-12-26 2023-07-14 慧智科技湖北有限公司 一种耐高温和冷热冲击的涂层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9864A (ko) * 2008-12-31 2010-07-08 주식회사 포스코 금속표면처리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표면처리방법
KR20120109924A (ko) * 2011-03-28 2012-10-09 주식회사 포스코 강판의 흑변 방지용 피막 형성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에 의해 피막이 형성된 강판 및 피막 형성방법
KR20160083313A (ko) * 2014-12-30 2016-07-12 포스코강판 주식회사 단면 내식성이 우수한 도장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35283A (ko) * 2016-09-28 2018-04-06 주식회사 포스코 강판 표면처리용 용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표면처리된 강판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186B2 (ja) * 1980-12-24 1985-01-19 日本鋼管株式会社 塗装下地用表面処理鋼板
JP3418177B2 (ja) * 1998-12-01 2003-06-16 ポハン アイアン アンド スチール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燃料タンク用表面処理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3857866B2 (ja) * 2000-02-29 2006-12-13 日本ペイント株式会社 ノンクロメート金属表面処理剤、表面処理方法および処理された塗装鋼材
DE102005027633A1 (de) * 2005-06-14 2006-12-21 Basf Ag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lackierten, flächenförmigen, metallischen Formkörpern
US20090252952A1 (en) * 2005-12-27 2009-10-08 Posco Surface treated cr-free steel sheet for used in fuel tank, preparing method thereof and treatment composition therefor
DE102008059014A1 (de) * 2008-05-28 2009-12-03 Basf Coatings Ag Verfahren zur Beschichtung von Metallbändern
CN102741454B (zh) * 2010-01-29 2015-01-21 日本帕卡濑精株式会社 金属表面处理剂及金属表面处理方法
WO2013027837A1 (ja) * 2011-08-24 2013-02-28 新日鐵住金株式会社 塗装めっき鋼材
TWI493077B (zh) * 2012-04-27 2015-07-21 China Steel Corp A water-based metal surface treatment agent and a metal surface treatment method using the same
JP6315750B2 (ja) * 2013-06-10 2018-04-25 関西ペイント株式会社 水性金属表面処理剤
MX2018013785A (es) * 2016-05-10 2019-03-28 Hoden Seimitsu Kako Kenkyusyo Co Ltd Composicion acuosa antioxidante para el tratamiento de superficies y elemento metalico revestido sobre la superficie.
CN108300988A (zh) * 2018-01-18 2018-07-20 长沙艾森设备维护技术有限公司 一种快速成膜的复合无铬钝化剂及制备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9864A (ko) * 2008-12-31 2010-07-08 주식회사 포스코 금속표면처리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표면처리방법
KR20120109924A (ko) * 2011-03-28 2012-10-09 주식회사 포스코 강판의 흑변 방지용 피막 형성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에 의해 피막이 형성된 강판 및 피막 형성방법
KR20160083313A (ko) * 2014-12-30 2016-07-12 포스코강판 주식회사 단면 내식성이 우수한 도장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35283A (ko) * 2016-09-28 2018-04-06 주식회사 포스코 강판 표면처리용 용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표면처리된 강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0647B1 (ko) * 2023-02-21 2023-08-28 주성이엔지 주식회사 내식성과 내구성이 향상된 에폭시 분체도료와 이로 도장된 수도용 코팅강관 및 강관말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210742B2 (ja) 2023-01-23
JP2022513963A (ja) 2022-02-09
CN113227278A (zh) 2021-08-06
US20220055067A1 (en) 2022-02-24
WO2020130295A1 (ko) 2020-06-25
KR102178725B1 (ko) 2020-11-13
CN113227278B (zh) 2022-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06892B2 (ja) 3価クロム及び無機化合物を含有した表面処理溶液組成物、これを用いて表面処理された亜鉛系めっき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045881B1 (ko) 강판 표면처리용 용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표면처리된 강판
KR102178725B1 (ko) 이층 강판 표면처리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표면처리된 강판
EP3730675B1 (en) Solution composition for surface treatment of steel sheet and steel sheet surface-treated using same
KR101499352B1 (ko) 내흑변성이 우수한 유무기 복합 코팅액 및 이를 이용한 표면처리강판 제조 방법
KR101461755B1 (ko) 내식성 및 내흑변성이 우수한 유무기복합 코팅용액 조성물 및 유무기복합 코팅 강판
KR101449109B1 (ko) 유무기복합 코팅용액 조성물 및 유무기복합 코팅 강판
KR102329503B1 (ko) 강판 표면처리용 용액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표면처리된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JP2007321223A (ja) 耐食性に優れたクロメートフリー表面処理Al−Zn系合金めっき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310526B1 (ko) 강판 표면코팅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표면이 코팅된 강판
JP7167305B2 (ja) 鋼板表面コーティング用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て表面がコーティングされた鋼板
JP7395745B2 (ja) 鋼板表面処理用溶液組成物、これを用いて表面処理された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40072292A (ko) 지르코늄계 자외선 경화형 유무기 복합 코팅 용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