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1817A - 유리병 마무리 성형용 금형으로의 이형제 도포 장치, 유리병 마무리 성형용 금형으로의 이형제 도포 방법, 유리병 제조 장치, 및 유리병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유리병 마무리 성형용 금형으로의 이형제 도포 장치, 유리병 마무리 성형용 금형으로의 이형제 도포 방법, 유리병 제조 장치, 및 유리병 제조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51817A KR20200051817A KR1020207011583A KR20207011583A KR20200051817A KR 20200051817 A KR20200051817 A KR 20200051817A KR 1020207011583 A KR1020207011583 A KR 1020207011583A KR 20207011583 A KR20207011583 A KR 20207011583A KR 20200051817 A KR20200051817 A KR 2020005181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ld
- release agent
- finishing
- glass bottle
- forming surfa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9/00—Blowing glass; Production of hollow glass articles
- C03B9/30—Details of blowing glass; Use of materials for the moulds
- C03B9/34—Glass-blowing moul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3B9/342—Neck moulds
-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40/00—Preventing adhesion between glass and glass or between glass and the means used to shape it, hold it or support it
- C03B40/02—Preventing adhesion between glass and glass or between glass and the means used to shape it, hold it or support it by lubrication; Use of materials as releas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 C03B40/027—Apparatus for applying lubricants to glass shaping moulds or tools
-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9/00—Blowing glass; Production of hollow glass articles
- C03B9/13—Blowing glass; Production of hollow glass articles in gob feeder machines
- C03B9/14—Blowing glass; Production of hollow glass articles in gob feeder machines in "blow" machines or in "blow-and-blow" machines
- C03B9/16—Blowing glass; Production of hollow glass articles in gob feeder machines in "blow" machines or in "blow-and-blow" machines in machines with turn-over moulds
- C03B9/165—Details of such machines, e.g. guide funnels, turn-over mechanisms
-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9/00—Blowing glass; Production of hollow glass articles
- C03B9/30—Details of blowing glass; Use of materials for the moulds
- C03B9/32—Giving special shapes to parts of hollow glass articles
- C03B9/33—Making hollow glass articles with feet or projections; Moulds therefor
-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9/00—Blowing glass; Production of hollow glass articles
- C03B9/30—Details of blowing glass; Use of materials for the moulds
- C03B9/40—Gear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specially adapted for glass-blowing machines
- C03B9/41—Electric or electronic systems
-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9/00—Blowing glass; Production of hollow glass articles
- C03B9/30—Details of blowing glass; Use of materials for the moulds
- C03B9/44—Means for discharging combined with glass-blowing machines, e.g. take-outs
- C03B9/447—Means for the removal of glass articles from the blow-mould, e.g. take-ou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orming, After-Treatment, Cutting And 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 Surface Treatment Of Glas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한 마무리 금형으로의 이형제 도포작업을 불필요하게 하고, 이형제 도포작업에 따른 작업자의 부담을 저감함과 아울러 이형제 도포에 있어서의 작업자의 안전성을 보다 향상할 수 있고, 이형제 도포작업에 의한 유리병 성형의 정지시간을 짧게 할 수 있고, 마무리 성형에 있어서의 이형제의 도포위치의 변화나 도포량 등의 편차를 저감할 수 있고, 또한, 마무리 금형으로의 이형제 도포에 적합한 구성을 제공함으로써 유리병의 품질 안정화에 공헌한다. 이형제 도포 장치(40)는 마무리 금형(31)에 형성된 마무리 금형 성형면(31f)의 일부, 및 마무리 금형(31)의 하부에 배치되는 바닥 금형(32)에 형성된 바닥 금형 성형면(32f)의 전면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이형제를 도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유리병 마무리 성형용 금형(마무리 금형 및 바닥 금형)으로의 이형제 도포 장치, 유리병 마무리 성형용 금형으로의 이형제 도포 방법, 유리병 제조 장치, 및 유리병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리병의 제조 공정에서는, 통상 조(粗) 금형에서 곱(gob; 고온의 용융 상태의 유리 덩어리)이 패리슨(parison)으로 성형된다. 이어서, 패리슨이 마무리 금형에 이송되고, 하부에 바닥 금형이 배치된 마무리 금형에 있어서 패리슨이 압축공기에 의해 부풀려짐으로써 최종 성형된다. 이것에 의해, 유리병의 성형이 완료된다. 마무리 금형 및 바닥 금형에 있어서는, 이형성이 크게 요구되어 이형제를 도포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이형제는 이형성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서, 예를 들면 수십분마다 정기적으로 금형 내면에 도포될 필요가 있다. 이형제를 도포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구성을 예시할 수 있다.
마무리 금형 및 바닥 금형에 있어서, 이형제의 부족에 의해 이형성이 저하하면, 마무리 금형의 분할 금형이 열릴 때에 유리병에 큰 부하가 걸리고, 유리병에 크랙이 들어갈 우려가 있다. 이러한 크랙은 유리병의 균열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크랙 발생 전의 제품의 재검사 실시나 크랙이 들어간 제품의 파기 등, 큰 손실로 이어진다.
이러한 크랙 발생 방지를 위한 이형제의 도포 작업은, 고속으로 동작하는 제병기를 정지시키지 않고 병 성형의 사이에 행하여진다. 그 때문에, 이형제의 도포작업이 수작업으로 행하여질 경우, 도포작업의 교육이 어렵고, 작업자의 기량에 큰 차가 생긴다. 그리고, 이러한 기량차에 기인하여 유리병의 품질이 변화될 우려가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이형제 도포를 위해서 제병기를 정지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마무리 금형 및 바닥 금형으로의 이형제 도포작업은, 유리병의 구조 에 따라서는 이형제의 도포 개소가 많고, 또한, 통상 마무리 금형은 제품이 반송되는 컨베이어의 속에 있기 때문에 고온작업으로 되어, 수작업의 경우에는 작업자에 대한 부담이 큰 경향이 있다.
한편으로,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이형제 도포 장치도 존재한다. 이 이형제 도포 장치는 가동 분무관 등에 의해, 금형 캐비티의 전면에 균일한 오일 피막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마무리 금형 내면 중, 이형제가 필요한 개소는 일률적인 것이 아니라, 상기 이형제 도포 장치에서는 이러한 마무리 금형의 특성에 합치한 이형제 도포작업은 행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의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한 마무리 금형 및 바닥 금형으로의 이형제 도포작업을 불필요하게 하여, 이형제 도포작업에 걸리는 작업자의 부담을 저감함과 아울러 이형제 도포에 있어서의 작업자의 안전성을 보다 향상할 수 있고, 이형제 도포작업에 의한 유리병 성형의 정지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마무리 성형에 있어서의 이형제의 도포위치의 변화나 도포량 등의 편차를 저감할 수 있고, 또한, 마무리 금형으로의 이형제 도포에 적합한 구성을 제공함으로써, 유리병의 품질 안정화에 공헌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소정 국면에 관계되는 유리병 마무리 성형용 금형으로의 이형제 도포 장치는, 마무리 금형에 형성된 마무리 금형 성형면의 일부, 및 이 마무리 금형의 하부에 배치되는 바닥 금형에 형성된 바닥 금형 성형면의 전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이형제를 도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마무리 금형 및 바닥 금형으로의 이형제 도포는 도포 장치에 의해 행하여진다. 그 결과,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한 마무리 금형 및 바닥 금형으로의 이형제 도포작업이 불필요하게 되므로, 제병 작업에 관계되는 작업자의 부담을 저감할 수 있음과 아울러 이형제 도포에 있어서의 작업자의 안전성을 보다 향상할 수 있다. 또한, 기계동작에 의한 신속한 이형제 도포작업을 실현할 수 있기 때문에, 이형제 도포에 의한 유리병 성형의 정지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수작업에 의한 이형제의 도포작업과 비교하여, 도포 장치에 의한 이형제의 도포작업이면 마무리 금형 및 바닥 금형으로의 이형제의 도포위치의 변화나 도포량 등의 편차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마무리 금형에 형성된 마무리 금형 성형면의 일부, 및 이 마무리 금형의 하부에 배치되는 바닥 금형에 형성된 바닥 금형 성형면의 전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이형제가 도포된다. 이 구성이면, 마무리 금형 중 이형성이 특히 필요한 개소에 이형제를 충분하게 도포하면서, 특별히 필요로 되지 않는 개소로의 이형제 도포를 최소한으로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이형제의 과다에 의한 유리병에의 악영향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마무리 금형으로의 이형제 도포에 적합한 구성을 실현할 수 있고, 그 결과, 유리병의 품질 안정화에 공헌할 수 있다.
(2) 상기 도포 장치는 상기 이형제를 분무하는 노즐을 구비하고, 상기 마무리 금형 성형면은 유리병의 네크부를 성형하기 위한 네크부 성형면, 상기 네크부 성형면의 하방에 배치되어서 상기 유리병의 숄더부를 성형하기 위한 숄더부 성형면, 및 상기 숄더부 성형면의 하방에 배치되어서 상기 유리병의 바디부를 성형하기 위한 바디부 성형면의 일부에 형성되어서 상기 유리병의 상기 바디부에 대하여 요철형상을 갖는 조각(彫刻)부를 성형하기 위한 조각부 성형면을 포함하고, 상기 노즐이 상기 네크부 성형면, 상기 숄더부 성형면, 상기 조각부 성형면, 및 상기 마무리 금형 중 입구 금형과 대향함과 아울러 상기 네크부 성형면에 인접해서 형성된 대향면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와, 상기 바닥 금형 성형면의 전면에, 상기 이형제를 도포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노즐에 의해서 바닥 금형 성형면의 전면과 함께, 네크부 성형면, 숄더부 성형면, 조각부 성형면, 및 마무리 금형에 있어서의 입구 금형에의 대향면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하여 이형제가 도포된다. 이 때문에, 이 구성에 의하면 바닥 금형 성형면의 전면에 이형제를 도포할 수 있음과 아울러, 마무리 금형 중 이형성이 특히 필요로 되는 개소에 보다 확실하게 이형제를 도포할 수 있다.
(3) 상기 도포 장치는, 상기 노즐이 상기 마무리 금형 중 입구 금형과 대향함과 아울러 상기 네크부 성형면에 인접해서 형성된 대향면과, 상기 네크부 성형면에 대하여, 상기 이형제를 도포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입구 금형에의 대향면과 네크부 성형면에 이형제를 도포할 수 있기 때문에, 유리병에 있어서의 입구부와 네크부의 경계부에 큰 부하가 걸리는 것이 억제되어, 입구부와 네크부의 경계부의 크랙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구성에 의하면, 마무리 금형 중 이형성이 특히 필요로 되는 개소에 보다 확실하게 이형제를 도포할 수 있는 것에 추가해서, 입구부와 네크부의 경계부에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4) 상기 도포 장치는, 상기 노즐로서 복수의 다른 방향을 향해서 상기 이형제를 분무하는 다방향 노즐을 구비하고, 상기 다방향 노즐이 상기 네크부 성형면, 상기 숄더부 성형면, 상기 조각부 성형면, 및 상기 마무리 금형 중 상기 입구 금형과 대향함과 아울러 상기 네크부 성형면에 인접해서 형성된 대향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상기 바닥 금형 성형면의 전면의 양쪽에 대하여, 상기 이형제를 도포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이형제의 도포작업을 보다 신속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네크부 성형면, 숄더부 성형면, 조각부 성형면, 및 마무리 금형에 있어서의 입구 금형에 대한 대향면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와, 바닥 금형 성형면의 전면의 복수 개소에, 노즐에 있어서의 다른 위치에 배치된 분무구로부터 이형제가 도포된다. 이것에 의해, 단일 노즐에 의해서 네크부 성형면, 숄더부 성형면, 조각부 성형면, 및 마무리 금형에 있어서의 입구 금형에의 대향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바닥 금형 성형면의 전면의 각각에 대하여 이형제를 도포할 경우와 달리, 이형제 도포시에 노즐의 방향을 바꾸는 동작이 불필요하게 되고, 이형제의 도포위치의 변화나 도포량 등의 편차를 저감할 수 있어 유리병의 품질 안정화에 공헌할 수 있다.
(5) 상기 도포 장치는, 상기 마무리 금형의 한쌍의 분할 금형이 닫힌 상태일 때에 상기 이형제를 도포하도록 구성되어 있을 경우가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마무리 금형 내의 각 부 중 이형제가 도포되는 개소와, 노즐의 거리가 보다 균등한 상태에서 이형제를 도포할 수 있다. 또한, 마무리 금형의 외부에 이형제가 비산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6) 상기 도포 장치는, 패리슨이 상기 마무리 금형에 삽입되어 있지 않은 타이밍에서 상기 이형제를 도포하도록 구성되어 있을 경우가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도포 장치로부터 마무리 금형에 도포되는 이형제가 패리슨에 직접 부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7) 상기 도포 장치는, 상기 마무리 금형의 한쌍의 분할 금형이 열렸을 때에 상기 바닥 금형 중 상기 마무리 금형과 상기 바닥 금형의 슬라이딩면에 상기 이형제를 도포하도록 구성되어 있을 경우가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도포 장치는 마무리 금형과 바닥 금형의 슬라이딩면에 이형제를 도포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마무리 금형과 바닥 금형의 슬라이딩이 스무즈해지고, 그 결과, 마무리 금형으로 성형된 유리병에 과잉한 힘이 작용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8) 상기 도포 장치는, 입구 금형이 상기 마무리 금형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을 때에 상기 마무리 금형에 상기 이형제를 도포함으로써 상기 입구 금형 및 상기 마무리 금형에 동시에 상기 이형제를 도포하도록 구성되어 있을 경우가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도포 장치는 마무리 금형에 이형제를 도포할 때에 아울러 입구 금형에도 이형제를 도포할 수 있다. 또한, 이 구성이면 도포 장치로부터 입구 금형으로 도포되는 이형제가 조 금형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는 플런저 등, 이형제의 부착이 바람직하지 못한 개소에의 부착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패리슨의 내면 오염이나 내면 이물의 발생, 즉, 유리병의 내면 오염이나 내면 이물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그 결과, 유리병의 강도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프레스 블로우 성형(PB), 또는 내로우 네크 프레스 블로우 성형(NNPB)이 행하여질 경우, 플런저에 부착된 이형제에 의해 플런저와 패리슨의 밀착성이 악화하고, 유리가 충분하게 고화하지 않는 것에 의한 성형 불량을 억제할 수 있다.
(9) 상기 도포 장치는, 상기 마무리 금형과 상기 입구 금형 사이에 간극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이형제를 도포함으로써 상기 입구 금형과 상기 마무리 금형의 서로의 대향면에 동시에 상기 이형제를 도포하도록 구성되어 있을 경우가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입구 금형 중 조 금형과 슬라이딩하는 개소에 마무리 금형과 더불어 이형제를 도포할 수 있다. 또한, 입구 금형과 마무리 금형의 서로의 대향면에 이형제를 도포하는 구성이면, 입구 금형 및 마무리 금형 자체가 펜스의 역활을 하고, 도포 장치로부터 도포된 이형제가 불필요한 개소로 비산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10) 상기 도포 장치는, 상기 마무리 금형을 포함하는 유리병 제조 장치에 있어서 곱이 투입되지 않고, 통상의 제병 사이클(일정 주기로 곱 공급이 행하여지고, 유리병의 성형에 필요한 동작을 반복함)과는 다른 동작 사이클인 스왑 사이클(성형기의 각 동작의 ON/OFF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중, 입구 금형이 상기 마무리 금형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을 때에 상기 마무리 금형 및 상기 입구 금형에 상기 이형제를 도포하도록 구성되어 있을 경우가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도포 장치로부터 마무리 금형에 도포되는 이형제가 패리슨에 직접 부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포 장치는 마무리 금형에 이형제를 도포할 때에, 아울러 입구 금형에도 이형제를 도포할 수 있다. 이 구성이면, 도포 장치로부터 입구 금형에 도포되는 이형제가 조 금형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는 플런저 등, 이형제의 부착이 바람직하지 못한 개소에의 부착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패리슨의 내면 오염이나 내면 이물의 발생, 즉 유리병의 내면 오염이나 내면 이물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그 결과, 유리병의 강도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프레스 블로우 성형(PB), 또는 내로우 네크 프레스 블로우 성형(NNPB)이 행하여질 경우, 플런저에 부착된 이형제에 의해 플런저와 패리슨의 밀착성이 악화하고, 유리가 충분하게 고화하지 않는 것에 의한 성형 불량을 억제할 수 있다.
(11) 상기 도포 장치는 상기 이형제를 상기 마무리 금형에 도포하는 도포부와, 상기 도포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어 유닛은 도포부를 제어함으로써 실제의 이형제 도포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12) 상기 도포부는 상기 마무리 금형에 대하여 변위기구에 의해 변위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변위기구의 동작 및 상기 도포부로부터의 상기 이형제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어 유닛은 변위기구를 동작시킴으로써 도포부의 위치를 바꾸면서 도포부로부터 마무리 금형의 내면의 소망의 개소로 보다 정확하게 이형제를 도포시킬 수 있다.
(13)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소정 국면에 관계되는 유리병 마무리 성형용 금형으로의 이형제 도포 방법은, 마무리 금형에 형성된 마무리 금형 성형면의 일부, 및 이 마무리 금형의 하부에 배치되는 바닥 금형에 형성된 바닥 금형 성형면의 전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이형제를 도포한다.
(14)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소정 국면에 관계되는 유리병 제조 장치는 상기 이형제 도포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15)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소정 국면에 관계되는 유리병 제조 방법은, 마무리 금형에 형성된 마무리 금형 성형면의 일부, 및 이 마무리 금형의 하부에 배치되는 바닥 금형에 형성된 바닥 금형 성형면의 전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이형제를 도포하는 이형제 도포 스텝과, 상기 마무리 금형을 이용하여 유리병을 성형하는 성형 스텝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13)∼(15)의 구성에 의하면, 마무리 금형 및 바닥 금형으로의 이형제 도포가 도포 장치에 의해 행하여질 경우,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한 마무리 금형 및 바닥 금형으로의 이형제 도포작업이 불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제병 작업에 걸리는 작업자의 부담을 저감할 수 있음과 아울러 이형제 도포에 있어서의 작업자의 안전성을 보다 향상할 수 있다. 또한, 기계동작에 의한 신속한 이형제 도포작업을 실현할 수 있기 때문에, 이형제 도포에 의한 유리병 성형의 정지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수작업에 의한 이형제의 도포작업과 비교하여 도포 장치에 의한 이형제의 도포작업이면 마무리 금형 및 바닥 금형으로의 이형제의 도포위치의 변화나 도포량 등의 편차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마무리 금형에 형성된 마무리 금형 성형면의 일부, 및 이 마무리 금형의 하부에 배치되는 바닥 금형에 형성된 바닥 금형 성형면의 전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이형제가 도포된다. 이 구성이면, 마무리 금형 중 이형성이 특히 필요한 개소에 이형제를 충분하게 도포하면서, 특별히 필요로 되지 않는 개소에의 이형제 도포를 최소한으로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이형제의 과다에 의한 유리병에의 악영향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마무리 금형으로의 이형제 도포에 적합한 구성을 실현할 수 있고, 그 결과, 유리병의 품질 안정화에 공헌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한 이형제의 도포작업이 불필요하게 됨으로써 이형제의 도포에 관계되는 작업자의 부담을 저감할 수 있음과 아울러 이형제 도포에 있어서의 안전성을 보다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이형제 도포작업에 의한 유리병 성형의 정지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데다가, 마무리 성형에 있어서의 이형제의 도포위치의 변화나 도포량 등의 편차를 저감하고, 또한, 마무리 금형에의 이형제 도포에 적합한 구성을 실현할 수 있고, 그 결과, 유리병의 품질 안정화에 공헌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유리병 제조 장치의 모식적인 측면도이며, 일부를 단면으로 나타내고 있음과 아울러 일부를 생략해서 나타내고 있다.
도 2는 유리병 제조 장치의 모식적인 평면도이며, 일부를 생략해서 나타내고 있다.
도 3은 도포 장치, 입구 금형 및 마무리 금형 등을 나타내는 모식적인 측면도이다.
도 4의 (A) 및 (B)는 유리병 성형의 흐름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의 (A) 및 (B)는 유리병 성형의 흐름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포 장치에 의한 이형제의 도포동작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7은 스왑 사이클 준비동작(스텝 S2)의 흐름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8은 이형제 도포동작(스텝 S3)의 흐름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9의 (A)∼(C)는 도포 장치에 의한 이형제의 도포동작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의 (A) 및 (B)는 도포 장치에 의한 이형제의 도포동작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변형예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의 (A)는 본 발명의 제2변형예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 측면도이고, (B)는 본 발명의 제3변형예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 측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변형예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5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해서 주요부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2는 유리병 제조 장치의 모식적인 평면도이며, 일부를 생략해서 나타내고 있다.
도 3은 도포 장치, 입구 금형 및 마무리 금형 등을 나타내는 모식적인 측면도이다.
도 4의 (A) 및 (B)는 유리병 성형의 흐름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의 (A) 및 (B)는 유리병 성형의 흐름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포 장치에 의한 이형제의 도포동작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7은 스왑 사이클 준비동작(스텝 S2)의 흐름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8은 이형제 도포동작(스텝 S3)의 흐름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9의 (A)∼(C)는 도포 장치에 의한 이형제의 도포동작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의 (A) 및 (B)는 도포 장치에 의한 이형제의 도포동작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변형예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의 (A)는 본 발명의 제2변형예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 측면도이고, (B)는 본 발명의 제3변형예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 측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변형예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5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해서 주요부의 일부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유리병 제조 장치(1)의 모식적인 측면도이며, 일부를 단면으로 나타내고 있음과 아울러 일부를 생략해서 나타내고 있다. 도 2는 유리병 제조 장치(1)의 모식적인 평면도이며, 일부를 생략해서 나타내고 있다. 도 3은 도포 장치(40), 입구 금형(21) 및 마무리 금형(31) 등을 나타내는 모식적인 측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유리병 성형의 흐름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유리병 성형의 흐름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도 5(B)를 참조하여, 유리병 제조 장치(1)(이하, 단지 제조 장치(1)라고도 한다.)는, 블로우 앤드 블로우법에 의해서 곱(101)(용융한 유리 덩어리)을 패리슨(102)으로 성형하고, 또한, 패리슨(102)을 유리병(103)으로 성형한다. 제조 장치(1)에는, 도시하지 않은 곱 공급기구로부터 곱(101)을 공급받는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조 장치(1)는 2개의 곱(101)을 동시에 유리병(103)으로 성형할 수 있다. 또, 제조 장치(1)에는, 그 외에 1개, 3개, 4개로, 곱(101)을 동시에 유리병(103)으로 성형할 수 있는 것도 있고, 동시에 성형할 수 있는 수는 2개에 한정하지 않는다.
제조 장치(1)는 조 금형부(10)와, 입구 금형부(20)와, 마무리 금형부(30)와, 이형제의 도포 장치(40)를 갖고 있다.
조 금형부(10)는 입구 금형부(20)과 협동해서 곱(101)을 패리슨(102)으로 성형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조 금형부(10)는 상술의 곱 공급기구로부터 곱(101)을 공급(충전)받는다.
조 금형부(10)는 조 금형(11)과, 퍼넬(13)과, 배플(14)과, 심블(15)과, 플런저(16)와, 도시하지 않은 조 금형 개폐기구를 갖고 있다.
조 금형(11)은 본 실시형태에서는 2개 설치되어 있다. 조 금형(11)은 좌우로 마주 본 한쌍의 분할 금형(11a, 11b)을 갖고 있다. 이들 분할 금형(11a, 11b)이 서로 조합됨으로써 곱(101)이 충전되기 위한 캐비티(17)가 형성되어 있다. 각 조 금형(11)의 한쌍의 분할 금형(11a, 11b)은, 도시하지 않은 조 금형 개폐기구에 의해 개폐 동작된다.
조 금형(11)의 하면(11c)은 캐비티(17)에 대응한 개소에 있어서 상향으로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오목한 부분에 입구 금형부(20)의 입구 금형(21)이 배치되어 있다. 입구 금형부(20)는 곱(101)으로부터 유리병(103)의 입구부(103a)를 성형하기 위해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입구 금형부(20)는 조 금형(11)으로 성형된 패리슨(102)을 마무리 금형부(30)에 이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입구 금형부(20)는 입구 금형(21)과, 입구 금형(21)을 지지하는 입구 금형 홀더(22)와, 입구 금형 홀더(22)가 부착된 회전축(24)과, 도시하지 않은 입구 금형 개폐기구를 갖고 있다.
입구 금형(21)은 본 실시형태에서는 2개 설치되어 있다. 입구 금형(21)은 대향면(21e)를 포함하는 일부가, 조 금형(11)의 하면(11c)에 형성된 감합면에 끼워맞추어진다. 조 금형(11)측에 입구 금형(21)이 배치되어 있을 때, 플런저(16)가 입구 금형(21)의 개구부를 막도록 배치된다. 입구 금형(21)은 좌우로 마주본 반원통 형상의 한쌍의 분할 금형(21a, 21b)을 갖고 있고, 이들 분할 금형(21a, 21b)이 서로 조합됨으로써 원통 형상의 입구 금형(21)이 형성되어 있다. 분할 금형(21a, 21b)은, 도시하지 않은 개폐기구의 동작에 의해, 서로 분리된 열린 상태와 서로 닫혀진 닫힌 상태로 적당하게 스위칭된다. 입구 금형(21)의 축방향 중간부에는 가이드 링(23)이 끼워 넣어져 있다. 입구부 성형면(21d)에는 나선 형상의 홈 또는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다. 입구부 성형면(21d)에 곱(101)을 압박함으로써 입구부(103a)가 형성된다.
입구 금형(21) 중 조 금형(11)의 저측면(11c)(하면)과 마주본 상태에 있어서의 상면은 대향면(21e)을 포함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대향면(21e)은 대략 평탄한 면이다. 입구 금형(21)은 입구 금형 홀더(22)에 지지되어 있다. 입구 금형 홀더(22)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L자 형상으로 형성된 암 부재이다. 입구 금형 홀더(22)의 기단부는 수평으로 연장되는 회전축(24)에 부착되어 있고, 도시하지 않은 회전기구에 의해 입구 금형 홀더(22) 및 입구 금형(21)이 회전축(24)의 중심축의 주위를 선회 가능하다. 이 선회 동작에 의해, 입구 금형(21)은 조 금형(11)의 하방의 위치(도 1의 위치)와, 마무리 금형부(30)의 상방의 위치(도 3의 위치) 사이를 왕복 이동한다.
조 금형부(10)의 설명으로 되돌와서, 퍼넬(13)은 통 형상이며, 캐비티(17) 내로의 곱(101)의 진입을 보조한다. 또한 ,퍼넬(13)은 세틀 블로우 공정에 있어서 배플(14)과 협동해서 조 금형(11)의 상단을 닫는다. 이 닫는 동작의 뒤, 압축공기가 배플(14)의 통풍구멍을 통과하여 캐비티(17) 내의 곱(101)을 향해서 분사된다.
플런저(16)는 도시하지 않은 컴프레서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캐비티(17) 내의 곱(101)을 향해서 불어넣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플런저(16)는 통 형상의 심블(15)에 가이드되어 있고, 상하로 이동 가능하다. 플런저(16)는 입구 금형(21)의 개구부를 통과해서 조 금형(11)측으로 노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플런저(16)는 입구 금형(21) 내에 도달한 곱(101)과 직접 접촉해서 입구 내면을 성형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마무리 금형부(30)는 입구 금형 홀더(22)가 부착된 회전축(24)을 사이에 두고 조 금형부(10)와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입구 금형 홀더(22)가 부착된 회전축(24)을 기준으로 해서, 회전축(24)을 지나는 가상의 연직면(P1)으로부터 조 금형부(10)측의 영역을 「조 금형측」이라고 하고, 가상의 연직면(P1)으로부터 마무리 금형부(30)측의 영역을 「마무리 금형측」이라고 한다.
마무리 금형부(30)는 마무리 금형(31)과, 마무리 금형(31)의 하부에 배치되는 바닥 금형(32)과, 블로우 헤드(34)와, 도시하지 않은 마무리 금형 개폐기구를 갖고 있다. 또한, 마무리 금형(31) 및 바닥 금형(32)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유리병 마무리 성형용 금형을 구성하고 있다.
마무리 금형(31)은, 본 실시형태에서는 2개 설치되어 있다. 마무리 금형(31)은 바닥 금형(32)과 협동해서 패리슨(102) 중 입구부(103a)를 제외하는 부분을 성형함으로써 유리병(103)을 성형한다. 마무리 금형(31)은 좌우로 마주 본 한쌍의 분할 금형(31a, 31b)을 갖고 있다. 이들 분할 금형(31a, 31b)이 서로 조합됨으로써 마무리 금형(31)이 형성되어 있다.
마무리 금형(31)의 천면은 입구 금형(21)의 대향면(21e)과 대향하는 대향면(31e)을 갖고 있다. 대향면(31e)은 마무리 금형(31)의 개구부의 주위에 형성된 대략 평탄한 면이다. 대향면(31e)은 마무리 금형(31) 중 입구 금형(21)과 대향함과 아울러 후술의 마무리 금형 성형면(31f)의 네크부 성형면(31g)에 인접해서 형성된 면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마무리 금형(31)의 내면은 패리슨(102) 중 입구부(103a) 이외의 부분이 삽입되는 캐비티(35)를 형성하고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마무리 금형(31)의 내면 중, 캐비티(35)을 형성하고 있는 면을 마무리 금형 성형면(31f)이라고 한다. 패리슨(102)을 유리병(103)으로 성형하는 영역으로서의, 마무리 금형(31)의 마무리 금형 성형면(31f) 및 바닥 금형(32)의 후술하는 바닥 금형 성형면(32f)은, 카본 코팅 등에 의해 코팅층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내면에는 또한, 도포 장치(40)에 의해 정기적으로 이형제가 도포된다.
마무리 금형(31)의 내면은 마무리 금형 성형면(31f)과, 마무리 금형 성형면(31f)의 하측에 배치된 감합면(31j)을 포함하고 있다.
마무리 금형 성형면(31f)은 유리병(103)의 네크부(103b)를 성형하기 위한 대향면(31e)에 인접하는 네크부 성형면(31g)과, 네크부 성형면(31g)의 하방에 배치되어 유리병(103)의 숄더부(103c)를 성형하기 위한 숄더부 성형면(31h)과, 숄더부 성형면(31h)의 하방에 배치되어 유리병(103)의 바디부(103d)를 성형하기 위한 바디부 성형면(31i)을 갖고 있다.
네크부 성형면(31g)은, 예를 들면 바디부 성형면(31i)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원통 형상 면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마무리 금형 성형면(31f) 중 상부측에 네크부 성형면(31g)이 배치되어 있다.
숄더부 성형면(31h)은 네크부 성형면(31g)과 바디부 성형면(31i)을 접속하는 면이다. 숄더부 성형면(31h)에 있어서는, 네크부 성형면(31g)에 연속하는 상단부가 저측으로 진행함에 따라 직경이 커지는 만곡면으로 형성되어 있고, 측면에서 볼 때에 캐비티(35)의 중심측을 향해서 볼록하게 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숄더부 성형면(31h)의 중간부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하방으로 진행됨에 따라 직경이 커지고 있다. 또한, 숄더부 성형면(31h) 중 바디부 성형면(31i)에 연속하는 하단부는, 하방으로 진행짐에 따라 직경이 커지는 만곡면으로 형성되어 있고, 측면에서 볼 때에 캐비티(35)의 외측을 향해서 볼록하게 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숄더부 성형면(31h)은 유리병(103) 중 네크부(103b)의 베이스의 R부분으로부터 바디부(103d)에 다다르는 부분까지를 성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바디부 성형면(31i)은 직경이이 대략 일정한 원통면이며, 상기 바디부 성형면(31i)의 하부의 직경이 바디부 성형면(31i)의 중간부 직경보다 약간 작게 설정되어 있다. 바디부 성형면(31i) 중 저측 부분은 옷단부 성형면이기도 하다. 이 바디부 성형면(31i)의 하부는 바닥 금형(32)의 후술하는 바닥 금형 성형면(32f)에 맞대어진다. 이 바디부 성형면(31i)의 저측에 감합면(31j)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바디부 성형면(31i)의 일부에는 유리병(103)의 바디부(103d)에 대하여 요철형상을 갖는 조각부를 성형하기 위한 조각부 성형면(31m)이 형성되어 있다. 유리병(103)의 바디부(103d)에 형성되는 조각부는 바디부(103d)의 표면에 있어서 요철형상을 갖도록 각인된 문자 또는 모양으로서 형성된다. 조각부 성형면(31m)에는 문자 또는 모양으로서 구성되는 조각부를 바디부(103d)에 각인해서 성형하기 위한 요철형상으로서 조각부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요철형상이 형성되어 있다. 도 1에서는, 바디부(103d)에 대하여 「AAA」의 문자열로서 구성된 조각부를 성형하기 위한 조각부 성형면(31m)의 형태를 예시하고 있다. 또한, 도 1 이외에 있어서 도시된 마무리 금형(31)의 도면에 있어서는, 조각부 성형면(31m)의 도시는 생략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바디부 성형면(31i)에 조각부 성형면(31m)이 형성된 마무리 금형(31)의 형태를 예시하고 있지만, 이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조각부 성형면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마무리 금형의 형태가 실시되어도 좋다.
감합면(31j)은 바닥 금형(32)의 후술하는 볼록부(37)와 끼워맞추는 부분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감합면(31j)은 바디부 성형면(31i)에 인접하는 환상 홈 부분과, 이 환상 홈 부분으로부터 마무리 금형(31)의 저면으로서의 평탄한 슬라이딩면(31k)에 접속되는 원통상 부분을 포함하고 있다.
바닥 금형(32)은 2개의 마무리 금형(31)에 대응해서 2개 설치되어 있다. 바닥 금형(32)은 마무리 금형(31)의 저측에 배치되어서 마무리 금형(31)과 협동해서 캐비티(35)를 형성하고 있다.
바닥 금형(32)은 베이스부(36)와, 베이스부(36)로부터 돌출하는 볼록부(37)를 갖고 있다.
베이스부(36)는 마무리 금형(31)의 하방에 배치된 블록 형상 부분이다. 베이스부(36)의 상면은 마무리 금형(31)의 슬라이딩면(31k)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하는 슬라이딩면(36k)을 포함하고 있다. 슬라이딩면(36k)은 마무리 금형(31)의 저면에 형성된 슬라이딩면(31k)과 평행한 평탄면이다. 마무리 금형(31)이 개폐 동작할 때, 정지한 슬라이딩면(36k)에 대하여 슬라이딩면(31k)이 슬라이딩한다.
볼록부(37)는 마무리 금형(31)의 감합면(31j)에 끼워맞추어지는 부분이며, 또한, 바닥 금형 성형면(32f)을 갖는 부분이다.
볼록부(37)의 외주부는 마무리 금형(31)의 감합면(31j)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베이스부(36)에 연속하는 기단부가 원통상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선단측 부분이 기단측 부분으로부터 지름방향 바깥쪽으로 돌출된 원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볼록부(37)의 천면에 바닥 금형 성형면(32f)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바닥 금형 성형면(32f)은 볼록부(37)의 상부면 중 마무리 금형(31)과 협동 해서 캐비티(35)을 형성하는 부분의 전면에 형성되어 있다. 즉, 바닥 금형 성형면(32f)은 볼록부(37)의 천면 중 캐비티(35)에 노출되어 있는 부분의 면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캐비티(35)를 형성하고 있는 내면은 마무리 금형 성형면(31f)과 바닥 금형 성형면(32f)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바닥 금형 성형면(32f)은 원형상으로 형성되고, 이 원형상 부분의 외주 가장자리부가 마무리 금형 성형면(31f)의 바디부 성형면(31i)의 하단부와 접촉하고 있다. 바닥 금형 성형면(32f)은 유리병(103)의 하부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평탄면, 또는 중앙이 상방으로 융기된 형상 등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마무리 금형(31)의 한쌍의 분할 금형(31a, 31b)이 닫혀 있을 때, 마무리 금형(31)의 감합면(31j)에 바닥 금형(32)의 볼록부(37)가 끼워맞추어져 있음과 아울러, 마무리 금형(31)의 슬라이딩면(31k)과 바닥 금형(32)의 슬라이딩면(36k)이 접촉하고 있다. 그리고, 마무리 금형(31)의 한쌍의 분할 금형(31a, 31b)이 개폐될 때, 마무리 금형(31)의 슬라이딩면(31k)이 바닥 금형(32)의 슬라이딩면(36k)에 대하여 슬라이딩한다. 이 때문에, 바닥 금형(32)의 슬라이딩면(36k)의 사이에는 윤활제(이형제)가 도포되어 있다. 마무리 금형(31)의 한쌍의 분할 금형(31a, 31b)은 마무리 금형 개폐기구에 의해 개폐 동작된다.
블로우 헤드(34)는, 도시하지 않은 컴프레서 등의 압축공기 공급원으로부터의 고압 공기를 패리슨(102) 내에 공급하기 위해서 설치되어 있다. 블로우 헤드(34)는 중공의 블록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중심부에 에어를 불어넣기 위한 노즐이 내장되어 있고, 도시하지 않은 이동기구에 의해서 마무리 금형(31)의 대향면(31e) 상에 배치되는 위치와, 마무리 금형(31)의 대향면(31e)으로부터 대피한 위치로 이동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을 갖는 제조 장치(1)에 의한 유리병(103)의 성형 공정의 요점을 이하에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여, 유리병(103)의 성형 공정 중의 조성형 공정(패리슨 성형)에 있어서는, 우선, 퍼넬(13)이 부착된 상태의 조 금형(11)의 각 캐비티(17)에 곱(101)이 충전된다. 그 후, 퍼넬(13)에 배플(14)이 부착된다. 이어서, 배플(14)로부터 캐비티(17)를 향해서 압축공기가 분사되는 세틀 블로우 공정이 행해짐으로써 곱(101)이 입구 금형(21)에 압박되도록 변형한다. 이것에 의해, 입구부(103a)가 성형된다.
이어서,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 금형(11)의 상단이 배플(14)에 의해 막힌 상태에서 플런저(16)가 하강한다. 그리고, 플런저(16)의 하부로부터 압축공기가 플런저(16)의 내부를 지나 곱(101)의 내부를 향해서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축공기가 불어넣어진다. 즉, 카운터 블로우 공정이 행하여진다. 이것에 의해, 곱(101)이 조 금형(11)에 압박됨과 아울러, 곱(101)의 내부에 공동이 형성된다. 이러한 공정(즉, 유리병(103)의 성형 공정 중의 조성형 공정)에 의해 패리슨(102)이 성형된다.
상기 조성형 공정이 완료되면, 다음에 조 금형(11)으로 성형된 패리슨(102)이 마무리 금형부(30)로 이송된다. 패리슨(102)의 이송에 있어서는, 우선, 배플(14)이 조 금형(11)으로부터 분리되고, 조 금형 개폐기구에 의해 조 금형(11)의 한쌍의 분할 금형(11a, 11b)이 열린다. 그 후, 입구 금형 홀더(22)가 부착되어 있는 회전축(24)이 회전한다. 이것에 의해, 입구 금형(21)이 조 금형(11)의 하방(조 금형(11)측)으로부터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무리 금형(31)의 상방으로 배치된다. 이 때, 마무리 금형(31)의 한쌍의 분할 금형(31a, 31b)은 열려 있다. 또한, 마무리 금형(31)의 한쌍의 분할 금형(31a, 31b)이 닫혔을 때에 입구 금형(21)의 대향면(21e)과 마무리 금형(31)의 대향면(31e) 사이에는 1㎜ 정도의 약간의 간극(G1)이 생기도록 세팅되어 있다. 이러한 동작에 의해, 패리슨(102)의 입구부 이외는 마무리 금형(31) 내에 배치된다.
이어서, 도시하지 않은 마무리 금형 개폐기구에 의해 마무리 금형(31)의 한쌍의 분할 금형(31a, 31b)이 닫혀진다. 이어서, 입구 금형(21)의 한쌍의 분할 금형(21a, 21b)이 도시하지 않은 입구 금형 개폐기구에 의해 열림으로써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패리슨(102)은 약간 낙하해서 마무리 금형(31)의 대향면(31e)에 수용된다. 이것에 의해, 패리슨(102)의 마무리 금형부(30)으로의 이송이 완료된다. 또한, 패리슨(102)의 이송이 완료되면, 입구 금형 홀더(22)가 부착되어 있는 회전축(24)의 선회 동작에 의해서 입구 금형(21)이 조 금형(11)측으로 되돌아간다.
패리슨(102)의 이송이 완료되면, 이어서 유리병(103)의 성형 공정 중의 마무리 성형 공정이 행하여진다. 즉, 마무리 금형(31)을 사용해서 유리병(103)을 성형하는 마무리 성형 공정이 행하여진다. 또한, 이 마무리 성형 공정은 본 실시형태의 유리병 제조 방법에 있어서, 마무리 금형(31)을 사용해서 유리병(103)을 성형하는 성형 스텝을 구성한다. 마무리 성형 공정에 있어서는, 우선,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마무리 금형(31) 상면으로 블로우 헤드(34)가 이동하고, 블로우 헤드(34)에 의해 입구부(103a)가 덮여진다. 이 블로우 헤드(34)는 내장된 노즐을 통과시켜서 패리슨(102)에 압축공기를 공급한다. 이것에 의해 파이널 블로우 공정이 행하여지고, 패리슨(102)은 마무리 금형(31) 및 바닥 금형(32)의 성형면(31f, 32f)에 압박됨과 아울러, 상기 패리슨(102) 내의 공간이 확장된다. 그 결과, 유리병(103)이 성형된다. 유리병(103)이 성형되면, 블로우 헤드(34)가 마무리 금형(31)으로부터 대피함과 아울러, 마무리 금형(31)의 한쌍의 분할 금형(31a, 31b)이 마무리 금형 개폐기구에 의해 열린다. 그리고, 도시하지 않은 테이크아웃 암에 의해 유리병(103)이 마무리 금형(31)으로부터 꺼내어진다.
마무리 금형(31)의 캐비티(35)의 내면에는 패리슨(102)과의 이형성(분리의 용이함)을 확보하기 위해서 이형제가 정기적으로 도포된다. 이형제는 유리병(103)의 성형 공정의 사이에 도포된다. 이 이형제를 도포하기 위해서, 도 3에 나타내는 도포 장치(40)가 사용된다.
도포 장치(40)가 도포하는 이형제로서, 흑연입자를 고체 윤활제로서 함유하는 광물유를 예시할 수 있다. 도포 장치(40)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유리병 마무리 성형용 금형으로의 이형제 도포 장치를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포 장치(40)는 마무리 금형(31)에 형성된 마무리 금형 성형면(31f)의 일부, 및 바닥 금형(32)에 형성된 바닥 금형 성형면(32f)의 전면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이형제를 도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특히, 마무리 금형(31)에 형성된 마무리 금형 성형면(31f) 중 일부, 및 이 마무리 금형(31)의 하부에 배치되는 바닥 금형(32)에 형성되는 바닥 금형 성형면(32f)의 전면 및 바닥 금형(32) 중 마무리 금형(31)과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면(36k)에, 도포 장치(40)가 이형제를 도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패리슨 성형시의 입구 금형(21)의 위치(A1)(도 1 참조. 조 금형(11)의 하측 위치)를 기준으로 해서, 조 금형(11)의 플런저(16)로부터 멀어진 위치, 즉, 마무리 금형(31)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는 입구 금형(21)에 도포 장치(40)가 이형제를 도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도포 장치(40)는 제어부(제어 유닛)(41)와, 변위기구(42)와, 도시하지 않은 이형제 공급기구와, 이형제를 분무하는 2개의 노즐(43)을 포함하고 있다.
제어부(41)는 소정의 입력신호에 의거하여 소정의 출력신호를 출력하는 구성을 갖고, 예를 들면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PLC) 등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 제어부(41)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RAM(Random Access Memory) 및 ROM(Read Only Memory)을 포함하는 컴퓨터 등을 이용하여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제어부(41)는 전기회로를 포함하지 않는, 기계장치에 의해서 노즐(43)에 이형제를 분무시킴과 아울러 노즐(43)을 변위시키는 구성이라도 좋다.
제어부(41)는 변위기구(42)(노즐(43))의 동작과, 노즐(43)의 후술하는 분무구(43a, 43b)로부터의 이형제의 공급량(분무량)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마무리 금형 성형면(31f)의 각 영역 및 바닥 금형 성형면(32f)으로의 분무량의 제어(분무 영역의 설정을 포함하는 제어)는, 노즐(43)로부터의 분무량 자체(액압)의 제어나, 분무량을 고정한 상태에서의 노즐(43)의 상승·하강 속도의 제어나, 노즐(43)로부터의 이형제의 분무 타이밍의 제어에 의해 행할 수 있다. 물론 노즐(43)로부터의 이형제의 분무의 온-오프 제어로도 소망의 도포가 가능하다.
제어부(41)는 마무리 금형(31)의 한쌍의 분할 금형(31a, 31b)의 개폐 상태를 검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한쌍의 분할 금형(31a, 31b)의 개폐 위치를 검출하는 센서가 제어부(41)에 접속되어 있음로써, 제어부(41)는 한쌍의 분할 금형(31a, 31b)의 개폐 상태를 검출해도 좋다. 또한, 예를 들면 한쌍의 분할 금형(31a, 31b)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회로가 제어부(41)에 접속되어 있음으로써, 제어부(41)는 상기 제어회로로부터의 신호를 받아서 한쌍의 분할 금형(31a, 31b)의 개폐 상태를 검출해도 좋다. 또한, 예를 들면 제어부(41)가 한쌍의 분할 금형(31a, 31b)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이 채용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제어부(41)는 제조 장치(1)의 각 부를 제어 가능하여도 좋다.
변위기구(42)는 노즐(43)을 마무리 금형(31) 및 입구 금형(21)에 대하여 변위시킴과 아울러, 노즐(43)의 위치를 유지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변위기구(42)는, 예를 들면 6축 로봇 등의 다관절의 로봇을 이용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 변위기구(42)는, 적어도 노즐(43)을 마무리 금형(31)의 캐비티(35)에 출납하는 것이 가능하면 좋고, 구체적인 기구는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변위기구(42)는 유리병 성형기(IS 머신)의 마무리 금형측을, 각 섹션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상술의 이형제 공급기구는 노즐(43)에 이형제를 공급하기 위해서 사용되고, 예를 들면 노즐(43)에 이형제를 수송하기 위한 호스, 펌프, 및 제어밸브를 갖고 있다. 그리고, 이 이형제 공급기구는 제어부(41)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제어부(41)의 제어에 의해서 노즐(43)로의 이형제의 공급 및 공급 정지가 제어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노즐(43)은 이형제를 분무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노즐(43)은 가늘고 긴 봉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노즐(43)의 기단이 변위기구(42)의 선단에 지지되어 있다. 노즐(43)은, 적어도 캐비티(35) 중, 네크부 성형면(31g)과 수평으로 마주보는 개소에까지 삽입되는 것이 가능한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포 장치(40)가 이형제를 분무할 때, 노즐(43)의 선단이 바디부 성형면(31i)과 수평으로 마주보는 개소에 삽입된다. 노즐(43)은 상승하면서 이형제를 분무해도 좋고, 강하하면서 이형제를 분무해도 좋고, 캐비티(35) 내에 삽입된 후, 정지한 상태에서 이형제를 분무해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노즐(43)은 다방향 노즐이며, 복수의 다른 방향을 향해서 이형제를 분무한다. 즉, 도포 장치(40)는 이형제를 분무하는 노즐(43)로서, 복수의 다른 방향을 향해서 이형제를 분무하는 다방향 노즐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다방향 노즐로서 예시한 노즐(43)은 2방향 노즐이며, 서로 다른 2방향으로 이형제를 분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노즐(43)은 수평방향을 따라 옆쪽을 향해서 이형제를 분무함과 아울러, 연직방향을 따라 하방으로 이형제를 분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노즐(43)에는 제1분무구(도포부)(43a), 및 제2분무구(도포부)(43b)가 형성되어 있다.
제1분무구(43a) 및 제2분무구(43b)는 각각, 노즐(43)의 선단측 부분 및 중간부분에 배치되어 있고, 슬릿 등에 의해 형성되어 이형제를 분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분무구(43a)는 마무리 금형(31)의 축방향,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연직방향(하향)을 따르는 제1방향을 향해서 이형제를 분무한다. 한편, 제2분무구(43b)는 마무리 금형(31)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수평방향을 따르는 제2방향을 향해서 이형제를 분무한다.
제1분무구(43a)는, 예를 들면 노즐(43)의 선단에 예를 들면 1개 배치되어 있고, 이형제 분무시에 있어서 바닥 금형 성형면(32f)과 마주보고 있다. 이형제는 노즐(43)의 내부의 도시하지 않은 경로를 지나서 제1분무구(43a)에 이르고, 제1분무구(43a)로부터 바닥 금형 성형면(32f)의 전면에 분무된다. 또한, 제2분무구(43b)는 제1분무구(43a)의 상방(제1분무구(43a)로부터 노즐(43)의 기단측으로 나아간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예를 들면 노즐(43)의 중심축선을 중심으로 해서 노즐(43)의 외주면에 복수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분무구(43b)가 노즐(43)의 상하방향에 있어서 1개의 높이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형태를 예시하고 있지만, 이 예와 같지 않아도 좋다. 제2분무구(43b)는 노즐(43)의 상하방향에 있어서 복수의 높이 위치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제2분무구(43b)는 이형제 분무시의 초기단계에 있어서 캐비티(35) 내에 배치되고 있고, 네크부 성형면(31g) 및 숄더부 성형면(31h)의 적어도 일부와 수평방향으로 마주보고 있다. 그리고, 이형제는 노즐(43)의 내부의 도시하지 않은 경로를 지나서 제2분무구(43b)에 이르고, 네크부 성형면(31g) 및 숄더부 성형면(31h)에 분무된다. 예를 들면, 노즐(43)의 상승에 따라 제2분무구(43b)로부터 이형제가 분무됨으로써 네크부 성형면(31g) 및 숄더부 성형면(31h)의 전면에 이형제가 도포된다.
또한, 이형제 분무시의 후기단계에 있어서 노즐(43)이 변위기구(42)에 의해 캐비티(35)로부터 빠지도록 상승한다. 이것에 따라, 제2분무구(43b)는 마무리 금형(31)의 대향면(31e)과, 입구 금형(21)의 대향면(21e)과, 입구 금형(21)의 내면 중 입구부 성형면(21d)의 전면에, 이형제가 도포되도록 이형제를 분무한다.
이와 같이, 각 분무구(43a, 43b)는 이형제를 마무리 금형(31), 바닥 금형(32)및 입구 금형(21)에 도포하는 도포부로서의 기능을 발휘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노즐(43)은 입구 금형(21)이 마무리 금형(31)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을 때에 마무리 금형(31)에 이형제를 도포함으로써 입구 금형(21)의 입구부 성형면(21d), 마무리 금형(31) 중의 입구 금형(21)과 대향하는 대향면(31e), 및 마무리 금형 성형면(31f)에 있어서의 네크부 성형면(31g)으로부터 숄더부 성형면(31h)에 걸친 부분과, 바닥 금형 성형면(32f)의 전면에 대하여 이형제를 도포한다. 또한, 상기에 있어서는, 노즐(43)이 마무리 금형 성형면(31f)에 있어서의 네크부 성형면(31g) 및 숄더부 성형면(31h)에 이형제를 도포하는 형태를 예시했지만, 노즐(43)이 마무리 금형 성형면(31f)에 있어서 이형제를 도포하는 영역은 이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노즐(43)은 마무리 금형 성형면(31f)에 있어서 바디부 성형면(31i)의 일부의 영역에 대하여 이형제를 도포해도 좋다.
또, 유리병(103)의 바디부(103d) 등의 측면에 문자 또는 모양으로서의 조각부가 형성될 경우, 마무리 금형 성형면(31f) 중 이 문자 또는 모양으로서의 조각부를 성형하기 위한 조각부 성형면이 형성되는 개소에, 제1분무구(43a) 또는 제2분무구(43b)로부터 이형제가 분무되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바디부 성형면(31i)의 일부에 형성된 조각부 성형면(31m)에 대하여, 예를 들면 제2분무구(43b)로부터 이형제가 분무되어서 도포되어도 좋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 노즐(43)은 마무리 금형 성형면(31f)에 있어서의 네크부 성형면(31g), 숄더부 성형면(31h), 조각부 성형면(31m), 및 마무리 금형(31) 중 입구 금형(21)과 대향함과 아울러 네크부 성형면(31g)에 인접해서 형성된 대향면(31e)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와, 바닥 금형 성형면(32f)의 전면에 이형제를 도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다방향 노즐로서 구성된 노즐(43)은 네크부 성형면(31g), 숄더부 성형면(31h), 조각부 성형면(31m), 및 마무리 금형(31) 중 입구 금형(21)과 대향함과 아울러 네크부 성형면(31g)에 인접해서 형성된 대향면(31e)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바닥 금형 성형면(32)의 전면의 양쪽에 대하여, 이형제를 도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노즐(43)은, 또한 마무리 금형(31) 중 입구 금형(21)과 대향함과 아울러 네크부 성형면(31g)에 인접해서 형성된 대향면(31e)과, 네크부 성형면(31g)에 대하여 이형제를 도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노즐(43)의 내부에 있어서 제1분무구(43a)에 이형제를 공급하는 경로와, 제2분무구(43b)에 이형제를 공급하는 경로는, 연속하는 경로라도 좋고, 또한 다른 경로라도 좋다. 예를 들면, 노즐(43)의 내부에 있어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서 이형제를 공급하는 경로가 1개 형성되고, 그 1개의 경로의 도중에 있어서 제2분무구(43b)에 이형제가 공급되며, 그 1개의 경로의 하류측에 있어서 제1분무구(43a)에 이형제가 공급되어도 좋다. 또는, 노즐(43)의 내부에 있어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서 이형제를 개별적으로 공급하는 경로가 2개 형성되고, 한쪽의 경로에 의해 제2분무구(43b)에 이형제가 공급되고, 다른쪽의 경로에 의해 제1분무구(43a)에 이형제가 공급되어도 좋다.
각 분무구(43a, 43b)로부터의 이형제의 분무 방법은, 펌프(예를 들면 플런저 펌프 등)를 사용한 방법이어도 좋고, 압축공기를 사용한 2유체 혼합(이형제와 공기의 혼합)을 사용한 방법이어도 좋다.
제1분무구(43a)는, 예를 들면 풀콘 형상의 제1분무 패턴(J1)을 형성하도록, 이형제를 분무한다. 풀콘 형상의 제1분무 패턴(J1)은 제1분무구(43a)가 마무리 금형(31)에 둘러싸인 위치로부터 예를 들면 하방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이 풀콘 형상의 제1분무 패턴(J1)이 형성되는 영역은, 제1분무구(43a)의 형상, 제1분무구(43a)의 높이 위치, 제1분무구(43a)로부터의 이형제의 분무압을 설정하는 것 등으로, 적당하게 설정된다.
또한, 제2분무구(43b)는, 예를 들면 원주 상에 분무구가 다수 형성되어 있고, 각각이 풀콘 형상의 제2분무 패턴(J2)을 형성하도록 이형제를 분무한다. 풀콘 형상의 제2분무 패턴(J2)은 대략 수평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이 풀콘 형상의 제2분무 패턴(J2)이 형성되는 영역은, 제2분무구(43b)의 형상, 제2분무구(43b)의 높이 위치, 제2분무구(43b)로부터의 이형제의 분무압을 설정하는 것 등으로, 적당하게 설정된다.
노즐(43)에 의한 이형제 분무시, 노즐(43)이 마무리 금형(31)에 대하여 변위기구(42)에 의해 상하로 변위되어도 좋고, 정지되어도 좋다. 또한, 노즐(43)의 외주면 중 제2분무구(43b)의 근방에 노즐(43)과 동축에 배치된 환상 판을 부착해도 좋다. 이 환상 판이 설치되어 있을 경우, 이 환상 판에 의해서 이형제가 의도하지 않는 개소까지 과도하게 널리 비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포 장치(40)에 의한 이형제 도포작업은 제조 장치(1)에 있어서 곱(101)이 투입되지 않고, 통상의 제병 사이클과는 다른 동작 사이클인 스왑 사이클에 있어서 행하여진다. 이 스왑 사이클에 있어서, 입구 금형(21)이 마무리 금형(31)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을 때에, 도포 장치(40)는 마무리 금형(31) 및 입구 금형(21)에 이형제를 도포한다.
이어서, 도포 장치(40)에 의한 이형제의 도포동작의 일례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도포 장치(40)에 의한 이형제의 도포동작이 행해짐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마무리 금형(31)에 형성된 마무리 금형 성형면(31f)의 일부, 및 바닥 금형(32)에 형성된 바닥 금형 성형면(32f)의 전면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이형제를 도포하는 공정이 행하여진다. 그리고, 도포 장치(40)에 의한 이형제의 도포동작의 공정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유리병 마무리 성형용 금형으로의 이형제 도포 방법을 구성하고 있음과 아울러, 본 실시형태의 유리병 제조 방법에 있어서의 이형제 도포 스텝을 구성하고 있다.
도 6은 도포 장치(40)에 의한 이형제의 도포동작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또, 이하에서는, 플로우차트를 참조해서 설명할 때는, 플로우차트 이외의 도면도 적당하게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여, 도포 장치(40)는 제조 장치(1)에 의한 유리병 성형 동작의 사이에 이형제 도포동작을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제어부(41)가 정기적으로 스왑 사이클 지령을 발행한다(스텝 S1). 이것에 의해, 스왑 사이클 준비동작이 행해진다(스텝 S2). 이어서, 이형제 도포동작(스텝 S3)이 행하여진다. 그리고, 이형제 도포동작이 완료되면, 상술한 유리병 성형동작이 재개된다(스텝 S4).
다음에, 스왑 사이클 준비동작(스텝 S2), 및 이형제 도포동작(스텝 S3)의 각각의 상세를 설명한다.
도 7은 스왑 사이클 준비동작(스텝 S2)의 흐름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8은 이형제 도포동작(스텝 S3)의 흐름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7을 참조하여, 스왑 사이클 준비동작에서는, 우선 제어부(41)로부터의 지령을 받은 곱 공급 장치(도시하지 않음)가 인터셉터 기능을 사용함으로써 곱 공급 장치로부터 조 금형(11)으로의 곱(101)의 공급을 정지한다(스텝 S21). 다음에, 마무리 금형측에서 파이널 블로우 공정을 끝낸 후, 블로우 헤드(34)가 제어부(41)로부터의 지령을 받은 구동기구에 의해서 동작되어, 마무리 금형(31)의 상면으로부터 퇴피하고, 그 상태 그대로 정지한다(스텝 S22). 다음에, 마무리 금형(31)이 열리고, 도시하지 않은 테이크아웃 암이 마무리 금형(31)으로 성형된 유리병(103)을 마무리 금형(31)으로부터 꺼낸 후, 제어부(41)로부터의 지령을 받은 구동기구에 의해 그대로의 상태(퇴피 상태)로 정지한다(스텝 S23).
도 9(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부(41)로부터의 지령을 받은 구동기구에 의해 입구 금형 홀더(22)가 부착된 회전축(24)의 동작에 따라, 입구 금형(21)이 마무리 금형(31)의 상방에 배치된다(스텝 S24). 이 동작은 스텝 S23과 거의 동시에 행하여진다.
다음에, 제어부(41)로부터의 지령을 받은 마무리 금형 개폐기구의 동작에 의해, 마무리 금형(31)의 한쌍의 분할 금형(31a, 31b)이 닫혀짐과 아울러, 도시하지 않은 개폐기구의 동작에 의해, 입구 금형(21)의 한쌍의 분할 금형(21a, 21b)이 닫혀진다(스텝 S25). 이 때, 입구 금형(21)의 대향면(21e)과 마무리 금형(31)의 대향면(31e)의 수직방향의 거리(간극(G1)의 길이)는 1㎜ 정도로 되도록 세팅되어 있다.
다음에, 이형제 도포동작(스텝 S3)을 설명한다.
도 8을 참조하여, 이형제 도포동작에서는, 우선 제어부(41)가 변위기구(42)를 동작시킴으로써, 도 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노즐(43)을 입구 금형(21) 및 마무리 금형(31)에 삽입한다(스텝 S31). 다음에, 제어부(41)는 이형제 공급기구를 동작시킴으로써, 도 9(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노즐(43)의 제1분무구(43a) 및 제2분무구(43b)로부터 이형제를 분무시킨다. 이것에 의해, 이형제가 바닥 금형(32)의 바닥 금형 성형면(32f)의 전면과, 마무리 금형(31)의 숄더부 성형면(31h) 및 네크부 성형면(31g)에 분무된다(스텝 S32). 이것에 의해, 바닥 금형 성형면(32f), 숄더부 성형면(31h) 및 네크부 성형면(31g)에 이형제의 막(F1)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노즐(43)은 마무리 금형(31)의 한쌍의 분할 금형(31a, 31b)이 닫혀진 상태의 때에 이형제를 도포한다.
다음에, 제어부(41)는 노즐(43)로부터의 이형제의 분무를 일단 정지시킨다(스텝 S33). 그리고, 도 10(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부(41)는 마무리 금형 개폐기구를 동작시킴으로써 마무리 금형(31)의 한쌍의 분할 금형(31a, 31b)을 일단 열리게 한다. 이 때, 일시적으로 분무를 행하고, 바닥 금형(32)의 슬라이딩면(36k)에 이형제(윤활제)를 도포한다. 그 후, 제어부(41)는 마무리 금형 개폐기구를 동작시킴으로써 마무리 금형(31)의 한쌍의 분할 금형(31a, 31b)을 다시 닫는 동작을 행하게 한다(스텝 S34). 스텝 S33을 생략하여 노즐(43)로부터 이형제를 분무한 채 마무리 금형(31)의 한쌍의 분할 금형(31a, 31b)을 개폐하고, 바닥 금형(32)의 슬라이딩면(36k)에 이형제를 도포해도 좋다.
다음에, 제어부(41)는 도 1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위기구(42)를 동작시킴으로써 노즐(43)을 상승 변위시킨다(스텝 S35). 다음에, 제어부(41)는 이형제 공급기구를 동작시킴으로써 노즐(43)의 각 분무구(43a, 43b)로부터의 이형제의 분무를 재개한다(스텝 S36). 스텝 35와 36의 순서는 반대여도 좋다. 네크부가 길고, 전체에 도포할 필요한 있는 제품은, 도포 재개 후에 노즐(43)을 변위시켜 네크부 성형면(31g)의 전체를 도포해도 좋다. 네크부가 짧고, 전면 도포할 필요가 없는 제품은 노즐(43)에 의한 이형제의 분무를 정지한 상태에서 노즐(43)을 변위시킴으로써 이형제의 공급 과다를 방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제어부(41)는 제1분무구(43a)에 의한 바닥 금형 성형면(32f)으로의 이형제의 분무를 다시 행함과 동시에, 제2분무구(43b)를 입구 금형(21) 및 마무리 금형(31)의 대향면(21e, 31e)에 근방에 배치함으로써 이들 대향면(21e, 31e)에 이형제를 분무한다. 그리고, 노즐(43)이 더욱 상승 변위하면, 제2분무구(43b)로부터의 이형제가 입구부 성형면(21d)에 도포된다. 또, 제2분무구(43b)가 대향면(21e, 31e) 사이의 간극(G1)을 향하고 있을 때에, 노즐(43)의 상승 변위가 일시 정지되어도 좋다. 이것에 의해, 대향면(21e, 31e)에 보다 많은 이형제를 도포할 수 있다.
그리고, 제2분무구(43b)에 의한 입구 금형(21)의 입구부 성형면(21d)으로의 이형제의 분무가 완료되면, 제어부(41)는 이형제 공급기구의 동작을 정지하고, 노즐(43)로부터의 이형제의 분무를 정지시킨다(스텝 S37). 그리고, 제어부(41)는 변위기구(42)를 동작시킴으로써 노즐(43)을 입구 금형(21)으로부터 퇴피시킨다(스텝 S38).
이상이, 도포 장치(40)에 의한 이형제의 도포동작의 일례이다. 다음에, 도포 장치(40)에 의한 이형제의 도포동작의 일변형예를 설명한다. 이 일변형예에서는, 입구 금형(21)이 조 금형(11)의 하방에 배치된 상태(위치 A1에 있는 상태)에서 이형제 도포동작이 행해지는 점이, 상기 이형제 도포동작과의 차이이다. 또, 이 일변형예에 있어서도, 스왑 사이클 지령(스텝 S1), 스왑 사이클 준비동작(스텝 S2), 이형제 도포동작(스텝 S3), 및 유리병 성형동작 재개(스텝 S4)가 행하여진다. 한편, 이 일변형예에서는 스왑 사이클 준비동작(스텝 S2)의 상세, 및 이형제 도포동작(스텝 S3)의 상세가 다르다. 이하, 상기 실시형태와 다른 점에 대해서 주로 설명한다.
이 일변형예에서는, 도 7의 스텝 S24에 있어서의, 입구 금형(21)을 마무리 금형(31)의 상방에 배치시키는 동작이 행하여지지 않는다. 그 때문에, 입구 금형(21)은 패리슨 성형시와 마찬가지로,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 금형(11)의 하방의 위치(A1)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스텝 S3의 이형제 도포동작에서는, 스텝 S36에 있어서의 노즐(43)에 의한 입구 금형(21)으로의 이형제 분무는 행하지 않고, 노즐(43)의 제2분무구(43b)에 의한 마무리 금형(31)의 대향면(31e)으로의 이형제 도포가 행해진다(스텝 S36').
또한, 상술의 실시형태 및 일변형예에서는, 이형제 도포동작(스텝 S3)에 있어서 일단 마무리 금형(31)의 개폐동작이 행해짐(스텝 S34)으로써, 바닥 금형(32)의 슬라이딩면에 이형제가 도포되는 형태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이와 같지 않아도 좋다. 상기 스텝 S34가 생략되어도 좋다.
또한, 상술의 실시형태 및 일변형예에서는, 블로우 블로우 성형에 의해서 유리병(103)이 성형되는 형태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이와 같지 않아도 좋다. 예를 들면, 프레스 앤드 블로우 성형(PB), 또는 내로우 네크 프레스 블로우 성형(NNPB)에 의해 유리병이 성형되어도 좋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도포 장치(40)는 마무리 금형(31)에 형성된 마무리 금형 성형면(31f)의 일부, 및 이 마무리 금형(31)의 하부에 배치되는 바닥 금형(32)에 형성된 바닥 금형 성형면(32f)의 전면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이형제를 도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마무리 금형(31) 및 바닥 금형(32)으로의 이형제 도포는 도포 장치(40)에 의해 행하여진다. 즉,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한 마무리 금형(31) 및 바닥 금형(32)으로의 이형제 도포작업이 불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제병작업에 걸리는 작업자의 부담을 저감할 수 있는데다가, 이형제 도포에 있어서의 작업자의 안전성을 보다 향상할 수 있다. 또한, 기계동작에 의한 신속한 이형제 도포작업을 실현할 수있으므로, 유리병(103)의 성형의 정지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데다가, 수작업에 의한 이형제의 도포작업과 비교하여 도포 장치(40)에 의한 이형제의 도포작업이면 마무리 금형(31) 및 바닥 금형(32)으로의 이형제 도포의 도포위치의 변화나 도포량 등의 편차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마무리 금형(31)에 형성된 마무리 금형 성형면(31f)의 일부, 및 이 마무리 금형(31)의 하부에 배치되는 바닥 금형(32)에 형성된 바닥 금형 성형면(32f)의 전면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이형제가 도포된다. 이 구성이면, 마무리 금형(31) 중 이형성이 특히 필요한 개소에 이형제를 충분하게 도포하면서, 특별히 필요가 없는 개소에의 이형제 도포를 최소한으로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이형제의 과다에 의한 유리병(103)에의 악영향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마무리 금형(31)으로의 이형제 도포에 적합한 구성을 실현할 수 있고, 그 결과, 유리병의 품질 안정화에 공헌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도포 장치(40)는 이형제를 분무하는 노즐(43)을 구비하고, 마무리 금형 성형면(31f)은 유리병(103)의 네크부(103b)를 형성하기 위한 네크부 성형면(31g), 네크부 성형면(31g)의 하방에 배치되어서 유리병(103)의 숄더부(103c)를 성형하기 위한 숄더부 성형면(31h), 및 숄더부 성형면(31h)의 하방에 배치되어서 유리병(103)의 바디부(103d)를 성형하기 위한 바디부 성형면(31i)의 일부에 형성되어서 유리병(103)의 바디부(103d)에 대하여 요철형상을 갖는 조각부를 성형하기 위한 조각부 성형면(31m)을 포함하고, 노즐(43)이 네크부 성형면(31g), 숄더부 성형면(31h), 조각부 성형면(31m), 및 마무리 금형(31) 중 입구 금형(21)과 대향함과 아울러 네크부 성형면(31g)에 인접해서 형성된 대향면(31e)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와, 바닥 금형 성형면(32f)의 전면에, 이형제를 도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노즐(43)에 의해 바닥 금형 성형면(32f)의 전면과 함께, 네크부 성형면(31g), 숄더부 성형면(31h), 조각부 성형면(31m), 및 마무리 금형(31)에 있어서의 입구 금형(21)에의 대향면(31e)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하여 이형제가 도포된다. 이 때문에, 이 구성에 의하면, 바닥 금형 성형면(32f)의 전면에 이형제를 도포할 수 있음과 아울러, 마무리 금형(31) 중, 이형성이 특히 필요로 되는 개소에 보다 확실하게 이형제를 도포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도포 장치(40)는 노즐(43)이 마무리 금형(31) 중 입구 금형(21)과 대향함과 아울러 네크부 성형면(31g)에 인접해서 형성된 대향면(31e)과, 네크부 성형면(31g)에 대하여, 이형제를 도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입구 금형(21)에의 대향면(31e)과 네크부 성형면(31g)에 이형제를 도포할 수 있기 때문에, 유리병(103)에 있어서의 입구부(103a)와 네크부(103b)의 경계부에 큰 부하가 걸리는 것이 억제되어, 입구부(103a)와 네크부(103b)의 경계부의 크랙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구성에 의하면, 마무리 금형(31) 중, 이형성이 특히 필요로 되는 개소에 보다 확실하게 이형제를 도포할 수 있는 것에 추가해서, 유리병(103)의 입구부(103a)와 네크부(103b)의 경계부에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도포 장치(40)는 노즐(43)로서 복수의 다른 방향을 향해서 이형제를 분무하는 다방향 노즐(43)(본 실시형태에서는 2방향 노즐(43))을 구비하고, 다방향 노즐(43)이 네크부 성형면(31g), 숄더부 성형면(31h), 조각부 성형면(31m), 및 마무리 금형(31) 중 입구 금형(21)과 대향함과 아울러 네크부 성형면(31g)에 인접해서 형성된 대향면(31e)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와, 바닥 금형 성형면(32f)의 전면의 양쪽에 대하여 이형제를 도포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이형제의 도포작업을 보다 신속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네크부 성형면(31g), 숄더부 성형면(31h), 조각부 성형면(31m), 및 마무리 금형(31)에 있어서의 입구 금형(21)에의 대향면(31e)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와, 바닥 금형 성형면(32f)의 전면의 복수 개소(본 실시형태에서는 2개소에), 노즐(43)의 각각의 개소로부터 이형제가 도포된다. 이것에 의해, 단일 노즐에 의해 네크부 성형면(31g), 숄더부 성형면(31h), 조각부 성형면(31m), 및 마무리 금형(31)에 있어서의 입구 금형(21)으로의 대향면(31e)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와, 바닥 금형 성형면(32f)의 전면의 각각에 대하여 이형제를 도포할 경우와 달리, 이형제 도포시에 노즐(43)의 방향을 바꾸는 동작이 불필요하게 되고, 이형제의 도포위치의 변화나 도포량 등의 편차를 저감할 수 있어, 유리병의 품질 안정화에 공헌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도포 장치(40)는 마무리 금형(31)의 한쌍의 분할 금형(31a, 31b)이 닫혀진 상태일 때에 이형제를 도포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마무리 금형(31) 내의 각 부 중 이형제가 도포되는 개소와 노즐(43)의 거리가, 보다 균등한 상태에서 이형제를 도포할 수 있다. 또한, 마무리 금형(31)의 외부에 이형제가 비산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도포 장치(40)는 패리슨(102)이 마무리 금형(31)에 삽입되어 있지 않은 타이밍에서 이형제를 도포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도포 장치(40)로부터 도포된 이형제가 패리슨(102)에 직접 부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도포 장치(40)는 마무리 금형(31)의 한쌍의 분할 금형(31a, 31b)이 열렸을 때에 바닥 금형(32)의 슬라이딩면(36k)에 이형제를 도포한다. 이것에 의해, 마무리 금형(31)과 바닥 금형(32)의 스무즈한 슬라이딩을 실현할 수 있고, 그 결과, 마무리 금형(31)으로 성형된 유리병(103)에 과잉한 힘이 작용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도포 장치(40)는 입구 금형(21)이 마무리 금형(31)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을 때에 마무리 금형(31)에 이형제를 도포함으로써 입구 금형(21) 및 마무리 금형(31)에 동시에 이형제를 도포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도포 장치(40)는 마무리 금형(31)에 이형제를 도포할 때에, 아울러 입구 금형(21)에도 이형제를 도포할 수 있다. 또한 이 구성이면, 도포 장치(40)로부터 입구 금형(21)에 도포되는 이형제가 조 금형(11)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는 플런저(16) 등, 이형제의 부착이 바람직하지 못한 개소에의 이형제의 부착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패리슨(102)의 내면 오염이나 내면 이물의 발생, 즉, 유리병(103)의 내면 오염이나 내면 이물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그 결과, 유리병(103)의 강도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프레스 블로우 성형(PB), 또는 내로우 네크 프레스 블로우 성형(NNPB)이 행하여질 경우, 플런저에 부착된 이형제에 의해 플런저와 패리슨의 밀착성이 악화되어 유리가 충분하게 고화되지 않는 것에 의한 성형 불량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도포 장치(40)는 마무리 금형(31)과 입구 금형(21) 사이에 간극(G1)이 형성된 상태에서 이형제를 도포함으로써, 입구 금형(21)과 마무리 금형(31)의 서로의 대향면(21e, 31e)에 동시에 이형제를 도포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입구 금형(21) 중 조 금형(11)과 슬라이딩하는 개소에 마무리 금형(31)과 더불어 이형제를 도포할 수 있다. 또한, 입구 금형(21)과 마무리 금형(31)의 서로의 대향면(21e, 31e)에 이형제를 도포하는 구성이면, 입구 금형(21) 및 마무리 금형(31) 자체가 펜스의 역활을 하고, 도포 장치(40)로부터 도포된 이형제가 불필요한 개소로 비산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조 장치(1)에 있어서 곱(101)이 투입되지 않고, 통상의 제병 사이클과는 다른 동작 사이클인 스왑 사이클 중, 입구 금형(21)이 마무리 금형(31)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을 때, 도포 장치(40)가 마무리 금형(31) 및 입구 금형(21)에 이형제를 도포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도포 장치(40)로부터 도포되는 이형제가 패리슨(102)에 직접 부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포 장치(40)는 마무리 금형(31)에 이형제를 도포할 때에 입구 금형(21)에도 이형제를 도포할 수 있다. 이 구성이면, 조 금형(11)의 바닥에 배치되어 있는 플런저(16) 등, 이형제의 부착이 바람직하지 못한 개소에의 이형제의 부착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패리슨(102)의 내면 오염이나 내면 이물의 발생, 즉, 유리병(103)의 내면 오염이나 내면 이물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그 결과, 유리병(103)의 강도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프레스 블로우 성형(PB),또는 내로우 네크 프레스 블로우 성형(NNPB)이 행하여질 경우, 플런저에 부착된 이형제에 의해 플런저와 패리슨의 밀착성이 악화하여 유리가 충분하게 고화되지 않는 것에 의한 성형 불량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도포 장치(40)는 제어부(41)에 의해 노즐(43)을 제어함으로써 실제의 이형제의 도포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41)는 변위기구(42)를 동작시킴으로써 노즐(43)의 위치를 바꾸면서 노즐(43)로부터 입구 금형(21) 및 마무리 금형(31)을 향해서 이형제를 도포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입구 금형(21)의 내면 및 마무리 금형(31)의 내면의 소망의 개소에 보다 정확하게 이형제를 도포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도포 장치(40)는 패리슨 성형시의 입구 금형(21)의 위치(A1)를 기준으로 해서, 조 금형(11)측의 플런저(16)로부터 멀어진 위치,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마무리 금형(31)의 상방에 입구 금형(21)이 배치되어 있을 때에 입구 금형(21)에 이형제를 도포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입구 금형(21)에 이형제를 도포할 때에, 이형제가 입구 금형(21) 이외의 의도하지 않는 개소, 예를 들면 플런저(16)에 부착되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패리슨(102)의 내면 오염이나 내면 이물의 발생, 즉, 유리병(103)의 내면 오염이나 내면 이물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그 결과, 유리병(103)의 강도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프레스 블로우 성형(PB), 또는 내로우 네크 프레스 블로우 성형(NNPB)이 행하여질 경우, 플런저(16)에 부착된 이형제에 의해 플런저(16)와 패리슨(102)의 밀착성이 악화하여 유리가 충분하게 고화되지 않는 것에 의한 성형 불량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입구 금형(21)에의 이형제 도포는 도포 장치(40)에 의해 행하여진다. 즉,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한 입구 금형(21)에의 이형제 도포작업이 불필요하게 되어, 이형제의 도포작업에 걸리는 작업자의 부담을 저감할 수 있음과 아울러, 이형제 도포에 있어서의 작업자의 안전성을 보다 향상할 수 있다. 또한, 기계동작에 의한 신속한 이형제 도포작업을 실현할 수 있기 때문에, 유리병(103)의 성형을 정지시키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면서, 수작업에 의한 이형제의 도포작업과 비교하여 도포 장치(40)에 의한 이형제의 도포작업이면 입구 금형(21)에의 이형제의 도포위치의 변화나 도포량의 편차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도포 장치(40)는 입구 금형(21)의 내면 중 유리병(103)의 입구부(103a)를 성형하는 입구부 성형면(21d)과, 입구 금형(21)의 대향면(21e)으로서 조 금형(11)의 하면(11c) 및 마무리 금형(31)의 대향면(31e)과 대향하는 대향면(21e)에 이형제를 도포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입구 금형(21) 중 조 금형(11)과 슬라이딩하는 개소에 입구 금형(21)의 내면과 함께 이형제를 도포할 수 있다.
또한, 도포 장치(40)는 입구 금형(21) 및 마무리 금형(31)에 동시에 이형제를 도포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도포 장치(40)는 입구 금형(21)에 이형제를 도포할 때에, 아울러 마무리 금형(31)에도 이형제를 도포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한 한에 있어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1) 상술의 실시형태 및 제1변형예에서는, 노즐(43)이 2방향 노즐인 형태를 예로 들어 설명했다. 그러나, 이와 같지 않아도 좋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제2변형예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도 12(A)에 나타내어져 있는 바와 같이, 노즐(43)에 있어서 제3분무구(도포부)(43c)를 추가함으로써 노즐(43)을 3방향 노즐로 해도 된다. 이 노즐(43)은 제1, 제2분무구(43a, 43b)에 추가해서, 제3분무구(43c)를 갖고 있다.
제3분무구(43c)는 노즐(43)의 중간 부분에 배치되어 있고, 슬릿 등에 의해 형성되어 이형제를 분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3분무구(43c)는 마무리 금형(31)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수평방향을 따르는 제3방향이고 제2분무구(43b)가 향하는 방향으로서의 제2방향과 평행하게 향해서 이형제를 분무한다.
제3분무구(43c)는 제2분무구(43b)의 상방(제2분무구(43b)로부터 노즐(43)의 기단측으로 나아간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예를 들면 노즐(43)의 중심축선을 중심으로 해서 노즐(43)의 외주면에 복수 배치되어 있다. 제3분무구(43c)는 이형제 분무시의 초기단계에 있어서 입구 금형(21)의 캐비티 내에 배치되어 있고, 입구부 성형면(21d)과 수평방향으로 마주보고 있다. 그리고, 이형제는 노즐(43)의 내부의 도시하지 않은 경로를 지나서 제3분무구(43c)에 이르고, 입구부 성형면(21d)에 분무된다.
이와 같이, 각 분무구(43a, 43b, 43c)는 이형제를 마무리 금형(31), 바닥 금형(32) 및 입구 금형(21)에 동시에 도포하는 도포부로서의 기능을 발휘한다.
(2) 또한, 상술의 실시형태 및 각 변형예에서는, 노즐(43)이 마무리 금형(31) 내에 배치되어 있을 때에 해당 노즐(43)로부터 이형제가 마무리 금형(31)에 분무되는 형태를 예로 들어 설명했다. 그러나, 이와 같지 않아도 좋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제3변형예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도 12(B)에 나타내어져 있는 바와 같이, 마무리 금형(31)의 한쌍의 분할 금형(31a, 31b)이 마무리 금형 개폐기구에 의해 열려 있을 때에, 또한, 입구 금형(21)이 바닥 금형(32)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을 때에, 노즐(43)로부터 이형제가 분무되어도 좋다. 이 때의 노즐(43)은, 예를 들면 상기 노즐(43)의 선단측에 제2분무구(43b)가 배치된 구성을 갖고 있다. 그리고, 제2분무구(43b)로부터의 이형제가 입구 금형(21)의 입구부 성형면(21d)에 분무된다. 그리고, 입구부(21)로부터 떨어진 이형제, 및 제2분무구(43b)로부터 분무되어서 하방으로 낙하한 이형제는, 바닥 금형(32)에 의해 받아진다. 이것에 의해, 바닥 금형(32)의 바닥 금형 성형면(32)의 전면에 이형제가 도포되어도 좋다.
(3) 또한, 상술의 실시형태 및 각 변형예에서는, 노즐(43)로부터 입구 금형(21), 마무리 금형(31), 및 바닥 금형(32)에의 이형제 분무의 형태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이와 같지 않아도 좋다. 노즐(43)은 입구 금형(21), 마무리 금형(31), 및 바닥 금형(32)에 대하여 1개소씩 이형제를 분무해도 좋다.
(4) 또한, 상술의 실시형태 및 변형예에 있어서, 하나의 도포 장치(40)로 마무리 금형(31) 및 입구 금형(21)을 페어로 하는 섹션(44)의 복수에 이형제를 도포하는 구성이 채용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제4변형예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인 도 13에 나타내어져 있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마무리 금형(31)(입구 금형(21))이 복수 섹션(44, 44, 44 …)에 배치되어 있을 경우에, 복수 섹션(44)의 마무리 금형(31), 바닥 금형(32) 및 입구 금형(21)에 하나의 도포 장치(40)로 이형제를 도포해도 좋다. 예를 들면, 제병기는 8∼12섹션(1섹션마다 1세트의 조 금형측과 마무리 금형측이 있다)으로 구성되고, 이들 섹션의 합계의 길이는 약 6m∼8m 정도이다. 또, 도 13에서는 일례로서 4개의 섹션(44)이 예시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변위기구(42)는 제병기(45)에(전체 섹션(44)에 대하여) 예를 들면 1대 설치된다. 그리고, 변위기구(42)는 복수의 섹션(44)의 각각의 측방을 통과하는 레일(46) 상을, 도시하지 않은 구동기구로부터의 동력에 의해 왕복 이동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도포 장치(40)는 각 섹션(44)의 측방으로 이동하고, 인접한 섹션(44)에 있어서의 마무리 금형(31) 및 입구 금형(21)의 적어도 한쪽에 이형제를 분무한다.
(5) 상술의 실시형태 및 각 변형예에서는, 제조 장치(1)가 목이 긴 유리병을 성형하는 형태를 예로 들어 설명했다. 그러나, 이와 같지 않아도 좋다. 예를 들면, 조 금형(11) 대신에 도시하지 않은 프레스 성형 조 금형으로 패리슨을 성형하고, 이 패리슨을, 마무리 금형(31) 대신에 도 14에 나타내는 마무리 금형(31A)으로 마무리 성형함으로써 입구가 큰 병인 유리병(103A)이 성형되어도 좋다. 도 14는 제조 장치(1)의 제5변형예를 나타내는 주요부의 도면이며, 마무리 금형(31A) 및 바닥 금형(32)의 측면을 나타내고 있다. 또, 이하에서는, 상술의 실시형태와 다른 점에 대해서 주로 설명하고, 동일한 구성에는 도면에 같은 부호를 붙여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마무리 금형(31A)은 바닥 금형(32)과 협동해서 패리슨(102A)(우측의 마무리 금형(31A)에 상상선인 2점쇄선으로 도시) 중 입구부(103aA)를 제외하는 부분을 성형함으로써 유리병(103A)(좌측의 마무리 금형(31A)에 상상선인 2점쇄선으로 도시)을 성형한다. 마무리 금형(31A)의 내면 중, 캐비티(35A)를 형성하고 있는 면이 마무리 금형 성형면(31fA)이다.
마무리 금형 성형면(31fA)은 네크부 성형면(31gA)과, 숄더부 성형면(31hA)과, 바디부 성형면(31iA)을 갖고 있다.
네크부 성형면(31gA)은, 예를 들면 바디부 성형면(31iA)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원통면이다. 네크부 성형면(31gA)의 상하방향의 길이는 바디부 성형면(31iA)의 상하방향의 길이보다 짧다.
또한, 숄더부 성형면(31hA)의 상하방향의 길이는 바디부 성형면(31iA)의 상하방향의 길이보다 짧다. 숄더부 성형면(31hA)은 유리병(103A) 중 네크부(103bA)의 베이스의 R부분으로부터 바디부(103dA)에 다다르는 부분까지를 성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바디부 성형면(31iA)은 직경이 대략 일정한 원통면이다. 이 바디부 성형면(31iA)의 저측에 감합면(31j)이 배치되어 있다.
이 마무리 금형(31A)으로의 이형제의 도포는 도포 장치(40)에 의해 행하여진다. 이 경우, 노즐(43)은 이형제의 분사 중 상하로 이동해도 좋고, 상하로 이동하지 않고 정지하고 있어도 좋다. 노즐(43)의 제1분무구(43a)는 바닥 금형 성형면(32f)에 이형제를 분무하고, 제2분무구(43b)는 네크부 성형면(31gA) 및 숄더부 성형면(31hA)에 이형제를 분무한다.
(6) 또한, 상술의 실시형태 등에서는 도포 장치(40)를 사용해서 이형제를 도포하는 형태를 예로 설명했다. 그러나, 이와 같지 않아도 좋다. 예를 들면, 작업자에 의한 수작업으로 이형제가 도포되어도 좋다. 또한, 도포 장치(40)는 노즐(43) 대신에 브러시 등의 다른 도포 부재를 이용하여 이형제를 도포해도 좋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유리병 마무리 성형용 금형으로의 이형제 도포 장치, 유리병 마무리 성형용 금형으로의 이형제 도포 방법, 유리병 제조 장치, 및 유리병 제조 방법으로서 널리 적용할 수 있다.
1 : 유리병 제조 장치
21 : 입구 금형
21e : 대향면
31, 31A : 마무리 금형
31a, 31b : 마무리 금형의 한쌍의 분할 금형
31e : 마무리 금형 중 입구 금형과 대향하는 대향면
31f, 31fA : 마무리 금형 성형면
31k : 슬라이딩면
32 : 바닥 금형
32f : 바닥 금형 성형면
36k : 슬라이딩면
40 : 이형제 도포 장치
41 : 제어부(제어 유닛)
42 : 변위기구
43 : 노즐
43a, 43b, 43c : 분무구(도포부)
101 : 곱
102, 102A : 패리슨
103, 103A : 유리병
21 : 입구 금형
21e : 대향면
31, 31A : 마무리 금형
31a, 31b : 마무리 금형의 한쌍의 분할 금형
31e : 마무리 금형 중 입구 금형과 대향하는 대향면
31f, 31fA : 마무리 금형 성형면
31k : 슬라이딩면
32 : 바닥 금형
32f : 바닥 금형 성형면
36k : 슬라이딩면
40 : 이형제 도포 장치
41 : 제어부(제어 유닛)
42 : 변위기구
43 : 노즐
43a, 43b, 43c : 분무구(도포부)
101 : 곱
102, 102A : 패리슨
103, 103A : 유리병
Claims (14)
- 마무리 금형에 형성된 마무리 금형 성형면의 일부, 및 이 마무리 금형의 하부에 배치되는 바닥 금형에 형성된 바닥 금형 성형면의 전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이형제를 도포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병 마무리 성형용 금형으로의 이형제 도포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제를 분무하는 노즐을 구비하고,
상기 마무리 금형 성형면은 유리병의 네크부를 성형하기 위한 네크부 성형면, 상기 네크부 성형면의 하방에 배치되어서 상기 유리병의 숄더부를 성형하기 위한 숄더부 성형면, 및 상기 숄더부 성형면의 하방에 배치되어서 상기 유리병의 바디부를 성형하기 위한 바디부 성형면의 일부에 형성되어서 상기 유리병의 상기 바디부에 대하여 요철형상을 갖는 조각부를 성형하기 위한 조각부 성형면을 포함하고,
상기 노즐이, 상기 네크부 성형면, 상기 숄더부 성형면, 상기 조각부 성형면, 및 상기 마무리 금형 중 입구 금형과 대향함과 아울러 상기 네크부 성형면에 인접해서 형성된 대향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상기 바닥 금형 성형면의 전면에, 상기 이형제를 도포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병 마무리 성형용 금형으로의 이형제 도포 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로서 복수의 다른 방향을 향해서 상기 이형제를 분무하는 다방향 노즐을 구비하고,
상기 다방향 노즐이, 상기 네크부 성형면, 상기 숄더부 성형면, 상기 조각부 성형면, 및 상기 마무리 금형 중 상기 입구 금형과 대향함과 아울러 상기 네크부 성형면에 인접해서 형성된 대향면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와, 상기 바닥 금형 성형면의 전면의 양쪽에 대하여, 상기 이형제를 도포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병 마무리 성형용 금형으로의 이형제 도포 장치. -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무리 금형의 한쌍의 분할 금형이 닫혀진 상태일 때에 상기 이형제를 도포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병 마무리 성형용 금형으로의 이형제 도포 장치. -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패리슨이 상기 마무리 금형에 삽입되어 있지 않은 타이밍에서 상기 이형제를 도포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병 마무리 성형용 금형으로의 이형제 도포 장치. -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무리 금형의 한쌍의 분할 금형이 열렸을 때에 상기 바닥 금형 중 상기 마무리 금형과 상기 바닥 금형의 슬라이딩면에 상기 이형제를 도포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병 마무리 성형용 금형으로의 이형제 도포 장치. -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입구 금형이 상기 마무리 금형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을 때에 상기 마무리 금형에 상기 이형제를 도포함으로써, 상기 입구 금형 및 상기 마무리 금형에 동시에 상기 이형제를 도포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병 마무리 성형용 금형으로의 이형제 도포 장치.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마무리 금형과 상기 입구 금형 사이에 간극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이형제를 도포함으로써, 상기 입구 금형과 상기 마무리 금형의 서로의 대향면에 동시에 상기 이형제를 도포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병 마무리 성형용 금형으로의 이형제 도포 장치. -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무리 금형을 포함하는 유리병 제조 장치에 있어서 곱이 투입되지 않고, 통상의 제병 사이클과는 다른 동작 사이클인 스왑 사이클 중, 입구 금형이 상기 마무리 금형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을 때에 상기 마무리 금형 및 상기 입구 금형에 상기 이형제를 도포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병 마무리 성형용 금형으로의 이형제 도포 장치. -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제를 상기 마무리 금형에 도포하는 도포부와,
상기 도포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병 마무리 성형용 금형으로의 이형제 도포 장치.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부는 상기 마무리 금형에 대하여 변위기구에 의해 변위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변위기구의 동작 및 상기 도포부로부터의 상기 이형제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병 마무리 성형용 금형으로의 이형제 도포 장치. - 마무리 금형에 형성된 마무리 금형 성형면의 일부, 및 이 마무리 금형의 하부에 배치되는 바닥 금형에 형성된 바닥 금형 성형면의 전면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이형제를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병 마무리 성형용 금형으로의 이형제 도포 방법.
-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유리병 마무리 성형용 금형으로의 이형제 도포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병 제조 장치.
- 마무리 금형에 형성된 마무리 금형 성형면의 일부, 및 이 마무리 금형의 하부에 배치되는 바닥 금형에 형성된 바닥 금형 성형면의 전면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이형제를 도포하는 이형제 도포 스텝과,
상기 마무리 금형을 이용하여 유리병을 성형하는 성형 스텝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병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7189686 | 2017-09-29 | ||
JPJP-P-2017-189686 | 2017-09-29 | ||
JPJP-P-2018-177968 | 2018-09-21 | ||
JP2018177968A JP6500154B1 (ja) | 2017-09-29 | 2018-09-21 | ガラスびん仕上成形用金型への離型剤塗布装置、ガラスびん仕上成形用金型への離型剤塗布方法、ガラスびん製造装置、および、ガラスびん製造方法 |
PCT/JP2018/035977 WO2019065853A1 (ja) | 2017-09-29 | 2018-09-27 | ガラスびん仕上成形用金型への離型剤塗布装置、ガラスびん仕上成形用金型への離型剤塗布方法、ガラスびん製造装置、および、ガラスびん製造方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51817A true KR20200051817A (ko) | 2020-05-13 |
KR102127651B1 KR102127651B1 (ko) | 2020-06-29 |
Family
ID=66092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7011583A KR102127651B1 (ko) | 2017-09-29 | 2018-09-27 | 유리병 마무리 성형용 금형으로의 이형제 도포 장치, 유리병 마무리 성형용 금형으로의 이형제 도포 방법, 유리병 제조 장치, 및 유리병 제조 방법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10851014B2 (ko) |
JP (1) | JP6500154B1 (ko) |
KR (1) | KR102127651B1 (ko) |
CN (1) | CN111164054B (ko) |
AU (1) | AU2018341805B2 (ko) |
TW (1) | TWI734036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943483A (zh) * | 2020-08-31 | 2020-11-17 | 重庆昊晟玻璃股份有限公司 | 玻璃瓶成型系统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05383Y2 (ja) * | 1979-03-14 | 1985-02-19 | 富士通株式会社 | キ−ボ−ド多重打鍵検出回路 |
JPS6030816Y2 (ja) * | 1979-12-03 | 1985-09-14 | 三洋電機株式会社 | テ−プレコ−ダのミユ−テイング回路 |
JPH05294665A (ja) * | 1992-04-17 | 1993-11-09 | N Tec:Kk | ガラス容器製造装置の離型剤塗布装置 |
JP2003335530A (ja) * | 2002-05-17 | 2003-11-25 | Nihon Yamamura Glass Co Ltd | ガラス容器成形用金型 |
JP2009538818A (ja) | 2006-05-29 | 2009-11-12 | サン−ゴバン アンバラージュ | 中空ガラス製品形成型の自動油塗り |
JP6099155B2 (ja) * | 2012-03-13 | 2017-03-22 | Necエナジーデバイス株式会社 | 二次電池用電解液およびそれを用いた二次電池 |
Family Cites Families (1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99155B2 (ja) * | 1985-06-26 | 1994-12-07 | 山村硝子株式会社 | ガラス製びん機の金型潤滑液塗布装置 |
US4765821A (en) * | 1987-01-30 | 1988-08-23 | Ball Corporation | Apparatus for lubricating glassware mold |
US4867777A (en) * | 1987-01-30 | 1989-09-19 | Ball Corporation | Apparatus and method for lubricating glassware mold |
JPH0630816Y2 (ja) * | 1987-08-10 | 1994-08-17 | 麒麟麦酒株式会社 | ガラス壜用成形金型の潤滑液塗布装置 |
JPH065383Y2 (ja) * | 1988-12-06 | 1994-02-09 | 株式会社エヌテック | ガラス製壜機の金型潤滑液塗布装置 |
US20030168372A1 (en) * | 2002-02-06 | 2003-09-11 | Pepsico, Inc. | Translucent container |
CN1167637C (zh) * | 2002-04-26 | 2004-09-22 | 上海高雅玻璃有限公司 | 多型腔玻璃瓶罐的制瓶方法及其设备 |
JP5294665B2 (ja) | 2008-03-18 | 2013-09-18 | 中国電力株式会社 | 電線端末キャップ |
ITVE20080032A1 (it) * | 2008-04-16 | 2009-10-17 | Zignago Vetro Spa | Metodo e dispositivo di lubrificazione degli stampi in macchine per produrre articoli di vetro.- |
JP6030816B2 (ja) | 2009-07-28 | 2016-11-24 | 帝人株式会社 | 光弾性定数が低い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を用いたフィルム状物 |
CN202449979U (zh) * | 2012-03-12 | 2012-09-26 | 重庆昊晟玻璃股份有限公司 | 玻璃瓶生产线上的底模 |
JP6005383B2 (ja) | 2012-03-30 | 2016-10-12 | Hoya株式会社 | 電子内視鏡システム |
WO2013192260A1 (en) * | 2012-06-19 | 2013-12-27 | Pepsico, Inc. | Method for making molded fiber bottles |
KR101428645B1 (ko) * | 2012-08-07 | 2014-08-13 | (주)퍼시픽글라스 | 유리병 블로우 성형장치 및 그 성형방법 |
US9296633B2 (en) * | 2013-07-12 | 2016-03-29 | Jay Markel | Method for making sculptural interior in a vessel and vessels produced thereby |
EP3157878B1 (en) * | 2015-02-18 | 2018-05-09 | IS Engineering AG | Method for lubricating molten glass forming molds and machine using such molds |
DK3341595T3 (da) | 2015-08-24 | 2022-09-05 | A P Moeller Mærsk As | Fremgangsmåde og apparat til tildannelse af en olie, som skal tilføres cylindrene i en totaktskrydshovedmotor |
PT3135640T (pt) | 2015-08-26 | 2020-05-20 | Socabelec S A | Lubrificação de moldes esboçadores num processo de fabrico de produtos de vidro ocos |
JP6277308B1 (ja) * | 2017-06-28 | 2018-02-07 | 日本山村硝子株式会社 | ガラスびん製造用粗型への離型潤滑剤塗布装置、ガラスびん製造用粗型への離型潤滑剤塗布方法、ガラスびん製造装置、および、ガラスびん製造方法 |
-
2018
- 2018-09-21 JP JP2018177968A patent/JP6500154B1/ja active Active
- 2018-09-27 AU AU2018341805A patent/AU2018341805B2/en active Active
- 2018-09-27 CN CN201880063336.9A patent/CN111164054B/zh active Active
- 2018-09-27 KR KR1020207011583A patent/KR102127651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8-09-28 TW TW107134423A patent/TWI734036B/zh active
-
2020
- 2020-03-30 US US16/835,061 patent/US10851014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05383Y2 (ja) * | 1979-03-14 | 1985-02-19 | 富士通株式会社 | キ−ボ−ド多重打鍵検出回路 |
JPS6030816Y2 (ja) * | 1979-12-03 | 1985-09-14 | 三洋電機株式会社 | テ−プレコ−ダのミユ−テイング回路 |
JPH05294665A (ja) * | 1992-04-17 | 1993-11-09 | N Tec:Kk | ガラス容器製造装置の離型剤塗布装置 |
JP2003335530A (ja) * | 2002-05-17 | 2003-11-25 | Nihon Yamamura Glass Co Ltd | ガラス容器成形用金型 |
JP2009538818A (ja) | 2006-05-29 | 2009-11-12 | サン−ゴバン アンバラージュ | 中空ガラス製品形成型の自動油塗り |
JP6099155B2 (ja) * | 2012-03-13 | 2017-03-22 | Necエナジーデバイス株式会社 | 二次電池用電解液およびそれを用いた二次電池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TWI734036B (zh) | 2021-07-21 |
CN111164054B (zh) | 2020-11-06 |
JP2019064906A (ja) | 2019-04-25 |
US20200255323A1 (en) | 2020-08-13 |
AU2018341805B2 (en) | 2022-08-11 |
AU2018341805A1 (en) | 2020-05-07 |
KR102127651B1 (ko) | 2020-06-29 |
US10851014B2 (en) | 2020-12-01 |
CN111164054A (zh) | 2020-05-15 |
JP6500154B1 (ja) | 2019-04-10 |
TW201920024A (zh) | 2019-06-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AU2018293972B2 (en) | Mold release lubricant application device for rough mold for glass bottle manufacturing, mold release lubricant application method for rough mold for glass bottle manufacturing, device for manufacturing glass bottle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glass bottles | |
US8375743B2 (en) | Automatic greasing of molds for forming hollow glass products | |
JP7017245B2 (ja) | 中空ガラス製品の製造方法におけるパリソン金型の潤滑 | |
KR102127651B1 (ko) | 유리병 마무리 성형용 금형으로의 이형제 도포 장치, 유리병 마무리 성형용 금형으로의 이형제 도포 방법, 유리병 제조 장치, 및 유리병 제조 방법 | |
JP2003506302A (ja) | パリソン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装置 | |
EP0327240A1 (en) | Individual section glass forming machine | |
JP6500067B1 (ja) | ガラスびん成形用口型への離型剤塗布装置、ガラスびん成形用口型への離型剤塗布方法、ガラスびん製造装置、および、ガラスびん製造方法 | |
WO2019065853A1 (ja) | ガラスびん仕上成形用金型への離型剤塗布装置、ガラスびん仕上成形用金型への離型剤塗布方法、ガラスびん製造装置、および、ガラスびん製造方法 | |
KR101374127B1 (ko) | 용융 상태에 있는 플라스틱 분량의 취급 장치 및 취급 방법 | |
JP2010516507A (ja) | プリフォームを後冷却する装置および方法 | |
JPS58500478A (ja) | 中空ガラス製品製造用のis−加工機 | |
JP5074484B2 (ja) | プラスチック材料からなる製品を圧縮成形するための装置と方法 | |
CN110475656B (zh) | 用于将塑料预制件成型为具有可移动底部的塑料瓶的设备和方法 | |
AU2022279435B2 (en) | IS Machine For Producing Glass Containers And Method For Operating An IS Machine Of This Kind | |
KR100414176B1 (ko) | 쉘몰드용 냉각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