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3406A - 미백제, 미백용 피부 외용제 및 피부의 미백 방법 - Google Patents

미백제, 미백용 피부 외용제 및 피부의 미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3406A
KR20200043406A KR1020207006397A KR20207006397A KR20200043406A KR 20200043406 A KR20200043406 A KR 20200043406A KR 1020207006397 A KR1020207006397 A KR 1020207006397A KR 20207006397 A KR20207006397 A KR 20207006397A KR 20200043406 A KR20200043406 A KR 202000434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itening
acid
skin
salt
rotunge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6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코토 츠보이
히로유키 코지마
테루아키 마스타니
타케시 키타
Original Assignee
이치마루 화루코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치마루 화루코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치마루 화루코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434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34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5Hydroxycarboxylic acids; Keto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3Steroid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과제>
본 발명은 신규의 미백 성분을 찾아내어, 신규 미백 성분을 함유하는 미백제, 미백용 피부 외용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해결 수단>
신규 미백 성분을 찾아내기 위해, 아직 미백 효과가 검토되어 있지 않은 다수의 화합물에 대해 시험을 행한 결과, 로툰겐산에 높은 미백 효과를 찾아냈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로툰겐산을 함유한 미백제, 미백용 피부 외용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미백제, 미백용 피부 외용제 및 피부의 미백 방법
본 발명은 로툰겐산 또는 그 염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미백제, 미백용 피부 외용제 및 이것을 이용하는 피부의 미백 방법에 관한 것이다.
<관련출원의 상호참조>
본 출원은 2017년 8월 23일에 일본국에 있어서 출원된 특허출원 2017-160160호에 기초하는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고, 당해 출원에 기재된 내용은 모두, 참조에 의해 그대로 본 명세서에 원용된다. 또, 본원에 있어서 인용한 모든 특허, 특허출원 및 문헌에 기재된 내용은 모두, 참조에 의해 그대로 본 명세서에 원용된다.
미용상, 피부에 생기는 기미, 주근깨 등의 색소 침착이 문제시되고 있어, 색소 침착을 억제하는 아르부틴이나 아스코브산 유도체, 코지산 등의 성분을 피부 외용제에 배합하는 것이 제안되고 있다. 그렇지만, 대기 오염이나 오존층 파괴에 의해 표피에 닿는 자외선은 해마다 증가 경향에 있고, 그것에 대응하는 색소 침착의 예방이나 개선에 효과적인 신규 성분이 필요하게 되고 있다(특허문헌 1~3)
그래서 종래의 미백 성분에 바뀌는 성분으로서, 예를 들면 호두 유래의 폴리페놀 등 미백 효과를 나타낸 것 등이 보고되고 있지만, 종래의 미백 성분보다 뛰어난 효과는 확인할 수 없었다(특허문헌 4).
일본국 특허공개 1997-20610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1992-182492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1990-200622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2008-81408호 공보
본 발명은 신규의 미백 성분을 찾아내어, 신규 미백 성분을 함유하는 미백제, 미백용 피부 외용제 및 피부의 미백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신규 미백 성분을 찾아내기 위해, 아직 미백 효과가 검토되어 있지 않은 다수의 화합물에 대해 시험을 행한 결과, 로툰겐산에 높은 미백 효과를 찾아냈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로툰겐산을 함유한 미백제, 미백용 피부 외용제를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형태를 포함한다.
(1) 로툰겐산 또는 그 염을 미백용 유효 성분으로서 0.00004~5중량% 함유하는 미백제.
(2) 로툰겐산 또는 그 염을 미백용 유효 성분으로서 0.00004~5중량% 함유하는 미백용 피부 외용제.
(3) 상기 로툰겐산의 함유량이 적어도 0.009중량%, 바람직하게는 0.09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9중량%인 (2)에 기재된 미백제 또는 미백용 피부 외용제.
(4) 로툰겐산 또는 그 염을 유효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조성물의 유효량을 그 필요가 있는 대상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피부의 미백 방법.
(5) 로툰겐산 또는 그 염을 적어도 0.009중량%, 바람직하게는 0.09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9중량% 포함하는 조성물로 피부를 처리하는 것을 포함하는 피부의 미백 방법.
(6) 상기 피부의 처리가 상기 피부가 자외선에 노출되기 전 또는 그 직후에 행해지는 (4) 또는 (5)의 미백 방법.
(7) 미백제 또는 미백용 피부 외용제의 유효 성분으로서 사용하기 위한, 로툰겐산 또는 그 염을 포함하는 조성물.
(8) 로툰겐산 또는 그 염을 유효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조성물의, 피부의 미백 처리를 위한 사용.
(9) 미백제 또는 미백용 피부 외용제의 제조에 있어서의, 로툰겐산 또는 그 염의 사용.
본 발명에 의하면, 안전하고 뛰어난 미백제, 미백용 피부 외용제의 제공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로툰겐산의 LC/MS 차트이다.
도 2는 로툰겐산의 티로시나제 유전자 발현 억제 작용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3은 피험 샘플 도포와 자외선 조사에 대한 모르모트 피부의 명도 추이 상황을 나타내는 것이다. 종축에는 자외선 조사 전의 L치를 0으로 했을 때, 자외선 조사 전부터 피험 샘플 도포 개시 후에 있어서의 L치의 차(ΔL)를 나타내고, 횡축에는 일수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이하의 화학 구조식으로 표시되는 로툰겐산(Rotungenic acid)은 시약으로서 시판되고 있거나, 또는 공지의 문헌(예를 들면 Nakatani 등, Phytochemistry, 28(5) 1479-1482(1989)) 기재의 방법에 준하여 식물, 동물, 균체 등으로부터 추출, 합성 등 하여 얻을 수 있고, 이들을 더 칼럼 등을 이용하여 정제해도 좋다. 또 로툰겐산의 염으로서는 나트륨, 칼륨, 칼슘, 마그네슘이나 아연 등의 1가 또는 2가 이상의 무기 금속염, 암모늄염, 트리에탄올아민염, 트리에틸아민염 등의 유기 아민염류, 리신염, 아르기닌염 등의 알칼리성 아미노산염 등을 바람직하게 예시할 수 있다. 또, 로툰겐산의 에스터라도 좋고, 탄소수 1~30의 지방족 내지는 방향족의 에스터를 바람직하게 예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방족의 에스터이면, 메틸 에스터, 에틸 에스터, 헥실 에스터, 2-에틸헥실 에스터, 라우릴 에스터, 스테아릴 에스터, 베헤닐 에스터, 이소스테아릴 에스터, 올레일 에스터 등을 바람직하게 예시할 수 있고, 방향족 에스터이면, 벤질 에스터, 페네틸 에스터, 신나밀 에스터 등을 매우 적합하게 예시할 수 있다. 이러한 에스터는 에스터를 형성하는 알코올에 염화티오닐 등의 할로겐화 시약을 반응시켜 할라이드로 변환하고, 그런 후에 알칼리 존재하 로툰겐산과 축합함으로써 제조할 수가 있다.
Figure pct00001
본 발명의 미백제, 미백용 피부 외용제를 제조함에 있어서, 사용하는 로툰겐산 또는 로툰겐산의 염의 형상으로서는 액상, 고형상, 분말상, 페이스트상 등 어느 형상이라도 좋고,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최적인 형상을 임의로 선택할 수가 있다.
로툰겐산 및/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티로시나제의 발현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 범위이면 특히 제한은 없지만 0.00004~5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후술하는 실시예에 있어서, 로툰겐산을 0.000005중량%(약 0.1μM)로 첨가했을 때의, B16 멜라노마 세포에 대한 티로시나제 유전자 발현의 억제 효과에 비해, 0.00004중량%(약 0.8μM) 첨가한 경우의 억제 효과 쪽이 높았던 것, 및 로툰겐산을 7중량% 배합한 경우에 비해 5중량% 배합한 경우 쪽이 외용제의 사용감이 좋았던 것에 기초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미백제 또는 미백용 피부 외용제의 바람직한 태양에서는 로툰겐산 또는 그 염을 적어도 0.001중량% 포함하고 있으면 좋고(처방예 1~32 참조),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0.009중량%, 0.09중량% 또는 0.9중량% 이다(시험 5 참조).
본 발명에 의한 미백제, 미백용 피부 외용제의 제형은 임의이고, 앰플상, 캡슐상, 분말상, 과립상, 환제, 정제상, 고형상, 액상, 겔상, 기포상, 유액상, 크림상, 연고상, 시트상, 무스상, 분말 분산상, 다층상, 에어졸상 등으로 할 수가 있다.
구체적인 미백용 피부 외용제(동물용으로 사용하는 제제도 포함한다)로서는 앰플, 캡슐, 환제, 정제, 분말, 과립, 고형, 액체, 겔, 기포, 에멀젼, 시트, 미스트, 스프레이제 등 이용상의 적당한 형태의 1) 의약품류, 2) 의약부외품류, 3) 국소용 또는 전신용의 피부용 화장품류(예를 들면 화장수, 유액, 크림, 연고, 로션, 오일, 팩 등의 기초 화장료, 고형 비누, 액체 비누, 핸드 워쉬 등의 세안료나 피부 세정료, 마사지용제, 클렌징용제, 제모제, 탈모제, 면도 처리료, 애프터쉐이브 로션, 프리쉐이브 로션, 쉐이빙 크림, 파운데이션, 루주, 볼연지, 아이쉐도우, 아이라이너, 마스카라 등의 메이크업 화장료, 향수류, 매니큐어제, 매니큐어에나멜, 매니큐어에나멜 제거제, 습포제, 플래스터제, 테이프제, 시트제, 첩부제, 에어졸제 등), 4) 두피·두발에 적용하는 약용 또는/및 화장용의 제제류(예를 들면 샴푸제, 린스제, 헤어트리트먼트제, 프리헤어트리트먼트제, 퍼머넌트액, 염모료, 이발료, 헤어토닉제, 육모·양모료, 습포제, 플래스터제, 테이프제, 시트제, 에어졸제 등), 5) 욕탕에 투입하여 사용하는 욕용제, 6) 그 외에 액취 방지제나 소취제, 제한(制汗)제, 위생용품, 위생 면류, ?티슈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인 미백제의 용도로서는 주로 외용제에의 배합이고, 상기 미백용 피부 외용제에 든 형태로 배합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미백제의 유효 성분은 투여를 받는 대상의 연령, 성별, 체중 및 투여 경로 또는 처방자의 판단에 따라 바뀔 수 있다. 이러한 인자에 기초한 적용량의 결정은 당업자의 수준 내에 있고, 그 1일 투여량은 예를 들어 0.01mg/kg/일~10mg/kg/일, 보다 구체적으로는 0.5mg/kg/일~5mg/kg/일이라도 좋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피부 외용제, 미백제, 미백용 피부 외용제에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이면, 통상 외용제에 사용하는 성분이면 배합할 수가 있고, 이하 배합할 수 있는 성분을 예시한다.
(1) 각종 유지류: 아보카도유, 아몬드유, 회향유, 들기름, 올리브유, 참기름, 카카오지, 카밀레유, 새플라워유, 쉬어지, 대두유, 동백유, 옥수수유, 유채씨유, 피마자유, 면실유, 낙화생유, 터틀유, 밍크유, 난황유, 팜유, 팜핵유, 야자유, 우지, 스쿠알렌, 스쿠알란, 프리스탄 또는 이들 유지류의 수소 첨가물(경화유 등), 아마인유 등.
(2) 납류: 밀랍, 경랍, 라놀린, 칸델릴라왁스, 몬탄왁스, 쌀겨왁스 등.
(3) 광물유: 유동 파라핀, 바셀린, 파라핀 등.
(4) 지방산류: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베헨산, 올레산, 올레산나트륨, 리놀산, 리놀렌산, 도코사헥사엔산, 에이코사펜타엔산,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 운데실렌산, 라놀린 지방산, 카프로산, 2-에틸부탄산, 이소펜탄산 등.
(5) 알코올류: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라우릴 알코올, 세탄올, 스테아릴 알코올, 올레일 알코올, 라놀린 알코올, 콜레스테롤, 피토스테롤, 페녹시에탄올 등.
(6) 다가 알코올류: 에틸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1, 3-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아라비톨, 자일리톨, 리비톨, 소비톨, 만니톨, 말티톨 등.
(7) 에스터류: 미리스트산이소세틸, 미리스트산이소스테아릴, 팔미트산2-에틸헥실, 팔미트산이소세틸, 팔미트산이소스테아릴, 스테아르산2-에틸헥실, 스테아르산이소세틸, 올레산이소데실, 올레산옥틸도데실, 리시놀레산옥틸도데실, 미리스트산이소프로필, 팔미트산이소프로필, 스테아르산부틸, 라우르산헥실, 미리스트산미리스틸, 올레산올레일, 올레산데실, 미리스트산옥틸도데실, 디메틸옥탄산헥실데실, 유산세틸, 유산미리스틸, 프탈산디에틸, 프탈산디부틸, 초산라놀린, 모노스테아르산에틸렌글리콜, 모노스테아르산프로필렌글리콜, 디올레산프로필렌글리콜 등.
(8) 검질, 당류 또는 수용성 고분자 화합물: 잔탄검, 아라비아고무, 캐로브검, 구아검, 카라야검, 퀸스시드, 한천, 카제인, 유당, 과당, 자당 또는 그 에스터, 트레할로스 또는 그 유도체, 덱스트린, 젤라틴, 펙틴, 전분, 카라기난, 카복시메틸키틴 또는 키토산, 에틸렌옥사이드 등의 알킬렌(C2~C4)옥사이드가 부가된 히드록시알킬(C2~C4)키틴 또는 키토산, 저분자 키틴 또는 키토산, 키토산염, 황산화키틴 또는 키토산, 인산화키틴 또는 키토산, 알긴산 또는 그 염, 히알루론산 또는 그 염, 콘드로이틴황산 또는 그 염, 헤파린, 에틸셀룰로스, 메틸셀룰로스, 카복시메틸셀룰로스, 카복시에틸셀룰로스, 카복시에틸셀룰로스나트륨, 히드록시에틸셀룰로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니트로셀루로스, 결정 셀룰로스,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메틸에테르,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메타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산염, 폴리에틸렌옥사이드나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 등의 폴리알킬렌옥사이드 또는 그 가교 중합물, 카복시비닐 폴리머, 폴리에틸렌이민 등.
(9) 계면활성제: 음이온 계면활성제(알킬카복실산염, 알킬술폰산염, 알킬황산에스터염, 알킬인산에스터염, 라우르산나트륨, 라우르산칼륨, 팔미트산나트륨, 팔미트산칼륨, 야자유지방산메틸타우린염, N-카프로일메틸타우린염, N-라우로일메틸타우린염, N-미리스토일메틸타우린염, N-팔미토일메틸타우린염, N-스테아로일메틸타우린염, N-올레오일메틸타우린염, N-코코일글루탐산염, N-라우로일글루탐산염, N-미리스토일글루탐산염, N-팔미토일글루탐산염, N-스테아로일글루탐산염, N-올레오일글루탐산염 등), 양이온 계면활성제(알킬아민염, 알킬 4급 암모늄염, 염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라우릴트리메틸암모늄, 알킬트리메틸암모늄염, 염화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양성 계면활성제(카복실산형 양성 계면활성제(아미노형, 베타인형), 황산에스터형 양성 계면활성제, 술폰산형 양성 계면활성제, 인산에스터형 양성 계면활성제, 2-운데실-N, N, N-(히드록시에틸카복시메틸)-2-이미다졸린나트륨, 2-코코일-2-이미다졸리늄히드록사이드-1-카복시에틸옥시2나트륨염 등), 비이온 계면활성제(에테르형 비이온 계면활성제, 에테르에스터형 비이온 계면활성제, 에스터형 비이온 계면활성제, 블록 폴리머형 비이온 계면활성제, 함질소형 비이온 계면활성제, 스테아르산글리세릴, 스테아르산글리세릴(SE), 디스테아르산폴리글리세릴-3메틸글루코스, 구연산스테아르산글리세릴, 라우르산폴리글리세릴-10, 스테아르산PEG-15글리세릴, 스테아르산PEG-5글리세릴 및 디(구연산/스테아르산)폴리글리세릴-3, 트리이소스테아르산PEG-20글리세릴), 그 외의 계면활성제(천연 계면활성제, 단백질 가수분해물의 유도체, 고분자 계면활성제, 티탄·규소를 포함하는 계면활성제, 불화탄소계 계면활성제) 등.
(10) 각종 비타민류: 비타민 A군: 레티놀, 레티날(비타민 A1), 데히드로레티날(비타민 A2), 카로틴, 리코핀(프로비타민 A), 비타민 B군: 티아민염산염, 티아민황산염(비타민 B1), 리보플라빈(비타민 B2), 피리독신(비타민 B6), 시아노코발아민(비타민 B12), 엽산류, 니코틴산류, 판토텐산류, 비오틴류, 콜린, 이노시톨류, 비타민 C군: 비타민 C산 또는 그 유도체, 비타민 D군: 에르고칼시페롤(비타민 D2), 콜레칼시페롤(비타민 D3), 디히드로타키스테롤, 비타민 E군: 비타민 E 또는 그 유도체, 유비퀴논류, 비타민 K군: 피토나디온(비타민 K1), 메나퀴논(비타민 K2), 메나디온(비타민 K3), 메나디올(비타민 K4), 그 외에, 필수 지방산(비타민 F), 카니틴, 페룰산, γ-오리자놀, 오로트산, 비타민 P류(루틴, 에리오시트린, 헤스페리딘), 비타민 U 등.
(11) 각종 아미노산류: 발린, 류신, 이소류신, 트레오닌, 메티오닌, 페닐알라닌, 트립토판, 리신, 글리신, 알라닌, 아스파라긴, 글루타민, 세린, 시스테인, 시스틴, 티로신, 프롤린, 히드록시프롤린, 아스파라긴산, 글루탐산, 히드록시리신, 아르기닌, 오르니틴, 히스티딘 등이나, 그들의 황산염, 인산염, 질산염, 구연산염, 혹은 피롤리돈카복실산과 같은 아미노산 유도체 등.
(12) α-히드록시산류: 글리콜산, 구연산, 사과산, 주석산, 유산 등, 유산나트륨 등.
(13) 식물 추출물류: 신선초, 나한백, 아세롤라, 아선약, 아니스, 유채, 아보카도, 아마, 감차, 돌외, 둥글레, 아마란서스(비름, 색비름, 줄맨드라미, 선인곡, 아마란투스 쿠루엔투스, 아마란투스 히브리두스, 아마란투스 레트로플렉수스, 아마란투스 스피노수스, 에피팍티스 파필로사, 아마란투스 히포콘드리악스), 알스토로에메리아(알스트로에메리아 풀첼라), 알테어, 아르니카, 알피니아, 카츠마다이, 알로에, 알로에베라, 안식향, 딸기, 무화과, 은행나무, 벼, 백리향, 쐐기풀, 우롱차, 회향, 로니세라 그라실리페스, 심황, 당아욱, 땃두릅 또는 멧두릅, 운카리아 토멘토사, 매실, 귤, 운보쿠, 에스트라곤, 가시오갈피, 황련, 질경이, 대실 산사자 또는 산사자, 보리, 오크라, 인삼 또는 죽절삼, 고추나물, 소미엽제절초, 세인트존스워트, 광대수염, 디오스코레아 토코로, 토코로, 비해, 네덜란드 겨자, 올리브, 오레가노, 오렌지, 레마니아 글루티노사, 카카오, 감나무, 카네이션, 쥐오줌풀, 부들, 자작나무, 베투라 펜둘라, 거베라, 호박, 카밀레, 로마카밀레, 카무카무, 칼라, 과라나, 일본후박, 사철쑥, 감초, 나무딸기(멍덕딸기, 네덜란드딸기, 붉은가시딸기, 멍석딸기, 단풍딸기, 유럽나무딸기), 키위, 도라지, 국화(감국, 구절초), 나무알로에, 금귤, 구아바, 칡, 얼룩조릿대, 고삼, 크랜베리, 밤, 그레이프프루트, 방아풀, 클로브, 말냉이(석명, 석명자), 월계수, 토복령, 겐티아나, 이질풀, 레몬밤, 홍차, 황금, 야자나무, 오수유, 복분자, 후추, 코스모스, 커피, 우엉, 참깨, 오미자, 밀, 쌀, 쌀겨, 곤약, 캄프리, 왕벚나무, 타카네자쿠라, 개벚나무, 체리, 석류, 조릿대, 산다화, 고구마, 사탕수수, 사탕무, 사프란, 자몽, 소프워트, 샐비어, 산수유, 산초, 시아노키, 표고버섯, 날개콩, 디기탈리스, 차조기, 푸른 차조기, 치리멘지소, 카타멘지소, 소엽맥문동, 율무, 생강, 창포, 토끼풀, 계골초, 플로렌스붓꽃, 수박, 인동덩굴, 스티비아, 딸기, 자두, 서양낙엽송, 서양담쟁이덩굴, 서양호두나무, 서양산사나무, 서양민들레, 서양칠엽수, 서양배, 서양접골목, 당아욱, 미나리, 셀러리, 천궁이, 멀구슬나무, 쓴풀, 잠두, 대황, 무, 콩, 등자, 백리향, 타임, 디스코레아 그라실리마, 양파, 달리아, 단삼, 민들레, 체리, 튤립, 아티초크, 달맞이꽃, 동백나무, 병풀, 개미자리, 닭의장풀, 우뭇가사리, 텐챠, 천태오약, 동아, 고추, 당귀, 금잔화, 조각자나무, 딥사쿠스 아스퍼, 옥수수, 용담, 삼백초, 토마토, 텍사스블루벨, 토르멘틸라, 마, 참마, 부처스브룸, 대추, 육두구, 딱총나무, 마늘, 찔레꽃, 톱풀, 찔레꽃, 프루누스 페르시카 바르 다비디아나, 파인애플, 하이비스커스(불상화, 풍림불상화, 로젤), 바질, 연꽃, 파슬리, 쌀보리, 바타타, 담죽, 박하, 율무, 바나나, 오리가눔, 파파야, 해당화, 하마멜리스, 장미, 석산, 피스타치오, 비트, 노송나무, 피마자, 해바라기, 양아욱, 중국할미꽃, 비파, 보이차, 후추등, 머위, 관동, 포도, 너도밤나무, 동충하초, 블랙베리, 자두, 블루베리, 프룬, 잇꽃, 꿩의비름, 보세란, 봉선화, 일본목련, 방풍나물, 시금치, 꽈리, 후박나무, 보리수, 모란, 목단피, 홉, 호호바, 마황, 매커데이미아 너트, 개다래나무, 솔방울, 소나무, 멀베리, 마르멜로, 말레인, 망고, 귤, 영지, 미러클프루트, 푸조나무, 무환자나무, 지치, 작살마무, 레몬밤, 멜론, 감탕나무, 목향, 복숭아, 멜로키아, 도깨비부채, 야콘, 사방오리, 팔손이나무, 버드나무, 소귀나무, 유칼립투스, 바위취, 유자, 백합, 구릿대, 쑥, 라임, 호밀, 나한과, 라즈베리, 페루라타니아, 염교, 에샬롯, 라벤더, 용안, 용설란, 녹차, 사과, 용담, 루부스 수아비시무스, 공꽃, 영지, 상추, 레드커런트, 레드피타야, 레몬그래스, 개나리, 의성개나리, 자운영, 납매, 카르나우바, 로콘, 로간베리, 로즈마리, 로즈힙, 와사비, 밀몽화, 오이풀 등으로부터 얻은 식물 추출물, 또는 상기 식물의 세포를 배양하여 얻은 추출물.
(14) 해조 추출물: 해조 [녹조류: 클로렐라 불가리스, 클로렐라 피레노이드사, 클로렐라 엘립소이데아, 아오노리(우스바아오노리, 스지아오노리, 히라아오노리, 보우아오노리, 호소에다아오노리), 구멍갈파래(얼버), 해초 [갈조류: 다시마(마콘부, 리시리콘부, 호소메콘부, 미츠이시콘부), 미역, 히로메, 아오와카메, 자이언트켈프(마크로시스티스 피리페라, 마크로시스티스 인테그리폴리아, 네레오시티스 루에트케아나), 톳, 푸쿠스, 부챗말(우미우치와), 우스바우미우치와, 키레바노우미우치와, 아카바우미우치와, 코나우미우치와, 오키나우치와, 우스유키우치와, 에츠키우미우치와, 해초 [홍조류: 히지리멘, 우뭇가사리, 히라쿠사, 왜우뭇가사리, 개우무(오바쿠사), 카타오바쿠사, 야타베구사, 새발, 겔리디엘라 아세로사, 갈래곰보, 에우케우마 세라, 에우케우마 아마쿤사엔세, 에우케우마 무리카툼, 에우케우마 아르콜디이, 진두발(츠노마타), 오오바츠노마타, 주름진두발(야하즈츠노마타), 에조츠노마타, 토게츠노마타, 가시깃꼴진두발, 코토지츠노마타, 이보츠노마타, 마루바츠노마타, 가시깃꼴진두발, 돌가사리, 콘드라칸투스 카미소이, 애기돌가사리, 부채분홍잎, 아크로소리움 실리올라툼, 잔금분홍잎, 누은분홍잎, 아카모미지노리, 방사무늬김] 등으로부터 얻은 해조 추출물 또는 상기 해조의 세포를 배양하여 얻은 추출물.
(15) 동물 추출물: 계관 추출물, 소 또는 돼지, 사람의 태반 추출물, 소 또는 돼지의 위, 십이지장, 장, 비장의 추출물 혹은 그 분해물, 소 또는 돼지의 뇌조직의 추출물, 소·돼지 또는 어류의 콜라겐 가수(산, 알칼리, 효소 등)분해물이나 수용성 콜라겐 또는 아실화 콜라겐 등의 콜라겐 유도체, 소 또는 돼지의 엘라스틴 또는 엘라스틴 가수분해물(산, 알칼리, 효소 등) 또는 수용성 엘라스틴 유도체, 케라틴 및 그 분해물 또는 그들의 유도체, 실크단백 및 그 분해물 또는 그들의 유도체, 돼지 또는 소 혈구 단백 분해물(글로빈펩티드), 소 또는 돼지 헤모글로빈 분해물(헤민, 헤마틴, 헴, 프로토헴, 헴철 등), 우유, 카제인 및 그 분해물 또는 그들의 유도체, 탈지분유 및 그 분해물 또는 그들의 유도체, 락토페린 또는 그 분해물, 계란 성분, 어육 분해물, 핵산 관련 물질(리보핵산, 데옥시리보핵산) 등으로부터 얻은 동물 추출물, 또는 상기 동물의 세포를 배양하여 얻은 추출물.
(16) 미생물 배양 대사물: 효모 대사물, 효모균 추출 추출물, 세균 대사물, 세균 추출 추출물, 곰팡이 또는 방선균 대사물, 곰팡이 또는 방선균 추출 추출물, 낫토균 대사물, 낫토 추출 추출물, 쌀 발효 추출물, 쌀겨(적강, 백강) 발효 추출물, 유글레나 추출물 또는 그 분해물 또는 그들의 수용성 유도체, 트레할로스 또는 그 유도체, 생유 또는 탈지분유의 유산 발효물, 콩과 식물의 유산균 발효물, 야자나무속 식물의 유산균 발효물 등.
(17) 무기 안료: 무수 규산, 규산마그네슘, 탈크, 카올린, 벤토나이트, 마이카, 운모티탄, 옥시염화비스무트, 산화지르코늄, 산화마그네슘, 산화아연, 산화티탄,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황산화철, 벵갈라, 흑산화철, 군청, 산화크롬, 수산화크롬, 카본블랙, 칼라민 등.
(18) 자외선 흡수/차단제: 벤조페논 유도체(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5-술폰산,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5-술폰산나트륨, 디히드록시디메톡시벤조페논, 디히드록시디메톡시벤조페논-술폰산나트륨, 2, 4-디히드록시벤조페논, 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 등), 파라아미노안식향산 유도체(파라아미노안식향산, 파라아미노안식향산에틸, 파라아미노안식향산글리세릴, 파라디메틸아미노안식향산아밀, 파라디메틸아미노안식향산옥틸 등), 메톡시계피산 유도체(파라메톡시계피산에틸, 파라메톡시계피산이소프로필, 파라메톡시계피산옥틸, 파라메톡시계피산2-에톡시에틸, 파라메톡시계피산나트륨, 파라메톡시계피산칼륨, 디파라메톡시계피산모노-2-에틸헥산산글리세릴 등), 살리실산 유도체(살리실산옥틸, 살리실산페닐, 살리실산호모멘틸, 살리실산디프로필렌글리콜, 살리실산에틸렌글리콜, 살리실산미리스틸, 살리실산메틸 등), 안트라닐산 유도체(안트라닐산메틸 등), 우로칸산 유도체(우로칸산, 우로칸산에틸 등), 쿠마린 유도체, 아미노산계 화합물, 벤조트리아졸 유도체, 테트라졸 유도체, 이미다졸린 유도체, 피리미딘 유도체, 디옥산 유도체, 캠퍼 유도체, 퓨란 유도체, 피론 유도체, 핵산 유도체, 알란토인 유도체, 니코틴산 유도체, 비타민 B6 유도체, 운베리페론, 에스쿨린, 계피산벤질, 시녹세이트, 옥시벤존, 디옥시벤존, 옥타벤존, 술리소벤존, 벤조레조시놀, 아르부틴, 구아이아줄렌, 쉬코닌, 바이칼린, 바이칼레인, 베르베린, 네오헬리오판, 에스카롤, 산화아연, 탈크, 카올린 등.
(19) 미백제: 파라아미노안식향산 유도체, 살리실산 유도체, 안트라닐산 유도체, 쿠마린 유도체, 아미노산계 화합물, 벤조트리아졸 유도체, 테트라졸 유도체, 이미다졸린 유도체, 피리미딘 유도체, 디옥산 유도체, 캠퍼 유도체, 퓨란 유도체, 피론 유도체, 핵산 유도체, 알란토인 유도체, 니코틴산 유도체, 비타민 C 또는 그 유도체(비타민 C 인산에스터 마그네슘염, 비타민 C 글루코시드 등), 비타민 E 또는 그 유도체, 코지산 또는 그 유도체, 옥시벤존, 벤조페논, 아르부틴, 구아이아줄렌, 쉬코닌, 바이칼린, 바이칼레인, 베르베린, 태반 추출물, 엘락산, 루시놀, 하이드로퀴논 등.
(20) 수렴제: 호박산, 알란토인, 염화아연, 황산아연, 산화아연, 칼라민, 파라페놀술폰산아연, 황산알루미늄칼륨, 레조신, 염화제이철, 타닌산(카테킨 화합물을 포함한다) 등.
(21) 항산화제: 히드록시티로솔, 파라히드록시아니솔, 몰식자산프로필, 세사몰, 세사몰린, 고시폴, 프로폴리스 등.
(22) 항염증제: 인도메타신, 살리실산, 살리실산나트륨, 아세틸살리실산, 염산디펜히드라민, d-캠퍼, dl-캠퍼, 히드로코티손, 구아이아줄렌, 카마줄렌, 말레산클로르페니라민, 글리시리즈산 또는 감초 추출물 등.
(23) 향료: 사향, 시베트, 비버향, 용연향, 아니스 정유, 안젤리카 정유, 일랑일랑 정유, 이리스 정유, 회향 정유, 오렌지 정유, 카낭가 정유, 캐러웨이 정유, 카다몬 정유, 구아이악우드 정유, 쿠민 정유, 쿠로모지 정유, 계피 정유, 시나몬 정유, 제라늄 정유, 코파이바발삼 정유, 코리안델 정유, 차조기 정유, 시다우드 정유, 시트로넬라 정유, 자스민 정유, 생강풀 정유, 삼나무 정유, 스피어민트 정유, 서양박하 정유, 대회향 정유, 튜버로즈 정유, 정향 정유, 등화 정유, 동록 정유, 톨루발삼 정유, 파츌리 정유, 장미 정유, 팔마로자 정유, 편백 정유, 회엽 정유, 백단 정유, 페티그레인 정유, 베이 정유, 베티버 정유, 베르가모트 정유, 페루발삼 정유, 보드로즈 정유, 방장 정유, 만다린 정유, 유칼리 정유, 라임 정유, 라벤더 정유, 리날로에 정유, 레몬그래스 정유, 레몬 정유, 로즈메리 정유, 일본박하 정유 등.
(24) 색소·착색제: 적양배추 색소, 적미 색소, 꼭두서니 색소, 아나토 색소, 오징어먹물 색소, 울금 색소, 회화나무 색소, 크릴 색소, 감 색소, 캐러멜, 금, 은, 치자나무 색소, 콘 색소, 양파 색소, 타마린드 색소, 스피룰리나 색소, 메밀전초 색소, 체리 색소, 해태 색소, 하이비스커스 색소, 포도과즙 색소, 매리골드 색소, 자색고구마 색소, 자색참마 색소, 랙 색소, 루틴 등.
또, 로툰겐산 또는 로툰겐산의 염(로툰겐산나트륨, 로툰겐산칼슘, 로툰겐산마그네슘 등)을 상기 성분과 병용하는 피부 외용제, 및 상기 성분 이외의 성분과 배합한 피부 외용제에 의한 살갗 및 피부 세포를 희게 하는 방법이나, 로툰겐산 또는 로툰겐산의 염(로툰겐산나트륨, 로툰겐산칼슘, 로툰겐산마그네슘 등)을 유효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조성물로, 대상자의 피부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미백 방법이 제공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미백」이란 색소 세포의 티로시나제 유전자 발현을 억제하는 것, 및 그에 의한 멜라닌 합성을 억제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 「대상자」란 피부의 멜라닌 합성을 억제할 필요가 있는 자로서, 사람을 포함하는 동물, 특히 사람이 바람직하다. 「피부를 처리한다」란 본 발명에 관한 상술한 피부 외용제의 제형에 맞추어 피부에 도포 또는 적용하는 것을 말한다. 일실시형태에서는 대상자가 자외선에 노출되기 전 또는 그 직후에 투여 또는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상술한 미백제의 유효 성분으로서 사용하기 위한, 로툰겐산 또는 그 염을 포함하는 조성물, 당해 조성물의 피부의 미백 처리를 위한 사용, 또는 미백제의 제조에 있어서의 로툰겐산 또는 그 염의 사용이다. 이하에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조성물 또는 처방 중의 각 성분의 함유량 표시는 특히 명기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중량%」를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실시예
(시험 1) 로툰겐산의 LCMS 분석
시약 구입(chemsigma사제)한 로툰겐산 0.89mg을 1ml의 메탄올에 용해시켜, 하기 조건으로 LC/MS 분석을 행하였다.
분석 기기: ACQUITY UPLC Class H(Waters사제)
질량 분석계: Xevo G2-S-QTof(Waters사제)
포토다이오드 어레이: (210~500nm)
칼럼: ACQUITY UPLC BEH C18(50×2.1mm, I. D. 2.1㎛)
유속: 0.8mL/min
칼럼 온도: 55℃
용매: A액: 0.1% 폼산 수용액, B액: 0.1% 폼산 아세토니트릴 용액
그래디언트:
0min: %A액/B액=95/5 → 6min: %A액/B액=0/100
6min: %A액/B액=0/100 → 7min: %A액/B액=0/100
(시험 결과)
결과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포지티브로 m/z: 977.7, 네가티브로 m/z: 487.2였다. 로툰겐산의 분자량(문헌치)은 488.7(C30H48O5)이기 때문에, 포지티브로 검출한 질량은[2M+H], 네가티브로 검출한 질량은[M-H]였다.
(시험 2) 로툰겐산의 NMR 분석
로툰겐산(chemsigma사제) 13.0mg을 C5D5N(600μL)에 녹여 13C-NMR 측정을 행하였다. 또한 상기 로툰겐산 용액을 C5D5N으로 6배로 희석시켜 1H-NMR 측정도 행하였다.
(시험 결과)
결과는 표 1에 나타낸 화학 쉬프트(chemical shift)의 값을 나타내고, * 전술한 문헌(Phytochemistry 28(5) 1479-1482(1989))에 기재된 값과 일치한 것으로부터 화합물은 로툰겐산인 것이 확인되었다.
로툰겐산의 화학 구조와 13C-NMR 물성치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시험 3) 로툰겐산의 염의 조정
로툰겐산(chemsigma사제)으로부터 통상의 방법에 의해 로툰겐산의 나트륨염, 칼슘염을 조제하였다.
(시험 4) 티로시나제 발현 억제(로툰겐산, 우르솔산)
B16 멜라노마 세포(RIKEN BRC)를 60mm의 디쉬(dish)에 D-MEM(Wako사)으로 24시간 배양 후, 시료(로툰겐산(chemsigma사제), 우르솔산(INDOFINE Chemical사제)을 각각 최종 농도 0.8μM로 되도록, 컨트롤(비교대조)은 DMSO를 최종 농도 1%로 되도록)를 첨가하여 1시간 배양을 행하고, 그 후 α-MSH(SIGMA-ALDRICH사)를 최종 농도 50ng/mL로 되도록 첨가하였다. α-MSH의 첨가 후 24시간에서 세포로부터 RNeasy Mini Kit(QIAGEN사)를 이용하여 추출을 행하고, 얻어진 RNA를 주형에 PrimeScript RT reagent Kit(다카라바이오사)를 이용하여 cDNA를 합성하였다. 이 cDNA를 이용하여 정량 PCR법에 의해 티로시나제 유전자의 발현량을 측정하였다.
또한, 정량 PCR법에는 SYBR Premix Ex Taq(다카라바이오사)과 Thermal Cycler Dice Real Time System(다카라바이오사)을 이용하였다. 내부 표준으로서는 하우스키핑 유전자인 RPS18 유전자의 발현량을 정량하고, RPS18에 대한 상대 발현량을 산출하여 Tyrosinase 유전자 발현량으로 하였다. PCR용 프라이머에는 다카라바이오사의 Tyrosinase, RPS18을 이용하였다. 또한 로툰겐산에 대해서는 농도 의존성을 확인하기 위해, 최종 농도 0.1μM, 4μM, 10μM의 농도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행하였다.
(시험 결과)
결과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다. α-MSH의 첨가로 Tyrosinase 유전자의 발현이 항진된 조건하에서, 우르솔산에 유전자 발현의 억제 효과가 인지되지 않았다. 한편, 로툰겐산은 0.8μM의 농도에서 Tyrosinase 유전자 발현의 큰 억제 효과가 인지되었다. 또한, 로툰겐산이 0.1μM의 조건에서도 0.8μM 농도의 경우에 비해 약간 낮지만 당해 억제 효과가 인지되었다. 또, 시험 3에 의해 얻은 로툰겐산의 나트륨염, 칼슘염에 대해서도 최종 농도 0.8μM로 첨가하여 시험 4를 행한 바,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졌다.
(시험 5) 모르모트를 사용한 멜라닌 생성 억제의 측정
(1) 피검 동물 및 군 구성
사람과 마찬가지로 자외선 조사에 의해 색소 침착이 생기는 동물종인 유색 모르모트를 이용하여, 주식회사 일본바이오리서치센터에서 자외선 유발에 의한 색소 침착 억제 시험을 행하였다. 시험 샘플 및 자외선 조사 방법이 다른 이하의 6개의 군으로 나누었다.
군 피험 샘플 및 자외선 조사의 유무 동물수
제1군 비도포 부위(조사), 비도포 부위(비조사) 6
제2군 비도포 부위(조사), 매체(조사) 6
제3군 0.9% 로툰겐산(조사), 매체(조사) 6
제4군 0.09% 로툰겐산(조사), 매체(조사) 6
제5군 0.009% 로툰겐산(조사), 매체(조사) 6
(2) 피험 샘플
후유 감의 꼭지를 분말화하고, 유기용매로 추출, 분획 및 정제하여 진공 건조 분말을 취득하였다. 상기 시험 1 및 2와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HPLC 피크 및 NMR 분석을 행한 결과, 순수한 로툰겐산인 것을 확인하였다. 에탄올:프로필렌글리콜:정제수=6:2:2의 매체에 각각 중량비로 0.9%, 0.09% 및 0.009%로 되도록 용해시켜, 로툰겐산을 포함하는 피험 샘플로서 시험에 제공하였다. 또, 컨트롤에는 60%(W/W) 에탄올, 20%(W/W) 프로필렌글리콜 수용액을 피험 샘플로서 사용하였다.
(3) 자외선 조사 방법
각 군 6마리의 모르모트를 사용하여, 각각의 등 부분을 전기 바리캉 및 전기 면도기로 제모하고, 정중을 사이에 두고 좌우의 2×2cm 정방형 2개소를 측정 부위로 하였다. 자외선 조사에는 자외선 조사 장치로 UV-B(파장 250~350nm)를 최소 홍반량 조사하였다. 자외선 조사는 첫회 투여일(이 날을 0일로 한다)과, 그 이후는 첫회 투여 후 2일 및 4일의 합계 3회 행하였다.
(4) 피험 샘플의 투여 조건
투여 농도는 0.1mL/부위로 하였다. 투여 횟수는 모두 1일 1회, 투여 기간은 28일간 연속으로 하였다. 또한, 자외선 조사일은 자외선 조사 후에, 색소 침착의 측정부는 측정 후에 투여를 행하였다.
(5) 측정법
첫회 투여일의 투여 전(조사 전), 투여 14일, 21일, 28일에, 색채색차계를 이용하여 조사 부위에 대해 Lab 표색계로 표시하여 L치(명도)를 평가에 이용하였다. ΔL치(관찰일의 L치-조사 전의 L치)를 구하였다. 또, 각 군의 L치를 이용하여, 군마다 대응이 있는 t 검정에 의해 유의차 검정을 행하였다
(6) L치의 평가 결과
피험 모르모트의 자외선(UV-B) 조사 시의 피부색(ΔL치)의 추이를 도 3에 나타냈다. 자외선 조사 개시 후 색소 침착에 의한 L치의 저하가 인지되었다. 자외선 조사량의 변동에 의한 측정을 피하기 위해, 각 군에 있어서 매체만을 도포한 컨트롤과의 비교를 행하였다. 본 발명에 관한 로툰겐산을 0.9중량% 포함하는 피험 샘플을 도포한 제3군은 컨트롤 매체에 비해 유의하게 멜라닌 색소 침착 억제의 효과를 나타냈다(p<0.05). 또, 로툰게닌산을 0.09중량% 또는 0.009중량% 포함하는 피험 샘플을 도포한 제4군 및 제5군은 t 검정에서는 유의차가 인지되지 않았지만, 농도 의존적으로 L치의 저하가 개선되어 있는 것, 및 상술한 시험 4의 결과로부터 0.00004중량%(약 0.8μM)에서도 티로시나제 발현 억제 작용을 나타낸 것으로부터, 0.009~0.9중량%의 범위 내에서 멜라닌 생성 억제 작용을 가진다고 판단하였다.
(처방예)
로툰겐산 또는 그 염을 이용한 처방예를 이하에 기재하지만, 본 발명의 배합에 한정한 것은 아니다.
Figure pct00004
Figure pct00005
Figure pct00006
Figure pct00007
Figure pct00008
Figure pct00009
Figure pct00010
Figure pct00011
Figure pct00012
Figure pct00013
Figure pct00014
Figure pct00015
Figure pct00016
Figure pct00017
Figure pct00018
Figure pct00019
Figure pct00020
Figure pct00021
Figure pct00022
Figure pct00023
Figure pct00024
Figure pct00025
Figure pct00026
(시험 6) 사용감 시험
로툰겐산(chemsigma사제), 라우릴황산Na, 정제수를 30:3:67의 중량비로 분산시켜, 고압 호모지나이저(homogenizer)에 의해 습식 분쇄하였다. 분쇄 조건은 처리 압력: 200MPa, 처리 횟수: 80회로 행하고, 얻어진 현탁액을 처방예 6을 기초로 하기 표 2에 나타낸 처방 a~c 3종의 미백 크림을 제작하여, 전문 패널리스트에 의한 사용감의 평가를 행하였다. 또한, 사용감의 평가 항목은 도포 시의 잘 먹음, 도포 후의 매끄러움이다.
Figure pct00027
(시험 결과)
결과는 하기 표 3과 같이, 로툰겐산의 질량 농도가 1%, 5%에서는 평균 점수가 3 이상이지만, 7%에서는 평균 점수가 2 이하로 되어, 외용제 중의 로툰겐산의 질량 농도가 5% 이하이면, 사용감이 좋은 외용제가 얻어지는 것으로 예측한다.
(점수 기준)
5: 매우 좋은 사용감이었다
4: 양호한 사용감이었다
3: 보통인 사용감이었다
2: 그다지 양호한 사용감은 아니었다
1: 양호한 사용감은 아니었다
Figure pct00028
(시험 7) 사용 효과 시험
본 발명의 처방예 6을 기초로 하기 표 4에 나타낸 처방 A~D 4종의 미백 크림을 제작하였다. 성인 남녀 20명에 대해, 제작한 미백 크림을 얼굴에 1일 2회 도포, 1개월간의 사용 시험을 행하였다. 또한, 피험자는 5명씩으로 나누어 기미나 색소 침착에 대해 사용 전과 비교하여 평가하였다.
Figure pct00029
(시험 결과)
결과는 하기 표 5와 같이, 로툰겐산을 배합한 처방이 대조품보다 높고, 특히 0.1% 배합한 처방 B가 다른 처방보다 높은 것이 인지되었다.
유효: 사용 전보다 기미나 색소 침착이 개선되었다.
약간 유효: 사용 전보다 기미나 색소 침착이 약간 개선되었다.
무효: 사용 전과 변화 없음.
Figure pct00030

Claims (10)

  1. 로툰겐산 또는 그 염을 미백용 유효 성분으로서 0.00004~5중량% 함유하는 미백제.
  2. 로툰겐산 또는 그 염을 미백용 유효 성분으로서 0.00004~5중량% 함유하는 미백용 피부 외용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툰겐산 또는 그 염의 함유량이 적어도 0.009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로툰겐산 또는 그 염의 함유량이 적어도 0.009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용 피부 외용제.
  5. 로툰겐산 또는 그 염을 유효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조성물의 유효량을 그 필요가 있는 대상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피부의 미백 방법.
  6. 로툰겐산 또는 그 염을 적어도 0.009중량% 포함하는 조성물로 피부를 처리하는 것을 포함하는 피부의 미백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의 처리가 상기 피부가 자외선에 노출되기 전 또는 그 직후에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 방법.
  8. 미백제 또는 미백용 피부 외용제의 유효 성분으로서 사용하기 위한, 로툰겐산 또는 그 염을 포함하는 조성물.
  9. 로툰겐산 또는 그 염을 유효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조성물의, 피부의 미백 처리를 위한 사용.
  10. 미백제 또는 미백용 피부 외용제의 제조에 있어서의, 로툰겐산 또는 그 염의 사용.
KR1020207006397A 2017-08-23 2018-07-24 미백제, 미백용 피부 외용제 및 피부의 미백 방법 KR2020004340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160160A JP6389308B1 (ja) 2017-08-23 2017-08-23 皮膚外用剤
JPJP-P-2017-160160 2017-08-23
PCT/JP2018/027655 WO2019039170A1 (ja) 2017-08-23 2018-07-24 美白剤、美白用皮膚外用剤および皮膚の美白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3406A true KR20200043406A (ko) 2020-04-27

Family

ID=63518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6397A KR20200043406A (ko) 2017-08-23 2018-07-24 미백제, 미백용 피부 외용제 및 피부의 미백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389308B1 (ko)
KR (1) KR20200043406A (ko)
CN (1) CN111032009B (ko)
WO (1) WO2019039170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1661A (ko) * 2020-12-23 2022-07-01 주식회사 고운세상코스메틱 피부 장벽 개선, 보습 및 혈중 비타민 d 수치 개선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KR102435397B1 (ko) * 2022-04-15 2022-08-24 애경산업(주) 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2448962B1 (ko) * 2021-09-24 2022-09-30 주식회사미네랄하우스 하이퍼미네랄 이온수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하이퍼미네랄 이온수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각질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48963B1 (ko) * 2021-09-24 2022-09-30 주식회사미네랄하우스 하이퍼미네랄 이온수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하이퍼미네랄 이온수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세포 관련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97811B (zh) * 2021-05-27 2021-12-28 广州市南方医康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美白祛斑功效的化妆品及其制备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00622A (ja) 1989-01-28 1990-08-08 Sansho Seiyaku Co Ltd メラニン生成抑制外用剤
JPH04182492A (ja) 1990-11-15 1992-06-30 Kao Corp アスコルビン酸誘導体及びその製造法
JPH0920610A (ja) 1995-06-30 1997-01-21 Shiseido Co Ltd 皮膚外用剤
JP2008081408A (ja) 2006-09-26 2008-04-10 Oriza Yuka Kk 美肌用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58968B2 (ja) * 2000-03-31 2007-08-15 日清オイリオグループ株式会社 皮膚外用剤及び美白剤
JP4489923B2 (ja) * 2000-10-13 2010-06-23 日本メナード化粧品株式会社 皮膚外用剤
JP4385243B2 (ja) * 2002-06-06 2009-12-16 サンスター株式会社 Iv型アレルギー反応が関与する炎症の予防乃至治療用組成物
JP2004035454A (ja) * 2002-07-03 2004-02-05 Eikodo Honten:Kk 皮膚若しくは毛髪用化粧料
JP2005112793A (ja) * 2003-10-08 2005-04-28 Norihide Yamaguchi 美白化粧品
JP2005145945A (ja) * 2003-11-14 2005-06-09 Tahiti Ambition:Kk 皮膚機能賦活化粧料組成物
JP2005170918A (ja) * 2003-12-08 2005-06-30 Sunstar Inc 皮膚外用剤
KR20050092313A (ko) * 2004-03-15 2005-09-2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을 갖는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피부미백용 화장료
CA2611435C (en) * 2005-06-10 2013-01-08 Pola Chemical Industries Inc. Novel triterpenic acid derivative and preparation for external application for skin comprising the same
KR100855457B1 (ko) * 2007-02-28 2008-09-01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악틴, 악티게닌 또는 그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CA2694061C (en) * 2007-08-06 2015-11-03 Otsuka Pharmaceutical Co., Ltd. Gel composition for external application containing an adenine compound
JPWO2010030000A1 (ja) * 2008-09-12 2012-02-02 学校法人日本大学 美白剤および美白用皮膚外用剤
JP2011032177A (ja) * 2009-07-30 2011-02-17 Kao Corp Kit切断抑制剤
JP6122605B2 (ja) * 2012-10-16 2017-04-26 株式会社 資生堂 美白方法及びメラニン合成抑制剤のスクリーニング方法
JP6336781B2 (ja) * 2013-03-27 2018-06-06 ロート製薬株式会社 新規ペプチド
JP6103594B2 (ja) * 2013-07-12 2017-03-29 花王株式会社 ナノファイバ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00622A (ja) 1989-01-28 1990-08-08 Sansho Seiyaku Co Ltd メラニン生成抑制外用剤
JPH04182492A (ja) 1990-11-15 1992-06-30 Kao Corp アスコルビン酸誘導体及びその製造法
JPH0920610A (ja) 1995-06-30 1997-01-21 Shiseido Co Ltd 皮膚外用剤
JP2008081408A (ja) 2006-09-26 2008-04-10 Oriza Yuka Kk 美肌用組成物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1661A (ko) * 2020-12-23 2022-07-01 주식회사 고운세상코스메틱 피부 장벽 개선, 보습 및 혈중 비타민 d 수치 개선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KR102448962B1 (ko) * 2021-09-24 2022-09-30 주식회사미네랄하우스 하이퍼미네랄 이온수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하이퍼미네랄 이온수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각질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48963B1 (ko) * 2021-09-24 2022-09-30 주식회사미네랄하우스 하이퍼미네랄 이온수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하이퍼미네랄 이온수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세포 관련 화장료 조성물
KR102435397B1 (ko) * 2022-04-15 2022-08-24 애경산업(주) 피부외용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032009B (zh) 2022-12-13
WO2019039170A1 (ja) 2019-02-28
JP6389308B1 (ja) 2018-09-12
CN111032009A (zh) 2020-04-17
JP2019038754A (ja) 2019-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08894B2 (ja) 乳酸菌を含有する化粧料、皮膚保護剤
JP3993936B2 (ja) メラニン生成抑制剤及び化粧料組成物
KR102466224B1 (ko) 육모ㆍ발모 촉진제
KR20200043406A (ko) 미백제, 미백용 피부 외용제 및 피부의 미백 방법
JPH1036279A (ja) 植物抽出物含有線維芽細胞増殖促進剤
JP2005220084A (ja) アセロラ種子抽出物含有組成物
JP2003183120A (ja) 活性酸素消去剤又は化粧料組成物
JP4551053B2 (ja) 保湿性植物抽出物並びに該抽出物を含有する保湿外用剤、化粧料、浴用剤および洗剤組成物
JP2000128728A (ja) 化粧料組成物
CN107530273A (zh) 含有缬草提取物的组合物
JP2004010526A (ja) 皮膚外用剤
JP4101106B2 (ja) 保湿性植物抽出物並びに該抽出物を含有する外用剤、化粧料、浴用剤及び洗浄剤
JP2005145891A (ja) 保湿性植物抽出物並びに該抽出物を含有する外用剤、化粧料、浴用剤及び洗剤
JP2004210653A (ja) 皮膚外用剤
JP4637441B2 (ja) アスコルビン酸を含有する外皮用組成物
JP4684269B2 (ja) アスコルビン酸を含有する外皮用組成物
JP2002348229A (ja) 外皮用組成物
JP2011042613A (ja) 抗老化用皮膚外用剤及び抗老化用化粧料
JP4713032B2 (ja) 皮膚外用剤
JP3895636B2 (ja) 老化防止剤及びそれを用いた皮膚外用剤
JPH09301884A (ja) ヒオウギ抽出物及びα−ヒドロキシ酸を含有するテストステロン5α−リダクターゼ阻害剤とその応用
JP2006137702A (ja) 保湿性植物抽出物並びに該抽出物を含有する外用剤、化粧料、浴用剤及び洗剤
JP4169814B2 (ja) リュウゼツラン又はサイザル抽出物含有皮膚外用剤
JP2004137233A (ja) 老化防止剤及びそれを用いた皮膚外用剤
JP2005089427A (ja) 皮膚外用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