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5457B1 - 악틴, 악티게닌 또는 그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악틴, 악티게닌 또는 그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5457B1
KR100855457B1 KR1020070020603A KR20070020603A KR100855457B1 KR 100855457 B1 KR100855457 B1 KR 100855457B1 KR 1020070020603 A KR1020070020603 A KR 1020070020603A KR 20070020603 A KR20070020603 A KR 20070020603A KR 100855457 B1 KR100855457 B1 KR 1008554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in
skin
arctigenin
actinigen
m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06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노
최정은
김상우
이강태
이건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Priority to KR10200700206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5457B1/ko
Priority to US12/449,727 priority patent/US20100104524A1/en
Priority to EP08723115.5A priority patent/EP2114362B1/en
Priority to JP2009551949A priority patent/JP5675112B2/ja
Priority to CN2008800021710A priority patent/CN101578092B/zh
Priority to PCT/KR2008/001077 priority patent/WO2008105605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54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54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2Glycosides, e.g. ru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악틴, 악티게닌 또는 그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UV에서 발현되는 α-MSH에 의해 유발되는 멜라닌 대사 경로에 작용하여 멜라닌 생성을 제어, 억제할 수 있는 물질로 피부색을 밝게 하는 효과가 있으며, 알파-멜라노사이트 자극 호르몬에 의해 유발되는 멜라닌 대사 경로에 작용하여 멜라닌 생성을 제어하여 종래의 피부미백화장료에 비해 보다 효과적으로 미백 작용을 나타낼 수 있으며, 피부자극도 낮았다.
악틴(Arctiin), 악티게닌(Arctigenin), 미백제, 멜라닌

Description

악틴, 악티게닌 또는 그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Comprising Arctiin, Arctigenin or compound thereof As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악틴, 악티게닌 또는 그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희고 고운 피부를 갖고자 하는 것은 모든 사람의 한결 같은 소망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의 피부, 모발 및 눈 등의 색은 멜라닌, 카로틴 및 헤모글로빈 등에 의해 결정된다. 특히 멜라닌은 피부색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서, 멜라닌의 양과 성질 및 분포의 정도에 따라 피부색이 결정된다. 사람의 피부나 모발의 색소는 햇빛, 특히 자외선의 유해한 영향으로부터 피부나 모발을 보호해 주는 역할을 한다. 예컨대, 이러한 색소가 부족한 사람은 햇빛에 매우 민감하여 화상을 입기 쉬우며 어린 나이에도 피부암의 발생 확률이 높다. 단파장의 자외선 (290-320 nm) 및 발암 물질은 피부에서 유해 라디칼, 예컨대, 산소 라디칼을 형성하며, 이러 한 산소 라디칼이 피부 세포를 공격하여 피부를 노화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자외선에 의한 색소침착은 DNA 손상에 의해 직접적으로 유발되기도 하지만, 자외선이 각질형성세포 및 섬유아세포 등에 작용하여 그 결과 분비된 사이토카인(cytokine), 성장인자, 호르몬의 멜라닌세포 자극으로 인하여 색소침착이 발생하기도 한다. 각질형성세포는 염증, 자외선 조사에 의해 α-멜라노사이트 자극 호르몬(α-MSH: α-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 어가우티 신호 단백질(ASP(Agouti signaling protein)), 엔도세린(endothelin) 등을 분비함으로서 멜라닌 합성을 증가시킨다. α-MSH는 주로 뇌하수체 전엽에서 분비되나, 자외선 조사나 염증 시 각질형성세포에서 분비된다. α-MSH는 자외선에 의해 자극된 각질세포로부터 분비 POMC(Proopiomelanocortin) 단백질의 단백질 가수분해에 의하여 생성되며, 배양한 멜라닌세포에 α-MSH를 투여하면 멜라닌세포 성장 및 티로시나제 활성도가 증가된다.
멜라닌의 주요한 기능은 이러한 유해 라디칼을 제거하여 이에 의한 손상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것이다. 따라서 멜라닌의 양이 많다는 것은 물리적 또는 화학적 독성 물질로부터 피부를 보호할 수 있는 효과적인 대응 체계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멜라닌은 티로시나아제(tyrosinase)라는 효소에 의해 티로신(tyrosine)이 도파(DOPA), 도파퀴논(Dopaquinone)으로 전환되고, 비효소적인 산화반응을 거쳐서 생성된다. 이때 생성된 멜라닌은 피부 세포에 전달되고 표피 박리와 함께 멜라닌이 상실되어 소멸되는 순환 과정을 가진다.
이러한 멜라닌 생성 과정은 자연적으로 일어나는 현상으로서, 정상 상태의 사람 피부에서는 멜라닌이 과다 생성되지 않으나, 피부가 자외선, 환경오염 또는 스트레스 등의 외부의 자극과 반응하면 멜라닌이 과다 생성된다. 이렇게 과다 생성된 멜라닌이 피부 밖으로 배출되지 못하고 피부 속에 남아 있게 되면 색소침착이 일어나 기미 및 주근깨 등으로 나타게 된다.
그러므로 피부 미백은 멜라닌 생성의 억제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는데, 대표적인 멜라닌 생성 억제의 방법으로는, 자외선과 같은 외부자극을 차단하는 방법, 멜라닌 형성과 관련된 티로시나아제의 활성을 억제하는 방법, 멜라닌 생성을 주관하는 멜라닌 세포의 분열을 방해하는 방법, 비타민 C 유도체를 이용하는 방법 등이 있다.
종래의 미백 화장료로서 하이드로퀴논(Hydroquinone)이나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 코직산(Kojic acid), 글루타치온(Glutathione) 등과 같은 티로시나아제에 대하여 저해 활성을 갖는 물질을 연고나 화장료에 배합함으로써, 피부 미백이나 기미 또는 주근깨 등을 개선하는 목적에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하이드로퀴논의 경우 피부 미백 효과는 인정되지만 피부 자극성이 심하여 사용량이 극히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고, 아스코르브산은 산화되기 용이하여 이를 배합한 화장료는 변색 또는 변질되는 등의 문제점을 야기한다. 또한 글루타치온, 시스테인 등의 티올계 화합물은 특유의 불쾌한 냄새가 날뿐만 아니라, 경피 흡수가 양호하지 않으며, 이들의 배당체 및 유도체들은 극성이 높아 이들 성분을 화장료의 배합 성분으로 사용하기에는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 많은 화장품 회사에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위한 다양한 연구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상백피, 감초, 황칠, 천문동, 먼나무, 연교 및 우방자 등의 다양한 천연물이 피부미백에 효과가 있음을 밝혀내고 있다. 그러나, 이들 대부분의 성분들은 다양한 성분이 서로 혼합된 추출물로서 높은 농도로 사용할 경우 화장료의 안정성, 피부 자극 및 농도에 따른 상대적인 미백효과 약화를 일으키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α-MSH에 의해 유발되는 멜라닌 대사경로에 작용하여 멜라닌 생성을 제어 및 억제할 수 있는 물질을 개발하고, 화장료의 안정성, 민감성 및 상대적인 미백효과의 약화 등의 종래의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예의 노력한 결과, 악틴 및 악티게닌이 우수한 미백효과 및 피부 안정성을 나타냄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악틴, 악티게닌 또는 그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악틴, 악티게닌 또는 그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인간의 피부에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은 악틴(Arctiin), 악티게닌(Arctigenin) 또는 그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유효성분으로 사용되는 "악티게닌"은 4-[(3,4-디메톡시페닐)메틸]디하이드로-3-[(4-하이드록시-3-메톡시페닐)메틸]-2(3H)-퓨라논(4-[(3,4-Dimethoxyphenyl)methyl]dihydro-3-[(4-hydroxy-3-metoxyphenyl)methyl]-2(3H)-furanone)으로 표기되는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가지는 분자량이 372인 리간드 화합물이며, "악틴"은 하기 악티게닌의 배당체로 글루코스가 붙어있는 화합물이며(화학식 1), 4-[(3,4-디메톡시페닐)메틸]디하이드로-3-[(4-글루코스-3-메톡시페닐)메틸]-2(3H)-퓨라논(4-[(3,4-Dimethoxyphenyl)methyl]dihydro-3-[(4-Glucose-3-metoxyphenyl)methyl]-2(3H)-furanone)으로 표기되는 분자량이 535인 리간드 화합물이다. 상기 악틴과 악티게닌은 모두 리간드 화합물로서, 우엉, 우방자(Arctium lappa), 홍화 (Carthamus tinctorius), 연교(Forsythia suspensa)등에서 추출할 수 있으며, 상업적으로 판매하기도 한다.
Figure 112007017541492-pat00001
본 명세서의 용어"리간드 화합물"은 디페놀화합물로서 그 구조와 분자량이 스테로이드 여성호르몬 에스토로겐과 유사하여 식물성 여성호로몬 즉 피토에스트로겐(phytoestrogen)이라 불리며, 그 작용도 스테로이드 여성호르몬 에스토로겐과 유사하여 호르몬 의존성 질병에 효과적이다. 상기 리간드 화합물은 유방암, 대장암, 전립선암의 발병을 감소시켜주고 폐경기의 여성에게 발생하는 심장병, 골다공증을 억제하며 항산화, 항염 및 항바이러스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The Royal Soc. of Chemistry, UK, 1996; Anderson JJB, Garner SC, Nutr. Res., 17:1617-1632, 1997).
본 발명에 사용된 악틴 및 악티게닌은 UV에서 발현되는 α-MSH에 의해 유발되는 멜라닌 대사 경로에 작용하여 멜라닌 생성을 제어 또는 억제할 수 있는 물질로 피부색을 밝게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악틴 및 악티게닌은 우엉, 우방자(Arctium lappa), 홍화 (Carthamus tinctorius), 연교(Forsythia suspensa)등의 자연원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으며, 또한 화학적으로도 합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악틴 및 악티게닌 혼합물은 악틴 및 악티게닌이 100:1 내지 1:100 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함유된 것이고, 바람직하게는 7:1 내지 1:7, 가장 바람직하게는 3:1 내지 1:3으로 혼합하여 함유된 것이다.
본 발명의 악틴, 악티게닌 또는 그의 혼합물의 함량은 화장료 총 중량에 대해 0.00001 내지 40.0중량%이고, 바람직하게는 0.005 내지 20 중량%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5.0 중량%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8.0 중량%이다.
이때, 본 발명의 악틴, 악티게닌 또는 그의 혼합물의 함량이 0.00001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뚜렷한 미백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악틴, 악티게닌의 함량이 40.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함유량 증가에 따른 뚜렷한 효과의 증가가 나타나지 않으며, 피부 자극 및 제형의 안정성에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 성분으로서의 악틴, 악티게닌 또는 그의 혼합물 이외에 화장품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하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크림, 클렌징폼,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 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악틴, 악티게닌 또는 그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인간의 피부에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단독 또는 중복 도포하여 사용하거나, 본 발명 이외의 다른 화장료 조성물과 중복 도포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미백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적인 사용방법에 따라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피부 상태 또는 취향에 따라 그 사용횟수를 달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이 비누,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 또는 계면활성제 비함유 클렌징 제형일 경우, 피부에 도포한 후 닦아내거나 떼거나 물로 씻어낼 수도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비누는 액상비누, 가루비누, 고형비누 및 오일비누이며, 상기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 제형은 클렌징폼, 클렌징 워터, 클렌징 수건 및 클렌징 팩이며, 상기 계면활성제 비함유 클렌징 제형은 클렌징크림, 클렌징 로션, 클렌징 워터 및 클렌징 겔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악틴 및 악티게닌의 준비
정제수로 세척하고 건조시킨 다음 분말화한 연교(개나리 열매, Forsythia suspensa)가루 1 kg을 95% 에탄올 5L를 가하여 환류교반을 실시하고 필터 및 농축하여 33.2g의 농축물을 얻었다. 이를 노르말 헥산(n-hexan)을 가하여 분획하여 분리하는 탈지 단계를 거쳐 얻은 농축물 19.3g을 양이온 교환수지인 Diaion HP-20(컬럼 25X100 cm)으로 물, 10% 메탄올, 20% 메탄올 등 순차적으로 올리면서 분리하였다. 이 중 60~80% 메탄올 분획을 농축하여 얻은 농축물 3.5g을 메탄올에 용해시킨 후, LH-20, MPLC로 분리하여 0.63g의 악틴을 분리하고, 이를 NMR, Mass등으로 확인하였다. 상기의 방법으로 준비한 악틴 및 시그마(Sigma社, A1854)에서 구입한 악티게닌은 각각 단독으로 1,3-부틸렌 글리콜에 고농도(1,000ppm)으로 용해시킨 후 실험농도에 맞게 희석하여 사용하거나 직접 사용하였고, 악틴 및 악티게닌을 1:3 및 3: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1,3-부틸렌 글리콜에 고농도(4,000ppm)로 용해시켜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험예 1. 멜라닌 생성 저해 효과
멜라닌 생성 저해 실험에 사용한 α-MSH는 10% DMSO(Dimethyl sulfoxide)에 녹여 1mM 용액으로 사용하였다. 마우스 유래 B-16 멜라노마(ATCC CRL 6323) 세포주는 포도당 4.5 g/L, 10% 혈청 및 1% 항생제가 함유된 DMEM 배지에 접종하여 75㎠ T-플라스크에 5%CO2 및 37℃ 조건하에서 계대 배양하였다. 계대 배양한 멜라노마 세포주는 75㎠ T-플라스크에서 24시간 배양한 후, 0.02% EDTA가 함유된 0.05% 트립 신(Trypsin)을 처리하여 세포를 분리한 후 75㎠ T-플라스크에 접종하여 6시간동안 더 배양하였으며, 이때 세포 수는 1 × 107 세포/플라스크이다. 여기에 멜라노사이트 자극 호르몬을 DMEM 배지에 희석시켜 최종 100㎍/㎖의 농도로, 제조예 1로부터 준비한 악틴, 악티게닌 또는 악틴 및 악티게닌 1:3 및 3:1 혼합물을 DMEM 배지에 희석시켜 최종 각각 60, 100, 140, 180㎍/㎖의 농도로 멜라노마 세포에 처리하고 37℃에서 5일간 더 배양하였다. 배양한 후 배지를 수득하여 47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멜라닌 생성 정도를 비교하였으며, 멜라닌 생성 억제율(%)은 멜라노사이트 자극 호르몬만을 첨가한 세포배양액의 흡광도 값을 대조 값으로 하여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멜라닌 생성 억제율(%) = {대조군 흡광도 - 시료흡광도/대조군 흡광도}× 100
멜라닌 생성 억제율(%)(n=3)
시험 물질 최종 실험 농도(㎍/㎖) 멜라닌 생성 억제율(%)
악 틴 60 67.3
100 78.5
140 80.3
180 84.2
악티게닌 60 66.8
100 79.6
140 81.3
180 84.3
악틴 및 악티게닌 1:3 혼합물 60 80.2
100 85.7
140 89.3
180 90.2
악틴 및 악티게닌 3:1 혼합물 60 66.2
100 69.3
140 77.2
180 80.3
표 1의 결과에서도 알 수 있듯이, 악틴, 악티게닌, 악틴 및 악티게닌 1:3 및 3:1 혼합물의 멜라닌 생성 저해율은 농도 의존적으로 저해효과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특히 악틴 및 악티게닌 1:3의 혼합물이 다른것과 비교하여 효과가 매우 우수한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멜라노사이트에서 멜라닌 합성효소의 발현 억제 효과
악틴, 악티게닌 또는 그의 혼합물의 멜라노사이트에서 멜라닌 합성효소의 발현억제효과를 조사하였다. 제조예 1에서 준비한 악틴, 악티게닌 또는 악틴 및 악티게닌 1:3 및 3:1 혼합물을 첨가하여 3일 동안 더 배양한 후 세포를 획득하여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험예 1과 동일하게 실험을 실시하였다. 멜라닌 합성효소의 발현억제 효과의 대조를 위해 아무것도 넣지 않은 대조예1 및 멜라노사이트 자극호르몬만 넣은 대조예2의 실험도 함께 실시하였다. 획득된 세포는 인산나트륨 완충용액(sodium phosphate buffer)을 이용하여 2회 세척한 후 0.1% triton X-100을 처리한 후 소니케이터를 이용하여 30초간 반응한다. 이 반응액을 다시 고속 원심분리기를 이용(12,000rpm, 30분, 4℃하여 세포 침전물과 상등액을 분리한다. 분리된 상등액은 다시 전기 영동법을 이용하여 단백질을 분리하고 여기에 0.2% 도파(DOPA) 용액이 들어있는 반응액에서 약 8시간 반응 한 후 각 젤에서의 티로시나제 생성량을 검증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2 에 나타내었다.
멜라노사이트 자극 호르몬에 의한 티로시나제 생합성 생성 억제 효과(㎍/㎖)
악틴 악티게닌 악틴 및 악티게닌 3:1 혼합물 악틴 및 악티게닌 1:3 혼합물 멜라노사이트 자극호르몬 티로시나제 밴드 강도
대조예1 - - - - 0 123
대조예2 - - - - 100 211
실시예1 100 - - - 100 155
실시예2 - 100 - - 100 135
실시예3 - - 100 - 100 145
실시예4 - - - 100 100 129
표 2의 결과에서도 알 수 있듯이, 아무것도 넣지 않은 음성 대조예인 대조예1에 비해 멜라노사이트 자극호르몬을 첨가한 양성대조예인 대조예2에서 티로시나아제의 단백질량이 증가하였으나, 악틴, 악티게닌, 악틴 및 악티게닌 1:3 및 3:1 혼합물을 첨가한 실시예1 내지 4에서는 티로시나아제 단백질량이 양성 대조예에 비해 상당히 감소하였다. 특히 악틴과 악티게닌 1:3의 혼합물에서 가장효과가 좋은 것을 확인 하였다. 따라서 악틴, 악티게닌 또는 그의 혼합물은 멜라노사이트 자극호르몬에 의한 티로시나아제 단백질의 과량 발현을 억제해 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세포독성 실험
제조예 1에서 준비한 본 발명의 악틴, 악티게닌 또는 악틴 및 악티게닌 1:3) 및 3:1 혼합물의 섬유모세포(fibroblast cell)에 대한 독성 여부를 측정하였다. 섬유모세포는 마우스 유래 NIH/3T3(ATCC CRL 1658) 세포주를 구입하여 사용하고, 포도당 4.5 g/L, 10% 혈청 및 1% 항생제가 함유된 DMEM 배지에 접종하여 75㎠ T-플라스크에 37℃에서 계대 배양하였다. 실험은 5% CO2 조건하에서 24시간동안 배양하고, 0.02% EDTA가 함유된 0.05% 트립신(Trypsin)을 처리하여 세포를 분리한 후에 96-웰-플라스크에 1 × 104 세포/웰을 접종하여 6시간 배양하여 안정화시켰다. 여기에 본원발명의 악틴, 악티게닌 또는 악틴 및 악티게닌 1:3 및 3:1 혼합물 혼합물을 하기 표 3의 농도로 첨가하여 12시간 동안 더 배양하였다. 배양한 후, MTT(3-(4,5-dimethylthiazol-2-yl) 2,5-diphenyl tetrazolin bromide) 용액 (5㎎/㎖)을 웰에 10㎕ 첨가하여 4시간 배양하고, DMSO(Dimethyl sulfoxide) 용액 100㎕를 첨가한 후, OD 57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세포 생존율을 계산하였으며, 그 실험결과를 표 4의 판정기준에 따라 표 3에 나타내었다.
섬유모세포(fibroblast cell)의 생존율(%)
시험 물질 최종 실험 농도(㎍/㎖) 세포생존율 (%)
악 틴 20 102.1
60 101.3
100 99.8
140 98.7
180 98.7
악티게닌 20 101.2
60 101.0
100 99.8
140 97.6
180 96.7
악틴 및 악티게닌 1:3 혼합 20 99.8
60 98.7
100 94.8
140 98.3
180 96.8
악틴 및 악티게닌 3:1 혼합 20 101.1
60 100.3
100 99.8
140 99.9
180 97.7
세포에 대한 독성 판정 기준
세포 생존율 범위 독성판정
생존률 70% 이하 중독성
70% 초과 80% 이하 경독성
80% 초과 90% 이하 미독성
90% 초과 무독성
표 3의 결과에서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악틴, 악티게닌 또는 그의 혼합물에 대한 세포생존율이 94내지 100 % 으로 높은 생존율을 보였고, 표 4의 독성판정기준에 따라 그 독성정도가 비교적 낮은 무독성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4. 화장료의 제조
상기 제조예 1에서 분리한 악틴 및 시그마사에서 구입한 악티게닌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를 하기 표 4의 조성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대조예3, 실시예5, 6, 7 및 종래의 미백물질인 알부틴을 첨가한 비교예1을 제조하였다.
성분함량(중량%) 대조예3 실시예5 실시예6 실시예7 비교예1
악틴 - 3.0 - 1.5 -
악티게닌 - - 3.0 1.5 -
알부틴 - - - - 3.0
글리세린 5.1 5.1 5.1 5.1 5.1
프로필렌글리콜 4.2 4.2 4.2 4.2 4.2
토코페릴아세테이트 3.0 3.0 3.0 3.0 3.0
유동파라핀 4.6 4.6 4.6 4.6 4.6
트리에탄올아민 1.0 1.0 1.0 1.0 1.0
스쿠알란 3.1 3.1 3.1 3.1 3.1
마카다미아너트오일 2.5 2.5 2.5 2.5 2.5
폴리솔베이트60 1.6 1.6 1.6 1.6 1.6
솔비탄세스퀴롤레이트 1.6 1.6 1.6 1.6 1.6
프로필파라벤 0.6 0.6 0.6 0.6 0.6
카르복실비닐폴리머 1.5 1.5 1.5 1.5 1.5
미량 미량 미량 미량 미량
방부제 미량 미량 미량 미량 미량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100 100 100 100 100
실험예 5. 화장료 조성물의 미백 효과.
본 발명의 화장료의 미백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예 4에서 제조한 대조예3, 실시예5, 실시예6, 실시예7 및 비교예1 의 화장료를 30 내지 40세 여성 50명을 무작위로 5개의 군으로 나누어 패널테스트를 실시하였다. 각 군의 패널에 상기 대조예3, 실시예5, 실시예6, 실시예7 및 비교예1 의 화장료를 매일 아침 저녁 2회씩 세안 후 적당량을 팔의 상박에 2개월간 연속적으로 바르게 하였다. 이에 앞서 각 피검자는 자외선 조사기를 이용하여 피부의 색소침착을 야기시켰다. 미백효과는 상박에서의 피부미백 개선 효과를 육안으로 피부색을 관찰하여 평가한 후 그 결과를 표 6에 나타내었다.
화장료의 미백 효과
유효 약간 유효 무효 유효율(%)
대조예 3 3 7 10 15.0
실시예 5 15 3 2 90.0
실시예 6 16 2 2 90.0
실시예 7 18 1 1 95.0
비교예 1 12 3 5 75.0
상기 표 6의 결과에서도 알 수 있듯이, 본원 발명인 악틴, 악티게닌 또는 악틴 및 악티게닌 1:1 혼합물을 각각 함유하는 실시예5, 실시예6 및 실시예7은 아무것도 들어있지 않은 대조예3 및 알부틴을 함유하는 비교예1에 비하여 높은 미백 효과를 보여주었다.
실험예 6. 피부자극 실험
본 발명의 악티게닌유도체를 함유하는 화장료의 피부 자극을 평가하였다. 악티게닌을 함유하는 처방예의 크림 및 비교예의 크림을 이용하여 실험하였다.
화장료의 피부 자극성을 시험하기 위해, 건강한 성인 남녀 50명을 대상으로 첩포 시험 (patch test)을 헤이즈 테스트 쳄버 (Haye's Test Chamber)를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시험부위를 70% 에탄올로 닦아내고 건조시킨 다음, 준비된 시험물질 15 ㎍ 또는 15 ㎕를 적하한 쳄버 (Finn chamber, 100 × 10, EPITEST, 핀란드국)를 시험 대상자의 전박 (forearm) 안쪽 부위에 밀폐 첩포하였다. 24시간 동안 첩포하고 첩포를 제거한 후 표시펜으로 시험 부위를 표시하였다. 각각 1시간 그리고 24시간 후 (첩포 제거 후 1시간, 24시간 후 = 첩포 부착 포함 24시간, 48시간)에 확대경 (8MC-150, DAZOR, 미합중국)을 이용하여 시험 부위를 관찰하여 홍반 및 부종 유무를 관찰하였다. 피부 반응은 국제접촉피부염연구회 (ICDRG: International Contact Dermatitis Research Group)의 규정(표 6)에 따라 판정하였으며, 하기 수학식에 의하여 평균 피부 반응도를 계산하고 그 결과를 표 7에 나타내었다.
피부 반응의 평가 기준 및 점수
기호 점수 평가기준
- 0 무반응, 정상 피부
± 0.5 희미한 또는 가벼운 홍반
+ 1.0 경계가 뚜렷하나 약한 홍반, 부종 및 구진
++ 2.0 뚜렷한 홍반, 구진 및 소수포
+++ 3.0 심한 홍반 및 소포형성
++++ 6.0 대수포 형성
Figure 112007017541492-pat00002
시험 물질 24 시간 48 시간 평균 피부 반응도 (n=20)
± + ++ ± + ++
대조예 3 1 - - 1 - - 0.42
실시예 5 1 - - 1 - - 0.42
실시예 6 1 - - 1 - - 0.42
실시예 7 1 - - 1 - - 0.42
비교예 1 1 - - 1 - - 0.42
상기 표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악티게닌 유도체를 함유하지 않은 비교예의 크림에서의 피부 반응도는 매우 낮아 크림의 기타 함유 성분에 의해서는 피부 자극을 유발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악티게닌 및 유도체를 첨가하여도 피부 자극이 나타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7. 제형 안정성 실험
실험예 4에서 제조한 대조예3, 실시예5, 실시예6, 실시예7 및 비교예1의 화장료를 이용하여 온도 변화에 따른 제형 안정성을 시험하였다. 상기 시료는 불투명 초자 용기에 담아 45℃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항온조에서 1주 동안 보관하거나, 불투명 초자 용기에 담아 4℃로 일정하게 유지되고 완전히 차광 된 냉장고 내에서 1주 동안 보관한 후 변색 정도를 육안으로 비교 측정하였다. 이때 제품 변색 정도는 하기의 표 7의 6등급으로 분류하여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9에 나타내었다.
제품 변색 평가 기준
점수 평가 기준
0 변화 없음
1 극히 조금 변함
2 조금 변함
3 조금 심하게 변함
4 심하게 변함
5 극히 심하게 변함
제형 안정도
45℃ 4℃
대조예 3 0 0
실시예 5 0 0
실시예 6 0 0
실시예 7 0 0
비교예 1 1 0
상기 표 10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악틴, 악티게닌 또는 그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안정성이 매우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상기 실험을 통해 악틴, 악티게닌 또는 그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제형이 UV에서 발현되는 α-MSH에 의해 유발되는 멜라닌 대사 경로에 작용하여 멜라닌 생성을 효과적으로 제어 또는 억제하여 피부색을 밝게 하는 미백효과가 있음을 간접적으로 확인하였다. 이에, 아래의 제형예를 통하여 악틴, 악티게닌 또는 그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제형의 예를 제시하며, 하기 제형예는 제조예 1에서 분리한 악틴 및 시그마사에서 구입한 악티게닌을 사용하여 화장료를 제조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형예 1 내지 3. 유연 화장수 (스킨)
본 발명의 악틴 및 악티게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중 유연 화장수 (스킨)의 제형예는 다음과 같다.
성분(중량%) 제형예 1 제형예 2 제형예 3
악틴 1.0 - 2.0
악티게닌 - 1.0 2.0
1,3-부틸렌글리콜 5.2 5.2 5.2
올레일알코올 1.5 1.5 1.5
에탄올 3.2 3.2 3.2
폴리솔베이트 20 3.2 3.2 3.2
벤조페논-9 2.0 2.0 2.0
카르복실비닐폴리머 1.0 1.0 1.0
글리세린 3.5 3.5 3.5
미량 미량 미량
방부제 미량 미량 미량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100 100 100
제형예 4 내지 6. 영양화장수( 밀크로션 )
본 발명의 악틴 및 악티게닌을 포함하는 화장료 중 영양화장수(밀크로션)의 제형예는 다음과 같다.
성분(중량%) 제형예 4 제형예 5 제형예 6
악틴 2.5 - 1
악티게닌 - 1.5 7
글리세린 5.1 5.1 5.1
프로필렌글리콜 4.2 4.2 4.2
토코페릴아세테이트 3.0 3.0 3.0
유동파라핀 4.6 4.6 4.6
트리에탄올아민 1.0 1.0 1.0
스쿠알란 3.1 3.1 3.1
마카다미아너트오일 2.5 2.5 2.5
폴리솔베이트60 1.6 1.6 1.6
솔비탄세스퀴롤레이트 1.6 1.6 1.6
프로필파라벤 0.6 0.6 0.6
카르복실비닐폴리머 1.5 1.5 1.5
미량 미량 미량
방부제 미량 미량 미량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100 100 100
제형예 7 내지 9. 영양크림
본 발명의 악틴 및 악티게닌을 포함하는 화장료 중 영양크림의 제형예는 다음과 같다.
성분(중량%) 제형예 7 제형예 8 제형예 9
악틴 1 - 7
악티게닌 - 7 1
글리세린 4.0 4.0 4.0
바셀린 3.5 3.5 3.5
트리에탄올아민 2.1 2.1 2.1
유동파라핀 5.3 5.3 5.3
스쿠알란 3.0 3.0 3.0
밀납 2.6 2.6 2.6
토코페릴아세테이트 5.4 5.4 5.4
폴리솔베이트 60 3.2 3.2 3.2
카르복실비닐폴리머 1.0 1.0 1.0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3.1 3.1 3.1
미량 미량 미량
방부제 미량 미량 미량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100 100 100
제형예 10 내지 12. 맛사지 크림
본 발명의 악틴 및 악티게닌을 함유한 화장료 중 맛사지 크림의 제형예는 다음과 같다.
성분(중량%) 제형예 1 제형예 11 제형예 12
악틴 3 - 3
악티게닌 - 5 5
글리세린 4.0 4.0 4.0
바셀린 3.5 3.5 3.5
트리에탄올아민 0.5 0.5 0.5
유동파라핀 24.0 24.0 24.0
스쿠알란 3.0 3.0 3.0
밀납 2.1 2.1 2.1
토코페릴아세테이트 0.1 0.1 0.1
폴리솔베이트 60 2.4 2.4 2.4
카르복실비닐폴리머 1.0 1.0 1.0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2.3 2.3 2.3
미량 미량 미량
방부제 미량 미량 미량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100 100 100
제형예 13 내지 15. 팩
본 발명의 악틴 및 악티게닌을 포함하는 화장료 중 팩의 제형예는 다음과 같다.
성 분(중량%) 제형예 13 제형예 14 제형예 15
악틴 2 - 3
악티게닌 - 5 3
에틸알코올 3.0 3.0 3.0
EDTA-2Na 0.02 0.02 0.02
프로필렌 글리콜 5.1 5.1 5.1
글리셀린 4.5 4.5 4.5
카보폴 1.0 1.0 1.0
폴리옥사이드 0.1 0.1 0.1
방부제 미량 미량 미량
미량 미량 미량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100 100 100
본 발명에 사용된 악틴, 악티게닌 또는 그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은 알파-멜라노사이트 자극 호르몬에 의해 유발되는 멜라닌 대사 경로에 작용하여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여 종래의 피부미백화장료에 비해 보다 효과적으로 미백 작용을 나타낼 수 있으며, 피부자극도 낮았다.

Claims (5)

  1. 악틴(Arctiin), 악티게닌(Arctigenin) 또는 그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악틴(Arctiin), 악티게닌(Arctigenin)또는 그의 혼합물은 화장료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0001 내지 40.0 중량%를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악틴 및 악티게닌의 혼합물은 악틴 및 악티게닌이 100:1 내지 1:100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5. 제 1 항의 화장료 조성물을 인간의 피부에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방법.
KR1020070020603A 2007-02-28 2007-02-28 악틴, 악티게닌 또는 그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8554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0603A KR100855457B1 (ko) 2007-02-28 2007-02-28 악틴, 악티게닌 또는 그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US12/449,727 US20100104524A1 (en) 2007-02-28 2008-02-25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comprising arctiin, arctigenin or the mixture thereof as active
EP08723115.5A EP2114362B1 (en) 2007-02-28 2008-02-25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comprising a mixture of arctiin and arctigenin
JP2009551949A JP5675112B2 (ja) 2007-02-28 2008-02-25 アルクチン、アルクチゲニン又はその混合物を有効成分として含有する皮膚美白用化粧料組成物
CN2008800021710A CN101578092B (zh) 2007-02-28 2008-02-25 用于皮肤增白的含有牛蒡子甙、牛蒡子甙元或其混合物作为活性成分的化妆品组合物
PCT/KR2008/001077 WO2008105605A1 (en) 2007-02-28 2008-02-25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comprising arctiin, arctigenin or the mixture thereof as active ingredi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0603A KR100855457B1 (ko) 2007-02-28 2007-02-28 악틴, 악티게닌 또는 그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5457B1 true KR100855457B1 (ko) 2008-09-01

Family

ID=39721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0603A KR100855457B1 (ko) 2007-02-28 2007-02-28 악틴, 악티게닌 또는 그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00104524A1 (ko)
EP (1) EP2114362B1 (ko)
JP (1) JP5675112B2 (ko)
KR (1) KR100855457B1 (ko)
CN (1) CN101578092B (ko)
WO (1) WO2008105605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8716B1 (ko) 2007-03-07 2010-07-08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악티게닌 또는 악티게닌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피부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83777B1 (ko) 2014-07-18 2016-01-08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아크틴의 신규 용도
KR20160011398A (ko) * 2014-07-22 2016-02-01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리포좀에 포접하여 안정화시킨 악틴 또는 악티게닌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5487098A (zh) * 2022-10-23 2022-12-20 周嘉奇 一种护肤乳液及其制备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20339A1 (zh) * 2010-04-03 2011-10-06 鲁南制药集团股份有限公司 牛蒡苷元的微乳制剂
CN102451178A (zh) * 2010-10-29 2012-05-16 中国科学院上海药物研究所 二氢呋喃-2-酮类化合物在制备抗糖尿病及糖脂代谢药物中的用途
US8614211B2 (en) 2011-08-10 2013-12-24 Neupharma, Inc. Certain chemical entities, compositions, and methods
US9675538B2 (en) 2012-03-30 2017-06-13 Rohto Pharmaceutical Co., Ltd. Anti-aging agent containing arctigenin derivative
EP2842607B1 (en) * 2013-09-02 2018-05-30 Symrise AG A skin and/or hair whitening mixture
ITUB20150330A1 (it) * 2015-02-05 2016-08-05 Novamont Spa Processo per il frazionamento di semi di piante oleaginose.
KR102394636B1 (ko) * 2015-06-30 2022-05-09 (주)아모레퍼시픽 피부 미백용 조성물 및 피부 미백 효능 물질을 스크리닝하는 방법
WO2017138586A1 (ja) * 2016-02-08 2017-08-17 クラシエ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インフラマソーム活性化抑制剤
CN105769964A (zh) * 2016-03-30 2016-07-20 苏州勤浩药物研究开发有限公司 牛蒡子提取物抗皮肤光老化的用途
JP6902329B2 (ja) * 2016-04-04 2021-07-14 クラシエ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皮脂腺細胞の活性化の抑制剤
JP6389308B1 (ja) * 2017-08-23 2018-09-12 一丸ファルコス株式会社 皮膚外用剤
FR3078891B1 (fr) * 2018-03-16 2020-12-25 Centre Nat Rech Scient Utilisation d’un extrait d’ilex aquifolium pour le traitement des desordres de la pigmentation et pour le blanchiment de la peau
CN111514132A (zh) * 2019-02-01 2020-08-11 鲁南制药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对疖痈具有防治作用的组合物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0660A (ko) * 2001-04-17 2002-10-26 김종헌 연교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제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77648B2 (ja) * 1991-07-19 1999-11-15 鐘紡株式会社 養毛化粧料
JP3862765B2 (ja) * 1994-04-11 2006-12-27 株式会社ナリス化粧品 メラニン生成抑制物質
JP2000119156A (ja) * 1998-10-14 2000-04-25 Kose Corp 皮膚外用剤
CN1292284A (zh) * 1999-07-03 2001-04-25 王淑贞 一种湿敷面膜及其制备方法
JP3658548B2 (ja) * 2000-10-24 2005-06-08 丸善製薬株式会社 美白化粧料
KR100638056B1 (ko) * 2000-12-15 2006-10-24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연교추출물을 함유한 미백제
JP2003081748A (ja) * 2001-09-12 2003-03-19 Pola Chem Ind Inc メラノサイトのデンドライトの伸長抑制剤及びそれを含有する化粧料
JP2003246722A (ja) * 2002-02-25 2003-09-02 Kanebo Ltd 美白化粧料
DE10223486A1 (de) * 2002-05-27 2003-12-11 Beiersdorf Ag Kosmetische und/oder dermatologische Zubereitung mit 2,3-Dibenzylbutyrolactonen
DE10305965A1 (de) * 2003-02-12 2004-08-26 Beiersdorf Ag Kosmetische und/oder dermatologische Zubereitung
DE10357451A1 (de) * 2003-12-03 2005-07-07 Beiersdorf Ag Wirkstoffkombinationen aus 2,3-Dibenzylbutyrolactonen und Licochalcon A oder einem wässrigen Extrakt aus Radix Glycyrrhizae inflatae, enthaltend Licochalcon A
KR100599491B1 (ko) * 2005-08-09 2006-07-12 주식회사 사이버메드 수술용 항법장치용 프로브
CN100435829C (zh) * 2005-12-24 2008-11-26 蒋艳群 一种调节人体内分泌、美容祛斑的中草药组合物
CN100394911C (zh) * 2006-01-25 2008-06-18 郁俊明 祛除色斑的中草药面膜
KR100825450B1 (ko) * 2006-06-30 2008-04-28 주식회사 사임당화장품 연교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0660A (ko) * 2001-04-17 2002-10-26 김종헌 연교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8716B1 (ko) 2007-03-07 2010-07-08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악티게닌 또는 악티게닌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피부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83777B1 (ko) 2014-07-18 2016-01-08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아크틴의 신규 용도
KR20160011398A (ko) * 2014-07-22 2016-02-01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리포좀에 포접하여 안정화시킨 악틴 또는 악티게닌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631924B1 (ko) * 2014-07-22 2016-06-20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리포좀에 포접하여 안정화시킨 악틴 또는 악티게닌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5487098A (zh) * 2022-10-23 2022-12-20 周嘉奇 一种护肤乳液及其制备方法
CN115487098B (zh) * 2022-10-23 2024-02-27 深圳市理然化妆品有限公司 一种护肤乳液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675112B2 (ja) 2015-02-25
WO2008105605A1 (en) 2008-09-04
EP2114362A4 (en) 2013-12-18
JP2010520233A (ja) 2010-06-10
US20100104524A1 (en) 2010-04-29
EP2114362B1 (en) 2018-07-18
CN101578092B (zh) 2011-08-03
EP2114362A1 (en) 2009-11-11
CN101578092A (zh) 2009-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5457B1 (ko) 악틴, 악티게닌 또는 그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31574B1 (ko)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551243B1 (ko) 말굽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090123A (ko) 리퀴댐버릭 락톤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80045626A (ko) 발레클로린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525090B1 (ko)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027213A (ko) 살비아놀산 c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495454B1 (ko) 피토라이트를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1317433B1 (ko) 지구자, 길경, 밀싹 및 세이지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용 조성물
KR101230752B1 (ko) 히스피듈린 또는 그 유도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681700B1 (ko) 생큐노라이드 a 및 글루콘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51240B1 (ko) 검은 생강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540854B1 (ko) 피토라이트 및 락테이트를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2160306B1 (ko) 피부미백제
KR20180061662A (ko) 아네모시드 a3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786606B1 (ko) 테트란드린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30089559A (ko) 항노화 조성물
KR101348881B1 (ko) 6-메톡시나린제닌 또는 그 유도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80061663A (ko) 디하이드로에보디아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40060157A (ko) 트라넥사믹산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519851B1 (ko) 디아세틸볼딘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2215168B1 (ko) 16-하이드록시-옥타데카-9,17-디엔-12,14-디이닐 에스테르 아세트산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060116362A (ko) 상지추출물 및 코엔자임 q-10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화장료 조성물
KR20010027446A (ko) 폴리에톡실레이티드 비타민 씨 유도체를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40029654A (ko) 보스웰릭산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