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8056B1 - 연교추출물을 함유한 미백제 - Google Patents

연교추출물을 함유한 미백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8056B1
KR100638056B1 KR1020000076870A KR20000076870A KR100638056B1 KR 100638056 B1 KR100638056 B1 KR 100638056B1 KR 1020000076870 A KR1020000076870 A KR 1020000076870A KR 20000076870 A KR20000076870 A KR 20000076870A KR 100638056 B1 KR100638056 B1 KR 1006380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whitening agent
duct
whitening
melan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68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46614A (ko
Inventor
김성우
이강태
정지헌
조병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Priority to KR10200000768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8056B1/ko
Publication of KR200200466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66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80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80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교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연교추출물은 미백제 총 건조중량에 대하여 0.0001∼ 10.0 중량%의 함량으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연교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제는 α-멜라노사이트 자극 호르몬에 의해 유발되는 멜라닌 대사 경로에 작용하여 멜라닌 생성을 제어, 억제함으로서 기존의 멜라닌 합성효소의 활성만을 저해하는 코직산, 알부틴, 상백피 추출물 및 감초 추출물 등에 비해 보다 효과적으로 미백 작용을 나타낼 수 있으며, 미백제품으로의 적용 범위가 매우 넓다.
연교 추출물, 미백제

Description

연교추출물을 함유한 미백제{Skin whitening composition containing the fruit extracts of forsythia suspensa}
도 1은 멜라닌 합성효소인 티로시나제의 발현에 대한 연교추출물의 저해 효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개나리(Forsythia suspensa)의 열매로부터 분리 정제한 연교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제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의 3대 테마라고 일컬어지는 주름, 미백, 육모에 관한 연구개발은 피부에 관한 기초적 연구, 바이오테크놀로지에 따른 생리활성물질 개발에 의해 현저한 진보를 올리고 있다. 특히 미백 연구에 있어서, 코직산과 알부틴 등과 같은 티로시나제에 대한 저해제의 개발로 현저히 발전이 있었으며, 또한 이로인해 미백화장품 시장이 활성화되고 있다.
피부의 색조는 민족, 개인, 신체부위에 의해 다르지만, 피부나 모발색을 결정하는 색소는 멜라닌이다. 멜라닌 색소는 표피 기저층에 산재하는 멜라노사이트에 있어서 아미노산의 하나인 티로신을 기본으로 티로시나제를 포함한 멜라닌 합성효 소들의 작용에 의해 산화, 중합하여 만들어진다. 멜라닌 색소가 많을수록 피부나 모발은 검게되고, 자외선 노출이나 염증에 의해 피부 내에 과다하게 생성되면 색소침착 현상이 일어나 기미나 주근깨의 원인이 된다.
자외선에 의한 색소침착은 DNA 손상에 의해 직접적으로 유발되기도 하지만, 자외선이 각질형성세포 및 섬유아세포 등에 작용함으로서 결과 분비된 사이토카인(cytokine), 성장인자, 호르몬의 멜라닌세포 자극으로 인하여 색소침착이 발생하기도 한다. 각질형성세포는 염증, 자외선 조사에 의해 α-멜라노사이트 자극 호르몬(α-MSH: α-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 어가우티 신호 단백질(ASP(Agouti signaling protein)), 엔도세린(endothelin) 등을 분비함으로서 멜라닌 합성을 증가시킨다.
α-MSH는 주로 뇌하수체 전엽에서 분비되나, 자외선 조사나 염증시 각질형성세포에서 분비된다. α-MSH는 자외선에 의해 자극된 각질세포로부터 분비된 POMC(Proopiomelanocortin) 단백질의 단백질 가수분해에 의하여 생성되며, 배양한 멜라닌세포에 α-MSH를 투여하면 멜라닌세포 성장 및 티로시나제 활성도가 증가된다.
기존의 코직산(kojic acid), 알부틴(Arbutin), 상백피 추출물 및 감초 추출물 등과 같은 미백제들은 티로시나제의 활성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작용 기작을 갖는 물질들은 티로시나제와 직접적인 상호작용을 함으로써 효과를 나타내게 되는데, 피부세포 내로의 흡수 및 멜라노좀으로의 침투가 용이하지 않을 경우 효과가 나타나기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α-MSH에 의해 유발되는 멜라닌 대사 경로에 작용하여 멜라닌 생성을 제어, 억제할 수 있는 물질을 개발하고자 연구 노력한 결과, 연교추출물이 기존의 멜라닌 합성효소의 활성만을 저해하는 미백제에 비해 보다 효과적으로 미백 작용을 나타낸다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자외선에 의해 유발되는 α-MSH의 활성을 억제하여 우수한 미백효과를 나타내는, 연교추출물을 함유한 미백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연교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연교추출물은 미백제 총 건조중량에 대하여 0.0001∼ 10.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05∼ 5.0 중량%의 함량으로 함유된다.
연교는 물푸레나무과 식물인 개나리의 과실을 말한다. 연교는 낙엽관목으로 높이는 2~ 3m이고 가지가 가늘고 길며, 퍼져 있거나 혹은 아래로 드리워져 있고 속이 비어 있다. 잎은 1 혹은 3장으로 이루어진 복엽이 마주나며 계란형이고, 옆저는 넓은 쐐기형이다. 꽃은 잎보다 먼저 피는데 1~ 4송이가 잎에 착생한다. 열매는 좁은 계란형이고 끝에는 짧은 부리가 있으며 완전히 익었을때는 2조각으로 갈라진다. 산야의 황무지에서 자라며, 과실이 처음 익었을 때 또는 완전히 익었을 때 채취하여 햇볕에 말려 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의 성상에 적합한 연교를 사용하였다.
본 발명의 연교추출물의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다.
개나리의 열매부분을 말린 것을 깨끗한 물로 세척한 다음 건조하여 분말화 하고, 분말화된 연교의 건조 중량에 대하여 추출 용매로서 물, 저급알코올(메탄올, 에탄올), 물과 저급 알코올의 혼합물,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1,3-부틸렌 글리콜, 헥산, 디에틸 에테르, 노말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노말-부탄올을 1∼ 15배의 양으로 가해 실온에서 1∼ 15일간 침적시켜 유효 성분을 추출한다. 이렇게 추출한 추출용액을 냉각 콘덴서가 달린 증류 장치를 이용하여 감압농축하여 목적하는 본 발명의 연교추출물을 얻는다.
본 발명의 연교추출물 함유 미백제는 그 제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는 바가 없는데, 예를 들면 화장수, 크림, 에센스,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팩 및 보디 오일 등과 같은 기초제품 화장료; 화운데이션, 립스틱, 마스카라, 메이크업 베이스 등과 같은 색조제품 화장료; 및 샴푸, 린스, 헤어콘디셔너, 헤어젤 등과 같은 두발제품 화장료;의 제형을 가질 수 있다.
다음의 실시예, 실험예, 및 제형예들은 본 발명의 내용을 설명하나 본 발명의 내용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정제수로 세척하고 건조시킨 다음 분말화한 연교 가루 1Kg을 물 5L에 넣고 15∼ 40℃에서 5일간 추출한 후 300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4∼ 15℃에서 7∼ 10일간 방치하여 저온 숙성시킨 후 와트만 2번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이 추출물을 냉각 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에서 60℃로 감압 농축하고 건조하여 56.8g(건조중량)을 얻었다.
실시예 2
정제수로 세척하고 건조시킨 다음 분말화한 연교 가루 1Kg을 10% 에탄올 5L에 넣고 냉각 콘덴서가 달린 추출기에서 3일간 추출한 후 300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4∼ 15℃에서 7∼ 10일간 방치하여 저온 숙성시킨 후 와트만 2번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이 추출물을 냉각 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에서 60℃로 감압 농축하고 건조하여 75.7g(건조중량)을 얻었다.
실시예 3∼ 21
하기 표 1 기재의 용매를 사용하여 실시예 2의 방법으로 추출하여 하기 표 1 기재와 같이 건조중량을 얻었다.
구분 용매 건조중량(단위: g)
실시예 3 20% 에탄올 78.1
실시예 4 30% 에탄올 82.4
실시예 5 40% 에탄올 85.3
실시예 6 50% 에탄올 90.6
실시예 7 60% 에탄올 95.4
실시예 8 70% 에탄올 107.8
실시예 9 80% 에탄올 105.1
실시예 10 90% 에탄올 104.8
실시예 11 100% 에탄올 103.9
실시예 12 80% 메탄올 95.2
실시예 13 100% 메탄올 100.8
실시예 14 아세톤 30.4
실시예 15 에틸 아세테이트 68.2
실시예 16 50% 1,3-부틸렌 글리콜 수용액 30.7
실시예 17 헥산 33.2
실시예 18 디에틸에테르 55.2
실시예 19 노말-프로판올 32.7
실시예 20 이소-프로판올 21.9
실시예 21 노말-부탄올 25.4

실험예 1
이미 제조된 연교추출물의 멜라닌 생성 저해 효과를 측정하였다.
1) 실험 방법
연교추출물은 연교 파우더를 1,3-부틸렌 글리콜에 고농도로 용해시키고 다시 완충용액에 희석하여 적당한 농도로 조절하여 추출물 시료액으로 만들어 사용하였다. 멜라노사이트는 마우스 유래 B-16 멜라노마(ATCC CRL 6323) 세포주를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α-MSH는 10% DMSO(Dimethyl sulfoxide)에 녹여 1mM 용액으로 사용하였다. 멜라노마 세포주를 포도당 4.5 g/L, 10% 혈청 및 1% 항생제가 함유된 DMEM 배지에 접종하여 75㎠ T-플라스크에 37℃에서 배양하였다. 5% CO2 조건하에서 24시간 배양한 후, 0.02% EDTA가 함유된 0.05% 트립신(Trypsin)을 처리하여 세포를 분 리한 후 75㎠ T-플라스크에 접종하여 6시간 배양하였다. 이때 세포 수는 1 × 107 세포/플라스크이다. 여기에 적당 농도의 연교추출물과 멜라노사이트 자극 호르몬을 MEM 배지에 희석시켜 배양된 멜라노마 세포에 처리하여 37℃에서 5일간 배양하였다. 배양한 후 배지를 수득하여 47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멜라닌 생성 정도를 비교하였다.
2) 실험 결과
연교추출물의 멜라닌 생성 저해 효과는 표 2에 나타내었다.
추출물 멜라닌생성저해효과(%)
실험농도(㎍/㎖)
60 100 140 180
실시예 1 30.8 49.6 48.2 61.4
실시예 2 35.3 53.8 53.9 62.3
실시예 3 35.5 56.3 55.7 64.5
실시예 4 37.7 58.7 57.8 66.0
실시예 5 39.1 58.9 60.3 69.3
실시예 6 39.0 61.4 60.7 72.4
실시예 7 41.9 62.5 61.4 72.8
실시예 8 43.0 64.9 66.9 76.3
실시예 9 39.1 64.3 64.6 75.9
실시예 10 38.3 63.4 64.4 74.4
실시예 11 35.6 59.3 58.2 69.5
실시예 12 33.5 58.2 57.9 64.3
실시예 13 31.6 56.6 57.0 61.7
실시예 14 21.5 33.8 37.6 39.0
실시예 15 19.9 27.4 35.4 37.3
실시예 16 15.3 36.4 36.3 36.4
실시예 17 25.3 45.5 26.4 30.6
실시예 18 23.5 19.1 20.3 22.8
실시예 19 22.7 17.3 22.0 26.7
실시예 20 24.0 27.4 23.5 24.7
실시예 21 26.2 32.6 29.0 30.9

* 상기 값은 3회 실시 평균값임
연교추출물들은 대부분 높은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실시예 8의 70% 에탄올 추출물에서 가장 높은 저해효과가 있었다. 에탄올 및 메탄올을 추출용매로 사용한 실시예 1~ 13의 경우가 다른 용매를 추출용매로 사용한 실시예 보다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를 가지는 물질들의 용출이 상대적으로 높아, 에탄올 및 메탄올로 추출한 실시예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실험예 2.
멜라노사이트에서 멜라닌 합성효소의 발현 억제 효과를 측정하였다.
1) 실험 방법
멜라노사이트는 마우스 유래 B-16 멜라노마(ATCC CRL 6323) 세포주를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α-MSH는 10% DMSO(Dimethyl sulfoxide)에 녹여 1mM 용액으로 사용하였다. 멜라노마 세포주를 포도당 4.5 g/L, 10% 혈청 및 1% 항생제가 함유된 DMEM 배지에 접종하여 75㎠ T-플라스크에 37℃에서 배양하였다. 5% CO2 조건하에서 24시간 배양한 후, 0.02% EDTA가 함유된 0.05% 트립신(Trypsin)을 처리하여 세포를 분리하고 75㎠ T-플라스크에 접종하여 6시간 배양하였다. 이때 세포 수는 1 × 107 세포/플라스크이다. 여기에 실시예 8에서 제조한 연교추출물과 멜라노사이트 자극 호르몬을 MEM 배지에 희석시켜 표 3에 기재한 조건으로 배양된 멜라노마 세포에 각각 처리하여 37℃에서 5일간 배양하였다. 배양한 후 세포를 0.02% EDTA가 함유된 0.05% 트립신(Trypsin)을 처리하여 세포를 분리한 후 5분간 원심 분리하여 세포만 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세포를 0.1% 트리톤-엑스 100(Triton-X 100)으로 분쇄한 후, 10% 트리스-글리신 젤(Tris-Glycine gel)에서 전기영동하고 0.2% 도파(DOPA) 용액으로 염색하여 멜라닌 합성효소의 생성 정도를 비교하였다.
연교추출물 첨가량 (㎍/㎖) α-MSH 첨가량(nM)
세포 1 0 0
세포 2 0 100
세포 3 100 0
세포 4 100 100

2) 실험 결과
실험 결과는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서 각각의 lane은 그 순서대로 세포 1, 세포 2, 세포 3 및 세포 4를 나타낸다.
도 1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세포 (1)에 비하여 α-MSH를 처리한 세포 (2)의 경우 티로시나아제의 단백질량이 증가하였고, α-MSH와 연교추출물을 함께 처리한 세포 (4)의 경우 α-MSH만을 첨가한 세포 (2)보다 티로시나아제의 단백질량이 오히려 감소하였다. 따라서, 연교 추출물은 α-MSH에 의한 티로시나아제 단백질의 과량 발현을 억제해 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이미 제조된 연교추출물의 피브로블라스트(fibroblast) 세포에 대한 독성 여부를 측정하였다.
피브로블라스트 세포는 마우스 유래 NIH/3T3(ATCC CRL 1658) 세포주를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피브로블라스트 세포주를 포도당 4.5 g/L, 10% 혈청 및 1% 항생제가 함유된 DMEM 배지에 접종하여 75㎠ T-플라스크에 37℃에서 배양한다. 5% CO2 조건하에서 24시간 배양한 후, 0.02% EDTA가 함유된 0.05% 트립신(Trypsin)을 처리하여 세포를 분리한 후 96-웰-플라스크에 접종하여 6시간 배양하였다. 이때 세포 수는 1 × 104 세포/웰이다. 여기에 적당 농도의 연교추출물을 첨가하여 12시간 배양하였다. 배양한 후, MTT(3-(4,5-dimethylthiazol-2-yl) 2,5-diphenyl tetrazolin bromide) 용액(5㎎/㎖)을 웰에 10㎕ 첨가하여 4시간 배양하고, DMSO(Dimethyl sulfoxide) 용액 100㎕를 첨가한 후, OD 57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세포의 생존율을 비교하였다.
2) 실험 결과
실험 결과는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다.
연교추출물의 농도(㎍/㎖) 생존율(%)
20 93.8
60 91.3
100 86.6
140 86.2
180 79.0

- 세포에 대한 독성 판정
생존률 70% 이하 - 중독성,
70% 초과 80% 이하 - 경독성,
80% 초과 90% 이하 - 미독성,
90% 초과 - 무독성
이상의 실험결과, 연교추출물의 세포에 대한 독성은 미독성이거나 무독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하 상기한 실험예들의 결과를 근거로 하여 실시예 8에서 제조한 연교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를 조성하여 제시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조성물을 하기의 제형예들로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제형예 1. 유연화장수(스킨로션)
하기의 표와 같이 연교추출물을 함유하는 유연화장수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단위:중량%)
연교 추출물 1.0
글리세린 5.0
1,3-부틸렌글리콜 3.0
피이지 1500 1.0
알란토인 0.1
DL-판테놀 0.3
이.디.티.에이-2NA 0.02
벤조페논-9 0.04
소듐 히아루로네이트 5.0
에탄올 10.0
옥틱도데세스-16 0.2
폴리솔베이트 20 0.2
0.03
파라-M 0.01
그린 #3 0.003
증류수 잔량
합계 100
제형예 2. 수렴화장수
하기의 표와 같이 연교 추출물을 함유하는 수렴화장수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단위:중량%)
연교추출물 1.0
글리세린 2.0
1,3-부틸렌글리콜 2.0
알란토인 0.2
DL-판테놀 0.2
이.디.티.에이-2NA 0.02
벤조페논-9 0.04
소듐 히아루로네이트 3.0
에탄올 15.0
폴리솔베이트 0.3
위치하겔 추출물 2.0
구연산 미량
0.03
파라-M 0.01
그린 #3 0.003
증류수 잔량
합계 100
제형예 3. 영양화장수
하기의 표와 같이 연교 추출물을 함유하는 영양화장수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단위:중량%)
연교추출물 3.0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SE 1.5
스테아릴알콜 1.5
라놀린 1.5
폴리솔베이트 60 1.3
솔비탄스테아레이트 0.5
경화식물유 1.0
광물유 5.0
스쿠알란 3.0
트리옥타노인 2.0
디메치콘 0.8
초산토코페롤 0.5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2
글리세린 5.0
1,3-부틸렌글리콜 3.0
소듐히아루로네이트 5.0
트리에탄올아민 0.12
0.02
파라-M 0.01
그린 #3 0.004
증류수 잔량
합계 100
제형예 4. 영양크림
하기의 표와 같이 연교추출물을 함유하는 영양크림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단위:중량%)
연교추출물 3.0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 2.0
세테아릴알콜 2.2
스테아린산 1.5
밀납 1.0
폴리솔베이트 60 1.5
솔비탄스테아레이트 0.6
경화식물류 1.0
스쿠알란 3.0
광물유 5.0
트리옥타노인 5.0
디메치콘 1.0
소듐마그네슘실리케이트 0.1
글리세린 5.0
베타인 3.0
트리에탄올아민 1.0
소듐히아루로네이트 4.0
0.02
파라-M 0.01
그린 #3 0.004
증류수 잔량
합계 100
제형예 5. 맛사지크림
하기의 표와 같이 연교추출물을 함유하는 맛사지크림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단위:중량%)
연교추출물 3.0
친유형 모노스케아린산 글리세린 1.5
스테아릴알콜 1.5
스테아린산 1.0
폴리솔베이트 60 1.5
솔비탄스테아레이트 0.6
이소스테아릴이소스테레이트 5.0
스쿠알란 5.0
광물유 35.0
디메치콘 0.5
히드록시에틸실룰로오스 0.12
글리세린 6.0
트리에탄올아민 0.7
0.02
파라-M 0.01
그린 #3 0.004
증류수 잔량
합계 100

제형예 6. 에센스
하기의 표와 같이 연교추출물을 함유하는 에센스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단위:중량%)
연교추출물 3.0
글리세린 10.0
베타인 5.0
피이지 1500 2.0
알란토인 0.1
DL-판테놀 0.3
이.디.티.에이-2Na 0.02
벤조페논-9 0.04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0.1
소듐히아루로네이트 8.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2
트리에탄올아민 0.18
옥틸도데칸올 0.3
옥틸도데세스-16 0.4
에탄올 6.0
0.03
파라-M 0.01
그린 #3 0.003
증류슈 잔량
합계 100

제형예 7. 팩
하기의 표와 같이 연교추출물을 함유하는 팩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단위:중량%)
연교추출물 1.0
폴리비닐알콜 15.0
셀룰로오스검 0.15
글리세린 3.0
피이지 1500 2.0
사이크로데스트린 0.15
DL-판테놀 0.4
알란토인 0.1
그리시리진산모노암모늄 0.3
니코틴아미드 0.5
에탄올 6.0
피이지 40 경화피마자유 0.3
0.02
파라-M 0.01
그린 #3 0.004
증류수 잔량
합계 100


본 발명의 연교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제는 α-MSH에 의해 유발되는 멜라닌 대사 경로에 작용하여 멜라닌 생성을 제어, 억제함으로서, 보다 효과적으로 미백 작용을 나타낼 수 있으며 미백제품으로의 적용 범위가 매우 넓다.

Claims (4)

  1. 연교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제.
  2. 제 1항에 있어서, 연교추출물이 미백제 총 건조중량에 대하여 0.0001∼ 10.0 중량%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제.
  3. 제 1항에 있어서, 연교추출물이 분말화한 연교를 물, 저급알코올(메탄올, 에탄올), 물과 저급 알코올의 혼합물,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1,3-부틸렌 글리콜, 헥산, 디에틸 에테르, 노말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노말-부탄올 중에서 선택된 추출 용매에 가하고 실온에서 1∼ 15일간 침적시켜 유효 성분을 추출한 후, 그 추출용액을 냉각 콘덴서가 달린 증류 장치를 이용하여 감압농축하는 추출방법에 의해 얻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제.
  4. 제 1항에 있어서, 제형이 기초제품 화장료, 색조제품 화장료 및 두발제품 화장료임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제.
KR1020000076870A 2000-12-15 2000-12-15 연교추출물을 함유한 미백제 KR1006380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6870A KR100638056B1 (ko) 2000-12-15 2000-12-15 연교추출물을 함유한 미백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6870A KR100638056B1 (ko) 2000-12-15 2000-12-15 연교추출물을 함유한 미백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6614A KR20020046614A (ko) 2002-06-21
KR100638056B1 true KR100638056B1 (ko) 2006-10-24

Family

ID=27682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6870A KR100638056B1 (ko) 2000-12-15 2000-12-15 연교추출물을 함유한 미백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80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2773B1 (ko) * 2005-06-22 2012-05-1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각질 박리 촉진용 조성물
KR100855457B1 (ko) * 2007-02-28 2008-09-01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악틴, 악티게닌 또는 그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50057915A (ko) * 2013-11-18 2015-05-2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항염증 또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463745B1 (ko) * 2022-07-20 2022-11-07 (주)바이오시엠 미백 및 항산화기능을 가지는 화장품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6614A (ko) 2002-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1837B1 (ko) 병풀 부정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25873B1 (ko) 산삼 배양근, 단너삼, 고삼 및 사삼을 포함하는 2단 발효추출물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060121496A (ko) 애기닥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KR101071414B1 (ko) 과나바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조성물
KR100441596B1 (ko) 미백과 세포 증식효과를 갖는 혼합 식물추출물을 함유한화장료 조성물
KR100638056B1 (ko) 연교추출물을 함유한 미백제
KR101700105B1 (ko) 낭아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미백 및 주름 개선을 위한 조성물
KR100914963B1 (ko) 백지, 오매, 반하 및 류기노 추출물를 함유하는 미백화장료 조성물
KR101854766B1 (ko) 미백 효능을 갖는 트리히드록시 이소플라본 및 감초 추출물의 복합체
KR102612017B1 (ko)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632084B1 (ko) 오이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피부미백 및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789634B1 (ko)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을 갖는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피부미백용 화장료
KR100681700B1 (ko) 생큐노라이드 a 및 글루콘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210133936A (ko) 분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유래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6969A (ko) 당류를 이용한 천연 추출물 제조 방법
KR20120036516A (ko) 브로콜리 종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136957A (ko)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7148115B2 (ja) 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mmp阻害剤、メラニン生成抑制剤、細胞増殖促進剤、抗酸化剤、シワ改善剤、医薬品又は食品組成物
KR20020046615A (ko) 우방자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제
KR20100088463A (ko) 아로니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76525B1 (ko) 벌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003470B1 (ko) 고대미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0467501B1 (ko) 현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 화장료 조성물
KR102435602B1 (ko) 알로에 베라 부정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40026B1 (ko) 철쭉 뿌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7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