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8716B1 - 악티게닌 또는 악티게닌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피부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악티게닌 또는 악티게닌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피부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8716B1
KR100968716B1 KR1020070022487A KR20070022487A KR100968716B1 KR 100968716 B1 KR100968716 B1 KR 100968716B1 KR 1020070022487 A KR1020070022487 A KR 1020070022487A KR 20070022487 A KR20070022487 A KR 20070022487A KR 100968716 B1 KR100968716 B1 KR 1009687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cosmetic composition
actigenin
derivatives
methox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2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82106A (ko
Inventor
이정노
이춘몽
김상우
이강태
이건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Priority to KR10200700224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8716B1/ko
Publication of KR200800821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21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87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87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8Antioxidants, e.g. antiradic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악티게닌 또는 악티게닌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피부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진피 매트릭스를 구성하는 단백질인 콜라겐의 합성을 증진시키켜, 피부주름 및 피부탄력을 효과적으로 개선하여 피부노화 방지에 효과적이다.
악티게닌 유도체, 피부주름, 피부노화, 화장료

Description

악티게닌 또는 악티게닌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Preventing Skin Aging Comprising Arctigenin or Arctigenin derivatives As Active Ingredient}
도 1은 본 발명의 악티게닌 유도체를 분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본 발명은 악티게닌 또는 악티게닌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의 1차적 기능은 온도, 습도 및 자외선 등과 같은 외부 자극으로부터 인체를 보호하는 기능이다. 그러나, 외부로부터 강한 자외선, 스트레스 및 영양결핍 등과 같은 외부 자극을 받게 되면 피부는 주름 생성, 탄력 손실, 각질화 등과 같은 피부의 노화가 발생하게 된다. 피부의 구조 중에서 진피층에 존재하는 교원섬유 (collagen)와 탄력섬유 (elastin)는 주요 단백질로서 피부의 탄력을 주관한다. 교 원섬유의 생합성은 피부의 내,외적인 영향을 받는데, 내적으로는 자연노화 (에스트로겐의 감소)로 인해 세포 활성의 감소가 발생하여 교원질 섬유의 감소가 일어난다. 외적인 요인으로는 자외선의 과량 조사 및 스트레스 등으로 인해 생성된 활성 산소 (자유 라디칼)가 단백질의 -SH기와 반응하여 효소의 활성을 저해시키거나, 콜라겐, 엘라스틴 등을 분해시키는 효소 (Matrix Metalloproteinases: MMPS)인 콜라게나아제의 발현을 증가시켜 피부의 주름 및 탄력을 감소시키는 노화 현상을 유발한다. 특히, 자외선의 과량 조사는 연령이 높아짐에 따라 피부 조직이 점차 변화하면서 발생하는 주름살, 피부의 두꺼워짐, 피부의 처짐, 피부 탄력의 상실, 피부의 거칠어짐, 피부의 건조함 및 피부 얼룩 등을 가속화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 이러한 피부노화를 억제하거나 진행 속도를 완화시키기 위하여, 레티놀, 레티노이드, 비타민 C, 플라보노이드, 토코페롤 등의 여러 가지 피부 보호 성분이 함유된 화장료 또는 피부 보호제가 개발되고 있으나, 이와 같은 화장료 또는 피부 보호제는 최종적인 제형에 있어서 역가가 떨어져 그 효능이 경미하고, 피부 자극이 심한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한편,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1997-60849 호에서는 레티놀, 알파하이드록시산, 비타민류 특히 베타 하이드록시산의 세린을 함유한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고,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1998-18636 호에서는 폴리아미노 중합체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1994-7002880 호에서는 은행 추출물 및 최소한 하나의 폴리페놀 유도체를 함유하는 항산화제로서의 상승작용을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개 시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1996-69236 호에서는 L-2-옥소티아졸리딘-4-카르복실산 유도체를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다수의 논문 및 특허문헌이 참조되고 그 인용은 괄호 내에 표시되어 있다. 인용된 논문 및 특허문헌의 개시 내용은 그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참조로 삽입되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수준과 본 발명의 내용이 보다 명확하게 설명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피부노화를 개선시키거나 진행 속도를 완화시키기 위해 개발된 기존의 피부 노화 방지 화장료들이 최종적인 제형에 있어서 역가가 떨어지고 그 효능이 경미하며 피부자극이 심하다는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연구를 거듭한 결과, 악티게닌(Arctigenin) 및 악티게닌 유도체가 섬유아세포의 콜라겐 합성을 증진시킴으로써 피부주름 및 피부탄력을 개선하는데 탁월한 효과가 있으며,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의 제형 안정성도 뛰어나고 피부자극도 유발하지 않음을 확인하였고, 이를 인체적용 임상을 실시한 결과 우수한 효과를 보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악티게닌 또는 악티게닌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악티게닌 또는 악티게닌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 유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악틴 또는 악티게닌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하여 피부노화 및 피부 주름을 개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악티게닌 또는 악티게닌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피부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유효성분으로 포함되는 악티게닌(Arctigenin) 및 악티게닌 유도체는 하기 화학식 1 및 화학식 2에서 보는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화합물이다.
Figure 112007018761060-pat00001
Figure 112007018761060-pat00002
상기 화학식 1 및 2에서 R1은 수소 혹은 글루코사이드이며 R2는 메틸기 혹은 수소이다.
상기 화학식 1의 악티게닌 유도체에서
(1) R1=수소, R2=메틸기인 경우는 악티게닌이고,
(2) R1=글루코사이드, R2=메틸기인 경우는 악틴이며,
(3) R1=수소, R2=수소인 경우는 마테이레시놀이고,
(4) R1=글루코사이드, R2=수소인 경우는 마테이레시노사이드이다.
상기 화학식 2의 악티게닌 유도체는 화학식 1의 악티게닌 유도체의 락틴링이 오픈된 경우로서,
(5) R1=수소, R2=메틸기인 경우는 4-(3,4-디메톡시-페닐)-2-(4-하이드록시- 3-메톡시-벤질)-3-메틸뷰티릭 엑시드{4-(3,4-Dimethoxy-phenyl)-2-(4-hydroxy-3-methoxy-benzyl)-3-methyl-butyric acid}이고,
(6) R1=글루코사이드, R2=메틸기인 경우는 4-(3,4-디메톡시-페닐)-2-(4-글루코스-3-메톡시-벤질)-3-메틸뷰티릭 엑시드{4-(3,4-Dimethoxy-phenyl)-2-(4-Glucose-3-methoxy-benzyl)-3-methyl-butyric acid}이며,
(7) R1=수소, R2=수소인 경우는 4-(3-메톡시,4-하이드록시-페닐)-2-(4-하이드록시-3-메톡시-벤질)-3-메틸뷰티릭 엑시드{4-(3-metyoxy,4-hydroxy-phenyl)-2-(4-hydroxy-3-methoxy-benzyl)-3-methyl-butyric acid}이고,
(8) R1=글루코사이드, R2=수소인 경우는 4-(3-메톡시,4-글루코스-페닐)-2-(4-하이드록시-3-메톡시-벤질)-3-메틸뷰티릭 엑시드{4-(3-metyoxy,4-glucose-phenyl)-2-(4-hydroxy-3-methoxy-benzyl)-3-methyl-butyric acid}이다.
악티게닌 유도체는 국소염증 억제제에 대한 활성(대한민국 등록특허 제271743호)에 대해 언급되어있지만, 피부노화 특히 피부주름과 관련성이 있는지에 대해서는 전혀 연구된 바가 없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악티게닌 유도체는 대력자, 서점자, 우방자, 홍화, 연교 등의 자연원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으며, 화학적으로도 합성될 수 있다(I. Inagaki et al., Chem. Pharm. Bull., 20, 2710, 1972, Y. Takizawa et al., Tokyo Gakugei Daigaku Kiyo Dai- 4-Bu, 33, 119, 1981, M. Chiba et al., Shoyakugaku Zasshi, 32, 194, 1978, S. Sakamura et al., Agric. Biol. Chem., 44, 12, 2951, 1980).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악티게닌 및 악티게닌 유도체를 분리하는 데 이용된 연교(Forsythia suspensa)는 물푸레나무과 식물인 개나리의 과실을 말한다. 연교는 낙엽관목으로 높이는 2-3m이고 가지가 가늘고 길며, 퍼져 있거나 혹은 아래로 드리워져 있고 속이 비어 있다. 잎은 1 혹은 3장으로 이루어진 복엽이 마주나며 계란형이고, 옆저는 넓은 쐐기형이다. 꽃은 잎보다 먼저 피는데 1~ 4송이가 잎에 착생한다. 열매는 좁은 계란형이고 끝에는 짧은 부리가 있으며 완전히 익었을때는 2조각으로 갈라진다. 산야의 황무지에서 자라며, 과실이 처음 익었을 때 또는 완전히 익었을 때 채취하여 햇볕에 말려 쓴다. 또한 연교는 이미 ‘연교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제(대한민국 등록특허 제638026호)’에 대한 발명으로 자사의 연구자들이 이미 연구를 수행한 식물이다.
본 발명의 악티게닌 및 악티게닌 유도체는 피부진피의 매트릭스를 구성하는 단백질인 콜라겐의 합성을 촉진하는 효과가 있어 피부주름 및 피부탄력을 개선한다.
상기 단백질은 피부세포의 구조 형성 및 기능에 필요한 단백질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콜라겐, 엘라스틴 및 인테그린이다.
또한,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실시되는 치환기의 부가 또는 치환 반응을 하여 얻어지는 악티게닌 유도체 중 콜라겐 생합성 증진을 나타내는 어떠한 유도체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는 것은 당업계의 기술수준을 고려하여 당업자에 명확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악티게닌 및 악티게닌 유도체의 함량은 전체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0.000001 내지 15.0 중량%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01 내지 10.0 중량%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5.0 중량%이다. 악티게닌 및 악티게닌 유도체의 함량이 0.000001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뚜렷한 피부 주름 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악티게닌 및 악티게닌 유도체의 함량이 15.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함유량 증가에 따른 뚜렷한 효과의 증가가 나타나지 않고, 피부 자극 및 제품의 안정성에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 성분으로서의 악티게닌 또는 악티게닌 유도체 이외에 화장품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하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 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포옴,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 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주름 개선 용도 뿐만 아니라 피부 노화 방지의 용도도 갖는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피부 노화 방지'는 피부 노화 예방 및 치료를 포괄적으로 포함하는 의미를 갖는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진피의 매트릭스를 구성하는 단백질, 특히 콜라겐의 합성을 증진하고 진피의 매트릭스 및 세포간의 상호작용에 관여하는 인테그린의 발현을 증진함으로써, 피부주름 및 피부탄력 개선을 통하여 피부 노화를 방지하며, 이와 같은 사실은 하기의 실시예에 명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용도인 피부 노화 방지는 주름 개선, 보습력 개선, 항산화 효과에 의한 피부보호 및 피부 탄력 개선 용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기존의 피부노화 방지 화장료 조성물에서 나타나는 피부자극 유발이나 제형의 불안정성과 같은 문제점이 없다.
또한, 본 발명은 악티게닌 또는 악티게닌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하여 피부노화 및 피부 주름을 개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단독 또는 중복 도포하여 사용하거나, 본 발명 이외의 다른 화장료 조성물과 중복 도포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피부노화 방지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적인 사용방법에 따라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피부 상태 또는 취향에 따라 그 사용횟수를 달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이 비누,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 또는 계면활성제 비함유 클렌징 제형일 경우, 피부에 도포한 후 닦아내거나 떼거나 물로 씻어낼 수도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비누는 액상비누, 가루비누, 고형비누 및 오일비누이며, 상기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 제형은 클렌징폼, 클렌징 워터, 클렌징 수건 및 클렌징 팩이며, 상기 계면활성제 비함유 클렌징 제형은 클렌징크림, 클렌징 로션, 클렌징 워터 및 클렌징 겔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연교 추출물로부터 악티게닌 유도체(화합물 I, II , III , IV )의 분리
연교 추출물로부터 악티게닌 유도체(화합물 I, II, III, IV)를 분리하였으며 (도 1: 악티게닌 유도체 분리 차트), 분리된 악티게닌 유도체의 기기분석 자료는 다음과 같으며 기기분석을 통해 화합물 I, II, III, IV의 화합물명이 악티게닌, 악틴, 마테이레시놀, 마테이레시노사이드 임을 알 수 있었다.
화합물 I(compound I): 악티게닌(arctigenin)
분자량: M+=372, m/z= 221, 194, 178, 151, 137(100), 107, 91, 73
융점: 102℃ MeOH/ Ether
1H-NMR (Me2CO-d6) δ:3.72(6H,s), 3.80(3H,s) 2.54(4H,br), 2.84(2H,br) 6.50-6.82(6H,m)
화합물 II(compound II): 악틴(arctin)
13C-NMR : δ: 178.4, 45.5, 43.7, 70.6, 35.3, 33.5, 131.8, 112.5, 113.9, 148.7, 148.7, 147.4, 145.3, 111.9, 115.2, 120.5, 121.3, 55.4, 55.7, 100.3, 73.2, 76.9, 69.7, 76.9, 60.7
1H-NMR (Me2CO-d6) δ:2.58(2H,m,Ar-CH2), 2.85(2H,m,Ar-CH2), 3.69, 3.71, 3.75(9H,s,-OCH3), 3.66(OH), 4.90(1H,d,7,glu-H1 ), 6.7, 7.2(6H,m,Ar-H)
UVmax, nm) (EtOH):280
MS: m/z= 372, 221, 178, 151, 137
화합물 III(compound III): 마테이레시놀(matairesinol)
1H-NMR (Me2CO-d6) δ:3.45(6H,-OMe), 3.31(3H,-OMe), 5.51(1H,br,OH), 6.40-7.00(6H,m,aromatic H)
13C-NMR : δ:(CDCl3) δ: 129.4, 110.8, 146.4, 144.2, 113.9, 121.2, 38.3, 40.9, 71.3, 129.5, 111.3, 146.5, 144.3, 114.3, 121.9, 34.5, 46.5, 178.6, 55.7
MS: M+ = 358
화합물 IV(compound IV): 마테이레시노사이드(matairesinosidel)
UV (λmax, nm) (EtOH):282; (+NaOH) 302
1H-NMR δ:3.10(Aromatic OMe group), 3.12(Aromatic OMe group), 5.39(D2O), 6.0-7.0(benzene ring)
MS: m/z= 358
실시예 2: 악티게닌 유도체(화합물 V, VI , VII , VIII )의 합성
(2-1) 환원 반응(Reduction)
실시예 1에서 분리한 화합물 I-IV(compound I-IV) 각각 0.5 mmol을 MeOH(HPLC 급) 50 mL에 둥근 플라스크에서 교반하면서 녹였다. 이후 0.6 mmol KOH 를 소량의 물에 녹인 후 교반중인 플라스크에 가한 후 5시간동안 환류시켜 락톤을 오픈시켰다.
이후 1N 염산용액으로 중화한 후, 통산적인 유기화학적 방법으로 전처리하고 메탄올, 에틸아세테이트 전개용매를 이용하여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프법으로 화합물을 분리하였다.
화합물 I의 락톤링을 오픈한 것을 화합물 V로 하고 나머지는 순차적으로 화합물 VI, VII, VIII로 하였다.
화합물 V: 4-(3,4-디메톡시-페닐)-2-(4-하이드록시-3-메톡시-벤질)-3-메틸뷰티릭 엑시드,
화합물 VI: 4-(3,4-디메톡시-페닐)-2-(4-글루코스-3-메톡시-벤질)-3-메틸뷰티릭 엑시드,
화합물 VII: 4-(3-메톡시,4-하이드록시-페닐)-2-(4-하이드록시-3-메톡시-벤질)-3-메틸뷰티릭 엑시드,
화합물 VIII: 4-(3-메톡시,4-글루코스-페닐)-2-(4-하이드록시-3-메톡시-벤질)-3-메틸뷰티릭 엑시드.
<악티게닌 유도체(V, VI, VII, VIII)의 합성 반응>
Figure 112007018761060-pat00003
상기 반응식에서 왼쪽 화합물은 악티게닌 유도체(화합물 I, II, III, IV)이고, 오른쪽의 화합물은 락톤링이 오픈된 악티게닌 유도체(화합물 V, VI, VII, VIII)이다.
실험예 1: 악티게닌 유도체의 단백질 합성 촉진 효과
인체 정상 섬유아세포 (한국 세포주 은행)를 48-웰 마이크로 플레이트의 각 웰에 1 × 106 세포가 되도록 접종하고, DMEM 배지에서 37℃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 다음, 상기 배지를 버린 후, 실시예 1, 2에서 얻은 악티게닌 유도체를 최종 농도가 하기 표 1과 같이 되도록 무혈청 DMEM 배지에 혼합하여 제조한 배지(실험군) 및 악티게닌이 유도체가 포함되지 않은 무혈청 DMEM 배지(대조군)로 교체하고 24시간 동안 추가로 배양하였다. 배양 후, 각 웰의 상층액을 모아 단백질 분석 키트 (Proteinassay kit, 바이오랜드사, 미합중국)를 이용하여 새로 합성된 단백질의 양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처리농도
(㎍/㎖)
화합물
I
화합물 II 화합물 III 화합물 IV 화합물 V 화합물 VI 화합물 VII 화합물 VIII
대조군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 120.4 119.2 130.2 122.5 123.5 125.2 131.5 124.1
50 150.4 147.1 147.5 139.5 145.2 141.3 150.3 142.8
200 180.2 179.5 176.5 185.3 178.6 175.6 180.2 168.9
500 179.6 175.6 180.5 179.6 177.1 178.6 185.3 170.5
표 1의 결과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악티게닌 및 악티게닌 유도체(화합물 I-VIII)을 첨가한 실험군에서는 생성된 단백질의 양이 대조군에서 생성된 단백질의 양보다 월등히 많았다. 따라서, 악티게닌 및 악티게닌 유도체는 섬유아세포의 단백질 합성을 촉진함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2: 콜라겐 합성 효과
인체 정상 섬유아세포를 48-웰 마이크로 플레이트의 각 웰에 1 × 106 세포가 되도록 접종하고, DMEM 배지에서 37℃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어, 악티게닌 유도체(화합물 I-VIII)의 최종농도를 하기 표 2와 같이 하여 무혈청 DMEM 배지로 교체한 실험군과 시료가 처리되지 않은 무혈청 DMEM 배지로 교체한 대조군을 24시간 동안 추가로 배양하였다. 배양 후, 각 웰의 상층액을 모아 프로콜라겐 (procollagen) 타입 I C-펩타이드 (PICP) 양을 키트 (Takara, 일본)를 이용하여 측정함으로써, 새로 합성된 콜라겐 양을 측정하였다. PICP 양을 ng/㎖으로 환산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콜라겐 합성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TGF-β1을 10 ng/㎖ 농도로 처리하였으며, 이때의 대조군에 대한 타입 I 콜라겐의 상대량(%)는 255.1%였다.
대조군에 대한 타입 I 콜라겐의 상대량(%)
처리농도 화합물
I
화합물
II
화합물
III
화합물
IV
화합물
V
화합물
VI
화합물
VII
화합물
VIII
무처리
(대조군)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 ㎍/㎖ 123.0 120.2 130.4 115.5 130.7 124.3 131.4 140.5
50 ㎍/㎖ 185.0 170.2 165.5 172.3 165.9 166.1 175.6 178.5
200 ㎍/㎖ 263.7 269.5 255.5 256.3 257.8 222.1 225.5 210.3
500 ㎍/㎖ 280.5 285.7 269.6 278.9 267.8 279.5 255.8 278.6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악티게닌 유도체를 첨가한 실험군에서 생성된 콜라겐의 양은 200㎍/㎖이상의 농도에서, 대조군과 호르몬인 TGF-β1보다 생성된 콜라겐의 양보다 월등히 많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악티게닌 유도체는 섬유아세포의 콜라겐 합성을 촉진하여 피부 주름을 개선함을 알 수 있었다.
제조예 1 : 악티게닌 및 악티게닌 유도체 함유 화장료 제조
단백질 합성 촉진 효과, 콜라겐 합성 효과, 인테그린 β1 발현 증진효과가 뛰어난 본 발명의 악티게닌이 피부주름 개선 및 피부탄력 개선에 미치는 효과를 임상실험하기 위해 하기 표 4의 성분 및 함량으로 크림 제형의 화장료를 제조하고 이를 각각 ‘처방예 1-8’로 하였다. 하기 표 3의 성분과 동일하고 악티게닌을 함유하지 않은 크림 제형의 화장료를 제조하여 '비교예'로 하였다.
악티게닌 및 악티게닌 유도체을 함유하는 화장료의 처방예 1-8
성분 함량(중량%)
화합물 (I~VIII) 각각 0.5씩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 2.0
세테아릴알콜 2.2
스테아린산 1.5
밀납 1.0
폴리솔베이트 60 1.5
솔비탄스테아레이트 0.6
경화식물유 1.0
스쿠알란 3.0
광물유 5.0
트리옥타노인 5.0
디메치콘 1.0
소듐마그네슘실리케이트 0.1
글리세린 5.0
베타인 3.0
트리에탄올아민 1.0
소듐히아루로네이트 4.0
방부제, 향, 색소 미량
증류수 잔량
합계 100
실험예 3: 악티게닌 및 악티게닌 유도체을 함유하는 화장료의 주름 개선 효과 평가 - 임상실험
악티게닌 유도체(화합물 I-VIII)을 함유하는 본 발명의 화장료의 주름 개선 효과를 실제 사용 테스트를 통하여 평가하였다. 화합물 (I-VIII)을 각각 0.5% 함유하고 있는 처방예 1-8의 크림과 이를 정제수로 대체한 비교예의 크림을 사용하였다. 20명의 30-40세 여성을 무작위로 2개군으로 나누어 처방예와 비교예의 크림을 매일 아침 저녁 2회씩 세안 후 크림 적당량을 눈가를 중심으로 2개월간 연속적으로 바르게 하였다. 각 피검자의 주름 개선 효과를 육안 관찰을 통하여 평가한 뒤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주름 개선 효과(육안평가)
시험시료 주름개선
효과 우수
주름개선
효과 약간
주름개선
효과없음
유효율(%)
처방예 1 9 9 2 90.0
처방예 2 10 9 1 95
처방예 3 9 10 1 95
처방예 4 8 9 3 85
처방예 5 9 9 2 90
처방예 6 9 9 2 90
처방예 7 10 9 1 95
처방예 8 10 10 0 100
비교예 0 3 17 15.0
표 4의 실험 결과를 통해, 악티게닌 또는 악티게닌 유도체를 함유하는 처방예의 화장료가 비교예에 비하여 높은 주름개선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의 처방예를 피부에 도포한 피검자들에게서 피부 자극을 관찰할 수 없었다.
실험예 4: 피부 탄력 개선 효과 - 임상실험
22℃ 및 상대습도 45%의 항온 항습실에서 상기 처방예 1-8 및 비교예의 크림을 건강한 여성 30명 (평균 연령 33.7세)의 눈가에 일정량 (0.03 g/16 ㎠)을 12주 동안 도포하였다. 그 후, 피부탄력측정기 (Cutometer SEM 575, C+KElectronic Co., 독일연방국)를 이용하여 각 군의 피부 탄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피부탄력 개선정도(%)
실험군 피부탄력 개선정도(%)
처방예 1 33.6
처방예 2 42.3
처방예 3 39.2
처방예 4 42.6
처방예 5 47.6
처방예 6 46.5
처방예 7 44.0
처방예 8 38.9
비교예 15.8
상기 표 5의 결과를 통해, 본 발명의 악티게닌 유도체을 함유한 처방예 1-8의 크림의 피부 탄력 개선도가 악티게닌 유도체을 함유하지 않는 비교예의 크림보다 훨씬 높아 피부탄력 개선 정도가 뛰어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5 : 피부 자극 시험
본 발명의 악티게닌 유도체를 함유하는 화장료의 피부 자극을 평가하였다. 악티게닌을 함유하는 처방예 1-8의 크림 및 비교예의 크림을 이용하여 실험하였다.
화장료의 피부 자극성을 시험하기 위해, 건강한 성인 남녀 20명을 대상으로 첩포 시험 (patch test)을 헤이즈 테스트 쳄버 (Haye's Test Chamber)를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시험부위를 70% 에탄올로 닦아내고 건조시킨 다음, 준비된 시험물질 15 ㎍ 또는 15 ㎕를 적하한 쳄버 (Finn chamber, 100 ×10, EPITEST, 핀란드국)를 시험 대상자의 전박 (forearm) 안쪽 부위에 밀폐 첩포하였다. 24시간 동안 첩포하고 첩포를 제거한 후 표시펜으로 시험 부위를 표시하였다. 각각 1시간 그리고 24시간 후 (첩포 제거 후 1시간, 24시간 후 = 첩포 부착 포함 24시간, 48시간)에 확대경 (8MC-150, DAZOR, 미합중국)을 이용하여 시험 부위를 관찰하여 홍반 및 부종 유무를 관찰하였다. 피부 반응은 국제접촉피부염연구회 (ICDRG: International Contact Dermatitis Research Group)의 규정(표 6)에 따라 판정하였으며, 하기 수학식에 의하여 평균 피부 반응도를 계산하고 그 결과를 표 7에 나타내었다.
피부 반응의 평가 기준 및 점수
기호 점수 평가기준
- 0 무반응, 정상 피부
± 0.5 희미한 또는 가벼운 홍반
+ 1.0 경계가 뚜렷하나 약한 홍반, 부종 및 구진
++ 2.0 뚜렷한 홍반, 구진 및 소수포
+++ 3.0 심한 홍반 및 소포형성
++++ 6.0 대수포 형성
Figure 112007018761060-pat00004
시험물질
24시간 48시간 평균 피부반응도
n=20
± + ++ ± + ++
처방예 1 1 - - 1 - - 1 - -
처방예 2 1 - - 1 - - 1 - -
처방예 3 1 - - 1 - - 1 - -
처방예 4 1 - - 1 - - 1 - -
처방예 5 1 - - 1 - - 1 - -
처방예 6 1 - - 1 - - 1 - -
처방예 7 1 - - 1 - - 1 - -
처방예 8 1 - - 1 - - 1 - -
비교예 1 - - 1 - - 1 - -
상기 표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악티게닌 유도체를 함유하지 않은 비교예의 크림에서의 피부 반응도는 매우 낮아 크림의 기타 함유 성분에 의해서는 피부 자극을 유발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악티게닌 및 악티게닌 유도체를 첨가하여도 피부 자극이 나타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7 : 제형의 안정성 시험
본 발명의 악티게닌 또는 악티게닌 유도체를 함유하는 처방예의 크림 및 악티게닌 유도체를 함유하지 않는 비교예의 크림을 이용하여 제형 안정성 실험을 실시하였다.
상기 화장료들에 대하여 4℃, 45℃, 50℃ 및 4℃- 45℃ 사이클 (Cycle)의 항온조 및 실온에서 1주일, 1개월 및 6개월을 단위로 하여 장기 보전 안정성을 하기 표 8의 평가기준으로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9에 나타냈다.
양호 O
불안정 X
분리
보전온도 보전기간 처방예 1-8 비교예
4℃ 1주일 0 0
1개월 0 0
6개월 0 0
45℃ 1주일 0 0
1개월 0 0
6개월 0 0
50℃ 1주일 0 0
1개월 0 0
6개월 0 0
4℃- 45℃ 사이클 1주일 0 0
1개월 0 0
6개월 0 0
실온 1주일 0 0
1개월 0 0
6개월 0 0
상기 표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활성 성분인 악티게닌 및 악티게닌 유도체를 함유하지 않은 비교예의 크림에서 안정성이 양호한 것으로 볼 때 화장료의 기타 함유 성분에 의해서는 안정성에 문제가 없음을 알 수 있었고, 악티게닌 또는 악티게닌 유도체을 함유하는 처방예(1-8)의 화장료에서도 장기 보관 안정성이 나타나므로 활성성분인 악티게닌 및 악티게닌 유도체의 첨가에 의해서도 장기 보관 안정성에 문제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악티게닌 또는 악티게닌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및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피부진피의 매트릭스를 구성하는 콜라겐의 생합성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뛰어난 악티게닌 및 악티게닌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피부주름 개선 및 피부탄력 개선 효과가 뛰어나 피부노화 방지에 효과적이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는 피부자극을 유발하지 않으며 제형의 안정성도 뛰어나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6)

  1. 삭제
  2.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악티게닌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0012200112-pat00007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글루코사이드이며 R2는 메틸기 혹은 수소이다.
    [화학식 2]
    Figure 112010012200112-pat00008
    상기 화학식 2에서 R1은 수소 혹은 글루코사이드이며 R2는 메틸기 혹은 수소이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악티게닌 유도체는 악틴, 마테이레시노사이드, 4-(3,4-디메톡시-페닐)-2-(4-하이드록시-3-메톡시-벤질)-3-메틸뷰티릭 엑시드, 4-(3,4-디메톡시-페닐)-2-(4-글루코스-3-메톡시-벤질)-3-메틸뷰티릭 엑시드, 4-(3-메톡시,4-하이드록시-페닐)-2-(4-하이드록시-3-메톡시-벤질)-3-메틸뷰티릭 엑시드 또는 4-(3-메톡시,4-글루코스-페닐)-2-(4-하이드록시-3-메톡시-벤질)-3-메틸뷰티릭 엑시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악티게닌 유도체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000001-15.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는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6. 제 2 항의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하여 피부 주름을 개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방법.
KR1020070022487A 2007-03-07 2007-03-07 악티게닌 또는 악티게닌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피부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09687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2487A KR100968716B1 (ko) 2007-03-07 2007-03-07 악티게닌 또는 악티게닌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피부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2487A KR100968716B1 (ko) 2007-03-07 2007-03-07 악티게닌 또는 악티게닌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피부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6825A Division KR20100029114A (ko) 2010-02-24 2010-02-24 악티게닌 또는 악티게닌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2106A KR20080082106A (ko) 2008-09-11
KR100968716B1 true KR100968716B1 (ko) 2010-07-08

Family

ID=40021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2487A KR100968716B1 (ko) 2007-03-07 2007-03-07 악티게닌 또는 악티게닌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피부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87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51912A (zh) * 2016-10-17 2018-04-24 贝安股份有限公司 牛蒡萃取物用于制备保护弹性纤维与胶原蛋白药物的用途
CN115487098B (zh) * 2022-10-23 2024-02-27 深圳市理然化妆品有限公司 一种护肤乳液及其制备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00304A1 (en) 2002-06-19 2003-12-31 Hormos Medical Corporation Lignan formulations
KR20060103040A (ko) * 2005-03-25 2006-09-28 주식회사 대평 개나리 열매로부터 마타이레시놀 및 악티게닌의 분리 및정제방법
KR100855457B1 (ko) 2007-02-28 2008-09-01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악틴, 악티게닌 또는 그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00304A1 (en) 2002-06-19 2003-12-31 Hormos Medical Corporation Lignan formulations
KR20060103040A (ko) * 2005-03-25 2006-09-28 주식회사 대평 개나리 열매로부터 마타이레시놀 및 악티게닌의 분리 및정제방법
KR100855457B1 (ko) 2007-02-28 2008-09-01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악틴, 악티게닌 또는 그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2106A (ko) 2008-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4275B1 (ko) 노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 방지용화장료 조성물
KR100787783B1 (ko) 스코폴레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090122A (ko) 이소사쿠라네틴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954695B1 (ko) 미선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848800B1 (ko) 브라질리안 페퍼 오일을 함유하는 피부용 조성물
KR20100029114A (ko) 악티게닌 또는 악티게닌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968716B1 (ko) 악티게닌 또는 악티게닌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피부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0678864B1 (ko) 천궁 추출물 및 카르니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513902B1 (ko) 장뇌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20090055079A (ko) 야생 참마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노화 방지용 화장료조성물
KR20180090123A (ko) 리퀴댐버릭 락톤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40056967A (ko) 배롱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10087363A (ko) 멸가치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80027213A (ko) 살비아놀산 c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678865B1 (ko) 상지 추출물 및 카르니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040087644A (ko) 배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1117561B1 (ko)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KR101176524B1 (ko)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20070111025A (ko) 녹두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화장료 조성물
KR20080046793A (ko) 용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447825B1 (ko) 트라마트산을 포함하는 콜라겐 생합성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KR20050073866A (ko) 베르게닌을 함유하는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79245B1 (ko) 배롱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348881B1 (ko) 6-메톡시나린제닌 또는 그 유도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00001167A (ko) 쿼시트린 및/또는 미리시트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