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1204A - 한약재의 유효성분 추출 방법 - Google Patents

한약재의 유효성분 추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1204A
KR20200021204A KR1020180096666A KR20180096666A KR20200021204A KR 20200021204 A KR20200021204 A KR 20200021204A KR 1020180096666 A KR1020180096666 A KR 1020180096666A KR 20180096666 A KR20180096666 A KR 20180096666A KR 20200021204 A KR20200021204 A KR 202000212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rbal medicine
water
cold water
herbal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66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창호
Original Assignee
디제이메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제이메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디제이메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966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21204A/ko
Publication of KR202000212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12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약재와 물을 넣고 열을 가해 달이는 전탕 방식으로 탕약을 제조시, 한약재의 약성분을 보다 효과적으로 추출할 수 있어 결국 한약재의 유효성분 추출량을 극대화할 수 있는 한약재 유효성분 추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한약재 유효성분 추출 방법은, 용기에 한약재를 투입하는 단계와; 상기 용기 내에 20℃ 이하의 찬물을 투입하되, 상기 용기 내에 있는 한약재 중 가장 위에 있는 한약재의 표면보다 1 ~ 6㎝ 위로 올라오게 상기 찬물을 부어 상기 한약재를 상기 찬물에 수침시키는 단계와; 상기 한약재가 상기 찬물에 수침된 상태에서 소정 시간 경과시키는 단계; 및 상기 소정 시간의 경과 후, 상기 한약재를 수침시킨 물을 상기 한약재와 함께 탕약기에 투입하여 전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한약재의 유효성분 추출 방법{METHOD FOR EXTRACTING THE ACTIVE INGREDIENTS OF MEDICINAL HERBS}
본 발명은 한약재에 함유된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방법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한약재의 약성분을 탕전 방식으로 추출시, 한약재의 약성분을 보다 효과적으로 추출할 수 있는 한약재의 유효성분 추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탕약(湯藥)은 생약(生藥) 즉, 초근목피(草根木皮) 등 자연에서 얻을 수 있는 약재에 적당한 양의 물을 가하고 약한 불에 달여서 짠 약액(藥液)을 말한다.
탕약을 제조하는 방법에는 침제(浸劑)와 전제(煎劑)가 있으며, 침제는 식물의 잎이나 꽃과 같이 쉽게 우려낼 수 있는 것, 또는 휘발성분을 함유하는 것, 열로 인해 변화하기 쉬운 생약을 이용하여 탕약을 제조할 때에 사용하는 방법으로, 생약에 열탕을 가해 가끔 휘저으면서 5분간 가열하여 방치해 두었다가 유효성분을 우려내고, 식힌 다음 베로 짜서 찌꺼기는 버리고 남은 액을 취하는 방법이다.
전제는 수피(樹皮), 근(根), 과실(果實) 등과 같이 장시간 달이지 않으면 우려내기가 힘든 것, 유효성분이 휘발성이 아니고 열에 의해서도 변화하지 않는 것, 대개는 단백질을 함유하고 처음에는 열탕에 넣으면 표면의 단백질이 응고되어 유효성분을 우려내기가 곤란한 약재를 이용하여 탕약을 제조할 때에 사용하는 방법으로서, 한약의 대부분이 이와 같은 전제에 의한 것이다.
종래 전통적인 탕약 제조 방식은 약탕기에 바로 한약재와 물을 넣고 열을 가해 달이는 방법이다. 일부의 경우 달이는 시간을 줄이기 위하여 더운 물을 넣고 달이기도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탕약 제조 방식에 따르면, 한약재로부터 유효성분을 효과적으로 추출하기 어렵고, 복용 후 치료 과정에서 약효과를 충분히 발휘하지 못할 수 있다.
이는, 한약재들은 절대 다수가 건조품이고, 이에 따라 한약재 품질이 조밀하고, 견고하여 유효성분들이 세포 내에 결정 혹은 정형 침전물 형태로 존재하여 수분이 스며들기 쉽지 않기 때문이다.
그리고, 일부 한약재는 전분과 단백질을 비교적 많이 함유하고 있어, 직접 가열하여 달이면 약재 표면이 전분으로 엉기게 되고, 단백질이 응고되어 약재 표면의 모세관들을 막아 수분이 들어가지 못하게 됨으로써 유효성분을 충분히 추출하지 못하게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해당 탕약이 처방전에 따라 제조되더라도 그리고 이를 적정량 복용하더라도 목적하는 치료 효과를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한약재와 물을 넣고 열을 가해 달이는 전탕 방식으로 탕약을 제조시, 한약재의 약성분을 보다 효과적으로 추출할 수 있어 결국 한약재의 유효성분 추출량을 극대화할 수 있는 한약재 유효성분 추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한약재 유효성분 추출 방법은, 용기에 한약재를 투입하는 단계와; 상기 용기 내에 20℃ 이하의 찬물을 투입하되, 상기 용기 내에 있는 한약재 중 가장 위에 있는 한약재의 표면보다 1 ~ 6㎝ 위로 올라오게 상기 찬물을 부어 상기 한약재를 상기 찬물에 수침시키는 단계와; 상기 한약재가 상기 찬물에 수침된 상태에서 소정 시간 경과시키는 단계; 및 상기 소정 시간의 경과 후, 상기 한약재를 수침시킨 물을 상기 한약재와 함께 탕약기에 투입하여 전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용기에 투입되어 찬물에 수침시키는 한약재는 꽃, 잎, 껍질 및 줄기를 포함하는 제1 군; 뿌리, 뿌리줄기, 종자 및 과실을 포함하는 제2 군; 및 광물, 갑각류 및 동물을 포함하는 제3 군 중 어느 하나의 군에 해당하는 한약재이다.
그리고, 상기 한약재를 찬물에 수침시키는 시간은, 한약재가 제1 군에 속할 경우 20 ~ 40분이고, 한약재가 제2 군에 속할 경우 40 ~ 80분이며, 한약재가 제3 군에 속할 경우 적어도 한 시간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한약재 유효성분 추출 방법에 의하면, 결정 혹은 정형 침전물 형태로 세포 내에 존재하는 유효성분이 약재 내부에서 수분과 신속히 결합하게 함으로써, 한약재 내부에 고농도의 조직용액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고, 이에 의해 한약재 내의 유효성분을 탕약액에 효과적으로 용해시킬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제조 완료된 탕약액에는 이의 제조시 사용된 한약재 내의 유효성분 대부분이 추출 및 용해되어 있는 바, 탕약의 유효성분 함유량을 극대화할 수 있고, 결국 적정 복용량 또는 이보다 적은 복용량으로도 목적하는 치료 효과를 충분히 발휘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한약재 약성분 추출 방법의 공정 흐름을 나타낸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탕 단계의 공정 흐름을 나타낸 순서도.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 상에 또는 ~ 상부에" 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 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상에 또는 상부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상에 또는 상부에" 접촉하여 있거나 간격을 두고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장점 및 특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한약재 약성분 추출 방법의 공정 흐름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한약재 약성분 추출 방법은 한약재 투입 단계(S10), 수침 단계(S20), 방치 단계(S30), 및 전탕 단계(S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한약재 투입 단계(S10)는 탕약을 제조하기 위한 한약재를 용기에 투입하는 공정이다.
한약재 투입 단계(S10)에서 용기에 투입되는 한약재는 후술할 수침 단계 (S20) 및 방치 단계(S30)를 적용시 효과가 있는 한약재를 그 대상으로 하는데, 이와 같은 단계 S10의 적용 대상(즉, 한약재 종류)은 다음의 다수의 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군에 속하는 생약에 해당한다.
구체적으로, 단계 S10 내지 S30에 적용되는 한약재는 꽃, 잎, 껍질 및 줄기를 포함하는 제1 군에 속하거나, 뿌리, 뿌리줄기, 종자 및 과실을 포함하는 제2 군에 속하거나, 또는 광물, 갑각류 및 동물을 포함하는 제3 군에 속하는 생약을 대상으로 한다. 참고로, 제1 군의 '줄기'는 뿌리줄기를 제외한 그 외의 줄기들을 대상으로 한다.
한편, 한약재 투입 단계(S10)에서 투입되는 한약재가 다수 종류이고, 이 다수 종류의 한약재가 제1,2,3 군 중 적어도 두 개 이상에 해당할 경우, 각 군마다 서로 다른 용기에 해당 한약재를 투입한다.
즉, 탕약 제조를 위해 처방된 한약재가 다수 종류일 경우, 이 다수 종류의 한약재들 중, 제1 군에 속하는 한약재는 제1 용기에 투입하고, 제2 군에 속하는 한약재는 제2 용기에 투입하며, 제3 군에 속하는 한약재는 제3 용기에 투입한다.
만약, 처방된 한약재 중 제1, 2,3 군 중 어느 군에도 속하지 않는 한약재가 있다면, 이는 별도로 분류하여 단계 S10 내지 S30 공정을 거치지 않고 바로 단계 S40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수침 단계(S20)는 단계 S10에서 용기에 투입되어 있는 한약재를 찬물에 담그는 공정이다.
구체적으로, 수침 단계(S20)는 용기 내에 찬물을 투입하되, 용기 내에 있는 한약재들 중 가장 위쪽에 있는 한약재의 표면보다 해당 찬물의 수면이 1 ~ 6㎝(바람직하게는 1 ~ 3㎝) 위로 올라오게 찬물을 붓는다. 여기서, 상기 '가장 위쪽에 있는 한약재'란 해당 용기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하고 있는 한약재를 지칭한다.
한편, 한약재 투입 단계(S10)에서 지칭하는 '용기'는 탕약기 내지 추출기와 구분되는 별개의 빈 용기이거나, 또는 한의원에서 한약 탕전시 사용하는 통상의 탕약기에 구비되는 용기일 수 있다. 상기 경우, 본 발명의 용기는 10~ 30ℓ내외의 용량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수침 단계(S20)의 "한약재의 표면보다 해당 찬물의 수면이 1 ~ 3㎝ 위로 올라오게 찬물을 붓는다."는 10~ 30ℓ용량의 용기를 기준으로 이와 같은 용기에 찬물을 부을 때 찬물의 수면이 한약재의 표면보다 1 ~ 3㎝ 위로 올라오게 붓는 것을 의미한다.
수침 단계(S20)에서 사용되는 찬물은 20℃ 이하의 액체 상태의 물을 의미하고, 바람직하게는 15℃ 이하의 물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만약, 탕약 제조를 위해 처방된 한약재가 다수 종류일 경우, 제1 군에 속하는 한약재가 투입되어 있는 제1 용기, 제2 군에 속하는 한약재가 투입되어 있는 제2 용기, 및 제3 군에 속하는 한약재가 투입되어 있는 제3 용기별로 각각 찬물을 부어, 한약재들이 각 군별로 각기 다른 용기에서 수침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수침 단계(S20)를 완료하면, 해당 용기에 투입되어 있는 한약재는 찬물 외부로 노출되는 부위없이 모든 부위가 찬물에 담긴 채 가라앉아 있는 상태가 된다.
수침 단계(S20)가 완료되면, 이어서 방치 단계(S30)를 수행한다. 본 발명의 방치 단계(S30)는 한약재가 찬물에 수침된 상태에서 소정 시간이 경과하도록 방치하는 공정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방치 단계(S30)는 한약재가 20℃ 이하의 찬물에 수침된 상태를 유지하며 소정 시간이 경과하도록 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한약재가 15℃ 이하의 찬물에 수침된 상태를 유지하며 소정 시간이 경과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방치 단계(S30)의 소정 시간이 최종 경과되는 순간까지, 한약재가 수침된 찬물의 온도를 20℃ 이하(바람지하게는 15℃ 이하)로 유지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처럼 수침 단계(S20)와 방치 단계(S30)에 있어서, 20℃ 이하 바람직하게는 15℃ 이하의 찬물을 이용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즉, 20℃ 초과의 실온 내지 상온의 물을 사용하게 되면 특히 여름철에는 방치 단계(S30)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한약재의 변질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으로, 방치 단계(S30)에서 한약재가 찬물에 수침된 상태로 방치하는 경과 시간(이하, '수침 시간'이라 칭함)은 다음과 같다.
(1) 용기 내에 수침되어 있는 한약재가 전술한 제1 군에 속할 경우 해당 한약재를 20 ~ 40분 동안 찬물에 수침된 상태로 둔다.
(2) 용기 내에 수침되어 있는 한약재가 제2 군에 속할 경우 해당 한약재를 40 ~ 80분 동안 찬물에 수침된 상태로 둔다.
(3) 용기 내에 수침되어 있는 한약재가 제3 군에 속할 경우 해당 한약재를 적어도 한 시간 이상 찬물에 수침된 상태로 둔다. 한편, 한약재가 제3 군에 속할 경우 해당 한약재의 수침 시간은 최대 두 시간을 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방치 단계(S30)의 각 군별 수침 시간은 한약재를 수침시키는 물에 있어서, 20℃ 이하의 찬물을 사용하는 경우를 전제하였을 때, 최적으로 적합한 시간을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최적으로 적합한 시간'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특정 한약재의 수침 시간이 이 한약재가 속하는 군의 최저 임계시간(예컨대, 제1 군의 20분)에 미달하면, 해당 한약재가 충분히 부풀지 못하고, 세포 팽창이 유발되지 못해 후술할 전탕 단계에서 유효성분을 효과적으로 추출하지 못하게 된다.
그리고, 특정 한약재의 수침 시간이 이 한약재가 속하는 군의 최대 임계시간 (예컨대, 제1 군의 40분)을 초과하면, 지나친 수침 시간으로 인해 약재의 변질을 유발할 수 있고, 또한 이 최대 임계시간을 초과하여 수침하더라도 적정 수침 시간 대비 유효성분 추출량에 큰 차이가 없어 결국 탕약 제조 시간만 늘리게 되고, 이는 탕약 제조 효율성을 떨어뜨리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결국,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각 군별 수침 시간으로 구성할 때, 20℃ 이하의 찬물에서 한약재를 최대한 부풀려 부드러워지게 하고, 세포를 충분히 팽창시킬 수 있으면서, 동시에 유효성분 추출 효과 대비 탕약 제조 효율성(즉, 시간 및 비용) 측면에서 가장 바람직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탕 단계의 공정 흐름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전탕 단계(S40)는 단계 S10 ~ S30을 완료한 한약재를 탕약기 내지 추출기에 넣고 전탕하는 공정이다. 여기서, '전탕'은 예컨대 열을 가해 달이는 방식일 수 있다.
참고로, 탕약 제조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전탕의 경우 처방 한약재를 물과 함께 바로 탕약기에 넣어 달이는 방식을 따르는데, 이때 탕약기에 투입되는 물은 일반 수돗물 내지 정수물을 받아 바로 투입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전탕 단계(S40)는 단계 S10 ~ S30을 완료한 한약재를 물과 함께 탕약기에 넣되, 이때 탕약기에 투입되는 물은 수침 단계(S20)와 방치 단계(S30)에서 해당 한약재를 수침시킨 물(이하, '수침물'이라 칭함)을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여기서, 수침물을 사용함이란 수침물만 사용하거나, 또는 수침물에 일반 수돗물 내지 정수물을 가수하여 사용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탕 단계(S40)에서 투입되는 물의 총량은 탕약기에 투입되는 한약재 총중량의 14 ~ 16 배로 가수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탕약기에 투입되는 한약재 총중량'에서 상기 '한약재'는 수침 단계(S20)와 방치 단계(S30)를 실시하지 않은 건조 상태의 최초 한약재의 총중량을 의미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탕 단계(S40)는 1차 전탕 단계(S42) 및 2차 전탕 단계(S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우, 전탕 단계(S40)는 1차적으로 한약재 총중량의 9 ~ 11배 양의 물을 붓고 제1 시간 동안 1차 전탕(S42)하고, 2차적으로 한약재 총중량의 4 ~ 6배의 양의 물을 붓고 제2 시간 동안 2차 전탕(S43)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2 시간은 제1 시간보다 작은 시간이고, 구체적으로 제1 시간은 1.8 ~ 2.2 시간이고, 제2 시간은 1.3 ~ 1.7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1,2차 전탕에 있어서, '한약재 총중량'에서 상기 '한약재'는 수침 단계(S20)와 방치 단계(S30)를 실시하지 않은 건조 상태의 최초 한약재의 총중량을 의미한다.
그리고, 전탕 단계(S40)를 전술한 1차 및 2차 전탕 방식으로 수행할 경우, 1차 전탕(S42)시 가수되는 물은 단계 S20,S30의 수침물에 일반 수돗물(정수물)을 더한 물을 사용하고, 2차 전탕(S43)시 가수되는 물은 일반 수돗물만 사용할 수 있다.
전탕 단계(S40)가 완료되면, 여과 공정(S44)을 통해 탕약액 내의 이물질을 걸러낸 후, 탕약액의 농축 및 정제 공정(S45)을 수행함으로써 유효성분이 농축된 액기스 즉, 탕약을 최종 수득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단계 S10 ~ S30을 거친 한약재와 단계 S20 ~ S30의 수침물을 사용하여 단계 S40의 전탕을 수행하게 되면, 한약재 내의 유효성분 대부분이 추출 및 용해될 수 있는데, 이하에서는 이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한약재들은 절대 다수가 건조품이고, 이에 따라 한약재 품질이 조밀하고, 견고하여 유효성분들이 세포 내에 결정 혹은 정형 침전물 형태로 존재하여 수분이 스며들기 쉽지 않은 상태에 있다. 그리고, 일부 한약재는 전분과 단백질을 비교적 많이 함유하고 있어, 직접 가열하여 달이면 약재 표면이 전분으로 엉기게 되고, 단백질이 응고되어 약재 표면의 모세관들을 막아 수분이 들어가지 못하게 됨으로써 유효성분을 충분히 추출하지 못하게 될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한약재가 본 발명의 단계 S10 ~ S30을 거치게 되면, 견고하게 위축된 긴밀한 상태의 세포 외피가 부드럽게 되어 점차 팽창되고, 이때 원래의 결정 혹은 정형 침전물 형태로 세포 내에 존재하는 유효성분이 약재 내부에서 수분과 신속히 결합하여 한약재 내부에서 고농도의 조직용액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전탕 단계(S40)을 수행하면, 한약재 세포조직 내외의 용액농도가 다르므로 현저한 삼투압의 차이가 형성되어 한약재 내부의 고농도 유효성분이 천천히 삼출되어 물속으로 용해된다.
그리고, 가열 후 수온의 상승에 따라 고농도 용액이 안에서 밖으로 나오려는 힘에 세지고, 이에 따라 삼출 확산력이 점점 강해지져 한약재는 더 팽창하게 되며 내부세포는 지속적으로 파열되어 수중의 용액농도는 점점 높아져 약재의 유효성분 전부가 탕약액에 용해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제조 완료된 탕약액에는 이의 제조시 사용된 한약재 내의 유효성분 대부분이 추출 및 용해되어 있는 바, 탕약의 유효성분 함유량을 극대화할 수 있고, 결국 적정 복용량 또는 이보다 적은 복용량으로도 목적하는 치료 효과를 충분히 발휘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구체적인 시험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한약재 유효성분 추출 방법의 장점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시험예 1
- 시험예 1의 시험 조건은 다음과 같다.
(1) 공정 설비 : 3㎥ 스테인레스 추출기 1대, 3㎥ 진공 농축기 1대
(2) 사용 약재 : 두통약 처방시 사용되는 한약재 : 강활, 방풍, 백잠사, 백지, 갈근, 우슬, 길경, 만형자
(3) 공정 순서 : 한약재 전처리 → 계량 → 한약재 투입(S10) → 한약재 수침(S20) → 수침 상태 소정 시간 경과(S30) → 추출기 투입 → 가수 → 가열 전탕 → 여과 → 농축 및 정제
시험예 1은 처방전에 따라 준비된 한약재(즉, (2)사용약재)를 추출기에 넣어 전탕하기 전에, 소정의 용기에 처방 한약재를 투입한 후 전술한 수침 단계(S20) 및 방치 단계(S30)를 실시하고, 이후에 열을 가해 달이는 전탕을 총 3회 실시하였다.
전탕의 경우 매회의 가수 총량은 한약재 총중량의 15배로 진행하였는데, 1차적으로 한약재 총중량의 10배 양의 물(수침물+수돗물(정수물))을 붓고 2시간 1차 전탕하고, 2차적으로 한약재 총중량의 5배의 양의 물(수돗물)을 붓고 1.5시간 2차 전탕하여, 다음의 표 1과 같은 결과가 나왔다.

한약재

약재 중량
(kg)

농축 액기스
(kg)

Baume
(Be)

액기스 수율
(%)

건조 중량
(kg)

건조 수율
(%)

01

2975

1235

44.5

41.51

549.57

18.47

02

2925

1140

45

38.97

513

17.54

03

2925

1130

45.5

38.63

514.15

17.58

평균

2941.67

1168.33

45

39.70

525.57

17.86
참고로, 시험예 1의 표 1 및 비교예 1의 표 2에서, 약재 중량(kg)은 시험조건인 '(2)사용약재'의 총중량을 의미한다. 농축 액기스는 전탕을 통해 최종 수득된 농축 액기스의 중량을 의미한다. 'Baume'은 비중의 실용 단위(°Be)의 하나로 보메 비중계를 액체에 띄웠을 때의 눈금을 수치로 나타낸 보메도를 의미한다. 액기스 수율(%)은 약재 중량 대비 농축 액기스의 중량분율 즉, '(농축 액기스/약재중량)×100'을 의미한다. 건조 중량(kg)은 농축 액기스를 건조(예컨대, 동결 건조)하여 고형화한 경우의 중량을 의미한다. 건조 수율(%)은 약재 중량 대비 건조 중량의 중량분율 즉, '(건조중량/약재중량)×100'을 의미한다.
비교예 1
- 비교예 1의 시험 조건은 다음과 같다.
(1) 공정 설비 : 3㎥ 스테인레스 추출기 1대, 3㎥ 진공 농축기 1대
(2) 사용 약재 : 두통약 처방시 사용되는 한약재 : 강활, 방풍, 백잠사, 백지, 갈근, 우슬, 길경, 만형자
(3) 공정 순서 : 한약재 전처리 → 계량 → 추출기 투입 → 가수 → 가열 전탕 → 여과 → 농축 및 정제
비교예 1은 종래 탕약 제조방식에 따른 것으로서, 시험예 1과 시험 조건이 동일하되, 다만 '(3)공정 순서'에서 전술한 수침 단계 (S20) 및 방치 단계(S30)를 거치지 않고, 바로 전탕을 실시한 것이 차이점이다.
즉, 비교예 1은 처방전에 따라 준비된 한약재(즉, (2)사용약재)를 물과 함께 추출기에 바로 넣은 후, 열을 가해 달이는 전탕을 총 3회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구체적으로, 매회의 가수 총량은 한약재 총중량의 15배로 진행하였는데, 1차적으로 한약재 총중량의 10배 양의 물(수돗물)을 붓고 2시간 1차 전탕하고, 2차적으로 한약재 총중량의 5배의 양의 물(수돗물)을 붓고 1.5시간 2차 전탕하여, 다음의 표 2와 같은 결과가 나왔다.

No.

약재 중량
(kg)

농축 액기스
(kg)

Baume
(Be)

액기스 수율
(%)

건조 중량
(kg)

건조 수율
(%)

01

2975

1020

45.2

34.29

461.04

15.50

02

2925

959

45

32.79

431.55

14.75

03

2925

917

4.8

31.35

410.82

14.05

평균

2941.67

965.33

45

32.81

419.47

14.77
비교결과
- 시험예 1의 표 1과 비교예 1의 표 2에서 알 수 있듯이, 한약재로 탕약을 제조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수침 단계 (S20) 및 방치 단계(S30)를 거치지 않고, 종래 탕약 제조방식과 같이 바로 전탕을 실시하면, 평균 액기스 수율 32.81%, 평균 보메눈금(Be) 45, 평균 건조수율 14.77%의 유효성분 추출 성능을 나타내었다.
반면, 본 발명에 따른 수침 단계 (S20) 및 방치 단계(S30)를 거친 후 전탕을 실시하면, 평균 액기스 수율 39.70%, 평균 보메눈금(Be) 45, 평균 건조수율 17.86%의 유효성분 추출 성능을 나타내었다.
결국, 본 발명의 한약재 유효성분 추출 방법에 따를 경우, 종래 탕약 제조방식 대비 더욱 뛰어난 유효성분 추출 성능을 구현할 수 있음을 알 수 있고, 구체적으로, 액기스 수율차 약 6.89%, 건조수율차 약 3.09%의 추출 성능 차이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여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그러한 용어는 오로지 본 발명을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 및 기술된 용어는 다음의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고서 여러가지 변경 및 변화가 가해질 수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이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본 발명의 청구범위 안에 속한다고 해야 할 것이다.

Claims (5)

  1. 한약재에 함유된 약성분 추출 방법으로서,
    용기에 한약재를 투입하는 단계;
    상기 용기 내에 20℃ 이하의 찬물을 투입하되, 상기 용기 내에 있는 한약재 중 가장 위에 있는 한약재의 표면보다 1 ~ 6㎝ 위로 올라오게 상기 찬물을 부어 상기 한약재를 상기 찬물에 수침시키는 단계;
    상기 한약재가 상기 찬물에 수침된 상태에서 소정 시간 경과시키는 단계; 및
    상기 소정 시간의 경과 후, 상기 한약재를 수침시킨 물을 상기 한약재와 함께 탕약기에 투입하여 전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에 투입되어 상기 찬물에 수침시키는 한약재는,
    꽃, 잎, 껍질 및 줄기를 포함하는 제1 군; 뿌리, 뿌리줄기, 종자 및 과실을 포함하는 제2 군; 및 광물, 갑각류 및 동물을 포함하는 제3 군 중 어느 하나의 군에 해당하는 한약재이고,
    상기 소정 시간은,
    상기 한약재가 제1 군에 속할 경우 20 ~ 40분이고,
    상기 한약재가 제2 군에 속할 경우 40 ~ 80분이며,
    상기 한약재가 제3 군에 속할 경우 적어도 한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약재의 유효성분 추출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탕하는 단계는 1차 전탕 단계 및 2차 전탕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1차 전탕 단계는,
    상기 탕약기에 투입된 한약재의 총중량의 9 ~ 11배 양의 물을 상기 탕약기에 붓고 제1 시간 동안 전탕하고,
    상기 2차 전탕 단계는,
    상기 탕약기에 투입된 한약재의 총중량의 4 ~ 6배의 양의 물을 상기 탕약기에 붓고 제2 시간 동안 전탕하며,
    상기 제2 시간은 상기 제1 시간보다 작은 시간이고,
    상기 1차 전탕 단계의 상기 물은 상기 한약재를 수침시킨 물; 및 수돗물(또는 정수물)을 포함하고,
    상기 2차 전탕 단계의 상기 물은 수돗물 또는 정수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약재의 유효성분 추출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간은 1.8 ~ 2.2 시간이고,
    상기 제2 시간은 1.3 ~ 1.7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약재의 유효성분 추출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시간 경과시키는 단계는,
    상기 소정 시간이 최종 경과되는 순간까지 상기 한약재가 수침된 상기 찬물의 온도를 20℃ 이하로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약재의 유효성분 추출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한약재를 상기 찬물에 수침시키는 단계는,
    10~ 30ℓ용량의 상기 용기를 기준으로 상기 찬물을 투입할 때 상기 1 ~ 6㎝ 위로 올라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약재의 유효성분 추출 방법.
KR1020180096666A 2018-08-20 2018-08-20 한약재의 유효성분 추출 방법 KR202000212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6666A KR20200021204A (ko) 2018-08-20 2018-08-20 한약재의 유효성분 추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6666A KR20200021204A (ko) 2018-08-20 2018-08-20 한약재의 유효성분 추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1204A true KR20200021204A (ko) 2020-02-28

Family

ID=69638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6666A KR20200021204A (ko) 2018-08-20 2018-08-20 한약재의 유효성분 추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2120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9873A (ko) 2022-12-08 2023-05-19 윤준걸 한약 탕약의 추출공정 자동화 장치
KR20240067560A (ko) 2022-11-09 2024-05-17 윤영석 탕약의 추출량에 따른 냉침용 물의 양 계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67560A (ko) 2022-11-09 2024-05-17 윤영석 탕약의 추출량에 따른 냉침용 물의 양 계산방법
KR20230069873A (ko) 2022-12-08 2023-05-19 윤준걸 한약 탕약의 추출공정 자동화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687767A (zh) 桑叶茶的制备方法
CN103250839B (zh) 一种水芹绿茶的制作工艺
CN104593190A (zh) 一种刺梨酒的制备方法
CN109105570A (zh) 一种冷泡茶制造方法
KR20200021204A (ko) 한약재의 유효성분 추출 방법
CN109810868A (zh) 一种茉莉花窨制酒的制备方法
CN105602802B (zh) 一种女士补血养颜酒的酿制方法
CN107455510A (zh) 一种茶叶加工工艺
KR101302513B1 (ko) 우려먹는 홍삼 또는 흑삼 건조절편 및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홍삼 또는 흑삼 추출차(액)
CN103734398B (zh) 马齿苋袋泡茶及其制备方法
CN108684891A (zh) 半枝莲辣木叶保健茶的制作方法
CN108295145A (zh) 一种滋补养生阿胶的加工方法
KR20100023590A (ko) 야관문차 제조방법
CN108541852A (zh) 一种山楂汁饮料及其加工工艺
CN107535652A (zh) 一种无花果早叶茶
KR102214534B1 (ko) 산사자와 느릅나무를 이용한 식혜의 제조방법
CN102994334B (zh) 一种养生苦瓜黄酒
CN102919432A (zh) 一种保健茶叶及其制备方法
KR102003614B1 (ko) 인삼 또는 홍삼을 함유한 꿀의 제조방법
CN101371658A (zh) 一种天然松树油脂在标本中的应用
CN1081851A (zh) 巴戟天汁饮品(料)的生产方法
CN109275774A (zh) 一种藤三七果脯的制作方法
CN109968483A (zh) 一种酒葫芦制作工艺
KR102506708B1 (ko) 인삼 조성물
CN108782930A (zh) 一种无花果果脯的加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