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9763A - 신축성 시트 및 흡수성 물품 - Google Patents

신축성 시트 및 흡수성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9763A
KR20200019763A KR1020207003753A KR20207003753A KR20200019763A KR 20200019763 A KR20200019763 A KR 20200019763A KR 1020207003753 A KR1020207003753 A KR 1020207003753A KR 20207003753 A KR20207003753 A KR 20207003753A KR 20200019763 A KR20200019763 A KR 202000197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ding part
elastic member
sheet
elastic
down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3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17418B1 (ko
Inventor
도시후미 오츠보
Original Assignee
유니 참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 참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유니 참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2000197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97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74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74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11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the elastic means is located at the waist region
    • A61F13/49012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the elastic means is located at the waist region the elastic means being elastic pan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in the form of pants or briefs
    • A61F13/4963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in the form of pants or briefs characterized by the sea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1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the elastic means being placed longitudinally, transversely or diagonally over the artic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585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of babies' napkins, e.g. di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14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the elastic means is located at the side pan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2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elastic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58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the modular concept of constructing the diaper
    • A61F13/490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the modular concept of constructing the diaper the diaper having an outer chassis forming the diaper and an independent absorbent structure attached to the chassis
    • A61F13/49061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the modular concept of constructing the diaper the diaper having an outer chassis forming the diaper and an independent absorbent structure attached to the chassis the diaper having one or two waist members forming the diaper waist region and an independent absorbent structure attached to the one or two waist members forming the crotch reg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4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 A61F13/51456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properties
    • A61F13/51464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properties being stretchable or elastome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5Interconnection of layers the layers not being connected over the whole surface, e.g. discontinuous connection or patterned connection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04H1/559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the fibres being within layered web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7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 D04H1/7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the fibres being orientated, e.g. in parallel (anisotropic flee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in the form of pants or brief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2013/15821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characterized by th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 A61F2013/15861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characterized by th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for bonding
    • A61F2013/15878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characterized by th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for bonding by thermal bonding
    • A61F2013/15886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characterized by th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for bonding by thermal bonding by spot bond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2013/15821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characterized by th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 A61F2013/15934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characterized by th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for making non-wov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2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elastic material
    • A61F2013/49033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elastic material being elastic in transversal dir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2013/49088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zed by the leg opening
    • A61F2013/49092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zed by the leg opening comprising leg cuffs
    • A61F2013/49093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zed by the leg opening comprising leg cuffs having multiple b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1Elas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6Permeability to liquids, ab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55/00Personal care
    • B32B2555/02Diapers or napki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rmat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Non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용착부(50)에 의해 접합된 제 1 시트(32)와 제 2 시트(33)의 사이에, 탄성 부재(35)가 복수 배치된 신축성 시트(31)로서, 어느 탄성 부재(35)의 상측에, 제 1 용착부(51)와 제 3 용착부(53)를 가지며, 어느 탄성 부재(35)의 하측에, 제 2 용착부(52)와 제 4 용착부(54)를 갖고, 상기 어느 탄성 부재는, 제 1 용착부(51)와 제 2 용착부(52)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끼워 넣어지는 동시에, 제 3 용착부(53)와 제 4 용착부(54)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끼워 넣어짐으로써 부착되어 있고, 제 1 용착부(51)와 제 3 용착부(53)는, 상하 방향에서 중복하는 부분을 가지며, 제 1 용착부(51)의 하단 위치와 제 3 용착부(53)의 하단 위치는, 상하 방향에서 어긋나 있다.

Description

신축성 시트 및 흡수성 물품
본 발명은 신축성 시트 및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소변 등의 배설물을 흡수하는 흡수성 물품의 일례로서 일회용 기저귀가 알려져 있다. 일회용 기저귀의 몸통 둘레 부재로서, 핫멜트 접착제 등의 접착제로 탄성 부재가 부착됨으로써 신축성이 부여된 시트 부재가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접착제를 이용하여 탄성 부재가 부착된 경우, 탄성 부재의 외주면(外周面)에 부착된 접착제의 경화에 기인하여 탄성 부재의 탄성, 즉 신축성이 저해되거나, 시트 부재의 유연성이 저해되거나 할 우려가 있다. 그 때문에, 최근에는,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탄성 부재를 시트 부재에 부착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예를 들면, 두께 방향으로 겹쳐진 2장의 시트 부재 사이에 탄성적으로 신장 가능한 와이어상(狀) 요소를 길이 방향으로 신장시킨 상태에서 배치하고, 용착(溶着) 수단 등을 이용하여 형성되는 복수의 접속부에 의해 2장의 시트 부재끼리를 접합한다. 그리고 신장 상태가 해제되어, 와이어상 요소가 길이 방향으로 수축하여 바깥지름이 굵어지면, 해당 와이어상 요소의 지름 방향의 양측에 배치된 한 쌍의 접속부에 의해 끼워 넣어짐으로써, 와이어상 요소가 시트 부재 사이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하여,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신축성을 갖는 시트 부재를 제조하여, 패드나 기저귀 등의 흡수성 물품에 적용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특허문헌 1 참조).
일본국 특표2001-504899호 공보
특허문헌 1의 신축성 시트 부재에서는, 기저귀 등의 사용 시에 있어서 와이어상 요소가 신장되면, 해당 와이어상 요소의 바깥지름(직경)이 가늘어져, 와이어상 요소의 지름 방향의 양측에 배치된 한 쌍의 접속부의 사이로부터 떨어져 버릴 우려가 있다. 그리고, 신장과 수축이 반복됨으로써, 와이어상 요소의 고정 위치에 어긋남이 발생하여, 시트 부재에 균등한 수축력을 작용시키는 것이 어려워진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유연성을 가지면서, 탄성 부재의 위치 어긋남이 발생하기 어려운 신축성 시트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주된 발명은,
서로 교차하는 상하 방향과 좌우 방향을 갖고, 복수의 용착부에 의해 접합된 제 1 시트와 제 2 시트의 사이에, 상기 좌우 방향을 따라 신축 가능한 탄성 부재가 상기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띄우고 복수 배치된 신축성 시트로서, 복수의 상기 탄성 부재 중 어느 탄성 부재의 상측에, 제 1 용착부와, 상기 제 1 용착부의 상기 좌우 방향의 한쪽측에 인접하는 제 3 용착부를 갖고, 상기 어느 탄성 부재의 하측에, 제 2 용착부와, 상기 제 2 용착부의 상기 한쪽측에 인접하는 제 4 용착부를 가지며, 상기 어느 탄성 부재는, 상기 좌우 방향으로 수축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용착부와 상기 제 2 용착부에 의해 상기 상하 방향으로 끼워 넣어지는 동시에, 상기 제 3 용착부와 상기 제 4 용착부에 의해 상기 상하 방향으로 끼워 넣어짐으로써, 상기 제 1 시트 및 상기 제 2 시트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 제 1 용착부와 상기 제 3 용착부는, 상기 상하 방향에 있어서 중복하는 부분을 가지며, 상기 제 1 용착부의 하단 위치와 상기 제 3 용착부의 하단 위치는, 상기 상하 방향에서 어긋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 시트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 및 첨부 도면의 기재에 의해 분명히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유연성을 가지면서, 탄성 부재의 위치 어긋남이 발생하기 어려운 신축성 시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기저귀(1)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전개 또한 신장된 상태의 기저귀(1)를 착용자의 피부측에서 본 개략 평면도이다.
도 3은 흡수성 본체(10)의 구조에 대해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전개 또한 신장시킨 상태의 복측(腹側) 띠 부재(31)를 비(非)피부측에서 본 개략 평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탄성 부재(35)의 부착 기능의 설명도이고, 도 4 중의 C부의 개략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4의 영역 X를 자연 상태에서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용착부(50)의 배치에 대해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복측 띠 부재(31)를 자연 상태로부터 좌우 방향으로 신장시켰을 때의, 탄성 부재(35)와 용착부 쌍(50s)의 관계에 대해서 설명하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용착부(50)의 형상의 변형예에 대해서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 및 첨부 도면의 기재에 의해, 적어도 이하의 사항이 분명해진다.
서로 교차하는 상하 방향과 좌우 방향을 갖고, 복수의 용착부에 의해 접합된 제 1 시트와 제 2 시트의 사이에, 상기 좌우 방향을 따라 신축 가능한 탄성 부재가 상기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띄우고 복수 배치된 신축성 시트로서, 복수의 상기 탄성 부재 중 어느 탄성 부재의 상측에, 제 1 용착부와, 상기 제 1 용착부의 상기 좌우 방향의 한쪽측에 인접하는 제 3 용착부를 갖고, 상기 어느 탄성 부재의 하측에, 제 2 용착부와, 상기 제 2 용착부의 상기 한쪽측에 인접하는 제 4 용착부를 가지며, 상기 어느 탄성 부재는, 상기 좌우 방향으로 수축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용착부와 상기 제 2 용착부에 의해 상기 상하 방향으로 끼워 넣어지는 동시에, 상기 제 3 용착부와 상기 제 4 용착부에 의해 상기 상하 방향으로 끼워 넣어짐으로써, 상기 제 1 시트 및 상기 제 2 시트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 제 1 용착부와 상기 제 3 용착부는, 상기 상하 방향에 있어서 중복하는 부분을 가지며, 상기 제 1 용착부의 하단 위치와 상기 제 3 용착부의 하단 위치는, 상기 상하 방향에서 어긋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 시트.
이와 같은 신축성 시트에 의하면,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제 3 용착부와 제 2 용착부와의 간격이, 제 1 용착부와 제 2 용착부와의 간격보다도 좁아진다. 따라서, 자연 상태로부터 좌우 방향으로 신장된 경우에 탄성 부재의 바깥지름 치수가 가늘어졌다고 해도, 제 3 용착부의 하단과 제 2 용착부의 상단에 의해 탄성 부재에 마찰력이 작용하고, 탄성 부재가 좌우 방향으로 위치 어긋남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탄성 부재가 접착제 등으로 접합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유연성을 갖고, 또한, 탄성 부재의 위치 어긋남이 발생하기 어려운 신축성 시트를 실현할 수 있다.
이러한 신축성 시트로서, 상기 상하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1 용착부와 상기 제 3 용착부가 중복하고 있는 부분의 길이는, 상기 상하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1 용착부의 최하단과 상기 제 3 용착부의 최하단의 사이의 길이보다도 긴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신축성 시트에 의하면, 좌우 방향으로 인접하는 2개의 용착부의 상하 방향에서의 어긋남량이 소정의 크기로 제한되기 때문에, 용착부의 어긋남에 따라서 탄성 부재가 경사지게 부착되어 버리는 것이 억제된다. 따라서, 탄성 부재의 신축력이 상하 방향으로 작용해 버리는 것이 억제되어, 흡수성 물품의 몸통 둘레에 있어서의 피트성이 손상되는 것 등을 억제하기 쉬워진다.
이러한 신축성 시트로서, 상기 좌우 방향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를 신장 가능한 최대의 길이까지 신장시켰을 때의 상기 탄성 부재의 바깥지름 길이는, 상기 상하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1 용착부의 최하단과 상기 제 3 용착부의 최하단의 사이의 길이보다도 긴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신축성 시트에 의하면, 용착부의 사이에 탄성 부재를 배치할 때에, 탄성 부재의 상하 방향에 대한 경사가 상대적으로 커짐으로써 해당 탄성 부재가 만곡하거나 사행(蛇行)하거나 하는 것이 억제된다. 따라서, 탄성 부재의 신축력이 상하 방향으로 작용해 버리는 것이 억제되어, 흡수성 물품의 몸통 둘레에 있어서의 피트성이 손상되는 것 등을 보다 억제하기 쉬워진다.
이러한 신축성 시트로서, 상기 제 1 용착부의 상기 좌우 방향에서의 길이는, 상기 제 1 용착부의 상기 상하 방향에서의 길이보다도 긴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신축성 시트에 의하면, 용착부의 형상이 가로로 긴 것인 것에 의해, 탄성 부재와 용착부의 사이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접촉 부분의 면적(길이)이 커지기 때문에, 당해 접촉 부분에 발생하는 마찰력을 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용착부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탄성 부재의 위치 어긋남이 발생하기 어려워져, 신축성 시트에 안정된 신축성을 부여할 수 있다.
이러한 신축성 시트로서, 상기 제 2 용착부 및 상기 제 3 용착부는, 직사각형의 네 모퉁이가 컷아웃된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신축성 시트에 의하면, 용착부의 네 모퉁이에 컷아웃(切欠)이 형성되어 있는 만큼, 탄성 부재와 용착부가 접촉 가능한 길이가 길어져, 보다 큰 마찰력이 발생하기 때문에, 탄성 부재의 위치 어긋남을 억제하기 쉬워진다.
이러한 신축성 시트로서, 상기 제 2 용착부 및 상기 제 3 용착부는, 타원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신축성 시트에 의하면, 용착부의 곡선(타원)을 따라 탄성 부재가 접촉하므로, 탄성 부재와 용착부가 접촉 가능한 길이가 길어져, 보다 큰 마찰력이 발생하기 때문에, 탄성 부재의 위치 어긋남을 억제하기 쉬워진다.
이러한 신축성 시트로서, 상기 제 1 용착부∼상기 제 4 용착부는, 모두 같은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신축성 시트에 의하면, 초음파 용착 장치 등을 이용하여 용착부를 형성할 때에, 장치의 구성을 단순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 코스트를 저감하고, 또한, 장치의 메인터넌스가 용이해진다.
이러한 신축성 시트로서, 상기 좌우 방향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를 신장 가능한 최대의 길이까지 신장시켰을 때의 상기 탄성 부재의 바깥지름 길이는, 상기 상하 방향에서의 상기 제 1 용착부의 최하단과 상기 제 2 용착부의 최상단의 사이의 길이, 및, 상기 상하 방향에서의 상기 제 3 용착부의 최하단과 상기 제 4 용착부의 최상단의 사이의 길이보다도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신축성 시트에 의하면, 상하 방향으로 인접하는 용착부 쌍의 사이에 탄성 부재를 배치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즉, 탄성 부재와 중복하는 일 없이 용착부 쌍을 형성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제조 공정에 있어서, 탄성 부재에 겹쳐 초음파 진동이 투여되는 등에 의해, 탄성 부재가 절단되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신축성 시트로서, 상기 좌우 방향에서 상기 탄성 부재를 신장 가능한 최대의 길이까지 신장시켰을 때의 상기 탄성 부재의 바깥지름 길이는, 상기 상하 방향에서의 상기 제 3 용착부의 최하단과 상기 제 2 용착부의 최상단의 사이의 길이보다도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신축성 시트에 의하면, 상하 방향으로 인접하는 한 쌍의 용착부 쌍의 간격보다도 더욱 좁은 간격의 사이에 탄성 부재를 배치할 수 있다. 즉, 제 3 용착부 및 제 2 용착부 중 어느 것과도 중복하는 일 없이 용착부 쌍을 형성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제조 공정에 있어서 탄성 부재가 절단되어 버리는 것을 보다 억제하기 쉬워진다.
이러한 신축성 시트로서, 상기 어느 탄성 부재의 상측에, 상기 제 3 용착부의 상기 좌우 방향의 한쪽측에 인접하는 제 5 용착부를 갖고, 상기 좌우 방향에서 상기 탄성 부재를 신장 가능한 최대의 길이까지 신장시켰을 때의 상기 탄성 부재의 바깥지름 길이는, 상기 상하 방향에서의 상기 제 5 용착부의 최하단과 상기 제 2 용착부의 최상단의 사이의 길이보다도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신축성 시트에 의하면, 제 3 용착부와 제 2 용착부의 상하 방향에서의 간격보다도 더욱 좁은, 제 5 용착부와 제 2 용착부의 사이에 탄성 부재를 배치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제조 공정에 있어서 탄성 부재가 절단되어 버리는 것을 보다 억제하기 쉬워진다.
이러한 신축성 시트로서, 상기 상하 방향에서의 상기 제 1 용착부의 최하단과 상기 제 2 용착부의 최상단의 사이의 길이와, 상기 상하 방향에서의 상기 제 3 용착부의 최하단과 상기 제 4 용착부의 최상단의 사이의 길이가 동등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신축성 시트에 의하면, 각각의 용착부가 균등하게 배치된 용착부열(列)이 형성된다. 이것에 의해, 복측 띠 부재(등측(背側) 띠 부재)에 있어서 제 1 시트와 제 2 시트의 접합 강도가 국소적으로 약해져 찢어지기 쉬워지거나, 반대로 접합 강도가 국소적으로 강해져 감촉이 악화하거나 하는 것이 억제된다.
이러한 신축성 시트로서, 상기 좌우 방향에서 상기 탄성 부재를 신장 가능한 최대 길이의 70%까지 신장시켰을 때의 상기 탄성 부재의 바깥지름 길이는, 상기 상하 방향에서의 상기 제 3 용착부의 최하단과 상기 제 2 용착부의 최상단의 사이의 길이보다도 긴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신축성 시트에 의하면, 흡수성 물품의 통상의 사용 양태에 있어서, 탄성 부재의 바깥지름이, 제 3 용착부의 최하단과 제 2 용착부의 최상단의 상하 방향의 간격보다도 항상 굵게 되어 있기 때문에, 제 3 용착부와 제 2 용착부에 의해 탄성 부재의 위치 어긋남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신축성 시트로서, 상기 좌우 방향에서, 인접하는 2개의 상기 용착부의 간격은 6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신축성 시트에 의하면, 좌우 방향으로 인접하는 2개의 용착부끼리의 간격이 짧기 때문에, 당해 2개의 용착부와 탄성 부재의 사이에 유효한 마찰력을 발생시키기 쉬워, 탄성 부재의 좌우 방향에서의 위치 어긋남을 억제하기 쉬워진다.
또한, 신축성 시트로서, 서로 교차하는 상하 방향과 좌우 방향을 갖고, 배설물을 흡수하는 흡수성 본체와, 상기 좌우 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상기 흡수성 본체의 전측(前側) 상단부에 접합된 복측 띠 부재와, 상기 복측 띠 부재와는 별체로서 상기 좌우 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상기 흡수성 본체의 후측(後側) 상단부에 접합된 등측 띠 부재를 구비한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복측 띠 부재 및 상기 등측 띠 부재는, 복수의 용착부에 의해 접합된 제 1 시트 및 제 2 시트와, 상기 좌우 방향을 따라 신축 가능한 탄성 부재를 갖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제 1 시트와 상기 제 2 시트의 사이에, 상기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띄우고 복수 배치되어 있으며, 복수의 상기 탄성 부재 중 어느 탄성 부재의 상측에, 제 1 용착부와, 상기 제 1 용착부의 상기 좌우 방향의 한쪽측에 인접하는 제 3 용착부를 갖고, 상기 어느 탄성 부재의 하측에, 제 2 용착부와, 상기 제 2 용착부의 상기 한쪽측에 인접하는 제 4 용착부를 가지며, 상기 어느 탄성 부재는, 상기 좌우 방향으로 수축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용착부와 상기 제 2 용착부에 의해 상기 상하 방향으로 끼워 넣어지는 동시에, 상기 제 3 용착부와 상기 제 4 용착부에 의해 상기 상하 방향으로 끼워 넣어짐으로써, 상기 제 1 시트 및 상기 제 2 시트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 제 1 용착부와 상기 제 3 용착부는, 상기 상하 방향에 있어서 중복하는 부분을 가지며, 상기 제 1 용착부의 하단 위치와 상기 제 3 용착부의 하단 위치는, 상기 상하 방향에서 어긋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이 분명해진다.
이와 같은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착용자의 몸통 둘레에 맞닿는 복측 띠 부재(등측 띠 부재)에 있어서, 탄성 부재의 위치 어긋남이 발생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해당 탄성 부재에 의한 신축력이 국소적으로 집중되거나, 작용하기 어렵게 되거나 하는 것이 억제된다. 이것에 의해, 착용자의 몸통 둘레부에 있어서의 양호한 피트성을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복측 띠 부재에 설치된 상기 탄성 부재의 상기 상하 방향에서의 간격과, 상기 등측 띠 부재에 설치된 상기 탄성 부재의 상기 상하 방향에서의 간격이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복측 띠 부재와 등측 띠 부재에서 표면에 형성되는 주름의 크기나 형상을 다르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복측 띠 부재와 등측 띠 부재가 두께 방향으로 밀착하기 어려워져, 흡수성 물품의 사용 시에 복측 띠 부재와 등측 띠 부재를 전후로 벌려 몸통 둘레 개구를 형성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복측 띠 부재에 설치된 상기 탄성 부재의 상기 상하 방향에서의 간격이, 상기 등측 띠 부재에 설치된 상기 탄성 부재의 상기 상하 방향에서의 간격보다도 좁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상하 방향에서의 탄성 부재 사이의 피치가 넓은 등측 띠 부재에 있어서, 큰 주름을 형성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신체의 움직임이 큰 엉덩이부 영역에 있어서 등측 띠 부재가 신체의 움직임에 추종하여 늘어나기 쉬워져, 피트성이 향상된다.
=== 실시형태 ===
<일회용 기저귀의 구성>
본 실시형태에 관한 신축성 시트를 이용한 흡수성 물품의 일례로서 일회용 기저귀(1)(이하, 「기저귀(1)」라고도 칭한다)에 대해서 설명한다. 동 기저귀(1)에서는, 신축성 시트를 몸통 둘레의 띠 부재(후술하는 복측 띠 부재(31)와 등측 띠 부재(41))로서 사용하고 있다. 도 1은, 기저귀(1)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전개 또한 신장된 상태의 기저귀(1)를 착용자의 피부측에서 본 개략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 중의 A-A 단면도인 동시에, 동 도 2 중의 B-B 단면도이기도 하다.
이 기저귀(1)는, 도 1과 같은 착용 전의 팬티형 상태에 있어서, 「상하 방향」과, 상하 방향과 직교하는 「좌우 방향」과,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과 직교하는 「전후 방향」을 갖고 있다. 또한, 상하 방향에 대해서는, 상측이, 착용자의 몸통 둘레 개구측에 대응하고, 하측이, 착용자의 가랑이 아래측에 대응하고 있다. 또, 전후 방향에 대해서는, 전측이 착용자의 복측에 대응하고, 후측이 착용자의 등측에 대응하고 있다.
도 1의 팬티형 상태에 있어서, 기저귀(1)는, 좌우 방향을 따라 신축성을 갖는 복측 띠 부재(31)와, 이 복측 띠 부재(31)의 후측에 위치하면서, 당해 복측 띠 부재(31)와 공동(共同)하여, 상하 방향의 상측에 몸통 둘레 개구(BH)를 형성하기 위한 좌우 방향을 따라 신축성을 갖는 등측 띠 부재(41)와, 복측 띠 부재(31)와 등측 띠 부재(41)의 사이에 설치된 가랑이 아래부로서의 흡수성 본체(10)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흡수성 본체(10)는, 복측 띠 부재(31) 및 등측 띠 부재(41)보다도 상하 방향의 아래쪽으로 돌출하여 위치하고 있다.
또, 복측 띠 부재(31)에서의 좌우 방향의 각 단부(31e, 31e)와, 대응하는 등측 띠 부재(41)에서의 좌우 방향의 각 단부(41e, 41e)는, 용착부로서의 사이드 시일부(SS)에서 접합되어 있다. 그리고, 이것에 의해, 복측 띠 부재(31) 및 등측 띠 부재(41)가, 흡수성 본체(10)와 공동하여, 하측 또한 좌우 방향의 양측에 각각 다리 둘레 개구(LH, LH)를 1개씩 형성하고 있다.
여기에서, 「전개 상태」란, 도 1의 팬티형 상태의 기저귀(1)가 좌우 방향의 양측에 갖는 전술의 사이드 시일부(SS)의 접합을 해제함으로써, 복측 띠 부재(31)와 등측 띠 부재(41)를 분리하는 동시에, 기저귀(1)를 상하 방향으로 벌림으로써, 기저귀(1)를 평면 상에 전개한 상태인 것이다. 또, 「신장 상태」란, 제품(기저귀(1))을 주름 없이 신장시킨 상태, 구체적으로는, 기저귀(1)를 구성하는 각 부재(예를 들면, 흡수성 본체(10)나 복측 띠 부재(31) 등)의 치수가 그 부재 단체(單體)의 치수와 일치 또는 그것에 가까운 길이가 될 때까지 신장된 상태인 것을 말한다.
전개 상태에 있어서, 기저귀(1)는, 서로 직교하는 3방향으로서 길이 방향과 좌우 방향과 두께 방향(도 2에서는 지면을 관통하는 방향)을 갖고 있다. 또한, 길이 방향은, 전술의 상하 방향을 따르고 있다. 그리고, 길이 방향의 한쪽측이 복측(전측)에 대응하고, 다른쪽측이 등측(후측)에 대응하고 있다. 또, 길이 방향의 외측이, 상하 방향의 상측(몸통 둘레 개구측)에 대응하고, 길이 방향의 내측이, 상하 방향의 하측(가랑이 아래측)에 대응하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길이 방향과 상하 방향은 서로 비슷한 방향인 점에서, 이하에서는, 설명의 사정상, 이 전개 상태에 있어서도, 길이 방향 대신에 상하 방향을 이용하여 설명하는 경우도 있다. 한편, 좌우 방향은, 전술의 팬티형 상태에서의 좌우 방향과 동의(同義)이다. 또, 두께 방향에 대해서는, 한쪽측이, 착용자의 신체에 접하는 피부측에 대응하고, 다른쪽측이, 그 반대측인 비피부측에 대응하고 있다. 또한, 두께 방향은, 전술의 전후 방향을 따르고 있다.
도 2의 전개 상태에 있어서는, 복측 띠 부재(31)는, 좌우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고, 또, 등측 띠 부재(41)는, 복측 띠 부재(31)와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띄운 위치에서, 좌우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복측 띠 부재(31)와 등측 띠 부재(41)의 사이에 흡수성 본체(10)가 길이 방향을 따라 건너지르면서, 동 흡수성 본체(10)의 길이 방향의 각 단부(10ea, 10eb)(즉, 팬티형 상태에서의 전측 상단부(10ea) 및 후측 상단부(10eb))가, 각각 가장 가까운 각 띠 부재(31, 41)에 접합 고정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그 외관 형상은, 평면도로 보았을 때(平面視) 대략 H형 형상을 이루고 있다. 또, 이 상태에서, 흡수성 본체(10)에서의 길이 방향의 소정 위치(CL1)(길이 방향에서의 기저귀(1)의 중앙 위치(CL1))를 접는 위치로 하여 기저귀(1)가 반으로 접히는 동시에, 이 반으로 접은 상태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띠 부재(31, 41)의 좌우 방향의 단부(31e, 41e)끼리가 전술의 사이드 시일부(SS)에서 접합되면, 이들 띠 부재(31, 41)끼리가 환상(環狀)으로 연결되고, 이것에 의해, 도 1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몸통 둘레 개구(BH) 및 한 쌍의 다리 둘레 개구(LH, LH)가 형성된 팬티형의 기저귀(1)가 된다.
흡수성 본체(10)는, 도 2의 전개 상태에 있어서 평면도로 보았을 때 대략 직사각형상을 이루고 있다. 그리고, 흡수성 본체(10)의 길이 방향이, 기저귀(1)의 길이 방향을 따르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성 본체(10)는, 흡수체(11)와, 동 흡수체(11)를 피부측으로부터 덮어 흡수성 본체(10)의 피부측 면을 이루는 액체 투과성의 톱 시트(13)와, 동 흡수체(11)를 비피부측으로부터 덮어 흡수성 본체(10)의 비피부측 면을 이루는 액체 불투과성의 백 시트(15)를 구비하고 있다.
흡수체(11)는, 액체 흡수성의 흡수성 코어(11c)와, 동 코어(11c)의 외주면을 피복하는 미도시의 코어 랩 시트를 갖는다. 흡수성 코어(11c)는, 펄프 섬유나 고흡수성 폴리머 등의 액체 흡수성 소재를, 소정 형상의 일례로서의, 평면도로 보았을 때 대략 모래시계 형상으로 성형한 성형체이다. 또, 코어 랩 시트에는, 티슈 페이퍼나 부직포 등의 액체 투과성 시트를 사용 가능하지만, 코어 랩 시트에 대해서는 없어도 된다. 또한, 흡수성 코어(11c)의 형상은, 상기의 평면도로 보았을 때 대략 모래시계 형상에 조금도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상이어도 된다.
톱 시트(13)는, 부직포 등의 액체 투과성의 유연한 시트이다. 또, 백 시트(15)는, 액체 불투과성의 유연한 시트이다. 그리고, 동 백 시트(15)의 일례로는, 폴리에틸렌 필름이나 폴리프로필렌 필름 등의 액체 불투과성의 방루(防漏) 시트와, 방루 시트의 비피부측에 맞붙여진 부직포제의 외장 시트를 가진 2층 구조의 라미네이트 시트를 들 수 있다.
또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적어도 백 시트(15)는, 흡수체(11)로부터 길이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돌출하는 것과 같은 평면 사이즈의 시트이다. 그리고, 좌우 방향으로 돌출한 부분에, 각각 길이 방향으로 신축하는 레그 개더(LG)가 형성되어 있다. 즉, 당해 돌출한 부분에는, 탄성 부재로서 길이 방향을 따른 실고무(17)가 길이 방향으로 신장된 상태에서 고정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당해 부분에 신축성의 레그 개더(LG)가 형성되어 있다.
또,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성 본체(10)는, 가로 누설을 방지하는 목적으로 좌우 방향의 각 단부에 방루벽부로서의 입체 개더(LSG, LSG)를 갖고 있다. 즉, 입체 개더(LSG)가 되는 시트상 부분에 탄성 부재로서 길이 방향을 따른 실고무(18)가 길이 방향으로 신장된 상태에서 부착된 구성이, 흡수성 본체(10)의 좌우 방향의 각 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측 띠 부재(31)는, 두께 방향으로 적층된 제 1 시트(32) 및 제 2 시트(33)를 소재로 한 평면도로 보았을 때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시트 부재이다. 즉,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시트(32), 제 2 시트(33)는, 서로 두께 방향으로 겹쳐진 상태에 있는 동시에,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대향면끼리가, 후술의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이산적으로 배치된 복수의 용착부(50, 50 …)(접합부에 상당)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그리고,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당해 복측 띠 부재(31)는, 흡수성 본체(10)보다도 좌우 방향의 양측으로 돌출하도록 배치되면서, 동 흡수성 본체(10)에서의 복측의 단부(전측 상단부)(10ea)에 비피부측으로부터 겹쳐져 접합되어 있다.
또, 등측 띠 부재(41)도, 복측 띠 부재(31)와 마찬가지로, 두께 방향으로 적층된 제 1 시트(42) 및 제 2 시트(43)를 소재로 한 평면도로 보았을 때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시트상 부재이다. 즉,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시트(42), 제 2 시트(43)는, 서로 두께 방향으로 겹쳐진 상태에 있는 동시에,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대향면끼리가, 도 4의 복측 띠 부재(3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상하 방향(길이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이산적으로 배치된 복수의 용착부(50, 50 …)(접합부에 상당)로 접합되어 있다. 그리고,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당해 등측 띠 부재(41)는, 흡수성 본체(10)보다도 좌우 방향의 양측으로 돌출하도록 배치되면서, 동 흡수성 본체(10)에서의 등측의 단부(후측 상단부)(10eb)에 비피부측으로부터 겹쳐져 접합되어 있다.
또, 이 예에서는, 복측 띠 부재(31(41))에 관한 제 1 시트(32(42)), 제 2 시트(33(43))의 어느 쪽도, 스펀본드 부직포가 사용되고 있다. 단, 조금도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SMS(스펀본드/멜트블로운/스펀본드) 부직포 등, 다른 종류의 부직포를 이용해도 된다. 또, 이 예에서는, 부직포의 구성 섬유로서 열가소성 수지의 대표예인 폴리프로필렌(PP)의 단독 섬유를 이용하고 있지만, 조금도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PE) 등의 다른 열가소성 수지의 단독 섬유를 이용해도 되고, 또한, PE 및 PP 등의 심초(core-sheath) 구조를 가진 복합섬유를 이용해도 된다.
<복측 띠 부재(31)에 대해서>
계속해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신축성 시트인 복측 띠 부재(31) 및 등측 띠 부재(41)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복측 띠 부재(31) 및 등측 띠 부재(41)는 거의 같은 구성을 갖고 있다. 그래서, 이하의 설명에서는 복측 띠 부재(31) 및 등측 띠 부재(41)의 양자에 공통되는 내용에 대해서는, 양자를 대표하여 복측 띠 부재(31)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등측 띠 부재(41)에 대해서는, 복측 띠 부재(31)에 대응하는 부재 등의 부호를 필요에 따라 괄호 쓰기로 나타내는 등 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전개 또한 신장시킨 상태의 복측 띠 부재(31)(신축성 시트)를 비피부측에서 본 개략 평면도이다. 또한, 도 4에서는, 기저귀(1)의 구성 부재로서의 복측 띠 부재(31(41))가 나타나 있지만, 동 띠 부재(31, 41)는 신축성 시트로서 기저귀(1) 이외의 용도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도 4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신축성 시트의 기본적인 구성에 대해서 나타내는 도면이기도 하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측 띠 부재(31(41))에 관한 제 1 시트(32(42)), 제 2 시트(33(43))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대향면끼리의 사이에는, 좌우 방향을 따라 신축 가능한 실고무 등의 탄성 부재(35, 35 …(45, 45 …))가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띄우고 복수 늘어서 개재 삽입(介揷)되면서, 동 시트(32, 33(42, 43))에 전술의 용착부(50, 50 …)에 의거하여 부착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복측 띠 부재(31(41))에는 좌우 방향의 신축성이 부여되어 있다. 즉, 용착부(50, 50 …)는, 제 1 시트(32(42)) 및 제 2 시트(33(43))의 한 쌍의 대향면끼리를 접합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제 1 시트(32(42)) 및 제 2 시트(33(43))에 탄성 부재(35(45))를 부착하는 기능도 갖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복측 띠 부재(31(41))에서는, 복수의 용착부(50, 50 …)가 상하 방향으로 인접하여 늘어섬으로써, 상하 방향을 따른 용착부열(60)이 형성되고, 좌우 방향으로 간격을 띄우고 복수의 용착부열(60)이 설치되어 있다. 도 4의 예에서는, 각각의 용착부열(60)이, 상하 방향을 따라 똑바로 배치되어 있지만, 용착부열(60)이 좌우 방향으로 사행하고 있어도 된다. 즉, 용착부열(60)을 구성하는 복수의 용착부(50)가, 각각 좌우 방향으로 어긋나 배치되어 있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도 4에서는 시인(視認)하기 어렵지만, 좌우 방향으로 인접하는 2개의 용착부열(60, 60)은, 상하 방향으로 소정의 크기만큼 어긋나 배치되어 있다. 즉, 좌우 방향으로 인접하는 2개의 용착부(50, 50)는, 상하 방향에서의 위치가 서로 다르다(후술하는 도 6 참조).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용착부(50)가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띄우고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복측 띠 부재(31(41))의 유연성을 유지하면서, 기저귀(1)를 착용했을 때의 감촉이 악화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가령, 상하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이어진(연속한) 선상(線狀)의 용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 당해 용착부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에 있어서 부직포가 딱딱해지고, 또, 당해 용착부가 선상(띠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방향으로 부직포가 변형하는 것이 저해되기 쉬워진다. 이것에 대해, 본 실시형태에서는, 작은 용착부가 분산하여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기저귀(1)의 사용자(착용자)에게 부직포가 경화되어 있는 것을 느끼게 하기 어렵고,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에 대한 변형이 저해되기 어려운 유연한 시트 부재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하지만, 좌우 방향으로 인접하는 2개의 용착부(50, 50)가 상하 방향으로 어긋나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복측 띠 부재(31(41))에 부착된 탄성 부재(35(45))의 위치가 어긋나 버리거나, 띠 부재(31(41))로부터 떨어지거나 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복측 띠 부재(31(41))에서는, 용착부열(60)에 포함되는 복수의 용착부(50) 중, 상하 방향으로 인접하는 2개의 용착부(50, 50)에 의해 탄성 부재(35)가 상하로 끼워 넣어짐으로써, 해당 탄성 부재(35)가 복측 띠 부재(31(41))에 부착되어 있다. 즉, 탄성 부재(35)의 상하 방향의 양측에 늘어서는 한 쌍의 용착부(50, 50)끼리가, 용착부 쌍(50s)을 이루고, 해당 용착부 쌍(50s)에 의해 탄성 부재(35)가 부착되어 있다. 도 5A 및 도 5B는, 탄성 부재(35)의 부착 기능의 설명도이며, 도 4 중의 C부의 개략 확대도이다.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착부 쌍(50s)을 이루는 한 쌍의 용착부(50, 50)는, 상하 방향으로 간격(GH50)을 띄우고 늘어서 있다. 그리고, 간격(GH50) 크기는, 목표한 신장 배율까지 좌우 방향으로 신장된 상태에서의 실고무 등의 탄성 부재(35(45))의 바깥지름(D35t(D45t))과 동 치수 또는 그것보다도 약간 큰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GH50≥D35t). 즉, 신장 상태의 탄성 부재(35)는, 용착부 쌍(50s)의 상하 방향의 사이에 배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이면, 기저귀(1)(복측 띠 부재(31))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제 1 시트(32) 및 제 2 시트(33)의 사이에 신장된 상태의 탄성 부재(35)를 배치한 후, 제 1 시트(32)와 제 2 시트(33)를 용착할 때에, 탄성 부재(35)와 중복시키는 일 없이 용착부(50)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탄성 부재(35(45))가 신장 상태로부터 완화되면,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탄성 부재(35(45))는 좌우 방향으로 수축하면서 상하 방향으로 확대되고, 확대된 후의 바깥지름(D35t')은 용착부 쌍(50s)의 상하 방향의 간격(GH50)보다도 커진다(D35t'>GH50). 따라서, 용착부 쌍(50s)의 사이에서는 탄성 부재(35(45))의 상하 방향의 확대가 규제되고, 이것에 의해, 용착부(50, 50)끼리에서, 탄성 부재(35(45))는 실질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끼워눌린 상태가 된다. 그 결과, 탄성 부재(35(45))가 복측 띠 부재(31(41))에 부착된다. 또한, 도 1의 팬티형 상태의 기저귀(1)에 있어서는, 탄성 부재(35(45))는, 상기의 신장 상태로부터 완화된 상태이다. 또, 팬티형 상태의 기저귀(1)에서는, 복측 띠 부재(31)의 좌우 방향의 양단부(31e)에 있어서 사이드 시일부(SS)에 의해 탄성 부재(35)가 접합되어 있기 때문에, 기저귀(1)의 착용 시에 복측 띠 부재(31)(탄성 부재(35))가 좌우 방향으로 신장되었다고 해도, 탄성 부재(35)가 복측 띠 부재(31)로부터 떨어져 버리는 일은 없다.
덧붙여, 상기의 신장 배율이란, 탄성 부재(35(45))의 전체 길이(L1)를, 자연 길이인 무부하 상태의 전체 길이(L0)의 몇 배까지 늘리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값(R(=L1/L0))이다.
도 6은, 도 4의 영역 X를 자연 상태에서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며, 용착부(50)의 배치에 대해서 설명하는 도면이다. 또한, 「자연 상태」란, 기저귀(1)나 복측 띠 부재(31(41))를 소정 시간 방치했을 때의 상태이다. 예를 들면, 기저귀(1)의 복측 띠 부재(31) 및 등측 띠 부재(41)를 좌우 방향의 양외측으로 잡아당겨, 띠 부재(31, 41)를 「신장한 상태」로 하고, 이 신장 상태를 15초간 계속시킨 후, 기저귀(1)의 잡아당김을 해제하여 책상 등의 평면에 놓는다. 그리고, 이와 같은 평면 평평하게 놓기로 5분간 경과시킨 상태를 자연 상태라고 한다.
도 6에서는, 제 1 용착부열(61)과, 해당 제 1 용착부열(61)의 좌우 방향의 한쪽측(도 6에서는 우측)에 인접하여 배치된 제 2 용착부열(62)과, 해당 제 2 용착부열(62)의 좌우 방향의 한쪽측에 인접하여 배치된 제 3 용착부열(63)이 나타나 있다. 제 1 용착부열(61)은 제 1 용착부(51)와, 제 1 용착부(51)의 상하 방향의 하측에 인접하는 제 2 용착부(52)를 갖고 있다. 이 제 1 용착부(51)와 제 2 용착부(52)에 의해 용착부 쌍(50s)이 형성되고, 도 5B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탄성 부재(35(45))를 상하로 끼워 넣어 고정한다. 마찬가지로, 제 2 용착부열(62)은 제 3 용착부(53)와, 제 3 용착부(53)의 상하 방향의 하측에 인접하는 제 4 용착부(54)를 갖고, 제 3 용착부(53)와 제 4 용착부(54)에 의해 용착부 쌍(50s)을 형성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제 3 용착부열(63)은 제 5 용착부(55)와, 제 5 용착부(55)의 상하 방향의 하측에 인접하는 제 6 용착부(56)를 갖고, 제 5 용착부(55)와 제 6 용착부(56)에 의해 용착부 쌍(50s)을 형성하고 있다.
좌우 방향에서 서로 인접하여 배치된 제 1 용착부(51)와 제 3 용착부(53)는 상하 방향에서 중복하는 부분을 가지면서, 상하 방향에서의 위치가 다르다. 구체적으로는, 적어도 제 1 용착부(51)의 하단 위치(도 6에 있어서 최하단(51b))와, 제 3 용착부(53)의 하단 위치(도 6에 있어서 최하단(53b))가 상하 방향에 있어서 다르게 되어 있다. 도 6의 예에서는, 제 1 용착부(51)와 제 3 용착부(53)는 상하 방향에서 중복하고 있으며, 중복하고 있는 부분의 상하 방향의 길이가 OL50으로 나타내어져 있다. 또한 제 3 용착부(53)의 최하단(53b)은, 제 1 용착부(51)의 최하단(51b)보다도 dh50만큼 상하 방향의 하측으로 어긋나 배치되어 있다. 제 3 용착부(53)와 제 5 용착부(55)의 관계도 마찬가지이다.
그런데, 복측 띠 부재(31)(탄성 부재(35))를 도 6의 상태로부터 다시 좌우 방향으로 신장시키면, 탄성 부재(35)가 신장하는 것에 따라서 바깥지름(D35t)이 가늘어져 간다. 그리고, D35t가 용착부 쌍(50s)의 상하 방향에서의 간격(GH50)보다도 작아지면, 끼워눌린 상태가 해제되고, 탄성 부재(35)는 용착부 쌍(50s)에 대하여 좌우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탄성 부재(35)의 위치 어긋남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용착부(51)와 제 3 용착부(53)를 상술한 바와 같은 위치 관계로 함으로써, 탄성 부재(35)의 가로 방향에서의 위치 어긋남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도 7은, 복측 띠 부재(31)를 자연 상태로부터 좌우 방향으로 신장시켰을 때의, 탄성 부재(35)와 용착부 쌍(50s)의 관계에 대해서 설명하는 개략 평면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3 용착부(53)의 최하단(53b)의 위치가 제 1 용착부(51)의 최하단(51b)보다도 낮게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 1 용착부(51)의 최하단(51b)과 제 2 용착부(52)의 최상단(52t)의 상하 방향의 간격(GH50A)보다도, 제 3 용착부(53)의 최하단(53b)과 제 2 용착부(52)의 최상단(52t)의 상하 방향의 간격(GH50A-dh50) 쪽이 좁아져 있다. 따라서, 신장 상태에 있어서, 가령 탄성 부재(35)의 바깥지름(D35t)이 간격 GH50A보다도 가늘어졌다고 해도, 제 3 용착부(53)의 최하단(53b)과 제 2 용착부(52)의 최상단(52t)의 상하 방향의 간격(GH50A-dh50)이 바깥지름(D35t)보다도 좁으면, 탄성 부재(35)는 제 3 용착부(53)와 제 2 용착부(52)에 의해 상하로 끼워지게 된다. 즉, 제 3 용착부(53)의 최하단(53b)과 제 2 용착부(52)의 최상단(52t)에 의해 탄성 부재(35)에 마찰력이 작용하여, 탄성 부재(35)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억제된다.
또, 제 5 용착부(55)의 최하단(55b)과 제 2 용착부의 최상단(52t)의 상하 방향의 간격(GH50A-dh50×2)은, 제 3 용착부(53)의 최하단(53b)과 제 2 용착부(52)의 최상단(52t)의 상하 방향의 간격(GH50A-dh50)보다도 더욱 좁기 때문에, 당해 부분에 있어서도 탄성 부재(35)의 좌우 방향으로의 이동이 억제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복측 띠 부재(31)에서는, 좌우 방향으로 신장됨으로써 탄성 부재(35)의 바깥지름(D35t)이 가늘어진 경우여도, 해당 탄성 부재(35)의 가로 방향에서의 위치 어긋남이 억제된다. 따라서, 기저귀(1)를 착용할 때에, 사용자가 복측 띠 부재(31)(기저귀(1)의 몸통 둘레부)의 좌우 양단부를 잡고 양외측 방향으로 잡아당기는 등의 동작을 행함으로써, 복측 띠 부재(31)가 좌우 방향으로 신장되었다고 해도, 탄성 부재(35)의 부착 위치가 어긋나 버리는 것이 억제되어, 기저귀(1) 착용 시에 있어서 몸통 둘레의 피트감이 악화되는 등의 문제를 발생시키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기저귀(1)를 착용할 때에, 복측 띠 부재(31)(탄성 부재(35))가 좌우 방향으로 잡아당겨지는 경우의 최대 길이는, 탄성 부재(35)의 최대 신장 시에 있어서의 길이의 70% 정도이다. 즉, 기저귀(1)의 통상의 사용 양태에 있어서, 탄성 부재(35)는, 그 이상 신장할 수 없는 길이까지 늘렸을 때의 70% 정도까지 신장될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탄성 부재(35)를 최대 신장 시의 70%까지 늘렸을 때의 바깥지름(D35t)(70%)이 제 3 용착부(53)의 최하단(53b)과 제 2 용착부(52)의 최상단(52t)의 상하 방향의 간격(GH50A-dh50)보다도 커지도록, 간격(GH50A-dh50)을 설정하고 있다(D35t(70%)>(GH50A-dh50)). 이것에 의해, 기저귀(1)의 통상의 사용 양태에 있어서, 탄성 부재(35)의 바깥지름(D35t)은, 제 3 용착부(53)의 최하단(53b)과 제 2 용착부(52)의 최상단(52t)의 상하 방향의 간격(GH50-dh50)보다도 굵게 되어 있기 때문에, 제 3 용착부(53)와 제 2 용착부(52)에 의해 탄성 부재(35)의 가로 어긋남을 보다 확실히 억제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또, 복측 띠 부재(31(41))에서는, 좌우 방향으로 인접하는 2개의 용착부(50, 50)의 상하 방향에서의 어긋남량을 소정의 크기로 제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하 방향에서의 제 1 용착부(51)의 최하단(51b)과 제 3 용착부(53)의 최하단(53b)의 어긋남량(dh50)이, 상하 방향에서 제 1 용착부(51)와 제 3 용착부(53)가 중복하고 있는 부분의 길이(OL50)보다도 작아지도록, 제 1 용착부(51) 및 제 3 용착부(53)가 배치되어 있다. 2개의 용착부(50)의 상하 방향에서의 어긋남량이 너무 크면, 당해 어긋남에 따라서 탄성 부재(35)가 좌우 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기울어져 부착될 가능성이 있다. 예를 들면, 도 6에 있어서, dh50이 OL50보다도 큰 경우, 탄성 부재(35)는, 좌우 방향의 다른쪽측으로부터 한쪽측을 향하여, 상하 방향의 하측으로 경사진 상태로 부착된다. 이 경우, 탄성 부재(35)의 신축력이 상하 방향으로도 작용하게 되어, 복측 띠 부재(31)를 좌우 방향으로 신축시키는 기능이 악화된다. 또한, 복측 띠 부재(31)가 상하 방향으로 수축함으로써, 기저귀(1)의 몸통 둘레 영역에 있어서의 피트성이 손상되거나, 불필요한 주름이 발생하여 감촉이 악화되거나 할 우려가 있다. 그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dh50<OL50으로 하여, 탄성 부재(35)가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억제하고 있다.
또, 상하 방향에서의 제 1 용착부(51)의 최하단(51b)과 제 3 용착부(53)의 최하단(53b)의 어긋남량(dh50)은, 탄성 부재(35)를 100% 신장시켰을 때(최대 신장 시)의 바깥지름(D35t)(100%)보다도 작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용착부(51)와 제 3 용착부(53)가 상하 방향으로 어긋나 있는 경우, 탄성 부재(35)를 좌우 방향을 따라 배치할 때에, 해당 탄성 부재(35)가 상하 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우가 있다. 가령, 어긋남량(dh50)이 탄성 부재(35)의 바깥지름(D35t)(100%)보다도 컸다고 하면, 탄성 부재(35)의 상하 방향으로의 경사가 상대적으로 커져, 탄성 부재(35)가 만곡하거나 사행하거나 할 우려가 있다. 이 경우에도, 복측 띠 부재(31)를 좌우 방향으로 신축시키는 기능이 악화된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dh50<D35t(100%)가 되도록 용착부(50)의 배치를 조정하고 있다.
또, 각각의 용착부(50)의 형상은, 도 6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좌우 방향에서의 길이(W50)가 상하 방향에서의 길이(H50)보다도 긴 가로로 긴 직사각형상이다(W50>H50). 본 실시형태에서는, 자연 상태에 있어서, 탄성 부재(35)가 용착부(50)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끼워 넣어짐으로써 복측 띠 부재(31(41))에 부착된다. 따라서, 용착부(50)의 형상을 가로로 길게 함으로써, 탄성 부재(35)와 용착부(50) 사이의 좌우 방향에서의 접촉 면적(길이)이 커지고, 그만큼 좌우 방향의 마찰력도 커지기 때문에, 탄성 부재(35)를 고정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탄성 부재(35)의 좌우 방향의 위치 어긋남을 보다 억제하기 쉬워진다.
또한, 도 6의 예에서는, 용착부(51∼56)의 형상이 모두 동일 형상이지만, 각각의 용착부의 형상이 달라도 된다. 예를 들면, 제 1 용착부(51) 및 제 3 용착부(53)의 최상단 위치가 같고, 최하단 위치만이 다른 형상, 즉, 제 1 용착부(51) 쪽이 제 3 용착부(53)보다도 상하 방향에서의 길이가 길게 되어 있어도 된다.
또, 각각의 용착부(50)는, 도 6과 같은 직사각형상이 아니라, 다각형이나 타원형 등의 다른 형상이어도 된다. 도 8A 및 도 8B는, 용착부(50)의 형상의 변형예에 대해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A는, 직사각형상의 용착부(50)의 네 모퉁이가 컷아웃된 대략 팔각형상의 용착부(50)에 대해서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면, 제 3 용착부(53)는, 왼쪽 아래 모퉁이에 컷아웃(53bl)을 갖고, 오른쪽 아래 모퉁이에 컷아웃(53br)을 가지며, 왼쪽 위 모퉁이에 컷아웃(53tl)을 갖고, 오른쪽 위 모퉁이에 컷아웃(53tr)을 갖고 있다.
도 7의 신장 상태에 있어서, 제 2 용착부(52)의 최상단(52t)과 제 3 용착부(53)의 최하단(53b)에 의해 탄성 부재(35)가 끼워지는 것을 설명했지만, 제 3 용착부(53)가 가로로 긴 직사각형상인 경우, 제 3 용착부(53)의 직사각형의 저변(底邊)이 최하단(53b)이 된다. 즉, 탄성 부재(35)가 제 3 용착부(53)의 저변 전체와 접촉함으로써 발생하는 마찰력에 의해, 탄성 부재(35)가 좌우 방향으로 어긋나 버리는 것이 억제된다. 한편, 제 3 용착부(53)가 도 8A와 같은 컷아웃을 갖고 있는 경우, 탄성 부재(35)는, 제 3 용착부(53)의 최하단(53b)을 포함하는 저변과, 컷아웃(53bl)과, 컷아웃(53br)과 접촉한다. 이 경우, 컷아웃(53bl, 53br)분만큼 탄성 부재(35)와 제 3 용착부(53)가 접촉하는 길이가 길어져, 그만큼 큰 마찰력이 발생하여, 탄성 부재(35)의 위치 어긋남을 억제하기 쉬워진다. 이와 같이, 용착부(50)의 형상을 변경함으로써, 탄성 부재(35)와 용착부(50)가 접촉하는 부분의 길이(면적)를 변화시켜, 마찰력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컷아웃(53bl, 53br)은, 도 8A와 같은 직선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곡선적으로 형성되는 것이어도 된다.
도 8B는, 용착부(50)가 가로로 긴 타원 형상인 경우에 대해서 나타내고 있다. 도 8B에서는, 자연 상태에서, 탄성 부재(35)가 제 3 용착부(53)의 최하단(53b)을 포함하는 하측의 곡선(53bc)을 따라 접촉한다. 마찬가지로, 탄성 부재(35)가 제 2 용착부(52)의 최상단(52t)을 포함하는 상측의 곡선(52tc)을 따라 접촉한다. 이 경우에도, 직사각형의 저변 부분하고만 접촉하는 것과 비교하여, 탄성 부재(35)와 제 3 용착부(53)(제 2 용착부(52))가 접촉하는 길이가 길어진다. 따라서, 보다 큰 마찰력이 발생하여, 탄성 부재(35)의 위치 어긋남을 억제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 말하는 「타원」에는 장원(長圓)형 등의 소위 오벌(oval) 형상도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또, 용착부(50)의 형상은 도 8A, 도 8B의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형상으로 해도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용착부(50)의 형상은 각각 달라도 되지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모든 용착부(50)가 도 6에 나타나는 바와 같은 동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용착부(50)는, 기저귀(1)(복측 띠 부재(31))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공지의 초음파 용착 장치나 히트 시일 장치 등을 이용하여 형성된다. 복측 띠 부재(31)의 구체적인 제조 방법의 일례로서 초음파 용착 장치(미도시)를 이용하는 경우, 앤빌 롤의 외주면에 감긴 상태로 해당 앤빌 롤의 회전 방향으로 반송되는 제 1 시트(32) 및 제 2 시트(33)(및 탄성 부재(35))의 연속 부재에 대하여, 앤빌 롤의 외주면과 대향하여 배치된 초음파 혼(horn)으로부터 시트(32, 33)의 두께 방향으로 초음파 진동을 투입함으로써 용착부(50)가 형성된다. 앤빌 롤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볼록부가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고, 당해 볼록부의 형상 및 배치에 따라서 용착부(50)가 형성된다. 따라서, 용착부(50)의 형상이 동일하면, 앤빌 롤 외주면의 볼록부 형상을 모두 동일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볼록부가 마모되기 어려워 검사나 메인터넌스가 용이해지고, 또 제조 코스트를 저렴하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실시형태의 복측 띠 부재((31)(41))에서는, 100% 신장시켰을 때(최대 신장 시)의 탄성 부재(35)의 바깥지름(D35t)(100%)이, 제 1 용착부(51)와 제 2 용착부(52)의 상하 방향의 간격(GH50A)보다도 작다. 마찬가지로, 100% 신장시켰을 때(최대 신장 시)의 탄성 부재(35)의 바깥지름(D35t)(100%)이, 제 3 용착부(53)와 제 4 용착부(54)의 상하 방향의 간격(GH50B)보다도 작다. 이와 같은 구성이면, 상하 방향에서의 용착부 쌍(50s)의 간격(GH50A 및 GH50B)의 사이에, 탄성 부재(35)를 배치하기 쉽다. 바꾸어 말하면, 상하 방향으로 인접하는 한 쌍의 용착부(50, 50)와 중복하는 일 없이 탄성 부재(35)를 배치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복측 띠 부재(31)의 제조 공정에서는, 앤빌 롤의 볼록부(즉 용착부(50)가 형성되는 영역)와 중복하는 부분에 있어서 초음파 진동이 투입되어 용착이 행해지기 때문에, 가령, 탄성 부재(35)와 앤빌 롤의 볼록부(용착부(50))가 중복하는 경우, 탄성 부재(35)가 초음파 진동을 받아 절단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이것에 대해, D35t(100%)<GH50A, GH50B의 관계이면, 제조 공정에 있어서, 신장 상태의 탄성 부재(35)가, 앤빌 롤 외주면의 볼록부와 볼록부의 사이에 배치되기 쉬워지기 때문에, 탄성 부재(35)가 초음파 진동에 의해 절단되어 버리는 것을 억제하기 쉬워진다.
또, 100% 신장시켰을 때(최대 신장 시)의 탄성 부재(35)의 바깥지름(D35t)(100%)이, 제 2 용착부(52)와 제 3 용착부(53)의 상하 방향의 간격(GH50A-dh50)보다도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상하 방향에서의 제 3 용착부(53)와 제 2 용착부(52)의 간격(GH50A-dh50)은, 제 1 용착부(51)와 제 2 용착부(52)의 간격(GH50A)보다도 좁게 되어 있다. 그 때문에, 탄성 부재(35)의 바깥지름(D35t)(100%)이, 보다 좁은 쪽의 간격(GH50A-dh50)보다도 더욱 작음으로써, 탄성 부재(35)가 초음파 진동에 의해 절단되어 버릴 리스크를 보다 저감할 수 있다.
또한, 100% 신장시켰을 때(최대 신장 시)의 탄성 부재(35)의 바깥지름(D35t)(100%)이, 제 2 용착부(52)와 제 5 용착부(55)의 상하 방향의 간격(GH50A-dh50×2)보다도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하 방향에서의 제 5 용착부(55)와 제 2 용착부(52)의 간격(GH50A-dh50×2)은, 제 3 용착부(53)와 제 2 용착부(52)의 간격(GH50A-dh50)보다도 더욱 좁게 되어 있다. 그 때문에, 탄성 부재(35)의 바깥지름(D35t)(100%)이, 보다 좁은 간격(GH50A-dh50×2)보다도 작음으로써, 탄성 부재(35)가 초음파 진동에 의해 절단되어 버릴 리스크를 더욱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제 1 용착부(51)와 제 2 용착부(52)의 상하 방향의 간격(GH50A)과, 제 3 용착부(53)와 제 4 용착부(54)의 상하 방향의 간격(GH50B)은 동등한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용착부(50)의 형상이 동등하고, 또한, 상하 방향에서의 간격이 동등함으로써, 용착부열(61, 62)에 있어서, 각각의 용착부(50)가 균등하게 형성되게 된다. 용착부(50)가 균등하게 형성됨으로써, 복측 띠 부재(31)에 있어서 제 1 시트(32)와 제 2 시트(33)의 접합 강도가 국소적으로 약해져 그 부분이 찢어지기 쉬워지거나, 반대로 접합 강도가 국소적으로 강해져 그 부분의 감촉이 악화되거나 하는 것이 억제된다.
또, 좌우 방향으로 인접하는 2개의 용착부열(60, 60)의 간격(GW60)(도 6에 있어서, 제 2 용착부(52)와 제 3 용착부(53)의 사이의 좌우 방향의 거리)은 6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간격(GW60)이 너무 크면, 제 2 용착부(52)의 최상단(52t)과 제 3 용착부(53)의 최하단(53b)에 의해 탄성 부재(35)를 상하로 끼워 넣는 힘이 약해져, 충분한 마찰력이 발생하지 않아, 탄성 부재(35)의 위치 어긋남을 발생시킬 우려가 있다. 이것에 대해, 적어도 간격 GW60이 6mm 이하이면, 자연상태에서, 제 2 용착부(52) 및 제 3 용착부(53)와 탄성 부재(35)와의 사이에 유효한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탄성 부재(35)의 좌우 방향에서의 위치 어긋남을 억제하기 쉬워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저귀(1) 등의 흡수성 물품의 몸통 둘레 부재로서, 상술한 바와 같은 특성을 갖는 복측 띠 부재(31(41))를 이용함으로써, 양호한 피트성을 실현할 수 있다. 즉, 탄성 부재(35(45))에 의한 신축력이 복측 띠 부재(31(41))의 전체에 걸쳐 균등하게 작용하고, 기저귀(1)의 착용 시 등에 복측 띠 부재(31(41))를 신장시킨 경우여도 탄성 부재(35(45))의 위치 어긋남이 발생하기 어렵기 때문에, 해당 탄성 부재(35(45))에 의한 신축력이 국소적으로 집중하거나 작용하기 어려워지거나 하는 것이 억제된다. 따라서 착용자의 몸통 둘레부에 있어서의 양호한 피트성을 유지하기 쉬워진다.
또한, 복측 띠 부재(31)에서의 탄성 부재(35)의 상하 방향의 피치와, 등측 띠 부재(41)에서의 탄성 부재(45)의 상하 방향의 피치가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 부재(35, 45)의 상하 방향에서의 피치를 다르게 함으로써, 복측 띠 부재(31) 및 등측 띠 부재(41)에서 단위면적당에 작용하는 탄성 부재의 수축력에 차이가 발생하여, 기저귀(1)의 복측과 등측에서 수축 시에 형성되는 주름의 크기나 형상을 다르게 할 수 있다. 표면에 형성되는 주름의 크기나 형상이 다름으로써, 복측 띠 부재(31)와 등측 띠 부재(41)가 두께 방향으로 밀착하기 어려워져, 기저귀(1)의 취급이 용이해진다. 예를 들면, 기저귀(1)가 제조 공장에서 출하될 때에는, 복측 띠 부재(31)와 등측 띠 부재(41)가 두께 방향으로 서로 겹쳐진 상태에서 압축되어, 포장된다. 사용자(구입자)가 기저귀(1)를 사용할 때에는, 복측 띠 부재(31)와 등측 띠 부재(41)를 전후로 벌려 몸통 둘레 개구를 형성할 필요가 있는데(도 1 참조), 이때 복측 띠 부재(31)와 등측 띠 부재(41)가 서로 밀착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간단하게 몸통 둘레 개구를 벌릴 수 있다.
또한, 등측 띠 부재(41)에서의 탄성 부재(45)의 상하 방향의 피치가, 복측 띠 부재(31)에서의 탄성 부재(35)의 상하 방향의 피치보다도 넓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하 방향에서의 탄성 부재 사이의 피치가 넓을수록, 탄성 부재(35, 45)의 수축 시에 띠 부재(31, 41)에 형성되는 주름이 커지기 쉽고, 이 경우, 등측 띠 부재(41)에 있어서 큰 주름이 형성되기 쉬워진다. 따라서, 신체의 움직임이 큰 엉덩이부 영역에 있어서 등측 띠 부재(41)에 큰 주름이 형성됨으로써, 등측 띠 부재(41)가 신체(엉덩이부)의 움직임에 추종하여 늘어나기 쉬워져, 피트성이 악화되는 것을 억제하기 쉬워진다.
=== 그 외의 실시형태 ===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상기의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여 해석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또, 본 발명은, 그 취지를 일탈하는 일 없이, 변경이나 개량될 수 있는 동시에, 본 발명에는 그 등가물이 포함되는 것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이하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변형이 가능하다.
상술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사이드 시일부(SS)는 반드시 직사각형 형상일 필요는 없다. 직사각형 형상뿐만 아니라, 타원 형상, 원 형상, 평행 사변 형상 등, 임의의 형상을 채용할 수 있다. 또, 사이드 시일부(SS)는, 반드시 복수의 사이드 시일부(SS)를 상하 방향으로 간헐적으로 배치하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면, 기저귀(1)의 좌우 방향의 단부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설치된 사이드 시일부(SS)를 양측부에 하나씩 설치하는 것이어도 된다.
1: 기저귀(흡수성 물품, 일회용 기저귀) 10: 흡수성 본체
10ea: 단부 10eb: 단부
11: 흡수체 11c: 흡수성 코어
13: 톱 시트 15: 백시트
17: 실고무 18: 실고무
31: 복측 띠 부재 31e: 단부
32: 제 1 시트 33: 제 2 시트
35: 탄성 부재 41: 등측 띠 부재
41e: 단부 42: 제 1 시트
43: 제 2 시트 45: 탄성 부재
50: 용착부 50s: 용착부 쌍
51: 제 1 용착부 52: 제 2 용착부
53: 제 3 용착부 54: 제 4 용착부
55: 제 5 용착부 56: 제 6 용착부
60: 용착부열 61: 제 1 용착부열
62: 제 2 용착부열 63: 제 3 용착부열
BH: 몸통 둘레 개구 LH: 다리 둘레 개구
CL1: 중앙 위치 LG: 레그 개더
LSG: 입체 개더(방루벽부) SS: 사이드 시일부

Claims (16)

  1. 서로 교차하는 상하 방향과 좌우 방향을 갖고,
    복수의 용착부에 의해 접합된 제 1 시트와 제 2 시트의 사이에, 상기 좌우 방향을 따라 신축 가능한 탄성 부재가 상기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띄우고 복수 배치된 신축성 시트로서,
    복수의 상기 탄성 부재 중 어느 탄성 부재의 상측에, 제 1 용착부와, 상기 제 1 용착부의 상기 좌우 방향의 한쪽측에 인접하는 제 3 용착부를 갖고,
    상기 어느 탄성 부재의 하측에, 제 2 용착부와, 상기 제 2 용착부의 상기 한쪽측에 인접하는 제 4 용착부를 가지며,
    상기 어느 탄성 부재는, 상기 좌우 방향으로 수축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용착부와 상기 제 2 용착부에 의해 상기 상하 방향으로 끼워 넣어지는 동시에, 상기 제 3 용착부와 상기 제 4 용착부에 의해 상기 상하 방향으로 끼워 넣어짐으로써, 상기 제 1 시트 및 상기 제 2 시트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 제 1 용착부와, 상기 제 3 용착부는, 상기 상하 방향에 있어서 중복하는 부분을 가지며,
    상기 제 1 용착부의 하단 위치와 상기 제 3 용착부의 하단 위치는, 상기 상하 방향에서 어긋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 시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 방향에서, 상기 제 1 용착부와 상기 제 3 용착부가 중복하고 있는 부분의 길이는,
    상기 상하 방향에서, 상기 제 1 용착부의 최하단과 상기 제 3 용착부의 최하단 사이의 길이보다도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 시트.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방향에서 상기 탄성 부재를 신장 가능한 최대의 길이까지 신장시켰을 때의 상기 탄성 부재의 바깥지름 길이는,
    상기 상하 방향에서, 상기 제 1 용착부의 최하단과 상기 제 3 용착부의 최하단 사이의 길이보다도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 시트.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용착부의 상기 좌우 방향에서의 길이는,
    상기 제 1 용착부의 상기 상하 방향에서의 길이보다도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 시트.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용착부 및 상기 제 3 용착부는, 직사각형의 네 모퉁이가 컷아웃(切欠)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 시트.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용착부 및 상기 제 3 용착부는, 타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 시트.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용착부∼상기 제 4 용착부는, 모두 같은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 시트.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방향에서 상기 탄성 부재를 신장 가능한 최대의 길이까지 신장시켰을 때의 상기 탄성 부재의 바깥지름 길이는,
    상기 상하 방향에서의 상기 제 1 용착부의 최하단과 상기 제 2 용착부의 최상단 사이의 길이, 및 상기 상하 방향에서의 상기 제 3 용착부의 최하단과 상기 제 4 용착부의 최상단 사이의 길이보다도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 시트.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방향에서 상기 탄성 부재를 신장 가능한 최대의 길이까지 신장시켰을 때의 상기 탄성 부재의 바깥지름 길이는,
    상기 상하 방향에서의 상기 제 3 용착부의 최하단과 상기 제 2 용착부의 최상단 사이의 길이보다도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 시트.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어느 탄성 부재의 상측에, 상기 제 3 용착부의 상기 좌우 방향의 한쪽측에 인접하는 제 5 용착부를 갖고,
    상기 좌우 방향에서 상기 탄성 부재를 신장 가능한 최대의 길이까지 신장시켰을 때의 상기 탄성 부재의 바깥지름 길이는,
    상기 상하 방향에서의 상기 제 5 용착부의 최하단과 상기 제 2 용착부의 최상단 사이의 길이보다도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 시트.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 방향에서의 상기 제 1 용착부의 최하단과 상기 제 2 용착부의 최상단 사이의 길이와,
    상기 상하 방향에서의 상기 제 3 용착부의 최하단과 상기 제 4 용착부의 최상단 사이의 길이가 동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 시트.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방향에서 상기 탄성 부재를 신장 가능한 최대의 길이의 70%까지 신장시켰을 때의 상기 탄성 부재의 바깥지름 길이는,
    상기 상하 방향에서의 상기 제 3 용착부의 최하단과 상기 제 2 용착부의 최상단 사이의 길이보다도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 시트.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방향에서, 인접하는 2개의 상기 용착부의 간격은 6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 시트.
  14. 서로 교차하는 상하 방향과 좌우 방향을 갖고,
    배설물을 흡수하는 흡수성 본체와,
    상기 좌우 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상기 흡수성 본체의 전측(前側) 상단부에 접합된 복측(腹側) 띠 부재와,
    상기 복측 띠 부재와는 별체로서 상기 좌우 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상기 흡수성 본체의 후측(後側) 상단부에 접합된 등측(背側) 띠 부재를 구비한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복측 띠 부재 및 상기 등측 띠 부재는,
    복수의 용착부에 의해 접합된 제 1 시트 및 제 2 시트와, 상기 좌우 방향을 따라 신축 가능한 탄성 부재를 갖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제 1 시트와 상기 제 2 시트의 사이에, 상기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띄우고 복수 배치되어 있으며,
    복수의 상기 탄성 부재 중 어느 탄성 부재의 상측에, 제 1 용착부와, 상기 제 1 용착부의 상기 좌우 방향의 한쪽측에 인접하는 제 3 용착부를 갖고,
    상기 어느 탄성 부재의 하측에, 제 2 용착부와, 상기 제 2 용착부의 상기 한쪽측에 인접하는 제 4 용착부를 가지며,
    상기 어느 탄성 부재는, 상기 좌우 방향으로 수축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용착부와 상기 제 2 용착부에 의해 상기 상하 방향으로 끼워 넣어지는 동시에, 상기 제 3 용착부와 상기 제 4 용착부에 의해 상기 상하 방향으로 끼워 넣어짐으로써, 상기 제 1 시트 및 상기 제 2 시트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 제 1 용착부와 상기 제 3 용착부는, 상기 상하 방향에 있어서 중복하는 부분을 가지며,
    상기 제 1 용착부의 하단 위치와 상기 제 3 용착부의 하단 위치는, 상기 상하 방향에서 어긋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측 띠 부재에 설치된 상기 탄성 부재의 상기 상하 방향에서의 간격과,
    상기 등측 띠 부재에 설치된 상기 탄성 부재의 상기 상하 방향에서의 간격이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측 띠 부재에 설치된 상기 탄성 부재의 상기 상하 방향에서의 간격이,
    상기 등측 띠 부재에 설치된 상기 탄성 부재의 상기 상하 방향에서의 간격보다도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KR1020207003753A 2017-10-04 2018-09-28 신축성 시트 및 흡수성 물품 KR1021174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194554A JP6503432B1 (ja) 2017-10-04 2017-10-04 伸縮性シート及び吸収性物品
JPJP-P-2017-194554 2017-10-04
PCT/JP2018/036256 WO2019069806A1 (ja) 2017-10-04 2018-09-28 伸縮性シート及び吸収性物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9763A true KR20200019763A (ko) 2020-02-24
KR102117418B1 KR102117418B1 (ko) 2020-06-01

Family

ID=65995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3753A KR102117418B1 (ko) 2017-10-04 2018-09-28 신축성 시트 및 흡수성 물품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10987255B2 (ko)
EP (1) EP3692960B1 (ko)
JP (1) JP6503432B1 (ko)
KR (1) KR102117418B1 (ko)
CN (1) CN111093579B (ko)
BR (1) BR112020002098B1 (ko)
EA (1) EA036218B1 (ko)
MY (1) MY178460A (ko)
SG (1) SG11202000438VA (ko)
TW (1) TWI741199B (ko)
WO (1) WO201906980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18414A1 (en) 2016-12-20 2018-06-2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s and apparatuses for making elastomeric laminates with elastic strands provided with a spin finish
MX2019012440A (es) * 2017-04-28 2020-02-05 Kimberly Clark Co Material elastico con canales no continuos.
US11147718B2 (en) 2017-09-01 2021-10-1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Beamed elastomeric laminate structure, fit, and texture
CN111050718B (zh) 2017-09-01 2021-12-14 宝洁公司 制备弹性体层合物的方法和设备
US11925537B2 (en) 2017-09-01 2024-03-1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Beamed elastomeric laminate structure, fit, and texture
US11547613B2 (en) 2017-12-05 2023-01-1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tretch laminate with beamed elastics and formed nonwoven layer
CN112218607B (zh) 2018-06-19 2022-11-04 宝洁公司 具有功能成形的顶片的吸收制品及制造方法
USD935606S1 (en) * 2018-11-15 2021-11-09 Unicharm Corporation Disposable diaper
USD933818S1 (en) * 2018-12-21 2021-10-19 Drylock Technologies N.V. Diaper pants
USD985121S1 (en) * 2018-12-21 2023-05-02 Drylock Technologies N.V. Diaper pants
US12053357B2 (en) 2019-06-19 2024-08-0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function-formed topshe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US11819393B2 (en) 2019-06-19 2023-11-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function-formed topshe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WO2023033084A1 (ja) * 2021-08-31 2023-03-0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伸縮性シート、パンツ型吸収性物品、及び、伸縮性シートの製造方法
JP2023034923A (ja) * 2021-08-31 2023-03-1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パンツ型吸収性物品、及び、パンツ型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CN118678939A (zh) * 2022-02-14 2024-09-20 株式会社瑞光 一次性穿着物品
JP7305861B1 (ja) 2022-11-21 2023-07-1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に用いられる伸縮性シート、及び、パンツ型吸収性物品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3377A (ko) * 1994-12-28 1996-07-20 다카하라 게이이치로 신축성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
JP2001504899A (ja) 1996-03-15 2001-04-10 スラ フランス コンパニ デキプモン ロボティック アプリケ ひだとりスライド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20018580A (ko) * 2000-09-01 2002-03-08 다카하라 게이이치로 탄성 신축성 복합 시트 및 그 복합 시트를 사용한 일회용착용 물품
KR20060079795A (ko) * 2003-09-08 2006-07-06 가오가부시끼가이샤 복합 신축 부재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83419A (ko) * 2006-11-27 2009-08-03 가오 가부시키가이샤 흡수성 물품
JP2012217553A (ja) * 2011-04-06 2012-11-12 Kami Shoji Kk 紙おむつ
JP5124188B2 (ja) * 2006-11-30 2013-01-23 大王製紙株式会社 紙おむつ
US20160058624A1 (en) * 2014-08-26 2016-03-03 Curt G. Joa,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securing elastic to a carrier web
KR20170038054A (ko) * 2014-08-20 2017-04-05 오지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일회용 기저귀 및 쿠션 시트
JP6171120B1 (ja) * 2016-12-27 2017-07-2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に係るシート状部材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80207Y2 (ja) * 1993-12-10 1998-09-0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パンツ型おむつ
JP5624868B2 (ja) * 2010-12-10 2014-11-12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JP5822278B2 (ja) * 2013-11-01 2015-11-24 花王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5919319B2 (ja) * 2014-02-28 2016-05-1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製造方法
JP6393503B2 (ja) * 2014-04-10 2018-09-1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パンツ型吸収性物品
JP5895019B2 (ja) * 2014-04-28 2016-03-3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パンツ型の吸収性物品
CN204909840U (zh) * 2014-07-23 2015-12-30 花王株式会社 一次性尿布
EP3185829B1 (en) * 2014-08-27 2020-01-08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Pant structure with efficiently manufactured and aesthetically pleasing rear leg edge profile
JP6065290B2 (ja) * 2014-09-26 2017-01-25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の伸縮構造の形成方法、及び吸収性物品の伸縮構造
JP6466162B2 (ja) * 2014-12-19 2019-02-06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10259165B2 (en) * 2015-04-01 2019-04-16 Aurizon Ultrasonics, LLC Apparatus for fabricating an elastic nonwoven material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3377A (ko) * 1994-12-28 1996-07-20 다카하라 게이이치로 신축성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
JP2001504899A (ja) 1996-03-15 2001-04-10 スラ フランス コンパニ デキプモン ロボティック アプリケ ひだとりスライド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20018580A (ko) * 2000-09-01 2002-03-08 다카하라 게이이치로 탄성 신축성 복합 시트 및 그 복합 시트를 사용한 일회용착용 물품
KR20060079795A (ko) * 2003-09-08 2006-07-06 가오가부시끼가이샤 복합 신축 부재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83419A (ko) * 2006-11-27 2009-08-03 가오 가부시키가이샤 흡수성 물품
JP5124188B2 (ja) * 2006-11-30 2013-01-23 大王製紙株式会社 紙おむつ
JP2012217553A (ja) * 2011-04-06 2012-11-12 Kami Shoji Kk 紙おむつ
KR20170038054A (ko) * 2014-08-20 2017-04-05 오지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일회용 기저귀 및 쿠션 시트
US20160058624A1 (en) * 2014-08-26 2016-03-03 Curt G. Joa,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securing elastic to a carrier web
JP6171120B1 (ja) * 2016-12-27 2017-07-2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に係るシート状部材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741199B (zh) 2021-10-01
US10987255B2 (en) 2021-04-27
JP6503432B1 (ja) 2019-04-17
CN111093579A (zh) 2020-05-01
TW201932083A (zh) 2019-08-16
MY178460A (en) 2020-10-14
US20200155371A1 (en) 2020-05-21
EP3692960B1 (en) 2024-07-10
CN111093579B (zh) 2021-01-08
JP2019063412A (ja) 2019-04-25
EA036218B1 (ru) 2020-10-15
KR102117418B1 (ko) 2020-06-01
BR112020002098A2 (pt) 2020-08-04
EP3692960C0 (en) 2024-07-10
EA202090342A1 (ru) 2020-03-27
BR112020002098B1 (pt) 2024-03-12
EP3692960A1 (en) 2020-08-12
WO2019069806A1 (ja) 2019-04-11
SG11202000438VA (en) 2020-02-27
EP3692960A4 (en) 2020-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19763A (ko) 신축성 시트 및 흡수성 물품
KR102109620B1 (ko) 신축성 시트 및 흡수성 물품
KR100656774B1 (ko) 팬츠형 일회용 착용 물품
KR102407077B1 (ko) 흡수성 물품
KR101753417B1 (ko) 흡수성 물품
JP5280277B2 (ja) 着用物品
JP6054699B2 (ja) 吸収性物品
JP5764319B2 (ja) 使い捨ておむつ
JP5777271B2 (ja) 着用物品
JP6169467B2 (ja) 使い捨ておむつ
WO2017199300A1 (ja)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及び、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装着方法
KR102419798B1 (ko) 흡수성 물품 및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
EP4360601A1 (en) Underpants-type absorbent artic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underpants-type absorbent article
JP7343993B2 (ja) 吸収性物品
WO2023238801A1 (ja) 伸縮性シート、及び、パンツ型吸収性物品
JP6560089B2 (ja)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JP6446353B2 (ja) 吸収性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