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9200A - 반응성 핫멜트 수지용 박리제 - Google Patents

반응성 핫멜트 수지용 박리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9200A
KR20200019200A KR1020207001163A KR20207001163A KR20200019200A KR 20200019200 A KR20200019200 A KR 20200019200A KR 1020207001163 A KR1020207001163 A KR 1020207001163A KR 20207001163 A KR20207001163 A KR 20207001163A KR 20200019200 A KR20200019200 A KR 202000192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melt
reactive hot
range
term
mp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11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17626B1 (ko
Inventor
유키에 사이토우
아츠시 니노미야
도요쿠니 후지와라
Original Assignee
디아이씨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아이씨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디아이씨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192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92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76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76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08G18/0838Manufacture of polymers in the presence of non-reactive compounds
    • C08G18/0842Manufacture of polymers in the presence of non-reactive compounds in the presence of liquid diluents
    • C08G18/0847Manufacture of polymers in the presence of non-reactive compounds in the presence of liquid diluents in the presence of solvents for the polymers
    • C08G18/0852Manufacture of polymers in the presence of non-reactive compounds in the presence of liquid diluents in the presence of solvents for the polymers the solvents being organic
    • C08G18/0857Manufacture of polymers in the presence of non-reactive compounds in the presence of liquid diluents in the presence of solvents for the polymers the solvents being organic the solvent being a polyol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5/00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relating to pri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 C08G18/76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 C08G18/7657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two or more aromatic rings
    • C08G18/766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two or more aromatic rings containing alkylene polyphenyl groups
    • C08G18/7671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two or more aromatic rings containing alkylene polyphenyl groups containing only one alkylene bisphenyl grou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08G18/0838Manufacture of polymers in the presence of non-reactive compounds
    • C08G18/0842Manufacture of polymers in the presence of non-reactive compounds in the presence of liquid diluents
    • C08G18/0847Manufacture of polymers in the presence of non-reactive compounds in the presence of liquid diluents in the presence of solvents for the polymers
    • C08G18/0852Manufacture of polymers in the presence of non-reactive compounds in the presence of liquid diluents in the presence of solvents for the polymers the solvents being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08G18/10Prepolymer processes involving reaction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in a first reaction step
    • C08G18/12Prepolymer processes involving reaction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in a first reaction step using two or more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in the first polymerisation ste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009Two or more macromolecular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one single group of groups C08G18/42 - C08G18/64
    • C08G18/4018Mixtures of compounds of group C08G18/42 with compounds of group C08G18/48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009Two or more macromolecular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one single group of groups C08G18/42 - C08G18/64
    • C08G18/4063Mixtures of compounds of group C08G18/62 with other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2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 C08G18/4202Two or more polyesters of different physical or chemical n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2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 C08G18/4205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containing cyclic groups
    • C08G18/4208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containing cyclic groups containing aromatic groups
    • C08G18/4211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containing cyclic groups containing aromatic groups derived from aromatic dicarboxylic acids and dialcohols
    • C08G18/4216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containing cyclic groups containing aromatic groups derived from aromatic dicarboxylic acids and dialcohols from mixtures or combinations of aromatic dicarboxylic acids and aliphatic dicarboxylic acids and di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2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 C08G18/4205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containing cyclic groups
    • C08G18/4208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containing cyclic groups containing aromatic groups
    • C08G18/4222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containing cyclic groups containing aromatic groups derived from aromatic polyhydroxy compounds and poly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2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 C08G18/4236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containing only aliphatic groups
    • C08G18/4238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containing only aliphatic group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2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 C08G18/4244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containing oxygen in the form of ether groups
    • C08G18/4247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containing oxygen in the form of ether groups derived from polyols containing at least one ether group and polycarboxylic acids
    • C08G18/4255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containing oxygen in the form of ether groups derived from polyols containing at least one ether group and polycarboxylic acids derived from polyols containing oxyalkylated carbocyclic groups and poly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8Polyethers
    • C08G18/4804Two or more polyethers of different physical or chemical nature
    • C08G18/4808Mixtures of two or more polyetherdi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8Polyethers
    • C08G18/4825Polyethers containing two hydroxy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62Polymers of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 C08G18/6216Polymers of alpha-beta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or of derivatives thereof
    • C08G18/625Polymers of alpha-beta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hydrolyzed polymers of esters of these acids
    • C08G18/6254Polymers of alpha-beta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and of esters of these acids containing hydroxy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9/00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75/00Adhesive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5Heat-activated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4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 C09J7/401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characterised by the release coating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00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170/00Compositions for adhesives
    • C08G2170/20Compositions for hot melt adhesives
    • C09J2201/61
    • C09J2201/622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04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the adhesive being heat-activatable, i.e. not tacky at temperatures inferior to 30°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75/00Presence of polyuretha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센 용해도 파라미터에 있어서의 분산항(δD)이 14.0∼21.0MPa0.5의 범위이고, 쌍극자간력항(δP)이 0∼10.5MPa0.5의 범위이고, 수소 결합항(δH)이 0∼13.5MPa0.5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응성 핫멜트 수지용 박리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반응성 핫멜트 수지용 접착제는, 벤조산에스테르, 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알코올, 및, 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용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반응성 핫멜트 수지는,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우레탄 프리폴리머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우레탄 프리폴리머의 우레탄 결합의 함유량은, 0.1∼3mol/kg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반응성 핫멜트 수지용 박리제
본 발명은, 반응성 핫멜트 수지에 사용되는 박리제에 관한 것이다.
반응성 핫멜트 수지로 이루어지는 접착제는, 무용제이므로 환경 대응형 접착제로서, 섬유 본딩·건재(建材) 라미네이션을 중심으로 다양한 연구가 현재까지 이루어지고 있고, 산업계에서도 널리 이용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 있어서는, 광학 부품의 첩합에 있어서, 광학 부품의 경량화나 박막화의 니즈의 높아짐을 수용해서, 이때까지 주류였던 아크릴계 점착제로부터, 핫멜트 접착제를 대용하는 검토가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 접착제로서는, 예를 들면, (a) 유동 개시 온도가 55℃ 이상 110℃ 이하인 폴리우레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b) Tg가 0℃ 이상 110℃ 이하, 분자량 10000∼25000의 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5∼150중량부, (c) 연화점이 60℃ 이상 140℃ 이하, 분자량 700∼3000의 에폭시 수지 10∼150중량부 및 (d) 커플링제로 표면 처리한 무기 충전제 10∼200중량부를 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습열성 핫멜트 접착제 조성물을 사용한 접착제가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을 참조).
상기 접착제를 사용해서 얻어진 적층체는 강고한 접착 강도를 갖기 때문에, 접착성의 점에서 유리한 효과를 갖고 있다. 그러나, 그 반면 박리할 수 없기 때문에, 기재의 리워크를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반응성 핫멜트 수지가 광학 부품의 첩합에 사용되는 경우가 많아진 최근에 있어서는, 액정 패널 등의 표시부나, 케이싱 등의 고가의 피착체(기재)가 사용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접착제의 박리에 의한 기재의 리워크성 향상이 강하게 요구되고 있다.
일본 특개2003-27030호 공보
본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는, 반응성 핫멜트 수지와 피착체와의 박리성이 우수한 반응성 핫멜트 수지용 박리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한센 용해도 파라미터에 있어서의 분산항(δD)이 14.0∼21.0MPa0.5의 범위이고, 분극항(δP)이 0∼10.5MPa0.5의 범위이고, 수소 결합항(δH)이 0∼13.5MPa0.5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응성 핫멜트 수지용 박리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반응성 핫멜트 수지용 박리제는, 반응성 핫멜트 수지를 사용해서 얻어진 접착제층과 피착체와의 사이에 우수한 박리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이것에 의해, 상기 접착제층에 의해 접착되어 있던 기재를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기재의 리워크성도 우수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반응성 핫멜트 수지용 박리제는, 한센 용해도 파라미터에 있어서의 분산항(δD)이 14.0∼21.0MPa0.5의 범위이고, 분극항(δP)이 0∼10.5MPa0.5의 범위이고, 수소 결합항(δH)이 0∼13.5MPa0.5의 범위인 것이 필수이다. 박리의 대상으로 되는 반응성 핫멜트 수지는, 상온 고체이고, 가열에 의해 용융한다는 특징을 갖는 것이고, 그 한센 용해도 파라미터에 있어서의 분산항의 값은 통상적으로, 분산항(δD)이 14.0∼21.0MPa0.5의 범위이고, 분극항(δP)이 0∼10.5MPa0.5의 범위이고, 수소 결합항(δH)이 0∼13.5MPa0.5의 범위로 된다. 따라서, 상기 박리제의 분산항(δD)이 14.0∼21.0MPa0.5의 범위이고, 분극항(δP)이 0∼10.5MPa0.5의 범위이고, 수소 결합항(δH)이 0∼13.5MPa0.5의 범위임에 의해, 반응성 핫멜트 수지와 양호한 친화성을 갖기 때문에, 적당한 팽윤성, 및 용해성이 얻어지고, 우수한 박리성을 얻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반응성 핫멜트 수지용 박리제는, 가열 등의 처리를 더하지 않아도, 간편하게 반응성 핫멜트 수지와 기재를 박리할 수 있는 것이고, 또한 기재의 용해·침식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예를 들면, 기재의 리워크성이 우수한 것이다.
또, 이 한센 용해도 파라미터란, 힐데브란드(Hildebrand)에 의해서 도입된 용해도 파라미터를, 분산항(δD), 분극항(δP), 수소 결합항(δH)의 3성분으로 분할하고, 3차원 공간에 나타낸 것이다. 분산항(δD)은 분산력에 의한 효과, 분극항(δP)은 쌍극자간력에 의한 효과, 수소 결합항(δH)은 수소 결합력에 의한 효과를 나타낸다.
또, 한센 용해도 파라미터의 정의와 계산은, Charles M.Hansen저 「Hansen Solubility Parameters; A Users Handbook(CRC Press, 2007)」에 기재되어 있다. 또한, 컴퓨터 소프트웨어 「Hansen Solubility Parameters in Practice(HSPiP)」를 사용함에 의해, 문헌에 파라미터값의 기재가 없는 유기 용제에 관해서도, 그 화학 구조로부터 한센 용해도 파라미터를 추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문헌에 파라미터값의 기재가 있는 용제에 대해서는, 그 값을 사용하고, 문헌에 파라미터값의 기재가 없는 유기 용제에 관해서는, HSPiP 버전4.1.06을 사용해서 추산한 파라미터값을 사용한다.
본 발명의 반응성 핫멜트 수지용 박리제는, 1종의 용제를 사용할 수도 있고, 또한 2종 이상의 용제를 병용해서 사용할 수도 있다. 2종 이상 병용하는 경우는, 각각의 용제의 한센 용해도 파라미터의 세 파라미터를 가중 평균한 값이, 상기한 범위 내로 되는 조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한센 용해도 파라미터에 있어서의 상기 분산항(δD)으로서는, 상용성이 한층 더 우수한 박리성이 얻어지는 점으로부터, 16.5∼19.0MPa0.5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분극항(δP)으로서는, 젖음성이 한층 더 우수한 박리성이 얻어지는 점으로부터, 4.5∼9.0MPa0.5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소 결합항(δH)으로서는, 용해성이 한층 더 우수한 박리성이 얻어지는 점으로부터, 3∼13.0MPa0.5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반응성 핫멜트 수지용 박리제로서의 구체예로서는, 벤조산메틸(분산항(δD) : 18.9, 분극항(δP) : 8.2, 수소 결합항(δH) : 4.7), 벤조산에틸(분산항(δD) : 17.9, 분극항(δP) : 6.2, 수소 결합항(δH) : 6.0), 벤조산부틸(분산항(δD) : 18.3, 분극항(δP) : 5.6, 수소 결합항(δH) : 5.5), 벤조산헥실(분산항(δD) : 17.2, 분극항(δP) : 4.9, 수소 결합항(δH) : 3.4), 벤조산디에틸렌글리콜에스테르(한센 용해도 파라미터; 분산항(δD) : 17.6, 분극항(δP) : 9.0, 수소 결합항(δH) : 4.8), 벤조산디프로필렌글리콜에스테르(분산항(δD) : 17.5, 분극항(δP) : 8.0, 수소 결합항(δH) : 4.0) 등의 벤조산에스테르; 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알코올(분산항(δD) : 17.8, 분극항(δP) : 8.2, 수소 결합항(δH) : 12.9), 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아크릴레이트(분산항(δD) : 16.9, 분극항(δP) : 5.9, 수소 결합항(δH) : 6.5), 테트라히드로메타크릴레이트(분산항(δD) : 16.8, 분극항(δP) : 5.2, 수소 결합항(δH) : 5.7)
상기 반응성 핫멜트 수지용 박리제로서는, 상기한 것 중에서도, 반응성 핫멜트 수지 피막의 강도를 유지하면서 상용화함으로써 박리가 한층 더 용이하게 되므로, 벤조산에스테르, 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알코올, 및, 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반응성 핫멜트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 수지, 변성 올레핀 수지,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우레탄 프리폴리머를 함유하는 습기 경화형 핫멜트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박리제에 의하면, 이들 반응성 핫멜트 수지에 대해서 양호한 박리성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습기 경화형 핫멜트 수지에 사용되는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우레탄 프리폴리머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올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반응시켜서 얻어진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들에게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갖는 화합물을 더 반응시켜서,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을 부여해도 된다.
상기 폴리올로서는, 폴리에테르폴리올, 폴리에스테르폴리올, 아크릴폴리올,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올, 폴리부타디엔폴리올, 다이머디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올의 수 평균 분자량으로서는, 양호한 접착성, 및 기계적 강도가 얻어지는 점으로부터, 500∼50,000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700∼10,000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 상기 폴리에테르폴리올의 수 평균 분자량은, 겔·퍼미에이션·크로마토그래피(GPC)법에 의해 측정한 값을 나타낸다.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메틸렌폴리페닐폴리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카르보디이미드 변성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나프탈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리신디이소시아네이트, 시클로헥산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디시클로헥실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자일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메틸자일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지방족 또는 지환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반응성, 및 접착성의 점으로부터,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우레탄 프리폴리머는, 상기 폴리올과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반응시켜서 얻어지는 것이고, 공기 중이나 우레탄 프리폴리머가 도포되는 케이싱이나 피착체 중에 존재하는 수분과 반응해서 가교 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이소시아네이트기를 폴리머 말단이나 분자 내에 갖는 것이다.
상기 우레탄 프리폴리머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가 들어간 반응 용기에, 상기 폴리올의 혼합물을 적하한 후에 가열하고,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가 갖는 이소시아네이트기가, 상기 폴리올이 갖는 수산기에 대해서 과잉으로 되는 조건에서 반응시킴에 의해서 제조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우레탄 프리폴리머를 제조할 때에는,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가 갖는 이소시아네이트기와 상기 폴리올이 갖는 수산기의 당량비([이소시아네이트기/수산기])가 1.1∼5의 범위로 되는 것이 접착성 및 기계적 강도의 점으로부터 바람직하고, 1.5∼3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우레탄 프리폴리머를 제조할 때에는, 필요에 따라서 우레탄화 촉매를 사용할 수 있다. 우레탄화 촉매는, 상기 반응의 임의의 단계에서, 적의(適宜) 더할 수 있다.
상기 우레탄화 촉매는, 예를 들면, 트리에틸아민, 트리에틸렌디아민 및 N-메틸모르폴린 등의 함질소 화합물; 아세트산칼륨, 스테아르산아연 및 옥틸산주석 등의 금속염; 디부틸주석디라우레이트 등의 유기 금속 화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상의 방법에 의해서 얻어진 우레탄 프리폴리머의 우레탄 결합량으로서는, 본 발명의 박리제와 양호한 친화성을 갖고, 한층 더 우수한 접착성, 및 박리성이 얻어지는 점으로부터, 0.1∼3mol/kg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0.2∼2mol/kg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 상기 우레탄 프리폴리머의 우레탄 결합량은, 상기 우레탄 프리폴리머의 원료의 사용량으로부터 산출되는 값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 우레탄 프리폴리머의 이소시아네이트기 함유율(이하, 「NCO%」로 약기한다)로서는, 한층 더 양호한 접착성, 및 박리성이 얻어지는 점으로부터, 1.5∼8질량%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1.7∼5질량%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고, 1.8∼3질량%의 범위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 상기 우레탄 프리폴리머의 NCO%는, JISK1603-1:2007에 준거하여, 전위차 적정법에 의해 측정한 값을 나타낸다.
상기 우레탄 프리폴리머의 점도로서는, 110℃에 있어서의 용융 점도가 1,000∼50,000mPa·s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2,000∼10,000mPa·s의 범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상기 110℃에 있어서의 용융 점도는, ICI 콘 플레이트 점도계로 측정한 값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 우레탄 프리폴리머에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을 부여하는 경우에 반응시킬 수 있는 상기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갖는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3-히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3-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6-히드록시헥실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에틸아크릴아미드 등의 수산기를 갖는 (메타)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디(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수산기를 갖는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모노아크릴레이트; 2-(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틸이소시아네이트, 2-(2-(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틸옥시)에틸이소시아네이트, 1,1-비스((메타)아크릴로일옥시메틸)에틸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메타)아크릴 화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우레탄 프리폴리머를 함유하는 습기 경화형 핫멜트 수지는, 상기 우레탄 프리폴리머만으로 구성되어도 되지만, 필요에 따라서 그 밖의 첨가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그 밖의 첨가제로서는, 예를 들면, 경화 촉매, 산화방지제, 점착부여제, 가소제, 안정제, 충전재, 염료, 안료, 형광증백제, 실란커플링제, 왁스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반응성 핫멜트 수지가 사용되는 용도로서는, 예를 들면, 섬유 본딩, 건재 라미네이션, 광학 부품의 첩합 등으로서 호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광학 부품의 첩합에 사용되는 태양으로서는, 예를 들면, 휴대전화, PC, 게임기, 텔레비전, 카 내비게이션, 카메라 스피커, 낚시 도구의 전동 릴 등의 씰제를 들 수 있다.
상기 첩합을 행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상기 반응성 핫멜트 수지를 50∼130℃의 온도 범위에서 가열 용융하고, 당해 조성물을 한쪽의 기재의 위에 도포하고, 다음으로 당해 수지층 상에 다른 한쪽의 기재를 첩합해서 적층체를 얻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상기 기재로서는, 예를 들면, 유리판, 스테인리스강(SUS)이나 마그네슘, 알루미늄 등의 금속판, 노르보르넨 등의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아크릴 수지, 우레탄 수지, 실리콘 수지, 에폭시 수지, 불소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설폰 수지, 폴리아릴레이트 수지, 폴리염화비닐 수지, 폴리염화비닐리덴,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지환식 폴리이미드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셀룰로오스 수지,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페닐렌에테르(변성 PPE),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젖산 폴리머,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ABS),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AS) 등으로부터 얻어지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재는, 필요에 따라서, 코로나 처리나 플라스마 처리, 프라이머 처리 등을 행해도 된다.
상기 반응성 핫멜트 수지를 상기 기재에 도포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롤 코터, 스프레이 코터, T-다이 코터, 나이프 코터, 콤마 코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응성 핫멜트 수지는, 저점도성이나 도포 후의 보형성 등을 가지므로, 디스펜서, 잉크젯 인쇄, 스크린 인쇄, 오프셋 인쇄 등의 방식에 의해 도포를 행할 수도 있다. 이들 도포 방식에 의하면, 상기 부재 상의 도포하고 싶은 개소에 상기 반응성 핫멜트 수지를 도포할 수 있으므로, 펀칭 가공 등의 로스를 발생하는 경우가 없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 도포 방식에 의하면, 상기 반응성 핫멜트 수지를, 점상, 선상, 삼각상, 사각상, 환상, 곡선 등의 다양한 형상을 상기 기재 상에 연속적 또는 단속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반응성 핫멜트 수지의 경화물층의 두께로서는, 사용되는 용도에 따라서 설정할 수 있지만, 예를 들면, 10㎛∼5㎜의 범위에서 바람직하게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첩합 후의 숙성 조건으로서는, 예를 들면, 온도 20∼80℃, 상대 습도 50∼90%RH, 0.5∼5일간의 사이에서 적의 결정할 수 있다.
이상의 방법에 의해, 강고하게 접착된 상기 기재와 상기 반응성 핫멜트 접착제층과의 적어도 2층을 갖는 적층체가 얻어진다. 이 적층체로부터 상기 반응성 핫멜트 접착제층을 박리하여 기재를 회수하는 방법으로서는, 적층체를 본 발명의 반응성 핫멜트 수지용 박리제 중에 침지시키는 방법; 적층체의 반응성 핫멜트 접착제층에 면봉이나 지(紙), 포(布) 등을 사용해서 도포하거나 닦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반응성 핫멜트 수지용 박리제는, 반응성 핫멜트 수지를 사용해서 얻어진 접착제층과 피착체와의 사이에 우수한 박리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이것에 의해, 상기 접착제층에 의해 접착되어 있던 기재를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기재의 리워크성도 우수한 것이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사용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합성예 1]
<우레탄 프리폴리머(1)의 합성>
온도계, 교반기, 불활성 가스 도입구 및 환류 냉각기를 구비한 4구 플라스크에, 폴리프로필렌글리콜(수 평균 분자량; 1,000) 15질량부, 폴리프로필렌글리콜(수 평균 분자량; 2,000) 15질량부, 결정성 폴리에스테르폴리올(1,6-헥산디올과 아디프산을 반응시킨 것, 수 평균 분자량; 2,000) 10질량부, 결정성 폴리에스테르폴리올(1,6-헥산디올과 1,12-도데칸디카르복시산을 반응시킨 것, 수 평균 분자량; 3,500) 10질량부, 비정성 폴리에스테르폴리올(비스페놀A의 프로필렌옥사이드 6몰 부가물, 세바스산 및 이소프탈산을 반응시킨 것, 수 평균 분자량; 2,000) 15질량부, 아크릴폴리올(아크릴산부틸/메타크릴산메틸/아크릴산에틸/메타크릴산2-히드록시에틸=69.65/25/5/0.35(질량비)로 반응시킨 것, 수 평균 분자량; 13,000, 유리 전이 온도; -30.3℃) 2.5질량부를 투입하고, 감압 조건 하에서 수분 함유율이 0.05질량% 이하로 될 때까지 탈수했다.
다음으로, 용기 내 온도 70℃로 냉각 후,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16.5질량부를 더하고, 100℃까지 승온하고, 이소시아네이트기 함유율이 일정하게 될 때까지 약 3시간 반응시켜서,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우레탄 프리폴리머(1)를 얻었다. 또, 얻어진 우레탄 프리폴리머(1)의 분산항(δD) : 17.7, 분극항(δP) : 5.6, 수소 결합항(δH) : 5.3이었다. 또한, 우레탄 프리폴리머(1)의 우레탄 결합의 함유량은 0.90mol/kg이었다.
또, 합성예에서 사용한 폴리올의 수 평균 분자량은, 겔·퍼미에이션·크로마토그래피(GPC)법에 의해, 이하의 조건에서 측정한 값을 나타낸다.
측정 장치 : 고속 GPC 장치(도소가부시키가이샤제 「HLC-8220GPC」)
칼럼 : 도소가부시키가이샤제의 하기의 칼럼을 직렬로 접속해서 사용했다.
「TSKgel G5000」(7.8㎜I.D.×30㎝)×1개
「TSKgel G4000」(7.8㎜I.D.×30㎝)×1개
「TSKgel G3000」(7.8㎜I.D.×30㎝)×1개
「TSKgel G2000」(7.8㎜I.D.×30㎝)×1개
검출기 : RI(시차 굴절계)
칼럼 온도 : 40℃
용리액 : 테트라히드로퓨란(THF)
유속 : 1.0mL/분
주입량 : 100μL(시료 농도 0.4질량%의 테트라히드로퓨란 용액)
표준 시료 : 하기의 표준 폴리스티렌을 사용해서 검량선을 작성했다.
(표준 폴리스티렌)
도소가부시키가이샤제 「TSKgel 표준 폴리스티렌 A-500」
도소가부시키가이샤제 「TSKgel 표준 폴리스티렌 A-1000」
도소가부시키가이샤제 「TSKgel 표준 폴리스티렌 A-2500」
도소가부시키가이샤제 「TSKgel 표준 폴리스티렌 A-5000」
도소가부시키가이샤제 「TSKgel 표준 폴리스티렌 F-1」
도소가부시키가이샤제 「TSKgel 표준 폴리스티렌 F-2」
도소가부시키가이샤제 「TSKgel 표준 폴리스티렌 F-4」
도소가부시키가이샤제 「TSKgel 표준 폴리스티렌 F-10」
도소가부시키가이샤제 「TSKgel 표준 폴리스티렌 F-20」
도소가부시키가이샤제 「TSKgel 표준 폴리스티렌 F-40」
도소가부시키가이샤제 「TSKgel 표준 폴리스티렌 F-80」
도소가부시키가이샤제 「TSKgel 표준 폴리스티렌 F-128」
도소가부시키가이샤제 「TSKgel 표준 폴리스티렌 F-288」
도소가부시키가이샤제 「TSKgel 표준 폴리스티렌 F-550」
[적층체의 제작]
상기 우레탄 프리폴리머(1)를 110℃로 가열 용융시키고, 110℃로 가열된 직경 0.4㎜의 내경을 갖는 디스펜서 니들(무사시엔지니어링가부시키가이샤제 디스펜서 「VAVE MASTER ME-5000VT」)을 사용해서, 토출 압력 : 0.3MPa, 가공 속도 50㎜/초로,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13㎝×15㎝, 두께 50㎛) 상에, 1변 10㎝의 직선을 0.2㎜ 두께로 되도록 도포하고, 온도 23℃, 상대 습도 65%의 항온 항습조 중에 3일간 방치함에 의해, 적층체를 얻었다.
[실시예 1]
얻어진 적층체의 PET 필름/접착제층면에 대하여, 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알코올 100질량%의 박리제를, 면봉을 사용해서 도포하고, 23℃의 분위기 하에서 5분간 방치하고, 직선의 선단을 핀셋으로 박리한 후, 보급형 디지털 포스 게이지(가부시키가이샤이마다제 「DS2-200N」)에 고정하고, 박리 강도(N)를 측정함으로써 박리성 시험을 행했다. 또, 박리제를 도포하기 전의 적층체의 박리성 시험도 아울러서 행했다.
[실시예 2∼5, 비교예 1∼2]
박리제의 종류를 표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박리성 시험을 행했다.
[표 1]
Figure pct00001
[표 2]
Figure pct00002
본 발명의 반응성 핫멜트 수지용 박리제는, 반응성 핫멜트 접착제층과 기재와의 박리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비교예 1은, 한센 용해도 파라미터에 있어서의 수소 결합항(δH)이,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범위를 초과하는 박리제를 사용한 태양이지만, 박리 강도의 저하가 적고, 박리성이 불충분했다.
또한, 비교예 2는, 한센 용해도 파라미터에 있어서의 쌍극자간력항(δP) 및 수소 결합항(δH)이,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범위를 초과하는 박리제를 사용한 태양이지만, 박리 강도의 저하가 적고, 박리성이 불충분했다.

Claims (4)

  1. 한센 용해도 파라미터에 있어서의 분산항(δD)이 14.0∼21.0MPa0.5의 범위이고, 쌍극자간력항(δP)이 0∼10.5MPa0.5의 범위이고, 수소 결합항(δH)이 0∼13.5MPa0.5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응성 핫멜트 수지용 박리제.
  2. 제1항에 있어서,
    벤조산에스테르, 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알코올, 및, 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용제인 반응성 핫멜트 수지용 박리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성 핫멜트 수지가,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우레탄 프리폴리머를 함유하는 습기 경화형 핫멜트 수지인 반응성 핫멜트 수지용 박리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우레탄 프리폴리머에 있어서의 우레탄 결합의 함유량이 0.1∼3mol/kg의 범위인 반응성 핫멜트 수지용 박리제.
KR1020207001163A 2017-07-20 2018-06-19 반응성 핫멜트 수지용 박리제 KR1023176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140842 2017-07-20
JPJP-P-2017-140842 2017-07-20
PCT/JP2018/023233 WO2019017133A1 (ja) 2017-07-20 2018-06-19 反応性ホットメルト樹脂用剥離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9200A true KR20200019200A (ko) 2020-02-21
KR102317626B1 KR102317626B1 (ko) 2021-10-26

Family

ID=65016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1163A KR102317626B1 (ko) 2017-07-20 2018-06-19 반응성 핫멜트 수지용 박리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00172651A1 (ko)
JP (1) JP6536757B2 (ko)
KR (1) KR102317626B1 (ko)
CN (1) CN110770313B (ko)
TW (1) TWI695851B (ko)
WO (1) WO20190171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90806B1 (ja) * 2018-09-19 2020-04-28 Dic株式会社 積層フィルムの分離回収方法
JP6777263B2 (ja) * 2018-09-25 2020-10-28 Dic株式会社 積層フィルムの分離回収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2595A (ja) * 1993-09-17 1995-03-28 Hachiyou Gijutsu Kenkyusho:Kk 洗浄用組成物と精密加工部品の洗浄方法
JPH08283668A (ja) * 1995-02-17 1996-10-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部品の剥離方法
JP2003027030A (ja) 2001-07-19 2003-01-29 Nitto Shinko Kk 耐湿熱性ホットメルト接着剤組成物
JP2008081687A (ja) * 2006-09-29 2008-04-10 Konishi Co Ltd 反応性ホットメルト接着剤用洗浄剤
JP2010513598A (ja) * 2006-12-14 2010-04-30 ザ・ボーイング・カンパニー ゲル状接着剤剥離組成物および使用方法
JP2015000911A (ja) * 2013-06-14 2015-01-05 Dic株式会社 反応性ホットメルト樹脂用剥離剤、剥離方法及び基材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30772A (en) * 1988-06-10 1989-05-16 Hoechst Celanese Corporation Stripper composition for removal of protective coatings
CN1098373C (zh) * 1995-02-17 2003-01-08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零件的洗净方法
JPH1053736A (ja) * 1996-08-09 1998-02-24 Seiko Precision Kk 接着剤及びインク等の液状剥離剤
JP2002348558A (ja) * 2001-05-25 2002-12-04 Sekisui Chem Co Ltd 接着物の剥離方法
US6919405B2 (en) * 2002-12-31 2005-07-1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Release compositions and articles made therefrom
JP2005133053A (ja) * 2003-10-29 2005-05-26 Hitachi Kasei Polymer Co Ltd グラビアロール上の湿気硬化型反応性ホットメルト接着剤の除去方法
JP5309453B2 (ja) * 2007-03-13 2013-10-09 Dic株式会社 洗浄剤、及び該洗浄剤を用いた洗浄方法
EP2330140A1 (de) * 2009-12-02 2011-06-08 Sika Technology AG Aldimin - Reinigungszusammensetzung für reaktive Polyurethanzusammensetzungen
CN102719325B (zh) * 2012-06-26 2014-05-14 中国科学院理化技术研究所嘉兴工程中心 一种新型的反应型聚氨酯热熔胶清洗剂
JP6403611B2 (ja) * 2015-03-03 2018-10-10 株式会社クラレ ホットメルト粘接着剤の洗浄方法及び洗浄剤
CN107614616B (zh) * 2015-05-25 2021-05-18 Dic株式会社 水性聚氨酯树脂组合物和物品
JP2017008173A (ja) * 2015-06-19 2017-01-12 日東電工株式会社 表面保護フィルム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2595A (ja) * 1993-09-17 1995-03-28 Hachiyou Gijutsu Kenkyusho:Kk 洗浄用組成物と精密加工部品の洗浄方法
JPH08283668A (ja) * 1995-02-17 1996-10-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部品の剥離方法
JP2003027030A (ja) 2001-07-19 2003-01-29 Nitto Shinko Kk 耐湿熱性ホットメルト接着剤組成物
JP2008081687A (ja) * 2006-09-29 2008-04-10 Konishi Co Ltd 反応性ホットメルト接着剤用洗浄剤
JP2010513598A (ja) * 2006-12-14 2010-04-30 ザ・ボーイング・カンパニー ゲル状接着剤剥離組成物および使用方法
JP2015000911A (ja) * 2013-06-14 2015-01-05 Dic株式会社 反応性ホットメルト樹脂用剥離剤、剥離方法及び基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17133A1 (ja) 2019-01-24
CN110770313B (zh) 2022-03-01
TWI695851B (zh) 2020-06-11
JP6536757B2 (ja) 2019-07-03
KR102317626B1 (ko) 2021-10-26
US20200172651A1 (en) 2020-06-04
JPWO2019017133A1 (ja) 2019-08-08
CN110770313A (zh) 2020-02-07
TW201908357A (zh) 2019-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70391B2 (en) Moisture-curable polyurethane hot-melt resin composition, adhesive, and article
WO2013153907A1 (ja) 湿気硬化型ポリウレタンホットメルト樹脂組成物、接着剤及び物品
KR20130066571A (ko) 점착 시트
JP6519687B1 (ja) 粘着剤、粘着シート、および水酸基末端ウレタンプレポリマーの製造方法
TWI786263B (zh) 黏著片及其製造方法、以及圖像顯示裝置
TW201936819A (zh) 黏著片及其製造方法、以及圖像顯示裝置之製造方法
JP2018508615A (ja) 耐薬品性ポリウレタン接着剤
US20130084416A1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nd pressure sensitive adhesive tape
CN111741992A (zh) 湿气固化型聚氨酯热熔树脂组合物
CN109790422A (zh) 光学用粘合剂层、光学用粘合剂层的制造方法、带粘合剂层的光学膜、及图像显示装置
CN109790420A (zh) 光学用粘合剂层、光学用粘合剂层的制造方法、带粘合剂层的光学膜、及图像显示装置
KR102317626B1 (ko) 반응성 핫멜트 수지용 박리제
CN114430770A (zh) 表面保护膜
JP2015000911A (ja) 反応性ホットメルト樹脂用剥離剤、剥離方法及び基材
CN115612428A (zh) 丙烯酸压敏胶及其制备方法、偏光片保护膜及制备方法
CN111491970B (zh) 湿气固化型聚氨酯热熔树脂组合物和使用了该组合物的物品
CN109790429A (zh) 偏振膜用粘合剂组合物、偏振膜用粘合剂层的制造方法、带粘合剂层的偏振膜、及图像显示装置
KR102514287B1 (ko) 감압점착제 조성물, 이를 이용한 보호 필름, 및 이를 이용한 보호 필름의 제조 방법
KR20140111393A (ko) 광학용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한 점착필름
KR102596425B1 (ko) 마이크로 led 디스플레이용 자외선 경화성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마이크로 led 디스플레이용 점착필름.
KR101613769B1 (ko) 점착 테이프
KR101902180B1 (ko) 우레탄 수지 및 자기점착성이 우수한 수지 조성물
KR101608119B1 (ko) 연마패드
CN112368312A (zh) 湿固化型聚氨酯热熔树脂组合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