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6329A - 엘리베이터 카 도어 개폐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카 도어 개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6329A
KR20200016329A KR1020207000094A KR20207000094A KR20200016329A KR 20200016329 A KR20200016329 A KR 20200016329A KR 1020207000094 A KR1020207000094 A KR 1020207000094A KR 20207000094 A KR20207000094 A KR 20207000094A KR 20200016329 A KR20200016329 A KR 202000163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movable blade
car door
landing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0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1041B1 (ko
Inventor
싱치 왕
지 지앙
Original Assignee
상하이 미츠비시 엘리베이터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상하이 미츠비시 엘리베이터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상하이 미츠비시 엘리베이터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0163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63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10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10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4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B13/16Door or gate locking devices controlled or primarily controlled by condition of cage, e.g. movement or position
    • B66B13/18Door or gate locking devices controlled or primarily controlled by condition of cage, e.g. movement or position without manually-operable devices for completing locking or unlocking of doors
    • B66B13/20Lock mechanisms actuated mechanically by abutments or projections on the c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2Arrangements for effecting simultaneous opening or closing of cage and landing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04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for ele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카 도어 개폐 장치를 개시한다. 이는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 빔, 베인 어셈블리와 베인 베이스를 포함하며, 베인 어셈블리는 제1 가동 블레이드, 제2 가동 블레이드, 제1 가동 블레이드 구동 장치, 돌기부, 차단부를 포함하되, 상기 차단부(9)는 상기 돌기부(13)와 서로 맞대어 접촉될 수 있고, 상기 차단부(9)는 카 도어 개방 시 제1 가동 블레이드(2)의 스윙 범위와 스윙 속도를 제한하고, 카 도어 폐쇄 시 제1 가동 블레이드(2)가 제2 가동 블레이드(27)와 이격되는 방향으로 스윙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승강장 도어 로킹부의 회동 후크가 승강장 도어 로킹부의 고정 후크와 너무 일찍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여, 승강장 도어의 운동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카 도어 개폐 장치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부재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엘리베이터 카 도어 개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의 상하 운행 과정에서, 카와 승강장이 나란해지면, 일반적으로 카측 도어 개폐기의 베인이 승강장 도어측의 승강장 도어 연동 롤러와 함께 연동되어 엘리베이터 도어의 개폐 동작을 실현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베인은 동기식 베인과 비동기식 베인 2 종류를 포함한다. 동기식 베인은 베인에 의해 먼저 승강장 도어 연동 롤러를 클램핑하는 동작을 구현하고, 다음으로 카 도어와 승강장 도어가 함께 연동된다. 비동기식 베인은 베인과 카 도어가 동시에 이동되며, 카 도어와 승강장 도어가 연동되기 전에, 일반적으로 카 도어가 먼저 일정한 운행거리를 이동한다. 비동기식 베인은 도어가 폐쇄될 경우 도어 폐쇄 방향에서의 승강장 도어에 대한 추진력을 미리 방출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도어 개폐 장치의 제어에 의한 승강장 도어 로킹부의 상태를 도시한다. 비동기식 베인은 도어가 폐쇄될 경우 도어 폐쇄 방향에서의 승강장 도어에 대한 추진력을 미리 방출하게 되므로, 승강장 도어의 폐쇄 속도가 카 도어보다 작을 경우, 승강장 도어의 후크가 제어력을 잃어 너무 일찍 로킹되며, 도어 폐쇄 시 승강장 도어의 고정 후크와 너무 일찍 충돌되면, 승강장 도어가 제어력을 잃을 때의 초기 운동 에너지를 너무 빨리 소모하게 된다. 승강장에 풍압이 있을 경우, 승강장 도어 저부의 슬라이딩 블록이 풍압에 의해 문턱 측벽을 가압하여 저부 마찰력이 증가하게 되고, 강제적인 도어 폐쇄력이 마찰력보다 작을 경우, 승강장 도어의 정상적인 폐쇄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승강장 도어의 폐쇄 속도가 카 도어보다 작을 경우, 승강장 도어의 후크가 너무 일찍 로킹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카 도어 개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는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 빔, 베인 어셈블리와 베인 베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베인 베이스는 구동측 카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베인 어셈블리는 연결부재에 의해 상기 베인 베이스에 가동 연결되는 제1 가동 블레이드; 연결부재에 의해 상기 베인 베이스에 가동 연결되고, 제1 가동 블레이드와 함께 승강장 도어 언로킹 롤러를 클램핑 또는 언클램핑 하여, 승강장 도어가 연동되어 이동하도록 하는 제2 가동 블레이드; 제1 가동 블레이드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중력에 의해 제1 가동 블레이드를 구동시켜 제2 가동 블레이드와 인접하는 방향으로 스윙하도록 하는 제1 가동 블레이드 구동 장치; 제1 가동 블레이드 구동 장치에 설치되는 돌기부;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 빔의 정지 부재에 고정 설치되는 차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차단부는 상기 돌기부와 서로 맞대어 접촉하고, 상기 차단부는 카 도어가 개방될 경우 제1 가동 블레이드의 스윙 범위와 스윙 속도를 제한하고, 카 도어가 폐쇄될 경우 제1 가동 블레이드가 제2 가동 블레이드와 이격되는 방향으로 스윙하도록 하는 엘리베이터 카 도어 개폐 장치가 개시되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가동 블레이드 구동 장치는 제1 스윙 바와 제2 스윙 바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제1 스윙 바는 상기 베인 베이스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동 센터, 제1 가동 블레이드 상부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끝단 연결 포인트, 상기 돌기부가 설치되는 제2 끝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스윙 바는 제1 가동 블레이드 하부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끝단 연결 포인트, 상기 베인 베이스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끝단 연결 포인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스윙 바의 제1 끝단 연결 포인트와 제2 스윙 바의 제2 끝단 연결 포인트의 연결선은 항상 수직을 유지하고, 상기 제1 스윙 바의 회동 센터와 제2 끝단 연결 포인트의 연결선은 항상 수직을 유지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베인 베이스에는 제1 가동 블레이드가 카 도어 폐쇄 방향으로 이동하는 거리를 제한하는 제1 리미트 장치가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가동 블레이드 구동 장치는 자체 중력에 의해 제1 가동 블레이드를 구동시켜 제2 가동 블레이드와 인접하는 방향으로 스윙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스윙 바에는 탄성 소자 가압판 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베인 베이스에는 탄성 소자 가이드 장치가 설치되되, 상기 탄성 소자 가이드 장치는 탄성 소자의 일단과 씌움 결합되고, 상기 탄성 소자의 타단은 탄성 소자 가압판 장치와 씌움 결합되며, 상기 탄성 소자는 탄성 소자 가압판 장치를 통해 제1 가동 블레이드로 압력을 인가하여 제1 가동 블레이드가 제2 가동 블레이드와 인접하는 방향으로 스윙하도록 제1 가동 블레이드를 밀어주고, 상기 탄성 소자 가이드 장치는 탄성 소자 가압판 장치와 서로 맞물려 제1 가동 블레이드가 전체적인 스윙 과정에서 항상 상기 탄성 소자 가이드 장치 및 탄성 소자 가압판 장치 사이에 씌움 결합되도록 보장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돌기부는 롤러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돌기부는 고정 샤프트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차단부는 캠으로, 카 도어가 완전히 폐쇄될 경우, 롤러가 캠에 의해 캠 곡선의 시작단과 맞대어 인접하고; 카 도어가 개방될 경우 제1 스윙 바가 회동하고, 상기 캠의 캠 곡선이 상기 롤러와 접촉하여, 상기 롤러가 캠 곡선에 의해 회동 속도가 제어되며; 제1 스윙 바의 회동이 끝나게 되면, 상기 롤러는 캠과 멀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리미트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리미트 스크류로, 상기 리미트 스크류와 베인의 접 촉면에 고무로 감싸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성 소자 가압판 장치는 제2 스윙 바에 고정 연결되는 탄성 소자 가압판 장착판, 가압판 장착판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가압 스프링 베이스, 가압판 장착판에 설치되는 원뿔형 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소자 가이드 장치는 볼트로, 베인 베이스에 고정 연결되고; 상기 탄성 소자는 가압 스프링으로, 일단에 상기 볼트가 삽입되고, 타단이 원뿔형 샤프트에 씌워진다.
바람직하게는, 카 도어가 개방될 경우, 상기 돌기부가 제1 가동 블레이드 구동 장치의 회동 과정에서 발생하는 수평 변위 방향이 도어가 닫히는 방향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베인 어셈블리는 제2 가동 블레이드의 스윙을 구동하는 제2 가동 블레이드 동작 제어 장치를 더 포함하며, 카 도어가 언로킹 구역에서 정상적으로 개방될 경우, 상기 제2 가동 블레이드가 카 도어 개방 후 폐쇄 방향으로 스윙하는 수평 변위는 다음의 공식에 의해 얻어지며, S2=S1-D, 식에서, S2는 제2 가동 블레이드가 카 도어 개방 후 폐쇄 방향으로 스윙하는 수평 변위이고, S1은 도어가 완전히 폐쇄될 경우 제1 가동 블레이드 작업면에서 제2 가동 블레이드 작업면까지의 거리이고, D는 승강장 도어 언로킹 롤러 및 승강장 도어 연동 롤러 수평 방향의 외측 폭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베인 어셈블리는 제2 가동 블레이드의 스윙을 구동하는 제2 가동 블레이드 동작 제어 장치를 더 포함하며, 카가 언로킹 구역에서 긴급 구조된 후 승강장 도어가 열리게 되면, 승강장 도어 로킹부 하부 롤러가 먼저 제2 가동 블레이드와 접촉하게 되며, 제2 가동 블레이드가 추진력을 받아 카 도어를 개방하게 되며, 제1 스윙 바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동하여, 제1 가동 블레이드가 도어 개방 방향으로 스윙하게 되며, 제1 가동 블레이드가 승강장 도어 연동 롤러와 접촉할 때까지 스윙할 경우, 제1 가동 블레이드가 도어 개방 방향으로 스윙하는 수평 운행거리 량은 S4=S1-D이며; 상기 공식에서, S4는 제1 가동 블레이드가 도어 개방 방향으로 스윙하는 수평 운행거리 량이고, S1은 도어가 완전히 폐쇄될 경우 제1 가동 블레이드 작업면에서 제2 가동 블레이드 작업면까지의 거리이고, D는 승강장 도어 언로킹 롤러 및 승강장 도어 연동 롤러 수평 방향의 외측 폭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엘리베이터 카 도어 개폐 장치는 컨트롤러, 모터, 도어 위치 도달 스위치, 도어 위치 도달 스위치 트리거, 위치 스위치, 위치 스위치 트리거, 도어 스위치 타이밍 벨트, 타이밍 벨트 폴리, 타이밍 벨트 텐션 장치, 구동측 벨트 행거 암, 구동측 도어 행거 플레이트, 종동측 벨트 행거 암, 종동측 도어 행거 플레이트, 도어 가이드 레일, 도어 개방 리미트 장치, 도어 폐쇄 리미트 장치를 더 포함하며; 도어 개폐 구동 부재, 도어 가이드 레일, 타이밍 벨트 폴리, 타이밍 벨트 텐션 장치는 도어 개폐 빔에 설치되고, 타이밍 벨트는 모터 출력 벨트 폴리와 타단에 위치하는 타이밍 벨트 폴리의 폴리 홈 내에 감겨져 있고, 타이밍 벨트 텐션 장치에 의해 견인되고; 도어 센터의 좌우 양단에서 타이밍 벨트의 상하 위치에는 각각 구동측 벨트 행거 암과 종동측 벨트 행거 암이 설치되되, 구동측 벨트 행거 암과 종동측 벨트 행거 암의 이동 방향이 반대가 되도록 하며; 구동측 벨트 행거 암은 구동측 도어 행거 플레이트의 상부와 연결되고, 종동측 벨트 행거 암은 종동측 도어 행거 플레이트의 상부에 연결되고, 구동측 도어 행거 플레이트와 종동측 도어 행거 플레이트의 폴리는 도어 가이드 레일에서 롤링하며; 컨트롤러는 모터를 제어하여, 모터 출력 벨트 폴리가 회동하도록 하고, 구동측 도어 행거 플레이트와 종동측 도어 행거 플레이트는 타이밍 벨트의 전달에 의해 도어의 개폐를 수행하며; 도어 위치 도달 스위치는 안전 회로와 접속하여 카가 폐쇄 위치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위치 스위치는 도어 제어 회로와 접속한다.
바람직하게는, 카 도어가 승강장 도어와 연동되고 카 도어가 폐쇄되어 이동될 경우, 제2 가동 블레이드는 제2 가동 블레이드 동작 구동 장치의 제어에 의해 도어 개방 방향으로 스윙하게 되어, 승강장 도어 연동 롤러에 대한 추진력을 방출하고, 승강장 도어는 강제적인 도어 폐쇄력과 초기 운동 에너지의 작용에 의해 폐쇄되며, 승강장 도어의 폐쇄 속도가 카 도어의 폐쇄 속도보다 크거나 또는 동일할 경우, 승강장 도어의 언로킹 롤러는 최종적으로 제1 가동 블레이드와 접촉하여 제1 가동 블레이드에 대해 추진력을 인가하게 되고, 제1 가동 블레이드가 제1 리미트 장치에 의해 위치가 제한될 경우, 승강장 도어와 카 도어의 속도는 일치하게 되며, 이 때 언로킹 롤러는 승강장 도어가 폐쇄될 때까지 항상 언로킹 상태이며, 카 도어 개폐기의 제1 가동 블레이드는 언로킹 롤러와 이격되고, 승강장 언로킹 롤러는 자체의 스프링력과 중력의 작용에 의해 로킹 방향으로 회동하여 최종적으로 승강장 도어를 로킹하고; 카 도어가 폐쇄될 경우, 상기 제1 가동 블레이드와 제2 가동 블레이드가 승강장 도어 롤러를 클램핑하여 승강장 도어와 카 도어가 연동된 후, 승강장 도어 속도가 카 도어 속도보다 작을 경우, 상기 제1 가동 블레이드 구동 장치가 제1 가동 블레이드를 구동시켜 도어 개방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되, 상기 제1 가동 블레이드 구동 장치의 구동력은 승강장 언로킹 롤러의 로킹 방향으로의 회동을 방지하도록 승강장 언로킹 롤러가 로킹 방향으로 회동하는 수평력보다 크며, 상기 차단부와 돌기부가 서로 접촉하게 되면, 상기 제1 가동 블레이드 구동 장치는 차단부의 작용에 의해 제1 가동 블레이드를 구동시켜 도어 폐쇄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승강장 도어 언로킹 롤러가 로킹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카 도어의 개방과 승강장 도어의 연동 순간, 카 도어의 운행거리는 S=P+S5이며, 식에서 S는 카 도어의 운행거리이고, P는 카 도어가 완전히 폐쇄될 경우, 제1 가동 블레이드와 승강장 도어 언로킹 롤러의 수평 방향 간격이고, S5는 승강장 언로킹 롤러가 언로킹하는 수평 운행거리이고; 카 도어가 폐쇄될 경우, 제1 스윙 바의 롤러가 캠과 접촉하게 되면, 카 도어가 카 도어의 완전히 폐쇄되는 위치와 이격되어 남은 카 도어의 운행거리는 전술한 카 도어의 운행거리(S)보다 작거나 동일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구체적인 실시 방식을 결합하여 본 발명에 대해 추가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도어 개폐 장치의 제어에 의한 승강장 도어 로킹부가 언로킹 상태에서 도어 폐쇄 방향으로 이동하되, 승강장 도어 속도가 카 도어보다 느릴 경우, 승강장 도어 로킹부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카 도어 개폐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카 도어는 전체적으로 폐쇄된 상태).
도 3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카 도어 개폐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카 도어는 전체적으로 폐쇄된 상태).
도 4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카 도어 개폐 장치에서 베인 구조를 나타내는 정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카 도어 개폐 장치의 제1 실시예에서 차단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카 도어 개폐 장치의 제2 실시예에서 탄성 소자 가압판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카 도어 개폐 장치의 베인이 언로킹 상태에서 도어 폐쇄 방향으로 이동하되, 승강장 도어 속도가 카 도어보다 느리며, 카 도어 폐쇄되기 전 20mm일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카 도어 개폐 장치의 제어에 의한 승강장 도어 로킹부가 언로킹 상태에서 도어 폐쇄 방향으로 이동하되, 승강장 도어 속도가 카 도어보다 느리며, 카 도어 폐쇄되기 전 20mm일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카 도어 개폐 장치는 베인 베이스(1), 제1 스윙 바(3), 제2 스윙 바(4), 제3 스윙 바(25), 제4 스윙 바(26), 제1 가동 블레이드(2), 제2 가동 블레이드(27), 제1 리미트 장치(18), 제2 리미트 장치(20), 탄성 소자, 탄성 소자 가이드 장치, 탄성 소자 가압판 장치(61), 돌기부(13), 차단부(9), 제2 가동 블레이드 동작 제어 장치(35)를 포함한다.
베인 베이스(1)는 구동측 카 도어(30)에 장착된다. 베인 베이스(1)에는 고속 스피닝에 의해 제1 스윙 바용 샤프트(6), 제2 스윙 바용 샤프트(7), 제3 스윙 바용 샤프트(23), 제4 스윙 바용 샤프트(24)가 리벳팅되어 있다. 제1 스윙 바용 샤프트(6)와 제2 스윙 바용 샤프트(7)의 샤프트 중심 연결선은 수직이며, 제1 스윙 바용 샤프트(6)가 제2 스윙 바용 샤프트(7)의 바로 상측에 위치한다. 제3 스윙 바용 샤프트(23)와 제4 스윙 바용 샤프트(24)의 샤프트 중심 연결선은 수직이며, 제3 스윙 바용 샤프트(23)가 제4 스윙 바용 샤프트(24)의 바로 상측에 위치한다. 제1 스윙 바용 샤프트(6)와 제3 스윙 바용 샤프트(23)는 일정한 수평 간격을 가진다.
제1 스윙 바(3)는 회동 센터(36)를 구비하고, 회동 센터(36)의 위치에는 베어링이 리벳팅되어 있다. 회동 센터(36)의 일측 끝단에는 베어링이 리벳팅되어 제1 가동 블레이드(2)의 상부와 힌지 결합되고, 제1 가동 블레이드(2)의 상부는 결합 위치에 구멍을 개공하고, 육각형 볼트를 샤프트로 사용하여 제1 스윙 바(3)의 회동 센터(36) 일측의 힌지 결합된 곳과 베어링 결합될 수 있다. 제1 스윙 바(3)에는 돌기부(13)가 설치되되, 상기 돌기부로서 롤러가 바람직하다. 제1 스윙 바(3)에는 고속 스피닝에 의해 롤러용 샤프트(14)가 리벳팅되어 있고, 제1 스윙 바 롤러 내부에는 베어링이 리벳팅되어 있으며, 롤러는 롤러용 샤프트(14)에 힌지 결합된다. 제2 스윙 바(4)에는 제2 끝단 연결 포인트(39)가 설치되고, 상기 연결 포인트(39)에는 베어링이 리벳팅되어 제2 스윙 바(4)의 회동 센터가 되며, 베인 베이스(1)의 제2 스윙 바용 샤프트(7)와 힌지 결합되며, 제2 스윙 바(4)의 타단에는 베어링이 리벳팅되어 제1 가동 블레이드(2)의 하부와 힌지 결합되고, 제1 가동 블레이드(2) 하부의 힌지 결합된 곳에는 구멍이 개공되며, 육각형 볼트가 샤프트로 사용된다. 제1 가동 블레이드(2)는 육각형 볼트를 샤프트로 사용하고, 육각형 볼트는 제1 스윙 바의 배면을 관통하여, 제1 스윙 바(3), 제1 스윙 바(3)의 베어링과 제1 가동 블레이드(2)를 관통하고, 제1 가동 블레이드의 정면에서 너트에 의해 고정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 빔의 정지 부재의 차단부(9)는 2번 절곡된 강판으로, 2번 모두 90도로 절곡되었으며, 이는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 빔의 정지 부재에 장착되는 차단부 장착면(51), 차단부 장착면(51)과 수직되는 차단부 절곡면(48) 및 차단부 절곡면(48)과 수직되고 차단부 장착면(51)과 평행되는 제3 면을 구비하되, 차단부 장착면(51)과 제3 면은 동일한 평면에 위치하지 않지만 서로 평행된다. 바람직하게는, 제3 면의 측면이 캠의 캠 라인(50)이다. 카 도어가 개방될 경우, 제1 스윙 바(3)가 회동하게 되면, 돌기부(13)가 캠 라인과 접촉하게 되며, 캠 라인에 의해 회동 속도가 제어되고, 제1 스윙 바(3)의 회동이 멈추면, 돌기부(13)가 차단부(9)와 멀어지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인 베이스(1)는 90도로 절곡된 판으로, 정면이 도어 플레이트 표면과 평행되고, 도어 폐쇄측에 절곡되어 형성되며 정면과 수직되는 측면이 구비된다. 측면에서 상단과 하단에 각각 직경이 9mm인 원형 홀이 개공되고, 원형 홀의 홀 중심에는 M8의 용접 너트가 조준되어 용접되되, 용접 너트가 베인 베이스의 외측에 위치한다. 끝단에 고무로 감싸고 있는 M8 볼트를 사용하며, 볼트 길이는 25mm이다. 해당 볼트를 전술한 M8의 용접 너트에 장착하되, 볼트의 위치가 베인 베이스의 내측에 위치한다. 상측과 하측의 볼트는 제1 리미트 장치(18)이다. 제1 가동 블레이드(2)는 서로 수직되는 면을 구비하고, 정면이 제1 스윙 바(3) 및 제2 스윙 바(4)와 힌지 결합된 후, 제1 가동 블레이드(2)는 수직이 되며, 도어가 완전히 폐쇄될 경우 제1 리미트 장치를 조절하고, 제1 가동 블레이드의 측면이 제1 리미트 장치(18)와 접촉하게 되면, 이 때 제1 가동 블레이드(2)와 승강장 도어 로킹부 상부 언로킹 롤러의 방접원의 수평 간격을 C1로 설정하고, 수평 간격은 일반적으로 9mm일 수 있다.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스윙 바(3), 제2 스윙 바(4), 제1 가동 블레이드(2)가 더블 스윙 바 기구를 구성하며, 해당 기구의 중력에 의해 제1 가동 블레이드(2)가 도어 개방 방향으로 스윙하게 된다. 차단부(9)가 돌기부(13)에 대한 압력에 의해 제1 스윙 바(3)가 항상 회동 센터(36)를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며, 이 때 제1 가동 블레이드(2)는 도어 폐쇄 방향으로 스윙하게 된다. 도어가 완전히 폐쇄될 경우, 돌기부(13)는 차단부(9)에 의해 맞대어 인접되고, 위치는 차단부(9)의 캠 곡선(50)의 시작단이며, 이 때 제1 가동 블레이드(2)는 제1 리미트 장치(18)의 위치 제한을 받아 더 이상 스윙하지 못하게 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스윙 바(4)에 1개의 M5의 나사산 홀을 가공하고, 해당 나사산 홀에 탄성 소자 가압판 장치(61)를 장착한다. 탄성 소자 가압판 장치(61)는 탄성 소자 가압판 장착판(62), 가압 스프링 베이스(64), 원뿔형 샤프트(65)를 포함한다. 탄성 소자 가압판 장착판(62)은 90도로 절곡된 강판으로, 정면과 측면으로 구성되고, 정면에 1개의 원형 홀이 가공되고, 해당 원형 홀을 통해 제2 스윙 바(4)의 M5 나사산 홀에 장착되고, 탄성 소자 가압판 장착판(62)의 측면에는 직경이 5인 원형 홀이 가공되고, 가압 스프링 베이스(64)를 해당 원형 홀에 고속으로 리벳팅하며, 가압 스프링 베이스(64)는 원형 면으로, 원형 면이 탄성 소자 가압판 장착판(62)의 측면과 평행되고, 가압 스프링 베이스(64)에는 원뿔형 샤프트(65)가 구비되며, 원뿔형 샤프트의 축심이 가압 스프링 베이스(64)의 원심과 동심이고, 원뿔형 샤프트의 길이는 5mm이다. 탄성 소자 가압판 장착판(62)과 수평으로 대향되는 베인 베이스 측면에는 M5 나사산 홀이 가공되어, 베인 베이스 측면의 해당 나사산 홀에 M5의 나사를 장착하고, 나사의 길이는 12~16mm 이내일 수 있다. 도어가 완전히 폐쇄될 경우, 탄성 소자 가압판 장착판(62)의 측면과 베인 베이스(1) 측면의 각도를 조절하며, 10도로 설정할 수 있으며, 가압 스프링(63)의 일단을 전술한 M5의 나사에 씌우고, 타단을 원뿔형 샤프트에 씌움으로써, 제1 가동 블레이드(2)의 전체적인 최대 스윙 과정에서 가압 스프링(63)이 원뿔형 샤프트(65)와 M5 나사(60)에서 절대 이탈되지 않도록 보장된다. 제1 가동 블레이드(2)의 스윙 동작 과정에서, 탄성 소자 가압판의 가압 스프링 베이스(64)의 면은 항상 가압 스프링(63)과 접촉되어, 가압 스프링(63)이 변형되어 에너지를 축적 또는 방출하도록 한다. 가압 스프링(63)이 에너지를 방출할 경우, 제1 가동 블레이드(2)를 밀어 도어 개방 방향으로 스윙하도록 하고, 제1 가동 블레이드(2)가 도어 폐쇄 방향으로 스윙함으로써 가압 스프링(63)이 에너지를 축적하도록 한다.
카 도어 개폐기는 완전히 폐쇄되는 유지력을 구비하되, 완전히 폐쇄되는 유지력은 모터에 의해 제공될 수 있고, 기타 기계적 장치에 의해 제공될 수도 있다. 도어가 완전히 폐쇄될 경우, 제1 가동 블레이드(2)가 가압 스프링(63) 또는 기구의 중력에 의해 도어 개방 방향으로 밀어져도, 카 도어는 완전히 폐쇄되는 유지력에 의해, 제1 스윙 바 돌기부(13)가 차단부(9)의 하단에 의해 맞대어 인접됨으로써, 제1 가동 블레이드(2)가 도어 개방 방향으로 스윙하지 못하게 된다.
도 7-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 도어가 언로킹 구역에서 정상적으로 개방될 경우, 이 때 제1 가동 블레이드(2)와 제2 가동 블레이드(27) 사이에는 승강장 도어 언로킹 롤러(28)와 승강장 도어 연동 롤러(29)가 위치하게 되며, 일반적으로, 승강장 도어 언로킹 롤러(28)와 승강장 도어 연동 롤러(29)의 외경은 동일하고, 승강장 도어 언로킹 롤러(28)가 일정 거리의 언로킹 운행거리를 스윙한 후, 승강장 도어 언로킹 롤러는 스윙을 하지 못하게 되며, 이 때 승강장 도어 언로킹 롤러(28)와 승강장 도어 연동 롤러(29)의 중심이 하나의 수직선에 위치하게 된다. 카 도어가 개방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가동 블레이드(2)가 도어 개방 방향으로 스윙하게 되고, 카 도어의 개방과 함께, 제1 가동 블레이드(2)가 일정한 수평 거리(K)를 스윙한 후 승강장 도어 언로킹 롤러(28)와 접촉하게 되어 카 도어는 계속하여 열리게 된다. 제1 가동 블레이드(2)는 계속 스윙하여 승강장 도어 언로킹 롤러가 스윙할 수 없을 때까지 승강장 도어 언로킹 롤러(28)를 승강장 도어 로킹부 방향으로 스윙하도록 하며, 이 때 승강장 도어 언로킹 롤러(28)와 승강장 도어 연동 롤러(29)의 중심은 하나의 수직선에 위치하게 된다. 이 때 승강장 도어를 미는 가속도의 힘은 제1 가동 블레이드(2)의 구동력보다 훨씬 커야 된다. 제1 가동 블레이드(2)의 구동력은 제1 가동 블레이드(2)의 더블 스윙 바 기구의 중력일 수 있고, 가압 스프링(63)의 추진력일 수도 있다. 카 도어가 계속하여 열리게 되면, 제1 가동 블레이드(2)는 승강장 도어를 미는 가속도의 반력의 작용에 의해 구동력을 극복하고 도어 폐쇄 방향으로 스윙하게 된다. 카 도어가 계속하여 이동하게 되면, 제1 가동 블레이드(2)는 승강장 도어의 반대 방향의 추진력의 작용에 의해 스윙하게 되어, 제1 리미트 장치(18)와 접촉하게 되어 더 이상 스윙할 수 없게 된다. 이 때, 카 도어의 개방되는 운행거리를 S로 정의할 수 있으며, 이 때 승강장 도어를 미는 가속도의 힘은 제1 리미트 장치(18)에 의해 제공되고, 카 도어와 승강장 도어의 연동이 시작된다.
제2 가동 블레이드(27)는 카 도어가 개방된 후 제2 가동 블레이드 동작 구동 장치(35)의 작용에 의해 도어 폐쇄 방향으로 스윙하게 되고, 제2 가동 블레이드 동작 구동 장치(35)가 제2 가동 블레이드(27)를 카 도어 개방 후 도어 폐쇄 방향으로 스윙시키는 수평 변위(S2)는 S2=S1-D이다.
상술한 공식에서, S1은 도어가 완전히 폐쇄될 경우 제1 가동 블레이드(2)의 작업면에서 제2 가동 블레이드(27)의 작업면까지의 거리이고, D는 승강장 도어 언로킹 롤러(28) 및 승강장 도어 연동 롤러(29) 수평 방향의 외측 폭이고, 일반적인 종래의 기술에서 D는 승강장 도어 언로킹 롤러 또는 승강장 도어 연동 롤러의 외경이다.
실제 설계에 있어서, 전술한 설정에 의해, 카 도어가 완전히 폐쇄될 경우, 제1 가동 블레이드(2)의 작업면과 승강장 도어 로킹부 상부 롤러의 방접원의 수평 간격(P)은 9mm이다. 차단부(9)에 대한 설계, 제1 스윙 바(3)에 대한 설계, 제1 스윙 바(3)의 제1 회동 센터(36)와 제1 가동 블레이드(2)의 위치 관계, 제1 스윙 바(3)의 돌기부(13)와 제1 스윙 바 회동 센터(36)의 위치 관계, 차단부(9)와 제1 스윙 바 회동 센터(36)의 위치 관계에 의해, 카 도어가 언로킹 구역 또는 승강장 도어에 대한 언로킹 연동 과정은 다음과 같다:
카 도어의 운행거리가 4mm일 경우, 제1 가동 블레이드(2)의 수평 스윙 운행거리는 5mm이고, 제1 가동 블레이드(2)의 작업면은 승강장 도어 언로킹 롤러(28)의 방접원과 접촉하게 된다.
카 도어의 운행거리가 7mm일 경우, 제1 가동 블레이드(2)의 수평 스윙 운행거리는 9mm이고, 제1 가동 블레이드(2)는 승강장 도어 언로킹 롤러(28)의 방접원을 언로킹 운행거리의 최대 운행거리로 회동하게 하고, 이 때 승강장 도어 언로킹 롤러(28)와 승강장 도어 로킹부 하부 롤러(29)의 중심은 하나의 수직선에 위치하게 되고, 승강장 도어 로킹부 상부 롤러는 더 이상 회동할 수 없게 된다. 이 때 승강장 도어의 가속도의 힘의 반력은 제1 가동 블레이드 기구의 중력과 가압 스프링(63)의 추진력의 수평 방향에서의 힘의 총 합보다 크다. 카 도어가 계속하여 열리게 되면, 제1 가동 블레이드(2)는 반대 방향인 도어 폐쇄 방향으로의 스윙을 시작하게 된다.
카 도어의 운행거리가 16mm일 경우, 제1 가동 블레이드(2)가 도어 폐쇄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어 제1 리미트 장치(18)와 접촉하게 되고, 제1 가동 블레이드(2)의 초기 시와 비교된 수평 변위도 16mm이고, 그 다음 카 도어와 승강장 도어가 연동되어 개폐된다. 카 도어가 개방되는 과정에서, 제2 가동 블레이드(27)는 제2 가동 블레이드 동작 제어 장치(35)의 제어에 의해 계속 도어 폐쇄 방향으로 스윙하게 되고, 최종적으로 스윙 수평 운행거리는 S1-D이고, 승강장 도어 상부와 하부 롤러를 가압한다.
카가 언로킹 구역에 위치하고 긴급 구조가 필요할 경우, 삼각 열쇠로 승강장 도어를 개방하고, 승강장 도어가 개방되면, 승강장 도어 로킹부 하부 롤러(29)가 먼저 제2 가동 블레이드(27)와 접촉하게 되고, 제2 가동 블레이드(27)는 추진력을 받아 카 도어를 개방하게 되며, 카 도어가 개방되면, 제1 스윙 바(3)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어, 제1 가동 블레이드(2)가 도어 개방 방향으로 스윙하게 되며, 제1 가동 블레이드(2)가 승강장 도어 연동 롤러(29)와 접촉할 때까지 스윙할 때, 제1 가동 블레이드(2)가 도어 개방 방향으로 스윙하는 수평 운행거리 량(S4)은 S4=S1-D이다.
상술한 공식에서, S1은 도어가 완전히 폐쇄될 경우 제1 가동 블레이드(2)의 작업면에서 제2 가동 블레이드(27)의 작업면까지의 거리이고, 여기서 72mm로 정하며, D는 승강장 도어 언로킹 롤러 및 승강장 도어 연동 롤러 수평 방향의 외측 폭이고, D는 승강장 도어 언로킹 롤러 또는 승강장 도어 연동 롤러의 외경으로, 여기서 46mm로 정한다.
카 도어가 언로킹 구역에 위치할 경우, 카 도어는 승강장 도어와 연동되고, 도어가 폐쇄되어 이동될 경우, 제2 가동 블레이드(27)는 제2 가동 블레이드 동작 구동 장치(35)의 제어에 의해 도어 개방 방향으로 스윙하게 되어 승강장 도어 연동 롤러에 대한 추진력을 방출하게 된다.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 일반적으로는 카 도어 폐쇄되기 전 약 90mm일 경우, 제2 가동 블레이드(27)가 승강장 도어 연동 롤러에 대한 추진력을 방출하게 되며, 승강장 도어는 강제적인 도어 폐쇄력과 초기 운동 에너지의 작용에 의해 폐쇄된다. 다음으로 도어의 폐쇄에는 아래의 2 종류의 상황이 발생하게 된다:
첫번째 상황으로는, 승강장 도어 폐쇄 속도가 항상 카 도어의 폐쇄 속도보다 크거나 또는 동일할 경우, 승강장 도어의 언로킹 롤러(28)는 최종적으로 제1 가동 블레이드(2)와 접촉하게 되어 제1 가동 블레이드(2)에 대해 추진력을 인가하게 되고, 제1 가동 블레이드(2)가 제1 리미트 장치(18)에 의해 위치가 제한될 경우, 승강장 도어와 카 도어의 속도는 일치하게 된다. 이 때, 언로킹 롤러는 승강장 도어가 폐쇄될 때까지 항상 언로킹 상태이며, 카 도어 개폐기의 제1 가동 블레이드(2)는 언로킹 롤러(28)와 이격되고, 승강장 도어 언로킹 롤러는 자체의 스프링력과 중력의 작용에 의해 로킹 방향으로 회동하여 최종적으로 승강장 도어를 로킹하게 된다.
두번째 상황으로는, 승강장 도어 폐쇄 속도가 카 도어 폐쇄 속도보다 작을 경우, 이때 승강장 도어 언로킹 롤러는 제1 가동 블레이드(2)와 이격되는 추세가 있으며, 이 때 제1 가동 블레이드(2)가 더블 스윙 바 기구의 중력 또는 가압 스프링(63)의 작용에 의해 도어 개방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고, 가압 스프링(63)에 의해 발생한 제1 가동 블레이드(2)의 도어 개방 방향에서의 수평 추진력은 승강장 도어 언로킹 롤러(28)가 로킹 방향으로 회동하여 발생한 수평력보다 크다. 승강장 도어 언로킹 롤러(28)는 제1 가동 블레이드(2)의 추진력에 의해 로킹 방향으로 회동할 수 없게 된다. 제1 스윙 바(3)의 돌기부(13)가 차단부(9)와 접촉할 때까지 제1 스윙 바(3)는 차단부(9)의 반대 방향의 추진력에 의해 제1 가동 블레이드(2)를 도어 폐쇄 방향으로 회동시키고, 이 때 승강장 도어 언로킹 롤러(28)는 로킹 방향으로의 회동을 시작하게 된다.
상기 카 도어의 개방이 승강장 도어와 연동되는 순간, 카 도어의 운행거리는 S=P+S5=16mm이다.
P는 카 도어가 완전히 폐쇄될 경우, 제1 가동 블레이드(2)와 승강장 도어 언로킹 롤러의 수평 방향 간격으로 9mm이다.
S5는 승강장 도어 언로킹 롤러가 언로킹되는 수평 변위로 7mm이다.
카 도어가 폐쇄될 경우, 제1 스윙 바(3)의 돌기부(13)가 차단부(9)와 접촉하게 되면, 카 도어가 카 도어의 완전히 폐쇄되는 위치와 이격되어 남은 카 도어의 운행거리는 S보다 작거나 동일하며, 이는 다음의 설계에 의해 얻게 된다:
(1) 차단부(9)의 캠 라인 외형 및 차단부(9)와 제1 스윙 바(3)의 위치 관계.
(2) 제1 스윙 바(3) 자체의 레버 비와 돌기부(13)의 외경. 레버 비는 돌기부(13) 센터에서 회동 센터까지의 거리와 제1 가동 블레이드(2)의 힌지 결합점에서 회동 센터까지의 거리의 비이다.
(3) 제2 가동 블레이드(2)가 스윙하는 수평 운행거리와 카 도어 운행거리의 관계.
본 안은 상술한 설계에 의해, 승강장 도어 로킹부의 언로킹 상태를 제어함으로써, 카 도어의 개방 운행거리(S) 또는 폐쇄 운행거리(S)를 유지할 경우, 승강장 도어 로킹부가 언로킹 상태가 되어, 승강장 도어 로킹부의 후크가 너무 빠르게 떨어져 승강장 도어 로킹부의 고정 후크와 너무 일찍 충돌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카 도어 개폐 장치는 컨트롤러(133), 도어 모터(132), 도어 위치 도달 스위치(134), 도어 위치 도달 스위치 트리거(135), 위치 스위치(136), 위치 스위치 트리거(144), 도어 스위치 타이밍 벨트(12), 타이밍 벨트 폴리(137), 타이밍 벨트 텐션 장치(143), 구동측 벨트 행거 암, 구동측 도어 행거 플레이트(32), 종동측 벨트 행거 암(34), 종동측 도어 행거 플레이트(33), 도어 가이드 레일(125), 도어 개방 리미트 장치(138), 도어 폐쇄 리미트 장치(139)를 더 포함하며; 도어 개폐 구동 부재, 도어 가이드 레일(125), 타이밍 벨트 폴리(137), 타이밍 벨트 텐션 장치(143)는 도어 개폐 빔(131)에 설치되고, 타이밍 벨트(12)는 모터 출력 벨트 폴리와 타단에 위치하는 타이밍 벨트 폴리(137)의 폴리 홈 내에 감겨져 있고, 타이밍 벨트 텐션 장치(143)에 의해 견인되며; 도어 센터의 좌우 양단에서 타이밍 벨트(12)의 상하 위치에는 각각 구동측 벨트 행거 암과 종동측 벨트 행거 암(34)이 설치되되, 구동측 벨트 행거 암과 종동측 벨트 행거 암(34)의 이동 방향이 반대가 되도록 하며; 구동측 벨트 행거 암은 구동측 도어 행거 플레이트(32)의 상부와 연결되고, 종동측 벨트 행거 암(34)은 종동측 도어 행거 플레이트(33)의 상부에 연결되고, 구동측 도어 행거 플레이트(32)와 종동측 도어 행거 플레이트(33)의 폴리는 도어 가이드 레일(125)에서 롤링하며; 도어 개폐 빔(131)의 각 도어 위치 도달 위치에는 도어 위치 도달 스위치(134)가 설치되고, 각 도어에는 도어 위치 도달 스위치 트리거(144)가 설치되며; 컨트롤러(133)는 모터(132)를 제어하여, 모터(132) 출력 벨트 폴리가 회동하도록 하고, 구동측 도어 행거 플레이트(32)와 종동측 도어 행거 플레이트(33)는 타이밍 벨트(12)의 전달에 의해 도어의 개폐를 수행하며; 도어 위치 도달 스위치(134)는 안전 회로와 접속하여 카가 폐쇄 위치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위치 스위치(136)는 도어 제어 회로와 접속한다.
1: 베인 베이스
2: 제1 가동 블레이드
3: 제1 스윙 바
4: 제2 스윙 바
6: 제1 스윙 바용 샤프트
7: 제2 스윙 바용 샤프트
9: 차단부
12: 도어 개폐 타이밍 벨트
13: 돌기부
14: 롤러용 샤프트
18: 제1 리미트 장치
23: 제3 스윙 바용 샤프트
24: 제4 스윙 바용 샤프트
25: 제3 스윙 바
26: 제4 스윙 바
27: 제2 가동 블레이드
28: 승강장 도어 언로킹 롤러
29: 승강장 도어 연동 롤러
30: 구동측 카 도어
32: 구동측 도어 행거 플레이트
33: 종동측 도어 행거 플레이트
34: 종동측 벨트 행거 암
35: 제2 가동 블레이드 동작 제어 장치
36: 제1 스윙 바 회동 센터
39: 제2 스윙 바 제2 끝단 연결 포인트
48: 차단부 절곡면
50: 차단부 캠 라인
51: 차단부 장착면
53: 제1 스윙 바의 제1 끝단 연결 포인트
54: 제2 스윙 바의 제1 끝단 연결 포인트
57: 제1 스윙 바의 제2 끝단
60: 볼트(탄성 소자 가이드 장치)
61: 탄성 소자 가압판 장치
62: 탄성 소자 가압판 장착판
63: 가압 스프링(탄성 소자)
64: 가압 스프링 베이스
65: 원뿔형 샤프트
125: 도어 가이드 레일
131: 도어 개폐 빔
132: 도어 모터
133: 컨트롤러
134: 도어 위치 도달 스위치
135: 도어 위치 도달 스위치 트리거
136: 위치 스위치
137: 타이밍 벨트 폴리
138: 도어 개방 리미트 장치
139: 도어 폐쇄 리미트 장치
143: 타이밍 벨트 텐션 장치
144: 위치 스위치 트리거

Claims (16)

  1.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 빔(131), 베인 어셈블리와 베인 베이스(1)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카 도어 개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베인 베이스(1)는 구동측 카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베인 어셈블리는,
    연결부재에 의해 상기 베인 베이스(1)에 가동 연결되는 제1 가동 블레이드(2);
    연결부재에 의해 상기 베인 베이스(1)에 가동 연결되며, 제1 가동 블레이드와 함께 승강장 도어 언로킹 롤러를 클램핑 또는 언클램핑 하고, 승강장 도어가 연동되어 이동하도록 하는 제2 가동 블레이드(27);
    제1 가동 블레이드(2)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1 가동 블레이드(2)를 구동시켜 제2 가동 블레이드(27)와 인접하는 방향으로 스윙하도록 하는 제1 가동 블레이드 구동 장치;
    제1 가동 블레이드 구동 장치에 설치되는 돌기부(13); 및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 빔의 정지 부재에 고정 설치되는 차단부(9)를 포함하며,
    카 도어가 개방될 경우, 상기 차단부(9)가 상기 돌기부(13)와 서로 맞물려 제1 가동 블레이드(2)의 스윙 범위와 스윙 속도를 제한하고, 카 도어가 폐쇄될 경우 상기 차단부(9)가 상기 돌기부(13)와 서로 맞물려 제1 가동 블레이드(2)가 제2 가동 블레이드(27)와 이격되는 방향으로 스윙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카 도어 개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동 블레이드 구동 장치는 제1 스윙 바(3)와 제2 스윙 바(4)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스윙 바(3)는,
    상기 베인 베이스(1)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동 센터(36);
    제1 가동 블레이드 상부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끝단 연결 포인트(53);
    상기 돌기부(13)가 설치되는 제2 끝단(57)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스윙 바(4)는,
    제1 가동 블레이드 하부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끝단 연결 포인트(54);
    상기 베인 베이스(1)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끝단 연결 포인트(39)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스윙 바의 제1 끝단 연결 포인트와 제2 스윙 바의 제2 끝단 연결 포인트의 연결선은 항상 수직을 유지하고, 상기 제1 스윙 바의 회동 센터(36)와 제2 끝단 연결 포인트의 연결선은 항상 수직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카 도어 개폐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인 베이스(1)에는 제1 가동 블레이드(2)가 카 도어 폐쇄 방향으로 이동하는 거리를 제한하는 제1 리미트 장치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카 도어 개폐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동 블레이드 구동 장치는 자체 중력에 의해 제1 가동 블레이드를 구동시켜 제2 가동 블레이드와 인접하는 방향으로 스윙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카 도어 개폐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윙 바에는 탄성 소자 가압판 장치(61)가 설치되고, 상기 베인 베이스(1)에는 탄성 소자 가이드 장치가 설치되되, 상기 탄성 소자 가이드 장치는 탄성 소자의 일단과 씌움 결합되고, 상기 탄성 소자의 타단은 탄성 소자 가압판 장치(61)와 씌움 결합되며,
    상기 탄성 소자는 탄성 소자 가압판 장치(61)를 통해 제1 가동 블레이드(2)로 압력을 인가하여 제1 가동 블레이드(2)가 제2 가동 블레이드(27)와 인접하는 방향으로 스윙하도록 제1 가동 블레이드(2)를 밀어주고,
    상기 탄성 소자 가이드 장치는 탄성 소자 가압판 장치와 서로 맞물려 제1 가동 블레이드(2)가 전체적인 스윙 과정에서 항상 상기 탄성 소자 가이드 장치 및 탄성 소자 가압판 장치(61) 사이에 씌움 결합되도록 보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카 도어 개폐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13)가 롤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카 도어 개폐 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13)가 고정 샤프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카 도어 개폐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9)는 캠으로, 카 도어가 완전히 폐쇄되면, 롤러가 캠에 의해 캠 곡선의 시작단과 맞대어 인접되고; 카 도어가 개방될 경우 제1 스윙 바가 회동하고, 상기 캠의 캠 곡선이 상기 롤러와 접촉하여, 상기 롤러가 캠 곡선에 의해 회동 속도가 제어되며; 제1 스윙 바의 회동이 끝나게 되면, 상기 롤러는 캠과 멀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카 도어 개폐 장치.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미트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리미트 스크류로, 상기 리미트 스크류와 베인의 접촉면에 고무로 감싸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카 도어 개폐 장치.
  1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소자 가압판 장치(61)는 제2 스윙 바(4)에 고정 연결되는 탄성 소자 가압판 장착판(62), 가압판 장착판(62)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가압 스프링 베이스(64), 가압판 장착판(62)에 설치되는 원뿔형 샤프트(65)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소자 가이드 장치는 나사(60)로, 베인 베이스(1)에 고정 연결되고;
    상기 탄성 소자는 가압 스프링(63)으로, 일단에 상기 나사(60)가 삽입되고, 타단이 원뿔형 샤프트(65)에 씌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카 도어 개폐 장치.
  11. 제 4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도어가 개방될 경우, 상기 돌기부(13)가 제1 가동 블레이드 구동 장치의 회동 과정에서 발생하는 수평 변위 방향이 도어가 닫히는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카 도어 개폐 장치.
  12. 제 4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인 어셈블리는 제2 가동 블레이드(27)의 스윙을 구동하는 제2 가동 블레이드 동작 제어 장치(35)를 더 포함하며, 카 도어가 언로킹 구역에서 정상적으로 개방될 경우, 상기 제2 가동 블레이드(27)가 카 도어 개방 후 폐쇄 방향으로 스윙하는 수평 변위는 다음의 공식에 의해 얻어지며,
    S2=S1-D;
    식에서, S2는 제2 가동 블레이드(27)가 카 도어 개방 후 폐쇄 방향으로 스윙하는 수평 변위이고, S1은 도어가 완전히 폐쇄될 경우 제1 가동 블레이드(2) 작업면에서 제2 가동 블레이드(27) 작업면까지의 거리이고, D는 승강장 도어 로킹 롤러 및 승강장 도어 연동 롤러 수평 방향의 외측 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카 도어 개폐 장치.
  13. 제 4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인 어셈블리는 제2 가동 블레이드(27)의 스윙을 구동하는 제2 가동 블레이드 동작 제어 장치(35)를 더 포함하며, 카가 언로킹 구역에서 긴급 구조된 후 승강장 도어가 개방되면, 승강장 도어 로킹부 하부 롤러(29)가 먼저 제2 가동 블레이드(27)와 접촉하게 되고, 제2 가동 블레이드(27)가 추진력을 받아 카 도어를 개방하게 되며, 제1 스윙 바(3)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동하여, 제1 가동 블레이드(2)가 도어 개방 방향으로 스윙하게 되며, 제1 가동 블레이드(2)가 승강장 도어 연동 롤러(29)와 접촉할 때까지 스윙할 경우, 제1 가동 블레이드(2)가 도어 개방 방향으로 스윙하는 수평 운행거리 량이
    S4=S1-D이며;
    상기 공식에서, S4는 제1 가동 블레이드(2)가 도어 개방 방향으로 스윙하는 수평 운행거리 량이고, S1은 도어가 완전히 폐쇄될 경우 제1 가동 블레이드(2) 작업면에서 제2 가동 블레이드(27) 작업면까지의 거리이고, D는 승강장 도어 언로킹 롤러 및 승강장 도어 연동 롤러 수평 방향의 외측 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카 도어 개폐 장치.
  14. 제 4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카 도어 개폐 장치는 컨트롤러(133), 모터(132), 도어 위치 도달 스위치(134), 도어 위치 도달 스위치 트리거(135), 위치 스위치(136), 위치 스위치 트리거(144), 도어 스위치 타이밍 벨트(12), 타이밍 벨트 폴리(137), 타이밍 벨트 텐션 장치(143), 구동측 벨트 행거 암, 구동측 도어 행거 플레이트(32), 종동측 벨트 행거 암(34), 종동측 도어 행거 플레이트(33), 도어 가이드 레일(125), 도어 개방 리미트 장치(138), 도어 폐쇄 리미트 장치(139)를 더 포함하며;
    도어 개폐 구동 부재, 도어 가이드 레일(125), 타이밍 벨트 폴리(137), 타이밍 벨트 텐션 장치(143)는 도어 개폐 빔(131)에 설치되고, 타이밍 벨트(12)는 모터 출력 벨트 폴리와 타단에 위치하는 타이밍 벨트 폴리(137)의 폴리 홈 내에 감겨져 있고, 타이밍 벨트 텐션 장치(143)에 의해 견인되며;
    도어 센터의 좌우 양단에서 타이밍 벨트(12)의 상하 위치에는 각각 구동측 벨트 행거 암과 종동측 벨트 행거 암(34)이 설치되되, 구동측 벨트 행거 암과 종동측 벨트 행거 암(34)의 이동 방향이 반대가 되도록 하며;
    구동측 벨트 행거 암은 구동측 도어 행거 플레이트(32)의 상부와 연결되고, 종동측 벨트 행거 암(34)은 종동측 도어 행거 플레이트(33)의 상부에 연결되며, 구동측 도어 행거 플레이트(32)와 종동측 도어 행거 플레이트(33)의 폴리는 도어 가이드 레일(125)에서 롤링하고; 도어 개폐 빔(131)의 각 도어 위치 도달 위치에는 도어 위치 도달 스위치(134)가 설치되고, 각 도어에는 도어 위치 도달 스위치 트리거(144)가 설치되며;
    컨트롤러(133)는 모터(132)를 제어하여, 모터(132) 출력 벨트 폴리가 회동하도록 하고, 구동측 도어 행거 플레이트(32)와 종동측 도어 행거 플레이트(33)는 타이밍 벨트(12)의 전달에 의해 도어의 개폐를 수행하며;
    도어 위치 도달 스위치(134)는 안전 회로와 접속하여 카가 폐쇄 위치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위치 스위치(136)는 도어 제어 회로와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카 도어 개폐 장치.
  15. 제 4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카 도어가 승강장 도어와 연동되고 카 도어가 폐쇄되어 이동될 경우, 제2 가동 블레이드(27)는 제2 가동 블레이드 동작 구동 장치(35)의 제어에 의해 도어 개방 방향으로 스윙되어 승강장 도어 연동 롤러에 대한 추진력을 방출하고;
    승강장 도어는 강제적인 도어 폐쇄력과 초기 운동 에너지의 작용에 의해 폐쇄되며, 승강장 도어 폐쇄 속도가 카 도어의 폐쇄 속도보다 크거나 또는 동일할 경우, 승강장 도어의 언로킹 롤러(28)는 최종적으로 제1 가동 블레이드(2)와 접촉하여 제1 가동 블레이드(2)에 대해 추진력을 인가하게 되고, 제1 가동 블레이드(2)가 제1 리미트 장치(18)에 의해 위치가 제한될 경우, 승강장 도어와 카 도어의 속도는 일치하게 되며, 이 때 언로킹 롤러는 승강장 도어가 폐쇄될 때까지 항상 언로킹 상태이며, 그후에 카 도어 개폐기의 제1 가동 블레이드(2)는 언로킹 롤러(28)와 이격되고, 승강장 도어 언로킹 롤러는 자체의 스프링력과 중력의 작용에 의해 로킹 방향으로 회동하여 최종적으로 승강장 도어를 로킹하고;
    카 도어가 폐쇄될 경우, 상기 제1 가동 블레이드(2)와 제2 가동 블레이드(27)가 승강장 도어 롤러를 클램핑하여 승강장 도어와 카 도어가 연동된 후, 승강장 도어 속도가 카 도어 속도보다 작을 경우, 상기 제1 가동 블레이드 구동 장치가 제1 가동 블레이드(2)를 구동시켜 도어 개방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되, 상기 제1 가동 블레이드 구동 장치의 구동력은 승강장 도어 언로킹 롤러의 로킹 방향으로의 회동을 방지하도록 승강장 언로킹 롤러가 로킹 방향으로 회동하는 수평력보다 크며, 상기 차단부(9)와 돌기부(13)가 서로 접촉하게 되면, 상기 제1 가동 블레이드 구동 장치는 차단부(9)의 작용에 의해 제1 가동 블레이드(2)를 구동시켜 도어 폐쇄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승강장 도어 언로킹 롤러가 로킹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카 도어 개폐 장치.
  16. 제 4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 도어의 개방과 승강장 도어의 연동 순간, 카 도어의 운행거리는 S=P+S5이며;
    식에서 S는 카 도어의 운행거리이고, P는 카 도어가 완전히 폐쇄될 경우, 제1 가동 블레이드(2)와 승강장 도어 언로킹 롤러의 수평 방향 간격이고, S5는 승강장 언로킹 롤러가 언로킹되는 수평 운행거리이고;
    카 도어가 폐쇄될 경우, 제1 스윙 바(3)의 롤러(13)가 캠(9)과 접촉하게 되면, 카 도어가 카 도어의 완전히 폐쇄되는 위치와 이격되어 남은 카 도어의 운행거리는 상기 카 도어의 운행거리(S)보다 작거나 동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카 도어 개폐 장치.
KR1020207000094A 2017-10-27 2018-08-03 엘리베이터 카 도어 개폐 장치 KR1023210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711029437.8A CN109720972B (zh) 2017-10-27 2017-10-27 电梯轿厢门机装置
CN201711029437.8 2017-10-27
PCT/CN2018/098652 WO2019080583A1 (zh) 2017-10-27 2018-08-03 电梯轿厢门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6329A true KR20200016329A (ko) 2020-02-14
KR102321041B1 KR102321041B1 (ko) 2021-11-04

Family

ID=66246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0094A KR102321041B1 (ko) 2017-10-27 2018-08-03 엘리베이터 카 도어 개폐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3659957B1 (ko)
JP (1) JP7027533B2 (ko)
KR (1) KR102321041B1 (ko)
CN (1) CN109720972B (ko)
WO (1) WO201908058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60126B (zh) * 2021-09-28 2023-10-31 苏州富士精工电梯有限公司 一种伞形原理圆形门机
DE102021134388A1 (de) 2021-12-22 2023-06-22 Meiller Aufzugtüren GmbH Mitnehmersystem
CN114608858B (zh) * 2022-05-12 2022-08-12 天津市特种设备监督检验技术研究院(天津市特种设备事故应急调查处理中心) 一种电梯门强度检验设备
CN116081436B (zh) * 2023-04-07 2023-06-16 沈阳华彩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弧形门机锁紧拖动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763496A1 (en) * 1995-09-13 1997-03-19 Kone Oy Procedure for closing an elevator landing door, and a door coupler
WO2015008386A1 (ja) * 2013-07-19 2015-01-22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かごドアロック装置
US20170217732A1 (en) * 2014-10-15 2017-08-03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Elevator car door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310283A (ja) * 1989-05-26 1990-12-26 Mitsubishi Electric Corp 1枚戸上開き式のダムウエーター
JP4879477B2 (ja) * 2003-12-08 2012-02-22 インベンテイオ・アクテイエンゲゼルシヤフト エレベータドア駆動装置
CN100503412C (zh) * 2003-12-18 2009-06-24 上海三菱电梯有限公司 电梯轿厢门锁装置
JP4516986B2 (ja) * 2004-03-22 2010-08-04 オーチス エレベータ カンパニー エレベータのかごドア及び乗り場ドア用の連結装置
JP4544887B2 (ja) * 2004-03-26 2010-09-15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用ドア装置
CN100572251C (zh) * 2006-07-17 2009-12-23 上海三菱电梯有限公司 电梯轿厢门机装置
CN101081677B (zh) * 2007-04-17 2010-12-29 宁波申菱电梯配件有限公司 电梯轿厢门锁装置
JP5448306B2 (ja) 2007-06-06 2014-03-19 日本オーチス・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かご側ドア施錠装置
JP2009166956A (ja) 2008-01-16 2009-07-30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WO2011043378A1 (ja) 2009-10-09 2011-04-14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ドア係合装置
CN102107812B (zh) * 2009-12-24 2013-04-03 上海三菱电梯有限公司 电梯门锁
JP2013018559A (ja) * 2011-07-07 2013-01-31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JP2013119476A (ja) 2011-12-08 2013-06-17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ドア装置
CN103387173B (zh) * 2012-05-09 2015-08-19 上海三菱电梯有限公司 电梯轿厢门锁装置
CN104418218B (zh) * 2013-08-27 2016-06-15 上海三菱电梯有限公司 电梯层门装置
CN104773636B (zh) * 2014-01-15 2016-06-15 上海三菱电梯有限公司 带轿门锁的异步门刀、电梯门机及轿门系统
CN104773637B (zh) * 2014-01-15 2016-06-15 上海三菱电梯有限公司 带轿门锁的异步门刀、电梯门机及轿门系统
CN104773638B (zh) * 2014-01-15 2016-06-22 上海三菱电梯有限公司 带轿门锁的异步门刀、电梯门机及轿门系统
DE202014102533U1 (de) * 2014-05-13 2015-08-20 Wittur Holding Gmbh Türkuppler mit einer ihre flexible Positionierung ermöglichenden Betätigung
CN204434039U (zh) * 2015-01-12 2015-07-01 三菱电机上海机电电梯有限公司 电梯的同步门刀机构
CN204958087U (zh) * 2015-09-14 2016-01-13 宁波欣达电梯配件厂 电梯防扒门装置
CN205312842U (zh) * 2015-12-09 2016-06-15 上海三菱电梯有限公司 转动触发式层门门锁锁芯装置及电梯层门解锁及警示装置
CN106744214B (zh) * 2017-03-29 2019-09-13 日立电梯(中国)有限公司 一种带开启保护功能的层门
CN107150942B (zh) * 2017-06-26 2023-03-31 上海贝思特门机有限公司 双锁式防扒轿门锁门刀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763496A1 (en) * 1995-09-13 1997-03-19 Kone Oy Procedure for closing an elevator landing door, and a door coupler
WO2015008386A1 (ja) * 2013-07-19 2015-01-22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かごドアロック装置
US20170217732A1 (en) * 2014-10-15 2017-08-03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Elevator car door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59957B1 (en) 2023-11-15
CN109720972A (zh) 2019-05-07
CN109720972B (zh) 2020-05-01
KR102321041B1 (ko) 2021-11-04
JP2020533251A (ja) 2020-11-19
JP7027533B2 (ja) 2022-03-01
WO2019080583A1 (zh) 2019-05-02
EP3659957A1 (en) 2020-06-03
EP3659957A4 (en) 2021-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1044B1 (ko) 카 도어 로킹부를 구비하는 엘리베이터 카 도어 개폐 장치
KR102321041B1 (ko) 엘리베이터 카 도어 개폐 장치
RU2373133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иведения в действие и блокировки дверей лифта
JP5026743B2 (ja) プログレッシブ安全装置
KR920004311B1 (ko) 빗장기구를 갖는 승강기문 구동장치
KR20050105440A (ko) 차량용 피벗팅 슬라이딩 도어
JPH0462284A (ja) スライドドアの自動開閉装置
JP2020533251A5 (ko)
KR102058734B1 (ko) 스크류 구동제어 시스템
US20030106458A1 (en) Side sliding door apparatus for electric railcar
KR101865413B1 (ko) 엘리베이터 카도어 개폐 장치
KR200482807Y1 (ko) 카도어 잠금장치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클러치
JP4354175B2 (ja) プラットホーム用ステップ装置
KR100622340B1 (ko) 측면 개폐식 엘리베이터 개폐장치
KR20020093527A (ko) 엘리베이터의 카 도어 록킹장치
KR100420041B1 (ko) 엘리베이터의 도어 잠금장치
EP0165443B1 (de) Türantrieb mit Einklemmsicherung für Türen von Aufzugskabinen
JPH0611341Y2 (ja) 扉開閉機構
US3910384A (en) Power operator for elevator shaft doors
US20230271810A1 (en) Elevator Car Door Control System
JP2507651Y2 (ja) 斜行エレベ―タのドア係合装置
EA043934B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иведения в действие и запирания двери кабины лифта
JPH0617978Y2 (ja) 車両用戸閉機械の両開き機構
JPH0237548Y2 (ko)
EP4323300A1 (en) Device for actuating elevator do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