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2340B1 - 측면 개폐식 엘리베이터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측면 개폐식 엘리베이터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2340B1
KR100622340B1 KR1020060033389A KR20060033389A KR100622340B1 KR 100622340 B1 KR100622340 B1 KR 100622340B1 KR 1020060033389 A KR1020060033389 A KR 1020060033389A KR 20060033389 A KR20060033389 A KR 20060033389A KR 100622340 B1 KR100622340 B1 KR 1006223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oupled
opening
elevator
v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33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정후
Original Assignee
(주)극동엘리베이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극동엘리베이터 filed Critical (주)극동엘리베이터
Priority to KR10200600333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23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23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23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06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 B66B13/08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guided for horizontal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Landscapes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측면 개폐식 엘리베이터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제1 도어가 이동할 수 있는 제1 가이드를 상측에 형성하고, 제2 도어가 이동할 수 있는 제2 가이드를 전면에 형성한 레일과 상기 레일의 일측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된 제1 아암과 상기 제1 아암의 일측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된 제2 아암과, 상기 제2 아암과 고정결합되되, 제2 도어가 0.5 ~ 1㎝ 가량 개방되어 질 때에 가변베인을 고정베인 방향으로 최대한 이동시킬 수 있는 형상의 캠을 형성한 크랭크부와 상기 제1 도어에 결합되며, 크랭크부의 캠과 결합되는 플레이트의 일측으로 고정베인을 형성하고, 상기 캠에 의해 좌, 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가변베인을 형성하며, 일측은 플레이트와 결합되고 타측은 가변베인과 결합되는 회전부재로 이루어진 베인부와 상기 제1 도어 상측의 제1 접점과 대응되는 제1 릴레이부와 제2 도어에 형성된 제2 접점과 대응되는 제2 릴레이부를 형성한 접점부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측면개폐식 엘리베이터 개폐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측면 개폐식 엘리이터 개폐장치는 간단한 기구학적인 원리를 이용하여 엘리베이터 도어의 개폐를 이룸으로써, 고장의 발생시 유관으로 고장부위를 쉽게 식별할 수 있어 수리를 단시간에 할 수 있으며, 또한 수리시 발생될 수 있는 상, 하측으로 이동되는 이동수단의 접점을 제1, 2 도어가 완전히 닫혀야만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어부의 오작동으로 인해 발생되는 작업자의 인명피해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개폐장치, 측면 개폐식 엘리베이터

Description

측면 개폐식 엘리베이터 개폐장치{APPARTUS FOR OPENING AND CLOSIND SIDE OPEN-TYPE ELEVATOR DOOR }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측면 개폐식 엘리베이터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일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크랭크부와 베인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크랭크부와 베인부의 작동을 나타낸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주요부호 설명*
1 : 모터 2 : 벨트
3 : 전동풀리 4 : 제1 체인기어
5 : 제2 체인기어 6 : 체인벨트
7 : 행거 플레이트 10 : 제1 도어
20 : 제2 도어 30 : 레일
31 : 제1 가이드 32 : 제2 가이드
40 : 크랭크부 41 : 제1 아암
42 : 제2 아암 43 : 캠
50 : 베인부 51 : 플레이트
52 : 고정베인 53 : 가변베인
54 : 회전부재 60 : 접점부
61 : 제1 접점 61a : 제1 릴레이부
62 : 제2 접점 62a : 제2 릴레이부
100 : 측면 개폐식 엘리베이터 개폐장치
본 발명은 측면 개폐식 엘리베이터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엘리베이터의 개폐장치가 고장이 발생하였을 경우 유관으로 손쉽게 식별하여 고장이 발생한 개폐장치를 단시간에 수리할 수 있으면서, 수리시 발생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낙하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측면 개폐식 엘리베이터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는 도어가 개방되는 방식에 의해 양쪽으로 열리는 중앙개폐식과 한쪽으로 열리는 측면 개폐식, 그리고 위로 열리는 상승 개폐식이 있으며, 이중 화물용 엘리베이터의 도어 개폐방식으로는 측면 개폐식과 상승 개폐식이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측면 개폐식의 개폐장치를 살펴보면, 양쪽 개폐식의 기계식보다는 유압으로 작동되는 유압식을 많이 사용한다.
하지만 이러한 유압식으로 이루어진 개폐장치는 고장이 발생하였을 경우, 그 수리가 늦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측면개폐식의 경우 화물용과 같은 중량이 무겁거나, 부피가 큰 화물류를 운반하여 사용하는데, 상기에서와 같이 수리가 늦어질 경우 막대한 손실을 입히는 문제점이 지적되어 왔다.
본 발명은 간단한 기구학적인 원리를 이용하여 엘리베이터 도어의 개폐를 이룸으로써, 고장의 발생시 유관으로 고장부위를 쉽게 식별할 수 있어 수리를 단시간에 할 수 있으며, 또한 수리시 발생될 수 있는 상, 하측으로 이동되는 이동수단의 접점을 제1, 2 도어가 완전히 닫혀야만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어부의 오작동으로 인해 발생되는 작업자의 인명피해를 줄일 수 있는 측면 개폐식 엘리베이터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측면 개폐식 엘리베이터 개폐장치는 제1 도어가 이동할 수 있는 제1 가이드를 상측에 형성하고, 제2 도어가 이동할 수 있는 제2 가이드를 전면에 형성한 레일과 상기 레일의 일측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된 제1 아암과 상기 제1 아암의 일측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된 제2 아암과, 상기 제2 아암과 고정결합되되, 제2 도어가 0.5 ~ 1㎝ 가량 개방되어 질 때에 가변베인을 고정베인 방향으로 최대한 이동시킬 수 있는 형상의 캠을 형성한 크랭크부와 상기 제1 도어에 결합되며, 크랭크부의 캠과 결합되는 플레이트의 일측으로 고정베인을 형성하고, 상기 캠에 의해 좌, 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가변베인을 형성하며, 일측은 플레이트와 결합되고 타측은 가변베인과 결합되는 회전부재로 이루어진 베인부와 상기 제1 도어 상측의 제1 접점과 대응되는 제1 릴레이부와 제2 도어에 형성된 제2 접점과 대응되는 제2 릴레이부를 형성한 접점부를 그 구성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측면개폐식 엘리베이터 개폐장치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측면 개폐식 엘리베이터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일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크랭크부와 베인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크랭크부와 베인부의 작동을 나타낸 상태도이다.
모터(1)의 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벨트(2)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는 전동풀리(3)가 형성되고, 상기 전동풀리(3) 일측으로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제1 체인기어(4)와 제2 체인기어(5)와 체인벨트(6)를 형성하며, 상기 체인벨트(6)에 고정결합되는 행거 플레이트(7)와 상기 행거 플레이트(7)에 의해 좌, 우측으로 이동되는 제2 도어(20)와 상기 모터(1)의 동력을 전달받아 이동하는 제1 도어(10)는 종래의 구성과 동일하다.
다만, 제1, 2 도어(10)(20)를 이동시키기 위한 레일(30)은 상기 제1 도어(10)가 이동할 수 있는 제1 가이드(31)를 상측에 형성하고, 제2 도어(20)가 이동 할 수 있는 제2 가이드(32)를 전면에 형성하고 있다.
또한 크랭크부(40)는 상기 레일(30)의 일측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된 제1 아암(41)과 상기 제1 아암(41)의 일측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된 제2 아암(42)과, 상기 제2 아암(42)과 고정결합되는 캠(43)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베인부(50)는 제1 도어(10)에 결합되며, 크랭크부(40)의 캠(43)과 결합되는 플레이트(51)의 일측으로 고정베인(52)을 형성하고, 상기 캠(43)에 의해 좌, 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플레이트(51)에 결합되는 가변베인(53)을 형성하며, 일측은 플레이트(51)와 결합되고 타측은 가변베인(53)과 결합되는 회전부재(54)로 이루어져 있다.
아울러 접점부(60)는 상기 제1 도어(10) 상측의 제1 접점(61)과 대응되는 제1 릴레이부(61a)와 제2 도어(20)에 형성된 제2 접점(62)과 대응되는 제2 릴레이부(62a)를 형성하고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측면 개폐식 엘리베이터 개폐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모터(1)의 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벨트(2)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는 전동풀리(3)가 제1 체인기어(4)에 동력을 전달하고, 상기 동력을 전달받은 제1 체인기어(4)에 결합된 체인벨트에 의해 상기 체인벨트(6)와 제2 도어(20)에 결합된 행거 플레이트(7)가 체인벨트(6)가 이동되는 방향으로 이동을 하면서, 제2 도어(20)에 형성된 롤러(도면에 도시되지 않음)가 레일(30)의 제2 가이드(32)에 의해 안내되어 제2 도어(20)를 개폐시킨다.
또한 상기 제1 도어(10)는 상기 모터(1)와는 다른 동력부(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아 제1 도어(10)에 형성된 롤러(도면에 도시되지 않음)가 레일(30)의 제1 가이드(31)에 의해 안내되어 제1 도어(10)를 개폐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에 상기 제1, 2 도어(10)(20)가 개방되는 과정에서 제2 도어(20)에 결합된 베인부(50)의 가변베인(53)과 고정베인(52)의 간격을 좁혀 도어록 롤러(8)를 클램핑 할 수 있도록 레일(30)의 일측에 형성된 크랭크부(40)의 제1, 2 아암(41)(42)과 상기 제2 아암(42)에 고정결합된 캠(43)이 제1 도어(10)의 개방에 의해 베인부(50)의 가변베인(53)을 고정베인(52)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작용을 상세히 살펴보면, 제2 도어(20)가 모터(1)의 동력을 전달받아 개방되어 지면, 상기 제2 도어(20)에 결합된 베인부(50)의 플레이트(51)도 제2 도어(20)가 이동하는 방향으로 같이 이동을 하게 되며, 상기 과정에서 플레이트(51)의 회전부재(54)에 의해 회전 가능한 상태로 결합된 캠(43)이 회전을 함과 동시에 제1, 2 아암(41)(42)이 접히게 된다.
여기서 일반적인 캠의 원리는 외측이 불규칙적인 곡률을 형성하는 캠과 상기 캠을 구동시키기 위한 회전축이 형성되어, 캠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반경이 각기 다른 외형형상에 의해 캠의 회전만으로 상기 캠과 같이 구동되는 다른 구성요소를 직선왕복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도 상기와 같은 캠의 원리에 의해 도 3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캠(43)의 회전에 의해 제2 도어(20)가 완전히 닫혀있는 상태일 때의 가 변베인(53)과 고정베인(52)의 이격거리 보다 더 좁게 이격거리를 형성시킴으로써, 베인부(50)에 의해 도어록 롤러(8)를 클램핑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가변베인(53)이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된 회전부재(54)는 제2 도어(20)가 닫혀있을 때에는 자유낙하에 의해 최초 제2 도어(20)가 닫혀있을 때의 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캠(43)은 제2 도어(20)가 0.5 ~ 1㎝ 가량 개방되어 질 때에 상기 가변베인(53)을 고정베인(52) 방향으로 최대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형상을 형성하되, 상기에서 가변베인(53)을 고정베인(52) 방향으로 최대한 이동시킨 후에는 동일한 곡률을 형성하도록 하여, 과도하게 가변베인(53)을 이동시킴으로써, 발생되는 도어록 롤러(8)의 파손을 막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가변베인(53)이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된 회전부재(54)에는 가변베인(53)이 원활히 회전할 수 있도록 베어링(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 하측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동력수단(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의 접점을 제1, 2 도어(10)(20)에 각각 1개소를 설치함으로써, 제1, 2 도어(10)(20)가 완전히 닫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 하측으로 이동이 불가능하도록 되어 있어, 엘리베이터의 고장이 발생 되었을 경우 수리를 하는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간단한 기구장치를 이용하여 작동이 이루어져, 엘리베이터의 고장이 발생되었을 경우, 단시간에 유관으로 식별이 가능 하여 엘리베이터를 단시간에 수리를 할 수 있으며, 제1, 2 도어(10)(20)에 두개의 제1, 2 접점(61)(62)이 형성되어 있어, 작업시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측면 개폐식 엘리이터 개폐장치는 간단한 기구학적인 원리를 이용하여 엘리베이터 도어의 개폐를 이룸으로써, 고장의 발생시 유관으로 고장부위를 쉽게 식별할 수 있어 수리를 단시간에 할 수 있으며, 또한 수리시 발생될 수 있는 상, 하측으로 이동되는 이동수단의 접점을 제1, 2 도어가 완전히 닫혀야만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어부의 오작동으로 인해 발생되는 작업자의 인명피해를 줄일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1)

  1. 모터의 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벨트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는 전동풀리가 형성되고, 상기 전동풀리 일측으로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제1 체인기어와 제2 체인기어와 체인벨트를 형성하며, 상기 체인벨트에 고정결합되는 행거 플레이트와 상기 행거 플레이트에 의해 좌, 우측으로 이동되며, 상측에 제2 도어와 상기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이동하는 제1 도어로 이루어진 측면 개폐식 엘리베이터의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어가 이동할 수 있는 제1 가이드를 상측에 형성하고, 제2 도어가 이동할 수 있는 제2 가이드를 전면에 형성한 레일;
    상기 레일의 일측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된 제1 아암과 상기 제1 아암의 일측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된 제2 아암과, 상기 제2 아암과 고정결합되되, 제2 도어가 0.5 ~ 1㎝ 가량 개방되어 질 때에 가변베인을 고정베인 방향으로 최대한 이동시킬 수 있는 형상의 캠을 형성한 크랭크부;
    상기 제1 도어에 결합되며, 크랭크부의 캠과 결합되는 플레이트의 일측으로 고정베인을 형성하고, 상기 캠에 의해 좌, 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가변베인을 형성하며, 일측은 플레이트와 결합되고 타측은 가변베인과 결합되는 회전부재로 이루어진 베인부;
    상기 제1 도어 상측의 제1 접점과 대응되는 제1 릴레이부와 제2 도어에 형성된 제2 접점과 대응되는 제2 릴레이부를 형성한 접점부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 는 측면개폐식 엘리베이터 개폐장치.
KR1020060033389A 2006-04-13 2006-04-13 측면 개폐식 엘리베이터 개폐장치 KR1006223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3389A KR100622340B1 (ko) 2006-04-13 2006-04-13 측면 개폐식 엘리베이터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3389A KR100622340B1 (ko) 2006-04-13 2006-04-13 측면 개폐식 엘리베이터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22340B1 true KR100622340B1 (ko) 2006-09-11

Family

ID=37624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3389A KR100622340B1 (ko) 2006-04-13 2006-04-13 측면 개폐식 엘리베이터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234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4202B1 (ko) 2013-04-25 2014-01-23 주식회사 스타리프트 엘리베이터용 다단 도어 장치
KR20160010925A (ko) 2014-07-21 2016-01-29 권순범 측면 개폐형 엘리베이터 도어 구조
KR20200121065A (ko) 2019-04-15 2020-10-23 김미희 엘리베이터의 양방향 개폐식 다단도어 개폐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62694A (ja) * 1987-12-18 1989-06-27 Toshiba Corp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62694A (ja) * 1987-12-18 1989-06-27 Toshiba Corp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4202B1 (ko) 2013-04-25 2014-01-23 주식회사 스타리프트 엘리베이터용 다단 도어 장치
KR20160010925A (ko) 2014-07-21 2016-01-29 권순범 측면 개폐형 엘리베이터 도어 구조
KR20200121065A (ko) 2019-04-15 2020-10-23 김미희 엘리베이터의 양방향 개폐식 다단도어 개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301821A1 (en) Elevator entrance apparatus
EP1595050B1 (en) Folding leaf gate
US4452014A (en) Device for operating a sliding door
KR102321044B1 (ko) 카 도어 로킹부를 구비하는 엘리베이터 카 도어 개폐 장치
KR100622340B1 (ko) 측면 개폐식 엘리베이터 개폐장치
SE532596C2 (sv) Anordning vid mekanism för manövrering av fartygs förskjutbart rörliga lucksektioner
CN104590980A (zh) 带有保持组件的电梯同步门刀装置
CN104760872B (zh) 一种带轿门锁紧机构的同步门刀装置
KR101865413B1 (ko) 엘리베이터 카도어 개폐 장치
CA3184211A1 (en) A door operator system
CN206816081U (zh) 自动铰链门
KR100991197B1 (ko)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장치
KR102321041B1 (ko) 엘리베이터 카 도어 개폐 장치
CN204778244U (zh) 升降机装置
GB1166021A (en) Electrical Apparatus for Operating Doors
KR101075734B1 (ko) 자동문 개폐장치
KR20050015979A (ko) 리프팅 이동 전기자
CN103958812A (zh) 电动安全帘
JP2014118293A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CN201010411Y (zh) 电梯偏开门机同步门刀
TWI403382B (zh) 工具機之防護門啟閉裝置
CN205855736U (zh) 电梯门装置以及电梯
CN104124634B (zh) 一种开关柜活门装置
CN204975260U (zh) 压铸机安全门系统
US3942073A (en) Motor operated garage door mechanis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