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8025A - 어개류의 관리 방법, 마취 유지 장치, 마취 유지 시스템, 마취 유지 방법 및 운반 방법 - Google Patents

어개류의 관리 방법, 마취 유지 장치, 마취 유지 시스템, 마취 유지 방법 및 운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8025A
KR20200008025A KR1020207000873A KR20207000873A KR20200008025A KR 20200008025 A KR20200008025 A KR 20200008025A KR 1020207000873 A KR1020207000873 A KR 1020207000873A KR 20207000873 A KR20207000873 A KR 20207000873A KR 20200008025 A KR20200008025 A KR 202000080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esthesia
fish
tank
carbon dioxide
h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08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5759B1 (ko
Inventor
다다카츠 세키야마
미치오 오모리
쇼스케 와타나베
유키히로 요시다
Original Assignee
닛켄 리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켄 리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켄 리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080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80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57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57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2Receptacle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ing live fis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2Introducing gases into the water, e.g. aerators, air pu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DVETERINARY INSTRUMENTS, IMPLEMENTS, TOOLS, OR METHODS
    • A61D7/00Devices or methods for introducing solid, liquid, or gaseous remedies or other materials into or onto the bodies of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3/00Anaesthe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1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by bubbling
    • B01F23/23105Arrangement or manipulation of the gas bubbling devices
    • B01F23/2312Diffusers
    • B01F23/23121Diffusers having injection means, e.g. nozzles with circumferential outl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1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by bubbling
    • B01F23/23105Arrangement or manipulation of the gas bubbling devices
    • B01F23/2312Diffusers
    • B01F23/23126Diffuse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diffuser element
    • B01F23/231265Diffuse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diffuser element being tubes, tubular elements, cylindrical elements or set of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7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f gases or vapours introduced in the liquid media
    • B01F23/2376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f gases or vapours introduced in the liquid media characterised by the gas being introduced
    • B01F23/23761Aerating, i.e. introducing oxygen containing gas in liquids
    • B01F23/237612Oxyge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esthes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과제] 수조 내의 독성 성분을 저감함으로써, 어개류의 돈사를 방지하는 것.
[해결 수단] 마취 상태의 어개류를 수용한 수조 내에 있어서, 암모니아(NH3)로부터 암모늄 이온(NH4 +)으로의 반응을 촉진시키도록, 수조 내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조정한다. 이산화탄소 농도의 조정에는 에어레이션 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어개류의 관리 방법, 마취 유지 장치, 마취 유지 시스템, 마취 유지 방법 및 운반 방법
본 발명은, 활어 등의 어개류(魚介類)의 마취 유지에 관한 각종 방법 등에 관한 것이다.
활어 등의 어개류를 마취하는 방법에는, 이하의 특허문헌에 기재된 방법이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은, 마취 효과를 가지는 농도의 용존 이산화탄소와, 물고기가 생존하기 위해서 필요한 농도의 용존 산소를 포함하는 마취용 탄산수를 수조에 공급함으로써, 물고기에게 마취를 거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2는, 특허문헌 1에서 개시하는 마취용 탄산수에 대하여, 용존 산소 농도를 포화 상태로 유지해도, 물고기의 아가미로부터 흡수되는 산소량이 불충분하게 되는 것을 지적하여, 그 대책으로서, 기체 산소를 수중에서 부상하는 일 없이 위치가 보지(保持)되는 정도의 크기로 한 미세 기포를 어개류에 공급함으로써, 어개류의 돈사(頓死)를 방지한다고 하는 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3은, 특허문헌 2와 마찬가지로, 특허문헌 1에서 개시하는 마취용 탄산수의 불비를 지적하면서, 추가로 특허문헌 2에 대하여, 당해 문헌과 관련되는 방법의 실시에서, 대규모의 장치를 요하는 점을 지적하여, 수중의 용존 산소를 과포화 상태로 하는 것을 전제로 한 후에, 용존 산소량의 적정값이나, 이산화탄소나 산소를 함유하는 가스를 분출하는 산기관(散氣管)의 기공(氣孔)의 직경의 적정값을 발견한 점을 주제로 하고 있다.
일본국 특허 4951736호 공보 일본국 특허 5897133호 공보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17-23023호 공보
출원인은, 이들의 선행 기술로부터 더욱 편리성이 우수한 기술의 연구를 진척시키는 중에, 이하의 점에서 개선의 여지를 발견했다.
(1) 수조 내의 독성 성분을 저감함으로써, 어개류의 돈사를 방지하는 것.
(2) 어개류의 마취 상태를 유지하면서, 돈사를 방지할 수 있는 양태로 장시간 수송을 가능하게 하는 것.
(3) 수조 내의 용존 산소 농도를 포화 상태로 하지 않아도, 마취 상태의 어개류의 돈사를 방지 가능하게 하는 것.
(4) 마취 상태의 어개류에 공급하는 기체 산소를 미세 기포로 하지 않아도, 마취 상태의 어개류의 돈사를 방지 가능하게 하는 것.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원발명에서는, 이하의 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점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1) 마취 상태의 어개류를 수용한 수조 내에 있어서, 암모니아(NH3)로부터 암모늄 이온(NH4 +)으로의 반응을 촉진시키도록, 수조 내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조정한다. 이산화탄소 농도의 조정에는 에어레이션 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
(2) 프로틴스키머로 어개류의 분(糞)이나 먹다 남은 먹이 등으로 이루어지는 단백질을 제거하여 암모니아(NH3)의 발생을 억제한다.
(3) 어개류를 마취하는 공정과, 마취 상태를 유지하는 공정으로, 수중 환경을 나눈다.
(4) 항구 등에 상치(常置)한 마취조(槽)에서 어개류를 마취시켜, 마취 상태를 유지하는 유지조 그 자체를 수송 대상으로 하여, 어개류를 마취 상태 그대로 수송하고, 수송처에서 어개류의 각성을 행한다.
본원발명에 의하면, 이하에 기재하는 효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효과를 가진다.
(1) 발생한 암모니아의 감소를 촉진시킬 수 있다.
수조 내의 이산화탄소 농도의 조정에 의해 암모니아로부터 독성이 낮은 암모늄 이온으로의 반응을 촉진시킴으로써, 수중 내의 암모니아 농도의 증가를 억제하여, 어개류의 암모니아 중독을 경감할 수 있다.
(2) 단백질에 기인하는 암모니아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유지조에 프로틴스키머를 마련함으로써, 어개류의 분이나 먹다 남은 먹이 등으로 이루어지는 단백질을 제거하고, 박테리아에 의한 단백질의 분해 가정에서 발생하는 암모니아의 발생을 억제하여, 어개류의 암모니아 중독을 경감할 수 있다.
(3) 마취 상태의 장기 유지에 기여한다.
어개류를 마취시키기 위한 공정과, 마취된 어개류의 마취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공정에 있어서, 수중 환경을 각 공정에 적합한 것으로 설정함으로써, 어개류의 가스병(病)을 방지하고, 어개류의 각성이 가능한 마취 상태를 보다 길게 유지할 수 있다.
(4) 각 조의 환경 유지 관리가 용이하게 된다.
어개류를 마취시키기 위한 수조(마취조)와, 마취된 어개류의 마취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수조(유지조)를 물리적으로 나눔으로써, 각 조에서 필요로 하는 산소 농도나 이산화탄소 농도의 유지 관리가 용이하게 된다.
(5) 수송의 장거리화에 기여한다.
수송에 이용하는 유지조를, 어개류의 마취 상태를 장기간 유지 가능한 환경에 특화시킴으로써, 마취 상태의 어개류를 수송처에서 각성 가능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장거리 수송할 수 있다.
(6) 수송 효율의 향상에 기여한다.
유지조에, 어개류를 수용한 상태의 수용 상자를 투입하는 양태로 함으로써, 어개류의 수용 밀도를 높게 할 수 있어, 수송 효율이 높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되는 마취 유지 방법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되는 유지조의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되는 마취 유지 방법에서의 실험 결과를 정리한 표.
<1> 어개류의 돈사 요인
수조 내의 수중 환경(산소 농도나 이산화탄소 농도 등)을 바꾸고, 마취 개시로부터 24시간 경과 후의 어개류의 돈사의 유무를 조사하는 실험을 진척시켜 가는 중에, 수중의 산소 농도의 과포화 상태의 여하를 막론하고, 어개류의 돈사의 발생에는, 수조 내의 암모니아(NH3)의 농도와 관련성이 있는 것을 알았다.
수중의 암모니아 농도가 높으면, 어개류의 호흡에 지장을 초래하여, 호흡 곤란에 의한 사망에 빠지고 있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암모니아는, 어개류의 요(尿) 뿐만 아니라, 어개류의 분이나 먹다 남은 먹이에 포함되는 단백질이 수중의 박테리아에 의해 분해되는 과정에서 발생되고 있는 것이 생각된다.
따라서, 수조 내에 어개류를 과밀(過密)하게 수용하면 할수록, 암모니아 농도는 증가하기 쉬워져, 어개류에 있어서 가혹한 환경이 되는 것이 추측된다.
<2> 암모니아의 무해화 방법
그런데, 암모니아(NH3)는, 물에 녹여 수소 이온(H+)과 결합시켜서 암모늄 이온(NH4 +)으로 변화시킴으로써, 무해화할 수 있다.
따라서, 수조 내에 있어서, 수소 이온(H+)을 임의로 가감할 수 있으면, 암모니아(NH3)로부터 암모늄 이온(NH4 +)으로의 반응을 제어할 수 있다.
<2.1> 수소 이온과 ph의 관계
상기한 수소 이온(H+)의 농도는, 수중의 ph로서 나타낼 수 있으며, ph가 작을수록 수소 이온 농도가 높은 것을 나타낸다.
또한 이 ph의 값에 의해, 암모니아(NH3)로부터 암모늄 이온(NH4 +)의 변화 비율이 증감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ph6(약산성)에서는, 암모니아(NH3)의 99.9%가 암모늄 이온(NH4 +)으로 변화된다.
또한 ph7의 상태(중성)에서는, 암모니아(NH3)의 99.4%가 암모늄 이온으로 변화된다.
<2.2> ph와 암모니아 농도의 관계
이처럼, 수중 내의 ph가 높아지면(수소 이온의 농도가 낮아지면), 암모니아(NH3)의 암모늄(NH4 +)으로의 변화 비율이 감소하여, 수중에 암모니아가 잔존되기 쉬워져, 수중의 암모니아 농도의 증가로 연결되어서 어개류의 돈사를 야기하고 있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3> 암모니아 농도의 증가 억제 방법
그래서, 수중 내의 ph의 증가를 억제하는 방법의 일례로서, 수중 내의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제어하는 방법을 검토했다.
그 이유 및 원리는 이하와 같다.
<3.1> 이산화탄소에 기인하는 수소 이온의 발생 원리
Figure pct00001
이처럼, 수중 내의 이산화탄소의 양을 소정의 범위로 조정함으로써, 수중 내의 수소 이온의 수를 조정하여, 유독성이 있는 암모니아를 암모늄 이온으로 무해화하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3.2> 이산화탄소 농도의 요인
또한, 수조 내에서의 이산화탄소의 농도는, 이하의 내부 요인에 의해 변동한다.
(내부 요인 1) 어개류의 호흡으로부터 발생하는 것.
(내부 요인 2) 마취 상태의 어개류의 혈중으로부터 용출되는 것.
따라서, 이 내부 요인 1,2에 의해 변동되는 수조 내에서의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계산하여, 적절히 에어레이션 등의 외부 요인으로 제어하면, 적절한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유지할 수 있다.
이처럼, 수조 내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적절한 범위로 제어함으로써, 수중 내의 ph를 낮게 보지하면, 암모니아(NH3)의 암모늄(NH4 +)으로의 변화 비율을 높게 유지할 수 있으며, 나아가서는 독성이 높은 암모니아의 잔존량을 저감하여, 어개류의 돈사를 방지할 수 있다.
<4> 그 외의 변형예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한 방법은 어디까지나 일례이며, 수조 내의 암모니아(NH3)의 증가를 억제하도록 환경 제어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생각되는 자명한 방법이 있으면 당해 방법을 채용하여도 된다.
[실시예 1]
상기한 원리에 의거하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일례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이하에 설명한다.
또한, 후술하는 「이산화탄소 농도」 「산소 농도」란, 측정 시의 농도에 한하지 않고, 복수의 측정 개소에서 동시에 측정한 값의 평균값이나, 경시(經時)적으로 측정한 복수의 측정값의 평균값을 포함한다.
또한, 이산화탄소 농도는 PPM 표기로 하고, 산소 농도는, 용존 산소의 포화도를 기준으로 하는 % 표기로 하고 있다.
<1> 전체 구성
본 실시예와 관련되는 마취 유지 방법에서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마취 공정과 유지 공정을 적어도 포함하며, 각 공정에서 다른 수조(마취조(A), 유지조(B))를 이용한다.
마취 공정에서는, 항구 등에 상치하고 있는 마취조(A)에 마취수(A1)를 채워 두고, 이 마취조(A) 중에 양륙된 각성 상태의 어개류(X)를 투입하고, 어개류(X)를 마취 상태의 어개류(Y)로 한다.
유지 공정에서는 마취조(A) 내의 마취 상태의 어개류(Y)를, 수송 대상이 되는 유지조(B)에 적절히 옮기고, 유지조(B)에 채워진 유지수(B1) 중에서 마취 상태를 유지한다.
마취 상태의 어개류(Y)를 유지조(B)에 옮길 때에는, 수용 상자(B2) 등을 이용하여 고밀도 수용을 행하여도 된다.
이 유지 공정의 상태에서, 유지조(B)를 수송 트랙 등의 운반 수단(C)으로 수송하고, 수송처에서 어개류의 각성을 행함으로써, 어개류를 살린 상태를 장시간 유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각 공정에서 수조를 나눈 이유는, 이하에 기재한 이유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이유에 의거한다.
이유 1 : 어개류를 마취 상태로 천이(遷移)할 때의 수중 환경과, 마취 상태의 어개류를 유지할 때의 수중 환경이 다른 것이 판명되었기 때문에.
이유 2 : 어개류의 운반원인 항구 등에 마취조(A)를 상치해 두면서, 마취조(A)에서 마취한 어개류를 유지조(B)에 옮기고, 차량 등으로 유지조(B)째 장거리 수송을 행하면, 작업 효율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이하, 각 조에서의 공정의 상세에 대해서 설명한다.
<2> 마취 공정
마취 공정은, 어개류를 마취 상태로 천이시키기 위한 공정이다.
어개류를 마취하는 방법은, 다양한 방법이 알려져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이산화탄소 농도를 일정값 이상으로 구성한 마취수(A1)로 채워진 마취조(A) 중에 어개류를 투입하여 소정 시간 경과 후에 마취시키는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마취조(A)는,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조정 가능한 수단을 필수로 하며, 그 외 필요에 따라 수조 내의 산소 농도를 조정 가능한 수단 등을 마련한 구성으로 하면 된다.
<2.1> 마취수의 조건 설정
본 발명에서는, 마취조(A) 내의 마취수(A1)에 대해서, 이산화탄소 농도를 65~85PPM의 범위, 및 산소 농도를 60% 이상의 범위로 보지하는 것을 상정한다.
이 때, 마취수(A1)의 산소 농도를 과포화(100% 이상)로 하는 것은 필수는 아니며, 산소 농도를 60% 이상 100% 미만으로 하여도 된다.
<3> 유지 공정
유지 공정은, 마취 상태의 어개류에 대해서, 당해 마취 상태를 장시간에 걸쳐 유지하기 위한 공정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마취조(A)와는 별체의 유지조(B)를 이용하고, 유지조(B)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적어도 마취조(A)의 이산화탄소 농도보다도 낮은 농도로 보지하여 어개류의 마취 상태를 유지한다.
도 2에, 유지조(B)의 구조의 상세를 나타낸다.
유지조(B)는, 주로, 본체부(10)와, 산소 공급 수단(20)과, 에어레이션 수단(30)을 적어도 구비하며, 필요에 따라 프로틴스키머(40)를 추가로 구비하여 구성한다.
이하, 각 구성요소의 상세에 대해서 설명한다.
<3.1> 본체부
본체부(10)는, 마취 상태의 어개류를 투입하여 수용하기 위한 요소이다.
본체부(10)는, 포크리프트 등을 이용한 운반이나, 공지의 수송 양태에 적합하도록, 공지의 운반용 컨테이너 등의 규격이나 형상에 맞춰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부(10)로의 어개류의 수용예로서는, 마취조(A)에서 마취 상태의 어개류를 망으로 건져서 그대로 본체부(10)에 투입하는 방법이나, 도미 바구니와 같은 수용 상자(B2)에 어개류를 고밀도로 수용하고 나서 수용 상자(B2)째 본체부(10)에 투입하는 방법 등, 다양한 방법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본체부(10)를, 상부가 개구되어 있는 상자체(11)와, 상자체(11)의 상부를 폐색하는 덮개체(12)와, 상자체(11)의 측방에 마련하는 수납부(13)를 구비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3.1.1> 상자체
상자체(11)는, 내부에 물을 채워서 물고기를 투입하기 위한 요소이다.
상자체(11)의 바닥부에는, 적절히 간격을 마련해서 받이대(臺)(111)를 배치하고, 포크리프트의 포크를 도입하기 위한 간극(포크 도입부(112))을 확보한다.
<3.1.2> 덮개체
덮개체(12)는, 상자체(11)를 폐색하기 위한 부재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덮개체(12)의 형상, 구조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덮개체(12)의 상부에, 끌어 올림용의 계지부(121)를 마련하고, 상하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122)을 마련한다.
이 관통 구멍(122)은, 후술하는 프로틴스키머(40)의 흡인 호스(41)를 통과시키기 위해서 사용한다.
<3.1.3> 수납부
수납부(13)는, 유지조(B)에 마련하는 각종 장치를 수납해 두기 위한 요소이다.
수납부(13)는, 상자체(11)의 바닥부를 일측방으로 연신하여 마련한 재치대(131)와, 재치부를 덮도록 배치하는 커버(132)로 이루어진다.
수납부(13)에는, 후술하는 산소 봄베(21)나 에어레이션용의 펌프(31) 외에, 제어반(盤)(50)이나 배터리(60), 산소 농도, 이산화탄소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도시 생략) 등의 장치를 수납해 둔다.
이 수납부(13)에 각종 장치를 수납해 둠으로써, 유지조(B) 단체(單體)로 수중 환경의 제어를 실현한다.
<3.2> 산소 공급 수단
산소 공급 수단(20)은, 본체부(10) 내에 산소를 공급하고, 산소 농도를 임의의 범위로 유지하기 위한 요소이다.
산소 공급 수단(20)은, 수중 내에 산소를 공급 가능한 공지의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산소 공급 수단(20)을, 본체부(10)의 외측에 마련해 둔 산소 봄베(21)와, 산소 봄베(21)로부터의 기체 산소를 보내는 펌프(22)와, 펌프(22)로부터 보내지는 기체 산소를 조 내의 물을 혼합하기 위한 혼합 밸브(23)와, 본체부(10) 내로부터 산소 기포를 토출하기 위한 제 1 노즐(24)로 구성하고 있다.
제 1 노즐(24)로부터 공급하는 기체 산소의 기포 입경은 특별하게 한정하지 않지만, 직경 1㎛ 이하의 소위 파인 버블을 요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노즐(24)의 직경이나 압력 등을 조정하여, 직경 100㎛ 이상의 기포로 이루어지는 기체 산소를 토출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3.3> 에어레이션 수단
에어레이션 수단(30)은, 본체부(10) 내의 에어레이션을 행하기 위한 요소이다.
통상, 에어레이션이란, 열대어의 사육 등에서 본체부(10) 내의 산소 농도를 높이기 위해서 공기를 본체부(10) 내로 보내주는 것을 상정하는 것이지만, 본 발명에서는, 유지조(B) 내에 있어서, 어개류의 호흡이나 어개류로부터 용출한 이산화탄소를 날리기 위한 수단으로서 사용한다.
에어레이션 수단(30)은, 공지의 에어레이션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에어레이션 수단(30)을, 수납부(13)에 수납되어 있는 펌프(31)와, 당해 펌프(31)로부터의 공기를 본체부(10) 내로부터 토출하기 위한 제 2 노즐(32)로 구성하고 있다.
제 2 노즐(32)로부터 공급하는 공기의 기포 입경에 관해서도, 제 1 노즐(24)과 마찬가지로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파인 버블을 필수로 하는 것은 아니다.
<3.3.1> 양자의 겸용
또한, 본 발명에서는, 에어레이션 수단(30) 및 산소 공급 수단(20) 중 일방이, 타방을 겸용하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3.4> 프로틴스키머
프로틴스키머(40)는, 본체부(10) 내의 불순물을 여과하여 제거하기 위한 요소이다.
프로틴스키머(40)는, 단백질이나 지방질 등 박테리아에 분해되기 전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수단으로서 해수어 기르기에 사용되는 장치이며, 에어 펌프(31)로 발생시킨 거품의 표면에 불순물을 흡착시켜, 이 거품이 수면까지 떠오르는 동작을 이용하여 불순물을 상부에 모아두도록 작용하는 장치이다.
본 발명에서는, 프로틴스키머(40)가 적어도 상자체(11) 내의 물에 포함되는 단백질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지는 범위에서 공지의 장치를 이용하면 되며, 구성을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서는, 프로틴스키머(40)를, 일단(一端)을 상자체(11)의 내부에 배치하는 흡인 호스(41)와, 당해 흡인 호스(41)의 타단을 접속하여, 흡인한 오수나 거품을 모아 두는 저류부(42)로 구성하고 있다.
<3.5> 유지수의 조건 설정
상자체(11)에 수용하는 물은, 퍼 올린 해수를, 상기 서술한 산소 공급 수단(20)이나, 에어레이션 수단(30)으로 소정의 수중 환경하로 조정한다.
상자체(11)에 수용하는 물은, 마취조(A)에서의 마취수(A1)보다도 이산화탄소 농도가 낮아지도록 조정한다. 이 때, 이산화탄소 농도의 조정을 위하여, 유지수(B1)의 일부에 마취조(A) 내의 마취수(A1)를 이용하여 생력화(省力化)하여도 된다.
유지수(B1)의 산소 농도는, 마취수(A1)와 마찬가지의 설정을 기준으로 한다.
<4> 각성 공정
도 1에서 도시하지 않은 수송처에서는, 유지조(B) 내의 에어레이션 수단(30)에 의한 에어레이션량을 추가로 늘려, 수중 내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적절히 낮춤으로써, 어개류의 마취 상태가 자연히 풀어지게 된다.
이 때, 산소 공급 수단(20)에 의한 산소의 공급은 계속해서 진행시켜 둔다.
<5> 실험예
이하, 유지 공정에 있어서 유지조(B) 내의 수중 환경(산소 농도나 이산화탄소 농도 등)을 바꿔서, 마취 개시로부터 24시간 경과 후의 어개류의 생존의 유무를 조사하는 실험의 데이터를 나타낸다.
<5.1> 실험 조건
실험 조건은 이하와 같다.
·1모델에 대하여 5마리의 참돔을 사용.
·산소 농도를 99%의 상태로 하고, 이산화탄소 농도를 75ppm전후로 보지한 수중 환경의 마취조(A) 내에, 각성하고 있는 상태의 어개류를 투입하고, 소정 시간 경과시켜서 어개류를 마취 상태로 천이시키고 나서 유지조(B)에 투입한다.
·유지조(B) 내는, 해수 100리터를 투입하고 있다.
·유지조(B) 내에서는, 산소 공급 수단(20)으로 직경 100㎛ 이상의 산소 기포를 수중에 공급하여, 소정의 농도로 조정한다.
·유지조(B) 내에서는, 에어레이션 수단(30)으로 공기를 수중에 공급함으로써, 이산화탄소 농도를 소정의 농도로 조정한다.
·1시간 간격으로, 유지조(B) 내의 산소 농도 및 이산화탄소를 측정.
·수중의 산소 농도를 99%~80%, 80%~60%, 60%~30%의 범위로 보지한 3패턴을 준비하고, 추가로 각 패턴에 있어서, 수중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0~20ppm, 10~30ppm, 20~40ppm, 30~50ppm, 40~60ppm의 범위로 보지한 5종류, 합계 15모델로 생존 실험을 행한다.
<5.2> 실험 결과
도 3에, 각 모델의 실험 결과를 나타낸다.
우선, 산소 농도를 60%~30%의 범위로 보지한 모델 11~15에 대해서는, 모든 모델에서 참돔은 사망하고 있는 결과가 되었다.
또한, 산소 농도를 80%~60%의 범위로 보지한 모델 6~10에 대해서는, 이산화탄소 농도를 0~20ppm, 10~30ppm의 범위로 보지하는 모델 6,7에 대해서 5마리 중 4마리의 참돔이 생존하는 결과가 되었다.
또한, 산소 농도를 99%~80%의 범위로 보지한 모델 1~5에 대해서는, 이산화탄소 농도를 0~20ppm, 10~30ppm, 20~40ppm의 범위로 보지하는 모델 1~3에 대해서 모든 참돔이 생존하고, 30~50ppm의 범위로 보지하는 모델 4에 대해서 5마리 중 3마리의 참돔이 생존하는 결과가 얻어졌다.
<5.3> 실험 결과로부터 도출되는 경향
상기의 실험 결과로부터, 이하의 경향을 이끌어낼 수 있었다.
(1) 모든 참돔이 생존할 수 있었던 환경하(모델 1~3)에 있어서는, 생존하고 있는 참돔의 호흡에 의해 이산화탄소가 증가되기 쉬운 상황이어도, 당해 이산화탄소는 암모니아의 무독화(암모늄 이온의 생성)에 이용되어, 결과적으로 ph도 약산성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2) 참돔의 사망이 확인된 환경하에서는, 24시간 후의 ph나 암모니아 농도에 상승이 예상되었지만, 데이터상 큰 변화는 없었다. 이는 참돔의 사망에 의해, 참돔의 호흡에 의한 이산화탄소의 발생량이나, 참돔의 분뇨 등에 포함되는 단백질의 발생량이, 근본부터 적어진 것이 요인이라고 생각된다.
(3)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40ppm보다 큰 값으로 유지되면, 산소 농도의 여하에 막론하고 참돔의 사망을 초래하고 있어, 이산화탄소의 공급량이 지나치게 많아서는 안된다.
따라서, 유지조(B) 내에서의 이산화탄소 농도는, 0~40ppm의 범위 내, 보다 바람직하게는 0~30ppm의 범위로 보지하는 양태가 적절하다.
(4) 산소 농도가 60% 미만의 값으로 유지되면, 이산화탄소 농도의 여하에 막론하고 참돔의 사망을 초래하고 있다. 따라서, 산소의 공급량이 지나치게 낮아서는 안된다. 한편, 장기간 마취 상태로 유지한 참돔을 생존시켜 두기 위해서, 산소 농도를 과포화 상태까지 높이는 것은 필수는 아니다.
따라서, 유지조(B) 내에서의 산소 농도는, 6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이상으로 보지하는 양태가 적절하다. 이 때, 과포화(100% 이상)로 할 필요는 없다.
(5) 이번의 실험에서는 실험 개시로부터 1시간 간격으로, 수중의 산소 농도 및 이산화탄소를 측정하고, 측정값이 소정 조건의 범위 안에 들어가 있는 것을 조건으로 하였지만, 모든 측정값의 평균값(평균 산소 농도, 평균 이산화탄소 농도)이, 상기한 소정 조건의 범위 안에 들어가는 양태여도 마찬가지의 결과가 얻어질 가능성이 높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6) 또한, 수조 내에 투입하는 어개류의 종류나, 수온 등의 제조건에 의해, 산소 농도나 이산화탄소 농도는 변화될 수 있기 때문에, 당업자는 이러한 조건을 근거로 하여, 적절히 수치 설정을 조정하여 실시하면 된다.
다만, 본 실시에서 특정한 수치 범위로 조정을 행하는 양태이면, 대체로 양호한 결과가 얻어질 가능성이 높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6> 정리
이처럼, 마취 공정과 유지 공정에서 산소 농도나 이산화탄소 농도를 다른 환경하로 제어하여 마취 상태의 어개류를 수용함으로써, 장시간 경과 후여도 어개류가 사망할 일이 없는 양태로, 어개류의 마취 상태의 유지가 가능하게 되었다.
[실시예 2]
상기한 실시예 1에서는, 마취 공정과 유지 공정에서 다른 수조(마취조(A), 유지조(B))를 이용하고 있었지만, 본 발명에서는, 1개의 수조에서, 마취 공정 및 유지 공정의 양방을 실시하여도 된다.
예를 들면, 실시예 1에서 나타내는 유지조(B)를 마취조(A)로서 사용할 때에는, 이산화탄소 농도를 높은 상태로 보지한 마취수(A1)를 채운 상태에서 어개류를 마취시켜, 그 후 유지조(B)로서 소정의 이산화탄소 농도 및 산소 농도로 조정하면서 유지를 행하면 된다.
A 마취조
A1 마취수
B 유지조
B1 유지수
B2 수용 상자
C 운반 수단
X 어개류
Y 마취 상태의 어개류
10 본체부
11 상자체
111 받이대
112 포크 도입부
121 계지부
122 관통 구멍
12 덮개체
13 수납부
131 재치대
132 커버
20 산소 공급 수단
21 산소 봄베
22 펌프
23 혼합 밸브
24 제 1 노즐
30 에어레이션 수단
31 펌프
32 제 2 노즐
40 프로틴스키머
41 흡인 호스
42 저류부
50 제어반
60 배터리

Claims (16)

  1. 마취 상태의 어개류의 돈사를 방지하기 위한 관리 방법에 있어서,
    수조 내의 암모니아(NH3)로부터 암모늄 이온(NH4 +)으로의 반응을 촉진시키도록, 마취 상태의 어개류를 수용한 수조 내의 이산화탄소 농도 및 산소 농도를 소정의 범위로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취 상태의 어개류의 관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이산화탄소 농도의 조정을, 수조 내의 에어레이션으로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취 상태의 어개류의 관리 방법.
  3. 어개류의 마취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유지 장치에 있어서
    마취 상태의 어개류를 투입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 내의 산소 농도를 60% 이상으로 보지하는, 산소 공급 수단과,
    상기 본체부 내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40PPM 이하로 보지하도록 에어레이션을 행하는, 에어레이션 수단을 적어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개류의 마취 유지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 내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프로틴스키머를 추가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개류의 마취 유지 장치.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레이션 수단 및 상기 산소 공급 수단 중 일방이, 타방을 겸용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개류의 마취 유지 장치.
  6.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산소 공급 수단은, 상기 본체부 내의 산소 농도를 60% 이상 100% 미만으로 보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개류의 마취 유지 장치.
  7. 제 3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산소 공급 수단 또는 상기 에어레이션 수단으로부터 공급하는 기포의 입경의 최빈값이 10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개류의 마취 유지 장치.
  8. 제 3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어개류를 조밀하게 수용한 상태로 상기 본체부 내에 투입하는, 수용 상자를 추가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개류의 마취 유지 장치.
  9. 어개류의 마취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마취 유지 시스템에 있어서,
    어개류를 마취 상태로 천이시키는, 마취조와,
    상기 마취조에서 마취한 어개류의 마취 상태를 유지하면서 수송 대상이 되는, 유지조를 적어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개류의 마취 유지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조에 있어서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상기 마취조에 있어서의 이산화탄소 농도보다도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개류의 마취 유지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조는, 이산화탄소 농도를 40PPM 이하, 및 산소 농도를 60% 이상으로 보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개류의 마취 유지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조는, 이산화탄소 농도를 30PPM 이하로 보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개류의 마취 유지 시스템.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조는, 산소 농도를 80% 이상으로 보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개류의 마취 유지 시스템.
  14. 어개류의 마취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이산화탄소 농도를 65PPM 이상 85PPM 이하, 및 산소 농도를 60% 이상으로 보지한 수조 내에서 어개류를 마취시키는, 마취 공정과,
    상기 마취 공정에서 마취 상태로 천이한 어개류를, 이산화탄소 농도를 40PPM 이하, 및 산소 농도를 60% 이상으로 보지한 수조 내에서 유지하는, 유지 공정을 적어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개류의 마취 유지 방법.
  15.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조 내의 물의 일부 또는 전부에 대해서, 상기 마취조 내의 물을 유용(流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취 유지 방법.
  16. 어개류의 마취 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운반을 행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이산화탄소 농도를 65PPM 이상 85PPM 이하, 및 산소 농도를 60% 이상 100% 미만으로 보지한 수조 내에서 어개류를 마취시키는, 마취 공정과,
    상기 수조 내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40PPM 이하, 및 산소 농도를 60% 이상 100% 미만으로 보지하고, 어개류의 마취 상태를 유지하면서 운반을 행하는, 운반 공정과,
    운반처에서 상기 수조 내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낮춰서 어개류를 각성시키는, 각성 공정을 적어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개류의 운반 방법.
KR1020207000873A 2017-06-15 2017-06-15 어개류의 관리 방법, 마취 유지 장치, 마취 유지 시스템, 마취 유지 방법 및 운반 방법 KR1021657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7/022147 WO2018229940A1 (ja) 2017-06-15 2017-06-15 魚介類の管理方法、麻酔維持装置、麻酔維持システム、麻酔維持方法および運搬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8025A true KR20200008025A (ko) 2020-01-22
KR102165759B1 KR102165759B1 (ko) 2020-10-14

Family

ID=60417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0873A KR102165759B1 (ko) 2017-06-15 2017-06-15 어개류의 관리 방법, 마취 유지 장치, 마취 유지 시스템, 마취 유지 방법 및 운반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0772306B2 (ko)
EP (1) EP3639659B1 (ko)
JP (1) JP6236575B1 (ko)
KR (1) KR102165759B1 (ko)
CN (1) CN110809400B (ko)
AU (1) AU2017418814B2 (ko)
ES (1) ES2877900T3 (ko)
PH (1) PH12019502760A1 (ko)
TW (1) TWI652016B (ko)
WO (1) WO201822994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X2017003605A (es) * 2016-12-23 2022-11-23 Centro De Investig Cientifica Y De Educacion Superior De Ensenada Baja California Cicese Sistema de recirculación acuicola para el acondicionamiento y maduración de moluscos bivalvos.
ES2877900T3 (es) 2017-06-15 2021-11-17 Nikken Lease Kogyo Co Ltd Sistema de mantenimiento de anestesia y método de mantenimiento de la anestesia para peces y mariscos
JP7071894B2 (ja) * 2018-07-24 2022-05-19 旭化成株式会社 魚介類の麻酔維持装置
AU2020104019B4 (en) * 2018-11-23 2021-05-27 Southern Cross Marine Culture R&D Pty Ltd Method of packaging shellfish
CZ308381B6 (cs) * 2019-05-21 2020-07-08 Jihočeská Univerzita V Českých Budějovicích Aerační a oxygenační zařízení, zejména pro rybářské kádě
CN112438223A (zh) * 2019-09-03 2021-03-05 渔淼(上海)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利用干冰进行水产品活体运输的方法
CN111972344B (zh) * 2020-08-06 2022-05-03 三亚热带水产研究院 一种斑节对虾麻醉运输装置及其使用方法
FR3118851B1 (fr) * 2021-01-21 2022-12-23 Air Liquide France Ind Procédé de dopage en oxygène des eaux d’abreuvement des volailles avec maîtrise du calcaire
CN113287565B (zh) * 2021-04-02 2022-12-16 宁波筑鸿纳米科技有限公司 一种水产动物的控制方法及装置
CN113331128A (zh) * 2021-07-26 2021-09-03 烟台市海洋经济研究院(烟台市渔业技术推广站、烟台市海洋捕捞增殖管理站) 一种多功能高密度鱼苗长途运输装置及运输方法
EP4289264A1 (en) * 2021-11-25 2023-12-13 Niterra Co., Ltd. Water quality adjustment system
JP7139542B1 (ja) 2022-06-07 2022-09-20 日建リース工業株式会社 魚介類用の運搬水槽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9212A (ja) * 1995-07-05 1997-01-21 Iseki & Co Ltd 芝刈機
JP4951736B2 (ja) 2006-08-30 2012-06-13 林兼産業株式会社 魚の麻酔装置
JP2014039514A (ja) * 2012-08-23 2014-03-06 Marine Biotechnology:Kk 魚介類の麻酔方法および装置
JP5897133B2 (ja) 2014-02-17 2016-03-30 マリンバイオ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魚介類の麻酔方法および装置
JP2017023023A (ja) 2015-07-17 2017-02-02 威一郎 藤川 魚介類の麻酔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63300A (ja) * 1974-11-19 1976-06-01 Hisamitsu Shoji Katsugyonpanyosuiso
JPS6460321A (en) * 1987-08-28 1989-03-07 Seitetsu Kagaku Co Ltd Sleep-inducing method for aquatic animal
EP0306570A1 (en) * 1987-09-08 1989-03-15 Seitetsu Kagaku Co., Ltd. Method for anesthetizing aquatic animals
JPH01144916A (ja) * 1987-12-01 1989-06-07 Nippon Shokuhin Hozou Kenkyusho:Kk 寒冷炭酸ガス麻酔による活魚輸送法
CN2079415U (zh) * 1990-03-30 1991-06-26 孙乔良 多功能活鱼运输箱
US5205237A (en) * 1991-10-18 1993-04-27 Skeggs Leonard T Method and apparatus for growing fish in a recirculating tank
CA2134683A1 (en) * 1992-04-29 1993-10-30 Michael G. Hanrahan Holding tank system
CN1228008A (zh) * 1996-06-24 1999-09-08 德克萨斯州立大学董事会 自动化的闭路循环水产养殖过滤系统
WO2003022041A1 (en) * 2001-09-12 2003-03-20 Cumminscorp Limited An aquaculture system
DK176718B1 (da) * 2005-03-23 2009-04-20 Maersk As System og fremgangsmåde til transport af levende vanddyr
US7210425B1 (en) * 2006-04-14 2007-05-01 Bill Battle Molded fish transport tank
WO2011150463A1 (en) * 2010-06-04 2011-12-08 Challenger Institute Of Technology Live aquatic animal transport system and method
CN103081848A (zh) * 2013-02-07 2013-05-08 刘富来 鱼类休眠诱导的无水运输装置及其实施方法
WO2016025448A2 (en) * 2014-08-13 2016-02-18 Akeso Biomedical, Inc. Antimicrobial compounds and compositions, and uses thereof
CN204350881U (zh) * 2014-11-13 2015-05-27 成都鑫汇达物流有限公司 一种可调节水中溶氧和二氧化碳浓度的活鱼运输车
FR3035298B1 (fr) * 2015-04-22 2017-04-14 Air Liquide France Ind Procede pour anesthesier des poissons au dioxyde de carbone
ES2877900T3 (es) 2017-06-15 2021-11-17 Nikken Lease Kogyo Co Ltd Sistema de mantenimiento de anestesia y método de mantenimiento de la anestesia para peces y marisco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9212A (ja) * 1995-07-05 1997-01-21 Iseki & Co Ltd 芝刈機
JP4951736B2 (ja) 2006-08-30 2012-06-13 林兼産業株式会社 魚の麻酔装置
JP2014039514A (ja) * 2012-08-23 2014-03-06 Marine Biotechnology:Kk 魚介類の麻酔方法および装置
JP5897133B2 (ja) 2014-02-17 2016-03-30 マリンバイオ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魚介類の麻酔方法および装置
JP2017023023A (ja) 2015-07-17 2017-02-02 威一郎 藤川 魚介類の麻酔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7418814A1 (en) 2020-02-06
AU2017418814B2 (en) 2020-03-05
TW201904435A (zh) 2019-02-01
JPWO2018229940A1 (ja) 2019-06-27
CN110809400A (zh) 2020-02-18
US10772306B2 (en) 2020-09-15
CN110809400B (zh) 2021-09-10
ES2877900T3 (es) 2021-11-17
EP3639659A1 (en) 2020-04-22
PH12019502760A1 (en) 2020-10-26
TWI652016B (zh) 2019-03-01
EP3639659A4 (en) 2020-07-08
US20200100477A1 (en) 2020-04-02
WO2018229940A1 (ja) 2018-12-20
KR102165759B1 (ko) 2020-10-14
EP3639659B1 (en) 2021-04-21
JP6236575B1 (ja) 2017-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08025A (ko) 어개류의 관리 방법, 마취 유지 장치, 마취 유지 시스템, 마취 유지 방법 및 운반 방법
CA2938507C (en) Method and device for anesthetizing fish and shellfish
JP4951736B2 (ja) 魚の麻酔装置
CN1015953B (zh) 活鱼运输方法和设备
JPWO2017110296A1 (ja) 脱窒装置および水生生物飼育システム
CN106103270A (zh) 在包括至少两个压载舱的船中用于处理压载水的方法和用于处理压载水的系统
JP2019083715A (ja) 活魚輸送システム、低ストレス輸送と活魚輸送機材
CN108419723A (zh) 一种海水石斑鱼的二氧化碳麻醉方法
CN106719264A (zh) 短蛸苗种增殖放流的活体运输方法
JP2019000090A (ja) 魚介類の管理方法、麻酔維持装置、麻酔維持システム、麻酔維持方法および運搬方法
JPH0556735A (ja) 生餌携行箱
JP2017099331A (ja) 鮮度維持装置及び鮮度維持方法
JP2013165699A (ja) 水棲動物の保存および輸送方法
JP2004208648A (ja) 魚介類生息水の活性化システム
JP2016198096A (ja) 魚介類処理装置、魚介類の処理方法、冷凍された魚介類及び冷凍された魚介類の蘇生方法
CN216292646U (zh) 一种鱼类运输装置
KR20130017582A (ko) 어류 산소마취 가공 및 감칠맛 증가 방법
JPS6127014B2 (ko)
JP4802483B2 (ja) 気体供給装置
WO2021030920A1 (es) Sistema y método para el traslado de biomasa
JPS5818049B2 (ja) 活魚の収容装置
JPH01139385A (ja) 活魚輸送方法
JPH04354588A (ja) 水の活性化装置
JPH0249526A (ja) 生きたイカの輸送方法
JPH04271736A (ja) 生魚貝類用水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