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4747A - 엘리베이터 시스템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4747A
KR20200004747A KR1020190062465A KR20190062465A KR20200004747A KR 20200004747 A KR20200004747 A KR 20200004747A KR 1020190062465 A KR1020190062465 A KR 1020190062465A KR 20190062465 A KR20190062465 A KR 20190062465A KR 20200004747 A KR20200004747 A KR 202000047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floor
boarding car
stop floor
sto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24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겐이치 기쿠야마
마사시 혼다
다로 아나이
Original Assignee
도시바 엘리베이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시바 엘리베이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시바 엘리베이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047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47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02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 B66B1/06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 B66B1/14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with devices, e.g. push-buttons, for indirect control of movements
    • B66B1/16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with devices, e.g. push-buttons, for indirect control of movements with means for storing pulses controlling the movements of a single car or c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 B66B3/02Position or depth indic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발명의 명칭)
엘리베이터 시스템
(기술분야)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정지층까지의 소요 시간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과제] 이용자가 다음에 정지하는 층까지의 소요 시간을 용이하게 파악 가능한 표시기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탑승카(1)의 현재층, 및 탑승카가 제1 정지층을 출발하고 나서 제2 정지층에 도착할 때까지의 기준이 되는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기(4)와, 표시기(4)에 있어서의 표시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6)를 구비한다. 제어 장치(6)는, 정보를 현재층의 표시의 주위에 표시시킨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시스템{ELEVATOR SYSTEM}
본 출원은, 일본 특허 출원 제2018-127537호(출원일 : 2018. 7. 4)를 기초로 하여, 이 출원으로부터 우선의 이익을 향수한다. 본 출원은, 이 출원을 참조함으로써, 동 출원의 내용 모두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정지층까지의 소요 시간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의 현재의 운행 상황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는, 종래부터 카 위치를 램프 또는 LED의 점등 등에 의해 이용자에게 알리는 방식의 것이 주류였다. 근년에는, 이 인디케이터에 액정 패널이 사용됨으로써, 인디케이터에 종래보다도 다채로운 표시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긴급 시에는, 주의 환기를 위한 메시지, 가이던스 등을 인디케이터에 표시시킬 수 있다.
엘리베이터의 카의 승차 시간을 이용자에게 알리기 위해, 예를 들어 카 내에 마련된 표시 장치에 현재층뿐만 아니라 다음에 정지하는 층(이하, 다음 정지층이라 함)을 표시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이용자는, 다음 정지층의 표시만으로는 소요 시간을 용이하게 파악하지 못한다. 또한, 예를 들어 현재층, 다음 정지층 등을 표시시키는 표시 장치와는 별도로, 소요 시간을 표시시키는 장치가 별도 설치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다른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현재층의 표시와 소요 시간의 표시가 이격되어 버리기 때문에, 이용자에게 있어서 시인성이 나쁘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용자가 다음에 정지하는 층까지의 소요 시간을 용이하게 파악 가능한 표시기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탑승카의 현재층, 및 상기 탑승카가 제1 정지층을 출발하고 나서 제2 정지층에 도착할 때까지의 기준이 되는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기와, 상기 표시기에 있어서의 표시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한다.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정보를 상기 현재층의 표시의 주위에 표시시킨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이용자가 다음에 정지하는 층까지의 소요 시간을 용이하게 파악 가능한 표시기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동 실시 형태에 관한 표시기의 표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동 실시 형태에 관한 표시기에 있어서의 경과 시간 표시의 제1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동 실시 형태에 관한 표시기에 있어서의 경과 시간 표시의 제2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동 실시 형태에 관한 대기 경과 시간 표시 처리의 일례를 설명하는 흐름도.
도 6은 동 실시 형태에 관한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되는 속도 패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표시기에 있어서의 경과 시간 표시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동 실시 형태에 관한 경과 시간 표시 처리의 일례를 설명하는 흐름도.
이하에 설명하는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카 조작반의 표시기인 액정 인디케이터에 있어서, 이용자가 다음 정지층까지의 시간을 시각에 의해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1대의 탑승카를 갖는 싱글카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상정하여 설명하지만, 예를 들어 1개의 승강로 중에 복수대의 탑승카를 갖는 멀티카의 엘리베이터 시스템, 또는, 복수대의 탑승카를 갖는 군 관리 시스템 등에 대해서도 적용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있어서는, 탑승카(1)의 승강구에 카 도어(2)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카 도어(2)의 옆에는, 조작반(3)이 설치되어 있다.
조작반(3) 상에는, 엘리베이터 승객이 탑승카(1)를 제어하기 위한 각종 버튼이 구비되어 있다. 예를 들어, 조작반(3) 상에는, 각 층의 행선층 버튼 외에, 도어 개방 버튼, 도어 폐쇄 버튼, 비상 호출 버튼 등이 마련된다. 도어 개방 버튼은, 카 도어(2)의 개방을 지시할 때 사용된다. 도어 폐쇄 버튼은, 카 도어(2)의 폐쇄를 지시할 때 사용된다. 비상 호출 버튼은, 외부(예를 들어, 건물의 감시실 혹은 원격지에 존재하는 엘리베이터의 감시 센터 등)와 연락할 때 사용된다.
조작반(3)은,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EL 제어 장치)(5)에 접속되어 있다. 탑승카(1) 내의 이용자가 조작반(3) 상의 임의의 버튼을 조작하면, 당해 버튼의 조작 신호가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5)에 송신된다.
또한, 조작반(3)은 터치 패널에 의해 구성되어도 된다. 터치 패널은, 오브젝트(예를 들어, 이용자의 손가락 등)가 접촉한 화면 상의 위치를 검출 가능한 포인팅 디바이스이다.
표시기(4)는, 탑승카(1) 내의 이용자에 대해, 엘리베이터의 운행 상태 등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장치이다. 표시기(4)는, 탑승카(1)의 현재층을 표시한다. 표시기(4)는, 탑승카(1)가 다음 정지층에 도착할 때까지의 기준이 되는 정보를, 현재층의 주위에 표시한다. 또한, 표시기(4)는 운전 방향을 표시해도 된다. 이하에서는, 운전 방향은 상방향 또는 하방향 중 어느 것인 것으로 하여 설명한다.
표시기(4)는, 디스플레이(표시 화면)를 포함한다. 당해 디스플레이 상에는, 카 내 인디케이터로서 운전 방향, 현재 위치 등을 포함하는 각종 메시지가 표시된다. 또한, 표시기(4)는, 예를 들어 LCD(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EL(Organic Electro-Luminescense) 등에 의해 구성되지만, 특별히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5)는, 탑승카(1)의 운전 제어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전체의 제어를 행한다.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5)는, CPU, ROM, RAM 등을 구비한 컴퓨터를 포함하고, 예를 들어 ROM 등에 소정의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CPU가 당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5)는, 엘리베이터 전체의 제어에 필요한 기능을 실현한다.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5)는, 예를 들어 운전 제어부(51), 등록 제어부(52) 등을 포함한다.
운전 제어부(51)는, 후술하는 행선층 관리용 테이블 T2에 등록된 행선층(카 호출)의 정보에 기초하여 탑승카(1)의 운전을 제어한다. 또한, 운전 제어부(51)는, 조작반(3) 상의 각종 버튼의 조작 신호에 기초하여, 카 도어의 개방 동작 또는 폐쇄 동작, 외부와의 통신 등을 행한다.
또한, 운전 제어부(51)는, 엘리베이터의 운행 속도의 패턴(이하, 속도 패턴이라 함)을 저장하기 위한 테이블 T1을 포함한다. 속도 패턴이란, 탑승카(1)가 움직이기 시작하고 나서 정지할 때까지의 시간에 어떤 속도로 이동하는지를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속도 패턴은, 예를 들어 경과 시간과 속도의 조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테이블 형식으로 나타내어진다. 또한, 속도 패턴은, 테이블 형식 이외의 형식으로 저장되어 있어도 된다. 속도 패턴의 구체예는, 도 6에서 후술한다.
등록 제어부(52)는, 행선층 관리용 테이블 T2를 포함한다. 등록 제어부(52)는, 이용자에 의해 조작반(3) 상의 임의의 층의 행선층 버튼이 조작되었을 때, 행선층 버튼에 대응한 행선층의 정보를 행선층 관리용 테이블 T2에 등록한다. 또한, 등록 제어부(52)는, 이용자에 의해 등록된 행선층을 취소하는 조작이 행해진 경우에, 등록된 행선층의 정보를 취소한다. 이 취소 조작이 행해진 경우, 등록 제어부(52)는, 예를 들어 이미 등록된 행선층의 개수와 탑승카(1)의 착상 제어의 타이밍에 기초하여 당해 행선층의 취소 가부를 판단하고, 취소가 가능한 경우에 테이블 T2로부터 당해 행선층의 등록을 취소한다.
또한, 예를 들어 임의의 층의 승강장의 이용자에 의해 탑승카(1)가 호출된 경우(즉, 승강장 호출이 행해진 경우), 이 승강장 호출이 행해진 층도 행선층으로서 테이블 T2에 등록된다.
표시 제어 장치(6)는, 엘리베이터의 운행 상황에 기초하여 표시기(4)의 표시 제어를 행하여, 표시기(4)의 디스플레이 상에 다양한 표시를 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표시 제어 장치(6)는, 탑승카(1)의 현재층 표시, 다음 정지층까지의 탑승카(1)의 운전의 진척율을 나타내는 소정의 표시, 운전 방향 표시 등을 생성하고, 표시기(4)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표시 제어 장치(6)는, CPU, ROM, RAM 등을 구비한 컴퓨터를 포함하고, 예를 들어 ROM 등에 소정의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CPU가 당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표시 제어에 필요한 기능이 실현된다. 또한, 표시 제어 장치(6) 및 표시 제어 장치(6)가 실현하는 기능은,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5)에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표시기(4)의 표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표시 제어 장치(6)는, 표시기(4)의 디스플레이(이하, 표시 화면이라 함) 상에, 운전 방향 표시 A, 다음 정지층까지의 탑승카(1)의 운전의 진척율을 나타내는 표시 B, 현재층 표시 N 등을 표시한다.
현재층 표시 N은, 현재의 탑승카(1)의 위치에 대응하는 층을 나타낸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현재층 표시 N은, 기호, 숫자 혹은 문자, 또는 이들의 조합 등이다.
운전 방향 표시 A는, 현재의 탑승카(1)의 운전 방향을 나타낸다. 운전 방향 표시 A는, 예를 들어 화살표 등이다. 예를 들어 탑승카(1)가 상승 운전을 행하고 있을 때는, 운전 방향 표시 A는 상향의 화살표이다. 한편, 탑승카(1)가 하강 운전을 행하고 있을 때는, 운전 방향 표시 A는 하향의 화살표이다.
또한, 운전 방향 표시 A는, 탑승카(1)가 상승 운전을 행하고 있을 때는, 표시 화면에 있어서 현재층 표시 N 위에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탑승카(1)가 하강 운전을 행하고 있을 때는, 운전 방향 표시 A는, 표시 화면에 있어서 현재층 표시 N 아래에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이용자는, 현재층으로부터 어느 쪽을 향하여 엘리베이터가 움직이고 있는지를 직감적으로 또한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이용자의 편리성이 향상된다.
또한, 운전 방향 표시 A는 생략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탑승카(1)의 이용자가 운전 방향을 식별 가능한 표시이면, 다른 표시로 대체되어도 된다.
표시 제어 장치(6)는, 현재층 표시 N의 주위에, 탑승카(1)의 다음 정지층까지의 운행의 진척율을 나타내는 표시 B를 표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표시 B는, 탑승카(1)가 어떤 정지층을 출발하고 나서 다음 정지층에 도착할 때까지의 소요 시간에 대한, 현재까지 경과한 시간의 비율을 나타내고 있다. 이하, 표시 B에 대하여, 도 3을 사용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표시기(4)에 있어서의 경과 시간 표시의 제1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3은 탑승카(1)가 정지층을 출발하고 나서 다음 정지층에 도착할 때까지의 어떤 시점에 있어서의 표시기(4)의 표시 화면을 나타내고 있다.
표시 B는, 경과 시간 표시 C 및 잔여 시간 표시 D를 포함한다. 또한, 잔여 시간 표시 D는, 표시 화면 상에 묘화되지 않아도 되고, 또는, 경과 시간 표시 C와 상이한 양태로 표시되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경과 시간 표시 C는 실선 등에 의해 표시되고, 잔여 시간 표시 D는 점선 등에 의해 표시되어도 된다. 이하에서는, 잔여 시간 표시 D는 표시되지 않는 것으로서 설명한다. 이용자는, 표시 B 중 묘화된 경과 시간 표시 C를 제외한 잔여 시간 표시 D를 인식하여, 다음 정지층까지의 시간을 파악할 수 있다.
표시 제어 장치(6)는, 탑승카(1)가 운전을 개시할 때, 임의의 점으로부터 경과 시간 표시 C의 묘화를 개시한다. 다음에, 표시 제어 장치(6)는, 탑승카(1)의 운전 중에, 탑승카(1)가 다음 정지층에 도착할 때 경과 시간 표시 C가 현재층 표시 N의 주위를 일주하도록, 경과 시간 표시 C의 묘화를 계속한다. 그리고, 표시 제어 장치(6)는, 탑승카(1)가 다음 정지층에 도착할 때 경과 시간 표시 C의 묘화를 완료한다.
또한, 표시 B(경과 시간 표시 C 및 잔여 시간 표시 D)는, 현재층 표시 N의 주위에, 현재층 표시 N을 둘러싸도록 표시되는 것이면, 어떤 형상의 것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표시 B는, 예를 들어 타원, 다각형, 또는 이들과 유사한 도형 등이어도 된다.
이하에서는, 편의상, 경과 시간 표시 C는 원형(원주)인 것으로 하여 설명한다. 즉, 현재층 표시 N의 주위에는 경과 시간 표시 C로서 원주가 표시된다. 경과 시간 표시 C는, 탑승카(1)가 정지층을 출발할 때 묘화가 개시되고, 탑승카(1)가 다음 정지층에 도착할 때까지 시간의 경과와 함께 원주 상에 묘화되고, 탑승카(1)가 다음 정지층에 도착할 때 원주가 된다.
또한, 경과 시간 표시 C의 묘화는, 표시 B의 주위 상이면 어느 위치로부터도 개시할 수 있지만, 이하에서는, 표시 B가 원형인 경우의 0도의 기선 위치(환언하면, 표시 B를 시계로 간주한 경우의 12시에 상당하는 위치)로부터 묘화 개시되는 것으로 한다. 이에 의해, 이용자는 표시 B가 경과 시간을 표시하는 것으로서 인식하기 쉬워진다.
도 4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표시기(4)에 있어서의 경과 시간 표시의 제2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에서는, 탑승카(1)가 정지층을 출발할 때 묘화가 소거된다. 즉, 도 4에 있어서 경과 시간 표시 C는, 탑승카(1)가 정지층을 출발할 때 이미 원주의 상태로 묘화되어 있고, 탑승카(1)가 다음 정지층에 도착할 때까지 시간의 경과와 함께 원주형으로 소거되어, 탑승카(1)가 다음 정지층에 도착할 때 비표시 상태가 된다.
이용자는, 표시 B 중 미소거의 경과 시간 표시 C를 인식하고, 다음 정지층까지의 시간을 파악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경과 시간 표시 C의 양태는, 탑승카(1)의 운전 방향에 기초하여 전환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탑승카(1)가 상승 운전을 행할 때는, 경과 시간 표시 C는, 비표시 상태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묘화된다. 한편, 탑승카(1)가 하강 운전을 행할 때는, 경과 시간 표시 C는, 원주의 상태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소거된다. 이에 의해, 이용자는, 보다 직감적으로 탑승카(1)의 운전 방향과 다음 정지층 도착까지의 잔여 시간을 파악할 수 있다.
도 5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대기 경과 시간 표시 처리의 일례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5에 있어서, 탑승카(1)는 임의의 층에 정지 중인 것으로 한다.
스텝 S101에 있어서, 표시 제어 장치(6)는, 탑승카(1)의 다음 정지층이 결정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표시 제어 장치(6)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5)의 테이블 T2를 판독하고, 다음 정지층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또한, 표시 제어 장치(6)는, 예를 들어 폴링 등에 의해 정기적으로 테이블 T2를 판독해도 되고, 또는, 등록 제어부(52)로부터 다음 정지층이 결정되었다는 취지의 통지를 수신해도 된다. 다음 정지층이 결정되지 않은 경우, 표시 제어 장치(6)는 다음 정지층이 결정될 때까지 대기한다.
한편, 다음 정지층이 결정된 경우, 스텝 S102에 있어서, 운전 제어부(51)는 테이블 T1로부터 다음 정지층까지의 속도 패턴을 판독한다. 운전 제어부(51)는, 판독된 속도 패턴에 기초하여, 탑승카(1)의 운전 제어를 행한다. 판독된 속도 패턴은, 표시 제어 장치(6)에도 송신된다. 또한, 속도 패턴의 상세에 대해서는, 도 6을 사용하여 후술한다.
스텝 S103에 있어서, 표시 제어 장치(6)는, 스텝 S102에서 얻어진 속도 패턴에 기초하여, 현재 정지 중인 층으로부터 다음 정지층까지의 소요 시간을 산출한다. 이 소요 시간은, 예를 들어 다음 정지층까지의 거리를, 속도 패턴을 사용하여 얻어지는 다음 정지층까지의 평균 속도로 제산함으로써 구해진다.
스텝 S104에 있어서, 표시 제어 장치(6)는, 탑승카(1)가 정지하고 있던 층으로부터 다음 정지층을 향하여 진행한 시간에 따라서, 경과 시간 표시 C를 묘화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표시 제어 장치(6)는, 스텝 S103에서 산출한 다음 정지층까지의 소요 시간을 표시 B의 일주의 길이와 대응시킨다. 표시 제어 장치(6)는, 탑승카(1)가 정지하고 있던 층을 출발하고 나서의 경과 시간에 상당하는 길이의 경과 시간 표시 C를 묘화한다.
예를 들어, 표시 B가 원주(360도)이며, 다음 정지층까지의 소요 시간이 60초인 경우에 있어서, 탑승카(1)가 정지하고 있던 층을 출발하여 10초가 경과한 시점에서는, 표시 제어 장치(6)는, 표시 B의 묘화 개시 위치로부터 60도 만큼의 경과 시간 표시 C를 묘화한다.
스텝 S105에 있어서, 표시 제어 장치(6)는, 예를 들어 운전 제어부(51)에 문의함으로써, 탑승카(1)가 다음 정지층에 도착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탑승카(1)가 다음 정지층에 도착한 경우에는, 스텝 S106에 있어서, 표시 제어 장치(6)는, 경과 시간 표시 C의 묘화를 종료한다. 한편, 탑승카(1)가 다음 정지층에 도착하지 않은 경우에는, 표시 제어 장치(6)는, 탑승카(1)가 다음 정지층에 도착할 때까지 스텝 S104의 경과 시간 표시 C의 묘화를 반복한다.
또한, 경과 시간 표시 C의 묘화를 행할 때, 이하의 스텝 S107, S10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 제어 장치(6)는 소요 시간의 수정 처리를 실행해도 된다.
스텝 S107에 있어서, 표시 제어 장치(6)는, 예를 들어 운전 제어부(51)로부터 취득한 탑승카(1)의 실제의 속도와, 속도 패턴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탑승카(1)의 현재의 속도의 어긋남을 산출한다. 표시 제어 장치(6)는, 당해 어긋남이 소정의 값 이상인 경우에, 양자간에 어긋남이 발생하였다고 판정한다.
스텝 S108에 있어서, 표시 제어 장치(6)는, 탑승카(1)의 실제의 속도에 기초하여, 소요 시간을 수정(갱신)한다. 탑승카(1)의 실제의 속도란, 예를 들어 현시점에 있어서의 탑승카(1)의 평균 속도 등이다.
스텝 S108에 있어서 소요 시간을 수정한 후, 처리는 다시 스텝 S104로 되돌아간다. 이 스텝 S104에 있어서는, 스텝 S108에 있어서 수정된 소요 시간을 사용하여 경과 시간 표시 C가 묘화된다.
이와 같이 소요 시간을 수정함으로써, 보다 정밀도가 높은 경과 시간 표시 C의 묘화가 가능해진다. 또한, 이 소요 시간의 수정 처리는 생략 가능하다.
또한, 스텝 S102 내지 S108에서는, 소요 시간에 기초하여 경과 시간 표시 C가 묘화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이 소요 시간 대신에, 다음 정지층까지의 거리에 기초하여 경과 시간 표시 C가 묘화되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표시 제어 장치(6)는 탑승카(1)의 정지층으로부터 다음 정지층까지의 거리를 표시 B의 일주의 길이와 대응시킨다. 표시 제어 장치(6)는, 탑승카(1)가 정지하고 있던 층을 출발하고 나서 진행한 거리에 기초하는 길이의 경과 시간 표시 C를 묘화한다.
예를 들어, 표시 B가 원주(360도)이며, 다음 정지층까지의 거리가 30m인 경우에 있어서, 탑승카(1)가 정지하고 있던 층을 출발하여 10m 진행한 시점에서는, 표시 제어 장치(6)는, 표시 B의 묘화 개시 위치에 대하여 120도 만큼의 경과 시간 표시 C를 묘화한다.
이와 같이, 탑승카(1)가 실제로 진행한 거리에 기초하여 경과 시간 표시 C를 행함으로써, 탑승카(1)의 다음 정지층까지의 운행의 진척율을 정확하게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다음 정지층의 설정은, 테이블 T2의 상태에 따라서, 엘리베이터의 운전 중에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의 운전 중에, 이용자가 행선층 버튼을 압하한 경우, 혹은 압하한 행선층 버튼을 캔슬한 경우, 또는, 이용자가 승강장측에서 탑승카(1)를 호출한 경우, 테이블 T2는 갱신된다.
표시 제어 장치(6)는, 갱신된 테이블 T2를 확인하고, 테이블 T2 내에 현재의 다음 정지층보다도 가까운 행선층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다음 정지층 표시(43)를 현재의 탑승카(1)의 위치에 가장 가까운 행선층으로 변경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이와 같이 다음 정지층의 설정이 변경된 경우에, 거리 또는 소요 시간의 갱신이 행해짐과 함께, 경과 시간 표시 C의 묘화에도 변화가 가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과 시간 표시 C의 변화의 제1 예로서, 변경 후의 다음 정지층이 변경 전의 다음 정지층보다도 현재층에 가까워진 경우에는, 경과 시간 표시 C의 묘화 속도가 빨라지고, 변경 후의 다음 정지층이 변경 전의 다음 정지층보다도 현재층으로부터 멀어진 경우에는, 경과 시간 표시 C의 묘화 속도가 느려진다. 이에 의해, 경과 시간 표시 C는, 다음 정지층이 변경되었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1주분의 묘화로 다음 정지층에 도착한다는 표시로 통일되기 때문에, 이용자의 시인성이 향상된다.
경과 시간 표시 C의 변화의 제2 예로서, 다음 정지층의 설정이 변경된 시점에서 현재까지의 경과 시간 표시 C의 묘화가 소거됨과 함께, 다시 경과 시간 표시 C의 묘화가 개시된다. 이에 의해, 경과 시간 표시 C가 크게 변화되기 때문에, 이용자는 다음 정지층이 변화된 것을 보다 파악하기 쉬워진다.
도 6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되는 속도 패턴의 일례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의 그래프에 있어서, 종축은 속도를 나타내고, 횡축은 시간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 탑승카의 운전 속도 및 그 변화 패턴은, 정지층까지의 거리에 기초하여 미리 정해져 있는 경우가 많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다음 정지층까지의 거리에 따라서 상이한 속도 패턴이 테이블 T1에 저장된다. 운전 제어부(51)는, 다음 정지층까지의 거리에 기초하여, 최적의 속도 패턴을 테이블 T1로부터 판독한다.
또한, 탑승카(1)가 이동 중에 다음 정지층이 변경된 경우에는, 예를 들어 운전 제어부(51)는, 다음 정지층이 변경된 탑승카(1)의 위치와 다음 정지층의 위치에 기초하여 최적의 속도 패턴을 재선택한다. 그리고, 운전 제어부(51)는, 변경 후의 속도 패턴에 기초하여, 탑승카(1)의 속도를 변경한다. 상술한 소요 시간에 대해서도, 변경 후의 속도 패턴에 기초하여 수정된다.
그래프 V1은, 탑승카(1)가 제1 정지층을 출발하고 나서 제2 정지층에 도착할 때까지의 속도 패턴을 나타내고 있다. 그래프 V1에 있어서는, 시각 t1에서 다음 정지층에 도착한다. 그래프 V1에 있어서, 탑승카(1)의 속도는, 제1 정지층을 출발하고 나서 서서히 상승하고, 소정 기간 일정 속도에 도달한 후, 제2 정지층에 도착할 때 서서히 하강한다. 이 그래프 V1의 평균 속도는, 속도 AV1이 된다.
마찬가지로, 그래프 V2는, 탑승카(1)가 제1 정지층을 출발하고 나서 제3 정지층에 도착할 때까지의 속도 패턴을 나타내고 있다. 그래프 V2에 있어서는, 시각 t2에서 다음 정지층에 도착한다. 그래프 V2에 있어서, 탑승카(1)의 속도는, 제1 정지층을 출발하고 나서 서서히 상승하고, 그래프 V1과 동일한 일정 속도에 도달한 후, 제3 정지층에 도착할 때 서서히 하강한다. 이 그래프 V2의 평균 속도는, 속도 AV2가 된다.
도 6의 예에 있어서는, 제2 정지층은 제3 정지층보다도 하층이다. 즉, 정지층까지의 거리가 짧을수록, 탑승카(1)가 상기 일정 속도에 도달하고 나서 감속을 개시하는 타이밍도 빨라진다.
또한, 속도 AV1(및/또는 속도 AV2)은 그래프 V1(및/또는 그래프 V2)에 기초하여 미리 산출되어, 테이블 T1 등에 저장되어도 된다.
(제2 실시 형태)
다음에, 제2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탑승카(1)의 다음 정지층까지의 운행의 진척율이 표시 B로서 표시 화면에 표시되었다. 한편,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동일한 운전 방향으로 최종적으로 탑승카(1)가 도달하는 층(이하, 목적층이라 함)까지의 운행의 진척율이 표시 B로서 표시 화면에 표시된다. 또한, 목적층까지 정지(정차)하는 층은 도중 정지층(도중 정차층)으로서 표시 화면에 표시된다. 이에 의해, 이용자는, 가장 최근의 정지층뿐만 아니라, 탑승카(1)의 행선 및 그 소요 시간을 직감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도 7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표시기에 있어서의 표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표시 제어 장치(6)는, 도 2와 마찬가지로, 표시 화면 상에 운전 방향 표시 A, 탑승카(1)의 목적층까지의 운행의 진척율을 나타내는 표시 B, 현재층 표시 N을 표시한다. 또한, 도 3과 마찬가지로, 표시 B는, 경과 시간 표시 C 및 잔여 시간 표시 D를 포함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표시 제어 장치(6)는, 상기 표시에 더하여, 도중 정지층 표시 I를 표시한다. 도중 정지층 표시 I는, 표시 B의 근방에 표시된다.
구체적으로는, 도중 정지층 표시 I는, 목적층까지의 소요 시간에 대한 도중 정지층까지의 소요 시간의 비율에 따라서, 또는, 목적층까지의 거리에 대한 도중 정지층까지의 거리의 비율에 따라서, 표시 B 중 당해 비율에 대응하는 위치에 표시된다.
예를 들어, 표시 B가 소요 시간에 기초하여 묘화되는 경우에 있어서, 표시 B가 원주(360도)이며, 목적층까지의 소요 시간이 60초이고, 어떤 도중 정지층까지의 소요 시간이 40초인 경우, 이 도중 정지층을 나타내는 도중 정지층 표시 I는, 표시 B의 묘화 개시 위치로부터 240도의 위치에 묘화된다.
마찬가지로, 예를 들어 표시 B가 거리에 기초하여 묘화되는 경우에 있어서, 목적층까지의 거리가 200m이며, 어떤 도중 정지층까지의 거리가 100m인 경우, 이 도중 정지층을 나타내는 도중 정지층 표시 I는, 표시 B의 묘화 개시 위치로부터 180도의 위치에 묘화된다.
도 8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대기 경과 시간 표시 처리의 일례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8에 있어서는, 표시 B는 소요 시간에 기초하여 묘화되는 것으로서 설명한다. 이 소요 시간 처리는, 표시 B가 거리에 기초하여 묘화되는 경우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 가능하다.
스텝 S301에 있어서, 표시 제어 장치(6)는, 목적층 및 도중 정지층이 결정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표시 제어 장치(6)는, 스텝 S101의 처리와 마찬가지로 테이블 T2를 판독하여, 목적층 및 도중 정지층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목적층이 결정되지 않은 경우, 표시 제어 장치(6)는, 목적층이 결정될 때까지 대기한다. 도중 정지층은 미결정이어도 되고, 또는, 없어도 된다.
스텝 S302에 있어서, 표시 제어 장치(6)는, 스텝 S301에서 도중 정지층이 결정된 경우, 도중 정지층까지의 소요 시간에 기초하여, 도중 정지층 표시 I를 표시한다.
스텝 S303에 있어서, 표시 제어 장치(6)는, 목적층까지의 속도 패턴에 기초하여, 목적층까지의 소요 시간을 산출한다. 또한, 속도 패턴은, 스텝 S102의 처리와 마찬가지로 테이블 T1로부터 얻어진다. 또한, 표시 제어 장치(6)는, 스텝 S103의 처리와 마찬가지로, 얻어진 속도 패턴에 기초하여, 현재 정지 중인 층으로부터 목적층까지의 소요 시간을 산출한다.
또한, 현재 정지 중인 층으로부터 목적층까지 도중 정지층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도중 정지층으로 구획된 복수의 구간별로 각각 속도 패턴이 판독되고, 이 복수의 속도 패턴에 기초하여 목적층까지의 평균 속도가 산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경우, 현재 정지 중인 층으로부터 목적층까지의 소요 시간에는, 도중 정지층에 있어서의 탑승카(1)의 정지 시간(예를 들어, 이용자의 승강 시간, 도어 개폐에 걸리는 시간 등)은 포함되지 않는다.
스텝 S304에 있어서, 표시 제어 장치(6)는, 다음 정지층까지의 속도 패턴을 판독하여, 다음 정지층까지의 소요 시간을 산출한다. 이 속도 패턴의 판독 처리, 및 소요 시간의 산출 처리에 대해서는, 스텝 S303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스텝 S305에 있어서, 표시 제어 장치(6)는, 탑승카(1)가 정지하고 있던 층으로부터 다음 정지층을 향하여 진행한 시간에 따라서, 경과 시간 표시 C를 묘화한다. 이 묘화 처리의 상세는, 스텝 S104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스텝 S306에 있어서, 표시 제어 장치(6)(또는 운전 제어부(51))는, 목적층 또는 도중 정지층이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도중 정지층이 변경된 경우에는, 처리는 스텝 S302로 되돌아가, 도중 정지층의 표시가 갱신된다. 한편, 도중 정지층이 변경되지 않은 경우에는, 처리는 스텝 S307로 진행된다.
스텝 S307에 있어서, 표시 제어 장치(6)는, 탑승카(1)가 다음 정지층에 도착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탑승카(1)가 다음 정지층에 도착하지 않은 경우에는, 표시 제어 장치(6)는, 탑승카(1)가 다음 정지층에 도착할 때까지 스텝 S305의 경과 시간 표시 C의 묘화를 반복한다.
한편, 탑승카(1)가 다음 정지층에 도착한 경우에는, 스텝 S308에 있어서, 표시 제어 장치(6)는, 탑승카(1)가 목적층에 도착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탑승카(1)가 목적층에 도착하지 않은 경우에는, 처리는 스텝 S304로 되돌아가, 다음 정지층이 갱신된다. 즉, 다음 정지층까지의 소요 시간이 산출된다. 탑승카(1)가 목적층에 도착한 경우에는, 스텝 S309에 있어서, 표시 제어 장치(6)는, 경과 시간 표시 C의 묘화를 종료한다.
또한, 도 5의 스텝 S107, S108에 상당하는 소요 시간의 수정 처리는, 도 8의 경과 시간 표시 처리에 있어서는 생략하고 있지만, 이 소요 시간의 수정 처리는 도 8의 예에 있어서도 적용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각 실시 형태에 따르면, 표시 제어 장치(6)는, 표시기(4)의 표시 화면에 현재층 표시 N을 표시하고, 또한 그 주위에 현재층 표시 N의 방해가 되지 않도록 다음 정지층(또는 목적층)까지의 소요 시간을 나타내는 표시 B를 표시한다. 즉, 이 표시 B는, 일반적으로 주시되는 현재층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있고, 현재층 표시 N과 표시 B의 변화를 관련지어 시인 가능하게 되므로, 이용자에게 있어서 시인성이 좋다.
또한, 표시기(4)에는, 다양한 표시가 가능한 액정 디스플레이 등을 사용하여, 경과 시간 또는 도착까지의 잔여 시간을 연속적(리얼타임)으로 묘화한다. 따라서, 이용자는, 경과 시간 표시 C가 묘화되는 속도와, 표시 B 중 묘화된 경과 시간 표시 C를 제외한 잔여 시간 표시 D를 인식함으로써, 다음 정지층(또는 목적층)까지의 소요 시간을 시각만으로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경과 시간 표시 C에 움직임을 갖게 함으로써, 경과 시간이 증가되어 가는 모습, 또는, 도착까지의 시간이 감소되어 가는 모습을 시각 효과에 의해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이용자는 엘리베이터 승차 시간의 지루함을 견뎌 낼 수 있다. 또한, 이용자는, 경과 시간 표시 C에 의해 파악한 소요 시간에 의해, 그 시간에 따른 행동을 취할 수 있다.
상기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 표시 제어 장치(6)는, 테이블 T1에 저장된 속도 패턴을 사용하여 산출된 평균 속도를 사용하여, 다음 정지층(또는 목적층)까지의 소요 시간을 산출한다. 그리고, 표시 제어 장치(6)는, 소요 시간에 대한 현재까지의 경과 시간의 비율로서 경과 시간 표시 C를 묘화한다. 이에 의해, 탑승카(1)의 속도 변화에 상관없이, 경과 시간 표시 C가 묘화되는 속도는 일정해지기 때문에, 이용자는 다음 정지층(또는 목적층)까지의 시간을 보다 파악하기 쉬워진다.
또한, 표시 제어 장치(6)는, 탑승카(1)가 다음 정지층(또는 목적층)에 정지하고, 경과 시간 표시 C의 묘화가 완료되었을 때, 경과 시간 표시 C의 표시에 변화를 가해도 된다. 당해 변화는, 예를 들어 경과 시간 표시 C 그 자체의 색을 변화시키는 것, 또는, 경과 시간 표시 C의 내측의 색을 변화시키는 것 등이다. 이에 의해, 탑승카(1)가 다음 정지층(또는 목적층)에 정지한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이용자에게 인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몇 가지의 실시 형태를 설명하였지만, 이들 실시 형태는, 예로서 제시한 것이며,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의도하고 있지 않다. 이들 신규의 실시 형태는, 그 밖의 다양한 형태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고,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생략, 치환, 변경을 행할 수 있다. 이들 실시 형태나 그 변형은, 발명의 범위나 요지에 포함됨과 함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발명과 그 균등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8)

  1. 탑승카의 현재층, 및 상기 탑승카가 제1 정지층을 출발하고 나서 제2 정지층에 도착할 때까지의 기준이 되는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기와,
    상기 표시기에 있어서의 표시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정보를 상기 현재층의 표시의 주위에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상기 탑승카가 상기 제1 정지층을 출발하고 나서 상기 제2 정지층에 도착할 때까지의 제1 소요 시간에 대한, 상기 탑승카가 상기 제1 정지층을 출발하고 나서 경과한 시간의 비율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탑승카가 상기 제1 정지층을 출발하고 나서 상기 제2 정지층에 도착할 때까지의 운행의 평균 속도를 산출하고, 상기 평균 속도를 사용하여 상기 제1 소요 시간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탑승카가 상기 제1 정지층과 상기 제2 정지층 사이의 제3 정지층에서 도중 정차하는 경우에, 상기 탑승카가 상기 제1 정지층을 출발하고 나서 상기 제3 정지층에 도착할 때까지의 제2 소요 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정보의 근방이면서 또한 상기 정보에 있어서 상기 제1 소요 시간에 대한 상기 제2 소요 시간의 비율을 나타내는 위치에, 상기 제3 정지층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탑승카의 운행 중에 상기 제2 정지층이 제3 정지층으로 변경된 경우에, 상기 제1 소요 시간이 상기 탑승카가 상기 제1 정지층을 출발하고 나서 상기 제3 정지층에 도착할 때까지의 시간을 나타내도록, 상기 제1 소요 시간을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제1 정지층으로부터 제2 정지층까지의 제1 거리에 대한, 상기 탑승카가 상기 제1 정지층을 출발하고 나서 운행한 거리의 비율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탑승카가 상기 제1 정지층과 상기 제2 정지층 사이의 제3 정지층에서 도중 정차하는 경우에, 상기 제1 정지층으로부터 상기 제3 정지층까지의 제2 거리를 취득하고, 상기 정보의 근방이면서 또한 상기 정보에 있어서 상기 제1 거리에 대한 상기 제2 거리의 비율을 나타내는 위치에, 상기 제3 정지층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탑승카의 운행 중에 상기 제2 정지층이 제3 정지층으로 변경된 경우에, 상기 제1 거리가 상기 제1 정지층으로부터 상기 제3 정지층까지의 거리를 나타내도록, 상기 제1 거리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KR1020190062465A 2018-07-04 2019-05-28 엘리베이터 시스템 KR2020000474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127537 2018-07-04
JP2018127537A JP6673611B2 (ja) 2018-07-04 2018-07-04 エレベータシステ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4747A true KR20200004747A (ko) 2020-01-14

Family

ID=69108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2465A KR20200004747A (ko) 2018-07-04 2019-05-28 엘리베이터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673611B2 (ko)
KR (1) KR20200004747A (ko)
CN (1) CN11068343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06159B (zh) * 2020-05-26 2023-02-03 上海三菱电梯有限公司 用于表示电梯的行程进度信息的标识和显示方法及电梯显示装置
CN112357706B (zh) * 2020-10-28 2022-10-11 上海三菱电梯有限公司 电梯显示装置
CN113955599B (zh) * 2021-10-15 2022-12-20 上海三菱电梯有限公司 电梯轿厢位置显示方法与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75983A (ja) * 1986-05-22 1987-11-30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タの表示装置
JPH0472281A (ja) * 1990-07-11 1992-03-06 Toshiba Corp 群管理エレベータのかご内時間表示装置
KR100617379B1 (ko) * 2002-04-12 2006-08-29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의 표시시스템 및 표시방법
JP4289600B2 (ja) * 2003-02-18 2009-07-01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待ち時間表示システム
JP2006001742A (ja) * 2004-06-18 2006-01-05 Inventio Ag 乗客にエレベータ設備について知らせる装置と方法
JP2007031085A (ja) * 2005-07-27 2007-02-08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
WO2007108168A1 (ja) * 2006-03-20 2007-09-27 Hitachi, Ltd. エレベータかご内の情報表示装置
JP2008156081A (ja) * 2006-12-25 2008-07-10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表示システム
KR20130063047A (ko) * 2011-12-06 2013-06-14 윤시형 엘리베이터 목표 위치 확인
CN103523620B (zh) * 2012-06-28 2016-02-24 株式会社日立建筑系统 电梯用显示装置
CN104671019B (zh) * 2013-11-28 2017-03-22 上海三菱电梯有限公司 电梯的目的楼层显示装置及显示方法
CN107176511B (zh) * 2016-03-09 2021-03-16 奥的斯电梯公司 呼梯控制装置、呼梯控制系统及其呼梯控制方法
CN107814282B (zh) * 2016-09-13 2019-07-23 崇友实业股份有限公司 电梯按钮盘及其显示方法
US20180093854A1 (en) * 2016-09-30 2018-04-05 Otis Elevator Company Occupant evacuation operation displ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683433A (zh) 2020-01-14
JP2020007065A (ja) 2020-01-16
JP6673611B2 (ja) 2020-03-25
CN110683433B (zh) 2022-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04747A (ko) 엘리베이터 시스템
US7445090B2 (en) Device and method for elevator information display
JP6039027B1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制御方法
KR20200004746A (ko) 엘리베이터 시스템
JP2011042490A (ja) エレベータ群管理システム
JP4486110B2 (ja) エレベータの表示装置
JP6339273B1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2009215002A (ja) エレベータ制御システム
JP2013018585A (ja) エレベータの群管理システム
JPS63310483A (ja) エレベ−タ−の乗場表示装置
JP5665078B2 (ja) エレベータ
JP2010064865A (ja) エレベータ
JP2009202997A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装置
JP6747379B2 (ja) 携帯端末、プログラム、エレベータの群管理システム、及び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5566702B2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の表示制御装置
JP5081724B2 (ja) エレベーターのかご位置表示装置
JP6524873B2 (ja) エレベータの操作装置
JP2015044652A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6594221B2 (ja) エレベータの信号伝送制御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の信号伝送制御方法
JP2001163539A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5882404B2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6966391B2 (ja) マルチカーエレベーター及びマルチカーエレベーターの制御方法
JP2010018418A (ja) エレベータ制御システム
JP2001302127A (ja) エレベーター運行状態表示装置及びその表示方法
JPH0977399A (ja) エレベーター用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