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4553A - 제주 돼지고기국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제주 돼지고기국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4553A
KR20190134553A KR1020190147114A KR20190147114A KR20190134553A KR 20190134553 A KR20190134553 A KR 20190134553A KR 1020190147114 A KR1020190147114 A KR 1020190147114A KR 20190147114 A KR20190147114 A KR 20190147114A KR 20190134553 A KR20190134553 A KR 201901345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k
water
noodles
sauce
prepa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71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정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마이다스손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마이다스손컴퍼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마이다스손컴퍼니
Priority to KR10201901471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34553A/ko
Publication of KR201901345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45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09Types of pasta, e.g. macaroni or nood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30Mea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50Poultry products, e.g. poultry saus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3/00Soups; Sauc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Nood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주 돼지고기국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돼지고기국수 1인분에 평균 0.7마리분의 닭고기가 포함되도록 육수를 제조하고, 면(麵)은 신체에 유익한 성분이 다량 포함되어 약제로도 사용되는 치자가 포함된 치자면을 사용하며, 고명으로는 제주돼지고기를 사용함으로써, 한 그릇의 국수에 충분한 량의 닭고기 성분과, 제주돼지고기 및 치자가 포함되어 한 그릇의 국수가 보양식(保養食)이 되고 포만감이 오래 지속되는 돼지고기국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니비시소유 150~210g, 양조간장 7~8.3㎏, 양조진간장 3.9~4.8㎏, 굵은 고춧가루 2~2.6㎏을 혼합하여 양념장을 제조하는 양념장 제조단계(S1)와;
양조진간장 0.9~1.3㎏, 2배식초 150~200g, 물 150~200g, 설탕 250~350g을 용기에 넣고 센 불로 끓여주고, 끓기 시작하면 불을 끄고 식힌 뒤에 겨자가루 150~200g과, 물 200~300g을 혼합하여 간장겨자소스를 제조하는 간장겨자소스 제조단계(S2)와;
농축액 2kg, 물 800㎖, 대파뿌리 60~80g을 용기에 넣고 가열하다가 끓기 시작하면 10분 동안 더 끓여서 농축액을 제조하는 농축액 제조단계(S3)와;
생닭의 내장과 꼬리, 기름기를 제거한 뒤에 찬물로 세척한 닭고기를 용기에 넣고 가열하다가 끓기 시작하면, 불을 끄고 찬물을 붓고 저어서 닭고기에 붙어있는 불순물을 제거하여 닭고기를 준비하는 닭고기 준비단계(S4)와;
끓는 물에 치자국수 건면 100~130g을 넣고 가열하여 끓기 시작하면 찬물을 넣어주는 작업을 3~4회 반복 실시하고 불을 끈 뒤에, 찬물로 면발을 헹구어 치자면을 준비하는 치자면 준비단계(S5)와;
찬물에 15분간 담가서 핏기를 빼준 돼지고기 3.8~4.5kg과, 월계수 잎 8~13장, 된장 50~70g, 천일염 5g과, 통후추 20알과, 소주 100~120㎖를 용기에 넣고 돼지고기가 잠길 만큼 물을 붓고, 45~55분간 삶아주는 돼지고기 준비단계(S6)와;
상기 농축액 제조단계(S3)에서 제조된 농축액 2kg과 물 800㎖를 혼합하여 희석 농축액을 준비하고, 닭고기 준비단계(S4)에서 준비된 닭고기 7~10마리와, 희석 농축액 500g과, 물 4.2kg, 울금을 세척하고 썰어서 말린 울금편 100g을 용기에 넣고 가열하며 끓어오르기 시작하면 20분간 끓인 뒤, 물 6.5kg와 증류주 20~30㎖를 넣고 저어서 순한 맛 육수를 제조하는 순한 맛 육수 제조단계(S7)와;
상기 치자면 준비단계(S5)에서 준비된 치자면 100~130g을 따뜻하게 데워진 용기에 담은 뒤에, 그 위에 돼지고기 준비단계(S6)에서 준비된 돼지고기 90~120g을 올린 뒤에, 순한 맛 육수 제조단계(S7)에서 제조된 순한 맛 육수로 1~2회 토렴하는 제1 토렴단계(S8)와;
상기 제1 토렴단계(S8)를 거친 토렴용기의 치자면과, 돼지고기 위에 순한 맛 육수 400~450g을 부운 뒤에, 썬 대파 30g, 참깨가루 5g과, 양념장 제조단계(S1)에서 제조된 양념장 10g과, 올려주는 순한 맛 돼지고기국수 완성단계(S9)를 거쳐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제주 돼지고기국수 제조방법{Jeju pork noodle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제주 돼지고기국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돼지고기국수 1인분에 평균 0.7마리분의 닭고기가 포함되도록 육수를 제조하고, 면(麵)은 신체에 유익한 성분이 다량 포함되어 약제로도 사용되는 치자가 포함된 치자면을 사용하며, 고명으로는 제주돼지고기를 사용함으로써, 한 그릇의 국수에 충분한 량의 닭고기 성분과, 제주돼지고기 및 치자가 포함되어 한 그릇의 국수가 보양식(保養食)이 되고 포만감이 오래 지속되는 돼지고기국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한국의 전통적인 면 요리에는 온면(국수장국), 냉면, 비빔국수, 칼국수, 콩국수 등이 있으며, 여러 가지 곡물을 이용하여 만듦으로써 각각의 곡물이 지닌 독특한 맛과 영양을 살릴 수 있고 소화도 잘 되어 성인은 물론이고 특히 노인이나 어린이들에게 권장할 만한 음식이다.
이러한, 국수는 고추장과 같은 된장 소스에 비벼서 비빔국수로 섭취하거나 더운 장국에 말아서 만든 것을 국수장국을 섭취하였다.
그러나, 전술한 비빔국수나 국수장국은 맛은 있지만 단백질이 포함되지 않아서 영양의 불균형을 초래하였다. 따라서, 국수의 맛도 즐기면서 고기의 씹는 맛과 영양의 불균형을 잡아 줄 수 있는 국수의 제조방법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위와 같은 영양의 불균형을 해결하기 위한 닭국수 제조방법이 개발되었는데, 종래의 닭국수 제조방법은 특허출원 제10-2013-0010410호(발명의 명칭 : 닭국수 제조방법)로 출원되어 특허공보에 의해 알려지고 있다.
상기 종래의 닭국수 제조방법은, 닭육수에 삶은 국수를 넣어 만드는 닭국수에 있어서;
물에 닭, 생강, 양파, 대파, 마늘, 건고추, 북어머리, 국간장, 소금, 월계수잎을 혼합한 상태로 끓여서 육수를 제조하면서, 제조되는 육수에 마른고추, 국간장, 소금, 통후추를 첨가한 상태로 더 끓여서 닭육수를 제조하는 닭육수 제조단계와;
삶아진 닭을 소정의 크기로 찢어서 닭고기고명을 제조하는 닭고기고명제조단계와;
물과 된장을 2:1의 비율로 혼합한 상태로 10~20분 동안 120~150℃로 가열한 후에 하면서 소창으로 걸러서 된장을 제거한 된장육수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설탕 10~20중량부, 소금 10~20중량부, 고추가루 10~20중량부를 혼합한 상태로, 뚜껑을 개방한 용기에 물 500중량부에 침지시켜서 30~60분 동안 120~150℃로 가열하면서 가열되는 액상에 액젓을 1:0.2의 중량비율로 추가로 첨가한 후, 전체량이 70~80%가 될 때까지 가열하여 농축하는 된장 소스 제조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종래발명은 일반적인 국수에서 부족한 영양의 불균형을 잡아 줄 수 있도록 닭고기를 포함하고 있으나, 한 그릇의 국수에 포함되는 닭고기가 고명으로 극히 소량이 포함되는 것임에 따라 충분한 단백질을 보충하지 못하고 닭고기 맛만 내는 정도가 되는 아쉬운 문제가 있다.
그리고, 일반적인 국수는 밀가루국수를 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밀가루국수는 대단히 찬 성질을 지니고 있어서, 체질에 따라 밀가루국수만 먹으면 소화가 안되고 신트림이 올라오며 속이 더부룩하게 되어 밀가루국수를 계속적으로 먹을 경우에는 건강이 염려되고, 운동량이 많은 사람이나 육체노동을 사람들은 밀가루국수가 쉽게 허기가 지게 되어 먹기를 꺼리게 되는 문제가 있다.
특허출원 제10-2013-0010410호(발명의 명칭 : 닭국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돼지고기국수 1인분에 평균 0.7마리분의 닭고기가 포함되도록 육수를 제조하고, 면(麵)은 신체에 유익한 성분이 다량 포함되어 약제로도 사용되는 치자가 포함된 치자면을 사용하며, 고명으로는 제주돼지고기를 사용함으로써, 한 그릇의 국수에 충분한 량의 닭고기 성분과, 제주돼지고기 및 치자가 포함되어 한 그릇의 국수가 보양식(保養食)이 되고 포만감이 오래 지속되는 돼지고기국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니비시소유 150~210g, 양조간장 7~8.3㎏, 양조진간장 3.9~4.8㎏, 굵은 고춧가루 2~2.6㎏을 혼합하여 양념장을 제조하는 양념장 제조단계와;
양조진간장 0.9~1.3㎏, 2배식초 150~200g, 물 150~200g, 설탕 250~350g을 용기에 넣고 센 불로 끓여주고, 끓기 시작하면 불을 끄고 식힌 뒤에 겨자가루 150~200g과, 물 200~300g을 혼합하여 간장겨자소스를 제조하는 간장겨자소스 제조단계와;
농축액 2kg, 물 800㎖, 대파뿌리 60~80g을 용기에 넣고 가열하다가 끓기 시작하면 10분 동안 더 끓여서 농축액을 제조하는 농축액 제조단계와;
생닭의 내장과 꼬리, 기름기를 제거한 뒤에 찬물로 세척한 닭고기를 용기에 넣고 가열하다가 끓기 시작하면, 불을 끄고 찬물을 붓고 저어서 닭고기에 붙어있는 불순물을 제거하여 닭고기를 준비하는 닭고기 준비단계와;
끓는 물에 치자국수 건면 100~130g을 넣고 가열하여 끓기 시작하면 찬물을 넣어주는 작업을 3~4회 반복 실시하고 불을 끈 뒤에, 찬물로 면발을 헹구어 치자면을 준비하는 치자면 준비단계와;
찬물에 15분간 담가서 핏기를 빼준 돼지고기 3.8~4.5kg과, 월계수 잎 8~13장, 된장 50~70g, 천일염 5g과, 통후추 20알과, 소주 100~120㎖를 용기에 넣고 돼지고기가 잠길 만큼 물을 붓고, 45~55분간 삶아주는 돼지고기 준비단계와;
상기 농축액 제조단계에서 제조된 농축액 2kg과, 물 800㎖을 혼합하여 희석 농축액을 준비하고, 닭고기 준비단계에서 준비된 닭고기 7~10마리와, 희석 농축액 500g과, 물 4.2kg, 울금 세척하고 썰어서 말린 울금편 100g을 용기에 넣고 가열하며 끓어오르기 시작하면 20분간 끓인 뒤, 물 6.5kg와 증류주 20~30㎖를 넣고 저어서 순한 맛 육수를 제조하는 순한 맛 육수 제조단계와;
상기 치자면 준비단계에서 준비된 치자면 100~130g을 따뜻하게 데워진 용기에 담은 뒤에, 그 위에 돼지고기 준비단계에서 준비된 돼지고기 90~120g을 올린 뒤에, 순한 맛 육수 제조단계에서 제조된 순한 맛 육수로 1~2회 토렴하는 제1 토렴단계와;
상기 제1 토렴단계를 거친 토렴용기의 치자면과, 돼지고기 위에 순한 맛 육수 400~450g을 부운 뒤에, 썬 대파 30g, 참깨가루 5g과, 양념장 제조단계에서 제조된 양념장 10g을 올려주는 순한 맛 돼지고기국수 완성단계를 거쳐서 제주 돼지고기국수가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주 돼지고기국수 제조방법은, 돼지고기국수 1인분에 평균 0.7마리분의 닭고기가 포함되도록 육수를 제조하고, 면(麵)은 신체에 유익한 성분이 다량 포함되어 약제로도 사용되는 치자가 포함된 치자면을 사용하며, 고명으로는 제주돼지고기를 사용함으로써, 한 그릇의 국수에 충분한 량의 닭고기 성분과, 제주돼지고기 및 치자가 포함되어 한 그릇의 국수가 보양식(保養食)이 되고 포만감이 오래 지속되는 돼지고기국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기본 양념장부터 손님에게 한 그릇의 제주 돼지고기국수를 제공하기 까지 정형화 된 레시피에 따라 제주 돼지고기국수를 제조할 수 있게 하며, 상기 레시피에는 순한 맛, 얼큰한 맛, 매운 맛의 육수 및 소스를 제조하는 단계가 포함됨으로써, 한 그릇의 제주 돼지고기국수를 한 끼의 식사로 먹을 때 소비자가 원하는 맵기의 제주 돼지고기국수를 제공할 수 있어서 소비자에게 만족감을 주게 되는 효과가 있으며, 요리 초보자의 경우에도 항상 균일한 맛을 유지하는 제주 돼지고기국수를 용이하게 조리할 수 있는 매우 실용적인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주 돼지고기국수 제조방법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주 돼지고기국수 제조방법의 이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주 돼지고기국수 제조방법의 삼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제주 돼지고기국수 제조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양념장 제조단계(S1)와, 간장겨자소스 제조단계(S2)와, 농축액 제조단계(S3)와, 닭고기 준비단계(S4)와, 치자면 준비단계(S5)와, 돼지고기 준비단계(S6)와, 순한 맛 육수 제조단계(S7)와, 제1 토렴단계(S9)와, 순한 맛 돼지고기국수 완성단계(S9)를 거쳐 순한 맛을 내는 제주 돼지고기국수가 제조된다.
상기 양념장 제조단계(S1)는 니비시소유 150~210g, 양조간장 7~8.3㎏, 양조진간장 3.9~4.8㎏, 굵은 고춧가루 2~2.6㎏을 혼합하여 양념장을 제조하게 된다.
상기 니비시소유는 일본의 “니비시소유(NIBISHI SHOYU CO.,LTD)”라는 회사에서 만든 단맛(감칠맛)나는 회 간장을 칭하는 것이며, 정제수, 탈지가공대두, 소맥(밀), 소금, 설탕, 포도당과당액당, 카라멜색소, L-글루타민산나트륨(향미증진제), 5′-리보뉴클레오티드이나트륨, 산탄검, 감초, 스테비아, 이산화황(합성보존료)밀, 대두를 포함하여 제조된다.
상기 간장겨자소스 제조단계(S2)는, 양조진간장 0.9~1.3㎏, 2배식초 150~200g, 물 150~200g, 설탕 250~350g을 용기에 넣고 센 불로 끓여주고, 끓기 시작하면 불을 끄고 식힌 뒤에 겨자가루 150~200g과, 물 200~300g을 혼합하여 간장겨자소스를 제조한다.
그리고, 상기 농축액 제조단계(S3)는, 농축액 2kg과, 물 800㎖, 대파뿌리 60~80g을 용기에 넣고 가열하다가 끓기 시작하면 10분 동안 더 끓여서 농축액을 제조한다.
상기 농축액은 정제수, 사골엑기스, 정제소금, 식용유지, ALGID, 마늘농축액, 가쓰오엑기스, L-글루탐산나트륨, 식용유지, 치킨스탁, 무즙농축액, 변성전분, 사골분말, 간장, 생강엑기스, 후추, 5′-리보뉴클레오티드이나트륨, 잔탄검, 합성보존료(파라옥시안식향산에틸)를 혼합하여 제조된다.
상기 닭고기 준비단계(S4)는 내장과 꼬리, 기름기를 제거한 뒤에 찬물로 세척한 55호(550g) 닭고기를 용기에 넣고 가열하다가 끓기 시작하면, 불을 끄고 찬물을 붓고 저어서 닭고기에 붙어있는 불순물을 제거하여 닭고기를 준비하는 것이다.
참고로, 삼계탕으로 사용하는 닭고기는 45호(450g), 55호(550g), 60호(600g) 닭고기를 사용하며, 닭볶음탕용이나 치킨으로 먹는 닭고기와는 종자가 다르고 육질이 단단하기 때문에 작은 닭고기임에도 불구하고 쫄깃한 식감을 느낄 수 있고, 1인 1닭으로 먹기에 적당한 크기의 닭고기이다.
상기 치자면 준비단계(S5)는, 끓는 물에 치자국수 건면 100~130g을 넣고 가열하여 끓기 시작하면 찬물을 넣어주는 작업을 3~4회 반복 실시하고 불을 끈 뒤에, 찬물로 면발을 헹구어 치자면을 준비하는 것이다.
상기 치자는 음식이나 옷을 황색으로 착색할 목적으로 한국이나 중국, 일본 등에서 예전부터 사용되어오고 있으며, 동의보감에서의 치자(梔子)의 효능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동의보감에서의 치자(梔子)는, 『성질은 차며 맛이 쓰고 독이 없다. 가슴과 대소장에 있는 심한 열과 위 안에 있는 열[胃中熱氣], 그리고 속이 답답한 것[煩悶]을 낫게 한다. 열독을 없애고 오림[五淋, 기림(氣淋), 노림(勞淋), 고림(膏淋), 석림(石淋), 혈림(血淋) 등 다섯 가지 종류의 임질]을 낫게 하며 오줌을 잘 나가게 하고 다섯 가지 황달을 낫게 하며 소갈을 멎게 한다. 입안이 마르고 눈이 충혈되며 붓고 아픈 것, 얼굴까지 벌게지는 주사비, 문둥병, 창양(瘡瘍)을 낫게 하고 지충의 독을 없앤다.』라고 설명하고 있다.
상기 돼지고기 준비단계(S6)는 찬물에 15분간 담가서 핏기를 빼준 돼지고기 앞다리살 3.8~4.5kg과, 월계수 잎 8~13장, 된장 50~70g, 천일염 5g과, 통후추 20알과, 소주 100~120㎖를 용기에 넣고 돼지고기가 잠길 만큼 물을 붓고, 45~55분간 삶아서 돼지고기를 준비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순한 맛 육수 제조단계(S7)는, 농축액 제조단계(S3)에서 제조된 농축액 2kg과, 물 800㎖를 혼합하여 희석 농축액을 준비하고, 닭고기 준비단계(S4)에서 준비된 닭고기 7~10마리와, 희석 농축액 500g과, 물 4.2kg, 울금 세척하고 썰어서 말린 울금편 100g을 용기에 넣고 가열하며 끓어오르기 시작하면 20분간 끓인 뒤, 물 6.5kg과, 증류주 20~30㎖를 넣고 저어서 순한 맛 육수를 제조하는 것이다.
상기 제1 토렴단계(S8)는, 상기 치자면 준비단계(S5)에서 준비된 치자면 100~130g을 따뜻하게 데워진 용기에 담은 뒤에, 그 위에 돼지고기 준비단계(S6)에서 준비된 돼지고기 90~120g을 올린 뒤에, 순한 맛 육수 제조단계(S7)에서 제조된 순한 맛 육수로 1~2회 토렴하는 것이다.
그리고, 순한 맛 돼지고기국수 완성단계(S9)는 상기 제1 토렴단계(S8)를 거친 토렴용기에 담긴 치자면과, 돼지고기 위에 순한 맛 육수 400~450g을 부운 뒤에, 썬 대파 30g, 참깨가루 5g과, 양념장 제조단계(S1)에서 제조된 양념장 10g을 올려주는 것이다.
위에서 상기 토렴용기는 온기를 오랫동안 지속할 수 있는 뚝배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토렴용기를 따뜻하게 데우는 것은 뜨거운 물에 담그거나, 또는 불에 달구는 방법이 사용된다.
그리고, 닭고기는 여름철 원기충전을 위한 대표 보양식 중 하나로 바로 단백질과 필수 아미노산이 풍부하며, 따뜻한 성질을 가지고 있어 여름철에 차가운 음식을 많이 먹어 약해지기 쉬운 소화기를 다스리고 혈액 순환 및 면역력 증강에도 도움을 주나, 열 체질인 사람에게는 맞지 않는다.
또한, 돼지고기는 성질이 차고(寒), 열을 내려주는 효과가 있고 열로 대변이 막힌 데와 혈맥이 약해 힘줄과 뼈가 약한 것을 치료한다고 동의보감에 기록하고 있으며, 어린이나 몸이 허약한 사람들에게 기운을 주는 좋은 음식으로 알려지고 있으나, 찬 성질 강해 잘 익혀 먹지 않으면 소화기가 찬 성질을 이겨내지 못해 배앓이를 할 수 있다.
이렇게 닭고기와 돼지고기는 따뜻한 성질과 찬 성질을 별도로 지니고 있어서, 반대되는 체질의 사람에게는 닭고기와 돼지고기의 유용한 효능을 볼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건강을 해칠 수도 있는데, 본 발명에서의 돼지고기국수에는 충분한 양의 닭고기 성분과 돼지고기가 혼합되어 따뜻한 성질과 찬 성질이 균형을 이루게 되고, 그로인하여 체질이 차가운 사람이나, 따뜻한 사람 모두에게 건강에 도움을 주는 보양식으로 적합한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이실시예는, 양념장 제조단계(S1)와, 간장겨자소스 제조단계(S2)와, 농축액 제조단계(S3)와, 닭고기 준비단계(S4)와, 치자면 준비단계(S5)와, 돼지고기 준비단계(S6)와, 얼큰한 맛 육수 제조단계(S7a)와, 제2 토렴단계(S8a)와, 얼큰한 맛 돼지고기국수 완성단계(S9a)를 거쳐서 얼큰한 맛을 내는 제주 돼지고기국수가 제조된다.
본 발명의 이실시예에서 양념장 제조단계(S1)와, 간장겨자소스 제조단계(S2)와, 농축액 제조단계(S3)와, 닭고기 준비단계(S4)와, 치자면 준비단계(S5)와, 돼지고기 준비단계(S6)는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들 단계(S1~S6)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고, 일실시예와 다른 얼큰한 맛 육수 제조단계(S7a)와, 제2 토렴단계(S8a)와, 얼큰한 맛 돼지고기국수 완성단계(S9a)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얼큰한 맛 육수 제조단계(S7a)는, 농축액 제조단계(S3)에서 제조된 농축액 2kg과, 물 800㎖를 혼합하여 희석 농축액을 준비하고, 닭고기 준비단계(S4)에서 준비된 닭고기 7~10마리와, 희석 농축액 500g과, 물 4.2kg, 울금을 세척하고 썰어서 말린 울금편 100g, 베트남고추가루 60g을 용기에 넣고 가열하며 끓어오르기 시작하면 20분간 끓인 뒤, 물 6.5kg와 증류주 20~30㎖를 넣고 저어서 얼큰한 맛 육수를 제조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2 토렴단계(S8a)는, 치자면 준비단계(S5)에서 준비된 치자면 100~130g을 따뜻하게 데워진 용기에 담은 뒤에, 그 위에 돼지고기 준비단계(S6)에서 준비된 돼지고기 90~120g을 올리고, 얼큰한 맛 육수 제조단계(S7a)에서 제조된 얼큰한 맛 육수로 1~2회 토렴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얼큰한 맛 돼지고기국수 완성단계(S9a)는, 상기 제2 토렴단계(S8a)를 거친 토렴용기의 치자면과, 돼지고기 위에 얼큰한 맛 육수 400~450g을 부운 뒤에, 썬 대파 30g, 참깨가루 5g과, 양념장 제조단계(S1)에서 제조된 양념장 10g을 올려주는 것이다.
다음은 도 3에 본 발명의 삼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즉, 본 발명의 삼실시예에 의한 제주 돼지고기국수 제조방법은, 양념장 제조단계(S1)와, 간장겨자소스 제조단계(S2)와, 농축액 제조단계(S3)와, 닭고기 준비단계(S4)와, 치자면 준비단계(S5), 돼지고기 준비단계(S6)와, 얼큰한 맛 육수 제조단계(S7a)와, 매운 맛 소스 제조단계(S10)와, 제2 토렴단계(S8a)와, 매운 맛 돼지고기국수 완성단계(S9b)를 거쳐서 매운 맛을 내는 제주 돼지고기국수가 제조된다.
본 발명의 삼실시예에서 양념장 제조단계(S1)와, 간장겨자소스 제조단계(S2)와, 농축액 제조단계(S3)와, 닭고기 준비단계(S4)와, 치자면 준비단계(S5)와, 돼지고기 준비단계(S6)와, 얼큰한 맛 육수 제조단계(S7a)와, 제2 토렴단계(S8a)는 이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들 단계(S1~S7a 및 S8a)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고, 이실시예와 다른 매운 맛 소스 제조단계(S10)와, 매운 맛 돼지고기국수 완성단계(S9b)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매운 맛 소스 제조단계(S10)는 상기 얼큰한 맛 육수 제조단계(S7a)에서 제조된 얼큰한 맛 육수 150~200g에 베트남 고춧가루 70~150g를 첨가하여 매운 맛 소스를 제조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매운 맛 돼지고기국수 완성단계(S9b)는, 제2 토렴단계(S8a)를 거친 토렴용기의 치자면과, 돼지고기 위에 얼큰한 맛 육수 400~450g을 부운 뒤에, 매운 맛 소스 제조단계(S10)에서 제조한 매운맛 소스 10~20g과, 썬 대파 30g, 참깨가루 5g과, 양념장 제조단계(S1)에서 제조된 양념장 10g을 올려주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내지 삼실시예에서 닭고기 7~10마리를 투입하여 순한 맛 육수와 얼큰한 맛 육수를 각각 제조하는 량이 약 10~15인분에 제조되어 한 그릇의 돼지국수에 평균 0.7마리 정도의 닭고기가 포함되어 충분한 영양분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내지 삼실시예에서 한 그릇의 돼지국수에 포함되는 돼지고기의 양은 90~120g으로써, 일반적인 고기음식점에서 제공(판매)하는 1인분의 돼지고기 또는 소고기의 중량이 150~200g 인 점을 감안하면 한 그릇의 돼지국수에 포함되는 돼지고기의 양이 고기음식점에서 제공(판매)하는 돼지고기 또는 소고기의 0.6인분 정도가 되는 충분한 양이다.
따라서, 치자면 100~130g과, 육수에 포함되는 닭고기 성분 0.7마리분 정도, 돼지고기 0.6인분정도가 제공됨에 따라 충분한 영양소와, 식사량을 제공할 수 있게 됨에 따라 국수를 먹음에도 허기가 쉽게 지지 않고 충분한 포만감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일 내지 삼실시예에서 돼지고기국수 완성단계(S9,S9a,S9b)를 거친 h돼지고기국수(순한 맛, 얼큰한 맛, 매운 맛)와 함께 상기 간장겨자소스 제조단계에서 제조된 간장겨자소스 10g과, 겨자 3g과, 새우젓 3g을 별도의 용기에 담아 제공하여 소비자의 식성에 맞는 맵기를 선택하여 맛있는 국수를 먹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S1 : 양념장 제조단계 S2 : 간장겨자소스 제조단계
S3 : 농축액 제조단계 S4 : 닭고기 준비단계
S5 : 치자면 준비단계 S6 : 돼지고기 준비단계
S7 : 순한 맛 육수 제조단계 S7a : 얼큰한 맛 육수 제조단계
S8 : 제1 토렴단계 S8a : 제2 토렴단계
S9 : 순한 맛 돼지고기국수 완성단계
S9a : 얼큰한 맛 돼지고기국수 완성단계
S9b : 매운 맛 돼지고기국수 완성단계

Claims (5)

  1. 니비시소유 150~210g, 양조간장 7~8.3㎏, 양조진간장 3.9~4.8㎏, 굵은 고춧가루 2~2.6㎏을 혼합하여 양념장을 제조하는 양념장 제조단계(S1)와;
    양조진간장 0.9~1.3㎏, 2배식초 150~200g, 물 150~200g, 설탕 250~350g을 용기에 넣고 센 불로 끓여주고, 끓기 시작하면 불을 끄고 식힌 뒤에 겨자가루 150~200g과, 물 200~300g을 혼합하여 간장겨자소스를 제조하는 간장겨자소스 제조단계(S2)와;
    농축액 2kg, 물 800㎖, 대파뿌리 60~80g을 용기에 넣고 가열하다가 끓기 시작하면 10분 동안 더 끓여서 농축액을 제조하는 농축액 제조단계(S3)와;
    생닭의 내장과 꼬리, 기름기를 제거한 뒤에 찬물로 세척한 닭고기를 용기에 넣고 가열하다가 끓기 시작하면, 불을 끄고 찬물을 붓고 저어서 닭고기에 붙어있는 불순물을 제거하여 닭고기를 준비하는 닭고기 준비단계(S4)와;
    끓는 물에 치자국수 건면 100~130g을 넣고 가열하여 끓기 시작하면 찬물을 넣어주는 작업을 3~4회 반복 실시하고 불을 끈 뒤에, 찬물로 면발을 헹구어 치자면을 준비하는 치자면 준비단계(S5)와;
    찬물에 15분간 담가서 핏기를 빼준 돼지고기 3.8~4.5kg과, 월계수 잎 8~13장, 된장 50~70g, 천일염 5g과, 통후추 20알과, 소주 100~120㎖를 용기에 넣고 돼지고기가 잠길 만큼 물을 붓고, 45~55분간 삶아주는 돼지고기 준비단계(S6)와;
    상기 농축액 제조단계(S3)에서 제조된 농축액 2kg과, 물 800㎖를 혼합하여 희석 농축액을 준비하고, 닭고기 준비단계(S4)에서 준비된 닭고기 7~10마리와, 희석 농축액 500g과, 물 4.2kg, 울금을 세척하고 썰어서 말린 울금편 100g을 용기에 넣고 가열하며 끓어오르기 시작하면 20분간 끓인 뒤, 물 6.5kg와 증류주 20~30㎖를 넣고 저어서 순한 맛 육수를 제조하는 순한 맛 육수 제조단계(S7)와;
    상기 치자면 준비단계(S5)에서 준비된 치자면 100~130g을 따뜻하게 데워진 용기에 담은 뒤에, 그 위에 돼지고기 준비단계(S6)에서 준비된 돼지고기 90~120g을 올리고, 순한 맛 육수 제조단계(S7)에서 제조된 순한 맛 육수로 1~2회 토렴하는 제1 토렴단계(S8)와;
    상기 제1 토렴단계(S8)를 거친 토렴용기의 치자면과, 돼지고기 위에 순한 맛 육수 400~450g을 부운 뒤에, 썬 대파 30g, 참깨가루 5g과, 양념장 제조단계(S1)에서 제조된 양념장 10g과, 올려주는 순한 맛 돼지고기국수 완성단계(S9)를 거쳐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주 돼지고기국수 제조방법.
  2. 니비시소유 150~210g, 양조간장 7~8.3㎏, 양조진간장 3.9~4.8㎏, 굵은 고춧가루 2~2.6㎏을 혼합하여 양념장을 제조하는 양념장 제조단계(S1)와;
    양조진간장 0.9~1.3㎏, 2배식초 150~200g, 물 150~200g, 설탕 250~350g을 용기에 넣고 센 불로 끓여주고, 끓기 시작하면 불을 끄고 식힌 뒤에 겨자가루 150~200g과, 물 200~300g을 혼합하여 간장겨자소스를 제조하는 간장겨자소스 제조단계(S2)와;
    농축액 2kg, 물 800㎖, 대파뿌리 60~80g을 용기에 넣고 가열하다가 끓기 시작하면 10분 동안 더 끓여서 농축액을 제조하는 농축액 제조단계(S3)와;
    생닭의 내장과 꼬리, 기름기를 제거한 뒤에 찬물로 세척한 닭고기를 용기에 넣고 가열하다가 끓기 시작하면, 불을 끄고 찬물을 붓고 저어서 닭고기에 붙어있는 불순물을 제거하여 닭고기를 준비하는 닭고기 준비단계(S4)와;
    끓는 물에 치자국수 건면 100~130g을 넣고 가열하여 끓기 시작하면 찬물을 넣어주는 작업을 3~4회 반복 실시하고 불을 끈 뒤에, 찬물로 면발을 헹구어 치자면을 준비하는 치자면 준비단계(S5)와;
    찬물에 15분간 담가서 핏기를 빼준 돼지고기 3.8~4.5kg과, 월계수 잎 8~13장, 된장 50~70g, 천일염 5g과, 통후추 20알과, 소주 100~120㎖를 용기에 넣고 돼지고기가 잠길 만큼 물을 붓고, 45~55분간 삶아주는 돼지고기 준비단계(S6)와;
    상기 농축액 제조단계(S3)에서 제조된 농축액 2kg과, 물 800㎖를 혼합하여 희석 농축액을 준비하고, 닭고기 준비단계(S4)에서 준비된 닭고기 7~10마리와, 희석 농축액 500g과, 물 4.2kg, 울금을 세척하고 썰어서 말린 울금편 100g, 베트남고추가루 60g을 용기에 넣고 가열하며 끓어오르기 시작하면 20분간 끓인 뒤, 물 6.5kg와 증류주 20~30㎖를 넣고 저어서 얼큰한 맛 육수를 제조하는 얼큰한 맛 육수 제조단계(S7a)와;
    상기 치자면 준비단계(S5)에서 준비된 치자면 100~130g을 따뜻하게 데워진 용기에 담은 뒤에, 그 위에 돼지고기 준비단계(S6)에서 준비된 돼지고기 90~120g을 올린 뒤에, 얼큰한 맛 육수 제조단계(S7a)에서 제조된 얼큰한 맛 육수로 1~2회 토렴하는 제2 토렴단계(S8a)와;
    상기 제2 토렴단계(S8a)를 거친 토렴용기의 치자면과, 돼지고기 위에 얼큰한 맛 육수 400~450g을 부운 뒤에, 썬 대파 30g, 참깨가루 5g과, 양념장 제조단계(S1)에서 제조된 양념장 10g을 올려주는 얼큰한 맛 돼지고기국수 완성단계(S9a)를 거쳐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주 돼지고기국수 제조방법.
  3. 니비시소유 150~210g, 양조간장 7~8.3㎏, 양조진간장 3.9~4.8㎏, 굵은 고춧가루 2~2.6㎏을 혼합하여 양념장을 제조하는 양념장 제조단계(S1)와;
    양조진간장 0.9~1.3㎏, 2배식초 150~200g, 물 150~200g, 설탕 250~350g을 용기에 넣고 센 불로 끓여주고, 끓기 시작하면 불을 끄고 식힌 뒤에 겨자가루 150~200g과, 물 200~300g을 혼합하여 간장겨자소스를 제조하는 간장겨자소스 제조단계(S2)와;
    농축액 2kg, 물 800㎖, 대파뿌리 60~80g을 용기에 넣고 가열하다가 끓기 시작하면 10분 동안 더 끓여서 농축액을 제조하는 농축액 제조단계(S3)와;
    생닭의 내장과 꼬리, 기름기를 제거한 뒤에 찬물로 세척한 닭고기를 용기에 넣고 가열하다가 끓기 시작하면, 불을 끄고 찬물을 붓고 저어서 닭고기에 붙어있는 불순물을 제거하여 닭고기를 준비하는 닭고기 준비단계(S4)와;
    끓는 물에 치자국수 건면 100~130g을 넣고 가열하여 끓기 시작하면 찬물을 넣어주는 작업을 3~4회 반복 실시하고 불을 끈 뒤에, 찬물로 면발을 헹구어 치자면을 준비하는 치자면 준비단계(S5)와;
    찬물에 15분간 담가서 핏기를 빼준 돼지고기 3.8~4.5kg과, 월계수 잎 10장, 된장 50~70g, 천일염 5g과, 통후추 20알과, 증류주 120㎖를 용기에 넣고 돼지고기가 잠길 만큼 물을 붓고, 45~55분간 삶아주는 돼지고기 준비단계(S6)와;
    상기 농축액 제조단계(S3)에서 제조된 농축액 2kg과 물 800㎖를 혼합하여 희석 농축액을 준비하고, 닭고기 준비단계(S4)에서 준비된 닭고기 7~10마리와, 희석 농축액 500g과, 물 4.2kg, 울금을 세척하고 썰어서 말린 울금편 100g, 베트남고추가루 60g을 용기에 넣고 가열하며 끓어오르기 시작하면 20분간 끓인 뒤, 물 6.5kg와 증류주 20~30㎖를 넣고 저어서 얼큰한 맛 육수를 제조하는 얼큰한 맛 육수 제조단계(S7a)와;
    상기 얼큰한 맛 육수 제조단계(S7a)에서 제조된 얼큰한 맛 육수 150~200g에 베트남 고춧가루 70~150g를 첨가하여 매운 맛 소스를 제조하는 매운 맛 소스 제조단계(S10)와;
    상기 치자면 준비단계(S5)에서 준비된 치자면 100~130g을 따뜻하게 데워진 용기에 담은 뒤에, 그 위에 돼지고기 준비단계(S6)에서 준비된 돼지고기 90~120g을 올리며, 얼큰한 맛 육수 제조단계(S7a)에서 제조된 얼큰한 맛 육수로 1~2회 토렴하는 제2 토렴단계(S8a)와;
    상기 제2 토렴단계(S8a)를 거친 토렴용기의 치자면과, 돼지고기 위에 얼큰한 맛 육수 400~450g을 부운 뒤에, 매운 맛 소스 제조단계(S10)에서 제조한 매운맛 소스 10~20g과, 썬 대파 30g, 참깨가루 5g과, 양념장 제조단계(S1)에서 제조된 양념장 10g을 올려주는 매운 맛 돼지고기국수 완성단계(S9b)를 거쳐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주 돼지고기국수 제조방법.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농축액은 정제수, 사골엑기스, 정제소금, 식용유지, ALGID, 마늘농축액, 가쓰오엑기스, L-글루탐산나트륨, 식용유지, 치킨스탁, 무즙농축액, 변성전분, 사골분말, 간장, 생강엑기스, 후추, 5′-리보뉴클레오티드이나트륨, 잔탄검, 합성보존료(파라옥시안식향산에틸)를 혼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주 돼지고기국수 제조방법.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기국수(순한 맛, 얼큰한 맛, 매운 맛)와 함께 상기 간장겨자소스 제조단계에서 제조된 간장겨자소스 10g과, 겨자 3g과, 새우젓 3g을 별도의 용기에 담아 제공하는 것을 제주 돼지고기국수 제조방법.
KR1020190147114A 2019-11-15 2019-11-15 제주 돼지고기국수 제조방법 KR201901345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7114A KR20190134553A (ko) 2019-11-15 2019-11-15 제주 돼지고기국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7114A KR20190134553A (ko) 2019-11-15 2019-11-15 제주 돼지고기국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4553A true KR20190134553A (ko) 2019-12-04

Family

ID=69004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7114A KR20190134553A (ko) 2019-11-15 2019-11-15 제주 돼지고기국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3455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3122B1 (ko) * 2022-03-26 2022-06-24 구형우 내오염성과 향미 보존성이 우수한 도가니탕 및 그 조리방법 및 이를 이용한 유통용 가정식 도가니탕파우치 완성방법
KR102413133B1 (ko) * 2022-03-25 2022-06-24 구형우 내오염성과 향미 보존성이 우수한 꼬리곰탕 및 그 조리방법 및 이를 이용한 유통용 가정식 꼬리곰탕파우치 완성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0410A (ko) 2011-07-18 2013-01-28 (주)아이비티 전지 전압 관리방법 및 이를 위한 전압 관리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0410A (ko) 2011-07-18 2013-01-28 (주)아이비티 전지 전압 관리방법 및 이를 위한 전압 관리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3133B1 (ko) * 2022-03-25 2022-06-24 구형우 내오염성과 향미 보존성이 우수한 꼬리곰탕 및 그 조리방법 및 이를 이용한 유통용 가정식 꼬리곰탕파우치 완성방법
KR102413122B1 (ko) * 2022-03-26 2022-06-24 구형우 내오염성과 향미 보존성이 우수한 도가니탕 및 그 조리방법 및 이를 이용한 유통용 가정식 도가니탕파우치 완성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342488A (zh) 辣椒南瓜酱的制作方法
CN103975988A (zh) 一种民间鲜味虾糕点及其制备方法
CN111165773A (zh) 牛油火锅底料及其加工方法
CN104872536A (zh) 一种酱香粽子的制作方法
CN105918900A (zh) 一种抹茶粉消食解腻牛肉干及其制备方法
CN113558215A (zh) 一种香辣调味包及其制备方法
CN106819892A (zh) 一种速冻猪肉卷
CN104432140A (zh) 手撕牛肉条的制备方法
KR20190134553A (ko) 제주 돼지고기국수 제조방법
CN106261868A (zh) 一种黄金鸡及其制作方法
CN100534331C (zh) 一种鳙鱼头食品的加工方法
KR101870388B1 (ko) 짬뽕 국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짬뽕
KR101844143B1 (ko) 뽕잎, 참옻액 숙성 오리백숙 및 닭백숙의 제조방법, 이로 제조한 오리백숙 및 닭백숙
JP2003274908A (ja) ポタージュスープ、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9566952A (zh) 一种火锅麻酱蘸料及其制备方法
KR20190130316A (ko) 소고기와 장어를 이용한 떡갈비
CN104286984A (zh) 一种板栗酱料
KR20190132303A (ko) 닭 한 마리 국수 제조방법
KR20180117001A (ko) 양념장이 혼합되는 곤드레 나물밥의 제조방법
CN106819924A (zh) 一种营养扒鸭的制作方法
CN106174122A (zh) 一种柠檬生津健胃牛肉干及其制备方法
CN112790362A (zh) 一种双层牛油火锅底料及其加工方法
CN106174059A (zh) 一种银耳滋阴润肺牛肉干及其制备方法
CN106879662A (zh) 一种卤猪肉夹馍的制作方法
KR100884091B1 (ko) 굴비 혼합 고추장 및 그 제조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