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0978A - 절취가 용이한 화장지 케이스 - Google Patents

절취가 용이한 화장지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0978A
KR20190130978A KR1020190056661A KR20190056661A KR20190130978A KR 20190130978 A KR20190130978 A KR 20190130978A KR 1020190056661 A KR1020190056661 A KR 1020190056661A KR 20190056661 A KR20190056661 A KR 20190056661A KR 20190130978 A KR20190130978 A KR 201901309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paper
cut
cutting
operation cove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6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도현
Original Assignee
김도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도현 filed Critical 김도현
Publication of KR201901309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09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34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 A47K10/36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with mechanical dispensing, roll switching or cutting devices
    • A47K10/3631The cutting devices being driven manuall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34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 A47K10/36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with mechanical dispensing, roll switching or cut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8Devices for discharging contents
    • B65D25/52Devices for discharging successive articles or portions of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취가 용이한 화장지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절취가 용이한 화장지 케이스는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절취라인이 형성된 롤 형태의 화장지를 담을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고 일측이 개방된 몸체 및 상기 몸체 내부로부터 인출된 화장지 일부분이 놓일 수 있는 안착부가 마련되고 상기 몸체의 개방된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상기 힌지결합 지점을 중심으로 일측이 제1 방향으로 이동될 때 타측은 인출되는 화장지를 상기 몸체에 밀착 고정시킬 수 있도록 가압부가 마련된 작동커버를 포함하며, 사용자가 인출된 화장지를 이용하여 상기 작동커버의 일측을 상기 제1 방향으로 가압시킴으로써 상기 작동커버를 회동시키면, 상기 작동커버의 타측에 구비된 상기 가압부가 화장지를 밀착 고정시킴과 동시에 외부로 인출된 화장지가 절취라인에서 절취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절취가 용이한 화장지 케이스 {TISSUE CASE WHICH CAN CUT EASILY ROLLED TISSUE}
본 발명은 화장지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한 손만으로도 화장지를 원하는 길이만큼 쉽게 절취해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화장지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화장지 케이스는 롤 형태의 화장지를 사용할 때 한 손은 화장지 끝부분을 붙잡고 사용할 만큼 적당량 인출하고, 또 다른 한 손으로는 화장지가 인출되지 않게 잡은 후 상기 화장지를 빼낸 손으로 잡아당기면 화장지 절취선에서 절취가 진행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사용하다 보면 양손을 사용하게 되는 불편함이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어린 아이들의 경우 화장지를 사용할 만큼의 길이로 절취하는 것을 잘 하지 못하여 화장지의 불필요한 손실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236394호의 한 손으로 절취 가능한 두루마리 휴지케이스가 있다. 이는 휴지걸이 봉이 있는 두루마리 휴지케이스에서 휴지가 되말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판을 설치하여 휴지가 휴지케이스 안으로 되말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휴지가 나오는 입구에 로울러를 설치하여 휴지교환시 휴지가 어떤 방향으로 들어가더라도 휴지가 잘 풀어지도록 도와주며, 휴지케이스 바깥쪽에 휴지가 나오는 입구보다 높게 휴지 절취모서리를 만들어 주어 휴지를 절취모서리에 대고 아래로 당기면 한 손으로도 휴지를 절취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휴지케이스는 상기 절취모서리가 매우 날카롭지 않은 이상 절취가 쉽게 되지 않을 뿐더러 휴지케이스가 바닥에 고정이 되지 않을 경우 휴지를 사용자가 잡아당기는 힘에 의해 휴지케이스가 넘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상기 날카로운 절취모서리에서 절취 작용이 진행될 때 사용자가 다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 다른 배경기술로서,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236442호 (휴지 절취기 겸 휴지걸이 케이스)가 제안되어 있다. 이는 사용자가 휴지를 사용하기 위해 소정의 길이로 늘어져 있는 휴지를 아래쪽으로 당기면, 휴지가 휴지 회전억제부의 회전억제봉 및 가이드부를 따라 휴지 자동 절취부재를 지나서 풀리게 되고, 일정량만큼의 휴지가 인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휴지의 끝단을 위쪽으로 당기면 휴지 자동 절취부재가 가이드 라인의 하부로 들어가면서 휴지를 누르게 되고, 휴지를 당기는 힘에 의해 휴지 자동 절취부재의 톱니부에서 휴지가 절취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휴지걸이 케이스는 원하는 만큼 한 손만으로 휴지를 절취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다는 장점은 가지고 있으나, 이 역시 휴지 자동 절취부재의 날카로운 톱니부에 의해 사용자가 다칠 수 있는 문제가 있고, 그 절취동작이 부자연스러울 뿐만 아니라, 이 휴지케이스는 벽에 고정식으로만 사용될 뿐 탁상용으로는 사용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종래 기술의 예들과 같이, 종래에 사용되는 휴지 케이스들은 탁상용으로 사용될 경우 그 휴지 절취동작이 용이하지 않고, 휴지를 빠른 동작으로 낚아챌 경우 절취동작이 잘 되지 않아 휴지 케이스가 넘어지기 쉬우며, 또한 대부분 날카로운 커터날이 사용되어 위험하고, 그 커터날의 특성상 장기간 사용시 마모에 의해 절취가 잘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절취라인이 미리 형성된 화장지를 절취함에 있어 사용자가 한 손만으로도 화장지를 원하는 길이만큼 절취하는 것이 쉽고 확실하게 이루어지며, 절취 동작이 적은 힘으로도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는 한편, 화장지 절취를 위한 커터날이나 톱니날도 필요 없어서 사용자가 다칠 염려가 없는 절취가 용이한 화장지 케이스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절취가 용이한 화장지 케이스는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절취라인이 형성된 롤 형태의 화장지를 담을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고 일측이 개방된 몸체 및 상기 몸체 내부로부터 인출된 화장지 일부분이 놓일 수 있는 안착부가 마련되고 상기 몸체의 개방된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상기 힌지결합 지점을 중심으로 일측이 제1 방향으로 이동될 때 타측은 인출되는 화장지를 상기 몸체에 밀착 고정시킬 수 있도록 가압부가 마련된 작동커버를 포함하며, 사용자가 인출된 화장지를 이용하여 상기 작동커버의 일측을 상기 제1 방향으로 가압시킴으로써 상기 작동커버를 회동시키면 상기 작동커버의 타측에 구비된 상기 가압부가 화장지를 밀착 고정시킴과 동시에 외부로 인출된 화장지가 절취라인에서 절취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작동커버는 상기 화장지가 몸체 내부로부터 인출될 때 화장지가 슬립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안착부의 한쪽 단부에서 하방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어 상기 안착부를 상기 가압부와 연결해주는 슬립부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체에는 상기 슬립부와 접해 있는 화장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뚫려있는 인출개방부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슬립부와 이어지는 상기 안착부의 한쪽 단부에는 화장지를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상기 안착부의 외부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파지자리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체에는 상기 작동커버의 회동 범위가 제한되도록 상기 작동커버를 받쳐주기 위한 걸림턱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작동커버는 상기 힌지결합 지점을 기준으로 할 때 무게중심이 상기 가압부와 가까운 쪽에 있도록 구성되어, 절취 작업이 이루어지고 나면 무게중심에 따른 자중에 의해 회동되어 상기 가압부가 상기 몸체로부터 이격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작동커버와 상기 몸체의 힌지결합 구조는, 상기 작동커버에 힌지축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에는 상기 힌지축이 삽입될 수 있도록 힌지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작동커버는 상기 안착부에 놓인 화장지를 소정 높이로 지지하면서 화장지 절취 동작이 진행될 때 화장지 절취라인 일부분에 인장력이 집중 작용되어 절취되도록 상기 안착부에서 돌출된 절취력 증대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절취력 증대부는 폭이 화장지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절취력 증대부는 상방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절취력 증대부는 화장지 절취라인의 중앙에서 인장력이 집중 작용되도록 상기 안착부의 폭방향 중앙에 위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절취력 증대부는 화장지의 이동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한 쌍이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절취력 증대부의 일단부 가장자리가 상기 안착부 중 상기 제1 방향으로 눌리는 가장자리와 일치되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절취가 용이한 화장지 케이스는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절취라인이 형성된 롤 형태의 화장지를 담을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고 일측이 개방된 몸체와, 상기 몸체 내부로부터 인출된 화장지 일부분이 놓일 수 있는 안착부가 마련되고, 상기 몸체의 개방된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작동커버 및 상기 작동커버의 회동 운동에 연동되어 화장지 이동을 정지시킬 수 있는 화장지 정지수단을 포함하며, 사용자가 인출된 화장지를 이용하여 상기 작동커버의 일측을 제1 방향으로 가압시킴으로써 상기 작동커버를 회동시키면, 상기 화장지 정지수단에 의해 화장지가 고정됨과 동시에 외부로 인출된 화장지가 절취라인에서 절취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절취라인이 형성된 롤 형태의 화장지를 내부에 설치하여 화장지를 일부 인출한 후 상기 절취라인에서 절취하는데 사용되는 화장지 케이스로서, 상기 화장지 케이스에는 화장지 절취 동작이 진행될 때 화장지를 소정 높이로 지지하면서 화장지 절취라인의 일부분에 인장력이 집중 작용되어 절취되도록 소정 높이로 돌출된 절취력 증대부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절취가 용이한 화장지 케이스에 의하면 사용자가 한 손만 사용해서 적은 힘으로도 화장지를 쉽게 절취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절취가 용이한 화장지 케이스는 사용자가 다칠 수 있는 위험한 톱니날이나 커터날이 불필요하므로 사용자가 톱니날이나 커터날에 의해 다칠 염려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화장지 케이스는, 사용자가 원하는 화장지 절취 길이에 따라 화장지 파지 위치가 여러 군데에 배치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원하는 길이만큼 인출하여 한번에 절취 사용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고, 화장지를 필요한 만큼 사용할 수 있으므로 자원이 절약된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화장지 케이스는 간단하게 제조할 경우 최소 2개의 부품만으로 구성할 수 있어서 대량생산이 아주 용이하며, 낮은 가격으로 널리 보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지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지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지 케이스에서 몸체 일부분을 제거하여 도시한 것으로 화장지 절취전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지 케이스에서 몸체 일부분을 제거하여 도시한 것으로 화장지를 절취할 때의 동작 상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상태에서 화장지가 다른 절취라인에서 절취되는 동작 상태도이다.
도 6a 내지 도 6e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지 케이스를 이용하여 절취를 위한 단계별 진행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지 케이스의 전방 절취력증대부에서 화장지를 파지하고 인출한 후 절취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8a 및 도 8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지 케이스의 파지자리부에서 화장지를 파지하여 인출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9a 및 도 9d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지 케이스를 이용하여 다른 방식의 파지동작과 절취하는 과정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지 케이스의 파지자리부에서 화장지를 다른 방식으로 파지하여 인출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지 케이스에서 작동커버에 대한 변형된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지 케이스에서 몸체를 일부 변형하여 작동커버와 결합된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지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장지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지 케이스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지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지 케이스에서 몸체 일부분을 제거하여 도시한 것으로 화장지 절취 전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절취가 용이한 화장지 케이스는, 화장지를 담을 수 있는 몸체(10)와, 이 몸체에 힌지결합되어 화장지(1)의 절취라인(2)에 대해 절취동작을 수행하는 작동커버(20)로 구성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절취가 용이한 화장지 케이스(100)는, 소정 구간 절취라인(2)이 형성된 화장지(1) 롤을 담을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고 일측이 개방된 몸체(10)와, 상기 몸체(10) 내부로부터 일부 인출되는 화장지(1)가 놓일 수 있는 안착부(22)가 마련되고 상기 개방된 몸체(10)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이 힌지결합 지점을 중심으로 일측이 제1 방향으로 이동될 때 타측에는 인출되는 화장지를 상기 몸체에 밀착 고정시킬 수 있도록 가압부(24)가 마련된 작동커버(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작동커버(20)는 화장지(1) 절취 동작이 진행될 때, 화장지 절취라인(2) 일부분에 인장력이 집중 작용됨으로써 절취되도록 안착부(22)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절취력 증대부(26, 27)가 추가적으로 더 포함될 수 있다.
그래서 사용자가 인출된 화장지(1)를 이용하여 작동커버(20)의 일측을 제1 방향으로 가압시켜 작동커버(20)를 회동시킬 때, 작동커버(20) 타측의 가압부(24)에 의해 화장지(1)가 고정됨과 동시에 외부로 인출된 화장지(1)가 절취라인(2)에서 절취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방향은 화장지 케이스가 놓인 상태나 여러 실시 예 구조에 따라 다를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휴지케이스가 놓인 바닥 방향 또는 아래 방향을 지칭한다.
이하에서는 각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몸체(10)는 전체적으로 구조가 육면체이고, 상면이 개방되어 있으며, 소정 간격마다 절취라인(2)이 형성된 화장지(1) 롤을 내부에 담을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몸체(10)는 상면이 개방되는 것을 예시 하였으나, 편의에 따라 작동에 지장이 없는 부분들이 다양하게 더 개방될 수 있다.
몸체(10)는 작동커버(20)와 힌지결합되는데, 이를 위하여 몸체(10)의 개방된 상부의 좌우 양단에는 작동커버(20)의 좌우 양단에 결합된 힌지축(21)과 힌지결합될 수 있는 힌지공(11)이 형성되며, 이 힌지공(11)은 몸체(10)의 양 측면 각각에 형성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힌지공(11)의 위치는 몸체(10) 상부의 좌측 모서리 및 우측 모서리의 전후 중앙 또는 중앙 부근이 좋다.
힌지공(11)은 상단부가 개방되어 있고, 이 개방된 최소거리는 힌지축(21)의 직경보다 조금 작게 형성되어 힌지축(21)을 힌지공(11) 상방에서 가압할 때 탄력적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즉 힌지축(21)은 힌지공(11)에 탄력적으로 착탈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힌지공(11)에 힌지축(21)이 저항감 없이 삽입될 수 있는 구조를 고려해 볼 때, 힌지공(11)의 상단부는 개방되어 있고, 그 개방된 거리는 힌지공(11)의 직경과 동일하되, 그 개방된 위치가 몸체 후방으로 약간 치우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작동커버(20)가 회동될 때 가압부(24)의 반작용에 의해 힌지축(21)이 몸체(10)의 전방으로 밀려나려는 힘이 발생되는데, 힌지공(11)의 개방 방향이 몸체 후방 방향으로 기울어져 있으면, 화장지(10) 절취동작 시 힌지공(11)으로부터 힌지축(21)이 이탈되지 않게 되며, 힌지공(11)으로부터 힌지축(11)을 착탈하기도 용이하기 때문이다.
이상에서는 몸체(10)와 작동커버(20)의 힌지결합 구조에서, 작동커버(20)에는 힌지축(21)이 일체로 형성되고, 몸체(10)에는 힌지축(21)이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는 힌지공(11)이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대로 작동커버(20)에 힌지공이 형성되고, 몸체(10)에 힌지축이 구비될 수도 있다
몸체(10)의 정면 상단부에는 작동커버(20)가 회동될 때 작동커버(20)의 전단부가 스윙될 수 있도록 비어있는 공간인 스윙 공간부(12)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몸체(10)의 후면에는 화장지(1)가 몸체(10) 내부로부터 초기에 인출될 때 화장지(1)가 수직 방향으로 일정 구간만큼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개방된 인출개방부(13)가 형성되고, 인출개방부(13)의 좌우 양측에는 인출되는 화장지(1)가 몸체(10) 밖으로 튀어나가지 않도록 화장지(1)의 가장자리를 지지 및 안내하는 가이드부(14)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몸체(10)의 후면 벽체의 내부 면에 마찰자리부(15)가 형성된다. 상기 마찰자리부(15)는 작동커버(20)의 가압부(24)가 화장지(1)를 몸체(10)에 밀착 고정시킬 때 상기 화장지(1)와 맞닿아 마찰 작용을 함으로써 화장지(1)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마찰자리부(15)는 그 재질이 몸체(10)의 재질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구조적으로 볼 때에도 몸체(10)의 배면 내측과 동일한 평면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마찰력 증대를 위해 미소한 다수의 마찰돌기(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마찰자리부(15)는 마찰력 증대를 위해 고무, 실리콘 등의 마찰증대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몸체(10)는 양측면 내측에서 소정 돌출된 걸림턱(16)이 형성된다. 걸림턱(16)은 작동커버(20)의 회동 범위가 소정 구간 제한되도록 작동커버(20)의 양 측단부 저면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화장지 절취 동작이 진행되지 않을 때는 작동커버(20)가 항상 걸림턱(16)에 놓여지도록 구성된다.
또한, 몸체(10)는 화장지(1) 롤이 몸체 내부에 위치될 때 필요에 따라 화장지(1) 롤의 중심부에 삽입하여 거치할 수 있는 막대 형상의 거치바(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고, 이 거치바는 몸체의 내면에 고정 또는 착탈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몸체(10)는 전면 하단에서 전방으로 소정 길이 돌출된 보조 바닥지지부(17)가 형성될 수 있다. 보조 바닥지지부(17)는 사용자가 화장지를 절취 동작할 때 절취하는 사용자의 힘에 의해 화장지 케이스(100)가 전방으로 넘어지지 않도록 바닥면과 밀착되어 있어서 화장지 케이스(100)를 보조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보조 바닥지지부(17)는 1개 이상이면 되나 소정 간격을 두고 좌우 한 쌍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몸체(10) 양 측면의 일부에는 개방된 투시창(18)이 형성된다. 투시창(18)은 몸체(10) 내부에 있는 화장지가 외부로 인출되어 사용됨에 따라 얼마나 남았는지를 사용자에게 육안으로 쉽게 인식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이러한 투시창(18)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지 케이스의 외관 이미지 향상을 위해 다양한 문양 등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투시창은 몸체(10)의 전면에도 관통 형성될 수 있고, 외관을 고려하여 문자, 캐릭터 등 다양한 문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화장지 케이스(100)는 사용 장소에 따라 실내외 벽면에도 고정하여 사용될 수 있도록 몸체(10)의 후면에 고정홈(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즉, 벽면에 고정 설치되는 못이나 흡착판 등의 머리부분이 상기 고정홈에 삽입될 경우 화장지 케이스가 벽면에 고정되어 사용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음으로 작동커버(20)에 대하여 설명한다.
작동커버(20)는 몸체(10)의 상부 개방된 곳을 커버하도록 위치하며, 몸체(10)에 앞뒤로 회동 가능하게 힌지결합된다. 작동커버(20)는 몸체(10) 내부로부터 일부 인출되는 화장지(1)가 놓일 수 있도록 평판 형상의 안착부(22)를 구비한다. 안착부(22)는 평면에서 볼 때 사각 형상이나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이 가능하고, 작동커버(20)의 베이스판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작동커버(20)가 회동 작동 시 휘어지지 않고 힘이 잘 전달될 수 있도록 충분한 두께로 형성된다.
안착부(22)는 몸체(10)와 작동커버(20)가 힌지 결합될 때 그 전방 단부가 몸체(10)의 스윙공간부(12) 상에 위치하며, 후방 단부는 몸체(10)의 배면 내측으로부터 소정의 유격 거리를 두고 위치한다. 몸체(10)의 배면 내측으로부터 안착부(22)의 후방 단부까지의 유격거리 d는 화장지가 잘 통과되는 것을 고려하고 원활한 작동커버(20)의 회동 동작을 고려하여, 1mm~5mm 정도가 좋다.
작동커버(20)는 안착부(22)의 후방 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슬립부(23)가 형성된다. 슬립부(23)는 몸체(10) 내부에서 초기 인출되는 화장지가 슬립되는 곳으로, 사용자가 후술하는 파지자리부(25)에서의 파지 동작과 연결되어 슬립부(23) 상에서 사용자의 손가락으로 화장지를 슬립시키면서 화장지(1)가 충분한 길이로 파지되도록 하는 역할에 관여된다. 슬립부(23)의 형태는 사각의 평판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작동커버(20)에서 슬립부(23)의 하단부에는 가압부(24)가 형성된다.
가압부(24)는 화장지 절취 동작시 인출되는 화장지를 몸체(10)에 밀착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데, 그 모양은 좌우로 뻗은 긴 막대 형상이며, 화장지(1)를 마찰자리부(15)에 균일하게 밀착시킬 수 있도록 화장지(1)의 폭 방향에서 볼 때 높낮이가 없이 매끈하게 형성됨이 좋다. 가압부(24)는 슬립부(23)를 더 연장시켜 슬립부(23)와 동일한 평면을 가지고, 동일 재질로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가압부(24)의 저면은 화장지(1)가 인출될 때 인출 저항이 줄어들도록 둥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작동커버(20)의 안착부(22)의 양 측면부에 좌우 방향으로 돌출된 힌지축(21)이 형성되며, 힌지축(21)이 몸체(10)의 힌지공(11)에 삽입되어 힌지 결합된다.
작동커버(20)는 측면에서 볼 때 전체적으로 '┏' 모양인데, 몸체(10)와 힌지결합된 지점을 중심으로 작동커버(20)는 전후 회동 가능한 구조가 되는 것으로, 이러한 회동 동작은 작동커버(20)의 전방 단부가 하방으로 이동될 때 후방에 있는 가압부(24)가 화장지(1)를 몸체(10)의 마찰자리부(15)에 밀착시키는 동작을 진행되게 한다.
작동커버(20)는 힌지결합 지점을 중심으로 그 무게중심이 후방에 있도록 구성되며, 절취 작업을 제외할 땐 그 무게중심에 따른 자중에 의해 회동되어 가압부(24)가 몸체(10)의 마찰자리부(15)로부터 전방으로 떨어져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압부(24)와 마찰자리부(15)의 이격으로 인해 사용자가 화장지(1)를 인출할 때 화장지(1)가 이들 이격된 사이 공간을 지나서 원활하게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작동커버(20)에서 힌지축(21)의 위치는 무게중심이 후방에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안착부(22)의 양 측면 중 적절한 위치로 한다. 작동커버(20)에는 안착부(22)의 후방 상단부에서 상방으로 소정 높이 돌출된 파지자리부(25)가 형성된다.
파지자리부(25)는 몸체(10) 내부에서 인출되는 화장지가 슬립부(23)를 경유하여 수직 방향으로 인출된 후 파지자리부(25)에서 수평 방향으로 꺾이는 자리로서, 파지자리부(25) 상단에 화장지가 위치된다.
사용자는 손으로 화장지(1)를 파지자리부(25)에 밀착시키면서 화장지(1)를 파지한 후 잡아당겨 원하는 길이로 화장지(1)를 인출시키는 것으로, 사용자는 파지자리부(25)에 의해 화장지를 용이하게 파지 및 인출할 수 있다.
파지자리부(25)의 돌출 높이는 파지하는 손가락이 파지자리부(25)에 걸릴 정도이면 되는 것으로 5~15mm 범위인 것이 좋다. 또한, 파지자리부(25)의 폭은 접촉하는 화장지(1)의 폭보다 더 크거나 작을 수도 있고, 파지자리부(25)의 상부는 화장지(1)의 이동 방향을 따라 라운드진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작동커버(20)의 안착부(22) 상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절취력 증대부(26)가 형성된다.
절취력 증대부(26)는 화장지(1)를 소정 높이로 지지하면서 화장지(1) 절취 동작이 진행될 때 화장지 절취라인(2) 일부분에 인장력이 집중적으로 가해지게 하기 위한 것으로, 이로 인해 적은 힘으로도 화장지(1)가 용이하게 절취된다. 이는 롤 형태의 화장지(1)가 절취라인(2)에서 절취될 때 1개의 절취라인(2) 전체에서 동시에 절취되는 것보다 1개의 절취라인(2) 일부분부터 절취가 진행될 때 훨씬 적은 힘으로도 화장지(1)가 절취된다는 원리가 적용된 것이다.
절취력 증대부(26)는 화장지(1)의 절취라인(2)의 중앙에 인장력이 집중 작용되도록 안착부(22)의 폭 방향 중앙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안착부(22)의 길이 방향에서 볼 때는 양 단 사이에 있으면 되나 바람직하게는 안착부(22)의 전방 단부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절취력 증대부(26)의 전면이 안착부(22)의 전방 단부와 수직방향에서 일치되도록 배치되는 것이다. 그 이유는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가 화장지(1)의 절취 동작을 위해 사용자가 인출 및 파지한 화장지(1)를 하방으로 내릴 때 화장지(1)를 파지하는 사용자의 손과 안착부(22)의 전방 단부 사이에 화장지 절취라인(2)이 있을 경우 이 절취라인(2)에 인장력이 가장 크게 집중되므로 이 절취라인(2)이 최우선적으로 절취되기 때문이다.
상기 절취력 증대부(26)는 그 높이가 5mm 이상이면 되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20mm 범위가 좋다. 그리고 절취력 증대부(26)의 폭은 화장지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면 되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화장지 폭의 1/7~1/2 크기 범위인 것이 좋다.
또한, 절취력 증대부(26)는 상방으로 갈수록 그 수평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좋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절취력 증대부(26)는 급격한 모서리가 생기지 않도록 라운드 처리되고, 그 높이가 전방에서 바라볼 때 중앙부는 높고 양 측단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절취력 증대부(26)는 파지자리부로서의 역할을 겸한다. 이를 위하여 도면과 같이 절취력 증대부(26)는 전면이 수직면으로 형성되고, 배면은 기울어진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그리하여 절취력 증대부(26)에서 화장지(1)를 파지할 때 경사면을 따라 화장지(1)가 미끄러지도록 하여 파지가 용이하게 진행된다.
절취력 증대부(26)는 1개로도 가능하나, 절취 효율성 증대를 위하여 화장지 이동 방향을 따라 안착부(22) 위에 소정 간격으로 2개 배치되어 한 쌍으로 구성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러한 배경은 화장지(1) 절취 작업 진행 시 2개의 절취력 증대부(26,27) 사이에 화장지 절취라인(2)이 위치할 때 이들 2개의 절취력 증대부(26,27)를 잇는 가상의 직선과 이 가상의 직선과 만나는 절취라인(2)의 교차지점에서 인장력이 가장 집중 작용됨으로써 절취가 쉽게 진행되기 때문이다.
절취력 증대부(26,27)가 2개 배치되는 경우 전,후방에 하나씩 위치하는 전방 절취력증대부(26)와 후방 절취력증대부(27)로 구성되는 바, 이들 중 전방에 배치된 절취력증대부(26)는 그 전면이 안착부(22)의 가장자리, 즉, 안착부(22)의 전방 단부와 수직 방향에서 일치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좋다.
한 쌍의 전,후방 절취력 증대부(26,27)는 서로의 간격이 화장지 절취라인(2)들 간의 간격, 즉, 화장지 1마디 길이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좋으며, 화장지 1마디의 50~90% 범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전,후방 절취력 증대부(26,27) 사이에서 2개 이상의 절취라인(2)이 존재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전,후방 절취력 증대부(26,27) 사이에 1개의 절취라인(2)이 있을 때 이 절취라인(2)에서 정확히 절취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전,후방 절취력 증대부(26,27) 사이에 화장지 절취라인(2)이 없을 경우에는 전방 절취력 증대부(26)를 지나서 그 앞에 절취라인(2)이 존재하게 되고 이 부분이 우선적으로 절취된다.
그리고 후방 절취력 증대부(27)도 파지자리부로서의 기능을 겸한다. 후방 절취력 증대부(27)의 구조는 상기 언급된 전방 절취력 증대부(26)의 구조와 동일 또는 유사하면 되므로 세부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후방 절취력 증대부(27)는 전방 절취력 증대부(26)보다 높이가 더 높게 형성됨이 좋다. 그 이유는 화장지 절취동작이 진행될 때, 후방 절취력 증대부(27) 상에 놓인 화장지가 경로상에서 충분히 꺽이도로 하여 후방 절취력 증대부(27)와 이 위에 놓인 화장지 간에 마찰력을 증대시켜서 전,후방 절취력 증대부(26, 27) 사이에서 화장지 절취라인이 잘 절취될 수 있기 때문이다.
작동커버(20)는 안착부(22)에서 화장지(1)가 안착부(22) 밖으로 벗어나는 것이 방지되도록 안착부(22)의 양 측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된 이탈방지부(28)가 여러 개소 형성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탈방지부(28)가 안착부(22)의 좌우로 한 쌍이 설치되되 각 쌍은 작동커버(20)의 전단과 후단 가까이에 각각 배치되는 것이 좋다. 상기 이탈방지부(28)가 작동커버(20)에 형성되지 않고 몸체(10)의 측면 상단에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지 케이스에서 작동커버에 대한 변형된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작동커버(20)의 변형된 형태에 대한 설명은 위에서 작동커버(20)에 대해 이미 언급한 설명은 생략하고, 추가 및 변형된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커버(20)는 사용자가 화장지를 파지할 때 더욱 쉽게 파지할 수 있도록 화장지 파지홈(31,32,33)이 다수 곳에 형성된다.
작동커버(20)의 안착부(22) 중 파지자리부(25)에 인접한 부위에 엄지 손가락이 삽입될 수 있는 파지홈(31)이 형성된다. 이 파지홈(31)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장지(1)의 파지를 위하여 엄지손가락 삽입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안착부(22) 표면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깊게 형성된다. 그 깊이는 엄지손가락 1마디가 삽입되는 깊이이면 되나, 바람직하게는 10~30mm 정도가 좋다. 또한 상기 파지홈(31)의 폭은 엄지손가락 굵기이면 좋으나, 파지의 용이성을 고려하여 안착부(22) 폭의 1/2~1/4 범위 정도가 좋다.
파지자리부(25)를 이용하여 화장지를 파지할 때는, 파지홈(31)에 사용자의 엄지 손가락을 화장지(1)와 함께 삽입하고 나머지 손가락을 슬립부(23) 방향의 화장지(1)에 접촉시켜 화장지(1)를 상방으로 들어올리면 자연스럽게 화장지가 인출된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전,후방 절취력 증대부(26,27) 각각에도 화장지(1) 파지를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절취력 증대부(26,27)의 전면에 엄지 손가락이 일부 삽입될 수 있는 파지홈(32,33)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화장지(1) 파지 동작 시 사용자의 엄지 손가락이 화장지(1)와 함께 절취력 증대부(26,27)의 전면 파지홈(32,33)에 삽입되고 나머지 손가락으로 후방 경사면의 화장지를 쓸어 올림으로써 용이하게 화장지가 파지되는 이점이 있다.
상기한 것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절취가 용이한 화장지 케이스의 구조를 통해서 사용자는 절취하고자 하는 화장지의 길이를 선택적으로 파지하여 원하는 길이를 쉽게 절취 가능할 수 있다.
한편,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지 케이스에서 몸체를 일부 변형하여 작동커버와 결합된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몸체를 일부 변형하여 작동커버와 결합된 형태에 대한 설명은 위에서 동일하게 언급한 부분의 설명은 생략하고, 몸체의 추가 및 변형된 부분에 대해서 주요하게 설명한다.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의 내부 바닥 및 저면이 곡면형상으로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몸체(10) 내부 바닥 및 저면이 곡면형상인 구조는 몸체의 전후방향에서 중앙이 하방으로 볼록한 곡면형상 구조로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몸체(10) 내부 바닥에 놓인 화장지(1) 롤이 자중에 의해 항상 몸체(1) 바닥 중앙에 위치하게 되고, 사용자가 투시창(18)을 통해 몸체 내부의 화장지 롤을 볼 때 흩트러지지 않아 미관상 보기에 좋고, 남은 화장지량을 파악하기에도 좋다.
그리고 상기 몸체(10)는 저면을 외부 바닥으로 부터 이격 지지하도록 저면 코너자리에서 하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된 이격지지부(19)가 형성된다.
상기 이격지지부(10)는 직선막대(미도시)나 곡선막대(미도시) 등 이격 지지 용도의 다양한 형상이 가능하나, 미관을 고려할 경우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퀴모양도 가능하고 또는 사물, 동물, 인물 등 여러 캐릭터 모양(미도시)으로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상기한 것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절취가 용이한 화장지 케이스의 사용방법 및 그 작용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지 케이스의 몸체 일부분을 제거하여 도시한 것으로 화장지를 절취할 때의 동작 상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상태에서 화장지가 다른 절취라인에서 절취되는 것을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화장지를 파지 및 인출한 후 화장지(1)가 작동커버(20)의 상부에 놓인 상태에서 화장지를 일방향, 즉, 본 실시 예의 경우 화살표 F가 표시하는 방향인 작동커버(20)의 전방 아래 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작동커버(20)는 힌지축(21)을 중심으로 전방 단부가 하방으로 회동되고, 이와 동시에 작동커버(20)의 후방에 있는 가압부(24)가 몸체 배면 내측의 마찰자리부(15)와 맞닿도록 이동하여 그 사이에 위치하는 화장지(1)를 밀착 고정시키게 되어 A영역으로 표시한 것과 같은 상태가 된다. 이로써 화장지(1)가 이동될 수 없게 고정되어 전,후방 절취력 증대부(26,27) 사이에 있는 화장지 절취라인(2)의 중앙부(T영역)에 인장력이 집중적으로 작용되어 절취가 쉽게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절취라인(2)에서의 절취가 완료된 후에는 도 3과 같이 작동커버(20)의 자중에 의해 몸체(10)의 마찰자리부(15)와 작동커버(20)의 가압부(24)는 가압 상태가 해제되어 소정 유격거리 d를 유지하게 된다.
도 5는 화장지 절취라인(2)이 전방 절취력 증대부(26)를 넘어서 더 앞에 있게 될 경우로서, 이 경우 도 5와 같은 절취 동작이 진행될 때 그 절취라인(2)의 중앙부분(T'영역)에 우선적으로 인장력이 집중되어 절취가 쉽게 진행된다.
도 6a 내지 도 6e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지 케이스를 이용하여 절취를 위한 단계별 사용 과정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6a 내지 도 6e는 사용자가 본 발명의 화장지 케이스(100)의 전방에 있을 때 화장지(1)를 파지, 인출 및 절취하는 과정을 순서대로 나타낸 것으로서, 먼저 도 6a는 작동커버(20)의 상부에 놓인 화장지(1)를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후방 절취력 증대부(27)를 이용하여 화장지(1)를 파지한 상태이고, 도 6b는 그후 사용자가 화장지(1)를 원하는 길이로 인출시키는 상태이며, 도 6c는 그후 사용자가 파지한 화장지(1)를 작동커버(20)의 전방에서 하방으로 당기게 되면 화장지(1)가 작동커버(20)에 의해 고정되어 화장지(1)가 한 쌍의 전,후방 절취력 증대부(26,27) 사이에서 가장 긴장된 상태이고, 도 6d는 그후 상기 한 쌍의 절취력 증대부 (26,27) 사이에 놓인 화장지 절취라인(2)의 중앙부(T영역)에서부터 절취가 진행되는 상태이며, 도 6e는 그후 상기 한쌍의 절취력 증대부(26, 27) 사이에 놓인 화장지 절취라인(2)에서 절취가 완료된 상태이다. 이와 같이 후방 절취력 증대부(27)를 이용하여 화장지(1)를 파지하고 인출 및 절취하는 경우는 화장지(1)를 2~3마디 정도 절취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 적합하다.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장지 케이스(100)의 전방 절취력 증대부(26)에서 화장지(1)를 파지하고 인출한 후 절취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7a는 사용자가 전방 절취력 증대부(26)를 이용하여 화장지를 파지한 상태이고, 도 7b는 화장지(1)를 인출한 후 사용자가 파지한 화장지(1)를 작동커버(20)의 전방에서 하방으로 당기면 화장지(1)가 작동커버(20)에 의해 고정되어 전방 절취력 증대부(26)와 화장지(1)를 파지한 사용자의 손 사이에서 절취라인(20)의 중앙부(T'영역)가 가장 긴장이 되어 이 부분에서부터 절취가 진행되는 상태이고, 도 7c는 화장지 절취라인(2)에서 절취가 완료된 상태이다.
이와 같이 전방 절취력 증대부(26)를 이용하여 화장지(1)를 파지하고 인출 및 절취하는 경우는 화장지를 1마디 정도 절취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 적합하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화장지 케이스(100)의 파지자리부(25)에서 화장지(1)를 파지하여 인출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8a는 사용자가 작동커버(20)의 파지자리부(25)에 놓인 화장지(1)에 엄지손가락을 대고 나머지 손가락은 슬립부(23)에 놓인 화장지(1)에 댄 상태이고, 도 8b는 그후 상기 나머지 손가락으로 슬립부(23)에 놓인 화장지(1)를 쓸어 올려 화장지(1)를 손가락으로 파지한 상태이며, 도 8c는 사용자가 화장지(1)를 원하는 길이로 인출하는 상태인 것을 보여주며, 이후 절취하는 과정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다.
이와 같이 파지자리부(25)를 통해 화장지(1)를 파지하고, 인출 및 절취하는 경우는 화장지(1)를 3~4마디 정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 적합하다.
상기 3~4마디보다 더 많은 양의 화장지(1)를 절취하고자 할 때는 파지자리부(25)에서 파지 작업을 2번 또는 그 이상 진행하여 화장지(1)가 여러 번 겹치도록 파지한 후 절취하면 된다. 예를 들어 파지자리부(25)에서 화장지(1)를 1차 파지한 후 인출시키고 다시 파지자리부(25)에서 2차 파지한 후 재차 인출시킨 후 작동커버(20)를 통해 화장지(1)를 절취하면 된다
도 9a 내지 도 9d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화장지 케이스를 이용하는 다른 방식의 파지 동작과 절취하는 과정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9a 내지 도 9d는 사용자가 본 발명의 화장지 케이스(100)의 측방에 있을 때 화장지를 파지, 인출, 절취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으로, 먼저 도 9a는 사용자의 엄지와 검지 손가락으로 화장지를 후방 절취력 증대부(27)에 대고 화장지(1)를 파지하는 상태이고, 도 9b는 그후 사용자가 파지한 화장지(1)를 원하는 길이로 인출시키는 상태이며, 도 9c는 그후 사용자가 파지한 화장지를 작동커버(20)의 전방에서 하방으로 당기게 되면 화장지(1)가 작동커버(20)에 의해 고정되고 동시에 전방 절취력 증대부(26)에 위치된 화장지 절취라인(2)의 중앙부가 먼저 절취되기 시작한 상태이고, 도 9d는 그후 화장지 절취라인(2)에서 절취가 완료된 상태이다. 상기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화장지 케이스(100)는 절취력 증대부(26,27)가 구성된 경우를 가지고 설명을 하였으나, 사용자의 필요 여부에 따라 절취력 증대부(26,27)가 포함될 수도 있고 제외될 수도 있다.
도 10a 내지 도 10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지 케이스(100)의 파지자리부(25)에서 화장지(1)를 다른 방식으로 파지하여 인출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10a 내지 도 10b는 사용자가 본 발명의 화장지 케이스(100)의 측방에 있을 때 화장지(1)를 파지, 인출 및 절취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 10a는 사용자가 작동커버(20)의 파지자리부(25)에 놓인 화장지에 엄지손가락으로 대고, 검지 손가락은 슬립부(23)에 놓인 화장지(1)에 댄 상태이고, 도 10b는 그후 상기 검지 손가락으로 슬립부(23)에 놓인 화장지(1)를 쓸어 올려 화장지(1)를 손가락으로 파지한 상태이며, 이후 절취하는 과정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다.
도 13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지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지 케이스(100A)에 대한 설명은 상기 언급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지 케이스(100)의 동일 부분에 대해 동일 부호를 표기하고 설명은 간략 또는 생략하며, 추가 및 변형된 부분에 대해서만 다른 부호를 표기하고 중점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지 케이스(100A)는 앞서 언급된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지 케이스에서 파지자리부 및 슬립부가 사라지고, 가압부와 마찰자리부의 위치가 변경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압부(24a)는 안착부(22)의 후방 단부에 위치되어 몸체(10a) 내면과 소정 거리 유격을 두고 있고, 이 유격을 통해 몸체 내부에서 인출되는 화장지가 통과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24a)는 안착부(22)가 연장되어 안착부(22)와 동일 재질을 가지고 동일 평면 상에 위치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재질 및 다른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마찰자리부(15a)는 몸체(10a)의 배면이 상방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고 이 연장된 단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꺾여서 소정 길이만큼 더 연장되어 형성된다. 그리하여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부(24a)와 마찰자리부(15a)가 서로 소정 간격을 두고 마주보는 구조가 되며, 작동커버(20a)는 힌지축(21)을 중심으로 전방 단부가 아래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면 작동커버(20a)의 후방 단부에 있는 가압부(24a)가 상방으로 회동되어 마찰자리부(15a)와 밀착되는 구조인 것이다.
따라서 몸체(10a) 내부로부터 인출된 화장지를 이용하여 작동커버(20a)를 회동시키면 가압부(24a)와 마찰자리부(15a) 사이에서 화장지가 고정되고 동시에 절취력 증대부(26,27)에 의해 인장력이 화장지 절취라인에 집중되어 화장지가 쉽게 절취되도록 하는 구조를 가진 것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지 케이스(100A)는 절취력 증대부(26,27)가 필요에 따라 적어도 1개 포함되거나 제외될 수도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장지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장지 케이스(100B)에 대한 설명은 상기 언급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지 케이스의 동일 부분에 대해 동일 부호를 표기하고 설명은 간략 또는 생략하며, 추가 및 변형된 부분에 대해서만 다른 부호를 표기하고 중점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장지 케이스(100B)는 몸체(10b)에 작동커버(20b)가 힌지결합될 때 그 힌지결합 위치가 화장지 케이스(100B)의 상단 후방에서 힌지결합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힌지 결합을 위하여 몸체(10b)의 상단 후방 좌우측면에는 내부로 소정길이 돌출된 힌지축(47)이 형성되고, 작동커버(20b)에는 후방 양측 코너에서 하방으로 연장되고 중심에 힌지공(46)이 마련된 힌지편(45)이 형성된다.
그래서 상기 힌지편(45)의 힌지공(46)이 상기 힌지축(47)에 결합되는 구조로 힌지결합 된다. 상기 힌지결합 지점은 몸체(10b)와 작동커버(20b)가 힌지결합될 때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구조가 된다.
상기 힌지축(47)은 표면이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고, 그럴 경우 상기 힌지편(45)을 상기 힌지축(47) 중심을 향해 소정의 외력을 가할 경우 상기 힌지편(45)의 힌지공(46)이 상기 힌지축(47)에 탄력적으로 결합되는 구조로 될 수 있다.
이러한 힌지결합 구조에 의해서, 몸체(10b)에 힌지결합된 작동커버(20b)의 전방 단부를 상방으로 들어 올리면 후방 코너 부근의 상기 힌지결합 지점을 중심으로 작동커버(20b)가 회동되어 몸체(10b) 상면이 개방되는 구조가 된다.
그리고 몸체(10b)에는 상기 작동커버(20b)가 결합될 때 작동커버(20b)의 저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막대형상의 지지바(40)가 몸체의 상단 후방쪽에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지지바(40)는 그 양단이 몸체(20b)의 각 힌지축(47)으로부터 전방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몸체(10b)의 양측면에 지지되는 구조이다.
상기 지지바(40)는 그 양단이 몸체(10b)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이거나 또는 몸체와 일체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바(40)는 상면이 평평하거나 요철형태인(미도시) 마찰자리부(42)가 형성되고, 후면에는 화장지(1)가 잘 슬립되도록 곡면형상의 슬립부(4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작동커버(20b)의 중앙 부근에는 화장지(1)가 인출될 수 있도록 좌우방향으로 길게 인출공(29)이 형성된다.
상기 인출공(29)의 크기는 상기 화장지(1)가 자연스럽게 인출될 수 있을 정도의 좌우 및 전후방향 폭을 가지면 된다.
또한 상기 몸체(10b)와 작동커버(20b)가 결합되었을 때 상기 인출공(29)은 그 위치가 지지바(40) 보다 전방에 위치하면 되나, 작동커버(20b)의 전후 중앙부근이 좋다.
그리고 작동커버(20b)는 인출공(29)의 전방으로 안착부(22b)상에 상기 제1 실시예에서 언급된 절취력 증대부(26)가 1개 또는 소정간격의 다수개(미도시)가 돌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장지 케이스의 결합 구조에서 화장지(1)가 놓이는 경로를 설명하면, 몸체(10b) 내부에 있는 화장지(1)가 일부 인출될 때 화장지(1)의 일부가 지지바(40)의 슬립부(41)를 접촉하고 이후 지지바(40)의 마찰자리부(42)와 작동커버(20b)의 사이에 위치되며, 이후 작동커버(20b)의 인출공(29)을 경유하여 안착부(22b) 또는 절취력 증대부(26) 상에 놓이게 된다.
상기 화장지 케이스(100B)의 작동과정을 설명하면, 작동커버(20b)의 안착부(22b) 또는 절취력 증대부(26)에 놓인 화장지를 한손으로 잡고 상방으로 잡아당기면 그 힘에 의해 지지바(40)로부터 작동커버(20b)가 조금 이격되면서 화장지(1)가 인출공(29)을 통해 외부로 인출된다. 이때 사용자가 원하는 길이만큼 인출된 화장지(1)를 이용하여 안착부(22b) 상의 전방 단부에 있는 절취력 증대부(26)가 눌려지도록 하방으로 잡아당기면 작동커버(20b)와 지지바(40) 사이에 놓인 화장지가 마찰 정지하면서 안착부(22b)상에서 절취력 증대부(26)에 의해 화장지의 절취라인이 쉽게 절취된다.
한편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장지 케이스에서 몸체를 일부 변형하여 사용될 수 있는 바, 상기 지지바(40)가 제거된 몸체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럴경우 상기 작동커버(20b)는 자중에 의해서 하방으로 회동되어 작동커버(20b)의 저면이 화장지 롤의 외경에 직접 접촉되는 구조가 된다.
화장지(1) 사용에 따라 화장지 롤의 외경이 작아지면 그만큼 작동커버(20b)는 힌지축(47)을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그 전방 단부가 하방으로 이동되는 구조가 된다. 이때 작동커버(20b)의 전방 단부가 하방 이동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몸체의 전면에 스윙공간부(12)를 충분히 둘 필요가 있다.
이러한 변형 구조에서 화장지 케이스의 작동과정을 설명하면, 작동커버(20b)의 안착부(22b) 또는 절취력증대부(26)에 놓인 화장지를 한손으로 잡고 상방으로 잡아당기면 그 힘에 의해 작동커버(20b)가 화장지 롤 외경으로부터 조금 이격되면서 화장지가 인출공(29)을 통해 외부로 인출된다. 이때 사용자가 원하는 길이만큼 인출된 화장지(1)를 이용하여 작동커버(20b)의 절취력 증대부(26)가 눌려지도록 하방으로 잡아당기면 작동커버(20b)의 저면이 화장지 롤 외경을 가압하게 되어 화장지 롤의 회전이 정지하면서 안착부(22b)상에서 절취력 증대부(26)에 의해 화장지의 절취라인이 쉽게 절취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장지 케이스(100B)는 절취력 증대부(26)가 필요에 따라 포함되거나 제외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절취가 용이한 화장지 케이스(100)를 설명하면, 화장지를 담을 수 있는 몸체와, 이 몸체에 힌지결합되어 화장지의 절취라인에 대해 절취동작 하는 작동커버와 이 작동커버에 연동되어 화장지 이동을 정지시키는 화장지 정지수단으로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소정 구간 절취라인이 형성된 화장지 롤을 담을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고 일측이 개방된 몸체와, 상기 몸체 내부로부터 일부 인출되는 화장지가 놓일 수 있는 안착부가 마련되고 상기 개방된 몸체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결합 되는 작동커버와, 상기 작동커버의 회동 운동에 연동되어 화장지 이동을 정지시키는 화장지 정지수단을 포함하며, 사용자가 인출된 화장지를 이용하여 작동커버의 일단을 제1 방향으로 가압시켜 작동커버를 회동시킬 때, 상기 화장지 정지수단에 의해 화장지가 고정됨과 동시에 외부로 인출된 화장지가 절취라인에서 절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의 화장지 정지수단은 다양하게 구성이 가능한데, 예를 들어, 화장지 롤의 중심홀이 별도의 회전축에 밀착 삽입되어 일체화 결합된 후, 상기 화장지가 결합된 회전축이 몸체 내부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 될 경우, 이 회전축을 작동커버의 회동 동작에 연동되게 하여 상기 회전축 회전을 정지시키거나 또는 해제시킴으로서 상기 화장지 롤의 화장지 인출 이동을 정지 또는 해제할 수 있다.
상기 회전축을 작동커버의 회동 동작에 연동되게 하여 상기 회전축 회전을 정지시키는 일예를 들면, 작동커버의 저면 일측에서 상기 회전축 근처까지 연장된 브레이크 바가 일체화 형성되고, 상기 작동커버가 회동될 때 상기 브레이크바도 회동되고 이때 이 브레이크바의 단부가 상기 회전축의 일측 표면에 접촉되면서 마찰작용을 일으켜 회전축의 회전을 정지 시킬수 있다.
상기 화장지 정지수단은 앞서 제1, 제2, 제3 실시예의 화장지 케이스에서 언급된 작동커버의 가압부와 몸체와의 마찰 작동 관계를 통해서도 화장지 인출이 정지 또는 해제될 수 있는 화장지 정지수단이 될 수 있다.
상기 안착부 상에는 절취력증대부가 1개 또는 다수개 형성될 수 있고, 이 절취력 증대부의 구조 및 작용은 앞 실시예에서 언급된 바와 같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절취가 용이한 화장지 케이스는 소정 구간 절취라인이 형성된 화장지 롤을 내부에 설치하여 화장지를 일부 인출한 후 상기 절취라인에서 절취하는데 사용되는 화장지 케이스로서, 상기 화장지 케이스에는 화장지 절취 동작이 진행될 때 화장지 절취라인의 일부분에 인장력이 집중 작용되어 절취되도록 소정 높이로 돌기된 절취력 증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절취가 용이한 화장지 케이스는 상기 구조를 통해서 사용자는 한 손으로도 화장지를 절취할 수 있고, 또한 절취하고자 하는 화장지의 길이를 선택적으로 파지하여 원하는 길이만큼 절취할 수 있으며, 절취 동작 또한 간단하고 적은 힘으로도 쉽게 화장지가 절취되는 장점이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구체적인 예들에 대해서만 기술하였으나, 상기의 구체적인 예들을 바탕으로 한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의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또한,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 : 화장지 2 : 절취라인
10, 10a, 10b : 몸체 11, 46 : 힌지공
12 : 스윙공간부 13 : 인출개방부
14 : 가이드부 15, 15a, 42 : 마찰자리부
16 : 걸림턱 17 : 보조 바닥지지부
18 : 투시창 19 : 이격지지부
20, 20a, 20b : 작동커버 21, 47 : 힌지축
22, 22b : 안착부 23, 41 : 슬립부
24, 24a : 가압부 25 : 파지자리부
26, 27 : 절취력 증대부 28 : 이탈방지부
29 : 인출공 31, 32, 33 : 파지홈
40 : 지지바 45 : 힌지편
100, 100A, 100B : 화장지 케이스

Claims (15)

  1.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절취라인이 형성된 롤 형태의 화장지를 담을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고 일측이 개방된 몸체; 및
    상기 몸체 내부로부터 인출된 화장지 일부분이 놓일 수 있는 안착부가 마련되고, 상기 몸체의 개방된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상기 힌지결합 지점을 중심으로 일측이 제1 방향으로 이동될 때 타측은 인출되는 화장지를 상기 몸체에 밀착 고정시킬 수 있도록 가압부가 마련된 작동커버;를 포함하며,
    사용자가 인출된 화장지를 이용하여 상기 작동커버의 일측을 상기 제1 방향으로 가압시킴으로써 상기 작동커버를 회동시키면, 상기 작동커버의 타측에 구비된 상기 가압부가 화장지를 밀착 고정시킴과 동시에 외부로 인출된 화장지가 절취라인에서 절취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취가 용이한 화장지 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커버는 상기 화장지가 몸체 내부로부터 인출될 때 화장지가 슬립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안착부의 한쪽 단부에서 하방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어 상기 안착부를 상기 가압부와 연결해주는 슬립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취가 용이한 화장지 케이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는 상기 슬립부와 접해 있는 화장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뚫려있는 인출개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취가 용이한 화장지 케이스.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립부와 이어지는 상기 안착부의 한쪽 단부에는 화장지를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상기 안착부의 외부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파지자리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취가 용이한 화장지 케이스.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는 상기 작동커버의 회동 범위가 제한되도록 상기 작동커버를 받쳐주기 위한 걸림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취가 용이한 화장지 케이스.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커버는 상기 힌지결합 지점을 기준으로 할 때 무게중심이 상기 가압부와 가까운 쪽에 있도록 구성되어, 절취 작업이 이루어지고 나면 무게중심에 따른 자중에 의해 회동되어 상기 가압부가 상기 몸체로부터 이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취가 용이한 화장지 케이스.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커버와 상기 몸체의 힌지결합 구조는, 상기 작동커버에 힌지축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에는 상기 힌지축이 삽입될 수 있도록 힌지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취가 용이한 화장지 케이스.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커버는 상기 안착부에 놓인 화장지를 소정 높이로 지지하면서 화장지 절취 동작이 진행될 때 화장지 절취라인 일부분에 인장력이 집중 작용되어 절취되도록 상기 안착부에서 돌출된 절취력 증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취가 용이한 화장지 케이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절취력 증대부는 폭이 화장지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취가 용이한 화장지 케이스.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절취력 증대부는 상방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취가 용이한 화장지 케이스.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절취력 증대부는 화장지 절취라인의 중앙에서 인장력이 집중 작용되도록 상기 안착부의 폭방향 중앙에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취가 용이한 화장지 케이스.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절취력 증대부는 화장지의 이동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한 쌍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취가 용이한 화장지 케이스.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절취력 증대부의 일단부 가장자리가 상기 안착부 중 상기 제1 방향으로 눌리는 가장자리와 일치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취가 용이한 화장지 케이스.
  14.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절취라인이 형성된 롤 형태의 화장지를 담을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고 일측이 개방된 몸체;
    상기 몸체 내부로부터 인출된 화장지 일부분이 놓일 수 있는 안착부가 마련되고, 상기 몸체의 개방된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작동커버; 및
    상기 작동커버의 회동 운동에 연동되어 화장지 이동을 정지시킬 수 있는 화장지 정지수단; 을 포함하며,
    사용자가 인출된 화장지를 이용하여 상기 작동커버의 일측을 제1 방향으로 가압시킴으로써 상기 작동커버를 회동시키면, 상기 화장지 정지수단에 의해 화장지가 고정됨과 동시에 외부로 인출된 화장지가 절취라인에서 절취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취가 용이한 화장지 케이스.
  15.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절취라인이 형성된 롤 형태의 화장지를 내부에 설치하여 화장지를 일부 인출한 후 상기 절취라인에서 절취하는데 사용되는 화장지 케이스로서,
    상기 화장지 케이스에는 화장지 절취 동작이 진행될 때 화장지를 소정 높이로 지지하면서 화장지 절취라인의 일부분에 인장력이 집중 작용되어 절취되도록 소정 높이로 돌출된 절취력 증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취가 용이한 화장지 케이스.
KR1020190056661A 2018-05-15 2019-05-14 절취가 용이한 화장지 케이스 KR2019013097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55155 2018-05-15
KR1020180055155 2018-05-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0978A true KR20190130978A (ko) 2019-11-25

Family

ID=68540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6661A KR20190130978A (ko) 2018-05-15 2019-05-14 절취가 용이한 화장지 케이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90130978A (ko)
WO (1) WO2019221519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9692U (ja) * 1993-12-27 1995-07-18 俊一 亀和田 ロール状連続紙の簡易切断具
KR970001614Y1 (ko) * 1994-05-04 1997-03-15 심혁봉 화장지 인출 케이스
KR200201978Y1 (ko) * 2000-06-20 2000-11-01 김조천 절취가 용이한 원터치 롤링프레임
JP4411541B2 (ja) * 2005-04-15 2010-02-10 博 鈴川 トイレットペーパーホルダー
JP3214977U (ja) * 2017-07-13 2018-02-22 吉弘 町田 ペーパーホルダーアタッチメン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221519A1 (ko) 2019-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615574Y2 (ja) ロールペーパーホルダー
KR20190130978A (ko) 절취가 용이한 화장지 케이스
JP5463523B1 (ja) ロールペーパー保持切断装置
CN205963924U (zh) 连续性断纸卷纸盒
JP2003024241A (ja) トイレットペーパー用ホルダ
JP2010110609A (ja) ロールペーパーホールダー
JP6072864B1 (ja) ロール紙ホルダ
JP3058570U (ja) ロールペーパーホルダー
JP2009118990A (ja) ロールペーパーホルダー
JP4984185B2 (ja) ロールペーパー引出し切断装置
CN105832234A (zh) 连续性断纸卷纸盒
JP2003000472A (ja) ロールペーパホルダ
JP4385377B2 (ja) ペーパーホルダ
JP2014124523A (ja) ロールペーパーホルダー
JP5571136B2 (ja) カッターガード板付き粘着テープホルダー
JPH08280577A (ja) トイレットペーパーホルダー
JP7094481B2 (ja) トイレットペーパー用カッター
JP6023377B1 (ja) ロール紙引出装置
JP3146221U (ja) ロールペーパー用ホルダー
JP3029036U (ja) ロールペーパー保持具
JP2024035925A (ja) ロールペーパーホルダー
KR200364924Y1 (ko) 접착테이프용 홀더
JP2007014752A (ja) ロールペーパー切断装置
JP3074056U (ja) ロールペーパーカッター
JP2006025908A (ja) ロールペーパーホルダ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