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9221519A1 - 절취가 용이한 화장지 케이스 - Google Patents

절취가 용이한 화장지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9221519A1
WO2019221519A1 PCT/KR2019/005856 KR2019005856W WO2019221519A1 WO 2019221519 A1 WO2019221519 A1 WO 2019221519A1 KR 2019005856 W KR2019005856 W KR 2019005856W WO 2019221519 A1 WO2019221519 A1 WO 2019221519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toilet paper
cut
cutting
operation cover
eas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9/005856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도현
Original Assignee
Kim Do Hyun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Kim Do Hyun filed Critical Kim Do Hyun
Publication of WO2019221519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922151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34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 A47K10/36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with mechanical dispensing, roll switching or cutting devices
    • A47K10/3631The cutting devices being driven manuall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34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 A47K10/36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with mechanical dispensing, roll switching or cut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8Devices for discharging contents
    • B65D25/52Devices for discharging successive articles or portions of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ilet paper case, and more particularly, to a toilet paper case that allows a user to easily cut and use the toilet paper by a desired length with only one hand.
  • the toilet paper case used is a roll-type toilet paper, when one hand grabs the end of the toilet paper and pulls out an appropriate amount to use, while the other hand grabs the toilet paper not to be pulled out and pulls the toilet paper by pulling the toilet paper out.
  • the cut proceeds at the perforation line.
  • Background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roll toilet paper case that can be cut with one hand of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236394.
  • This can prevent the toilet paper from rolling back into the toilet case by installing a plate to prevent the toilet paper from being rolled up in the roll toilet paper case with a tissue hanger rod, and by installing a roller at the entrance of the toilet paper, It helps to release the tissue well even if you go in the direction, and make the tissue cutting edge higher than the entrance of the toilet paper on the outside of the toilet case. do.
  • Korean Patent Application Registratio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236442 Paper cut out and toilet hanger case
  • the toilet paper is released past the automatic paper cutting member along the rotation restraining rod and the guide part of the toilet paper rotation restraint portion, and a certain amount of tissue paper is drawn out.
  • the automatic tissue cutting member enters the lower portion of the guide line and presses the tissue, and the tissue is configured to cut the tissue from the teeth of the automatic tissue cutting member by pulling the tissue.
  • the toilet paper hanger case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s the advantage that it can be used to cut the toilet paper with only one hand as desired, but this also has a problem that the user may be injured by the sharp teeth of the automatic paper cutting member, Not only is the cutting operation unnatural, but the toilet case is used only as a fixed type on the wall,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be used for the tabletop.
  • the toilet paper case used in the prior art is not easy to cut the toilet paper when used for the tabletop, and when the tissue is caught in a quick motion, the paper cutting case is not easily cut and the tissue paper case is easy to fall.
  • most sharp cutter blades are used and dangerous, and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utter blades, there is a problem in that cutting is not performed well due to wear.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the present invention is easy and reliable to cut the toilet paper to the desired length with only one hand in cutting the toilet paper pre-formed cut line, the cutting operation While naturally made with this small force, there is no need for a cutter blade or a saw blade for cutting toilet paper, and its purpose is to provide an easy-to-cut toilet paper case without the user's risk of injury.
  • Easy to cut toilet paper case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provided with a space in the inside to accommodate a roll-shaped toilet paper formed with a plurality of cutting lines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one side is opened;
  • a toilet seat portion in which a part of toilet paper drawn from the inside of the body may be provided is hinged rotatably on an open side of the body, and the toilet paper is pulled out of the other side when one side is moved in the first direction about the hinge coupling point.
  • It includes an operation cover provided with a pressing portion to be fixed in close contact with the body, when the user rotates the operation cover by pressing one side of the operation cover in the first direction using the toilet paper drawn out the other side of the operation cover At the same time the pressing portion provided in the fixing the toilet paper in close contact with the drawer Magazine is configured to be cut out from the cut line.
  • the operation cover is preferably formed with a slip portion extending from the one end of the seating portion to a predetermined length downward so that the toilet paper is slip-moved when the toilet paper is pulled out from the body to connect the seating portion with the pressing portion.
  • the body is preferably formed with a draw opening that is open so that the toilet paper in contact with the slip portion is exposed to the outside.
  • one end portion of the seating portion connected to the slip portion is provided with a gripper portion protruding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seating portion so as to easily hold toilet paper.
  • the body is preferably formed with a locking step for supporting the operation cover so that the rotation range of the operation cover is limited.
  • the operation cover is configured so that the center of gravity is close to the pressing portion based on the hinge coupling point, after the cutting operation is rotated by the weight according to the center of gravity, the pressing portion is separated from the body It is preferable that it is comprised so that.
  • the hinge cover structure of the operation cover and the body, the hinge shaft is formed on the operation co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hinge groove is formed in the body so that the hinge shaft can be inserted.
  • the operation cover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cutting force increasing portion protruding from the seating portion so as to support the toilet paper placed in the seating portion to a predetermined height while the tension force is concentrated on the part of the toilet paper cutting line when the toilet paper cutting operation proceeds.
  • the cutting force increasing portion is preferably formed of a width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toilet paper.
  • the cutting force increasing portion is preferably formed to be narrowed upward.
  • the cutting force increasing portion is preferably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seating portion so that the tensile force is concentrated in the center of the toilet paper cutting line.
  • the pair of cutting force increasing units is dispos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toilet paper.
  • one end edge of the cutting force increasing portion is formed to coincide with an edge pressed in the first direction of the seating portion.
  • the toilet paper case easy to cu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provided with a space inside the body to hold a roll-shaped toilet paper formed with a plurality of cutting lines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the body is open on one side;
  • a toilet seat which is provided with a seating portion in which a part of toilet paper drawn from the body is placed and is hingedly coupled to an open side of the body and a toilet paper which is interlocked with a rotational motion of the operation cover can stop toilet paper movement.
  • a stop means and when the user rotates the operation cover by pressing one side of the operation cover in the first direction using the toilet paper drawn out, the toilet paper is fixed by the toilet paper stop means and the toilet paper is drawn out to the outside. It is preferable to be configured to cut at the cutting line.
  • the toilet paper case easy to cu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user can easily use the toilet paper with a small force using only one hand.
  • the toilet paper case that is easy to cu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that the user does not have to worry about being injured by the saw blade or cutter blade because the user does not need a dangerous saw blade or cutter blade.
  • the toilet paper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toilet paper gripping position is arranged in several places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toilet paper cut desired by the user, the user can take out at a desired length to cut out at a time, and is convenient to use. You can use as many as you need, which saves resources.
  • the toilet paper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mposed of only at least two parts when manufactured simply has the advantage that it is very easy to mass production, it can be widely distributed at a low price.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toilet paper cas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toilet paper cas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 state before the toilet paper cut as shown by removing a portion of the body in the toilet paper cas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view illustrating an operation state when the toilet paper is cut out as shown by removing a part of the body from the toilet paper cas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view illustrating an operation state in which toilet paper is cut in another cutting line in the state of FIG. 4.
  • 6A to 6E are diagrams illustrating step-by-step progress for cutting using a toilet paper cas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A to 7C are views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toilet paper is gripped and pulled out from the front cutting force increasing part of the toilet paper cas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n cut out.
  • FIGS. 8A and 8C ar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oilet paper is gripped and pulled out from the grip part of the toilet paper cas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S. 10A and 10B are views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toilet paper is gripped and pulled out in a different manner in the grip part of the toilet paper cas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ified form of the operation cover in the toilet paper cas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S. 12A and 12B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form in which a body is partially modified in a toilet paper cas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oupled to an operation cover.
  • FIG. 13 is a perspective view of a toilet paper cas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toilet paper case according to a thir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toilet paper cas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toilet paper cas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 toilet pap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state diagram before removing the toilet paper is shown by removing a part of the body from the case.
  • the body 10 that can hold toilet paper, and hinged to the body to the cutting line (2) of the toilet paper (1) It consists of an operation cover 20 for performing a cutting operation.
  • an easy-to-cut toilet paper case 100 is provided with a space therein so as to contain a roll of toilet paper 1 on which a predetermined section of cutting line 2 is formed, and one side of which is open to the body ( 10) and a seating part 22 in which the toilet paper 1 partially drawn out from the body 10 is provided, is rotatably hinged to one side of the open body 10, and the hinge coupling point is provided.
  • the one side is moved in the first direction to the center, the other side is configured to include an operation cover 20 provided with a pressing portion 24 to be fixed in close contact with the body of the toilet paper is drawn out.
  • the operation cover 20 is a cutting force increasing portion 26 protruding upward from the seating portion 22 so that when the cutting operation of the toilet paper (1) proceeds, the tension force is concentrated on a part of the toilet paper cutting line (2). 27) may be further included.
  • the toilet paper 1 drawn out when the user presses one side of the operation cover 20 in the first direction by using the toilet paper 1 drawn out, and rotates the operation cover 20 by the pressing part 24 of the other side of the operation cover 20.
  • the toilet paper 1 is fixed and at the same time the toilet paper 1 drawn ou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cut in the cutting line (2).
  • the first direction may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state in which the toilet paper case is placed or in various embodiments, but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refers to a bottom direction or a bottom direction in which the tissue case is placed.
  • the body 10 has a hexahedron structure as a whole, an upper surface is open, and a space is provided therein so as to contain a roll of toilet paper 1 having a cutting line 2 formed therein at predetermined intervals.
  • Body 10 has been illustrated that the upper surface is opened, but may be more variously open to the various parts that do not interfere with the operation for convenience.
  • the body 10 is hinged to the operating cover 20.
  •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open upper portion of the body 10 may be hinged to the hinge shafts 21 coupled to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operating cover 20.
  • the hinge hole 11 is open at the upper end, and the minimum open distance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hinge shaft 21 so that the hinge hole 21 can be elastically inserted when the hinge shaft 21 is pressed above the hinge hole 11. Make sure That is, the hinge shaft 21 may be elastically attached to the hinge hole (11).
  • the hinge shaft 21 can be inserted into the hinge hole 11 without resistance
  • the upper end of the hinge hole 11 is open
  • the open distance of the hinge hole 11 It is preferably equal to the diameter, but its open position slightly biased to the rear of the body. This is a force that the hinge shaft 21 is pushed forward of the body 10 by the reaction of the pressing portion 24 when the operation cover 20 is rotated, the opening direction of the hinge hole 11 is the rear of the body This is because the hinge shaft 21 is not detached from the hinge hole 11 when the toilet paper 10 is cut when it is inclined in the direction, and the hinge shaft 11 is easily detached from the hinge hole 11.
  • the hinge cover 21 is integrally formed on the operation cover 20, the hinge shaft 21 is inserted into the body 10 to be supported.
  • the hinge hole 11 may be formed, but on the contrary, a hinge hole is formed in the operation cover 20, and a hinge shaft may be provided in the body 10.
  • a swing space 12 is provided at an upper front end of the body 10 so that the front end of the operation cover 20 can swing when the operation cover 20 is rotated.
  • the withdrawal opening part 13 is opened so that the toilet paper 1 is exposed to the outside for a predetermined sec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 guide parts 14 supporting and guiding the edges of the toilet paper 1 are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take-off opening 13 so that the toilet paper 1 to be pulled out does not protrude out of the body 10.
  • a friction seat 15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rear wall of the body 10. The friction seat 15 is in contact with the toilet paper (1) when the pressing portion 24 of the operation cover 20 to fix the toilet paper (1) in close contact with the body 10, the toilet paper (1) It serves to fix.
  • the friction seat 15 may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material of the body 10, and may also be formed in the same planar structure as the inside of the rear surface of the body 10, but in order to increase frictional force. A plurality of minute friction protrusions (not shown) may be formed. In addition, the friction seat 15 may be formed of a friction increasing material such as rubber, silicon, etc. to increase the friction force.
  • the body 10 is formed with a locking projection 16 protruding from the inside of both sides.
  • the catching jaw 16 serves to support the bottom of both side end portions of the operation cover 20 so that the rotation range of the operation cover 20 is limited to a predetermined section.
  • the operation cover 20 is It is always configured to be placed on the locking step 16.
  • the body 10 may be formed with a rod-shaped mounting bar (not shown)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center of the roll of toilet paper (1) as needed when the roll of toilet paper (1) is located inside the body, ,
  • the mounting bar may be formed to be fixed or de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 the body 10 may have an auxiliary bottom support part 17 protruding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front lower end to the front.
  • the auxiliary bottom support part 17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so that the toilet paper case 100 does not fall forward by the force of the user who cuts the toilet paper when the user cuts the toilet paper, thereby supporting the toilet paper case 100 in an auxiliary manner. Do it.
  • the auxiliary bottom support 17 may be one or more, but is preferably formed in a pair of left and right at predetermined intervals.
  • an open viewing window 18 is formed at a part of both sides of the body 10.
  • the see-through window 18 helps the user to easily recognize how much toilet paper remains in the body 10 as the toilet paper is drawn out and used.
  • the viewing window 18 may be formed of various patterns for improving the appearance image of the toilet paper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see-through window may be formed through the front of the body 10, and may be formed in various patterns such as letters, characters in consideration of the appearance.
  • the toilet paper cas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a fixing groove (not shown) in the rear of the body 10 to be fixed to the indoor and outdoor walls depending on the use place. That is, when the head portion of the nail or the suction plate is fixed to the wall is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toilet paper case can be fixed to the wall used.
  • the operation cover 20 is positioned to cover the upper open portion of the body 10 and is hinged to the body 10 so as to be rotatable back and forth.
  • the operation cover 20 includes a seating part 22 having a flat plate shape so that the toilet paper 1 partially drawn out from the inside of the body 10 can be placed.
  • the seating portion 22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or various shapes when viewed in a plane, and serves as a base plate of the operation cover 20, and thus the operation cover 20 may not bend during rotational operation, and may transmit force well. It is formed to a thickness sufficient to make it.
  • the seating portion 22 has a front end positioned on the swing space portion 12 of the body 10 when the body 10 and the operation cover 20 are hinged, and the rear end is the rear surface of the body 10. It is located at a predetermined clearance distance from the inside.
  • the clearance distance d from the inner side of the rear surface of the body 10 to the rear end of the seating portion 22 may be about 1 mm to about 5 mm in consideration of a smooth passage of toilet paper and a smooth operation of the operation cover 20.
  • the operation cover 20 is formed with a slip portion 23 extending downward from the rear end of the seating portion 22.
  • the slip unit 23 is a place where the toilet paper initially drawn out inside the body 10 is slipped, and the toilet paper is connected to the gripping operation in the grip unit 25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by the user. It is involved in the role that the toilet paper 1 is gripped to a sufficient length while slipping.
  • the shape of the slip portion 23 is preferably in the form of a square flat plate.
  • the pressing part 24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slip part 23 in the operation cover 20.
  • the pressing unit 24 serves to fix the toilet paper drawn out during the toilet paper cutting operation to the body 10, the shape of which is a long rod extending from side to side, uniform toilet paper (1) to the friction seat 15 When it is seen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toilet paper (1)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it is good to be formed smoothly without height.
  • the pressing part 24 may further extend the slip part 23 to have the same plane as the slip part 23 and may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 the bottom of the pressing unit 24 is preferably rounded so that the withdrawal resistance is reduced when the toilet paper 1 is withdrawn.
  • Hinge shafts 21 protrud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re formed at both side portions of the seating part 22 of the operation cover 20, and the hinge shafts 21 are inserted into the hinge holes 11 of the body 10 to engage the hinges. do.
  • the operation cover 20 is a ' ⁇ ' shape as a whole when viewed from the side, the operation cover 20 is a structure that can be rotated back and forth around the hinge hinged to the body 10, this rotation operation is the operation cover ( When the front end of 20 is moved downward, the pressing part 24 at the rear causes the toilet paper 1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friction seat 15 of the body 10.
  • the operating cover 20 is configured such that its center of gravity is located at the rear with respect to the hinge coupling point.
  • the pressing unit 24 is rotated by its own weight according to the center of gravity, so that the pressurizing portion 24 rubs the friction of the body 10. It is preferably formed to be spaced forward from the seat 15. When the user pulls out the toilet paper 1 due to the space between the pressing part 24 and the friction seat 15, the toilet paper 1 may be smoothly drawn out through these spaces between the spaces.
  • the position of the hinge shaft 21 in the operation cover 20 is an appropriate position of both sides of the seating portion 22 so that the center of gravity can be located behind.
  • the operation cover 20 is formed with a gripping portion 25 protruding a predetermined height upward from the rear upper end of the seating portion 22.
  • the gripper 25 is a seat where the toilet paper drawn out from the inside of the body 10 is pulled out in the vertical direction via the slip 23, and then ben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gripper 25, and the gripper 25. ) The toilet paper is located at the top.
  • the user grips the toilet paper 1 by hand and grips the toilet paper 1 while pulling the toilet paper 1 to a desired length while holding the toilet paper 1 by the user.
  • Toilet paper can be easily gripped and taken out.
  • the protruding height of the gripping portion 25 may be such that the finger to be gripped is caught by the gripping portion 25 and is in the range of 5 to 15 mm.
  • the width of the grip portion 25 may be larger or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toilet paper 1 in contact, the upper portion of the grip portion 25 is formed in a rounded shape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toilet paper (1) It is desirable to be.
  • the cutting force increasing portion 26 protruding upward is formed on the seating portion 22 of the operation cover 20.
  • the cutting force increasing unit 26 is to allow the tensile force to be intensively applied to a part of the toilet paper cutting line 2 while the toilet paper 1 is cut while supporting the toilet paper 1 at a predetermined height.
  • the toilet paper 1 is easily cut off. This can be done with much less force when cutting from one part of the cutting line (2) than when the roll-shaped toilet paper (1) is cut at the cutting line (2) at the same time. The principle that the toilet paper 1 is cut is applied.
  • the cutting force increasing part 26 is preferably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seating part 22 so that the tensile force is concentrated at the center of the cutting line 2 of the toilet paper 1, and in the length direction of the seating part 22. In view, it may be located between both ends, but is preferably located at the front end of the seating portion 22. More preferably, the front surface of the cutting force increasing portion 26 is disposed to coincide with the front end of the seating portion 22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reason is that the user's hand and seating part holding the toilet paper 1 when the user pulls down the toilet paper 1 pulled out and grasped for the cutting operation of the toilet paper 1 as shown in FIG. If there is a toilet paper cutting line (2) between the front end of the 22) because the tensile force is most concentrated in the cutting line (2) is because this cutting line (2) is cut first.
  • the cutting force increasing portion 26 may be 5 mm or more in height, but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10 to 20 mm. And the width of the cutting force increasing portion 26 may be formed narrower than the width of the toilet paper, more preferably 1/7 ⁇ 1/2 size range of the toilet paper width.
  • the cutting force increasing portion 26 is preferably formed such that its horizontal cross-sectional area becomes smaller as it goes upward. More preferably, the cutting force increasing unit 26 is rounded so that sharp edges do not occur, and when the height thereof is viewed from the front, the center portion is high and the height decreases toward both side ends.
  • the cutting force increasing portion 26 also serves as a gripping portion.
  • the cutting force increasing unit 26 has a front surface formed in a vertical plane and a rear surface formed in an inclined sloped surface. Thus, when the toilet paper 1 is gripped by the cutting force increasing unit 26, the toilet paper 1 slides along the inclined surface so that the grip is easily carried out.
  • the cutting force increasing unit 26 may be one, but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cutting unit 26 is arranged in pairs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the seating unit 22 along the toilet paper moving direction to increase cutting efficiency.
  • This background is based on a virtual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two cutting force increasing portions 26 and 27 when the toilet paper cutting line 2 is positioned between the two cutting force increasing portions 26 and 27 when the toilet paper 1 is being cut. This is because the tensile force is most concentrated at the intersection of the cutting line 2 which meets this imaginary straight line, so that the cutting proceeds easily.
  • the front cutting force increasing unit 26 and the rear cutting force increasing unit 27 are positioned one by one in the front and rear, and among them, the cutting force increasing unit disposed in front of the cutting unit 26 and 27.
  • 26 is preferably arranged such that its front surface coincides with the edge of the seating portion 22, that is, the front end of the seating portion 22 in the vertical direction.
  • the pair of front and rear cutting force increasing parts 26 and 27 may be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toilet paper cutting lines 2, that is, one piece of toilet paper, and 50 to 90% of one piece of toilet paper. It is preferable to form in the range. The reason is that two or more cutting lines 2 do not exist between the front and rear cutting force increasing parts 26 and 27, and one cutting line between the front and rear cutting force increasing parts 26 and 27 This is to ensure that the cutting line (2) is exactly cut when there is 2).
  • the rear cutting force increasing portion 27 also serves as a gripping portion. Since the structure of the rear cutting force increasing portion 27 may be the same as or similar to that of the aforementioned front cutting force increasing portion 26,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the rear cutting force increasing portion 27 may be formed higher in height than the front cutting force increasing portion 26. The reason is that when the toilet paper cutting operation is progressed, the toilet paper placed on the rear cutting force increasing portion 27 is sufficiently folded on the path to increase the friction between the rear cutting force increasing portion 27 and the toilet paper placed thereon to cut the front and rear sides. This is because the toilet paper cutting line may be cut well between the force increasing parts 26 and 27.
  • the operation cover 20 has a plurality of separation prevention portions 28 protruding upward from both sides of the seating portion 22 to prevent the toilet paper 1 from escaping from the seating portion 22 in the seating portion 22. do. More preferably, as shown in the figure, a pair of separation prevention parts 28 are installed at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eating part 22, but each pair is preferably disposed near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of the operation cover 20, respectively.
  • the departure prevention part 28 may b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body 10 without being formed in the operation cover 20, of course.
  • Figure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ified form for the operation cover in the toilet paper cas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operation cover 20 has toilet paper gripping grooves 31, 32, and 33 formed in a plurality of places so that a user can grip the toilet paper more easily.
  • a gripping groove 31 into which a thumb can be inserted is formed at a portion adjacent to the gripping portion 25 of the seating portion 22 of the operation cover 20. As shown in FIG. 11, the gripping groove 31 is formed deeper toward the rear from the surface of the seating part 22 so that the thumb can be naturally inserted for gripping the toilet paper 1.
  • the depth may be a depth at which one thumb is inserted, but preferably about 10 to 30 mm.
  • the width of the gripping groove 31 may be the thickness of the thumb, but in consideration of the ease of gripping, the range of the 1/2 to 1/4 of the width of the seating portion 22 may be good.
  • the user's thumb is inserted into the grip groove 31 together with the toilet paper 1 and the remaining fingers are in contact with the toilet paper 1 in the direction of the slip part 23.
  • the toilet paper 1 is lifted upward, the toilet paper is naturally drawn out.
  • gripping grooves 32 and 33 into which a thumb may be partially inserted into the front of the cutting force increasing portions 26 and 27 in order to more easily grip the toilet paper 1 in each of the front and rear cutting force increasing portions 26 and 27. ) May be formed.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user's thumb is inserted into the front gripping grooves 32 and 33 of the cutting force increasing portions 26 and 27 together with the toilet paper 1 when the toilet paper 1 is gripped. By sweeping up,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toilet paper is easily gripped.
  • the user can easily cut the desired length by selectively gripping the length of the toilet paper to be cut.
  • FIGS. 12A and 12B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form in which a body is partially modified in a toilet paper case according to the first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bined with an operation cover.
  • the inner bottom and the bottom of the body are formed in a curved shape.
  • the inner bottom and bottom surfaces of the body 10 are curved in shape, and are formed in a curved shape in which the center is convex downward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body.
  • the roll of toilet paper 1 placed on the bottom of the body 10 is always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bottom of the body 1 by its own weight, and when the user views the toilet paper roll inside the body through the viewing window 18. It's good for aesthetics because it doesn't get scattered, and it's good to know how much toilet paper you have left.
  • the body 10 is formed with a spaced apart support 19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downward from the bottom corner seat to support the bottom spaced from the outer bottom.
  • the spaced apart support 10 may be a variety of shapes for spaced support applications, such as a straight rod (not shown) or a curved rod (not shown), but considering the aesthetics as shown in Figure 12a and 12b is also possible Alternatively, it is possible to have a variety of character shapes (not shown) such as objects, animals, and figures.
  • FIG 4 is a view showing the removal of a part of the body of the toilet paper cas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toilet paper is cut
  • Figure 5 is that the toilet paper is cut in another cutting line in the state of Figure 4 The state diagram shown.
  • the toilet paper 1 is in one direction, that is, the direction indicated by the arrow F in the present embodiment in the state in which the toilet paper 1 is placed on the upper part of the operation cover 20.
  • the operation cover 20 is rotated downward with the front end about the hinge shaft 21, and at the same time the pressing portion 24 at the rear of the operation cover 20 ) Moves to abut the friction seat 15 on the inner side of the body, thereby fixing and fixing the toilet paper 1 positioned therebetween.
  • the toilet paper 1 is fixed so as not to be moved, and a tension force is intensively applied to the center portion (T area) of the toilet paper cutting line 2 between the front and rear cutting force increasing parts 26 and 27 so that cutting is easily performed. do.
  • FIG. 5 is a case where the toilet paper cutting line 2 is further ahead beyond the front cutting force increasing part 26.
  • the center portion T 'area of the cutting line 2 is removed.
  • the tensile force is concentrated so that the cutting is easily performed.
  • 6A to 6E are diagrams illustrating the step-by-step use process for cutting using the toilet paper cas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A to 6E sequentially show a process of gripping, withdrawing and cutting the toilet paper 1 when the user is in front of the toilet paper cas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A is an upper portion of the operation cover 20.
  • the toilet paper 1 is placed on the user's finger holding the toilet paper 1 using the rear cutting force increasing portion 27
  • Figure 6b is a state in which the user then pulls out the toilet paper 1 to the desired length
  • FIG. 6C shows that when the user pulls the toilet paper 1 grasped downward from the front of the operation cover 20, the toilet paper 1 is fixed by the operation cover 20 so that the toilet paper 1 is a pair of front and rear sides.
  • FIG. 6A is an upper portion of the operation cover 20.
  • the toilet paper 1 is placed on the user's finger holding the toilet paper 1 using the rear cutting force increasing portion 27
  • Figure 6b is a state in which the user then pulls out the toilet paper 1 to the desired length
  • FIG. 6C shows that when the user pulls the toilet paper 1 grasped
  • 6D shows that the cutting proceeds from the central portion (T region) of the toilet paper cutting line 2 placed between the pair of cutting force increasing portions 26 and 27 thereafter.
  • 6E shows the pair of cutting force increasing portions 26 and 27 thereafter. The cutting is completed in the toilet paper cutting line 2 interposed therebetween. As described above, when the toilet paper 1 is gripped by the rear cutting force increasing unit 27 and taken out and cut off, the toilet paper 1 is suitable to be cut and used for 2 to 3 nodes.
  • FIG. 7A to 7D are views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toilet paper 1 is gripped and pulled out by the front cutting force increasing unit 26 of the toilet paper cas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A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a user grips toilet paper using the front cutting force increasing unit 26, and FIG. 7B illustrates a toilet paper 1 held by the user after the toilet paper 1 is pulled out from the front of the operation cover 20.
  • the toilet paper 1 When pulled downward, the toilet paper 1 is fixed by the operation cover 20 so that the central portion (T ′) of the cutting line 20 is between the front cutting force increasing part 26 and the user's hand holding the toilet paper 1.
  • the state is the state that the most cutting and cutting from this part
  • Figure 7c is a state in which the cutting is completed in the toilet paper cutting line (2).
  • the toilet paper 1 when the toilet paper 1 is gripped by the front cutting force increasing unit 26, and taken out and cut out, the toilet paper 1 is suitable for cutting and using one piece of toilet paper.
  • FIGS. 8A to 8C are views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toilet paper 1 is gripped and pulled out from the grip portion 25 of the toilet paper cas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A shows a state in which the user places a thumb on the toilet paper 1 placed on the grip portion 25 of the operation cover 20 and the other finger rests on the toilet paper 1 placed on the slip 23. Thereafter, the toilet paper 1 is swept up on the slipper 23 with the remaining fingers, and the toilet paper 1 is gripped with a finger.
  • FIG. 8C shows that the user draws the toilet paper 1 to a desired length. After that, the process of cutting is as described above.
  • the toilet paper 1 When the toilet paper 1 is gripped, pulled out and cut out through the gripping portion 25 as described above, it is suitable when the toilet paper 1 is to be used for about 3 to 4 nodes.
  • the gripping operation in the holding part 25 proceeds two or more times to hold the toilet paper (1) several times overlapping and then cut do. For example, after first holding the toilet paper 1 in the holding part 25 and withdrawing it, and then again holding the second paper in the holding part 25 and drawing it out again, the toilet paper 1 through the operation cover 20.
  • 9A to 9D are views illustrating another gripping operation and a cutting process using the toilet paper cas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A to 9D illustrate a process of gripping, withdrawing and tearing toilet paper when the user is on the side of the toilet paper cas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A is a rear cutting force of the toilet paper with the user's thumb and index finger.
  • the toilet paper 1 is gripped against the augmentation unit 27, and
  • FIG. 9B is a state in which the toilet paper 1 gripped by the user is pulled out to a desired length.
  • the toilet paper 1 is fixed by the operation cover 20 and at the same time the central part of the toilet paper cutting line 2 located in the front cutting force increasing portion 26 is first cut off.
  • 9D is a state in which the cutting is completed in the toilet paper cutting line 2 thereafter.
  • the toilet paper cas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the case where the cutting force increasing units 26 and 27 are configured, but the cutting force increasing units 26 and 27 may be included or excluded depending on the need of the user. May be
  • 10A to 10B are views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toilet paper 1 is gripped and pulled out in a different manner from the grip part 25 of the toilet paper case 100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0A to 10B illustrate a process of gripping, withdrawing and cutting the toilet paper 1 when the user is on the side of the toilet paper cas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0A illustrates a grip position of the operation cover 20 by the user.
  • the index finger is placed on the toilet paper 1 placed on the slip part 23
  • FIG. 10B is the toilet paper 1 placed on the slip part 23 with the index finger thereafter.
  • Scraping up the toilet paper (1) with a finger is a state, after which the process of cutting as described above.
  • FIG. 13 is a perspective view of a toilet paper cas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description of the toilet paper case 100A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note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for the same parts of the toilet paper cas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entioned above, and the description is briefly or omitted. Only the additional and modified parts shall be marked with different symbols and will be mainly described.
  • the gripper part and the slip part disappear from the toilet paper cas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mentioned above, and the positions of the pressing part and the friction seat part are changed.
  • the pressing portion 24a is positioned at the rear end of the seating portion 22 and has a predetermined distance play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10a, and is drawn out from the inside of the body through this play. Toilet paper can pass through.
  • the pressing part 24a may be positioned on the same plane as the seating part 22 to have the same material as the seating part 22, or may be formed of a different material and a different structure.
  • the friction seat 15a is formed by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upward from a rear surface of the body 10a and bending i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t the extended end thereof.
  • the pressing portion 24a and the friction seat portion 15a face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the operation cover 20a has a front end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hinge shaft 21.
  • the pressing portion 24a at the rear end of the operation cover 20a is rotated upward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friction seat portion 15a.
  • the toilet paper is fixed between the pressurizing portion 24a and the friction seat 15a, and at the same time by the cutting force increasing portions 26 and 27. Tensile force is concentrated on the toilet paper cutting line so that the toilet paper is easily cut.
  • the toilet paper case 100A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or exclude at least one cutting force increasing unit 26 or 27 as necessary.
  • FIG. 1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toilet paper case according to a thir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description of the toilet paper case 100B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note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for the same parts of the toilet paper cas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entioned above, and the description is briefly or omitted. Only the parts marked with different symbols are to be noted and explained.
  • the toilet paper case 100B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hinged at the rear of the upper end of the toilet paper case 100B when the operation cover 20b is hinged to the body 10b.
  • the hinge shaft 47 protruding a predetermined length into the upper rea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dy 10b is formed for the hinge coupling, and the operation cover 20b extends downward from both rear corners.
  • the hinge piece 45 provided with the hinge hole 46 in the center is formed.
  • the hinge hole 46 of the hinge piece 45 is hinged to the structure coupled to the hinge shaft 47.
  • the hinge coupling point is a structure that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when the body 10b and the operation cover 20b is hinged.
  • the hinge shaft 47 may have an inclined surface, and in this case, when the hinge piece 45 exerts a predetermined external force toward the center of the hinge axis 47, the hinge hole of the hinge piece 45 may be formed. 46 may be configured to be elastically coupled to the hinge shaft (47).
  • the body 10b is formed with a rod-shaped support bar 40 on the upper rear side of the body to support the bottom of the operation cover 20b when the operation cover 20b is coupled.
  • the support bar 40 has a structure in which both ends thereof are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each hinge shaft 47 of the body 20b in a forward direction and supported on both sides of the body 10b.
  • the support bar 40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both ends thereof are detachably coupled to the body 10b or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body.
  • the support bar 40 has a flat surface or a frictional seat portion 42 having an uneven shape (not shown), and a curved slip portion 41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so that the toilet paper 1 slips well.
  • a drawing hole 29 is formed in the lateral direction so that the toilet paper 1 may be drawn out near the center of the operation cover 20b.
  • the size of the outlet hole 29 may have a left and right and front and rear widths such that the toilet paper 1 can be naturally drawn out.
  • the outlet hole 29 may be positioned in front of the support bar 40, but the front and rear centers of the operation cover 20b are good.
  • the operation cover 20b includes one or a plurality of cutouts (not shown) of the cutting force increasing portion 26 mentioned in the first embodiment on the seating portion 22b in front of the outlet hole 29. Protuberances can be formed.
  • the path in which the toilet paper 1 is placed will be described.
  • a part of the toilet paper 1 in the body 10b is drawn out, a part of the toilet paper 1 is supported by the support bar ( 40 is in contact with the slip portion 41 of the support bar 40 and is located between the friction seat 42 and the operation cover 20b, and then through the outlet hole 29 of the operation cover 20b To be placed on the seating portion 22b or the cutting force increasing portion 26.
  • the support bar 40 by the force
  • the cover 20b is slightly spaced apart from the toilet paper 1 is drawn out through the drawing hole (29).
  • the cutting force increasing portion 26 at the front end on the seating portion 22b is pressed between the operation cover 20b and the support bar 40.
  • the cutting line of the toilet paper is easily cut off by the cutting force increasing portion 26 on the seating portion 22b while the toilet paper placed on the sheet is frictionally stopped.
  • the body may be used by partially deforming the body, and the support bar 40 may be used as the body from which the support bar 40 is removed.
  • the operation cover 20b is rotated downward by its own weight so that the bottom surface of the operation cover 20b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outer diameter of the toilet paper roll.
  • the operation cover 20b is rotated about the hinge shaft 47, and the front end portion thereof moves downward. At this time, it is necessary to sufficiently place the swing space portion 12 in the front of the body so that the front end of the operation cover (20b) does not interfere with the downward movement.
  • the toilet paper case 100B according to the thir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or exclude the cutting force increasing unit 26 as necessary.
  • the operation cover is hinged to the body to cut the operation of the cutting line of toilet paper and It consists of toilet paper stop means for interlocking with the operation cover to stop the toilet paper movement.
  • a space is provided therein so as to contain a toilet paper roll having a predetermined section of cutting line formed therein, and a body having one side open, and a seating portion where a toilet paper drawn out from the inside of the body can be placed and opened.
  • An operation cover hinged to one side of the body to be rotatably coupled, and toilet paper stop means interlocked with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operation cover to stop the movement of the toilet paper.
  • the toilet paper stop means here can be configured in various ways, for example, when the center hole of the toilet paper roll is tightly inserted into a separate rotary shaft and integrally coupled, and the rotary shaft coupled with the toilet paper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body. By stopping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shaft by releasing the rotation shaft by interlocking with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operation cover, the toilet paper roll movement can be stopped or released.
  • a brake bar extending from the bottom side of the operation cover to the vicinity of the rotation shaft is integrally formed by making the rotation shaft interlock with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operation cover, and the brake bar is also rotated when the operation cover is rotated.
  • the end of the brake bar is rotated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one side of the rotating shaft may cause a friction action to stop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shaft.
  • the toilet paper stop means may be a toilet paper stop means for stopping or releasing toilet paper through the frictional opera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pressing portion and the body of the operation cover mentioned in the toilet paper case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have.
  • One or more cutting force increasing parts may be formed on the seating part, and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cutting power increasing part are as mentioned in the previous embodiment.
  • the toilet paper case is easy to cu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toilet paper case which is used to cut in the cutting line after the toilet paper roll with a predetermined section cutting line formed therein to pull out some toilet paper therein, the toilet paper case to cut toilet pap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utting force increasing portion is formed to a predetermined height so that the tension is applied to a portion of the toilet paper cutting line is concentrated when the operation proceeds.
  • the easy-to-cut toilet paper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user to cut the toilet paper even with one hand, and to selectively cut the length of the toilet paper to be cut to the desired length.
  • the cutting operation is also simple and has the advantage that the toilet paper is easily cut with little for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취가 용이한 화장지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절취가 용이한 화장지 케이스는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절취라인이 형성된 롤 형태의 화장지를 담을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고 일측이 개방된 몸체 및 상기 몸체 내부로부터 인출된 화장지 일부분이 놓일 수 있는 안착부가 마련되고 상기 몸체의 개방된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상기 힌지결합 지점을 중심으로 일측이 제1 방향으로 이동될 때 타측은 인출되는 화장지를 상기 몸체에 밀착 고정시킬 수 있도록 가압부가 마련된 작동커버를 포함하며, 사용자가 인출된 화장지를 이용하여 상기 작동커버의 일측을 상기 제1 방향으로 가압시킴으로써 상기 작동커버를 회동시키면, 상기 작동커버의 타측에 구비된 상기 가압부가 화장지를 밀착 고정시킴과 동시에 외부로 인출된 화장지가 절취라인에서 절취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절취가 용이한 화장지 케이스
본 발명은 화장지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한 손만으로도 화장지를 원하는 길이만큼 쉽게 절취해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화장지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화장지 케이스는 롤 형태의 화장지를 사용할 때 한 손은 화장지 끝부분을 붙잡고 사용할 만큼 적당량 인출하고, 또 다른 한 손으로는 화장지가 인출되지 않게 잡은 후 상기 화장지를 빼낸 손으로 잡아당기면 화장지 절취선에서 절취가 진행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사용하다 보면 양손을 사용하게 되는 불편함이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어린 아이들의 경우 화장지를 사용할 만큼의 길이로 절취하는 것을 잘 하지 못하여 화장지의 불필요한 손실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236394호의 한 손으로 절취 가능한 두루마리 휴지케이스가 있다. 이는 휴지걸이 봉이 있는 두루마리 휴지케이스에서 휴지가 되말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판을 설치하여 휴지가 휴지케이스 안으로 되말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휴지가 나오는 입구에 로울러를 설치하여 휴지교환시 휴지가 어떤 방향으로 들어가더라도 휴지가 잘 풀어지도록 도와주며, 휴지케이스 바깥쪽에 휴지가 나오는 입구보다 높게 휴지 절취모서리를 만들어 주어 휴지를 절취모서리에 대고 아래로 당기면 한 손으로도 휴지를 절취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휴지케이스는 상기 절취모서리가 매우 날카롭지 않은 이상 절취가 쉽게 되지 않을 뿐더러 휴지케이스가 바닥에 고정이 되지 않을 경우 휴지를 사용자가 잡아당기는 힘에 의해 휴지케이스가 넘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상기 날카로운 절취모서리에서 절취 작용이 진행될 때 사용자가 다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 다른 배경기술로서,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236442호 (휴지 절취기 겸 휴지걸이 케이스)가 제안되어 있다. 이는 사용자가 휴지를 사용하기 위해 소정의 길이로 늘어져 있는 휴지를 아래쪽으로 당기면, 휴지가 휴지 회전억제부의 회전억제봉 및 가이드부를 따라 휴지 자동 절취부재를 지나서 풀리게 되고, 일정량만큼의 휴지가 인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휴지의 끝단을 위쪽으로 당기면 휴지 자동 절취부재가 가이드 라인의 하부로 들어가면서 휴지를 누르게 되고, 휴지를 당기는 힘에 의해 휴지 자동 절취부재의 톱니부에서 휴지가 절취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휴지걸이 케이스는 원하는 만큼 한 손만으로 휴지를 절취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다는 장점은 가지고 있으나, 이 역시 휴지 자동 절취부재의 날카로운 톱니부에 의해 사용자가 다칠 수 있는 문제가 있고, 그 절취동작이 부자연스러울 뿐만 아니라, 이 휴지케이스는 벽에 고정식으로만 사용될 뿐 탁상용으로는 사용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종래 기술의 예들과 같이, 종래에 사용되는 휴지 케이스들은 탁상용으로 사용될 경우 그 휴지 절취동작이 용이하지 않고, 휴지를 빠른 동작으로 낚아챌 경우 절취동작이 잘 되지 않아 휴지 케이스가 넘어지기 쉬우며, 또한 대부분 날카로운 커터날이 사용되어 위험하고, 그 커터날의 특성상 장기간 사용시 마모에 의해 절취가 잘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절취라인이 미리 형성된 화장지를 절취함에 있어 사용자가 한 손만으로도 화장지를 원하는 길이만큼 절취하는 것이 쉽고 확실하게 이루어지며, 절취 동작이 적은 힘으로도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는 한편, 화장지 절취를 위한 커터날이나 톱니날도 필요 없어서 사용자가 다칠 염려가 없는 절취가 용이한 화장지 케이스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절취가 용이한 화장지 케이스는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절취라인이 형성된 롤 형태의 화장지를 담을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고 일측이 개방된 몸체 및 상기 몸체 내부로부터 인출된 화장지 일부분이 놓일 수 있는 안착부가 마련되고 상기 몸체의 개방된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상기 힌지결합 지점을 중심으로 일측이 제1 방향으로 이동될 때 타측은 인출되는 화장지를 상기 몸체에 밀착 고정시킬 수 있도록 가압부가 마련된 작동커버를 포함하며, 사용자가 인출된 화장지를 이용하여 상기 작동커버의 일측을 상기 제1 방향으로 가압시킴으로써 상기 작동커버를 회동시키면 상기 작동커버의 타측에 구비된 상기 가압부가 화장지를 밀착 고정시킴과 동시에 외부로 인출된 화장지가 절취라인에서 절취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작동커버는 상기 화장지가 몸체 내부로부터 인출될 때 화장지가 슬립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안착부의 한쪽 단부에서 하방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어 상기 안착부를 상기 가압부와 연결해주는 슬립부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체에는 상기 슬립부와 접해 있는 화장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뚫려있는 인출개방부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슬립부와 이어지는 상기 안착부의 한쪽 단부에는 화장지를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상기 안착부의 외부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파지자리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체에는 상기 작동커버의 회동 범위가 제한되도록 상기 작동커버를 받쳐주기 위한 걸림턱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작동커버는 상기 힌지결합 지점을 기준으로 할 때 무게중심이 상기 가압부와 가까운 쪽에 있도록 구성되어, 절취 작업이 이루어지고 나면 무게중심에 따른 자중에 의해 회동되어 상기 가압부가 상기 몸체로부터 이격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작동커버와 상기 몸체의 힌지결합 구조는, 상기 작동커버에 힌지축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에는 상기 힌지축이 삽입될 수 있도록 힌지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작동커버는 상기 안착부에 놓인 화장지를 소정 높이로 지지하면서 화장지 절취 동작이 진행될 때 화장지 절취라인 일부분에 인장력이 집중 작용되어 절취되도록 상기 안착부에서 돌출된 절취력 증대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절취력 증대부는 폭이 화장지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절취력 증대부는 상방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절취력 증대부는 화장지 절취라인의 중앙에서 인장력이 집중 작용되도록 상기 안착부의 폭방향 중앙에 위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절취력 증대부는 화장지의 이동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한 쌍이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절취력 증대부의 일단부 가장자리가 상기 안착부 중 상기 제1 방향으로 눌리는 가장자리와 일치되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절취가 용이한 화장지 케이스는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절취라인이 형성된 롤 형태의 화장지를 담을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고 일측이 개방된 몸체와, 상기 몸체 내부로부터 인출된 화장지 일부분이 놓일 수 있는 안착부가 마련되고 상기 몸체의 개방된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작동커버 및 상기 작동커버의 회동 운동에 연동되어 화장지 이동을 정지시킬 수 있는 화장지 정지수단을 포함하며, 사용자가 인출된 화장지를 이용하여 상기 작동커버의 일측을 제1 방향으로 가압시킴으로써 상기 작동커버를 회동시키면, 상기 화장지 정지수단에 의해 화장지가 고정됨과 동시에 외부로 인출된 화장지가 절취라인에서 절취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절취라인이 형성된 롤 형태의 화장지를 내부에 설치하여 화장지를 일부 인출한 후 상기 절취라인에서 절취하는데 사용되는 화장지 케이스로서, 상기 화장지 케이스에는 화장지 절취 동작이 진행될 때 화장지를 소정 높이로 지지하면서 화장지 절취라인의 일부분에 인장력이 집중 작용되어 절취되도록 소정 높이로 돌출된 절취력 증대부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절취가 용이한 화장지 케이스에 의하면 사용자가 한 손만 사용해서 적은 힘으로도 화장지를 쉽게 절취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절취가 용이한 화장지 케이스는 사용자가 다칠 수 있는 위험한 톱니날이나 커터날이 불필요하므로 사용자가 톱니날이나 커터날에 의해 다칠 염려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화장지 케이스는, 사용자가 원하는 화장지 절취 길이에 따라 화장지 파지 위치가 여러 군데에 배치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원하는 길이만큼 인출하여 한번에 절취 사용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고, 화장지를 필요한 만큼 사용할 수 있으므로 자원이 절약된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화장지 케이스는 간단하게 제조할 경우 최소 2개의 부품만으로 구성할 수 있어서 대량생산이 아주 용이하며, 낮은 가격으로 널리 보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지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지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지 케이스에서 몸체 일부분을 제거하여 도시한 것으로 화장지 절취전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지 케이스에서 몸체 일부분을 제거하여 도시한 것으로 화장지를 절취할 때의 동작 상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상태에서 화장지가 다른 절취라인에서 절취되는 동작 상태도이다.
도 6a 내지 도 6e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지 케이스를 이용하여 절취를 위한 단계별 진행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지 케이스의 전방 절취력증대부에서 화장지를 파지하고 인출한 후 절취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지 케이스의 파지자리부에서 화장지를 파지하여 인출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a 및 도 9d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지 케이스를 이용하여 다른 방식의 파지동작과 절취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지 케이스의 파지자리부에서 화장지를 다른 방식으로 파지하여 인출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지 케이스에서 작동커버에 대한 변형된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지 케이스에서 몸체를 일부 변형하여 작동커버와 결합된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지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장지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지 케이스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지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지 케이스에서 몸체 일부분을 제거하여 도시한 것으로 화장지 절취 전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절취가 용이한 화장지 케이스는, 화장지를 담을 수 있는 몸체(10)와, 이 몸체에 힌지결합되어 화장지(1)의 절취라인(2)에 대해 절취동작을 수행하는 작동커버(20)로 구성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절취가 용이한 화장지 케이스(100)는, 소정 구간 절취라인(2)이 형성된 화장지(1) 롤을 담을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고 일측이 개방된 몸체(10)와, 상기 몸체(10) 내부로부터 일부 인출되는 화장지(1)가 놓일 수 있는 안착부(22)가 마련되고 상기 개방된 몸체(10)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이 힌지결합 지점을 중심으로 일측이 제1 방향으로 이동될 때 타측에는 인출되는 화장지를 상기 몸체에 밀착 고정시킬 수 있도록 가압부(24)가 마련된 작동커버(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작동커버(20)는 화장지(1) 절취 동작이 진행될 때, 화장지 절취라인(2) 일부분에 인장력이 집중 작용됨으로써 절취되도록 안착부(22)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절취력 증대부(26, 27)가 추가적으로 더 포함될 수 있다.
그래서 사용자가 인출된 화장지(1)를 이용하여 작동커버(20)의 일측을 제1 방향으로 가압시켜 작동커버(20)를 회동시킬 때, 작동커버(20) 타측의 가압부(24)에 의해 화장지(1)가 고정됨과 동시에 외부로 인출된 화장지(1)가 절취라인(2)에서 절취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방향은 화장지 케이스가 놓인 상태나 여러 실시 예 구조에 따라 다를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휴지케이스가 놓인 바닥 방향 또는 아래 방향을 지칭한다.
이하에서는 각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몸체(10)는 전체적으로 구조가 육면체이고, 상면이 개방되어 있으며, 소정 간격마다 절취라인(2)이 형성된 화장지(1) 롤을 내부에 담을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몸체(10)는 상면이 개방되는 것을 예시 하였으나, 편의에 따라 작동에 지장이 없는 부분들이 다양하게 더 개방될 수 있다.
몸체(10)는 작동커버(20)와 힌지결합되는데, 이를 위하여 몸체(10)의 개방된 상부의 좌우 양단에는 작동커버(20)의 좌우 양단에 결합된 힌지축(21)과 힌지결합될 수 있는 힌지공(11)이 형성되며, 이 힌지공(11)은 몸체(10)의 양 측면 각각에 형성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힌지공(11)의 위치는 몸체(10) 상부의 좌측 모서리 및 우측 모서리의 전후 중앙 또는 중앙 부근이 좋다.
힌지공(11)은 상단부가 개방되어 있고, 이 개방된 최소거리는 힌지축(21)의 직경보다 조금 작게 형성되어 힌지축(21)을 힌지공(11) 상방에서 가압할 때 탄력적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즉 힌지축(21)은 힌지공(11)에 탄력적으로 착탈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힌지공(11)에 힌지축(21)이 저항감 없이 삽입될 수 있는 구조를 고려해 볼 때, 힌지공(11)의 상단부는 개방되어 있고, 그 개방된 거리는 힌지공(11)의 직경과 동일하되, 그 개방된 위치가 몸체 후방으로 약간 치우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작동커버(20)가 회동될 때 가압부(24)의 반작용에 의해 힌지축(21)이 몸체(10)의 전방으로 밀려나려는 힘이 발생되는데, 힌지공(11)의 개방 방향이 몸체 후방 방향으로 기울어져 있으면, 화장지(10) 절취동작 시 힌지공(11)으로부터 힌지축(21)이 이탈되지 않게 되며, 힌지공(11)으로부터 힌지축(11)을 착탈하기도 용이하기 때문이다.
이상에서는 몸체(10)와 작동커버(20)의 힌지결합 구조에서, 작동커버(20)에는 힌지축(21)이 일체로 형성되고, 몸체(10)에는 힌지축(21)이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는 힌지공(11)이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대로 작동커버(20)에 힌지공이 형성되고, 몸체(10)에 힌지축이 구비될 수도 있다
몸체(10)의 정면 상단부에는 작동커버(20)가 회동될 때 작동커버(20)의 전단부가 스윙될 수 있도록 비어있는 공간인 스윙 공간부(12)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몸체(10)의 후면에는 화장지(1)가 몸체(10) 내부로부터 초기에 인출될 때 화장지(1)가 수직 방향으로 일정 구간만큼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개방된 인출개방부(13)가 형성되고, 인출개방부(13)의 좌우 양측에는 인출되는 화장지(1)가 몸체(10) 밖으로 튀어나가지 않도록 화장지(1)의 가장자리를 지지 및 안내하는 가이드부(14)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몸체(10)의 후면 벽체의 내부 면에 마찰자리부(15)가 형성된다. 상기 마찰자리부(15)는 작동커버(20)의 가압부(24)가 화장지(1)를 몸체(10)에 밀착 고정시킬 때 상기 화장지(1)와 맞닿아 마찰 작용을 함으로써 화장지(1)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마찰자리부(15)는 그 재질이 몸체(10)의 재질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구조적으로 볼 때에도 몸체(10)의 배면 내측과 동일한 평면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마찰력 증대를 위해 미소한 다수의 마찰돌기(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마찰자리부(15)는 마찰력 증대를 위해 고무, 실리콘 등의 마찰증대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몸체(10)는 양측면 내측에서 소정 돌출된 걸림턱(16)이 형성된다. 걸림턱(16)은 작동커버(20)의 회동 범위가 소정 구간 제한되도록 작동커버(20)의 양 측단부 저면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화장지 절취 동작이 진행되지 않을 때는 작동커버(20)가 항상 걸림턱(16)에 놓여지도록 구성된다.
또한, 몸체(10)는 화장지(1) 롤이 몸체 내부에 위치될 때 필요에 따라 화장지(1) 롤의 중심부에 삽입하여 거치할 수 있는 막대 형상의 거치바(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고, 이 거치바는 몸체의 내면에 고정 또는 착탈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몸체(10)는 전면 하단에서 전방으로 소정 길이 돌출된 보조 바닥지지부(17)가 형성될 수 있다. 보조 바닥지지부(17)는 사용자가 화장지를 절취 동작할 때 절취하는 사용자의 힘에 의해 화장지 케이스(100)가 전방으로 넘어지지 않도록 바닥면과 밀착되어 있어서 화장지 케이스(100)를 보조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보조 바닥지지부(17)는 1개 이상이면 되나 소정 간격을 두고 좌우 한 쌍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몸체(10) 양 측면의 일부에는 개방된 투시창(18)이 형성된다. 투시창(18)은 몸체(10) 내부에 있는 화장지가 외부로 인출되어 사용됨에 따라 얼마나 남았는지를 사용자에게 육안으로 쉽게 인식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이러한 투시창(18)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지 케이스의 외관 이미지 향상을 위해 다양한 문양 등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투시창은 몸체(10)의 전면에도 관통 형성될 수 있고, 외관을 고려하여 문자, 캐릭터 등 다양한 문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화장지 케이스(100)는 사용 장소에 따라 실내외 벽면에도 고정하여 사용될 수 있도록 몸체(10)의 후면에 고정홈(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즉, 벽면에 고정 설치되는 못이나 흡착판 등의 머리부분이 상기 고정홈에 삽입될 경우 화장지 케이스가 벽면에 고정되어 사용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음으로 작동커버(20)에 대하여 설명한다.
작동커버(20)는 몸체(10)의 상부 개방된 곳을 커버하도록 위치하며, 몸체(10)에 앞뒤로 회동 가능하게 힌지결합된다. 작동커버(20)는 몸체(10) 내부로부터 일부 인출되는 화장지(1)가 놓일 수 있도록 평판 형상의 안착부(22)를 구비한다. 안착부(22)는 평면에서 볼 때 사각 형상이나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이 가능하고, 작동커버(20)의 베이스판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작동커버(20)가 회동 작동 시 휘어지지 않고 힘이 잘 전달될 수 있도록 충분한 두께로 형성된다.
안착부(22)는 몸체(10)와 작동커버(20)가 힌지 결합될 때 그 전방 단부가 몸체(10)의 스윙공간부(12) 상에 위치하며, 후방 단부는 몸체(10)의 배면 내측으로부터 소정의 유격 거리를 두고 위치한다. 몸체(10)의 배면 내측으로부터 안착부(22)의 후방 단부까지의 유격거리 d는 화장지가 잘 통과되는 것을 고려하고 원활한 작동커버(20)의 회동 동작을 고려하여, 1mm~5mm 정도가 좋다.
작동커버(20)는 안착부(22)의 후방 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슬립부(23)가 형성된다. 슬립부(23)는 몸체(10) 내부에서 초기 인출되는 화장지가 슬립되는 곳으로, 사용자가 후술하는 파지자리부(25)에서의 파지 동작과 연결되어 슬립부(23) 상에서 사용자의 손가락으로 화장지를 슬립시키면서 화장지(1)가 충분한 길이로 파지되도록 하는 역할에 관여된다. 슬립부(23)의 형태는 사각의 평판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작동커버(20)에서 슬립부(23)의 하단부에는 가압부(24)가 형성된다.
가압부(24)는 화장지 절취 동작시 인출되는 화장지를 몸체(10)에 밀착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데, 그 모양은 좌우로 뻗은 긴 막대 형상이며, 화장지(1)를 마찰자리부(15)에 균일하게 밀착시킬 수 있도록 화장지(1)의 폭 방향에서 볼 때 높낮이가 없이 매끈하게 형성됨이 좋다. 가압부(24)는 슬립부(23)를 더 연장시켜 슬립부(23)와 동일한 평면을 가지고, 동일 재질로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가압부(24)의 저면은 화장지(1)가 인출될 때 인출 저항이 줄어들도록 둥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작동커버(20)의 안착부(22)의 양 측면부에 좌우 방향으로 돌출된 힌지축(21)이 형성되며, 힌지축(21)이 몸체(10)의 힌지공(11)에 삽입되어 힌지 결합된다.
작동커버(20)는 측면에서 볼 때 전체적으로 '┏' 모양인데, 몸체(10)와 힌지결합된 지점을 중심으로 작동커버(20)는 전후 회동 가능한 구조가 되는 것으로, 이러한 회동 동작은 작동커버(20)의 전방 단부가 하방으로 이동될 때 후방에 있는 가압부(24)가 화장지(1)를 몸체(10)의 마찰자리부(15)에 밀착시키는 동작을 진행되게 한다.
작동커버(20)는 힌지결합 지점을 중심으로 그 무게중심이 후방에 있도록 구성되며, 절취 작업을 제외할 땐 그 무게중심에 따른 자중에 의해 회동되어 가압부(24)가 몸체(10)의 마찰자리부(15)로부터 전방으로 떨어져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압부(24)와 마찰자리부(15)의 이격으로 인해 사용자가 화장지(1)를 인출할 때 화장지(1)가 이들 이격된 사이 공간을 지나서 원활하게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작동커버(20)에서 힌지축(21)의 위치는 무게중심이 후방에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안착부(22)의 양 측면 중 적절한 위치로 한다. 작동커버(20)에는 안착부(22)의 후방 상단부에서 상방으로 소정 높이 돌출된 파지자리부(25)가 형성된다.
파지자리부(25)는 몸체(10) 내부에서 인출되는 화장지가 슬립부(23)를 경유하여 수직 방향으로 인출된 후 파지자리부(25)에서 수평 방향으로 꺾이는 자리로서, 파지자리부(25) 상단에 화장지가 위치된다.
사용자는 손으로 화장지(1)를 파지자리부(25)에 밀착시키면서 화장지(1)를 파지한 후 잡아당겨 원하는 길이로 화장지(1)를 인출시키는 것으로, 사용자는 파지자리부(25)에 의해 화장지를 용이하게 파지 및 인출할 수 있다.
파지자리부(25)의 돌출 높이는 파지하는 손가락이 파지자리부(25)에 걸릴 정도이면 되는 것으로 5~15mm 범위인 것이 좋다. 또한, 파지자리부(25)의 폭은 접촉하는 화장지(1)의 폭보다 더 크거나 작을 수도 있고, 파지자리부(25)의 상부는 화장지(1)의 이동 방향을 따라 라운드진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작동커버(20)의 안착부(22) 상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절취력 증대부(26)가 형성된다.
절취력 증대부(26)는 화장지(1)를 소정 높이로 지지하면서 화장지(1) 절취 동작이 진행될 때 화장지 절취라인(2) 일부분에 인장력이 집중적으로 가해지게 하기 위한 것으로, 이로 인해 적은 힘으로도 화장지(1)가 용이하게 절취된다. 이는 롤 형태의 화장지(1)가 절취라인(2)에서 절취될 때 1개의 절취라인(2) 전체에서 동시에 절취되는 것보다 1개의 절취라인(2) 일부분부터 절취가 진행될 때 훨씬 적은 힘으로도 화장지(1)가 절취된다는 원리가 적용된 것이다.
절취력 증대부(26)는 화장지(1)의 절취라인(2)의 중앙에 인장력이 집중 작용되도록 안착부(22)의 폭 방향 중앙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안착부(22)의 길이 방향에서 볼 때는 양 단 사이에 있으면 되나 바람직하게는 안착부(22)의 전방 단부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절취력 증대부(26)의 전면이 안착부(22)의 전방 단부와 수직방향에서 일치되도록 배치되는 것이다. 그 이유는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가 화장지(1)의 절취 동작을 위해 사용자가 인출 및 파지한 화장지(1)를 하방으로 내릴 때 화장지(1)를 파지하는 사용자의 손과 안착부(22)의 전방 단부 사이에 화장지 절취라인(2)이 있을 경우 이 절취라인(2)에 인장력이 가장 크게 집중되므로 이 절취라인(2)이 최우선적으로 절취되기 때문이다.
상기 절취력 증대부(26)는 그 높이가 5mm 이상이면 되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20mm 범위가 좋다. 그리고 절취력 증대부(26)의 폭은 화장지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면 되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화장지 폭의 1/7~1/2 크기 범위인 것이 좋다.
또한, 절취력 증대부(26)는 상방으로 갈수록 그 수평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좋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절취력 증대부(26)는 급격한 모서리가 생기지 않도록 라운드 처리되고, 그 높이가 전방에서 바라볼 때 중앙부는 높고 양 측단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절취력 증대부(26)는 파지자리부로서의 역할을 겸한다. 이를 위하여 도면과 같이 절취력 증대부(26)는 전면이 수직면으로 형성되고, 배면은 기울어진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그리하여 절취력 증대부(26)에서 화장지(1)를 파지할 때 경사면을 따라 화장지(1)가 미끄러지도록 하여 파지가 용이하게 진행된다.
절취력 증대부(26)는 1개로도 가능하나, 절취 효율성 증대를 위하여 화장지 이동 방향을 따라 안착부(22) 위에 소정 간격으로 2개 배치되어 한 쌍으로 구성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러한 배경은 화장지(1) 절취 작업 진행 시 2개의 절취력 증대부(26,27) 사이에 화장지 절취라인(2)이 위치할 때 이들 2개의 절취력 증대부(26,27)를 잇는 가상의 직선과 이 가상의 직선과 만나는 절취라인(2)의 교차지점에서 인장력이 가장 집중 작용됨으로써 절취가 쉽게 진행되기 때문이다.
절취력 증대부(26,27)가 2개 배치되는 경우 전, 후방에 하나씩 위치하는 전방 절취력증대부(26)와 후방 절취력증대부(27)로 구성되는 바, 이들 중 전방에 배치된 절취력증대부(26)는 그 전면이 안착부(22)의 가장자리, 즉, 안착부(22)의 전방 단부와 수직 방향에서 일치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좋다.
한 쌍의 전, 후방 절취력 증대부(26,27)는 서로의 간격이 화장지 절취라인(2)들 간의 간격, 즉, 화장지 1마디 길이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좋으며, 화장지 1마디의 50~90% 범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전, 후방 절취력 증대부(26,27) 사이에서 2개 이상의 절취라인(2)이 존재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전, 후방 절취력 증대부(26,27) 사이에 1개의 절취라인(2)이 있을 때 이 절취라인(2)에서 정확히 절취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전, 후방 절취력 증대부(26,27) 사이에 화장지 절취라인(2)이 없을 경우에는 전방 절취력 증대부(26)를 지나서 그 앞에 절취라인(2)이 존재하게 되고 이 부분이 우선적으로 절취된다.
그리고 후방 절취력 증대부(27)도 파지자리부로서의 기능을 겸한다. 후방 절취력 증대부(27)의 구조는 상기 언급된 전방 절취력 증대부(26)의 구조와 동일 또는 유사하면 되므로 세부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후방 절취력 증대부(27)는 전방 절취력 증대부(26)보다 높이가 더 높게 형성됨이 좋다. 그 이유는 화장지 절취동작이 진행될 때, 후방 절취력 증대부(27) 상에 놓인 화장지가 경로상에서 충분히 꺽이도로 하여 후방 절취력 증대부(27)와 이 위에 놓인 화장지 간에 마찰력을 증대시켜서 전, 후방 절취력 증대부(26, 27) 사이에서 화장지 절취라인이 잘 절취될 수 있기 때문이다.
작동커버(20)는 안착부(22)에서 화장지(1)가 안착부(22) 밖으로 벗어나는 것이 방지되도록 안착부(22)의 양 측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된 이탈방지부(28)가 여러 개소 형성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탈방지부(28)가 안착부(22)의 좌우로 한 쌍이 설치되되 각 쌍은 작동커버(20)의 전단과 후단 가까이에 각각 배치되는 것이 좋다. 상기 이탈방지부(28)가 작동커버(20)에 형성되지 않고 몸체(10)의 측면 상단에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지 케이스에서 작동커버에 대한 변형된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작동커버(20)의 변형된 형태에 대한 설명은 위에서 작동커버(20)에 대해 이미 언급한 설명은 생략하고, 추가 및 변형된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커버(20)는 사용자가 화장지를 파지할 때 더욱 쉽게 파지할 수 있도록 화장지 파지홈(31,32,33)이 다수 곳에 형성된다.
작동커버(20)의 안착부(22) 중 파지자리부(25)에 인접한 부위에 엄지 손가락이 삽입될 수 있는 파지홈(31)이 형성된다. 이 파지홈(31)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장지(1)의 파지를 위하여 엄지손가락 삽입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안착부(22) 표면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깊게 형성된다. 그 깊이는 엄지손가락 1마디가 삽입되는 깊이이면 되나, 바람직하게는 10~30mm 정도가 좋다. 또한 상기 파지홈(31)의 폭은 엄지손가락 굵기이면 좋으나, 파지의 용이성을 고려하여 안착부(22) 폭의 1/2~1/4 범위 정도가 좋다.
파지자리부(25)를 이용하여 화장지를 파지할 때는, 파지홈(31)에 사용자의 엄지 손가락을 화장지(1)와 함께 삽입하고 나머지 손가락을 슬립부(23) 방향의 화장지(1)에 접촉시켜 화장지(1)를 상방으로 들어올리면 자연스럽게 화장지가 인출된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전, 후방 절취력 증대부(26,27) 각각에도 화장지(1) 파지를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절취력 증대부(26,27)의 전면에 엄지 손가락이 일부 삽입될 수 있는 파지홈(32,33)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화장지(1) 파지 동작 시 사용자의 엄지 손가락이 화장지(1)와 함께 절취력 증대부(26,27)의 전면 파지홈(32,33)에 삽입되고 나머지 손가락으로 후방 경사면의 화장지를 쓸어 올림으로써 용이하게 화장지가 파지되는 이점이 있다.
상기한 것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절취가 용이한 화장지 케이스의 구조를 통해서 사용자는 절취하고자 하는 화장지의 길이를 선택적으로 파지하여 원하는 길이를 쉽게 절취 가능할 수 있다.
한편,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지 케이스에서 몸체를 일부 변형하여 작동커버와 결합된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몸체를 일부 변형하여 작동커버와 결합된 형태에 대한 설명은 위에서 동일하게 언급한 부분의 설명은 생략하고, 몸체의 추가 및 변형된 부분에 대해서 주요하게 설명한다.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의 내부 바닥 및 저면이 곡면형상으로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몸체(10) 내부 바닥 및 저면이 곡면형상인 구조는 몸체의 전후방향에서 중앙이 하방으로 볼록한 곡면형상 구조로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몸체(10) 내부 바닥에 놓인 화장지(1) 롤이 자중에 의해 항상 몸체(1) 바닥 중앙에 위치하게 되고, 사용자가 투시창(18)을 통해 몸체 내부의 화장지 롤을 볼 때 흩트러지지 않아 미관상 보기에 좋고, 남은 화장지량을 파악하기에도 좋다.
그리고 상기 몸체(10)는 저면을 외부 바닥으로부터 이격 지지하도록 저면 코너자리에서 하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된 이격지지부(19)가 형성된다.
상기 이격지지부(10)는 직선막대(미도시)나 곡선막대(미도시) 등 이격 지지 용도의 다양한 형상이 가능하나, 미관을 고려할 경우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퀴모양도 가능하고 또는 사물, 동물, 인물 등 여러 캐릭터 모양(미도시)으로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상기한 것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절취가 용이한 화장지 케이스의 사용방법 및 그 작용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지 케이스의 몸체 일부분을 제거하여 도시한 것으로 화장지를 절취할 때의 동작 상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상태에서 화장지가 다른 절취라인에서 절취되는 것을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화장지를 파지 및 인출한 후 화장지(1)가 작동커버(20)의 상부에 놓인 상태에서 화장지를 일방향, 즉, 본 실시 예의 경우 화살표 F가 표시하는 방향인 작동커버(20)의 전방 아래 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작동커버(20)는 힌지축(21)을 중심으로 전방 단부가 하방으로 회동되고, 이와 동시에 작동커버(20)의 후방에 있는 가압부(24)가 몸체 배면 내측의 마찰자리부(15)와 맞닿도록 이동하여 그 사이에 위치하는 화장지(1)를 밀착 고정시키게 되어 A영역으로 표시한 것과 같은 상태가 된다. 이로써 화장지(1)가 이동될 수 없게 고정되어 전, 후방 절취력 증대부(26,27) 사이에 있는 화장지 절취라인(2)의 중앙부(T영역)에 인장력이 집중적으로 작용되어 절취가 쉽게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절취라인(2)에서의 절취가 완료된 후에는 도 3과 같이 작동커버(20)의 자중에 의해 몸체(10)의 마찰자리부(15)와 작동커버(20)의 가압부(24)는 가압 상태가 해제되어 소정 유격거리 d를 유지하게 된다.
도 5는 화장지 절취라인(2)이 전방 절취력 증대부(26)를 넘어서 더 앞에 있게 될 경우로서, 이 경우 도 5와 같은 절취 동작이 진행될 때 그 절취라인(2)의 중앙부분(T'영역)에 우선적으로 인장력이 집중되어 절취가 쉽게 진행된다.
도 6a 내지 도 6e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지 케이스를 이용하여 절취를 위한 단계별 사용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e는 사용자가 본 발명의 화장지 케이스(100)의 전방에 있을 때 화장지(1)를 파지, 인출 및 절취하는 과정을 순서대로 나타낸 것으로서, 먼저 도 6a는 작동커버(20)의 상부에 놓인 화장지(1)를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후방 절취력 증대부(27)를 이용하여 화장지(1)를 파지한 상태이고, 도 6b는 그후 사용자가 화장지(1)를 원하는 길이로 인출시키는 상태이며, 도 6c는 그후 사용자가 파지한 화장지(1)를 작동커버(20)의 전방에서 하방으로 당기게 되면 화장지(1)가 작동커버(20)에 의해 고정되어 화장지(1)가 한 쌍의 전, 후방 절취력 증대부(26,27) 사이에서 가장 긴장된 상태이고, 도 6d는 그후 상기 한 쌍의 절취력 증대부 (26,27) 사이에 놓인 화장지 절취라인(2)의 중앙부(T영역)에서부터 절취가 진행되는 상태이며, 도 6e는 그후 상기 한쌍의 절취력 증대부(26, 27) 사이에 놓인 화장지 절취라인(2)에서 절취가 완료된 상태이다. 이와 같이 후방 절취력 증대부(27)를 이용하여 화장지(1)를 파지하고 인출 및 절취하는 경우는 화장지(1)를 2~3마디 정도 절취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 적합하다.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장지 케이스(100)의 전방 절취력 증대부(26)에서 화장지(1)를 파지하고 인출한 후 절취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a는 사용자가 전방 절취력 증대부(26)를 이용하여 화장지를 파지한 상태이고, 도 7b는 화장지(1)를 인출한 후 사용자가 파지한 화장지(1)를 작동커버(20)의 전방에서 하방으로 당기면 화장지(1)가 작동커버(20)에 의해 고정되어 전방 절취력 증대부(26)와 화장지(1)를 파지한 사용자의 손 사이에서 절취라인(20)의 중앙부(T'영역)가 가장 긴장이 되어 이 부분에서부터 절취가 진행되는 상태이고, 도 7c는 화장지 절취라인(2)에서 절취가 완료된 상태이다.
이와 같이 전방 절취력 증대부(26)를 이용하여 화장지(1)를 파지하고 인출 및 절취하는 경우는 화장지를 1마디 정도 절취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 적합하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화장지 케이스(100)의 파지자리부(25)에서 화장지(1)를 파지하여 인출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는 사용자가 작동커버(20)의 파지자리부(25)에 놓인 화장지(1)에 엄지손가락을 대고 나머지 손가락은 슬립부(23)에 놓인 화장지(1)에 댄 상태이고, 도 8b는 그후 상기 나머지 손가락으로 슬립부(23)에 놓인 화장지(1)를 쓸어 올려 화장지(1)를 손가락으로 파지한 상태이며, 도 8c는 사용자가 화장지(1)를 원하는 길이로 인출하는 상태인 것을 보여주며, 이후 절취하는 과정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다.
이와 같이 파지자리부(25)를 통해 화장지(1)를 파지하고, 인출 및 절취하는 경우는 화장지(1)를 3~4마디 정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 적합하다.
상기 3~4마디보다 더 많은 양의 화장지(1)를 절취하고자 할 때는 파지자리부(25)에서 파지 작업을 2번 또는 그 이상 진행하여 화장지(1)가 여러 번 겹치도록 파지한 후 절취하면 된다. 예를 들어 파지자리부(25)에서 화장지(1)를 1차 파지한 후 인출시키고 다시 파지자리부(25)에서 2차 파지한 후 재차 인출시킨 후 작동커버(20)를 통해 화장지(1)를 절취하면 된다
도 9a 내지 도 9d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화장지 케이스를 이용하는 다른 방식의 파지 동작과 절취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a 내지 도 9d는 사용자가 본 발명의 화장지 케이스(100)의 측방에 있을 때 화장지를 파지, 인출, 절취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으로, 먼저 도 9a는 사용자의 엄지와 검지 손가락으로 화장지를 후방 절취력 증대부(27)에 대고 화장지(1)를 파지하는 상태이고, 도 9b는 그후 사용자가 파지한 화장지(1)를 원하는 길이로 인출시키는 상태이며, 도 9c는 그후 사용자가 파지한 화장지를 작동커버(20)의 전방에서 하방으로 당기게 되면 화장지(1)가 작동커버(20)에 의해 고정되고 동시에 전방 절취력 증대부(26)에 위치된 화장지 절취라인(2)의 중앙부가 먼저 절취되기 시작한 상태이고, 도 9d는 그후 화장지 절취라인(2)에서 절취가 완료된 상태이다. 상기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화장지 케이스(100)는 절취력 증대부(26,27)가 구성된 경우를 가지고 설명을 하였으나, 사용자의 필요 여부에 따라 절취력 증대부(26,27)가 포함될 수도 있고 제외될 수도 있다.
도 10a 내지 도 10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지 케이스(100)의 파지자리부(25)에서 화장지(1)를 다른 방식으로 파지하여 인출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a 내지 도 10b는 사용자가 본 발명의 화장지 케이스(100)의 측방에 있을 때 화장지(1)를 파지, 인출 및 절취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 10a는 사용자가 작동커버(20)의 파지자리부(25)에 놓인 화장지에 엄지손가락으로 대고, 검지 손가락은 슬립부(23)에 놓인 화장지(1)에 댄 상태이고, 도 10b는 그후 상기 검지 손가락으로 슬립부(23)에 놓인 화장지(1)를 쓸어 올려 화장지(1)를 손가락으로 파지한 상태이며, 이후 절취하는 과정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지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지 케이스(100A)에 대한 설명은 상기 언급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지 케이스(100)의 동일 부분에 대해 동일 부호를 표기하고 설명은 간략 또는 생략하며, 추가 및 변형된 부분에 대해서만 다른 부호를 표기하고 중점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지 케이스(100A)는 앞서 언급된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지 케이스에서 파지자리부 및 슬립부가 사라지고, 가압부와 마찰자리부의 위치가 변경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압부(24a)는 안착부(22)의 후방 단부에 위치되어 몸체(10a) 내면과 소정 거리 유격을 두고 있고, 이 유격을 통해 몸체 내부에서 인출되는 화장지가 통과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24a)는 안착부(22)가 연장되어 안착부(22)와 동일 재질을 가지고 동일 평면 상에 위치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재질 및 다른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마찰자리부(15a)는 몸체(10a)의 배면이 상방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고 이 연장된 단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꺾여서 소정 길이만큼 더 연장되어 형성된다. 그리하여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부(24a)와 마찰자리부(15a)가 서로 소정 간격을 두고 마주보는 구조가 되며, 작동커버(20a)는 힌지축(21)을 중심으로 전방 단부가 아래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면 작동커버(20a)의 후방 단부에 있는 가압부(24a)가 상방으로 회동되어 마찰자리부(15a)와 밀착되는 구조인 것이다.
따라서 몸체(10a) 내부로부터 인출된 화장지를 이용하여 작동커버(20a)를 회동시키면 가압부(24a)와 마찰자리부(15a) 사이에서 화장지가 고정되고 동시에 절취력 증대부(26,27)에 의해 인장력이 화장지 절취라인에 집중되어 화장지가 쉽게 절취되도록 하는 구조를 가진 것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지 케이스(100A)는 절취력 증대부(26,27)가 필요에 따라 적어도 1개 포함되거나 제외될 수도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장지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장지 케이스(100B)에 대한 설명은 상기 언급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지 케이스의 동일 부분에 대해 동일 부호를 표기하고 설명은 간략 또는 생략하며, 추가 및 변형된 부분에 대해서만 다른 부호를 표기하고 중점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장지 케이스(100B)는 몸체(10b)에 작동커버(20b)가 힌지결합될 때 그 힌지결합 위치가 화장지 케이스(100B)의 상단 후방에서 힌지결합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힌지 결합을 위하여 몸체(10b)의 상단 후방 좌우측면에는 내부로 소정길이 돌출된 힌지축(47)이 형성되고, 작동커버(20b)에는 후방 양측 코너에서 하방으로 연장되고 중심에 힌지공(46)이 마련된 힌지편(45)이 형성된다.
그래서 상기 힌지편(45)의 힌지공(46)이 상기 힌지축(47)에 결합되는 구조로 힌지결합 된다. 상기 힌지결합 지점은 몸체(10b)와 작동커버(20b)가 힌지결합될 때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구조가 된다.
상기 힌지축(47)은 표면이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고, 그럴 경우 상기 힌지편(45)을 상기 힌지축(47) 중심을 향해 소정의 외력을 가할 경우 상기 힌지편(45)의 힌지공(46)이 상기 힌지축(47)에 탄력적으로 결합되는 구조로 될 수 있다.
이러한 힌지결합 구조에 의해서, 몸체(10b)에 힌지결합된 작동커버(20b)의 전방 단부를 상방으로 들어 올리면 후방 코너 부근의 상기 힌지결합 지점을 중심으로 작동커버(20b)가 회동되어 몸체(10b) 상면이 개방되는 구조가 된다.
그리고 몸체(10b)에는 상기 작동커버(20b)가 결합될 때 작동커버(20b)의 저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막대형상의 지지바(40)가 몸체의 상단 후방쪽에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지지바(40)는 그 양단이 몸체(20b)의 각 힌지축(47)으로부터 전방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몸체(10b)의 양측면에 지지되는 구조이다.
상기 지지바(40)는 그 양단이 몸체(10b)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이거나 또는 몸체와 일체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바(40)는 상면이 평평하거나 요철형태인(미도시) 마찰자리부(42)가 형성되고, 후면에는 화장지(1)가 잘 슬립되도록 곡면형상의 슬립부(4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작동커버(20b)의 중앙 부근에는 화장지(1)가 인출될 수 있도록 좌우방향으로 길게 인출공(29)이 형성된다.
상기 인출공(29)의 크기는 상기 화장지(1)가 자연스럽게 인출될 수 있을 정도의 좌우 및 전후방향 폭을 가지면 된다.
또한 상기 몸체(10b)와 작동커버(20b)가 결합되었을 때 상기 인출공(29)은 그 위치가 지지바(40) 보다 전방에 위치하면 되나, 작동커버(20b)의 전후 중앙부근이 좋다.
그리고 작동커버(20b)는 인출공(29)의 전방으로 안착부(22b)상에 상기 제1 실시예에서 언급된 절취력 증대부(26)가 1개 또는 소정간격의 다수개(미도시)가 돌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장지 케이스의 결합 구조에서 화장지(1)가 놓이는 경로를 설명하면, 몸체(10b) 내부에 있는 화장지(1)가 일부 인출될 때 화장지(1)의 일부가 지지바(40)의 슬립부(41)를 접촉하고 이후 지지바(40)의 마찰자리부(42)와 작동커버(20b)의 사이에 위치되며, 이후 작동커버(20b)의 인출공(29)을 경유하여 안착부(22b) 또는 절취력 증대부(26) 상에 놓이게 된다.
상기 화장지 케이스(100B)의 작동과정을 설명하면, 작동커버(20b)의 안착부(22b) 또는 절취력 증대부(26)에 놓인 화장지를 한손으로 잡고 상방으로 잡아당기면 그 힘에 의해 지지바(40)로부터 작동커버(20b)가 조금 이격되면서 화장지(1)가 인출공(29)을 통해 외부로 인출된다. 이때 사용자가 원하는 길이만큼 인출된 화장지(1)를 이용하여 안착부(22b) 상의 전방 단부에 있는 절취력 증대부(26)가 눌려지도록 하방으로 잡아당기면 작동커버(20b)와 지지바(40) 사이에 놓인 화장지가 마찰 정지하면서 안착부(22b)상에서 절취력 증대부(26)에 의해 화장지의 절취라인이 쉽게 절취된다.
한편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장지 케이스에서 몸체를 일부 변형하여 사용될 수 있는 바, 상기 지지바(40)가 제거된 몸체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럴경우 상기 작동커버(20b)는 자중에 의해서 하방으로 회동되어 작동커버(20b)의 저면이 화장지 롤의 외경에 직접 접촉되는 구조가 된다.
화장지(1) 사용에 따라 화장지 롤의 외경이 작아지면 그만큼 작동커버(20b)는 힌지축(47)을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그 전방 단부가 하방으로 이동되는 구조가 된다. 이때 작동커버(20b)의 전방 단부가 하방 이동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몸체의 전면에 스윙공간부(12)를 충분히 둘 필요가 있다.
이러한 변형 구조에서 화장지 케이스의 작동과정을 설명하면, 작동커버(20b)의 안착부(22b) 또는 절취력증대부(26)에 놓인 화장지를 한손으로 잡고 상방으로 잡아당기면 그 힘에 의해 작동커버(20b)가 화장지 롤 외경으로부터 조금 이격되면서 화장지가 인출공(29)을 통해 외부로 인출된다. 이때 사용자가 원하는 길이만큼 인출된 화장지(1)를 이용하여 작동커버(20b)의 절취력 증대부(26)가 눌려지도록 하방으로 잡아당기면 작동커버(20b)의 저면이 화장지 롤 외경을 가압하게 되어 화장지 롤의 회전이 정지하면서 안착부(22b)상에서 절취력 증대부(26)에 의해 화장지의 절취라인이 쉽게 절취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장지 케이스(100B)는 절취력 증대부(26)가 필요에 따라 포함되거나 제외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절취가 용이한 화장지 케이스(100)를 설명하면, 화장지를 담을 수 있는 몸체와, 이 몸체에 힌지결합되어 화장지의 절취라인에 대해 절취동작 하는 작동커버와 이 작동커버에 연동되어 화장지 이동을 정지시키는 화장지 정지수단으로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소정 구간 절취라인이 형성된 화장지 롤을 담을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고 일측이 개방된 몸체와, 상기 몸체 내부로부터 일부 인출되는 화장지가 놓일 수 있는 안착부가 마련되고 상기 개방된 몸체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결합 되는 작동커버와, 상기 작동커버의 회동 운동에 연동되어 화장지 이동을 정지시키는 화장지 정지수단을 포함하며, 사용자가 인출된 화장지를 이용하여 작동커버의 일단을 제1 방향으로 가압시켜 작동커버를 회동시킬 때, 상기 화장지 정지수단에 의해 화장지가 고정됨과 동시에 외부로 인출된 화장지가 절취라인에서 절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의 화장지 정지수단은 다양하게 구성이 가능한데, 예를 들어, 화장지 롤의 중심홀이 별도의 회전축에 밀착 삽입되어 일체화 결합된 후, 상기 화장지가 결합된 회전축이 몸체 내부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 될 경우, 이 회전축을 작동커버의 회동 동작에 연동되게 하여 상기 회전축 회전을 정지시키거나 또는 해제시킴으로서 상기 화장지 롤의 화장지 인출 이동을 정지 또는 해제할 수 있다.
상기 회전축을 작동커버의 회동 동작에 연동되게 하여 상기 회전축 회전을 정지시키는 일예를 들면, 작동커버의 저면 일측에서 상기 회전축 근처까지 연장된 브레이크 바가 일체화 형성되고, 상기 작동커버가 회동될 때 상기 브레이크바도 회동되고 이때 이 브레이크바의 단부가 상기 회전축의 일측 표면에 접촉되면서 마찰작용을 일으켜 회전축의 회전을 정지 시킬수 있다.
상기 화장지 정지수단은 앞서 제1, 제2, 제3 실시예의 화장지 케이스에서 언급된 작동커버의 가압부와 몸체와의 마찰 작동 관계를 통해서도 화장지 인출이 정지 또는 해제될 수 있는 화장지 정지수단이 될 수 있다.
상기 안착부 상에는 절취력증대부가 1개 또는 다수개 형성될 수 있고, 이 절취력 증대부의 구조 및 작용은 앞 실시예에서 언급된 바와 같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절취가 용이한 화장지 케이스는 소정 구간 절취라인이 형성된 화장지 롤을 내부에 설치하여 화장지를 일부 인출한 후 상기 절취라인에서 절취하는데 사용되는 화장지 케이스로서, 상기 화장지 케이스에는 화장지 절취 동작이 진행될 때 화장지 절취라인의 일부분에 인장력이 집중 작용되어 절취되도록 소정 높이로 돌기된 절취력 증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절취가 용이한 화장지 케이스는 상기 구조를 통해서 사용자는 한 손으로도 화장지를 절취할 수 있고, 또한 절취하고자 하는 화장지의 길이를 선택적으로 파지하여 원하는 길이만큼 절취할 수 있으며, 절취 동작 또한 간단하고 적은 힘으로도 쉽게 화장지가 절취되는 장점이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구체적인 예들에 대해서만 기술하였으나, 상기의 구체적인 예들을 바탕으로 한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의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또한,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부호의 설명>
1: 화장지 2: 절취라인
10, 10a, 10b: 몸체 11, 46: 힌지공
12: 스윙공간부 13: 인출개방부
14: 가이드부 15, 15a, 42: 마찰자리부
16: 걸림턱 17: 보조 바닥지지부
18: 투시창 19: 이격지지부
20, 20a, 20b: 작동커버 21, 47: 힌지축
22, 22b: 안착부 23, 41: 슬립부
24, 24a: 가압부 25: 파지자리부
26, 27: 절취력 증대부 28: 이탈방지부
29: 인출공 31, 32, 33: 파지홈
40: 지지바 45: 힌지편
100, 100A, 100B: 화장지 케이스

Claims (15)

  1.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절취라인이 형성된 롤 형태의 화장지를 담을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고 일측이 개방된 몸체; 및
    상기 몸체 내부로부터 인출된 화장지 일부분이 놓일 수 있는 안착부가 마련되고, 상기 몸체의 개방된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상기 힌지결합 지점을 중심으로 일측이 제1 방향으로 이동될 때 타측은 인출되는 화장지를 상기 몸체에 밀착 고정시킬 수 있도록 가압부가 마련된 작동커버;를 포함하며,
    사용자가 인출된 화장지를 이용하여 상기 작동커버의 일측을 상기 제1 방향으로 가압시킴으로써 상기 작동커버를 회동시키면, 상기 작동커버의 타측에 구비된 상기 가압부가 화장지를 밀착 고정시킴과 동시에 외부로 인출된 화장지가 절취라인에서 절취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취가 용이한 화장지 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커버는 상기 화장지가 몸체 내부로부터 인출될 때 화장지가 슬립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안착부의 한쪽 단부에서 하방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어 상기 안착부를 상기 가압부와 연결해주는 슬립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취가 용이한 화장지 케이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슬립부와 접해 있는 화장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뚫려있는 인출개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취가 용이한 화장지 케이스.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립부와 이어지는 상기 안착부의 한쪽 단부에는 화장지를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상기 안착부의 외부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파지자리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취가 용이한 화장지 케이스.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작동커버의 회동 범위가 제한되도록 상기 작동커버를 받쳐주기 위한 걸림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취가 용이한 화장지 케이스.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커버는 상기 힌지결합 지점을 기준으로 할 때 무게중심이 상기 가압부와 가까운 쪽에 있도록 구성되어, 절취 작업이 이루어지고 나면 무게중심에 따른 자중에 의해 회동되어 상기 가압부가 상기 몸체로부터 이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취가 용이한 화장지 케이스.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커버와 상기 몸체의 힌지결합 구조는, 상기 작동커버에 힌지축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에는 상기 힌지축이 삽입될 수 있도록 힌지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취가 용이한 화장지 케이스.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커버는 상기 안착부에 놓인 화장지를 소정 높이로 지지하면서 화장지 절취 동작이 진행될 때 화장지 절취라인 일부분에 인장력이 집중 작용되어 절취되도록 상기 안착부에서 돌출된 절취력 증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취가 용이한 화장지 케이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절취력 증대부는 폭이 화장지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취가 용이한 화장지 케이스.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절취력 증대부는 상방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취가 용이한 화장지 케이스.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절취력 증대부는 화장지 절취라인의 중앙에서 인장력이 집중 작용되도록 상기 안착부의 폭방향 중앙에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취가 용이한 화장지 케이스.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절취력 증대부는 화장지의 이동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한 쌍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취가 용이한 화장지 케이스.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절취력 증대부의 일단부 가장자리가 상기 안착부 중 상기 제1 방향으로 눌리는 가장자리와 일치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취가 용이한 화장지 케이스.
  14.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절취라인이 형성된 롤 형태의 화장지를 담을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고 일측이 개방된 몸체;
    상기 몸체 내부로부터 인출된 화장지 일부분이 놓일 수 있는 안착부가 마련되고, 상기 몸체의 개방된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작동커버; 및
    상기 작동커버의 회동 운동에 연동되어 화장지 이동을 정지시킬 수 있는 화장지 정지수단; 을 포함하며,
    사용자가 인출된 화장지를 이용하여 상기 작동커버의 일측을 제1 방향으로 가압시킴으로써 상기 작동커버를 회동시키면, 상기 화장지 정지수단에 의해 화장지가 고정됨과 동시에 외부로 인출된 화장지가 절취라인에서 절취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취가 용이한 화장지 케이스.
  15.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절취라인이 형성된 롤 형태의 화장지를 내부에 설치하여 화장지를 일부 인출한 후 상기 절취라인에서 절취하는데 사용되는 화장지 케이스로서,
    상기 화장지 케이스에는 화장지 절취 동작이 진행될 때 화장지를 소정 높이로 지지하면서 화장지 절취라인의 일부분에 인장력이 집중 작용되어 절취되도록 소정 높이로 돌출된 절취력 증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취가 용이한 화장지 케이스.
PCT/KR2019/005856 2018-05-15 2019-05-15 절취가 용이한 화장지 케이스 WO2019221519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5155 2018-05-15
KR20180055155 2018-05-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221519A1 true WO2019221519A1 (ko) 2019-11-21

Family

ID=68540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9/005856 WO2019221519A1 (ko) 2018-05-15 2019-05-15 절취가 용이한 화장지 케이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90130978A (ko)
WO (1) WO2019221519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9692U (ja) * 1993-12-27 1995-07-18 俊一 亀和田 ロール状連続紙の簡易切断具
KR970001614Y1 (ko) * 1994-05-04 1997-03-15 심혁봉 화장지 인출 케이스
KR200201978Y1 (ko) * 2000-06-20 2000-11-01 김조천 절취가 용이한 원터치 롤링프레임
JP4411541B2 (ja) * 2005-04-15 2010-02-10 博 鈴川 トイレットペーパーホルダー
JP3214977U (ja) * 2017-07-13 2018-02-22 吉弘 町田 ペーパーホルダーアタッチメント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9692U (ja) * 1993-12-27 1995-07-18 俊一 亀和田 ロール状連続紙の簡易切断具
KR970001614Y1 (ko) * 1994-05-04 1997-03-15 심혁봉 화장지 인출 케이스
KR200201978Y1 (ko) * 2000-06-20 2000-11-01 김조천 절취가 용이한 원터치 롤링프레임
JP4411541B2 (ja) * 2005-04-15 2010-02-10 博 鈴川 トイレットペーパーホルダー
JP3214977U (ja) * 2017-07-13 2018-02-22 吉弘 町田 ペーパーホルダーアタッチメン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0978A (ko) 2019-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198933A1 (ko) 에어로졸 생성원 지지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
US20060263028A1 (en) Fiber cleaver
WO2017086510A1 (ko) 핸들 어셈블리, 카트리지 및 이들을 포함하는 면도기
WO2017196028A1 (ko) 청소기 거치대
JPH07106749B2 (ja) ペーパータオルディスペンサー及びペーパータオルシートの取出方法
WO2019221519A1 (ko) 절취가 용이한 화장지 케이스
DK171194B1 (da) Beskyttelse ved afrivningskanter
WO2011149261A2 (ko) 치간 청소구
US6065519A (en) Automatic drawing and cutting device for adhesive tape dispenser
JP2006263404A5 (ko)
WO2018174352A1 (ko) 담뱃갑 스티커 부재
WO2022131530A1 (ko) 집게용 논슬립 조립체
WO2019098610A1 (ko) 손가락 커터기
WO2009096736A2 (ko) 롤 필름 절단장치 및 이를 구비한 롤 필름 포장용기
WO2021096189A1 (ko) 화장지 자동 커팅기
WO2019190029A1 (ko) 테이프 고정부를 갖는 테이프 디스펜서 구조
JPH0616321A (ja) テ−プカッタ−
JP2777979B2 (ja) トイレットペーパーホルダー
JP2006298396A (ja) ラップフイルム収納箱
WO2023234451A1 (ko) 한 가닥의 당김줄로 작동되는 롤 블라인드용 구동장치
WO2013105694A1 (ko) 블라인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작동방법
WO2010018974A2 (ko) 스테이플 및 스테이플러
JP2003145482A (ja) 安全カッター
JP2603409Y2 (ja) カッタ付トイレットペーパホルダ
WO2016039492A1 (ko) 흡연용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980336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980336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