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1978Y1 - 절취가 용이한 원터치 롤링프레임 - Google Patents

절취가 용이한 원터치 롤링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1978Y1
KR200201978Y1 KR2020000017452U KR20000017452U KR200201978Y1 KR 200201978 Y1 KR200201978 Y1 KR 200201978Y1 KR 2020000017452 U KR2020000017452 U KR 2020000017452U KR 20000017452 U KR20000017452 U KR 20000017452U KR 200201978 Y1 KR200201978 Y1 KR 2002019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friction
case
friction part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74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조천
이상준
황선정
Original Assignee
김조천
이상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조천, 이상준 filed Critical 김조천
Priority to KR20200000174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197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19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197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34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 A47K10/38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the web being rolled up with or without tearing edge
    • A47K10/3809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the web being rolled up with or without tearing edge with roll spindles which are not directly supported
    • A47K10/3827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the web being rolled up with or without tearing edge with roll spindles which are not directly supported with a distribution opening which is parallel to the rotation axi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34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 A47K10/36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with mechanical dispensing, roll switching or cutting devices
    • A47K10/3631The cutting devices being driven manually
    • A47K10/3643The cutting devices being driven manually by pulling the pap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Sanitary Thin Pap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절취가 용이한 원터치 롤링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롤링용지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된 화장지나 기타용지의 감김량에 관계없이 그 케이스의 상단에서 마찰력을 부여하고 탄성을 감소시키는 부재를 제공함으로써 용지를 필요한 길이만큼만 인출하여 한손으로 용이하게 절취함과 동시에 용지의 끝단이 케이스의 내부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절취가 용이한 원터치 롤링프레임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내부에 두루마기 용지를 내장시킬 수 있게 그 상면이 개방되고 그 하부면에 마찰지수가 높은 고무판이 부착되어 식탁의 상면에 입설되며, 그 바닥면에는 마찰지수가 적은 미끄럼판이 부착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면 일측에 형성된 힌지 및 힌지축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상면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용지가 인출될 수 있는 장공이 형성되고 장공의 중앙에는 용지가 용이하게 인출될 수 있도록 원형의 삽입공이 형성된 커버와; 상기 커버의 상면 양측 모서리부에 입설되어 인출된 용지가 마찰되어 절취되는 마찰부와; 상기 마찰부와 커버의 사이에 부착되어 상기 마찰부의 상면에 용지가 밀착되고 절취된 후 용지를 튕겨내지 않도록 자체 탄성이 매우 적은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용지가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유지부로 이루어짐으로써 한손으로 용이하게 용지를 절취할 수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을 적용하면, 첫째로 롤링케이스의 상단에 용지와 마찰되는 마찰부가 별도로 구비되어 용지를 한손으로 용이하게 절취할 수 있게 되며, 둘째로 롤링케이스의 커버에는 원형의 삽입공이 형성되어 그 내부에 내장된 화장지가 보다 용이하게 인출될 수 있게 되며, 마찰부의 하면에는 탄성력이 매우 적은 재질을 부착하여 용지가 그 상단에 밀착되어 절취된 후 자체 탄성으로 용지를 튕겨내지 않으므로 케이스의 내부로 용지가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절취가 용이한 원터치 롤링프레임{EASY CUTTING ONE TOUCH ROLLING FRAME}
본 고안은 절취가 용이한 원터치 롤링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롤링케이스의 상면 양측에 마찰력이 큰 고무패드를 부착하여 그 내부로부터 인출되는 롤(Roll)형태의 용지를 한 손으로 용이하게 절취할 수 있도록 한 절취가 용이한 원터치 롤링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기존의 두루마기 용지의 케이스는 그 케이스재질이 대부분 플라스틱으로 구성되며, 그 측면은 내부에 삽입되는 화장지의 외주면보다 큰 직경을 갖고 있다.
또한, 상기 롤링케이스의 상면에는 그 케이스의 내측으로부터 화장지를 인출하기 위한 인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바, 상기 인출구는 롤링케이스의 내측으로부터 화장지가 자유롭게 인출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직경이 일정길이 이상되게 형성된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롤링케이스는 상기 인출구를 매개하여 화장지가 인출될 수 있도록 그 내부에 화장지를 구비하는 것이므로 사용자가 화장지의 일단을 취부한 상태에서 그 화장지를 일정길이 인출시키기 위해서는 양손을 모두 사용하여야만 하므로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롤링케이스는 인출구를 매개하여 그 내부의 화장지 종단을 잡아당길 때 그 화장지의 잔여량이 적을 경우에는 인출되는 화장지의 인출력이 잔여 화장지의 전체에 작용되어 소망하는 화장지의 길이보다 더 길게 인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사용자가 한손으로 화장지를 절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화장지케이스의 구조가 복잡해지고 이를 구현하기 위한 부품들이 증가하게 되므로 경제적으로 불리함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롤링용지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된 화장지나 기타용지의 감김량에 관계없이 그 케이스의 상단에서 마찰력을 부여하고 탄성을 감소시키는 부재를 제공함으로써 용지를 필요한 길이만큼만 인출하여 한손으로 용이하게 절취함과 동시에 용지의 끝단이 케이스의 내부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절취가 용이한 원터치 롤링프레임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절취가 용이한 원터치 롤링프레임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절취가 용이한 원터치 롤링프레임의 구성을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절취가 용이한 원터치 롤링프레임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절취가 용이한 원터치 롤링프레임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의 롤링프레임 바닥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두루마기용지, 2:커버,
4:힌지, 6:장공,
8:삽입공, 9:유지부,
10:마찰부, 12:고무판,
16:회전롤러.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에 두루마기 용지를 내장시킬 수 있게 그 상면이 개방되고 그 하부면에 마찰지수가 높은 고무판이 부착되어 식탁의 상면에 입설되며, 그 바닥면에는 마찰지수가 적은 미끄럼판이 부착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면 일측에 형성된 힌지 및 힌지축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상면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용지가 인출될 수 있는 장공이 형성되고 장공의 중앙에는 용지가 용이하게 인출될 수 있도록 원형의 삽입공이 형성된 커버와; 상기 커버의 상면 양측 모서리부에 입설되어 인출된 용지가 마찰되어 절취되는 마찰부와; 상기 마찰부와 커버의 사이에 부착되어 상기 마찰부의 상면에 용지가 밀착되고 절취된 후 용지를 튕겨내지 않도록 자체 탄성이 매우 적은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용지가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유지부로 이루어짐으로써 한손으로 용이하게 용지를 절취할 수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취가 용이한 원터치 롤링프레임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마찰부는 그 일측면에 화장지가 역승되게 만곡된 경사면이 형성되며 그 타측면에 수직면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과 수직면사이에는 화장지에 대해 실제로 마찰력이 부여되는 마찰부엣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 중앙 소정부에는 복수의 롤러가 그 회동축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것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절취가 용이한 원터치 롤링프레임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롤링프레임의 구성 및 결합상태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은 두루마기 용지를 그 일례로서 기술하는 바, 이는 단지 두루마기 용지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식탁용 용지, 화장대용 용지, 포장용 비닐봉지 등 두루마기 형태의 모든 용지에 적용이 가능하다는 것을 우선적으로 밝힌다.
도 1, 2를 참조하면, 두루마기 용지(1)가 그 내부에 삽입되는 롤링케이스(100)는 그 외형이 원형 또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 하우징이 제공되며, 그 롤링케이스(100)의 하우징 상면에는 상기 롤링케이스(100)의 일측면 상단에 형성된 힌지(4) 및 힌지축(5)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커버(2)가 제공된다.
이때, 상기 롤링케이스(100)의 외형은 단지 원형 또는 육면체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상기 두루마기 용지(1)가 삽입될 정도라면 그 외형은 다양하게 변경가능하다.
또한, 상기 롤링케이스(100)의 하부면에는 식탁이나 탁자의 상면에 대해 발생되는 마찰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고무판(12)이 부착되는 바, 상기 고무판(12)에 의해 상기 롤링케이스(100)로부터 두루마기 용지(1)를 인출할 때 그 롤링케이스(100)가 인출력에 의해 넘어지지 않게 된다.
상기 롤링케이스(100)의 커버(2)는 그 상면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용지가 인출될 수 있는 장공(6)이 형성되는 바, 상기 장공(6)에 의해 용지(1)의 인출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장공(6)의 중앙 소정부에는 화장지 인출자의 손가락을 그 내측으로 삽입하여 상기 커버(2)를 그 상부방향으로 들어올릴 수 있도록 원형의 삽입공(8)이 형성되는 바, 상기 삽입공(8)은 두루마기 용지(1)를 교환할 때 상기 커버(2)를 들어올리는 역할과 더불어, 상기 용지(1)를 인출할 때 상기 장공(6)과 함께 화장지의 인출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 롤링케이스(100)의 커버(2) 상면 양측(상기 힌지의 상단 및 상기 힌지와 대향되는 위치)에는 상기 용지(1)에 대해 일정한 마찰력을 가하여 화장지(1)의 절취가 한손으로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한 마찰부(10)가 각각 형성된다.
이때, 상기 마찰부(10)는 그 마찰력이 기타 다른 매질보다 큰 것인 바, 일반적으로 나무위에 위치한 나무의 정지마찰계수(μS)는 0.25∼0.5, 운동마찰계수(μR)가 0.2인 데 반하여 휴지와 특수재료사이의 운동마찰계수는 그 보다 훨씬 큰 값인 0.5 이상을 갖는다, 이에, 상기 마찰부(10)는 최소한 그 마찰력이 0.7이상의 값을 확보할 수 있는 재질인 고무재질을 사용한다.
또한, 상기 커버(2)와 상기 마찰부(10)의 사이에는 탄성이 매우 적은 소프트러버(soft rubber)나 스폰지 등으로 이루어진 유지부(9)가 구성되는 바, 상기 마찰부(10)의 상면에 밀착되는 상기 용지(1)의 압력에 의해 상기 유지부(9)가 그 하방으로 수축되면서 상기 용지(1)에 가해진 외력을 제거하지 않는 한 수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유지부(9)는 자체 탄성이 극히 적으므로 상기 용지(1)를 튕겨내 상기 삽입공(8)의 내부로 용지(1)가 쉽게 들어가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용지(1)의 절취후 다음 절취를 위한 용지(1)의 일단이 항상 상기 롤링케이스(100)의 외부에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롤링케이스(100)의 내부 저면에는 미끄럼판(14)이 제공되는 바, 상기 미끄럼판(14)의 재질은 마찰지수가 적은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상기 두루마기 용지(1)가 상기 롤링케이스(100)의 외부로 인출될 때 상기 미끄럼판(14)의 상면에서 용이하게 회동되면서 인출되게 된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절취가 용이한 원터치 롤링프레임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절취가 용이한 원터치 롤링프레임의 구성중 도 1 및 2와 중복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두루마기 용지(1)가 절취되는 상기 마찰부(10)는 입설형 고무패드로 구성되는 바, 상기 마찰부(10)는 그 일측면에 만곡된 경사면(10a)이 형성되며 그 타측면에 수직면(10c)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10a)과 수직면(10c)사이에는 상기 화장지(1)에 대해 실제로 마찰력을 부여하는 마찰부엣지(10b)가 형성된다.
예컨대, 상기 두루마기 용지(1)의 일단을 취부하여 상기 마찰부(10)측으로 인출하게 되면 그 화장지(1)는 상기 마찰부(10)의 경사면(10a)을 따라 역승되다 화장지(1)의 소망하는 절취위치에서 상기 롤링케이스(100)의 일측 하단으로 상기 화장지(1)를 잡아당긴다. 그러면, 상기 마찰부엣지(10b)에 상기 화장지(1)가 마찰되면서 절취되게 된다.
또한, 상기 마찰부(10)의 상면에 밀착되는 용지(1)로부터의 압력에 의해 상기 유지부(9)가 수축되고 그 용지(1)에 가한 외력을 제거하여도 상기 유지부(9)의 자체 탄성이 극히 미소하므로 상기 용지(1)가 튕겨지지 않게 되어 항상 상기 롤링케이스(100)의 외부에 용지(1)가 존재하게 된다.
한편, 도 5는 본 고안의 롤링프레임 바닥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롤링케이스(100)의 저면에 구비된 상기 미끄럼판(14) 대신 복수의 롤러(16, 16')를 구비하여 상기 롤링케이스(100)의 내부에 위치된 두루마기 용지(1)가 용이하게 인출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상기 롤링케이스(100)의 저면에 부착된 상기 바닥판(12)의 내면을 오목하게 형성하고 상기 롤링케이스(100)의 중앙 소정부에 힌지공을 형성하여 상기 롤러(16, 16')가 회동가능 체결된다.
이를 통하여, 상기 두루마기 용지(1)의 일단을 취부한 상태에서 힘을 가하여 상기 두루마기 용지(1)를 인출하게 되면 상기 롤러(16, 16')도 두루마기 용지(1)와 마찰되면서 회동하게 되어 그 마찰력을 저감시키므로 용지(1)는 보다 용이하게 유출되게 된다.
이하,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절취가 용이한 원터치 롤링프레임의 동작 및 작용을 첨부된 참조도면에 의해 설명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절취가 용이한 원터치 롤링프레임의 작용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 롤링케이스(100)의 커버(2)에 형성된 상기 장공(6)을 매개하여 상기 두루마기 용지(1)의 일단을 취부한 상태에서 상기 롤링케이스(100)의 외측으로 그 용지(1)를 소망하는 길이만큼 인출한다.
그리고, 상기 화장지(1)를 상기 마찰부(10)의 경사면(10a)을 따라 소망하는 길이만큼 역승시키고, 상기 화장지(1)의 소망하는 절취위치에서 상기 롤링케이스(100)의 일측 하단으로 상기 화장지(1)를 잡아당긴다. 그러면, 상기 마찰부엣지(10b)와 상기 화장지(1)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화장지가 용이하게 절취되게 된다.
또한, 상기 마찰부(10)의 상면에 밀착되는 용지(1)로부터의 압력에 의해 상기 유지부(9)가 수축되면서 탄성이 적은 유지부(9)는 용지(1)에 가해진 외력을 제거하여도 자체 탄성에 의해 상기 용지(1)를 튕켜 그 용지(1)가 삽입공(8)의 내측, 즉 롤링케이스(100)의 내부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화장지(1)의 절취동작은 사용자가 한 손으로 수행할 수 있으므로 매우 편리하며, 상시 상기 용지(1)의 일단이 상기 롤링케이스(100)의 외부에 존재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미끄럼판(14) 대신 복수의 롤러(16, 16')를 상기 롤링케이스(100)의 바닥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해두면 상기 두루마기 용지(1)의 인출시 상기 롤러(16, 16')의 회동에 의해 두루마기 용지(1)와 상기 롤링케이스(100)의 바닥면과의 마찰력을 최소화시킨 상태에서 용지(1)가 유출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절취가 용이한 원터치 롤링프레임은 그 적용이 단지 화장지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종이 두루마기, 호일 두루마기, 화장대의 화장용 롤티슈, 각종 두루마기 비닐종이류에 범용으로 적용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절취가 용이한 원터치 롤링프레임은 단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절취가 용이한 원터치 롤링프레임에 의하면 첫째로 롤링케이스의 상단에 용지와 마찰되는 마찰부가 별도로 구비되어 용지를 한손으로 용이하게 절취할 수 있게 되며, 둘째로 롤링케이스의 커버에는 원형의 삽입공이 형성되어 그 내부에 내장된 화장지가 보다 용이하게 인출될 수 있게 되며, 마찰부의 하면에는 탄성력이 매우 적은 재질을 부착하여 용지가 그 상단에 밀착되어 절취된 후 자체 탄성으로 용지를 튕겨내지 않으므로 케이스의 내부로 용지가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3)

  1. 내부에 두루마기 용지를 내장시킬 수 있게 그 상면이 개방되고 그 하부면에 마찰지수가 높은 고무판이 부착되어 식탁의 상면에 입설되며, 그 바닥면에는 마찰지수가 적은 미끄럼판이 부착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면 일측에 형성된 힌지 및 힌지축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상면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용지가 인출될 수 있는 장공이 형성되고 장공의 중앙에는 용지가 용이하게 인출될 수 있도록 원형의 삽입공이 형성된 커버와;
    상기 커버의 상면 양측 모서리부에 입설되어 인출된 용지가 마찰되어 절취되는 마찰부와;
    상기 마찰부와 커버의 사이에 부착되어 상기 마찰부의 상면에 용지가 밀착되고 절취된 후 용지를 튕겨내지 않도록 자체 탄성이 매우 적은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용지가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유지부로 이루어짐으로써 한손으로 용이하게 용지를 절취할 수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취가 용이한 원터치 롤링프레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부는 그 일측면에 화장지가 역승되게 만곡된 경사면이 형성되며 그 타측면에 수직면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과 수직면사이에는 화장지에 대해 실제로 마찰력이 부여되는 마찰부엣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절취가 용이한 원터치 롤링프레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 중앙 소정부에는 복수의 롤러가 그 회동축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것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취가 용이한 원터치 롤링프레임.
KR2020000017452U 2000-06-20 2000-06-20 절취가 용이한 원터치 롤링프레임 KR2002019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7452U KR200201978Y1 (ko) 2000-06-20 2000-06-20 절취가 용이한 원터치 롤링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7452U KR200201978Y1 (ko) 2000-06-20 2000-06-20 절취가 용이한 원터치 롤링프레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1978Y1 true KR200201978Y1 (ko) 2000-11-01

Family

ID=19661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7452U KR200201978Y1 (ko) 2000-06-20 2000-06-20 절취가 용이한 원터치 롤링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197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21519A1 (ko) * 2018-05-15 2019-11-21 Kim Do Hyun 절취가 용이한 화장지 케이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21519A1 (ko) * 2018-05-15 2019-11-21 Kim Do Hyun 절취가 용이한 화장지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096054A1 (en) Rolled tissue dispenser
ZA9810768B (en) Paper-wipe dispensing machine
SE0203848D0 (sv) Solid rolls dispenser
US20110005688A1 (en) Structure of cutting opening of adhesive tape dispenser
US20070012814A1 (en) Toilet tissue roll holder axle with auxilary tissue
KR200201978Y1 (ko) 절취가 용이한 원터치 롤링프레임
KR970001614Y1 (ko) 화장지 인출 케이스
JP3058570U (ja) ロールペーパーホルダー
JP3653246B2 (ja) シートロールホルダー
JP5372433B2 (ja) ロールペーパー保持具
US2592955A (en) Toilet paper holder
CN211928547U (zh) 一种计算机柔性防尘键盘
JPH048876Y2 (ko)
JPH0755986Y2 (ja) 紙石鹸供給装置
KR101966019B1 (ko) 비닐보관박스
JP2603409Y2 (ja) カッタ付トイレットペーパホルダ
JPH057991Y2 (ko)
KR970004103Y1 (ko) 메모지 인출장치가 설치된 전화기
BE1012606A3 (nl) Verdeelapparaat voor papieren doekjes.
CN216272310U (zh) 可调式新型纸盒
KR200185037Y1 (ko) 화장솜 케이스
CN211243124U (zh) 一种便捷取纸的纸巾广告一体机
KR200309198Y1 (ko) 계산기를 구비한 명함케이스
JP3029036U (ja) ロールペーパー保持具
JP3033015U (ja) 携帯式指先湿し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3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