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0656A - 횡편기에서의 플레이팅 편성방법 - Google Patents

횡편기에서의 플레이팅 편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0656A
KR20190130656A KR1020197032833A KR20197032833A KR20190130656A KR 20190130656 A KR20190130656 A KR 20190130656A KR 1020197032833 A KR1020197032833 A KR 1020197032833A KR 20197032833 A KR20197032833 A KR 20197032833A KR 20190130656 A KR20190130656 A KR 201901306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itting
yarn
needle
scanning
pl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2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1231B1 (ko
Inventor
레이지 아리키타
마사오 오쿠노
히로토시 야마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901306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06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12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12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7/0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7/24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for producing patterned fabric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0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 D04B1/102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with stitch pattern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0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06Sinke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8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 D04B15/54Thread guides
    • D04B15/56Thread guides for flat-bed knitt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66Devices for determining or controlling patterns ; Programme-control arrangements
    • D04B15/68Devices for determining or controlling patterns ; Programme-control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knitting instruments used
    • D04B15/70Devices for determining or controlling patterns ; Programme-control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knitting instruments used in flat-bed knitt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3/00Details of fabric structure established in the fabric forming process
    • D10B2403/01Surface features
    • D10B2403/011Dissimilar front and back faces
    • D10B2403/0114Dissimilar front and back faces with one or more yarns appearing predominantly on one face, e.g. plated or paralleled yar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개의 급사구의 주행순서의 교체가 불필요하며, 편침의 인입루트도 단일이어서 좋고, 1코스의 편성 도중에 주사와 첨사를 반전시키는 것이 가능한 횡편기에서의 플레이팅 편성방법을 제공한다.
도1(a), (c)에 나타내는 통상 플레이팅 편성에서는, 선행과 후행의 급사구(1a, 2a)로부터 주사(11)와 첨사(12)를 각각 급사한다. 주사(11)와 첨사(12)는, 상하위치를 유지하면서 동일한 편침(3)의 훅(3a)에 급사된다. 첨사(12)보다도 하측이 되는 주사(11)는, 편성포를 편성하면 표면에 나타나고, 첨사(12)는 이면에 숨겨진다. 반전 플레이팅 편성에서는, 도1(b), (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편침(3)에 각각 대응하도록 구비하는 작용부재(5)를, 선단 부근에 형성되는 작용부가 니들베드갭(4)의 상방으로 진퇴하도록 동작시키고, 편침(3)의 훅(3a)이 인입하는 주사(11)와 첨사(12)의 상하위치를 반전시킨다.

Description

횡편기에서의 플레이팅 편성방법
본 발명은, 2종류의 편사(編絲)를 사용하여, 일방(一方)의 편사를 주사(主絲)로 하고, 타방(他方)의 편사인 첨사(添絲)를 덮도록 편성하는 통상 플레이팅 편성을 하는 도중에, 첨사와 주사를 반전시키는 반전 플레이팅 편성으로 절환하는 것이 가능한 횡편기(橫編機)에서의 플레이팅 편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횡편기에서 편성포(編成布)를 편성하기 위한 편침(編針)은, 일정한 피치로 니들베드(needle bed)의 길이방향으로 배열된다. 니들베드는, 적어도 2개가 대향(對向)하여 사용된다. 대향하는 니들베드 사이의 간격은 니들베드갭(needle bed gap)으로 불린다. 편성포는, 니들베드갭의 상방(上方)을 니들베드의 길이방향으로 주행하는 급사구(給絲口)로부터 편침의 훅에 공급되는 편사에 의하여 편성된다. 플레이팅 편성은, 니들베드갭의 상방을 주행하며 선행(先行)과 후행(後行)의 위치가 어긋나는 2개의 급사구로부터 외관이 다른 2종류의 편사를 편침의 훅에 공급하여 이루어진다. 편사의 공급은, 단일의 급사구를 구비하는 2개의 얀피더나, 이중의 급사구를 구비하는 플레이팅 편성 전용의 1개의 얀피더를 사용하여 한다. 선행과 후행이 되는 급사구로부터 각각 공급되는 편사는, 장력 등의 편성조건이 적절하게 유지되면 훅에서 하측과 상측이 되어, 편성포의 표면에 나타나는 주사와 주사에 의하여 덮이는 첨사가 된다. 2종류의 편사는, 주행순서를 교체하면 주사와 첨사가 절환되어, 편성포에 모양을 형성할 수 있다.
2개의 급사구의 주행순서의 교체는, 1코스의 편성 도중에도 가능하지만, 삽시간에 할 수는 없다. 편성을 계속하면서 주행순서를 교체하는 것은, 편성포에서의 주사와 첨사의 절환이 복수 스티치의 구간에 걸쳐 이루어져, 모양의 경계가 불명확하게 되어 버린다. 모양의 경계에서 편성을 일단 정지하고, 급사구의 주행순서를 교체한 다음에 편성을 재개하면, 모양의 경계는 명확해진다. 그러나 급사구의 주행순서의 교체는, 편침을 구동하는 캠이 탑재되는 캐리지(carriage)의 주행방향의 반전조작 등도 필요로 하여, 편성효율을 저하시킨다.
2개의 급사구의 주행순서를 교체시키지 않더라도, 펄편성을 하면 첨사와 주사의 반전은 가능하게 되지만, 반전구간은 백 스티치가 되어 버린다(예를 들면, 특허문헌1의 명세서 중의 [0002] 단락을 참조). 특허문헌1은, 요동식(搖動式)의 가동싱커를 사용하여 통상 플레이팅 편성과 반전 플레이팅 편성을 절환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명세서 중의 [0016], [0017] 단락을 참조; 다만 특허문헌1에서 통상 플레이팅 편성 및 반전 플레이팅 편성에 상당하는 것은, 표준 플레이팅 및 실 교환 플레이팅으로 각각 기재되어 있다). 이 제안을 따르는 가동싱커는, 스티치를 형성하는 부분의 상방에 볼록부와 오목홈이 형성되어 있다(특허문헌1의 도3 등을 참조). 반전 플레이팅 편성에서 주사와 첨사를 반전시키는 경우에, 편침의 훅으로 인입(引入)을 시작하는 주사를 볼록부에 접촉시키도록 가동싱커를 요동시킨다. 주사를 오목홈 측으로 상승시켜 주사와 첨사의 상하위치를 절환하고, 상하위치를 절환한 주사와 첨사를 훅으로 인입한다(특허문헌1의 명세서 중의 [0034] 단락을 참조). 또한 주사와 첨사의 상하위치를 절환하지 않는 통상 플레이팅 편성의 경우에는, 가동싱커가 요동하여도 주사와 첨사를 훅이 인입하지 않도록 편침의 인입동작은 지연된다(특허문헌1의 명세서 중의 [0023], [0024] 단락을 참조). 통상 플레이팅 편성과 반전 플레이팅 편성의 절환은, 편침을 인입하는 스티칭 동작을 2루트 준비하여 두고 루트를 절환함으로써 이루어지고, 가동싱커의 동작은 동일하다(특허문헌1의 도2, 도11을 참조).
특허문헌1 :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16-176159호 공보
특허문헌1에서, 가동싱커의 동작에 대한 반전 플레이팅 편성의 편침의 인입은, 통상 플레이팅 편성의 편침의 인입보다도 조기에 이루어진다. 따라서 편침의 인입이 통상 플레이팅 편성의 구간으로부터 반전 플레이팅 편성의 구간으로 분기되는 경계 부근에서, 선행하는 통상 플레이팅 편성의 스티치를 형성하는 중에 후행하는 반전 플레이팅 편성의 스티치는 먼저 크기가 결정되어 버린다. 이후에 스티치의 크기가 결정되는 통상 플레이팅 편성의 스티치는, 이미 크기가 결정되어 있는 반전 플레이팅 편성의 스티치를 지나 편사가 공급되기 때문에, 편사에 과도한 장력이 걸려 편사가 끊어질 우려가 있다. 또한 반전 플레이팅 편성의 구간에서는, 편침의 훅으로 편사를 한창 인입하고 있는 중에도 가동싱커가 요동하기 때문에(특허문헌1의 도14∼도17을 참조), 스티치의 안정성이나 편성포의 품질에 대한 악영향이 예상된다. 또한 편침을 인입하는 스티칭 동작의 행정(行程)을 2루트분 준비하여 둘 필요가 있기 때문에, 선침(選針)의 복잡화나 편침을 구동하는 캠시스템의 광폭화도 우려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2개의 급사구의 주행순서의 교체가 불필요하며, 편침의 인입루트도 단일이어서 좋고, 1코스의 편성 도중이라도 통상 플레이팅 편성과 반전 플레이팅 편성을 절환하는 것이 가능한 횡편기에서의 플레이팅 편성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선행(先行)과 후행(後行)의 급사구(給絲口)로부터의 주사(主絲)와 첨사(添絲)를 하측과 상측의 상하위치를 유지하면서 각각 동일한 편침(編針)에 급사하여 주사가 표면측이 되도록 편성하는 통상 플레이팅 편성과, 편침에 급사하는 주사와 첨사의 상하관계를 반전(反轉)시켜 첨사가 표면측이 되도록 편성하는 반전 플레이팅 편성을 절환(切換)하는 것이 가능한 횡편기(橫編機)에서의 플레이팅 편성방법에 있어서,
선단(先端)의 작용부를 니들베드갭(needle bed gap)의 상방(上方)으로 진퇴시킬지의 여부를 절환하는 것이 가능한 반전용의 작용부재를, 각 편침에 대한 편성의 진행방향을 향하여 인접하는 측에 각각 대응하도록 구비하여 두고,
반전 플레이팅 편성에서는, 작용부재의 작용부를 니들베드갭으로 진출시키고, 편침에 급사되는 주사와 첨사에 작용시켜, 편침의 훅 내로 인입(引入)하는 주사와 첨사의 상하위치를 반전시키고, 첨사가 표면측이 되도록 편성포(編成布)를 편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에서의 플레이팅 편성방법이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플레이팅 편성에서는,
상기 편침이 속하는 니들베드(needle bed)에서 각 편침에 대한 상기 편성의 진행방향을 향하는 측의 근방에 배치되는 부재를, 상기 작용부재와 협동하여 상기 상하위치를 반전시키는 반전벽으로서 이용하고,
상기 작용부재의 작용부는, 작용부재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주사와 첨사의 하방으로부터 작용하여, 상기 주사와 첨사를 얹어서 반전벽까지 안내하고, 반전벽과의 협동에 의하여, 훅 내로 첨사가 하측이 되고 주사가 상측이 되도록 인입하여, 주사와 첨사의 상하위치를 반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편침에 대한 편성의 진행방향을 향하여, 상기 작용부재 및 상기 부재가 순서대로 배치되고,
상기 반전 플레이팅 편성에서, 상기 작용부는, 상기 주사를 상기 첨사보다도 선행하여 상기 반전벽까지 안내하여 멈추고, 주사와 첨사에 대하여 하측방향에 대한 벽이 되고, 상측방향에 대한 벽이 되도록 둘러싸는 상기 훅의 상부와 함께 주사 및 첨사를 둘러싸서 구속하는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영역으로 둘러싸여 주사와 첨사가 배열되는 상태로부터 훅으로 인입하여, 첨사가 주사의 하측으로 돌아 들어가도록 하여 상하위치를 반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반전벽은, 상기 니들베드갭 측이 낮고 니들베드갭으로부터 멀어지는 측이 높아지는, 상방을 향하는 경사를 구비하고,
상기 반전 플레이팅 편성에서, 작용부로부터 반전벽으로 주사가 선행하여 상측이 되고 첨사가 후행하여 하측이 되도록 안내하면서,
상기 훅으로 주사가 상측이고 첨사가 하측이 되도록 인입하여 상하위치를 반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작용부재의 작용부는, 작용부재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반전 플레이팅 편성에서, 상기 주사와 첨사의 상방으로부터 작용하고, 첨사를 주사의 하방으로 압입(壓入)하여 상하위치를 반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후행의 급사구는, 상기 편침이 속하는 니들베드에 대하여 상기 선행의 급사구보다도 니들베드갭의 간격방향으로 떨어진 위치에서 주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각 편침에 대응하도록 설치되는 작용부재는, 선단의 작용부를 니들베드갭으로 진퇴시킬지의 여부를 절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작용부재는, 편침의 훅으로 주사가 하측이고 첨사가 상측이 되도록 인입하여 플레이팅 편성을 하는 통상 플레이팅 편성의 도중에, 작용부를 니들베드갭으로 진출시킬 수 있다. 진출한 작용부는, 편침의 훅 내로 인입하는 주사와 첨사의 상하위치를 반전시키기 때문에, 통상 플레이팅 편성의 도중이더라도 첨사가 편성포의 표면측이 되는 반전 플레이팅 편성으로 절환할 수 있다. 2개의 급사구의 주행순서의 교체는 불필요하며, 편침의 인입루트도 단일이어서 좋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작용부재의 작용부를 작용시키면, 하측에 급사되는 주사와 상측에 급사되는 첨사는, 편침의 근방에 배치되는 부재 상에 얹혀 반전벽까지 안내된다. 작용부는, 반전벽과의 협동에 의하여 훅 내로 인입하는 주사와 첨사의 상하위치를 반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반전벽과 아울러 작용부와 훅의 상부로 둘러싸인 영역에 주사와 첨사는 나란한 상태로 구속된다. 영역으로부터 훅으로 첨사를 주사의 하측으로 돌아 들어가도록 인입하기 때문에, 훅 내로 인입하는 주사와 첨사는 급사의 상태로부터 상하위치를 반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반전벽은, 니들베드갭 측이 낮고 니들베드갭으로부터 멀어지는 측이 높아지는, 상방을 향하는 경사를 구비한다. 반전벽으로의 안내에 의하여, 주사는 선행하여 상측이 되고 첨사는 후행하여 하측이 된다. 훅으로의 인입은, 반전벽으로 안내된 주사가 상측이고 첨사가 하측이 되는 상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훅 내로 인입하는 주사와 첨사는 급사의 상태로부터 상하위치를 반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작용부재의 작용부는, 상측에 급사되는 첨사를 주사의 하방으로 압입하여, 편침의 훅 내로 주사와 첨사를 상하위치가 반전된 상태로 급사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후행의 급사구는, 선행의 급사구보다도 니들베드갭의 간격방향으로 떨어진 위치에서 주행한다. 주사와 첨사에 니들베드 사이에서의 전후 차이를 가하고 있기 때문에, 작용부재의 작용부에 의한 주사와 첨사의 상하위치의 반전을 안정적으로 할 수 있고, 작용부재의 작용을 정지한 후에 상하위치의 반전의 해소도 안정적으로 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플레이팅 편성에서의 주사와 첨사의 절환동작을 나타내는 부분적인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1에 의한 주사와 첨사의 절환동작을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3은, 도2에 계속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1에 의한 주사와 첨사의 절환동작을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4는, 도2 및 도3의 절환동작을 포함하는 니들베드갭 부근의 편성동작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2에 의한 주사와 첨사의 절환동작을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6은, 도5에 계속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2에 의한 주사와 첨사의 절환동작을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7은, 도5 및 도6의 절환동작을 포함하는 니들베드갭 부근의 편성동작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실시예3에 의한 주사와 첨사의 절환동작을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9는, 도8의 절환동작을 포함하는 니들베드갭 부근의 편성동작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10은, 첨사의 급사구와 주사의 급사구를 니들베드에 대하여 거의 같은 위치에서 주행시키는 경우와, 첨사의 급사구를 니들베드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주행시키는 경우를 비교하여 나타내는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이하, 도1은 본 발명에 대한 기본적인 생각을 설명한다. 도2∼도5는 실시예1을 설명한다. 도6∼도8은 실시예2를 설명한다. 도9∼도10은 실시예3에 대하여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상 설명대상의 도면에는 기재되어 있지 않은 부분에 대하여, 다른 도면에 기재되어 있는 참조부호를 붙여 언급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고, 중복하는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구루프(舊loop)를 도면에 나타내는 것은 생략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대한 기본적인 생각으로서, 횡편기에서의 플레이팅 편성(plating knitting)의 동작을 간략화하여 나타낸다. 도1(a), (c)는, 횡편기에서의 플레이팅 편성의 기본이 되는 통상 플레이팅 편성의 동작을 나타낸다. 통상 플레이팅 편성에서는, 예를 들면 도1(a)와 같이 좌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편성하는 경우에, 선행(先行)의 얀피더(yarn feeder)(1)와 후행(後行)의 얀피더(2)의 급사구(給絲口)(1a, 2a)로부터 주사(主絲)(11)와 첨사(添絲)(12)를 각각 급사한다. 또한 주사(11)와 첨사(12)의 구별은, 급사구(1a, 2a)의 주행순서에 따라 정한다. 또한 편사의 공급에는, 단일의 급사구를 구비하는 2개의 얀피더(1, 2) 뿐만 아니라, 이중의 급사구를 구비하는 플레이팅 편성 전용의 1개의 얀피더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주사(11)와 첨사(12)는, 도1(c)와 같이 니들베드갭(4)에서 하측과 상측의 상하위치를 유지하면서 동일한 편침(編針)(3)의 훅(3a)에 급사된다. 편침(3)은, 니들베드갭 중심(4a)으로부터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후퇴하면서 니들베드로 되돌아간다. 훅(3a)에 의하여 첨사(12)보다도 하측이 되도록 인입(引入)된 주사(11)는 편성포를 편성하면 표면에 나타나고, 첨사(12)는 이면에 숨겨진다.
도1(b), (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작용부재(5)는, 본 발명에 의한 반전 플레이팅 편성으로의 절환(切換)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각 편침(3)에 각각 대응하도록 구비시켜 둔다. 작용부재(5)는, 실시예1, 실시예2 및 실시예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단(先端)에 형성되는 작용부를 니들베드갭(4)의 상방으로 진퇴시킬지의 여부를 절환할 수 있도록 하여 둔다. 도1(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코스의 편성 도중에 작용부재(5)를 니들베드갭(4)의 상방으로 진출시키는 것은, 대응하는 편침(3)에 급사되기 전의 주사(11)와 첨사(12)에 작용시키는 것이다. 작용부재(5)의 작용은, 편침(3)의 훅(3a)이 인입하는 주사(11)와 첨사(12)의 상하위치를 반전시켜, 주사(11)가 상측이 되고 첨사(12)가 하측이 되도록 절환하는 것이다. 훅(3a)에 의하여 주사(11)보다도 하측이 되도록 인입된 첨사(12)는 편성포를 편성하면 표면에 나타나고, 주사(11)는 이면에 숨겨진다. 또한 훅(3a)에 의하여 인입되는 부분과 같이, 주사(11)와 첨사(12)는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하여 단면으로 나타내는 경우가 있지만, 실제로는 단면으로 절단되지 않고 지면의 앞쪽으로 연속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주사(11)와 첨사(12)로 통상의 플레이팅 편성을 하고 있는 1코스의 편성 도중에, 편침(3)이 인입하는 주사(11)와 첨사(12)는 상하위치를 반전시켜 훅(3a)에 급사되어, 첨사(12)가 편성포의 표면측이 되도록 반전 플레이팅 편성으로 절환할 수 있다. 편성효율은 주사(11)와 첨사(12)의 절환동작이 빈번하더라도 저하되지 않기 때문에, 플레이팅 편성에 의하여 다채로운 모양의 편성포를 편성할 수 있다. 주사(11)와 첨사(12)의 절환을 위하여 2개의 급사구(1a, 2a)의 주행순서의 교체는 불필요하기 때문에, 편침(3)의 인입루트는 단일의 것으로 하여도 좋다.
(실시예1)
도2 및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의한 반전 플레이팅 편성에 관한 것으로서, 편성포의 표면에 나타나는 편사를 주사(11)에서 첨사(12)로 절환하는 동작을 단계적으로 나타낸다. 반전 플레이팅 편성에 있어서도, 얀피더(1, 2)에 의한 주사(11)와 첨사(12)의 급사와, 편침(3)의 니들베드갭(4)에 대한 진퇴는, 통상 플레이팅 편성과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절환동작은 편성코스의 도중에 이루어지고, 주사(11)와 첨사(12)는 편성이 종료된 편침(3)의 훅(3a)으로 지지하고 있는 루프에 연결되어 있다. 편침(3)은 니들베드(6)의 니들홈에 수용되고, 니들베드(6)는 니들베드갭(4)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도록 적어도 한 쌍이 설치되지만, 대향하는 측의 편침을 도면에 나타내는 것은 생략한다.
편침(3)은, 훅(3a)이 니들베드갭(4)에 면하고, 지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일정한 피치로 나란하게 설치된다. 편침(3)의 주위에는 얀 가이드(7)나 가동싱커(8)가 설치된다. 편침(3)의 상방에, 작용부재(5)에 상당하는 루프 프레서(15)가 각각 배치된다. 루프 프레서(15)는,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공보 특허제4102430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보조베드에 수용된다. 보조베드는, 편침(3)이 수용되는 니들베드(6)에 대향하는 니들베드의 상방에 설치되지만,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공보 특허제3044373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니들베드(6)의 상방에 설치할 수도 있다.
편침(3), 가동싱커(8) 및 루프 프레서(15)는, 니들베드를 따라 지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주행하는 캐리지에 탑재되는 구동제어부의 작용을 받아 동작한다. 본 실시예1에서는, 루프 프레서(15)의 선단 부근의 상부에 작용부(15a)를 형성하여, 본래의 기능은 루프를 누르는 것인 루프 프레서(15)가 작용부재(5)에 상당하는 기능도 갖도록 겸용하고 있다. 작용부재(5)로서 기능하는 전용의 부재를 설치할 수도 있다. 싱커로서, 가동싱커(8)가 아니라 고정싱커를 사용하여도 좋다. 도2 및 도3에서는, 편성이 지면의 앞쪽에서부터 안쪽을 향하는 방향으로 진행된다. 이 방향에 대하여 니들베드(6)에서는, 편침(3)에 얀 가이드(7)와 가동싱커(8)가 인접하여 배치된다. 얀 가이드(7)와 편침(3)의 사이에서, 루프 프레서(15)의 작용부(15a)가 대향하는 니들베드 측으로 진퇴가 가능하다. 따라서 편성의 진행방향을 향한 배치는, 편침(3), 루프 프레서(15) 등의 작용부재(5), 얀 가이드(7), 가동싱커(8), 다음 편침(3)의 순으로 이루어진다.
도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편침(3)에 의한 루프의 형성 전에, 훅(3a)을 클리어 위치까지 상승시킨 후에 급사를 기다리는 위치까지 하강시켜 둔다. 클리어 위치로의 상승에 의하여, 훅(3a) 내에 형성되어 있던 구루프는 편침(3)의 침간(針幹) 측으로 이동한다. 위치(3A, 3B, 3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훅(3a)의 인입을 시작하면, 위치(15A, 15B, 15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루프 프레서(15)의 작용부(15a)는, 주사(11)와 첨사(12)의 하방으로 진출한다. 위치(15C)까지 진출한 작용부(15a)는, 주사(11)와 첨사(12)의 하방으로부터 작용한다. 작용부(15a) 상에 주사(11)는, 첨사(12)보다도 얀 가이드(7)에 가까운 위치에 나란하게 얹히는 상태가 된다.
도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훅(3a)의 인입을 계속하면, 위치(15D)까지 진출한 작용부(15a)는, 상부에 얹힌 주사(11)와 첨사(12)를 얀 가이드(7)의 앞쪽 가장자리(7a) 측으로 안내한다. 위치(3D)까지 인입된 편침(3)의 훅(3a) 근방의 공간에서, 주사(11)와 첨사(12)에 대하여 앞쪽 가장자리(7a)는 니들베드(6)의 방향으로의 이행을 저지하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주사(11)와 첨사(12)의 상하위치를 반전시키는 반전벽, 작용부(15a)는 하측방향에 대한 벽, 훅(3a)의 상부는 상측방향에 대한 벽이 된다. 이행을 저지하는 벽으로서의 앞쪽 가장자리(7a)는, 편침(3)의 진퇴방향에 대한 각도가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수직에 가까운 범위가 되는 등에 의하여, 주사(11)와 첨사(12)를 둘러싸는 영역의 벽의 일부를 형성하여, 영역 내로부터 니들베드(6) 측으로의 주사(11)와 첨사(12)의 이행을 저지할 수 있으면 좋다.
이 영역 내에서 주사(11)는 앞쪽 가장자리(7a)에 멈추어 있고, 첨사(12)는 주사(11)에 대하여 니들베드갭(4) 측으로 배열된 상태가 된다. 또한 이 영역에 있어서의 작용부(15a)의 높이가 지나치게 높은 경우에는, 훅(3a)에 대한 급사가 곤란해지고, 또한 작용부(15a)의 상측 테두리로부터 훅(3a) 내로의 상하의 낙차가 커져 편사에 대한 부하가 크게 되어 버린다. 작용부(15a)의 높이가 지나치게 낮은 경우에는, 급사는 가능하더라도, 훅(3a) 내에서 주사(11)가 하측이고 첨사(12)가 상측이 되는 배열로 포착되기 쉬워져, 통상 플레이팅 편성과 동일한 배열이 되어 버린다. 이와 같은 결함을 피할 수 있도록 작용부(15a)의 높이를 결정한다. 훅(3a)의 상부는, 첨사(12)가 앞쪽 가장자리(7a)에 멈추어 있는 주사(11)의 위에 올라앉지 않도록 제한한다.
도3(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작용부(15a)를 위치(15E)까지 진출시키고, 앞쪽 가장자리(7a)와 교차시켜 하측의 벽으로서 이용한다. 주사(11)와 첨사(12)는, 벽으로 둘러싸여 배열된 상태로부터 훅(3a)으로 포착할 때에, 첨사(12)를 주사(11)의 하측으로 돌려 넣어 상하위치를 반전시킨다. 앞쪽 가장자리(7a)는 주사(11)를 멈추게 함으로써, 주사(11)와 첨사(12)의 상하위치를 반전시킬 때의 반전벽이 된다. 주사(11)와 첨사(12)의 반전은, 가동싱커(8)의 외측 가장자리에 걸림으로써 확정된다. 그 확정까지 루프 프레서(15)는, 적어도 하측의 벽으로서 진출시켜 둘 필요가 있다.
도3(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훅(3a)의 인입을 계속하면, 편침(3)의 침간 측으로 이동시켜 둔 구루프는 녹오버(knock over)된다. 루프 프레서(15)는, 위치(15F) 등 녹오버되는 구루프에 간섭하지 않는 범위의 위치까지 퇴출시켜 둘 필요가 있다. 인입은 훅(3a)에 의한 니들루프와 가동싱커(8)에 의한 싱커루프가 형성될 때까지 계속되고, 스티치 크기의 결정이 종료된다. 또한 루프 프레서(15)를 진퇴시키는 일련의 동작은, 본 실시예1과 같은 직선상(直線狀)의 이동뿐만이 아니라, 실시예3과 같은 요동(搖動)에 의한 상하이동이더라도 좋다.
도4는, 도2 및 도3의 절환동작을 포함하는 니들베드갭(4) 부근의 편성동작을 나타낸다. 도면의 하측에서 상측의 방향으로 주행하는 캐리지에 탑재되는 구동제어부는, 편침(3) 및 루프 프레서(15)를 각각 구동한다. 니트로 선침되어 있는 편침(3)은, 훅(3a)의 선단이 궤적(3t)을 그리도록 구동된다. 반전 플레이팅 편성에서 루프 프레서(15)는, 선단이 궤적(15t)을 그리도록 구동된다. 루프 프레서(15)를 작용시키지 않으면, 궤적(15t)의 평탄한 부분과 동일한 위치에서 대기하고, 주사(11)가 표면에 나타나는 통상 플레이팅 편성이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1을 포함하는 모든 실시예에서 루프 프레서(15) 등의 작용부재(5)의 작용 또는 비작용에 의한 절환은, 각각 연속하는 복수의 편침의 구간에 대하여 항상 가능하다. 예를 들면, 통상 플레이팅 편성의 구간에서 반전 플레이팅 편성의 구간으로 절환하여 코스 편성을 종료하거나, 반전 플레이팅 편성으로 절환한 후에 다시 통상 플레이팅 편성의 구간으로 절환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4에서 3A, 3B, 3C, 3D, 3E, 3F; 15A, 15B, 15C, 15D, 15E, 15F는, 도2 및 도3에 나타내는 편침(3) 및 루프 프레서(15)의 동작에 대응하는 위치를 각각 나타낸다. 본 실시예1의 루프 프레서(15)는, 얀 가이드(7)의 앞쪽 가장자리(7a)와의 협동으로 주사(11)와 첨사(12)의 상하를 반전시킨다. 반전시킨 주사(11)와 첨사(12)를 편침(3)의 훅(3a)에 급사시키면, 도3(c) 및 도3(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루프 프레서(15)는, 위치(15E) 및 위치(15F)와 같이 니들베드갭(4)으로부터 퇴출한다.
본 실시예1에서 얀 가이드(7)의 앞쪽 가장자리(7a)는, 루프 프레서(15)와 협동하여 주사(11)를 멈추고, 주사(11)와 첨사(12)를 구속하는 영역의 벽의 일부로서 이용된다. 얀 가이드(7)의 앞쪽 가장자리(7a)에 의한 반전벽은, 가동싱커(8)나 고정싱커 또는 전용의 부재 등의 다른 부재로 대용할 수도 있다. 반전벽이 되는 부재는, 편침(3)에 대하여 편성의 진행방향을 향하여 근접하여 배치되고, 편침(3)과 반전벽의 사이에서 루프 프레서(15)의 작용부(15a)가 진퇴하도록 배치되면 좋다. 도4에 나타내는 편침(3), 루프 프레서(15), 얀 가이드(7), 가동싱커(8)로부터 다음 편침(3)의 순서의 배치는, 편성이 좌측방향으로 진행되면 안정된 플레이팅 편성의 절환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편성이 우측방향으로 진행되는 경우에는, 편침(3)에 대한 편성의 진행방향을 향하여 반전벽과 루프 프레서(15)의 순으로 배치된다. 이 배치에서는, 반전벽과 편침(3)의 사이에 하측방향에 대한 벽이 존재하지 않게 되어, 주사(11)와 첨사(12)의 상하위치를 반전시키는 동작이 불안정하게 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편성을 우측방향으로 진행시키는 경우에, 래킹에 의하여 편침(3)에 대한 루프 프레서(15)의 위치를 어긋나게 하고, 루프 프레서(15)는 편성의 진행방향을 향하여 편침(3)에 인접하도록 편침(3)과 가동싱커(8)의 사이에 배치시킨다. 우측방향으로 편성을 진행시키는 경우의 배치는, 편침(3), 루프 프레서(15), 가동싱커(8), 얀 가이드(7)로부터 다음 편침(3)의 순서가 된다. 본 실시예1에서만이 아니라 모든 실시예에서는, 편성의 진행방향을 바꿀 때에 래킹으로 편침(3)과 루프 프레서(15) 등의 작용부재(5)의 위치를 어긋나게 하여, 편침(3)과, 작용부재(5)와, 얀 가이드(7) 또는 가동싱커(8)에 의한 반전벽의 3개의 부재의 배치를 동등하게 한다. 또한 루프 프레서(15)는, 니들베드(6)에 대향하는 니들베드 측만이 아니라 니들베드(6) 측에도 설치할 수도 있다. 양측의 니들베드에 루프 프레서(15)를 설치하는 경우에, 예를 들면 좌측방향으로 진행되는 편성에서는 대향하는 니들베드 측의 루프 프레서(15)를 사용하고, 우측방향으로 진행되는 편성에서는 니들베드(6) 측의 루프 프레서(15)를 사용하도록 하면, 배치를 동등하게 하기 위한 래킹은 불필요하게 된다.
(실시예2)
도5 및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2에 의한 주사(11)와 첨사(12)의 절환동작을 단계적으로 나타낸다. 본 실시예2는, 작용부재(5)에 상당하는 루프 프레서(25)의 선단 부근의 상부에 작용부(25a)를 형성한다. 루프 프레서(25)는, 도2 및 도3의 루프 프레서(15)의 루프 누름부(15b)와 동일한 루프 누름부(25b)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2는, 편침(3)에 대한 편성의 진행방향을 향하여 얀 가이드(7), 가동싱커(8), 루프 프레서(25)의 순으로 인접하도록 배치된다. 즉 얀 가이드(7)에 대하여 편성의 진행방향을 향하는 측에서, 루프 프레서(25)의 작용부(25a)가 진퇴한다. 다만 배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편침(3)에 대한 편성의 진행방향을 향하여 루프 프레서(25), 얀 가이드(7)의 순으로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편침(3)과 얀 가이드(7)의 사이에서 작용부(25a)가 진퇴하여도 좋다.
본 실시예2는 얀 가이드(7)에 있어서, 앞쪽 가장자리(7a)의 상단에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는 경사부(7b)를 반전벽으로서 이용한다. 경사부(7b)는, 도면의 우측방향인 니들베드갭(4) 측이 낮고 도면의 좌측방향인 니들베드갭(4)으로부터 멀어지는 측이 높게 되도록 상방을 향하는 경사를 구비한다. 경사부(7b)의 상방을 향하는 경사는, 주사(11)가 상측, 첨사(12)가 하측이 되어 이동하도록 안내한다. 작용부(25a)는, 주사(11)와 첨사(12)가 경사부(7b)로 원활하게 이행(移行)이 가능하도록, 상부가 경사부(7b)와 동일하게 상방을 향하는 경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작용부(25a)는 평탄하여도 좋지만, 적어도 경사부(7b)와 둔각을 이루어 교차하고, 주사(11)와 첨사(12)의 이행에 방해가 되지 않는 형상으로 할 필요가 있다.
도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편침(3)은, 루프를 형성하기 전에, 클리어 위치까지 상승시킨 후에 급사를 기다리는 위치(3A)까지 하강시켜 둔다. 루프 프레서(25)는 위치(25A)에 대기시킨다. 도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훅(3a)의 인입을 시작하여 편침(3)이 위치(3B)까지 하강하면, 위치(2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루프 프레서(25)의 작용부(25a)는, 주사(11)와 첨사(12)의 하방으로 진출한다.
도6(c)는, 훅(3a)의 인입을 계속하여 편침(3)이 위치(3C)까지 하강하고, 주사(11)와 첨사(12)를 포착하기 직전이 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주사(11)와 첨사(12)는, 이미 편성이 종료된 방향이 되는 지면의 앞쪽에 있어서 선행하여 포착되어 있는 편침(3)의 훅(3a)까지, 급사구(1a, 2a)로부터 경사져서 내려가는 도중에 있다. 루프 프레서(25)의 위치(25C)는 위치(25B)와 동일하더라도, 주사(11)와 첨사(12)의 위치는 작용부(25a)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낮아진다. 작용부(25a)는 주사(11)와 첨사(12)의 하방에서 작용하고, 주사(11)가 첨사(12)보다도 경사부(7b) 측으로 선행하도록 나란한 상태로 얹힌다.
도6(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편침(3)의 인입을 위치(3D)까지 계속하는 과정에서, 주사(11)와 첨사(12)는 훅(3a)으로 끌어당겨져 경사부(7b)에 올라앉도록 이행된다. 경사부(7b)에서는, 작용부(25a)에 의하여 먼저 안내되는 주사(11)가 상측, 첨사(12)가 하측이 되어, 상하가 반전된 상태로 배열된다. 주사(11)와 첨사(12)를 상하위치를 반전시킨 상태로 훅(3a)으로 인입하면, 훅(3a)에 의한 니들루프와 가동싱커(8)에 의한 싱커루프로 반전 플레이팅 편성에 의한 스티치가 형성된다. 루프 프레서(25)의 위치(25D)는, 위치(25C), 위치(25B)와 동일하다.
도7은, 도5 및 도6의 절환동작을 포함하는 니들베드갭(4) 부근의 편성동작을 도4와 마찬가지로 나타낸다. 반전 플레이팅 편성의 경우에, 루프 프레서(25)는 선단이 궤적(25t)을 그리도록 구동된다. 3A, 3B, 3C, 3D 및 25A, 25B, 25C, 25D는, 도5 및 도6에 나타내는 편침(3) 및 루프 프레서(25)의 동작에 대응하는 위치를 각각 나타낸다. 본 실시예2에서 편침(3) 근방의 얀 가이드(7)의 경사부(7b)는, 루프 프레서(25)의 작용부(25a)와의 협동에 의하여 주사(11)와 첨사(12)의 상하를 반전시켜 훅(3a)으로 포착시키는 반전벽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얀 가이드(7)에서 경사부(7b)에 계속되는 앞쪽 가장자리(7a)는, 편사를 니들베드갭(4) 측으로 하방을 향하여 안내하는 벽으로서 이용한다. 작용부(25a)와 협동하는 반전벽에는, 가동싱커(8)나 고정싱커 또는 전용의 부재 등의 다른 부재를 이용할 수도 있다.
(실시예3)
도8은, 본 발명의 실시예3에 의한 주사(11)와 첨사(12)의 절환동작을 단계적으로 나타낸다. 본 실시예3은, 작용부재(5)에 상당하는 루프 프레서(35)의 선단 부근의 하부에 작용부(35a)를 형성한다. 작용부(35a)는, 선단측을 향하여 상승하는 경사를 형성하고 있다. 루프 프레서(35)는, 다른 실시예의 루프 프레서(15, 25)의 루프 누름부(15b, 25b)와 동일한 루프 누름부(35b)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3에서는, 실시예2와 마찬가지로 편침(3)에 대한 편성의 진행방향을 향하여 얀 가이드(7)와 가동싱커(8)가 인접하여 배치되고, 가동싱커(8)로부터 편성의 진행방향을 향하여 인접하는 측에서 루프 프레서(35)의 작용부(35a)가 진퇴한다. 다만 배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편침(3)에 대한 편성의 진행방향을 향하여 루프 프레서(35)와 얀 가이드(7) 및 가동싱커(8)의 순으로 인접하도록 배치되어도 좋다.
도8(a)는, 훅(3a)으로 포착시킬 때에, 루프 프레서(35)의 작용부(35a)에 의하여 주사(11)와 첨사(12)의 상하위치를 반전시키는 상태를 나타낸다. 편침(3)의 훅(3a)에 의한 루프를 형성하기 전에, 훅(3a)을 클리어 위치까지 상승시킨 후에 급사를 기다리는 위치까지 하강시켜 둔다. 편침(3)을 위치(3C)까지 하강시켜 훅(3a)으로의 주사(11)와 첨사(12)의 인입을 시작하기 전에, 루프 프레서(35)의 작용부(35a)를 위치(35A, 35B, 35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사(11)와 첨사(12)의 상방으로 진출시킨다. 작용부(35a)는, 주사(11)와 첨사(12)의 상방으로부터 가압하도록 작용하고, 적어도 상측에 급사되는 첨사(12)에 먼저 작용하고, 첨사(12)를 주사(11)의 하방으로 압입(壓入)하여 상하위치를 반전시킨다.
도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훅(3a)의 인입을 계속하면, 위치(35D)까지 진출시킨 작용부(35a)에 의하여 하방으로 압입된 첨사(12)는, 얀 가이드(7)의 경사부(7b)에도 얹혀 주사(11)의 하측이 되도록 압입된다. 위치(3D)까지 하강한 편침(3)의 훅(3a) 내에는, 첨사(12)가 주사(11)보다도 하측이 되도록 포착되어, 주사(11)와 첨사(12)의 상하위치가 반전된다. 주사(11)와 첨사(12)가 얀 가이드(7)의 경사부(7b)에 얹히지 않더라도, 작용부(35a)의 압입에 의하여 상하위치를 반전시킨 상태로 훅(3a)으로 포착되면, 그것으로도 좋다.
도9는, 도8의 절환동작을 포함하는 니들베드갭(4) 부근의 편성동작을 도4 및 도7과 마찬가지로 나타낸다. 반전 플레이팅 편성의 경우에, 루프 프레서(35)는 선단이 궤적(35t)을 그리도록 구동된다. 3C, 3D 및 35A, 35B, 35C, 35D는, 도8에 나타내는 편침(3) 및 루프 프레서(35)의 동작에 대응하는 위치를 각각 나타낸다. 루프 프레서(35)를 작용시키지 않으면, 궤적(35t)의 상측의 평탄한 부분과 동일한 위치(35A)에 루프 프레서(35)가 멈추고, 주사(11)가 표면에 나타나는 통상 플레이팅 편성이 실시된다.
루프 프레서(35)를 작용시키는 경우에 있어서도, 위치(35A)에서 대기하는 사이에 편침(3)의 훅(3a)을, 일단 클리어 위치까지 상승시킨 후에 급사를 기다리는 위치까지 하강시켜 둔다. 루프 프레서(35)의 동작을 시작하여 위치(35B)까지 니들베드갭(4)으로 진출하면, 훅(3a)도 다시 하강을 시작한다. 루프 프레서(35)는, 편침(3)이 스티치 캠에 의하여 인입되는 것에 맞추어 위치(35C, 35D)와 같이 니들베드갭(4)으로 진출한다.
도10은, 첨사(12)의 급사구(2a)와 주사(11)의 급사구(1a)를 편침(3)이 속하는 니들베드(6)에 대하여 니들베드갭(4) 측으로의 거리가 거의 같은 위치에서 주행시키는 경우((a), (b))와, 첨사(12)의 급사구(2a)를 니들베드갭(4)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니들베드 측으로 떨어진 위치에서 주행시키는 경우((c), (d))를 비교하여 나타낸다. 도10(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급사구(1a, 2a)는 니들베드갭 중심(4a)의 부근에서 급사하고, 양측의 니들베드로부터의 편침(3)에 대하여 동등하게 급사가 가능하도록 하여 둔다. 도1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니들베드갭(4)의 상방에는 복수의 주행경로가 형성되고, 다른 주행경로를 주행하는 얀피더(1, 2)는 급사구(1a, 2a)가 니들베드갭 중심(4a)의 부근이 되도록 경사져 있다.
도10(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행의 급사구(2a)는 급사하는 편침(3)이 속하는 니들베드(6)에 대하여, 선행의 급사구(1a)보다도 니들베드갭(4)에서의 전후 차이(ΔD)만큼 대향하는 니들베드 측으로 떨어진 위치를 주행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10(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후 차이(ΔD)는 니들베드갭 중심(4a)과 첨사(12)의 급사구(2a)의 중심(4b)의 간격이 된다. 주사(11)와 첨사(12)에 전후 차이(ΔD)를 가하기 때문에 반전 플레이팅 편성은, 작용부(35a)를 주사(11)와 첨사(12)가 전후 차이(ΔD)만큼 떨어져 있는 상태에 대하여 작용시키게 된다. 첨사(12)는 먼저 압입하기 쉬워져, 훅(3a) 내에서 상하위치를 반전시켜 포착하는 것도 안정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전후 차이(ΔD)는, 루프 프레서(35)의 작용을 정지시킴으로써 통상 플레이팅 편성으로 되돌리는 것도 안정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전후 차이(ΔD)는, 선행의 급사구(1a)를 니들베드갭 중심(4a)보다도 예를 들면 니들베드(6) 측으로 근접시켜 형성하도록 하여도 좋다. 즉 전후 차이(ΔD)는, 니들베드갭(4)의 간격방향으로 형성하면 좋다.
이와 같은 전후 차이(ΔD)는, 실시예1 및 실시예2에서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어느 쪽의 실시예에 있어서도 전후 차이(ΔD)는, 루프 프레서(15, 25)의 작용부(15a, 25a) 상에 얹힌 주사(11)와 첨사(12)가 교체되지 않고 안정적이며, 순서대로 배열되기 쉽게 한다.
또한 각 실시예는, 작용부재(5)가 되는 루프 프레서(15, 25, 35)를 본래의 얀 가이드용 루프 프레서로서 동작시키는 경우에, 도4, 도7 및 도9에 나타내는 궤적(15t, 25t, 35t)과는 다른 궤적을 그리도록 구동할 필요가 있다. 캐리지에 루프 프레서(15, 25, 35)의 선침기구도 설치하고, 루프 프레서(15, 25, 35)의 궤적(15t, 25t, 35t)으로서 얀 가이드용도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두면, 루프를 가압하는 얀 가이드용 루프 프레서는 작용부재로서 겸용할 수 있다.
또한 작용부재(5)는, 루프 프레서(15, 25, 35)와 다른 편성용의 부재와 겸용하거나 전용의 부재로 할 수도 있다.
1, 2 : 얀피더
1a, 2a : 급사구
3 : 편침
3a : 훅
4 : 니들베드갭
4a : 니들베드갭 중심
5 : 작용부재
7 : 얀 가이드
7a : 앞쪽 가장자리
7b : 경사부
11 : 주사
12 : 첨사
15, 25, 35 : 루프 프레서
15a, 25a, 35a : 작용부

Claims (6)

  1. 선행(先行)과 후행(後行)의 급사구(給絲口)(1a, 2a)로부터의 주사(主絲)(11)와 첨사(添絲)(12)를 하측과 상측의 상하위치를 유지하면서 각각 동일한 편침(編針)(3)에 급사하여 주사(11)가 표면측이 되도록 편성하는 통상 플레이팅 편성과, 편침(3)에 급사하는 주사(11)와 첨사(12)의 상하위치를 반전(反轉)시켜 첨사(12)가 표면측이 되도록 편성하는 반전 플레이팅 편성을 절환(切換)하는 것이 가능한 횡편기(橫編機)에서의 플레이팅 편성방법에 있어서,
    선단(先端)의 작용부(15a, 25a, 35a)를 니들베드갭(needle bed gap)(4)으로 진퇴시킬지의 여부를 절환하는 것이 가능한 반전용의 작용부재(5; 15, 25, 35)를, 각 편침(3)에 대한 편성의 진행방향을 향하여 인접하는 측에 각각 대응하도록 구비하여 두고,
    반전 플레이팅 편성에서는, 작용부재(5; 15, 25, 35)의 작용부(15a, 25a, 35a)를 니들베드갭(4)의 상방(上方)으로 진출시키고, 편침(3)에 급사되는 주사(11)와 첨사(12)에 작용시켜, 편침(3)의 훅(3a) 내로 인입(引入)하는 주사(11)와 첨사(12)의 상하위치를 반전시키고, 첨사(12)가 표면측이 되도록 편성포(編成布)를 편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에서의 플레이팅 편성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전 플레이팅 편성에서는,
    상기 편침(3)이 속하는 니들베드(needle bed)(6)에서 각 편침(3)에 대한 상기 편성의 진행방향을 향하는 측의 근방에 배치되는 부재(7)를, 상기 작용부재(5; 15, 25, 35)와 협동하여 상기 상하위치를 반전시키는 반전벽(7a, 7b)으로서 이용하고,
    상기 작용부재(15, 25)의 작용부(15a, 25a)는, 작용부재(15, 25)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주사(11)와 첨사(12)의 하방으로부터 작용하여, 상기 주사(11)와 상기 첨사(12)를 얹어서 반전벽(7a, 7b)까지 안내하고, 반전벽(7a, 7b)과의 협동에 의하여, 훅(3a) 내로 첨사(12)가 하측이 되고 주사(11)가 상측이 되도록 인입하여, 주사(11)와 첨사(12)의 상하위치를 반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에서의 플레이팅 편성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편침(3)에 대한 편성의 진행방향을 향하여, 상기 작용부재(15) 및 상기 부재(7)가 순서대로 배치되고,
    상기 반전 플레이팅 편성에서, 상기 작용부(15a)는, 상기 주사(11)를 상기 첨사(12)보다도 선행하여 상기 반전벽(7a)까지 안내하여 멈추고, 주사(11)와 첨사(12)에 대하여 하측방향에 대한 벽이 되고, 상측방향에 대한 벽이 되도록 둘러싸는 상기 훅(3a)의 상부와 함께 주사(11) 및 첨사(12)를 둘러싸서 구속하는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영역으로 둘러싸여 주사(11)와 첨사(12)가 배열되는 상태로부터 훅(3a)으로 인입하여, 첨사(12)가 주사(11)의 하측으로 돌아 들어가도록 하여 상하위치를 반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에서의 플레이팅 편성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반전벽(7b)은, 상기 니들베드갭(4) 측이 낮고 니들베드갭(4)으로부터 멀어지는 측이 높아지는, 상방을 향하는 경사를 구비하고,
    상기 반전 플레이팅 편성에서, 작용부(25a)로부터 반전벽(7b)으로 주사(11)가 선행하여 상측이 되고 첨사(12)가 후행하여 하측이 되도록 안내하면서,
    상기 훅(3a)으로 주사(11)가 상측이고 첨사(12)가 하측이 되도록 인입하여 상하위치를 반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에서의 플레이팅 편성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용부재(35)의 작용부(35a)는, 작용부재(35)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반전 플레이팅 편성에서, 상기 주사(11)와 첨사(12)의 상방으로부터 작용하고, 첨사(12)를 주사(11)의 하방으로 압입(壓入)하여 상하위치를 반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에서의 플레이팅 편성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후행의 급사구(2a)는, 상기 편침(3)이 속하는 니들베드(6)에 대하여 상기 선행의 급사구(1a)보다도 니들베드갭(4)의 간격방향으로 떨어진 위치에서 주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에서의 플레이팅 편성방법.
KR1020197032833A 2017-04-07 2018-04-06 횡편기에서의 플레이팅 편성방법 KR1022912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077016 2017-04-07
JPJP-P-2017-077016 2017-04-07
PCT/JP2018/014814 WO2018186499A1 (ja) 2017-04-07 2018-04-06 横編機でのプレーティング編成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0656A true KR20190130656A (ko) 2019-11-22
KR102291231B1 KR102291231B1 (ko) 2021-08-18

Family

ID=63712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2833A KR102291231B1 (ko) 2017-04-07 2018-04-06 횡편기에서의 플레이팅 편성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3608461B1 (ko)
JP (1) JP6807451B2 (ko)
KR (1) KR102291231B1 (ko)
CN (1) CN110678593B (ko)
WO (1) WO20181864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36698B2 (en) * 2019-07-19 2021-10-05 Pai Lung Machinery Mill Co., Ltd. Weft knitting machine knitting structure with changeable yarn positions
JP7425006B2 (ja) * 2020-02-17 2024-01-30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編地の編成方法
CN114318647B (zh) * 2021-02-23 2023-06-09 连云港杜钟新奥神氨纶有限公司 交换添纱喂纱装置和防脱散纬编交换添纱提花面料的制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687866A (en) * 1926-05-14 1928-10-16 David Richter A G Maschinenfab Flat-knitting machine
JP2016176159A (ja) 2015-03-20 2016-10-06 佰龍機械廠股▲ふん▼有限公司 横編機が技術面片面で糸交換プレーティングを編織する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77590A (en) * 1926-09-17 1934-10-16 Scott & Williams Inc Process and machine for making plated fabrics
GB307885A (en) * 1928-03-15 1929-12-19 Standard Trump Bros Machine Co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plated knitted fabric and to processes for making thesame
JPS5954590U (ja) * 1982-10-02 1984-04-10 大東製機株式会社 丸編機における添糸給糸装置
JP3044373B2 (ja) 1997-09-12 2000-05-22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ループプレッサーを備えた横編機およびループプレッサーを用いた編地編成方法
TW561210B (en) * 2000-02-29 2003-11-11 Shima Seiki Mfg Yarn carrier of weft knitting machine
US6647749B2 (en) * 2000-02-29 2003-11-18 Shima Seiki Mfg., Ltd. Yarn feeding device of flat knitting machine
EP1437433B1 (en) * 2001-08-24 2013-08-21 Shima Seiki Manufacturing Limited Flat knitting machine having loop presser and corresponding fabric knitting method
JP4977383B2 (ja) * 2006-02-28 2012-07-18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の編成用カム装置
EP2025785B1 (en) * 2006-05-17 2011-11-16 Shima Seiki Manufacturing., Ltd. Knitting method of intersia pattern fabric and weft knitting machine
JP2008101301A (ja) * 2006-10-19 2008-05-01 Precision Fukuhara Works Ltd 給糸切換装置を有する丸編機
JP2008208476A (ja) * 2007-02-26 2008-09-11 Precision Fukuhara Works Ltd 給糸切換装置を有する丸編機におけるプレーティング編成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編成部材
JP5349357B2 (ja) * 2010-02-03 2013-11-20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プレーティング編成方法
EP2835457B1 (de) * 2013-08-06 2016-05-18 H. Stoll AG & Co. K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Gestrickstücks auf einer Flachstrickmaschine, wobei Fadenführer zwischen Stricksystemen verstellt werden
CN104532458B (zh) * 2014-12-16 2017-08-25 江南大学 一种纬编单面交换添纱提花织物的生产方法和喂纱装置
US9834871B2 (en) * 2015-03-11 2017-12-05 Pai Lung Machinery Mill Co., Ltd. Method for knitting interchanged plating on a technical face of a fabric for flat bed knitting machin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687866A (en) * 1926-05-14 1928-10-16 David Richter A G Maschinenfab Flat-knitting machine
JP2016176159A (ja) 2015-03-20 2016-10-06 佰龍機械廠股▲ふん▼有限公司 横編機が技術面片面で糸交換プレーティングを編織する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1231B1 (ko) 2021-08-18
JP6807451B2 (ja) 2021-01-06
CN110678593A (zh) 2020-01-10
EP3608461B1 (en) 2022-04-27
EP3608461A1 (en) 2020-02-12
CN110678593B (zh) 2021-04-27
EP3608461A4 (en) 2021-01-13
WO2018186499A1 (ja) 2018-10-11
JPWO2018186499A1 (ja) 2020-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3919B1 (ko) 횡편기에 있어서의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횡편기
KR101025153B1 (ko) 가동 얀 가이드 부재를 구비하는 횡편기
KR20190130656A (ko) 횡편기에서의 플레이팅 편성방법
KR102226578B1 (ko) 횡편기
KR960013904B1 (ko) 횡편기에 있어서 실안내방법 및 장치
JP2007231447A (ja) 横編機の編成用カム装置
JP7483257B2 (ja) 丸編機におけるジャカード編地編成機構、その編成機構を用いた編成方法及びその編成機構で用いられるシンカー
EP2025785B1 (en) Knitting method of intersia pattern fabric and weft knitting machine
EP2206815B1 (en) Weft knitting machine, and its feeding method
KR19990029256A (ko) 루프 프레스기를 구비한 횡편기 및 이 횡편기를 사용한 편성방법
JP4015973B2 (ja) 編糸保持切断方法および装置
JP2604677B2 (ja) 横編機におけるトランスファージャック
KR101347665B1 (ko) 복합바늘을 구비하는 횡편기 및 횡편기의 슬라이더 제어방법
KR101356444B1 (ko) 횡편기
KR100768347B1 (ko) 코이동 기구를 구비하는 횡편기 및 코이동 방법
WO2022191204A1 (ja) 横編機によるパンチレース編地の編成方法
CN113265752B (zh) 编织物的编织方法
CN114657684B (zh) 横机或编织机的针织三角
US2902846A (en) Knitting machines
JPH0657902B2 (ja) 編地編成方法及び前記編地編成方法を実施するためのキャリッジ装置
JPH07268748A (ja) シンカー退避機構を有する横編機
JPS641983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