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9981A - 차량 토퍼를 차량 지붕에 장착하기 위한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 토퍼를 차량 지붕에 장착하기 위한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9981A
KR20190129981A KR1020197031044A KR20197031044A KR20190129981A KR 20190129981 A KR20190129981 A KR 20190129981A KR 1020197031044 A KR1020197031044 A KR 1020197031044A KR 20197031044 A KR20197031044 A KR 20197031044A KR 20190129981 A KR20190129981 A KR 201901299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cross bar
wiring
topper
cr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10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릭 혼스비
윌리암 던
마이크 브라운
더그 베넷
Original Assignee
매뉴팩처링 리소시스 인터내셔널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매뉴팩처링 리소시스 인터내셔널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매뉴팩처링 리소시스 인터내셔널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to KR10202170182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7469B1/ko
Publication of KR201901299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99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2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displays, e.g. cathodic tubes
    • B60R11/0235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displays, e.g. cathodic tubes of flat type, e.g. LC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7Water drainage or guide means not integral with roof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al cells or batteri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1/00Mobile visual advertising
    • G09F21/04Mobile visual advertising by land vehicl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1/00Mobile visual advertising
    • G09F21/04Mobile visual advertising by land vehicles
    • G09F21/042Mobile visual advertising by land vehicles the advertising matter being fixed on the roof of the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4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outside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52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screws, bolts, rivets or the lik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차량의 지붕(120)에 차량 토퍼(110)를 장착하기 위한 크로스 바(124)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단면을 가진 중앙 부분(117)을 구비하고 있다. 테이퍼 부분(115)은 중앙 부분(117) 각 측면에 근접한 근위 단부에 부착된다. 외부 판(113)은 각 테이퍼 부분(115)의 원위 단부에 위치한다. 테이퍼 부분(115)은 근위 단부에서 원위 단부로 단면적이 증가한다.

Description

차량 토퍼를 차량 지붕에 장착하기 위한 장치 및 시스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일반적으로 차량의 지붕에 전자 표시장치를 장착하기 위한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2017년 3월 24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2/476,385호 및 2017년 10월 12일자로 출원된 가출원 제62/571,631호의 효익을 청구하며, 이들의 모든 개시 내용은 그 전문이 본원에 참고로 통합된다.
차량 토퍼(vehicle topper)는 때때로 차량의 빈 지붕에 정보와 광고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수년 동안, 이 차량 토퍼들은 정적인 이미지를 표시해왔다. 최근 몇 년 동안, 전자 표시장치가 전통적인 정적 표시장치를 대체해왔다. 전자 표시장치를 사용하면 다른 여러 가지 이점 중에서도 콘텐츠를 빠르고 쉽게 변경할 수 있으며 비디오와 대화형 그래픽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전자 표시장치는 종종 추가 장비가 필요하여서 기존의 표시장치보다 무거워진다. 더 나아가서, 시장은 점점 더 큰 표시장치를 요구하기 시작했는데, 이것은 점점 더 큰(일반적으로 더 무거운) 차량 토퍼를 필요로 한다. 차량의 지붕에 표시장치를 배치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들은, 비교적 무겁고 대형의 전자 표시장치를 차량 지붕에 안전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이러한 전자 표시장치를 탑재하는 차량에 극단적이고 강화된 내부 구조의 지지대가 필요하다고 믿어 왔다. 이러한 향상된 내부 구조 지지대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노력과 비용이 필요하다. 또한, 일반적으로 제거가 가능한 경우라도, 제거되고 변경된 것이 지속되도록 유지하는데 상당한 노력이 필요하다. 변경의 예를 들자면, 제한하는 것은 아니지만, 사람들은 차량을 재판매하거나 및/또는 표시장치를 다른 차량에 설치할 수 있도록 표시장치의 제거를 원할 수 있다.
우버(Uber), 리프트(Lyft)와 같은 개인 교통 서비스 회사가 증가함에 따라, 개인 차량은 대중교통, 택시, 타운카, 리무진 같은 더 전통적인 서비스와 함께 유료 교통 서비스에 점점 더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한 개인 또는 상업적 운전자 또는 개인 또는 상업적 차량의 다른 소유자는 광범위한 개조 없이 개인 또는 상용 차량에 장착할 수 있는 차량 토퍼에 광고 및 기타 정보를 표시함으로써 이익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차량 토퍼는 차량 소유자 또는 운전자에게 추가 수익을 창출하는 것을 포함하여 다양한 목적을 위한 정보와 광고를 표시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표시장치가 구비된 차량 토퍼를 지붕에 장착하기 위한 장치 및 시스템이 요구된다.
차량 토퍼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 지붕에 장착된 물체는 종종 진동력을 경험한다. 이러한 힘은 울퉁불퉁하고 거친 표면 또는 고르지 않은 도로 표면을 주행하여 발생할 수 있고, 공기역학적 힘 및/또는 차량 자체(예: 엔진 진동)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진동력은 프레임과 차량의 다른 구성품을 통해 차량 토퍼로 전달될 수 있다. 장시간 또는 과도한 진동력에 노출되면 차량 토퍼가 손상되거나 차량 토퍼가 이탈될 수 있다. 차량 토퍼는 차량이 작동 중일 때 여러 가지 힘을 경험할 수 있다. 차량 토퍼 유닛을 차량에 안정적으로 장착하려면 향상된 강도의 장착용 구성요소가 필요하다. 또한 진동력 전달을 약화시키거나 감쇠시키는 구성요소가 필요하다. 따라서 전자 표시장치를 구비한 차량 토퍼를 위한 지붕 장착용 장치 및 시스템이 필요하며, 상기 지붕 장착용 장치 및 시스템은 진동력을 약화시키거나 다른 방법으로 감쇠시키고 구성요소를 장착하는 강도를 강화한다.
본 발명은 전자 표시장치를 구비한 차량 토퍼를 위한 지붕 장착용 장치 및 시스템이다. 본 발명의 지붕 장착용 장치 및 시스템은 전자 표시장치를 구비한 차량 토퍼를 차량 지붕에 견고하게 장착하며, 진동력을 약화시키거나 감쇠시키며 구성요소를 장착하는 강도를 강화한다.
차량 토퍼는 후면과 후면이 맞닿게(back to back) 배치되는 한 쌍의 표시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차량 토퍼에는 한 쌍의 크로스 바(cross bars)에 차량 토퍼를 고정하기 위한 장착용 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크로스 바는 실질적으로 차량 지붕의 네 모서리에 위치하는 기본 유닛(basic unit) 세트에 부착될 수 있다. 기본 유닛의 전방 한 쌍은 A 필러 근처에 위치될 수 있고, 기본 유닛의 후방 한 쌍은 C 필러 근처에 위치될 수 있다.
각 기본 유닛은 크로스 바 및 기본 유닛을 통과하여 지붕에 위치한 리벳 너트로 연장되는 한 쌍의 나사형 고정 장치에 의해 지붕, 예를 들면 빗물 배수구에 장착될 수 있다. 나사형 고정 장치와 리벳 너트는 실질적으로 방수 씰을 제공할 수 있다. 기본 유닛의 하단 표면은 각 차량 모델 및 제조사에 따른 지붕의 피치(pitch)에 맞도록 구성될 수 있어, 차량 토퍼가 장착되면, 토퍼의 하단 가장자리가 지면과 상당히 평행하고 지붕 크라운 포인트 위의 약 1/4인치에 위치된다. 차량의 트렁크 또는 후드 아래에 위치할 수 있는 각각의 배선은, 전원, 차량 토퍼 작동을 위한 다른 전자 부품 및 차량 컴퓨터 시스템에서 차량 토퍼로 연장될 수 있다. 배선은 A, B 또는 C 필러, 기본 유닛, 크로스 바를 통과하거나 또는 따라서 차량 토퍼로 이동할 수 있다.
크로스 바는 충분히 튼튼한 재질과 차량 토퍼를 적절히 지지하기에 충분한 두께로 구성될 수 있다. 크로스 바는 변화하는(varying) 단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단면은 크로스 바의 고유(natural) 또는 공명 주파수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크로스 바의 변화하는 단면은 다른 위치에서 다른 고유 또는 공명 주파수를 크로스 바가 가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크로스 바는 바깥쪽 가장자리로부터 중앙쪽으로 테이퍼질 수 있다. 크로스 바의 중앙 부분은 일관된(consistent)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차량 토퍼를 크로스 바에 장착하는 데 중앙 부분이 사용될 수 있다. 크로스 바는 배선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크로스 바를 통해서 연장될 수 있다. 크로스 바는 외관 향상 및 공기역학적 측면을 개선하기 위해 추가적으로 외관 단부에 캡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차량 토퍼를 차량 지붕에 장착하기 위한 크로스 바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단면을 가진 중앙 부분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테이퍼 부분은 상기 중앙 부분의 양쪽 끝에서 연장될 수 있다. 각 테이퍼 부분은 근위 단부(proximal end)와 원위 단부(distal end)를 가질 수 있다. 각 테이퍼 부분의 근위 단부는 중앙 부분의 각 단부에 부착될 수 있다. 각 크로스 바는 각 테이퍼 부분의 원위 단부에 위치한 제1 및 제2 외부 판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테이퍼 부분은 근위 단부에서 원위 단부로 단면적이 증가할 수 있다.
중앙 부분은 차량 토퍼를 크로스 바에 고정하기 위해 고정 장치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다수의 개구부(apertures)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테이퍼 부분을 비롯한 중앙 부분은 실질적으로 중공형(enclosed)이고 이를 통과하는 배선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외부 판 뿐만 아니라 중앙 부분은 배선이 크로스 바에서 나오거나 들어갈 수 있도록 구성된 배선 개구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테이퍼 부분은 실질적으로 사다리꼴 단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외부 판은 엔드 캡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브래킷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외부 판은 차량 지붕에 크로스 바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장치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개구부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페시아 부품(fascia piece)이 사용될 수 있다. 페시아 부품은 중앙 부분의 위에서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차량 토퍼는 후면과 후면이 맞닿게 배치된 제1 및 제2 전자 표시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배선은 차량 토퍼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전원으로부터, 크로스바를 통과해서, 차량 토퍼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전원은 차량의 배터리이다. 배선은 페스툰형(festoon type) 배선일 수 있다. 배선은 A 필러의 검은색 마스크 영역 뒤에 위치할 수 있다.
적어도 4개의 수용기를 사용할 수 있다. 각 수용기는 외부 판 중 하나 아래의 차량 지붕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적어도 4개의 나사산이 형성된 고정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각 나사산 고정 장치는 각각의 외부 판을 통과하여 각각의 수용기로 전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수용기는 리벳 너트일 수 있다. 수용기는 차량의 빗물 배수구에 위치할 수 있다. 적어도 4개의 블록이 사용될 수 있다. 각 블록은 각 블록의 상단 표면이 차량 지붕의 외부 표면과 실질적으로 같은 높이가 되도록 제1 및 제2 크로스 바의 외부 판 아래의 차량 빗물 배수구에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자 표시장치를 구비한 차량 토퍼를 차량 지붕에 견고하게 장착하며, 본 발명의 지붕 장착용 장치 및 시스템은 진동력을 약화시키거나 감쇠시키며 구성요소를 장착하는 강도를 강화한다.
상술한 특징 외에도,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아래의 도면 설명 및 예시적인 실시예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며, 여러 도면에 걸친 유사 참조 번호는 동일하거나 동등한 요소를 나타낸다.
도 1a는 차량 지붕에 장착된 예시적인 차량 토퍼 및 지붕 장착 장치의 정면 사시도,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a는 기본 유닛의 추가 기능을 설명하기 위해 격리된 예시적인 기본 유닛의 상세한 정면 사시도,
도 2b는 기본 유닛의 추가 기능을 설명하기 위해 격리된 다른 예시적인 기본 유닛의 상세한 정면 사시도,
도 3a는 지붕 장착 장치 또는 차량 토퍼가 없이 도시된 예시적인 차량의 정면 단면도,
도 3b는 도 3a와 유사하며 예시적인 기본 유닛의 단면을 도시하는 정면 단면도,
도 4는 도 3b와 유사하며 예시적 기본 유닛, 크로스 바, 나사산 고정 장치 및 리벳 너트을 도시하는 정면 단면도,
도 5는 예시적인 시스템의 측면도,
도 6은 도 1a와 유사하며 예시적인 배선 경로를 도시하는 정면 사시도,
도 7은 상세 A를 표시하며 다른 예시적인 차량 토퍼 및 지붕 장착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부분적으로 조립된 도 7의 상세 A 구성요소의 상세 평면 사시도,
도 9는 부분적으로 조립된 도 7의 시스템에 대한 상세한 측면 사시도,
도 10은 크로스 바의 추가적 특징을 설명하기 위해 분리된 것으로 도 7에 따른 예시적인 크로스 바의 평면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크로스 바의 정면도,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크로스 바의 평면도,
도 13은 도 10에 도시된 크로스 바의 저면도,
도 14a는 상세 B를 표시하며 부분적으로 조립되고 부분적으로 설치된 예시적인 차량 토퍼의 정면 사시도,
도 14b는 부품이 부분적으로 조립된 도 14a의 상세 B에 대한 정면 사시도,
도 15a는 상세 C를 표시하며 예시적인 크로스 바에 설치 중인 예시적인 차량 토퍼의 정면 사시도,
도 15b는 도 14a에 도시된 상세 C에 대한 평면 사시도,
도 16a는 크로스 바와 함께 사용할 수 있는 예시적인 캡의 정면 사시도,
도 16b는 예시적인 크로스 바에 설치 중인 도 16a에 도시된 캡의 측면 사시도,
도 17a는 상세 D를 표시하며 예시적인 크로스 바에 부분적으로 설치된 예시적인 배선의 측면 사시도,
도 17b는 다른 구성요소와 분리된 예시적인 에지 가드를 보여주며, 도 17a에 도시된 상세 D에 대한 상세 정면 사시도,
도 18a는 설치 위치 및 배선 지침을 도시하는 예시적인 차량의 정면 사시도,
도 18b는 도 18a와 유사한 정면 사시도,
도 18c는 도 18a와 유사한 정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아래의 설명에 있어서, 상세한 구성 및 구성요소와 같은 구체적인 세부 사항은 단지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에 대한 전체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될 뿐이다. 따라서 본 문서에 기술된 실시예에 대한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본 발명의 범위와 정신에서 출발하지 않고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기술의 당업자들에게 명확해야 한다. 또한, 명료성과 간결성을 위해 잘 알려진 기능 및 구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a 및 도 1b는 예시적인 차량 토퍼(10)를 차량(20)의 지붕(21)에 장착하기 위한 예시적인 장착 장치를 도시한다. 다수의 기본 유닛(26)이 지붕(21)에 위치될 수 있다. 한 쌍의 크로스 바(24)가 지붕(21)을 가로질러 연장될 수 있으며, 각각 두 개의 기본 유닛(26)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 크로스 바(24)는 중공(tube) 강철로 구성될 수 있으며, 어떠한 형상이라도 고려될 수 있지만 실질적으로는 사각형, 직사각형 또는 관형(tubular)의 단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크로스 바(24)는 어떠한 제조 공정이든 고려될 수 있지만 실질적으로는 C자 모양의 막대로 철판을 접어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 자세히 기술되는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서, 크로스 바(24)는 다양한 단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크로스 바(24)는 어떠한 재료라도 고려될 수 있지만 금속 또는 혼합된 금속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크로스 바 페시아(fascia)(23)가 각각의 크로스 바(24)에 부착될 수 있다. 각 크로스 바 페시아(23)는 각 크로스 바(24)의 일부 또는 실질적으로 대부분을 덮을 수 있다. 크로스 바 페시아(23)는 공기역학적으로 개선된 외관뿐 아니라 미적으로 아름다운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한으로 작용하지는 않지만, 크로스 바 페시아(23)는 지붕(21)의 곡선과 실질적으로 일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크로스 바 페시아(23)는 어떠한 종류의 재료도 고려될 수 있지만 플라스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실질적으로 C형 크로스 바(24)를 사용하는 예시적인 실시예의 경우, 크로스 바 페시아(23)는 C 형의 다른 개방 단부(open end)를 추가적으로 둘러쌀 수 있다.
기본 유닛(26)은 지붕(21)의 각 코너 주변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제1 크로스 바(24)는 지붕(21)의 전방 근처에 장착된 기본 유닛(26)의 한 쌍 사이에서 연장되고, 제2 크로스 바(24)는 지붕(21)의 후방에 장착된 기본 유닛(26)의 한 쌍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기초 유닛(26)의 전방 쌍은 실질적으로 차량(20)의 A 필러(16) 위에 직접적으로 또는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고, 기초 유닛의 후방 쌍은 실질적으로 차량(20)의 C 필러(18) 위에 직접적으로 또는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는 차량 토퍼(10)와 지붕 장착 장치 상의 충격, 응력, 변형, 진동 및 기타 힘을 감소 또는 분배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기본 유닛(26)은 어떠한 크기나 형태도 될 수 있으며, 지붕(21)에 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한사항으로 작용하지는 않지만, 기본 유닛(26)의 하단은 기본 유닛(26)이 장착될 위치에서 지붕(21)의 피치(pitch)와 실질적으로 일치하도록 크기 및 형상이 정해질 수 있다. 기본 유닛(26)은 다수의 또는 모든 차량(20) 형태에 대해 동일한 크기, 형상 및 구성이 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의 경우, 기본 유닛(26)이 차량의 특정 제조사 및 모델에 적합하도록 크기, 형상 및 구성이 될 수 있다. 각각의 기본 유닛(26)(예: 전방 좌측, 전방 우측, 후방 우측 및 후방 좌측)은 크기가 다르고 형태 및 구성이 다를 수 있거나 또는 모두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전방 좌측 및 전방 우측 기본 유닛(26)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후방 좌측 및 후방 우측 기본 유닛(26)도 마찬가지로 상당히 동일하다.
차량 토퍼(10)는 하나 이상의 전자 표시장치(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차량 토퍼(10)는 하우징(11) 내에서 후면과 후면이 맞닿게 배치된 한 쌍의 전자 표시장치(12)로 구성된다. 전자 표시장치(12)를 작동하고 유지하는데 사용되는 구성요소가 전자 표시장치(12) 사이 또는 후면 표면 사이에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요소에는 전자 저장 장치, 프로세서, 입력/출력 장치, TCON, 비디오 플레이어, 기타 전자 부품, 팬, 열전 유닛, 열판, 열 교환기, 냉각 채널, 플레넘, 공기 경로, 기타 냉각 시스템, 무선 송신기 및 수신기, 셀룰러 네트워크 장치, 기타 통신 장비, GPS, 기타 위치 감지 장비, 온도 센서, 주변 조도 센서, 공기 품질 센서, 가속도계, 스트레인 센서, 기타 센서, 카메라, 비디오 및 이미징 장비, 마이크 및 기타 오디오 탐지 장비, 스피커 등이 포함될 수 있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하우징(11)은 차량(20)의 제조사나 모델에 관계없이 동일한 크기이며, 하우징(11)은 모든 또는 선택된 도시(city)의 도시 규정에 따라 크기가 조정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의 경우, 표준 크기의 표시장치(12)가 많은 차량 토퍼(10)에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서 하우징(11)은 다양한 제조사 및 모델의 차량(20)에 적용될 뿐만 아니라 다양한 크기의 표시장치(12)를 수용하기 위해 다양한 크기가 될 수 있다.
차량 토퍼(10)에 위치하는 장착 장치(30)에 의해 차량 토퍼(10)가 크로스 바(24)에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착 장치(30)는 각각이 차량 토퍼의 전방과 후방 단부로부터 지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브래킷일 수 있다. 장착 장치(30)는 차량 토퍼(10)를 지붕(21)에 장착할 때 차량 토퍼(10)의 하단 가장자리가 지붕(21)의 크라운 포인트에서 이격되어 위치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한으로 작용하지는 않지만, 어떠한 크기의 간극(또는 간극이 없음)도 고려될 수 있지만, 차량 토퍼(10)의 하단 가장자리와 크라운 사이에 실질적으로 1/4인치 간극이 있을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차량 토퍼(10)의 하단 가장자리는 차량(20)의 지붕(21) 근처에 위치할 수 있으므로 차량 토퍼(10)가 낮은 프로파일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어 안정성, 안전성 및 공기역학을 향상시키고 보다 미적으로 아름다운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장착 장치(30)는 크로스 바(24)의 상단 위로 연장되거나 일부(또는 전체)를 둘러쌀 수 있으며, 제한하는 것은 아니지만, 고정 장치, 볼트, 나사, 못, 접착제, 용접 또는 유사한 것을 사용하여 크로스 바에 부착되거나 접착(bond)될 수 있다.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서, 장착 장치(30)는 크로스 바(24)의 대응하는 홈과 상호 작용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모든 부착 메커니즘이 고려된다.
한 쌍의 단부 마감 페시아(28)는 각각 차량 토퍼의 전방과 후방에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단부 마감 페시아(28)는 차량 토퍼(10)의 각 단부의 일부 또는 전체를 덮을 수 있으며, 적어도 장착 장치(30)의 일부를 덮을 수도 있다. 단부 마감 페시아(28)는 차량 토퍼(10)의 내부를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적으로 아름다운 외관과 개선된 공기역학을 제공할 수 있다. 단부 마감 페시아(28)는 공기역학을 개선할 수 있는 매끄럽고 통합된 외관 또는 미적으로 아름다운 외관을 나타내기 위해 크로스 바 페시아(23)의 한 부분 위쪽으로 연장되거나 인접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지붕 장착 장치와 그의 다양한 구성요소는 차량 토퍼(10)의 하단 가장자리를 지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종종, 특정 차량(20)은 차량(20)에 모든 승객과 화물이 없을 때 위쪽으로 또는 아래쪽으로 약간 기울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한 경우에, 지붕 장착 장치와 시스템 뿐만 아니라 그의 다양한 구성요소는 차량(20)이 비어 있을 때 차량 토퍼(10)의 하단 가장자리가 지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장착되도록 해당 피치를 보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지붕 장착 기구와 시스템 뿐만 아니라 그의 다양한 구성요소는 차량(20)이 평균 하중을 싣고 있거나 실질적으로 완전히 적재되었을 때 차량 토퍼(10)의 하단 가장자리가 지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장착되도록 해당 피치를 보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설치는 차량 장착 장치, 그의 다양한 구성요소 및 차량 토퍼(10)에 가해지는 충격, 응력, 변형, 진동 및 기타 힘을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량(20)의 전체적인 승차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는 기본 유닛(26)의 추가적 특징을 설명하기 위해 따로 도시된 기본 유닛(26)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한 상세도를 도시한다. 기본 유닛(26)은 고무, 플라스틱, 금속 또는 이와 유사한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기본 유닛(26)은 기본 유닛(26)을 완전히 통과하는 개구부(33)를 구비할 수 있다. 더 자세히 설명하겠지만, 개구부(33)는 어떠한 크기 또는 형태가 될 수 있으며, 기본 유닛(26) 상의 어느 곳에나 위치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서 개구부(33)는 고정 장치(37)와 전기 배선(44)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기본 유닛(26)은 외부 측면 채널(34)과 내부 측면 채널(36)을 추가로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더 자세히 설명하겠지만, 외부 측면 채널(34)은 기본 유닛(26)을 통과하여 내부 측면 채널(36)을 통해 나갈 수 있는 전기 배선(44)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외부 측면 채널(34)은 차량의 바깥쪽을 마주하는 기본 유닛(26)의 측면 상에 위치할 수 있고, 내부 측면 채널(36)은 차량(20)의 안쪽을 마주하는 기본 유닛(26)의 측면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외부 측면 채널(34)은 기본 유닛(26)의 하단 가장자리를 따라 또는 근처에 위치하며 내부 측면 채널(36)은 기본 유닛(26)의 상단 가장자리를 따라 또는 근처에 위치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기본 유닛(26)의 하단 가장자리는 지붕(21)의 피치와 실질적으로 일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지붕에 장착될 수 있다. 기본 유닛(26)의 상단 가장자리는 크로스 바(24)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크로스 바에 장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기본 유닛(26)의 상단 가장자리는 립(lip)(35)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크로스 바(24)가 립(35)에 의해 형성되는 함몰부(depression)에 놓일 수 있도록 크로스 바(24)를 적절히 배치하고 고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크로스 바(24)는 각각의 기본 유닛(26)에 고정, 용접, 부착 또는 접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크로스 바(24)는 크로스 바(24)와 지붕(21) 사이에 공극이 있도록 수용될 수 있다. 크로스 바(24)는 충격, 응력, 변형, 진동 및 기타 힘을 분산 또는 흡수하는 것을 보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패드(pad)(32)가 기본 유닛(26)의 하단 가장자리에 고정될 수 있다. 패드(32)는 기본 유닛(26)에 추가적인 지지와 안정성을 제공하도록 배치되고 구성될 수 있다. 패드(32)는 또한 충격, 응력, 변형, 진동 및 기타 힘을 분산시키거나 흡수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패드(32)는 나사형 고정 장치(37), 고정 장치, 접착력, 마찰력 등과 같은 것에 의해 기본 유닛(26)의 하단 가장자리에 부착된다. 패드(32)는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고무, 실리콘, 플라스틱 등과 같은 충격 및/또는 진동 흡수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패드(32)의 사용은 선택사항이다.
도 3a 및 도 3b는 기본 유닛(26)이 차량(20)에 설치되지 않은 상태 및 설치된 상태에서의 단면을 도시한다. 기본 유닛(26)은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지붕(21)의 피치 및 크라운 포인트를 포함하는 여러 요인에 기반하여 지붕(21)의 다른 위치에 배치되도록 크기, 형태 및 구성이 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기본 유닛(26)은 지붕(21)에 있는 배수구(19)에 장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배수구(19)는 빗물 배수구일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기본 유닛(26)은 기본 유닛(26)의 일부가 배수구(19)에 의해 형성된 캐비티로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서, 기본 유닛(26)은 어떤 위치도 고려될 수 있지만, 배수구(19)에서 차량 중앙을 향해 약 1 인치인 지점에 장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예시적인 장착 구성을 보여준다. 크로스 바(24)는 기본 유닛(26)의 상부를 따라 배치될 수 있으며, 립(35)에 의해 형성된 함몰부 내에 고정될 수 있다. 크로스 바(24)는 나사형 고정 장치 또는 이와 유사한 고정 장치를 수용할 수 있는 관통 구멍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고정 장치(37)는 크로스 바(24), 개구부(33) 및 패드(23)(사용하는 경우)를 통과해서 고정 장치(37)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수용기(38)로 연장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서, 수용기(38)는 나사산 고정 장치(37)를 수용하기 위해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수용기(38)는 제한하는 것은 아니지만, 리벳 너트일 수 있다. 그러나 나사, 볼트, 너트 등 다른 나사형 수용기(38) 및 고정 장치(37)가 고려될 수 있다. 립(35)에 의해 형성된 함몰부 내에 맞도록 구성되거나 고정 장치(37)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크로스 바(24)의 일부분은 크로스 바(24)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장착 탭일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수용기(38)는 어떠한 위치도 고려될 수 있지만, 배수구(19)에 위치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각각의 기본 유닛(26)은 2개의 고정 장치(37)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며, 각 고정 장치는 각각의 수용기(38)에 나사 결합한다. 기본 유닛(26)은 어떠한 위치도 고려될 수 있지만, 기본 유닛의 거의 양쪽 끝에서 고정 장치(37)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서, 고정 장치(37)는 A, B 및 C 필러(pillars)를 연결하는 캔트 레일(cant rails)로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고정 장치(37)는 캔트 레일로 직접 연장될 수 있거나, 또는 고정 장치(37)가 캔트 레일에 위치한 수용기(38)까지 연장될 수 있다. 본 문서에 열거된 것들의 대안 또는 추가로, 다른 종류의 고정 장치가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다른 고정 장치에는 나사, 못, 볼트, 너트, 와셔, 접착제, 용접 등이 포함되며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접착제, 와셔, O-링, 밀폐제(sealant), 콜킹(caulking)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이 고정 장치(37)와 수용기(38)를 포함하여 전술한 부착 메커니즘에 더하여 사용될 수 있다.
고정 장치(37)와 수용기(38)는 차량(20)에 물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장착 장치와 지붕(21) 사이에 실질적으로 방수 씰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패드(32), 와셔, 고무 씰, O-링, 콜킹, 밀폐제 등을 사용하여 실질적으로 방수 씰을 보장하거나 씰 생성시 도움을 줄 수 있다. 고정 장치(37)와 수용기(38)를 사용하면 차량 토퍼(10)의 후속적인 제거를 용이하게 하여, 제한된 것은 아니지만, 차량(20)의 재판매 값을 올릴 수 있거나 및/또는 다른 차량(20)의 차량 토퍼(10)를 사용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차량 토퍼(10)가 차량(20)에 장착되는 경우에 예시적인 배선 배치 및 시스템을 보여준다. 전기 배선(44)은 차량 토퍼(10)를 전원(42)에 연결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전원(42)은 어떠한 위치도 고려될 수 있지만, 차량(20)의 트렁크 내에 또는 후드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전원(42)은 차량(20)의 배터리 또는 기타 전원 공급 장치일 수 있기 때문에, 전원(42)의 위치는 차량 제조사 및 모델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전원(42)은 배터리 팩, 교류 발전기, 발전기, 이들의 조합,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전기 배선(44)은 차량 토퍼(10)를 작동시키는데 사용되는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될 수 있으며,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구성요소는 전자 저장 장치, 비디오 플레이어, 위치 장치, 통신 장비 및 유사한 것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요소는 어떠한 위치도 고려될 수 있지만, 차량(20)의 트렁크 내에 또는 후드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장비의 위치는 차량(20)의 제조사 및 모델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더 나아가서, 전기 배선(44)은 차량의 토퍼(10)를 차량(20) 컴퓨터 시스템에 연결할 수 있다. 이 컴퓨터 시스템은 어떠한 위치도 고려될 수 있지만, 차량(20)의 트렁크 내에 또는 후드 아래에 위치될 수 있다. 실제로, 상기 위치는 차량(20)의 제작사 및 모델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어떠한 배선 경로도 고려될 수 있지만, 전기 배선(44)은 전원(42)으로부터, A 필러(16) 및/또는 C 필러(18)를 따라서 또는 통과해서 차량 토퍼(10)를 작동시키는데 사용되는 기타 구성요소, 및/또는 차량(20) 컴퓨터 시스템에 적절히 연장될 수 있다. 전기 배선(44)은 단일 필러 또는 복수의 필러를 따라서 또는 통과해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한적인 것은 아니지만, 각각의 개별 와이어 묶음의 크기를 최소화하기 위해, 전기 배선(44)을 분리시켜 여러 필러를 통과시킬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전기 배선(44)은 검은색 마스크 영역 및/또는 A 필러(16) 또는 C 필러(18)를 감싸는 트림 뒤쪽으로 연장되어 차량(20)의 내부 또는 외부에서 보이지 않는다. 전기 배선(44)은 어떠한 부착 방법이 고려될 수 있지만, VHB 테이프를 사용하여 차량(20)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전기 배선(44)은 VHB 테이프, 기타 유형의 테이프 또는 접착제, 로프, 짚-타이(zip-ties), 고무 밴드, 이들의 조합, 또는 유사한 것을 사용하여 여기에 설명된 다양한 구성요소 또는 차량(20)에 고정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전기 배선(44)은 기본 유닛(26)을 따라서 또는 통과해서 연장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서, 전기 배선(44)은 외부 측면 채널(34), 개구부(33) 및 내부 측면 채널(36)을 통해서 연장될 수 있다. 그러면, 전기 배선(44)이 크로스 바(24)를 따라서 또는 통과해서 연장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전기 배선(44)은 크로스 바 폐시아(23)와 크로스 바(24) 사이에 연장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전기 배선(44)은 단부 마감 페시아(28)를 통과하여 차량 토퍼(10)로 연장될 수 있다. 어떠한 배선 경로도 고려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전기 배선(44)은 모든 유형의 전기 배선을 고려할 수 있지만 페스트론 유형 배선(festoon type wire)으로 구성된다. 전기 배선(44)은 차량 토퍼(10)에 전력을 전달할 뿐만 아니라 차량 토퍼(10) 및 시스템의 다른 구성요소로부터의 또는 차량 토퍼(10) 및 시스템의 다른 구성요소로의 데이터 통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데이터는 표시장치(12)에 표시할 콘텐츠에 관한 데이터, 차량 토퍼(10)의 위치, 현재 또는 이전에 표시장치(12)에 표시된 콘텐츠, 온도 정보, 팬 속도, 주변 조명 판독치, 주변 조건 정보, 상태 데이터, 작동 데이터 등을 포함한다. 또한 전기 배선(44)은 차량(20) 컴퓨터와 전기적 통신을 할 수 있으며, 시스템의 다른 구성요소 또는 차량(2)으로부터 또는 다른 구성요소 또는 차량(2)으로 차량 상태 데이터와 기타 데이터를 통신할 수 있으며, 제한하지는 않지만, 이러한 데이터는 엔진 ON/OFF 신호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차량 토퍼(10)가 차량(20)의 엔진이 꺼져 있다는 신호를 수신하면 차량 토퍼(10)는 전원이 꺼질 수 있다. 마찬가지로, 차량 토퍼(10)가 차량(20)의 엔진이 켜졌다는 신호를 수신할 때 차량 토퍼(10)는 전원이 켜질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예시적인 차량 토퍼(100)와 지붕 장착 장치 및 시스템의 분해 사시도이며, 상세 A를 표시하고 있다. 도 1 내지 6과 관련하여 설명되고 표시된 것과 유사한 특징들은 100이 증가된 유사한 참조 번호가 매겨졌다(즉, 37이 137로 변경). 차량 토퍼 유닛(110)은 차량(120)의 지붕 전방과 후방 부분에 위치한 제1 및 제2 크로스 바(124)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에서 더 자세히 설명하겠지만, 크로스 바(124)는 고정 장치(137)를 사용하여 지붕(212)에 있는 배수구( 119)에 고정될 수 있다. 배수구(119)는 빗물 배수구일 수도 있지만,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크로스 바(124)는 배선(144)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크로스 바(124)를 통해 연장될 수 있으며 차량 토퍼 유닛(110)에 연결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커넥터(145)는 배선 끝에 위치할 수 있으며, 차량 토퍼(110)에 배선(144)으로 전기적 연결을 제공하는 연결점/분리점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서, 크로스 바(124)는 하나 이상의 금속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분말 코팅 또는 다른 방법으로 처리될 수 있으며, 어떠한 종류의 처리 방법을 갖는 어떠한 재료도 고려될 수 있다. 여기에서 더 상세히 기술되는 바와 같이, 특히 도 16a 및 도 16b와 관련되어, 요구되지는 않을지라도, 캡(140)이 크로스 바(124)의 외부 단부의 전체 또는 일부에 배치될 수 있다.
차량 토퍼(110)는 토퍼의 양쪽 끝부분이 크로스 바(124)의 대략 중간 부분에 고정될 수 있다. 하지만, 차량 토퍼 유닛(110)은 크로스 바(124)의 어느 위치에나 고정될 수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차량 토퍼(110)는 고정 장치(137)를 사용하여 크로스 바(124)에 고정된다. 여기에서 표시되고 설명된 고정 장치(137)는 여기에서 표시되고 설명된 다른 고정 장치(137)와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고 고려될 수 있다.
나사, 못, 볼트, 너트, 와셔, 접착제, 용접 등을 포함하되 이에 국한되지 않는 다른 유형의 고정 장치(137), 수용기(138) 또는 기타 부착 장치가 본 발명에서 활용될 수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마찬가지로, 접착제, 와셔, O-링, 밀폐제, 콜킹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이 고정 장치(137) 및 수용기(138)를 포함하되 이에 국한되지 않는 전술한 부착 메커니즘에 추가로 사용될 수 있다.
도 8은 부분적으로 조립된 도 7의 상세 A에 표시된 일부 구성요소의 상세 평면 사시도이다. 특히, 도 8은 수용기(138)를 배수구(119)에 배치한 예시적인 모습이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수용기(138)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리벳 너트와 같은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수용기(138)는 고정 장치(137)를 수용하고 고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페이서 블록(126)을 사용하여 수용기(138)에서 크로스 바(124)를 수직으로 이격시킬 수 있다. 블록(126)은 고정 장치(137)가 블록을 통과하여 수용기(138)로 진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서, 블록(126)은 배수로(119)와 대체적으로 동일한 높이를 가져서 블록이 배수로에 위치하면 블록(126)의 상단 표면이 지붕(121)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가 된다. 하지만, 어떤한 크기나 높이의 블록(126)이 고려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블록(126)은 어떤한 종류의 재료도 고려될 수 있지만, 금속으로 구성된다.
도 9는 부분적으로 조립된 도 7의 상세 A의 상세 측면 사시도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도 9는 배수구(119) 위에 설치된 크로스 바(124)를 보여준다. 고정 장치(137)는 크로스 바(124)의 외부 플레이트(113)에 위치한 개구부(129)를 통과해서 고정될 수 있다. 고정 장치(137)는 블록(126)에도 불구하고 개구부(129)를 통과하여 수용기(138)까지 연장될 수 있으며, 따라서 크로스 바(124)를 차량(120)의 지붕 (121)에 고정시킨다. 수용기(138)가 배수구(119)에 위치될 수 있기에 크로스 바(124)가 배수구(119)에 고정된다.
도 10 내지 도 13은 다른 요소들로부터 격리된 상태에서 크로스 바(124)를 다양한 관점에서 보여준다. 크로스 바(124)는 그 양 측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및 제2 테이퍼 부분(115)이 구비된 중앙 부분(11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외부 판(113)은 테이퍼 부분(115)의 바깥쪽 단부에 접착되거나 부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크로스 바(124)는 속이 빈 중공이다.
중앙 부분(117)은 실질적으로 일정한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서, 중앙 부분(117)은 어떠한 형태도 고려될 수 있지만,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단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앙 부분(117)은 차량 토퍼(110)를 그곳에 장착하기 위한 실질적인 수평면을 제공할 수 있다. 다수의 개구부(129)가 중앙 부분(117)의 상단 표면에 위치될 수 있으며, 차량 토퍼(110)를 크로스 바(124)에 고정하기 위해 고정 장치(137)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개구부(129) 자체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거나 너트와 볼트 또는 다른 고정 장치를 사용하여 고정 장치를 크로스 바(124)에 고정할 수 있다. 대안 방법으로는, 차량 토퍼(110)를 크로스 바(124)에 접합, 접착 또는 부착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크로스 바(124)는 반드시 요구되지는 않지만, 중공일 수 있어서, 배선(144)이 적어도 그 중공 일부를 통해 연장될 수 있다. 배선 개구부(127)는 어떠한 위치든 고려될 수 있지만, 실질적으로 중앙 부분(117)의 상부 표면 중앙에 위치할 수 있다. 배선 개구부(127)는 배선(144)이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차량 토퍼(110)는 배선(144)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배선은 크로스 바(124)를 통해서 연장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배선 개구부(127) 주위에 고무 보호대(grommets)를 배치하여 배선 개구부(127)에 접촉되어 배선(144)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및 제2 테이퍼 부분(115)은 중앙 부분(117)의 양쪽에 접합되거나 고정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서, 테이퍼 부분(115)은 어떠한 형상의 단면도 고려될 수 있지만, 실질적으로 사다리꼴 단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테이퍼 부분(115)의 단면은 각 테이퍼 부분(115)이 중앙 부분(117)과 연결되는 부분에서부터 그 반대쪽 단부쪽으로 증가하지만, 반대의 경우도 고려될 수 있다. 또한, 테이퍼 부분(115)은 단면이 임의로 또는 임의의 패턴으로 변화될 수 있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테이퍼 부분(115)의 변화하는 단면(varying cross section)은 변화하는 고유 주파수 또는 공명 주파수 및/또는 변화하는 특성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어서, 균일한 단면을 가지는 크로스 바에서 경험되어지는 크로스 바(124)에 의해 발생하거나 크로스 바에 의해 전달되는 진동력을 감소시키거나 약화시킬 수 있다. 또한, 중앙 부분(117)은 변화하는 단면을 가질 수 있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변화하는 단면은 또한 미적으로 만족스러운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외부 판(113)은 각 테이퍼 부분(115)의 바깥쪽 단부에 각각 위치될 수 있다. 외부 판(113)은 최소한 각 테이퍼 부분(115)의 단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서, 외부 판(113)의 하단 부분은 하부 부분이 지붕(121)의 표면과 상당히 같은 위치에 놓일 수 있는 각도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한하지는 않지만, 외부 판(113)은 실질적으로 "L" 모양을 형성할 수 있다. 외부 판(113)의 하단 부분에는 다수의 개구부(129)가 포함될 수 있어서, 지붕(121)에 위치한 수용기(138)에 크로스 바(124)를 장착하기 위한 고정 장치(137)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외부 판(113)은 지붕 위로 테이퍼 부분(115)의 하부 표면을 들어 올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외부 판(113)은 배선 개구부(127)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개구부는 배선(144)이 통과할 수 있도록 크기가 조정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배선(114)은 외부 판(113)에 위치한 배선 개구부(127)를 통해 테이퍼 부분(115)을 통과하고, 적어도 중앙 부분(17)의 일부를 통과하며, 그리고, 중앙 부분(117)에 위치한 배선 개구부(127)를 통해 크로스 바(124)에 빠져나올 수 있다. 외부 판(113)과 중앙 부분(117)에 위치한 배선 개구부(127)는 크기와 모양이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배선(114)은 하나의 테이퍼 부분(115)을 통과할 수 있지만, 배선(114)이 하나 이상의 테이퍼 부분(115)을 통과할 수 있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한되지 않지만, 복수의 배선(114) 가닥 또는 코드가 사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외부 판(113)과 테이퍼 부분(115)은 여기로 캡(140)을 부착하기 위한 개구부, 수용기, 또는 브래킷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캡(140)은 크로스 바(124)의 일부 위에 연장되어 미적으로 아름다운 외관을 제공하고 공기역학을 개선하며 배선이 보이지 않게 구성될 수 있다. 대안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고정 장치 또는 접착제를 사용하여 캡(140)을 크로스 바(124)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캡(140)이 크로스 바(124)에 접합(bond)될 수 있다.
도 14a 및 도 14b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크로스 바(124)에 장착된 차량 토퍼(110)를 도시한다. 배선(144) 및 커넥터(145)는 크로스 바(124)를 통과할 수 있으며, 차량 토퍼(110) 상의 장착 브래킷(147)에 위치한 개구부(146)를 통해 이동할 수 있다. 커넥터(145)는 차량 토퍼(110)에 위치한 대응하는 리셉터클과 연결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커넥터(145)는 어떠한 유형의 커넥터도 고려될 수 있지만, 플러그 또는 콘센트(outlet)이다. 이러한 방법으로, 특히 도 5 및 도 6에 관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차량 토퍼(110)는 차량(2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5a 및 도 15b는 차량 토퍼(110)를 크로스 바(124)에 부분적으로 장착하는 예시를 도시한다. 고정 장치(137)는 장착 브래킷(147)을 통과할 수 있으며, 크로스 바(124) 상의 개구부(129)를 통과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개구부(129)는 고정 장치(137)를 고정할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서는 고정 장치(137)를 수용하고 고정하기 위해 개구부(129) 내에 또는 아래에 수용기(138)가 설치된다.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서, 고정 장치(137)는 너트, 마찰력, 용접, 접합, 접착제 또는 이와 유사한 방법으로 고정될 수 있다. 고정 장치(137)를 고정하는 모든 방법이 고려될 수 있다.
도 16a는 예시적인 캡(140)의 정면 사시도이며, 도 16b는 크로스 바(124)에 캡(140)을 설치하는 예를 보여준다. 설치가 되면, 캡(140)이 크로스 바(124)의 단부를 덮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캡(140)은 미적으로 아름다운 외관을 제공할 수 있고, 공기역학을 개선할 수 있으며, 배선(144), 고정 장치(137) 및 관련 구성부품의 최소한 일부를 덮고 보호할 수 있다. 캡(140)은 고정 장치, 접착제 또는 이와 유사한 방법으로 크로스 바(124)에 연결될 수 있다. 또는 추가로 캡(140)을 크로스 바(124)에 접합시킬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서, 크로스 바(124)는 캡(140)을 수용하고 고정하도록 구성된 브래킷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캡(140)은 어떤한 재료라도 고려될 수 있지만, 폴리머로 구성되어 있다.
도 17a는 크로스 바(124)의 배선 개구부(127)를 통해 연장되는 배선을 도시한다. 캡(140)을 수용하고 고정하기 위한 예시적인 브래킷(143)도 도시된다. 브래킷(143)은 테이퍼 부분(115) 또는 크로스 바(124)의 외부 판(113) 상에 설치될 수 있으며 캡(140)을 수용하고 고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캡(140)은 브래킷(143)과 크로스 바(124) 위에 맞도록 구성될 수 있다. 브래킷(143)은 캡(140)을 크로스 바(124)에 고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7b는 크로스 바(124)에 사용할 수 있는 예시적인 에지 보호대(141)를 도시한다. 크로스 바(124)와 접촉하여 배선(144)이 손상되는 것을 보호하기 위해 에지 보호대(141)가 크로스 바(124)의 여러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에지 보호대는 고무로 구성되어 날카로운 가장자리를 실질적으로 덮도록 구성되어, 이러한 가장자리에 접촉해서 배선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에서 설명되는 것과 다른 구성품이 사용되는 유사한 에지 보호대(141)가 고려될 수 있다.
도 18a, 도 18b, 및 도 18c는 예시적인 배선(144) 경로 및 설치 단계를 도시한다. 배선(144)은 차량(120)의 A 필러 가장자리를 따라 배선될 수 있다. 배선(144)은 고무 개스킷/웨더 스트립(weather strip)을 제거하여 차량(120)의 후드 아래에 배선될 수 있다. 이후 배선(144)은 차량(120)에 위치한 다양한 스위치와 퓨즈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기술된 배선 경로와 설치 방법은 예시적일 뿐 제한할 의도는 아니다. 어떠한 배선 경로 또는 설치 방법도 고려될 수 있다. 또한, 여기에 설명된 어떤 그리고 모든 구성요소는 특히 크기와 모양에 관하여 다양한 차량에 장착하기 위해 사용자가 정의할(customized) 수 있다는 점이 고려될 수 있다. 배선(144)은 전력뿐만 아니라 데이터 및 기타 통신을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선택적 또는 선호적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된 예시적인 실시예는 발명의 범위를 완전히 제한하거나 불필요하게 제한하기 위해 의도된 것이 아니다. 예시적인 실시예는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해 선택되고 기술되었기에 본 기술의 당업자는 본 발명을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을 도시하고 기술하면, 본 기술의 당업자는 기술된 발명에 도달하게 되는 많은 변형과 개조가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깨닫게 될 것이다. 그러한 변형과 개조의 많은 부분은 동일한 결과를 제공할 것이며 청구된 발명의 사상에 속할 것이다. 그러므로, 발명이 청구 범위에 제시된 사항만으로 제한하는 것은 의도된 바이다.

Claims (20)

  1. 차량 토퍼를 차량 지붕에 장착하기 위한 크로스 바 장치에 있어서,
    중앙 부분;
    각 테이퍼 부분이 근위 단부 및 원위 단부를 가지며, 각 테이퍼 부분의 근위 단부가 중앙 부분의 각 단부에 부착되며, 중앙 부분의 각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제1 및 제2 테이퍼 부분; 및
    각 테이퍼 부분의 원위 단부에 위치하는 제1 및 제2 외부 판;
    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테이퍼 부분은 상기 근위 단부에서 원위 단부로 단면적이 증가하는 크로스 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부분은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단면이며 차량 토퍼를 크로스 바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장치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다수의 개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크로스 바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테이퍼 부분 뿐만 아니라 중앙 부분도 실질적으로 중공형이고 이곳을 통과하는 배선을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제1 및 제2 외부 판 뿐만 아니라 상기 중앙 부분도 배선이 크로스 바를 빠져나가거나 들어갈 수 있도록 하는 배선 개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크로스 바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앙 부분의 위로 연장되도록 구성된 페시아 부품이 적어도 하나 이상 더 포함되는 크로스 바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테이퍼 부분은 실질적으로 사다리꼴 단면으로 구성되는 크로스 바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토퍼는, 하우징 안에 위치하며 후면과 후면이 맞닿게 배치되는 제1 및 제2 전자 표시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크로스 바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테이퍼 부분은 단면적이 근위 단부에서 원위 단부로 계속 증가하는 크로스 바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원;
    차량 토퍼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크로스 바를 통해서 상기 전원과 차량 토퍼 사이를 연장하는 배선;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크로스 바 장치.
  9. 제8항에서,
    전원은 차량의 배터리이며; 및
    배선은 A 필러의 검은색 마스크 영역 뒤에 위치하는 크로스 바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단부 캡이 외부 판 중의 하나에 고정되도록 구성된 제1 및 제2 단부 캡; 및
    브래킷이 상기 단부 캡 중 하나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며, 각각 제1 및 제2 외부 판 상에 위치하는 제1 및 제2 브래킷;
    을 더 포함하는 크로스 바 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수용기가 외부 판 중 하나 아래의 차량 지붕에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제1 및 제2 수용기; 및
    각 고정 장치가 각 외부 판을 통과해서 각 수용기로 가도록 구성된 제1 및 제2 고정 장치;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크로스 바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수용기는 리벳 너트이며; 및
    고정 장치는 나사산이 형성된 고정 장치인 크로스 바 장치.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수용기는 차량의 빗물 배수구에 위치하는 크로스 바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각 스페이서는 외부 판 중 하나 아래의 그리고 수용기 중 하나 위의 차량의 빗물 배수구에 위치하여 각 스페이서의 상단 표면이 차량 지붕의 외부 표면과 실질적으로 동일 높이가 되도록 구성되는 크로스 바 장치.
  15. 차량 토퍼를 차량 지붕에 장착하기 위한 시스템은 제1 및 제2 크로스 바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크로스 바 각각은,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 중앙 부분,
    각 테이퍼 부분이 근위 단부 및 원위 단부를 가지며, 각 테이퍼 부분의 근위 단부는 중앙 부분의 각 단부에 부착되며, 중앙 부분의 각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제1 및 제2 테이퍼 부분; 및
    각 테이퍼 부분의 원위 단부에 위치하는 제1 및 제2 외부 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테이퍼 부분은 상기 근위 단부에서 원위 단부로 단면적이 증가하며,
    적어도 4개의 수용기가 구비되고, 각 수용기는 외부 판 중 하나 아래의 차량 지붕에 배치되도록 구성되고, 그리고
    적어도 4개의 나사형 고정 장치가 구비되고, 각 나사형 고정 장치는 각각의 외부 판을 통과하여 각각의 수용기로 지나가도록 구성되는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부분은 차량 토퍼를 크로스 바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장치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다수의 개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차량 토퍼는 후면과 후면이 맞닿게 배치되는 제1 및 제2 전자 표시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시스템.
  17.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각각의 중앙 부분과 각각의 외부 판은 배선이 크로스 바를 빠져나가거나 들어갈 수 있도록 구성된 배선 개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시스템.
  18. 제15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원; 및
    차량 토퍼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A 필러의 검은색 마스크 영역 뒤에서, 적어도 하나의 크로스 바를 통해서 상기 전원과 차량 토퍼 사이를 연장하는 배선;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시스템.
  19. 제15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4개 블록이 더 포함되어 구성되며, 각 블록은 제1 및 제2 크로스 바의 외부 판 중 하나 아래의 차량 빗물 배수구에 배치되는 시스템.
  20. 차량 토퍼를 차량 지붕에 장착하기 위한 시스템은 제1 및 제2 크로스 바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크로스 바 각각은,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단면을 가지며 다수의 고정장치용 개구부를 갖는 중앙 부분,
    각 테이퍼 부분이 근위 단부 및 원위 단부를 가지며, 각 테이퍼 부분의 근위 단부는 중앙 부분의 각 단부에 부착되며, 중앙 부분의 각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제1 및 제2 테이퍼 부분;
    각 테이퍼 부분의 원위 단부에 위치하는 제1 및 제2 외부 판; 및
    중앙부분, 제1 외부 판 및 제2 외부 판의 각각에 위치하는 배선 개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테이퍼 부분은 근위 단부에서 원위 단부로 단면적이 연속으로 증가하며,
    적어도 4개의 블록이 구비되고, 각 블록은 제1 및 제2 크로스 바의 외부 판 중 하나 아래의 차량 빗물 배수구에 배치되도록 구성되고,
    적어도 4개의 리벳 너트가 구비되고, 각 리벳 너트는 각 블록 아래의 차량 지붕의 빗물 배수구에 배치되도록 구성되며,
    적어도 4개의 나사형 고정 장치가 구비되고, 각 나사형 고정 장치는 외부 판 중 하나를 통과하여 상기 외부 판 아래에 위치하는 각 블록을 통과하여 각 블록 아래에 위치하는 리벳 너트로 지나가도록 구성되며, 그리고
    차량의 배터리에서 상기 외부 판에 위치하는 배선 개구부 중 하나로 연장되는 배선은 각 테이퍼 부분을 통해 중앙 부분으로 가고, 중앙 부분에 위치한 배선 개구부로 빠져나오며, 상기 배선은 차량 토퍼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시스템.
KR1020197031044A 2017-03-24 2018-03-23 차량 토퍼를 차량 지붕에 장착하기 위한 장치 및 시스템 KR201901299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7018259A KR102407469B1 (ko) 2017-03-24 2018-03-23 차량 토퍼를 차량 지붕에 장착하기 위한 장치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762476385P 2017-03-24 2017-03-24
US62/476,385 2017-03-24
US201762571631P 2017-10-12 2017-10-12
US62/571,631 2017-10-12
PCT/US2018/024027 WO2018175888A1 (en) 2017-03-24 2018-03-23 Roof mounting apparatus and system for vehicle topper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8259A Division KR102407469B1 (ko) 2017-03-24 2018-03-23 차량 토퍼를 차량 지붕에 장착하기 위한 장치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9981A true KR20190129981A (ko) 2019-11-20

Family

ID=6358156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1044A KR20190129981A (ko) 2017-03-24 2018-03-23 차량 토퍼를 차량 지붕에 장착하기 위한 장치 및 시스템
KR1020217018259A KR102407469B1 (ko) 2017-03-24 2018-03-23 차량 토퍼를 차량 지붕에 장착하기 위한 장치 및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8259A KR102407469B1 (ko) 2017-03-24 2018-03-23 차량 토퍼를 차량 지붕에 장착하기 위한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7) US10486618B2 (ko)
EP (2) EP3602534A4 (ko)
JP (1) JP6855593B2 (ko)
KR (2) KR20190129981A (ko)
AU (2) AU2018237580B2 (ko)
CA (3) CA3057321C (ko)
WO (1) WO20181758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3057321C (en) 2017-03-24 2022-11-29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Roof mounting apparatus and system for vehicle topper
USD869378S1 (en) * 2018-03-23 2019-12-10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Roof bar
USD879202S1 (en) * 2018-03-23 2020-03-24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Vehicle topper with roof mount
USD878467S1 (en) * 2018-03-23 2020-03-17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Vehicle topper
USD885304S1 (en) * 2018-06-15 2020-05-26 Thule Sweden Ab Rack foot
US10669682B2 (en) * 2018-06-27 2020-06-02 James SEARS Ice re-conditioning assembly
US10634305B1 (en) * 2018-10-31 2020-04-28 Putco, Inc. Programmable automobile light bar
DE102019107918A1 (de) * 2019-03-27 2020-10-01 Uze! Mobility Gmbh Display-Vorrichtung für Kraftfahrzeuge
US11285895B2 (en) 2019-08-27 2022-03-29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Solar powered vehicle mounted display
US11496091B2 (en) 2019-08-27 2022-11-08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Electronic display assemblies with solar panels
US11180086B2 (en) * 2019-11-20 2021-11-23 Toni Theobald Rooftop storage compartment
CA3065203A1 (en) * 2019-12-16 2021-06-16 Big Digital Corp. Popup video display system
US20220169272A1 (en) * 2020-11-30 2022-06-02 Uze! Mobility Gmbh Apparatus for displaying information on a vehicle
KR102456497B1 (ko) * 2021-04-13 2022-10-20 주식회사 엠알케이 냉각 효율을 높인 택시용 고휘도 디스플레이 장치
EP4119396B1 (en) * 2021-07-15 2024-05-08 Uze! Mobility GmbH Apparatus for mounting on a vehicle roof and for displaying information
US11514827B1 (en) * 2021-09-06 2022-11-29 Litemax Electronics Inc. Vehicular advertisement playing device
KR102583043B1 (ko) * 2021-10-22 2023-09-26 주식회사 모토브 차량 루프 마운트 광고 디스플레이 장치
WO2023065337A1 (zh) * 2021-10-22 2023-04-27 深圳市大族元亨光电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以及车顶显示器
WO2023197304A1 (zh) * 2022-04-15 2023-10-19 深圳市大族元亨光电股份有限公司 一种箱体结构及led车载显示装置
US11997808B2 (en) 2022-08-31 2024-05-28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Display assembly with unobstructed zone

Family Cites Families (16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83485A (en) 1917-01-25 1918-04-09 Utley Wedge Metallurgical furnace
CA183486A (en) 1917-04-02 1918-04-09 John S. Wertin Clutch for shafts
CA183487A (en) 1917-04-30 1918-04-09 William Wilkie Edging machine for garments
US3141588A (en) * 1962-05-29 1964-07-21 Karpak Company Car-top luggage carrier with clamping, support brackets
US3525461A (en) * 1968-05-27 1970-08-25 Joseph Bronson Car top carrier structure with locking means
US4534496A (en) * 1974-07-08 1985-08-13 Bott John Anthony Luggage carrier with illuminating means
US3978599A (en) 1974-12-27 1976-09-07 Thomson-Leeds, Company, Inc. Illuminated display device
US4052806A (en) * 1976-01-12 1977-10-11 Vango Media, Inc. Display device with adjustable attachment means
US4114789A (en) * 1977-04-14 1978-09-19 Lectric Lites Company Mounting apparatus for vehicle emergency warning signal
US4261496A (en) 1979-09-14 1981-04-14 Four Star Corporation Ski rack
SE436633B (sv) 1982-04-21 1985-01-14 Thule Ind Ab Lasthallare for fordon
US4500020A (en) 1982-05-06 1985-02-19 Masco Corp. Article carrier with adjustably positionable bracket
AU574669B2 (en) * 1983-03-29 1988-07-14 Unistrut Australia Pty Limited Vehicle roof rack
DE3418770A1 (de) * 1984-05-19 1985-11-21 Adam Opel AG, 6090 Rüsselsheim Dachgepaecktraeger fuer kraftfahrzeuge
US4671004A (en) * 1985-04-06 1987-06-09 Berg Marlin C Vehicle mounted portable sign
US4667428A (en) * 1985-04-29 1987-05-26 Elmer William A Triangular car top sign
AU94645S (en) 1985-07-10 1987-01-08 Rola Roof Racks Australia Pty Ltd Roof rack
USD296087S (en) 1986-04-16 1988-06-07 Luck Wallace R Distress warning signal mountable on the top of an automobile
US4768691A (en) 1986-09-22 1988-09-06 Huron/St. Clair Company, A Division Of Masco Industries, Inc. Adjustable support rail for a luggage carrier
SE8605527L (sv) 1986-12-22 1988-06-23 Thule Ind Ab Anordning vid lastberare
SE455589B (sv) 1987-01-12 1988-07-25 Thule Ind Ab Festanordning for en for ett fordonstak avsedd lastanordning
USD306990S (en) 1987-03-19 1990-04-03 Bott John A Vehicle luggage carrier
SE459569B (sv) 1987-11-24 1989-07-17 Thule Ind Ab Anordning foer uppbaerning av en last
USD314983S (en) 1988-04-04 1991-02-26 Joe Cangianni Emergency sign
US5207365A (en) 1988-09-20 1993-05-04 Bott John Anthony Article carrier
US4972983A (en) 1988-09-20 1990-11-27 Bott John Anthony Article carrier
US4982886A (en) 1989-03-27 1991-01-08 John A. Bott Article carrier
USD320971S (en) 1989-08-01 1991-10-22 Huron/St. Clair Incorporated Article carrier for a passenger vehicle
USD326282S (en) 1989-12-28 1992-05-19 Warrec Company Vehicle message display sign
US5016798A (en) * 1990-04-05 1991-05-21 Huron/St. Clair Incorporated Spacer insert for load-bearing slats
DE4028433C1 (ko) * 1990-09-07 1992-02-13 Gebr. Happich Gmbh, 5600 Wuppertal, De
US5132666A (en) * 1990-09-17 1992-07-21 Travel-Ad, Inc. Vehicle-mounted electronic display system
US5170920A (en) 1991-02-15 1992-12-15 Masco Corporation Luggage rack
US5347736A (en) 1991-03-15 1994-09-20 Sign-Rite Inc. Illuminated sign
US5171083A (en) 1991-09-10 1992-12-15 Ltc Roll & Engineering Co. Combined luggage rack and concealed lights for vehicle roof
US5257710A (en) * 1991-09-17 1993-11-02 Fetovu Proprietary Limited Vehicle roof rack
SE469423B (sv) 1991-11-18 1993-07-05 Thule Ind Ab Lastbaerare
US5306156A (en) * 1992-04-03 1994-04-26 Sport Rack Systems, Inc. Mechanical and/or electro-mechanical interconnect system for vehicle load carrying components/accessories
JP3094183B2 (ja) * 1992-05-11 2000-10-03 セイコーインスツルメンツ株式会社 誘電率測定装置
SE9301823L (sv) 1993-05-28 1994-10-17 Thule Ind Ab Lastbärarfot
US5711100A (en) * 1993-06-14 1998-01-27 Elmer; William A. Vehicle advertising sign, system and method
US5918397A (en) * 1993-06-14 1999-07-06 Elmer; William A. Illuminated magnetic advertising sign
US5385285A (en) 1993-12-07 1995-01-31 Jac Products, Inc. Vehicle article carrier
US5474218A (en) 1994-07-25 1995-12-12 Chrysler Corporation Article carrier
JPH08216779A (ja) * 1995-02-10 1996-08-27 Yukio Kato ストップランプ付きルーフキヤリア
US5845828A (en) 1996-01-12 1998-12-08 Yakima Products Tower assembly for mounting a crossbar to a vehicle roof rack
US5826766A (en) 1997-03-14 1998-10-27 Jac Products, Inc. Vehicle article carrier
USD398409S (en) 1997-03-19 1998-09-15 Anis Jessa Illuminated cab sign
US6050467A (en) 1997-04-03 2000-04-18 Decoma International, Inc. Article carrier assembly having a cross rail assembly adjustable within a range of infinite operating positions
DE19716047C2 (de) 1997-04-17 1999-11-25 Porsche Ag Befestigungsvorrichtung für Dachlastträger
SE510962C2 (sv) 1997-11-18 1999-07-12 Thule Ind Ab Fästanordning för lastbärarfot
US6114954A (en) * 1998-04-01 2000-09-05 Palett; Anthony P. Luggage carrier with illumination means
DE19929909A1 (de) * 1999-06-29 2001-01-04 Am3 Automotive Multimedia Ag Anbauteil mit integrierter Antennenbaugruppe
DE19948476C1 (de) * 1999-10-08 2001-03-01 Jac Products Deutschland Gmbh Dachreling für Fahrzeuge
USD430901S (en) 1999-11-22 2000-09-12 Palmer Promotional Products Two-sided light box
US6701143B1 (en) 1999-12-15 2004-03-02 Vert, Inc. Apparatu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s for displaying information on mobile signs
US6812851B1 (en) 1999-12-15 2004-11-02 Vert, Inc. Apparatuses for displaying information on vehicles
US20010030214A1 (en) 2000-01-07 2001-10-18 Harris Kevin W. Short roof-line connective adaptation for a cargo carrier
US20020065046A1 (en) 2000-07-18 2002-05-30 Vert, Inc. Apparatuse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s for showing information on a vehicle having multiple displays
US20020009978A1 (en) 2000-07-18 2002-01-24 Semyon Dukach Units for displaying information on vehicles
US20020112026A1 (en) * 2000-07-18 2002-08-15 Leonid Fridman Apparatuse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s for displaying information on signs
US6850209B2 (en) 2000-12-29 2005-02-01 Vert, Inc. Apparatuse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s for displaying information on vehicles
US20020164962A1 (en) 2000-07-18 2002-11-07 Mankins Matt W. D. Apparatuse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s for displaying information on mobile units, with reporting by, and control of, such units
US6415970B1 (en) 2000-10-20 2002-07-09 Jac Products, Inc. Vehicle article carrier with supports configurable elevated siderails or flush mounted slats
US20040036622A1 (en) 2000-12-15 2004-02-26 Semyon Dukach Apparatuse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s for displaying information on signs
DE60220379T2 (de) 2001-01-23 2008-01-24 Donnelly Corp., Holland Verbessertes fahrzeugbeleuchtungssystem
US7054596B2 (en) 2001-12-21 2006-05-30 Daimlerchrysler Corporation Wireless vibration diagnostic instrument
SE521631C2 (sv) 2002-04-04 2003-11-18 Thule Sweden Ab Lastbärarfot
US20040004827A1 (en) 2002-07-08 2004-01-08 Guest Christopher William Light devices using light emitting diodes
KR100490371B1 (ko) * 2002-11-05 2005-05-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루프 랙
US6660937B1 (en) 2002-11-07 2003-12-09 Yazaki North America Grommet for automotive wiring harness
JP3094183U (ja) * 2002-11-20 2003-06-06 東京ネオン株式会社 自動車用広告装置
SE523964C2 (sv) 2002-12-18 2004-06-08 Thule Sweden Ab Lastbärarfot
US20040170013A1 (en) 2003-02-27 2004-09-02 Smythe Vernon Bradford Light emitting diode address number sign
USD486188S1 (en) 2003-03-04 2004-02-03 Solar Outdoor Lighting, Inc. Photovoltaically illuminated advertising display
US8104651B2 (en) * 2003-10-20 2012-01-31 Cequent Performance Products, Inc. Vehicle roof rack end support
DE10356429A1 (de) 2003-11-30 2005-06-23 Webasto Ag Dachmodul eines Fahrzeugdaches
GB0329623D0 (en) 2003-12-23 2004-01-28 Thule Automotive Ltd Vehicle load carrier
EP1723004B1 (en) 2004-03-10 2010-08-04 Decoma International Inc. Injection molded roof rail
JP2006053187A (ja) * 2004-08-09 2006-02-23 Takashi Okada 移動体広告システム
US8122627B2 (en) 2004-09-23 2012-02-28 Daktronics, Inc. Ventilated washable electronic sign display enclosure
US7134764B1 (en) 2004-11-04 2006-11-14 Roger Bieberdorf Airport light system
US7449998B1 (en) * 2005-01-07 2008-11-11 Au Daniel W Electronic display panels for automobiles
US20080236007A1 (en) 2005-01-07 2008-10-02 Kammy Au Electronic Display Panels for Automobiles
WO2008019105A2 (en) 2006-08-03 2008-02-14 Lanham Randall J Video display screen systems and methods for displaying information
US20080146147A1 (en) 2006-08-10 2008-06-19 Sirius Satellite Radio, Inc. Methods and systems for retransmission of a broadcast signal using proximity transmitting radiator
US20080083800A1 (en) 2006-10-10 2008-04-10 Mathson Industries Roof railing assembly
NZ561811A (en) 2007-09-21 2010-06-25 Hubco Automotive Ltd Extendable roof rack
DE202007017477U1 (de) 2007-12-14 2008-05-15 Diebel, Martin, Dipl.-Ing. (FH) Automatisierte dynamische Informationsanzeige für Kraftfahrzeuge
US9173325B2 (en) 2008-03-26 2015-10-27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Heat exchanger for back to back electronic displays
US10539311B2 (en) 2008-04-14 2020-01-21 Digital Lumens Incorporated Sensor-based lighting methods, apparatus, and systems
CN201228893Y (zh) 2008-04-22 2009-04-29 东莞市福地电子材料有限公司 一种新型出租车车顶led显示屏的散热装置
KR100917344B1 (ko) * 2008-06-30 2009-09-16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루프랙
USD639340S1 (en) 2008-08-07 2011-06-07 Donna M. Martin Taxi-top advertising unit
US8122628B2 (en) 2008-08-21 2012-02-28 Freight Train Media Llc Portable advertising platform
US8511526B2 (en) * 2008-10-17 2013-08-20 Thomas E. Schellens Vehicle mounting platform using existing opening
KR20110084219A (ko) * 2008-11-10 2011-07-21 픽스투오 코포레이션 이동 가능한 대형 led 디스플레이 스크린
JP5303318B2 (ja) 2009-03-06 2013-10-02 株式会社エフ・シー・シー 動力伝達装置
TW201111201A (en) 2009-06-05 2011-04-01 Yakima Products Inc Upright bike mount
USD654116S1 (en) 2009-11-04 2012-02-14 Nexus Alpha Limited Sign post
USD634722S1 (en) 2010-02-25 2011-03-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Television set
JP2012016086A (ja) 2010-06-29 2012-01-19 Sanyo Electric Co Ltd 屋外表示システム
US20110298841A1 (en) 2010-06-07 2011-12-08 Sanyo Electric Co., Ltd. Outdoor display system and display apparatus
DE102010030674A1 (de) 2010-06-29 2011-12-2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Dachträger für ein Fahrzeug
USD635614S1 (en) 2010-09-10 2011-04-05 Show Media LLC Car top display
USD647970S1 (en) 2010-10-27 2011-11-01 First American Advertising Corporation Taxi top advertisement display
US8534516B1 (en) 2010-11-17 2013-09-17 Tri D. Vo Protective roof rack system
US20120224116A1 (en) 2011-02-03 2012-09-06 Barnes Michael S Menu display cabinet
US20120312848A1 (en) 2011-05-20 2012-12-13 Jac Products, Inc. Advanced Composite Vehicle Article Carrier Component And Method Of Making Same
JP2012255847A (ja) 2011-06-07 2012-12-27 Sanyo Electric Co Ltd 表示システム
JP2012255848A (ja) 2011-06-07 2012-12-27 Sanyo Electric Co Ltd 表示システム
USD657422S1 (en) 2011-08-31 2012-04-10 Verifone, Inc. Car top display
US8895836B2 (en) 2011-10-19 2014-11-25 King Saud University Dual axis solar tracker apparatus and method
USD669938S1 (en) 2011-12-13 2012-10-30 Verifone, Inc. Vehicle mounted display
US20130173358A1 (en) 2012-01-03 2013-07-04 Frias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Llc Associating vehicles with advertisement display and conversion
US9121391B1 (en) 2012-04-16 2015-09-01 Robert L Koehler, III Solar power generating and advertising income system
JP1463812S (ko) 2012-04-27 2016-02-29
CA2882007A1 (en) 2012-08-14 2014-02-20 Hubco Automotive Limited Roof rack leg for a roof rail
USD704265S1 (en) * 2012-08-21 2014-05-06 Verifone, Inc. Vehicle mounted display
USD694170S1 (en) 2012-09-26 2013-11-26 Thule Sweden Ab Automotive cross-bar
KR101444022B1 (ko) 2013-05-06 2014-10-16 김원식 차량용 광고판
US9135839B2 (en) 2013-08-28 2015-09-15 Tobin Remenda Scrolling backlit display with superimposed background and foregoing graphics, multi-color LED backlit panel, and illuminated housing
USD740472S1 (en) 2013-10-04 2015-10-06 Government of the District of Columbia Dome light for taxicab
US9341307B2 (en) * 2013-10-21 2016-05-17 Hitch Demon, Llc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content on a vehicle
EP2871097B1 (en) * 2013-11-07 2018-12-26 Thule Sweden AB A load carrier foot
US9352696B2 (en) 2013-11-11 2016-05-31 Honda Motor Co., Ltd. Low profile roof rail
US9643542B2 (en) 2013-12-20 2017-05-09 Jac Products, Inc. Vehicle article carrier system having cross bar end supports with anti-loosening mechanism
US9793520B2 (en) 2014-01-31 2017-10-17 Carcoustics Techconsult Gmbh Flexible folding battery cover
JP6320783B2 (ja) * 2014-02-10 2018-05-09 株式会社ヨコオ アンテナ装置
EP2923892B1 (en) 2014-03-27 2018-08-22 Bosal ACPS Holding 2 B.V. Roof rack for motor vehicles
US10636335B2 (en) 2014-06-13 2020-04-28 Ildikó Kis-Benedek Pinero Portable display device and system
US9388843B2 (en) * 2014-06-20 2016-07-1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Fastener receptacle and vehicle part
US10326962B2 (en) 2014-06-26 2019-06-18 Carl Heath Hamilton Vehicle-mountable data display device
USD775989S1 (en) 2014-08-03 2017-01-10 Uber Technologies, Inc. Illuminatable signage device
USD765660S1 (en) 2014-12-22 2016-09-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gital information display device
KR101683510B1 (ko) 2015-04-07 2016-12-08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루프랙 구조
USD777258S1 (en) 2015-05-20 2017-01-24 Guy Thomas Strempack Vehicle top advertisement display
USD792833S1 (en) 2015-07-01 2017-07-25 Jaguar Land Rover Limited Sky roof rack
US9663153B2 (en) 2015-07-28 2017-05-30 Thule Sweden Ab Fairing for vehicle load bar
EP3132976B1 (en) 2015-08-17 2019-04-03 Thule Sweden AB Roof rack comprising a load sensor
US9451060B1 (en) 2015-10-15 2016-09-20 Civiq Smartscapes, Llc Techniques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ccess to components of a personal communication structure (PCS)
US9622392B1 (en) 2015-09-17 2017-04-11 Civiq Smartscapes, Llc Techniques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a personal communication structure (PCS)
US10270918B2 (en) 2015-10-15 2019-04-23 Civiq Smartscape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and temperature control of compartments within a personal communication structure (PCS)
US9516485B1 (en) 2015-11-13 2016-12-06 Civiq Smartscap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making emergency phone calls
USD793890S1 (en) 2016-01-08 2017-08-08 Shanghai Kazheng Energy Technology Co., Ltd. Collapsible triangular warning frame
US10820445B2 (en) 2016-03-04 2020-10-27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Cooling system for double sided display assembly
USD815690S1 (en) 2016-05-27 2018-04-17 Phillip A. Squillante Advertising display
EP3339102B1 (en) 2016-12-20 2018-12-12 Thule Sweden AB Clamping member for a load carrier foot
DE202016007703U1 (de) 2016-12-21 2017-01-12 WKW Erbslöh Automotive GmbH Kraftfahrzeugbauteil
CN106782121B (zh) 2016-12-26 2022-12-16 深圳市大族元亨光电股份有限公司 Led显示单元屏
US10150432B2 (en) * 2017-03-20 2018-12-1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utonomous vehicle conversion
CA3057321C (en) 2017-03-24 2022-11-29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Roof mounting apparatus and system for vehicle topper
US10403182B2 (en) 2017-03-30 2019-09-03 Anita Margrill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solar-powered advertising kiosks
US20220270135A1 (en) 2017-04-13 2022-08-25 Alexander Terzian Autonomous Self-Driving Vehicle with Advertising Platform
US10485113B2 (en) 2017-04-27 2019-11-19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Field serviceable and replaceable display
USD848528S1 (en) 2017-09-08 2019-05-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gital signage
USD848529S1 (en) 2017-09-08 2019-05-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gital signage
CN109961695A (zh) 2017-12-14 2019-07-02 深圳市大族元亨光电股份有限公司 Led箱体组件及led显示屏
US10991215B2 (en) 2018-03-20 2021-04-27 Ideal Industries Lighting Llc Intelligent signage
USD869378S1 (en) 2018-03-23 2019-12-10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Roof bar
USD879202S1 (en) 2018-03-23 2020-03-24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Vehicle topper with roof mount
USD878467S1 (en) 2018-03-23 2020-03-17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Vehicle topper
CN112912279A (zh) 2018-11-13 2021-06-04 瑞伟安知识产权控股有限公司 车辆的可延伸横梁
US11285895B2 (en) 2019-08-27 2022-03-29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Solar powered vehicle mounted display
US11496091B2 (en) 2019-08-27 2022-11-08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Electronic display assemblies with solar pane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3057321C (en) 2022-11-29
US20210358350A1 (en) 2021-11-18
US11164491B2 (en) 2021-11-02
US20210221304A1 (en) 2021-07-22
US11893909B2 (en) 2024-02-06
US10486618B2 (en) 2019-11-26
AU2018237580A1 (en) 2019-10-10
US20200010025A1 (en) 2020-01-09
US10994669B2 (en) 2021-05-04
JP2020515888A (ja) 2020-05-28
CA3142597C (en) 2023-10-24
EP3910617A1 (en) 2021-11-17
AU2020294292A1 (en) 2021-01-28
US11657739B2 (en) 2023-05-23
CA3057321A1 (en) 2018-09-27
US20230101327A1 (en) 2023-03-30
US11100822B2 (en) 2021-08-24
WO2018175888A1 (en) 2018-09-27
US11545057B2 (en) 2023-01-03
US20180272959A1 (en) 2018-09-27
AU2020294292B2 (en) 2022-06-30
EP3602534A1 (en) 2020-02-05
AU2018237580B2 (en) 2020-10-15
US20200207284A1 (en) 2020-07-02
US20200039450A1 (en) 2020-02-06
KR20210075221A (ko) 2021-06-22
KR102407469B1 (ko) 2022-06-13
JP6855593B2 (ja) 2021-04-07
CA3142600A1 (en) 2018-09-27
CA3142597A1 (en) 2018-09-27
EP3602534A4 (en) 2021-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7469B1 (ko) 차량 토퍼를 차량 지붕에 장착하기 위한 장치 및 시스템
US20160318554A1 (en) Mud Flap Assembly
US9033402B2 (en) Tractor cabin roof assembly
JPH08509439A (ja) パネル運転台
US20150291107A1 (en) Frame extension for vehicle and method
KR200444579Y1 (ko) 차량용 네비게이션 매립 장치
AU2015101030B4 (en) Utility vehicle tub canopy attachment assembly
JP3180050U (ja) 車の保護傘
CN215770336U (zh) 一种led电子显示屏
AU2013251243C1 (en) Utility Vehicle Tub Canopy Attachment Assembly
JP3170943U (ja) 貨物車両用荷台防水カバー
KR101136475B1 (ko) 차량용 확성기 결합장치
JP3172432U (ja) 貨物車両用荷台防水カバー
JP2003170866A (ja) サイドスポイラーの固定構造
JP2002363925A (ja) 防音装置の取付構造
US20040212170A1 (en) Mud, splash, and spray suppressor
KR20000019616U (ko) 자동차용 외부 안테나 설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