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8080A - 접합 유리용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 - Google Patents

접합 유리용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8080A
KR20190128080A KR1020197031566A KR20197031566A KR20190128080A KR 20190128080 A KR20190128080 A KR 20190128080A KR 1020197031566 A KR1020197031566 A KR 1020197031566A KR 20197031566 A KR20197031566 A KR 20197031566A KR 20190128080 A KR20190128080 A KR 201901280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vinyl acetal
acetal resin
resin film
layer
conductiv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1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이치로 이소우에
히로타카 야스다
준 고이시카와
우베 켈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쿠라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쿠라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쿠라레
Publication of KR201901280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80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761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containing vinyl ac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00Layered products having a non-planar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2Layer formed of wires, e.g. mes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5/08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resins; comprising acrylic res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5/08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5/09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aluminium or cop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061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009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 B32B17/1003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comprising two outer glass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165Functional features of the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376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ontaining metal wires
    • B32B17/10385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ontaining metal wires for ohmic resistance he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plastici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romatic vinyl (co)polymers, e.g. styren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acetate or vinyl alcohol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32B27/32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comprising polycyclo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32B27/3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comprising polycarbon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1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 B32B3/1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characterised by a face layer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which are juxtaposed side-by-s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26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the apertures going through the whole thickness of the layer, e.g. expanded metal, perforated layer, slit layer regular cells B32B3/1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3/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properties or particular surface features, e.g. particular surface coatings; Layered products designed for particular purposes not covered by another single 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02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clear vision, e.g. anti-frost or defog panes, rain shie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84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arent or reflecting areas, e.g. for demisting or de-icing windows, mirrors or vehicle windshie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1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synthetic resin layer or on natural or synthetic rubber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0Inorganic coating
    • B32B2255/205Metall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6Polymer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1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acoustical properties
    • B32B2307/102Ins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2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electrical or magnetic properties, e.g. piezoelectric
    • B32B2307/202Conduct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6Resistant to h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2Transpa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2Polarizing, birefringent, fil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22Luminescent, fluorescent, phosphoresc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48Cree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32Dimension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52Corrosion inhibi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1/00Metals, their alloys or their compounds
    • B32B2311/12Cop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5/00Other materials containing non-metallic inorganic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32B2311/00 - B32B2313/04
    • B32B2315/08G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9/00Polyvinylalcohols, polyvinylethers, polyvinylaldehydes, polyvinylketones or polyvinylketals
    • B32B2329/06PVB, i.e. polyinylbutyr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B32B2605/006Transparent parts other than made from inorganic glass, e.g. polycarbonate glaz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B32B2605/08Ca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9/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Hydrolysed 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Derivatives of such polymer
    • C08J2329/1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etals or ketals obtained by polymerisation of unsaturated acetals or ketals or by after-treatment of polymers of unsaturated 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29/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Hydrolysed 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Derivatives of such polymer
    • C08J2429/1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etals or ketals obtained by polymerisation of unsaturated acetals or ketals or by after-treatment of polymers of unsaturated alcoho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14Heaters using resistive wires or cables not provided for in H05B3/54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17Manufacturing methods or apparatus for heat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14/00Aspects relating to resistive heating, induction heating and heating using microwaves, covered by groups H05B3/00, H05B6/00
    • H05B2214/02Heaters specially designed for de-icing or protection against ic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합 유리용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으로서,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 중의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의, 브룩필드형(B형) 점도계를 이용하여 20℃, 30rpm에서 측정된, 농도 10질량%의 톨루엔/에탄올=1/1(질량비) 용액의 점도가 200mPa·s보다 크고,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 중의 가소제의 양이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의 총 질량에 기초하여 0 내지 20질량%이며, 10 내지 350㎛의 두께를 갖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접합 유리용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
본 발명은, 접합 유리용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투명 기재의 사이에 상기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을 갖는 접합 유리에 관한 것이다.
건물 또는 탈것에서의 유리의 착빙(着氷)이나 김서림을 제거하는 방법으로서, 유리에 열풍을 가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 방법에는, 충분한 전방 시인성을 얻는 데 시간이 걸리는 등의 문제가 있다. 또한, 앞 유리(front glass) 등의 유리에 장착된 카메라나 센서의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해, 카메라나 센서 주위를 가열하여, 착빙이나 김서림을 제거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 제거에 연료의 연소열을 이용할 수 없는 전기 자동차에서는, 전기로 공기를 가열하여, 유리에 열풍을 가하는 방법으로는 효율이 나빠, 항속 거리의 저하에 직결된다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유리에 전열선을 설치하여, 통전시킴으로써, 착빙이나 김서림을 제거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는, 기능층의 상하에 상부 접착층 및 하부 접착층을 덮어 씌우고, 이러한 상측·하측 접착층의 상하에 상측 유리판 및 하측 유리판을 덮어 씌우고, 상기 하측 접착층과 상기 하측 유리판 사이에 전열선을 개재시켜 이루어진 전열선 포함 접합 유리가 기재되어 있고, 구체적으로는, 전열선으로서 텅스텐선을 사용한 예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특허문헌 2에는, 투명 기재, 상기 투명 기재의 적어도 한면에 구비된 접착제층, 상기 접착제층 위에 구비된 도전성 발열선, 상기 도전성 발열선 및 상기 발열선에 의해 덮여 있지 않은 접착제층의 상면을 캡슐화하는 코팅막, 상기 도전성 발열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버스 바, 및 상기 버스 바와 연결된 전원부를 포함하는, 발열체가 기재되어 있고, 구체적으로는, 투명 기재로서 PET(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사용한 예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특허문헌 3에는, 2장의 투명한 플레이트와, 적어도 1장의 시트 A 및 적어도 1장의 B를 접착하여, 도전성 구조체를 갖는 접합 유리 적층체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시트 A는 폴리비닐 아세탈 PA와 가소제 WA를 함유하고, 시트 B는 폴리비닐 아세탈 PB와 가소제 WB를 함유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고, 시트 위에 도전성 구조체를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인쇄법(스크린 인쇄, 플렉소 인쇄, 그라비아 인쇄), 증착, 스퍼터링 및 전기 증착이라는 일반적인 수법을 들 수 있다. 이 문헌에는, 구체적인 실시예는 기재되어 있지 않다.
또한, 특허문헌 4에는, PET 등의 투명 기판 위에 도전성 잉크를 인쇄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고, 인쇄 공정 후, 인쇄된 배선 패턴에 흑화 처리하는 후처리 공정을 갖고 있어도 좋은 것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13-056811호 특허문헌 2: 일본 공표특허공보 특표2013-516043호 특허문헌 3: US 2016/288459 A1 특허문헌 4: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15-151026호
하지만,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유리판의 사이에 다수의 텅스텐선을 정렬하고, 기능층과 일체화시키는 공정은 복잡하고, 생산성이 떨어진다. 또한, 굵은 텅스텐선을 이용하기 때문에, 전방 시인성에 문제가 남는다.
특허문헌 2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PET 필름을 이용한 접합 유리에서는, 2장의 중간막을 필요로 하는 것, 그로 인해 발열체가 접합 유리의 중앙 부근에 위치하게 되어 유리의 가열 효율이 저하되는 것, PET 필름이 곡면 추종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고곡률의 앞 유리에는 적용할 수 없는 것, PET 필름이 신축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충돌시의 두부 충격 지수가 높아져 버리는 것, 동박을 PET 필름에 접착하기 위한 접착제에 유래하는 높은 헤이즈가 생겨 버리는 것과 같은 문제가 있다.
또한, 특허문헌 3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폴리비닐 아세탈 시트에서는, 가소제를 포함하지 않거나 또는 소량 포함하는 폴리비닐 아세탈 시트는 제막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저중합도의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를 이용한 시트밖에 사용되고 있지 않다. 그러한 시트와 가소제를 포함하는 중간막을 적층하여 접합 유리를 제작하면, 중간막 중의 가소제가 폴리비닐 아세탈 시트로 이행하고, 그로 인하여 내열성이 저하되고, 고온에 노출된 경우에 접합 유리의 2장의 유리에 어긋남이 생길 우려가 있다. 또한, 접합 유리 제작시에 부여되는 기능성층 또는 도전성 구조체가, 폴리비닐 아세탈 시트의 용융에 의해 변형되거나, 파괴되거나 할 우려가 있다. 또한, 특허문헌 3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폴리비닐 아세탈 시트 위에 도전성 구조체를 인쇄법에 의해 형성하는 방법으로는, 전방 시인성이 뛰어난 가는 균일한 금속선을 형성하는 것은 곤란하고, 또한, 폴리비닐 아세탈 시트 위에 도전성 구조체를 증착 또는 스퍼터링에 의해 형성하는 방법으로는, 필요한 발열량을 얻기 위한 두꺼운 금속층을 형성하는 데 에너지 및 시간을 요하므로 생산 효율이 저하되고, 얇은 금속층에서 필요한 발열량을 확보하기 위해 금속층에서의 금속선폭을 넓게 하면 전방 시인성이 저하된다는 등의 문제가 있다.
또한, 특허문헌 4에 기재된, PET 기판 위에 도전성 구조체를 인쇄법에 의해 형성하는 방법으로는, 전방 시인성이 뛰어난 가늘고 균일한 금속선을 형성하는 것이 곤란한 것, 표면의 흑화 처리를 수행하였다고 해도 기재와의 접착면이 금속 광택을 유지한 채가 되어, 광의 반사에 의해 전방 시인에 방해가 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접합 유리 제작시에 기능성층 또는 구조체(도전성 구조체)의 변형 및 파괴를 억제할 수 있는 동시에, 얻어지는 접합 유리의 고온 하에서의 유리의 어긋남을 억제할 수 있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 및 당해 필름을 이용한 적층체(접합 유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보다 한적적인 국면에서는, 기능성층으로서의 도전층(도전성 구조체)을 부여할 때의 생산 효율이 높고, 도전층을 접착하기 위한 접착제에 유래하는 헤이즈가 생기지 않는(즉 광학적으로 우수한), 도전층을 갖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 심지어 곡면 추종성이 뛰어나고, 전방 시인성 저하의 한 요인이 되는 광의 반사가 저감된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창유리용 발열 필름), 및 당해 필름을 사용한 적층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접합 유리용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에 대하여 상세하게 검토를 거듭하여, 본 발명을 완성시키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이하의 적합한 형태를 포함한다.
[1] 접합 유리용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으로서,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 중의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의, 브룩필드형(B형) 점도계를 이용하여 20℃, 30rpm으로 측정된, 농도 10질량%의 톨루엔/에탄올=1/1(질량비) 용액의 점도가 200mPa·s보다 크고,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 중의 가소제의 양이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의 총 질량에 기초하여 0 내지 20질량%이고, 10 내지 350㎛의 두께를 갖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
[2] 상기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과, 아세탈화도 69 내지 71몰% 또한 아세틸기로서 아세트산 비닐 단위의 함유량 1몰% 이하의 폴리비닐 부티랄 수지 72질량% 및 트리에틸렌글리콜-비스-(2-에틸헥사노에이트) 28질량%를 함유하는 두께 0.76mm의 1장의 가소화 폴리비닐 부티랄 수지층을 접합하여 측정된 내열 크리프성을 나타내는 값이 10mm 이하이고, 내열 크리프성을 나타내는 값의 측정은, 상기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과 상기 가소화 폴리비닐 부티랄 수지층을 접합하여 폭 100mm 및 길이 270mm의 치수로 커트한 시료를, 길이 방향으로 30mm 어긋나게 한 폭 100mm, 길이 300mm 및 두께 3mm의 유리 A 및 B 사이에 들어가도록, 유리 A/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가소화 폴리비닐 부티랄 수지층/유리 B의 순으로 배치하여 접합하고, 유리 B의, 가소화 폴리비닐 부티랄 수지층과의 접합면과 반대측면에 1kg의 철판을 접착제로 접착하고, 길이 방향으로 30mm 돌출되어 있는 부분을 위로 하여, 철판 부착 시료가 수평면에 대하여 80 내지 90°가 되고, 유리 B의 철판이 접착된 부분이 시료 상부 또는 상면이 되도록 유리 A를 고정한 상태에서, 100℃의 항온조에 1주간 방치한 후에, 유리 B의 어긋난 거리(mm)를 측정하는 방법에 의해 수행하는, 상기 [1]에 기재된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
[3] 상기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을, 아세탈화도 69 내지 71몰% 또한 아세틸기로서의 아세트산 비닐 단위의 함유량 1몰% 이하의 폴리비닐 부티랄 수지 72질량% 및 트리에틸렌글리콜-비스-(2-에틸헥사노에이트) 28질량%를 함유하는 두께 0.38mm의 2장의 가소화 폴리비닐 부티랄 수지층의 사이에 배치하여 접합하고, 상기 [2]에서 기재한 내열 크리프성을 나타내는 값의 측정과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되는 내열 크리프성을 나타내는 값이 10mm 이하인,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
[4] 상기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 중의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의 분자량 분포가 2.7 이상인,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
[5] 상기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 중의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가, 점도 평균 중합도가 다른 적어도 2개의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의 혼합물이거나, 또는 점도 평균 중합도가 다른 적어도 2개의 폴리비닐 알코올계 수지의 혼합물의 아세탈화물인,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
[6] 상기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이 알칼리 금속염 및/또는 알칼리 토류 금속염을 포함하는, 상기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
[7] 상기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 중의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의 수산기량이 26 내지 34몰%인, 상기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
[8] 상기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 중의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의 수산기량이 12 내지 26몰%인, 상기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
[9] 상기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의 적어도 한면에 기능성층을 갖는, 상기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
[10] 상기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의 적어도 한면에, 기능성층을 구성하는 재료를 코팅, 인쇄 또는 라미네이트하는, 상기 [9]에 기재된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의 제조 방법.
[11] 상기 기능성층이 도전층인, 상기 [9]에 기재된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
[12] 상기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의 도전층을 갖는 면 위에 다른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을 갖는, 상기 [11]에 기재된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
[13] 상기 도전층이 금속박에 기초하는, 상기 [11] 또는 [12]에 기재된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
[14] 상기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과 상기 기능성층 사이에, 상기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과의 굴절률차가 0.01 이상의 접착제층을 갖지 않는, 상기 [9]에 기재된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
[15] 상기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과 상기 기능성층 사이에 접착제층을 갖지 않는, 상기 [9]에 기재된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
[16] 상기 도전층이 선상, 격자상 또는 망상의 형상을 갖는, 상기 [11] 내지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
[17] 상기 도전층이 선폭 0.01 내지 5mm의 복수의 선상 도전성 재료로 구성되어 있는, 상기 [11] 내지 [13] 및 [1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
[18] 상기 도전층이 선폭 1 내지 30㎛의 복수의 선상 도전성 재료로 구성되어 있는, 상기 [11] 내지 [13] 및 [1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
[19] 상기 도전층을 형성하는 도전성 재료가 은 또는 구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상기 [11] 내지 [13] 및 [16] 내지 [1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
[20] 상기 도전층의 한면 또는 양면이 저반사율 처리되어 있는, 상기 [11] 내지 [13] 및 [16] 내지 [1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
[21] 상기 도전층의 표면의 전체 면이 저반사율 처리되어 있는, 상기 [11] 내지 [13] 및 [16] 내지 [1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
[22] 상기 저반사율 처리가 흑화 처리인, 상기 [20] 또는 [21]에 기재된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
[23] 상기 도전층에 접속된 버스 바를 갖는, 상기 [11] 내지 [13] 및 [16] 내지 [2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
[24] 버스 바가 도전층과 일체 성형된 것인, 상기 [23]에 기재된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
[25] 금속박과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을 접합시키는 공정, 및 상기 공정에서 얻어진 금속박 부착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으로 도전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상기 [13] 및 [16] 내지 [2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의 제조 방법.
[26] 복수의 투명 기재 사이에, 상기 [9] 및 [11] 내지 [2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을 갖는, 적층체.
[27] 복수의 투명 기재 사이에, 상기 [23] 또는 [24]에 기재된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을 갖는 적층체로서, 상기 버스 바에 접속된 전극을 갖는 적층체.
[28] 상기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이 상기 투명 기재와 직접 접하고 있는, 상기 [26] 또는 [27]에 기재된 적층체.
[29] 복수의 투명 기재 사이에, 가소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층을 추가로 갖는, 상기 [26] 내지 [2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적층체.
[30] 상기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 중의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의 수산기량과, 상기 가소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층을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 중의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의 수산기량과의 차가, 비닐 알코올 단위의 질량의 차로서 4질량% 이하인, 상기 [29]에 기재된 적층체.
[31] 상기 기능성층 또는 상기 도전층이 상기 가소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층과 직접 접하고 있는, 상기 [29] 또는 [30]에 기재된 적층체.
[32] 상기 가소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층이, 특정 파장 광 차폐 기능, 차열 기능, 차음 기능, 발광 기능, 디스플레이 기능 및 이중상 방지 기능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갖는, 상기 [29] 내지 [3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적층체.
본 발명의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을 사용함으로써, 접합 유리 제작시에 기능성층 또는 도전층의 변형 및 파괴를 억제할 수 있고, 얻어지는 접합 유리의 고온 하에서 유리의 어긋남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전층을 부여할 때의 생산 효율이 높고, 도전층을 접착하기 위한 접착제에 유래하는 헤이즈가 생기지 않는(즉 광학적으로 우수한), 도전층을 갖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 및 곡면 추종성이 뛰어나고, 전방 시인성 저하의 한 요인이 되는 광의 반사가 저감된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을 얻을 수 있다.
[도 1] 내열 크리프성값 (1)의 측정에 사용하는 접합 유리의 모식도이다.
[도 2] 내열 크리프성값 (2)의 측정에 사용하는 접합 유리의 모식도이다.
[도 3] 철판이 접착된, 내열 크리프성값 (1) 또는 내열 크리프성값 (2)의 측정에 사용하는 접합 유리의 모식도이다.
[도 4] 내열 크리프성값 (1) 또는 내열 크리프성값 (2)를 측정하기 위해, 철판이 부착된 접합 유리를, 소정의 각도로 고정된 상태의 모식도이다.
본 발명의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은, 접합 유리용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으로서,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 중의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의, 브룩필드형(B형) 점도계를 이용하여 20℃, 30rpm에서 측정된, 농도 10질량%의 톨루엔/에탄올=1/1(질량비) 용액의 점도가 200mPa·s보다 크고,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 중의 가소제의 양이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의 총 질량에 기초하여 0 내지 20질량%이며, 10 내지 350㎛의 두께를 갖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이다.
본 발명의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의 두께는 10 내지 350㎛이다.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의 두께가 10㎛ 미만이면,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의 수축 또는 변형에 기인하여 기능성층에 변형 등이 발생하는 문제가 일어난다. 또한,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의 두께가 350㎛보다 크면,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에 경우에 따라 적층되는 가소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층으로부터의 가소제 이행량이 많아지고, 가소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층 중의 소성제량이 적어지는 것에 기인하여,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을 이용한 탈것용 유리를 탑재한 탈것의 충돌시에서의 두부 충격이 커지는 등의 문제가 일어난다.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2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이상이다. 또한,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33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9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7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5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20㎛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100㎛ 미만이다. 일 형태에서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의 두께는 10㎛ 이상 250㎛ 이하이다.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의 두께가 상기 하한값 이상 또한 상기 상한값 이하이면, 상기 문제가 일어나지 않고, 양호한 제막성이 얻어지기 쉽다.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의 두께는, 두께 측정기 또는 레이저 현미경 등을 사용하여 측정된다.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을 구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수지>
본 발명의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은, 폴리비닐 알코올 또는 에틸렌 비닐 알코올 코폴리머 등의 폴리비닐 알코올계 수지의 아세탈화에 의해 제조되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를 포함한다.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은, 하나의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를 포함하거나, 또는 점도 평균 중합도, 아세탈화도, 아세틸기량, 수산기량, 에틸렌 함유량, 아세탈화에 사용되는 알데히드의 분자량, 및 쇄장(銷長) 중 어느 하나 이상이 각각 다른 2개 이상의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를 포함해도 좋다.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이 다른 2개 이상의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를 포함하는 경우, 용융 성형의 용이성의 관점, 및 접합 유리 제작시의 기능성층의 변형 및 접합 유리 사용시의 유리의 어긋남 등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는, 점도 평균 중합도가 다른 적어도 2개의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의 혼합물이거나, 또는 점도 평균 중합도가 다른 적어도 2개의 폴리비닐 알코올계 수지의 혼합물의 아세탈화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는,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은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우선, 농도 3 내지 30질량%의 폴리비닐 알코올 또는 에틸렌 비닐 알코올 코폴리머의 수용액을, 80 내지 100℃의 온도 범위에서 유지한 후, 10 내지 60분에 걸쳐 서서히 냉각한다. 온도가 -10 내지 30℃까지 저하되었을 때, 알데히드 및 산 촉매를 첨가하고,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30 내지 300분간 아세탈화 반응을 수행한다. 다음으로, 반응액을 30 내지 200분에 걸쳐 20 내지 80℃의 온도까지 승온하고, 30 내지 300분 유지한다. 그 후, 반응액을, 필요에 따라 여과한 후, 알칼리 등의 중화제를 첨가하여 중화하고, 수지를 여과, 수세 및 건조함으로써,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가 제조된다.
아세탈화 반응에 사용하는 산 촉매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유기산 및 무기산의 어느 것도 사용할 수 있다. 그러한 산 촉매의 예로서, 아세트산, 파라톨루엔술폰산, 질산, 황산 및 염산 등을 들 수 있다. 이것들 중에서도, 산의 강도 및 세정시의 제거의 용이성의 관점에서, 염산, 황산 및 질산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바람직한 파단 에너지를 갖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가 얻어지기 쉬운 관점에서,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의 제조에 사용되는 알데히드 또는 케토 화합물은, 2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직쇄상, 분기상 또는 환상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고, 직쇄상 또는 분기상 화합물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로써, 상응하는 직쇄상 또는 분기상의 아세탈기가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는, 복수의 알데히드 또는 케토 화합물의 혼합물에 의해 폴리비닐 알코올 또는 에틸렌비닐 알코올 코폴리머를 아세탈화하여 얻어지는 아세탈화물이라도 좋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는, 적어도 하나의 폴리비닐 알코올과, 2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하나 이상의 지방족 비분기의 알데히드와의 반응에 의해 생기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알데히드로서는, 적합한 파단 에너지를 갖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가 얻어지기 쉬운 관점에서, n-부틸알데히드가 바람직하다. 아세탈화에 사용하는 알데히드에서의 n-부틸알데히드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50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80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5질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99질량% 이상이고, 100질량%라도 좋다.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폴리비닐 알코올계 수지는, 단독이거나, 또는 점도 평균 중합도 또는 가수 분해도 등이 다른 폴리비닐 알코올계 수지의 혼합물이라도 좋다.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의 원료가 되는 폴리비닐 알코올계 수지의 점도 평균 중합도는, 바람직하게는 10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0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40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600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700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750 이상이다. 폴리비닐 알코올계 수지의 점도 평균 중합도가 상기 하한값 이상이면, 접합 유리의 제작시에 도전층의 변형 및 단선이 억제되기 쉽고, 얻어지는 접합 유리에서 열에 의해 유리가 어긋나는 현상이 방지되기 쉽다. 또한, 폴리비닐 알코올계 수지의 점도 평균 중합도는, 바람직하게는 500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00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500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2300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2000 이하이다. 폴리비닐 알코올계 수지의 점도 평균 중합도가 상기 상한값 이하이면 양호한 제막성이 얻어지기 쉽다. 폴리비닐 알코올계 수지의 점도 평균 중합도는, JIS K 6726 「폴리비닐 알코올 시험 방법」에 기초하여 측정된다.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의 바람직한 점도 평균 중합도의 수치는, 상기한 폴리비닐 알코올계 수지의 점도 평균 중합도의 수치와 동일하다.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이 다른 2개 이상의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를 포함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의 점도 평균 중합도가, 상기 하한값 이상 또한 상기 상한값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을 구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중인 아세틸기량은,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의 제조 원료인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 중의 주쇄의 탄소 2개로 이루어진 단위(예를 들어, 비닐 알코올 단위, 아세트산 비닐 단위, 에틸렌 단위 등)를 1 반복 단위로 하고, 그 1 반복 단위를 기준으로 하여, 아세트산 비닐 단위가,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0몰%,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3몰% 또는 5 내지 8몰%이다. 원료의 폴리비닐 알코올계 수지의 비누화도를 적절히 조정함으로써, 아세틸기량(이하, 아세트산 비닐 단위의 양을 의미한다)은 상기 범위 내로 조정할 수 있다. 아세틸기량은,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의 극성에 영향을 미치고, 그에 의해,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의 가소제 상용성 및 기계적 강도가 변화될 수 있다.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이, 아세틸기량이 상기 범위 내인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를 포함하면, 경우에 따라 적층하는 가소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층과의 양호한 접합, 및 광학 변형의 저감 등이 달성되기 쉽다.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이 다른 2개 이상의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를 포함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의 아세틸기량이, 상기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의 아세탈화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아세탈화도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의 제조 원료인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 중의 주쇄의 탄소 2개로 이루어진 단위(예를 들어, 비닐 알코올 단위, 아세트산 비닐 단위, 에틸렌 단위 등)를 1 반복 단위로 하고, 그 1 반복 단위를 기준으로 하여, 아세탈을 형성하는 상기 단위의 양이다. 아세탈화도는,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86몰%, 보다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84몰%,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82몰%,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82몰%, 특히 바람직하게는 68 내지 82몰%이다. 폴리비닐 알코올계 수지를 아세탈화할 때의 알데히드의 사용량을 적절히 조정함으로써,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의 아세탈화도는 상기 범위 내로 조정할 수 있다. 아세탈화도가 상기 범위 내이면, 본 발명의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의 역학적 강도가 충분한 것이 되기 쉽고,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와 가소제와의 상용성이 저하되기 어렵다.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이 다른 2개 이상의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를 포함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의 아세탈화도가, 상기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의 수산기량은,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의 비닐 알콜 단위의 질량으로서, 바람직하게는 6 내지 26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24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2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8 내지 21질량%이다. 또한,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의 제조 원료인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 중의 주쇄의 탄소 2개로 이루어진 단위(예를 들어, 비닐 알코올 단위, 아세트산 비닐 단위, 에틸렌 단위 등)을 1 반복 단위로 하고, 그 1 반복 단위를 기준으로 하여, 비닐 알코올 단위가, 바람직하게는 9 내지 36몰%, 보다 바람직하게는 18 내지 34몰%, 더욱 바람직하게는 22 내지 34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26 내지 34몰%, 특히 바람직하게는 26 내지 31몰%, 매우 바람직하게는 26 내지 30몰%이다. 수산기량(이하, 비닐 알코올 단위의 양을 의미한다)이 상기 범위 내이면, 경우에 따라 적층하는 가소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층과의 굴절률차가 작아지고, 광학 얼룩이 적은 접합 유리가 얻어지기 쉽다. 한편으로, 추가로 차음 성능을 함께 부여하기 위해 바람직한 범위는 6 내지 20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8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5질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11 내지 13질량%이고, 또한, 9 내지 29몰%, 보다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26몰%,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3몰%, 특히 바람직하게는 16 내지 20몰%이다. 폴리비닐 알코올계 수지를 아세탈화할 때의 알데히드의 사용량을 조정함으로써, 수산기량은 상기 범위 내로 조정할 수 있다.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이 다른 2개 이상의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를 포함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의 수산기량이, 상기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는, 통상, 아세탈기 단위, 수산기 단위 및 아세틸기 단위로 구성되어 있고, 이러한 각 단위량은, JIS K 6728 「폴리비닐부티랄 시험 방법」 또는 핵 자기 공명법(NMR)에 의해 측정된다.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가, 아세탈기 단위 이외의 단위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수산기의 단위량과 아세틸기의 단위량을 측정하고, 이러한 양 단위량을 아세탈기 단위 이외의 단위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의 아세탈기 단위량에서 뺌으로써, 남은 아세탈기 단위량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 중의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의, 브룩필드형(B형) 점도계를 이용하여 20℃, 30rpm으로 측정된, 농도 10질량%의 톨루엔/에탄올=1/1(질량비) 용액의 점도는 200mPa·s보다 크다. 상기 점도가 200mPa·s 이하이면, 접합 유리 제작시에 기능성층 또는 도전층의 변형 및 파괴를 충분히 억제할 수 없고, 얻어지는 접합 유리의 고온 하에서의 유리의 어긋남을 충분히 억제할 수 없다. 상기 점도는, 바람직하게는 210mPa·s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20mPa·s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30mPa·s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40mPa·s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265mPa·s 이상이다.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의 상기 점도가 상기 하한값 이상이면, 접합 유리의 제작시에 기능성층 또는 도전층의 변형 및 단선이 억제되기 쉽고, 얻어지는 접합 유리의 고온 하에서의 유리의 어긋남이 방지되기 쉽다. 점도 평균 중합도가 높은 폴리비닐 알코올계 수지를 원료 또는 원료의 일부로서 사용하여 제조한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를 사용 또는 병용함으로써,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의 상기 점도는 200mPa·s보다 크고,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상기 하한값 이상으로 조정할 수 있다.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을 구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가 복수의 수지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점도는, 그러한 혼합물의 점도이다.
상기 점도는, 양호한 제막성이 얻어지기 쉬운 관점에서, 통상은 1000mPa·s 이하, 바람직하게는 800mPa·s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mPa·s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450mPa·s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400mPa·s 이하이다.
상기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 중의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의 피크 탑 분자량은, 바람직하게는 115,000 내지 200,000, 보다 바람직하게는 120,000 내지 160,000, 특히 바람직하게는 130,000 내지 150,000이다. 점도 평균 중합도가 높은 폴리비닐 알코올계 수지를 원료 또는 원료의 일부로서 사용하여 제조한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를 사용 또는 병용함으로써,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의 피크 탑 분자량은 상기 범위 내로 조정할 수 있다.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의 피크 탑 분자량이 상기 범위 내이면, 적합한 필름 제막성 및 적합한 필름 물성(예를 들어, 라미네이트 적성, 내크리프성 및 파단 신도)이 얻어지기 쉽다.
상기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 중의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의 분자량 분포, 즉 중량 평균 분자량(Mw)과 수 평균 분자량(Mn)의 비 (Mw/Mn)는, 바람직하게는 2.7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8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2.9 이상이다. 점도 평균 중합도가 다른 폴리비닐 알코올계 수지의 혼합물을 아세탈화하거나, 점도 평균 중합도가 다른 폴리비닐 알코올계 수지의 아세탈화물을 혼합하거나 함으로써,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의 분자량 분포는 상기 하한값 이상으로 조정할 수 있다.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의 분자량 분포는 상기 하한값 이상이면, 제막성 및 적합한 필름 물성(예를 들어, 라미네이트 적성, 내크리프성 및 파단 강도)을 양립시키기 쉽다. 분자량 분포의 상한값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제막 용이성의 관점에서, 분자량 분포는, 통상은 10 이하, 바람직하게는 5 이하이다.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이 다른 2개 이상의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를 포함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의 피크 탑 분자량 및 분자량 분포가, 상기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피크 탑 분자량 및 분자량 분포는, 겔 침투 크로마토그래피(GPC)를 이용하여, 분자량이 이미 알려진 폴리스티렌을 표준으로 하여 구할 수 있다.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은, 양호한 제막성이 얻어지기 쉬운 관점에서, 미 가교의 폴리비닐 아세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이, 가교된 폴리비닐 아세탈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폴리비닐 아세탈을 가교하기 위한 방법은, 예를 들어, EP 1527107B1 및 WO 2004/063231 A1(카르복실기 함유 폴리비닐 아세탈의 열 자기 가교), EP 1606325 A1(폴리알데히드에 의해 가교된 폴리비닐 아세탈), 및 WO 2003/020776 A1(글리옥실산에 의해 가교된 폴리비닐 아세탈)에 기재되어 있다. 또한, 아세탈화 반응 조건을 적절히 조정함으로써, 생성되는 분자간 아세탈 결합량을 컨트롤하거나, 잔존 수산기의 블록화도를 컨트롤하거나 하는 것도 유용한 방법이다.
<가소제>
본 발명에 있어서,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 중의 가소제의 양은,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의 총 질량에 기초하여 0 내지 20질량%이다. 상기 가소제량이 20질량%를 초과하면, 접합 유리의 제작시에 기능성층 또는 도전층의 변형 및/또는 단선이 발생한다.
상기 가소제량은, 바람직하게는 0 내지 19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 내지 15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 내지 10질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0 내지 5질량%이며,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20질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 내지 19질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0 내지 15질량부, 특히 바람직하게는 0 내지 10질량부, 가장 바람직하게는 0 내지 5질량부이다.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 중의 가소제의 양이 상기 범위 내이면, 제막성 및 취급성이 뛰어난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이 제조되기 쉽고,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을 이용한 접합 유리의 제작시에 기능성층 또는 도전층의 변형 및 단선이 억제되기 쉽다.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 중에 가소제가 포함되는 경우, 가소제로서, 바람직하게는, 하기 그룹 중 하나 또는 복수의 화합물이 사용된다.
·다가의 지방족 또는 방향족산의 에스테르. 예를 들어, 디알킬아디페이트(예를 들어, 디헥실아디페이트, 디-2-에틸부틸아디페이트, 디옥틸아디페이트, 디-2-에틸헥실아디페이트, 헥실사이클로헥실아디페이트, 디헵틸아디페이트, 디노닐아디페이트, 디이소노닐아디페이트, 헵틸노니아디페이트); 아디프산과 알코올 혹은 에테르 화합물을 포함하는 알코올과의 에스테르[예를 들어, 디(부톡시에틸)아디페이트, 디(부톡시에톡시에틸)아디페이트]; 디알킬세바케이트(예를 들어, 디부틸세바 케이트); 세바스산과 지환식 혹은 에테르 화합물을 포함하는 알코올과의 에스테르; 프탈산의 에스테르(예를 들어, 부틸벤질프탈레이트, 비스-2-부톡시에틸프탈레이트); 및 지환식 다가 카복실산과 지방족 알코올의 에스테르(예를 들어, 1,2-사이클로헥산디카복실산디이소노닐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다가의 지방족 혹은 방향족 알코올 또는 하나 이상의 지방족 혹은 방향족 치환기를 갖는 올리고 에테르 글리콜의 에스테르 또는 에테르. 예를 들어, 글리세린, 디글리콜, 트리글리콜, 테트라글리콜 등과, 직쇄상 혹은 분기상의 지방족 혹은 지환식 카복실산과의 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디에틸렌글리콜-비스-(2-에틸헥사노에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비스-(2-에틸헥사노에이트)(이하에서, 「3GO」라고 칭하는 경우도 있음), 트리에틸렌글리콜-비스-(2-에틸부타노에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비스-(2-에틸헥사노에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비스-n-헵타노에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비스-n-헵타노에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비스-n-헥사노에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및 디프로필렌글리콜디벤조에이트를 들 수 있다.
·지방족 또는 방향족 알코올의 인산 에스테르. 예를 들어, 트리스(2-에틸헥실)포스페이트, 트리에틸포스페이트, 디페닐-2-에틸헥실포스페이트, 및 트리크레실 포스페이트를 들 수 있다.
·시트르산, 숙신산 및/또는 푸마르산의 에스테르.
또한, 다가 알코올과 다가 카복실산으로 이루어진 폴리에스테르 또는 올리고에스테르, 이것들의 말단 에스테르화물 또는 에테르화물, 락톤 또는 하이드록시카복실산으로 이루어진 폴리에스테르 또는 올리고에스테르, 또는 이것들의 말단 에스테르화물 또는 에테르화물 등을 가소제로서 사용해도 좋다.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 중에 가소제가 포함되는 경우,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와 적층하는 경우의 가소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층과의 사이에서 가소제가 이행함에 따른 문제(예를 들어, 경시적인 물성 변화 등의 문제)를 억제하는 관점에서, 적층하는 가소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층에 포함되는 것과 동일한 가소제, 또는 당해 가소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층의 물성(예를 들어, 내열성, 내광성, 투명성 및 가소화 효과)을 해치지 않는 가소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가소제로서는, 트리에틸렌글리콜-비스-(2-에틸헥사노에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비스(2-에틸부타노에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비스-(2-에틸헥사노에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비스-n-헵타노에이트가 보다 바람직하고, 트리에틸렌글리콜-비스-(2-에틸헥사노에이트)가 특히 바람직하다.
<첨가제>
또한,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은, 다른 첨가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그러한 첨가제로서는, 예를 들어, 물, 자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접착 조정제, 증백제 또는 형광 증백제, 안정제, 색소, 가공 조제, 내충격성 개량제, 유동성 개량제, 가교제, 안료, 발광 재료, 굴절율 조정제, 차열 재료, 유기 또는 무기 나노 입자, 소성 규산 및 표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이 기능성층으로서 도전층을 갖는 형태에서는, 도전층의 부식을 억제하기 위해,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이 부식 방지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에 함유되는 부식 방지제의 양은,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의 질량에 기초하여, 바람직하게는 0.005 내지 5질량%이다. 부식 방지제의 예로서는, 치환된, 또는 치환되어 있지 않은 벤조트리아졸을 들 수 있다.
일 형태에서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은, 접착 조정제로서 알칼리 금속염 및/또는 알칼리 토류 금속염을 포함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나트륨, 칼륨, 마그네슘, 칼슘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금속과, 적어도 하나의 탄소수 2 내지 12의 카복실산으로 이루어진 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첨가되는 접착 조정제에 포함되는 알칼리 금속 원자 및 알칼리 토류 금속 원자의 총 질량은, 상기 수지 조성물의 총 질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10pp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0ppm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50ppm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70ppm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1500pp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pp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00ppm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300ppm 이하이다. 상기 하한값 이상이면, 너무 강하지 않은 유리와의 접착력을 얻기 쉽고, 충분한 내관통성을 얻기 쉽다. 또한, 상기 상한값 이하이면, 흡수하여 백화되거나, 유리에서 박리되거나 하는 경향이 저하되기 쉽다. 또한, 첨가되는 알칼리 금속염 및 알칼리 토류 금속염의 총 질량에 대한 알칼리 금속염의 양은, 바람직하게는 70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0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0질량%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5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5질량% 이상이다. 알칼리 금속염의 비율이 상기 상한값 이하이면, 흡수하여 백화되거나 유리에서 박리되거나 하는 경향을 억제하기 쉽고, 알칼리 금속염의 비율이 상기 하한값 이상이면, 내충격성이 저하되는 경향을 억제하기 쉽다.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의 제조 방법>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수지, 경우에 따라 소정량의 가소제, 및 필요에 따라 다른 첨가제를 배합하고, 이것을 균일하게 혼련한 후, 압출법, 캘린더법, 프레스법, 캐스팅법, 인플레이션법 등, 공지의 제막 방법에 의해 시트(필름)을 제작하고, 이것을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으로 할 수 있다.
공지의 제막 방법 중에서도 특히 압출기를 이용하여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이 적합하게 채용된다. 압출시의 수지 온도는 150 내지 250℃가 바람직하고, 170 내지 230℃가 보다 바람직하다. 수지 온도가 너무 높으면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가 분해를 일으켜, 휘발성 물질의 함유량이 많아진다. 한편으로 온도가 너무 낮은 경우에도, 휘발성 물질의 함유량은 많아진다. 휘발성 물질을 효율적으로 제거하기 위해서는, 압출기의 벤트구에서 감압에 의해, 휘발성 물질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의, 하기 측정 방법 (1)에 의해 측정된 내열 크리프성을 나타내는 값(이하에서, 「내열 크리프성값 (1)」이라고 칭함)은, 바람직하게는 10m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m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4mm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3mm 이하이다.
<내열 크리프성값 (1)의 측정 방법 (1)>
우선,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 및 아세탈화도 69 내지 71몰% 또한 아세틸기로서의 아세트산 비닐 단위의 함유량 1몰% 이하의 폴리비닐 부티랄 수지 72질량% 및 트리에틸렌글리콜-비스-(2-에틸헥사노에이트) 28질량%를 함유하는 두께 0.76mm의 1장의 가소화 폴리비닐 부티랄 수지층을, 폭 100mm 및 길이 270mm의 치수로 절단한다. 커트한 시료를,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길이 방향으로 30mm 어긋나게 한 폭 100mm, 길이 300mm 및 두께 3mm의 유리 A 및 B 사이에 들어가도록,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과 가소화 폴리비닐 부티랄 수지층을 포개어 하기 「구성 1」의 순으로 배치하고, 진공 라미네이터를 이용하여 140℃에서 접합을 수행한 후, 오토클레이브를 이용하여 140℃, 1.2MPa에서 30분간 처리함으로써, 접합 유리를 제작한다.
[구성 1] 유리 A(3mm 두께)/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가소화 폴리비닐 부티랄 수지층(0.76mm 두께)/유리 B(3mm 두께)
계속해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리 B의, 가소화 폴리비닐 부티랄 수지층과의 접합면과 반대측의 면에 1kg의 철판을 접착제로 접착하고,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길이 방향으로 30mm 돌출되어 있는 부분을 위로 하여, 철판 부착 시료가 수평면에 대하여 80 내지 90°가 되고, 유리 B의 철판이 접착된 부분이 시료 상부 또는 상면이 되도록 유리 A를 고정한 상태에서, 100℃의 항온조에 1주간 방치한 후에, 유리 B의 어긋난 거리(mm)를 측정하고, 이 값을 내열 크리프성값 (1)로 한다. 철판 부착 시료의 수평면에 대한 각도가 80 내지 90°중 어느 각도라도, 동등한 내열 크리프성값 (1)이 얻어진다. 통상, 상기 각도를 85°로 하여, 내열 크리프성값 (1)을 측정한다.
내열 크리프성값 (1)이 상기 값 이하이면, 접합 유리 제작시에 기능성층 또는 도전층의 변형 및 파괴가 억제되기 쉽고, 얻어지는 접합 유리의 고온 하에서의 유리의 어긋남이 억제되기 쉽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의, 하기 측정 방법 (2)에 의해 측정된 내열 크리프성을 나타내는 값(이하에서 「내열 크리프성값 (2)」이라고 칭함)은, 바람직하게는 10m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m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4mm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3mm 이하이다.
<내열 크리프성값 (2)의 측정 방법 (2)>
우선,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 및 아세탈화도 69 내지 71몰% 또한 아세틸기로서의 아세트산 비닐 단위의 함유량 1몰% 이하의 폴리비닐 부티랄 수지 72질량% 및 트리에틸렌글리콜-비스-(2-에틸헥사노에이트) 28질량%를 함유하는 두께 0.38mm의 2장의 가소화 폴리비닐 부티랄 수지층을 폭 100mm 및 길이 270mm의 크기로 커트한다. 커트한 시료를,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길이 방향으로 30mm 어긋나게 한 폭 100mm, 길이 300mm 및 두께 3mm의 유리 A 및 B 사이에 들어가도록,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을 2장의 가소화 폴리비닐 부티랄 수지층으로 끼운 상태에서 하기 「구성 2」의 순으로 배치하고, 진공 라미네이터를 이용하여 140℃에서 접합을 수행한 후, 오토 클레이브를 이용하여 140℃, 1.2MPa에서 30분간 처리함으로써, 접합 유리를 제작한다.
[구성 2] 유리 A(3mm 두께)/가소화 폴리비닐 부티랄 수지층(0.38mm 두께)/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가소화 폴리비닐 부티랄 수지층(0.38mm 두께)/유리 B(3mm 두께)
이어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리 B의, 가소화 폴리비닐 부티랄 수지층과의 접합면과 반대측의 면에 1kg의 철판을 접착제로 접착하고,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길이 방향으로 30mm 돌출되어 있는 부분을 위로 하여, 철판 부착 시료가 수평면에 대하여 80 내지 90°가 되고, 유리 B의 철판이 접착된 부분이 시료 상부 또는 상면이 되도록 유리 A를 고정한 상태에서, 100℃의 항온조에 1주간 방치 한 후에, 유리 B의 어긋난 거리(mm)를 측정하고, 이 값을 내열 크리프성값 (2)로 한다. 철판 부착 시료의 수평면에 대한 각도가 80 내지 90°중 어느 각도라도, 동등한 내열 크리프성값 (2)가 얻어진다. 통상은, 상기 각도를 85°로 하여, 내열 크리프성값 (2)를 측정한다.
내열 크리프성값 (2)가 상기 값 이하이면, 접합 유리 제작시에 기능성층 또는 도전층의 변형 및 파괴가 억제되기 쉽고, 얻어지는 접합 유리의 고온 하에서의 유리의 어긋남이 억제되기 쉽다.
본 발명의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에 대하여, 적어도 한면의 10점 평균 거칠기 Rz값은, 바람직하게는 2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3㎛ 이하이며, 적어도 한면의 요철의 평균 간격 Sm값은, 바람직하게는 50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300㎛ 이상이다. Rz값이 상기 값 이하이고, 또는, Sm값이 상기 값 이상이면, 균일한 인쇄, 코팅 또는 라미네이트가 가능해지고,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과 잉크 또는 금속박과의 접합의 얼룩이 억제되기 쉽다. Rz값 및 Sm값은, 표면 조도계 또는 레이저 현미경을 이용하여 JIS B0601-1994에 준거하여 측정된다.
본 발명의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의 10점 평균 거칠기를 상기 값 이하로, 또한 요철의 평균 간격을 상기 값 이상으로 조정하는 방법으로서는, 용융 압출 법, 또는 용매 캐스트법 등이 채용된다. 또한, 용융 압출법에서는, T 다이를 사용하는 방법, 또는 인플레이션 성형하는 방법 등이 이용된다. T 다이에서 압출한 용융물을 평활한 냉각 롤에 의해 제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다 평활한 면을 형성하기 위해, 탄성 롤과 경면 금속 롤을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금속 탄성 롤과 경면 금속 롤을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일 형태에 있어서,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의 융점 및 유리 전이 온도 중, 가장 높은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30℃ 이상 18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당해 수지 조성물의 융점 및 유리 전이 온도 중, 가장 높은 온도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30℃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00℃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90℃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60℃ 이상이다. 융점 및 유리 전이 온도 중, 가장 높은 온도가 상기 하한값 이상 및 상기 상한값 이하이면, 접합 유리 제작 온도에서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이 연화되어, 곡률이 높은 유리 등에 양호하게 추종하기 쉽다. 또한, 상기 수지 조성물이 비정성(非晶性)이고, 융점을 나타나지 않는 경우에는, 가장 높은 유리 전이 온도가 상기 범위 내이다. 또한, 상기 수지 조성물이 유리 전이 온도를 갖지 않는 경우에는, 융점이 상기 범위 내이다. 상기 유리 전이 온도 및 융점은, 시차 주사 열량계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의 함유량은, 당해 수지 조성물의 총 질량에 기초하여, 바람직하게는 50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60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70질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80질량% 이상이다. 상기 수지의 함유량의 상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수지 조성물의 총 질량에 기초하여 100질량% 이하이다.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은, 다성분에 의한 층 분리 구조를 갖고 있어도 좋지만, 층 분리 구조는 섬 성분의 평균 입자직경이 100nm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80nm 미만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해도(海島)의 층 분리 구조를 나타내지 않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해도의 층 분리 구조를 나타내지 않거나, 충분히 미세한 입자직경을 나타냄으로써, 차의 앞 유리 등에도 사용 가능한 투명성을 확보할 수 있다.
<기능성층>
일 형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은, 적어도 한면에 기능성층을 갖는다. 기능성층은, 접합 유리에 특정의 기능을 부여하는 층이다.
기능성층은 1층 또는 복수층이라도 좋다.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이 복수의 기능성층을 갖는 경우, 각각의 기능성층의 종류는 동일해도 좋고, 달라도 좋다.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의 기능성층을 갖는 면에 있어서,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은, 그 면의 전면에 기능성층을 가져도 좋고, 그 면의 일부에 기능성층을 가져도 좋다. 후술하는 바와 같은 가소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층을 적층하여 접합 유리를 제작하는 형태에서는, 가소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층 중의 가소제가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으로 이행할 수 있도록,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이 그 면의 일부에 기능성층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기능성층이 가소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층으로부터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으로의 가소제의 이행을 저해하지 않는 경우는 그러하지 않다.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은, 기능성층과의 양호한 접합성이 얻어지기 쉬운 관점에서, 기능성층을 갖는 면의 Rz값은 바람직하게는 2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 이하이고, 기능성층을 갖는 면의 Sm값은 바람직하게는 50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300㎛ 이상이다.
기능성층은, 바람직하게는, 도전층, 적외선 반사층 또는 자외선 반사층과 같은 특정 파장 전자파 반사층, 색 보정층, 적외선 흡수층, 자외선 흡수층, 형광·발광층, 차음층, 일렉트로크로믹층, 포토크로믹층, 서모크로믹층, 의장성층 및 고탄성률층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다.
어느 형태에 있어서, 기능성층은, 바람직하게는 도전층이다. 일 형태에서는, 도전층은 금속박에 기초한다.
또한, 도전층을 그 적어도 한면에 갖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은, 당해 도전층을 갖는 면 위에 다른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을 가져도 좋다. 이 경우, 도전층은 다른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에 의해 보호된다. 다른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을 구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수지, 가소제 및 첨가제로서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에 관련하여 앞서 기재한 수지, 가소제 및 첨가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다른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과, 상기 「도전층을 그 적어도 한면에 갖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이란, 동일한 성분을 갖고 있어도 좋고, 다른 구성을 갖고 있어도 좋다.
도전층의 두께는, 전기 저항 및 제조의 용이성 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0㎛, 보다 바람직하게는 2 내지 20㎛, 보다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5㎛, 보다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5㎛, 더욱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2㎛, 특히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0㎛이다. 도전층의 두께는, 두께 측정기 또는 레이저 현미경 등을 이용하여 측정된다.
도전층은, 전기 저항, 발열 성능, 전자파 흡수성 및 광학 특성 전방 시인성 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선상, 격자상 또는 망상의 형상을 갖는다. 여기서, 선상의 예로서는, 직선상, 파선(波線)상 및 지그재그상 등을 들 수 있다. 하나의 도전층에 있어서, 형상은 단일이라도 좋고, 복수의 형상이 혼재되어 있어도 좋다. 일 형태에서는, 균일하고 충분한 발열 성능을 얻기 쉬운 관점에서, 선상의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모아레(Moire) 현상을 방지하기 쉬운 관점에서, 서로 이웃하는 선상 도전성 재료의 형상 또는 간격이 불균일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어느 형태, 예를 들어 인쇄법에 의해 도전층을 형성하고, 예를 들어 전방 시인성의 확보가 중요하지 않은 영역에서 접합 유리를 부분적으로 가열하거나, 센서 또는 안테나로서 사용하거나 하는 형태에서는, 도전층은, 충분한 발열량의 확보 및 제조 용이성의 관점에서, 선폭 0.01 내지 5mm의 복수의 선상 도전성 재료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한 선상, 격자상 또는 망상의 형상을 구성하는 선상 도전성 재료(배선)의 선폭은,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5mm이다. 상기 선폭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0.02 내지 2mm, 특히 바람직하게는 0.03 내지 1mm이다.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접합 유리를 전면적으로 가열하는 형태로는, 도전층은, 충분한 발열량 및 양호한 전방 시인성의 양쪽을 확보하기 쉬운 관점에서, 선폭 1 내지 30㎛의 복수의 선상 도전성 재료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한 선상, 격자상 또는 망상의 형상을 구성하는 선상 도전성 재료의 선폭은,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0㎛이다. 상기 선폭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5㎛, 특히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2㎛이다. 또한, 후술하는 버스 바와의 접속부의 선폭이 다른 부분의 선폭보다 두껍게 되어 있는 것이, 접합 유리 제작시의 단선을 저감할 수 있는 관점에서 보다 바람직하다.
선상 도전성 재료의 단면의 형상은 제한되지 않지만, 적어도 한 쌍의 평행 한 변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필요한 저항값을 얻으면서, 운전석측, 승차 인물측 또는 관찰자측, 즉 접합 유리의 법선 방향에서 보아, 가장 가늘어 보이기 어렵게 하는 관점에서, 선상 도전성 재료의 단면의 형상이 대체로 사각형인 것이 바람직하고, 사각형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도전층을 형성하는 도전성 재료는, 전기 저항 또는 발열량의 확보의 용이성, 및 제조 용이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은 또는 구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은 또는 구리로 이루어진다. 도전층이 금속박에 기초하는 경우에는, 에칭의 용이성 및 금속박의 입수 용이성의 관점에서, 상기 금속박은, 바람직하게는 은박 또는 동박이다.
도전층의 일면 또는 양면은, 바람직하게는 저반사율 처리되어 있다. 보다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도전층의 표면의 전체 면은 저반사율 처리되어 있다. 도전층의 표면의 전체 면이 저반사율 처리되어 있는 경우, 금속 광택에 의한 광의 반사에 의해, 야간에 앞 유리에서 대향차나 후방차의 헤드라이트의 광이 반사되어 전방 시인성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전체 면이 저반사율 처리되어 있다」란, 선상 도전성 재료의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과의 접합면(저면), 접합면에 대향하는 면(표면), 및 이것들의 측면이, 어느 것도 저반사율 처리되어 있으면 좋고, 각 면에 있어서, 저반사율 처리되어 있는 부분이 50% 이상, 바람직하게는 7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9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선상 도전성 재료는 그 단면에 저반사율 처리되어 있지 않은 부분을 갖는 것이, 선상 도전성 재료의 취화를 방지하고, 라미네이트시의 단선을 방지하는 관점, 및 통전성을 확보하면서, 발열 성능을 보다 가는 선상 도전성 재료로 실현할 수 있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저반사율 처리되어 있다」란, JIS R 3106에 준하여 측정된 가시광선 반사율이 30% 이하가 되도록 처리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전방 시인성의 관점에서는, 가시광선 반사율이 10% 이하가 되도록 처리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가시광선 반사율이 상기 상한값 이하이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도전층을 갖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과 가소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층을 적층하여 탈것용 유리를 제작했을 때, 원하는 가시광 반사율이 얻어지기 쉽고, 뛰어난 전방 시인성이 얻어지기 쉽다.
저반사율 처리의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흑화 처리(암색화 처리), 갈색화 처리 및 도금 처리 등을 들 수 있다. 공정 통과성의 관점에서, 저반사율 처리는 흑화 처리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양호한 전방 시인성의 관점에서, 가시광선 반사율이 10% 이하가 되도록, 도전층의 일면 또는 양면이 흑화 처리되어 있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흑화 처리는, 구체적으로는 알칼리계 흑화액 등을 이용하여 수행된다.
도전층의 표면의 전체 면을 저반사율 처리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선상 도전성 재료의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과 접하고 있는 면이 저반사율 처리된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에 있어서 선상 도전성 재료의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과 접하고 있지 않은 면을 추가로 저반사율 처리하는 방법, 저반사율 처리된 선상 도전성 재료를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에 붙이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이것들 중에서도, 선상 도전성 재료의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과 접하고 있는 면이 저반사율 처리된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에 있어서 선상 도전성 재료의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과 접하고 있지 않은 면을 추가로 저반사 율 처리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저반사율 처리된 표면을 갖는 금속박의 저반사율 처리면을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에 접합하고, 이것을 에칭 처리하여 선상 도전성 재료를 얻은 후, 추가로 저반사율 처리하는 방법이, 고온에서의 소성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은 것, 다수의 선상 도전성 재료를 접착시키는 번잡한 공정을 포함하지 않는 점에서 특히 바람직하다.
저반사율 처리는, 대상물을 조화 및/또는 흑색 등으로 착색함으로써 수행된다. 저반사율 처리는, 산화 처리, 황화 처리, 질화 처리, 염소화 처리, 흑화층 피막 형성 또는 흑색 도금 등에 의해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산화 처리 또는 황화 처리에 의해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산화 처리는, 보다 우수한 방현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또한 폐액 처리의 간이성 및 환경 안전성의 관점에서도 바람직하다.
<산화에 의한 흑화>
상기 산화 처리는, 금속 표면에 산화 피막을 형성시키는 방법이며, 이로써 금속 광택을 억제할 수 있다. 산화 피막에 의해, 표면 형상이 바늘처럼 변화하고 있어도 좋다. 흑화 처리로서 산화 처리를 수행하는 경우, 흑화 처리액으로서는, 예를 들어 차아염소산염과 수산화나트륨의 혼합 수용액, 아염소산염과 수산화나트륨의 혼합 수용액, 퍼옥소2황산과 수산화나트륨의 혼합 수용액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경제성의 점에서, 차아염소산염과 수산화나트륨의 혼합 수용액, 또는 아염소산염과 수산화나트륨의 혼합 수용액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아염소산나트륨:수산화나트륨=20:1 내지 2:1 정도, 수산화나트륨 농도가 4 내지 20g/L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구리를 이러한 수용액으로 처리함으로써, CuO 및/또는 Cu2O를 형성하고, 표면을 흑화할 수 있다. 또한, 인산3나트륨 등을 병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황화에 의한 흑화>
상기 황화 처리는, 금속 표면에 황화 피막을 형성시키는 방법이고, 이로써 금속 광택을 억제할 수 있다. 흑화 처리로서 황화 처리를 수행할 경우, 흑화 처리액으로서는, 예를 들어 황화나트륨, 황화칼륨, 황화바륨 및 황화암모늄 등의 수용액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황화나트륨, 황화칼륨 및 황화암모늄의 수용액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황화수소에 의한 기상 처리에 의해 황화할 수도 있다.
<기타 방법에 의한 흑화>
기타 흑화 처리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흑화 처리액으로서, 이산화텔루르 0.25질량%(텔루르 농도로서 0.2질량%), 염산 0.45질량%, 황산 20질량%의 수용액을 사용하고, 당해 처리액에 상기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을 처리 온도 25℃ 조건 하, 30초간 침지하고, 구리가 노출되어 있는 부분에 염화텔루르(TeCl2)를 포함하는 흑화층을 피복 형성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또한, 도전층의 표면에 질화 피막이나 염소화 피막을 형성시키는 방법 등을 들 수 있고, 이러한 방법에 의해 금속 광택을 억제할 수 있다.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이 금속박에 기초하는 도전층을 갖는 형태에 있어서, 도전층을 갖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0㎛ 이상,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이상이다.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의 두께가 상기 값 이상이면,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의 수축 또는 변형에 기인하여 도전층에 변형 등이 생기는 문제가 일어나기 어렵다. 또한, 도전층을 갖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35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3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7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50㎛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50㎛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100㎛ 이하이다.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의 두께가 상기 값 이하이면, 가소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층이 적층되는 경우에 가소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층으로부터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으로의 가소제 이행량이 적어지고, 가소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층 중의 가소제량의 저하가 억제되기 때문에,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을 사용한 탈것용 유리를 탑재한 탈것의 충돌시에서의 두부 충격이 커지는 등의 문제가 일어나기 어렵다.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의 두께는, 두께 측정기 또는 레이저 현미경 등을 이용하여 측정된다.
<기능성층을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에 부여하는 방법>
기능성층을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에 부여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의 적어도 한면에, 기능성층을 구성하는 재료를 코팅, 인쇄 또는 라미네이트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상기 재료를 코팅, 인쇄 또는 라미네이트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재료를 코팅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의 용융물을 기능성층에 코팅하는 방법(예를 들어, 기능성층 위에 상기 수지 조성물을 용융 압출하는 방법, 또는 기능성층 위에 상기 수지 조성물을 나이프 도포 등에 의해 도포하는 방법);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에 증착, 스퍼터링 또는 전기 증착에 의해 기능성층을 부여하는 방법; 기능성층이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 경우에,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과 기능성층을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을 동시에 압출하는 방법; 또는 기능성층을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의 용액 중에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을 디핑하는 방법; 을 들 수 있다.
상기 자료를 인쇄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스크린 인쇄, 플렉소 인쇄, 또는 그라비아 인쇄를 들 수 있다. 상기 인쇄하는 방법에서는, 기능성층을 갖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을 후속 공정에서 적층하기 전에, 건조하거나 또는 열 혹은 광에 의해 경화되는 잉크가 사용된다.
상기 재료를 라미네이트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기능성층과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을 겹쳐서 열 압착시키는 방법; 용매, 또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에 포함되는 수지 및 용매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의 용액을, 기능성층 및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의 한쪽 또는 양쪽에 도포하거나, 또는 기능성층과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 사이에 주입하여, 기능성층과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을 접합시키는 방법; 또는 접착제로 기능성층과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을 접합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합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되는 접착제는, 당해 기술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접착제를 사용해도 좋고, 그 예로서는, 아크릴레이트계 접착제, 우레탄계 접착제, 에폭시계 접착제 및 핫멜트 접착제를 들 수 있다. 광학적으로 우수한 특성이 요구되는 형태에서는, 접착제에 유래하는 헤이즈가 생기기 어려운 또는 생기지 않는 관점에서,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과 접착제의 굴절률차는, 바람직하게 0.01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5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3 이하이며,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기능성층과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을 접합하는 방법이 가장 바람직하다. 즉,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과 기능성층, 예를 들면 도전층과의 사이에, 당해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과의 굴절률차가 0.01 이상의 접착제층을 갖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굴절률차가 0.005 초과의 접착제층을 갖지 않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상기 굴절률차가 0.003 초과의 접착제층을 갖지 않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과 기능성층의 사이에 접착제층을 갖지 않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형태에서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과 기능성층, 예를 들어 도전층과의 사이에 접착제층을 갖지 않는다. 굴절률은, 압베(Abbe)의 굴절률계를 사용하여 평가할 수 있다.
기능성층이 도전층인 형태에서는, 인쇄법에서 사용되는 잉크는 도전성 입자 및/또는 도전성 섬유를 포함한다. 도전성 입자 또는 도전성 섬유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금속 입자(나노 와이어상의 것을 포함함)(예를 들어 금, 은, 구리, 아연, 철 또는 알루미늄의 입자); 금속으로 피복된 입자 또는 섬유(예를 들어 은 도금된 유리 섬유 또는 유리 소구); 또는 도전성 카본 블랙, 카본 나노 튜브, 그래파이트 혹은 그래핀의 입자 혹은 섬유;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도전성 입자는, 도전성 금속 산화물의 입자 등의 반도체의 입자, 예를 들어 인듐 도프 산화주석, 인듐 도프 산화아연 또는 안티몬 도프 산화주석의 입자라도 좋다. 상기 잉크는, 도전성의 관점에서, 은 입자, 구리 입자 및/또는 카본 나노 튜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은 입자 또는 구리 입자를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도전층이 금속박에 기초하는 형태에서는, 예를 들어, 금속박과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을 접합시키는 공정, 및 상기 공정에서 얻어진 금속박 부착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에서 도전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금속박과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을 접합시키는 공정, 예를 들어 하기 방법 (I) 내지 (III)에 의해 실시된다.
(I)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과 금속박을 포개어 열 압착시키는 방법,
(II) 금속박 위에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의 용융물을 피복하여 접합하는 방법, 예를 들어, 금속박 위에 상기 수지 조성물을 용융 압출하는 방법, 또는 금속박 위에 상기 수지 조성물을 나이프 도포 등에 의해 도포하는 방법, 또는
(III) 용매, 또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에 포함되는 수지 및 용매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의 용액 또는 분산액을, 금속박 및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의 한쪽 또는 양쪽에 도포하거나, 또는 금속박과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 사이에 주입하여, 금속박과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을 접합시키는 방법.
상기 방법 (I)에서의 열 압착시의 접합 온도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에 포함되는 수지의 종류에 의존하지만, 통상은 90 내지 170℃,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160℃,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 내지 155℃, 더욱 바람직하게는 110 내지 150℃이다. 접합 온도가 상기 범위 내이면, 양호한 접합 강도가 얻어지기 쉽다.
상기 방법 (II)에서의 압출시의 수지 온도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 중의 휘발성 물질의 함유량을 저하시키는 관점에서, 150 내지 250℃가 바람직하고, 170 내지 230℃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휘발성 물질을 효율적으로 제거하기 위해서는, 압출기의 벤트구로부터, 감압에 의해 휘발성 물질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법 (III)에서의 용매로서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에 통상 사용되는 가소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가소제로서는, 앞의 <가소제>의 단락에 기재되어 있는 것이 사용된다.
얻어진 금속박 부착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으로부터 도전층의 원하는 형상을 형성하는 공정은, 공지의 포토리소그래피 수법을 이용하여 실시된다. 상기 공정은, 예를 들어 뒤의 실시예에 기재된 바와 같이, 우선, 금속박 부착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의 금속박 위에 드라이 필름 레지스트를 라미네이트한 후, 포토리소그래피 수법을 이용하여 에칭 저항 패턴을 형성하고, 이어서, 에칭 저항 패턴이 부여된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을 구리 에칭액에 침지하여 도전층의 형상을 형성한 후, 공지의 방법에 의해 잔존하는 포토 레지스트층을 제거함으로써 실시된다.
도전층을 그 적어도 한면에 갖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이, 당해 도전층을 갖는 면 위에 다른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을 갖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상기 방법 (I) 내지 (III)에 의해, 도전층을 갖는 면 위에 다른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을 접합할 수 있다.
도전층이 금속박에 기초하는 형태에서 예시한 상기 제조 방법은, 원하는 형상의 도전층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에 도전층을 부여할 때의 생산 효율을 현저하게 개선할 수 있다.
<적층체>
본 발명은 또한, 복수의 투명 기재 사이에, 상기한 기능성층을 갖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을 갖는 적층체에 관한 것이다. 상기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은, 상기 투명 기재와 직접 접하고 있어도 좋다.
기능성층이 도전층인 형태에서는, 상기 적층체에서의 도전층의 각 선상 도전성 재료는, 버스 바와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이 형태에서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은, 도전층에 접속된 버스 바를 갖는다. 버스 바로서는,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 사용되고 있는 버스 바가 사용되고, 그 예로서는, 구리, 알루미늄 및 은으로 이루어진 금속박 또는 금속판, 혹은 이들 금속을 포함하는 잉크의 경화물 등인 것이 바람직하고, 도전성 점착층을 갖는 이것들의 금속박 테이프 등도 바람직하다. 또한, 도전층이 금속박에 기초하는 경우에는, 도전층의 형상을 형성할 때 동시에, 금속박의 일부를 버스 바로서 남김으로써 버스 바를 형성해도 좋다. 또한, 도전층을 인쇄법에 의해 형성하는 경우에는, 도전층의 형상을 인쇄할 때 동시에, 버스 바를 인쇄함으로써 버스 바를 형성해도 좋다. 이러한 경우, 버스 바는 도전층과 일체 성형된 것이다. 버스 바에는 각각 급전선이 접속되고, 각 급전선이 전원에 접속되기 때문에, 전류가 도전층에 공급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복수의 투명 기재 사이에, 도전층에 접속된 버스 바를 갖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을 갖는 적층체로서, 당해 버스 바에 접속된 전극을 갖는 적층체에 관한 것이다. 이 적층체에 있어서,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은, 투명 기재에 접하고 있어도 접하고 있지 않아도 좋지만, 효율적으로 한쪽의 유리를 가열하고 싶은 경우에는, 가열하고 싶은 측의 투명 기재(예를 들어 유리)에 직접 접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투명 기재는, 투명성, 내후성 및 역학적 강도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유기 유리 또는 무기 유리이다. 구체적으로는, 바람직하게는 무기 유리(본 명세서에서는, 단순히 「유리」라고 칭하는 경우도 있음), 또는 메타크릴 수지 시트,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시트, 폴리스티렌계 수지 시트,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시트, 또는 폴리사이클로올레핀계 수지 시트 등의 유기 유리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무기 유리, 메타크릴 수지 시트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시트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무기 유리이다. 무기 유리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플로트 유리, 강화 유리, 반강화 유리, 화학 강화 유리, 녹색 유리 또는 석영 유리 등을 들 수 있다.
적층체가 기능성층으로서 도전층을 갖는 경우, 도전층은, 투명 기재와 접하고 있어도 좋고, 후술하는 가소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층과 접하고 있어도 좋고, 또는 다른 기능성층과 접하고 있어도 좋다.
투명 기재가 유리 인 경우에는, 도전층이 유리와 직접 접하고 있으면, 버스 바 및/또는 도전층의 밀봉이 불충분해져서 수분이 침입하여 버스 바 및/또는 도전층의 부식을 초래하거나, 혹은 적층체 제조시에 공기가 잔존하여 기포 잔존이나 박리의 원인을 초래하거나 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도전층이 유리와 직접 접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특히 탈것용 유리, 특히 탈것용 앞유리에 있어서, 본 발명의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전방 시인성의 관점에서, 도전층의 저반사율 처리되어 있는 면이 승차인물측에 오도록, 도전층을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적층체가 기능성층으로서 도전층을 갖는 경우, 적층체 단부로부터 수분이 침입하여 도전층의 부식을 초래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도전층은, 적층체의 단부에서 1cm 이상 내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소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층>
본 발명의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은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지만, 가소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층과 병용하여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특히, 접합 유리의 내관통성의 관점에서, 복수의 투명 기재 사이에, 상기한 기능성층을 갖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에 더하여, 가소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층이 1층 이상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바람직한 일 형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적층체는, 복수의 투명 기재 사이에, 기능성층 또는 도전층을 갖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 및 가소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층을 갖는다. 그 경우, 가소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층은, 본 발명의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과 직접 접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본 발명의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이 갖는 기능성층 또는 도전층과 직접 접하고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경우에 따라 적층되는 가소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층은,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를 포함한다. 가소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층 중의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의 함유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본 발명의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과의 적층 전의 초기 상태에 있어서, 가소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층을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의 총 질량에 기초하여, 바람직하게는 84.0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60.0 내지 83.9질량%이다.
가소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층은, 하나의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를 포함하거나, 또는 점도 평균 중합도, 아세탈화도, 아세틸기량, 수산기량, 에틸렌 함유량, 아세탈화에 사용되는 알데히드의 분자량, 및 쇄장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서로 다른 2개 이상의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를 포함해도 좋다.
상기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는, 예를 들어, 앞의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을 구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수지>의 단락에서 기재한 방법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가소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층을 구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중의 아세틸기량은,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의 제조 원료인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 중의 주쇄의 탄소 2개로 이루어진 단위(예를 들어, 비닐 알코올 단위, 아세트산 비닐 단위, 에틸렌 단위 등)를 1 반복 단위로 하고, 그 1 반복 단위를 기준으로 하여, 아세트산비닐 단위가,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0몰%,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3몰% 또는 5 내지 8몰%이다. 원료의 폴리비닐 알코올계 수지의 비누화도를 적절히 조정함으로써, 아세틸기량은 상기 범위 내에서 조정할 수 있다. 가소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층이, 아세틸기량이 상기 범위 내인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를 포함하면, 가소제와의 상용성이 뛰어난 가소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층이 얻어지기 쉽다. 가소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층이 다른 2개 이상의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를 포함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의 아세틸기량이, 상기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의 아세탈화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아세탈화도는,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86몰%, 보다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84몰%,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82몰%,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82몰%, 특히 바람직하게는 68 내지 82몰%이다. 폴리비닐 알코올계 수지를 아세탈화할 때의 알데히드의 사용량을 적절히 조정함으로써,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의 아세탈화도는 상기 범위 내에서 조정할 수 있다. 아세탈화도가 상기 범위 내이면, 접합 유리로 했을 때의 내충격성 또는 유리와의 접합성이 뛰어난 가소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층이 얻어지기 쉽다. 가소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층이 다른 2개 이상의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를 포함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의 아세탈화도가 상기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의 수산기량은, 비닐 알코올 단위의 질량으로서, 바람직하게는 6 내지 26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24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2질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18 내지 21질량%이다. 또한,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의 제조 원료인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 중의 주쇄의 탄소 2개로 이루어진 단위(예를 들어, 비닐 알코올 단위, 아세트산 비닐 단위, 에틸렌 단위 등)을 1 반복 단위로 하고, 그 1 반복 단위를 기준으로 하여, 비닐 알코올 단위가, 바람직하게는 9 내지 36몰%, 보다 바람직하게는 18 내지 34몰%, 더욱 바람직하게는 22 내지 34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26 내지 34몰%, 특히 바람직하게는 26 내지 31몰%, 매우 바람직하게는 26 내지 30몰%이다. 수산기량이 상기 범위 내이면, 내관통성, 접합성, 또는 차음성이 우수한 접합 유리가 얻어지기 쉽다. 한편으로, 더욱 차음 성능을 같이 부여하기 위해 바람직한 범위는 6 내지 20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8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5질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11 내지 13질량%이고, 또한, 9 내지 29몰%, 보다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26몰%,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3몰%, 특히 바람직하게는 16 내지 20몰%이다. 폴리비닐 알코올계 수지를 아세탈화할 때의 알데히드의 사용량을 조정함으로써, 수산기량은 상기 범위 내로 조정할 수 있다. 가소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층이 다른 2개 이상의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를 포함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의 수산기량이, 상기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는 JIS K 6728 「폴리비닐 부티랄 시험 방법」 또는 핵 자기 공명법(NMR)에 의해 측정된다.
가소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층은, 양호한 제막성 및 라미네이트 적성이 얻어지기 쉬운 관점, 및 가소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층을 포함하는 탈것용 유리에서 충돌시의 두부 충격이 경감되기 쉬운 관점에서, 미가교의 폴리비닐 아세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소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층이, 가교된 폴리비닐 아세탈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폴리비닐 아세탈을 가교하기 위한 방법은, 앞의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을 구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수지>의 단락에 예시되어 있다.
가소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층은, 상기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에 더하여, 가소제를 함유한다. 가소제의 함유량은, 층의 적층 전의 초기 상태에서는, 가소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층을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의 총 질량에 기초하여, 바람직하게는 16.0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6.1 내지 36.0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22.0 내지 32.0질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26.0 내지 30.0질량%이다. 상기 가소제 함유량이 상기 범위 내이면, 내충격성이 우수한 접합 유리가 얻어지기 쉽다. 또한, 가소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층으로서, 차음 기능을 갖는 가소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층을 사용할 수도 있다. 그 경우, 가소제의 함유량이, 층의 적층 전의 초기 상태에서, 가소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층을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의 총 질량에 기초하여, 바람직하게는 30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50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31 내지 40질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32 내지 35질량%인 층을 적어도 1층 사용할 수 있다.
가소제로서는, 앞의 <가소제>의 단락에서 기재한 가소제를 사용해도 좋다.
가소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층은, 필요에 따라, 앞의 <첨가제> 단락에서 기재한 첨가제를 함유해도 좋다. 또한, 상기 가소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층을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 중의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및 가소제의 합계량은, 당해 수지 조성물의 총 질량에 기초하여 90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가소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층은, 쐐기형의 두께 프로파일을 갖고 있어도 좋다. 이로써, 본 발명의 적층체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의 두께 프로파일이 평행 평면인 경우라도, 쐐기형의 두께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고, 자동차 앞 유리에서 헤드 업 디스플레이(HUD)에 사용할 수 있다.
가소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층은, 컬러 셰이드를 갖거나 또는 갖고 있지 않은, 또한 쐐기형의 두께 프로파일을 갖거나 또는 갖고 있지 않은, 시판의 가소화 폴리비닐부티랄 시트라도 좋다. 마찬가지로, 적외선 차폐를 위해 가소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층 중에 분산된 적외선 흡수능 또는 반사능을 갖는 나노 입자를 갖는 가소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층, 또는 착색된 가소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층이 사용되어도 좋다. 당연히, 가소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층은 차음 기능을 갖는 시트라도 좋기 때문에,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과의 조합에 의해, 개선된 차음 특성이 얻어진다. 당연히, 가소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층은, 앞서 기재한 기능의 복수를 그 자체에서 통합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형태에서는, 가소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층은, 특정 파장 광 차폐 기능, 차열 기능, 차음 기능, 발광 기능, 디스플레이 기능 및 이중상 방지 기능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갖는다.
<가소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층의 제조 방법>
가소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층은, 앞의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의 제조 방법>의 단락에서 기재한 방법에 의해 제조해도 좋다.
본 발명의 적층체에 있어서, 상기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 중의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의 수산기량과, 상기 가소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층을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 중의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의 수산기량과의 차는, 비닐 알코올 단위의 질량%로서, 바람직하게는 4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질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질량% 이하이다. 또한, 비닐 알코올 단위의 몰%로서, 바람직하게는 6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4몰%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3몰% 이하이다.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 중의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및/또는 가소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층을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 중의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가 복수의 수지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경우,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의 수산기량과, 가소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층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의 수산기량과의 차가 상기 상한값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가 상기 상한값 이하이면, 적층체에 있어서 가소제가 이행한 후의 평형 상태에서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과 가소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층과의 굴절률차가 작아지므로, 서로 치수가 다른 가소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층과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을 사용한 경우에 그 경계를 시인하기 어렵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한편,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 중의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의 수산기량을, 상기 가소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층을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 중의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의 수산기량보다도 낮게 함으로써, 적층체에 있어서 가소제가 이행한 후의 평형 상태에서의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 중의 평균 가소제량을 30질량% 이상으로 하는 것도 바람직한 형태의 하나이다. 그 경우, 상기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 중의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의 수산기량은, 상기 가소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층을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 중의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의 수산기량보다도, 바람직하게는 5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8질량% 이상 낮고, 바람직하게는 6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몰% 이상 낮다. 상기 수산기량의 차가 상기 하한값 이상이면, 평형 상태에서의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의 가소제량을 충분히 높일 수 있고, 차음 기능이 부여된 접합 유리가 얻어지기 쉬워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의 적층체는, 하기 층 구성을 가질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1) 투명 기재 A/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기능성층 A/투명 기재 B의 4층 구성,
(2) 투명 기재 A/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기능성층 A/기능성층 B/투명 기재 B의 5층 구성
(3) 투명 기재 A/기능성층 B/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기능성층 A/투명 기재 B의 5층 구성,
(4) 투명 기재 A/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기능성층 A/가소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층/투명 기재 B의 5층 구성,
(5) 투명 기재 A/가소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층/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기능성층 A/투명 기재 B의 5층 구성,
(6) 투명 기재 A/가소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층/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기능성층 A/가소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층/투명 기재 B의 6층 구성,
(7) 투명 기재 A/기능성층 B/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기능성층 A/가소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층/투명 기재 B의 6층 구성,
(8) 투명 기재 A/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기능성층 A/기능성층 B/가소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층/투명 기재 B의 6층 구성,
(9) 투명 기재 A/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기능성층 A/가소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층/기능성층 B/투명 기재 B의 6층 구성,
(10) 투명 기재 A/기능성층 B/가소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층/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기능성층 A/투명 기재 B의 6층 구성,
(11) 투명 기재 A/가소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층/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기능성층 A/기능성층 B/투명 기재 B의 6층 구성,
(12) 투명 기재 A/가소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층/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기능성층 A/기능성층 B/가소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층/투명 기재 B의 7층 구성,
(13) 투명 기재 A/기능성층 B/가소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층/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기능성층 A/가소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층/투명 기재 B의 7층 구성,
(14) 투명 기재 A/가소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층/기능성층 B/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기능성층 A/가소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층/투명 기재 B의 7층 구성.
(15) 기능성층 A가 도전층인 경우에, 상기 층 구성 (1) 내지 (14)에 있어서,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기능성층 A」를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기능성층 A/다른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으로 치환한 층 구성을 갖는 것.
주로 탈것의 외측의 투명 기재를 가열하는 것, 예를 들어 투명 기재에 쌓인 눈을 녹이는 것이 요구되는 경우, 탈것 외측의 투명 기재에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이 접하고, 도전층이 존재하는 것, 예를 들어 상기 층 구성 (4)에 있어서 투명 기재 A가 외부 투명 기재이고 투명 기재 B가 내측 투명 기재로서, 기능성층 A가 도전층인 구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로 탈것의 내측의 투명 기재를 가열하는 것, 예를 들어 탈것 내의 김서림을 제거하는 것이 요구되는 경우, 탈것 내측의 투명 기재에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이 접하고, 도전층이 존재하는 것, 예를 들어 상기 층 구성 (4)에 있어서 투명 기재 A가 내측 투명 기재이고 투명 기재 B가 외측 투명 기재로서, 기능성층 A가 도전층인 구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층체의 제조 방법>
적층체는, 당업자에게 공지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투명 기재 위에 기능성층을 갖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 및 적층하는 경우에는 가소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층을 임의의 순으로 임의의 매수 포개어 배치하고, 추가로 또 하나의 투명 기재를 포갠 것을, 예비 압착 공정으로서 온도를 높임으로써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 및 적층하는 경우에는 가소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층을 투명 기재에 전면 또는 국소적으로 융착시키고, 이어서 오토클레이브에서 처리함으로써, 적층체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기능성층을 갖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 및 적층하는 경우에는 가소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층 및/또는 다른 기능성층을 미리 접합시킨 후 2개의 투명 기재 사이에 배치하여 고온에서 서로 융착시킴으로써, 적층체를 제조해도 좋다.
상기 예비 압착 공정으로서는, 과잉의 공기를 제거하거나 인접하는 층끼리의 가벼운 접합을 실시하거나 하는 관점에서, 베큠 백, 베큠 링, 또는 진공 라미네이터 등의 방법에 의해 감압 하에 탈기하는 방법, 닙 롤을 사용하여 탈기하는 방법, 및 고온 하에서 압축 성형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EP 1235683 B1에 기재된 베큠 백법 또는 베큠 링법에 의해, 예를 들어 약 2×104Pa 및 130 내지 145℃에서 실시된다.
진공 라미네이터는, 가열 가능하고 진공 가능한 챔버로 이루어지고, 이 챔버에서, 약 20분 내지 60분의 시간 내에 적층체가 형성된다. 통상은 1Pa 내지 3×104Pa의 감압 및 100℃ 내지 200℃, 특히 130℃ 내지 160℃의 온도가 유효하다. 진공 라미네이터를 사용하는 경우, 온도 및 압력에 따라, 오토클레이브에서의 처리를 수행하지 않아도 좋다.
오토클레이브에서의 처리는, 예를 들어 약 1×106Pa 내지 1.5×106Pa의 압력 및 약 100℃ 내지 약 145℃의 온도에서 20분에서 2시간 정도 실시된다.
가장 간단한 층 구성의 경우, 적층체를 제조하기 위하여,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 및 기능성층, 또는 미리 기능성층을 부여한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을 제1 투명 기재 위에 배치하고, 적층하는 경우는 가소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층을 동시에 또는 연속해서 배치하고, 이 위에 제2 투명 기재를 배치하여 복합 재료를 제작한다. 여기서,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과 가소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층의 순을 반대로 해도 좋다. 다음에, 이 복합 재료를 상기 예비 압착 공정에 제공한다. 임의로 탈기의 공정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마지막으로, 상기 복합 재료는, 필요에 따라 오토클레이브 프로세스에 제공된다.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을 제1 투명 기재에 배치하고, 제2 투명 기재를 두기 전에,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 및 적층하는 경우의 가소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층을 배치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여러가지 방법이 적용된다. 예를 들어,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 및 가소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층은, 상응하는 폭의 롤에서 공급하고, 원하는 크기로 절단함으로써 배치해도 좋고, 미리 원하는 크기로 절단해 둔 필름을 배치해도 좋다. 예를 들어, 적층체가 자동차 앞 유리의 경우, 롤로부터 공급된 가소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층을 가열·연신, 절단하고, 부채형으로 가공한 것을 사용해도 좋다.
자동차 분야에서는, 특히 앞 유리를 제조할 때, 유리의 상부가 이른바 컬러 셰이드 영역을 갖도록 제조하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 및/또는 적층하는 경우의 가소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층은, 상응하게 착색된 폴리머 용융물과 함께 압출되거나, 또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 및 가소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층 중 적어도 하나가 부분적으로 다른 색깔을 갖고 있어도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러한 착색은,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 및 가소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층 중 적어도 하나를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착색함으로써 실시해도 좋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적층하는 경우의 가소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층은, 특히 이미 선행한 프로세스 공정에서, 앞 유리의 형상에 적합한 컬러 그라데이션을 가져도 좋다.
유리의 일부, 예를 들어 탈것에서의 유리의 상부가 컬러 셰이드 영역을 갖는 경우, 또는 유리의 주변부에 짙은 색 페인트칠이 되어 있는 경우, 보다 양호한 전방 시인성이 얻어지기 쉬운 관점에서는, 도전층을 구성하는 선상 도전성 재료, 및 선상 도전성 재료에 접속되어 있는 버스 바 등이 컬러 셰이드 영역 내, 또는 짙은 색 페인트 영역 내에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적층체는, 건물 또는 탈것에서의 접합 유리로서 사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적층체로 이루어진 탈것용 유리에 관한 것이다. 탈것용 유리란, 기차, 전차, 자동차, 선박 또는 항공기와 같은 탈것을 위한, 앞 유리, 뒷 유리, 지붕 유리 또는 측면 유리 등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 및 기능성층으로서 적어도 일면이 저반사율 처리(예를 들어 흑화 처리)된 도전층을 사용하여 제작된 접합 유리에 대하여, 저반사율 처리면(예를 들어 흑화 처리면)측으로부터 광을 조사한 경우의 헤이즈는, 통상 2.0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1.8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이하이다. 상기 접합 유리의 금속 광택 표면측으로부터 광을 조사한 경우의 헤이즈는, 통상 3.0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2.8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이하이다.
상기 헤이즈는, 예를 들어 JIS R 3106에 준하여 측정된다. 본 발명의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을 사용하여, 접착제 없이 금속박을 접합하는 것, 및 선상 도전성 재료의 선폭을 좁게 함으로써, 상기 헤이즈는 상기 상한값 이하로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 및 기능성층으로서 적어도 일면이 저반사율 처리된 도전층을 사용하여 접합 유리를 제작한 경우, 접합 유리의 저반사율 처리면측에서는, 도전층의 선상 도전성 재료가 시인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상 도전성 재료가 시인되지 않음으로써, 특히 탈것용 앞 유리 등의 양호한 전방 시인성이 요구되는 용도에 있어서, 상기 접합 유리는 적합하게 사용된다. 도전층의 시인성은, 관능적으로 평가된다.
가소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층 및 투명 기재와, 그것들보다 치수가 작은 본 발명의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을 이용하여 접합 유리를 제작한 경우,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의 단부는, 육안으로 판별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의 단부가 육안으로 판별되지 않음으로써, 특히 탈것용 앞 유리 등의 양호한 전방 시인성이 요구되는 용도에 있어서, 상기 접합 유리는 적합하게 사용된다.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 단부의 시인성은, 관능적으로 평가된다.
접합 유리에 있어서 가소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층으로부터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으로의 가소제의 이행이 저해되지 않는 경우,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과 가소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층이 전면적 또는 부분적으로 인접하도록 적층하여 접합 유리를 제작한 경우, 통상, 가소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층에 포함되는 가소제는, 시간 경과에 따라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으로 이행하고, 가소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층에 포함되는 가소제량과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에 포함되는 가소제량은 같은 정도가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 평균 가소제량은, 바람직하게는 18 내지 35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질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29질량%이다. 평균 가소제량이 상기 범위 내이면, 예를 들어 충돌시의 승차 인물의 두부에 대한 충격이 완화되는 등, 접합 유리의 원하는 특성이 얻어지기 쉽다. 평균 가소제량은, 후의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계산된다. 가소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층에 포함되는 가소제의 양, 가소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층의 두께,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에 포함되는 가소제의 양, 및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의 두께를 조정함으로써, 평균 가소제량은 상기 범위 내로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도전층을 포함하는 접합 유리의 가시광 반사율과, 도전층을 포함하지 않는 것 이외에는 본 발명에서의 접합 유리에 상당하는 접합 유리의 가시 광 반사율과의 차는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가 작으면, 특히 탈것용 앞 유리 등의 양호한 전방 시인성이 요구되는 용도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의 도전층을 포함하는 접합 유리는 적합하게 사용된다. 접합 유리의 가시광 반사율은 JIS R 3106에 준하여 측정된다. 도전층의 저반사율 처리면이 승차 인물측 또는 관찰자측에 배치되도록 접합 유리를 구성하는 것, 또는 선상 도전성 재료의 선폭을 좁게 함으로써, 상기 차는 작게 할 수 있다.
실시예 1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 전혀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1]
폴리비닐 부티랄 수지 1(이하, 「수지 1」이라고 칭함) 및 폴리비닐 부티랄 수지 2(이하, 「수지 2」라고 칭함)를, 75:25의 질량비로 블렌드하고, 용융 혼련하여 스트랜드 상으로 압출하고, 펠렛화하였다. 얻어진 펠렛을 단축 압출기와 T 다이를 사용하여 용융 압출하고, 금속 탄성 롤을 이용하여 표면이 평활한 두께 50㎛의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 c를 얻었다.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의 제막성의 평가>
상기 펠렛을 단축 압출기로 용융 압출했을 때의 제막성을, 하기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A 제막성은 매우 양호하였다.
B 제막은 양호하였다.
C 착색 및 분해 가스의 발생이 일어났지만, 제막 가능하였다.
D 제막 불가능하였다.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을 구성하기 위한 수지의 피크 탑 분자량 및 분자량 분포의 측정>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을 구성하기 위한 수지를 GPC에 의해 분석하였다. GPC 분석에는, 분석 장치로서 Viscotek 제조 GPCmaxTDA305 및 RI 검출기를 이용하고, 컬럼으로서 Shodex 제조 GPC KF-806L 및 GPC KF-806L을 2개 연결하여 별도 선단에 가드 컬럼으로서의 Shodex 제조 KF-G를 연결한 것을 사용하고, THF 용매 및 표준 폴리스티렌(Agilent Technologies사 제조 Easical GPC/SEC Calibration Standards PS-1)을 사용하고, 해석 소프트웨어로서 OmniSE, C4.7를 사용하였다. 40℃, 주입량 100μL로 측정을 수행하여, 상기 수지의 피크 탑 분자량 및 분자량 분포를 구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내열 크리프성값 (1) 및 내열 크리프성값 (2)의 측정>
상기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의 내열성 크리프성값 (1) 및 내열 크리프성값 (2)를, 앞의 <내열 크리프성값 (1)의 측정 방법 (1)> 및 <내열 크리프성값 (2)의 측정 방법 (2)>의 단락에 기재한 방법에 각각 준하여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또한, 실시예 1, 및 후술하는 실시예 2 내지 6 및 비교예 1 내지 4에 있어서, 수지 1로서 사용한 수지 A 또는 C, 및 수지 2로서 사용한 수지 B의 물성값을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실시예 2 내지 3 및 비교예 1]
수지 1과 수지 2의 혼합 비율을 표 2에 기재한 비율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표면이 평활한 두께 50㎛의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 d, e 및 a를 각각 제조하였다.
이어서,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의 제막성을 평가하고,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을 구성하기 위한 수지의 피크 탑 분자량 및 분자량 분포를 구하여, 내열 크리프성값 (1) 및 내열 크리프성 값 (2)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2
표 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수지의 농도 10질량%의 톨루엔/에탄올=1/1(질량비) 용액의 점도가 200mPa·s보다 큰 수지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을 제작한 경우(실시예 1 내지 3)는, 우수한 내열 크리프성값 (1) 및 내열 크리프성값 (2)를 얻을 수 있었다. 이것은, 이러한 본 발명의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을 이용하여 접합 유리를 제작하면, 기능성층 또는 도전층의 변형 및 파괴가 양호하게 억제되고, 얻어진 접합 유리의 고온 하에서 유리의 어긋남이 양호하게 억제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한편, 수지의 농도 10질량%의 톨루엔/에탄올=1/1(질량비) 용액의 점도가 200mPa·s 이하인 수지를 사용하여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을 제작한 경우(비교 예 1)는, 30mm를 초과하는 내열 크리프성값 (1) 및 내열 크리프성값 (2) 밖에 얻을 수 없었다. 이러한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을 이용하여 접합 유리를 제작하면, 기능성층 또는 도전층의 변형 및 파괴는 충분히 억제되지 않고, 얻어진 접합 유리의 고온 하에서 유리의 어긋남도 충분히 억제되지 않는다.
[실시예 4]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 c에, 볼록판 인쇄법에 의해 UV 경화성 나노 은 잉크를 두께 10㎛가 되도록 인쇄하고, 선폭 300㎛, 피치 100㎛, 길이 5cm, 개수 20개의 선상 도전성 재료 패턴을 형성하였다. 상기 패턴에 UV광을 조사하여 잉크를 경화시켰다.
다음으로, 세로 10cm, 가로 10cm, 두께 3mm의 유리 위에, 상기 패턴을 부여한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을, 인쇄면이 위를 향하도록 배치하고, 상기 패턴의 선상 도전성 재료의 방향과는 직각으로, 각 선상 도전성 재료의 양 단부와 각각 겹치도록, 버스 바로서의 도전성 점착층을 갖는 동박 테이프(폭 5mm, 길이 15cm)를 붙였다. 또한, 각각의 버스 바의 단부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에서 돌출되어 나와 있고, 그 각 단부를 전극으로서 사용하였다. 계속해서, 그 위에, 가소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층으로서의 세로 10cm, 가로 10cm, 두께 0.76mm의 [수산기량 20.0질량% 및 점도 평균 중합도 1700을 갖는 폴리비닐 부티랄 수지(72질량%)와 3GO(28질량%)를 포함함] 자동차 앞 유리용 중간막을 포개고, 또한, 세로 10cm, 가로 10cm, 두께 3mm의 유리를 포개어 테이프로 고정하였다. 이 때, 선상 도전성 재료 패턴은 유리의 중앙에 배치하고, 각 전극 단부는 유리 단부에서 돌출되어 나오도록 배치하였다.
이어서, 얻어진 적층체를 진공 백에 넣어, 감압 하에 100℃에서 30분간 처리하고, 냉각 후에 감압을 해제하여, 프리라미네이트 후의 접합 유리를 꺼냈다. 동일하게 하여 얻어진 총 4개의 프리라미네이트 후의 접합 유리에 대하여, 버스 바의 단부와 접하는 부분의 상태를 관찰하여, 크랙이나 변형의 유무를 확인하였다.
그 후, 프리라미네이트 후의 접합 유리를 오토클레이브에 투입하여, 140℃, 1.2MPa에서 30분간 처리하였다. 얻어진 오토클레이브 후의 접합 유리를 전술한 것과 동일하게 관찰하였다.
프리라미네이트 후와, 오토클레이브 후의 크랙이나 변형의 유무를 하기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A: 선상 도전성 재료의 크랙이나 변형의 유무는 보이지 않았다.
B: 약간의 변형이 보였지만 선상 도전성 재료의 크랙은 보이지 않고, 실용 가능하였다.
C: 일부의 선상 도전성 재료에 크랙 및 변형이 보였다.
D: 선상 도전성 재료의 다수에 크랙 및 변형이 보여, 실용 불가능하였다.
[실시예 5 내지 6, 비교예 2 내지 4]
표 3에 나타낸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4와 동일하게 하여 접합 유리를 제작하여, 평가하였다.
Figure pct00003
표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수지의 농도 10질량%의 톨루엔/에탄올=1/1(질량비) 용액의 점도가 200mPa·s보다 큰 수지를 사용하여,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 중의 가소제의 양을,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의 총 질량에 기초하여 0 내지 20질량%으로 하여, 본 발명의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을 제작한 경우(실시예 4 내지 6)에는, 프리라미네이트 후 오토클레이브 후의 도전층의 선상 도전성 재료에 크랙이 보이지 않고, 실용 가능하였다.
한편, 수지의 농도 10질량%의 톨루엔/에탄올=1/1(질량비) 용액의 점도가 200mPa·s 이하인 수지를 사용하여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을 제작한 경우(비교 예 2 내지 3),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 중의 가소제의 양이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의 총 질량에 기초하여 22질량%인 경우(비교예 4)에는, 프리라미네이트 후에 도전층의 선상 도전성 재료로 변형이나, 변형 및 크랙이 보이고, 오토클레이브 후의 도전층의 선상 도전성 재료에 변형 및 크랙이 보여, 실용 불가능하였다.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 a 내지 m 및 o, p 및 q의 제조>
폴리비닐 부티랄 수지 1(이하, 「수지 1」이라고 칭함)을 용융 혼련하거나, 또는 수지 1 및 폴리비닐 부티랄 수지 2(이하, 「수지 2」라고 칭함)를 표 5 또는 표 8에 기재된 질량비로 용융 혼련하였다.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이 가소제를 포함하는 경우(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 j 및 m)에는, 가소제로서 소정량의 3GO를, 수지 1 및 수지 2와 함께 용융 혼련하였다. 다음에, 얻어진 용융 혼련물을 스트랜드상으로 압출하여, 펠렛화하였다. 얻어진 펠렛을, 단축의 압출기와 T 다이를 사용하여 용융 압출하고, 금속 탄성 롤을 사용하여 표면이 평활한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을 얻었다.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 a 내지 m의 두께는 표 5에,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 o, p 및 q의 두께는 표 8에 나타낸다.
또한,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 a 내지 m의 제조, 및 o, p 및 q의 제조에 있어서 사용한 수지 1 및 수지 2의 물성값을 표 4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4
[실시예 7]
<동박이 접합된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의 제조>
제조한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 c에, 단면이 흑화 처리된 두께 7㎛의 동박을, 흑화 처리면(이하, 흑화면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과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 c가 접하는 방향으로 포갰다. 여기서, JIS R 3106에 준하여 측정된 흑화 처리면의 가시 광선 반사율은 5.2%였다. 다음으로,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 c와 동박을 포갠 적층물의 상하를 두께 50㎛의 PET 필름으로 끼우고, 120℃로 설정한 열 압착 롤 사이를 통과(압력: 0.2MPa, 속도 0.5m/분)시킨 후, PET 필름을 벗김으로써, 동박이 접합된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을 얻었다.
<도전층을 갖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의 제조>
제조한, 동박이 접합된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의 동박 위에, 드라이 필름 레지스트를 라미네이트한 후, 포토리소그래피의 수법을 이용하여 에칭 저항 패턴을 형성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에칭 저항 패턴이 형성된, 동박이 접합된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을, 구리 에칭액에 침지하여 도전층(도전성 구조체)을 형성 한 후, 종래 방법에 의해, 잔존하는 포토레지스트층을 제거하였다. 이로써, 도전층을 갖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을 얻었다. 이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은,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과 도전층 사이에 접착제층을 갖고 있지 않다. 도전층은, 세로가로 각 5cm의 정사각형 내부에, 선폭 10㎛의 구리선이 500㎛ 간격으로 격자상으로 늘어선 구리 메쉬 구조를 갖고, 그 상변 및 하변이 버스 바에 상당하는 폭 5mm의 구리선 구조와 접속된 구조를 갖고 있었다.
[실시예 8 내지 14, 비교예 5 내지 6]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 c 대신에, 표 5에 기재된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 d 내지 j, a와 b를 각각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7과 동일하게 하여, 도전층을 갖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15]
단면이 흑화 처리된 두께 7㎛의 동박을, 금속 광택면과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 c가 접하는 방향으로 포갠 것 이외에는 실시예 7과 동일하게 하여, 도전층을 갖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을 얻었다. 여기서, JIS R 3106에 준하여 측정된 금속 광택면의 가시 광선 반사율은 63%였다.
[실시예 16]
포토리소그래피에 사용되는 포토마스크의 선폭을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 예 7과 동일하게 하여, 도전층을 갖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을 얻었다. 도전층은, 세로가로 각 5cm의 정사각형 내부에, 선폭 5㎛의 구리선이 500㎛ 간격으로 격자상으로 늘어선 구리 메쉬 구조를 갖고, 그 상변 및 하변이 버스 바에 상당하는 폭 5mm의 구리선 구조와 접속된 구조를 갖고 있었다.
[실시예 17]
구리선의 선폭이 20㎛가 되도록 조정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6과 동일하게 하여, 도전층을 갖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을 얻었다. 도전층은, 세로가로 각 5cm의 정사각형의 내부에, 선폭 20㎛의 구리선이 1000㎛ 간격으로 격자상으로 늘어선 구리 메쉬 구조를 갖고, 그 상변 및 하변이 버스 바에 상당하는 폭 5mm의 구리선 구조와 접속된 구조를 갖고 있었다.
[실시예 18]
구리선의 선폭이 30㎛가 되도록 조정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6과 동일하게하여, 도전층을 갖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을 얻었다. 도전층은, 세로가로 각 5cm의 정사각형 내부에, 선폭 30㎛의 구리선이 1500㎛ 간격으로 격자상으로 늘어선 구리 메쉬 구조를 갖고, 그 상변 및 하변이 버스 바에 상당하는 폭 5mm의 구리선 구조와 접속된 구조를 갖고 있었다.
[실시예 19]
구리선의 선폭이 40㎛가 되도록 조정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6과 동일하게 하여, 도전층을 갖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을 얻었다. 도전층은, 세로가로 각 5cm의 정사각형 내부에, 선폭 40㎛의 구리선이 2000㎛ 간격으로 격자상으로 늘어선 구리 메쉬 구조를 갖고, 그 상변 및 하변이 버스 바에 상당하는 폭 5mm의 구리선 구조와 접속된 구조를 갖고 있었다.
[실시예 20]
포토리소그래피에 사용하는 포토마스크의 구조를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 예 7과 동일하게 하여, 도전층을 갖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을 얻었다. 도전층은, 선폭 10㎛의 구리선이 500㎛ 간격으로 직선상으로 늘어선 구조를 갖고, 그 각 직선의 양 단이 버스 바에 상당하는 폭 5mm의 구리선 구조와 접속된 구조를 갖고 있었다.
[실시예 21]
포토리소그래피에 사용하는 포토마스크의 구조를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 예 7과 동일하게 하여, 도전층을 갖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을 얻었다. 도전층은, 선폭 10㎛의 구리선이 500㎛ 간격으로 파선상으로 늘어선 구조를 갖고, 그 각 파선의 양 단이 버스 바에 상당하는 폭 5mm의 구리선 구조와 접속된 구조를 갖고 있었다.
[실시예 22]
포토리소그래피에 사용하는 포토마스크의 구조를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 예 7과 동일하게 하여, 도전층을 갖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을 얻었다. 도전층은, 선폭 10㎛의 구리선이 500㎛ 간격으로 지그재그선상으로 늘어선 구조를 갖고, 그 각 지그재그선의 양 단이 버스 바에 상당하는 폭 5mm의 구리선 구조와 접속된 구조를 갖고 있었다.
[비교예 11]
실시예 23으로서의 수지 필름의 제작 및 평가는 하지 않았다.
비교예 11로서,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 c 대신에,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 k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7과 동일하게 하여, 도전층을 갖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24]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 c 대신에,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 l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7과 동일하게 하여, 도전층을 갖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25]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 c에 동박을 접합할 때에, 열 압착 롤을 사용하여 접합한 것 대신에, 아크릴레이트계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7과 동일하게 하여, 도전층을 갖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7]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 c 대신에,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 m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7과 동일하게 하여, 도전층을 갖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8]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 c 대신에 PET 필름(두께 50㎛)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5와 동일하게 하여, 도전층을 갖는 PET 필름을 얻었다.
<접합 유리의 제작>
실시예 7 내지 25 및 비교예 5 내지 7에서 얻은 도전층을 갖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 및 비교예 8에서 얻은 도전층을 갖는 PET 필름을 각각, 세로 5cm, 가로 5cm로 잘라내고, 세로 10cm, 가로 10cm, 두께 3mm의 유리 위에 배치하였다. 이때, 상기 필름의 도전층을 갖지 않는 면이 유리와 접하는 방향으로, 또한 도전층이 유리의 중앙 부근에 오도록 배치하였다. 다음으로, 도전층의 양 단부에 있는 각각의 버스 바(5mm 폭 구리선)에, 전극(도전성 점착제 부착 동박 테이프)을, 유리에서 밖으로 각 전극 단부가 돌출되도록 부착하였다. 또한, 그 위에, 가소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층으로서의 세로 10cm, 가로 10cm, 두께 0.76mm의 [수산기량 20.0질량% 및 점도 평균 중합도 1700을 갖는 폴리비닐 부티랄 수지(72질량%)와 3GO(28질량%)를 포함함] 자동차 앞 유리용 중간막, 및 세로 10cm, 가로 10cm, 두께 3mm의 유리를 포개어 배치하였다.
이어서, 이것을 진공 백에 넣고, 진공 펌프를 사용하여 실온에서 15분간 감압으로 한 후, 감압한 채로 100℃까지 승온하고, 그대로 60분간 가열하였다. 강온 후, 상압으로 되돌리고, 프리라미네이트 후의 접합 유리를 꺼냈다.
그 후, 이것을 오토클레이브에 투입하고, 140℃, 1.2MPa에서 30분간 처리하여, 접합 유리를 제작하였다.
<도전층의 상태의 평가>
프리라미네이트 후 및 오토클레이브 후의 도전층의 상태를, 확대경을 이용하여 육안 관찰하여, 선상 도전성 재료의 변형 및 단선의 유무를 하기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5, 표 7 및 표 8에 나타낸다.
A 변형 및 단선은 보이지 않았다.
B 부분적으로 변형은 보였지만, 단선은 보이지 않았다.
C 아주 조금 단선이 보였다.
D 단선이 현저하였다.
<통전성의 평가>
각각의 버스 바에 붙인 2개의 전극 간의 저항을, 테스터로 측정하였다. 접 합 유리 제작 전후에 저항값을 측정하여, 통전성을 하기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5, 표 7 및 표 8에 나타낸다.
A 접합 유리 제작 후의 저항값이 접합 유리 제작 전의 저항값의 1.5배 이내로 극히 양호.
B 접합 유리 제작 후의 저항값이 접합 유리 제작 전의 저항값의 1.5배를 초과 2배 이내로 양호.
C 접합 유리 제작 후의 저항값이 접합 유리 제작 전의 저항값의 2배를 초과 4배 이내이지만 실용 가능.
D 접합 유리 제작 후의 저항값이 접합 유리 제작 전의 저항값의 4배를 초과하여, 실용 불가능.
<헤이즈의 측정>
실시예 7 내지 25 및 비교예 5 내지 7에서 얻은 도전층을 갖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 및 비교예 8에서 얻은 도전층을 갖는 PET 필름을 각각, 세로 5cm, 가로 5cm로 잘라내고, 세로 5cm, 가로 5cm, 두께 3mm의 유리 위에 배치하였다. 이때, 상기 필름의 도전층을 갖지 않는 면이 유리와 접하는 방향으로 배치하였다. 그 위에, 가소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층으로서의 세로 5cm, 가로 5cm, 두께 0.76mm의 [수산기량 20.0질량% 및 점도 평균 중합도 1700을 갖는 폴리비닐 부티랄 수지(72질량%)와 3GO(28질량%)를 포함함] 자동차 앞 유리용 중간막, 및 세로 5cm, 가로 5cm, 두께 3mm의 유리를 포개어 배치하였다.
이어서, 이것을 진공 백에 넣고, 진공 펌프를 사용하여 실온에서 15분간 감압으로 한 후, 감압한 채로 100℃까지 승온하고, 그대로 60분간 가열하였다. 강온 후, 상압으로 되돌리고 프리라미네이트 후의 접합 유리를 꺼냈다.
그 후, 이것을 오토클레이브에 투입하고, 140℃, 1.2MPa에서 30분간 처리하여, 접합 유리를 제작하였다.
얻어진 도전층을 갖는 상기 접합 유리의 각각에 대하여, 흑화 처리면측으로부터 광을 조사한 경우의 헤이즈와, 금속 광택 표면측으로부터 광을 조사한 경우의 헤이즈를, 헤이즈 미터를 사용하여 JIS R3106에 준하여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5에 나타낸다.
<도전층의 시인성의 관능 평가>
흑화 처리면측을 관찰자를 향하게 한 접합 유리를, 관찰자로부터 약 50cm 떨어진 위치에 배치하고, 관찰자가 유리를 통해 5m 앞을 보았을 때에, 도전층의 구리선을 시인할 수 있는지 여부를, 하기 기준으로 관능적으로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5에 나타낸다.
A 거의 신경이 쓰이지 않고 극히 양호.
B 초점을 어긋나게 했을 때에 조금 신경 쓰였지만 양호.
C 조금 신경 쓰였지만 실용 가능.
D 신경이 쓰여서 실용 불가능.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의 단부의 시인성의 관능 평가>
상기 <접합 유리의 제작>에 따라 제작한 접합 유리를 2주간 실온에서 방치한 후, 자동차 앞 유리용 중간막보다 치수가 작은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의 단부를, 육안으로 판별할 수 있는지 여부를, 하기 기준으로 관능적으로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5에 나타낸다.
A 전혀 판별할 수 없어 매우 양호.
B 잘 보면 판별할 수 있는 부분이 있었지만 양호.
C 잘 보면 확인할 수 있었지만 실용 가능.
D 명확하게 판별할 수 있어, 실용 불가능.
<평균 가소제량>
가소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층으로서의 자동차 앞 유리용 중간막에 포함되는 가소제가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으로 이행되어, 자동차 앞 유리용 중간막에 포함되는 가소제량이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에 포함되는 가소제량과 같은 정도가 되었을 때의 가소제량(계산값)을, 하기 식에 따라 산출하였다. 결과를 표 5에 나타낸다.
평균 가소제량(질량%)=(A×a+B×b)/(a+b)
A(질량%): 가소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층의 가소제량
a(mm): 가소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층의 두께
B(질량%):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의 가소제량
b(mm):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의 두께
Figure pct00005
표 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 중의 가소제의 양이 본 발명에서 규정하고 있는 범위 내일 때, 접합 유리의 제작시에서의 도전층의 변형 및 단선이 적고, 통전성이 양호하였다. 또한,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과 도전층 사이에 접착제층을 갖지 않을 때,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을 이용하여 제작된 접합 유리에, 흑화 처리면측에서 광을 조사한 경우의 헤이즈 및 금속 광택 표면측에서 광을 조사한 경우의 헤이즈는, 모두 양호한 값을 나타냈다.
[실시예 26 내지 29]
실시예 26, 27 및 29에서는, 실시예 7에서 제조한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을 사용하여, 표 6에 나타낸 접합 유리의 구성으로, 후술하는 가시광 반사율 측정용 접합 유리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28에서는, 실시예 15에서 제조한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을 사용하여, 표 6에 나타낸 접합 유리의 구성으로, 후술하는 가시광 반사율 측정용 접합 유리를 제작하였다. 구체적으로는, 표 6에 나타낸 접합 유리의 구성으로, 세로 5cm, 가로 5cm, 두께 3mm의 유리, 세로 5cm, 세로 5cm로 잘라낸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 가소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층으로서의 세로 5cm, 가로 5cm, 두께 0.76mm의 [수산기량 20.0질량% 및 점도 평균 중합도 1700을 갖는 폴리비닐 부티랄 수지(72질량%)와 3GO(28질량%)를 포함함] 자동차 앞 유리용 중간막을 포개어 배치하고, 이것을 진공 백에 넣고, 진공 펌프를 사용하여 실온에서 15분간 감압으로 한 후, 감압한 채로 100℃까지 승온하고, 그대로 60분간 가열하였다. 강온 후, 상압으로 되돌리고, 프리라미네이트 후의 접합 유리를 꺼냈다. 그 후, 이것을 오토클레이브에 투입하고, 140℃, 1.2MPa에서 30분간 처리하여, 접합 유리를 제작하였다. 얻어진 가시광 반사율 측정용 접합 유리의 내측 유리(승차 인물측을 상정)에서 광을 조사했을 때의 가시광 반사율을 JIS R 3106에 준하여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6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6
[실시예 30 내지 33]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과 동박을 접합할 때의 온도가 박리 강도, 도전층의 상태 및 통전성에 미치는 영향의 평가>
A4 사이즈의 동박에 A4 사이즈의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 c를 포개고, 단부 8cm가 가열 압착되지 않도록, 표 7에 기재된 온도에서 가열 압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7과 동일하게 하여, 동박이 접합된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을 얻었다. 가열 압착하지 않은 단부가 인장 시험기의 척(chuck)에 끼우는 부분이 되도록, 얻어진 수지 필름을 1cm 폭의 스트립 형상으로 절단하고, 척 간 거리 4cm, 인장 속도 100mm/분으로 인장 시험을 수행하여, 20mm마다의 박리력을 아웃풋하고, 그 평균값을 박리 강도로 하였다.
또한, 표 7에 기재된 온도에서 가열 압착하여 동박을 접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7과 동일하게 하여, 도전층의 상태(격자상)의 평가 및 통전성의 평가를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7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7
표 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 c와 동박을 100℃ 이상의 온도에서 접합한 경우(실시예 30 내지 33),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 c와 동박과의 양호한 박리 강도가 얻어지고, 프리라미네이트 후에도 오토클레이브 후에도 도전층의 선상 도전성 재료의 형상이 양호하게 유지되어 양호한 통전성이 얻어졌다. 또한, 접합 온도가 100℃보다 높은 경우(실시예 31 내지 33)에는, 오토클레이브 후에도 도전층의 선상 도전성 재료의 형상으로 변형은 보이지 않고, 매우 양호하게 형상이 유지되고, 통전성도 매우 양호하였다. 이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을 이용하여 접합 유리를 제작하면, 기능성층 또는 도전층의 변형 및 파괴가 양호하게 억제되고, 얻어지는 접합 유리의 고온 하에서의 유리의 어긋남이 양호하게 억제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34 내지 37]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의 표면 거칠기가 도전층의 선상 도전성 재료의 형상 유지에 미치는 영향>
실시예 34에서는, 실시예 7의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 c의 표면 거칠기 를 가부시키가이샤 미츠토요 제조 서프 테스트 SJ-310(측정력: 0.75mN, 스타일러스 형상: 선단 반경 2㎛R/선단 각도 60°)을 이용하여 JIS B 0601-1994에 준거하여 평가하였다. 또한, 실시예 7의 필름 c는, 금속 탄성 롤 및 경면 금속 냉각 롤을 이용하여 제작한 것이다. Rz 및 Sm의 표면 거칠기의 측정에서는, 필름 c의 제작시에 경면 금속 냉각 롤과의 접촉면인 측을 평가하였다.
실시예 35에서는, 실시예 34에서 얻어진 필름 c에서, 금속 탄성 롤과의 접촉면에 대하여 실시예 34와 동일하게 평가하였다. 당해 필름을 실시예 35에서는, 필름 q라고 칭하기로 한다.
실시예 36에서는, 금속 탄성 롤 대신에 고무 탄성 롤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4와 동일하게 하여 얻어진,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 o의, 경면 금속 냉각 롤측과의 접촉면에 대하여, 실시예 34와 동일하게 평가하였다.
실시예 37에서는, 금속 탄성 롤 대신에 고무 탄성 롤을 사용하고, 경면 금속 냉각 롤측 대신에 엠보스 롤을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4와 동일하게 하여 얻어진,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 p의, 엠보스 롤측과의 접촉면에 대하여, 실시예 34와 동일하게 평가하였다.
상기 실시예 34 내지 37의 평가 결과를 표 8에 나타낸다. 또한, 실시예 34 내지 37에서는, 실시예 7과 동일하게 하여, 도전층의 상태와 통전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8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8
표 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의 10점 평균 거칠기 Rz가 작고, 요철의 평균 간격 Sm이 큰 경우(실시예 34)에, 프리라미네이트 후에도 오토클레이브 후에도 도전층의 형상이 양호하게 유지되었다. 이것은,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의 표면이 평활하면,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과 동박과의, 보다 균일하고 얼룩이 없는 접합이 가능한 것을 나타낸다. 이로써, 본 발명의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을 이용하여 접합 유리를 제작하면, 기능성층 또는 도전층의 변형 및 파괴가 양호하게 억제되고, 얻어지는 접합 유리의 고온 하에서의 유리의 어긋남이 양호하게 억제된다.
다음으로,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의 융점 및 유리 전이 온도 중, 가장 높은 온도가 30℃ 이상 180℃ 이하인 것이, 곡면을 갖는 유리와 적층한 경우의 당해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의 곡면 추종성에 미치는 영향, 접착제가 헤이즈에 미치는 영향, 및 흑화 처리가 광의 반사(도전층의 시인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의 제조>
폴리비닐 부티랄 수지 1(이하, 「수지 1」이라고 칭함)을 용융 혼련하거나, 또는 수지 1 및 폴리비닐 부티랄 수지 2(이하, 「수지 2」라고 칭함)를 표 10에 기재된 질량비로 용융 혼련하였다.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이 가소제를 포함하는 경우(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 r 내지 t)에는, 소정량의 3GO를, 수지 1과 함께, 또는 수지 1과 수지 2와 함께 용융 혼련하였다. 다음에, 얻어진 용융 혼련물을 스트랜드상으로 압출하고, 펠렛화하엿다. 얻어진 펠렛을, 단축의 압출기와 T 다이를 사용하여 용융 압출하고, 금속 탄성 롤을 이용하여 표면이 매끄러운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 a, c 및 r 내지 t를 얻었다. 이용한 폴리비닐 부티랄 수지(A, B 및 D)를 표 9에, 제조한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 또는 사용한 PET를 표 10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9
Figure pct00010
[참고예 1]
<동박이 접합된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의 제조>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 a에, 한면이 흑화 처리된 두께 7㎛의 동박을, 흑화 처리면과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 a가 접하는 방향으로 포갰다. 여기서, JIS R 3205(2005)에 준하여 측정된 흑화 처리면의 가시광 반사율은 5.2%였다. 다음으로,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과 동박을 포갠 적층물의 상하를 두께 50㎛의 PET 필름으로 끼우고, 140℃로 설정한 열 압착 롤의 사이를 통과(압력: 0.2MPa, 속도 0.5m/분)시킨 후, PET 필름을 벗김으로써, 동박이 접합된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 a를 얻었다.
<도전층을 갖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의 제조>
동박이 접합된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 a의 동박 위에, 드라이 필름 레지스트를 라미네이트한 후, 포토리소그래피의 수법을 이용하여 에칭 저항 패턴을 형성하였다. 또한, 구리 에칭액에 침지하여 도전성 구조체(도전층)를 형성한 후, 종래 방법에 의해, 잔존하는 포토레지스트층을 제거하였다. 이로써,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 a와, 상기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 위에 형성된 동박에 기초하는 도전층을 갖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도전층 형성 영역: 선상 도전성 재료(배선) 긴 길이 방향 10cm, 선상 도전성 재료 짧은 길이 방향 5cm]을 얻었다. 이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은,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 a와 도전층 사이에 접착제층을 갖고 있지 않다. 도전층은 선폭 10㎛의 파선상의 구리선이 1mm 간격으로 늘어선 구조를 갖고, 구리끼리는 서로 교차하고 있지 않고, 각각의 양 단부의 거리가 10cm이며, 각각의 상단부 및 하단부가 버스 바에 상당하는 폭 5mm의 동선 구조와 접속된 구조를 가지고 있었다.
<도전층의 상태의 평가>
도전층의 상태를 확대경을 사용하여 육안 관찰하여, 하기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1에 나타낸다.
A 변형 및 단선은 보이지 않았다.
B 부분적으로 변형은 보였지만, 단선은 보이지 않았다.
C 아주 조금 단선이 보였다.
D 단선이 현저하였다.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의 흑화 처리>
흑화액(시포스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2mL를 이온 교환수 100mL에 첨가하고, 1분간 교반함으로써 흑화 처리액을 조제하였다. 제조한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의 도전층이 흑화 처리액에 면하도록 배치하고, 25℃, 3분간 침지시켜, 상기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을 이온 교환수로 세정함으로써, 흑화 처리를 하였다. 이 처리에 의해, 도전층의 모든 면이 흑화 처리된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을 얻었다.
<평판 접합 유리의 제작>
참고예 1에서 얻은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을, 도전층 및 버스 바가 전부 포함되도록, 세로 13cm, 가로 7cm로 잘라내어, 세로 20cm, 가로 10cm, 두께 3mm의 유리 위에 배치하였다. 이때, 상기 필름의 도전층을 갖지 않는 면이 유리와 접하는 방향이고, 또한 도전층이 유리의 중앙 부근에 오도록 배치하였다. 다음으로, 도전층의 양 단부에 있는 각각의 버스 바(5mm폭 구리선)에 전극(도전성 점착제 부착 동박 테이프)을, 유리로부터 밖으로 각 전극 단부가 돌출되도록 붙였다. 또한, 그 위에, 가소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층으로서의 세로 20cm, 가로 10cm, 두께 0.76mm의 [수산기량 28.8질량% 및 점도 평균 중합도 1700을 갖는 폴리비닐 부티랄 수지(72질량%)와 3GO(28질량%)를 포함함] 자동차 앞 유리용 중간막, 및 세로 20cm, 가로 10cm, 두께 3mm의 유리를 포개어 배치하였다.
이어서, 이것을 진공 백에 넣고, 진공 펌프를 사용하여 실온에서 15분간 감압으로 한 후, 감압한 채로 100℃까지 승온하고, 그대로 60분간 가열하였다. 강온 후, 상압으로 되돌리고, 프리라미네이트 후, 오토클레이브에 투입하고, 140℃, 1.2MPa에서 30분간 처리하여, 평판 접합 유리를 제작하였다.
<곡면 접합 유리의 제작>
세로 20cm, 가로 10cm, 두께 3mm의 유리 대신에, 시계 접시[직경: 150mm, 곡률 반경(R): 139.7mm]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상기 <평면 접합 유리의 제작>과 동일하게 하여 곡면 접합 유리를 제작하였다.
<도전층의 시인성의 관능 평가>
흑화액으로 흑화 처리한 면측을 관찰자를 향하게 한 접합 유리를, 관찰자의 시선에서 약 50cm 떨어진 위치에, 도전층이 지면과 수평으로 늘어서도록 접합 유리를 설치하고, 관찰자와 유리를 사이에 둔 반대측의 접합 유리면에서 5cm 떨어진 위치에 지면과 수평 방향의 선 발광 LED 라이드를 설치하였다. LED 라이트의 광원과, 접합 유리면으로의 입광점과, 관찰자의 시선을 이은 각도가 180°, 135°, 90°, 45°의 4점이 되도록 LED 라이트를 설치하는 동시에 유리가 당해 각도를 이등분 각도로 배치하고, 도전층의 금속 광택이 시인되는 각도의 수에 따른 하기에 나타내는 기준으로 시인성을 평가하였다. 광의 유무로 도전층의 외관이 변화하는 경우에 「금속 광택이 시인된다」고 판단하였다.
A 금속 광택이 시인되는 각도 0개; 선상 도전성 재료는 거의 시인할 수 없고, 또한 모든 각도에서 시인성 양호.
B 금속 광택이 시인되는 각도 0개; 선상 도전성 재료는 시인할 수 있지만, 모든 각도에서 시인성 양호.
C 금속 광택이 시인되는 각도 1 내지 2개; 시인성은 대체로 양호하지만, 일부 각도에서 시인성 불량.
D 금속 광택이 시인되는 각도 3 내지 4개; 시인성 불량.
<곡면 추종성의 평가>
얻어진 곡면 접합 유리의 도전층을 관찰하고, 하기 기준으로 곡면 추종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1에 나타낸다.
A 단선 없음, 및 선상 도전성 재료에 큰 변형부 없음.
B 5% 이하의 선상 도전성 재료에 단선이 보임, 또는 약간의 선상 도전성 재료 변형 있음.
C 20% 이하의 선상 도전성 재료에 단선이 보임, 또 명백한 선상 도전성 재료 변형 있음.
D 20%를 넘는 선상 도전성 재료에 단선이 보임, 또는 큰 선상 도전성 재료 변형 있음.
[실시예 38]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 a 대신에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 c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참고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모든 면이 흑화 처리된 도전층을 갖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 평판 접합 유리, 및 곡면 접합 유리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39]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 a 대신에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 r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참고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모든면이 흑화 처리된 도전층을 갖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 평판 접합 유리, 및 곡면 접합 유리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40]
선상 도전성 재료폭을 5㎛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8과 동일하게 하여, 모든 면이 흑화 처리된 도전층을 갖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 평판 접합 유리, 및 곡면 접합 유리를 제작하였다.
[참고예 2]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 a 대신에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 s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참고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모든 면이 흑화 처리된 도전층을 갖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 및 곡면 접합 유리를 제작하였다.
또한, 평판 접합 유리의 제작에 있어서, 유리와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 사이에 PET 필름(두께 50㎛)을 끼운 것 이외에는 참고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평판 접합 유리를 제작하였다. 1주간마다 PET 필름을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으로부터 벗기고,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 중에 포함되는 가소제량을 반사 IR(ATR)에 의해 정량 추적하였다. 그 결과, 4주간 후에는 가소제량이 38질량%를 초과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 s를 사용한 경우, 본 발명의 접합 유리에 차음 성능을 부여할 수 있음이 판명되었다.
[비교예 9]
<저Tg 필름: 고가소제량(28질량%)의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 a 대신에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 t(융점 없음, 유리 전이 온도 중 가장 높은 온도 17℃)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참고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참고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도전층의 형성을 시도했으나, 단선이 보였다.
[비교예 10]
<고융점 필름: PET>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 a 대신에 표 10에 기재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PET층, 두께 50㎛, 융점 260℃)를 이용하여, 동박을 접합할 때에 열압착 롤을 사용하여 접합한 것 대신에 아크릴레이트계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 한 것 이외에는 참고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모든 면이 흑화 처리된 도전층을 갖는 PET 필름 평판 접합 유리 및 곡면 접합 유리를 제작하였다.
[참고예 3]
<도전층과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과의 접합면만을 흑화 처리>
도전층을 형성한 후에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을 흑화 처리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참고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 평판 접합 유리, 및 곡면 접합 유리를 제작하였다.
[참고예 4]
<도전층과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과의 접합면 이외의 흑화 처리>
흑화 처리되어 있지 않은 동박 표면을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 a와 접합 한 것 이외에는, 참고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흑화 처리된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 평판 접합 유리, 및 곡면 접합 유리를 제작하였다.
Figure pct00011
상기와 같이, 융점 및 유리 전이 온도 중, 가장 높은 온도가 30℃ 이상 180℃ 이하인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 도전층 부착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실시 예 38 내지 40 및 참고예 1 내지 2)는, 곡면 추종성이 뛰어나고, 곡면을 갖는 유리와 적층한 경우에도 선상 도전성 재료의 단선은 보이지 않았다. 또한, 도전층의 표면의 모든 면이 저반사율 처리되어 있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은, 어느 방향으로부터의 강한 광에 대해서도, 예기치 못한 광의 반사를 유발하지 않고, 전방 시인성이 우수하였다(실시예 38 내지 40 및 참고예 1 내지 2). 따라서, 이러한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을 이용한 접합 유리는, 야간에도 전방 시인성이 양호하므로, 특히 자동차 앞 유리에 적합하다. 또한,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를 이용한 실시 예 38 내지 40 및 참고예 1 내지 2에서는, 가소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층과의 계면에서의 접합성이 우수하고, 광학 변화가 극히 적다는 특성도 겸비하였다.
10 내열 크리프성값 측정용의 접합 유리
11 유리 A
12 유리 B
13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과 가소화 폴리비닐 부티랄 수지층과의 적층체
13A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
13B 두께 0.76mm의 가소화 폴리비닐 부티랄 수지층
13C 두께 0.38mm의 가소화 폴리비닐 부티랄 수지층
13D 두께 0.38mm의 가소화 폴리비닐 부티랄 수지층
20 철판이 접착된 내열 크리프성값 측정용의 접합 유리
21 철판

Claims (32)

  1. 접합 유리용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으로서,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 중의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의, 브룩필드형(B형) 점도계를 이용하여 20℃, 30rpm으로 측정된, 농도 10질량%의 톨루엔/에탄올=1/1(질량비) 용액의 점도가 200mPa·s보다 크고,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 중의 가소제의 양이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의 총 질량에 기초하여 0 내지 20질량%이며, 10 내지 350㎛의 두께를 갖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과, 아세탈화도 69 내지 71몰% 또한 아세틸기로서의 아세트산 비닐 단위의 함유량 1몰% 이하의 폴리비닐 부티랄 수지 72질량% 및 트리에틸렌글리콜-비스-(2-에틸헥사노에이트) 28질량%를 함유하는 두께 0.76mm의 1장의 가소화 폴리비닐 부티랄 수지층을 접합하여 측정된 내열 크리프성을 나타내는 값이 10mm 이하이고, 내열 크리프성을 나타내는 값의 측정은, 상기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과 상기 가소화 폴리비닐 부티랄 수지층을 접합하여 폭 100mm 및 길이 270mm의 치수로 커트한 시료를, 길이 방향으로 30mm 어긋나게 한 폭 100mm, 길이 300mm 및 두께 3mm의 유리 A 및 B 사이에 들어가도록, 유리 A/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가소화 폴리비닐 부티랄 수지층/유리 B의 순으로 배치하여 접합하고, 유리 B의, 가소화 폴리비닐 부티랄 수지층과의 접합면과 반대측면에 1kg의 철판을 접착제로 접착하고, 길이 방향으로 30mm 돌출되어 있는 부분을 위로 하여, 철판 부착 시료가 수평면에 대하여 80 내지 90°가 되고, 유리 B의 철판이 접착된 부분이 시료 상부 또는 상면이 되도록 유리 A를 고정한 상태에서, 100℃의 항온조에 1주간 방치한 후에, 유리 B의 어긋난 거리(mm)를 측정하는 방법에 의해 수행하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을, 아세탈화도 69 내지 71몰% 또한 아세틸기로서의 아세트산 비닐 단위의 함유량 1몰% 이하의 폴리비닐 부티랄 수지 72질량% 및 트리에틸렌글리콜-비스-(2-에틸헥사노에이트) 28질량%를 함유하는 두께 0.38mm의 2장의 가소화 폴리비닐 부티랄 수지층의 사이에 배치하여 접합하고, 제2항에서 기재한 내열 크리프성을 나타내는 값의 측정과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되는 내열 크리프성을 나타내는 값이 10mm 이하인,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 중의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의 분자량 분포가 2.7 이상인,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 중의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가, 점도 평균 중합도가 다른 적어도 2개의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의 혼합물이거나, 또한 점도 평균 중합도가 다른 적어도 2개의 폴리비닐 알코올계 수지 혼합물의 아세탈화물인,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이 알칼리 금속염 및/또는 알칼리 토류 금속염을 포함하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 중의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의 수산기량이 26 내지 34몰%인,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 중의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의 수산기량이 12 내지 26몰%인,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의 적어도 한면에, 기능성층을 갖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의 적어도 한면에, 기능성층을 구성하는 재료를 코팅, 인쇄 또는 라미네이트하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의 제조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층이 도전층인,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의 도전층을 갖는 면 위에 다른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을 갖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층이 금속박에 기초하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과 상기 기능성층 사이에, 상기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과의 굴절률차가 0.01 이상의 접착제층을 갖지 않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과 상기 기능성층 사이에 접착제층을 갖지 않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
  16.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층이 선상, 격자상 또는 망상의 형상을 갖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
  17. 제11항 내지 제13항 및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층이 선폭 0.01 내지 5mm의 복수의 선상 도전성 재료로 구성되어 있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
  18. 제11항 내지 제13항 및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층이 선 폭 1 내지 30㎛의 복수의 선상 도전성 재료로 구성되어 있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
  19. 제11항 내지 제13항 및 제16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층을 형성하는 도전성 재료가 은 또는 동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
  20. 제11항 내지 제13항 및 제16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층의 한면 또는 양면이 저반사율 처리되어 있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
  21. 제11항 내지 제13항 및 제16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층의 표면의 전체 면이 저반사율 처리되어 있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
  22.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저반사율 처리가 흑화 처리인,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
  23. 제11항 내지 제13항 및 제16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층에 접속된 버스 바를 갖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
  24. 제23항에 있어서, 버스 바가 도전층과 일체 성형된 것인,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
  25. 제13항 및 제16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금속박과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을 접합시키는 공정, 및 상기 공정에서 얻어진 금속박 부착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으로 도전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의 제조 방법.
  26. 복수의 투명 기재 사이에, 제9항 및 제11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을 갖는, 적층체.
  27. 복수의 투명 기재 사이에, 제23항 또는 제24항에 기재된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을 갖는 적층체로서, 상기 버스 바에 접속된 전극을 갖는 적층체.
  28. 제26항 또는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이 상기 투명 기재와 직접 접하고 있는, 적층체.
  29. 제26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투명 기재 사이에, 가소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층을 추가로 갖는, 적층체.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 중의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의 수산기량과, 상기 가소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층을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 중의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의 수산기량과의 차가, 비닐 알코올 단위의 질량%의 차로서 4질량% 이하인, 적층체.
  31. 제29항 또는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층 또는 상기 도전층이 상기 가소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층과 직접 접하고 있는, 적층체.
  32. 제29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소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층이, 특정 파장 광 차폐 기능, 차열 기능, 차음 기능, 발광 기능, 디스플레이 기능 및 이중상 방지 기능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갖는, 적층체.
KR1020197031566A 2017-03-27 2018-03-27 접합 유리용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 KR2019012808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061694 2017-03-27
JPJP-P-2017-061694 2017-03-27
JPJP-P-2017-061690 2017-03-27
JP2017061690 2017-03-27
JP2017092575 2017-05-08
JPJP-P-2017-092575 2017-05-08
PCT/JP2018/012553 WO2018181386A1 (ja) 2017-03-27 2018-03-27 合わせガラス用のポリビニルアセタール樹脂フィル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8080A true KR20190128080A (ko) 2019-11-14

Family

ID=63676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1566A KR20190128080A (ko) 2017-03-27 2018-03-27 접합 유리용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필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504951B2 (ko)
EP (1) EP3616905A4 (ko)
JP (2) JP6457708B1 (ko)
KR (1) KR20190128080A (ko)
CN (1) CN110494283B (ko)
WO (1) WO20181813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48550B2 (ja) * 2017-12-28 2022-10-05 クラレイ ユーロップ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回路付きフィルム
WO2020067082A1 (ja) * 2018-09-26 2020-04-02 株式会社クラレ 可塑剤が吸収されてなるポリビニルアセタール樹脂フィルムの製造方法
CN112739754B (zh) * 2018-09-26 2023-07-21 可乐丽欧洲有限责任公司 聚乙烯醇缩醛树脂薄膜和其薄膜卷以及层叠体
WO2020067083A1 (ja) * 2018-09-26 2020-04-02 株式会社クラレ 積層フィルム
EP3858896A4 (en) * 2018-09-26 2022-06-22 Kuraray Europe GmbH POLYVINYL ACETAL RESIN FILM AND MULTILAYER BODY CONTAINING THE SAME
EP3858895A4 (en) 2018-09-26 2022-07-06 Kuraray Europe GmbH POLYVINYLACETAL RESIN FILM AND LAMINATE WITH IT
JP2020083688A (ja) * 2018-11-21 2020-06-04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US11446903B2 (en) * 2019-11-25 2022-09-2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ultilayer glass panel for a vehicl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CN115003643A (zh) * 2020-03-31 2022-09-02 积水化学工业株式会社 夹层玻璃用中间膜及夹层玻璃
JPWO2021256554A1 (ko) * 2020-06-18 2021-12-23
CN117242143A (zh) * 2021-08-25 2023-12-15 积水保力马科技株式会社 电路片材、传感器片材及覆膜形成组合物
CN113912402B (zh) * 2021-09-08 2022-08-05 潮州三环(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陶瓷生坯的粘结剂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56811A (ja) 2011-09-09 2013-03-28 Nippon Sheet Glass Co Ltd 電熱線入り合せガラス
JP2013516043A (ja) 2009-12-29 2013-05-09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発熱体およびこの製造方法
JP2015151026A (ja) 2014-02-14 2015-08-2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電熱配線パターンの製造方法および電熱配線基材
US20160288459A1 (en) 2013-11-29 2016-10-06 Kuraray Europe Gmbh Process for producing laminated glass composites with embedded electrically conductive structures

Family Cites Families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0332C (de) 1931-05-24 1940-04-22 Chemische Forschungs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Sicherheitsglas
DE2453780C3 (de) * 1974-11-13 1980-01-03 Hoechst Ag, 6000 Frankfurt Polyvinylbutyralgemisch zum Herstellen von Zwischenfolien für Verbundgläser
CA1276744C (en) * 1985-07-02 1990-11-20 George Etienne Cartier Cross-linked polyvinyl butyral
JP3036896B2 (ja) 1991-06-26 2000-04-24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ポリビニルアセタール樹脂の製造方法
US5340654A (en) 1992-04-23 1994-08-23 Sekisui Kagaku Kogyo Kabushiki Kaisha Interlayer film for laminated glass
JP2000203901A (ja) 1999-01-14 2000-07-25 Sekisui Chem Co Ltd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
CN1352597A (zh) * 1999-06-25 2002-06-05 纳幕尔杜邦公司 具有改良防雾性能的着色聚乙烯醇缩丁醛中间层
DE19951444A1 (de) 1999-10-25 2001-04-26 Huels Troisdorf Verfahren und Folie zur Herstellung von Verbundsicherheitsscheiben
DE10143190A1 (de) 2001-09-04 2003-03-20 Kuraray Specialities Europe Hochmolekulare, vernetzte Polyvinylbutyral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sowie deren Verwendung
DE10319198A1 (de) 2002-07-04 2004-01-15 Kuraray Specialities Europe Gmbh Vernetzte Polyvinylacetale
US6992130B2 (en) * 2002-07-23 2006-01-31 Kuraray Co., Ltd. Polyvinyl acetal and its use
WO2004063232A1 (de) 2003-01-09 2004-07-29 Kuraray Specialities Europe Gmbh Vernetzte polyvinylacetale
MXPA05007218A (es) 2003-01-09 2005-11-23 Kuraray Specialities Europe Poliacetales degradados.
US7598949B2 (en) 2004-10-22 2009-10-06 New York University Multi-touch sensing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KR101300442B1 (ko) 2005-06-10 2013-08-27 시마 나노 테크 이스라엘 리미티드 강화 투명 전도성 코팅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1506693B (zh) 2006-08-18 2013-05-0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光学层积体、偏振片及图像显示装置
JP5060496B2 (ja) * 2007-02-02 2012-10-31 株式会社クラレ ポリビニルアセタール樹脂の製造方法
DE102007000817A1 (de) * 2007-10-05 2009-04-09 Kuraray Europe Gmbh Weichmacherhaltige Folien auf Basis von Polyvinylacetal mit erhöhter Glasübergangstemperatur und verbessertem Fließverhalten
WO2009108306A1 (en) * 2008-02-26 2009-09-03 Cambrios Technologies Corporation Method and composition for screen printing of conductive features
EP2153989B1 (de) * 2008-08-01 2021-09-29 Kuraray Europe GmbH Mehrschichtfolien aus weichmacherhaltigem Polyvinylacetal mit schalldämpfenden Eigenschaften
EP2360207B1 (en) * 2008-11-13 2013-10-09 Sekisui Chemical Co., Ltd. Polyvinyl acetal resin composition
EP2259334A1 (de) * 2009-06-05 2010-12-08 Kuraray Europe GmbH Photovoltaikmodule mit weichmacherhaltigen Folien geringer Kriechneigung
EP2325001A1 (de) * 2009-11-11 2011-05-25 Kuraray Europe GmbH Verbundverglasungen mit weichmacherhaltigen Folien geringer Kriechneigung
PL2325002T5 (pl) * 2009-11-17 2016-06-30 Saint Gobain Sposób wytwarzania szyby zespolonej z oknem dla czujnika
WO2011072286A1 (en) 2009-12-11 2011-06-16 Keith Leonard March Implantable biomedical device leads comprising liquid conductors
EP2520551B1 (en) 2009-12-28 2020-09-30 Sekisui Chemical Co., Ltd. Interlayer for laminated glass, and laminated glass
WO2011102197A1 (ja) * 2010-02-16 2011-08-25 株式会社クラレ セラミックグリーンシート用ポリビニルアセタール樹脂、およびその製造方法、スラリー組成物、セラミックグリーンシート及び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
JP5838152B2 (ja) 2010-03-04 2015-12-24 株式会社きもと 機能性積層板、タッチパネル用透明導電性積層板、およびこれを用いたタッチパネル
US9302452B2 (en) * 2012-03-02 2016-04-05 Ppg Industries Ohio, Inc. Transparent laminates comprising inkjet printed conductive lines and methods of forming the same
JP6162962B2 (ja) * 2013-01-18 2017-07-12 株式会社クラレ ポリオキシアルキレン変性ビニルアセタール系重合体、その製造方法及び組成物
JP5420806B1 (ja) * 2013-08-07 2014-02-19 株式会社クラレ ポリビニルアセタール及びそれを含有する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
WO2015019445A1 (ja) 2013-08-07 2015-02-12 株式会社クラレ ポリビニルアセタールを含有するフィルム
WO2015059828A1 (ja) 2013-10-25 2015-04-30 株式会社クラレ 複層フィルム及びそれからなる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
JP5469287B1 (ja) * 2013-10-25 2014-04-16 株式会社クラレ 複層フィルム及びそれからなる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
EP3076751B1 (en) * 2013-11-29 2020-08-26 LG Chem, Ltd. Heating elem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EP2905127A1 (de) 2014-02-05 2015-08-12 Kuraray Europe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Verbundglaslaminaten aus einem Schichtkörper enthaltend eine weichmacherhaltige und eine weichmacherarme Polyvinylacetalfolie
JPWO2015125689A1 (ja) * 2014-02-18 2017-03-30 株式会社クラレ ポリビニルアセタール溶液からなる接着性改良剤
JP6313096B2 (ja) 2014-04-02 2018-04-18 株式会社ダイセル 透明積層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タッチパネル用電極
MX2017003747A (es) 2014-09-30 2017-06-30 Sekisui Chemical Co Ltd Pelicula intermedia de vidrio laminado, vidrio laminado y metodo de produccion de la pelicula intermedia de vidrio laminado.
US10427384B2 (en) 2014-11-10 2019-10-01 Kuraray Co., Ltd. Interlayer film for laminated glass and laminated glass
WO2016087967A1 (en) * 2014-12-01 2016-06-09 Cima Nanotech Israel Ltd. Process for blackening a transparent electrically conductive film
US9809695B2 (en) * 2014-12-08 2017-11-07 Solutia Inc. Poly(vinyl acetal) resin compositions, layers, and interlayers having enhanced optical properties
US10787644B2 (en) 2014-12-15 2020-09-29 Rxcell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rapid generation of single and multiplexed reporters in cells
US20180141315A1 (en) * 2015-05-15 2018-05-24 Sekisui Chemical Co., Ltd. Interlayer filling material for touch panels, and touch panel laminat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516043A (ja) 2009-12-29 2013-05-09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発熱体およびこの製造方法
JP2013056811A (ja) 2011-09-09 2013-03-28 Nippon Sheet Glass Co Ltd 電熱線入り合せガラス
US20160288459A1 (en) 2013-11-29 2016-10-06 Kuraray Europe Gmbh Process for producing laminated glass composites with embedded electrically conductive structures
JP2015151026A (ja) 2014-02-14 2015-08-2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電熱配線パターンの製造方法および電熱配線基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9094257A (ja) 2019-06-20
US11504951B2 (en) 2022-11-22
JPWO2018181386A1 (ja) 2019-04-04
JP6457708B1 (ja) 2019-01-23
CN110494283A (zh) 2019-11-22
JP7046789B2 (ja) 2022-04-04
US20200023620A1 (en) 2020-01-23
EP3616905A4 (en) 2021-04-28
CN110494283B (zh) 2022-04-05
WO2018181386A1 (ja) 2018-10-04
EP3616905A1 (en) 2020-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57708B1 (ja) 合わせガラス用のポリビニルアセタール樹脂フィルム
JP6487131B2 (ja) 合わせガラス用のポリビニルアセタール樹脂フィルム
US20230202148A1 (en) Polyvinyl acetal resin film
WO2019168173A1 (ja) 可塑剤含有シートが重なってなる多層構造体
WO2019131928A1 (ja) 電子部材取付け領域を有する複合フィルム
JP2018161889A (ja) ポリビニルアセタール樹脂層と金属箔に基づく導電性構造体とを有するポリビニルアセタール樹脂フィルム、および前記フィルムを有する合わせガラス
JP2018188356A (ja) 窓ガラス用発熱フィルム、および前記フィルムを有する窓ガラス
CN112789312B (zh) 吸收增塑剂而成的聚乙烯醇缩醛树脂薄膜的制造方法
JP7466454B2 (ja) ポリビニルアセタール樹脂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含む積層体
KR20210068428A (ko)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필름 및 이의 필름 롤, 및 적층체
JP2019150992A (ja) シートが重なってなる多層構造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