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7509A - 멸균필 산소 흡수성 다층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멸균필 산소 흡수성 다층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7509A
KR20190117509A KR1020197022679A KR20197022679A KR20190117509A KR 20190117509 A KR20190117509 A KR 20190117509A KR 1020197022679 A KR1020197022679 A KR 1020197022679A KR 20197022679 A KR20197022679 A KR 20197022679A KR 20190117509 A KR20190117509 A KR 201901175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thermoplastic resin
multilayer body
oxygen absorbing
oxyg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26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9001B1 (ko
Inventor
후미히로 이토
사토시 오카다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가스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가스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가스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175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75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90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90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5/00Preserving, protecting or purifying packages or package content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55/02Sterilising, e.g. of complete packages
    • B65B55/04Sterilising wrappers or receptacles prior to, or during, packaging
    • B65B55/08Sterilising wrappers or receptacles prior to, or during, packaging by ir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008Electrical discharge treatment, e.g. corona, plasma treatment;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00Layered products having a non-planar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specially treated, e.g. irradi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romatic vinyl (co)polymers, e.g. styren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acetate or vinyl alcohol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32B27/32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comprising polycyclo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a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32B27/3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comprising polycarbon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036Heat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5/00Preserving, protecting or purifying packages or package content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55/02Sterilising, e.g. of complete pack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5/00Preserving, protecting or purifying packages or package content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55/02Sterilising, e.g. of complete packages
    • B65B55/04Sterilising wrappers or receptacles prior to, or during, packa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5/00Preserving, protecting or purifying packages or package content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55/02Sterilising, e.g. of complete packages
    • B65B55/04Sterilising wrappers or receptacles prior to, or during, packaging
    • B65B55/06Sterilising wrappers or receptacles prior to, or during, packaging by h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40Applications of laminates for particular packag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 B65D81/26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with provision for draining away, or absorbing, or removing by ventilation, fluids, e.g. exuded by contents; Applications of corrosion inhibitors or desiccators
    • B65D81/266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with provision for draining away, or absorbing, or removing by ventilation, fluids, e.g. exuded by contents; Applications of corrosion inhibitors or desiccators for absorbing gases, e.g. oxygen absorbers or desicc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0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derived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6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G63/18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acids or hydroxy compounds containing carbocyclic rings
    • C08G63/199Acids or hydroxy compounds containing cycloaliphat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88Post-polymerisation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40Symmetrical or sandwich layers, e.g. ABA, ABCBA, ABCCB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70/00Resin or rubber layer containing a blend of at least two different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4Permeability to gases, ad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4Permeability to gases, adsorption
    • B32B2307/7242Non-permeable
    • B32B2307/7244Oxygen barri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4Oxygen absor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0/00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 B32B2310/08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0/00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 B32B2310/08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B32B2310/0806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u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0/00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 B32B2310/08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B32B2310/0806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u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 B32B2310/085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u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using X-r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0/00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 B32B2310/08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B32B2310/0806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u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 B32B2310/0856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u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using gamma-r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0/00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 B32B2310/08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B32B2310/0875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using particle radiation
    • B32B2310/0887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using particle radiation using electron radiation, e.g. beta-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40Closed containers
    • B32B2439/60Bott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70Food packa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80Medical packa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lasma & Fusion (AREA)
  • Toxic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테트랄린환을 구성 단위로서 갖는 열가소성 수지(a) 및 전이 금속 촉매를 포함하는 산소 흡수층과, 열가소성 수지(b)를 함유하는 층을 적어도 구비한 산소 흡수성 다층체에, 방사선을 조사하는 멸균 공정과, 상기 멸균 공정에 있어서 방사선이 조사된 상기 산소 흡수성 다층체를, 상기 열가소성 수지(a)의 유리전이온도-20℃ 이상 상기 열가소성 수지(a)의 유리전이온도 미만의 온도에서 50시간 이상 가열하는 가열 공정을 포함하는 멸균필 산소 흡수성 다층체의 제조 방법.

Description

멸균필 산소 흡수성 다층체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멸균필 산소 흡수성 다층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식품, 음료, 의약품, 화장품 등에 이용되는 용기의 방사선 멸균 방법으로서, 예로부터 Co의 방사성 동위체인 Co60을 선원으로 한 감마선 멸균이 일반적이고, 그 밖에도 X선, 전자선에 의한 처리가 있다. 방사선 멸균은 저온에서 처리할 수 있고, 처리 시간도 짧고, 비교적 염가이기 때문에, 멸균 처리 방법으로서 널리 보급되고 있다.
한편, 식품, 음료, 의약품, 화장품으로 대표되는, 산소의 영향을 받아 변질 혹은 열화되기 쉬운 각종 물품의 산소에 의한 산화를 방지하여, 장기에 보존할 목적으로, 이들을 수납한 포장체 내의 산소 제거를 행하는 산소 흡수제가 사용되고 있다.
또, 소정의 테트랄린환을 갖는 폴리머와 전이 금속 촉매를 함유하는 산소 흡수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다층 용기(하기 특허문헌 1∼3 참조)가 개발되어 있다.
또한, 방사선을 조사하여 멸균 처리를 행한 후여도 착색이 억제된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하기 특허문헌 4 참조).
국제 공개 제2013/077436호 국제 공개 제2013/089268호 국제 공개 제2013/118882호 국제 공개 제2015/119230호
특허문헌 4(국제 공개 제2015/119230호)의 기술에 있어서는 방사선을 조사하여 멸균 처리를 행한 후여도, 방사선 조사에 의해 발생한 착색을 가열 처리에 의해 퇴색시킬 수 있다. 그러나, 다층 용기 등의 재료를 이용하는 경우, 조합하는 수지나 사용 용도에 따라서는 용기의 변형을 억제하기 위해서 고온에 있어서의 처리를 피하고 싶은 사정이 존재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이용하는 수지에 따라서는 가열에 의해 착색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또, 멸균 처리를 행하면 라디칼 생성물의 생성에 의해 취기(臭氣)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산소 흡수능을 갖지 않는 필름 등의 경우에는 멸균 처리 후에, 예를 들면 수주간 방치함으로써, 당해 취기를 저감시킬 수 있다. 그러나, 산소 흡수능을 갖는 재료의 경우, 산소의 존재하에서 장기간 방치하는 것은 제품의 성능상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산소 흡수능을 유지하면서 취기의 발생을 저감하고, 용기 변형 및 열(熱)열화 착색을 억제할 수 있는 멸균필 산소 흡수성 다층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산소 흡수성 다층체에 대하여 검토를 진행시킨 결과, 감마선, X선, 전자선 등의 방사선 멸균 처리 후에 가열 처리를 특정 조건에서 실시함으로써, 용기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는 저온에서도 상기 과제가 해결되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했다.
즉, 본 발명은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1> 테트랄린환을 구성 단위로서 갖는 열가소성 수지(a) 및 전이 금속 촉매를 포함하는 산소 흡수층과, 열가소성 수지(b)를 함유하는 층을 적어도 구비한 산소 흡수성 다층체에, 방사선을 조사하는 멸균 공정과,
상기 멸균 공정에 있어서 방사선이 조사된 상기 산소 흡수성 다층체를, 상기 열가소성 수지(a)의 유리전이온도-20℃ 이상 상기 열가소성 수지(a)의 유리전이온도 미만의 온도에서 50시간 이상 가열하는 가열 공정
을 포함하는 멸균필 산소 흡수성 다층체의 제조 방법.
<2> 상기 산소 흡수성 다층체는, 적어도 2층의 상기 열가소성 수지(b)를 함유하는 층을 구비하고, 상기 산소 흡수층이 2층의 상기 열가소성 수지(b)를 함유하는 층 사이에 배치된 상기 <1>에 기재된 멸균필 산소 흡수성 다층체의 제조 방법.
<3> 상기 열가소성 수지(a)의 유리전이온도(Tg1)와 상기 열가소성 수지(b)의 유리전이온도(Tg2)가 하기 식(A)로 나타내는 관계를 갖는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멸균필 산소 흡수성 다층체의 제조 방법.
식(A): Tg1≤Tg2≤[Tg1+10℃]
<4> 상기 가열 공정에 있어서의 가열 시간이 50시간 이상 120시간 이하인, 상기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멸균필 산소 흡수성 다층체의 제조 방법.
<5> 상기 가열 공정에 있어서의 가열 온도가 상기 열가소성 수지(a)의 유리전이온도-20℃ 이상 상기 열가소성 수지(a)의 유리전이온도-5℃ 이하인, 상기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멸균필 산소 흡수성 다층체의 제조 방법.
<6> 상기 가열 공정에 있어서, 상기 산소 흡수성 다층체의 가열을 산소 존재하에서 행하는 상기 <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멸균필 산소 흡수성 다층체의 제조 방법.
<7> 상기 열가소성 수지(b)의 유리전이온도가 60∼80℃인 상기 <1>∼<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멸균필 산소 흡수성 다층체의 제조 방법.
<8> 상기 산소 흡수성 다층체가 산소 흡수성 다층 용기인 상기 <1>∼<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멸균필 산소 흡수성 다층체의 제조 방법.
<9> 상기 열가소성 수지(a)가, 하기 화학식(1)∼(4)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개의 테트랄린환을 갖는 구성 단위를 함유하는 폴리에스터 화합물인 상기 <1>∼<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멸균필 산소 흡수성 다층체의 제조 방법.
Figure pct00001
(식 중, R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1가의 치환기를 나타내고, 상기 1가의 치환기는 할로젠 원자, 알킬기, 알켄일기, 알킨일기, 아릴기, 헤테로환기, 사이아노기, 하이드록시기, 카복실기, 에스터기, 아마이드기, 나이트로기, 알콕시기, 아릴옥시기, 아실기, 아미노기, 싸이올기, 알킬싸이오기, 아릴싸이오기, 헤테로환 싸이오기 및 이미드기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며, 이들은 추가로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된다. m은 0∼3의 정수를 나타내고, n은 0∼7의 정수를 나타내고, 테트랄린환의 벤질 위치에 적어도 1개의 수소 원자가 결합하고 있다. X는 방향족 탄화수소기, 포화 또는 불포화의 지환식 탄화수소기, 직쇄상 또는 분기상의 포화 또는 불포화의 지방족 탄화수소기 및 헤테로환기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개의 기를 함유하는 2가의 기를 나타낸다.)
<10> 상기 전이 금속 촉매가, 망가니즈, 철, 코발트, 니켈 및 구리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전이 금속을 포함하는 상기 <1>∼<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멸균필 산소 흡수성 다층체의 제조 방법.
<11> 상기 전이 금속 촉매가, 상기 열가소성 수지(a) 100질량부에 대해, 전이 금속량으로서 0.0001∼10질량부 포함되는 상기 <1>∼<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멸균필 산소 흡수성 다층체의 제조 방법.
<12> 상기 열가소성 수지(a)가, 하기 화학식(5)∼(7)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개의 테트랄린환을 갖는 구성 단위를 함유하는 폴리에스터 화합물인 상기 <1>∼<1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멸균필 산소 흡수성 다층체의 제조 방법.
Figure pct00002
<13> 상기 방사선이 감마선, X선 또는 전자선인 상기 <1>∼<1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멸균필 산소 흡수성 다층체의 제조 방법.
본 발명에 의하면, 산소 흡수능을 유지하면서 취기의 발생을 저감하고, 열변형 및 열열화 착색을 억제할 수 있는 멸균필 산소 흡수성 다층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이하, 간단히 「본 실시형태」라고 한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본 실시형태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이고, 본 발명을 이하의 내용으로 한정하는 취지는 아니다. 본 발명은 그 요지의 범위 내에서 적절히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멸균필 산소 흡수성 다층체의 제조 방법(이하, 「본 실시형태의 제조 방법」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은, 테트랄린환을 구성 단위로서 갖는 열가소성 수지(a) 및 전이 금속 촉매를 포함하는 산소 흡수층(이하, 간단히 "층 A"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과, 열가소성 수지(b)를 함유하는 층(이하, 간단히 "층 B"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을 적어도 구비한 산소 흡수성 다층체에, 방사선을 조사하는 멸균 공정과, 상기 멸균 공정에 있어서 방사선이 조사된 상기 산소 흡수성 다층체를, 상기 열가소성 수지(a)의 유리전이온도-20℃ 이상 상기 열가소성 수지(a)의 유리전이온도 미만의 온도에서 50시간 이상 가열하는 가열 공정을 포함한다.
다층 용기 등의 멸균필 산소 흡수성 다층체를 제조하기 위해서 방사선 조사에 의한 멸균 처리를 실시한 경우, 멸균 처리에 의해 발생하는 착색을 저감(퇴색) 시키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 높은 온도(예를 들면, 층 A에 이용되는 열가소성 수지(a)의 유리전이온도보다도 높은 온도)에서 가열 처리를 행하는 것이 유리하다. 그러나, 다층 용기 등의 멸균필 산소 흡수성 다층체를 제조할 때, 예를 들면 성형성을 높이기 위해서, 각 층에 이용되는 수지의 유리전이온도의 차를 작게 하고 싶은 경우 등이 존재한다. 예를 들면, 전술한 층 A와 층 B의 유리전이온도차를 작게 하면, 열열화 착색이나 열변형 때문에, 용기 멸균 처리 후의 가열 공정에 있어서 열가소성 수지(a)의 유리전이온도보다도 높은 온도에서 처리하는 것이 어려운 경우가 있다. 멸균 처리 시에 발생하는 취기는 방사선 조사에 의해 발생하는 라디칼(오존)에 기인하는 것이라고 추측되기 때문에, 예를 들면, 장기간(예를 들면, 수주간 이상) 재료를 산소 존재하(공기 분위기하)에서 방치하는 것에 의해서도 저감시킬 수 있다. 그러나, 산소 흡수능을 갖는 재료의 경우, 산소 존재하에서 장기간 방치하는 것은 산소 흡수능의 유지의 관점에서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의 작용은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본 실시형태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가열 공정에 있어서 산소 흡수성 다층체를, 열가소성 수지(a)의 유리전이온도-20℃ 이상 열가소성 수지(a)의 유리전이온도 미만의 온도에서 50시간 이상 가열하는 것에 의해, 예를 들면, 전술한 층 A와 층 B의 유리전이온도차가 작은 재료를 이용한 경우여도, 산소 흡수능을 유지하면서 효과적으로 취기의 발생을 저감하고, 나아가 용기 변형 및 열열화 착색을 억제할 수 있다. 이하, 각 성분 및 각 공정 등에 대하여 설명한다.
[산소 흡수 수지 다층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테트랄린환을 구성 단위로서 갖는 열가소성 수지(a) 및 전이 금속 촉매를 포함하는 산소 흡수층(층 A)과, 열가소성 수지(b)를 함유하는 층(층 B)을 적어도 구비한 산소 흡수성 다층체를 이용한다.
산소 흡수성 다층체는 산소 흡수층(층 A)과, 열가소성 수지(b)를 함유하는 층(층 B)의 적어도 2층을 구비한다(A/B 구조).
단, 산소 흡수성 다층체의 층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층 A 및 층 B의 수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산소 흡수성 다층체는, 적어도 2층의 상기 열가소성 수지(b)를 함유하는 층(층 B)을 구비하고, 상기 산소 흡수층(층 A)을 2층의 상기 열가소성 수지(b)를 함유하는 층(층 B) 사이에 배치할 수 있다(B/A/B 구조). 즉, 산소 흡수성 다층체는, 전술한 바와 같이 1층의 층 A 및 1층의 층 B로 이루어지는 A/B 구성이어도 되고, 1층의 층 A 및 2층의 층 B로 이루어지는 B/A/B 구조와 같이 3층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1층의 층 A, 및 층 B1 및 층 B2의 2종 4층의 층 B로 이루어지는 B1/B2/A/B2/B1의 5층 구성이어도 된다. 또, 본 실시형태의 다층체는, 필요에 따라서 접착층(층 AD) 등의 임의의 층을 포함해도 되고, 예를 들면, B1/AD/B2/A/B2/AD/B1의 7층 구성이어도 된다. 산소 흡수성 다층체의 층 구성은 B/A/B 구조와 같이 3층을 적어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산소 흡수성 다층체에 있어서, 성형성을 높이는 관점에서, 열가소성 수지(a)의 유리전이온도(Tg1)와 열가소성 수지(b)의 유리전이온도(Tg2)는 하기 식(A)로 나타내는 관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식(A): Tg1≤Tg2≤[Tg1+10℃]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상기 식(A)로 나타나는 각 유리전이온도의 관계는 하기 식(A')의 관계를 나타내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식(A'): Tg1≤Tg2≤[Tg1+5℃]
여기에서, "열가소성 수지(a)의 유리전이온도" 및 "열가소성 수지(b)의 유리전이온도"는, 예를 들면, JIS K7121: 2012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술한 B/A/B 구조를 갖는 경우, 내외층에 위치하는 B층의 유리전이온도(Tg2)는 반드시 동일할(즉, 각 B층에 동일한 재료를 이용할) 필요는 없지만, 적어도 각 B층의 유리전이온도(Tg2)와 상기 열가소성 수지(a)의 유리전이온도(Tg1)가 상기 식(A)의 관계를 만족시키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층 압출 등의 공정을 고려하면, B/A/B 구조에 있어서는 각 B층에 이용되는 재료는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산소 흡수층(층 A)]
산소 흡수층(층 A)은, 테트랄린환을 구성 단위로서 갖는 열가소성 수지(a) 및 전이 금속 촉매를 포함하는 것이면 특별히 제법 등은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테트랄린환을 구성 단위로서 갖는 열가소성 수지(a) 및 전이 금속 촉매를 포함하는 산소 흡수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산소 흡수 수지 조성물은, 테트랄린환을 구성 단위로서 갖는 열가소성 수지(a) 및 전이 금속 촉매를 포함하는 것이면 전혀 한정되지 않고, 공지의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열가소성 수지(a)로서는, 국제 공개 제2013/077436호, 국제 공개 제2013/089268호, 국제 공개 제2013/118882호 등에 기재된 바와 같은, 테트랄린환을 갖는 폴리머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열가소성 수지(a))
산소 흡수 성능의 관점에서, 열가소성 수지(a)로서는, 테트랄린환을 구성 단위로서 갖는 폴리에스터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고, 하기 화학식(1)∼(4)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개의 테트랄린환을 갖는 구성 단위를 함유하는 폴리에스터 화합물(a)가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이하, 테트랄린환을 갖는 구성 단위를 함유하는 폴리에스터 화합물을, 테트랄린환 함유 폴리에스터 화합물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Figure pct00003
(식 중, R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1가의 치환기를 나타내고, 상기 1가의 치환기는 할로젠 원자, 알킬기, 알켄일기, 알킨일기, 아릴기, 헤테로환기, 사이아노기, 하이드록시기, 카복실기, 에스터기, 아마이드기, 나이트로기, 알콕시기, 아릴옥시기, 아실기, 아미노기, 싸이올기, 알킬싸이오기, 아릴싸이오기, 헤테로환 싸이오기 및 이미드기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며, 이들은 추가로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된다. m은 0∼3의 정수를 나타내고, n은 0∼7의 정수를 나타내고, 테트랄린환의 벤질 위치에 적어도 1개의 수소 원자가 결합하고 있다. X는 방향족 탄화수소기, 포화 또는 불포화의 지환식 탄화수소기, 직쇄상 또는 분기상의 포화 또는 불포화의 지방족 탄화수소기 및 헤테로환기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개의 기를 함유하는 2가의 기를 나타낸다.)
특히, 화학식(1)로 표시되는 구성 단위는 하기 식(5)∼(7)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구성 단위를 함유한다」나 「구성 단위로서 함유한다」란, 화합물 중에 당해 구성 단위를 1 이상 갖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구성 단위는 테트랄린환 함유 폴리에스터 화합물 중에 반복 단위로서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테트랄린환 함유 폴리에스터 화합물이 중합체인 경우, 상기 구성 단위의 호모폴리머, 상기 구성 단위와 다른 구성 단위의 랜덤 코폴리머, 상기 구성 단위와 다른 구성 단위의 블록 코폴리머 중 어느 것이어도 상관없다.
Figure pct00004
화학식(1)∼(4)로 표시되는 구성 단위에 있어서, R로 표시되는 1가의 치환기로서는, 할로젠 원자(예를 들면, 염소 원자, 브로민 원자, 아이오딘 원자 등), 알킬기(바람직하게는 탄소수가 1∼15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가 1∼6인, 직쇄상, 분기상 또는 환상 알킬기; 예를 들면,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아이소프로필기, tert-뷰틸기, n-옥틸기, 2-에틸헥실기, 사이클로프로필기, 사이클로펜틸기 등), 알켄일기(바람직하게는 탄소수가 2∼1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가 2∼6인, 직쇄상, 분기상 또는 환상 알켄일기; 예를 들면, 바이닐기, 알릴기 등), 알킨일기(바람직하게는 탄소수가 2∼1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가 2∼6인, 알킨일기; 예를 들면, 에틴일기, 프로파길기 등), 아릴기(바람직하게는 탄소수가 6∼16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가 6∼10인, 아릴기; 예를 들면, 페닐기, 나프틸기 등), 헤테로환기(바람직하게는 탄소수가 1∼12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가 2∼6인, 5원환 또는 6원환의 방향족 또는 비방향족의 헤테로환 화합물로부터 1개의 수소 원자를 제거하는 것에 의해 얻어지는 1가의 기; 예를 들면, 1-피라졸릴기, 1-이미다졸릴기, 2-퓨릴기 등), 사이아노기, 하이드록시기, 카복실기, 에스터기, 아마이드기, 나이트로기, 알콕시기(바람직하게는 탄소수가 1∼1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가 1∼6인, 직쇄상, 분기상 또는 환상 알콕시기; 예를 들면, 메톡시기, 에톡시기 등), 아릴옥시기(바람직하게는 탄소수가 6∼12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가 6∼8인, 아릴옥시기; 예를 들면, 페녹시기 등), 아실기(폼일기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가 2∼1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가 2∼6인 알킬 카보닐기, 바람직하게는 탄소수가 7∼12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가 7∼9인, 아릴카보닐기; 예를 들면, 아세틸기, 피발로일기, 벤조일기 등), 아미노기(바람직하게는 탄소수가 1∼1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가 1∼6인, 알킬아미노기, 바람직하게는 탄소수가 6∼12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가 6∼8인, 아닐리노기, 바람직하게는 탄소수가 1∼12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가 2∼6인, 헤테로환 아미노기; 예를 들면, 아미노기, 메틸아미노기, 아닐리노기 등), 싸이올기, 알킬싸이오기(바람직하게는 탄소수가 1∼1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가 1∼6인, 알킬싸이오기; 예를 들면, 메틸싸이오기, 에틸싸이오기), 아릴싸이오기(바람직하게는 탄소수가 6∼12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가 6∼8인, 아릴싸이오기; 예를 들면, 페닐싸이오기), 헤테로환 싸이오기(바람직하게는 탄소수가 2∼1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가 1∼6인, 헤테로환 싸이오기; 예를 들면, 2-벤조싸이아졸릴싸이오기 등), 이미드기(바람직하게는 탄소수가 2∼1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가 4∼8인 이미드기; 예를 들면, N-석신이미드기, N-프탈이미드기 등)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전술한 1가의 치환기 R이 수소 원자를 갖는 경우, 그 수소 원자가 치환기 T(여기에서, 치환기 T는 전술한 1가의 치환기 R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로 추가로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그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하이드록시기로 치환된 알킬기(예를 들면, 하이드록시에틸기 등), 알콕시기로 치환된 알킬기(예를 들면, 메톡시에틸기 등), 아릴기로 치환된 알킬기(예를 들면, 벤질기 등), 제1급 아미노기 또는 제2급 아미노기로 치환된 알킬기(예를 들면, 아미노에틸기 등), 알킬기로 치환된 아릴기(예를 들면, p-톨릴기 등), 알킬기로 치환된 아릴옥시기(예를 들면, 2-메틸페녹시기 등)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전술한 1가의 치환기 R이 1가의 치환기 T를 갖는 경우, 전술한 탄소수에는, 치환기 T의 탄소수는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한다. 예를 들면, 벤질기는 페닐기로 치환된 탄소수 1의 알킬기로 간주하고, 페닐기로 치환된 탄소수 7의 알킬기로는 간주하지 않는다. 또한, 전술한 1가의 치환기 R이 치환기 T를 갖는 경우, 그 치환기 T는 복수 있어도 된다.
화학식(1)∼(4)로 표시되는 구성 단위에 있어서, X는 방향족 탄화수소기, 포화 또는 불포화의 지환식 탄화수소기, 직쇄상 또는 분기상의 포화 또는 불포화의 지방족 탄화수소기 및 헤테로환기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개의 기를 함유하는 2가의 기를 나타낸다. 방향족 탄화수소기, 포화 또는 불포화의 지환식 탄화수소기, 직쇄상 또는 분기상의 포화 또는 불포화의 지방족 탄화수소기 및 헤테로환기는 치환되어 있어도 무치환이어도 된다. X는 헤테로원자를 함유하고 있어도 되고, 에터기, 설파이드기, 카보닐기, 하이드록시기, 아미노기, 설폭사이드기, 설폰기 등을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방향족 탄화수소기로서는, 예를 들면, o-페닐렌기, m-페닐렌기, p-페닐렌기, 메틸페닐렌기, o-자일릴렌기, m-자일릴렌기, p-자일릴렌기, 나프틸렌기, 안트라센일렌기, 페난트릴렌기, 바이페닐렌기, 플루오닐렌기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지환식 탄화수소기로서는, 예를 들면, 사이클로펜틸렌기, 사이클로헥실렌기, 메틸사이클로헥실렌기, 사이클로헵틸렌기, 사이클로옥틸렌기 등의 사이클로알킬렌기나, 사이클로헥센일렌기 등의 사이클로알켄일렌기를 들 수 있지만, 이들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지방족 탄화수소기로서는, 예를 들면, 메틸렌기, 에틸렌기, 트라이메틸렌기, 프로필렌기, 아이소프로필리덴기, 테트라메틸렌기, 아이소뷰틸렌기, tert-뷰틸렌기, 펜타메틸렌기, 헥사메틸렌기, 헵타메틸렌기, 옥타메틸렌기, 노나메틸렌기, 데카메틸렌기 등의 직쇄상 또는 분지쇄상 알킬렌기나, 바이닐렌기, 프로펜일렌기, 1-뷰텐일렌기, 2-뷰텐일렌기, 1,3-뷰타다이엔일렌기, 1-펜텐일렌기, 2-펜텐일렌기, 1-헥센일렌기, 2-헥센일렌기, 3-헥센일렌기 등의 알켄일렌기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들은 추가로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되고, 그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할로젠 원자, 알콕시기, 하이드록시기, 카복실기, 카보알콕시기, 아실기, 싸이오기(예를 들면, 알킬싸이오기, 페닐싸이오기, 톨릴싸이오기, 피리딜싸이오기 등), 아미노기(예를 들면, 비치환 아미노기, 메틸아미노기, 다이메틸아미노기, 페닐아미노기 등), 사이아노기, 나이트로기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화학식(1)로 표시되는 구성 단위를 함유하는 폴리에스터 화합물(a)는, 예를 들면, 공지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량체에 상당하는 테트랄린다이카복실산 알킬 에스터를 중합하는 것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폴리에스터 화합물(a)에는, 성능에 영향을 주지 않을 정도로, 테트랄린환을 갖지 않는 구성 단위를 공중합 성분으로서 편입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아디프산이나 세바스산 등의 지방족 다이카복실산류, 테레프탈산 등의 벤젠다이카복실산류, 2,6-나프탈렌다이카복실산 등의 나프탈렌다이카복실산류 등의 화합물을 다른 공중합 성분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화학식(1)로 표시되는 구성 단위를 함유하는 폴리에스터 화합물(a)의 바람직한 구체예로서는, 전술한 식(5)∼(7) 및 하기 식(8)∼(10)을 들 수 있지만,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들 중에서도 식(5)∼(7) 중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구성 단위를 함유하는 폴리에스터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Figure pct00005
전술한 폴리에스터 화합물(a)는, 모두, 테트랄린환의 벤질 위치에 수소를 갖는 것이고, 전이 금속 촉매와 병용함으로써 벤질 위치의 수소가 인발되며, 이에 의해 우수한 산소 흡수능을 발현한다(단, 본 실시형태의 작용은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산소 흡수성 수지 조성물은 산소 흡수 후의 저분자량 화합물의 생성을 억제할 수도 있다. 그 이유는 분명하지는 않지만, 예를 들면 이하의 산화 반응 기구가 추측된다. 즉, 폴리에스터 화합물(a)에 있어서는, 우선 테트랄린환의 벤질 위치에 있는 수소가 인발되어 라디칼이 생성되고, 그 후, 라디칼과 산소의 반응에 의해 벤질 위치의 탄소가 산화되어 하이드록시기 또는 케톤기가 생성된다고 생각된다. 그 때문에, 상기 산소 흡수성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는, 산화 반응에 의한 분자쇄의 절단이 없고, 폴리에스터 화합물(a)의 구조가 유지되기 때문에, 취기의 원인이 되는 저분자량의 유기 화합물이 산소 흡수 후에 생성되기 어렵고, 그 결과, 산소 흡수 후의 취기 강도의 증대가 억제됨과 함께, 내용물로의 저분자량 화합물의 혼입이 방지되고 있는 것이라고 추측된다(단, 본 실시형태의 작용은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형태의 폴리에스터 화합물(a)의 극한 점도(페놀과 1,1,2,2-테트라클로로에테인의 질량비 6:4(페놀:1,1,2,2-테트라클로로에테인)의 혼합 용매를 이용한 25℃에서의 측정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폴리에스터 화합물(a)의 성형성의 관점에서, 0.1∼2.0dL/g인 것이 바람직하고, 0.5∼1.5dL/g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열가소성 수지(a)의 유리전이온도(Tg1)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60∼80℃인 것이 바람직하고, 62∼78℃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65∼75℃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층 A 중의 열가소성 수지(a)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50∼10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70∼100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90∼100질량%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열가소성 수지(a)의 함유량을 상기 범위로 제어함으로써, 산소 흡수 성능을 보다 높일 수 있다.
(전이 금속 촉매)
상기 전이 금속 촉매로서는, 테트랄린환을 구성 단위로서 갖는 열가소성 수지(a)의 산화 반응의 촉매로서 기능할 수 있는 것이면, 공지의 것으로부터 적절히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전이 금속 촉매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전이 금속의 유기산염, 할로젠화물, 인산염, 아인산염, 차아인산염, 질산염, 황산염, 산화물, 수산화물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에서, 전이 금속 촉매에 포함되는 전이 금속으로서는, 예를 들면, 타이타늄, 바나듐, 크로뮴, 망가니즈, 철, 코발트, 니켈, 구리, 아연, 루테늄, 로듐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들 중에서도, 망가니즈, 철, 코발트, 니켈, 구리가 바람직하다. 또한, 유기산으로서는, 예를 들면,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옥탄산, 라우르산, 스테아르산, 아세틸아세톤, 다이메틸다이싸이오카밤산, 팔미트산, 2-에틸헥산산, 네오데칸산, 리놀레산, 톨산, 올레산, 카프르산, 나프텐산을 들 수 있지만,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전이 금속 촉매는 이들 전이 금속과 유기산을 조합한 것이 바람직하고, 전이 금속이 망가니즈, 철, 코발트, 니켈 또는 구리이며, 유기산이 아세트산, 스테아르산, 2-에틸헥산산, 올레산 또는 나프텐산인 조합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전이 금속 촉매는 1종을 단독으로 혹은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전이 금속 촉매의 배합량은 사용하는 열가소성 수지(a)나 전이 금속 촉매의 종류 및 원하는 성능에 따라서 적절히 설정할 수 있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산소 흡수층의 산소 흡수량의 관점에서, 전이 금속 촉매의 배합량은, 열가소성 수지(a) 100질량부에 대해, 전이 금속량으로서 0.0001∼10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0.0002∼2질량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0005∼1질량부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열가소성 수지(a) 및 전이 금속 촉매는 공지의 방법으로 혼합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압출기에 의해 혼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분산성이 좋은 산소 흡수성 수지 조성물로 할 수 있다. 또한, 산소 흡수성 수지 조성물에는, 본 실시형태의 효과를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건조제, 안료, 염료, 산화 방지제, 슬립제, 대전 방지제, 안정제; 탄산 칼슘, 클레이, 마이카, 실리카 등의 충전제; 소취제 등과 같은 다른 첨가제를 첨가해도 되고, 이상에 나타낸 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가지 재료를 혼합할 수 있다.
한편, 산소 흡수층은, 산소 흡수 반응을 촉진시키기 위해서, 필요에 따라서, 추가로 라디칼 발생제나 광개시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산소 흡수성 수지 조성물은, 본 실시형태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a) 이외의 열가소성 수지와 압출기에서 혼련할 수도 있다. 이들 라디칼 발생제, 광개시제, 다른 열가소성 수지는 공지의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라디칼 발생제로서는, 예를 들면, N-하이드록시석신이미드, N-하이드록시말레이미드 등의 N-하이드록시이미드 화합물을 들 수 있다. 광개시제로서는, 예를 들면, 벤조페논과 그의 유도체, 싸이아진 염료, 금속 포피린 유도체, 안트라퀴논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다른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으로 대표되는 폴리올레핀, 에틸렌-바이닐 화합물 공중합체, 스타이렌계 수지, 폴리바이닐 화합물, 폴리아마이드, 폴리에스터, 폴리카보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산소 흡수층(층 A)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1∼1000μm인 것이 바람직하고, 2∼800μ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5∼700μm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층 A의 두께를 상기 범위로 제어함으로써, 층 A의 산소 흡수성을 보다 높일 수 있음과 함께 경제성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b)를 함유하는 층(층 B)]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층 B는 열가소성 수지(b)를 함유하는 층이다. 한편, 특별히 예고가 없는 한, 층 B1, 층 B2도 포함시켜 「층 B」라고 총칭한다. 마찬가지로, 열가소성 수지(b1), (b2)를 나타낸 경우, 이들도 포함시켜 「열가소성 수지(b)」라고 총칭한다. 열가소성 수지(b)는 열가소성 수지(a) 이외의 열가소성 수지이다. 층 B 중의 열가소성 수지(b)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70∼10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80∼100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며, 90∼100질량%가 더 바람직하다. 한편, 층 B1, B2와 같이, 열가소성 수지(b)를 함유하는 층이 복수층 있는 태양의 경우, 여기에서 말하는 층 B 중의 열가소성 수지(b)의 함유량이란, 각 층에 있어서의 열가소성 수지(b)의 함유량을 말한다.
본 실시형태의 산소 흡수성 다층체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층 B를 갖고 있어도 된다. 층 B를 복수 갖는 경우, 층 B의 구성은 서로 동일해도 상이해도 된다. 층 B의 두께는 용도에 따라서 적절히 결정할 수 있다. 통상, 산소 흡수성 다층체를 다층 용기로서 이용하는 경우, 다층 용기에 요구되는 낙하 내성 등의 강도나 유연성 등의 제 물성을 확보한다는 관점에서는, 하나의 층 B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5μm∼1000μm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μm∼800μm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20μm∼500μm이다.
열가소성 수지(b)로서는, 열가소성 수지(a) 이외의 임의의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할 수 있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열가소성 수지(b)의 구체예로서는, 공지의, 폴리올레핀, 폴리에스터, 폴리아마이드, 에틸렌-바이닐 알코올 공중합체, 식물 유래 수지 및 염소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b)로서는, 이들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중에서도, 폴리올레핀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인 적합예로서는, 노보넨과 에틸렌 등의 올레핀을 원료로 한 공중합체; 테트라사이클로도데센과 에틸렌 등의 올레핀을 원료로 한 공중합체인 사이클로올레핀 코폴리머(COC)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노보넨을 개환 중합하고, 수소 첨가한 중합물인 사이클로올레핀 폴리머(COP)도 특히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COC 및 COP는, 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개 평5-300939호 공보나 일본 특허공개 평5-317411호 공보 등에 기재되어 있는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COC로서, 시판품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미쓰이화학사제, 아펠(등록상표)이 시판되고 있다. 상기 COP로서, 시판품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닛폰제온사제, 제오넥스(등록상표)로서 시판되고 있다. 상기 COC 및 상기 COP는, 내열성이나 내광성 등의 화학적 성질이나 내약품성은 폴리올레핀 수지로서의 특징을 나타내고, 기계 특성, 용융, 유동 특성, 치수 정밀도 등의 물리적 성질은 비결정성 수지로서의 특징을 나타내기 때문에 특히 바람직한 재질이다.
열가소성 수지(b)의 유리전이온도(Tg2)는 60∼80℃인 것이 바람직하고, 62∼78℃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65∼75℃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열가소성 수지(b)의 유리전이온도(Tg2)가 상기 온도 범위에 있으면, 열가소성 수지(a)와의 다층 성형에 있어서, 외관이 양호한 성형체를 제작할 수 있다.
(산소 흡수성 다층체의 층 구성 등)
산소 흡수성 다층체는, 산소 흡수층(층 A) 및 열가소성 수지(b)를 함유하는 층(층 B)에 더하여, 원하는 성능 등에 따라서 임의의 층을 추가로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그와 같은 임의의 층으로서는, 예를 들면, 접착층(층 AD)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층 A 상에 층 B가 형성된 구성인 경우에 있어서, 층 AD를 개재시켜 층 A 상에 층 B가 형성된 구성(층 A/층 AD/층 B)이어도 된다.
산소 흡수성 다층체에 있어서, 인접하는 2개의 층 사이에 실용적인 층간 접착 강도가 얻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당해 2개의 층 사이에 접착층(층 AD)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층은 접착성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성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말레산, 무수 말레산, 푸마르산, 이타콘산 등의 불포화 카복실산으로 변성한 산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에스터계 블록 공중합체를 주성분으로 한, 폴리에스터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등을 들 수 있다. 접착층으로서는, 접착성의 관점에서, 층 B로서 이용되고 있는 열가소성 수지와 동종의 수지를 변성한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층의 두께는, 실용적인 접착 강도를 발휘하면서 성형 가공성을 확보한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2∼100μm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90μm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10∼80μm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산소 흡수성 다층체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통상의 사출 성형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2대 이상의 사출기를 구비한 성형기 및 사출용 금형을 이용하여, 층 A를 구성하는 재료 및 층 B를 구성하는 재료를 각각의 사출 실린더로부터 금형 핫 러너를 통해 캐비티 내에 사출하여, 사출용 금형의 형상에 대응한 다층 용기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먼저, 층 B를 구성하는 재료를 사출 실린더로부터 사출하고, 이어서 층 A를 구성하는 재료를 별도의 사출 실린더로부터, 층 B를 구성하는 수지와 동시에 사출하고, 다음으로 층 B를 구성하는 수지를 필요량 사출하여 캐비티를 채우는 것에 의해 3층 구조 B/A/B의 다층 용기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먼저, 층 B를 구성하는 재료를 사출하고, 이어서 층 A를 구성하는 재료를 단독으로 사출하고, 마지막으로 층 B를 구성하는 재료를 필요량 사출하여 금형 캐비티를 채우는 것에 의해, 5층 구조 B/A/B/A/B의 다층 용기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먼저, 층 B1을 구성하는 재료를 사출 실린더로부터 사출하고, 이어서 층 B2를 구성하는 재료를 별도의 사출 실린더로부터, 층 B1을 구성하는 수지와 동시에 사출하고, 다음으로 층 A를 구성하는 수지를 층 B1, 층 B2를 구성하는 수지와 동시에 사출하고, 다음으로 층 B1을 구성하는 수지를 필요량 사출하여 캐비티를 채우는 것에 의해 5층 구조 B1/B2/A/B2/B1의 다층 용기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압축 성형법에 의해 다층 성형체를 얻어도 된다. 예를 들면, 열가소성 수지 용융물 중에 산소 흡수 수지제를 마련하고, 그 용융괴를 웅형(雄型)에 공급함과 함께, 자형(雌型)에 의해 압축하고, 압축 성형물을 냉각 고화하는 것에 의해 성형체를 얻을 수 있다.
얻어진 성형체의 구경(口頸)부에 내열성을 부여하기 위해, 이 단계에서 구경부를 열처리에 의해 결정화시켜도 된다. 결정화도는 바람직하게는 30∼50%, 보다 바람직하게는 35∼45%이다. 한편, 결정화는 후술하는 이차 가공을 실시한 후에 실시해도 된다.
또한, 압출 성형, 압축 성형(시트 성형, 블로 성형) 등의 성형 수단에 의해 원하는 용기 형상으로 성형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 이용되는 산소 흡수성 다층체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름상으로 해서 이용해도 되고 산소 흡수성 다층 용기의 형태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산소 흡수성 다층 용기의 형상은 전혀 한정되지 않고, 백, 트레이, 컵, 보틀, 튜브, PTP(프레스 스루 팩, 블리스터라고도 함), 바이알, 앰플, 프리필드 시린지, 진공 채혈관 등을 들 수 있다.
[멸균 공정]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멸균 공정은, 테트랄린환을 구성 단위로서 갖는 열가소성 수지(a) 및 전이 금속 촉매를 포함하는 산소 흡수층(층 A)과, 열가소성 수지(b)를 함유하는 층(층 B)을 적어도 구비한 산소 흡수성 다층체에, 방사선을 조사하는 공정이다. 본 실시형태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멸균 공정에 있어서 방사선에 의한 멸균 처리(이하, 간단히 「방사선 멸균 처리」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를 산소 흡수성 다층체에 실시함으로써, 산소 흡수성 다층체를 식품, 음료, 의약품, 화장품 등에 이용되는 용기 등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방사선 멸균 처리)
상기 방사선 멸균 처리는 전자파로 분류되는 감마선이나 X선; 및 입자선으로 분류되는 전자선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조사하여 행한다. 감마선 조사에 있어서, 이용할 수 있는 감마선으로서는, 일반적으로 Co의 방사성 동위체인 Co60 선원으로부터 방출되는 감마선을 들 수 있지만,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X선 조사에 있어서, 이용할 수 있는 X선으로서는, 일반적으로 Cu, Mo, W 등을 대음극으로서 이용하고, X선관이나 크룩스관 내에서 가속시킨 전자빔을 쬐는 것에 의해 발생하는 X선을 들 수 있지만,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전자선 조사에 있어서, 이용할 수 있는 전자선으로서는, 일반적으로 콕크로프트-월턴형, 반 데 그라프형, 공진 변압기형, 절연 코어 변압기형, 선형 가속기, 정전 가속기, 다이나미트론형, 고주파 사이클로트론 등의 각종 전자선 가속기로부터 방출되는 150∼10000KeV의 에너지를 가지는 전자선을 들 수 있지만, 이들로 한정한 것은 아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방사선 멸균 처리에 있어서, 조사하는 방사선의 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산소 흡수성 다층체를 구성하는 수지의 열화를 억제하는 관점에서, 1kGy∼200kGy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kGy∼150kGy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20kGy∼100kGy이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20kGy∼55kGy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산소 흡수성 다층체에 대해서 방사선 멸균 처리를 행하는 타이밍은 전혀 한정되지 않지만, 방사선 멸균 처리 전의 오염 리스크를 저감하는 관점에서, 다층체 제작 후 신속하게 방사선 멸균 처리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소 흡수성 다층체는 방사선 멸균 처리에 의해 착색되므로, 후술하는 가열 처리를 실시하기 전에 색조를 확인함으로써 멸균 처리의 실시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산소 흡수성 방사선 멸균 처리 인디케이터로서의 이용이 가능하다.
[가열 공정]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가열 공정은, 상기 멸균 공정에 있어서 방사선이 조사된 상기 산소 흡수성 다층체를, 상기 열가소성 수지(a)의 유리전이온도-20℃ 이상 상기 열가소성 수지(a)의 유리전이온도 미만의 온도에서 50시간 이상 가열하는 공정이다. 본 실시형태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가열 공정에 있어서 가열 처리를 산소 흡수성 다층체에 실시함으로써, 방사선 멸균 처리에 의해 발생한 산소 흡수성 다층체의 착색을 퇴색시킬 수 있다. 이때, 본 실시형태의 가열 공정의 가열 조건을, 상기 열가소성 수지(a)의 유리전이온도-20℃ 이상 상기 열가소성 수지(a)의 유리전이온도 미만의 온도에서 50시간 이상으로 함으로써, 산소 흡수성 다층체의 가열에 의한 변형 및 열열화 착색을 억제할 수 있음과 함께 산소 흡수능을 유지한 채로 방사선 멸균 처리에 의해 발생한 산소 흡수성 다층체의 취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특히, A층과 B층의 유리전이온도의 차를 작게 하여 성형성을 높인 산소 흡수성 다층체 등을 이용한 경우에 있어서도 산소 흡수능을 유지하고, 열에 의한 변형 및 열열화 착색의 발생을 억제하면서 멸균 공정에 있어서 발생한 산소 흡수성 다층체의 취기를 저감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가열 공정의 가열 온도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a)의 유리전이온도-20℃ 이상 상기 열가소성 수지(a)의 유리전이온도 미만이다. 상기 가열 온도의 상한치가 상기 열가소성 수지(a)의 유리전이온도를 초과해 버리면 50시간 이상 가열한 경우에 열에 의해 산소 흡수성 다층체가 변형되거나, 열열화에 의해 착색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또한, 상기 가열 온도의 하한치가 상기 열가소성 수지(a)의 유리전이온도-20℃ 미만이면, 취기 저감 효과를 충분히 발휘할 수 없고, 또한 퇴색 효과도 저감해 버리는 경우가 있다. 한편, 가열 온도는 가열 시의 산소 흡수성 다층체 표면의 온도를 기준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가열 온도의 상한치는, 산소 흡수성 다층체의 열변형이나 열열화에 의한 착색을 충분히 억제하는 관점에서 "열가소성 수지(a)의 유리전이온도-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열가소성 수지(a)의 유리전이온도-7℃"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가열 온도의 하한치는, 산소 흡수성 다층체의 취기 저감 효과 및 퇴색 효과를 충분히 발휘하는 관점에서 "열가소성 수지(a)의 유리전이온도-1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열가소성 수지(a)의 유리전이온도-12℃"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한편, 전술한 상한치 및 하한치를 적절히 조합함으로써 전술한 가열 조건을 결정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가열 공정의 가열 시간은 50시간 이상이다. 상기 가열 시간이 50시간 미만이면, 취기 저감 효과를 충분히 발휘할 수 없고, 또한 퇴색 효과도 저감해 버리는 경우가 있다. 한편, 가열 시간의 개시는 산소 흡수성 다층체 표면의 온도가 전술한 범위에 이르렀을 때를 기준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가열 시간의 상한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가열 처리에 의한 전술한 효과와 비용의 관점, 및 과잉된 가열에 의한 열변형이나 열열화를 억제하는 관점에서 120시간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시간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가열 시간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전술한 효과와 가열 처리에 의한 비용의 관점에서, 50시간 이상 120시간 이하가 바람직하고, 70시간 이상 100시간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가열 시의 분위기는 질소, 이산화 탄소, 아르곤 등의 불활성 가스 중, 공기 중, 진공 중, 수중 등을 들 수 있고, 이들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단, 취기 저감 효과를 높이는 관점에서는, 가열 공정에 있어서, 산소 흡수성 다층체의 가열을 산소 존재하(예를 들면, 공기 분위기하)에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열 처리에 이용하는 장치는 전혀 한정되지 않고 공지의 것을 적절히 선정하여 이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열풍 건조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가열 처리는 방사선 멸균 처리 후에 실시되지만, 그 타이밍은 전혀 한정되지 않는다. 방사선 멸균 처리에 이어서 행해도 되고, 일정 시간 경과 후에 행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멸균필 산소 흡수성 다층체는, 산소 흡수에 수분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저습도부터 고습도까지의 광범위한 습도 조건(상대 습도 0%∼100%)에서의 산소 흡수 성능이 우수하고, 또한 내용물의 풍미 유지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여러 가지 물품의 포장에 적합하다. 피보존물의 대표예로서, 산소 존재하에서 열화를 일으키기 쉬운 바이오 의약품을 들 수 있다. 바이오 의약품은, 단백질 유래의 약효 성분을 포함하는 한 특별히 정하는 것은 아니고, 당업자에게 공지된 바이오 의약품을 널리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항체, 호르몬, 효소, 및 이들을 포함하는 복합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바이오 의약품인 것이 바람직하다. 바이오 의약품의 구체예로서는, 아드레날린 길항약, 진통약, 마취약, 안지오텐신 길항약, 항염증약, 항불안약, 항부정맥약, 항콜린약, 항응고약, 항간질약, 지사약, 항히스타민약, 항신생물약 및 대사 길항약, 항신생물약 및 대사 길항약, 항소성약, 항궤양약, 비스포스포네이트, 기관지 확장약, 강심약, 심장 혈관약, 중추 작용 α2 자극약, 조영제, 변환 효소 저해약, 외피용약, 이뇨약, 발기 부전용 약물, 남용 약물, 엔도텔린 길항약, 호르몬약 및 사이토카인, 혈당 강하약, 요산 배설 촉진약 및 통풍에 이용되는 약물, 면역 억제약, 지질 강하약, 여러 가지 약품, 정신 치료약, 레닌 저해약, 세라토닌 길항약, 스테로이드, 교감 신경 흥분약, 갑상선약 및 항갑상선약, 및 혈관 확장약, 바소펩티다제 저해약, 인슐린, 혈액 인자, 혈전 용해약, 호르몬, 조혈 성장 인자, 인터페론, 인터류킨계 생성물, 백신, 모노클로널 항체, 종양 괴사 인자, 치료용 효소, 항체-약물 복합체, 바이오시밀러, 에리트로포이에틴, 면역글로불린, 체세포, 유전자 치료, 조직, 및 치료용 재조합 단백질을 들 수 있다.
그 밖에, 바이오 의약품 이외의 의약품, 음료, 식품, 농약, 살충제 등의 화학품, 페트 푸드, 세제 등, 여러 가지 물품을 들 수 있지만, 이들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고, 본 발명을 한정하여 해석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실시형태가 구비하는 각 요소 및 그의 배치, 재료, 조건, 형상, 사이즈 등은, 예시한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이한 실시형태에서 나타낸 구성끼리를 부분적으로 치환 또는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와 비교예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특별히 기재가 없는 한, NMR(핵자기 공명: nuclear magnetic resonance) 측정은 실온에서 행했다.
(모노머의 합성)
내용적 18L의 오토클레이브에, 나프탈렌-2,6-다이카복실산 다이메틸 2.20kg, 2-프로판올 11.0kg, 5% 팔라듐을 활성탄에 담지시킨 촉매 350g(50wt% 함수품)을 투입했다. 이어서, 오토클레이브 내의 공기를 질소로 치환하고, 다시 질소를 수소로 치환한 후, 오토클레이브 내의 압력이 0.8MPa이 될 때까지 수소를 공급했다. 다음으로, 교반기를 기동하고, 회전 속도를 500rpm으로 조정하고, 30분간에 걸쳐 내온을 100℃까지 올린 후, 수소를 더 공급하여 압력을 1MPa로 했다. 그 후, 반응의 진행에 의한 압력 저하에 따라, 1MPa을 유지하도록 수소의 공급을 계속했다. 7시간 후에 압력 저하가 없어졌으므로, 오토클레이브를 냉각하고, 미반응한 잔존 수소를 방출한 후, 오토클레이브로부터 반응액을 취출했다. 반응액을 여과하여, 촉매를 제거한 후, 분리 여액으로부터 2-프로판올을 증발기로 증발시켰다. 얻어진 조(粗)생성물에, 2-프로판올을 4.40kg 가하고, 재결정에 의해 정제하여, 테트랄린-2,6-다이카복실산 다이메틸을 80%의 수율로 얻었다. 한편, NMR의 분석 결과는 하기와 같다.
1H-NMR(400MHz CDCl3) δ7.76-7.96(2H m), 7.15(1H d), 3.89(3H s), 3.70(3H s), 2.70-3.09(5H m), 2.19-2.26(1H m), 1.80-1.95(1H m)
(폴리머의 합성)
충전탑식 정류탑, 분축기, 전축기, 콜드 트랩, 교반기, 가열 장치 및 질소 도입관을 구비한 폴리에스터 수지 제조 장치에, 전술한 것으로부터 얻어진 테트랄린-2,6-다이카복실산 다이메틸 543g, 에틸렌 글라이콜 217g, 테트라뷰틸 타이타네이트 0.171g을 투입하고, 질소 분위기에서 230℃까지 승온하여 에스터 교환 반응을 행했다. 다이카복실산 성분의 반응 전화율을 85% 이상으로 한 후, 테트라뷰틸 타이타네이트 0.171g을 첨가하고, 승온과 감압을 서서히 행하고, 245℃, 133Pa 이하에서 중축합을 행하여, 폴리에스터 화합물(1)을 얻었다.
얻어진 폴리에스터 화합물(1)의 중량 평균 분자량과 수 평균 분자량을 GPC(겔 퍼미에이션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측정을 행한 결과, 폴리스타이렌 환산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8.5×104, 수 평균 분자량은 3.0×104이었다. 유리전이온도와 융점을 DSC(시차 주사 열량 측정: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에 의해 측정을 행한 결과, 유리전이온도는 67℃, 융점은 비결정성이기 때문에 확인되지 않았다.
[다층 용기(바이알)의 제조예]
하기의 조건에 의해, 층 B를 구성하는 재료를 사출 실린더로부터 사출하고, 이어서 층 A를 구성하는 재료를 별도의 사출 실린더로부터, 층 B를 구성하는 재료와 동시에 사출하고, 다음으로 층 A를 구성하는 재료를 필요량 사출하여 사출 금형 내 캐비티를 채우는 것에 의해, B/A/B의 3층 구성의 사출 성형체를 얻은 후, 사출 성형체를 소정의 온도까지 냉각하고, 블로 금형으로 이행한 후에 블로 성형을 행함으로써 바이알(보틀부)을 제조했다. 바이알의 총질량을 24g으로 하고, 층 A의 질량을 바이알의 총질량의 30질량%로 했다. 층 B를 구성하는 재료로서는 사이클로올레핀 폴리머(COP, 닛폰제온 주식회사제, 상품명: ZEONEX(등록상표) 5000; 유리전이온도 69℃)를 사용했다.
(바이알의 형상)
전장 89mm, 외경 40mmφ, 두께 1.8mm로 했다. 한편, 바이알의 제조에는, 사출 블로 일체형 성형기(UNILOY제, 형식: IBS 85, 4개 캐비티)를 사용했다.
(바이알의 성형 조건)
층 A용의 사출 실린더 온도: 260℃
층 B용의 사출 실린더 온도: 280℃
사출 금형 내 수지 유로 온도: 280℃
블로 온도: 150℃
블로 금형 냉각수 온도: 15℃
[바이알의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바이알의 산소 투과율에 대하여, 이하의 방법으로 측정하여 평가했다.
·바이알의 산소 투과율(OTR)
23℃, 성형체 외부의 상대 습도 50%, 내부의 상대 습도 100%의 분위기에서, 측정 개시로부터 30일째의 산소 투과율을 측정했다. 측정은 산소 투과율 측정 장치(MOCON사제, 상품명: OX-TRAN 2-21 ML)를 사용했다. 측정치가 낮을수록 산소 배리어성이 양호한 것을 나타낸다. 한편 측정의 검출 하한계는 산소 투과율 5×10-5mL/(0.21 atm·day·package)이다.
[실시예 1]
전술한 폴리에스터 화합물(1) 100질량부에 대해, 스테아르산 코발트(II)를 코발트량이 0.00025질량부가 되도록 드라이 블렌딩하고, 직경 37mm의 스크루를 2본 갖는 2축 압출기에 30kg/h의 속도로 상기 재료를 공급하고, 실린더 온도 220℃의 조건에서 용융 혼련을 행하고, 압출기 헤드로부터 스트랜드를 압출하고, 냉각 후, 펠리타이징하여, 산소 흡수성 수지 조성물을 얻었다. 층 A를 구성하는 재료로서 상기 산소 흡수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전술한 방법에 의해 산소 흡수성 다층 바이알을 제조했다. 다음으로, 얻어진 산소 흡수성 다층 바이알에, Co60 선원으로부터 방출되는 감마선을 실온·공기 중에서 50kGy 조사했다. 이어서, 감마선 조사한 바이알을 정온(定溫) 건조기(야마토과학 주식회사제, 형식: DS400)에 넣어, 공기 중에서 55℃, 96시간의 가열 처리를 행했다. 그 후, 실온까지 냉각한 후에 바이알의 YI와 산소 투과율을 측정했다. 또한, 감마선 조사·가열 처리 후의 바이알을 알루미늄박 적층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배리어 백에, 공기량 300cc와 함께 각각 1본씩 넣고, 23℃/50% 상대 습도(RH)에서 1일간 보존하여, 밀봉 백 내의 취기의 유무를 확인했다. 또한, 감마선 조사·가열 처리 후에 용기의 변형의 유무를 육안으로 확인했다. 이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2∼6]
감마선 조사선량, 가열 온도 및 가열 시간을 표 1에 나타낸 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행하여, 산소 흡수성 다층 바이알의 YI와 산소 투과율을 측정하고, 취기 및 변형의 유무를 판정했다. 이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7]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제작한 산소 흡수성 다층 바이알에, 정전 가속기를 이용한 전자선 발생 장치로부터 방출되는 전자선을 실온·공기 중에서 50kGy 조사했다. 이어서, 전자선 조사한 바이알을 정온 건조기(야마토과학 주식회사제, 형식: DS400)에 넣어, 공기 중에서 55℃, 96시간의 가열 처리를 행했다. 그 후, 실온까지 냉각한 후에 바이알의 YI와 산소 투과율을 측정했다. 또한, 전자선 조사·가열 처리 후의 필름을 알루미늄박 적층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배리어 백에, 공기량 300ml와 함께 각각 1매씩 넣고, 23℃/50% 상대 습도(RH)에서 1일간 보존하여, 밀봉 백 내의 취기의 유무를 확인했다. 또한, 전자선 조사·가열 처리 후에 용기의 변형의 유무를 육안으로 확인했다. 이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8∼12]
전자선 조사선량, 가열 온도 및 가열 시간을 표 1에 나타낸 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7과 마찬가지로 행하여, 산소 흡수성 다층 바이알의 YI와 산소 투과율을 측정하고, 취기 및 변형의 유무를 판정했다. 이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13∼18]
감마선 조사선량, 가열 온도 및 가열 시간을 표 1에 나타낸 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행하여, 산소 흡수성 다층 바이알의 YI와 산소 투과율을 측정하고, 취기 및 변형의 유무를 판정했다. 이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1]
가열 처리를 행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행하여, 바이알의 YI와 산소 투과율을 측정하고, 취기 및 변형의 유무를 판정했다. 이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2]
선량을 25kGy로 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1과 마찬가지로 행하여, 산소 흡수성 다층 바이알의 YI와 산소 투과율을 측정하고, 취기 및 변형의 유무를 판정했다. 이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3]
가열 처리를 행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7과 마찬가지로 행하여, 바이알의 YI와 산소 투과율을 측정하고, 취기 및 변형의 유무를 판정했다. 이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4]
선량을 25kGy로 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3과 마찬가지로 행하여, 산소 흡수성 다층 바이알의 YI와 산소 투과율을 측정하고, 취기 및 변형의 유무를 판정했다. 이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5]
가열 시간을 10시간으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행하여, 바이알의 YI와 산소 투과율을 측정하고, 취기 및 변형의 유무를 판정했다. 이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6]
가열 온도를 80℃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행하여, 바이알의 YI와 산소 투과율을 측정하고, 취기 및 변형의 유무를 판정했다. 이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7]
가열 온도를 45℃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행하여, 바이알의 YI와 산소 투과율을 측정하고, 취기 및 변형의 유무를 판정했다. 이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8]
가열 온도를 70℃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행하여, 바이알의 YI와 산소 투과율을 측정하고, 취기 및 변형의 유무를 판정했다. 이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9]
가열 온도를 40℃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행하여, 바이알의 YI와 산소 투과율을 측정하고, 취기 및 변형의 유무를 판정했다. 이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10]
가열 시간을 45시간으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행하여, 바이알의 YI와 산소 투과율을 측정하고, 취기 및 변형의 유무를 판정했다. 이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11]
가열 시간을 10시간으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4와 마찬가지로 행하여, 바이알의 YI와 산소 투과율을 측정하고, 취기 및 변형의 유무를 판정했다. 이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12]
가열 온도를 80℃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4와 마찬가지로 행하여, 바이알의 YI와 산소 투과율을 측정하고, 취기 및 변형의 유무를 판정했다. 이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13]
가열 온도를 45℃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4와 마찬가지로 행하여, 바이알의 YI와 산소 투과율을 측정하고, 취기 및 변형의 유무를 판정했다. 이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14]
가열 온도를 70℃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4와 마찬가지로 행하여, 바이알의 YI와 산소 투과율을 측정하고, 취기 및 변형의 유무를 판정했다. 이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15]
가열 온도를 40℃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4와 마찬가지로 행하여, 바이알의 YI와 산소 투과율을 측정하고, 취기 및 변형의 유무를 판정했다. 이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16]
가열 시간을 45시간으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4와 마찬가지로 행하여, 바이알의 YI와 산소 투과율을 측정하고, 취기 및 변형의 유무를 판정했다. 이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6
표 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비교예에 비해 방사선 조사 후에 적절한 조건에서 가열 처리를 실시한 본 실시형태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다층 바이알은, 취기가 저감되고 있음과 함께 YI가 크게 감소하고 있고, 가열 처리를 실시한 후에도, 산소 흡수 성능은 유지되고 있었다. 나아가, 용기의 변형이나 열열화에 의한 착색의 발생도 억제되고 있었다.
이로부터, 본 실시형태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산소 흡수 성능을 유지한 채로 방사선 조사에 의한 취기를 저감시킴과 동시에, 가열에 의한 용기의 변형이나 열열화에 의한 착색을 억제하는 것에 매우 유효했다.
2017년 2월 8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2017-021416호의 개시는 그 전체가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원용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모든 문헌, 특허출원, 및 기술규격은, 개개의 문헌, 특허출원, 및 기술규격이 참조에 의해 원용되는 것이 구체적이고 개개로 기재된 경우와 동일한 정도로, 본 명세서 중에 참조에 의해 원용된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멸균필 산소 흡수성 다층체는, 식품, 음료, 의약품, 화장품을 비롯한 여러 가지 대상물을 보존하는 용기의 재료 등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Claims (13)

  1. 테트랄린환을 구성 단위로서 갖는 열가소성 수지(a) 및 전이 금속 촉매를 포함하는 산소 흡수층과, 열가소성 수지(b)를 함유하는 층을 적어도 구비한 산소 흡수성 다층체에, 방사선을 조사하는 멸균 공정과,
    상기 멸균 공정에 있어서 방사선이 조사된 상기 산소 흡수성 다층체를, 상기 열가소성 수지(a)의 유리전이온도-20℃ 이상 상기 열가소성 수지(a)의 유리전이온도 미만의 온도에서 50시간 이상 가열하는 가열 공정
    을 포함하는 멸균필 산소 흡수성 다층체의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산소 흡수성 다층체는, 적어도 2층의 상기 열가소성 수지(b)를 함유하는 층을 구비하고, 상기 산소 흡수층이 2층의 상기 열가소성 수지(b)를 함유하는 층 사이에 배치된, 멸균필 산소 흡수성 다층체의 제조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a)의 유리전이온도(Tg1)와 상기 열가소성 수지(b)의 유리전이온도(Tg2)가 하기 식(A)로 나타내는 관계를 갖는, 멸균필 산소 흡수성 다층체의 제조 방법.
    식(A): Tg1≤Tg2≤[Tg1+10℃]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공정에 있어서의 가열 시간이 50시간 이상 120시간 이하인, 멸균필 산소 흡수성 다층체의 제조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공정에 있어서의 가열 온도가 상기 열가소성 수지(a)의 유리전이온도-20℃ 이상 상기 열가소성 수지(a)의 유리전이온도-5℃ 이하인, 멸균필 산소 흡수성 다층체의 제조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공정에 있어서, 상기 산소 흡수성 다층체의 가열을 산소 존재하에서 행하는, 멸균필 산소 흡수성 다층체의 제조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b)의 유리전이온도가 60∼80℃인, 멸균필 산소 흡수성 다층체의 제조 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산소 흡수성 다층체가 산소 흡수성 다층 용기인, 멸균필 산소 흡수성 다층체의 제조 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a)가, 하기 화학식(1)∼(4)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개의 테트랄린환을 갖는 구성 단위를 함유하는 폴리에스터 화합물인, 멸균필 산소 흡수성 다층체의 제조 방법.
    Figure pct00007

    (식 중, R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1가의 치환기를 나타내고, 상기 1가의 치환기는 할로젠 원자, 알킬기, 알켄일기, 알킨일기, 아릴기, 헤테로환기, 사이아노기, 하이드록시기, 카복실기, 에스터기, 아마이드기, 나이트로기, 알콕시기, 아릴옥시기, 아실기, 아미노기, 싸이올기, 알킬싸이오기, 아릴싸이오기, 헤테로환 싸이오기 및 이미드기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며, 이들은 추가로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된다. m은 0∼3의 정수를 나타내고, n은 0∼7의 정수를 나타내고, 테트랄린환의 벤질 위치에 적어도 1개의 수소 원자가 결합하고 있다. X는 방향족 탄화수소기, 포화 또는 불포화의 지환식 탄화수소기, 직쇄상 또는 분기상의 포화 또는 불포화의 지방족 탄화수소기 및 헤테로환기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개의 기를 함유하는 2가의 기를 나타낸다.)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이 금속 촉매가, 망가니즈, 철, 코발트, 니켈 및 구리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전이 금속을 포함하는, 멸균필 산소 흡수성 다층체의 제조 방법.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이 금속 촉매가, 상기 열가소성 수지(a) 100질량부에 대해, 전이 금속량으로서 0.0001∼10질량부 포함되는, 멸균필 산소 흡수성 다층체의 제조 방법.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a)가, 하기 화학식(5)∼(7)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개의 테트랄린환을 갖는 구성 단위를 함유하는 폴리에스터 화합물인, 멸균필 산소 흡수성 다층체의 제조 방법.
    Figure pct00008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선이 감마선, X선 또는 전자선인, 멸균필 산소 흡수성 다층체의 제조 방법.
KR1020197022679A 2017-02-08 2018-02-06 멸균필 산소 흡수성 다층체의 제조 방법 KR1024590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021416 2017-02-08
JPJP-P-2017-021416 2017-02-08
PCT/JP2018/003981 WO2018147262A1 (ja) 2017-02-08 2018-02-06 滅菌済み酸素吸収性多層体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7509A true KR20190117509A (ko) 2019-10-16
KR102459001B1 KR102459001B1 (ko) 2022-10-25

Family

ID=63108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2679A KR102459001B1 (ko) 2017-02-08 2018-02-06 멸균필 산소 흡수성 다층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534508B2 (ko)
EP (1) EP3581377B1 (ko)
JP (1) JP6935061B2 (ko)
KR (1) KR102459001B1 (ko)
CN (1) CN110300660B (ko)
TW (1) TWI743309B (ko)
WO (1) WO2018147262A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77436A1 (ja) 2011-11-25 2013-05-30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酸素吸収性樹脂組成物およびこれを用いた酸素吸収性成形体、並びに、これらを用いた多層体、容器、インジェクション成形体および医療用容器
WO2013089268A1 (ja) 2011-12-16 2013-06-20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酸素吸収性樹脂組成物、並びにこれを用いた多層体、容器、インジェクション成形体および医療用容器
WO2013118882A1 (ja) 2012-02-08 2013-08-15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酸素吸収性樹脂組成物およびこれを用いた酸素吸収性多層体、これらを用いた成形体および医療用容器
WO2015119230A1 (ja) 2014-02-06 2015-08-13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滅菌済み酸素吸収性樹脂組成物、滅菌済み酸素吸収性多層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50126393A (ko) * 2013-03-06 2015-11-11 미츠비시 가스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산소 흡수성 다층체, 산소 흡수성 용기, 산소 흡수성 밀폐 용기, 산소 흡수성 ptp 포장체, 및 이들을 이용한 보존 방법
KR20150128809A (ko) * 2013-03-06 2015-11-18 미츠비시 가스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산소 흡수성 의료용 다층 용기 및 바이오 의약의 보존 방법
KR20150128652A (ko) * 2013-03-06 2015-11-18 미츠비시 가스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산소 흡수제 조성물
KR20160138462A (ko) * 2014-03-26 2016-12-05 미츠비시 가스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산소 흡수성 다층 용기 및 그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66884B2 (ja) 1992-05-21 2005-06-29 日本ゼオン株式会社 医療用器材
JP3785473B2 (ja) * 1998-06-22 2006-06-14 日本ゼオン株式会社 放射線滅菌法および滅菌した成形品
JP2007099366A (ja) * 2005-10-06 2007-04-19 Toyo Seikan Kaisha Ltd 酸素吸収性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WO2007069473A1 (ja) 2005-12-12 2007-06-21 Konica Minolta Opto, Inc. 偏光板保護フィルム、フィルム製造方法、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US8613880B2 (en) 2010-04-21 2013-12-24 Abbott Cardiovascular Systems Inc. Post electron beam conditioning of polymeric medical devices
US8715569B2 (en) * 2010-08-20 2014-05-06 Abbott Cardiovascular Systems Inc. Post electron beam stabilization of polymeric medical devices
CN105073886B (zh) * 2013-03-05 2016-11-30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吸氧性树脂组合物
US10035879B2 (en) * 2013-03-06 2018-07-31 Mitsubishi Gas Chemical Company, Inc. Oxygen-absorbing resin composition and oxygen-absorbing multilayer injection-molded article and oxygen-absorbing multilayer container using same
JP2015217971A (ja) * 2014-05-20 2015-12-07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酸素吸収性多層ダイレクトブロー容器
JP2016174731A (ja) * 2015-03-20 2016-10-06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多層採血管
JP6578770B2 (ja) 2015-07-07 2019-09-25 富士通株式会社 ライセンス数管理システム、ライセンス数管理装置、ライセンス数管理プログラムおよびライセンス数管理方法
JP2018016723A (ja) * 2016-07-28 2018-02-01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滅菌済み酸素吸収性樹脂組成物及び多層容器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77436A1 (ja) 2011-11-25 2013-05-30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酸素吸収性樹脂組成物およびこれを用いた酸素吸収性成形体、並びに、これらを用いた多層体、容器、インジェクション成形体および医療用容器
WO2013089268A1 (ja) 2011-12-16 2013-06-20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酸素吸収性樹脂組成物、並びにこれを用いた多層体、容器、インジェクション成形体および医療用容器
WO2013118882A1 (ja) 2012-02-08 2013-08-15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酸素吸収性樹脂組成物およびこれを用いた酸素吸収性多層体、これらを用いた成形体および医療用容器
KR20150126393A (ko) * 2013-03-06 2015-11-11 미츠비시 가스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산소 흡수성 다층체, 산소 흡수성 용기, 산소 흡수성 밀폐 용기, 산소 흡수성 ptp 포장체, 및 이들을 이용한 보존 방법
KR20150128809A (ko) * 2013-03-06 2015-11-18 미츠비시 가스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산소 흡수성 의료용 다층 용기 및 바이오 의약의 보존 방법
KR20150128652A (ko) * 2013-03-06 2015-11-18 미츠비시 가스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산소 흡수제 조성물
WO2015119230A1 (ja) 2014-02-06 2015-08-13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滅菌済み酸素吸収性樹脂組成物、滅菌済み酸素吸収性多層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60138462A (ko) * 2014-03-26 2016-12-05 미츠비시 가스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산소 흡수성 다층 용기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300660A (zh) 2019-10-01
US11534508B2 (en) 2022-12-27
JPWO2018147262A1 (ja) 2019-12-12
TW201832939A (zh) 2018-09-16
WO2018147262A1 (ja) 2018-08-16
EP3581377B1 (en) 2020-10-21
TWI743309B (zh) 2021-10-21
KR102459001B1 (ko) 2022-10-25
EP3581377A1 (en) 2019-12-18
US20200009278A1 (en) 2020-01-09
CN110300660B (zh) 2021-07-09
JP6935061B2 (ja) 2021-09-15
EP3581377A4 (en) 2019-1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92713B1 (en) Oxygen-absorbing resin molded article obtained from an oxygen-absorbing resin composition, and multilayer body, container, injection-molded article and medical container using the composition
CN105008128A (zh) 吸氧性多层体、吸氧性容器、吸氧性密闭容器、吸氧性ptp包装体、及使用它们的保存方法
WO2014136918A1 (ja) 酸素吸収性医療用多層容器及びバイオ医薬の保存方法
TWI674193B (zh) 氧吸收性多層容器及其製造方法
KR102322942B1 (ko) 멸균 완료된 산소 흡수성 수지 조성물, 멸균 완료된 산소 흡수성 다층 용기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459001B1 (ko) 멸균필 산소 흡수성 다층체의 제조 방법
JP2018016723A (ja) 滅菌済み酸素吸収性樹脂組成物及び多層容器
JP5935659B2 (ja) 酸素吸収性多層体及び酸素吸収性多層容器
WO2023233984A1 (ja) 樹脂組成物
TW202413481A (zh) 樹脂組成物
JP6020108B2 (ja) 医療用多層容器
JP6015343B2 (ja) 医療用多層容器
JP2021011305A (ja) 医療用多層容器
JP2018167845A (ja) 酸素吸収性多層容器の梱包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