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7078A - 개봉편이 달린 포장체 - Google Patents

개봉편이 달린 포장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7078A
KR20190107078A KR1020197023616A KR20197023616A KR20190107078A KR 20190107078 A KR20190107078 A KR 20190107078A KR 1020197023616 A KR1020197023616 A KR 1020197023616A KR 20197023616 A KR20197023616 A KR 20197023616A KR 20190107078 A KR20190107078 A KR 201901070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age
piece
film
polymer film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36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7063B1 (ko
Inventor
켄이치 마쓰다
히로키 마키
카츠요시 오카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구레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구레하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구레하
Publication of KR201901070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70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70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70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66Inserted or applied tearing-strings or like flexible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13/00Sausage ca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7/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7/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7/04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chlorine atoms
    • C08L27/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idene chloride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13/00Sausage casings
    • A22C2013/003Sausage casings with peeling aids, e.g. reducing adhesion between casing and product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13/00Sausage casings
    • A22C2013/0036Sausage casings with features allowing an easy opening and/or removal of the casing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13/00Sausage casings
    • A22C2013/0053Sausage casings multilayer casing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13/00Sausage casings
    • A22C2013/0059Sausage casings thermoplastic casings, casings with at least one layer of thermoplastic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6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65D33/1616Elements constricting the neck of the bag
    • B65D33/1641Staples, clips or clamps made of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포장체의 개봉을 보다 확실하게 행할 수 있는 개봉편이 달린 포장체를 제공한다. 개봉편이 달린 포장체(1)는, 제1 고분자 필름으로 형성되어 있고, 통형상체의 내부에 내용물이 충전되어 있고, 양단이 닫혀져 있는 포장체(2)와, 제2 고분자 필름으로 형성되어 있고, 가장자리의 일부를 집을 수 있도록 상기 포장체에 접합되어 있는 개봉편(3)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2 고분자 필름의 120℃에서의 수축률이 15.0% 이상이다.

Description

개봉편이 달린 포장체
본 발명은, 개봉편(開封片)이 달린 포장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포장체가 통형상의 필름으로 형성되어 있는 개봉편이 달린 포장체에 관한 것이다.
소시지 등의 가공 식품이 밀폐된 포장체는, 일반적으로, 통형상으로 형성된 필름에 내용물을 충전(充塡)한 후에, 양단을 수속(收束)하여 결찰(結紮)함으로써 제조되고 있다. 이러한 포장체의 포장 필름의 개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작은 필름으로 형성된 컷 테이프 혹은 오프너라고 칭해지는 개봉편이, 포장 필름에 장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개봉편의 일부가 포장 필름에 용착되어 있고, 개봉편을 집고 젖히면 용착 부분이 기점이 되어 포장 필름이 파괴됨으로써, 포장체의 포장 필름의 개봉을 용이하게 하고 있다.
종래의 개봉편이 달린 포장체에서는, 포장체의 개봉편을 집고 젖힐 때에, 개봉편이 도중에 끊어져, 포장체를 잘 개봉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에 대해, 특허문헌 1에는, 끊어지기 어려운 개봉편을 갖는 개봉편이 달린 포장체로서, 특정량의 염화비닐 단량체 단위를 포함하는 염화비닐리덴-염화비닐 공중합체 수지로 형성된 개봉편을 구비한, 포장체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16-166048호(2016년 9월 15일 공개)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개봉편을 이용한 경우라도, 개봉편이 끊어지기 어렵다는 점에서 반드시 충분하다고는 말할 수 없어, 추가적인 개량이 요망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포장체의 개봉을 보다 확실하게 행할 수 있는 개봉편이 달린 포장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개봉편이 달린 포장체는, 제1 고분자 필름으로 형성되어 있고, 통형상체의 내부에 내용물이 충전되어 있고, 양단이 닫혀져 있는 포장체와, 제2 고분자 필름으로 형성되어 있고, 가장자리의 일부를 집을 수 있도록 상기 포장체에 접합되어 있는 개봉편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2 고분자 필름의 120℃에서의 수축률이 15.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개봉편이 달린 포장체에서의 개봉편이 끊어지기 어렵게 되어 있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그 때문에, 개봉을 보다 확실하게 행할 수 있는 개봉편이 달린 포장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개봉편이 달린 포장체의 전체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개봉편의 접합부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개봉편의 접합부의 형태의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개봉편이 달린 포장체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개봉편이 달린 포장체의 전체 정면도이다. 개봉편이 달린 포장체(1)는 포장체(2) 및 포장체(2)에 접합된 개봉편(3)으로 구성되어 있다.
〔포장체〕
포장체(2)는, 내부에 내용물이 충전된 통형상체, 및 통형상체의 양단을 닫는 폐쇄부(4)로 형성되어 있다.
(통형상체)
통형상체는, 띠형상의 모재 필름으로 형성되어 있다. 통형상체는, 띠형상의 모재 필름이 통형상으로 감기고, 길이 방향으로 신장되는 양측변이 서로 겹쳐지고, 서로 겹쳐진 양측변이 길이 방향을 따라 용착됨으로써 통형상의 형상을 이루고 있다. 띠형상의 모재 필름의 양측변의 서로 겹침은, 모재 필름의 길이 방향으로 신장되는 한쪽 변의 겉면과 다른 쪽 변의 뒷면을 접촉시켜 서로 겹치게 하는 통 밀봉(封筒) 붙임, 및 모재 필름의 길이 방향으로 신장되는 양측 변의 겉면끼리 또는 뒷면끼리를 접촉시켜 서로 겹치게 하는 합장(合掌) 붙임 중 어느 방법으로 서로 겹치게 해도 좋다.
내부에 내용물이 충전된 통형상체는, 그 양단이 닫혀져, 폐쇄부(4)를 형성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통형상체의 양단의 폐쇄는, 내용물이 충전된 통형상체의 각 단부를 집속(集束)시키고, 집속시킨 부분을 합성수지 테이프로 양측에서 집고, 집속시킨 부분을 합성수지 테이프와 함께 가열 용착함으로써 결찰하는 것으로 행하고 있다. 그러나 내용물을 통형상체 내에 밀봉할 수 있으면 결찰하는 방법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통형상체의 단부를 알루미늄 와이어 등으로 봉지하는 방법이라도 좋다. 합성수지 테이프를 형성하는 합성수지로서는, 염화비닐리덴-염화비닐 공중합체, 염화비닐리덴-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또는 염화비닐리덴-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를 적절히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합성수지 테이프를 이용하지 않고, 통형상체의 집속시킨 부분을 바로 용착하여 결찰해도 좋다.
(모재 필름)
모재 필름으로서는 고분자 필름(이하, 제1 고분자 필름)이 이용된다. 모재 필름으로 통형상체를 형성할 때에 모재 필름끼리를 고속으로 가열 용착시키므로, 모재 필름은 고주파 실링(sealing)이 가능한 염화비닐리덴계 공중합체 수지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염화비닐리덴계 공중합체 수지는, 염화비닐리덴계 공중합체를 주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수지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염화비닐리덴계 공중합체란, 염화비닐리덴과, 염화비닐리덴과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의 공중합체를 의도하고 있다.
염화비닐리덴과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어 염화비닐, 아세트산비닐, 아크릴산메틸, 아크릴산에틸, 아크릴산부틸, 아크릴산2-에틸헥실, 아크릴산라우릴 또는 아크릴산스테아릴 등의 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알킬기의 탄소수 1~18); 메타크릴산메틸, 메타크릴산부틸, 메타크릴산2-에틸헥실, 메타크릴산라우릴, 또는 메타크릴산스테아릴 등의 메타크릴산알킬에스테르(알킬기의 탄소수 1~18);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등의 시안화비닐; 스티렌 등의 방향족 비닐; 아세트산비닐 등의 탄소수 1~18의 지방족 카복실산의 비닐에스테르; 탄소수 1~18의 알킬비닐에테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말레산, 푸마르산, 이타콘산 등의 비닐 중합성 불포화 카복실산; 말레산, 푸마르산, 이타콘산 등의 비닐 중합성 불포화 카복실산의 알킬에스테르(부분 에스테르를 포함하고, 알킬기의 탄소수 1~18); 기타, 디엔계 단량체, 관능기 함유 단량체, 다관능성 단량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단량체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이들 단량체 중에서도, 염화비닐, 아크릴산메틸, 메타크릴산메틸, 아크릴산부틸 또는 아세트산비닐이 바람직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염화비닐이다. 따라서 특히 바람직한 염화비닐리덴계 공중합체는, 염화비닐리덴-염화비닐 공중합체이다.
염화비닐리덴계 공중합체에서의 염화비닐리덴 단량체 단위의 함유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70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80질량% 이상이다. 염화비닐리덴 단량체 단위의 함유 비율의 상한은 특별히 없지만, 압출 가공성 등의 관점에서, 통상 99질량%, 대부분의 경우 95질량%이다.
제1 고분자 필름을 이용한 포장체의 120℃에서의 수축률은, 9%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1%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2% 이상인 것이 더욱 더 바람직하다. 제1 고분자 필름을 이용한 포장체의 수축률은, 예를 들어 제1 고분자 필름을 형성하는 수지를, 압출기 스크류를 이용하여 용융 압출한 후, 이축 연신함으로써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제어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의 제1 고분자 필름을 이용한 포장체의 120℃에서의 수축률이란, 충전물이 가득 차 있는 포장체의 길이 방향으로 20 mm 간격의 표시를 한 후, 120℃, 0.2 MPa의 열수(熱水) 중에서 15분간 가압 가열한 후, 표시의 간격을 측정하고, 그 변화율을 %단위로 산출한 값이다.
제1 고분자 필름을 형성할 때, 압출 가공성 개선 등을 위해 각종 첨가제를 함유시킬 수 있다. 첨가제로서는, 예를 들어 가소제, 안정제, 항산화제, 계면활성제, 및 안료 등을 들 수 있고, 용도에 따라, 적절히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유기 화합물 및 무기 화합물 모두, 첨가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유기 화합물은, 중합체일 수도 있다.
가소제로서는, 예를 들어 아세틸트리부틸시트레이트(ATBC), 디아세틸화모노라우릴글리세리드(DALG), 디부틸세바케이트(DBS) 및 디옥틸세바케이트(DOS) 등을 들 수 있다.
안정제로서는, 예를 들어 에폭시화대두유(ESBO) 또는 에폭시화아마인유(ELO) 등의 에폭시화유; 지방산알킬에스테르의 아미드 유도체; 수산화마그네슘; 및 피로인산사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항산화제로서는, 2, 6-디-tert-부틸-4-메틸-페놀(BHT), 트리에틸렌글리콜-비스[3-(3-tert-부틸-5-메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2, 4-디메틸-6-S-알킬페놀, 2, 4-디메틸-6-(1-메틸펜타데실)페놀 및 이들의 혼합물 등의 페놀계 항산화제; 티오디프로피온산 및 디스테아릴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 등의 티오에테르계 항산화제; 및 트리스노닐페닐포스파이트 및 디스테아릴펜타에리트리톨디포스파이트 등의 포스파이트계 항산화제 등을 들 수 있다.
계면활성제로서는, 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등의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안료로서는, 아조계 안료(예를 들어, 불용성 모노아조계 안료, 불용성 디스아조계 안료, 축합 아조계 안료), 프탈로시아닌계 안료, 안트라퀴논계 안료, 퀴나크리돈계 안료, 티오인디고계 안료, 페리논계 안료, 디옥사진계 안료, 이소인돌리논계 안료 및 이소인돌린계 안료 등의 유기 안료; 산화티탄, 코발트블루, 이산화규소, 알루미늄계 안료, 마이카 및 카본 블랙 등의 무기 안료; 및 탄산칼슘 및 산화마그네슘 등의 체질 안료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제1 고분자 필름에는 활제가 함유되어 있을 수도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활제를 선택할 수 있고, 무기 활제 또는 유기 활제를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유기 활제이다.
무기 활제로서는, 이산화규소, 제올라이트 및 탄산칼슘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활제로서는, 종래 유기 활제로서 사용되고 있는 포화지방산아미드, 불포화지방산아미드 및 치환 아미드 등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포화지방산아미드로서는, 예를 들어 부틸아미드, 길초산아미드, 카프로산아미드, 카프릴산아미드, 카프르산아미드, 라우르산아미드, 미리스트산아미드, 팔미트산아미드, 스테아르산아미드, 아라키드산아미드 및 베헨산아미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불포화지방산아미드로서는, 올레산아미드 및 에루크산아미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N-올레일팔미트산아미드, N-스테아릴스테아르산아미드, N-스테아릴올레산아미드, N-올레일스테아르산아미드 및 N-스테아릴에루크산아미드 등의 치환 아미드, 메틸롤스테아르산아미드 등의 메틸롤아미드, 메틸렌비스스테아르산아미드 및 에틸렌비스하이드록시스테아르산아미드 등의 포화지방산비스아미드, 에틸렌비스에루크산아미드 등의 불포화지방산비스아미드, 및 m-자일렌비스하이드록시스테아르산아미드 등의 방향족계 비스아미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내용물)
포장체(2)에 충전되는 내용물은, 식용으로서의 생선살인 어육 연육(練肉)(어육 연제품 및 어육 소시지의 원료)이 주원료로서 적절히 이용되지만, 수육(獸肉)용 연육 혹은 가공 치즈(process cheese) 등일 수도 있다. 어육 연육은, 전형적으로는, 당초 풀(糊)형상이고, 가열하기 전은 졸형상이며, 가열에 의해 겔형상이 된다.
〔개봉편〕
개봉편(3)은, 포장체(2)의 개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포장체(2)에 장착된, 고분자 필름(이하, 제2 고분자 필름)에 의해 형성된 부재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개봉편(3)은 그 가장자리의 일부를 집을 수 있도록 포장체(2)에 접합되어 있다.
개봉편(3)을 구성하는 제2 고분자 필름은, 후공정에서, 제1 고분자 필름에 의해 형성된 포장체(2)에 접합되는 것을 고려하여, 염화비닐리덴계 공중합체 수지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염화비닐리덴계 공중합체 수지로서는, 상기 (모재 필름)에서 설명한 염화비닐리덴계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염화비닐리덴계 공중합체는, 염화비닐리덴-염화비닐 공중합체이다. 염화비닐리덴-염화비닐 공중합체 수지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 1종류의 염화비닐리덴-염화비닐 공중합체에 의해 구성되어 있을 수도 있고, 2종류 이상의 염화비닐리덴-염화비닐 공중합체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염화비닐리덴계 공중합체에서의 염화비닐리덴 단량체 단위의 함유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70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80질량% 이상이다. 염화비닐리덴 단량체 단위의 함유 비율의 상한은 특별히 없지만, 압출 가공성 등의 관점에서, 통상 99질량%, 대부분의 경우 95질량%이다.
제2 고분자 필름의 120℃에서의 수축률은 15.0%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17.0%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8.0% 이상이다. 제2 고분자 필름의 120℃에서의 수축률이 상기 범위에 있는 것에 의해, 개봉편이 달린 포장체(1)의 개봉을 행하기 위해 개봉편(3)을 벗겨낼 때에, 개봉편(3)이 도중에 끊어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개봉편(3)이 도중에 끊어지는 것을 방지한다는 관점에서는, 제2 고분자 필름의 120℃에서의 수축률의 상한은 없지만, 예를 들어 30%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28%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이하이다. 한편, 개봉편이 달린 포장체(1)를 가열 응고 처리할 때에 외관 불량이 되는 것을 막는 관점에서는, 제2 고분자 필름의 120℃에서의 수축률은 23.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서의 제2 고분자 필름의 120℃에서의 수축률이란, 고분자 필름을 MD 방향(압출 흐름 방향)으로 100 mm, TD 방향(폭 방향)으로 20 mm 잘라낸 샘플 조각에 있어서, 120℃, 0.2 MPa의 열수 중에서 15분간 가압 가열한 후, MD 방향의 치수를 측정하고, 그 변화율을 %단위로 산출한 값이다.
제2 고분자 필름의 수축률이 클수록, 개봉편(3)을 집고 젖힐 때의 필름의 저항력도 커진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개봉편(3)이 늘어져 두께가 얇아지는 것에 의한 강도 저하가 발생하기 어려워져, 개봉편(3)이 끊어지기 어려워지는 것으로 추정된다.
제2 고분자 필름의 수축률은, 예를 들어 제2 고분자 필름을 형성하는 수지를, 압출기 스크류를 이용하여 용융 압출한 후, 이축 연신함으로써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2 고분자 필름이 염화비닐리덴-염화비닐 공중합체인 경우에, 제2 고분자 필름의 120℃에서의 수축률을 상기 범위로 제어하기 위해서는, 염화비닐리덴-염화비닐 공중합체 수지를 용융 압출하고, 인플레이션 이축 연신(MD 방향: 1.2~6.0배, TD 방향: 1.2~6.0배)한 후에, MD 방향과 TD 방향을 5~10% 완화(수축) 처리하고, 추가로, 텐터 장치(tenter device)를 이용하여, 필름의 MD 방향과 TD 방향을 수축하지 않도록 구속(긴장)한 상태로 40℃~110℃에서 열처리(긴장 열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고분자 필름을 이용한 포장체의 수축률과의 관계에서 말하자면, 제2 고분자 필름에서의 수축률 쪽이 제1 고분자 필름을 이용한 포장체에서의 수축률보다 크고, 그 차가 0을 초과하고 6.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2 고분자 필름에서의 수축률과 제1 고분자 필름을 이용한 포장체에서의 수축률의 차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1 이상 6 이하이며,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2 이상 6 이하이다.
제1 고분자 필름을 이용한 포장체의 수축률과 제2 고분자 필름의 수축률이 이 관계를 만족시킴으로써, 포장체(2)를 구성하는 제1 고분자 필름은 개열(開裂)하기 쉬워진다. 이 결과로서, 개봉편(3)의 끊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고분자 필름을 이용한 포장체의 수축률과 제2 고분자 필름의 수축률이 상기의 관계를 만족시킴으로써, 가열 응고 처리한 개봉편이 달린 포장체(1)를 개봉하려고 하면, 포장체(2)를 구성하는 제1 고분자 필름과 개봉편(3)의 접합부에 응력 집중이 발생한다. 그 결과, 제1 고분자 필름이 개열하기 쉬워지는 것으로 추정된다.
제2 고분자 필름을 형성할 때, 압출 가공성 개선 등을 위해 각종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사용 가능한 첨가제로서는, 제1 고분자 필름의 형성에 이용될 수 있는 첨가제와 동일하다.
본 실시형태에서의 개봉편(3)은 직사각형 형상을 갖고 있지만, 그 일단을 손가락으로 집고 포장체(2)로부터 젖히듯이 잡아당길 수 있는 한,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정사각형, 직사각형, 삼각형 및 오각형 등의 다각형 및 원형 및 타원형 등의 형상을 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봉편이 달린 포장체(1)에 있어서, 개봉편(3)은 포장체(2)에 접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개봉편(3)은, 그 접합부에 있어서, 포장체(2)에 접합되어 있다. 도 2에 본 실시형태에서의 개봉편(3)의 접합부를 나타낸다. 접합부는 주접합부(5) 및 임시 누름부(6)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주접합부(5) 및 임시 누름부(6)는, 개봉편(3)을 포장체(2)에 접착시키는 동시에, 포장체를 개봉할 때에 기점이 되는 끊어지는 곳을 포장체에 부여하는 것이다.
임시 누름부(6)의 실링 강도는, 주접합부(5)의 실링 강도보다 약한 것이 바람직하다. 초음파 접합에 의해 주접합부(5) 및 임시 누름부(6)를 설치하는 경우, 임시 누름부(6)에서의 앤빌 높이를 주접합부(5)에서의 앤빌 높이로 바꿈으로써, 임시 누름부(6)의 실링 강도를, 주접합부(5)의 실링 강도보다 약하게 할 수 있다. 혹은, 임시 누름부(6)에서의 앤빌 또는 혼을 너얼링(knurling) 가공함으로써, 임시 누름부(6)의 실링 강도를, 주접합부(5)의 실링 강도보다 약하게 할 수 있다.
개봉편(3)을 포장체(2)에 접합시키는 방법은, 초음파 용착이 적절히 이용되지만, 고주파 용착 등의 다른 접합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개봉편(3)을 포장체(2)에 접합시키는 방법은 용착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접착제를 이용하는 것과 같은 접착 등의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다.
개봉편(3)의 접합부의 형상은 도 2에 나타내는 형태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3의 (a) 내지 (f)와 같은 형태일 수도 있고, 또 다른 형태일 수도 있다.
〔개봉편이 달린 포장체의 제조〕
개봉편이 달린 포장체(1)는, 아래의 요령으로 제조된다. 통형상체가 되는 띠형상의 모재 필름 및 개봉편(3)을 형성하기 위한 제2 고분자 필름이, 각각 원재료(原反)로서 제조 장치에 설치된다. 그리고 띠형상의 모재 필름은 인출되고, 제2 고분자 필름은 개봉편(3)으로서 잘라내져, 모재 필름과 개봉편(3)이 접합부에 의해 접합된다. 개봉편(3)이 접합된 띠형상의 모재 필름은, 양측변이 겹치도록 통형상으로 감기고, 서로 겹쳐진 부분에 세로 실링이 이루어져, 통형상체가 형성된다.
그 후, 통형상체에 내용물이 충전되고, 소정의 간격(포장체(2)의 길이)으로 내용물이 훑어져 통형상체 내에 내용물의 부존재부가 형성된다. 이 부존재부가 묶여져, 합성수지 테이프가 감겨 용착됨으로써 실링된다. 그리고 단부의 밀봉성이 유지되도록 묶여진 부존재부의 실링된 중간이 절단된다. 이상에 의해, 개봉편이 달린 포장체(1)가 얻어진다. 개봉편이 달린 포장체(1)는, 필요에 따라 그 후에 가열 응고 처리가 행해진다.
〔정리〕
본 발명에 관한 개봉편이 달린 포장체는, 제1 고분자 필름으로 형성되어 있고, 통형상체의 내부에 내용물이 충전되어 있고, 양단이 닫혀져 있는 포장체와, 제2 고분자 필름으로 형성되어 있고, 가장자리의 일부를 집을 수 있도록 상기 포장체에 접합되어 있는 개봉편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2 고분자 필름의 120℃에서의 수축률이 15.0% 이상이다.
또한, 상기 제2 고분자 필름의 120℃에서의 수축률(%)과 상기 포장체의 120℃에서의 수축률(%)은, 상기 제2 고분자 필름의 120℃에서의 수축률(%) 쪽이 크고, 그 차가 0을 초과하고 6.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 고분자 필름의 120℃에서의 수축률은 23.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 고분자 필름이, 염화비닐리덴-염화비닐 공중합체 수지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고분자 필름이, 염화비닐리덴계 공중합체 수지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실시예 1〕
(모재 필름의 제조)
염화비닐리덴(VD) 및 염화비닐(VC)의 중합 시에서의 모노머 투입 질량비(VD/VC)가 81/19인 공중합체(100질량부)에, 아세틸트리부틸시트레이트(ATBC), 디부틸세바케이트(DBS) 및 에폭시화식물유를 합계 8질량부 배합하고, 추가로 에폭시기 함유 폴리머, 계면활성제, 스테아르산아미드 및 이산화규소를 합계 1.4질량부 가하여,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수지를 얻었다. 그 다음, 얻어진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수지를, 직경 90 mm의 압출기 스크류를 이용하여 용융 압출한 후, 이축 연신함으로써, 모재 필름을 얻었다.
(개봉편용 필름의 제조)
염화비닐리덴(VD) 및 염화비닐(VC)의 중합 시에서의 모노머 투입 질량비(VD/VC)가 80/20인 공중합체(100질량부)에, 아세틸트리부틸시트레이트(ATBC), 디부틸세바케이트(DBS) 및 에폭시화식물유를 합계 8질량부 배합하고, 추가로 스테아르산아미드 및 이산화규소를 합계 0.1질량부 가하여,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수지를 얻었다.
그 다음, 얻어진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수지를, 직경 90 mm의 압출기 스크류를 이용하여 원통형상으로 용융 압출한 후, 인플레이션 이축 연신하고(MD: 2.7배, TD: 4.1배), 140℃에서 MD 방향으로 8%, TD 방향으로 7% 완화(수축)시켜(가열 존의 통과 시간은 약 1초간), 필름 a를 얻었다. 그 후, 필름 a를 추가로 60℃에서 1분간, MD 방향과 TD 방향으로 수축하지 않도록 구속하여 열처리(이하, 긴장 열처리)하여, 총 두께 80 μm(두께 40 μm 필름의 2층 겹침)의 개봉편용 필름 b를 얻었다.
(개봉편이 달린 포장체의 제조)
모재 필름을 폭 80 mm로 재단했다. 또한, 개봉편용 필름을 폭 20 mm로 재단하여, 개봉편을 제작했다. 개봉편을 길이 12 mm로 재단한 후, 초음파 실링에 의해, 모재 필름에 개봉편을 초음파 용착(접합부 형상은 도 2)함으로써, 개봉편이 달린 모재 필름을 얻었다. 개봉편이 달린 모재 필름을 통형상으로 성형하면서, 충전물(어육 50질량%, 얼음물 28.6질량%, 식물유 10질량%, 옥수수 전분 8질량%, 대두 단백질 2질량% 및 식염 1.4질량%를 포함하는 페이스트)을 자동 충전 포장기(구레하사 제품, 상품명: KAP3000형 자동 충전 포장기)로 충전하고, 개봉편이 달린 모재 필름의 단부를 수속하면서, 보강 테이프를 붙여 초음파 용착으로 용융 실링하여, 밀봉하여 포장체를 얻었다.
그리고 통형상의 개봉편이 달린 모재 필름에 있어서는, 접음 폭(원주의 반의 길이)이 36 mm, 커트 길이(포장체로부터 충전물을 빼내고, 통형상의 개봉편이 달린 모재 필름을 평평하게 펼쳐 길이 방향으로 측정했을 때의 길이)가 210 mm, 질량이 65 g이 되도록 조건을 조정했다. 포장체를 120℃, 0.2 MPa의 열수 중에서 15분간 가압 가열 살균하여, 가열 살균 후의 포장체를 얻었다.
〔실시예 2〕
개봉편용 필름의 제조에 있어서, 필름 a를 추가로 80℃에서 1분간, 긴장 열처리하여, 총 두께 80 μm(두께 40 μm의 필름의 2층 겹침)의 개봉편용 필름 c를 얻었다.
모재 필름 및 개봉편이 달린 포장체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제조했다.
〔실시예 3〕
개봉편용 필름의 제조에 있어서, 필름 a를 추가로 100℃에서 1분간, 긴장 열처리하여, 총 두께 80 μm(두께 40 μm의 필름의 2층 겹침)의 개봉편용 필름 d를 얻었다.
모재 필름 및 개봉편이 달린 포장체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제조했다.
〔실시예 4〕
개봉편용 필름의 제조에 있어서, 필름 a를 추가로 110℃에서 1분간, 긴장 열처리하여, 총 두께 80 μm(두께 40 μm의 필름의 2층 겹침)의 개봉편용 필름 e를 얻었다.
모재 필름 및 개봉편이 달린 포장체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제조했다.
〔비교예 1〕
개봉편용 필름의 제조에 있어서, 필름 a를 추가로 110℃에서 5초간, MD 방향으로 0.8%, TD 방향으로 25% 수축시킴으로써, 총 두께 80 μm(두께 40 μm의 필름의 2층 겹침)의 개봉편용 필름 f를 얻었다.
모재 필름 및 개봉편이 달린 포장체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제조했다.
〔비교예 2〕
개봉편용 필름의 제조에 있어서, 필름 a를 추가로 120℃에서 1분간, 긴장 열처리하여, 총 두께 80 μm(두께 40 μm의 필름의 2층 겹침)의 개봉편용 필름 g를 얻었다.
모재 필름 및 개봉편이 달린 포장체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제조했다.
〔비교예 3〕
개봉편용 필름의 제조에 있어서, 필름 a를 외경 76 mm의 철관에 480 m 권취한 롤을 60℃에서 3일간 열처리함으로써, 총 두께 80 μm(두께 40 μm의 필름의 2층 겹침)의 개봉편용 필름 h를 얻었다.
모재 필름 및 개봉편이 달린 포장체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제조했다.
(포장체의 수축률의 측정 방법)
포장체의 길이 방향으로 20 mm 간격의 표시를 한 후, 120℃, 0.2 MPa의 열수 중에서 15분간 가압 가열 살균했다. 가열 살균 후의 표시의 간격을 측정하고, 그 변화율을 %단위로 산출한 결과(n=5의 평균값), 17.0%였다.
(개봉편용 필름의 수축률의 측정 방법)
개봉편용 필름을 MD 방향으로 100 mm, TD 방향으로 20 mm 잘라낸 후, 120℃, 0.2 MPa의 열수 중에서 15분간 가압 가열했다. 가압 가열 후의 MD 방향의 치수를 측정하고, 그 변화율을 %단위로 산출(n=5의 평균값)했다. 그리고 각 개봉편용 필름에서의 포장체의 수축률과의 차를 표 1에 나타내는데, 값이 양인 경우에는, 개봉편용 필름의 수축률 쪽이 포장체의 수축률보다 큰 것을 나타내고 있고, 값이 음인 경우에는, 개봉편용 필름의 수축률 쪽이 포장체의 수축률보다 작은 것을 나타내고 있다.
〔개봉 성능 평가〕
가열 살균 후의 포장체에 대하여 개봉 성공률을 구하고, 개봉 성능의 평가를 실시했다. 10명의 패널리스트가 각각에 대하여 3회(3개) 개봉을 행하고, 합계 30개에서의 개봉률을 구했다. 이때, 미끊어짐률이란 개봉편으로부터 개봉을 행했을 때, 개봉편이 도중에 끊어지지 않고 개봉할 수 있었던 비율의 평균값을 나타내고 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4에 관한 개봉편이 달린 포장체에서는, 개봉 성공률이 비교예 1 및 2의 개봉편이 달린 포장체와 비교하여 향상되어 있다.
〔가열 살균 후의 개봉편의 외관 판별〕
가열 살균 후의 개봉편의 외관을 눈으로 보아, 개봉편의 형태가 명백하게 변형된 것을 불량품(표 중, ×로서 나타낸다)으로 하고, 거의 변형되어 있지 않는 것을 양품(표 중, ○으로서 나타낸다)으로 하여, 평가했다(n=5).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4에 관한 개봉편이 달린 포장체에서는, 가열 살균 후의 개봉편의 외관이 양호했다. 한편, 개봉편 필름의 수축률이 23%를 초과하는 비교예 3에서는, 개봉편의 형태가 명백하게 변형되어 있었다.
수축률(%) 포장체 수축률(17%)과의 차 미끊어짐률(%) 가열 살균 후의 개봉편의 외관
실시예 1
(필름 b)
22.7 5.7 100
실시예 2
(필름 c)
20.9 3.9 96
실시예 3
(필름 d)
19.6 2.6 100
실시예 4
(필름 e)
17.6 0.6 88
비교예 1
(필름 f)
14.9 -2.1 58
비교예 2
(필름 g)
12.8 -4.2 58
비교예 3
(필름 h)
23.2 6.2 100 ×
산업상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소시지 등의 식품의 포장체로서 이용할 수 있다.
1: 개봉편이 달린 포장체
2: 포장체
3: 개봉편
4: 폐쇄부
5: 주접합부
6: 임시 누름부

Claims (5)

  1. 제1 고분자 필름으로 형성되어 있고, 통형상체의 내부에 내용물이 충전되어 있고, 양단이 닫혀져 있는 포장체와,
    제2 고분자 필름으로 형성되어 있고, 가장자리의 일부를 집을 수 있도록 상기 포장체에 접합되어 있는 개봉편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2 고분자 필름의 120℃에서의 수축률이 15.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봉편이 달린 포장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분자 필름의 120℃에서의 수축률(%)과 상기 포장체의 120℃에서의 수축률(%)은, 상기 제2 고분자 필름의 120℃에서의 수축률(%) 쪽이 크고, 그 차가 0을 초과하고 6.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봉편이 달린 포장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분자 필름의 120℃에서의 수축률이 23.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봉편이 달린 포장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분자 필름이 염화비닐리덴-염화비닐 공중합체 수지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봉편이 달린 포장체.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분자 필름이 염화비닐리덴계 공중합체 수지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봉편이 달린 포장체.
KR1020197023616A 2017-05-15 2018-05-07 개봉편이 달린 포장체 KR1022770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096722 2017-05-15
JP2017096722A JP6920101B2 (ja) 2017-05-15 2017-05-15 開封片付き包装体
PCT/JP2018/017586 WO2018212003A1 (ja) 2017-05-15 2018-05-07 開封片付き包装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7078A true KR20190107078A (ko) 2019-09-18
KR102277063B1 KR102277063B1 (ko) 2021-07-13

Family

ID=64273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3616A KR102277063B1 (ko) 2017-05-15 2018-05-07 개봉편이 달린 포장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920101B2 (ko)
KR (1) KR102277063B1 (ko)
CN (1) CN110234578B (ko)
WO (1) WO2018212003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8398A (ko) * 2007-08-20 2010-06-23 가부시끼가이샤 구레하 통모양 포장체
JP2013126891A (ja) * 2011-12-19 2013-06-27 Asahi Kasei Chemicals Corp 密封包装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6166048A (ja) 2015-03-03 2016-09-15 株式会社クレハ 開封片付き包装体
JP2017065705A (ja) * 2015-09-29 2017-04-06 日本水産株式会社 開封片付き包装体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37739Y2 (ko) * 1978-04-01 1982-08-19
JPH08280Y2 (ja) * 1989-04-26 1996-01-10 呉羽化学工業株式会社 開封片ならびにこの開封片を使用した包装体
NL9002760A (nl) * 1990-12-14 1992-07-01 Krehalon Bv Worstvormig voedselproduct.
DE102007021048A1 (de) * 2007-05-04 2008-11-06 Poly-Clip System Gmbh & Co. Kg Aufreißstreifen und Verfahren zu dessen Bereitstellung
JP5535042B2 (ja) * 2010-11-05 2014-07-02 株式会社クレハ 開封片付き包装体並びに溶着機、包装体製造装置及び包装体製造方法
JP2015030502A (ja) * 2013-08-01 2015-02-16 株式会社クレハ 筒状体、包装体、および易開封性フィルム
JP2015081139A (ja) * 2013-10-24 2015-04-27 株式会社クレハ 筒状体および包装体
JP6334391B2 (ja) * 2014-12-26 2018-05-30 株式会社クレハ 筒状包装体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8398A (ko) * 2007-08-20 2010-06-23 가부시끼가이샤 구레하 통모양 포장체
JP2013126891A (ja) * 2011-12-19 2013-06-27 Asahi Kasei Chemicals Corp 密封包装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6166048A (ja) 2015-03-03 2016-09-15 株式会社クレハ 開封片付き包装体
JP2017065705A (ja) * 2015-09-29 2017-04-06 日本水産株式会社 開封片付き包装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234578B (zh) 2021-02-02
JP2018193078A (ja) 2018-12-06
KR102277063B1 (ko) 2021-07-13
CN110234578A (zh) 2019-09-13
JP6920101B2 (ja) 2021-08-18
WO2018212003A1 (ja) 2018-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0106863T2 (de) Heissschrumpffähige, heisssiegelbare polyesterfolie zum verpacken
US8039070B1 (en) Easy open bag and film for use in thermally processing food at elevated temperatures
WO2007055161A1 (ja) 咬合具、これを用いた袋およびこれらの製造方法
JP2015164860A (ja) 易開封性及びレトルト耐性を有する充填包装体
US8397914B1 (en) Heat shrunk, manually openable flexible film package
KR102277063B1 (ko) 개봉편이 달린 포장체
EP2508338B1 (de) Mehrschichfolie für leicht zu öffnende Verpackungen
WO2005012422A1 (ja) 塩化ビニリデン系樹脂フィルム、食肉練製品用ケーシング及び包装食肉練製品
KR102093102B1 (ko) 염화비닐리덴계 수지 필름, 그것을 이용한 충전 포장체, 및 이의 제조 방법
JPH0533142B2 (ko)
CA2203086A1 (en) Controlled peel seal with indicating feature
JP2016166048A (ja) 開封片付き包装体
JP2015030502A (ja) 筒状体、包装体、および易開封性フィルム
JP6334391B2 (ja) 筒状包装体
WO2022168444A1 (ja) 樹脂製延伸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充填包装体
JP2015081139A (ja) 筒状体および包装体
JP4822912B2 (ja) 塩化ビニリデン系共重合体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DE69837082T2 (de) Leicht zu öffnende Anordnung an einem gasdichten, geschrumpften Beutel
JP6778544B2 (ja) 開封片用フィルム、開封片、包装体用母材フィルム、開封片を備えた包装体及び開封片用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13220846A (ja) 密封包装体
WO2016085441A1 (en) Manually openable flexible film package
JP2020037431A (ja) 熱収縮フィルム及び密封包装体
DE202011005161U1 (de) Mehrschichtfolie für leicht zu öffnende Verpackungen
WO2023032632A1 (ja) 塩化ビニリデン系樹脂組成物、延伸フィルム及び充填包装体
JP2004345331A (ja) 縦一軸延伸横方向易引裂き性フイルム及びその製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