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3299A - 열전사 시트와 시일형 인화 시트의 조합, 및 열전사 시트 - Google Patents

열전사 시트와 시일형 인화 시트의 조합, 및 열전사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3299A
KR20190103299A KR1020197022827A KR20197022827A KR20190103299A KR 20190103299 A KR20190103299 A KR 20190103299A KR 1020197022827 A KR1020197022827 A KR 1020197022827A KR 20197022827 A KR20197022827 A KR 20197022827A KR 20190103299 A KR20190103299 A KR 201901032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ermal transfer
transfer sheet
sheet
seal
material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2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9476B1 (ko
Inventor
타다히로 이시다
Original Assignee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032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32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94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94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382Contact thermal transfer or sublimation processes
    • B41M5/38228Contact thermal transfer or sublima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wo or more ink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1/00Ink ribbons; Renovating or testing ink ribb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382Contact thermal transfer or sublimation processes
    • B41M5/392Additives, other than colour forming substances, dyes or pigments, e.g. sensitisers, transfer promot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50Recording sheets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used to improve ink, dye or pigment receptivity, e.g. for ink-jet or thermal dye transfer recor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50Recording sheets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used to improve ink, dye or pigment receptivity, e.g. for ink-jet or thermal dye transfer recording
    • B41M5/52Macromolecular coating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8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 G09F3/10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by an adhesive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2205/00Printing methods or features related to printing methods; Location or type of the layers
    • B41M2205/02Dye diffusion thermal transfer printing (D2T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2205/00Printing methods or features related to printing methods; Location or type of the layers
    • B41M2205/06Printing methods or features related to printing methods; Location or type of the layers relating to melt (thermal) mass transf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2205/00Printing methods or features related to printing methods; Location or type of the layers
    • B41M2205/30Thermal donors, e.g. thermal ribb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2205/00Printing methods or features related to printing methods; Location or type of the layers
    • B41M2205/32Thermal recei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2205/00Printing methods or features related to printing methods; Location or type of the layers
    • B41M2205/38Intermediate layers; Layers between substrate and imaging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382Contact thermal transfer or sublimation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382Contact thermal transfer or sublimation processes
    • B41M5/392Additives, other than colour forming substances, dyes or pigments, e.g. sensitisers, transfer promoting agents
    • B41M5/395Macromolecular additives, e.g. bin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40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characterised by the base backcoat, intermediate, or covering layers, e.g. for thermal transfer dye-donor or dye-receiver sheets; Heat, radiation filtering or absorbing means or layers; combined with other image registration layers or compositions; Special originals for reproduction by thermography
    • B41M5/41Base layers supports or subst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40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characterised by the base backcoat, intermediate, or covering layers, e.g. for thermal transfer dye-donor or dye-receiver sheets; Heat, radiation filtering or absorbing means or layers; combined with other image registration layers or compositions; Special originals for reproduction by thermography
    • B41M5/42Intermediate, backcoat, or covering lay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hermal Transfer Or Thermal Recording In General (AREA)
  • Decoration By Transfer Pi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화물의 주름의 발생을 억제 가능한, 열전사 시트와 시일형 인화 시트의 조합을 제공한다. 기재와, 상기 기재의 한쪽의 면에 형성된 색재층을 포함하는 열전사 시트와, 이형 기재와, 상기 이형 기재의 한쪽의 면의 일부에 형성된 점착재층 부착 인화지를 포함하는 시일형 인화 시트의 조합에 있어서, 상기 열전사 시트에 있어서의 색재층과, 상기 시일형 인화 시트에 있어서의 점착재층 부착 인화지와의 동마찰 계수와, 상기 열전사 시트에 있어서의 색재층과, 상기 시일형 인화 시트에 있어서의 이형 기재와의 동마찰 계수의 차를 1.0 이하로 한다.

Description

열전사 시트와 시일형 인화 시트의 조합, 및 열전사 시트
본 발명은 열전사 시트와 시일형 인화 시트의 조합, 및 열전사 시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열전사 시트와 인화지 등의 피전사체를 중첩시키고, 열전사 시트 상의 색재를 피전사체에 전사하는 열전사 방식의 인쇄가 행해지고 있다.
열전사 시트로서는, 예컨대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것과 같은 것이 있다. 또한, 이러한 열전사 시트와 조합되어 사용되는 피전사체로서는, 이형(離型) 기재(基材)와, 상기 이형 기재의 한쪽의 면에 형성된 점착재층 부착 인화지를 포함하는 시일형 인화 시트가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11-115329호 공보
열전사 시트를 이용하고, 피전사체로서 시일형 인화 시트를 이용하여 인화를 행한 경우, 특히, 이형 기재의 전면(全面)이 아니라, 그 일부에만 점착재층 부착 인화지가 설치되어 있어, 이형 기재가 부분적으로 노출되어 있는 타입의 시일형 인화 시트를 이용하여 인화를 행한 경우, 인화물에 주름이 발생하여, 인화 불량이 생기는 경우가 있는 것을, 발명자들은 발견하였다.
본원발명은, 이러한 상황하에 있어서 이루어진 것으로, 인화물의 주름의 발생을 억제 가능한, 열전사 시트와 시일형 인화 시트의 조합, 및 이형 기재가 부분적으로 노출되어 있는 타입의 시일형 인화 시트와 함께 이용해도 인화물의 주름의 발생을 억제 가능한 열전사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기재와, 상기 기재의 한쪽의 면에 형성된 색재층을 포함하는 열전사 시트와, 이형 기재와, 상기 이형 기재의 한쪽의 면의 일부에 형성된 점착재층 부착 인화지를 포함하는 시일형 인화 시트의 조합으로서, 상기 열전사 시트에 있어서의 색재층과, 상기 시일형 인화 시트에 있어서의 점착재층 부착 인화지와의 동마찰 계수와, 상기 열전사 시트에 있어서의 색재층과, 상기 시일형 인화 시트에 있어서의 이형 기재와의 동마찰 계수의 차가 1.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열전사 시트에 있어서의 색재층에는, 유기 필러가, 색재층의 총 질량에 대해 2 질량% 이상 6 질량% 이하의 비율로 함유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유기 필러의 평균 입경이 1.0 ㎛ 이상 2.5 ㎛ 이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본 발명은, 기재와, 상기 기재의 한쪽의 면에 형성된 색재층을 포함하는 열전사 시트로서, 상기 색재층에는, 유기 필러가, 색재층의 총 질량에 대해 2 질량% 이상 6 질량% 이하의 비율로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유기 필러의 평균 입경이 1.0 ㎛ 이상 2.5 ㎛ 이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열전사 시트와 시일형 인화 시트의 조합에 의하면, 열전사 시트에 있어서의 색재층과 상기 시일형 인화 시트에 있어서의 점착재층 부착 인화지와의 동마찰 계수와, 상기 열전사 시트에 있어서의 색재층과 상기 시일형 인화 시트에 있어서의 이형 기재와의 동마찰 계수의 차가 1.0 이하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인화 시에 있어서의 열전사 시트와 시일형 인화 시트와의 마찰을 균일화할 수 있고, 그 결과, 인화물의 주름의 발생을 억제하여, 양호한 인화가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열전사 시트에 의하면, 시판의 시일형 인화 시트와 조합하여 이용한 경우에, 인화물의 주름의 발생을 억제하여, 양호한 인화를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열전사 시트와 시일형 인화 시트의 조합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열전사 시트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조합에 따른 시일형 인화 시트의 개략 단면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열전사 시트와 시일형 인화 시트의 조합(이하, 간단히 「조합」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에 대해,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한편, 도면에 있어서는, 도시와 이해의 용이함의 편의상, 적절히 축척 및 종횡의 치수비 등을, 실물의 그것들로부터 변경하여 과장하고 있는 경우가 있다.
(열전사 시트와 시일형 인화 시트의 조합)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열전사 시트와 시일형 인화 시트의 조합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조합에 따른 열전사 시트(10)는, 기재(11)와, 상기 기재(11)의 한쪽의 면(도 1에 있어서는 하면)에 형성된 색재층(12)을 포함하고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의 조합에 따른 시일형 인화 시트(20)는, 이형 기재(21)와, 상기 이형 기재(21)의 한쪽의 면(도 1에 있어서는 상면)의 일부에 형성된 점착재층(22) 부착 인화지(23)를 포함하고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착재층(22) 부착 인화지(23)는, 이형 기재(21)의 한쪽의 면의 일부에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점착재층(22) 부착 인화지(23)가 설치되어 있는 측의 면에 있어서, 이형 기재(21)가 노출되어 있는 부분이 존재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본 실시형태의 조합에 있어서는, 상기 열전사 시트(10)에 있어서의 색재층(12)과, 상기 시일형 인화 시트(20)에 있어서의 점착재층(22) 부착 인화지(23)와의 동마찰 계수 μP(x), 즉, 도 1에 도시된 화살표 x의 부분에 있어서의 동마찰 계수 μP(x)와, 상기 열전사 시트(10)에 있어서의 색재층(12)과, 상기 시일형 인화 시트(20)에 있어서의 이형 기재(21)와의 동마찰 계수 μP(y), 즉, 도 1에 도시된 화살표 y의 부분에 있어서의 동마찰 계수 μP(y)와의 차가 1.0 이하인 것에 특징을 갖고 있다.
열전사 시트(10)와 시일형 인화 시트(20)를 이용하여 인화를 행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프린터 내부에 있어서, 열전사 시트(10)의 색재층(12)은, 인화해야 할 부분인 시일형 인화 시트(20)의 인화지(23)와 접촉함과 동시에, 인화하지 않는 부분인 시일형 인화 시트(20)의 이형 기재(21)와도 접촉하면서 인화 및 반송이 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종래의 조합에 있어서는, 열전사 시트(10)의 색재층(12)과 시일형 인화 시트(20)의 인화지(23)와의 동마찰 계수 μP(x), 및 열전사 시트(10)의 색재층(12)과 시일형 인화 시트(20)의 이형 기재(21)와의 동마찰 계수 μP(y)에 대해, 아무런 고려도 되어 있지 않았기 때문에, 이들 2개의 동마찰 계수에 큰 차가 있는 경우가 있었다. 그러면, 열전사 시트(10)와 시일형 인화 시트(20)를 겹쳐 인화를 한 경우, 어떤 부분은 다른 어떤 부분에 비해 동마찰 계수가 극단적으로 커서, 미끄러지기 어려워, 걸리는 것과 같은 현상이 발생하거나, 또한 한편, 어떤 부분이 다른 어떤 부분에 비해 동마찰 계수가 극단적으로 작아, 지나치게 미끄러져 버리는 것과 같은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고, 이것은, 프린터 내부에 있어서의 인화지의 주름의 발생으로 이어져, 결과적으로 인쇄 불량을 야기하는 경우가 있었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의 조합에 의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열전사 시트(10)에 있어서의 색재층(12)과, 상기 시일형 인화 시트(20)에 있어서의 점착재층(22) 부착 인화지(23)와의 동마찰 계수 μP(x)와, 상기 열전사 시트(10)에 있어서의 색재층(12)과, 상기 시일형 인화 시트(20)에 있어서의 이형 기재(21)와의 동마찰 계수 μP(y)의 차가 1.0 이하로 되어 있기 때문에, 열전사 시트(10)의 전체와 시일형 인화 시트(20)의 전체와의 동마찰 계수를 균일화할 수 있고, 장소에 따라 동마찰 계수가 크게 상이한 것에 기인하는 인화물의 주름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어, 인화를 양호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본 실시형태의 조합을 실시하는 데 있어서는, 열전사 시트(10)의 색재층(12)과 시일형 인화 시트(20)의 인화지(23)와의 동마찰 계수 μP(x), 및 열전사 시트(10)의 색재층(12)과 시일형 인화 시트(20)의 이형 기재(21)와의 동마찰 계수 μP(y)의 2개소의 동마찰 계수를 측정할 필요가 있는데, 그 측정 방법은 이하와 같다.
즉, 열전사 시트(10)의 색재층(12)과 시일형 인화 시트(20)의 인화지(23)와의 동마찰 계수 μP(x)를 측정하는 데 있어서는, 측정 장치로서 텐실론(등록 상표) RTM500((주)오리엔테크)을 이용하고, 스테이지에 시일형 인화 시트(20)의 인화지(23)를 고정하며, 한편, 열전사 시트(10)의 시험편을 면적 50 ㎜×50 ㎜로 조정하고, 스테이지 상에 고정된 시일형 인화 시트(20)의 인화지(23) 위에, 열전사 시트(10)의 색재층(12)과, 시일형 인화 시트(20)의 인화지(23)가 대향하도록 중첩시키며, 하중 220 g, 인장 속도 100 ㎜/min.으로 인장 시험을 행한다. 그리고, 상기 인장 시험으로 얻어진 인장력의 측정값을 하중(220 g)으로 나눔으로써 동마찰 계수 μP(x)가 얻어진다. 또한, 열전사 시트(10)의 색재층(12)과 시일형 인화 시트(20)의 이형 기재(21)와의 동마찰 계수 μP(y)를 측정하는 데 있어서는, 스테이지에 시일형 인화 시트(20)의 이형 기재(21)를 고정하고, 열전사 시트(10)의 색재층(12)과, 시일형 인화 시트(20)의 이형 기재(21)가 대향하도록 중첩시키는 것 이외에는, 동마찰 계수 μP(x)를 측정하는 경우와 동일한 조건으로 인장 시험을 행한다.
상기한 측정 방법에 의해 측정되는 각각의 동마찰 계수(μP(x), μP(y))의 차가 1.0 이하이면, 상기한 작용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이 차는 작으면 작을수록 좋고, 0.8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6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의 조합에 있어서는, 열전사 시트(10)의 색재층(12)과 시일형 인화 시트(20)의 인화지(23)와의 동마찰 계수 μP(x), 및 열전사 시트(10)의 색재층(12)과 시일형 인화 시트(20)의 이형 기재(21)와의 동마찰 계수 μP(y)의 차가 1.0 이하로 되어 있으면 되고, 각각의 동마찰 계수(μP(x), μP(y))의 값 자체는 특별히 한정되는 일은 없으며, 또한, 각각의 동마찰 계수(μP(x), μP(y))의 차를 1.0 이하로 하기 위한 수단에 대해서도 특별히 한정되는 일은 없다. 따라서, 예컨대 열전사 시트(10)측에서 대책을 세워도 좋고, 반대로 시일형 인화 시트(20)측에서 대책을 세워도 좋으며, 나아가서는, 그 양방에서 대책을 세워도 좋다.
이하에, 본 실시형태의 조합에 따른 열전사 시트(10), 및 시일형 인화 시트(20)에 대해,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열전사 시트)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열전사 시트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열전사 시트(10)는, 기재(11), 박리층(13), 보호층(14), 및 색재층(12)을, 이 순서로 적층한 구성을 갖고 있다. 한편, 도 1이나 도 2에 도시된 열전사 시트(10)는 일례이며, 이들의 구성에 한정되는 일은 없다.
·기재
열전사 시트(10)를 구성하는 기재(11)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일은 없고, 내열성과 취급상 지장이 없는 기계적 특성을 갖는 것이면 종래 공지된 기재를 적절히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기재(11)로서, 예컨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릴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우레탄, 폴리이미드, 폴리에테르이미드,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아크릴, 폴리염화비닐, 폴리염화비닐리덴,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부티랄, 나일론,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폴리술폰, 폴리에테르술폰,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퍼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 공중합체, 폴리비닐플루오라이드,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에틸렌 공중합체,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등의 각종 플라스틱 필름 또는 시트를 들 수 있다. 이들 재료는 각각 단독으로도 사용할 수 있으나, 다른 재료와 조합한 적층체로서 사용해도 좋다. 기재(11)의 두께는, 그 강도 및 내열성이 적절해지도록 재료에 따라 적절히 설정할 수 있고, 2.5 ㎛ 이상 100 ㎛ 이하 정도가 일반적이다.
또한, 기재(11)는, 후술하는 박리층(13)이 형성되는 면에 접착 처리가 실시되어 있어도 좋다. 접착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기재(11)와 박리층(13)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접착 처리로서는, 예컨대, 코로나 방전 처리, 화염 처리, 오존 처리, 자외선 처리, 방사선 처리, 조면화 처리, 화학 약품 처리, 플라즈마 처리, 저온 플라즈마 처리, 프라이머 처리, 그라프트화 처리 등 공지된 수지 표면 개질 기술을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이들 처리를 2종 이상 병용할 수도 있다.
·박리층
열전사 시트(10)는, 박리층(13)을 갖고 있어도 좋다. 이 박리층(13)은 임의의 층이며, 반드시 필요한 층은 아니다. 따라서, 도시는 하지 않으나, 박리층(13)을 대신하여 이형층을 형성해도 좋다.
박리층(13)을 형성하는 재료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일은 없고, 종래 공지된 열전사 시트(10)에 있어서 이용되고 있는 것에서 적절히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왁스류, 실리콘 왁스, 실리콘 수지, 실리콘 변성 수지, 불소 수지, 불소 변성 수지, 폴리비닐알코올, 아크릴 수지, 열가교성 에폭시-아미노 수지 및 열가교성 알키드-아미노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수지는 1종을 단독으로 이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병용하여 이용해도 좋다.
또한, 박리층(13)의 두께에 대해서도 특별히 한정은 없으나, 0.5 ㎛ 이상 5 ㎛ 이하의 범위 내가 일반적이다.
·보호층
열전사 시트(10)는, 보호층(14)을 갖고 있어도 좋다. 이 보호층(14)도 상기 박리층(13)과 마찬가지로 임의의 층이며, 반드시 필요한 층은 아니다.
보호층(14)을 형성하는 재료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일은 없고, 종래 공지된 열전사 시트(10)에 있어서 이용되고 있는 것에서 적절히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자외선 흡수제 공중합체, 아크릴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페놀계 수지,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폴리아세트산비닐계 수지,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산 변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에틸렌과 아세트산비닐 혹은 아크릴산 등과의 공중합체, (메트)아크릴계 수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폴리부타디엔계 수지, 고무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수지는 1종을 단독으로 이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병용하여 이용해도 좋다. 또한, 마이크로실리카나 폴리에틸렌 왁스 등의 필러를 병용해도 좋다.
보호층(14)의 두께에 대해서도 특별히 한정은 없으나, 0.5 ㎛ 이상 5 ㎛ 이하의 범위 내가 일반적이다.
·색재층
열전사 시트(10)는 색재층(12)을 갖고 있다. 이 색재층(12)은, 열전사 시트(10)에 있어서 필수적인 층이다.
색재층(12)은, 이른바 열용융형의 색재층이어도 좋고, 승화형의 색재층이어도 좋으나, 어느 경우라도, 열전사 시트(10)와 조합하여 이용되는 시일형 인화 시트(20)의 인화지(23)와의 동마찰 계수 μP(x), 및 시일형 인화 시트(20)의 이형 기재(21)와의 동마찰 계수 μP(y)를 고려하면서,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색재층(12) 중에 유기 필러(15)를 함유시킴으로써, 색재층(12)의 표면에 유기 필러(15)를 돌출시키고, 이에 의해 시일형 인화 시트(20)의 인화지(23)와의 동마찰 계수 μP(x), 및 시일형 인화 시트(20)의 이형 기재(21)와의 동마찰 계수 μP(y)를 저하시킴으로써, 상기 동마찰 계수(μP(x), μP(y))의 차를 1.0 이하로 해도 좋다. 유기 필러(15)는, 색재층(12)을 구성하는 바인더 수지와의 상성(相性)이 좋아 혼합이 용이하고, 또한 인화 후의 색의 정착성에도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점에서도 바람직하다.
이러한 유기 필러(15)로서는, 아크릴계 필러, 폴리아미드계 필러, 불소계 필러, 멜라민계 필러, 폴리에틸렌 왁스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는, 특히 멜라민계 필러가 바람직하다.
또한, 유기 필러(15)의 함유량에 있어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일은 없고, 상기한 작용 효과, 즉 동마찰 계수(μP(x), μP(y))의 차를 1.0으로 할 수 있을 정도로 적절히 조정하면 되지만, 예컨대 색재층(12)의 총 질량에 대해 2 질량% 이상 6 질량% 이하로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2.5 질량% 이상 5 질량% 이하의 비율로 함유시키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 비율로 함유시킴으로써, 상기한 작용 효과를 충분히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유기 필러(15)의 평균 입경에 대해서도 특별히 한정되는 일은 없으나, 그 하한값은 0.7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그 상한값은, 2.5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유기 필러(15)의 평균 입경의 하한값을 0.7 ㎛ 이상으로 함으로써, 인쇄 시의 주름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유기 필러(15)의 평균 입경의 상한값을 2.5 ㎛ 이하로 함으로써, 인쇄 시의 비백(飛白)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유기 필러(15)의 평균 입경은, 열전사 시트의 수직 단면의 전자 현미경 사진으로부터 일차 입자의 크기를 직접 계측하는 방법으로 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일차 입자의 단축 직경과 장축 직경을 계측하고, 그 평균을 그 입자의 입경으로 하였다. 다음으로, 100개의 입자에 대해, 동일하게 입경을 측정하고, 이들의 평균을 평균 입경으로 하였다. 한편, 전자 현미경은, 투과형(TEM) 또는 주사형(SEM)의 어느 것을 이용해도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색재층(12)을 구성하는 다른 성분으로서는, 안료나 염료 등의 각종 색재, 바인더, 이형제 등 각종 첨가제 등을 들 수 있다.
색재로서는, 공지된 유기 또는 무기의 안료, 혹은 염료 중에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예컨대, 충분한 색재 농도를 갖고, 광, 열 등에 의해 변색, 퇴색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열에 의해 발색하는 물질이나, 피전사체의 표면에 도포되어 있는 성분과 접촉함으로써 발색하는 것과 같은 물질이어도 좋다. 또한, 색재의 색으로서는, 시안, 마젠타, 옐로우, 블랙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여러 가지 색의 색재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블랙의 색재로 구성되는 열용융성 잉크층은 농도 계조를 행할 필요가 없는 점에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바인더로서 이용되는 왁스 성분으로서는, 예컨대,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카르나우바 왁스, 파라핀 왁스 등이 있다. 또한, 피셔 트롭쉬 왁스, 각종 저분자량 폴리에틸렌, 목랍, 밀랍, 경랍, 백랍, 양모랍, 셸락 왁스, 칸데릴라 왁스, 페트롤레이텀, 폴리에스테르 왁스, 일부 변성 왁스, 지방산에스테르, 지방산아미드 등, 여러 가지 왁스를 들 수 있다.
또한, 바인더로서 이용되는 수지 성분으로서는, 예컨대,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폴리스티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텐, 석유 수지, 염화비닐 수지,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폴리비닐알코올, 염화비닐리덴 수지, 아크릴 수지, 메타크릴 수지, 폴리아미드, 폴리카보네이트, 불소 수지, 폴리비닐포르말, 폴리비닐부티랄, 아세틸셀룰로오스, 니트로셀룰로오스, 폴리아세트산비닐, 폴리이소부틸렌, 에틸셀룰로오스 또는 폴리아세탈 등을 들 수 있으나, 특히, 종래부터, 감열 접착제로서 사용되고 있는 비교적 저연화점, 예컨대, 50℃ 이상 80℃ 이하의 연화점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종 첨가제로서는, 상기 유기 필러(15) 외에, 예컨대, 색재층(12)에, 양호한 열전도성 및 열용융 전사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바인더의 첨가제로서 열전도성 물질을 배합해도 좋다. 이러한 첨가제로서는, 예컨대 카본 블랙 등의 탄소질 물질, 알루미늄, 구리, 산화주석, 이황화몰리브덴 등의 금속 및 금속 화합물 등이 있다.
색재층(12)의 형성 방법에 대해서도 특별히 한정되는 일은 없다. 예컨대, 상기와 같은 색재와 바인더와, 또한, 이것에 필요에 따라 물, 유기 용제 등의 용매를 배합 조정한 색재층용 도공액을 조제하고, 이것을 종래 공지된 도공 수단을 이용하여, 기재(11)의 한쪽의 면 상에 도포·건조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색재층용 도공액의 도공 수단에 대해서도 특별히 한정은 없고, 그라비아 코터, 롤 코터, 와이어 바, 스크린 인쇄기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후술하는 각종 도공액의 도공 수단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색재층의 두께는, 필요한 인자 농도와 열 감도의 조화가 취해지는 범위에서 적절히 설정할 수 있고, 그 두께에 대해 특별히 한정은 없으나, 0.1 ㎛ 이상 30 ㎛ 이하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0.3 ㎛ 이상 20 ㎛ 이하 정도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도시는 하지 않으나, 기재(11)로서, 고열에 대한 내구성이 부족한 재료를 이용하는 경우, 서멀 헤드에 접하는 측의 기재(11)의 표면에, 즉 기재(11)의 색재층(12)이 형성되어 있는 면과 반대측의 면에, 서멀 헤드의 미끄러짐성을 좋게 하고, 또한 스티킹을 방지하기 위해서, 배면층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면층은, 내열성이 있는 수지와 열이형제 또는 활제의 기능을 하는 물질을 기본적인 구성 성분으로 한다. 이러한 배면층을 형성함으로써, 예컨대, 열에 약한 플라스틱 필름을 기재(11)로 한 열전사 시트에 있어서도 스티킹이 발생하지 않고 색재의 전사가 가능하다.
배면층은, 바인더 수지에 활제, 계면 활성제, 무기 입자, 유기 입자, 안료 등을 첨가한 것을 적합하게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배면층에 사용되는 바인더 수지는, 예컨대, 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아세트산셀룰로오스, 아세트산부티르산셀룰로오스, 질화면 등의 셀룰로오스계 수지,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아세트산비닐, 폴리비닐아세탈, 폴리비닐피롤리돈, 아크릴 수지, 폴리아크릴아미드,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 등의 비닐계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실리콘 변성 또는 불소 변성 우레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수개의 반응성기, 예컨대, 수산기를 갖고 있는 것을 사용하고, 가교제로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병용하여 반응시킨, 가교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면층을 형성하는 수단은, 특별히 한정되는 일은 없으나, 예컨대, 바인더 수지에 활제, 계면 활성제, 무기 입자, 유기 입자, 안료 등을 첨가한 재료를, 적당한 용제 중에 용해 또는 분산시켜, 도공액을 조제하고, 이것을 종래 공지된 도공 수단을 이용하여, 기재(11)의 색재층(12)이 형성되어 있는 면과는 반대측의 면 상에 도포·건조하여 형성할 수 있다.
배면층의 두께에 대해서도 특별히 한정은 없으나, 건조 상태에서 통상, 0.01 ㎛ 이상 10 ㎛ 이하 정도이다.
(시일형 인화 시트)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조합에 따른 시일형 인화 시트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시일형 인화 시트(20)는, 이형 기재(21)와, 상기 이형 기재(21)의 한쪽의 면(도 3에 있어서는 상면)의 일부에 형성된 점착재층(22) 부착 인화지(23)를 포함하고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착재층(22) 부착 인화지(23)는, 이형 기재(21)의 한쪽의 면의 일부에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형 기재(21)가 노출되어 있는 부분이 존재하고 있다. 또한, 이형 기재(21)는, 이면 기재(21a)와 이면 박리층(21b)의 적층 구조를 나타내고 있어도 좋다.
·이면 기재
여기서 이형 기재(21)를 구성하는 이면 기재(21a)의 재료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일은 없고, 종래 공지된 재료를 적절히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이면 기재(21a)의 재료로서는, 예컨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의 내열성이 높은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카보네이트, 아세트산셀룰로오스, 폴리에틸렌 유도체, 폴리아미드, 폴리메틸펜텐 등의 플라스틱의 연신 또는 미연신 필름이나, 상질지, 코트지, 아트지, 캐스트 코트지, 판지, 에멀젼 함침지(含浸紙), 합성 고무 라텍스 함침지, 합성 수지 내첨지(內添紙), 셀룰로오스 섬유지 등을 들 수 있다.
이형 기재(21)를 구성하는 이면 기재(21a)의 두께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일은 없으나, 예컨대 20 ㎛ 이상 20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면 기재(21a)의 두께는, 수지 포매법을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에폭시 수지를 이용하여, 커트한 열전사 시트(시험편)를 포매한 후, 초박 절편법(마이크로톰과 다이아몬드 커터에 의한 커트)에 의해, 시험편의 두께 방향으로 절단면을 형성하고, 이 절단면을 이온 스퍼터링((주)히타치 하이테크놀로지즈, E-1045, 타겟: Pt, 전류: 15 ㎃, 10초)한 후, 주사형 전자 현미경((주)히타치 하이테크놀로지즈, A-4800TYPE I, 가속 전압: 3.0 kv, 이미션 전류: 10 ㎂, 작동 거리: 8 ㎜, 검출기: Mix)을 사용함으로써, 시험편의 단면 화상을 취득하고, 이 화상으로부터 측정하였다.
·이면 박리층
또한, 이형 기재(21)를 구성하는 이면 박리층(21b)을 형성하는 수지로서는, 예컨대, 왁스류, 실리콘 왁스, 실리콘 수지, 실리콘 변성 수지, 불소 수지, 불소 변성 수지, 폴리비닐알코올, 아크릴 수지, 열가교성 에폭시-아미노 수지 및 열가교성 알키드-아미노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면 박리층(21b)은, 1종의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좋고, 2종 이상의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좋다. 이면 박리층(21b)은, 전술한 바와 같은 수지에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등의 가교제, 주석계 촉매, 알루미늄계 촉매 등의 첨가재를 첨가하여 형성해도 좋다.
이러한 이면 박리층(21b)의 두께는, 0.1 ㎛ 이상 5 ㎛ 이하 정도가 일반적이다.
또한, 이면 박리층(21b)을 형성하는 것을 대신하여, 상기 이면 기재(21a)에 이형제를 함유시켜, 이면 기재(21a) 자체에 이형성을 부여할 수도 있다. 이 경우의 이형제로서는, 예컨대, 폴리에틸렌 왁스, 아미드 왁스, 테플론(등록 상표) 파우더 등의 고형 왁스류, 불소계 또는 인산에스테르계 계면 활성제, 실리콘 오일, 반응성 실리콘 오일, 경화형 실리콘 오일 등의 각종 변성 실리콘 오일, 및 각종 실리콘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점착재층
시일형 인화 시트(20)를 구성하는 점착재층(22)의 재료에 대해서도 한정은 없고, 종래 공지된 용제계나 수계의 점착재를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아세트산비닐 수지, 아크릴 수지, 아세트산비닐-아크릴 공중합체, 아세트산비닐-염화비닐 공중합체,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폴리우레탄 수지나, 천연 고무, 클로로프렌 고무, 니트릴 고무 등을 들 수 있다.
·인화지
시일형 인화 시트(20)를 구성하는 인화지(23)의 재료에 대해서도 특별히 한정은 없고, 종래 공지된 각종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의 내열성이 높은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카보네이트, 아세트산셀룰로오스, 폴리에틸렌 유도체, 폴리아미드, 폴리메틸펜텐 등의 플라스틱의 연신 또는 미연신 필름이나, 상질지, 코트지, 아트지, 캐스트 코트지, 판지 등을 들 수 있다. 기재는, 단층 구성을 나타내는 것이어도 좋고, 상기에서 예시한 재료를 2종 이상 적층한 복합 필름도 사용할 수 있다.
인화지(23)의 인자면에는 인자 적성을 올리기 위해서 코로나 표면 처리, 플라즈마 표면 처리를 실시하거나, 아세트산비닐 수지, 아크릴 수지, 아세트산비닐-아크릴 공중합체, 아세트산비닐-염화비닐 공중합체,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폴리우레탄 수지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접착 용이층을 형성해도 좋다. 또한, 시트에 의장성을 갖게 하기 위해서 인화지(23)의 재료에 색재나 금속 및 금속 화합물을 첨가해도 좋고, 혹은 인화지(23)의 표면에 인쇄를 해도 좋다.
한편, 상기에서 설명한 시일형 인화 시트(20)의 구성은 일례이며, 상기 이외의 각종 기능층이 적층되어 있어도 좋다.
실시예
다음으로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하, 특별히 언급이 없는 한, 부 또는 %는 질량 기준이다.
(실시예 1)
기재로서 두께 4.5 ㎛의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이하 PET라고 표시)(상품명: 루미라(등록 상표) 도레이(주))을 이용하고, 그 한쪽에 배면층으로서 하기 조성으로 이루어지는 배면층용 도공액을, 건조 시의 두께가 0.3 ㎛가 되도록 그라비아 인쇄 방식으로 도포·건조시켜 배면층을 형성하였다. 다음으로, 배면층을 형성한 기재의 배면층과 반대의 면에, 하기 조성으로 이루어지는 박리층용 도공액을, 건조 시의 두께가 0.3 ㎛가 되도록 그라비아 인쇄 방식으로 도포·건조시켜, 박리층을 형성하였다. 계속해서, 박리층 상에 하기 조성으로 이루어지는 보호층용 도공액을, 건조 시의 두께가 0.5 ㎛가 되도록 그라비아 인쇄 방식으로 도포·건조시켜, 보호층을 형성하였다. 계속해서 보호층 상에 하기 조성으로 이루어지는 색재층용 도공액 1을, 건조 시의 두께가 0.7 ㎛가 되도록 그라비아 인쇄 방식으로 도포·건조시켜, 실시예 1에 따른 열전사 시트 1을 형성하였다.
<배면층용 도공액>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11부
·선형 포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0.3부
·스테아릴인산아연 6부
·멜라민계 필러 3부
·메틸에틸케톤 80부
<박리층용 도공액>
·아크릴 수지 100부
·폴리에스테르 수지 2부
·폴리에틸렌 왁스 3부
·메틸에틸케톤 50부
·톨루엔 50부
<색재층용 도공액 1>
·카본 블랙 50부
·폴리에스테르 수지 50부
·멜라민계 필러(평균 입경: 1.2 ㎛) 3부
·물 10부
·이소프로필알코올(IPA) 30부
또한, 상기 실시예 1에 따른 열전사 시트 1과 조합하여 이용하는, 실시예 1에 따른 시일형 인화 시트로서, PET 라벨(상품명: 72825, 에이버리·데니슨·재팬(주))을 준비하였다. 한편, 준비한 PET 라벨은, 이형 기재와, 상기 이형 기재의 한쪽의 면의 일부에 설치된 점착재층 부착 인화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 따른 열전사 시트 1을 형성하는 데 이용한 상기 색재층용 도공액 1을 하기 조성의 색재층용 도공액 2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모두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2에 따른 열전사 시트와 시일형 인화 시트의 조합을 얻었다.
<색재층용 도공액 2>
·카본 블랙 50부
·폴리에스테르 수지 50부
·멜라민계 필러(평균 입경: 1.2 ㎛) 5부
·물 10부
·이소프로필알코올(IPA) 30부
(실시예 3)
실시예 1에 따른 열전사 시트 1을 형성하는 데 이용한 상기 색재층용 도공액 1을 하기 조성의 색재층용 도공액 3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모두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3에 따른 열전사 시트와 시일형 인화 시트의 조합을 얻었다.
<색재층용 도공액 3>
·카본 블랙 50부
·폴리에스테르 수지 50부
·아크릴계 필러(평균 입경: 0.8 ㎛) 3부
·물 10부
·이소프로필알코올(IPA) 30부
(실시예 4)
실시예 1에 따른 열전사 시트 1을 형성하는 데 이용한 상기 색재층용 도공액 1을 하기 조성의 색재층용 도공액 4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모두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4에 따른 열전사 시트와 시일형 인화 시트의 조합을 얻었다.
<색재층용 도공액 4>
·카본 블랙 50부
·폴리에스테르 수지 50부
·멜라민계 필러(평균 입경: 3 ㎛) 3부
·물 10부
·이소프로필알코올(IPA) 30부
(비교예 1)
실시예 1에 따른 열전사 시트 1을 형성하는 데 이용한 색재층용 도공액 1을 하기 조성의 색재층용 도공액 A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모두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비교예 1에 따른 열전사 시트와 시일형 인화 시트의 조합을 얻었다.
<색재층용 도공액 A>
·카본 블랙 50부
·폴리에스테르 수지 50부
·물 10부
·이소프로필알코올(IPA) 30부
(비교예 2)
실시예 1에 따른 열전사 시트 1을 형성하는 데 이용한 색재층용 도공액 1을 하기 조성의 색재층용 도공액 B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모두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비교예 2에 따른 열전사 시트와 시일형 인화 시트의 조합을 얻었다.
<색재층용 도공액 B>
·카본 블랙 50부
·폴리에스테르 수지 50부
·멜라민계 필러(평균 입경: 1.2 ㎛) 1부
·물 10부
·이소프로필알코올(IPA) 30부
(비교예 3)
실시예 1에 따른 열전사 시트 1을 형성하는 데 이용한 색재층용 도공액 1을 하기 조성의 색재층용 도공액 C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모두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비교예 3에 따른 열전사 시트와 시일형 인화 시트의 조합을 얻었다.
<색재층용 도공액 C>
·카본 블랙 50부
·폴리에스테르 수지 50부
·멜라민계 필러(평균 입경: 0.6 ㎛) 3부
·물 10부
·이소프로필알코올(IPA) 30부
(동마찰 계수 측정)
·열전사 시트와 시일형 인화 시트의 인화지 부분과의 동마찰 계수 μP(x)의 산출
텐실론(등록 상표) RTM500((주)오리엔테크)을 사용하고, 그 스테이지에, 실시예 1∼4, 및 비교예 1∼3의 시일형 인화 시트의 인화지를 고정하였다. 한편, 각 열전사 시트를 면적 50 ㎜×50 ㎜로 조정하여 시험편으로 하고, 상기 스테이지에 고정된 시일형 인화 시트의 인화지 위에, 상기 시일형 인화 시트의 인화지와 열전사 시트의 색재층이 대향하도록, 열전사 시트의 시험편을 중첩시키며, 하중 220 g, 인장 속도 100 ㎜/min.으로 인장 시험을 행하여, 인장력을 측정하였다. 측정된 인장력의 값을 하중(220 g)으로 나눔으로써, 동마찰 계수 μP(x)를 산출하였다. 인장력의 측정 환경은, 22.5℃, 40% RH였다.
·열전사 시트와 시일형 인화 시트의 이형 기재 부분과의 동마찰 계수 μP(y)의 산출
스테이지에 실시예 1∼4, 및 비교예 1∼3의 시일형 인화 시트의 이형 기재를 고정하고, 상기 스테이지에 고정된 시일형 인화 시트의 이형 기재 상에, 상기 시일형 인화 시트의 이형 기재와 열전사 시트의 색재층이 대향하도록, 각 열전사 시트의 시험편을 중첩시키는 것 이외에는, 열전사 시트와 시일형 인화 시트의 인화지 부분의 시험과 동일하게 하여, 인장력을 측정 및 동마찰 계수 μP(y)의 산출을 행하였다. 인장력의 측정 환경은, 22.5℃, 40% RH였다.
(인자성 평가)
실시예 1∼4, 및 비교예 1∼3에서 얻어진 각 열전사 시트와 시일형 인화 시트의 조합을 이용하여, 각각의 열전사 시트의 색재층과 시일형 인화 시트의 인화지측을 중첩시키고, 라벨 프린터 I4308(Datamax-O' Neil사)을 사용하여, 인자 속도 6 IPS, 인자 에너지 20으로 5장 연속 인자하였다. 그 후, 하기의 평가 기준으로 인화물을 육안으로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
·A: 주름 발생 없이 인자 가능.
·B: 비백이 약간 발생하였으나, 주름 발생 없이 인자 가능.
·NG: 주름이 발생.
(내유기용제성 평가)
실시예 1∼4, 및 비교예 1∼3에서 얻어진 각 열전사 시트를 이용하고, 라벨 프린터 I4308(Datamax-O' Neil사)을 사용하여, 인자 속도 4 IPS, 인자 에너지 26으로 picket 바코드를 인자하였다. 그 후, 염색 견뢰도 마찰 시험기 FR-2S형(스가 시켄키(주))을 사용하고, 이소프로필알코올(IPA)을 0.5 ㏄ 스며들게 한 면포를 이용하여 하중 800 g으로 100 왕복의 찰과를 하며, 바코드 체커 Quick Check 850(Honeywell사)을 이용하여, 하기의 평가 기준으로, 내유기용제성을 평가하였다. 한편, 찰과 전의 바코드 체커의 평가 결과는 모두 A 판정인 것을 확인하고 나서 내유기용제 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 기준>
·A: 찰과 후의 바코드 체커에 의한 판정 결과가 A 판정.
·B: 찰과 후의 바코드 체커에 의한 판정 결과가 B 또는 C 판정.
·NG: 찰과 후의 바코드 체커에 의한 판정 결과가 D 판정 이하.
인자성 평가 및 내유기용제성 평가의 결과를 이하의 표 1에 정리한다.
Figure pct00001
상기한 결과로부터도, 실시예에 따른 열전사 시트와 시일형 인화 시트의 조합에 의하면, 인화물의 주름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10: 열전사 시트 11: 기재
12: 색재층 13: 박리층
14: 보호층 15: 유기 필러
20: 시일형 인화 시트 21: 이형 기재
22: 점착재층 23: 인화지

Claims (5)

  1. 기재와, 상기 기재의 한쪽의 면에 형성된 색재층을 포함하는 열전사 시트와,
    이형(離型) 기재와, 상기 이형 기재의 한쪽의 면의 일부에 형성된 점착재층 부착 인화지를 포함하는 시일형 인화 시트
    의 조합으로서,
    상기 열전사 시트에 있어서의 색재층과, 상기 시일형 인화 시트에 있어서의 점착재층 부착 인화지와의 동마찰 계수와,
    상기 열전사 시트에 있어서의 색재층과, 상기 시일형 인화 시트에 있어서의 이형 기재와의 동마찰 계수
    의 차가 1.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사 시트와 시일형 인화 시트의 조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사 시트에 있어서의 색재층에는, 유기 필러가, 색재층의 총 질량에 대해 2 질량% 이상 6 질량% 이하의 비율로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사 시트와 시일형 인화 시트의 조합.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필러의 평균 입경이 1.0 ㎛ 이상 2.5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사 시트와 시일형 인화 시트의 조합.
  4. 기재와, 상기 기재의 한쪽의 면에 형성된 색재층을 포함하는 열전사 시트로서,
    상기 색재층에는, 유기 필러가, 색재층의 총 질량에 대해 2 질량% 이상 6 질량% 이하의 비율로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사 시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필러의 평균 입경이 1.0 ㎛ 이상 2.5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사 시트.
KR1020197022827A 2017-03-01 2018-03-01 열전사 시트와 시일형 인화 시트의 조합, 및 열전사 시트 KR1022794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038615 2017-03-01
JP2017038615 2017-03-01
PCT/JP2018/007726 WO2018159747A1 (ja) 2017-03-01 2018-03-01 熱転写シートとシール型印画シートとの組合せ、および熱転写シー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3299A true KR20190103299A (ko) 2019-09-04
KR102279476B1 KR102279476B1 (ko) 2021-07-21

Family

ID=63371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2827A KR102279476B1 (ko) 2017-03-01 2018-03-01 열전사 시트와 시일형 인화 시트의 조합, 및 열전사 시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870301B2 (ko)
EP (1) EP3587134B1 (ko)
JP (2) JP6384642B1 (ko)
KR (1) KR102279476B1 (ko)
CN (1) CN110225830B (ko)
WO (1) WO201815974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72372B (zh) * 2020-09-29 2021-07-02 中星中大印刷(深圳)有限公司 一种无塑涂层复膜工艺以及无塑涂层复膜纸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55193A (ja) * 1993-03-05 1994-09-13 Nitto Denko Corp 熱転写記録用受像シート
JPH1178256A (ja) * 1997-09-02 1999-03-23 Ricoh Co Ltd 昇華型熱転写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昇華型熱転写記録方法
JPH11115329A (ja) 1997-10-16 1999-04-27 Dainippon Printing Co Ltd 熱転写シート
JP2000062324A (ja) * 1998-08-14 2000-02-29 Ricoh Co Ltd 熱転写記録媒体
JP2004351638A (ja) * 2003-05-27 2004-12-16 Pilot Corporation 熱転写記録媒体
JP2014069463A (ja) * 2012-09-28 2014-04-21 Dainippon Printing Co Ltd 熱転写受像シートおよび画像形成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3852B2 (ja) * 1987-12-04 2000-02-2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昇華転写画像付ラベル
US4984823A (en) 1988-02-18 1991-01-15 Dai Nippon Insatsu Kabushiki Kaisha Label having sublimation transferred image
JP3258775B2 (ja) 1993-07-28 2002-02-1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熱転写シート
JPH0761151A (ja) * 1993-08-27 1995-03-07 Hitachi Ltd 熱転写記録用受像体
US5712673A (en) 1993-12-01 1998-01-27 Dai Nippon Printing Co., Ltd. Thermal transfer recording medium and thermal transfer recording method
JPH082115A (ja) * 1993-12-01 1996-01-09 Dainippon Printing Co Ltd 熱転写シート、多色熱転写方法及び多色印字物
JPH08183261A (ja) * 1994-12-28 1996-07-16 New Oji Paper Co Ltd 染料熱転写受容タック紙
JPH0999644A (ja) 1995-10-09 1997-04-15 Fujicopian Co Ltd 熱転写記録材料
JPH10251582A (ja) 1997-03-11 1998-09-22 Nichiban Co Ltd 熱転写用樹脂組成物、熱転写シート、及び熱転写方法
GB9707799D0 (en) * 1997-04-17 1997-06-04 Ici Plc Thermal transfer printing dye sheet
JPH11321133A (ja) * 1998-05-15 1999-11-24 Kao Corp 熱転写記録媒体
JP2006043992A (ja) * 2004-08-03 2006-02-16 Konica Minolta Photo Imaging Inc かぶり低減方法および感熱転写記録用インクシート
JP2011062824A (ja) * 2009-09-15 2011-03-31 Toppan Printing Co Ltd 昇華型熱転写媒体
JP5315183B2 (ja) * 2009-09-15 2013-10-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圧粉磁心用粉末の製造方法
JP5641405B2 (ja) * 2010-08-06 2014-12-17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熱転写シート
JP2012153019A (ja) * 2011-01-26 2012-08-16 Sony Corp 熱転写シート
US9221286B2 (en) * 2013-04-09 2015-12-29 Toray Plastics (America), Inc. Polyester film with smooth surface properties for winding and printing
JP2015030123A (ja) 2013-07-31 2015-02-1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熱転写シート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55193A (ja) * 1993-03-05 1994-09-13 Nitto Denko Corp 熱転写記録用受像シート
JPH1178256A (ja) * 1997-09-02 1999-03-23 Ricoh Co Ltd 昇華型熱転写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昇華型熱転写記録方法
JPH11115329A (ja) 1997-10-16 1999-04-27 Dainippon Printing Co Ltd 熱転写シート
JP2000062324A (ja) * 1998-08-14 2000-02-29 Ricoh Co Ltd 熱転写記録媒体
JP2004351638A (ja) * 2003-05-27 2004-12-16 Pilot Corporation 熱転写記録媒体
JP2014069463A (ja) * 2012-09-28 2014-04-21 Dainippon Printing Co Ltd 熱転写受像シートおよび画像形成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384642B1 (ja) 2018-09-05
EP3587134A4 (en) 2020-06-24
EP3587134B1 (en) 2022-06-22
JP2018187938A (ja) 2018-11-29
CN110225830B (zh) 2020-11-06
CN110225830A (zh) 2019-09-10
WO2018159747A1 (ja) 2018-09-07
JPWO2018159747A1 (ja) 2019-03-07
KR102279476B1 (ko) 2021-07-21
US20200230990A1 (en) 2020-07-23
US10870301B2 (en) 2020-12-22
EP3587134A1 (en) 2020-0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1687B1 (ko) 열전사 시트
US7517833B2 (en) Thermal transfer sheet and protective layer transfer sheet
CN107206823B (zh) 热敏转印记录介质
EP3590722A1 (en) Heat-sensitive transfer recording medium
US20180229528A1 (en) Thermal transfer sheet
KR20100123614A (ko) 열전사 시트 및 잉크 리본
JP6657718B2 (ja) 保護層転写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279476B1 (ko) 열전사 시트와 시일형 인화 시트의 조합, 및 열전사 시트
KR101706025B1 (ko) 감열식 투명 라미네이트 도너 요소
JP2008137257A (ja) 熱転写受像シート
JP6657697B2 (ja) 熱転写シート
JP2015063050A (ja) 熱転写記録材料
JP2017189913A (ja) 熱転写記録材料
JP2009083298A (ja) 熱転写受像シート
JP2021104631A (ja) 感熱記録媒体及び剥離基材付感熱記録媒体
JP3507180B2 (ja) 熱転写受像シート
EP3950371A1 (en) Heat transfer sheet
JP2019064033A (ja) 熱転写受像シートと熱転写シートとの組み合わせ
JP7157924B2 (ja) 熱転写受像シート
JP5757400B2 (ja) 昇華転写用熱転写受像シート
JP2008307801A (ja) 熱転写受像シート
JP2017056663A (ja) 熱転写受像シート
JP2020049880A (ja) 熱転写受像シート
JP2022149711A (ja) 使用済み熱転写シートから情報漏洩を防止する方法
JP3254569B2 (ja) 熱転写受像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