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7522A - 동식물 원료로부터의 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동식물 원료로부터의 향기 회수 장치 - Google Patents

동식물 원료로부터의 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동식물 원료로부터의 향기 회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7522A
KR20190087522A KR1020197017804A KR20197017804A KR20190087522A KR 20190087522 A KR20190087522 A KR 20190087522A KR 1020197017804 A KR1020197017804 A KR 1020197017804A KR 20197017804 A KR20197017804 A KR 20197017804A KR 20190087522 A KR20190087522 A KR 201900875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sorbent
perfume
gas
animal
perfume comp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7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지 무라이
요시유키 미스미
다케시 와타나베
다카유키 가네코
Original Assignee
하세가와 고오료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세가와 고오료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하세가와 고오료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875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75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organic material
    • B01J20/26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B01J20/261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 to 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0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2Recovery or refining of essential oils from raw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10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DEDIBLE OILS OR FATS, e.g. MARGARINES,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0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DEDIBLE OILS OR FATS, e.g. MARGARINES,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0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07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characterised by ingredients other than fatty acid triglycerid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1/00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therefor
    • A23G1/30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therefor
    • A23G1/56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therefor making liquid products, e.g. for making chocolate milk drinks and the products for their preparation, pastes for spreading, milk crumb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10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 A23L27/115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obtained by distilling, stripping, or recovering of volat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01D53/0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with stationary adsorb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01D53/06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with moving adsorbents, e.g. rotating beds
    • B01D53/1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with moving adsorbents, e.g. rotating beds with dispersed adsorbents
    • B01D53/1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with moving adsorbents, e.g. rotating beds with dispersed adsorbents according to the "fluidised techniq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B01J20/1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silica or silic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organic material
    • B01J20/26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4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0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003Compounds of unspecified constitution defined by the chemical reaction for their prepar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3/00Soups; Sauc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3/10Soup concentrates, e.g. powders or cak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02Ad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3/00Adsorbents used in seperation treatment of gases and vapours
    • B01D2253/20Organic adsorbents
    • B01D2253/202Polymeric adsorb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 Confectionery (AREA)
  • Edible Oils And Fats (AREA)
  • Seeds, Soups, And Other Foods (AREA)
  • Seasonings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Abstract

동식물 원료를 세분화하여, 소편을 포함하는 동식물 원료 조(粗)세분화물을 얻는 공정을 포함하고, 동식물 원료의 세분화 시에 발생하는 향기 화합물 및 소편을 포함하는 가스로부터 소편을 제거하는 공정과, 소편이 제거된 가스를 흡착제에 통기하여, 향기 화합물을 흡착제에 흡착시키는 흡착 공정과, 흡착제로부터 향기 화합물을 회수하여, 향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향료 조성물을 조제하는 회수 공정을 포함하고, 흡착제는 향기 화합물 흡착 장치 내의 흡착제 수용부에 수용되고, 흡착제 수용부는 가스의 통기 방향의 양단에 망상(網狀) 덮개를 갖는, 동식물 원료로부터의 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일반적인 분쇄 장치를 이용하고, 큰 설비 투자나 장치에 대한 부하 등의 부담 없이 실용화할 수 있으며, 동식물 원료의 세분화 시에 발생하는 향기를 느끼게 하는, 동식물 원료로부터의 향료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동식물 원료로부터의 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동식물 원료로부터의 향기 회수 장치
본 발명은, 동식물 원료로부터의 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동식물 원료로부터의 향기 회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향료 조성물은, 식품 향료(플레이버)나 향장품 향료(프레이그런스) 등으로서 이용된다. 음식품용 향료 조성물은 천연 향료, 합성 향료 및/또는 그들을 조합한 조합향료로부터 조제할 수 있는데, 최근에는 소비자의 천연 지향에 수반하여, 플레이버도, 천연 향료나 천연감이 있는 것이 기대되는 경향에 있어, 여러가지 제조 방법이 검토되고 있다.
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으로서, 여러가지 방법이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참조).
예로서, 커피, 홍차, 녹차, 우롱차 등의 동식물 원료로부터 플레이버를 얻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볶은 커피 분쇄물에 수증기 및/또는 불활성 가스를 통하여 방출시킨 휘발성 커피 플레이버 성분 함유 기상을 캐러멜 등의 용액에 보충하는 커피 플레이버의 제법, 볶은 커피를 수증기 증류하여 얻어지는 응축수를 분획하는 방법, 과즙 혹은 커피를 증류하여 얻은 향기 성분 함유 증류액을, 역상 분배형 흡착제와 접촉시킨 후, 용제로 추출하는 방법, 수증기 증류법에 따라 얻어진 커피 플레이버 원료를 수층에 포함하고, 압착 채유 또는 초임계유체 등에 의해 얻어진 커피 오일을 유상(油相)으로 하는 방향 성분과 정미(呈味) 성분을 겸비하는 커피 플레이버의 제제화 방법, 찻잎을 수증기 증류하여 얻어지는 유출액을 찻잎과 접촉시키고, 가열 증류취를 제거하는 찻잎 플레이버의 제법 등이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의하면, 수증기 증류법은, 원료에 수증기를 통기하여, 수증기에 수반되어 유출되어 오는 향기 성분을 수증기와 함께 응축시키는 방법이며, 원료의 종류 등에 따라, 가압 수증기 증류, 상압 수증기 증류, 감압 수증기 증류 중 어느 한 증류 수단을 채용할 수 있다고 기재되어 있다.
또한, 동식물 원료를, 분쇄하거나, 파쇄하거나, 저미거나, 빻거나, 깎는 등 하여 세분화했을 때, 각 원료에 특유의 뛰어난 향기가 종종 발생한다. 이러한 향기를 부여할 수 있는 플레이버가 오랫동안 요구되고 있다. 특허문헌 2~6에는, 동식물 원료로서 볶은 커피콩을 이용하고, 그 분쇄 시에 발생하는 향기를 이용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일본국 특허공개 2003-33137호 공보 일본국 특허 3719995호 일본국 특허 4182471호 일본국 특허 4308724호 일본국 특허 4745591호 일본국 특허공개 2003-144053호 공보
특허문헌 2~5에 기재된 방법은, 볶은 커피콩의 분쇄 시에 발생하는 향기 성분을 포함하는 가스(분쇄 가스)를, 그대로 물이나 커피 오일 등의 용매에 도입하여 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또한, 특허문헌 6에 기재된 방법은, 볶은 커피콩의 분쇄 가스를, 가압 압축함과 더불어, 알루미늄제 용기에 보존하였다.
그러나, 특허문헌 2~6에 기재된 방법으로 얻어진 향료 조성물은, 향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가스를 용매에 통기시키기 위해서 포집 효율이 높지 않고, 동식물 원료를 세분화했을 때의 향기를 충분히는 재현할 수 없다.
또한, 특허문헌 2~6에 기재된 방법은, 불활성 가스의 사용, 밀폐된 세분화기, 용매층으로의 통로, 용매층, 항온조 등, 특별한 장치를 이용하기 때문에 설비 투자가 커지고, 간단하게 실용화할 수 있는 것은 아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일반적인 분쇄 장치를 이용하여, 큰 설비 투자나 장치에 대한 부하 등의 부담 없이 실용화할 수 있는, 동식물 원료의 세분화 시에 발생하는 향기를 느끼게 하는, 동식물 원료로부터의 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일반적인 분쇄 장치를 이용하여, 큰 추가 설비 투자나 장치에 대한 부하 등의 부담 없이 실용화할 수 있는, 동식물 원료의 세분화 시에 발생하는 향기를 느끼게 하는 향료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는, 동식물 원료로부터의 향기 회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열심히 연구를 행한 결과, 특허문헌 1~6에 기재된 방법과는 전혀 다른 방법으로서, 동식물 원료의 세분화 시에 동식물 원료로부터 발생하는 향기 화합물과, 동식물 원료의 과도하게 미세한 세분화물 또는 박편, 및 그 외 협잡물 유래의 세분화물 또는 박편(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대체로 「소편(小片)」이라 칭한다)을 포함하는 가스로부터 당해 소편을 제거한 후에, 동식물 원료의 세분화 시에 발생하는 향기 화합물을 흡착제로 흡착하고, 회수함으로써, 향기 화합물을 효율적으로 회수하고, 또한 일반적인 세분화 장치(예를 들면, 종래의 세분화 장치)에 대해서 부하나 더욱 큰 설비 투자를 강요하지 않고, 동식물 원료의 세분화 시에 발생하는 향기를 느끼게 하는 천연 향료 조성물을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것을 찾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인 본 발명 및 그 바람직한 양태는 이하와 같다.
[1] 동식물 원료를 세분화하여, 소편(小片)을 포함하는 동식물 원료 조(粗)세분화물을 얻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동식물 원료의 세분화 시에 동식물 원료로부터 발생하는 향기 화합물 및 상기 소편을 포함하는 가스로부터 상기 소편을 제거하는 공정과,
상기 소편이 제거된 가스를 흡착제에 통기하여, 상기 향기 화합물을 상기 흡착제에 흡착시키는 흡착 공정과,
상기 흡착제로부터 상기 향기 화합물을 회수하여, 상기 향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향료 조성물을 조제하는 회수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흡착제는, 향기 화합물 흡착 장치 내의 흡착제 수용부에 수용되고, 그 흡착제 수용부는, 상기 가스의 통기 방향의 양단에 망상(網狀) 덮개를 갖는,
동식물 원료로부터의 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2] 상기 동식물 원료 조세분화물로부터 상기 소편을 제거하는 공정을, 상기 소편을 가스로부터 제거하는 공정보다 전에 행하는, [1]에 기재된 동식물 원료로부터의 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3] 상기 소편을 제거하는 공정을 소편 제거 장치로 행하는, [1] 또는 [2]에 기재된 동식물 원료로부터의 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4] 기류 발생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가스의 흐름을 발생시키는,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동식물 원료로부터의 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5] 상기 소편이 제거된 가스의 유로에, 그 유로로부터 분기되고, 또한 상기 향기 화합물 흡착 장치와 연통하는 도입로를 설치하며,
상기 도입로 및 상기 흡착제에 상기 소편이 제거된 가스의 일부만을 통기하여 상기 향기 화합물을 회수하는,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동식물 원료로부터의 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6] 상기 흡착제가, 스티렌디비닐벤젠 공중합체, 에틸비닐벤젠과 디비닐벤젠의 공중합체, 2,6-디페닐-9-페닐옥사이드의 중합체, 메타크릴산과 디올의 중축합 폴리머 및 수식 실리카겔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인,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동식물 원료로부터의 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7] 상기 회수 공정에서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상기 흡착제로부터 상기 향기 화합물을 탈착하는,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동식물 원료로부터의 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8] 상기 유기용매가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글리콜인, [7]에 기재된 동식물 원료로부터의 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9] 상기 흡착제에 유입하는 가스의 선속도가 0.1~35.0m/s의 범위 내인,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동식물 원료로부터의 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10] 상기 가스의 통기 방향이, 중력 방향과 대략 반대 방향인, [1]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동식물 원료로부터의 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11] 상기 향기 화합물 흡착 장치가, 상기 흡착제가 수용된 유동층 칼럼인, [1]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동식물 원료로부터의 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12] 상기 흡착제에 유입하는 가스의 선속도를 조정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1] 내지 [1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동식물 원료로부터의 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13] 상기 흡착제에 유입하는 가스의 선속도의 조정을, 송풍 장치 또는 흡인 펌프를 이용하여 행하는, [12]에 기재된 동식물 원료로부터의 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14] [1] 내지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제조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향료 조성물을 함유하는 음식품.
[15] 동식물 원료의 세분화 장치와,
상기 세분화 장치와 연통하고, 상기 동식물 원료의 세분화 시에 발생하는 향기 화합물 및 소편을 포함하는 가스가 통과 가능한 제1 유로와,
상기 제1 유로와 연통하고, 상기 소편을 제거하는 소편 제거 장치와,
상기 소편 제거 장치와 연통하고, 상기 소편이 제거된 가스가 통과 가능한 제2 유로와,
상기 제2 유로와 연통한 향기 화합물 흡착 장치와,
상기 세분화 장치로부터 상기 향기 화합물 흡착 장치까지 연속된 기류를 발생시키는 기류 발생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향기 화합물 흡착 장치는, 흡착제가 수용된 흡착제 수용부를 갖고, 그 흡착제 수용부는, 상기 가스의 통기 방향의 양단에 망상 덮개를 갖는, 동식물 원료로부터의 향기 회수 장치.
[16] 상기 제2 유로로부터 분기되는 도입로를 추가로 구비하고, 그 도입로는 상기 향기 화합물 흡착 장치와 연통하고 있는, [15]에 기재된 동식물 원료로부터의 향기 회수 장치.
[17] 상기 세분화 장치와 상기 제1 유로의 사이에, 소편 예비 제거 장치를 추가로 구비하는, [15] 또는 [16]에 기재된 동식물 원료로부터의 향기 회수 장치.
[18] 상기 흡착제의 상기 가스의 통기 방향이, 중력 방향과 대략 반대 방향인, [15] 내지 [1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동식물 원료로부터의 향기 회수 장치.
[19] 상기 향기 화합물 흡착 장치가, 상기 흡착제가 수용된 유동층 칼럼인, [15] 내지 [1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동식물 원료로부터의 향기 회수 장치.
[20] 상기 소편이 제거된 가스의 선속도를 조정하는 선속도 조정 장치를 추가로 구비하는, [15] 내지 [1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동식물 원료로부터의 향기 회수 장치.
[21] 상기 선속도 조정 장치가 송풍 장치 또는 흡인 펌프인, [15] 내지 [2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동식물 원료로부터의 향기 회수 장치.
[22] 상기 흡착제 수용부에 수용된 흡착제 부분의 단면 직경이 10mm 이상인, [15] 내지 [2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동식물 원료로부터의 향기 회수 장치.
[23] 상기 흡착제 수용부에 수용된 흡착제 부분의 상기 가스의 통기 방향의 길이가 1000mm 이하인, [15] 내지 [2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동식물 원료로부터의 향기 회수 장치.
본 발명에 의하면, 일반적인 세분화 장치를, 큰 추가 설비 투자나 당해 장치로의 부하 등의 부담 없이 이용하여, 동식물 원료의 세분화 시에 동식물 원료로부터 발생하는 향기, 즉, 동식물 원료를 저미고 있을 때의 향기를 느끼게 하는, 동식물 원료로부터의 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은, 천연 향료이면서, 동식물 원료 유래의 선두(top)의 향기를 증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일반적인 세분화 장치를, 큰 추가 설비 투자나 당해 장치로의 부하 등의 부담 없이 이용하여, 동식물 원료의 세분화 시에 발생하는 향기를 느끼게 하는 향료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는, 동식물 원료로부터의 향기 회수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향기 회수 장치의 일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향기 회수 장치의 다른 일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흡착제 수용부의 단면 개략도이다.
도 4는, 일반적인 기류 발생 장치의 성능도이다.
이하에 있어서, 본 발명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 기재하는 구성 요건의 설명은, 대표적인 실시 형태나 구체예에 의거하여 이루어지는 경우가 있는데, 본 발명은 그러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를 이용하여 나타내지는 수치 범위는 「~」 전후에 기재되는 수치를 하한치 및 상한치로서 포함하는 범위를 의미한다.
[동식물 원료로부터의 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동식물 원료로부터의 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본 발명의 제조 방법이라고도 한다)은, 동식물 원료를 세분화하여, 소편을 포함하는 동식물 원료 조세분화물을 얻는 공정을 포함하고,
동식물 원료의 세분화 시에 발생하는 향기 화합물 및 소편을 포함하는 가스로부터 소편을 제거하는 공정과,
소편이 제거된 가스를 흡착제에 통기하여, 향기 화합물을 흡착제에 흡착시키는 흡착 공정과,
흡착제로부터 향기 화합물을 회수하여, 향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향료 조성물을 조제하는 회수 공정을 포함하고,
흡착제는, 향기 화합물 흡착 장치 내부의 흡착제 수용부에 수용되고, 이 흡착제 수용부는, 상기 가스의 통기 방향의 양단에 망상 덮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도 3 참조, 도면 중의 화살표는 가스 통기 방향을 나타낸다).
망상 덮개의 상세사항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해, 일반적인 세분화 장치를, 큰 추가 설비 투자나 당해 장치로의 부하 없이 이용하여, 동식물 원료의 세분화 시에 발생하는 향기를 느끼게 하는, 동식물 원료로부터의 향료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동식물 원료를 원하는 사이즈로 세분화하면, 원하는 사이즈로 세분화된 세분화물 이외에, 동식물 원료 유래의 원하는 사이즈를 만족하지 않는 세분화물 또는 박편 및 그 외의 협잡물 유래의 세분화물 또는 박편 중 어느 1종 이상(본 명세서에서는 대체로 「소편」이라 칭한다)이 생기고, 이 소편은 가볍기 때문에 비산한다. 동식물 원료의 공업적 세분화에 있어서는, 이 소편의 적어도 일부는 비산하여 세분화 장치에서 발생하는 기류의 배기류에 섞인다. 이 배기류는, 적절히 소편을 제거한 후, 장치 밖으로 그대로 배출되었다.
여기서, 본 발명은, 특허문헌 2~6과는 다르게 향기 화합물의 포집에 용제(액체)가 아닌, 향기 화합물 흡착 장치에 수용된 흡착제를 이용한다. 만일 소편을 포함하는 배기류를 그대로 흡착제에 통기하면, 소편에 의해서, 망상 덮개의 막힘이나, 흡착제의 세공이나 흡착제 입자 간의 미소 공극의 막힘이 발생해 버려 배기류가 흐르기 어려워지고, 세분화 장치의 배기 시스템(본 발명에 있어서는 후술하는 기류 발생 장치에 의한 배기)에 부하(압력)가 걸린다고 생각할 수 있다. 이것에 대해,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서는, 배기류로부터 소편을 제거한 후에, 흡착제에 그 배기류를 통기시켜 향기 화합물을 흡착시키는 방법을 채용함으로써, 망상 덮개 및 흡착제의 막힘이나 장치로의 부하의 염려 없이, 배기류에 포함되는 향기 화합물을 흡착시킬 수 있다. 또한, 이 막힘 방지에 의해서, 향기 화합물의 흡착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인 분쇄 장치의 배기 시스템의 성능에 따라서는, 배기류의 유로 내에 흡착제 수용부를 설치하여 흡착제를 수용하면, 배기류에 대한 흡착제의 저항에 의해 장치에 허용 범위를 초과하는 부하(본 명세서에서는, 단순히 부하라고도 기재한다)가 걸리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그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흡착제에 의한 저항을 억제하는 수단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흡착제 수용부에 수용된 흡착제가 차지하는 부분(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흡착제 부분, 또는 수용된 흡착제 부분이라 칭한다)의 배기류의 통기 방향(가스 통기 방향이라고도 칭한다)의 길이를 억제하는 것이나, 배기류의 유로로부터 분기되는, 흡착제를 수용한 유로를 설치하여, 배기류의 일부로부터 향기 화합물을 회수하는 것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수용된 흡착제의 가동성을 높임(이른바, 「유동층 칼럼」을 이용하는 등)으로써 흡착제의 저항을 억제해도 된다. 또한, 송풍 장치나 흡인 펌프를 추가로 설치하여, 흡착제의 저항을 넘어 흡착제에 통기를 행해도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의 바람직한 양태에 대해 설명한다.
<동식물 원료 조세분화물을 얻는 공정>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은, 동식물 원료를 세분화하여, 소편을 포함하는 동식물 원료 조세분화물을 얻는 공정을 포함한다.
동식물 원료를 세분화하여 동식물 원료 조세분화물을 얻는 공정을 다른 공정보다 전에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세분화한다」란, 분쇄하거나, 파쇄하거나, 저미거나, 빻거나, 깎는 등 임의의 방식에 의해서, 동식물 원료를 원하는 사이즈를 갖는 것보다 작은 단편(斷片)으로 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 세분화 공정에 있어서, 동식물 원료 또는 협잡물 유래의, 원하는 사이즈를 만족하지 않는 소편이 생기는 것이 일반적이다.
동식물 원료를 세분화하는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공지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롤러 밀, 제트 밀, 해머 밀, 회전 밀, 진동 밀 등의 분쇄 장치, 깎는 기계, 빻는 기계 등, 목적에 맞추어, 동식물 원료를 세분화할 수 있는 임의의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동식물 원료의 세분화 속도로서는, 예를 들면, 1~500kg/h로 할 수 있는데, 동식물 원료의 종류에 따라서 임의로 설정할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동식물 원료의 세분화 사이즈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동식물 원료에 따라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0.08~3mm 정도로 할 수 있다.
세분화 공정에 제공되는 동식물 원료는, 입수 시 그대로의 크기의 것이어도 되고, 미리 원하는 사이즈보다 큰 사이즈로 세분화한 것이어도 된다.
(동식물 원료)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이용되는 동식물 원료로서는, 음식품, 향장품, 보건 위생품, 의약품 등 임의의 물품의 제조에 이용되고, 세분화 가능한 것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다.
동식물 원료는, 그 세분화물을 그대로 섭식할 수 있는 것이어도 되고, 음식품, 향장품, 보건 위생용품, 의약품 등의 임의의 물품의 제조에 사용되는 것이어도 된다. 바람직한 예로서, 볶은 동식물 원료를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견과류(땅콩, 아몬드, 캐슈넛, 호두 등), 다류(호지차, 말차 등), 건어물류(니보시 등의 동물 원료의 건어물이나, 말린 표고버섯 등의 식물 원료의 건어물), 우오부시(魚節)류(각종 가쓰오부시), 자츠부시(雜節)(소다부시, 사바부시(말린 고등어), 마구로부시(말린 다랑어), 우루메부시(말린 눈퉁멸), 이와시부시(말린 정어리), 산마부시(말린 꽁치) 등), 메밀, 향신료류(후추, 타임, 고추, 시나몬, 터메릭 등), 참깨, 대두, 파래, 허브류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동식물 원료 조세분화물)
동식물 원료 조세분화물은, 상기 소편과, 원하는 사이즈로 세분화된 동식물 원료 세분화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편은, 동식물 원료의 세분화 시에 동식물 원료로부터 발생하는 향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가스로부터 제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뒤에 상세히 서술하는 제1 유로를 가스와 함께 통과하고, 소편 제거 장치에서 상기 가스로부터 제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식물 원료의 세분화 시에 발생하는 향기 화합물)
동식물 원료의 세분화 시에 동식물 원료로부터 발생하는 향기 화합물은, 1 또는 복수의 화합물이다.
<소편의 예비 제거 공정>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서는, 동식물 원료 조세분화물에 포함되는 소편을 제거하는 공정을, 소편을 가스로부터 제거하는 공정보다 전에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편은 일부 제거되면 되는데, 실질적으로 전부 제거되어도 된다.
동식물 원료 조세분화물에 포함되는 소편을 제거하는 공정은, 진동 체나 풍력 분급기 등의 분급 장치와 같은 공지의 소편 제거 장치 등을 이용하여 행할 수 있고, 진동 체를 이용한 분급 장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임의의 눈금 간격을 갖는 체를 이용하여, 그 눈금 간격보다 작은 소편을 제거할 수 있다.
<소편의 제거 공정>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은, 동식물 원료의 세분화 시에 동식물 원료로부터 발생하는 향기 화합물, 및 소편을 포함하는 가스로부터, 소편을 제거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소편은 일부 제거되지 않고 잔존해도 되지만, 소편은 실질적으로 전부 제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편을 제거하는 공정으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공지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서는, 소편을 제거하는 공정을 후술하는 소편 제거 장치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편 제거 장치의 상세사항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향기 회수 장치의 설명에 나타낸다.
<흡착 공정>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은, 소편이 제거된 가스를 흡착제에 통기하여, 가스에 포함되는 향기 화합물을 흡착제에 흡착시키는 흡착 공정을 포함한다. 여기서 흡착제는, 향기 화합물 흡착 장치 내에 설치된 흡착제 수용부에 수용되고, 이 흡착제 수용부는, 가스 통기 방향의 양단에 망상 덮개를 갖는다.
흡착제량은, 흡착제 수용부에 수용 가능한 양이면 한정되지 않는다. 사용하는 흡착제의 체적(부피 용적)은, 흡착제 수용부의 체적과 동일하여도 되고, 그것 미만이어도 된다. 환언하면, 흡착제는, 흡착제 수용부에 충전(조(粗)충전 또는 밀(密)충전)되어 있어도 되고, 흡착제를 수용한 흡착제 수용부에 공간이 존재하고 있어도 된다.
가스의 통기 방향은, 향기 회수 장치의 설치면(향기 회수 장치를 지면에 설치하는 경우는 접지면)에 대해서 임의의 각도를 취해도 되며, 예를 들면, 평행이어도 되고 수직이어도 된다. 또한, 향기 회수 장치의 설치면에 접근하는 방향이어도 되고 멀어지는 방향이어도 된다. 환언하면, 흡착제의 가스의 통기 방향이, 중력 방향에 대해서, 대략 반대 방향이어도 되고, 대략 동일 방향이어도 되며, 직각을 이루고 있어도 되고, 그 외의 각도를 이루고 있어도 된다. 또한, 흡착제에 중력 방향과 대략 반대 방향으로 가스를 유입 및 통기시키는 경우, 사용하는 흡착제의 체적(부피 용적)을 흡착제 수용부의 체적보다 작게 하고, 향기 화합물 흡착 장치를 이른바, 유동층 칼럼으로 할 수 있어, 통기하는 가스의 흐름에 대한 흡착제의 저항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서는, 기류 발생 장치를 이용하여 기류를 발생시키고, 소편이 제거된 가스를 흡착제에 통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속 조정 장치를 기류 발생 장치와 병용하여, 가스의 유속 및 압력을 높여도 된다. 이 병용에 의해서, 가스의 흐름에 대한 흡착제의 저항을 넘어 가스의 통기를 행할 수 있다.
기류 발생 장치 및 유속 조정 장치의 상세사항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향기 회수 장치의 설명에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서는, 소편이 제거된 가스의 유로로부터 분기되도록, 흡착제가 배치된 도입로를 설치함으로써, 도입로에 소편이 제거된 가스의 일부만을 유입 및 통과시키고, 그 가스를 흡착제에 통기하여 향기 화합물을 회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입로의 상세사항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향기 회수 장치의 설명에 나타낸다.
(흡착제)
흡착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흡착제로서는, 합성 흡착제, 또는 활성탄 등의 그 외의 흡착제를 이용할 수 있다. 합성 흡착제를 이용하는 것이, 탈착이 용이한 관점으로부터 바람직하다.
흡착제로서는, 스티렌디비닐벤젠 공중합체, 에틸비닐벤젠과 디비닐벤젠의 공중합체, 2,6-디페닐-9-페닐옥사이드의 중합체, 메타크릴산과 디올의 중축합 폴리머 및 수식 실리카겔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식 실리카겔이란, 실리카겔 표면의 실라놀기의 반응성을 이용하고, 이것에 예를 들면, 알코올류, 아민류, 실란류 등을 화학 결합시킨 화학 결합형 실리카겔을 말한다. 그 중에서도, 스티렌디비닐벤젠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흡착제는, 다공성 중합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흡착제의 표면적이, 예를 들면, 약 300m2/g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약 500m2/g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흡착제의 세공 분포가 약 10Å~약 500Å인 것이 바람직하다.
흡착제의 형상은 특별히 제한은 없는데, 입자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흡착제가 입자상인 경우의 평균 입자 직경은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0.1~20mm, 또는 0.1~1mm의 범위 내를 예시할 수 있는데,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의 조건에 해당하는 다공성 중합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HP 수지(미쓰비시 케미칼(주) 제조), 스티렌디비닐벤젠 공중합체인 SP 수지(미쓰비시 케미칼(주) 제조), XAD-4(롬·하스사 제조) 등이 있고, 시장에서 용이하게 입수할 수 있다. 또한, 메타크릴산에스테르계 수지도, 예를 들면, XAD-7 및 XAD-8(롬·하스사 제조) 등의 상품으로서 입수할 수 있다.
SP 수지로서는, 세파비즈 SP-70, SP-207을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소편이 제거된 가스를 흡착제에 통기하여 향기 화합물을 흡착제에 흡착시키는 처리 수단으로서는, 배치 방식 혹은 칼럼 방식 모두 채용할 수 있다. 작업성의 점으로부터 칼럼 방식을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 칼럼 방식으로 흡착시키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상기의 흡착제를 충전한 칼럼에 가스를 도입함으로써, 향기 화합물을 흡착시킬 수 있다. 흡착제로의 가스의 유입 및 통기 방향은, 중력 방향에 대해서 임의의 방향으로 할 수 있고, 중력 방향에 대해서, 대략 동일 방향, 대략 반대 방향 등을 예시할 수 있는데,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는, 흡착제의 입경 및 양을 조정하여 흡착제 수용부에 공간이 생기도록 하고, 추가로, 중력 방향과 대략 반대 방향으로 가스의 유입 및 통기를 행하여, 유동층 칼럼으로 해도 된다.
흡착제는, 분열을 억제하기 위해서, 순수를 흡수시킨 후, 완전히 건조시키기 전에 향기 화합물 흡착 장치에 수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편이 제거된 가스를 흡착제에 통기할 때의 통기량으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예를 들면, 흡착제의 0.1배~1000배의 통기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흡착제에 유입하는 가스의 유속(통기 가스의 속도)은, 흡착제량, 흡착제 부분의 가스의 통기 방향의 길이, 후술하는 기류 발생 장치나 유속 조정 장치의 성능에 따라서 적절히 설정하면 되고, 특별히 제한은 없다. 예를 들면, 흡착제에 유입하는 가스의 유속(통기 속도)은, 0.1~10.0L/min인 것이 바람직하고, 0.5~7.0L/min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0~5.0L/min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세분화 및 흡착제로의 가스 통기 시간은, 소편이 제거된 가스를 흡착제에 통기할 때의 통기량이나, 흡착제에 유입하는 가스의 유속으로부터, 바람직한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서는, 흡착제에 유입하는 가스의 유속(선속도)은, 흡착제량, 흡착제 부분의 가스의 통기 방향의 길이, 후술하는 제2 유로의 내경, 기류 발생 장치나 유속 조정 장치의 성능에 의해서 적절히 설정하면 되고, 특별히 제한은 없다. 예를 들면, 1.0~35.0m/s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2.0~20.0m/s의 범위 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3.0~10.0m/s의 범위 내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가스의 선속도를 조정하는 공정>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은, 흡착제에 유입하는 가스의 선속도를 조정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이, 향기 화합물 흡착 장치에 다량의 흡착제를 수용(예를 들면, 충전)했을 경우에도, 흡착제의 저항을 넘어 흡착을 할 수 있는 관점, 및 후술하는 기류 발생 장치로의 부담을 억제할 수 있는 관점으로부터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서는, 흡착제에 유입하는 가스의 선속도의 조정을, 임의의 공지의 기류 발생 장치, 예를 들면, 흡인 펌프 또는 송풍 장치를 이용하여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흡착제에 유입하는 가스의 선속도는, 제2 유로에 흐르는 가스의 선속도에 대해서 임의의 비율이면 되고, 상한을 100%로 하여, 90% 이상, 80% 이상, 70% 이상, 60% 이상, 50% 이상, 40% 이상, 30% 이상, 20% 이상, 10% 이상, 5% 이상, 또는 1% 이상이면 된다. 구체적으로는, 0.05~35m/s, 0.08~20m/s, 1.0~10m/s, 1.0~5m/s, 1.0~2m/s의 범위를 예시할 수 있는데,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후술하는 기류 발생 장치의 성능에 맞추어, 제2 유로에 흐르는 가스의 선속도에 대한 흡착제에 유입하는 가스의 선속도의 비율을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조정에 의해서, 기류 발생 장치로의 부담을 억제할 수 있다.
<회수 공정>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은, 흡착제로부터 향기 화합물을 회수하여, 향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향료 조성물을 조제하는 회수 공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서는, 회수 공정에서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흡착제로부터 향기 화합물을 탈착하여 회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흡착제로부터 향기 화합물을 탈착하기 전에, 흡착제를 수세해도 된다.
유기용매로서는, 알코올류, 유지류를 들 수 있다.
회수 공정에 이용하는 알코올류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글리콜인 것이 바람직하고, 프로필렌글리콜인 것이 안전성의 관점(인화하기 어려움)으로부터 보다 바람직하다. 어떠한 이론에 구애되는 것도 아니지만, 프로필렌글리콜이나 에탄올 등의 알코올류는 회수한 향기 화합물의 일부를 아세탈화(PG아세탈화, 디에틸아세탈화 등)할 수 있고, 그 결과로서, 향기 화합물의 향기의 발현성을 강하게 하는 것도 기대할 수 있다. 다른 알코올류를 사용한 2종 이상의 향료 조성물의 혼합물을,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로서 사용해도 된다. 예를 들면, 프로필렌글리콜을 이용하여 얻은 향료 조성물과 에탄올을 이용하여 얻은 향료 조성물을 임의의 비율(프로필렌글리콜을 이용하여 얻은 향료 조성물 1질량부에 대해, 에탄올을 이용하여 얻은 향료 조성물이 0.1~10, 0.2~5, 0.5~3, 0.8~2의 범위 내, 또는 질량비로서, 프로필렌글리콜을 이용하여 얻은 향료 조성물과 에탄올을 이용하여 얻은 향료 조성물의 비가 약 1:1, 2:1, 3:2, 2:3 등)로 혼합하여 이용해도 된다.
50~100질량%의 알코올 수용액을 이용하면 되고, 에탄올이면, 에탄올 농도 50~95질량%의 함수 에탄올을 이용하는 것이, PG이면 100% PG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칼럼을 이용하는 경우, 알코올류를 통액하는 유속으로서는, SV=0.1~20의 유속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알코올류의 양으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흡착제의 1배~100배의 통액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3배~40배의 통액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5배~20배의 통액량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흡착제에 흡착되어 있는 향기 화합물을 알코올류로 용출시킴으로써 수용성의 향료 조성물(향기 농축물)로 할 수 있다.
탈착에 이용하는 유지류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데, 예를 들면, 대두유, 미유(米油), 참기름, 땅콩유, 옥수수유, 유채유, 야자유, 팜유 등의 식물 유지류 및 그들의 경화유; 우지, 돈지, 어유 등의 동물 유지류 및 그들의 경화유; 중쇄지방산 트리글리세라이드(이하, MCT로 칭하는 경우가 있다) 등을 들 수 있고, 얻어진 향료 조성물의 안정성의 점에서 MCT를 바람직하게 예시할 수 있다. 이러한 MCT로서는, 예를 들면, 카프로산트리글리세라이드, 카프릴산트리글리세라이드, 카프르산트리글리세라이드, 라우르산트리글리세라이드 및 이들의 임의의 혼합물과 같은 탄소 원자수 6~12의 중쇄지방산의 트리글리세라이드를 들 수 있다. 특히, 카프릴산트리글리세라이드 및 카프르산트리글리세라이드 및 이들의 임의의 혼합물을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이들 MCT 혼합물은 시장에서 저렴하게, 또한 용이하게 입수할 수 있다. 다른 유지류를 사용한 2종 이상의 향료 조성물의 혼합물을,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로서 사용해도 된다.
유지류의 사용량은, 원료의 종류, 가스 중의 향기 성분 농도 등에 따라 다르다. 탈착은, 정치(靜置) 하에 행할 수 있고, 탈착 온도, 탈착 시간은 적절히 선택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10~80℃의 온도 범위에서 5분간~2시간의 범위 내를 예시할 수 있다. 탈착 후, 얻어진 탈착액을 정치하고,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분리 방법, 예를 들면, 디캔테이션, 원심 분리에 의해 유층부와, 수층부를 분리할 수 있다. 수층부에 추가로 유지류를 첨가하여 추출함으로써, 효율적으로 향기 성분을 회수할 수 있다. 얻어진 유층부는, 예를 들면, 무수황산나트륨 등의 탈수제로 탈수하고, 예를 들면, 여과지에 의한 여과 등의 청징 여과 수단에 의해 유용성의 향료 조성물로 할 수 있다.
<흡착제의 재이용 및 세정>
흡착제에 대해 유기용매에 의한 탈착 전 및 탈착 후의 통액의 압력을 비교하여, 압력이 동등(예를 들면, 2배 이하)하면, 막힘은 발생하고 있지 않거나 무시할 수 있는 레벨이며, 세정을 하지 않고 재이용 가능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향기 회수 장치를 관리하는 방법이, 흡착제에 대해 유기용매에 의한 탈착 전 및 탈착 후의 통액의 압력을 비교하여, 압력이 동등한 것을 확인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탈착 전 및 탈착 후에, 각각 초순수로의 치환을 행하고 나서 초순수를 SV=10 정도로 흐르게 했을 때의 압력을 측정한 후, 탈착 전의 압력에 대한 탈착 후의 압력을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은, 흡착제의 세정 공정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즉, 향기 회수 장치를 관리하는 방법이, 흡착제의 세정 공정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서는, 소편은 흡착제에 거의 흡착되지 않지만, 가스에 포함되는 그 외의 성분(특히, 중합 가능한 성분)이 흡착제에 흡착되는 경우가 있다. 흡착제의 세정 방법은 당업자에게는 공지이며, 순차적으로 극성을 바꾼 수종류의 용제를 통액시키면 되고, 용제의 종류에 특별히 제한은 없는데, 예를 들면, 흡착제에 PG 등의 알코올류를 통액하여 탈착한 후에, 아세트산에틸, 헥산의 순으로 통액하여 세정하고, 재생 시에는, 아세트산에틸 및 물의 순으로 통액시키면 된다.
흡착제는, 필요에 따라서 향기 화합물을 회수 후에 세정을 행하면서, 흡착 및 회수를 5회 이상 반복할 때까지 재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0회 반복할 때까지 재이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향료 조성물]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향료 조성물은, 동식물 원료의 세분화 시에 발생하는 향기 화합물을 포함하고, 동식물 원료의 세분화 시에 발생하는 향기를 느끼게 하는 것이다.
동식물 원료의 세분화 시에 발생하는 향기로서는, 구체적으로는, 동식물 원료를 세분화, 예를 들면, 분쇄하고 있을 때의 향기, 파쇄하고 있을 때의 향기, 저미고 있을 때의 향기, 빻고 있을 때의 향기, 깎고 있을 때의 향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향료 조성물의 용도]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향료 조성물을, 음식품, 향장품, 보건 위생품, 의약품 등의 각 종류의 기재에 첨가하여, 부향품(賦香品)을 얻을 수 있다.
음식품은,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향료 조성물을, 음식품의 전체 질량에 대해서 0.01~10질량% 첨가한 것인 것이 바람직하고, 0.05~7질량% 첨가한 것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음식품은, 용기에 든 음식품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향료 조성물은, 선두(저분자량 등에 의해 휘발성이 높은 성분)의 향기가 강하다. 게다가, 중간(middle) 이후(휘발성이 비교적 낮은 성분)의 향기도 부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용기에 든 음식품은, 용기를 열 때에 동식물 원료의 세분화 시에 발생하는 향기를 강하게 느끼게 할 수 있음과 더불어, 음식품의 풍미를 전체적으로 강화할 수 있다.
용기에 든 식품 또는 음료로서는, 아이스크림, 소프트 아이스크림 또는 셔벗 등의 빙과; 비스킷, 쿠키, 전병, 만주, 초콜릿, 크림 내포 과자, 젤리, 껌, 캔디, 캐러멜 등의 과자류; 빵, 가쓰오부시 등의 육수, 드레싱, 스프레드, 잼 등의 조미료, 향미유, 냉동 식품, 건강 식품(예를 들면, 기능성 표시 식품, 영양 보조 식품, 특정 보건용 식품 등)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용기에 든 음료란, 음용하는데 적당한 농도로 하여, 용기에 충전하여 얻어지는 음료(용기에 충전하기 전 또는 후에 살균을 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를 의미한다.
용기에 든 음료는, 패트병, 캔 또는 종이 용기에 충전된, 용기에 든 음료인 것이 바람직하다. 용기에 든 음료에는, 보리차 음료, 곡물차 음료, 현미차 음료, 다류와 볶은 곡물류를 혼합한 이른바, 혼합 다류 음료(블렌드 차 음료) 등의 다계 음료, 녹차 음료, 우롱차 음료, 홍차 음료 등의 다계 음료; 커피 음료; 맥주, 발포주, 이른바, 제3의 맥주, 논알콜 맥주 풍미 음료 등의 맥주 풍미 음료 등이 포함된다.
음식품은, 가열살균된 것이면 된다. 용기에 든 음료 등의 제조에서는, 레토르트 살균(121℃, 10분 정도의 가열살균)이나 UHT 살균(135℃, 1분 정도의 가열살균)을 하게 된다. 그러나, 통상의 선두의 향기는 가열로 사라지기 쉽다.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향료 조성물은, 선두의 향기가 강하기 때문에, 가열되어도 선두의 향기가 사라지기 어렵고, 가열살균된 음식품에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또한 따라서, 섭식 전에 가열을 필요로 하는 음식품에 있어서도,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동식물 원료로부터의 향기 회수 장치]
본 발명의 동식물 원료로부터의 향기 회수 장치(본 발명의 향기 회수 장치라고도 한다)는, 동식물 원료의 세분화 장치와,
세분화 장치와 연통하고, 동식물 원료의 세분화 시에 동식물 원료로부터 발생하는 향기 화합물 및 소편을 포함하는 가스가 통과 가능한 제1 유로와,
제1 유로와 연통하고, 소편을 제거하는 소편 제거 장치와,
소편 제거 장치와 연통하고, 소편이 제거된 가스가 통과 가능한 제2 유로와,
제2 유로와 연통한 향기 화합물 흡착 장치와,
세분화 장치로부터 향기 화합물 흡착 장치까지 연속된 기류를 발생시키는 기류 발생 장치를 구비하고,
향기 화합물 흡착 장치는, 흡착제가 수용된 흡착제 수용부를 갖고, 흡착제 수용부는, 상기 가스의 통기 방향의 양단에 망상 덮개를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의 향기 회수 장치의 바람직한 양태에 대해 설명한다.
<향기 회수 장치의 전체의 구성>
향기 회수 장치의 전체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향기 회수 장치의 일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향기 회수 장치의 다른 일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의 향기 회수 장치의 일례는, 세분화 장치(11), 제1 유로(1), 기류 발생 장치(13), 소편 제거 장치(14), 제2 유로(2), 및 향기 화합물 흡착 장치(K)를 구비한다. 향기 화합물 흡착 장치(K)는, 망상 덮개(Ka1 및 Ka2)를 갖는 흡착제 수용부(Kb)를 갖는다(도 3). 또한, 도 1의 향기 회수 장치의 일례는, 도입로(3) 및 선속도 조정 장치(4)를 구비하는데, 이들은 필수의 구성은 아니다.
또한, 도 1의 향기 회수 장치 중, 세분화 장치(11), 제1 유로(1), 기류 발생 장치(13), 소편 제거 장치(14), 제2 유로(2)를 갖는 세분화 장치는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예를 들면, 미국 특허 1649781(1927년) 등을 참조), 본 발명은, 이러한 구성의 일반적인 세분화 장치에 향기 화합물 흡착 장치(K)를 설치하고, 동식물 원료의 세분화 시에 동식물 원료로부터 발생하는 향기 화합물을 회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의 향기 회수 장치에서는, 세분화 장치(11)에 의해서 동식물 원료가 세분화되어 동식물 원료 조세분화물이 제조되고 있는 와중에, 기류 발생 장치(13)로 발생시킨 기류에 의해서, 세분화 장치(11)로부터, 동식물 원료로부터 발생한 향기 화합물(21) 및 동식물 원료 조세분화물에 포함되는 소편(22)을 포함하는 가스가, 제1 유로(1)로 이동한다. 향기 화합물(21) 및 소편(22)을 포함하는 가스는, 기류를 타고 제1 유로(1)로부터 소편 제거 장치(14)로 이동된다. 소편 제거 장치(14)에 있어서, 소편이 제거된 가스(향기 화합물(21)을 포함한다)는 제2 유로(2)로, 소편(22)은 소편 제거 장치(14)에서 제거되어 장치 밖으로, 각각 이동된다. 기류 발생 장치(13)로 발생시킨 기류(및, 필요에 따라서 선속도 조정 장치(4)로 발생시킨 기류)에 의해서, 제2 유로(2)로부터, 소편이 제거된 가스(향기 화합물(21)을 포함한다)의 일부가 도입로(3)로 유입하고, 도입로(3)에 배치된 향기 화합물 흡착 장치(K)에 수용된 흡착제에 유입하여, 가스의 흡착제로의 통기가 행해지고, 당해 흡착제에 향기 화합물(21)이 흡착된다. 향기 화합물(21)이 흡착되고, 흡착제를 통과한 가스는, 도입로의 출구(3B)로부터 다시 제2 유로(2)로 이동되며, 도입로(3)에 유입하지 않고 제2 유로(2)를 통과한 소편이 제거된 가스와 합류하여, 배출 가스(24)로서 장치 밖으로 방출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과 같이 도입로(3)는 필수의 구성은 아니기 때문에, 도입로(3)를 설치하지 않고, 제2 유로를 흐르는 가스(향기 화합물(21)을 포함하고, 소편이 제거되어 있다)의 일부가 아닌 전부를 향기 화합물 흡착 장치(K)로의 유입 및 통기에 사용해도 된다. 그 경우, 향기 화합물 흡착 장치(K)는 제2 유로 내에 배치되어도 된다.
도 2의 향기 회수 장치의 다른 일례는, 세분화 장치(11), 소편 예비 제거 장치(12), 제1 유로(1), 기류 발생 장치(13), 소편 제거 장치(14), 제2 유로(2), 및 향기 화합물 흡착 장치(K)를 구비한다. 또한, 도 2의 향기 회수 장치의 일례는, 도입로(3) 및 선속도 조정 장치(4)를 구비하는데, 이들은 필수의 구성은 아니다.
도 2의 향기 회수 장치에서는, 세분화 장치(11)에 의해서 동식물 원료가 세분화되어 제조된 동식물 원료 조세분화물이, 도시하지 않는 반송 기구에 의해서 소편 예비 제거 장치(12)로 이동한다. 소편 예비 제거 장치(12)에서는, 동식물 원료 조세분화물로부터 소편(22)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고, 도시하지 않는 폐기부에 제거된 소편(22)을 수용하여 장치 밖으로 배출한다. 한편, 기류 발생 장치(13)로 발생시킨 기류에 의해서, 향기 화합물(21) 및 소편 예비 제거 장치(12)에서 제거되지 않았던 소편(22)을 포함하는 가스는 제1 유로(1)로 이동된다. 제1 유로(1) 이후의 향기 화합물(21) 및 소편(22)의 흐름은, 도 1과 동일하다.
이하, 향기 회수 장치가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한 각 장치에 대해서, 각각의 바람직한 양태를 설명한다.
<세분화 장치>
본 발명의 향기 회수 장치는, 동식물 원료의 세분화 장치를 구비한다.
세분화 장치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다. 예를 들면, 롤러 밀, 빻는 기계, 깎는 기계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세분화 장치(11) 내에서 세분화에 의해서 발생하는 가스는, 기류 발생 장치에 의해 발생하는 기류에 의해서 흡착제까지 옮겨지기 때문에 발산하기 어렵고, 반드시 세분화 장치는 밀폐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그러나, 향기 화합물을 보다 효율적으로 회수하는 관점으로부터는, 세분화 장치(11)는 제1 유로(1)에 연통하고, 그 외의 부분은 밀폐된 상태로 세분화를 행해도 된다.
<소편 예비 제거 장치>
본 발명의 향기 회수 장치는, 세분화 장치와 제1 유로의 사이에, 소편 예비 제거 장치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편 예비 제거 장치는, 세분화 장치와 연통하고, 동식물 원료의 세분화에 의해서 얻어지는 동식물 원료 조세분화물로부터 소편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소편이 제거된 동식물 원료 정제 세분화물(즉, 원하는 사이즈로 세분화된 동식물 원료의 세분화물)은, 음식품 또는 그 제조에 이용할 수 있다.
소편의 일부 또는 대부분이 제거되고, 장치 밖으로 배출되어도 된다. 소편 예비 제거 장치로부터 제1 유로로 이동하는 소편의 양이 적을수록, 하류의 소편 제거 장치의 부하를 줄일 수 있다.
소편 예비 제거 장치로서는, 공지의 장치를 이용할 수 있고, 진동 체나 풍력 분급기 등의 분급 장치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유로>
본 발명의 향기 회수 장치는, 세분화 장치와 연통하고, 동식물 원료의 세분화 시에 동식물 원료로부터 발생하는 향기 화합물 및 소편을 포함하는 가스가 통과 가능한 제1 유로를 구비한다.
제1 유로는, 세분화 장치와 직접 연통하고 있어도 되고, 소편 예비 제거 장치를 개재하여 세분화 장치와 연통하고 있어도 된다.
제1 유로의 직경(내경)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데, 30mm 이상인 것이 보다 많은 가스를 통과시키는 관점으로부터 바람직하고, 50mm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00mm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200mm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300mm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소편 예비 제거 장치(12)는, 제1 유로(1)에 연결시키기 위한 흡양구(吸揚口)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소편 제거 장치>
본 발명의 향기 회수 장치는, 제1 유로와 연통하고, 소편을 제거하는 소편 제거 장치를 구비한다.
소편 제거 장치로서는, 공지의 장치를 이용할 수 있고, 사이클론식의 분리 장치(분체 분리 장치)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유로>
본 발명의 향기 회수 장치는, 소편 제거 장치와 연통하고, 소편이 제거된 가스가 통과 가능한 제2 유로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향기 회수 장치는, 제2 유로의 직경(내경)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데, 30mm 이상인 것이 보다 많은 가스를 통과시키는 관점으로부터 바람직하고, 50mm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00mm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200mm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300mm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제2 유로는, 후술하는 향기 화합물 흡착 장치에 유입하는 가스의 방향이 원하는 것이 되도록, 임의로 배치할 수 있다.
<향기 화합물 흡착 장치>
본 발명의 향기 회수 장치는, 제2 유로와 연통한 향기 화합물 흡착 장치를 구비한다.
향기 화합물 흡착 장치는, 그 내부에 흡착제가 수용된 흡착제 수용부를 갖고, 흡착제 수용부는, 가스의 통기 방향의 양단에 망상 덮개를 갖는다. 이 망상 덮개에 의해서, 흡착제 수용부에 수용된 흡착제가 향기 화합물 흡착 장치 밖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가스를 흡착제에 통기할 수 있다.
망상 덮개는 임의의 두께를 갖는 시트상이며, 그 크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향기 화합물 흡착 장치로부터의 흡착제의 누출을 막을 수 있는 범위에서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가스가 통과하기 쉬운 관점으로부터, 흡착제 수용부의 가스의 통기 방향의 단면적 이상의 면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망상 덮개는, 그 전체가 망상이어도 되고, 일부가 망상이어도 된다. 가스가 통과하기 쉬운 관점으로부터, 향기 화합물 흡착 장치 또는 흡착제 수용부의 단면에 상당하는 부분이 망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망상 덮개의 눈금 간격은, 사용하는 흡착제가 통과하지 않는 범위에서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10μm~20mm의 범위 내를 예시할 수 있는데,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향기 화합물 흡착 장치는, 흡착제 수용부에 수용된 흡착제가 차지하는 부분, 즉, 흡착제 부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흡착제 부분의 길이(가스의 통기 방향)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데, 흡착제의 저항을 낮게 하는 관점으로부터, 1000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700m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500mm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400mm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300mm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200mm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흡착제 부분의 길이는, 10mm~800mm, 20mm~400mm, 40mm~200mm, 또는 50mm~100mm의 범위 내이면 된다.
흡착제 부분의, 가스의 통기 방향과는 수직인 면의 장축 또는 직경(이하, 대체로 단면 직경이라 칭한다)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데, 흡착제의 양 및 흡착제 부분의 길이에 맞추어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착제 부분의 단면 직경은, 가스가 통기하기 쉬운 관점으로부터, 10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30mm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50mm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100mm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200mm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300mm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흡착제량을 늘리고 싶은 경우, 흡착제 부분의 단면 직경을 크게 하여 흡착제 부분의 길이(가스의 통기 방향)를 억제하는 것이, 통기하는 가스의 흐름에 대한 흡착제에 의한 저항을 억제하는 관점으로부터 바람직하다.
흡착제량은, 흡착제 수용부 내에 수용 가능한 양이면 한정되지 않는다. 사용하는 흡착제의 부피 용적은, 흡착제 수용부의 체적과 동일해도 되고, 그것 미만이어도 된다. 환언하면, 흡착제는, 흡착제 수용부 내에 충전(조충전 또는 밀충전)되어 있어도 되고, 흡착제를 수용한 흡착제 수용부에 공간이 존재해도 된다.
향기 화합물 흡착 장치의 배치에 대해서는, 도 1, 2에서는, 향기 화합물 흡착 장치가 향기 회수 장치의 설치면과 평행(접지면과 평행, 즉, 수평)이 되도록 설치되어 있는데, 당해 설치면과 수직이어도 되고, 그 외의 각도를 이루어 설치된 것이어도 된다. 또한, 가스의 유입 및 통기 방향이 향기 회수 장치의 설치면에 접근하는 방향이 되도록 설계해도 되고, 설치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이 되도록 설계해도 된다. 환언하면, 향기 화합물 흡착 장치 및 흡착제로의 가스의 유입 및 통기 방향이, 중력 방향에 대해서 대략 반대 방향이어도 되고, 대략 동일 방향이어도 되며, 직각을 이루고 있어도 되고, 그 외의 각도를 이루고 있어도 된다.
또한, 향기 화합물 흡착 장치를 유동층 칼럼으로 하는 경우, 사용하는 흡착제의 부피 용적을 흡착제 수용부의 체적 미만으로 하고, 또한 흡착제에 중력 방향과 대략 반대 방향으로 가스를 유입 및 통기시키면 된다. 유동층 칼럼을 사용하면, 통기시키는 가스의 흐름에 대한 흡착제의 저항을 억제할 수 있다.
향기 화합물 흡착 장치는, 흡착제 수용부로서 바스켓을 구비한 것이어도 된다. 바스켓으로서는, 측면부에 공공(空孔)을 갖는 노멀 타입의 바스켓과, 측면부에 공공을 갖지 않는 사이드 월 타입의 바스켓이 알려져 있다. 측면부에 공공을 갖지 않는 사이드 월 타입의 바스켓을 이용하는 것이, 소편이 제거된 가스가 측면으로부터 빠져나가지 않고, 통기하는 가스의 흡착제 통과 거리를 길게 할 수 있는 관점으로부터 바람직하다.
<기류 발생 장치>
본 발명의 향기 회수 장치는, 세분화 장치로부터 향기 화합물 흡착 장치까지 연속된 기류를 발생시키는 기류 발생 장치를 구비한다. 이 기류 발생 장치(13)에 의해서, 세분화 장치(11), (소편 예비 제거 장치(12),) 제1 유로(1), 소편 제거 장치(14), 제2 유로(2), 및 향기 화합물 흡착 장치(K)에 연속된 기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기류 발생 장치는, 송풍 장치여도 되고, 흡인 장치여도 된다. 흡인 장치의 예로서는, 흡양 블로어를 들 수 있다.
<도입로>
향기 회수 장치는, 소편이 제거된 가스의 유로(제2 유로)에, 그 유로로부터 분기되고, 또한 향기 화합물 흡착 장치와 연통하는 도입로(3)를 구비하는 것이, 도입로 및 흡착제에 소편이 제거된 가스의 일부만을 통기하여 향기 화합물을 회수하고, 흡착제에 의한 저항을 억제하는 관점으로부터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향기 화합물 흡착 장치는, 도입로를 개재하여 제2 유로와 연통하고 있어도 된다.
도입로의 직경(내경)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데, 내경이 5mm 이상인 것이 보다 많은 가스를 통과시키는 관점으로부터 바람직하고, 15mm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30mm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0mm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70mm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100mm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150mm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200mm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300mm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도입로(3)는, 제2 유로와 일체적으로 성형된 것이어도, 제2 유로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는 것이어도 되고, 도입로(3)의 적어도 일부가 제2 유로(2)에 점착 테이프나 나사 등의 임의의 고정 수단으로 고정되어도 된다.
도입로(3)의 입구(3A)는, 제2 유로(2)의 어떠한 위치로부터 분기되고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도 1에서는 제2 유로(2)의 수평(종이면의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데, 기류 발생 장치(13)로부터 연직 상방향(종이면의 상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2 유로(2)에 설치해도 된다.
도입로(3)의 출구(3B)는, 향기 화합물을 흡착한 후의 가스를 제2 유로(2)로 되돌릴 수 있도록, 제2 유로(2)에 접속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입로(3)의 입구(3A) 및 출구(3B)는, 어떠한 각도로 제2 유로(2)와 접속하고 있어도 되고, 도입로(3)는 직선형이어도 되고, 곡선형이어도 되며, 1 이상의 개소에서 절곡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도입로(3)의 재질은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금속제 또는 수지제이어도 된다.
<선속도 조정 장치>
본 발명의 향기 회수 장치는, 소편이 제거된 가스의 선속도를 조정하는 선속도 조정 장치(4)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속도 조정 장치는, 송풍 장치여도 되고, 흡인 장치여도 된다. 각각, 블로어, 흡인 펌프를 예로서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향기 회수 장치에 있어서의 선속도 조정 장치의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향기 화합물 흡착 장치에 대해, 통기시키는 가스의 흐름의 상류여도 되고 하류여도 되며, 사용하는 장치에 따라서 임의로 결정해도 된다. 예를 들면, 송풍 장치이면 상류, 흡인 장치이면 하류로 하면 된다.
선속도 조정 장치(4)로서 이용되는 흡인 장치로서는, 기류 발생 장치(13)보다 펌프 성능이 높은 흡인 장치를 이용하는 것이 효율적으로 향기 화합물을 회수하는 관점으로부터 바람직하다.
선속도 조정 장치(4)는, 도입로(3)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속도 조정 장치(4)는, 도입로의 입구(3A)에 배치해도 되고, 도입로의 출구(3B)에 배치해도 된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와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에 나타내는 재료, 사용량, 비율, 처리 내용, 처리 순서 등은,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이하에 나타내는 구체예에 의해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세분화 장치의 배기류를 이용하는 본 발명에 있어서는, 흡착제를 이용함으로써 향기 화합물 흡착 장치의 입구에 압력이 가해지고, 그로 인해 본 발명의 향기 회수 장치에 채용하는 기류 발생 장치에 부하가 걸리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실시예 1로서, 본 발명의 향기 회수 장치(A)가 구비하는 향기 화합물 흡착 장치(K)의 흡착제 부분의 적절한 단면 직경 및 길이를 변경하여 각 향기 화합물 흡착 장치(K)에 공기를 통기하여, 적절한 범위의 유무를 확인하였다. 각 향기 화합물 흡착 장치는, 망상 덮개(Ka1 및 Ka2), 및 흡착제 수용부(Kb)를 갖는다(도 3).
향기 화합물 흡착 장치(K)의 내부에 수용하는 흡착제로서, SP-207(스티렌디비닐벤젠 공중합체계 합성 흡착제, 미쓰비시 케미칼(주) 제조)을 이용하였다. 흡착제를 수용(조충전)하는 흡착제 수용부로서, 측면부에 공공을 갖지 않는, 원통형의 사이드 월 타입의 바스켓을 이용하였다.
다음으로, 향기 화합물 흡착 장치(K)에 수용한 흡착제가 차지하는 흡착제 부분의 단면 직경 및 길이를 하기 표 1과 같이 한 향기 화합물 흡착 장치를 준비하고, 각각에 대해서, 향기 화합물 흡착 장치(K)의 단부에 설치한 흡인 펌프를 동작시키고, 향기 화합물 흡착 장치(K)에 수용한 흡착제에 통기를 행하였다. 그리고, 각 향기 화합물 흡착 장치의 입구의 압력 및 출구의 풍량을 측정하였다. 본 실시예에서는, 흡착제 부분의 단면 직경은, 상술한 바스켓의, 공기의 통기 방향의 단면 직경(내경)과 동일하다. 또한, 향기 화합물 흡착 장치(K)는, 지면에 대해서 대략 수직으로 배치하고, 흡착제의 공기의 통기 방향은 중력 방향과 대략 동일하게 하였다.
이어서, 일반적인 블로어(기류 발생 장치)의 성능 곡선(풍량-정압 특성 곡선이라고도 한다)(도 4)의 범위로부터 일탈하고 있는지 여부를 계산하였다. 이 곡선은, 블로어의 모터 출력을 1.5~10kW로 했을 때의, 블로어에 의해서 발생하는 기류의 압력과 풍량의 관계를 플롯한 곡선이다. 도 4에 나타내는 성능 곡선 범위로부터 일탈하고 있지 않는 경우는, 이 블로어에 있어서는, 상기 모터 출력의 범위에 있어서, 블로어의 성능이 흡착제의 저항을 웃돌고 있으며, 블로어에 의해서 발생하는 기류가 흡착제를 통과할 수 있는 것을 시사한다. 한편, 당해 곡선의 굵은 선보다 좌측으로 일탈하고 있었을 경우는, 높은 압력에 의해서도 출구 풍량을 만족하게 얻을 수 없는, 즉, 흡착제의 저항이 블로어의 성능을 웃돌고 있어, 블로어에 부하가 걸리는 것을 시사한다.
얻어진 결과를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Figure pct00001
상기 표 1에서, 가스류에 대한 흡착제에 의한 저항때문에, 흡착제 부분의 길이(가스의 통기 방향)가 일정 이하인 것이 바람직한 것이 확인되었다.
향기 화합물의 회수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향기 회수 장치에 채용하는 기류 발생 장치의 성능에 따라서, 흡착제 부분의 길이(가스의 통기 방향)를 최적화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흡착제량을 늘리고 싶은 경우, 흡착제 부분의 길이를 증가시키는 것이 아니라, 흡착제 부분의 단면 직경을 크게 하여 흡착제 부분의 길이(가스의 통기 방향)를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도 확인되었다.
또한, 이 시험 결과로부터 명백하지만, 어떤 길이를 갖는 흡착제 부분을 채용했을 경우에 사용 예정의 기류 발생 장치의 성능 곡선 내로부터 좌측으로 일탈하였다면, 향기 화합물 흡착 장치(K)의 근방에, 블로어(송풍 장치)나 흡인 펌프 등의 선속도 조정 장치(4)를 추가로 배치하여 기류를 발생시키고, 기류 발생 장치(13)에 의해서 발생시킨 기류의 압력을 보조적으로 높임으로써, 흡착제에 충분히 가스를 통기할 수 있다.
게다가, 흡착제에 의한 저항을 억제하는 수단, 예를 들면, 향기 화합물 흡착 장치를 유동층 칼럼 등의 흡착제가 가동인 흡착 장치로 하는 것, 기류 발생 장치(13)에 의해서 발생시킨 기류의 일부를 분기시키고, 분기한 기류를 흡착제에 통기시키는 것 등에 의해서도, 선속도 조정 장치(4)가 없더라도 통상의 블로어에 의해서만 흡착제에 충분히 통기 가능하게 되는 것도 명백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용하는 일반적인 세분화 장치의 기류 발생 장치에 맞추어, 흡착제 부분의 가스의 통기 방향의 길이, 기류 분기의 유무, 흡착제의 가동성 등을 적절히 조정함으로써, 보다 일반적인 세분화 장치로의 부담을 억제할 수 있다.
[실시예 2]
볶은 참깨 세분화 시의 향기 화합물의 회수, 향료 조성물의 관능 평가, 및 향기 회수 장치의 부담의 검토를 행하였다.
(1) 향기 회수
우선, 본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향기 회수 장치(A)의 개요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향기 회수 장치(A)는, 도 1에 나타낸 구성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향기 회수 장치(A)는, 세분화 장치(11), 제1 유로(1), 기류 발생 장치(13), 소편 제거 장치(14), 제2 유로(2), 향기 화합물 흡착 장치(K)를 구비한다. 또한, 도 1에서는, 향기 화합물 흡착 장치(K)가 향기 회수 장치(A)의 설치면과 평행(접지면과 평행, 즉, 수평)이 되도록 기재되어 있는데, 향기 화합물 흡착 장치(K)는 당해 설치면에 대해서 대략 수직으로 배치하고, 흡착제 부분의 가스의 통기 방향은 중력 방향과 대략 동일하게 하였다.
향기 회수 장치(A)는, 세분화 장치(11)로서 롤러 밀을 구비한다. 세분화 장치(11)는 소편 예비 제거 장치(12)에 연통하고, 그 외의 부분은 밀폐된 상태로 세분화를 행할 수 있다.
제1 유로(1)는, 세분화 장치(11)에 연통한다. 기류 발생 장치(13)는, 제1 유로(1) 및 제2 유로(2)에 연통한다.
향기 회수 장치(A)는, 기류 발생 장치(13)로서 흡양 블로어를 구비한다. 이 흡양 블로어에 의해서, 세분화 장치(11), 제1 유로(1), 소편 제거 장치(14), 제2 유로(2), 및 향기 화합물 흡착 장치(K)에 연속된 기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선속도 조정 장치(4)로서 흡인 펌프를 향기 화합물 흡착 장치(K)의 당해 기류의 하류에 구비하고, 기류 발생 장치(13)와 함께 기류를 발생시킨다.
향기 회수 장치(A)는, 소편 제거 장치(14)로서 사이클론식의 분리 장치를 구비한다.
제1 유로(1) 및 제2 유로(2)의 내경은 200mm로 하였다.
향기 회수 장치(A)는, 내경 200mm의 제2 유로(2)로부터 분기되는 도입로(3)에, 향기 화합물 흡착 장치(K)를 구비한다. 도입로(3)에는, 도입로의 입구(3A) 이전에 있어서 제2 유로에 흐르고 있던 가스의 반량이 유입하도록 설계하였다. 향기 화합물 흡착 장치(K)에는, 도입로(3)에 유입한 가스의 전량이 유입한다.
또한, 비교예 1로서, 향기 화합물 흡착 장치(K)를 대신하여, 세분화 장치(11)의 상부로부터 분기되는 향기 화합물 흡착 장치(k1)를 구비하는 것 이외는 향기 회수 장치(A)와 동일한 향기 회수 장치(a1)를 준비하였다. 향기 화합물 흡착 장치(k1)는, 세분화 장치(11)의 상부로부터 분기되여 흡착제에 기류를 도입하는 도입로와, 흡착제로부터 나온 기류를 배출하는 배출로를 갖는 것으로 하였다. 세분화 장치(11)의 상부로부터 분기되는 도입로에 흐르는 가스량은, 향기 회수 장치(A)의 도입로(3)에 흐르는 가스와 같은 양이 되도록 설계하였다.
또한, 비교예 2로서, 향기 화합물 흡착 장치(K)를 대신하여, 제1 유로(1)의 도중으로부터 분기되는 향기 화합물 흡착 장치(k2)를 구비하는 것 이외는 향기 회수 장치(A)와 동일한 향기 회수 장치(a2)를 준비하였다. 향기 화합물 흡착 장치(k2)는, 내경 200mm의 제1 유로(1)로부터 분기되여 흡착제에 기류를 도입하는 도입로와, 흡착제로부터 나온 기류를 배출하는 배출로를 갖는 것으로 하였다. 도입로에 흐르는 가스량은, 그 입구 이전에 제1 유로(1)에 흐르는 가스의 반량(즉, 향기 회수 장치(A)의 도입로(3)에 흐르는 가스량과 동일)이 흐르도록 설계하였다.
향기 화합물 흡착 장치(K), 향기 화합물 흡착 장치(k1), 및 향기 화합물 흡착 장치(k2)는 전부, 같은 종류로 같은 양의 흡착제를 충전하였다.
그리고, 본 발명의 향기 회수 장치(A), 비교예 1의 향기 회수 장치(a1), 및 비교예 2의 향기 회수 장치(a2)를 이용하여, 볶은 참깨 세분화 시의 향기 화합물을 회수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이하의 방법으로 향기 화합물의 회수를 행하였다.
기류 발생 장치(13)에 의해서 기류를 발생시킨 상태에서, 롤러 밀(세분화 장치(11))로 볶은 참깨를 100kg/h에서 약 1mm의 분쇄 사이즈가 되도록 분쇄하고, 소편을 포함하는 볶은 참깨콩 조세분화물(동식물 원료 조세분화물(23))을 얻었다. 볶은 참깨 조세분화물(동식물 원료 조세분화물(23))에 포함되는 소편(22)의 적어도 일부를, 볶은 참깨를 분쇄 중의 세분화 장치(11) 내의 가스(향기 화합물(21)을 포함하는 가스)와 함께, 상기 기류에 의해서, 세분화 장치(11)로부터 연통하는 제1 유로(1)에 통과시켰다.
이 소편(22)은, 소편 제거 장치(14)에 의해서 볶은 참깨의 세분화 시에 볶은 참깨로부터 발생하는 향기 화합물(21) 및 소편(22)을 포함하는 가스로부터 제거하였다.
가스로부터 제거된 소편(22)은, 소편 제거 장치(14)와 연통한 폐기부(도시하지 않음)에 수용하여 폐기하였다.
한편, 소편(22)이 제거된 가스를, 소편 제거 장치(14)와 연통하는 제2 유로(2)에 통과시켰다. 제2 유로를 통과하는 가스의 선속도는 4.1m/s이었다. 도입로(3)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유로(2)에 흐르는 가스의 반량이 유입하였다.
볶은 참깨의 분쇄를 행하고 있는 와중에, 도입로(3)에 유입한 가스를, 향기 화합물 흡착 장치(K, k1, 또는 k2)의 흡착제 수용부(Kb)에 각각 수용(조충전)된 흡착제에 통기하여, 가스에 포함되는 향기 화합물(21)을 흡착시켰다.
각 향기 화합물 흡착 장치의 흡착제 및 통기는, 공통적으로 이하의 조건으로 하였다. 또한, 흡착제 수용부로서, 측면부에 공공을 갖지 않는, 원통형의 사이드 월 타입의 바스켓을 이용하였다. 또한, 흡착제는, 균열을 억제하기 위해서, 순수를 흡수시킨 후, 완전하게 건조시키기 전에 향기 화합물 흡착 장치에 충전하였다.
향기 화합물의 흡착제:SP-207(스티렌디비닐벤젠 공중합체계 합성 흡착제, 미쓰비시 케미칼(주) 제조)
흡착제 부분의 단면 직경:100mm
흡착제로의 유입 가스의 선속도:2.0m/s
흡착제 부분의 길이(가스의 통기 방향의 길이):8.0cm
흡착제의 사용량:2500ml
가스의 종류:공기
분쇄 및 흡착제 부분으로의 가스 통기 시간:5시간
본 실시예에서는, 흡착제 부분의 단면 직경은, 상술한 바스켓의, 가스의 통기 방향의 단면 직경(내경)과 동일하다.
각 향기 회수 장치를 이용한 5시간의 통기 후, 각 향기 화합물 흡착 장치의 흡착제에 프로필렌글리콜(PG) 25kg을 SV=10으로 통액하고, 향기 화합물(21)을 흡착제로부터 탈착시켰다. SV(Space velocity:공간 속도)는, 1시간당 수지의 용적의 몇배량을 통액하는지를 나타내는 단위이다. 이와 같이 하여, 향기 화합물 흡착 장치(K, k1, 및 k2)로 포집한 향기 화합물을 각각 포함하는 볶은 참깨 플레이버(PG 용액으로 한 향료 조성물)를 얻었다. 이러한 향료 조성물을 각각, 본 발명품 1, 비교품 1 및 비교품 2로서 얻었다.
여기에서는, 분쇄(세분화)에 이용한 500kg(매시 100kg으로 5시간 분쇄)의 볶은 참깨로부터 발생한 향기 화합물을 함유하는 가스의 반량을 흡착제에 통기시켰(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유로(2)에 흐르는 가스의 반량을 도입로(3) 및 흡착제에 흐르게 하도록 설계하였)으므로, 흡착제에 볶은 참깨 250kg분의 향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가스를 흡착시킨 것이 되어, 그 향기 화합물을 PG로 탈착하여 25kg의 PG 용액(향료 조성물)을 얻고, 향기 화합물을 발생시킨 볶은 참깨의 중량에 대해 향료 조성물의 중량이 10%가 되도록 하고, 본 발명품 1, 비교품 1 및 2를 조제하였다.
한편, 볶은 참깨 조세분화물의 향기 화합물을 수증기 증류에 의해서 회수하고, 비교품 1을 조제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분쇄한 볶은 참깨 2000g을 3L 칼럼에 수용하고, 대기압 하에서 칼럼 하부로부터 수증기를 보내어 2시간에 걸쳐 수증기 증류를 행하고, 칼럼 상부로부터 얻어지는 향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수증기를 냉각관에서 응축시켜, 향기 화합물을 함유하는 수용액 2000g을 얻었다. 이어서, 흡착제(SP-207) 50ml에 얻어진 수용액을 통액 후, PG 200g을 흡착제에 통액하여 흡착한 향기 화합물을 탈착하고, 200g의 PG 용액을 수증기 증류 플레이버로서 얻었다. 이 수증기 증류 플레이버를 비교품 3으로 하였다. 여기에서도 본 발명품 1, 비교품 1 및 2와 마찬가지로, 본 발명품 1, 비교품 1 및 2와 동일하게 10질량%가 되도록 하여, 향기의 직접 비교를 할 수 있도록 하였다.
(2) 향기 회수 장치의 부담
향기 화합물의 회수 후, 향기 화합물을 탈착한 후의 흡착제가 재이용 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하였다.
재이용 가능성의 확인은, 향기 화합물 흡착 장치(k1, k2 및 K)에 수용된 흡착제(이하, 각각 흡착제 q1, 흡착제 q2, 및 흡착제 Q로 한다)에 대해서, PG에 의한 탈착 전 및 탈착 후의 통액의 압력을 비교함으로써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는, 탈착 전 및 탈착 후에, 각각 초순수로의 치환을 행하고 나서 초순수를 SV=10으로 흐르게 했을 때의 압력을 측정한 후, 탈착 전의 압력에 대한 탈착 후의 압력을 산출하였다.
그 결과, 흡착제 q1 및 흡착제 q2는 압력이 각각 10배 및 5배이며, 막힘이 발생하였다고 인정되었다. 이러한 경우, 흡착제는 여러 회의 세정 또는 폐기가 필요하게 된다. 한편, 흡착제 Q에서는 압력의 차이는 동등하고, 막힘은 발생하지 않으며, 여러 회의 세정도 폐기도 불필요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상으로부터, 본 발명의 향기 회수 장치에 의해서, 흡착제의 재생의 수고도 비용도 경감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비교예의 장치에서는, 볶은 참깨의 분쇄 시에 볶은 참깨로부터 발생하는 향기를 회수하는 것이, 공업적으로는 부적합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3) 향료 조성물의 관능 평가
본 발명품 1, 비교품 1~3의 향료 조성물을, 각각 하기 표 2에 기재된 양으로 시판의 참기름에 첨가하고, 부향 참기름을 조제하였다. 그리고, 시판의 참기름(비첨가품)과 비교한 각 부향 참기름의 향미에 대해서, 잘 훈련된 전문 검사원 10명에 의한 관능 평가를 행하였다. 전문 검사원 10명의 평균적인 관능 평가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2
상기 표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품 1의 향료 조성물은, 볶은 참깨를 갈고 있을 때의 신선한 고소함을 강하게 느끼게 하고, 또한 지속성을 갖는 뛰어난 플레이버였다.
또한, 본 발명품 1의 향료 조성물은, 수증기 증류에서 얻은 플레이버 등 다른 플레이버와 병용하여, 선두의 향기를 증강하고 향미 밸런스, 지속성, 향기의 강함 등을 향상할 수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것은, (2)에서 확인한 바와 같이 흡착제가 소편에 의한 막힘을 일으키고 있고, 그 때문에 향기 화합물의 흡착 효율이 나쁘며 향기의 특징 및 향기의 강함에 차이가 생겼다고 생각된다.
[실시예 3]
땅콩 세분화 시에 발생하는 향기 화합물의 회수와 관능 평가를 행하였다.
분쇄 사이즈를 2mm로 한 이외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하고, 땅콩 본체, 땅콩의 껍질, 그 외 이물 유래의 소편(22)을 가스로부터 제거하면서, 각각 향기 화합물 흡착 장치(k1)(세분화 장치(11)의 상부에 배치), 향기 화합물 흡착 장치(k2)(제1 유로(1)에 배치), 및 향기 화합물 흡착 장치(K)(제2 유로(2)에 배치)로부터 향기 화합물을 회수하였다.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향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땅콩 플레이버(PG 용액으로 한 향료 조성물)를 얻고, 각각 비교품 4, 비교품 5, 및 본 발명품 2(향기 화합물 흡착 장치(K)로부터 회수한 향기 화합물을 포함한다)로 하였다.
또한, 실시예 2와 동일하게 하여, 땅콩의 수증기 증류 플레이버를 조제하고, 비교품 6으로 하였다.
이어서, 하기 표 3의 처방에 따라, 본 발명품 2, 비교품 4~6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땅콩 풍미 캐러멜을 상법으로 조제하였다.
Figure pct00003
얻어진 각 땅콩 풍미 캐러멜의 향미에 대해서, 잘 훈련된 전문 검사원 10명에 의한 관능 평가를 행하였다. 10명의 평균적인 평가를 하기 표 4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4
상기 표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품 2의 향료 조성물은, 땅콩을 빻고 있을 때의 향기와 같은, 신선하고 리치한 고소함이 풍부한, 뛰어난 플레이버였다.
본 발명품 2의 향료 조성물은, 선두의 향기 화합물이 많이 포함되므로, 캐러멜과 같이 제조 과정에 가열 공정을 포함하는 음식품이어도, 선두의 향기를 잃지 않고 양호한 향미를 부여할 수 있었다.
[실시예 4]
가쓰오부시 세분화 시에 발생하는 향기 화합물의 회수와 관능 평가를 행하였다.
실시예 3과 동일하게 하고, 가쓰오부시 분쇄 시에 생기는 소편을 가스로부터 제거하면서, 각각 향기 화합물 흡착 장치(k1)(세분화 장치(11)의 상부에 배치), 향기 화합물 흡착 장치(k2)(제1 유로(1)에 배치), 및 향기 화합물 흡착 장치(K)(제2 유로(2)에 배치)로부터 향기 화합물을 회수하였다.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향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가쓰오부시 플레이버(PG 용액으로 한 향료 조성물)를 얻고, 각각 비교품 7, 비교품 8, 및 본 발명품 3(향기 화합물 흡착 장치(K)로부터 회수한 향기 화합물을 포함한다)으로 하였다.
또한, 실시예 2와 동일하게 하여, 가쓰오부시의 수증기 증류 플레이버를 조제하고, 비교품 9로 하였다.
이어서, 시판의 과립 가쓰오다시 1g을 약 65℃의 뜨거운 물 150g에 녹여 육수를 조제하고, 비교품 7, 8, 9, 또는 본 발명품 3의 농도가 0.1질량%가 되도록 첨가한 부향 육수를 조제하였다.
가쓰오부시 플레이버 비첨가의 육수와 비교한, 각각의 부향 육수의 향미에 대해서, 잘 훈련된 전문 검사원 15명에 의한 관능 평가를 행하였다. 15명의 평균적인 평가를 하기 표 5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5
상기 표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품 3의 향료 조성물은, 비교품과는 다르게, 가쓰오부시를 깎았을 때에 느껴지는 풍미를 부여할 수 있어, 선두의 향기가 강하고, 또한 지속성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5]
볶은 카카오콩 세분화 시에 발생하는 향기 화합물의 회수와 관능 평가를 행하였다.
볶은 카카오콩의 분쇄 시의 향기 화합물을 이하의 방법으로 회수하였다. 또한, 볶은 카카오콩에는, 허스크라 불리는 박피가 부착되어 있다.
실시예 5에서는, 실시예 2~4에서 사용한 향기 회수 장치(A)를 대신하여, 세분화 장치(11)와 연통한 소편 예비 제거 장치(12)를 추가로 구비하는 향기 회수 장치(B)(도 2 참조)를 이용하였다. 소편 예비 제거 장치(12)로서, 체(눈금 간격 1.7mm)를 구비하는 진동 분급 장치를 이용하고, 제1 유로(1)는, 소편 예비 제거 장치(12) 및 기류 발생 장치(13)에 연통한다.
또한, 비교예 1과 동일하게 하고, 향기 화합물 흡착 장치(K)를 대신하여, 세분화 장치(11)의 상부로부터 분기되는 향기 화합물 흡착 장치(k1)를 구비하는 것 이외는 향기 회수 장치(B)와 동일한, 비교예 3의 향기 회수 장치(b1)를 준비하였다.
비교예 2와 동일하게 하고, 향기 화합물 흡착 장치(K)를 대신하여, 제1 유로(1)의 도중으로부터 분기되는 향기 화합물 흡착 장치(k2)를 구비하는 것 이외는 향기 회수 장치(B)와 동일한, 비교예 4의 향기 회수 장치(b2)를 준비하였다.
각 향기 회수 장치(B, b1 또는 b2)를 이용하여, 소편 예비 제거 장치(12)에 있어서, 소편(22)의 일부를 제거하였다. 또한, 소편 예비 제거 장치(12)로 제거되지 않았던 소편(22)(주로, 허스크에서 유래하는 소편을 포함한다)을, 볶은 카카오콩을 분쇄 중의 세분화 장치(11) 내의 가스(향기 화합물(21)을 포함하는 가스)와 함께, 상기 기류에 의해서, 소편 예비 제거 장치(12)로부터 연통하는 제1 유로(1)에 통과시켰다. 또한, 볶은 카카오콩 조세분화물(동식물 원료 조세분화물(23))로부터의 소편(22)의 제거에 의해서, 원하는 사이즈로 세분화된 볶은 카카오콩 정제 세분화물이 얻어지는데, 이것은 도시하지 않는 수용부에 수용하고, 향기 회수 장치(B) 밖으로 꺼내어 카카오 풍미 제품 등의 제조에 사용할 때까지 보관할 수 있다.
이 이후는 실시예 3과 동일하게 하고, 볶은 카카오콩, 허스크, 및 그 외 이물 유래의 소편을 가스로부터 제거하면서, 각각 향기 화합물 흡착 장치(k1)(세분화 장치(11)의 상부에 배치), 향기 화합물 흡착 장치(k2)(제1 유로(1)에 배치), 및 향기 화합물 흡착 장치(K)(제2 유로(2)에 배치)로부터 향기 화합물을 회수하였다.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향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카카오콩 플레이버(PG 용액으로 한 향료 조성물)를 얻고, 각각 비교품 10, 비교품 11 및 본 발명품 4(향기 화합물 흡착 장치(K)로부터 회수한 향기 화합물을 포함한다)로 하였다.
또한, 실시예 2와 동일하게 하고, 볶은 카카오콩의 수증기 증류 플레이버를 조제하여, 비교품 12로 하였다.
이어서, 시판의 분말 코코아 음료 15g을 냉수 및 열수 100g으로 용해하고, 이들에 비교품 10, 11, 12, 본 발명품 4의 각각을 농도가 0.1질량%가 되도록 첨가하였다.
이러한 코코아 음료의 향미에 대해서, 15명의 잘 훈련된 전문 검사원에 의한 관능 평가를 행하였다. 관능 평가는, 선두의 향기의 강함 및 고소함에 관한 5단계 평가(최저점 1, 최고점 5)에 의해 행하였다.
15명의 평균적인 평가의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6
상기 표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품 4의 향료 조성물을 첨가한 코코아 음료는, 비교품 10~12의 향료 조성물을 첨가한 코코아 음료에 비해, 첨가 대상의 온도에 상관없이 선두의 향기가 강하고, 또한 고소함이 양호하였다.
[실시예 6]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은, 실시예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두의 향기를 현저하게 증강시킴과 더불어, 향미의 지속성을 향상시키는 것이지만, 또한, 그 효과와 탈착액(즉, 향료 조성물의 용제)의 종류의 관계를 확인하는 시험을 행하였다.
볶은 카카오콩 세분화 시에 발생하는 향기 화합물의 회수를, 실시예 5에 기재된 방법과, 탈착에 PG를 이용했던 것을 대신하여 에탄올을 이용한 것 이외는 동일하게 하고, 향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카카오콩 플레이버(에탄올 용액으로 한 향료 조성물)를 얻어, 본 발명품 5로 하였다.
이어서, 시판의 분말 코코아 음료 15g을 냉수 및 열수 100g으로 용해하여, 대조품의 코코아 음료를 얻었다. 실시예 5에서 얻은 본 발명품 4(PG 용액으로 한 향료 조성물), 본 발명품 5, 본 발명품 4 및 5의 1:1(질량비) 혼합물, 및 실시예 5에서 얻은 비교품 12(수증기 증류 플레이버)의 각각을 농도가 0.1질량%가 되도록 첨가하였다.
이러한 코코아 음료의 향미에 대해서, 15명의 잘 훈련된 전문 검사원에 의한 관능 평가를 행하였다. 관능 평가는, 대조품인 시판의 분말 코코아 음료와 비교한, 기호성, 선두의 향미, 중간 이후의 향미에 대해서, 이하의 기준에 따라서 스코어 매김을 행하였다. 15명의 평균적인 결과를 표 7에 나타낸다.
(관능 평가 스코어)
(1) 기호성에 대해
5:대조품보다 현저하게 바람직하다
3:대조품보다 약간 바람직하다
1:대조품과 동등하게 바람직하다
0:코코아와는 다른 위화감이 있는 풍미가 있어, 대조품보다 바람직하지 않다
(2) 선두의 풍미에 대해
5:대조품보다 현저하게 증강되어 달고 고소한 향기가 강하게 느껴진다
3:대조품보다 약간 증강되어 달고 고소한 향기가 느껴진다
1:대조품과 동등한 강도이다
0:대조품보다 약한, 또는 코코아 풍미와는 다른 위화감이 있다
(3) 중간의 풍미에 대해
5:대조품보다 현저하게 증강되어 볼륨감과 여운이 강하게 느껴진다
3:대조품보다 약간 증강되어 볼륨감과 여운이 느껴진다
1:대조품과 동등한 강도이다
0:대조품보다 약한, 또는 코코아 풍미와는 다른 위화감이 있다
Figure pct00007
표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조품과 비교하여, 본 발명품 4 및 5를 첨가한 코코아 음료는, 비교품 12를 첨가한 코코아 음료보다 기호성이 현저하게 높고, 선두도 중간 이후도 향미가 충분히 증강되어 있으며, 선두의 향미의 강함 및 향미의 지속성이 뛰어난 것이 확인되었다. 게다가, 특히, 본 발명품 4 및 5의 등량 혼합물을 첨가한 코코아 음료는, 선두, 중간 이후 모두 향미가 매우 뛰어난 것이 확인되었다.
1 제1 유로
2 제2 유로
3 도입로
3A 도입로의 입구
3B 도입로의 출구
4 선속도 조정 장치
11 세분화 장치
12 소편 예비 제거 장치
13 기류 발생 장치
14 소편 제거 장치
21 향기 화합물
22 소편
23 동식물 원료 조세분화물
24 배출 가스
K 향기 화합물 흡착 장치
Ka1, Ka2 망상 덮개
Kb 흡착제 수용부
k1 비교예 1에서 이용한 향기 화합물 흡착 장치
k2 비교예 2에서 이용한 향기 화합물 흡착 장치

Claims (23)

  1. 동식물 원료를 세분화하여, 소편(小片)을 포함하는 동식물 원료 조(粗)세분화물을 얻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동식물 원료의 세분화 시에 동식물 원료로부터 발생하는 향기 화합물 및 상기 소편을 포함하는 가스로부터 상기 소편을 제거하는 공정과,
    상기 소편이 제거된 가스를 흡착제에 통기하여, 상기 향기 화합물을 상기 흡착제에 흡착시키는 흡착 공정과,
    상기 흡착제로부터 상기 향기 화합물을 회수하여, 상기 향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향료 조성물을 조제하는 회수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흡착제는, 향기 화합물 흡착 장치 내의 흡착제 수용부에 수용되고, 그 흡착제 수용부는, 상기 가스의 통기 방향의 양단에 망상(網狀) 덮개를 갖는,
    동식물 원료로부터의 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동식물 원료 조세분화물로부터 상기 소편을 제거하는 공정을, 상기 소편을 가스로부터 제거하는 공정보다 전에 행하는, 동식물 원료로부터의 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소편을 제거하는 공정을 소편 제거 장치로 행하는, 동식물 원료로부터의 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류 발생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가스의 흐름을 발생시키는, 동식물 원료로부터의 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편이 제거된 가스의 유로에, 그 유로로부터 분기되고, 또한 상기 향기 화합물 흡착 장치와 연통하는 도입로를 설치하며,
    상기 도입로 및 상기 흡착제에 상기 소편이 제거된 가스의 일부만을 통기하여 상기 향기 화합물을 회수하는, 동식물 원료로부터의 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제가, 스티렌디비닐벤젠 공중합체, 에틸비닐벤젠과 디비닐벤젠의 공중합체, 2,6-디페닐-9-페닐옥사이드의 중합체, 메타크릴산과 디올의 중축합 폴리머 및 수식 실리카겔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인, 동식물 원료로부터의 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 공정에서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상기 흡착제로부터 상기 향기 화합물을 탈착하는, 동식물 원료로부터의 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유기용매가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글리콜인, 동식물 원료로부터의 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제에 유입하는 가스의 선속도가 0.1~35.0m/s의 범위 내인, 동식물 원료로부터의 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의 통기 방향이, 중력 방향과 대략 반대 방향인, 동식물 원료로부터의 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향기 화합물 흡착 장치가, 상기 흡착제가 수용된 유동층 칼럼인, 동식물 원료로부터의 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12.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제에 유입하는 가스의 선속도를 조정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동식물 원료로부터의 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흡착제에 유입하는 가스의 선속도의 조정을, 송풍 장치 또는 흡인 펌프를 이용하여 행하는, 동식물 원료로부터의 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1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제조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향료 조성물을 함유하는 음식품.
  15. 동식물 원료의 세분화 장치와,
    상기 세분화 장치와 연통하고, 상기 동식물 원료의 세분화 시에 발생하는 향기 화합물 및 소편을 포함하는 가스가 통과 가능한 제1 유로와,
    상기 제1 유로와 연통하고, 상기 소편을 제거하는 소편 제거 장치와,
    상기 소편 제거 장치와 연통하고, 상기 소편이 제거된 가스가 통과 가능한 제2 유로와,
    상기 제2 유로와 연통한 향기 화합물 흡착 장치와,
    상기 세분화 장치로부터 상기 향기 화합물 흡착 장치까지 연속된 기류를 발생시키는 기류 발생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향기 화합물 흡착 장치는, 흡착제가 수용된 흡착제 수용부를 갖고, 그 흡착제 수용부는, 상기 가스의 통기 방향의 양단에 망상 덮개를 갖는, 동식물 원료로부터의 향기 회수 장치.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제2 유로로부터 분기되는 도입로를 추가로 구비하고, 그 도입로는 상기 향기 화합물 흡착 장치와 연통하고 있는, 동식물 원료로부터의 향기 회수 장치.
  17. 청구항 15 또는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세분화 장치와 상기 제1 유로의 사이에, 소편 예비 제거 장치를 추가로 구비하는, 동식물 원료로부터의 향기 회수 장치.
  18. 청구항 15 내지 청구항 1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제의 상기 가스의 통기 방향이, 중력 방향과 대략 반대 방향인, 동식물 원료로부터의 향기 회수 장치.
  19. 청구항 15 내지 청구항 1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향기 화합물 흡착 장치가, 상기 흡착제가 수용된 유동층 칼럼인, 동식물 원료로부터의 향기 회수 장치.
  20. 청구항 15 내지 청구항 1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편이 제거된 가스의 선속도를 조정하는 선속도 조정 장치를 추가로 구비하는, 동식물 원료로부터의 향기 회수 장치.
  21. 청구항 15 내지 청구항 2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속도 조정 장치가 송풍 장치 또는 흡인 펌프인, 동식물 원료로부터의 향기 회수 장치.
  22. 청구항 15 내지 청구항 2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제 수용부에 수용된 흡착제 부분의 단면 직경이 10mm 이상인, 동식물 원료로부터의 향기 회수 장치.
  23. 청구항 15 내지 청구항 2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제 수용부에 수용된 흡착제 부분의 상기 가스의 통기 방향의 길이가 1000mm 이하인, 동식물 원료로부터의 향기 회수 장치.
KR1020197017804A 2016-12-16 2017-12-13 동식물 원료로부터의 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동식물 원료로부터의 향기 회수 장치 KR2019008752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244868 2016-12-16
JPJP-P-2016-244868 2016-12-16
PCT/JP2017/044666 WO2018110586A1 (ja) 2016-12-16 2017-12-13 動植物原料からの香料組成物の製造方法および動植物原料からの香気回収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7522A true KR20190087522A (ko) 2019-07-24

Family

ID=62558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7804A KR20190087522A (ko) 2016-12-16 2017-12-13 동식물 원료로부터의 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동식물 원료로부터의 향기 회수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00080024A1 (ko)
JP (1) JP6975173B2 (ko)
KR (1) KR20190087522A (ko)
TW (1) TW201828832A (ko)
WO (1) WO20181105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04923B2 (ja) * 2018-06-29 2021-07-21 長谷川香料株式会社 動植物原料からの香料組成物の製造方法および動植物原料からの香気回収装置
EP4082358A4 (en) * 2019-12-24 2024-01-17 Suntory Holdings Ltd METHOD FOR PRODUCING A DEALCOHOLIC BEVERAGE, METHOD FOR PRODUCING AN ALCOHOLIC BEVERAGE, AND METHOD FOR PRODUCING AN AROMATIC COMPONENT DERIVED FROM A BEVERAGE CONTAINING ALCOHOL
CN113930284B (zh) * 2020-07-14 2024-03-29 丰益(上海)生物技术研发中心有限公司 风味组分的回收方法
CN113209709B (zh) * 2021-03-31 2022-08-09 青岛康景辉环境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蒸发结晶母液槽循环防淤沉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33137A (ja) 2001-07-23 2003-02-04 T Hasegawa Co Ltd 新規フレーバー
JP2003144053A (ja) 2001-11-07 2003-05-20 Ucc Ueshima Coffee Co Ltd ガス保存方法およびガス保存装置
JP3719995B2 (ja) 2002-03-05 2005-11-24 ユーシーシー上島珈琲株式会社 コーヒー飲料の製造方法
JP4182471B2 (ja) 2002-12-26 2008-11-19 ユーシーシー上島珈琲株式会社 コーヒー香料の製造方法
JP4308724B2 (ja) 2004-07-09 2009-08-05 ユーシーシー上島珈琲株式会社 芳香コーヒーオイル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利用
JP4745591B2 (ja) 2002-11-14 2011-08-10 ユーシーシー上島珈琲株式会社 粉砕時のアロマ成分を含有するコーヒー飲料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649781A (en) * 1926-11-01 1927-11-15 Jabez Burns & Sons Inc Apparatus for treating a mixture such as chaff and cracked coffee
JPS4915787B1 (ko) * 1970-12-28 1974-04-17
JPS5443556B2 (ko) * 1972-06-01 1979-12-20
JPS5066496U (ko) * 1973-10-18 1975-06-14
EP0010804A1 (en) * 1978-11-03 1980-05-14 THE PROCTER &amp; GAMBLE COMPANY Method for producing highly aromatized coffee products
JPS589778Y2 (ja) * 1979-05-18 1983-02-22 株式会社ボッシュオートモーティブ システム 空気清浄器付自動車用空調装置
JPS586230A (ja) * 1981-07-06 1983-01-13 Miura Eng Internatl Kk 高温ガスの脱臭方法
JPS5831022U (ja) * 1981-08-19 1983-03-01 株式会社クボタ 吸着装置
JPH0199417U (ko) * 1987-12-24 1989-07-04
WO1995011595A1 (en) * 1993-10-28 1995-05-04 Ajinomoto General Foods, Inc. Method for treating coffee aromas
JP3513346B2 (ja) * 1996-12-13 2004-03-31 味の素ゼネラルフーヅ株式会社 アロマ含有ガスの改質方法
WO2004028261A1 (en) * 2002-09-27 2004-04-08 Nestec S.A. Stabilizer-free stabilized coffee aroma
JP2004135522A (ja) * 2002-10-16 2004-05-13 Kiyomitsu Kawasaki 魚節フレーバー組成物および該フレーバー組成物を含有する食品類
JP5297580B2 (ja) * 2006-05-31 2013-09-25 小川香料株式会社 香気成分の捕集方法及び該方法により得られた香料組成物並びに該香料組成物を添加したことを特徴とする飲食物
JPWO2009041640A1 (ja) * 2007-09-26 2011-01-27 高砂香料工業株式会社 植物抽出物及びその用途
JP2011092044A (ja) * 2009-10-28 2011-05-12 Sanei Gen Ffi Inc ナチュラルフレーバーの製造方法
EP2515665B1 (en) * 2009-12-22 2013-08-14 Unilever NV A process for preparing a tea product
JP5922974B2 (ja) * 2012-04-12 2016-05-24 小川香料株式会社 保存性に優れた天然香料の製造方法
JP7109889B2 (ja) * 2016-08-04 2022-08-01 三栄源エフ・エフ・アイ株式会社 香気成分の捕集方法
JP6184627B1 (ja) * 2017-02-17 2017-08-23 長谷川香料株式会社 焙煎コーヒー豆からの香料組成物の製造方法および焙煎コーヒー豆からの香気回収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33137A (ja) 2001-07-23 2003-02-04 T Hasegawa Co Ltd 新規フレーバー
JP2003144053A (ja) 2001-11-07 2003-05-20 Ucc Ueshima Coffee Co Ltd ガス保存方法およびガス保存装置
JP3719995B2 (ja) 2002-03-05 2005-11-24 ユーシーシー上島珈琲株式会社 コーヒー飲料の製造方法
JP4745591B2 (ja) 2002-11-14 2011-08-10 ユーシーシー上島珈琲株式会社 粉砕時のアロマ成分を含有するコーヒー飲料の製造方法
JP4182471B2 (ja) 2002-12-26 2008-11-19 ユーシーシー上島珈琲株式会社 コーヒー香料の製造方法
JP4308724B2 (ja) 2004-07-09 2009-08-05 ユーシーシー上島珈琲株式会社 芳香コーヒーオイル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利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080024A1 (en) 2020-03-12
TW201828832A (zh) 2018-08-16
JP6975173B2 (ja) 2021-12-01
WO2018110586A1 (ja) 2018-06-21
JPWO2018110586A1 (ja) 2019-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87522A (ko) 동식물 원료로부터의 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동식물 원료로부터의 향기 회수 장치
JP6184627B1 (ja) 焙煎コーヒー豆からの香料組成物の製造方法および焙煎コーヒー豆からの香気回収装置
JP4532030B2 (ja) 新規フレーバー
JP5455331B2 (ja) 逆浸透膜を用いた香気濃縮方法
KR102236433B1 (ko) 볶은 커피콩으로부터의 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볶은 커피콩으로부터의 향기 회수 장치
KR102236432B1 (ko) 커피 풍미 개선제 및 그 제조 방법
MXPA06007483A (es) Jugo de cascara citrica.
JP7109889B2 (ja) 香気成分の捕集方法
JP2010207113A (ja) 穀物茶飲料の製造方法
JP2011092044A (ja) ナチュラルフレーバーの製造方法
JP5129190B2 (ja) 嗜好性フレーバー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50124959A (ko) 커피 음료
KR20180106180A (ko) 땅콩 새싹 또는 인삼 음료 추출용 캡슐
JP2002105486A (ja) 水溶性香料およびその製法
JP6133595B2 (ja) 容器詰飲料
WO2016120962A1 (ja) ホップ抽出液の製造方法
JP7053172B2 (ja) 固形分を含む溶液の精製方法及びその装置
KR102373400B1 (ko) 동식물 원료로부터의 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동식물 원료로부터의 향기 회수 장치
JP2013132230A (ja) 容器詰飲料
JP5366745B2 (ja) 容器詰烏龍茶飲料
JP6251467B2 (ja) 経口組成物
Shay et al. Flavor manufacturing
JP2008278790A (ja) 酸味抑制剤、調理加工品又は調理加工用調味料の酸味抑制方法
JP2006325539A (ja) 乳製品フレーバーの製造法
JP2011103873A (ja) 苦味含有飲食品の苦味改善剤および渋味含有飲食品の渋味改善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