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0727A - 스피닝 릴의 줄 계지구, 및 줄 계지구를 가지는 스피닝 릴의 스풀 - Google Patents

스피닝 릴의 줄 계지구, 및 줄 계지구를 가지는 스피닝 릴의 스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0727A
KR20190080727A KR1020180124942A KR20180124942A KR20190080727A KR 20190080727 A KR20190080727 A KR 20190080727A KR 1020180124942 A KR1020180124942 A KR 1020180124942A KR 20180124942 A KR20180124942 A KR 20180124942A KR 20190080727 A KR20190080727 A KR 201900807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line
spool
spinning reel
lin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4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62297B1 (ko
Inventor
케이 사이토
타쿠지 타카마츠
사토시 이케부쿠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1900807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07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22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22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11Spool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08Pick-up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18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28Arrangements for positively securing ends of material
    • B65H75/285Holding devices to prevent the wound material from unwi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5Ropes, lines
    • B65H2701/355Fishlin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Spinning Or Twisting Of Yarns (AREA)

Abstract

[과제] 낚시꾼이 줄 계지구의 소정의 장소에 낚싯줄을 용이하게 배치하고, 또한 낚시꾼이 줄 계지구의 소정의 장소에서 낚싯줄을 확실히 보지할 수 있는 줄 계지구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줄 계지구는, 스피닝 릴의 스풀에 장착 가능한 장착부(71)와, 낚싯줄을 계지 가능한 계지구 본체(72)를 가진다. 계지구 본체(72)는, 본체부(73)와 제1 돌출부(74)와 제2 돌출부(75)와 홈부(76)를 구비한다. 본체부(73)는, 장착부(71)로부터 연설된다. 제1 돌출부(74)는, 본체부(73)로부터 돌출한다. 제2 돌출부(75)는, 장착부(71) 및 제1 돌출부(74)의 사이에 있어서, 본체부(73)로부터 돌출한다. 홈부(76)는, 제1 돌출부(74) 및 제2 돌출부(75)의 사이에 있어서, 본체부(73)에 오목 형상으로 형성된다.

Description

스피닝 릴의 줄 계지구, 및 줄 계지구를 가지는 스피닝 릴의 스풀{LINE CLIP FOR SPINNING REEL, AND SPOOL FOR SPINNING REEL HAVING THE LINE CLIP}
본 발명은, 스피닝 릴의 줄 계지구(係止具) 및 그것을 이용한 스피닝 릴의 스풀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스피닝 릴의 스풀은, 줄 감기 몸통부 및 스커트부를 가진다. 스커트부에는, 줄 계지구 및 시트 부재가 설치되어 있다(특허 문헌 1을 참조). 줄 계지구는, 낚싯줄의 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줄 계지구에는, 줄 계지구를 스커트부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 장착부로부터 연설(延設)되는 본체부, 낚싯줄의 이탈을 규제하기 위한 돌출부, 및 낚싯줄을 배치 가능한 오목부가 설치되어 있다. 시트 부재는, 줄 계지구 및 스커트부의 사이에 배치된다. 낚싯줄은, 줄 계지구 및 시트 부재의 사이에 배치된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17-201888호
종래의 줄 계지구에서는, 본체부(특허 문헌 1에 있어서의 계지부)의 하면(下面)에 있어서, 장착부(특허 문헌 1에 있어서의 취부(取付)부)와의 접속 위치보다도 스풀의 줄 감기 몸통부 쪽의 위치에 배치된 돌출부(특허 문헌 1에 있어서의 제1 돌출부)와, 장착부와의 접속 위치보다도 스풀의 줄 감기 몸통부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배치된 돌출부(특허 문헌 1에 있어서의 제2 돌출부)가 설치되어 있다.
즉, 이들 2개의 돌출부(특허 문헌 1의 제1 돌출부 및 제2 돌출부)는, 장착부의 양 측에 각각 별도로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각 돌출부 및 장착부의 사이의 거리를 다르게 하는 것에 의하여, 세경(細徑) 및 태경(太徑)의 낚싯줄을 개별적으로 계지할 수 있다. 나아가, 태경의 낚싯줄용에는, 본체부 및 장착부의 접속 위치보다도 스풀의 줄 감기 몸통부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배치된 돌출부(특허 문헌 1의 제2 돌출부)와 장착부와의 사이에, 낚싯줄을 수용하는 오목부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줄 계지구의 구성에서는, 낚싯줄이 세경인지 태경인지에 의하여, 낚싯줄은, 장착부의 양측 각각에 계지된다. 이 때문에, 낚시꾼은, 세경의 낚싯줄을 굵은 줄용의 장착 범위(특허 문헌 1에 있어서의 취부부 및 제2 돌출부의 사이의 범위)에 장착하거나, 태경의 낚싯줄을 가는 줄용의 장착 범위(특허 문헌 1에 있어서의 취부부 및 제1 돌출부의 사이의 범위)에 장착하거나 할 우려가 있다. 그렇게 하면, 낚싯줄이, 확실히 계지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종래의 줄 계지구의 구성에서는, 태경용의 장착 범위에는, 태경의 낚싯줄을 수용하는 오목부가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극(極)태경의 낚싯줄의 경우는, 오목부에 수용되지만, 통상의 태경의 낚싯줄의 경우는, 오목부에 수용되지 않고 장착부 측에서만 계지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즉, 낚싯줄이, 굵은 줄용의 장착 범위에 있어서 이동 가능하기 때문에, 낚싯줄의 계지 위치가 안정되지 않고, 확실히 계지를 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본 발명의 목적은, 낚시꾼이 줄 계지구의 소정의 장소에 낚싯줄을 용이하게 배치하고, 또한 낚시꾼이 줄 계지구의 소정의 장소에서 낚싯줄을 확실히 보지(保持)할 수 있는 줄 계지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관련되는 줄 계지구는, 스피닝 릴의 스풀에 장착 가능한 장착부와, 낚싯줄을 계지 가능한 계지구 본체를 가진다. 계지구 본체는, 본체부와 제1 돌출부와 제2 돌출부와 오목부를 구비한다. 본체부는, 장착부로부터 연설된다. 제1 돌출부는, 본체부로부터 돌출한다. 제2 돌출부는, 장착부 및 제1 돌출부의 사이에 있어서, 본체부로부터 돌출한다. 오목부는, 제1 돌출부 및 제2 돌출부의 사이에 있어서, 본체부에 오목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줄 계지구에서는, 태경의 낚싯줄의 경우는, 낚싯줄이, 제1 돌출부를 통과하면, 제1 돌출부 및 제2 돌출부의 사이의 오목부에 배치된다. 이 경우, 제1 돌출부 및 제2 돌출부에 의하여, 낚싯줄의 빠짐이 규제된다. 또한, 세경의 낚싯줄의 경우는, 제1 돌출부를 통과한 후, 제2 돌출부를 통과한다. 이것에 의하여, 제2 돌출부 및 장착부의 사이에 배치된다. 이 경우, 제2 돌출부 및 장착부에 의하여 낚싯줄의 빠짐이 규제된다. 이와 같이, 본 줄 계지구에서는, 낚시꾼은, 줄 계지구의 소정의 장소에, 낚싯줄을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낚시꾼은, 줄 계지구의 소정의 장소에서, 세경의 낚싯줄이어도, 태경의 낚싯줄이어도 확실히 보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관련되는 줄 계지구에서는, 본체부가, 외연부(外緣部) 및 오목부의 사이에 설치되는 테이퍼부와, 장착부 및 오목부의 사이에 있어서 테이퍼부로부터 팽출하는 비(非)테이퍼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낚시꾼은, 테이퍼부를 이용하여, 낚싯줄을 외연부로부터 오목부를 향하여 용이하게 안내할 수 있다. 또한, 비테이퍼부에서는, 낚시꾼은, 낚싯줄을 제2 돌출부 및 장착부의 사이에 직접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관련되는 줄 계지구에서는, 본체부가, 외연부의 우각부(隅角部)로부터 장착부로 낚싯줄을 이끌기 위한 도입면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낚시꾼은, 도입면을 이용하여, 낚싯줄을 외연부의 우각부로부터 장착부를 향하여 용이하게 이끌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관련되는 줄 계지구에서는, 본체부가, 장착부 및 제2 돌출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표면과 도입면을 접속하는 접속면을 더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낚싯줄이 계지구 본체로부터 떼어내지는 경우에, 낚싯줄을, 접속면에 의하여, 장착부 및 제2 돌출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표면으로부터, 도입면으로 순조롭게 안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관련되는 줄 계지구에서는, 계지구 본체가 열 가소성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계지구 본체를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낚싯줄을, 계지구 본체에 순조롭게 고정할 수 있고, 또한 계지구 본체로부터 빠지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스풀은, 줄 감기 몸통부와 스커트부와 상술한 줄 계지구를 구비한다. 줄 감기 몸통부는, 낚싯줄을 외주면에 감기 가능하게 구성된다. 스커트부는, 줄 감기 몸통부에 설치되고, 줄 감기 몸통부보다 대경(大徑)으로 구성된다. 줄 계지구는, 스커트부에 배치된다.
본 스풀에서는, 상술한 줄 계지구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낚시꾼은, 줄 계지구의 소정의 장소에, 낚싯줄을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낚시꾼은, 줄 계지구의 소정의 장소에서, 낚싯줄을 확실히 보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스풀은, 시트 부재를 더 구비한다. 시트 부재는, 스커트부 및 줄 계지구의 사이에 배치된다. 시트 부재는, 낚싯줄을 배치 가능한 구멍부를 가진다.
이 경우, 낚싯줄을 시트 부재의 구멍부에 배치하는 것에 의하여, 낚싯줄의 빠짐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스풀에서는, 낚싯줄이, 구멍부에 있어서, 오목부 및 스커트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낚싯줄을, 구멍부에 배치한 상태에서, 오목부 및 시트 부재에 의하여 확실히 협지(挾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스풀에서는, 제1 돌출부 및 제2 돌출부가, 구멍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스커트부로부터의 줄 계지구의 돌출량을 크게 하는 일 없이, 줄 계지구를 스커트부에 장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스풀에서는, 시트 부재가, 장착부 및 제2 돌출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본체부의 표면에 대하여, 접촉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낚싯줄은, 장착부 및 제2 돌출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본체부의 표면, 및 시트 부재의 사이에 배치된다.
이 경우, 낚싯줄을, 장착부 및 제2 돌출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본체부의 표면, 및 시트 부재에 의하여, 확실히 협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스풀에서는, 스커트부가, 낚싯줄을 배치 가능한 구멍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낚싯줄을 스커트부의 구멍부에 배치하는 것에 의하여, 낚싯줄의 빠짐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스풀에서는, 낚싯줄은, 구멍부 및 오목부의 사이에 배치된다.
이 경우, 낚싯줄을, 구멍부에 배치한 상태에서, 오목부 및 스커트부의 표면에 의하여 확실히 협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스풀에서는, 제1 돌출부 및 제2 돌출부가, 구멍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스커트부로부터의 줄 계지구의 돌출량을 크게 하는 일 없이, 줄 계지구를 스커트부에 장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스풀에서는, 스커트부가, 장착부 및 제2 돌출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본체부의 표면에 대하여, 접촉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낚싯줄은, 장착부 및 제2 돌출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본체부의 표면, 및 스커트부의 표면의 사이에 배치된다.
이 경우, 낚싯줄을, 장착부 및 제2 돌출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본체부의 표면, 및 스커트부의 표면에 의하여, 확실히 협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낚시꾼이 줄 계지구의 소정의 장소에 낚싯줄을 용이하게 배치하고, 또한 낚시꾼이 줄 계지구의 소정의 장소에서 낚싯줄을 확실히 보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가 채용된 스피닝 릴의 측면도.
도 2는 스풀에 장착된 줄 계지구의 외관 사시도.
도 3은 스풀에 장착된 줄 계지구의 확대 단면도.
도 4는 줄 계지구의 외관 사시도.
도 5는 줄 계지구의 측면도.
도 6a는 세경의 낚싯줄의 계지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b는 세경의 낚싯줄의 계지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a는 태경의 낚싯줄의 계지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b는 태경의 낚싯줄의 계지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스풀에 장착된 줄 계지구의 확대 단면도.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를 채용한 스피닝 릴(1)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릴 본체(2)와 로터(3)와 스풀(4)을 구비한다.
릴 본체(2)는, 핸들(5)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로터(3)는, 스풀(4)에 낚싯줄을 감기 위한 것이다. 로터(3)는, 릴 본체(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스풀(4)에는, 낚싯줄이 감긴다.
이하에서는, 로터(3)의 회전 중심(O)이 연장되는 방향을, "축 방향"이라고 적는다. 축 방향에 있어서, 낚싯줄이 방출되는 방향을 "전방(前方)"이라고 정의하고, "전방"과는 반대의 방향을 "후방(後方)"이라고 정의한다.
로터(3)의 회전 중심(O)을 기준으로 한 원에 있어서, 로터(3)의 회전 중심(O)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경(徑)방향"이라고 정의한다. 로터(3)의 회전 중심(O)을 기준으로 한 원에 있어서, 로터(3)의 회전 중심(O) 둘레의 방향을, "둘레 방향"이라고 정의한다.
스풀(4)은, 로터(3)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스풀축(도시하지 않는다)을 통하여 릴 본체(2)에 장착된다. 덧붙여, 스풀축의 축심은, 로터(3)의 회전 중심(O)과 동심이다.
스풀(4)은, 줄 감기 몸통부(41)와 전(前) 플랜지부(42)와 스커트부(43)와 줄 계지구(70)를 구비한다. 스풀(4)은, 시트 부재(80)를 더 구비한다.
줄 감기 몸통부(41)는, 낚싯줄을 외주면에 감기 가능하게 구성된다. 예를 들어, 줄 감기 몸통부(41)는, 실질적으로 통상(筒狀)으로 형성된다. 전 플랜지부(42)는, 줄 감기 몸통부(41)의 전부(前部)에 일체로 형성된다. 전 플랜지부(42)는, 줄 감기 몸통부(41)보다 대경으로 형성된다. 전 플랜지부(42)는, 줄 감기 몸통부(41)로부터 경방향 외측으로 돌출하고, 실질적으로 환상(環狀)으로 형성된다.
도 1 ~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커트부(43)는, 줄 감기 몸통부(41)의 후부에 일체로 형성된다. 스커트부(43)는, 줄 감기 몸통부(41)보다 대경으로 형성된다. 스커트부(43)는, 줄 감기 몸통부(41)로부터 경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후(後) 플랜지부(44)와 후 플랜지부(44)로부터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통부(45)를 가진다(도 3을 참조).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부(45)에는, 오목부(45a)와 관통 구멍(45b)이 형성된다. 오목부(45a)는, 통부(45)의 외주면으로부터 경방향 내측으로 파여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45a)에는, 줄 계지구(70) 예를 들어 계지구 본체(72)(후술한다)가 배치된다. 관통 구멍(45b)은, 오목부(45a)의 저부(底部)에 형성되어 있다(도 3을 참조). 상세하게는, 관통 구멍(45b)은, 오목부(45a)의 저부로부터 경방향 내측을 향하여, 통부(45)를 관통하고 있다. 관통 구멍(45b)은, 다각형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에서는, 관통 구멍(45b)은,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된다. 관통 구멍(45b)에는, 후술하는 줄 계지구(70)의 장착부(71)(후술한다)가 삽통(揷通)된다.
(줄 계지구)
줄 계지구(70)는, 스풀(4)에 장착 가능하게 구성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줄 계지구(70)는, 스커트부(43)에 배치된다. 줄 계지구(70)는, 예를 들어 엘라스토머와 같은 열 가소성 수지에 의하여 성형된다. 줄 계지구(70)는, 스풀(4)에 장착 가능한 장착부(71)와 낚싯줄을 계지 가능한 계지구 본체(72)를 가진다.
-장착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착부(71)는, 스풀(4)에 장착되는 부분이다. 장착부(71)는, 계지구 본체(72)에 설치된다. 예를 들어, 장착부(71)는, 계지구 본체(72)와 일체로 형성된다. 장착부(71)는, 계지구 본체(72)로부터 돌출한다. 장착부(71)는,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장착부(71)의 단면은, 다각형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에서는, 장착부(71)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된다.
장착부(71)는, 시트 부재(80)의 제1 구멍부(80a)(후술한다) 및 스커트부(43)의 관통 구멍(45b)에 삽통된다. 장착부(71)의 선단부(71a)는, 고정 부재 예를 들어 나사 부재에 의하여, 스커트부(43)의 후면 예를 들어 후 플랜지부(44)의 후면에 고정된다. 여기에서는, "장착부(71)의 선단부가 스커트부(43)의 후면(후 플랜지부(44)의 후면)에 고정된다"라고 적었지만, "장착부(71)의 선단부가 줄 감기 몸통부(41)에 고정된다"라고 해석하여도 무방하다.
-줄 계지구 본체-
계지구 본체(72)는, 낚싯줄을 계지 가능하게 구성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계지구 본체(72)는, 장착부(71)와 일체로 형성된다(도 3을 참조). 계지구 본체(72)는, 스커트부(43)에 배치된다. 상세하게는, 계지구 본체(72)는, 통부(45)의 오목부(45a)에 배치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계지구 본체(72)는, 본체부(73)와 제1 돌출부(74)와 제2 돌출부(75)와 홈부(76)(오목부의 일례)를 구비한다. 본체부(73)는, 스풀의 줄 감기 몸통부(4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장착부(71)로부터 연설된다. 예를 들어, 본체부(73)는, 장착부(71)의 기단부(基端部)를 둘러싸도록, 실질적으로 판상(板狀)으로 형성된다. 본체부(73)는, 스커트부(43)의 통부(45)에 대향하여 배치된다. 상세하게는, 본체부(73)는, 시트 부재(80)를 통하여, 통부(45)의 오목부(45a)에 대향하여 배치된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부(73)는, 장착 측 단부(73a)와 삽입 측 단부(73b)를 가진다. 장착 측 단부(73a)에는, 장착부(71)가 설치된다. 삽입 측 단부(73b)는, 앞쪽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낚싯줄은, 삽입 측 단부(73b)로부터 장착 측 단부(73a)의 장착부(71)를 향하여 삽입된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부(73)는, 제1 표면(73c)과 제2 표면(73d)을 더 가진다. 제1 표면(73c)은, 삽입 측 단부(73b)와 제1 돌출부(74)와의 사이에 설치된다. 제1 표면(73c)은, 스커트부(43) 예를 들어 오목부(45a)의 저부와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도 3을 참조). 제1 표면(73c) 및 스커트부(43)의 오목부(45a)의 저부와의 사이에는, 시트 부재(80)가 배치된다. 제1 표면(73c)은, 시트 부재(80)에 접촉한다.
제2 표면(73d)은, 제2 돌출부(75)와 장착부(71)와의 사이에 설치된다. 제2 표면(73d)은, 제1 표면(73c)과 면일(面一)하게 형성된다. 제2 표면(73d)은, 스커트부(43) 예를 들어 오목부(45a)의 저부와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도 3을 참조). 제2 표면(73d) 및 스커트부(43)의 오목부(45a)의 저부(BL)와의 사이에는, 시트 부재(80)가 배치된다.
제2 표면(73d)은, 시트 부재(80)에 접촉한다. 이것에 의하여, 낚싯줄이 제2 표면(73d) 및 시트 부재(80)의 사이에 배치되었을 경우, 낚싯줄은, 제2 표면(73d) 및 시트 부재(80)에 의하여 협지된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부(73)는, 테이퍼부(73e)와 비테이퍼부(73f)를 더 가진다. 테이퍼부(73e)는, 외연부(73g)로부터 제1 돌출부(74)를 향하여 낚싯줄을 이끈다. 테이퍼부(73e)는, 외연부(73g) 및 제1 돌출부(74)의 사이에 설치된다. 또한, 테이퍼부(73e)는, 외연부(73g) 및 홈부(76)의 사이에 설치된다.
테이퍼부(73e)는, 경사면이고, 외연부(73g) 및 제1 표면(73c)과 외연부(73g) 및 홈부(76)의 저부를 접속한다. 예를 들어, 테이퍼부(73e)는, 삽입 측 단부(73b)의 외연부(73g) 및 제1 돌출부(74)의 사이에 있어서, 외연부(73g)로부터 제1 표면(73c)을 향하여 연장된다. 또한, 테이퍼부(73e)는, 삽입 측 단부(73b)의 외연부(73g) 및 홈부(76)의 사이에 있어서, 외연부(73g)로부터 홈부(76)의 저부로 연장된다.
비테이퍼부(73f)는, 장착부(71) 및 홈부(76)의 사이의 외연부를 형성한다. 비테이퍼부(73f)는, 장착부(71) 및 홈부(76)의 사이에 있어서, 테이퍼부(73e)로부터 팽출한다. 비테이퍼부(73f)는, 시트 부재(80)에 접촉한다. 비테이퍼부(73f)가 시트 부재(80)에 접촉하는 부분은, 제2 표면(73d)에 포함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부(73)는, 도입면(73h)과 접속면(73i)을 더 가진다. 도입면(73h)은, 장착 측 단부(73a)에 있어서의 외연부(73g)의 우각부(73j)로부터 장착부(71)로 낚싯줄을 이끈다. 도입면(73h)은, 장착 측 단부(73a)에 설치된다.
예를 들어, 도입면(73h)은, 장착 측 단부(73a)에 있어서의 외연부(73g)의 우각부(73j) 및 장착부(71)의 사이에 있어서, 장착 측 단부(73a)에 설치된다. 도입면(73h)은, 우각부(73j)로부터 장착부(71)를 향하여 오목 형상으로 만곡하면서, 장착부(71)에 접속한다. 또한, 도입면(73h)은, 접속면(73i)에도 접속한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입면(73h)은, 경방향에 있어서, 스커트부(43) 예를 들어 오목부(45a)의 저부(BL)와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또한, 도입면(73h) 및 시트 부재(80)의 사이에는, 낚싯줄을 우각부(73j)로부터 접속면(73i)으로 도입하기 위한 공간이 설치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속면(73i)는, 제2 표면(73d)(도입면(73h))으로부터 도입면(73h)(제2 표면(73d))으로 낚싯줄을 이끈다. 접속면(73i)은, 장착 측 단부(73a)에 설치된다.
예를 들어, 접속면(73i)은, 장착부(71)의 우각부의 근방에 있어서, 장착 측 단부(73a)에 설치된다. 접속면(73i)은, 제2 표면(73d)과 도입면(73h)을 접속한다. 상세하게는, 접속면(73i)은, 비테이퍼부(73f)에 의하여 형성되는 제2 표면(73d)과 도입면(73h)을 접속한다.
여기에서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줄 계지구(70)를 측방(側方)으로부터 본 경우에 있어서, 접속면(73i) 및 제2 표면(73d)이 이루는 최소 각도가 둔각이 되도록, 접속면(73i)은 형성된다. 이것에 의하여, 낚싯줄을 비테이퍼부(73f)에 간섭시키는 일 없이, 낚싯줄을 도입면(73h)(제2 표면(73d))으로부터 제2 표면(73d)(도입면(73h))으로 안내할 수 있다.
접속면(73i)은, 경방향에 있어서, 스커트부(43) 예를 들어 오목부(45a)의 저부(BL)와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또한, 접속면(73i) 및 시트 부재(80)의 사이에는, 낚싯줄을 도입면(73h)(제2 표면(73d))으로부터 제2 표면(73d)(도입면(73h))으로 안내하기 위한 공간이 설치된다.
제1 돌출부(74)는, 홈부(76) 및 시트 부재(80)의 사이에 배치된 낚싯줄의 빠짐을 규제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돌출부(74)는, 본체부(73)로부터 돌출한다. 상세하게는, 제1 돌출부(74)는, 본체부(73)의 제1 표면(73c)으로부터 돌출한다. 제1 돌출부(74)는, 홈부(76)를 따라 연장된다(도 4를 참조).
제2 돌출부(75)는, 제2 표면(73d) 및 시트 부재(80)의 사이에 배치된 낚싯줄의 빠짐을 규제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돌출부(75)는, 장착부(71) 및 제1 돌출부(74)의 사이에 있어서, 본체부(73)로부터 돌출한다. 상세하게는, 제2 돌출부(75)는, 본체부(73)의 제2 표면(73d)으로부터 돌출한다. 제2 돌출부(75)는, 제1 돌출부(74)와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홈부(76)를 따라 연장된다(도 4를 참조).
홈부(76)에는, 낚싯줄이 배치 가능하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홈부(76)는, 제1 돌출부(74) 및 제2 돌출부(75)의 사이에 있어서, 본체부(73)에 형성된다. 홈부(76)는, 제1 표면(73c) 및 제2 표면(73d)을 기준으로 하여, 오목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홈부(76)는, 시트 부재(80)를 통하여, 스커트부(43)의 오목부(45a)에 대향하여 배치된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홈부(76)의 저부와 스커트부(43)의 오목부(45a)의 저부(BL)와의 간격(D1)은, 제2 표면(73d)과 스커트부(43)에 있어서의 오목부(45a)의 저부(BL)와의 간격(D2)보다 크다.
홈부(76)에 있어서의 양 단부의 저부 및 시트 부재(80)의 사이에는, 낚싯줄을 협지하기 위한 제1 간극(間隙)(S1)이 형성된다. 또한, 홈부(76)에 있어서의 중앙부의 저부 및 스커트부(43)의 오목부(45a)의 저부(BL)의 사이에는, 시트 부재(80)의 제2 구멍부(80b)(후술 한다)가 배치된다. 이것에 의하여, 홈부(76)에 있어서의 중앙부의 저부 및 스커트부(43)의 오목부(45a)의 저부(BL)의 사이에는, 낚싯줄을 배치하기 위한 제2 간극(S2)이 형성된다. 제2 간극(S2)은, 제1 간극(S1)보다 크다.
(시트 부재)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트 부재(80)는, 스커트부(43) 및 줄 계지구(70)의 사이에 배치된다. 상세하게는, 시트 부재(80)는, 스커트부(43)의 오목부(45a) 및 줄 계지구(70)의 사이에 배치된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트 부재(80)는, 제2 표면(73d)에 대하여, 접촉 가능하게 구성된다. 여기에서는, 시트 부재(80)는, 제1 표면(73c)에 대해서도, 접촉 가능하게 구성된다. 시트 부재(80)는, 실질적으로 판상으로 형성된다.
시트 부재(80)는, 제1 구멍부(80a)와 제2 구멍부(80b)(구멍부의 일례)를 가진다. 제1 구멍부(80a)는, 다각형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에서는, 제1 구멍부(80a)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 구멍부(80a)는, 스커트부(43)의 관통 구멍(45b)에 대향하여 배치된다. 제1 구멍부(80a)에는, 줄 계지구(70)의 장착부(71)가 삽통된다.
제2 구멍부(80b)에는, 낚싯줄이 배치 가능하다. 제2 구멍부(80b)에는, 제1 돌출부(74) 및 제2 돌출부(75)가 배치된다. 줄 계지구(70)의 홈부(76)의 중앙부는, 제2 구멍부(80b)를 통하여, 스커트부(43)의 오목부(45a)의 저부(BL)와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줄 계지구(70)의 홈부(76)의 중앙부 및 스커트부(43)의 오목부(45a)의 저부(BL)의 사이에는, 낚싯줄이 배치된다.
(낚싯줄의 계지 형태)
낚싯대로부터 스피닝 릴(1)을 뗀 후에는, 낚싯줄이 스풀(4)로부터 풀리지 않도록, 낚싯줄의 선단부가 줄 계지구(70)에 계지된다. 이하에서는,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낚싯줄이 세경인 경우와 낚싯줄이 태경인 경우와의 2개의 경우로 나누어, 설명이 행해진다.
예를 들어, 낚싯줄이 태경인 경우, 도 7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선, 낚싯줄은, 도입면(73h)에 의하여, 계지구 본체(72)의 장착 측 단부(73a)의 우각부(73j)로부터 장착부(71)를 향하여 이끌린다. 그리고, 이 태경의 낚싯줄은, 도입면(73h)으로부터 접속면(73i)으로 안내되고, 비테이퍼부(73f)의 외측에 배치된다.
다음으로, 도 7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태경의 낚싯줄은, 테이퍼부(73e)에 의하여, 계지구 본체(72)의 삽입 측 단부(73b)로부터 제1 돌출부(74)를 향하여 안내된다. 그리고, 이 태경의 낚싯줄은, 제1 돌출부(74) 및 시트 부재(80)의 사이를 통과한다. 그렇게 하면, 이 낚싯줄은, 제1 돌출부(74) 및 제2 돌출부(75)의 사이의 홈부(76)에 배치된다.
그렇게 하면, 태경의 낚싯줄의 일부는, 시트 부재(80)의 제2 구멍부(80b)를 통하여, 홈부(76)에 있어서의 중앙부의 저부 및 스커트부(43)의 오목부(45a)의 저부의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낚싯줄의 다른 부분은, 홈부(76)에 있어서의 양 단부의 저부 및 시트 부재(80)의 표면에 의하여 협지된다. 이와 같이 하여, 태경의 낚싯줄은, 제1 돌출부(74)에 의하여, 도입 측으로의 이동이 저지되기 때문에, 계지가 빠지는 일이 없다. 또한, 제2 돌출부(75)에 의하여, 장착 측으로의 이동도 저지되기 때문에, 태경의 낚싯줄의 계지 위치가 안정되고, 태경의 낚싯줄을 줄 계지구(70)에 의하여 확실히 계지할 수 있다.
한편으로, 낚싯줄이 세경인 경우, 도 6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선, 세경의 낚싯줄은, 도입면(73h)에 의하여, 계지구 본체(72)의 장착 측 단부(73a)의 우각부(73j)로부터 장착부(71)를 향하여 이끌린다. 그리고, 이 세경의 낚싯줄은, 도입면(73h)으로부터 접속면(73i)으로 안내되고, 접속면(73i)으로부터 제2 표면(73d)으로 안내된다. 이것에 의하여, 낚싯줄은, 비테이퍼부(73f) 상의 제2 표면(73d) 및 시트 부재(80)의 표면에 의하여, 일시적으로 협지된다.
다음으로, 도 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세경의 낚싯줄은, 테이퍼부(73e)에 의하여, 계지구 본체(72)의 삽입 측 단부(73b)로부터 제1 돌출부(74)를 향하여 안내된다. 그리고, 이 세경의 낚싯줄은, 제1 돌출부(74) 및 시트 부재(80)의 사이, 홈부(76) 및 시트 부재(80)의 사이, 및 제2 돌출부(75) 및 시트 부재(80)의 사이를 통과한다. 그렇게 하면, 낚싯줄은, 제2 표면(73d) 및 시트 부재(80)의 표면에 의하여 협지된다. 이와 같이, 세경의 낚싯줄은, 제2 돌출부(75)에 의하여, 도입 측으로의 이동이 저지되기 때문에, 홈부(76) 및 시트 부재(80)의 사이로, 한층 더 이동하여 계지가 빠지는 일이 없다. 이 때문에, 세경의 낚싯줄의 계지 위치가 안정되고, 세경의 낚싯줄을 줄 계지구(70)에 의하여 확실히 계지할 수 있다.
즉, 줄 계지구(70)에서는, 낚싯줄이 세경인 경우, 낚싯줄은, 제2 표면(73d) 및 시트 부재(80)의 표면에 의하여 계지된다. 한편으로, 낚싯줄이 태경인 경우, 낚싯줄은, 홈부(76)에 있어서의 중앙부의 저부 및 스커트부(43)의 표면(오목부(45a)의 저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홈부(76)에 있어서의 양 단부의 저부 및 시트 부재(80)의 표면에 의하여 계지된다. 이와 같이, 낚싯줄이 세경 및 태경 중 어느 것이어도, 낚싯줄의 계지 위치가 안정되고, 낚싯줄을 줄 계지구(70)에 의하여 확실히 계지할 수 있다.
덧붙여, 접속면(73i)은, 낚싯줄을 계지할 때에, 제2 표면(73d)(도입면(73h))으로부터 도입면(73h)(제2 표면(73d))으로 낚싯줄을 이끌 뿐만 아니라, 계지된 낚싯줄을 뗄 때에도, 낚싯줄이 제2 표면(73d)에 걸리지 않게 하기 위하여도 유용하다. 특히, 세경의 낚싯줄의 경우, 장착부(71) 측의 단부에 계지되었다고 하여도, 낚싯줄이 구부러지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낚싯줄에 부담(부하)을 주는 일 없이 낚싯줄을 확실히 계지할 수 있다.
<변형예>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줄 계지구(70)가 시트 부재(80)를 통하여 스커트부(43)에 배치되는 경우의 일례를 나타내었다. 이것에 대신하여, 시트 부재(80)를 이용하는 일 없이, 줄 계지구(70)를 스커트부(143)에 배치하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커트부(143)는, 낚싯줄을 배치 가능한 구멍부(143a)(구멍부의 일례)를 가진다. 구멍부(143a)는, 오목부(45a)의 저부에 오목 형상으로 형성된다. 낚싯줄은, 줄 계지구(70)의 홈부(76) 및 구멍부(143a)의 사이에 배치 가능하다. 구멍부(143a)에는, 줄 계지구(70)의 제1 돌출부(74) 및 제2 돌출부(75)가 배치된다. 덧붙여, 여기에서는, 구멍부(143a)가 바닥이 있는 구멍부인 경우의 예를 나타내지만, 구멍부(143a)는 관통 구멍이어도 무방하다.
스커트부(143)는, 줄 계지구(70)의 제2 표면(73d)에 대하여 접촉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세하게는, 줄 계지구(70)가 스풀(4)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스커트부(143)의 오목부(45a)의 저부는, 줄 계지구(70)의 제1 표면(73c) 및 제2 표면(73d)에 대하여 접촉한다.
이 구성에 있어서도, 낚싯줄은, 상기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줄 계지구(70)에 의하여 계지된다. 예를 들어, 낚싯줄이 세경인 경우, 낚싯줄은, 줄 계지구(70)의 제2 표면(73d) 및 스커트부(143)의 외주면에 의하여 협지된다. 한편으로, 예를 들어, 낚싯줄이 태경인 경우, 낚싯줄의 일부가, 홈부(76)에 있어서의 중앙부의 저부 및 구멍부(143a)의 저부의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낚싯줄의 다른 부분은, 홈부(76)에 있어서의 양 단부의 저부 및 스커트부(143)의 외주면에 의하여 협지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여도, 상기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낚싯줄을, 줄 계지구(70)를 이용하여, 스풀(4)에 계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특히, 본 명세서에 쓰여진 복수의 실시 형태 및 변형예는 필요에 따라 임의로 조합 가능하다.
(a)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계지구 본체(72) 및 장착부(71)가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의 예를 나타내었지만, 계지구 본체(72) 및 장착부(71)가 별체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 계지구 본체(72)는, 예를 들어 엘라스토머와 같은 열 가소성 수지에 의하여 성형된다. 장착부(71)는, 계지구 본체(72)와 같은 재질이어도, 계지구 본체(72)와 다른 재질이어도 무방하다.
(b)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낚싯줄이 세경인 경우와 낚싯줄이 태경인 경우로 나누어, 낚싯줄의 계지 형태가 설명되었다. 그러나, 낚싯줄은, 그 굵기에 관계없이, 제2 표면(73d) 및 이 제2 표면(73d)에 대향하는 부분의 사이와,홈부(76) 및 이 홈부(76)에 대향하는 부분과의 사이에서 협지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2 표면(73d)에 대향하는 부분, 및 홈부(76)에 대향하는 부분은, 시트 부재(80)의 표면에 대응한다. 덧붙여, 변형예에서는, 제2 표면(73d)에 대향하는 부분, 및 홈부(76)에 대향하는 부분은, 스커트부(143)의 외주면에 대응한다.
(c)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낚싯줄이, 제2 구멍부(80b)(또는 구멍부(143a))에 배치되는 경우의 예를 나타내었다. 이 경우, 낚싯줄은, 단지 제2 구멍부(80b)(또는 구멍부(143a))에 배치되는 것만으로도 무방하고, 제2 구멍부(80b)(또는 구멍부(143a))에 있어서 홈부(76)의 저부와 스커트부(43, 143)의 외주면에 의하여 협지되어도 무방하다.
1: 스피닝 릴
4: 스풀
41: 줄 감기 몸통부
43: 스커트부
70: 줄 계지구
71: 장착부
72: 계지구 본체
73: 본체부
74: 제1 돌출부
75: 제2 돌출부
76: 홈부(오목부의 일례)
80: 시트 부재
80a: 제1 구멍부
80b: 제2 구멍부(구멍부의 일례)
143a: 구멍부(구멍부의 일례)

Claims (14)

  1. 스피닝 릴의 스풀에 장착 가능한 장착부와, 낚싯줄을 계지(係止) 가능한 계지구(係止具) 본체를 가지는 줄 계지구에 있어서,
    상기 계지구 본체는,
    상기 장착부로부터 연설(延設)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로부터 돌출하는 제1 돌출부와,
    상기 장착부 및 상기 제1 돌출부의 사이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로부터 돌출하는 제2 돌출부와,
    상기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2 돌출부의 사이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 오목 형상으로 형성되는 오목부
    를 구비하는 스피닝 릴의 줄 계지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외연부(外緣部) 및 상기 오목부의 사이에 설치되는 테이퍼부와, 상기 장착부 및 상기 오목부의 사이에 있어서 상기 테이퍼부로부터 팽출하는 비(非)테이퍼부를 가지는,
    스피닝 릴의 줄 계지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외연부의 우각부(隅角部)로부터 상기 장착부로 낚싯줄을 이끌기 위한 도입면을 가지는,
    스피닝 릴의 줄 계지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장착부 및 상기 제2 돌출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표면과 상기 도입면을 접속하는 접속면을 더 가지는,
    스피닝 릴의 줄 계지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계지구 본체는, 열 가소성 수지인,
    스피닝 릴의 줄 계지구.
  6. 낚싯줄을 외주면에 감기 가능하게 구성되는 줄 감기 몸통부와,
    상기 줄 감기 몸통부에 설치되고, 상기 줄 감기 몸통부보다 대경(大徑)으로 구성되는 스커트부와,
    상기 스커트부에 배치되는,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줄 계지구
    를 구비하는 스피닝 릴의 스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커트부 및 상기 줄 계지구의 사이에 배치되고, 낚싯줄을 배치 가능한 구멍부를 가지는 시트 부재
    를 더 구비하는 스피닝 릴의 스풀.
  8. 제7항에 있어서,
    낚싯줄은, 상기 구멍부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 및 상기 스커트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스피닝 릴의 스풀.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부에는, 상기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2 돌출부가 배치되는,
    스피닝 릴의 스풀.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부재는, 상기 장착부 및 상기 제2 돌출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본체부의 표면에 대하여, 접촉 가능하게 구성되고,
    낚싯줄은, 상기 표면 및 상기 시트 부재의 사이에 배치되는,
    스피닝 릴의 스풀.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커트부는, 낚싯줄을 배치 가능한 구멍부를 가지는,
    스피닝 릴의 스풀.
  12. 제11항에 있어서,
    낚싯줄은, 상기 구멍부 및 상기 오목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스피닝 릴의 스풀.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부에는, 상기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2 돌출부가 배치되는,
    스피닝 릴의 스풀.
  14.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커트부는, 상기 장착부 및 상기 제2 돌출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본체부의 표면에 대하여, 접촉 가능하게 구성되고,
    낚싯줄은, 상기 표면 및 상기 스커트부의 표면의 사이에 배치되는,
    스피닝 릴의 스풀.

KR1020180124942A 2017-12-28 2018-10-19 스피닝 릴의 줄 계지구, 및 줄 계지구를 가지는 스피닝 릴의 스풀 KR1026622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253126A JP6978310B2 (ja) 2017-12-28 2017-12-28 スピニングリールの糸係止具、及び糸係止具を有する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JPJP-P-2017-253126 2017-1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0727A true KR20190080727A (ko) 2019-07-08
KR102662297B1 KR102662297B1 (ko) 2024-05-02

Family

ID=65364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4942A KR102662297B1 (ko) 2017-12-28 2018-10-19 스피닝 릴의 줄 계지구, 및 줄 계지구를 가지는 스피닝 릴의 스풀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765095B2 (ko)
JP (1) JP6978310B2 (ko)
KR (1) KR102662297B1 (ko)
CN (1) CN110012877B (ko)
DE (1) DE102018222717B4 (ko)
GB (1) GB2571001B (ko)
TW (1) TWI77698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90942A1 (ja) * 2019-11-07 2021-05-14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線状体の巻き取り装置および線状体の製造方法
CN112262828A (zh) * 2020-11-19 2021-01-26 许一帆 一种可实现缓冲的定位卡线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6067U (ja) * 1981-07-23 1983-02-01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リ−ルの釣糸止め装置
JPH11206298A (ja) * 1998-01-23 1999-08-03 Fuji Kogyo Kk 魚釣リール用のライン止めバンド
JP2003284459A (ja) * 2002-03-28 2003-10-07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JP2010142220A (ja) * 2008-12-22 2010-07-01 Shimano Components Malaysia Sdn Bhd 釣り用リールの糸止め及び糸止め組立体
JP2015023837A (ja) * 2013-07-26 2015-02-05 株式会社シマノ 糸係止具及び糸係止具が装着された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JP2017201888A (ja) 2016-05-09 2017-11-16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釣糸を係止する釣糸係止具を有するスピニングリール用スプール及び当該スプールを備えたスピニングリール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75639A (en) * 1988-07-26 1989-10-24 Zebco Corporation Depth setting device for a spinning reel
US4883238A (en) * 1988-12-23 1989-11-28 The Orvis Company, Inc. Fly fishing reel with a line retainer
JPH10276629A (ja) * 1997-04-04 1998-10-20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ベールアーム
JP2002306032A (ja) * 2001-04-16 2002-10-22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ベール反転装置
JP2003088280A (ja) * 2001-09-14 2003-03-25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リール本体
AU2002353100A1 (en) * 2001-12-10 2003-07-09 Better Fishtrap,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a quick-change spool system
JP3970033B2 (ja) * 2002-01-22 2007-09-05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リールの発音装置
JP3899117B1 (ja) * 2006-09-15 2007-03-28 冨士太 木村 糸巻き
JP2010187544A (ja) * 2008-07-31 2010-09-02 Globeride Inc 魚釣用リール
US7850115B2 (en) * 2009-02-23 2010-12-14 Mccall Richard E Fishing line dispensing arrangement and method
GB2505009B (en) * 2012-08-12 2014-11-26 Dennis Perrin A spool for a fixed spool fishing reel
JP5997994B2 (ja) * 2012-09-25 2016-09-28 株式会社エバーグリーンインターナショナル 魚釣り用リールのハンドル
JP6039454B2 (ja) * 2013-02-18 2016-12-07 シマノコンポネンツ マレーシア エスディーエヌ.ビーエッチディー. スピニングリールの糸係止具及びそれを用いた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EP2829174B1 (en) * 2013-07-26 2017-04-12 Shimano Inc. Line clip and a spool of a spinning reel to which the line clip is mounted
JP2015043728A (ja) * 2013-08-28 2015-03-12 株式会社シマノ コイルドウェーブスプリング、及びドラグつまみ
JP6416693B2 (ja) * 2015-05-19 2018-10-31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6067U (ja) * 1981-07-23 1983-02-01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リ−ルの釣糸止め装置
JPH11206298A (ja) * 1998-01-23 1999-08-03 Fuji Kogyo Kk 魚釣リール用のライン止めバンド
JP2003284459A (ja) * 2002-03-28 2003-10-07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JP2010142220A (ja) * 2008-12-22 2010-07-01 Shimano Components Malaysia Sdn Bhd 釣り用リールの糸止め及び糸止め組立体
JP2015023837A (ja) * 2013-07-26 2015-02-05 株式会社シマノ 糸係止具及び糸係止具が装着された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JP2017201888A (ja) 2016-05-09 2017-11-16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釣糸を係止する釣糸係止具を有するスピニングリール用スプール及び当該スプールを備えたスピニングリ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012877B (zh) 2022-05-10
TW201929660A (zh) 2019-08-01
DE102018222717B4 (de) 2023-11-02
US10765095B2 (en) 2020-09-08
US20190200591A1 (en) 2019-07-04
JP6978310B2 (ja) 2021-12-08
DE102018222717A1 (de) 2019-07-04
KR102662297B1 (ko) 2024-05-02
JP2019118270A (ja) 2019-07-22
GB2571001B (en) 2020-03-18
GB201821123D0 (en) 2019-02-06
GB2571001A (en) 2019-08-14
CN110012877A (zh) 2019-07-16
TWI776987B (zh) 2022-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80727A (ko) 스피닝 릴의 줄 계지구, 및 줄 계지구를 가지는 스피닝 릴의 스풀
JP2008043362A (ja) ミシン用の糸立て具
CN113367104B (zh) 钓线引导件和包括该钓线引导件的钓竿
JP2016010352A (ja) フックキーパ付き釣竿
US8317120B2 (en) Mounting for a rope pulley
KR20140103819A (ko) 스피닝 릴의 줄 계지구 및 그것을 이용한 스피닝 릴의 스풀
CN112931440B (zh) 旋压绕线轮的线引导机构
US20210153487A1 (en) Line guide mechanism for spinning reel
JP5237693B2 (ja) スプール
JP6405774B2 (ja) 筆記具
JP6640029B2 (ja) 釣り竿の穂先部材
US11937591B1 (en) Line feeding mechanism for interline fishing rods and related apparatus
EP3300596A1 (en) Line stopper for fishing spinning reel and fishing spinning reel
KR20040012497A (ko) 낚싯대
KR102118292B1 (ko) 낚시릴의 풀림 방지용 핸들손잡이 고정장치
US11344013B1 (en) Fishook and line holder, fishing pole with holder, kit and method
CN113968522B (zh) 线状体尾线保持夹具
US20230292725A1 (en) Fishing line preparation instrument for fishing rod guide ring
KR100334034B1 (ko) 라인롤러를 구비한 낚시용 스피닝릴
CN118076225A (zh) 钓鱼用旋压式卷线器的卷筒
JPH09131150A (ja) 魚釣用リールの釣糸係止構造
JP2000279057A (ja) 釣 竿
JP2002354970A (ja) 釣 竿
JP2005031521A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接続補助器および該補助器を用いた光ファイバケーブル接続方法
KR980008084U (ko) 보빈용 텐션 캡의 개량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