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4034B1 - 라인롤러를 구비한 낚시용 스피닝릴 - Google Patents

라인롤러를 구비한 낚시용 스피닝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4034B1
KR100334034B1 KR1020000009315A KR20000009315A KR100334034B1 KR 100334034 B1 KR100334034 B1 KR 100334034B1 KR 1020000009315 A KR1020000009315 A KR 1020000009315A KR 20000009315 A KR20000009315 A KR 20000009315A KR 100334034 B1 KR100334034 B1 KR 1003340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fishing line
fishing
line roller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9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84345A (ko
Inventor
오카다아쓰히토
Original Assignee
우라카미 히로시
료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라카미 히로시, 료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우라카미 히로시
Priority to KR10200000093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4034B1/ko
Publication of KR200100843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43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40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40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06B7/08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라인롤러를 구비한 낚시용 스피닝릴로서, 낚시줄의 일부(라인롤러기구와 스풀 사이의 낚시줄)에 장력을 부여하면서, 낚시줄을 낚시대의 선단측으로부터 스풀에 도입하기 위한 라인롤러기구를 구비한 스피닝릴이다.
라인롤러기구는 제1 축 끝면을 가지는 제1 라인롤러와, 이 제1 축 끝면에 대향하는 제2 축 끝면을 가지는 제2 라인롤러를 구비한다.
제1, 제2 축 끝면은 낚시줄 접촉면으로서 기능하고, 양자간에 낚시줄 안내홈을 구분한다. 낚시줄 접촉면 사이의 거리는 스풀방향으로 향함에 따라서 서서히 좁아지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라인롤러를 구비한 낚시용 스피닝릴{SPINNING REEL HAVING LINE ROLLER MECHANISM}
본 발명은 라인롤러를 구비한 낚시용 스피닝릴에 관한 것이다.
낚시용 스피닝릴은, 릴본체의 앞부분에 배치한 스풀의 낚시줄 감기부에 릴본체의 앞쪽으로부터의 낚시줄을 라인롤러에 의해 안내하면서 감도록 되어 있으며, 라인롤러로부터 낚시줄을 벗김으로써, 스풀의 낚시줄 감기부에 감겨진 낚시줄을 풀어내도록 되어 있다.
또, 낚시용 스피닝릴에는, 낚시줄을 감기 위해 핸들에 의해 스풀 자체를 회전시키는 것과, 라인롤러를 스풀의 주위에서 회전시키는 것이 있다.
또, 낚시줄을 스풀의 낚시줄 감기부에 균일하게 감기 위해 스풀 자체를 릴본체의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는 것과, 라인롤러를 릴본체의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는 것이 있다.
그러나, 이들 낚시용 스피닝릴은, 원통형 스풀의 외주에 감겨진 낚시줄을 원통형 스풀의 축심(軸芯)방향, 즉 릴 전방으로 풀어 내는 구성이므로, 낚시줄을 풀어낼 때마다 낚시줄에 꼬임이 축적되기 쉽고, 낚시대에의 줄의 감김이나 줄의 얽힘 등을 일으키기 쉽다.
또 이들 낚시용 스피닝릴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릴본체의 전방으로 풀어낸 낚시줄(1)을 라인롤러(2)에 의해 만곡시켜서, 스풀(3)의 외주면 방향으로 안내하여 스풀(3)의 낚시줄 감기부에 감는 구성이다.
그러므로, 도면중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낚시줄(1)의 장력이 큰 경우는 문제가 없다. 그러나, 도면중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경량의 낚시바늘채비나 루어를 회수할 때, 작은 물고기를 잡아 올렸을 때 등과 같이 낚시줄(1)의 장력이 작은 경우는 낚시줄(1)이 라인롤러(2)에서 충분이 만곡되지 않은 상태에서 안내되어, 스풀(3)에의 낚시줄 감기 위치가 후방으로 치우쳐 스풀(3)에의 권착력(卷着力)이 부족하게 된다.
그러므로, 백래시( back lash) 등을 일으키기 쉽고, 또한 투척시에 비산 거리를 내기 어렵다.
이 백래시 등을 방지하기 위해, 일본국 실용신안등록 제3004671호 공보는, 라인롤러의 가까이에, 이것에 안내되는 낚시줄을 협지하는 롤러 등의 접촉부재를 배치하여, 줄 얽힘을 제거하는 것을 제안한다.
그러나, 이 구성에 의하면, 줄을 풀어 낼 때에 라인롤러로부터 낚시줄이 이탈하는 문제를 일으킨다.
또, 낚시줄을 감을 때에 라인롤러에 낚시줄이 걸릴 때마다 접촉부재에 낚시줄이 걸린다거나 하는 문제를 일으킨다.
또, 일본국 특개평 9(1997)-107852호 공보는, 라인롤러 한쪽의 측벽부를 다른쪽의 측벽부와는 별체로 형성하고, 이 한쪽의 측벽부를 다른쪽의 측벽부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고 또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여, 양 측벽부를 그들 접촉면이 좁아지는 방향으로 부세수단에 의해 탄성 부세함으로써 줄 얽힘을 제거하는 것을 제안한다.
그러나, 이 구성에 의하면, 양 측벽부가 동일 축심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양 측벽부의 대향면 전체면을 부세수단의 탄성에 의해 접촉시키는 것이므로, 낚시줄에 소정 이상의 장력이 걸려 있지 않으면, 양 측벽부의 대향면 사이에 낚시줄이 들어가 협지되지 않는다.
또, 낚시줄은 라인롤러의 낚시줄 안내 외주면상에서 만곡되면서 안내되어,낚시줄의 양측면 전역을, 양 측벽부의 대향면에 의해 협지되므로, 낚시줄에의 부하가 커져서 줄 끊김의 원인이 된다.
또, 물고기의 당김 등으로 라인롤러가 풀어 내기 방향으로 회전하면, 양 측벽부의 대향면 사이에서 낚시줄이 벗겨져 버리는 문제도 있다.
또, 낚시줄이 양 측벽부에 협지된 부분의 전체에 협지력(挾持力)이 부가되어협지력이 분산되므로, 낚시줄이 라인롤러상에서 미끄러지기 쉬워지고, 낚시줄을 당기기 위한 텐션이 약해진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한쪽의 측벽부는 다른쪽의 라인롤러를 그 외주면에 대향하여 회전 가능하고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한쪽의 측벽부의 외주면이 직경이 크게 되고, 또 한쪽의 측벽부가 다른쪽의 측벽부 외주면상에서 기울어져 슬라이드하는 것은 곤란하며, 양 측벽부 사이에 낚시줄이 들어가기 어려워질뿐만이 아니라, 라인롤러의 회전시에 양 측벽부끼리가 서로 마찰되어 이음(異音)을 낸다는 문제도 있다.
또한, 한쪽의 측벽부는 다른쪽의 측벽부에 지지되고, 다른쪽의 측벽부는 베어링을 통하여 라인롤러의 지지부에 지지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그만큼 라인롤러 지지부 위에서의 한쪽의 측벽부의 유동(遊動)이 커져서, 라인롤러의 지지부위의 커버에 접촉하여 라인롤러의 회전을 저해하거나, 또는 낚시줄의 얽힘이나 장력부가에 지장을 초래한다는 문제도 있다.
또, 양 측벽부는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며, 상호간에 회전차가 생기는 경우가 있으므로, 예를들면 한쪽만 회전하는 등 양자의 회전이 동조하지 않는 경우는,낚시줄에 줄 얽힘이 생긴다는 문제가 있다.
일본국 특개평 9(1997)-148749호 공보는, 브쉬를 통하여 구름 베어링에 라인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 스피닝릴에 대하여 개시(開示)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낚시줄이 라인롤러의 안내홈에 접촉할 때에, 낚시줄에 부착된 해수(海水) 등의 물방울이 라인롤러와 브쉬와의 사이나, 브쉬와 베어링 지지부재와의 사이에 들어갈 가능성이 있다.
이들 사이에 체류한 물방울은 이들 부품을 부식시키고, 또한 해수의 경우에 있어서는, 염분의 결정이 부품 사이에 부착되어 라인롤러의 회전 불량의 원인으로 된다.
본 발명은, 낚시줄을 감을 때에 낚시줄을 스풀상에 균일한 두께로 감을 수 있는 낚시용 스피닝릴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낚시줄을 감을 때에 낚시줄의 꼬임이 생기지 않는 낚시용 스피닝릴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라인롤러 가까이에 고인 물을 배출할 수 있는 낚시용 스피닝릴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스피닝릴을 낚시대에 장착했을 때에, 대 끝의 앞쪽과 대 뒤끝의 뒤쪽을 구비한 릴본체(4)와, 이 릴본체의 앞쪽에 위치하여 낚시대의 대 끝방향으로 연장되는 낚시줄을 감는 스풀(8)과, 이 릴본체의앞쪽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로터(5)와, 이 로터에 배설되고, 이 스풀의 주위를 주회(周回)이동 가능한 벨암어셈블리(13),(14),(15)와, 이 벨암어셈블리에 설치된 라인롤러기구(16)를 구비하고, 이 라인롤러기구는 제1 낚시줄 접촉면(17a),(70b) 을 가지는 제1 라인롤러(16a),(71b)와, 이 제1 낚시줄 접촉면에 대향 배치된 제2 낚시줄 접촉면(17b),(70a)을 가지는 제2 라인롤러(16b),(71a)와, 이 제1 제2 낚시줄 접촉면 사이의 거리를 감소하는 방향으로, 적어도 제1 또는 제2 라인롤러중 어느 하나를 부세하는 부세부재(23),(30),(32)를 구비하고, 이 제1, 제2 라인롤러는, 이 대 끝쪽이 전단측이며, 이 대 뒤끝이 후단측이고, 이 제1, 제2 낚시줄 접촉면은 양자간에 낚시줄 안내홈을 규정하여, 이 후단측에 있어서의 이 제1, 제2 낚시줄 접촉면 사이의 거리가, 이 전단측에 있어서의 이 제1, 제2 낚시줄 접촉면 사이의 거리보다 작게 형성되고, 낚시줄을 감는 도중에 있어서, 낚시줄은 대의 끝쪽으로부터 이 전단측의 낚시줄 안내홈에 도입되고, 이 후단측의 제1, 제2 낚시줄 접촉면 사이에서 눌러지면서 이 스풀에 안내되는 스피닝릴을 제공하고 있다.(도 2 ~ 도 29, 도 33a ~ 도 41, 도 60 ~ 도 64, 도 66a ~ 도 85b)
또, 이 라인롤러기구는 또한, 제1 지지수단(19a)와 제2 지지수단(19b)을 구비하고, 이 제1 지지수단은 이 벨암어셈블리에 설치되어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을 가지고, 이 제1 라인롤러(16a)는 이 제1 지지수단에 동축적으로 또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제2 지지수단은 이 제2 라인롤러를 동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이 벨암어셈블리에 배설되는 동시에, 이 제1 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축을 가지고, 이 제1 축과 제2 축은 스피닝릴이 낚시대에 장착되었을 때에 낚시대의 끝쪽으로 돌출하는 방향으로 교차하는 각도를 이루어, 이 낚시줄 안내면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2 ~ 도 29, 도 66a ~ 도74b)
또한, 이 라인롤러기구는 이 부세수단의 부세력을 조정하기 위해, 이 벨암어셈블리에 배설된 조절부재(20)를 다시 배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2 ~ 도 9, 도 11 ~ 도 19, 도 23a ~ 도 25)
또, 이 제1 지지수단은 이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원통형 로드부재 (19a)를 구비하고, 이 제2 지지수단은 이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원통형 로드부재(19b)를 구비하고, 이 제1 원통형 로드부재와의 교차부분에서, 이 제1 원통형 로드부재와 일체화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14, 도 17, 도 22)
또, 이 제1 라인롤러 또는 제2 라인롤러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이동을 촉진하기 위해, 이 라인롤러기구는 이 제1 지지수단 또는 제2 지지수단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칼라(31,41)가 다시 배설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10, 도 20 ~ 도 22, 도 27, 도 28)
또, 이 제1 또는 제2 지지수단중 어느 하나는 구면부(球面部)를 구비하고, 그 주위에 대응하는 제1 또는 제2 라인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배설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12, 도 13, 도 15)
또, 이 제1 또는 제2 지지수단중 어느 하나는, 대응하는 제1 또는 제2 라인롤러의 축의 방향을 바꾸는 수단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17)
또, 이 제1 낚시줄 접촉면과 이 제2 낚시줄 접촉면의 적어도 어느 한쪽은 알 (R)면(48),(49)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74)
또, 이 제1 낚시줄 접촉면과 이 제2 낚시줄 접촉면의 적어도 어느 한쪽은 낚시대와 평행으로 연장되고, 다른쪽의 낚시줄 접촉면은 낚시대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6, 도 24, 도 26)
또, 이 제1 라인롤러는 이 제1 지지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외주면을 구비한 제1 슬리브부재와, 이 슬리브부재의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플랜지부재를 구비하고, 이 제2 라인롤러는 이 슬리브부재의 이 외주면에 걸어 맞춤 가능한 동시에 축방향 끝면을 구비한 제2 슬리브부재를 가지고, 이 외주면의 일부는 이 낚시줄 안내홈의 바닥부를 이루고, 이 플랜지부재는 이 제1 낚시줄 접촉면을 이루며,이 제2 슬리브 부재의 이 축방향 끝면은 이 제2 낚시줄 접촉면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2 ~ 도 29, 도 66 ~ 도 74)
또, 이 라인롤러기구는 이 제1, 제2 라인롤러를 동기(同期) 회전하기 위해, 이 제1, 제2 라인롤러를 접속하는 동기회전기구(50),(51)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23 ~ 도 29)
또, 이 벨암어셈블리에는 배수공(52)이 형성되어, 이 라인롤러기구의 내부와 외기를 도통(導通)시키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23 ~ 도 29)
또, 이 라인롤러기구는 제1 지지수단(19a),(73)과 제2 지지수단(19b) ,(84)을 구비하고, 이 제1 지지수단은, 이 벨암어셈블리에 설치되어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축을 가지고, 이 제1 라인롤러가 이 제1 지지수단에 동축적으로 설치되고, 이 제2 지지수단은, 이 벨암어셈블리에 형성되며, 이 제1 축과 동일 직선형의 제2 축을 가지며, 이 제2 라인롤러가 이 제2 지지수단에 동축적으로 설치되고, 이렇게 하여 제1 , 제2 라인롤러는 동축적으로 배치되어 제1 라인롤러 또는 제2 라인롤러중 어느 한쪽은 관련되는 제1 지지수단 또는 제2 지지수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다른쪽은 관련되는 제1 지지수단 또는 제2 지지수단에 대하여 회전 불능하게 된 측의 롤러의 제1 또는 제2 낚시줄 접촉면에는 이 후단측을 향하여 제1, 제2 낚시줄 접촉면 사이의 거리가 차례로 좁아져 가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도 바람직하다.(도 33a ~ 도 41, 도 60 ~ 도 64, 도 75 ~ 도 85)
또한, 이 라인롤러기구는 다시, 이 제1, 제2 라인롤러중 어느 한쪽의 회전고정위치를 조정하는 수단이 형성되고, 이 제1 또는 제2 라인롤러중 어느 한쪽의 회전고정위치를 조절하여, 이 경사면의 위치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33a ~ 도 41, 도 60 ~ 도 64)
또, 이 라인롤러기구는 이 부세수단의 부세력을 조정하기 위해, 이 벨암어셈블리에 배설된 조절부재(20,75)를 다시 배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33a ~ 도 41, 도 60 ~ 도 64)
또, 이 제1 낚시줄 접촉면과 이 제2 낚시줄 접촉면중 적어도 어느 한쪽은, 알(R)면(48),(49)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85)
또, 이 제1 라인롤러는 이 제1 지지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외주면을 구비한 제1 슬리브부재와, 이 슬리브부재의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플랜지부재를 구비하고, 이 제2 라인롤러는 이 슬리브부재의 이 외주면에 걸어 맞춤이 가능한 동시에 축방향 끝면을 구비한 제2 슬리브부재를 가지고, 이 외주면의 일부는 이 낚시줄 안내홈의 바닥부를 이루고, 이 플랜지부재는 이 제1 낚시줄 접촉면을 이루며, 이 제2 슬리브 부재의 이 축방향 끝면은 이 제2 낚시줄 접촉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33a ~ 도 41)
또, 이 플랜지부재의 반경방향 바깥부는 제2 슬리브부재방향으로 돌출하고, 이 제2 슬리브부재의 반경방향 바깥부는, 이 플랜지부재 방향으로 돌출하고, 이 플랜지부재의 반경방향 바깥부와 접촉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79)
또, 이 플랜지부재는 이 제2 슬리브부재를 향하여 점차로 직경이 감소하는 외주면을 구비하고, 이 제2 슬리브부재는 이 플랜지부재를 향하여 점차로 직경이 감소하는 외주면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76, 도 77)
또, 이 제1 슬리브부재의 외주면의 직경은, 이 플랜지부를 향하여 서서히 직경이 작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84)
또, 이 제1 라인롤러는 내부 롤러(78)와, 외부 롤러(71b)를 구비하고, 이 이 내부 롤러(78)의 외주면(78a)에는 낚시줄이 위치되고, 제1 슬리브부재(79a)는 이 내부 롤러를 에워싸고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동시에 이 제1 낚시줄 접촉면으로서 기능하는 제1 끝면을 구비하고, 이 제2 라인롤러(79a)는 이 내부 롤러를 에워싸고, 이 제1 끝면과 대향하고 이 제2 낚시줄 접촉면으로서 기능하는 제2 끝면을 구비하고, 이 제2 라인롤러의 회전위치가 조절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60 ~ 도64)
또, 이 제1, 제2 라인롤러와 이 스풀과의 사이에, 이 낚시줄의 스풀축 방향에 있어서의 전방측으로의 편향(偏向)을 규제하는 규제부재를 형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다.(도 87 ~ 도 92)
또, 이 규제부재는 이 낚시줄의 접촉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90 ~ 도 92)
도 1은 종래의 스피닝릴의 낚시줄 감기 동작을 나타낸 개략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낚시용 스피닝릴의 부분 절결 측면도로, 벨암이 낚시줄 감기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에 나타낸 낚시용 스피닝릴의 부분 절결 정면도.
도 4는 라인롤러기구의 종단면도이며,
4a 는 낚시줄을 제거한 상태로 나타내고,
4b 는 낚시줄을 건 상태로 나타낸 도면.
도 5는 라인롤러기구를 그 회전축을 포함한 평면으로 잘라서 나타낸 횡단면도이며,
5a 는 낚시줄을 제거한 상태로 나타내고,
5b 는 낚시줄을 건 상태로 나타낸 도면.
도 6은 라인롤러기구의 평면도이며,
6a 는 낚시줄을 제거한 상태로 나타내고,
6b 는 낚시줄을 건 상태로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관한 라인롤러기구에 의한 감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실시형태 2에 관한 라인롤러기구를 나타낸 횡단면도.
도 9는 실시형태 3에 관한 라인롤러기구를 나타낸 횡단면도.
도 10은 실시형태 4에 관한 라인롤러기구를 나타낸 횡단면도.
도 11은 실시형태 5에 관한 라인롤러기구를 나타낸 횡단면도.
도 12는 실시형태 6에 관한 라인롤러기구를 나타낸 횡단면도.
도 13은 실시형태 7에 관한 라인롤러기구를 나타낸 횡단면도.
도 14는 실시형태 8에 관한 라인롤러기구를 나타낸 횡단면도.
도 15는 실시형태 9에 관한 라인롤러기구를 나타낸 횡단면도.
도 16은 실시형태 10에 관한 라인롤러기구를 나타낸 횡단면도.
도 17은 실시형태 11에 관한 라인롤러기구를 나타낸 횡단면도.
도 18은 실시형태 12에 관한 라인롤러기구를 나타낸 횡단면도.
도 19는 실시형태 13에 관한 라인롤러기구를 나타낸 횡단면도.
도 20은 실시형태 14에 관한 라인롤러기구를 나타낸 횡단면도.
도 21은 실시형태 15에 관한 라인롤러기구를 나타낸 횡단면도.
도 22는 실시형태 16에 관한 라인롤러기구를 나타낸 횡단면도.
도 23은 실시형태 17에 관한 라인롤러기구의 종단면도이며,
23a 는 낚시줄을 방출한 상태로 나타내고,
23b 는 낚시줄을 건 상태로 나타낸 도면.
도 24는 실시형태 17에 관한 라인롤러기구를 나타낸 평면도.
도 25는 도 24의 수평단면도.
도 26은 실시형태 18에 관한 라인롤러기구를 나타낸 평면도.
도 27은 도 26의 수평단면도.
도 28은 실시형태 19에 관한 라인롤러기구를 나타낸 평면도.
도 29는 도 28중의 ⅩⅩⅩⅤⅠⅠⅠ- ⅩⅩⅩⅤⅠⅠⅠ에서 본 단면도.
도 30은 실시형태 20에 의한 라인롤러기구의 종단면도이며,
30a 는 낚시줄을 제거한 상태로 나타내고,
30b 는 낚시줄을 건 상태로 나타낸 도면.
도 31은 도 30a중의 ⅩⅩⅩⅠ - ⅩⅩⅩⅠ에서 본 단면도.
도 32는 도 30b중의 ⅩⅩⅩⅠⅠ - ⅩⅩⅩⅠⅠ에서 본 단면도.
도 33은 실시형태 21에 관한 라인롤러기구의 종단면도이며,
33a 는 낚시줄을 제거한 상태로 나타내고,
33b 는 낚시줄을 건 상태로 나타낸 도면.
도 34는 실시형태 21에 관한 라인롤러기구를 라인롤러지지부와 함께 나타낸 도 33a 중의 ⅩⅩⅩⅠⅤ에서 본 도면.
도 35는 도 34에 나타낸 라인롤러기구의 수평단면도.
도 36은 실시형태 21에 관한 라인롤러기구를 라인롤러지지부와 함께 나타낸 도 33b 중의 ⅩⅩⅩⅤⅠ에서 본 도면.
도 37은 도 36에 나타낸 라인롤러기구의 수평단면도.
도 38은 감는 중의 낚시줄과 라인롤러기구와의 관계를 나타낸 모식도.
도 39는 실시형태 22에 관한 라인롤러기구를 라인롤러지지부와 함께 나타낸 도 36과 동일한 도면으로, 낚시줄을 제거한 상태로 나타낸 도면.
도 40은 실시형태 22에 관한 라인롤러기구를 라인롤러지지부와 함께 나타낸 도 36과 동일한 도면으로, 낚시줄을 건 상태로 나타낸 도면.
도 41은 감는 중의 낚시줄과 라인롤러기구와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42는 실시형태 23에 관한 라인롤러기구를 라인롤러지지부와 함께 나타낸 도 31과 동일한 단면도.
도 43은 실시형태 24에 관한 라인롤러기구를 라인롤러지지부와 함께 나타낸 도 31과 동일한 단면도.
도 44는 실시형태 25에 관한 라인롤러기구를 라인롤러지지부와 함께 나타낸 도 31과 동일한 단면도.
도 45는 실시형태 26에 관한 라인롤러기구를 라인롤러지지부와 함께 나타낸 도 31과 동일한 단면도.
도 46은 실시형태 27에 관한 라인롤러기구를 라인롤러지지부와 함께 나타낸 도 31과 동일한 단면도.
도 47은 실시형태 28에 관한 라인롤러기구를 라인롤러지지부와 함께 나타낸 도 31과 동일한 단면도.
도 48은 실시형태 29에 의한 낚시줄을 제거한 상태로 나타낸 도면.
도 49는 도 48에 있어서 낚시줄을 건 상태로 나타낸 도면.
도 50은 실시형태 29에 의한 라인롤러기구를 나타낸 개략 단면도.
도 51은 실시형태 30에 관한 라인롤러기구를 나타낸 도 48과 동일한 단면도로, 낚시줄을 제거한 상태로 나타낸 도면.
도 52는 도 51에 있어서 낚시줄을 건 상태로 나타낸 도면.
도 53은 실시형태 31에 관한 라인롤러기구를 나타낸 도 48과 동일한 단면도로, 낚시줄을 제거한 상태로 나타낸 도면.
도 54는 도 53에 있어서 낚시줄을 건 상태로 나타낸 도면.
도 55는 실시형태 32에 관한 라인롤러기구를 나타낸 도 48과 동일한 단면도로, 낚시줄을 제거한 상태로 나타낸 도면.
도 56은 도 55에 있어서 낚시줄을 건 상태로 나타낸 도면.
도 57은 실시형태 33에 관한 라인롤러기구를 나타낸 도 48과 동일한 단면도로, 낚시줄을 제거한 상태로 나타낸 도면.
도 58은 도 57에 있어서 대향 접촉면을 오른쪽으로 편의(偏倚) 조정하여 낚시줄을 건 상태로 나타낸 도면.
도 59는 도 57에 있어서 대향 접촉면을 왼쪽으로 편의(偏倚) 조정하여 낚시줄을 건 상태로 나타낸 도면.
도 60은 실시형태 34에 관한 라인롤러기구를 나타낸 평면도로, 낚시줄을 제거한 상태로 나타낸 도면.
도 61은 도 60에 나타낸 부분의 수평 단면도로, 낚시줄을 제거한 상태로 나타낸 도면.
도 62는 실시형태 34에 관한 라인롤러기구를 나타낸 평면도로, 낚시줄을 건 상태로 나타낸 도면.
도 63은 도 62에 나타낸 부분의 수평 단면도로, 낚시줄을 건한 상태로 나타낸 도면.
도 64는 도 62중 LⅩⅠⅤ - LⅩⅠⅤ 에서 본 단면도.
도 65는 실시형태 35에 관한 라인롤러기구를 나타낸 단면도.
도 66a ∼ 도 74b 는 실시형태 1 내지 실시형태 19의 라인롤러기구(16)의 분할끝면(17a),(17b)에 관한 변경예 1 내지 변경예 9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각각의 a 는 낚시줄 방출상태를 나타내고,
각각의 b 는 낚시줄 감기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5a ∼ 도 79b 및 도 81a ∼ 도 85b 는 실시형태 20 내지 실시형태 34의 라인롤러기구에 관한 제1 변경예 내지 제10 변경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각각의 a 는 낚시줄 방출상태를 나타내고,
각각의 b 는 낚시줄 감기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0은 도 79a, 도 79b의 제5 변경예에 있어서, 낚시줄과 라인롤러기구와의 위치관계를 나타낸 설명도.
도 86은 종래의 낚시줄 안내부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
도 8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6에 관한 낚시용 스피닝릴을 낚시줄 감기 상태로 나타낸 부분 절결 측면도.
도 88은 도 87에 나타낸 낚시용 스피닝릴의 부분 절결 정면도.
도 89a 는 도 87에 나타낸 낚시줄 안내부의 확대 종단면도.
도 89b 는 89a 중 L ⅩⅩⅩⅠⅩ - L ⅩⅩⅩⅠⅩ 에서 본 단면도.
도 90은 실시형태 37에 관한 낚시줄 안내부를 나타내고,
90a 는 낚시줄 안내부의 확대 종단면도,
90b 는 90a 중 ⅩC - ⅩC 선에서 본 단면도.
도 91은 실시형태 38에 관한 낚시줄 안내부를 나타내고,
91a 는 낚시줄 안내부의 확대 종단면도,
91b 는 91a 중 ⅩCⅠ- ⅩCⅠ선에서 본 단면도.
도 92는 실시형태 39에 관한 낚시줄 안내부를 나타내고,
92a 는 낚시줄 안내부의 확대 종단면도,
92b 는 92a 중 ⅩCⅠⅠ- ⅩCⅠⅠ선에서 본 단면도.
도 93은 실시형태 40에 관한 낚시줄 안내부를 나타내고,
93a 는 낚시줄 안내부의 확대 종단면도,
93b 는 93a 중 ⅩCⅠⅠⅠ- ⅩCⅠⅠⅠ선에서 본 단면도.
(실시형태 1)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실시형태 1에 관한 낚시용 스피닝릴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낚시용 스피닝릴은, 릴본체(4)와, 그 앞부분에 배치되는 로터(5)를 가진다. 릴본체(4)의 후부(後部)에는, 대(도시하지 않음)에의 장착다리(6)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릴본체(4)의 앞부분에는, 도시하지 않은 중공 축을 통하여 로터(5)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중공 축은 릴본체(4)내에 수납된 도시하지 않는 기어 등으로 이루어지는 전동기구(傳動機構)를 통하여, 릴본체(4)의 측면에 장착된 핸들(7)과, 동력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낚시줄(1)을 감을 때에 핸들(7)이 회전되면, 로터(5)는 도 2중 화설표 A 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다.
상기 도시하지 않은 중공 축의 중심에는, 스풀축이 삽입되고, 그 선단측에 스풀(8)이 장착되어 있다. 스풀축의 후부는 릴본체(4)내부의 도시하지 않은 오시레이트기구를 통하여, 핸들(7)에 연결되어 있다.
낚시줄(1)을 감을 때에 핸들(7)이 회전되면, 스풀축과 함께 스풀(8)이 전후방향으로 왕복 이동한다.
로터(5)는 그 회전축심에 관하여 거의 대칭인 통형 본체(9)와, 그 통형 본체 (9)의 기단(基端)측의 외주에 형성된 1쌍의 벨암지지암(10),(11)을 가진다.
1쌍의 벨암지지암(10),(11)은, 로터(5)의 회전축심을 협지하여 거의 대칭인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통형 본체(9)와 벨암지지암(10),(11)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벨암지지암(10),(11)의 선단에는, 벨암어셈블리(12)가 장착된다. 벨암어셈블리(12)는 벨암(13)과 그 양단에 각각 장착되는 벨암레버(14)및 벨암홀더(15)를 가지고 있다.
벨암지지부재인 벨암레버(14) 및 벨암홀더(15)는 각각 도시하지 않은 지지점 핀을 통하여, 로터(5)의 벨암지지암(10),(1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 벨암지지암(10),(11)중 어느 하나의 내부에는, 벨암레버(14) 또는 벨암홀더(15)를 나누어, 부세하는 데드 포인트 스프링이 수납되어 있다. 지지점 핀을 중심으로 한 벨암레버(14) 및 벨암홀더(15)의 회전에 의해, 벨암(13)은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낚시줄 감기 위치와 도시하지 않은 낚시줄 방출위치와의 사이를 회동하여, 데드 포인트 스프링의 부세력에 의해 어느 하나의 위치에 지지된다.
벨암(13)을 낚시줄 감기 위치에 회동시키면, 낚시줄(1)이 벨암(13)과 걸어 맞춰져, 그 상태로 로터(5)를 도 2 중 화살표 A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낚시줄(1)이벨암레버(14)상의 라인롤러기구(16)에 안내되어 스풀(8)에 감긴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벨암레버(14)의 선단은 ㄷ자형으로 굴곡되어 있으며, 이 굴곡부가 라인롤러기구(16)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브라켓을 형성하고 있다.
라인롤러기구(16)는 그 중앙에서 좌우의 라인롤러(16a),(16b)에 분할 형성되어 있다. 좌우의 라인롤러(16a),(16b)의 각 외주면은, 합체했을 때에 양자간에 환상(環狀)의 홈을 형성하도록 테이퍼면으로 되어 있다.
또, 좌우의 라인롤러(16a),(16b)의 낚시줄 접촉면인 분할끝면(17a),(17b)은 양자간에 형성되는 줄안내홈부의 좌우벽을 이루도록 서로 대향하고 있다.
또, 좌우의 라인롤러(16a),(16b)중 한쪽의 낚시줄 접촉면인 분할끝면(17b)의 내주측에는 수통(雄筒)(18)이 돌출 형성되고, 이 수통(18)이 다른쪽의 라인롤러 (16a)의 낚시줄 접촉면인 분할끝면(17a)의 내주측의 공동(空洞)내에 들어가 있다. 이 수통(18)의 외주면이 낚시줄 안내홈부의 홈 바닥을 형성한다.
라인롤러기구(16)의 양 라인롤러(16a),(16b)는, 릴본체(4)의 앞부분측에서 교차하도록 설치된 지지축(19a),(19b)의 각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즉, 양 지지축(19a),(19b)으로 지지하는 양 라인롤러(16a),(16b)의 낚시줄 접촉면인 분할 끝면(17a),(17b)의 간극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릴 앞쪽(대 끝쪽)에서 뒤쪽(대 뒤끝쪽)으로 향함에 따라서 서서히 좁아지고, 후단에 있어서 낚시줄 접촉면인 분할끝면(17a),(17b)끼리가 접촉하여 간극이 없어지도록 양 지지축 (19a),(19b)은 교차각(θ)으로 교차하고 있다.
또, 한쪽의 지지축(19b)은 벨암레버(14)에 나사 결합하는 나사부재(20)의 선단에 설치되고, 이 지지축(19b)에는 한쪽의 라인롤러(16b)가 베어링(21)을 통하여 장착되어 있다.
다른쪽의 지지축(19a)은 다른쪽의 라인롤러(16a)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다른쪽의 지지축(19a)은 벨암레버(14)에 베어링(21)을 통하여 지지되어 있다.
이와 같이, 좌우의 라인롤러(16a),(16b)는 교차각(θ)으로 교차하는 지지축 (19a),(19b)상에서 비틀린 상태로 회전하게 된다.
또, 한쪽의 라인롤러(16b)를 지지축(19b)상에 지지하는 베어링(21)은 라인롤러(16b)를 지지한 채, 지지축(19b)상을 슬라이드 가능하다. 지지축(19b)상에는 이 베어링(21)을 다른쪽의 라인롤러(16a) 쪽으로 부세하는 부세수단으로서 코일스프링 (23)이 장착되고, 또 베어링(21)의 탈락을 방지하는 스냅 링(24)이 장착되어 있다.
이로써, 라인롤러기구(16)에 있어서의 양 라인롤러(16a),(16b)의 낚시줄 접촉면인 분할끝면(17a),(17b)끼리는 탄성적으로 접촉한다.
그리고, 낚시줄 접촉면인 분할끝면(17a),(17b)사이에 릴 앞쪽(대 끝쪽)에서 뒤쪽(대 뒤끝쪽)으로 향함에 따라서 서서히 좁아지고, 후단에 있어서 폐쇄되는 간극으로서 형성되는 낚시줄 안내홈부가 형성된다.
다음에 이 낚시용 스피닝릴의 라인롤러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낚시줄 감기 상태에 있는 벨암(13)을 낚시줄 방출 위치에 반전시키면, 도 4a 및 도 5a 및 도 6a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낚시줄(1)이 라인롤러기구(16)로부터 벗겨져서, 스풀(8)의 낚시줄 감기부 위에서 방출 가능하게 된다.
낚시줄을 방출한 후, 벨암(13)을 낚시줄 감기 위치측으로 반전 동작시키면, 낚시줄(1)은 라인롤러기구(16)위에 걸린다.
그리고, 핸들(7)의 조작으로 로터(5)가 회전하면, 도 7중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대 끝에서 라인롤러기구(16)에 이르는 낚시줄(1)의 장력이 큰 경우는 물론이고, 상기 도면중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장력이 작아 늘어진 경우라도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낚시줄 접촉면인 분할끝면(17a),(17b)간의 간극이 대 끝에서 대 뒤끝쪽으로 향하여 서서히 좁아져 있으므로, 라인롤러기구(16)위에 있어서, 낚시줄(1)이 코일스프링(23)의 부세력에 저항하여, 좌우 라인롤러(16a),(16b)를 좌우로 밀어 내도록 하여 낚시줄 접촉면인 분할끝면(17a),(17b)사이에 들어가, 도 4b 및 도 5b 도 6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낚시줄 접촉면인 분할끝면(17a),(17b)으로 협지된다
그 결과, 라인롤러기구(16)로부터 스풀(8)에 이르는 낚시줄(1)에는, 큰 장력이 걸리게 되어, 낚시줄(1)은 도 4b 및 도 5b 도 6b 에 나타낸 바와 같은 느슨함이 제거된 상태로, 스풀(8)의 낚시줄 감기부의 주위에 감겨진다.
따라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스풀(3)의 후부에 낚시줄(1)이 두껍게 감긴다거나, 스풀(3)의 전체에 걸쳐서 낚시줄(1)이 느슨하게 감긴다거나 하는 현상이 방지되어,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낚시줄(1)은 스풀(8)의 주위에 균일한 두께로 또한 적절히 단단하게 감겨지게 된다.
(실시형태 2)
도 8을 참조하여 실시형태 2에 관한 낚시용 스피닝릴의 라인롤러기구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형태 2에서는, 부세수단인 코일스프링(23)의 위치가 실시형태 1의 경우와 비교하여, 좌우에서 교체되어 있다.
즉, 라인롤러(16a)와 일체가 된 지지축(19a)의 일단에 공동(空洞)(25)이 형성되고, 이 공동(25)내에 코일스프링(23)이 삽입되어 있다.
이 라인롤러(16a)는, 이 코일스프링(23)의 부세력에 의해 다른쪽의 라인롤러 (16b)쪽으로 압착되어 있다.
(실시형태 3)
도 9를 참조하여 실시형태 3에 관한 낚시용 스피닝릴의 라인롤러기구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형태 3에 있어서의 한쪽의 라인롤러(16b)는, 도 5에 나타낸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나사부재(20)와 일체의 지지축(19b)상에 지지되어, 부세수단인 코일스프링(23)으로, 다른쪽의 라인롤러(16a)쪽으로 부세되어 있다.
그러나, 실시형태 1과 달리, 다른쪽의 라인롤러(16a)도 나사부재(20)와 동일한 제2 나사부재(26)를 통하여, 벨암레버(14)상에 지지되어 있다.
즉, 제2 나사부재(26)에 일체적으로 지지축(19a)이 형성되고, 이 지지축 (19a)상에 다른쪽의 라인롤러(16a)가 베어링(22)을 통하여 지지되어 있다.
또, 이 제2 나사부재(26)는, 벨암레버(14)상에서 나사식으로 전진 후퇴가 가능하며, 이 나사 진퇴의 양이 가감됨으로써, 상기 코일스프링(23)의 부세력의 크기가 조정된다.
따라서, 낚시줄(1)의 굵기, 낚시할 때에 낚시줄(1)에 걸리는 텐션의 크기 등에 따라서, 라인롤러기구(16)에서 스풀(8)에 이르는 낚시줄(1)에 생기는 장력의 크기를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
(실시형태 4)
도 10을 참조하여 실시형태 4에 관한 낚시용 스피닝릴의 라인롤러기구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라인롤러기구(16)의 각 라인롤러(16a),(16b)를 지지하는 지지축(19a), (19b)은, 1개의 봉재(棒材)를 그 중간부에서 굴곡시키도록 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일체화된 지지축(19a),(19b)은 벨암레버(14)에 나사 고정되는 나사부재 (20)와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각 지지축(19a),(19b)상에, 각 라인롤러(16a),(16b)가 베어링(22) ,(21)을 통하여 지지되어 있다.
지지축(19b)상에는 밑둥 부분과 한쪽의 라인롤러(16b)와의 사이에, 코일스프링(23)이 장착되어 있다.
또, 지지축(19a)의 선단에는 스냅 링(27)이 고정되어 있다. 그러므로, 양 라인롤러(16a),(16b)는 그들의 낚시줄 접촉면인 분할끝면(17a),(17b)이 대 뒤끝쪽부위에서 접촉한 상태로, 스냅 링(27)에 압착되어 정지한다.
이 라인롤러기구(16)는 나사부재(20)를 벨암레버(14)상에서 회전하는 것만으로 벨암레버(14)에 대하여 착탈할 수 있으므로, 착탈시에 부품이 잘 분실되지 않고, 보수 점검도 간이화된다.
(실시형태 5)
도 11을 참조하여 실시형태 5에 관한 낚시용 스피닝릴의 라인롤러기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에 나타낸 실시형태 1과 달리, 한쪽의 라인롤러(16a)와 일체인 지지축 (19a)은, 미끄럼 베어링에 의해 벨암레버(14)와 결합하고 있다.
또, 한쪽의 라인롤러(16a)상의 지지축(19a)과는 반대측에서 구부(球部)를 선단에 가지는 조인트편(28)이 돌출하고, 그 구부가 다른쪽의 라인롤러(16b)를 지지하는 지지축(19b)에 형성된 공동(29)내에 들어가 있다.
그러므로, 한쪽의 라인롤러(16a)는 미끄럼 베어링과 구(球)조인트에 의해 양단이 지지되면서 원활하게 회전한다.
(실시형태 6)
도 12를 참조하여 실시형태 6에 관한 낚시용 스피닝릴의 라인롤러기구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라인롤러기구(16)의 한쪽의 라인롤러(16a)와, 이것을 지지하는 지지축(19a)과의 사이에는, 구면(球面) 베어링이 형성되고, 지지축(19a)은 다른쪽의 지지축(19b)에 나사로 고정되어 있다.
이로써, 한쪽의 라인롤러(16a)는 다른쪽의 라인롤러(16b)에 대하여, 각도(θ)만큼 경사진 상태로 구면 베어링에 걸어 맞춤이 가능하다.
또, 양 라인롤러(16a),(16b)의 낚시줄 접촉면인 분할끝면 (17a),(17b)의 간격이 대 끝에서 대 뒤끝쪽으로 향함에 따라서 좁아지도록, 양자를 탄력적으로 부세하는 부세수단으로서, 영구자석(30)이 사용되고 있다.
즉, 한쪽의 라인롤러(16a)가 자성체로 만들어지고, 이 자성체를 흡인하는 영구자석(30)이 벨암레버(14)에 매설(埋設)되어 있다.
라인롤러(16a)가 영구자석(30)에 흡인되는 결과, 이 라인롤러(16a)는 구면 베어링상에서 경사지고, 다른쪽의 라인롤러(16b)와의 사이에 릴 후방으로 향함에 따라서 서서히 좁아지는 낚시줄 안내홈부가 형성된다.
(실시형태 7)
도 13을 참조하여 실시형태 7에 관한 낚시용 스피닝릴의 라인롤러기구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라인롤러기구(16)의 한쪽의 라인롤러(16a)는, 그 지지축(19a)과 일체화되어 있으며, 이 지지축(19a)과 벨암레버(14)의 공동과의 사이에는, 구면(球面) 베어링이 형성되어 있다. 구체를 선단에 가진 지지축(19a)과 벨암레버(14)의 공동과의 사이에는 필요에 따라서 베어링(22)이 개장(介裝)된다.
또, 도 12에 나타낸 실시형태 6과 마찬가지로, 양 라인롤러(16a),(16b)의 낚시줄 접촉면인 분할끝면(17a),(17b)이 대 끝에서 대 뒤끝쪽으로 향함에 따라서 좁아지도록, 양자를 탄력적으로 부세하는 부세수단으로서, 영구자석 (30)이 사용되고 한쪽의 라인롤러(16a)가 자성체로 만들어져 있다.
라인롤러(16a)가 영구자석(30)에 흡인되는 결과, 이 라인롤러(16a)는 구면 베어링상에서 경사지고, 다른쪽의 라인롤러(16b)와의 사이에서 대 끝에서 대 뒤끝쪽으로 향함에 따라서 서서히 좁아지는 낚시줄 안내홈부를 형성한다.
(실시형태 8)
도 14를 참조하여 실시형태 8에 관한 낚시용 스피닝릴의 라인롤러기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에 나타낸 실시형태 1과 달리, 지지축(19b)과 라인롤러(16b)와의 사이에 합성수지제의 칼라(31)가 개재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라인롤러(16b)의 내면에 끼워진 복수개의 베어링(21)의 내륜(內輪)과 지지축(19b)과의 사이에 원통형 칼라(31)가 삽입되고, 이 칼라(31)는 지지축(19b)측에 고정되어 있다.
이 칼라(31)의 개재에 의해 라인롤러(16b)는 베어링(21)과 함께, 지지축 (19b)상을 원활하게 슬라이드하므로, 그만큼 양 라인롤러(16a),(16b)의 낚시줄 접촉면인 분할끝면(17a), (17b)사이에서 낚시줄(1)을 끌어들이기 쉬워진다.
(실시형태 9)
도 15를 참조하여 실시형태 9에 관한 낚시용 스피닝릴의 라인롤러기구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형태 9의 라인롤러기구(16)에 있어서는, 도 5에 나타낸 실시형태 1과 달리, 한쪽의 라인롤러(16a)에 다른쪽의 라인롤러(16a)를 지지하는 지지축(19a)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다른쪽의 라인롤러(16a)와 그 지지축(19a)과의 사이에 구면(球面) 베어링이 형성되고, 다른쪽의 라인롤러(16a)가 구면(球面) 베어링의 구형 면상에서 경사지는 결과, 한쪽의 라인롤러(16b)와의 사이에, 대 끝에서 대 뒤끝쪽으로 향해서 폭이 서서히 좁아지는 낚시줄 안내홈부가 형성된다.
또, 양 라인롤러(16a),(16b)의 낚시줄 접촉면인 분할끝면(17a),(17b)의 간격이 대 끝에서 대 뒤끝쪽으로 향함에 따라서 좁아지도록, 양자를 탄력적으로 부세하는 부세수단으로서 판스프링(32)이 사용되고 있다.
즉, 판스프링(32)의 일단이 벨암레버(14)에 고정되고, 판스프링(32)의 타단이 라인롤러(16a)에 접촉하여, 이 라인롤러(16a)를 구면 베어링상에서 경사시키고 있다.
이로써, 양 라인롤러(16a),(16b)의 사이에 대 끝에서 대 뒤끝쪽으로 서서히 좁아지는 낚시줄 안내홈부가 형성된다.
(실시형태 10)
도 16을 참조하여 실시형태 10에 관한 낚시용 스피닝릴의 라인롤러기구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형태 10의 라인롤러기구(16)에 있어서는, 도 15에 나타낸 실시형태 9에 있어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한쪽의 라인롤러(16b)에 다른쪽의 라인롤러(16a)를 지지하는 지지축(19a)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다른쪽의 라인롤러(16a)와 그 지지축(19a)과의 사이에 코일스프링 (23)이 삽입되고, 코일스프링(23)의 양단이 라인롤러(16a)의 낚시줄 접촉면인 분할끝면(17a)측과, 지지축(19a)의 끝에 고정된 스냅 링(33)에 각각 계지되어 있다.
그러므로, 다른쪽의 라인롤러(16a)는 한쪽의 라인롤러(16b)쪽으로 부세되어 양자의 낚시줄 접촉면인 분할끝면(17a),(17b)끼리가 접촉하고자 한다.
또, 벨암레버(14)의 대 끝에는 스페이서(34)가 고정되고, 이 스페이서 (34)의 선단이 양 라인롤러(16a),(16b)의 낚시줄 접촉면인 분할끝면 (17a),(17b)의 사이에, 국소적으로 삽입되어 있다.
그러므로, 양 라인롤러(16a),(16b)의 낚시줄 접촉면인 분할끝면(17a),(17b)사이에는, 대 끝에서 대 뒤끝쪽으로 서서히 좁아지는 낚시줄 안내홈부가 형성된다.
(실시형태 11)
도 17을 참조하여 실시형태 11에 관한 낚시용 스피닝릴의 라인롤러기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4에 나타낸 실시형태 8에 있어서와 마찬가지로, 지지축(19b)과 라인롤러 (16b)와의 사이에 합성수지제의 칼라(31)가 개재하고 있으므로, 라인롤러(16b)는 베어링(21)과 함께 지지축(19b)상을 원활하게 슬라이드하고, 양 라인롤러(16a), (16b)의 낚시줄 접촉면인 분할끝면(17a),(17b)의 사이에서, 낚시줄(1)을 끌어들이기 쉽게 되어 있다.
또, 실시형태 8의 벨암레버(14)와 일체인 지지축(19a)에 대응하는 지지축 (19a)은 벨암레버(14)와는 별체로서 형성되고, 교차각 조정축(35)을 통하여 벨암레버(14)에 장착되어 있다.
교차각 조정축(35)은 지지축(19a)에 대하여, 지지축(19a),(19b)끼리의 교차각 (θ)과 동일한 각도로 교차하도록 굴곡되고, 지지축(19b)의 연장선상에 배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교차각 조정축(35)을 벨암레버(14)상에서 원하는 양을 회전시키면, 양 지지축(19a),(19b)의 교차각(θ)이 변화하여, 양 라인롤러(16a),(16b)의 낚시줄 접촉면인 분할끝면(17a),(17b)의 사이에 있어서의 낚시줄 안내홈부의 좁아짐 정도가 가감된다.
이로써, 낚시줄(1)의 굵기, 재질, 장력, 스풀 직경(실 감기량) 등에 따라서 낚시줄에 걸리는 장력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
교차각 조정축(35)과 지지축(19a)과의 경계부에는, 위치결정수단으로서의 홈부(凹部)(38)와 돌기부(凸部)(36)가 서로 걸어 맞춤이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돌기부(36)가 교차각 조정축(35)에 스프링편(37)을 통하여형성되고, 이 돌기부(36)가 교차각 조정축(35)의 회전에 따라 그리는 궤적을 따라서, 벨암레버(14)상에 복수개의 홈부(38)가 형성되어 있다.
돌기부(36)를 원하는 홈부(38)에 끼워 넣음으로써, 교차각 조정축(35)을 당해 위치에 고정하여, 지지축(19a),(19b)의 교차각(θ)을 해당되는 값에 고정할 수 있다.
(실시형태 12)
도 18을 참조하여 실시형태 12에 관한 낚시용 스피닝릴의 라인롤러기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6에 나타낸 실시형태 10의 한쪽의 라인롤러(16a)를 지지하는 지지축 (19a)이 생략되고, 이 라인롤러(16a)와 벨암레버(14)와의 사이에 개장된 부세수단으로서의 코일스프링(23)에 의해 이 라인롤러(16a)는 다른쪽의 라인롤러(16b)쪽으로 부세되고 있다.
또, 실시형태 10에 있어서와 마찬가지로, 벨암레버(14)의 대 끝쪽에 고정된 스페이서(34)의 선단이, 양 라인롤러(16a),(16b)의 낚시줄 접촉면인 분할끝면(17a) ,(17b)사이에 삽입된다.
그러므로, 양 라인롤러(16a),(16b)의 회전축심이 원하는 교차각(θ)으로 교차하도록 걸어 맞추게 되어, 낚시줄 접촉면인 분할끝면(17a),(17b)사이에 대 끝에서 대 뒤끝쪽으로 서서히 좁아지는 줄 안내홈부가 형성된다.
(실시형태 13)
도 19를 참조하여 실시형태 13에 관한 낚시용 스피닝릴의 라인롤러기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에 나타낸 실시형태 2의 경우와 달리, 한쪽의 라인롤러(16a)와 일체로 된 지지축(19a)과 벨암레버(14)의 공동과의 사이에, 베어링(22)은 설치되어 있지 않다.
또, 지지축(19a)은 공동내에 슬라이드 가능하지만, 회전 불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그러므로, 양 라인롤러(16a),(16b)에 협지되는 낚시줄(1)에 큰 장력이 생기게 된다.
(실시형태 14)
도 20을 참조하여 실시형태 14에 관한 낚시용 스피닝릴의 라인롤러기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19에 나타낸 실시형태 1 내지 13과 달리, 벨암레버(14)의 줄미끄럼부(14a)가 벨암레버(14)의 본체와는 별체로서 형성되고, 연결 볼트(39)에 의해 벨암레버(14)본체에 고정되어 있다.
줄미끄럼부(14a)에는 라인롤러기구(16)의 2개의 지지축(19a),(19b)이 소정의 교차각(θ)을 이루도록 굴곡된 상태로 일체적으로 배설되고, 이 지지축(19a),(19b)의 중심에 연결볼트(39)가 나사 결합하는 나사구멍(40)이 형성되어 있다.
연결볼트(39)가 벨암레버(14)의 본체측에서 통과되어 이 나사구멍(40)에 나사 결합함으로써, 줄미끄럼부(14a)가 지지축(19a),(19b)을 통하여 벨암레버(14)의 본체에 연결되어 고정된다.
라인롤러기구(16)의 2개의 라인롤러(16a),(16b)는, 각 지지축(19a),(19b)에 베어링(22),(21)을 통하여 지지되어 있다.
줄미끄럼부(14a)와 한쪽의 라인롤러(16a)의 베어링(22)과의 사이에 삽입된 부세수단으로서의 코일스프링(23)에 의해, 한쪽의 라인롤러(16a)는 다른쪽의 라인롤러 (16b)쪽으로 부세되고, 다른쪽의 라인롤러(16b)는 벨암레버(14)의 본체 쪽으로 압착되어 있다.
다른쪽의 라인롤러(16b)와 벨암레버(14)의 본체와의 사이에는, 이 라인롤러 (16b)의 외주면과 벨암레버(14)의 본체와의 사이의 간극을 없애고, 낚시줄(1)의 감김을 방지하기 위해 칼라(41)가 형성되어 있다.
(실시형태 15)
도 21을 참조하여 실시형태 15에 관한 낚시용 스피닝릴의 라인롤러기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0에 나타낸 실시형태 14와 거의 동일한 구성을 하고 있지만, 한쪽의 라인롤러(16a)에 베어링(22)이 설치되어 있지 않고, 이 라인롤러(16a)가 지지축(19a)상에 슬라이드 가능하지만, 회전 불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그러므로, 양 라인롤러(16a),(16b)의 낚시줄 접촉면인 분할끝면(17a),(17b)의 사이에 협지되는 낚시줄(1)에는 보다 큰 장력이 생기게 된다.
(실시형태 16)
도 22를 참조하여, 실시형태 16에 관한 낚시용 스피닝릴의 라인롤러기구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형태 16에서는, 도 20에 나타낸 실시형태 14에 있어서의 칼라(41)에 보스가 형성되고, 이 보스가 다른쪽의 라인롤러(16b)의 지지축(19b)을 겸하고 있다.
(실시형태 17)
도 23a 및 도 25를 참조하여, 실시형태 17에 관한 낚시용 스피닝릴의 라인롤러기구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라인롤러기구(16)는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라인롤러와 거의 동일한 구성을 가지지만, 양 라인롤러(16a),(16b)의 한쪽의 낚시줄 접촉면인 분할끝면(17a)이, 대 끝(도시하지 않음)에서 스풀(8)에 들어오는 낚시줄(1)과 거의 평행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다르다.
이로써, 대 끝에서 대 위의 도시하지 않은 낚시줄 가이드를 거쳐, 대 뒤끝쪽으로 향하는 낚시줄(1)은, 이 낚시줄 접촉면인 분할끝면(17a)에 접촉하면서 양 낚시줄 접촉면인 분할끝면(17a),(17b)의 접촉부로 유도되어(도 1 및 도 2), 스풀(8)의 낚시줄 감기부에 감겨지게 된다. 따라서, 줄 얽힘이 더욱 저감된다.
물론, 다른쪽의 낚시줄 접촉면인 분할끝면(17b)을 낚시줄(1)과 평행으로 배치하도록 해도 된다.
또,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라인롤러(6)의 양 라인롤러(16a),(16b)와의 사이에는, 양 라인롤러(16a),(16b)를 동기 회전시키기 위해 동반회전수단이 형성되어 있다.
이 동반회전수단은, 수통(18)의 끝에지에서 한쪽의 라인롤러(16a)쪽으로 돌출하는 핀형상의 돌기(50)와, 한쪽의 라인롤러(16a)의 내주측에 형성된 이 돌기 (50)가 삽입되는 계합구멍(51)으로 구성된다.
물론, 돌기(50)와 계합구멍(51)을 형성하는 곳은 수통(18)과 한쪽의 라인롤러 (16a)와의 사이에서 교체할 수도 있다.
이 돌기(50)와 계합구멍(51)과의 걸어 맞춤에 의해 한쪽의 라인롤러(16a)가 낚시줄(1)과의 접촉으로 회전하면, 다른쪽의 라인롤러(16b)는 한쪽의 라인롤러 (16a)와 회전차가 생기지 않고 동반 회전하게 되고, 따라서 낚시줄(1)에 줄 얽힘이 생기지 않게 된다.
즉, 라인롤러기구(16)의 양 라인롤러(16a),(16b)는, 한쪽의 라인롤러(16b)의 돌기(50)가 다른쪽의 라인롤러(16a)의 계합구멍(51)에 들어가 있으므로, 회전차가 생기지 않고 동기 회전하게 되어, 낚시줄(1)은 양 라인롤러(16a),(16b)의 사이에 협지되어도 줄 얽힘이 생기지 않게 된다.
또, 도 24 및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벨암레버(14)의 선단의 ㄷ자형 굴곡부에는 라인롤러기구(16)의 각 라인롤러(16a),(16b) 주위의 공간을 외부로 도통시키기 위해 배수공(52)이 형성되어 있다.
배수공(52)은 로터(5)(도 2 및 도 3 참조)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으로 물이 벨암레버(14)밖으로 빠져 나오기 쉬운 위치 및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라인롤러기구(16)내에 침입한 물은 이 배수공(52)에서 밖으로 배출되므로, 염분의 결정에 의한 라인롤러기구(16)의 회전 불량이나 녹의 발생이 방지된다.
(실시형태 18)
도 26 및 도 27을 참조하여 실시형태 18에 관한 낚시용 스피닝릴의 라인롤러기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0에 나타낸 실시형태 14에 있어서와 마찬가지로, 벨암레버(14)의 줄미끄럼부(14a)가 벨암레버(14)의 본체와는 별체로서 형성되고, 연결볼트(39)에 의해 벨암레버(14)본체에 고정되어 있다.
줄미끄럼부(14a)에는 라인롤러기구(16)의 2개의 지지축(19a),(19b)이 소정의 교차각(θ)을 이루도록 굴곡된 상태로 일체적으로 배설되어 있다. 또, 이 지지축 (19a),(19b)의 중심에는 나사구멍(40)이 형성되어 이 곳에 연결볼트(39)가 나사 결합된다.
연결볼트(39)가 벨암레버(14)의 본체측에서 통과되어, 이 나사구멍(40)에 나사 결합함으로써, 줄미끄럼부(14a)가 지지축(19a),(19b)을 통하여 벨암레버(14)의 본체에 연결되어 고정된다.
라인롤러기구(16)의 2개의 라인롤러(16a),(16b)는, 각 지지축(19a),(19b)에 각각 오일리스메탈(22')과 볼 베어링(21')을 통하여 지지되어 있다.
줄미끄럼부(14a)와 한쪽의 라인롤러(16a)측의 오일리스메탈(22')과의 사이에 삽입되고, 부세수단으로서 기능하는 코일스프링(23)에 의해, 한쪽의 라인롤러(16a)는 다른쪽의 라인롤러(16b)쪽으로 부세되고, 다른쪽의 라인롤러(16b)는 벨암레버 (14)의 본체 쪽으로 압착되어 있다.
다른쪽의 라인롤러(16b)와 벨암레버(14)의 본체와의 사이에는, 이 라인롤러 (16b)의 외주면과 벨암레버(14)의 본체와의 사이의 간극을 없애고, 낚시줄(1)의 감김을 방지하기 위해, 칼라(41)가 형성되어 있다.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라인롤러기구(16)의 양 라인롤러(16a),(16b)사이에는 양 라인롤러(16a),(16b)를 동기 회전시키기 위한 동반회전수단이 형성되어 있다.
이 동반회전수단은, 수통(18)의 끝에지에서 한쪽의 라인롤러(16a)쪽으로 돌출하는 돌기(50)와, 한쪽의 라인롤러(16a)의 내주측에 형성된 오목 형상의 절결 (53)로 구성된다.
돌기(50)와 절결(53)을 형성하는 곳은, 수통(18)과 한쪽의 라인롤러(16a)와의 사이에서 교체할 수도 있다.
이 돌기(50)와 절결(53)과의 걸어 맞춤에 의해 한쪽의 라인롤러(16a)가 낚시줄(1)과의 접촉에 의해 회전하면, 다른쪽의 라인롤러(16b)는 한쪽의 라인롤러(16a)와 회전차가 생기지 않고 동반 회전하게 되어, 낚시줄(1)에 줄 얽힘이 생기지 않게된다.
또,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 라인롤러(16a),(16b)중 어느 한쪽의 낚시줄 접촉면인 분할끝면(17a)이, 대 끝(도시하지 않음)에서 스풀(8)에 들어오는 낚시줄(1)과 거의 평행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대 끝에서 대 위의 도시하지 않은 낚시줄 가이드를 거쳐, 대 뒤끝쪽으로 향하는 낚시줄(1)은, 이 낚시줄 접촉면인 분할끝면(17a)에 접촉하면서 양 낚시줄 접촉면인 분할끝면(17a),(17b)의 접촉부로 도입되어, 스풀(8)(도 2 및 도 3 참조)의 낚시줄 감기부에 감겨지게 되어, 줄 얽힘이 더욱 저감된다.
또, 도 26 및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벨암레버(14)의 선단의 줄미끄럼부 (14a)와 컬러(41)에는, 라인롤러기구(16)의 각 라인롤러(16a),(16b) 주위를 외부로 도통시켜, 개구부(27)내에 침입한 물을 배출시키기 위해 배수공(52)이 형성되어 있다.
배수공(52)은, 바람직하게는 로터(5)(도 2 및 도 3 참조)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에 의해, 물이 벨암레버(14)밖으로 빠져 나가기 쉬운 위치 및 방향으로 형성된다.
(실시형태 19)
도 28 및 도 29를 참조하여 실시형태 19에 관한 낚시용 스피닝릴의 라인롤러기구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 18에 있어서와 달리, 벨암레버(14)의 줄미끄럼부(14a)에는 복수개의 벨암 삽입구멍(54)이 형성되고, 하나의 벨암 삽입구멍(54)내에 벨암(13)을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해 고정나사(55)가 설치되어 있다.
벨암 삽입구(54)는, 도 2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축(19a)의 축심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형성되고, 각각은 줄미끄럼부(14a)의 주위면과 끝면에 각각 개구하고 있다.
고정나사(55)의 나사부(55a)는, 한쪽의 지지축(19a)의 축심 위에 나사 결합하도록 되어 있다.
고정나사(55)의 헤드부(55b)는 벨암 삽입구멍(54)에 있어서의 줄미끄럼부 (14a)끝면상의 개구를 닫도록 되어 있으며, 이 헤드부(55b)내측에는 벨암(13)의 일단에 형성된 이탈방지 홈(56)에 끼워지는 이탈방지 돌기(57)가 환상(環狀)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환상 돌기(57)에 대응하여 줄미끄럼부(14a)끝면에는 환상 홈(58)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나사(55)가 줄미끄럼부(14a)에 나사 결합하면, 그 이탈방지 돌기(57)가 환상 홈(58)에 끼워지는 동시에 벨암(13)의 이탈방지 홈(56)에 끼워져, 벨암(13)을 줄미끄럼부(14a)의 벨암 삽입구멍(54)내에서 유지한다.
이 라인롤러기구(16)에 의하면, 연결볼트(39)를 풀어 줄미끄럼부(14a)를 그 주위에 회전시킴으로써, 양 라인롤러(16a),(16b)의 낚시줄 접촉면인 분할끝면(17a) ,(17b)끼리의 접촉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또, 이 접촉 위치의 변경에 따라서 벨암(13)을 줄미끄럼부(14a)에 대하여 교체할 필요가 있지만, 그 교체시에 있어서는, 고정나사(55)를 풀어서 이탈방지 돌기(57)를 벨암(13)의 이탈방지 홈(56)으로부터 이탈시켜, 벨암(13)을 해당 벨암 삽입구멍(54)으로부터 빼내어, 다른 벨암삽입구멍(54)내에 삽입하고, 다시 고정나사(55)를 조이도록 한다.
이로써, 낚시줄(1)의 직경, 감기 텐션, 스풀 줄감개직경 등에 따라서 낚시줄 접촉면인 분할끝면(17a),(17b)끼리의 접촉 위치를 적절히 변경하여, 낚시줄(1)을 적당한 힘으로 잡아 당기면서 스풀(8)(도 2 및 도 3 참조)에 균일한 두께로 감기게 할 수 있다.
그 외, 실시형태 18과 마찬가지로, 동반회전수단으로서, 수통(18)의 끝에지에서 한쪽의 라인롤러(16a)쪽으로 돌출하는 핀형상의 돌기(50)와, 한쪽의 라인롤러 (16a)내주측에 형성된 오목 형상의 절결(53)이 형성되어 있다.
또, 도 2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른쪽의 라인롤러(16b)의 낚시줄 접촉면인 분할끝면(17b)이 대 끝(도시하지 않음)에서 스풀(8)(도 2 및 도 3 참조)에 들어오는 낚시줄(1)과 거의 평행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대 끝에서 대 위의 도시하지 않은 낚시줄 가이드를 거쳐, 대 뒤끝쪽으로 향하는 낚시줄(1)은, 이 낚시줄 접촉면인 분할끝면(17b)에 접촉하면서 양 낚시줄 접촉면인 분할끝면(17a),(17b)의 접촉부로 도입되어, 스풀(8)의 낚시줄 감기부에 감겨지게 되어 줄 얽힘이 더욱 저감된다.
또, 벨암레버(14)의 선단의 줄미끄럼부(14a)와 컬러(41)에는, 라인롤러 (16)의 각 라인롤러(16a),(16b) 주위의 공간을 외부로 도통시키기 위해 배수공(52)이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실시형태 1 내지 실시형태 19에 의하면, 라인롤러기구를 낚시줄 안내홈부 위에서 좌우의 라인롤러에 분할 형성하고, 양 라인롤러를 릴본체의 앞부분 쪽에서 교차하도록 설치한 지지축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양 라인롤러의 낚시줄 접촉면인 분할끝면 사이가 대 끝에서 대 뒤끝쪽으로 향하여 서서히 좁아지도록 양 라인롤러를 걸어 맞추는 동시에 부세수단으로 탄성 부세함으로써, 대 끝에서 라인롤러에 이르는 낚시줄의 장력이 매우 작은 경우라도, 낚시줄을 낚시줄 접촉면인 분할끝면 사이에 확실하게 협지할 수 있다.
따라서, 낚시줄을 적당한 힘으로 잡아 당기면서 스풀에 균일한 두께로 감고, 백래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한 실시형태 17 내지 19에 의하면, 라인롤러기구의 양 라인롤러 사이에 동반회전수단을 형성하여, 양 라인롤러가 동기 회전하도록 하였으므로, 낚시줄을 스풀에 감을 때에 양 라인롤러의 회전차를 없애, 줄 얽힘이 생기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 염분의 부착 등에 의해 한쪽의 라인롤러가 회전하기 어렵게 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다른쪽의 라인롤러가 낚시줄과의 접촉에 의해 회전하면, 다른쪽의 라인롤러도 함께 회전하게 되어, 라인롤러의 확실한 회전을 확보할 수 있다.
또, 실시형태 17 내지 19에 의하면, 라인롤러기구가 축지지되는 벨암지지부재에 배수공을 형성하였으므로, 개구부내의 공실(空室)내에 체류하는 물방울을 로터의 회전시 등에 이 배수공으로부터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따라서, 각 부품의 부식이나 염분의 결정의 부착을 방지하여, 라인롤러의 원활한 회전을 유지할 수 있다.
(실시형태 20)
실시형태 20은, 도 30a 내지 도 32 에 나타낸다.
라인롤러기구(16)의 양 라인롤러(16a),(16b)는, 도 30a 내지 도 3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동일 축심상에 직렬로 위치 부여된 지지축(19a),(19b)의 각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한쪽의 지지축(19a),(19b)은 벨암레버(14)의 라인롤러지지부에 나사 결합하는 나사부재(20)의 선단에 설치되고, 이 지지축(19b)에 한쪽의 라인롤러(16b)가 베어링(21)을 통하여 장착되어 있다.
다른쪽의 지지축(19a)은 다른쪽의 라인롤러(16a)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다른쪽의 지지축(19b)은 벨암레버(14)의 라인롤러지지부에 베어링(22)을 통하여 지지되어 있다.
이로써, 좌우의 라인롤러(16a),(16b)는 동일 축심상에 배열된 지지축(19a), (19b)상에서, 각각 독립하여 회전 가능하다.
베어링(21,22)은 구름 베어링의 외에, 미끄럼 베어링으로 해도 된다.
또, 한쪽의 라인롤러(16b)를 지지축(19b)상에 지지하는 베어링(21)은, 라인롤러 (16b)를 지지한 채로 지지축(19b)상을 그 축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며, 지지축 (19b)상에는 이 베어링(21)을 다른쪽의 라인롤러(16a)쪽으로 부세하는 부세수단으로서, 탄성재인 코일스프링(23)이 장착되어 있다.
이로써, 라인롤러기구(16)에 있어서의 양 라인롤러(16a),(16b)의 낚시줄 접촉면인 분할끝면(17a),(17b)끼리는, 탄력적으로 걸어 맞춰져 양자간의 낚시줄 도입홈은 통상의 경우는 도 30a 및 도 31과 같이 폐쇄되지만, 도 30b, 도 32 및 도 7과 같이, 낚시줄(1)이 감기면 개방되어 낚시줄(1)을 협지하게 된다.
슬라이드 운동시켜야 할 라인롤러(16b)를 지지하는 베어링(21)과 지지축 (19b)과의 사이에는, 도 30a 내지 도 3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합성수지에의 칼라 (60)를 개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칼라(60)의 개재에 의해 라인롤러(16b)는 지지축(19b)상에서 기울어지지 않고, 보다 원활하게 슬라이드하게 된다.
낚시줄(1)을 방출한 후, 벨암(13)을 낚시줄 감기위치측으로 반전 동작시키면, 낚시줄(1)은 라인롤러기구(16)상에 감긴다.
그리고, 핸들(7)의 조작으로 로터(5)가 회전하면, 도 7중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대 끝에서 라인롤러기구(16)에 이르는 낚시줄(1)의 장력이 큰 경우는 물론이고, 상기 도면중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장력이 작아 낚시줄(1)이 늘어져 있는 경우라도, 라인롤러(16a),(16b)는 지지축(19a),(19b)에 각각 독립하여 지지되고 있으므로, 낚시줄(1)의 감김에 의해 한쪽의 라인롤러(16b)는 코일스프링 (23)의 부세력에 저항하여 지지축(19b)위를 그 축방향으로 유동되지 않고 슬라이드한다.
라인롤러(16b)의 슬라이드에 의해, 다른쪽의 라인롤러(16a)와의 사이의 낚시줄 도입홈 내에 낚시줄(1)이 들어가고, 동시에 낚시줄은 도 30b, 도 32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측에서 낚시줄 접촉면인 분할끝면(17a),(17b)으로 협지된다.
그 결과, 라인롤러기구(16)로부터 스풀(8)에 이르는 낚시줄(1)에 큰 장력이 걸리게 되어, 낚시줄(1)은 느슨함이 제거된 상태로 스풀(8)의 낚시줄 감기부의 주위에 감겨진다.
(실시형태 21)
도 33a 및 도 38을 참조하여 실시형태 21에 관한 낚시용 스피닝릴의 라인롤러기구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낚시용 스피닝릴의 라인롤러기구(16)는, 그 한쪽의 라인롤러(16a)가 벨암레버(14)의 라인롤러지지부에 대하여, 낚시줄(1)과 접촉하여도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되고, 다른쪽의 라인롤러(16b)가 라인롤러지지부에 대하여 낚시줄(1)과의 접촉으로 회전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한쪽의 라인롤러(16a)는 지지축(19a)과 일체화되어 라인롤러지지부의 공동내에 이 지지축(19a)과 함께 끼워지고, 다른쪽의 지지축(19b)의 선단과의 사이에 개장되는 탄성재로서의 스프링(61)에 의해 공동 내에 압입되어 있다.
이 한쪽의 라인롤러(16a)의 지지축(19a)은, 라인롤러지지부를 공동과 반대측에 관통하고 있으며, 그 관통된 선단에는 드라이버 등의 공구를 이용하여 이 라인롤러(16a)를 라인롤러지지부 상에서 돌리기 위한 계합홈(62)이 형성되어 있다.
또, 이 라인롤러(16a)와 공동인 내벽과의 사이에는, 이 라인롤러(16a)를 라인롤러지지부 상에서 회전시킬 때에 클릭 ·스톱기구로서 기능하는 요철부(63)가 형성되어 있다.
다른쪽의 라인롤러(16b)는 그 지지축(19b)상에 베어링(21)을 통하여 지지되고, 이 라인롤러(16b)는 베어링(21)마다 지지축(19b)상을 그 축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다.
또 이 라인롤러(16b)는 지지축(19b)상에 장착된 부세수단인 코일스프링(23)에 의해 한쪽의 라인롤러(16a)쪽으로 항상 압착되고 있다.
그러므로, 양 라인롤러(16a),(16b)는 그 낚시줄 접촉면인 분할끝면(17a), (17b)이 서로 겹치도록 걸어 맞춰져 낚시줄 접촉면인 분할끝면(17a),(17b)사이는 좁혀지려고 한다.
또, 한쪽의 라인롤러(16a)에는 광폭부와 협폭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낚시줄 접촉면인 분할끝면(17a)은 광폭부와 협폭부와의 사이에 있어서 경사면을 이루고 있다. 다른쪽의 라인롤러(16b)의 폭은 그 전주(全周)에 걸쳐 균일하다.
그러므로, 양자간의 낚시줄 도입홈은 낚시줄(1)이 라인롤러기구(16)로부터 벗겨져 있는 경우는, 도 34 및 도 35와 같이 광폭부의 부위에서 폐쇄되지만, 협폭부의 부위에서는 간극(33)을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도 36 및 도 37과 같이 낚시줄(1)을 감아 올림에 있어서, 낚시줄(1)은 그 장력이 작아도 낚시줄 접촉면인 분할끝면(17a),(17b)사이에 들어가기 쉬워, 광폭부의 부위에서 낚시줄(1)은 낚시줄 접촉면인 분할끝면(17a),(17b)사이를 열어가고, 도 38중 빗금부로 나타내는 광폭부의 부위에서, 낚시줄 접촉면인 분할끝면(17a),(17b)사이에 협지되면서 스풀(8)(도 2 및 도 3 참조)에 감겨지게 된다.
이 낚시줄(1)을 협지하는 빗금부의 부위는, 한쪽의 라인롤러(16a)의 계합홈 (62)에, 도시하지 않은 공구를 삽입하여 라인롤러(16a)를 라인롤러지지부 상에서 원하는 각도로 회전시킴으로써 위치조정이 가능하다.
이 위치조정은 낚시줄(1)의 재질, 굵기, 사용 장력, 스풀(8)의 줄감개직경 등에 따라서 할 수 있다.
(실시형태 22)
도 39 내지 도 41을 참조하여 실시형태 22에 관한 낚시용 스피닝릴의 라인롤러기구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낚시용 스피닝릴의 라인롤러기구(16)는, 실시형태 21에 있어서와 마찬가지로, 한쪽의 라인롤러(16a)에 광폭부와 협폭부를 가지지만, 이 광폭부와 협폭부는 라인롤러기구(16)의 축심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교차하는 평면으로, 이 한쪽의 라인롤러 (16a)를 절단한 듯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낚시줄 접촉면인 분할끝면(17a),(17b)사이의 낚시줄 도입홈은 낚시줄(1)이 라인롤러기구(16)로부터 벗겨져 있는 경우는 도 39와 같이 광폭부의 위치에서 폐쇄되고, 협폭부의 위치에서는 간극을 형성하지만, 이 간극(64)의 크기는 라인롤러기구(16)의 주위 상면에 있어서 점차 변한다.
따라서, 도 40과 같이 낚시줄(1)을 감아 올림에 있어서, 낚시줄(1)은 그 장력이 작아도 낚시줄 접촉면인 분할끝면(17a),(17b)사이에 들어가기 쉬워, 광폭부의위치에 있어서 낚시줄(1)은 낚시줄 접촉면인 분할끝면(17a),(17b)사이를 열고, 도 41중 빗금부로 나타내는 광폭부 상의 거의 한점에서 낚시줄 접촉면인 분할끝면 (17a),(17b)사이에 협지되면서, 스풀(8)(도 2 및 도 3 참조)에 감겨지게 된다.
(실시형태 23)
도 42를 참조하여 실시형태 23에 관한 낚시용 스피닝릴의 라인롤러기구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낚시용 스피닝릴의 라인롤러기구(16)는, 실시형태 20에 있어서와 달리, 양 라인롤러(16a),(16b)는 나사부재(20)와 일체화된 1개의 지지축(19)에 지지되어 있다.
이 지지축(19)은 그 일단의 나사부(20)가 라인롤러지지부에 나사 결합하고, 타단이 라인롤러지지부에 끼워 맞추어짐으로써, 라인롤러지지부에 양단이 지지되어 있다.
양 라인롤러(16a),(16b)는 베어링(22),(21a),(21b)을 통하여 지지축(19)위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고, 지지축(19)의 기단(基端)측에 장착된 부세수단인 코일스프링(23)에 의해, 지지축(19)의 선단에 고정된 스냅 링(65)쪽으로 탄력적으로 압착된다.
또, 이 라인롤러기구(16)는 실시형태 20에 있어서와 달리, 코일스프링(23)측의 라인롤러(16b)는 슬리브(66)를 구비한 긴 통형상으로 형성되고, 복수개의 베어링(21a),(21b)에 의해 지지축(19)상에 지지되어 있다.
그러므로, 라인롤러(16b)는 베어링(21a),(21b)과 함께 지지축(19)상을 기울어지지 않고 원활하게 슬라이드하고, 그만큼 양 라인롤러(16a),(16b)의 낚시줄 접촉면인 분할끝면(17a),(17b)사이에서 낚시줄(1)을 끌어 들이기 쉬워진다.
(실시형태 24)
도 43을 참조하여 실시형태 24에 관한 낚시용 스피닝릴의 라인롤러기구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낚시용 스피닝릴의 라인롤러기구(16)는, 실시형태 20에 있어서와 달리, 양 쪽의 라인롤러(16a),(16b)가 지지축(19a),(19b)위에 각각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즉, 각 지지축(19a),(19b)위에 있어서, 각 라인롤러(16a),(16b)의 배후에 부세수단으로서의 코일스프링(23a),(23b)이 각각 장착되어, 양 코일스프링(23a), (23b)의 부세력에 의해, 양 라인롤러(16a),(16b)는 낚시줄 접촉면인 분할끝면(17a) ,(17b)상에서 접촉하고 있다.
(실시형태 25)
도 44를 참조하여 실시형태 25에 관한 낚시용 스피닝릴의 라인롤러기구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낚시용 스피닝릴의 라인롤러기구(16)는, 실시형태 20과 마찬가지로, 한쪽의 라인롤러(16b)를 지지하는 지지축(19b)이, 나사부재(20)상에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이 나사부재(20)를 통하여 라인롤러지지부에 지지되어 있다.
그러나, 실시형태 20과 달리, 다른쪽의 라인롤러(16a)를 지지하는 지지축 (19a)도, 다른 나사부재인 조정나사(67)의 선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이 조정나사(6,7)의 헤드부는 라인롤러지지부 밖으로 돌출하고 있으며, 이 헤드부에는 드라이버 등의 공구를 삽입하기 위한 계합홈(68)이 형성되어 있다.
공구 등으로 조정나사(67)를 회전시킴으로써, 이 조정나사(67)위의 라인롤러 (16a)를 한쪽의 라인롤러(16b)쪽으로 접근 또는 멀어지게 하고, 한쪽의 라인롤러 (16a)의 배후에 형성된 부세수단인 코일스프링(23)에 의한 부세력을 조정하여, 낚시줄 접촉면인 분할끝면(17a),(17b)끼리의 낚시줄(1)에 대한 협지압력을 가감할 수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 양 지지축(19a),(19b)사이에 코일스프링(69)을 설치하여, 나사부재(20)와 조정나사(67)의 백래시를 제거하도록 해도 된다.
(실시형태 26)
도 45를 참조하여 실시형태 26에 관한 낚시용 스피닝릴의 라인롤러기구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라인롤러기구(16)의 각 라인롤러(16a),(16b)를 지지하는 지지축(19)은 1개의 봉재(棒材)로 형성되고, 이 일체화된 지지축(19)은 라인롤러지지부에 나사고정되는 나사부재(20)와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각 지지축(19)상에, 각 라인롤러(16a),(16b)가 베어링(22),(21)을통하여 지지되어 있다.
지지축(19)의 선단에는 스냅 링(65)이 고정되고, 이 스냅 링(65)과 한쪽의 라인롤러(16a)와의 사이에 부세수단인 코일스프링(23)이 장착되어 있다. 이 코일스프링(23)의 부세력에 의해, 양 라인롤러(16a),(16b)는 그들의 낚시줄 접촉면인 분할끝면(17a),(17b)상에서 접촉하여 정지된다.
이 라인롤러기구(16)는 나사부재(20)를 벨암레버(14)의 라인롤러지지부상에서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벨암레버(14)에 대하여 착탈할 수 있으므로, 착탈시에 부품이 잘 분실되지 않고, 보수 점검도 간이화된다.
(실시형태 27)
도 46을 참조하여 실시형태 27에 관한 낚시용 스피닝릴의 라인롤러기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0 ~ 도 45에 나타낸 실시형태 20 내지 26과 달리, 벨암레버(14)의 줄미끄럼부(14a)가 벨암레버(14)의 본체와는 별체로서 형성되고, 연결볼트(39)에 의해 벨암레버(14)의 본체에 고정되어 있다.
줄미끄럼부(14a)에는 라인롤러기구(16)의 2개의 지지축(19a),(19b)이 일직선상에 배열하도록 일체적으로 배설되고, 이 지지축(19a),(19b)의 중심에 연결볼트 (39)가 나사 결합하는 나사구멍(40)이 형성되어 있다.
연결볼트(39)가 벨암레버(14)의 본체측에서 통과되어 이 나사구멍(40)에 나사 결합함으로써, 줄미끄럼부(14a)가 지지축(19a),(19b)을 통하여 벨암레버(14)의본체에 연결되어 고정된다.
라인롤러기구(16)의 2개의 라인롤러(16a),(16b)는, 각 지지축(19a),(19b)에 베어링 (22),(21)을 통하여 지지되어 있다.
줄미끄럼부(14a)와 한쪽의 라인롤러(16a)의 베어링(22)과의 사이에 삽입되어 부세수단으로서 기능하는 코일스프링(23)에 의해, 한쪽의 라인롤러(16a)는 다른쪽의 라인롤러(16b)쪽으로 부세되고, 다른쪽의 라인롤러(16b)는 벨암레버(14)의 본체 쪽으로 압착되어 있다.
다른쪽의 라인롤러(16b)와 벨암레버(14)의 본체와의 사이에는, 이 라인롤러 (16b)의 외주면과 벨암레버(14)의 본체와의 사이의 간극을 없애고, 낚시줄(1)의 감김을 방지하기 위한 칼라(41)가 형성되어 있다.
(실시형태 28)
도 47을 참조하여 실시형태 28에 관한 낚시용 스피닝릴의 라인롤러기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6에 나타낸 실시형태 27과 거의 동일한 구성을 하고 있지만, 한쪽의 라인롤러(16a)에 베어링(22)이 배설되어 있지 않고, 이 라인롤러(16a)가 지지축(19a)상에슬라이드 가능하지만, 회전 불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그러므로, 양 라인롤러(16a),(16b)의 낚시줄 접촉면인 분할끝면(17a),(17b)사이에 협지되는 낚시줄 (1)에는 보다 큰 장력이 생기게 된다.
(실시형태 29)
도 48 내지 도 50을 참조하여, 실시형태 29에 관한 낚시용 스피닝릴의 라인롤러기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8, 도 4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벨암레버(14)의 선단은 ㄷ자형으로 굴곡되어 있으며, 이 굴곡부가 라인롤러기구(16)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라인롤러지지부를 구성하고 있다.
라인롤러기구(16)는 도 48, 도 4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축심 방향의 중앙에서 좌우의 라인롤러(16a),(16b)에 분할 형성되어 있다.
분할된 좌우의 라인롤러(16a),(16b)중 한쪽의 라인롤러(16b)내주측은 수통 (18)이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이 수통(18)에 다른쪽의 라인롤러(16a)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덮여져 있다.
이 수통(18)의 외주면중, 분할면으로 치우친 곳이 낚시줄 안내 외주면(18a)을 형성하고, 다른 곳이 다른 라인롤러(16a)의 슬라이드 안내면(18b)을 형성한다.
좌우의 라인롤러(16a),(16b)에는 그 서로 대향하는 분할면에 대하여 그들의 외주에 대향 접촉면(70a),(70b)을 남기도록 환상(環狀) 홈이 형성됨으로써, 1쌍의 낚시줄 접촉면인 통형 접촉부(71a),(71b)가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좌우의 낚시줄 접촉면인 통형 접촉부(71a),(71b)와 수통(18)상의 낚시줄 안내 외주면(18a)의 3자 사이에, 낚시줄(1)이 들어갈 수 있는 환상(環狀)의 공실(空室)이 형성된다.
좌우의 라인롤러(16a),(16b)에 있어서의 1쌍의 낚시줄 접촉면인 통형 접촉부(71a),(71b)의 각 외주면은, 접촉면(70a),(70b)을 향하여 점차 직경이 작아지는 테이퍼면(72)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좌우의 라인롤러(16a),(16b)가 상대적으로 접근하여 낚시줄 접촉면인 통형 접촉부(71a),(71b)의 접촉면(70a),(70b)이 접촉하면, 좌우의 라인롤러 (16a),(16b)의 외주면상에 낚시줄(1)을 유도하기 위한 환상(環狀) 홈이 형성된다.
다른쪽의 라인롤러(16a)는 한쪽의 라인롤러(16a)와 일체인 수통(18)위를 슬라이드 가능하지만, 수통(18)위에는 다른쪽의 라인롤러(16a)를 한쪽의 라인롤러 (16b)쪽으로 부세하는 부세수단으로서 탄성재인 코일스프링(23)이 장착되어 있다.
즉, 수통(18)의 끝에는 스냅 링(65)이 고정되고, 이 스냅 링(65)과 라인롤러 (16a)와의 사이에 코일스프링(23)이 개재되어 있다.
이로써, 양 라인롤러(16a),(16b)의 낚시줄 접촉면인 통형 접촉부(71a),(71b)의 접촉면(70a),(70b)끼리는 탄성적으로 접촉하고, 낚시줄(1)이 감겨 있지 않은 경우에 환상의 공실(空室)은 도 48과 같이 폐쇄된다.
그리고, 도 49와 같이 낚시줄(1)이 감겨지면 코일스프링(23)의 부세력에 저항하여 낚시줄(1)이 접촉면(70a),(70b)사이에 끼어 듬으로써, 환상의 공실이 개방되어 낚시줄(1)을 그 안으로 도입한다.
이 낚시줄(1)은 도 50의 낚시줄(1)에 빗금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환상의 공실 내에의 입구와 출구에 있어서, 낚시줄(1)의 양측면을 접촉면(70a),(70b)으로 협지되어, 환상의 공실내에 있어서 낚시줄 안내 외주면(18a)에 접촉하게 된다.
한쪽의 라인롤러(16b)는 베어링(74)을 통하여 지지축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지지축(73)은 벨암레버(14)의 라인롤러지지부에 나사 결합하는 나사부재 (75)의 선단에 설치되어 있다.
지지축(73)의 선단은 라인롤러지지부에 끼워 맞춰져 있으며, 그러므로 지지축(73)은 라인롤러지지부에 양단이 지지된다. 베어링(74)은 구름 베어링 외에 미끄럼 베어링으로 해도 된다.
낚시줄을 감을 때에 있어서, 라인롤러기구(16)에의 감김에 의해 한쪽의 라인롤러 (16a)는 코일스프링(23)의 부세력에 저항하여 수통(18)위를 그 축방향으로 유동하지 않고 슬라이드한다.
이로써, 낚시줄 접촉면인 통형 접촉부(71a),(71b)의 대향 접촉면(70a),(70b)이 서로 이간하여 환상의 공실 내에 낚시줄(1)이 들어가, 낚시줄(1)은 환상의 공실내에 대한 입구와 출구에 있어서 대향 접촉면(70a),(70b)에 협지된다.
그 결과, 라인롤러기구(16)에서 스풀(8)에 이르는 낚시줄(1)에 큰 장력이 걸리게 되어 낚시줄(1)은 느슨함이 제거된 상태로, 스풀(8)의 낚시줄 감기부의 주위에 감겨진다.
(실시형태 30)
도 51 및 도 52를 참조하여, 실시형태 30에 관한 낚시용 스피닝릴의 라인롤러기구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낚시용 스피닝릴의 라인롤러기구(16)는, 실시형태 29와 마찬가지로, 그 양 라인롤러(16a),(16b)가 나사부재(75)와 일체화된 1개의 지지축(73)에 지지되어있다.
그러나, 실시형태 29와 달리, 분할된 각 라인롤러(16a),(16b)는 각각 베어링 (74),(75)을 통하여 지지축(73)상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어, 지지축(73)의 기단측에 장착된 부세수단인 코일스프링(23)에 의해 라인롤러지지부의 내벽면쪽으로 압착되어 있다.
또, 분할된 좌우 라인롤러(16a),(16b)의 한쪽에서 돌출하는 수통(18)은 다른쪽 라인롤러(16a)의 낚시줄 접촉면인 통형 접촉부(71a),(71b)아래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들어가 있으며, 좌우의 낚시줄 접촉면인 통형 접촉부(71a),(71b)와 수통 (18)상의 낚시줄 안내 외주면(18a)의 3자 사이에, 낚시줄(1)이 들어갈 수 있는 환상의 공실(空室)이 형성되어 있다.
(실시형태 31)
도 53 내지 도 54를 참조하여, 실시형태 31에 관한 낚시용 스피닝릴의 라인롤러기구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낚시용 스피닝릴의 라인롤러기구(16)는, 실시형태 30과 달리, 그 낚시줄 안내 외주면(18a)이 그 일단에서 타단을 향하여 점차 직경이 작아지는 테이퍼면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수통(18)의 외주면이 그 자유단에서 낚시줄 접촉면인 통형 접촉부(71a) ,(71b)쪽으로 향함에 따라서 점차 직경이 작아지고, 그 결과 낚시줄 안내 외주면 (18a)상에는 통형 접촉면(71a),(71b)과의 사이에 홈이 형성된다.
그러므로, 한쪽의 라인롤러(16a)의 낚시줄 접촉면인 통형 접촉부(71a)와, 다른쪽의 라인롤러(16b)의 수통(18)과의 사이의 직경방향에 있어서의 간극이 다소 커져도 낚시줄(1)이 그 간극내에 잘 들어가지 않게 된다.
(실시형태 32)
도 55 및 도 56을 참조하여, 실시형태 32에 관한 낚시용 스피닝릴의 라인롤러기구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낚시용 스피닝릴의 라인롤러기구(16)는 롤러부(78)와 이 롤러부(78)를 에워싸는 2개의 칼라부(79a),(79b)를 가지고 있다.
롤러부(78)는 대체로 원통체로 형성되어, 낚시줄(1)을 안내하기 쉽게 하기 위해 중앙부가 오목한 낚시줄 안내 외주면(18a)을 가진다.
롤러부(78)는 지지축(73)에 베어링(74)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지지축(73)은 벨암레버(14)의 라인롤러지지부에 나사 결합하는 나사부재(75)의 선단에 설치되어 있다.
지지축(73)의 선단은 라인롤러지지부측에 돌출 형성된 돌기부(14a)의 선단에 끼워 맞춰져 있으며, 그러므로 지지축(73)은 라인롤러지지부에 양단이 지지된다.
베어링(74)은 지지축(73)상에 슬라이드하지 않도록 스냅 링(80)으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롤러부(78)는 지지축(73)상의 정위치에서 회전 가능하다.
각 칼라부(79a),(79b)는 대체로 바닥이 있는 통형체로 형성되고, 그 바닥부 중심에는 구멍이 뚫려서 그 구멍을 돌기부(14a)와 지지축(73)이 각각 관통하고 있다.
칼라부(79a),(79b)는 돌기부(14a)와 지지축(73)상에서, 그 축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며, 또한 회전 가능하다.
또, 양 바닥이 있는 통형체는 롤러부(78)를 그 좌우에서 짜맞추듯이 에워 싸고 있으며, 각각의 통형 개구부가 1쌍의 낚시줄 접촉면인 통형 접촉부(71a),(71b)로서 롤러부(78)의 낚시줄 안내 외주면(18a)의 바깥쪽에서 접촉 가능하게 대향하고 있다.
이 1쌍의 낚시줄 접촉면인 통형 접촉부(71a),(71b)와 낚시줄 안내 외주면 (18a)으로 낚시줄(1)을 수납하는 환상의 공실이 형성된다.
또, 각 칼라부(79a),(79b)의 통형체로서의 바닥부와 라인롤러지지부와의 사이에는 부세수단으로서 탄성재인 코일스프링(77a),(77b)이 각각 개장(介裝)되어 있다.
도 5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 코일스프링(77a),(77b)에 의한 부세력에 의해 낚시줄 접촉면인 통형 접촉부(71a),(71b)의 대향 접촉면(70a),(70b)은 접촉하여, 낚시줄(1)이 감겨져 있지 않은 경우는 환상의 공실을 폐쇄하고 있다.
그리고, 도 56과 같이 낚시줄(1)이 감겨지면 코일스프링(77a),(77b)의 부세력에 저항하여 낚시줄(1)이 접촉면(70a),(70b)사이에 끼어 듬으로써, 환상의 공실이 개방되어 낚시줄(1)을 그 안으로 도입한다.
이 낚시줄(1)은 도 50의 낚시줄(1)에 빗금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환상의 공실내에의 입구와 출구에 있어서, 그 양측면에서 접촉면(70a),(70b)의 사이에 협지되어, 출입구 사이의 환상의 공실내에 있어서, 낚시줄 안내 외주면(18a)에 접촉한다.
좌우의 칼라부(79a),(79b)에 있어서의 1쌍의 낚시줄 접촉면인 통형 접촉부 (71a),(71b)의 각 외주면에는 접촉면(70a),(70b)을 향하여 점차 직경이 작아지는 테이퍼면(72)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낚시줄(1)을 환상의 공실내로 도입하기 쉽게 하기 위한 환상의 홈이 양 낚시줄 접촉면인 통형 접촉부(71a),(71b)사이에 형성된다.
(실시형태 33)
도 57 내지 도 59를 참조하여, 실시형태 33에 관한 낚시용 스피닝릴의 라인롤러기구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낚시용 스피닝릴의 라인롤러기구(16)는, 실시형태 32와 달리, 부세수단인 코일스프링(77)에 의한 부세력이 조정 가능하다.
즉, 도 5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라인롤러지지부측의 돌기부(14a)대신 조정나사(82)가 배설되고, 이 조정나사(82)가 라인롤러지지부에 형성된 나사홈내의 암나사와 나사 결합하여, 이 조정나사(82)의 선단에 한쪽의 칼라부(79a)가 회전 가능 또는 회전 불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조정나사(82)를 나사홈내에서 나사식으로 전진 후퇴 시킴으로써, 부세수단으로서의 코일스프링(77)은 그 변형량이 변화하므로, 낚시줄 접촉면인 통형 접촉부 (71a),(71b)의 대향 접촉면 (70a),(70b)의 접촉압력이 조정된다.
또, 도 58 및 도 5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정나사(82)를 회전시킴으로써, 낚시줄 접촉면인 통형 접촉부(71a),(71b)의 대향 접촉면(70a),(70b)의 접촉 위치를 라인롤러기구(16)의 축방향 상에서 바꿈으로써, 낚시줄(1)의 재질, 굵기, 낚시줄 (1)에 걸리는 장력의 크기 등에 따라서, 줄 얽힘이 가장 작아지도록 조정할 수 있다.
도 58에 있어서는 접촉위치가 롤러부(78)의 홈의 우측 경사면상에 설정되고, 도 59에 있어서는 접촉위치가 좌측 경사면상에 설정되어 있다.
(실시형태 34)
도 60 및 도 64를 참조하여, 실시형태 34에 관한 낚시용 스피닝릴의 라인롤러기구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낚시용 스피닝릴의 라인롤러기구(16)는, 상기 실시형태 29 내지 33에 있어서의 라인롤러기구(16)가 도 50의 낚시줄(1)에 빗금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낚시줄(1)상의 2점을 협지하도록 되어 있는 것과 달리, 도 6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낚시줄 (1)을 그 1점에서 협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1쌍의 칼라부(79a),(79b)중 한쪽의 칼라부(79a)의 낚시줄 접촉면인 통형 접촉부(71a)에는 광폭부와 협폭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대향 접촉면(70a)은 광폭부와 협폭부와의 사이에 있어서 경사면을 이루고 있다. 다른쪽의 칼라부(79b)에 있어서의 낚시줄 접촉면인 통형 접촉부(71b)의 폭은 그 전주(全周)에 걸쳐 균일하다.
그러므로, 도 60 및 도 61과 같이, 양 낚시줄 접촉면인 통형 접촉부(71a) ,(71b)의 대향 접촉면(70a),(70b)은 낚시줄(1)이 라인롤러기구(16)로부터 벗겨져 있는 경우는, 광폭부의 위치에서 폐쇄되고, 협폭부의 위치에서는 간극(83)이 생긴다.
따라서, 낚시줄(1)을 감아 올림에 있어서, 낚시줄(1)은 그 장력이 작아도 협폭부의 위치의 간극(83)에서 광폭부의 위치의 대향 접촉면(70a),(70b)의 사이에 끼어 들어간다.
그 결과, 도 62 내지 도 64와 같이, 이 낚시줄(1)은 양 칼라부(79a),(79b)사이에 협지되어, 도 64중 빗금부로 나타내는 광폭부의 위치에서, 대향 접촉면 (70a) ,(70b)사이에 협지되어 당겨지면서, 스풀(8)(도 2 및 도 3 참조)에 감겨지게 된다.
또, 이 라인롤러기구(16)에서는, 그 한쪽의 칼라부(79a)가 벨암레버(14)의 라인롤러지지부에 낚시줄(1)과 접촉해도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되고, 다른쪽의 칼라부(79b)가 라인롤러지지부에 낚시줄(1)과의 접촉으로 회전하거나 또는 회전하지 않도록 장착되어 있다.
즉, 한쪽의 칼라부(79a)는 지지축과 일체화되어,라인롤러지지부의 공동 내에 이 지지축(84)과 함께 끼워지고, 다른쪽의 지지축(73)의 선단과의 사이에 개장(介裝)되어, 탄성재로서 기능하는 스프링(85)에 의해 공동 내에 압입되어 있다.
이 한쪽의 칼라부(79a)의 지지축(84)은 라인롤러지지부를 공동과 반대측으로 관통하고 있으며, 그 관통된 선단에는 드라이버 등의 공구를 이용하여 이 칼라부 (79a)를 라인롤러지지부 상에서 회전시키기 위해 계합홈(84a)이 형성되어 있다.
또, 이 칼라부(79a)를 라인롤러지지부 상에서 회전시킬 때에 클릭 ·스톱기구로서 기능하는 홈부(86a)와 돌기부(86b)가 이 칼라부(79a)와 공동(空洞)의 내벽과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다른쪽의 칼라부(79b)는 그 지지축(73)상에 지지되고, 이 지지축(73)상에 장착된 부세수단인 코일스프링(77)에 의해 한쪽의 칼라부(79a)쪽으로 항상 억눌려있다.
그러므로, 양 칼라부(79a),(79b)는 그 대향 접촉면(70a),(70b)이 서로 겹치도록 걸어 맞춰져 대향 접촉면(70a),(70b)사이는 항상 협지하려고 한다.
이 칼라부(79a),(79b)에 의해 낚시줄(1)을 협지하는 곳은, 한쪽의 지지축 (84)의 계합홈(84a)에, 도시하지 않은 공구를 삽입하여 이 지지축(84)을 라인롤러지지부 상에서 원하는 각도만큼 회전시킴으로써 위치조정이 가능하다.
이 위치조정에 의해 낚시줄(1)을 협지하는 곳은 도 64에 나타낸 D점에만 설정하는 것 외에, 낚시줄(1)을 C점만으로 협지하거나 C점 및 D점의 양쪽에서 협지하거나 할 수 있다.
또, 칼라부(79a),(79b)의 광폭부를 낚시줄(1)의 감기부에서 분리하여, 낚시줄(1)을 전혀 협지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위치 조정은 낚시줄(1)의 재질, 굵기, 사용하는 장력, 스풀(8)의 줄감개 직경 등에 따라서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도 30a 내지 도 64에 나타내는 실시형태 20 내지 실시형태 34에 의하면, 라인롤러기구를 좌 라인롤러기구와 우 라인롤러기구로 분할 형성하고,이 양 라인롤러기구를 동일한 축심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이 양 라인롤러기구를 그 낚시줄 접촉면인 분할끝면이 서로 겹치도록 걸어 맞추는 동시에, 이 낚시줄 접촉면인 분할끝면이 좁아지도록 부세수단에 의해 탄력적으로 부세함으로써, 라인롤러기구는 기울어지지 않고 축심상을 원활하게 슬라이드하므로, 대 끝에서 라인롤러기구에 이르는 낚시줄의 장력이 매우 작아도, 낚시줄을 낚시줄 접촉면인 분할끝면 사이에 확실하게 협지할 수 있다.
따라서, 낚시줄을 적당한 힘으로 당기면서 스풀에 균일한 두께로 감아 줄 감기상태를 양호하게 할 수 있으므로, 백래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스풀에의 줄 얽힘을 방지하는 동시에, 비산거리를 연장할 수 있다.
또, 라인롤러기구의 낚시줄 안내 외주면의 바깥쪽으로, 안내하는 낚시줄의 양측면에 접촉하는 1쌍의 낚시줄 접촉면인 통형 접촉부를 형성하고, 이 낚시줄 접촉면인 통형 접촉부의 적어도 한쪽이 다른쪽의 낚시줄 접촉면인 통형 접촉부에 접촉 가능하도록 라인롤러기구의 지지축의 축심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형성하는 동시에, 이것에 배설된 부세수단에 의해 접촉방향으로 부세하도록 하였으므로, 낚시줄을 풀어 낼 때에 있어서의 라인롤러기구로부터의 낚시줄의 이탈이나 낚시줄을 감을 때에 있어서의 라인롤러기구에의 낚시줄의 걸림을 통상의 스피닝릴과 마찬가지로, 벨암을 반전 전환하는 것만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라인롤러기구의 낚시줄 안내 외주면 상에서 만곡되어 안내되는 낚시줄의 양 측면에 낚시줄 접촉면인 통형 접촉부를 접촉하도록 하여, 라인롤러기구에 안내되는 낚시줄의 입구와 출구의 2점만으로 낚시줄이 낚시줄 접촉면인 통형 접촉부에 협지되므로, 낚시줄에의 부하가 커져도 줄의 끊김 등을 일으킬 우려는 없다.
또한, 라인롤러기구가 물고기의 당김 등으로 풀어 내는 방향으로 회전해도, 낚시줄 접촉면인 통형 접촉부에서 낚시줄이 벗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낚시줄에 걸리는 텐션이 작아도 낚시줄 감긴 상태가 양호해져, 백래시가 발생하지 않는다.
(실시형태 35)
실시형태 35에 대하여, 도 65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 6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벨암지지부재인 벨암레버(114)는 그 선단에 칼라(141)와 이 칼라(141)에 연결되는 줄미끄럼부(114a)를 일체적으로 가지고, 줄미끄럼부(114a)를 통하여 벨암(13)을 지지하고 있다.
칼라(141)는 벨암레버(114)선단의 측면에 밀착하는 원판부(141a)와, 원판부 (141a)중심에서 줄미끄럼부(114a)쪽으로 돌출하는 지지축(141b)과, 원판부(141a)의 외주에서 줄미끄럼부(114a)쪽으로 돌출하는 림부(141c)를 가진다.
줄미끄럼부(114a)는 칼라(141)의 원판부(141a)에 대향하는 원판부(125a)와, 칼라(141)의 지지축(141b)과 끼워 맞춰지는 지지축(125b)과 칼라(141)의 림부 (141c)에 대향하는 림부(125c)를 가진다.
칼라(141)와 줄미끄럼부(114a)의 양쪽의 지지축(141b),(125b)에는 서로 연통하는 나사구멍이 형성되어, 벨암레버(14)측에서 통과되는 연결볼트(139)가 이 나사구멍에 나사 결합함으로써, 칼라(141)와 줄미끄럼부(114a)는 벨암레버(14)상에 일체적으로 고정된다.
칼라(141) 및 줄미끄럼부(114a)의 양쪽의 지지축(141b),(125b)과 림부(141c) ,(125c)와의 사이에는 환상의 공실(空室)이 형성되고, 이 공실 내에 환상의 라인롤러(116)가 수납되어 있다.
라인롤러(116)는 지지축(141b),(125b)상에 볼 베어링(126)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칼라(141) 및 줄미끄럼부(114a)의 양쪽의 림부(141c),(125c)사이에는 환상의 개구부(127)가 형성되고, 이 개구부(127)에서 라인롤러(116)가 벨암레버(114)밖으로 노출되어 있다.
이 개구부(127)에 면하는 라인롤러(116)의 중앙부에는 낚시줄(1)이 들어가는 환상 홈이 형성되어 있다.
도 6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벨암레버(14)의 선단에 있어서의 칼라(141) 및 줄미끄럼부(114a)의 양쪽의 림부(141c),(125c)에는 라인롤러(116)가 수납되는 환상의 공실 내를 외계로 도통시키기 위해, 배수공(152)이 형성되어 있다.
배수공(152)은 로터(5)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으로 공실 내의 물이 빠져 나가기 쉬운 위치 및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라인롤러(116)에 있어서의 환상 홈을 협지하는 양측 부분에도, 상기 배수공(152)에 대응하도록, 다른 배수공(153)을 형성해두는 것이 배수성을 높이는데 있어서 바람직하다.
그리고, 배수공(152)은 림부(141c),(125c)이외의 곳, 예를들면 벨암레버(14)의 본체에 형성할 수도 있다.
라인롤러(116)의 공실 내에 침입한 담수나 해수는 이 배수공(152)에서 밖으로 배출되어, 지지축(141b),(125b), 볼 베어링(126) 등에 있어서의 녹의 발생이나 염분 결정의 부착 등이 방지되어, 라인롤러(116)의 원활한 회전이 유지된다.
낚시줄(1)의 감기 등에 의해, 개구부(127)에서 벨암레버(14)의 공실내에 침입하여 체류한 물은 배수공(152)에서 외부로 배출된다. 로터가 회전하면 그것에 의한 원심력으로 보다 효율적으로 배수가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또, 도 1 내지 도 29에 나타낸 실시형태 1 내지 실시형태 19의 라인롤러기구 (16)의 낚시줄 접촉면인 분할끝면(17a),(17b)에 대하여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도 66a 및 도 66b 는 변경예 1을 나타낸다. 이 라인롤러기구(16)의 낚시줄 접촉면인 분할끝면(17a),(17b)은 도 66a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낚시줄 접촉면인 분할끝면(17a),(17b)끼리가 대 뒤끝쪽에서 면 접촉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그러므로 도 66b와 같이, 낚시줄(1)을 협지하기 쉽고, 낚시줄(1)에 장력을 가하기 쉽게 되어 있다.
도 67a 및 도 67b 는 변경예 2를 나타낸다. 이 라인롤러기구(16)의 낚시줄 접촉면인 분할끝면도 변경예 1에 있어서와 마찬가지로, 도 67a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낚시줄 접촉면인 분할끝면(17a),(17b)끼리가 대 뒤끝쪽에서 면 접촉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나, 한쪽의 라인롤러(16a)의 외주의 낚시줄 접촉면인 분할끝면(17a)측을 향하여 움푹 패인 테이퍼면(42)이, 다른쪽의 라인롤러(16b)에 있어서의 테이퍼면(43)보다 경사도가 보다 크게 되어 있다. 그러므로 도 67b 와 같이, 낚시줄(1)을 협지하는 면이 작아지지만, 낚시줄(1)을 낚시줄 안내 홈부내에 도입하기 쉽게 되어 있다.
도 68a 및 도 68b 는 변경예 3을 나타낸다. 이 라인롤러기구(16)의 낚시줄 접촉면인 분할끝면(17a),(17b)은 도 68a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 뒤끝쪽에서 V 자형의 간극을 생성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그러므로 도 68b 와 같이, 낚시줄(1)은 낚시줄 접촉면인 분할끝면(17a),(17b)사이에 형성되는 낚시줄 안내 홈부의 가장 깊은 곳에서 협지된다.
도 69a 및 도 69b 는 변경예 4를 나타낸다. 도 69a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경예 1의 양 라인롤러(16a),(16b)와 동일한 라인롤러(16a),(16b)에 있어서, 라인롤러(16a),(16b)외주의 테이퍼면(42),(43)과 낚시줄 접촉면인 분할끝면(17a),(17b)과의 경계부에, 다른 경사각도를 가진 테이퍼면(44),(45)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도 69b 와 같이, 낚시줄(1)은 낚시줄 접촉면인 분할끝면(17a),(17b)사이에 들어가기 쉬워진다.
도 70a 및 도 70b 는 변경예 5를 나타낸다. 도 68a, 도 68b 에 나타낸 변경예 3의 라인롤러기구(16)와 달리, 이 라인롤러기구(16)의 낚시줄 접촉면인 분할끝면은 도 70a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 뒤끝쪽에 있어서 역 V 자형의 간극을 생성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그러므로 도 70b 와 같이, 낚시줄(1)은 낚시줄 안내 홈부의횡단면적이 큰 가장 깊은 곳에서 협지되어, 보다 큰 장력을 발생한다
도 71a 및 도 71b 는 변경예 6을 나타낸다. 도 66a, 도 66b 에 나타낸 변경예 1의 라인롤러기구(16)와 동일하게, 이 라인롤러기구(16)의 낚시줄 접촉면인 분할끝면(17a),(17b)은 낚시줄 접촉면인 분할끝면(17a),(17b)끼리가 대 뒤끝쪽에서 면 접촉하도록 형성되어 있지만, 변경예 1의 라인롤러기구(16)와 달리, 이 접촉면이 대의 전후 방향에 대하여 약간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72a 및 도 72b 는 변경예 7을 나타낸다. 도 72a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라인롤러기구(16)의 다른쪽 라인롤러(16b)에 있어서의 낚시줄 접촉면인 분할끝면(17b)으로부터 연장되는 수통(18)의 표면에는 홈(46)이 형성되어 있다.
이 홈(46)은 국소적 또는 환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72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낚시줄(1)은 양 라인롤러(16a),(16b)의 낚시줄 접촉면인 분할끝면(17a), (17b)사이에 협지되는 동시에 홈(46)내에 들어간다.
도 73a 및 도 73b 는 변경예 8을 나타낸다. 이 라인롤러기구(16)에 있어서의 다른쪽의 라인롤러(16b)에 설치된 수통(18)에는, 한쪽 라인롤러(16a)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일정 간격의 간극을 형성하도록 테이퍼면(47)이 형성되어 있다.
도 74a 및 도 74b 는 변경예 9를 나타낸다. 이 라인롤러기구(16)에 있어서의 양 라인롤러(16a),(16b)외주의 테이퍼면(42),(43)에서 낚시줄 접촉면인 분할끝면(17a),(17b)에 이르는 곳은 알(R)면 즉 만곡면(48),(49)으로 되어 있다. 그러므로 낚시줄(1)은 만곡면(48),(49)에 따라서 낚시줄 접촉면인 분할끝면(17a),(17b)의 사이의 낚시줄 안내홈부 내에 원활하게 들어간다.
도 30 내지 도 64에 나타낸 실시형태 20 내지 실시형태 34의 라인롤러기구에 대해서도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도 75a 및 도 75b 는 제1 변경예를 나타낸다. 이 라인롤러기구(16)에 있어서의 양 라인롤러(16a),(16b)의 낚시줄 접촉면인 분할끝면(17a),(17b)은 도 75a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들 면적이 보다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그러므로 도 75b 와 같이, 낚시줄(1)을 도입하는 낚시줄 도입홈은 깊어져서, 굵은 낚시줄(1)에도 대처 가능하다.
도 76a 및 도 76b 는 제2 변경예를 나타낸다. 이 라인롤러기구(16)에서의 낚시줄 접촉면인 분할끝면(17a),(17b)은 도 76a 에 나타낸 바와 같이, V자형의 간극을 생성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그러므로 도 76b 와 같이, 낚시줄 (1)은 낚시줄 접촉면인 분할끝면(17a),(17b)의 사이에 들어가기 쉽게 되어, 낚시줄 접촉면인 분할끝면(17a),(17b)사이에 들어간 낚시줄(1)은 낚시줄 도입홈의 가장 깊은 곳에서 협지된다,
도 77a 및 도 77b 는 제3 변경예를 나타낸다. 도 77a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변경예의 양 라인롤러(16a),(16b)와 동일한 라인롤러(16a),(16b)에 있어서, 라인롤러(16a),(16b)외주의 테이퍼면(42),(43)과 낚시줄 접촉면인 분할끝면(17a), (17b)과의 경계부에, 다른 경사각도를 가진 테이퍼면(44),(45)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도 77b 와 같이, 낚시줄(1)은 낚시줄 접촉면인 분할끝면(17a),(17b)사이에 들어가기 쉬워지는 동시에, 비교적 큰 면적을 가진 낚시줄 접촉면인 분할끝면 (17a),(17b)사이에 확실하게 파지(把持)되어, 비교적 큰 장력을 생기게 한다.
도 78a 및 도 78b 는 제4 변경예를 나타낸다. 변경예 1 에 있어서의 라인롤러기구(16)와 달리, 이 라인롤러기구(16)의 한쪽 낚시줄 접촉면인 분할끝면(17a)은 도 78a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목형의 원추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도 78b 와 같이, 낚시줄(1)은 낚시줄 접촉면인 분할끝면(17a),(17b)사이에 들어가면, 낚시줄 접촉면인 분할끝면(17a),(17b)사이에 확실하게 파지(把持)되어, 비교적 큰 장력을 생기게 한다.
도 79a 내지 도 80은 제5 변경예를 나타낸다. 제4 변경예에 있어서의 라인롤러기구(16)와 달리, 이 라인롤러기구(16)는 도 79a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낚시줄 접촉면인 분할끝면(17a),(17b)이 오목형의 원추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러므로 도 79b 와 같이, 낚시줄(1)은 낚시줄 도입홈의 횡단면적이 큰 가장 깊은 곳에서 협지되어, 보다 큰 장력을 발생한다. 또, 그 결과 도 80중 빗금부로 나타낸 바와 같이, 낚시줄(1)을 협지한 위치가 라인롤러기구(16)의 외주와 직경과의 교차점상에 오므로, 낚시줄(1)을 협지할 때에, 라인롤러(16a) 또는 (16b)가 지지축(19a) 또는 (19b)(도 31 등 참조)상에서 기울어지지 않고 원활하게 슬라이드하여, 다른쪽의 라인롤러(16b) 또는 (16a)와 함께, 낚시줄(1)을 확실하게 협지하게 된다.
도 81a 및 도 81b 는 제6 변경예를 나타낸다. 제5 변경예의 라인롤러기구 (16)와 달리, 이 라인롤러기구(16)에서는 한쪽의 낚시줄 접촉면인 분할끝면 (17a) ,(17b)이 오목형의 원추면으로 형성되고, 다른쪽의 낚시줄 접촉면인 분할끝면 (17a),(17b)이 돌기형의 원추면으로 형성되어, 양 원추면으로 낚시줄(1)을 협지하게 되어 있다.
도 82a 및 도 82b 는 제7 변경예를 나타낸다. 제1 변경예에 있어서의 라인롤러기구(16)와 달리, 도 82a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쪽의 라인롤러(16a)외주의 테이퍼면(47)이, 다른쪽의 라인롤러(16b) 외주 테이퍼면(43)보다 구배가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그러므로 도 82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낚시줄(1)이 양 낚시줄 접촉면인 분할끝면(17a),(17b)사이에 들어가기 쉬워진다.
도 83a 및 도 83b 는 제8 변경예를 나타낸다. 도 8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라인롤러기구(16)의 다른쪽 라인롤러(16b)에 있어서의 낚시줄 접촉면인 분할끝면(17b)에서 연장되는 수통(18)의 표면에는 환상홈(46)이 형성되어 있다.
도 83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낚시줄(1)은 양 라인롤러(16a),(16b)의 낚시줄 접촉면인 분할끝면(17a),(17b)사이에 협지되는 동시에 홈(46)내에 들어간다.
도 84a 및 도 84b 는 제9 변경예를 나타낸다. 도 84a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라인롤러기구(16)의 수통(18)의 외표면은 낚시줄 접촉면인 분할끝면(17b)쪽으로 향함에 따라서 직경이 작아지는 테이퍼면으로 형성되고, 그러므로 도 84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낚시줄(1)은 양 라인롤러(16a),(16b)의 낚시줄 접촉면인 분할끝면 (17a),(17b)사이에 협지되는 동시에 홈(46)내에 들어가므로, 낚시줄 접촉면인 분할끝면(17a),(17b)사이에 보다 강하게 협지된다.
도 85a 및 도 85b 는 제10 변경예를 나타낸다. 이 라인롤러기구(16)에 있어서의 양 라인롤러(16a),(16b)외주의 테이퍼면(42),(43)에서 낚시줄 접촉면인 분할끝면(17a),(17b)에 이르는 곳은 알(R)면 즉 만곡면(48),(49)으로 되어 있다. 그러므로 낚시줄(1)은 만곡면(48),(49)에 따라서 낚시줄 접촉면인 분할끝면(17a),(17b)사이의 낚시줄 도입홈 내에 원활하게 들어간다. 이 만곡면(48),(49)은 한쪽 라인롤러(16a) 또는 (16b)에만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실시형태 36)
실시형태 36에 대하여, 도 87 ~ 도 89c 에 따라서 설명한다. 이 실시형태는 전술한 실시형태의 개량이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낚시줄(1)을 대향하는 라인롤러기구의 축 방향으로 협지하고 있으므로, 낚시줄(1)의 텐션이 매우 약할 때에는 도 86과 같이, 낚시줄 (1)이 라인롤러기구(2)의 라인롤러 또는 대향면으로부터 멀어지지 않고, 스풀축 방향 (S)의 전방측으로 치우친 위치까지 대향면 사이에 협지될 가능성이 있다.
이와 같이 낚시줄(1)이 편향된 상태에서 스풀(8)의 낚시줄 감기부에 감겨지면, 낚시줄(1)은 낚시줄 감기부의 앞부분에 치우치게 되어 백래시 등이 발생하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라인롤러기구에 의한 낚시줄의 편향을 보다 한층 방지하고, 낚시줄을 스풀 상에 균일하게 감아지도록 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하고 있다.
다음, 실시형태 36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87, 도 88에 있어서, 도 2, 도 3과 동일한 번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내고, 설명을 생략한다.
벨암어셈블리(212)의 라인롤러기구(216)는, 도 89a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벨암레버(14)의 선단과 이 선단의 측면에 고정되는 줄미끄럼부(229)와의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줄미끄럼부(229)는 캡 너트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표면은 미끄러지기 쉽도록 평활하게 마감되어 있다.
상기 벨암(13)의 일단은 이 줄미끄럼부(229)에 고정되어 있다. 라인롤러기구(216), 줄미끄럼부(229) 등은 낚시줄(1)을 스풀(8)에 감을 때에 낚시줄 안내부를 구성한다.
상기 구성의 벨암어셈블리(212)에 있어서, 벨암(13)을 도 87 및 도 88에 나타낸 낚시줄 감기 위치에 회동시키면, 낚시줄(1)이 벨암어셈블리(212)에 안내되어 라인롤러기구(216)상에 계지된다.
이 상태에서 로터(5)를 도 87중 화살표 A 의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낚시줄 (1)이 벨암레버(14)상의 라인롤러기구(212)에 안내되어, 스풀(8)의 낚시줄 감기부에 감겨진다.
또, 벨암(13)을 상기 낚시줄 감기 위치에서 낚시줄 방출 위치로 회동시키면, 낚시줄(1)이 줄미끄럼부(229) 및 벨암(13)위를 슬립하여, 라인롤러기구(212)로부터 벗겨진다.
이 상태로 낚시바늘채비를 투척하면, 낚시줄(1)은 스풀(8)의 낚시줄 감기부로부터 방출된다.
도 89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라인롤러기구(216)는 그 중앙에서 좌우의 롤러편 (217a),(217b)으로 분할되어 있다.
좌우의 롤러편(217a),(217b)의 각 외주면에는 양 롤러편(217a),(217b)이 대향한 위치에서 양자간에 환상 홈이 형성되도록 테이퍼가 형성되어 있다.
좌우의 롤러편(217a),(217b)이 인접한 곳에는 낚시줄 협지홈을 형성하는 대향면(낚시줄 접촉면)(218a),(218b)이 형성되어 있다. 한쪽의 대향면(218a)의 내주측에는 수통(219)이 돌출 형성되어 이 수통(219)이 다른쪽의 대향면(218b)의 내주측으로 들어가 있다. 이 수통(219)의 외주면이 낚시줄 협지홈의 홈 바닥을 형성한다.
롤러편(217a),(217b)은 벨암레버(14)의 선단 측면에 장착된 지지축(220)과, 줄미끄럼부(229)로부터 돌출하는 다른 지지축(221)의 각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양 지지축(220),(221)은 통형상으로 형성되고, 벨암레버(14)의 반대측의 측면에서 삽입되는 고정나사(222)가 지지축(221)에 나사 삽입됨으로써 서로 연결되어 벨암레버(14)상에 고정된다.
여기서, 도 27에 나타낸 실시형태18과 동일하게, 지지축(220)과 (221)은 동축적으로는 배치되어 있지 않으며, 서로 각도를 이루어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도 8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향면(218a),(218b)에 의해 규정되는 낚시줄 협지홈의 홈 폭은 일정하지 않아, 낚시줄(1)이 스풀(8)방향으로 향하는 방향에 따라서 서서히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지지축(220)은 고정나사(222)와 동심적(同心的)이지만, 지지축(221)은 고정 나사(22)에 대하여 각도를 이루어 나사 결합하고 있다.
한쪽의 롤러편(217a)은 구름 베어링인 볼 베어링(223)을 통하여 한쪽의 지지축(220)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다른쪽의 롤러편(217b)은 미끄럼 베어링인 메탈(224)을 통하여 다른쪽의 지지축(221)상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또, 미끄럼 베어링인 메탈(224)은 지지축(221)위에서 슬라이드 가능하며, 줄미끄럼부(229)와의 사이에 형성된 탄성부재인 스프링(225)에 의해, 한쪽의 롤러편(217a)쪽으로 부세되어 있다.
다른쪽의 롤러편(217b)은 메탈(224)에 실린 상태로 한쪽의 롤러편(217a)쪽으로 부세되어, 양 롤러편(217a),(217b)끼리는 대향면(218a),(218b)사이의 낚시줄 협지홈을 폐쇄하려고 한다.
상기 구성의 라인롤러기구(216)에 있어서, 벨암(13)을 낚시줄 감기 위치에 세트한 상태로, 낚시줄(1)을 스풀(8)상에 감고자 하면, 도 89a ~ 89c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낚시줄(1)이 라인롤러기구(216)좌우의 롤러편(217a),(217b)사이의 낚시줄 협지홈 내로 들어가, 대향면(218a),(218b)에 협지되면서 주행한다. 이로써, 낚시줄(1)은 꼬임이 제거되어 스풀(8)의 낚시줄 감기부에 감겨진다.
그러나, 감을 때의 낚시줄(1)의 텐션이 작은 경우는, 도 8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낚시줄(1)이 라인롤러기구(216)의 대향면(218a),(218b)사이에서 떨어지지 않으므로, 낚시줄(1)이 스풀 앞쪽으로 편향된 상태로 스풀(8)에 감겨지고, 낚시줄 감기부 상의 낚시줄(1)이 스풀(8)의 앞쪽으로 치우치게 된다.
이와 같은 낚시줄(1)의 편향을 방지하기 위해, 도 89a ~ 89c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라인롤러기구(212)와 스풀(8)과의 사이에, 낚시줄(1)의 스풀축 방향(S)에 있어서의 전방측으로의 편향을 규제하기 위해 규제부재(200)가 형성되어 있다.
이 규제부재(200)는 낚시줄(1)을 안내하는 가이드 봉이며, 대 뒤쪽에서 온 낚시줄(1)이 라인롤러기구(216)를 거쳐서 스풀(8)쪽으로 향하고자 하는 곳에 형성되며, 낚시줄(1)을 스풀축 방향(S)의 후방측으로 되돌려 상기 편향을 해소하고자 한다.
이 규제부재(200)는, 예를들면 원형 단면의 금속선재(金屬線材)로 형성되고, 라인롤러기구(212)를 종단(縱斷)하도록 벨암레버(14)의 선단과 줄미끄럼부(229)와의 사이에 걸쳐진다.
다음에, 상기 구성의 낚시용 스피닝릴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7 및 도 8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낚시줄 감기상태에 있는 벨암(13)을 낚시줄 방출위치로 반전시키면, 낚시줄(1)이 라인롤러(116)로부터 벗겨져, 스풀(8)의 낚시줄 감기부로부터 방출 가능하게 된다.
낚시줄(1)을 방출한 후, 벨암(13)을 다시 도 87 및 도 88에 나타낸 낚시줄 감기 위치측으로 반전 동작시키면, 낚시줄(1)은 라인롤러기구(216)상으로 이동한다.
그래서 핸들(7)을 조작하여 로터(5)를 회전시키면, 도 89a ~ 89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낚시줄(1)이 스프링(225)의 부세력에 저항하여 롤러편(217a),(217b)을 상대적으로 좌우로 밀어 내고, 대향면(218a),(218b)사이에 들어간다.
그 결과, 낚시줄(1)은 대향면(218a),(218b)으로 협지되고, 라인롤러기구 (216)에서 스풀(8)에 이르는 낚시줄(1)에 큰 장력이 걸리게 되어, 낚시줄(1)은 느슨함이나 꼬임이 제거된 상태로 스풀(8)의 낚시줄 감기부에 감겨진다.
또, 도 8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 끝에서 라인롤러기구(216)에 이르는 낚시줄 (1)의 장력이 매우 작아 낚시줄(1)이 라인롤러기구(216)를 거친 후 스풀축 방향(S)의 앞쪽으로 편향하려고 하는 경우, 도 89(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규제부재(200)가 낚시줄(1)을 스풀축 방향(S)의 뒤쪽으로 되돌려, 상기 편향을 해소하고자 한다.
이로써, 도 86에 나타낸 바와 같은 스풀(8)의 앞부분에 낚시줄(1)이 두껍게 감겨지거나 하는 현상이 방지되어, 낚시줄(1)은 스풀(8)의 낚시줄 감기부에 균등한 두께로 감겨진다.
(실시형태 37)
도 90a, 90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실시형태 37의 낚시용 스피닝릴에 있어서의 규제부재(300)는, 낚시줄(1)의 접촉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부(301)를 가진다.
회전부(301)는 원통형의 파이프로 형성되고, 실시형태 36의 가이드 봉(200)과 동일한 지지봉(20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낚시줄(1)은 그 감을 때에 회전부(300)에 접촉하면서 주행하므로 흠집이 잘 나지 않는다. 또, 드랙이 슬립하여 낚시줄(1)이 스풀(8)로부터 빠져 나올때도, 낚시줄(1)은 회전부(301)에 접촉하면서 원활하게 주행하므로 흠집이 잘 나지 않는다.
그리고, 실시형태 36과 동일하게 지지축(221)은 지지축(220)에 대하여 각도를 이루어 배치되어 있으므로, 대향면(218a),(218b)에 의해 규정되는 낚시줄 협지홈의 홈 폭은 낚시줄(1)이 스풀(8)방향으로 향하는 방향을 향하여 서서히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실시형태 38)
도 91a, 91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실시형태 38의 낚시용 스피닝릴에 있어서의 규제부재(400)는, 실시형태 37에 있어서의 규제부재(300)와 마찬가지로, 낚시줄(1)의 접촉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부(401)를 가지지만, 회전부(401)를 지지하는 지지봉(402)이 벨암레버(14)와 줄미끄럼부(229)에 각각 형성된 브래킷부(14a), (229a)에 지지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형태 36, 37과 동일하다.
(실시형태 39)
도 92a, 92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실시형태 39의 낚시용 스피닝릴에 있어서의 규제부재(500)는, 실시형태 37, 38에 있어서의 규제부재(300),(400)와 마찬가지로, 낚시줄(1)의 접촉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부(501)를 가진다.
회전부(501)는 낚시줄(1)을 전후에서 협지하도록 복수개 형성되고, 각 회전부(501)를 각각 지지하는 지지봉(502)이. 벨암레버(14)에 형성된 브래킷부(14a)에 캔틸레버(cantilever)형상으로 지지되어 있다.
낚시줄(1)은 회전부(501,501)에 의해 전후에서 협지되면서 주행하므로, 스풀 (8)(도 87 참조)의 줄감김 상태가 안정된다.
이상과 같이, 실시형태 36 내지 39에 의하면, 라인롤러기구(216)와 스풀(8)과의 사이에, 스풀축 방향의 전방측으로의 낚시줄(1)의 편향을 규제하는 규제부재 (200),(300),(400),(500)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낚시줄이 라인롤러기구(216)가까이에서 스풀(8)에 매우 가벼운 텐션으로 감겨지는 경우 등에 있어서도 규제부재에 의해 낚시줄(1)의 편향이 규제되고, 낚시줄의 꼬임, 느슨함 등이 제거됨고, 따라서 스풀(8)에의 낚시줄의 감김 상태가 변화해도, 낚시줄은 스풀(8)에 균일한 두께로 감겨지게 된다.
또, 실시형태 37 내지 39와 같이, 규제부재(200),(300),(400),(500)가 낚시줄의 접촉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부(301),(401),(501)를 가지므로, 낚시줄(1)의 감김, 풀어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 전술한 규제부재(200),(300),(400),(500)를 실시형태 1 내지 35에 적용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실시형태 40)
도 93a, 93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형태 40의 낚시용 스피닝릴에 있어서의 라인롤러기구(316)는, 실시형태 36 내지 39의 좌우의 롤러편(217a),(217b)이 일체화된 구조이며, 볼 베어링(223)을 통하여 지지축(22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 라인롤러(316)의 외주면에는 낚시줄(1)을 안내하기 위한 환상 홈(217c)이 형성되어 있다.
라인롤러(316)의 뒤쪽에는 텐션롤러(600)가 배치된다. 텐션롤러(600)는 벨암레버(14)에 축(601)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그 주위 에지가 라인롤러 (316)의 환상 홈(217c)에 끼워져 있다.
텐션롤러(600)는 바람직하게는 고무 등의 탄성재로 만들어지고, 도 93(c)에 2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라인롤러(316)의 환상 홈(217c)에 합치하는 횡단면형을 가진다.
낚시줄(1)은 텐션롤러(600)의 주위에지와 라인롤러(316)의 환상 홈(217c)의 홈 바닥과의 사이에 협지되면서 주행하므로, 줄을 감을 때의 텐션이 매우 약한 때라도 텐션롤러(600)에 의해 어느 정도의 텐션이 걸린 상태에서, 스풀(8)(도 87 참조)에 감기게 되어 스풀(8)로부터의 낚시줄(1)의 풀림이 방지된다.
그리고, 텐션롤러(600)의 축(601)을 벨암레버(14)상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하여, 스프링 등에 의해 라인롤러(316)쪽으로 압착하도록 해도 된다.
그리고, 실시형태 36 ~ 40에 있어서는, 벨암레버(14)와 줄미끄럼부(229)를 별체로 하여 조립하도록 하였으나, 이들은 처음부터 일체로 성형해도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낚시줄을 감을 때에 대 끝에서 라인롤러기구에 이르는 낚시줄의 장력이 작은 경우라도, 낚시줄을 라인롤러 사이에 확실하게 협지할 수 있다.
따라서, 낚시줄을 적당한 장력으로 잡아 당기면서, 스풀에 균일한 두께로 감아서 줄의 감김 상태를 양호하게 할 수 있으므로, 백래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스풀에의 낚시줄 꼬임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23)

  1. 스피닝릴을 낚시대에 장착했을 때에, 대 끝쪽의 앞쪽과 대 뒤끝쪽의 후측을 구비한 릴본체(4)와,
    상기 릴본체의 앞쪽에 위치하여 낚시대의 대 끝방향으로 연장되는 낚시줄을 감는 스풀(8)과, 상기 릴본체의 앞쪽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로터(5)와,
    상기 로터에 배설되고, 상기 스풀의 주위를 주회(周回)이동 가능한 벨암어셈블리(13),(14),(15)와,
    상기 벨암어셈블리에 설치된 라인롤러기구(16)를 구비하고, 상기 라인롤러기구는,
    제1 낚시줄 접촉면(17a,70b)을 가지는 제1 라인롤러(16a),(71b)와,
    상기 제1 낚시줄 접촉면에 대향 배치된 제2 낚시줄 접촉면(17b),(70a)을 가지는 제2 라인롤러(16b),(71a)와,
    상기 제1, 제2 낚시줄 접촉면 사이의 거리를 감소하는 방향으로, 적어도 제1 또는 제2 라인롤러중 어느 하나를 부세하는 부세부재(23),(30),(32)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제2 라인롤러는 상기 대 끝쪽이 전단측이며, 상기 대 뒤끝쪽이 후단측이고, 상기 제1, 제2 낚시줄 접촉면은 양자간에 낚시줄 안내홈을 규정하고, 상기 뒤끝쪽에 있어서의 상기 제1, 제2 낚시줄 접촉면 사이의 거리가, 상기 전단측에 있어서의 상기 제1, 제2 낚시줄 접촉면 사이의 거리보다 작게 형성되고, 낚시줄을 감는 중에 있어서, 낚시줄은 대의 끝쪽에서 상기 전단측의 낚시줄 안내홈에 도입되고, 상기 후단측의 제1, 제2 낚시줄 접촉면 사이에서 눌러지면서 상기 스풀에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닝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인롤러기구는 또한, 제1 지지수단(19a)과 제2 지지수단(19b)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지지수단은, 상기 벨암어셈블리에 설치되어 있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을 가지고, 상기 제1 라인롤러(16a)는 상기 제1 지지수단에 동축적으로 또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2 지지수단은, 상기 제2 라인롤러를 동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이 벨암어셈블리에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제1 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축을 가지고, 상기 제1 축과 제2 축은, 스피닝릴이 낚시대에 장착되었을 때에 낚시대의 끝쪽으로 돌출하는 방향으로 교차하는 각도를 이루어, 상기 낚시줄 안내면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닝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라인롤러기구는, 상기 부세수단의 부세력을 조정하기 위해, 상기 벨암어셈블리에 배설된 조절부재(20)를 다시 배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닝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수단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원통형 로드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지지수단은,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원통형 로드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원통형 로드부재와의 교차부분에서, 상기 제1 원통형 로드부재와 일체화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닝릴.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라인롤러 또는 제2 라인롤러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이동을 촉진하기 위해, 상기 라인롤러기구는 상기 제1 지지수단 또는 제2 지지수단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칼라(31),(41)가 다시 배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닝릴.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 지지수단중 어느 하나는 구면부(球面部)를 구비하고, 그 주위에 대응하는 제1 또는 제2 라인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배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닝릴.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 지지수단중 어느 하나는, 대응하는 제1 또는 제2 라인롤러의 축의 방향을 바꾸는 수단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닝릴.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낚시줄 접촉면과 상기 제2 낚시줄 접촉면의 적어도 어느 한쪽은 알(R)면(48),(49)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닝릴.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낚시줄 접촉면과 상기 제2 낚시줄 접촉면의 적어도 어느 한쪽은 낚시대와 평행으로 연장되고, 다른쪽의 낚시줄 접촉면은 낚시대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닝릴.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라인롤러는, 상기 제1 지지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외주면을 구비한 제1 슬리브부재와, 이 슬리브부재의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플랜지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라인롤러는, 상기 슬리브부재의 외주면에 걸어 맞춤이 가능한 동시에 축방향 끝면을 구비한 제2 슬리브부재를 가지고, 상기 외주면의 일부는 상기 낚시줄 안내홈의 바닥부를 이루고, 상기 플랜지부재는, 상기 제1 낚시줄 접촉면을 이루며, 상기 제2 슬리브 부재의 상기 축방향 끝면은 상기 제2 낚시줄 접촉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닝릴.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라인롤러기구는, 상기 제1, 제2 라인롤러를 동기(同期) 회전하기 위해, 상기 제1, 제2 라인롤러를 접속하는 동기회전기구(50,51)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닝릴.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벨암어셈블리에는 배수공(52)이 형성되어, 상기 라인롤러기구의 내부와 외기를 도통(導通)시키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닝릴.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인롤러기구는 제1 지지수단(19a,73)과 제2 지지수단 (19b,84)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지지수단은, 이 벨암어셈블리에 설치되어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축을 가지고, 상기 제1 라인롤러가 상기 제1 지지수단에 동축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제2 지지수단은, 상기 벨암어셈블리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축과 동일 직선형의 제2 축을 가지며, 상기 제2 라인롤러가 이 제2 지지수단에 동축적으로 설치되고, 이렇게 하여 제1 , 제2 라인롤러는 동축적으로 배치되고,
    제1 라인롤러 또는 제2 라인롤러중 어느 한쪽은 관련되는 제1 지지수단 또는 제2 지지수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다른쪽은 관련되는 제1 지지수단 또는 제2 지지수단에 대하여 회전 불능하게 배설되고,
    회전 불능하게 된 측의 롤러의 제1 또는 제2 낚시줄 접촉면에는 상기 후단측을 향하여 제1 ,제2 낚시줄 접촉면 사이의 거리가 점차로 좁아져 가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닝릴.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라인롤러기구는 다시, 상기 제1, 제2 라인롤러중 어느 한쪽의 회전고정위치를 조정하는 수단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또는 제2 라인롤러중 어느 한쪽의 회전고정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경사면의 위치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닝릴.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라인롤러기구는, 상기 부세수단의 부세력을 조정하기 위해, 상기 벨암어셈블리에 형성된 조절부재(20),(75)를 다시 배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닝릴.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낚시줄 접촉면과 상기 제2 낚시줄 접촉면중 적어도 어느 한쪽은, 알(R)면(48),(49)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닝릴.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라인롤러는, 상기 제1 지지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외주면을 구비한 제1 슬리브부재와, 이 슬리브부재의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플랜지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라인롤러는, 상기 슬리브부재의 이 외주면에 걸어 맞춤 가능한 동시에 축방향 끝면을 구비한 제2 슬리브부재를 가지고, 이 외주면의 일부는 상기 낚시줄 안내홈의 바닥부를 이루고, 상기 플랜지부재는, 상기 제1 낚시줄 접촉면을 이루며, 상기 제2 슬리브 부재의 상기 축방향 끝면은, 상기 제2 낚시줄 접촉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닝릴.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재의 반경방향 바깥부분은 제2 슬리브부재방향으로 돌출하고, 상기 제2 슬리브부재의 반경방향 바깥부분은, 상기 플랜지부재 방향으로 돌출하여, 상기 플랜지부재의 반경방향 바깥부분과 접촉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닝릴.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재는, 상기 제2 슬리브부재를 향하여 점차 직경이 감소하는 외주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슬리브부재는, 상기 플랜지부재를 향하여 점차 직경이 감소하는 외주면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닝릴.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리브부재의 외주면의 직경은, 상기 플랜지부를 향하여 서서히 직경이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닝릴.
  21.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라인롤러는 내부 롤러(78)와, 외부 롤러(71b)를 구비하고, 상기 내부 롤러(78)의 외주면(78a)에는 낚시줄이 위치되고, 제1 슬리브부재(79a)는, 상기 내부 롤러를 에워싸는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동시에, 상기 제1 낚시줄 접촉면으로서 기능하는 제1 끝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2 라인롤러(79a)는, 상기 내부 롤러를 에워싸고, 상기 제1 끝면과 대향하고 상기 제2 낚시줄 접촉면으로서 기능하는 제2 끝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2 라인롤러의 회전위치가 조절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닝릴.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라인롤러와, 상기 스풀과의 사이에, 상기 낚시줄의 스풀축 방향에 있어서의 전방측으로의 편향(偏向)을 규제하는 규제부재를배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스피닝릴.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재는 이 낚시줄의 접촉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스피닝릴.
KR1020000009315A 2000-02-25 2000-02-25 라인롤러를 구비한 낚시용 스피닝릴 KR1003340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9315A KR100334034B1 (ko) 2000-02-25 2000-02-25 라인롤러를 구비한 낚시용 스피닝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9315A KR100334034B1 (ko) 2000-02-25 2000-02-25 라인롤러를 구비한 낚시용 스피닝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4345A KR20010084345A (ko) 2001-09-06
KR100334034B1 true KR100334034B1 (ko) 2002-04-25

Family

ID=37682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9315A KR100334034B1 (ko) 2000-02-25 2000-02-25 라인롤러를 구비한 낚시용 스피닝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403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4345A (ko) 2001-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37585B2 (en) Fishing line guide mechanism for a spinning reel
KR101293174B1 (ko)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 장치
EP2361501B1 (en) Spinning reel fishing line guide mechanism
KR20150020027A (ko) 스피닝 릴
KR101048724B1 (ko) 스피닝 릴의 로터
US7665683B2 (en) Fishing line guiding mechanism of spinning reel
EP0838154B1 (en) Fishline guide arrangement for spinning reel
EP1228688B1 (en) Spinning-reel line-guiding apparatus
KR100334034B1 (ko) 라인롤러를 구비한 낚시용 스피닝릴
EP1121855B1 (en) Fishing line guiding mechanism for spinning reel
KR20020069157A (ko) 스피닝 릴의 스풀
US20210120795A1 (en) Fishing tackle and method of use thereof
US20110095118A1 (en) Spinning-reel fishing line guide mechanism
US6227474B1 (en) Spinning reel with tension roller for preventing fishing line twist
KR20030066429A (ko) 스피닝 릴의 로터
KR20040019947A (ko) 스피닝 릴의 낚싯줄 안내 기구
JP5331861B2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4975531B2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3590095B2 (ja) 中通し用穂先竿
JP4011753B2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2000217474A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2006174773A (ja) 釣竿
JP2000083529A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4116528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JP2019022455A (ja) 釣具の釣竿及び竿先端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4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