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7342A - 분산액 - Google Patents

분산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7342A
KR20190077342A KR1020197011158A KR20197011158A KR20190077342A KR 20190077342 A KR20190077342 A KR 20190077342A KR 1020197011158 A KR1020197011158 A KR 1020197011158A KR 20197011158 A KR20197011158 A KR 20197011158A KR 20190077342 A KR20190077342 A KR 201900773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dispersion
weight
meth
acry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1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2701B1 (ko
Inventor
요시노리 오카다
히데토 나카지마
준지 모리모토
Original Assignee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773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73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27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27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3Improving the adhesiveness of the coatings per se, e.g. forming pri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02Making solutions, dispersions, lattices or gels by other methods than by solution, emulsion or suspension polymerisation techniques
    • C08J3/03Making solutions, dispersions, lattices or gels by other methods than by solution, emulsion or suspension polymerisation techniques in aqueous media
    • C08J3/07Making solutions, dispersions, lattices or gels by other methods than by solution, emulsion or suspension polymerisation techniques in aqueous media from polymer solu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 B32B2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comprising rubber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comprising rubber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acetate or vinyl alcohol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44Polymerisation in the presence of compounding ingredients, e.g. plasticisers, dyestuffs, fill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46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C08F2/48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by ultraviolet or visible light
    • C08F2/50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by ultraviolet or visible light with sensitis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02Making solutions, dispersions, lattices or gels by other methods than by solution, emulsion or suspension polymerisation techniques
    • C08J3/03Making solutions, dispersions, lattices or gels by other methods than by solution, emulsion or suspension polymerisation techniques in aqueous media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27Coating with only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ing a polymer bind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5/00Compositions of rubber derivatives
    • C08L15/02Rubber derivatives containing hal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rubber derivatives
    • C09D115/02Rubber derivatives containing hal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4/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onomer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f groups C09D183/00 - C09D183/16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2Emulsion paints including aeros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4/00Adhesives based o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 adhesives, based on monomer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f groups C09J183/00 - C09J183/16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5/00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relating to pri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 Processes Of Treat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산매로서 물을 포함하고, 분산질로서 염소화 고무 및 중합성기를 갖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분산액으로서, 염소화 고무 및 중합성기를 갖는 화합물의 합계량이, 염소화 고무, 중합성기를 갖는 화합물 및 물의 합계 중에 1 ∼ 60 중량% 이고, 명세서에 기재하는 측정 조건에서, 측정을 개시하고 나서 30 분 후에 측정한 후방 산란 광 강도 (%) 에 대한, 측정을 개시하고 나서 24 시간 후에 측정한 후방 산란 광 강도 (%) 의 변화량의 절대치에 있어서의 최대치 α (%) 가, (I) α (상부) <20, (II) α (중간부) < 5, (III) α (저부) < 10 의 요건을 만족하는 분산액 [α (상부), α (중간부), α (저부) 등의 의미는 명세서에 기재한 바와 같다.] 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분산액
본 발명은, 분산액에 관한 것이다.
유탁액 및 현탁액과 같은 분산액 (특히 수성 분산액) 은, 접착제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다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는, 접착제 또는 프라이머로서 이용할 수 있는, 산 변성 염소화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수성 수지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수성 수지 조성물은, 피착체에 대하여 충분한 강도로 접착하지 않거나, 또는 피착체끼리를 충분한 강도로 접착할 수 없었다. 또한, 특허문헌 2 에는, 염소 원자 함유량이 45 중량% 이상인 염소화 고무와, 1 종 이상의 중합성기를 갖는 화합물과, 물을 포함하는, 접착성이 우수한 수성 에멀션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수성 에멀션은, 장기 보존 후에 사용한 경우, 접착성이 반드시 충분하지는 않았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31473호 국제 공개 제2015/194611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장기 보존 후에 사용해도, 우수한 접착성을 나타내는 분산액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1] 분산매로서 물을 포함하고, 분산질로서 염소화 고무 및 중합성기를 갖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분산액으로서,
염소화 고무 및 중합성기를 갖는 화합물의 합계량이, 염소화 고무, 중합성기를 갖는 화합물 및 물의 합계 중에 1 ∼ 60 중량% 이고,
30 ㎖ 의 분산액을 100 ㎖ 용기에 붓고, 자전 공전 교반기를 사용하여, 자전 속도 800 rpm 및 공전 속도 2,000 rpm 의 조건으로 1 분간 교반하여 측정 시료를 조제하고, 20 ㎖ 의 측정 시료를 직경 25 ㎜ 의 실린더상의 시료 셀에 붓고, 시료 셀 중의 측정 시료에 파장이 880 ㎚ 인 입사 광을 조사하고, 입사 광에 대하여 45°의 위치에서 측정 시료로부터의 후방 산란 광을 검출하는 것에 의한 후방 산란 광 강도 (%) 의 측정을, 측정 시료의 조제로부터 10 분 이내에 개시하고, 시료 셀 중의 측정 시료의 상부, 중간부 및 저부의 각각에 있어서의, 측정을 개시하고 나서 30 분 후에 측정한 후방 산란 광 강도 (%) 에 대한, 측정을 개시하고 나서 24 시간 후에 측정한 후방 산란 광 강도 (%) 의 변화량의 절대치에 있어서의 최대치 α (%) 가, 하기 식 (I) ∼ (III) :
α (상부) < 20 (I)
α (중간부) < 5 (II)
α (저부) < 10 (III)
[식 중, α (상부) 는, 측정 시료의 상부에 있어서의 상기 최대치 α (%) 를 나타내고, α (중간부) 는, 측정 시료의 중간부에 있어서의 상기 최대치 α (%) 를 나타내고, α (저부) 는, 측정 시료의 저부에 있어서의 상기 최대치 α (%) 를 나타내고, 측정 시료의 상부, 중간부 및 저부는, 각각, 메니스커스의 부분을 제외한 시료 셀 중의 측정 시료의 높이를 위로부터 1/3 씩 분할한 측정 시료의 부분을 나타낸다.]
의 요건을 만족하는 분산액.
[2] 염소화 고무 및 중합성기를 갖는 화합물의 합계량이, 염소화 고무, 중합성기를 갖는 화합물 및 물의 합계 중에, 3 ∼ 30 중량% 인 상기 [1] 에 기재된 분산액.
[3] 염소화 고무 및 중합성기를 갖는 화합물의 합계량이, 염소화 고무, 중합성기를 갖는 화합물 및 물의 합계 중에, 5 ∼ 15 중량% 인 상기 [1] 에 기재된 분산액.
[4] 염소화 고무 중의 염소 원자 함유량이, 45 중량% 이상인 상기 [1] ∼ [3] 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분산액.
[5] 염소화 고무 중의 염소 원자 함유량이, 45 ∼ 85 중량% 인 상기 [1] ∼ [3] 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분산액.
[6] 염소화 고무 중의 염소 원자 함유량이, 55 ∼ 80 중량% 인 상기 [1] ∼ [3] 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분산액.
[7] 염소화 고무가, 융점을 갖는 염소화 고무인 상기 [1] ∼ [6] 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분산액.
[8] 염소화 고무의 융점이, 100 ℃ 이상인 상기 [7] 에 기재된 분산액.
[9] 염소화 고무의 융점이, 200 ℃ 이상인 상기 [7] 에 기재된 분산액.
[10] 염소화 고무의 융점이, 240 ℃ 이상인 상기 [7] 에 기재된 분산액.
[11] 염소화 고무의 융점이, 350 ℃ 이하인 상기 [7] ∼ [10] 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분산액.
[12] 염소화 고무의 융점이, 300 ℃ 이하인 상기 [7] ∼ [10] 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분산액.
[13] 염소화 고무의 폴리스티렌 환산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 이상인 상기 [1] ∼ [12] 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분산액.
[14] 염소화 고무의 폴리스티렌 환산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3,000 이상인 상기 [1] ∼ [12] 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분산액.
[15] 염소화 고무의 폴리스티렌 환산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5,000 이상인 상기 [1] ∼ [12] 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분산액.
[16] 염소화 고무의 폴리스티렌 환산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0 이상인 상기 [1] ∼ [12] 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분산액.
[17] 염소화 고무의 폴리스티렌 환산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400,000 이하인 상기 [1] ∼ [16] 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분산액.
[18] 염소화 고무의 폴리스티렌 환산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200,000 이하인 상기 [1] ∼ [16] 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분산액.
[19] 염소화 고무의 양이, 염소화 고무 및 중합성기를 갖는 화합물의 합계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 30 중량부인 상기 [1] ∼ [18] 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분산액.
[20] 염소화 고무의 양이, 염소화 고무 및 중합성기를 갖는 화합물의 합계 100 중량부에 대하여, 3 ∼ 25 중량부인 상기 [1] ∼ [18] 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분산액.
[21] 염소화 고무의 양이, 염소화 고무 및 중합성기를 갖는 화합물의 합계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 20 중량부인 상기 [1] ∼ [18] 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분산액.
[22] 염소화 고무의 양이, 염소화 고무, 중합성기를 갖는 화합물 및 물의 합계 중에, 0.01 ∼ 18 중량% 인 상기 [1] ∼ [21] 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분산액.
[23] 염소화 고무의 양이, 염소화 고무, 중합성기를 갖는 화합물 및 물의 합계 중에, 0.1 ∼ 10 중량% 인 상기 [1] ∼ [21] 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분산액.
[24] 염소화 고무의 양이, 염소화 고무, 중합성기를 갖는 화합물 및 물의 합계 중에, 0.2 ∼ 5 중량% 인 상기 [1] ∼ [21] 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분산액.
[25] 염소화 고무의 적어도 일부가, 액상의 분산질 중에 용해되어 있는 상기 [1] ∼ [24] 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분산액.
[26] 중합성기를 갖는 화합물의 적어도 일부가, 23 ℃ 및 대기압하에서 액상인 상기 [1] ∼ [25] 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분산액.
[27] 염소화 고무의 적어도 일부가, 23 ℃ 및 대기압하에서 액상인 중합성기를 갖는 화합물 중에 용해되어 있는 상기 [26] 에 기재된 분산액.
[28] 분산질이, 액상인 상기 [1] ∼ [27] 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분산액.
[29] 중합성기를 갖는 화합물이, 중합성기를 갖고, 또한 고리형 구조를 갖지 않는 화합물과, 중합성기 및 고리형 구조를 갖는 화합물의 혼합물인 상기 [1] ∼ [28] 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분산액.
[30] 중합성기를 갖고, 또한 고리형 구조를 갖지 않는 화합물의 양이, 중합성기를 갖는 화합물의 합계 중에, 40 ∼ 99 중량% 인 상기 [29] 에 기재된 분산액.
[31] 중합성기를 갖고, 또한 고리형 구조를 갖지 않는 화합물의 양이, 중합성기를 갖는 화합물의 합계 중에, 60 ∼ 97 중량% 인 상기 [29] 에 기재된 분산액.
[32] 중합성기를 갖고, 또한 고리형 구조를 갖지 않는 화합물의 양이, 중합성기를 갖는 화합물의 합계 중에, 80 ∼ 95 중량% 인 상기 [29] 에 기재된 분산액.
[33] 중합성기 및 고리형 구조를 갖는 화합물의 양이, 중합성기를 갖는 화합물의 합계 중에, 1 ∼ 60 중량% 인 상기 [29] ∼ [32] 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분산액.
[34] 중합성기 및 고리형 구조를 갖는 화합물의 양이, 중합성기를 갖는 화합물의 합계 중에, 3 ∼ 40 중량% 인 상기 [29] ∼ [32] 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분산액.
[35] 중합성기 및 고리형 구조를 갖는 화합물의 양이, 중합성기를 갖는 화합물의 합계 중에, 5 ∼ 20 중량% 인 상기 [29] ∼ [32] 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분산액.
[36] 중합성기를 갖고, 또한 고리형 구조를 갖지 않는 화합물의 양이, 염소화 고무, 중합성기를 갖는 화합물 및 물의 합계 중에, 0.4 ∼ 50 중량% 인 상기 [29] ∼ [35] 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분산액.
[37] 중합성기를 갖고, 또한 고리형 구조를 갖지 않는 화합물의 양이, 염소화 고무, 중합성기를 갖는 화합물 및 물의 합계 중에, 1 ∼ 25 중량% 인 상기 [29] ∼ [35] 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분산액.
[38] 중합성기를 갖고, 또한 고리형 구조를 갖지 않는 화합물의 양이, 염소화 고무, 중합성기를 갖는 화합물 및 물의 합계 중에, 3 ∼ 25 중량% 인 상기 [29] ∼ [35] 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분산액.
[39] 중합성기 및 고리형 구조를 갖는 화합물의 양이, 염소화 고무, 중합성기를 갖는 화합물 및 물의 합계 중에, 0.01 ∼ 30 중량% 인 상기 [29] ∼ [38] 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분산액.
[40] 중합성기 및 고리형 구조를 갖는 화합물의 양이, 염소화 고무, 중합성기를 갖는 화합물 및 물의 합계 중에, 0.1 ∼ 15 중량% 인 상기 [29] ∼ [38] 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분산액.
[41] 중합성기 및 고리형 구조를 갖는 화합물의 양이, 염소화 고무, 중합성기를 갖는 화합물 및 물의 합계 중에, 0.2 ∼ 5 중량% 인 상기 [29] ∼ [38] 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분산액.
[42] 중합성기를 갖고, 또한 고리형 구조를 갖지 않는 화합물이, 2-에틸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도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메트)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1,9-노난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및 1,10-데칸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개인 상기 [29] ∼ [41] 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분산액.
[43] 중합성기를 갖고, 또한 고리형 구조를 갖지 않는 화합물이, 도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및 1,6-헥산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개인 상기 [29] ∼ [41] 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분산액.
[44] 중합성기를 갖고, 또한 고리형 구조를 갖지 않는 화합물이, 도데실메타크릴레이트, 및 1,6-헥산디올디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개인 상기 [29] ∼ [41] 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분산액.
[45] 중합성기 및 고리형 구조를 갖는 화합물이, 2-페녹시에틸렌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2-페녹시디에틸렌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및 트리시클로데칸디메탄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개인 상기 [29] ∼ [44] 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분산액.
[46] 중합성기 및 고리형 구조를 갖는 화합물이, 2-페녹시에틸렌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및 트리시클로데칸디메탄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개인 상기 [29] ∼ [44] 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분산액.
[47] 중합성기 및 고리형 구조를 갖는 화합물이, 2-페녹시에틸렌글리콜메타크릴레이트, 및 트리시클로데칸디메탄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개인 상기 [29] ∼ [44] 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분산액.
[48] 중합성기를 갖는 화합물이,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화합물, 에폭시 화합물, 및 옥세탄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개인 상기 [1] ∼ [41] 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분산액.
[49] 중합성기를 갖는 화합물이,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화합물인 상기 [1] ∼ [41] 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분산액.
[50]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화합물 중의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의 수가, 1 ∼ 3 인 상기 [48] 또는 [49] 에 기재된 분산액.
[51]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화합물 중의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의 수가, 1 ∼ 2 인 상기 [48] 또는 [49] 에 기재된 분산액.
[52] 추가로 계면 활성제를 포함하는 상기 [1] ∼ [51] 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분산액.
[53] 계면 활성제의 양이, 염소화 고무 및 중합성기를 갖는 화합물의 합계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중량부 이상인 상기 [52] 에 기재된 분산액.
[54] 계면 활성제의 양이, 염소화 고무 및 중합성기를 갖는 화합물의 합계 100 중량부에 대하여, 30 중량부 이하인 상기 [52] 또는 [53] 에 기재된 분산액.
[55] 계면 활성제의 양이, 염소화 고무 및 중합성기를 갖는 화합물의 합계 100 중량부에 대하여, 15 중량부 이하인 상기 [52] 또는 [53] 에 기재된 분산액.
[56] 계면 활성제의 양이, 염소화 고무 및 중합성기를 갖는 화합물의 합계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중량부 이하인 상기 [52] 또는 [53] 에 기재된 분산액.
[57] 추가로 광 중합 개시제를 포함하는 상기 [1] ∼ [56] 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분산액.
[58] 광 중합 개시제의 양이, 염소화 고무 및 중합성기를 갖는 화합물의 합계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중량부 이상인 상기 [57] 에 기재된 분산액.
[59] 광 중합 개시제의 양이, 염소화 고무 및 중합성기를 갖는 화합물의 합계 100 중량부에 대하여, 40 중량부 이하인 상기 [57] 또는 [58] 에 기재된 분산액.
[60] 광 중합 개시제의 양이, 염소화 고무 및 중합성기를 갖는 화합물의 합계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 중량부 이하인 상기 [57] 또는 [58] 에 기재된 분산액.
[61] 광 중합 개시제의 양이, 염소화 고무 및 중합성기를 갖는 화합물의 합계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중량부 이하인 상기 [57] 또는 [58] 에 기재된 분산액.
[62] 광 중합 개시제의 양이, 염소화 고무 및 중합성기를 갖는 화합물의 합계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중량부 이하인 상기 [57] 또는 [58] 에 기재된 분산액.
[63] 추가로 형광 증백제를 포함하는 상기 [1] ∼ [62] 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분산액.
[64] 형광 증백제의 양이, 염소화 고무 및 중합성기를 갖는 화합물의 합계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중량부 이상인 상기 [63] 에 기재된 분산액.
[65] 형광 증백제의 양이, 염소화 고무 및 중합성기를 갖는 화합물의 합계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중량부 이하인 상기 [63] 또는 [64] 에 기재된 분산액.
[66] 형광 증백제의 양이, 염소화 고무 및 중합성기를 갖는 화합물의 합계 100 중량부에 대하여, 3 중량부 이하인 상기 [63] 또는 [64] 에 기재된 분산액.
[67] 형광 증백제의 양이, 염소화 고무 및 중합성기를 갖는 화합물의 합계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중량부 이하인 상기 [63] 또는 [64] 에 기재된 분산액.
[68] 추가로 레벨링제를 포함하는 상기 [1] ∼ [67] 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분산액.
[69] 레벨링제의 양이, 염소화 고무 및 중합성기를 갖는 화합물의 합계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중량부 이상인 상기 [68] 에 기재된 분산액.
[70] 레벨링제의 양이, 염소화 고무 및 중합성기를 갖는 화합물의 합계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 중량부 이하인 상기 [68] 또는 [69] 에 기재된 분산액.
[71] 레벨링제의 양이, 염소화 고무 및 중합성기를 갖는 화합물의 합계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중량부 이하인 상기 [68] 또는 [69] 에 기재된 분산액.
[72] 분산액 중의 분산질의 체적 기준의 메디안 직경이, 10 ㎛ 이하인 상기 [1] ∼ [71] 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분산액.
[73] 분산액 중의 분산질의 체적 기준의 메디안 직경이, 0.01 ∼ 5 ㎛ 인 상기 [1] ∼ [71] 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분산액.
[74] 분산액 중의 분산질의 체적 기준의 메디안 직경이 0.01 ∼ 2 ㎛ 인 상기 [1] ∼ [71] 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분산액.
[75] 분산액 중의 분산질의 체적 기준의 메디안 직경이, 0.01 ∼ 1 ㎛ 인 상기 [1] ∼ [71] 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분산액.
[76] 염소화 고무가, 카르복시기 및 카르복실산 무수물 구조를 갖지 않는 염소화 고무인 상기 [1] ∼ [75] 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분산액.
[77] 상기 [1] ∼ [76] 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분산액으로부터 형성되는 도막.
[78] 상기 [77] 에 기재된 도막의 경화물.
[79] 제 1 기재와, 상기 [78] 에 기재된 경화물과, 접착제층과, 제 2 기재가, 이 순서로 적층되어 있는 적층체.
[80] 제 1 기재가, 올레핀계 중합체 또는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상기 [79] 에 기재된 적층체.
본 발명의 분산액은, 장기 보존 후에 사용해도, 충분한 강도로 피착체에 대하여 접착할 수 있다.
<분산액>
본 발명의 분산액은, 분산매로서 물을 포함하고, 분산질로서 염소화 고무 및 중합성기를 갖는 화합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분산액은, 수계 접착제, 프라이머 또는 그들의 원료로서 유용하다.
본 발명의 분산액 (디스퍼전) 은, 분산질이 고체상인 현탁액 (서스펜션) 이어도 되고, 분산질이 액상인 유탁액 (에멀션) 이어도 되고, 일부의 분산질이 고체상이고, 나머지의 분산질이 액상인 분산액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분산액은, 바람직하게는 분산질이 액상인 유탁액이거나, 또는 일부의 분산질이 고체상이고, 나머지의 분산질이 액상인 분산액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분산질이 액상인 유탁액이다.
본 발명의 분산액에 있어서, 염소화 고무의 적어도 일부가, 액상의 분산질 중에 용해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염소화 고무의 적어도 일부가 액상의 분산질에 용해되어 있다는 것은, 분산액을 구멍 직경 0.50 ㎛ 정도의 필터로 여과했을 때에, 염소화 고무의 적어도 일부가 여과액 중에 포함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여과액 중에 포함되는 염소화 고무는, 여과 전의 분산액에 포함되는 염소화 고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1 중량부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중량부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중량부 이상,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중량부 이상이다. 염소화 고무의 전부가 액상의 분산질 중에 용해되어 있는 것 (즉, 염소화 고무의 전부가 여과액 중에 포함되는 것) 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분산액에 있어서, 중합성기를 갖는 화합물의 적어도 일부가, 23 ℃ 및 대기압하에서 액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중합성기를 갖는 화합물의 전부가, 23 ℃ 및 대기압하에서 액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양태에 있어서, 염소화 고무의 적어도 일부가, 23 ℃ 및 대기압하에서 액상인 중합성기를 갖는 화합물 (이하 「액상인 중합성기를 갖는 화합물」 이라고 약칭하는 경우가 있다) 중에 용해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염소화 고무의 전부가, 액상인 중합성기를 갖는 화합물 중에 용해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염소화 고무의 적어도 일부가 액상인 중합성기를 갖는 화합물에 용해되어 있다는 것은, 염소화 고무와 액상인 중합성기를 갖는 화합물의 혼합물을 구멍 직경 0.50 ㎛ 정도의 필터로 여과했을 때에, 염소화 고무의 적어도 일부가 여과액 중에 포함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여과액 중에 포함되는 염소화 고무는, 여과 전의 분산액에 포함되는 염소화 고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1 중량부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중량부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중량부 이상,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중량부 이상이다. 염소화 고무의 전부가 액상의 분산질 중에 용해되어 있는 것 (즉, 염소화 고무의 전부가 여과액 중에 포함되는 것) 이 특히 바람직하다.
염소화 고무와 중합성기를 갖는 화합물의 혼합물을 조제할 때의 혼합 온도는, 통상적으로 25 ∼ 100 ℃ 이고, 그 혼합 시간은, 가능한 한 단시간이 바람직하다. 이 때문에 사용되는 혼합기로는, 예를 들어, 밴버리 믹서, 헨셸 믹서, 호모 믹서 등을 들 수 있다.
염소화 고무 및 중합성기를 갖는 화합물의 합계량은, 염소화 고무, 중합성기를 갖는 화합물 및 물의 합계 중에, 1 ∼ 60 중량%, 바람직하게는 3 ∼ 3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5 ∼ 15 중량% 이다. 염소화 고무 및 중합성기를 갖는 화합물의 합계량을, 상기 범위 내로 함으로써, 접착성이 양호해진다.
본 발명의 분산액은, 30 ㎖ 의 분산액을 100 ㎖ 용기에 붓고, 자전 공전 교반기를 사용하여, 자전 속도 800 rpm 및 공전 속도 2,000 rpm 의 조건으로 1 분간 교반하여 측정 시료를 조제하고, 20 ㎖ 의 측정 시료를 직경 25 ㎜ 의 실린더상의 시료 셀에 붓고, 시료 셀 중의 측정 시료에 파장이 880 ㎚ 인 입사 광을 조사하고, 입사 광에 대하여 45°의 위치에서 측정 시료로부터의 후방 산란 광을 검출하는 것에 의한 후방 산란 광 강도 (%) 의 측정을, 측정 시료의 조제로부터 10 분 이내에 개시하고, 시료 셀 중의 측정 시료의 상부, 중간부 및 저부의 각각에 있어서의, 측정을 개시하고 나서 30 분 후에 측정한 후방 산란 광 강도 (%) 에 대한, 측정을 개시하고 나서 24 시간 후에 측정한 후방 산란 광 강도 (%) 의 변화량의 절대치에 있어서의 최대치 α (%) 가, 하기 식 (I) ∼ (III) :
α (상부) < 20 (I)
α (중간부) < 5 (II)
α (저부) < 10 (III)
[식 중, α (상부) 는, 측정 시료의 상부에 있어서의 상기 최대치 α (%) 를 나타내고, α (중간부) 는, 측정 시료의 중간부에 있어서의 상기 최대치 α (%) 를 나타내고, α (저부) 는, 측정 시료의 저부에 있어서의 상기 최대치 α (%) 를 나타내고, 측정 시료의 상부, 중간부 및 저부는, 각각, 메니스커스의 부분을 제외한 시료 셀 중의 측정 시료의 높이를 위로부터 1/3 씩 분할한 측정 시료의 부분을 나타낸다.]
의 요건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의 하나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측정 시료의 상부와 중간부의 경계, 및 측정 시료의 중간부와 저부의 경계는, 모두, 측정 시료의 중간부에 포함된다. 이와 같은 요건을 만족하는 본 발명의 분산액은, 장기 보존 후에 사용해도, 충분한 강도로 피착체에 대하여 접착할 수 있다.
상기 측정 시료의 조제 및 상기 후방 산란 광 강도 (%) 의 측정으로 이루어지는 일련의 조작은, 24 ∼ 26 ℃ 의 환경하에 놓여진 장치를 사용하여 24 ∼ 26 ℃ 의 환경하에서 실시된다. 또한, 측정 시료의 조제 (즉, 자전 공전 교반기에 의한 분산액의 교반) 에는, 24 ∼ 26 ℃ 의 환경하에서 1 시간 이상 정치 (靜置) 한 분산액을 사용한다.
상기 측정 시료를 조제하기 위한 자전 공전 교반기로는, 예를 들어, 싱키사 제조 「자전·공전 믹서 아와토리 렌타로 ARE-310」 을 들 수 있다. 상기 측정 시료의 후방 산란 광 강도 (%) 의 변화량을 측정하는 장치로는, 예를 들어, Formulation 사 제조의 「타비스캔 TOWER」 를 들 수 있다.
상기 「후방 산란 광 강도 (%)」 란, 「조사한 입사 광의 강도에 대한 검출된 후방 산란 광의 강도 (%)」 를 의미한다. 상기 「측정을 개시하고 나서 30 분 후에 측정한 후방 산란 광 강도 (%) 에 대한, 측정을 개시하고 나서 24 시간 후에 측정한 후방 산란 광 강도 (%) 의 변화량」 이란, 「측정을 개시하고 나서 30 분 후에 측정한 후방 산란 광 강도 (%) 와, 측정을 개시하고 나서 24 시간 후에 측정한 후방 산란 광 강도 (%) 의 차」 를 의미한다. 상기 「절대치에 있어서의 최대치」 란, 「시료 셀 중의 측정 시료의 상부, 중간부 및 저부의 각각에 있어서 산출되는, 복수의 상기 절대치에 있어서의 최대치」 를 의미한다.
분산액 중의 분산질의 체적 기준의 메디안 직경은, 바람직하게는 10 ㎛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 5 ㎛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 ∼ 2 ㎛ 이고,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 ∼ 1 ㎛ 이다. 메디안 직경이 상기 범위 내이면, 분산액의 정치 안정성이 양호해진다.
분산질의 체적 기준의 메디안 직경이란, 적산 입자경 분포의 값이, 체적 기준으로 50 % 가 되는 입자경을 의미한다. 이 메디안 직경은, HORIBA 제작소 제조, 레이저 회절 입자경 측정 장치 LA-950V2 로 측정할 수 있다.
<염소화 고무>
염소화 고무란, 천연 고무 또는 합성 고무를 염소화한 것을 의미한다. 염소화 고무는, 1 종이어도 되고, 2 종 이상이어도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고무」 란, 특별한 기재가 없는 한, 「미가교 고무」 를 의미한다.
결정성이 낮은 염소화 고무는, 융점을 갖지 않는 것이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염소화 고무로는, 융점을 갖는 염소화 고무여도 되고, 융점을 갖지 않는 염소화 고무여도 된다. 융점을 갖는 염소화 고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염소화 고무의 융점은, 바람직하게는 100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40 ℃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35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00 ℃ 이하이다. 염소화 고무의 융점은, 시차 주사 열량계 (DSC) 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DSC 의 장치로는, 예를 들어, 시마즈 제작소사 제조 DSC-60Plus 를 들 수 있다.
염소화 고무의 염소 원자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45 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45 ∼ 8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55 ∼ 80 중량% 이다.
염소화 고무로는, 카르복시기 및 카르복실산 무수물 구조를 갖지 않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염소화 고무를 함유하는 본 발명의 분산액을 수계 접착제, 프라이머 또는 그들의 원료로서 사용한 경우, 그 도막의 내수성의 저하의 염려는 극히 작아져, 유효하다.
염소화 고무는, 천연 고무 또는 합성 고무를 염소화한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염소화 천연 고무, 염소화부타디엔 고무, 염소화부틸 고무, 염소화이소프렌 고무, 부타디엔/염소화 고리형 공액 디엔 부가물, 염소화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브롬화폴리(2,3-디클로로-1,3-부타디엔) 및 α-할로아크릴로니트릴-co-2,3-디클로로-1,3-부타디엔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탄소수가 4 이상인 모노머를 포함하는 원료로부터 합성되는 염소화 고무가 바람직하다. 염소화 고무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염소화 천연 고무, 염소화이소프렌 고무 및 염소화부타디엔 고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개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염소화 천연 고무, 염소화이소프렌 고무 또는 염소화부타디엔 고무이다.
천연 고무 또는 합성 고무를 염소화하는 방법으로는, 종래 공지된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천연 고무 또는 합성 고무를 사염화탄소, 모노클로르벤젠 등의 염소화 유기 용제 또는 톨루엔 등의 유기 용제에 용해시키고, 염소 가스를 분사하는 방법 ; 천연 고무 또는 합성 고무를 물에 현탁 또는 유화한 상태로 염소 가스를 분사하는 방법 ; 천연 고무 또는 합성 고무를 물에 현탁 또는 유화한 상태로 자외선을 조사하면서 염소 가스를 도입하는 방법 ; 저온 가압하에 있어서, 천연 고무 또는 합성 고무와 액체 염소를 접촉시켜 직접적으로 염소화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응집 고체화한 천연 고무 또는 합성 고무를 유기 용제에 용해시킨 후, 염소화해도 되고, 응집 고체화한 천연 고무 또는 합성 고무를 유기 용제에 용해 후, 유화 분산시키고, 용제를 휘발시킨 상태로 염소화할 수도 있다. 천연 고무를 염소화하는 경우, 라텍스상의 천연 고무에 염소 가스를 분사하여 염소화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물에, 폴리이소프렌과, 계면 활성제와, 염산, 황산 또는 질산 등의 산을 첨가하고, 유화한 후, 염소 가스를 분사함으로써 균일하게 염소화한 폴리이소프렌을 얻을 수 있다.
염소화 고무의 폴리스티렌 환산의 중량 평균 분자량 (Mw) 은, 바람직하게는 1,00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00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5,000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0,000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400,00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000 이하이다. 이 Mw 는, 겔 퍼미에이션 크로마토그래피 (GPC) 로 측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Mw 를 갖는 염소화 고무를 함유하는 본 발명의 분산액을, 수계 접착제, 프라이머 또는 그들의 원료로서 사용한 경우, 충분한 접착 강도를 확보할 수 있음과 함께, 점도의 과도한 상승을 억제하여, 피착체에 대한 접착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염소화 고무로는, 예를 들어, 시판품 및 공지된 방법 또는 거기에 준하여 제조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시판품으로는, 예를 들어, 수퍼클론 (등록상표) CR-10, CR-20 (닛폰 제지 (주)), 페르구트 S-5, 페르구트 S-10, 페르구트 S-20, 페르구트 S-40, 페르구트 S-90, 페르구트 S-130, 페르구트 S-170 (코베스트로사), Alloprene (등록상표) R10, R20, R40 (ICI UK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공지된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일본 특허 제2660478호에 기재된 방법을 들 수 있다.
염소화 고무의 양은, 염소화 고무 및 중합성기를 갖는 화합물의 합계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1 ∼ 30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3 ∼ 25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5 ∼ 20 중량부이다.
염소화 고무의 양은, 염소화 고무, 중합성기를 갖는 화합물 및 물의 합계 중에, 바람직하게는 0.01 ∼ 18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 1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2 ∼ 5 중량% 이다.
<중합성기를 갖는 화합물>
중합성기를 갖는 화합물은, 1 종만을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또한, 그 화합물이 갖는 중합성기는, 1 개여도 되고, 2 개 이상이어도 된다. 또한, 그 화합물은, 1 종만의 중합성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고, 2 종 이상의 중합성기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중합성기로는, 예를 들어, 비닐기, 알릴기, 프로페닐기, 비닐리덴기, 비닐렌기, (메트)아크릴기, (메트)아크릴로일기, 비닐에테르기, 비닐벤질에테르기, (메트)아크릴옥시기, (메트)아크릴아미드기, 스티릴옥시기, 스티릴아미드기, 이소시아네이트기, 티오이소시아네이트기, 카르복실기, 알코올성 또는 페놀성 수산기, 실란올기, 에폭시기, 글리시딜기, 고리형 에테르기 (예, 옥세탄기) 등의 개환 중합성기를 들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중, 「(메트)아크릴」 이란 「아크릴 및 메타크릴」 을 의미하고, 「(메트)아크릴로일」 이란, 「아크릴로일 및 메타크릴로일」 을 의미한다. 다른 「(메트)」 의 표현도 동일한 의미이다.
중합성기를 갖는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화합물, 에폭시 화합물, 및 옥세탄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개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화합물이다.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화합물 중의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의 수는, 바람직하게는 1 ∼ 3,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2 이다.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1 개 갖는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복소 고리형 에틸렌성 불포화 화합물 (예를 들어, N-비닐피롤리돈, N-비닐피리딘 및 N-비닐카프로락탐 등의 N-비닐-질소 함유 복소 고리 화합물, 모르폴린(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하이드로푸르푸릴(메트)아크릴레이트 및 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복소 고리형 (메트)아크릴레이트), N-비닐포름아미드, N-비닐아세트아미드, 디알킬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예를 들어, 디메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디에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등), N,N'-디메틸아크릴아미드, 알콕시(폴리)알킬렌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예를 들어, 메톡시에틸렌(메트)아크릴레이트, 에톡시-디에틸렌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메톡시폴리에틸렌(메트)아크릴레이트, 부톡시폴리에틸렌(메트)아크릴레이트 등),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예를 들어,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n-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i-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i-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sec-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t-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메트)아크릴레이트, 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도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미리스틸(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스테아릴(메트)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메트)아크릴레이트, 세틸(메트)아크릴레이트, 베헤닐(메트)아크릴레이트 등), 하이드록실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예를 들어, 2-하이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3-클로로-2-하이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2-하이드록시에틸프탈산, 글리세린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4-하이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탄디올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로일포스페이트, 네오펜틸글리콜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등), 폴리ε-카프로락톤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 애시드 포스페이트, 할로겐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예를 들어, 트리플루오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2,3,3-테트라플루오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퍼플루오로옥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N,N,N-트리메틸-N-(2-하이드록시-3 메타크릴로일옥시프로필)-암모늄클로라이드 등), 실리콘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 변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 3-(메트)아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메트)아크릴옥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메트)아크릴옥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3-(메트)아크릴옥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등), 불포화 카르복실산글리시딜에스테르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예를 들어, 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3,4-에폭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4-하이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글리시딜에테르 등), 지방족 비닐 화합물 (예를 들어, 아세트산비닐, 프로피온산비닐, 부티르산비닐, 비닐메틸에테르, 비닐에틸에테르, 알릴글리시딜에테르 등), 불포화 아미드 또는 불포화 이미드류 (예를 들어, 아크릴아미드, 메타크릴아미드, 디아세톤(메트)아크릴아미드, α-클로로아크릴아미드, N-페닐말레이미드, N-시클로헥실말레이미드, N-(메트)아크릴로일프탈이미드, N-(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아미드, N-(2-하이드록시에틸)메타크릴아미드 및 말레이미드 등),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α-클로로아크릴로니트릴, 그리고, 중합체 (예를 들어, 폴리스티렌, 폴리메틸아크릴레이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n-부틸아크릴레이트, 폴리n-부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실리콘 등) 의 말단에 모노아크릴로일기 또는 모노메타크릴로일기를 갖는 매크로 모노머 등을 들 수 있다.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1 개 갖고, 또한 고리형 구조를 갖는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지환식 골격을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예를 들어, 시클로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4(1,1-디메틸에틸)시클로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시클로펜틸(메트)아크릴레이트, 3,3,5-트리메틸시클로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노르보르닐(메트)아크릴레이트, 노르보르닐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페닐노르보르닐(메트)아크릴레이트, 시아노노르보르닐(메트)아크릴레이트, 멘틸(메트)아크릴레이트, 펜틸(메트)아크릴레이트, 아다만틸(메트)아크릴레이트, 디메틸아다만틸(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시클로〔5.2.1.02,6〕데카-8-일(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시클로〔5.2.1.02,6〕데카-4-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시클로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2-(메트)아크릴로일록시에틸헥사하이드로프탈산, 이소보르닐(메트)아크릴레이트, 보르닐(메트)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디엔(메트)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테닐옥시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시클로데카닐옥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보르밀옥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등), 아르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예를 들어, 벤질(메트)아크릴레이트, o-페닐페놀글리시딜에테르(메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3-페녹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등), 페녹시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예를 들어, 2-페녹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페녹시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등), 알킬페녹시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예를 들어, 노닐페녹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등), 페녹시(폴리)알킬렌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예를 들어, 페녹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페녹시디에틸렌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페녹시폴리에틸렌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등), 알킬페녹시(폴리)알킬렌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예를 들어, 노닐페녹시폴리에틸렌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파라쿠밀페녹시에틸렌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등), 하이드록실기 및 지환식 골격 또는 방향족 골격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예를 들어, 2-하이드록시-3-페닐옥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o-페닐페놀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4-하이드록시시클로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3-페녹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등), 방향족 비닐 화합물 (예를 들어, 스티렌, α-메틸스티렌, o-비닐톨루엔, m-비닐톨루엔, p-비닐톨루엔, o-클로르스티렌, m-클로르스티렌, p-클로르스티렌, p-메톡시스티렌, 벤조산비닐 등) 을 들 수 있다.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2 개 갖는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2,2-디메틸-3-하이드록시프로필-2,2-디메틸-3-하이드록시프로피오네이트의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예를 들어, 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프로필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1,3-부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1,9-노난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1,10-데칸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폭시화네오펜틸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알콕시화네오펜틸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알콕시화헥산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탄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3-메틸-펜탄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글리세린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디(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디(메트)아크릴레이트 등), 실리콘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 변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 등), 그리고, 다이아세톤아크릴아마이드 등을 들 수 있다.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2 개 갖고, 또한 고리형 구조를 갖는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비스페놀 A 의 알킬렌옥사이드 (예를 들어, 에틸렌옥사이드, 프로필렌옥사이드 등) 부가물의 디(메트)아크릴레이트 (예를 들어, 2,2-비스(2-하이드록시에톡시페닐)프로판의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등), 교가 고리형 탄화수소기를 갖는 디(메트)아크릴레이트 (예를 들어, 시클로헥산디메탄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시클로데칸디메틸올의 디(메트)아크릴레이트 (예를 들어, 트리시클로데칸디메탄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등), 디시클로펜타디엔디(메트)아크릴레이트 등), 2 관능성 에폭시 수지의 (메트)아크릴산 부가물 (예를 들어, 2,2-비스(글리시딜옥시페닐)프로판의 (메트)아크릴산 부가물, 비스페놀 A 디글리시딜에테르메타크릴산 부가물 등) 을 들 수 있다.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3 개 이상 갖는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디트리메틸올프로판테트라아크릴레이트, 테트라메틸올메탄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메틸올메탄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스(아크릴로일옥시)이소시아누레이트, 트리스(2-아크릴로일옥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트리스(2-하이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의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스(하이드록시프로필)이소시아누레이트의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알릴트리멜리트산, 트리알릴이소시아누레이트, 및 실리콘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 변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 등) 등을 들 수 있다.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화합물의 탄소수는, 바람직하게는 5 ∼ 25, 보다 바람직하게는 6 ∼ 23, 더욱 바람직하게는 8 ∼ 20 이다.
에폭시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페닐글리시딜에테르, p-tert-부틸페닐글리시딜에테르, 부틸글리시딜에테르, 2-에틸헥실글리시딜에테르, 알릴글리시딜에테르, 1,2-부틸렌옥사이드, 1,3-부타디엔모노옥사이드, 1,2-에폭시도데칸, 에피클로로히드린, 1,2-에폭시데칸, 스티렌옥사이드, 시클로헥센옥사이드, 3-메타크릴로일옥시메틸시클로헥센옥사이드, 3-아크릴로일옥시메틸시클로헥센옥사이드, 3-비닐시클로헥센옥사이드, 비스페놀 A 디글리시딜에테르, 네오펜틸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비스페놀 F 디글리시딜에테르, 비스페놀 S 디글리시딜에테르, 브롬화비스페놀 A 디글리시딜에테르, 브롬화비스페놀 F 디글리시딜에테르, 브롬화비스페놀 S 디글리시딜에테르, 에폭시노볼락 수지, 수소 첨가 비스페놀 A 디글리시딜에테르, 수소 첨가 비스페놀 F 디글리시딜에테르, 수소 첨가 비스페놀 S 디글리시딜에테르,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3',4'-에폭시시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비스(3,4-에폭시-6-메틸시클로헥실메틸)아디페이트, 3,4-에폭시-6-메틸시클로헥실-3',4'-에폭시-6'-메틸시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메틸렌비스(3,4-에폭시시클로헥산), 디시클로펜타디엔디에폭사이드, 에틸렌글리콜의 디(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에테르, 에틸렌비스(3,4-에폭시시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에폭시헥사하이드로프탈산디옥틸, 에폭시헥사하이드로프탈산디-2-에틸헥실, 1,4-부탄디올디글리시딜에테르, 1,6-헥산디올디글리시딜에테르, 글리세린트리글리시딜에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글리시딜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류, 1,1,3-테트라데카디엔디옥사이드, 리모넨디옥사이드, 1,2,7,8-디에폭시옥탄, 1,2,5,6-디에폭시시클로옥탄 등을 들 수 있다.
에폭시 화합물로는, 경화 속도가 우수하다는 관점에서, 방향족 에폭시드 및 지환식 에폭시드가 바람직하고, 지환식 에폭시드가 보다 바람직하다.
옥세탄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2-하이드록시메틸-2-메틸옥세탄, 2-하이드록시메틸-2-에틸옥세탄, 2-하이드록시메틸-2-프로필옥세탄, 2-하이드록시메틸-2-부틸옥세탄, 1,4-비스〔(3-에틸-3-옥세타닐메톡시)메틸〕벤젠 등을 들 수 있다.
중합성기를 갖는 화합물은, 23 ℃ 및 대기압하에서, 고체 또는 액체의 어느 것이어도 되고, 바람직하게는 액체이다.
본 발명의 분산액 중의 중합성기를 갖는 화합물의 양은, 염소화 고무 및 중합성기를 갖는 화합물의 합계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70 ∼ 99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75 ∼ 97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 95 중량부이다.
중합성기를 갖는 화합물은, 중합성기를 갖고, 또한 고리형 구조를 갖지 않는 화합물과, 중합성기 및 고리형 구조를 갖는 화합물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중합성기를 갖고, 또한 고리형 구조를 갖지 않는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2-에틸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도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메트)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1,9-노난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및 1,10-데칸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개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도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및 1,6-헥산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개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도데실메타크릴레이트, 및 1,6-헥산디올디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개이다.
중합성기 및 고리형 구조를 갖는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2-페녹시에틸렌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2-페녹시디에틸렌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및 트리시클로데칸디메탄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개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페녹시에틸렌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및 트리시클로데칸디메탄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개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페녹시에틸렌글리콜메타크릴레이트, 및 트리시클로데칸디메탄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개이다.
중합성기를 갖는 화합물이, 중합성기를 갖고, 또한 고리형 구조를 갖지 않는 화합물과, 중합성기 및 고리형 구조를 갖는 화합물의 혼합물인 경우, 중합성기를 갖고, 또한 고리형 구조를 갖지 않는 화합물의 양은, 염소화 고무, 중합성기를 갖는 화합물 및 물의 합계 중에, 바람직하게는 0.4 ∼ 5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2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3 ∼ 25 중량% 이고, 중합성기 및 고리형 구조를 갖는 화합물의 양은, 염소화 고무, 중합성기를 갖는 화합물 및 물의 합계 중에, 바람직하게는 0.01 ∼ 3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 1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2 ∼ 5 중량% 이다.
중합성기를 갖는 화합물이, 중합성기를 갖고, 또한 고리형 구조를 갖지 않는 화합물과, 중합성기 및 고리형 구조를 갖는 화합물의 혼합물인 경우, 중합성기를 갖고, 또한 고리형 구조를 갖지 않는 화합물의 양은, 중합성기를 갖는 화합물의 합계 중에, 바람직하게는 40 ∼ 99 중량%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 97 중량%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 95 중량% 이고, 중합성기 및 고리형 구조를 갖는 화합물의 양은, 중합성기를 갖는 화합물의 합계 중에, 바람직하게는 1 ∼ 60 중량%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 ∼ 40 중량%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 ∼ 20 중량% 이다.
<물>
본 발명의 분산액이 함유하는 물로는, 특별히 한정은 없고, 예를 들어, 수도물 또는 탈이온수가 사용된다.
<다른 성분>
본 발명의 분산액은, 물, 염소화 고무 및 중합성기를 갖는 화합물과는 상이한 다른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다른 성분은, 1 종만을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다른 성분으로는, 예를 들어, 중합 금지제, 계면 활성제, 광 중합 개시제, 광 안정제, 자외선 경화성 올리고머, 형광 증백제, 레벨링제, 염기성 화합물, 유기 용제, 가교제, 광 증감제, 염소화 고무와는 상이한 다른 수지 또는 고무, 페놀계 안정제, 포스파이트계 안정제, 아민계 안정제, 아미드계 안정제, 노화 방지제, 내후 안정제, 방부제, 침강 방지제, 산화 방지제, 열 안정제, 요변제, 증점제, 소포제, 점도 조정제, 내후제, 안료 분산제, 대전 방지제, 활제, 핵제, 난연제, 유제, 염료, 경화제 ; 산화티탄 (루틸형) 및 산화아연 등의 천이 금속 화합물 ; 카본 블랙 등의 안료 ; 유리 섬유, 탄소 섬유, 티탄산칼륨 섬유, 월라스토나이트, 탄산칼슘, 황산칼슘, 탤크, 유리 플레이크, 황산바륨, 클레이, 카올린, 미세 분말 실리카, 마이카, 규산칼슘,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산화알루미늄, 산화마그네슘, 및 셀라이트 등의 무기 또는 유기의 충전제 ;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모두 1 종만을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중합 금지제>
중합 금지제에 특별히 한정은 없고, 공지된 중합 금지제를 사용할 수 있다. 중합 금지제로는, 예를 들어, 하이드로퀴논, 메틸하이드로퀴논, 하이드로퀴논의 모노에스테르화물, N-니트로소디페닐아민, 페노티아진, 4-t-부틸카테콜, N-페닐나프틸아민, 2,6-디-t-부틸-p-메틸페놀, 2,5-디-t-부틸하이드로퀴논, 1,4-벤조퀴논, 2,6-디-t-부틸-1,4-벤조퀴논, 메틸-p-벤조퀴논, 2,5-디페닐-p-벤조퀴논, 4-메톡시페놀, 클로라닐, 피로갈롤, 2-옥시디페닐아민, 페노티아진 등을 들 수 있다.
시판되는 중합 금지제로는, 예를 들어, 퀴노파워 QS-10, 퀴노파워 QS-20, 퀴노파워 QS-30, 퀴노파워 QS-40, 퀴노파워 QS-W10 (가와사키 화성 공업사 제조), 메토퀴논 플레이크, 논플렉스 알바, MH, TBH, PBQ, 톨루퀴논, TBQ (세이코 화학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중합 금지제는, 분산액의 보존 안정성을 높이고, 경화성을 확보하는 작용을 갖는다. 이와 같은 작용 등을 고려하여, 분산액 중의 중합 금지제의 양은, 염소화 고무 및 중합성기를 갖는 화합물의 합계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05 ∼ 0.4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 0.4 중량부,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 ∼ 0.3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0.02 ∼ 0.3 중량부,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02 ∼ 0.2 중량부, 특히 바람직하게는 0.035 ∼ 0.2 중량부이다. 중합 금지제로는, 액상의 중합성기를 갖는 화합물에 용해시키는 중합 금지제가 바람직하다.
<계면 활성제>
계면 활성제는, 유화제로서 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면 활성제로는, 예를 들어, 카티온성, 아니온성, 양성 또는 논이온성의 계면 활성제를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아니온성 또는 논이온성의 계면 활성제이다. 계면 활성제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아니온성 계면 활성제로는, 예를 들어, 팔미트산나트륨 등의 지방산 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카르복실산나트륨 등의 에테르카르복실산나트륨, 라우로일사르코신나트륨, N-라우로일글루타민산나트륨 등의 고급 지방산의 아미노산 축합물, 고급 알킬술폰산염, 라우르산에스테르술폰산염 등의 고급 지방산에스테르술폰산염, 디옥틸술포숙시네이트 등의 디알킬술포숙신산염, 올레산아미드술폰산 등의 고급 지방산 아미드술폰산염, 도데실벤젠술폰산나트륨, 디이소프로필나프탈렌술폰산염 등의 알킬아릴술폰산염, 알킬아릴술폰산염의 포르말린 축합물, 펜타데칸-2-설페이트 등의 고급 알코올황산에스테르염, 디폴리옥시에틸렌도데실에테르인산에스테르 등의 폴리옥시에틸렌알킬인산에스테르, 리그닌술폰산염, 폴리옥시에틸렌-1-(알릴옥시메틸)알킬에테르황산암모늄, 폴리옥시에틸렌노닐프로페닐페닐에테르황산암모늄, 비스(폴리옥시에틸렌 다고리 페닐에테르)비스메타크릴레이트황산에스테르염, 알킬알릴숙시네이트술폰산나트륨염, 폴리옥시알킬렌알케닐에테르황산암모늄, 2-소듐술포에틸메타크릴레이트, 알콕시폴리에틸렌글리콜말레산에스테르, 고급 알코올의 황산에스테르염, 고급 카르복실산염, 알킬벤젠술폰산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설페이트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설페이트염 및 비닐술포숙시네이트, 폴리(메트)아크릴산나트륨, 폴리(메트)아크릴산암모늄, (메트)아크릴산-(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스티렌-말레산 공중합체, 스티렌-말레산 공중합체 암모늄염, 스티렌-말레산 하프 에스테르 공중합체 암모늄염,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및 나프탈렌술폰산나트륨포르말린 축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카티온성 계면 활성제로는, 예를 들어, 도데실아민염산염 등의 알킬아민염산염, 알킬디메틸벤질암모늄염, 알킬이소퀴놀리늄염, 디알킬모르폴리늄염 등의 알킬 4 급 암모늄염, 염화벤제토늄, 및 폴리알킬비닐피리디늄염, 도데실트리메틸암모늄염 및 세틸트리메틸암모늄염 등의 알킬암모늄염, 세틸피리듐염 및 데실피리듐염 등의 알킬피리듐염, 옥시알킬렌트리알킬암모늄염, 디옥시알킬렌디알킬암모늄염, 알릴트리알킬암모늄염 및 디알릴디알킬암모늄염, 폴리디알릴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등을 들 수 있다.
논이온성 계면 활성제로는, 예를 들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라놀린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놀포르말린 축합물,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릴모노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프로필렌글리콜모노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톨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피마자유 유도체, 폴리옥시에틸렌지방산에스테르, 고급 지방산 글리세린에스테르, 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자당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블록 폴리머, 폴리옥시에틸렌지방산아미드, 알킬올아미드,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민, 폴리옥시에틸렌알칸디올, 알콕시폴리에틸렌글리콜메타크릴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지방산아미드, 폴리알킬렌폴리아민알킬렌옥사이드 부가물, 폴리알킬렌폴리이민알킬렌옥사이드 부가물, 폴리비닐피롤리돈, 디시안디아미드폴리알킬렌폴리아민 축합물,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비닐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양쪽성 계면 활성제로는, 예를 들어, N-라우릴알라닌, N,N,N-트리메틸아미노프로피온산, N,N,N-트리하이드록시에틸아미노프로피온산, N-헥실-N,N-디메틸아미노아세트산, 1-(2-카르복시에틸)피리미디늄베타인, 레시틴, 라우릴베타인 및 라우릴디메틸아민옥사이드 등을 들 수 있다.
시판품의 계면 활성제로는, 예를 들어, 에말 0, 에말 10G, 에말 2F 페이스트, 에말 20C, 에말 E-27C, 에말 270J, 에말 E-27C, 네오펠렉스 GS, 네오펠렉스 G-15, 네오펠렉스 G-25, 네오펠렉스 G-65, 라테물 PD-104, 펠렉스 OT-P, 펠렉스 TR, 펠렉스 SS-L, 펠렉스 SS-H, 데몰 N, 데몰 EP, 에말겐 102KG, 에말겐 104P, 에말겐 105, 에말겐 106, 에말겐 108, 에말겐 404, 에말겐 130K, 에말겐 147, 에말겐 LS-106, 에말겐 LS-110, 에말겐 A-60, 에말겐 109P, 에말겐 350, 라테물 PD-420, 레오돌 430V, 에마논 1112, 에마논 CH-25, 아미트 102, 아세타민 86, 코타민 24P, 암피톨 24B, 네오펠렉스 No.6 파우더, 라테물 E-1000A, 펠렉스 OT-P, 에말겐 LS-114, 에말겐 210P, 에말겐 220, 에말겐 306P, 에말겐 320P, 에말겐 408, 에말겐 409PV, 에말겐 420, 암피톨 86B 및 암피톨 20BS (카오사 제조), 노이겐 EA-177, 노이겐 XL-40, 노이겐 TDS-30, 노이겐 TDX-80, 노이겐 LP-80, DKS NL-15, DKS NL-50, DKS NL-80, DKS NL-110, DKS NL-180, 노이겐 TDS-70, 노이겐 TDS-100, 노이겐 ET-83, 노이겐 ET-160, 노이겐 YX-400, 하이테놀 NF-08, 하이테놀 227L, 플라이서프 A212C, 플라이서프 A210D, 네오콜 P, 모노겐 Y-100, 카티오겐 TML, 아쿠아론 KH-10, 아쿠아론 KH-1025, 아쿠아론 HS-10, 아쿠아론 RN-20, 아쿠아론 RN-30, 핏츠콜 K-17L 및 핏츠콜 V-7154 (다이이치 공업 제약사 제조), 아데카 플루로닉 F108, 아데카 플루로닉 L-61, 아데카 플루로닉 17R-2 (ADEKA 사 제조) 엘레미놀 JS-20, 엘레미놀 RS-3000, 산모린 OT-70 및 캐리본 EN-200 (산요 화성 공업사 제조), 쿠라레 포발 PVA-103, 쿠라레 포발 PVA-105, 쿠라레 포발 PVA-117, 쿠라레 포발 PVA-217, 쿠라레 포발 PVA-205, 쿠라레 포발 PVA-203, 쿠라레 포발 PVA-210, 쿠라레 포발 PVA-235, 쿠라레 포발 PVA-403, 쿠라레 포발 PVA-405, 쿠라레 포발 PVA-417, 쿠라레 포발 M-205, 쿠라레 포발 MP-203, 쿠라레 포발 KL-506 및 쿠라레 포발 KL-318 (쿠라레사 제조), 아쿠마림 AKM-1511-60, 아쿠마림 AKM-0531, 폴리스타 OM 및 프로논 #102 (니치유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분산액은, 바람직하게는 계면 활성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분산액이 계면 활성제를 포함하는 경우, 그 양은, 염소화 고무 및 중합성기를 갖는 화합물의 합계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1 중량부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30 중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중량부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중량부 이하이다.
<광 중합 개시제>
광 중합 개시제란, 광의 작용에 의해 활성종을 발생시키는 화합물이다. 광 중합 개시제로는, 예를 들어, 광의 작용에 의해 활성 라디칼을 발생하는 광 라디칼 발생제, 광의 작용에 의해 산을 발생하는 광 산발생제 및 광의 작용에 의해 염기를 발생하는 광 염기 발생제를 들 수 있다.
광 라디칼 발생제로는, 예를 들어, 벤조인 화합물, 벤조페논 화합물, 알킬페논 화합물, 아실포스핀옥사이드 화합물, 트리아진 화합물, 술폰산 유도체, 오늄염류 (요오드늄염 및 술포늄염 등), 카르복실산에스테르류 등을 들 수 있다.
벤조인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벤조인, 벤조인메틸에테르, 벤조인에틸에테르, 벤조인이소프로필에테르 및 벤조인이소부틸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벤조페논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벤조페논, 4-메틸벤조페논, o-벤조일벤조산메틸, 4-페닐벤조페논, 4-벤조일-4'-메틸디페닐설파이드, 3,3',4,4'-테트라(tert-부틸퍼옥시카르보닐)벤조페논 및 2,4,6-트리메틸벤조페논 등을 들 수 있다.
알킬페논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디에톡시아세토페논, 2-메틸-2-모르폴리노-1-(4-메틸티오페닐)프로판-1-온, 2-벤질-2-디메틸아미노-1-(4-모르폴리노페닐)부탄-1-온, 2-하이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1,2-디페닐-2,2-디메톡시에탄-1-온, 2-하이드록시-2-메틸-1-〔4-(2-하이드록시에톡시)페닐〕프로판-1-온, 1-하이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2-하이드록시-2-메틸프로피오페논 및 2-하이드록시-2-메틸-1-〔4-(1-메틸비닐)페닐〕프로판-1-온의 올리고머 등을 들 수 있다.
아실포스핀옥사이드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 및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페닐포스핀옥사이드 등을 들 수 있다.
트리아진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2,4-비스(트리클로로메틸)-6-(4-메톡시페닐)-1,3,5-트리아진, 2,4-비스(트리클로로메틸)-6-(4-메톡시나프틸)-1,3,5-트리아진, 2,4-비스(트리클로로메틸)-6-(4-메톡시스티릴)-1,3,5-트리아진, 2,4-비스(트리클로로메틸)-6-〔2-(5-메틸푸란-2-일)에테닐〕-1,3,5-트리아진, 2,4-비스(트리클로로메틸)-6-〔2-(푸란-2-일)에테닐〕-1,3,5-트리아진, 2,4-비스(트리클로로메틸)-6-〔2-(4-디에틸아미노-2-메틸페닐)에테닐〕-1,3,5-트리아진 및 2,4-비스(트리클로로메틸)-6-〔2-(3,4-디메톡시페닐)에테닐〕-1,3,5-트리아진 등을 들 수 있다.
광 라디칼 발생제로는, 시판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시판되는 광 라디칼 발생제로는, 예를 들어, 이르가큐어 (Irgacure) (등록상표) 1173, 907, 184, 651, 819, 250, 2959, 127, 754 및 369 (BASF 재팬 (주)), 세이쿠올 (등록상표) BZ, Z 및 BEE (세이코 화학 (주)), 카야큐어 (kayacure) (등록상표) BP100 (닛폰 화약 (주)), 카야큐어 UVI-6992 (다우사 제조), 아데카 옵토머 SP-152 및 SP-170 ((주) ADEKA), TAZ-A 및 TAZ-PP (니혼 시이베르 헤이그너 (주)), TAZ-104 ((주) 산와 케미컬) 및 MBF (BASF 재팬 (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광 라디칼 발생제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조합의 구체예로는, 이르가큐어 (등록상표) 500 (1-하이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벤조페논 : 50/50 %), 이르가큐어 (등록상표) 1700 (비스(2,6-디메톡시벤조일)-2,4,4-트리메틸펜틸포스핀옥사이드/2-하이드록시-2-메틸페닐프로판-1-온 : 25/75 %) 및 이르가큐어 (등록상표) 1800 (비스(2,6-디메톡시벤조일)-2,4,4-트리메틸펜틸포스핀옥사이드/1-하이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 25/75 %) (BASF 재팬 (주)) 등을 들 수 있다.
광 산발생제로는, 예를 들어, 술폰산 유도체, 오늄염류, 디카르복실산이미드류 등을 들 수 있다.
술폰산 유도체로는, 예를 들어, 디술폰류, 디술포닐디아조메탄류, 디술포닐메탄류, 술포닐벤조일메탄류, 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네이트류, 벤조인술포네이트류, 1-옥시-2-하이드록시-3-프로필알코올의 술포네이트류, 피로갈롤트리술포네이트류, 벤질술포네이트류를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디페닐디술폰, 디토실디술폰, 비스(페닐술포닐)디아조메탄, 비스(클로르페닐술포닐)디아조메탄, 비스(자일릴술포닐)디아조메탄, 페닐술포닐벤조일디아조메탄, 비스(시클로헥실술포닐)메탄, 벤조인토실레이트, 1,2-디페닐-2-하이드록시프로필토실레이트, 1,2-디(4-메틸메르캅토페닐)-2-하이드록시프로필토실레이트, 피로갈롤메틸술포네이트, 피로갈롤에틸술포네이트, 2,6-디니트로페닐메틸토실레이트, 오르토-니트로페닐메틸토실레이트, 파라-니트로페닐토실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오늄염류로는, 예를 들어,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BF4-),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PF6-), 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 (SbF6-), 헥사플루오로알세네이트 (AsF6-), 헥사클로르안티모네이트 (SbCl6-), 테트라페닐보레이트, 테트라키스(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보레이트, 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메틸페닐)보레이트, 과염소산 이온 (ClO4-),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산 이온 (CF3SO3-), 플루오로술폰산 이온 (FSO3-), 톨루엔술폰산 이온, 트리니트로벤젠술폰산 아니온, 트리니트로톨루엔술폰산 아니온 등의 아니온을 갖는 술포늄염 및 요오드늄염 등을 들 수 있다.
술포늄염으로는, 예를 들어, 트리페닐술포늄헥사플루오로아실네이트, 트리페닐술포늄헥사플루오로보레이트, 트리페닐술포늄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트리페닐술포늄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벤질)보레이트, 메틸디페닐술포늄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메틸디페닐술포늄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벤질)보레이트, 디메틸페닐술포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트리페닐술포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트리페닐술포늄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 디페닐나프틸술포늄헥사플루오로알세네이트, 트리토일술포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아니실디페닐술포늄헥사헥사플루오르안티모네이트, 4-부톡시페닐디페닐술포늄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4-부톡시페닐디페닐술포늄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벤질)보레이트, 4-클로로페닐디페닐술포늄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 트리스(4-페녹시페닐)술포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디(4-에톡시페닐)메틸술포늄헥사플루오로알세네이트, 4-아세틸페닐디페닐술포늄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4-아세틸페닐디페닐술포늄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벤질)보레이트, 트리스(4-티오메톡시페닐)술포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디(메톡시술포닐페닐)메틸술포늄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 디(메톡시나프틸)메틸술포늄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디(메톡시나프틸)메틸술포늄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벤질)보레이트, 디(카르보메톡시페닐)메틸술포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4-옥틸옥시페닐)디페닐술포늄테트라키스(3,5-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보레이트, 트리스(도데실페닐)술포늄테트라키스(3,5-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보레이트, 4-아세트아미드페닐디페닐술포늄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4-아세트아미드페닐디페닐술포늄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벤질)보레이트, 디메틸나프틸술포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트리플루오로메틸디페닐술포늄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트리플루오로메틸디페닐술포늄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벤질)보레이트, 페닐메틸벤질술포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10-메틸페녹사티이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5-메틸티안트레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10-페닐-9,9-디메틸티오크산테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10-페닐-9-옥소티오크산테늄크산테늄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10-페닐-9-옥소티오크산테늄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벤질)보레이트, 5-메틸-10-옥소티아트레늄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5-메틸-10-옥소티아트레늄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벤질)보레이트, 및 5-메틸-10,10-디옥소티아트레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요오드늄염으로는, 예를 들어, (4-n-데실록시페닐)페닐요오드늄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4-(2-하이드록시-n-테트라데실록시)페닐〕페닐요오드늄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4-(2-하이드록시-n-테트라데실록시)페닐〕페닐요오드늄트리플루오로술포네이트,〔4-(2-하이드록시-n-테트라데실록시)페닐〕페닐요오드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4-(2-하이드록시-n-테트라데실록시)페닐〕페닐요오드늄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비스(4-t-부틸페닐)요오드늄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 비스(4-t-부틸페닐)요오드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비스(4-t-부틸페닐)요오드늄트리플루오로술포네이트, 비스(4-t-부틸페닐)요오드늄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비스(도데실페닐)요오드늄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 비스(도데실페닐)요오드늄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비스(도데실페닐)요오드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비스(도데실페닐)요오드늄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네이트, 디(도데실페닐)요오드늄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 디(도데실페닐)요오드늄트리플레이트, 디페닐요오드늄비설페이트, 4,4'-디클로로디페닐요오드늄비설페이트, 4,4'-디브로모디페닐요오드늄비설페이트, 3,3'-디니트로디페닐요오드늄비설페이트, 4,4'-디메틸디페닐요오드늄비설페이트, 4,4'-비스숙신이미드디페닐요오드늄비설페이트, 3-니트로디페닐요오드늄비설페이트, 4,4'-디메톡시디페닐요오드늄비설페이트, 비스(도데실페닐)요오드늄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4-옥틸옥시페닐)페닐요오드늄테트라키스(3,5-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그 밖의 오늄염으로는, 예를 들어, p-메톡시벤젠디아조늄·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 등의 방향족 디아조늄염을 들 수 있다.
상업적으로 입수할 수 있는 오늄염으로는, 예를 들어, 산에이드 SI-60, SI-80, SI-100, SI-60L, SI-80L, SI-100L, SI-L145, SI-L150, SI-L160, SI-L110, SI-L147 (이상, 산신 화학 공업사 제조), UVI-6950, UVI-6970, UVI-6974, UVI-6990 (이상, 유니온 카바이드사 제조), 아데카 옵토머 SP-150, SP-151, SP-170, SP-171, SP-172 (이상, ADEKA 사 제조), Irgacure261, Irgacure250 (BASF 사 제조), CI-2481, CI-2624, CI-2639, CI-2064 (이상, 닛폰 소다사 제조), CD-1010, CD-1011, CD-1012 (이상, 사토머사 제조), DS-100, DS-101, DAM-101, DAM-102, DAM-105, DAM-201, DSM-301, NAI-100, NAI-101, NAI-105, NAI-106, SI-100, SI-101, SI-105, SI-106, PI-105, NDI-105, BENZOIN TOSYLATE, MBZ-101, MBZ-301, PYR-100, PYR-200, DNB-101, NB-101, NB-201, BBI-101, BBI-102, BBI-103, BBI-109 (이상, 미도리 화학사 제조), PCI-061T, PCI-062T, PCI-020T, PCI-022T (이상, 닛폰 화약사 제조), IBPF, IBCF (산와 케미컬사 제조) CD1012 (사토머사 제조), IBPF, IBCF (이상, 산와 케미컬사 제조), BBI-101, BBI-102, BBI-103, BBI-109 (이상, 미도리 화학사 제조), UVE1014 (제너럴 일렉트로닉스사 제조), RHODORSIL-PI2074 (로디아사 제조), WPI-113, WPI-116 (와코 순약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J. Polymer Science : Part A : polymer Chemistry, Vol.31, 1473-1482 (1993), J. Polymer Science : Part A : polymer Chemistry, Vol.31, 1483-1491 (1993) 에 있어서 기술되어 있는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는 디아릴요오드늄염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디카르복실산이미드류로는, 예를 들어, N-(메틸술포닐옥시)나프탈렌-1,8-디카르복시이미드, N-(토실옥시)나프탈렌-1,8-디카르복시이미드, N-[(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옥시]나프탈렌-1,8-디카르복시이미드, N-(캠퍼술포닐옥시)나프탈렌-1,8-디카르복시이미드, N-(페닐술포닐옥시)숙신이미드, N-(토실옥시)숙신이미드, N-[(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옥시]숙신이미드, N-(캠퍼술포닐옥시)숙신이미드, N-[(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옥시]프탈이미드, N-[(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옥시]-시스-5-노르보르넨-엔드-2,3-디카르복시이미드 등을 들 수 있다.
광 염기 발생제로는, 예를 들어, 비고리형의 아실옥시이미노 화합물, 비고리형의 카르바모일옥심 화합물, 카르바모일하이드록실아민 화합물, 카르바민산 화합물, 포름아미드 화합물, 아세트아미드 화합물, 카바메이트 화합물, 벤질카바메이트 화합물, 니트로벤질카바메이트 화합물, 술폰아미드 화합물, 이미다졸 유도체 화합물, 아민이미드 화합물, 피리딘 유도체 화합물, α-아미노아세토페논 유도체 화합물, 4 급 암모늄염 유도체 화합물, α-락톤 고리 유도체 화합물, 아민이미드 화합물, 프탈이미드 유도체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본 발명의 분산액이 광 중합 개시제를 포함하는 경우, 그 양은, 염소화 고무 및 중합성기를 갖는 화합물의 합계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안정성, 반응성 및 악취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0.01 중량부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40 중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중량부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중량부 이하,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5 중량부 이하이다.
<광 안정제>
광 안정제로는, 예를 들어, 자외선 흡수제 및 힌더드아민계 광 안정제를 들 수 있다. 광 안정제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자외선 흡수제로는, 예를 들어, 살리실산류 (예를 들어, 페닐살리실레이트, p-t-부틸페닐살리실레이트, p-옥틸페닐살리실레이트 등), 벤조페논류 (예를 들어, 2,4-디하이드록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옥톡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도데실옥시벤조페논, 2,2'-디하이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2'-디하이드록시-4,4'-디메톡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메톡시-5-술포벤조페논 등), 벤조트리아졸류 (예를 들어, 2-(2'-하이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하이드록시-5'-tert-부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하이드록시-3',5'-디tert-부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하이드록시-3'-tert-부틸-5'-메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2'-하이드록시-3',5'-디tert-부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2'-하이드록시-3',5'-디tert-아밀페닐)벤조트리아졸, 2-{(2'-하이드록시-3',3",4",5",6"-테트라하이드로프탈이미드메틸)-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등), 트리아진류 (예를 들어, 2,4,6-트리스(2-하이드록시-4-옥틸옥시페닐)-1,3,5-트리아진, 2-(2-하이드록시-4-옥틸옥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2-[2,4-디하이드록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2,4-비스(2-하이드록시-4-프로필옥시페닐)-6-(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2-(2-하이드록시-4-옥틸옥시페닐)-4,6-비스(4-메틸페닐)-1,3,5-트리아진, 2-(2-하이드록시-4-도데실옥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2-[2-하이드록시-4-(2-하이드록시-3-부틸옥시프로폭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2-[2-하이드록시-4-(2-하이드록시-3-옥틸옥시프로폭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등), 그리고 옥살산아닐리드류 (예를 들어, N-(2-에틸페닐)-N'-(2-에톡시-5-t-부틸페닐)옥살산디아미드, N-(2-에틸페닐)-N'-(2-에톡시-페닐)옥살산디아미드, 2-에톡시-2'-에틸-옥살릭산비스아닐리드, 질소 원자 상에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아릴기 등을 갖는 옥살산디아미드류 등) 등을 들 수 있다.
힌더드아민계 광 안정제로는, 예를 들어, 에스테르기 함유 피페리딘류 (예를 들어, 4-아세톡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4-스테아로일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4-아크릴로일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등), 에테르기 함유 피페리딘류 (예를 들어, 4-메톡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4-시클로헥실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4-페녹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등), 아미드기 함유 피페리딘류 (예를 들어, 4-(페닐카르바모일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헥사메틸렌-1,6-디카바메이트 등), 그리고, 고분자량의 피페리딘 중축합물류 (예를 들어, 숙신산디메틸-1-(2-하이드록시에틸)-4-하이드록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중축합물, 1,2,3,4-부탄테트라카르복실산과 1,2,2,6,6-펜타메틸-4-피페리디놀과 트리데실알코올의 축합물 등)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분산액이 광 안정제를 포함하는 경우, 그 양은, 염소화 고무 및 중합성기를 갖는 화합물의 합계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1 중량부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15 중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중량부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 중량부 이하이다.
<자외선 경화성 올리고머>
자외선 경화성 올리고머로는, 예를 들어,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에폭시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및 폴리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 경화성 올리고머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시판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시판되는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로는, 예를 들어, CN929, CN965, CN968, CN981A75, CN985B88, CN991, CN970AH75, CN975, CN992, CN994 및 CN9165 (사토머사 제조), U-4HA 및 U-6HA (신나카무라 화학 공업사 제조), AH-600, UA-306H, UA-306T, UA-306I, UA-510H, UF-8001G 및 DAUA-167 (쿄에이샤 화학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에폭시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시판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시판되는 에폭시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로는, 예를 들어, CN116, CN120B60, CN120M50, CN131B, CN132, CN137, CN152 및, CN2102E (사토머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시판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시판되는 폴리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로는, 예를 들어, CN292, CN2259, CN2262, CN2270, CN2271E, CN2272, CN2273, CN2276, CN2279, CN2285, CN2298, CN2300, CN2301, CN2302, CN2303 및, CN2304 (사토머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폴리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본 발명의 분산액이 자외선 경화성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경우, 그 양은, 염소화 고무 및 중합성기를 갖는 화합물의 합계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1 중량부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20 중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중량부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중량부 이하,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5 중량부 이하이다.
<형광 증백제>
형광 증백제로는, 예를 들어, 디알킬아미노쿠마린, 비스디메틸아미노스틸벤, 비스메틸아미노스틸벤, 4-알콕시-1,8-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N-알킬이미드, 비스벤즈옥사졸릴에틸렌, 1,4-비스(2-벤조옥사졸릴)나프탈렌, 디알킬스틸벤 등을 들 수 있다. 시판되는 형광 증백제로는, 예를 들어, Kayahor 3BS Liq., Kayahor TAC Liq., Kayaphor HBC Liq., Kayalight B, Kayaphor AS 150, Kayaphor CR 200, Kayaphor JB Liq., Mikawhite ATN conc. (닛폰 화약사 제조), TINOPAL OB, TINOPAL NFW Liqid (BASF 사 제조), Hakkol P, Hakkol PHD, Hakkol RF, Hakkol PSR, Hakkol PSR-B, Hakkol CHP-B, Hakkol PY-2000, Hakkol PYB-D, Hakkol BE conc, Hakkol SG conc 150, Hakkol TH-100, Hakkol S-100, Hakkol RX-1, Hakkol OW-11, Hakkol OW-10 extra, Hakkol KIP H/C, Hakkol SF, Hakkol JC, 및, Hakkol PMS H/C (쇼와 화학 공업사 제조), Nikkafluor SB conc, Nikkafluor KB, Nikkafluor OB, Nikkabright CX H/C (닛폰 화학 공업소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형광 증백제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본 발명의 분산액이 형광 증백제를 포함하는 경우, 그 양은, 염소화 고무 및 중합성기를 갖는 화합물의 합계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1 중량부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5 중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 중량부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 중량부 이하이다.
<레벨링제>
레벨링제로는, 예를 들어, 폴리플로우 No.45, 폴리플로우 KL-245, 폴리플로우 No.75, 폴리플로우 No.90, 폴리플로우 No.95 (쿄에이샤 화학 공업사 제조), BYK300, BYK306, BYK310, BYK320, BYK330, BYK346, BYK349, BYK-333, BYK-345, BYK-347, BYK-348, BYK-378 (빅케미·재팬사 제조), KP-341, KP-358, KP-368, KF-96-50CS, KF-50-100CS (신에츠 화학 공업사 제조), 서플론 SC-101, 서플론 KH-40 (AGC 세이미 케미컬사 제조), 프터젠트 222F, 프터젠트 251, FTX-218 (네오스사 제조), EFTOP EF-351, EFTOP EF-352, EFTOP EF-601, EFTOP EF-801, EFTOP EF-802 (미츠비시 매터리얼사 제조), 메가팍 F-171, 메가팍 F-177, 메가팍 F-475, 메가팍 F-556, 메가팍 R-30 (DIC 사 제조), 아데카 콜 W-193, 아데카 콜 W-287, 아데카 콜 W-288, 아데카 콜 W-304 (ADEKA 사 제조), SN 웨트 366, 놉코 38-C, SN 디스퍼 샌드 5468, SN 디스퍼 샌드 5034, SN 디스퍼 샌드 5027, SN 디스퍼 샌드 5040, SN 디스퍼 샌드 5020 (산놉코사), 플루오로알킬벤젠술폰산염, 플루오르알킬카르복실산염, 플루오로알킬폴리옥시에틸렌에테르, 플루오로알킬암모늄요오디드, 플루오로알킬베타인, 플루오로알킬술폰산염, 디글리세린테트라키스(플루오로알킬폴리옥시에틸렌에테르), 플루오로알킬트리메틸암모늄염, 플루오로알킬아미노술폰산염, 폴리옥시에틸렌노닐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옥틸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트리데실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세틸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라우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올레에이트, 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아민, 소르비탄라우레이트, 소르비탄팔미테이트,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올레에이트, 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라우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팔미테이트,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올레에이트, 폴리옥시에틸렌나프틸에테르, 알킬벤젠술폰산염, 알킬디페닐에테르디술폰산염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분산액이 레벨링제를 포함하는 경우, 그 양은, 염소화 고무 및 중합성기를 갖는 화합물의 합계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1 중량부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20 중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중량부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 중량부 이하이다.
<염기성 화합물>
염기성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암모니아, 유기 아민 화합물 및 금속 수산화물 등을 들 수 있다. 염기성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암모니아 또는 유기 아민 화합물이다.
유기 아민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트리에틸아민, N,N-디메틸에탄올아민, 아미노에탄올아민, N-메틸-N,N-디에탄올아민, 이소프로필아민, 이미노비스프로필아민, 에틸아민, 디에틸아민, 3-에톡시프로필아민, 3-디에틸아미노프로필아민, sec-부틸아민, 프로필아민, 메틸아미노프로필아민, 3-메톡시프로필아민, 모노에탄올아민, 모르폴린, N-메틸모르폴린 및 N-에틸모르폴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N,N-디메틸에탄올아민이 바람직하다.
금속 수산화물로는, 예를 들어, 수산화리튬, 수산화칼륨 및 수산화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분산액이 염기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경우, 그 양은, 염소화 고무 및 중합성기를 갖는 화합물의 합계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1 중량부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20 중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중량부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 중량부 이하이다.
<유기 용제>
유기 용제로는, 예를 들어, 톨루엔 및 자일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 ; 헥산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류 ; 아세트산에틸 및 아세트산부틸 등의 에스테르류 ; 메틸에틸케톤 및 메틸이소부틸케톤 등의 케톤류 ; 메탄올, 에탄올, n-프로판올, 이소프로필알코올 및 n-부탄올 등의 알코올류 ;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및 3-메톡시-3-메틸-1-부탄올 등의 글리콜류 ; 메틸셀로솔브, 셀로솔브, 부틸셀로솔브, 디옥산, MTBE (메틸터셔리부틸에테르) 및 부틸카르비톨 등의 셀로솔브류 ;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PMA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디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아세테이트 및 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등의 글리콜에스테르류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본 발명의 분산액 중의 유기 용제의 양은, 염소화 고무 및 중합성기를 갖는 화합물의 합계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악취 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0 ∼ 100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 ∼ 50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0 ∼ 30 중량부,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 ∼ 10 중량부이다. 본 발명의 분산액이 유기 용제를 함유하지 않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가교제>
가교제를 포함함으로써, 접착성, 접착층의 내수성 및 접착층의 내용제성이 보다 향상되는 경향이 있다. 가교제로는, 예를 들어, 에폭시 화합물,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특히,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옥사졸린 화합물, 아지리딘 화합물, 카르보디이미드 화합물, 활성 메틸올 화합물, 활성 알콕시메틸 화합물, 금속 킬레이트, 히드라지드 화합물, 히드라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카르보디이미드 화합물, 옥사졸린 화합물, 히드라지드 화합물, 히드라진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수성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 의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들 가교제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HDI),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MDI),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TDI) 및, 이들의 올리고머 또는 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그 구체예로는, 스미카 코베스트로 우레탄 제조의 스미쥬르 (등록상표) N3200, N3300, N3400, N3600, N3900, S-304, S-305, XP-2655, XP-2487, XP-2547, 44V10, 44V20 및 E 21-1, 스미토모 코베스트로 우레탄사 제조의 데스모쥬르 (등록상표) N3100, N3300, N3400, N3600, N3900, S-304, S-305, XP-2655, XP-2487, XP-2547 및 DA-L, E14 및 E 22, 스미토모 코베스트로 우레탄사 제조의 바이히쥬르 (등록상표) 304 및 XP2655, BASF 사 제조의 바소나트 (BASONAT (등록상표)) PLR8878 및 HW-100, 타케다 약품 공업사 제조의 타케네이트 (등록상표) WD720, WD725 및 WD730, 아사히 화성 공업사 제조의 듀라네이트 (등록상표) WB40-100, WB40-80D 및 WX-1741 등을 들 수 있다.
카르보디이미드 화합물의 구체예로는, 닛신보 케미컬 (주) : 카르보디라이트 (SV-02, V-02, V-02-L, V-04, E-01, E-02) 등을 들 수 있다.
히드라지드 화합물의 구체예로는, 오오츠카 화학 (주) : ADH (아디프산디히드라지드), SDH (세바스산디히드라지드), DDH (도데칸디오히드라지드), IDH (이소프탈산디히드라지드), SAH (살리실산히드라지드) 등을 들 수 있다.
히드라진 화합물의 구체예로는, 오오츠카 화학 (주) : 모노염산히드라진, 디염산히드라진, 모노브롬화수소산히드라진, 탄산히드라진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분산액이 가교제를 포함하는 경우, 그 양은, 염소화 고무 및 중합성기를 갖는 화합물의 합계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1 중량부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30 중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중량부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중량부 이하,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5 중량부 이하이다.
<광 증감제>
광 증감제는, 증강하고자 하는 파장에 따라 적절히 선정할 수 있다. 광 증감제의 유효 여기 파장역은, 통상적으로, 450 ㎚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250 ∼ 380 ㎚ 이다. 광 증감제로는, 예를 들어, 트리에탄올아민, 트리이소프로판올아민, 4,4-디에틸아미노벤조페논, 2-디메틸아미노에틸벤조산, 4-디메틸아미노에틸벤조산에틸 및 4-디메틸아미노벤조산이소아실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분산액이 광 증감제를 포함하는 경우, 그 양은, 염소화 고무 및 중합성기를 갖는 화합물의 합계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1 중량부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15 중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중량부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 중량부 이하이다.
<다른 수지 또는 고무>
본 발명의 분산액은,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염소화 고무와는 상이한 다른 수지 또는 고무를 함유해도 된다. 다른 수지 또는 고무는, 모두, 1 종만을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고무란, 탄성을 갖는 엘라스토머를 의미하고, 수지란, 탄성을 갖지 않는 열 가소성 수지 또는 열 경화성 수지를 의미한다.
다른 수지 또는 고무로는, 예를 들어, 에틸렌-비닐에스테르 공중합체, 스티렌-말레산 공중합체, 탄소수 2 ∼ 20 의 α-올레핀 유래의 구조 단위를 갖는 수지 및 변성물, (메트)아크릴계 수지, 폴리스티렌, 폴리아세트산비닐, 폴리우레탄, 폴리염화비닐, 염소화폴리염화비닐, 폴리염화비닐리덴,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염화비닐-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염화비닐-염화비닐리덴 공중합체, 염화비닐리덴-(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염화비닐리덴-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염소화된 탄소수 2 ∼ 20 의 α-올레핀 유래의 구조 단위를 갖는 수지, 폴리우레아,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클로로프렌계 수지, 산 변성 클로로프렌계 수지, 부틸 고무, 브롬화부틸 고무, 변성 고무, 스티렌-(메트)아크릴산 공중합체, 합성 고무, 천연 고무,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폴리부타디엔, 폴리(메트)아크릴로니트릴, 폴리(메트)아크릴아미드, 폴리에스테르, 변성 폴리아미드, 에폭시 수지, 스티렌계 블록 공중합체 및 이들의 올리고머 등을 들 수 있다. 다른 수지 또는 고무는, 고체 (예를 들어, 수지 또는 고무의 분말) 의 형태여도 되고, 에멀션의 형태여도 된다.
에틸렌-비닐에스테르 공중합체란, 에틸렌 단위 및 비닐에스테르 단위를 포함하는 공중합체이다. 비닐에스테르 단위로는, 예를 들어, 아세트산비닐, 프로피온산비닐, 피발산비닐, 탄소수 8 ∼ 10 의 3 급 카르복실산의 비닐에스테르 및 이른바 버사틱산비닐 (예를 들어, 쉘 화학사 제조, 상품명 : Veova (등록상표) 10) 등의 알킬산비닐에스테르에서 유래하는 단위 등을 들 수 있다.
에틸렌-비닐에스테르 공중합체는, 에틸렌 단위, 비닐에스테르 단위 외에, 에틸렌 및 비닐에스테르와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에서 유래하는 단위를 함유해도 된다. 이 단량체로는, 예를 들어, 염화비닐 등의 할로겐화비닐, 소량의 아미드기 등의 관능기를 가지는 단량체,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에틸렌-비닐에스테르 공중합체 중에서도,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이하, 「EVA 」 라고 약기하는 경우가 있다) 가 바람직하다.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는, 아세트산비닐의 함유율 등에 따라 성질이 상이한데, 다양한 아세트산비닐 함유율 및 형상 (필름, 블록, 섬유, 발포체) 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는, 에틸렌 단위 이외의 다른 올레핀 단위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다른 올레핀 단위를 함유하는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로는, 예를 들어, 에틸렌-옥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부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에틸렌-비닐에스테르 공중합체로는, 예를 들어, VINNOL E15/45, E15/45M, E15/48A, H15/42, H15/50, H11/59, H14/36, H40/50, H40/55, H40/60, H30/48M (Wacker Chemie AG 사) 등을 들 수 있다.
에틸렌-비닐에스테르 공중합체는, 에멀션의 형태여도 된다. 이와 같은 에멀션은, 상기 에틸렌 단위 및 비닐에스테르 단위를 구성하는 단량체를 유화 중합하는 것에 의해 제조해도 되고, 시판되는 것을 사용해도 된다. 에틸렌-비닐에스테르 공중합체의 에멀션으로는, 예를 들어, 스미카 플렉스 (등록상표) 201HQ, 303HQ, 355HQ, 400HQ, 401HQ, 408HQ, 410HQ, 450HQ, 455HQ, 456HQ, 460HQ, 465HQ, 467HQ, 7400HQ, 470HQ, 478HQ, 510HQ, 520HQ, 710, 752, 755, SDX-5100, 801HQ, 808HQ, 830, 850HQ, 900HL 및 3950 (이상, 스미토모 화학 (주) 제조), 밴플렉스 OM-4000 및 OM-4200 (이상, (주) 쿠라레 제조), 폴리졸 (등록상표) EVA AD-2, AD-3, AD-4, AD-5, AD-51, AD-56, AD-59 및 P-900 (이상, 쇼와 고분자 (주) 제조), 덴카 EVA 텍스 (등록상표) #20, #30, #40M, #60, #81 및 #82 (이상, 덴카 (주)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스티렌-말레산 공중합체로는, 예를 들어, 아라스타 700, 703S (아라카와 화학 공업 (주) 제조), SMA (등록상표) 1000, SMA (등록상표) 2000, SMA (등록상표) 3000 (Cray Valley's 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스티렌-말레산 공중합체의 에멀션으로는, 예를 들어, VE-1122 (세이코 PMC (주)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탄소수 2 ∼ 20 의 α-올레핀 유래의 구조 단위를 갖는 수지는, 단독 중합체, 랜덤 공중합체, 블록 공중합체, 그래프트 공중합체의 어느 것이어도 된다. 또한, 과산화물 등으로 저분자량화, 고분자량화한 것이어도 된다.
탄소수 2 ∼ 20 의 α-올레핀으로는, 예를 들어, 에틸렌, 프로필렌, 1-부텐, 1-펜텐, 1-헥센, 1-헵텐, 1-옥텐, 1-노넨, 1-데센, 1-운데센, 1-도데센, 1-트리데센, 1-테트라데센, 1-펜타데센, 1-헥사데센, 1-헵타데센, 1-옥타데센, 1-노나데센, 1-에이코센 및 비닐시클로헥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에틸렌, 프로필렌이 바람직하다.
탄소수 2 ∼ 20 의 α-올레핀 유래의 구조 단위를 갖는 수지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PE), 고밀도 폴리에틸렌 (HDPE), 중밀도 폴리에틸렌 (MDPE), 저밀도 폴리에틸렌 (LDPE), 직사슬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 (PP), 아이소택틱 (이소택틱) 폴리프로필렌, 신디오택틱 폴리프로필렌 및 어택틱 폴리프로필렌 등의 α-올레핀계 단독 중합체 ;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 에틸렌-1-부텐 공중합체, 에틸렌-1-옥텐 공중합체 및 에틸렌-1-헥센 공중합체 등의 α-올레핀계 공중합체 ; 및 탄소수 2 ∼ 20 의 α-올레핀과 그 α-올레핀과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의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또한, 탄소수 2 ∼ 20 의 α-올레핀과 그 α-올레핀과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의 공중합체는, 각각에서 유래하는 단위를 1 종류씩 포함하는 것이어도 되고, 각각에서 유래하는 단위를 2 종류 이상 포함하는 것이어도 된다.
탄소수 2 ∼ 20 의 α-올레핀과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로는, 예를 들어,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 및 그 무수물,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의 금속염,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에스테르, 비닐에스테르, 비닐에스테르 비누화물, 고리형 올레핀, 비닐 방향족 화합물, 폴리엔 화합물 (디엔류 등), (메트)아크릴로니트릴, 할로겐화비닐류, 아미드 및 할로겐화비닐리덴류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 및 그 무수물로는, 예를 들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말레산, 무수 말레산, 이타콘산, 무수 이타콘산, 푸마르산, 크로톤산, 말레산 모노메틸, 말레산모노에틸, 말레산의 하프 에스테르, 말레산의 하프 아미드, 이타콘산의 하프 에스테르 및 이타콘산의 하프 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말레산 및 무수 말레산이 바람직하고, 특히 아크릴산 및 무수 말레산이 바람직하다.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의 금속염으로는, 예를 들어, 리튬, 나트륨, 칼륨 등의 1 가 금속의 염, 마그네슘, 칼슘, 아연 등의 다가 금속의 염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메트)아크릴산의 나트륨염 및 마그네슘염을 들 수 있다.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에스테르로는, 예를 들어,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말레산디메틸 및 메타크릴산과 알코올의 에스테르화물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다.
비닐에스테르로는, 예를 들어, 포름산비닐, 아세트산비닐, 프로피온산비닐, 피발산비닐 및 버사틱산비닐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아세트산비닐이 바람직하다.
비닐에스테르 비누화물로는, 예를 들어, 비닐에스테르를 염기성 화합물 등으로 비누화하여 얻어지는 비닐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고리형 올레핀으로는, 예를 들어, 노르보르넨, 5-메틸노르보르넨, 5-에틸노르보르넨, 1,4,5,8-디메타노-1,2,3,4,4a,5,8,8a-옥타하이드로나프탈렌, 1,2-디하이드로디시클로펜타디엔, 5-클로로노르보르넨, 시클로펜텐, 시클로헥센, 시클로헵텐 및 비닐시클로헥산 등을 들 수 있다.
비닐 방향족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스티렌, α-메틸스티렌, p-메틸스티렌, 비닐자일렌, 모노클로로스티렌, 디클로로스티렌, 모노브로모스티렌, 디브로모스티렌, 플루오로스티렌, p-tert-부틸스티렌, 에틸스티렌 및 비닐나프탈렌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엔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직사슬형 또는 분기형의 지방족 공액 폴리엔 화합물, 지환식 공액 폴리엔 화합물, 지방족 비공액 폴리엔 화합물, 지환식 비공액 폴리엔 화합물 및 방향족 비공액 폴리엔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알콕시기, 아릴기, 아릴옥시기, 아르알킬기 및 아르알킬옥시기 등의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지방족 공액 폴리엔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1,3-부타디엔, 이소프렌, 2-에틸-1,3-부타디엔, 2-프로필-1,3-부타디엔, 2-이소프로필-1,3-부타디엔, 2-메틸-1,3-데카디엔, 2,3-디메틸-1,3-펜타디엔, 2,3-디메틸-1,3-옥타디엔 및 2,3-디메틸-1,3-데카디엔 등을 들 수 있다.
지환식 공액 폴리엔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2-메틸-1,3-시클로펜타디엔, 2-메틸-1,3-시클로헥사디엔, 2,3-디메틸-1,3-시클로헥사디엔, 2-클로로-1,3-부타디엔, 2-클로로-1,3-펜타디엔 및 2-클로로-1,3-시클로헥사디엔 등을 들 수 있다.
지방족 비공액 폴리엔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1,4-헥사디엔, 1,6-헵타디엔, 1,6-옥타디엔, 1,9-데카디엔, 3,3-디메틸-1,4-헥사디엔, 5-에틸-1,4-헵타디엔, 4-메틸-1,4-옥타디엔, 5-메틸-1,4-옥타디엔, 4-에틸-1,4-옥타디엔, 4-메틸-1,4-노나디엔, 5-메틸-1,4-데카디엔, 6-메틸-1,6-운데카디엔 및 4-에틸리덴-12-메틸-1,11-펜타데카디엔 등을 들 수 있다.
지환식 비공액 폴리엔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비닐시클로헥산, 비닐시클로헥센, 5-비닐-2-노르보르넨, 1,4-디비닐시클로헥산, 1-이소프로페닐-3-비닐시클로펜탄 및 메틸테트라하이드로인덴 등을 들 수 있다.
방향족 비공액 폴리엔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디비닐벤젠 및 비닐이소프로페닐벤젠 등을 들 수 있다.
탄소수 2 ∼ 20 의 α-올레핀 유래의 구조 단위를 갖는 공중합체로는, 예를 들어,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와 같은 에틸렌 불포화 카르복실산 공중합체, 상기 에틸렌-불포화 카르복실산 공중합체의 카르복실기의 일부 또는 전부가 금속으로 중화된 아이오노머, 에틸렌-아크릴산메틸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에틸 공중합체, 에틸렌-메타크릴산메틸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이소부틸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 n 부틸 공중합체와 같은 에틸렌-불포화 카르복실산에스테르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이소부틸-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 n 부틸-메타크릴산 공중합체와 같은 에틸렌-불포화 카르복실산에스테르-불포화 카르복실산 공중합체 및 그 카르복실기의 일부 또는 전부가 금속으로 중화된 아이오노머 등을 들 수 있다.
탄소수 2 ∼ 20 의 α-올레핀 유래의 구조 단위를 갖는 수지의 변성물로는, 예를 들어, 탄소수 2 ∼ 20 의 α-올레핀 유래의 구조 단위를 갖는 수지를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류 등에 의해 변성하여 얻어지는 변성물을 들 수 있다.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류 등에 의한 변성률은, 변성 전의 탄소수 2 ∼ 20 의 α-올레핀 유래의 구조 단위를 갖는 수지 100 중량% 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1 ∼ 1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 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2 ∼ 4 중량% 이다.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류로는, 예를 들어,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 (말레산, 이타콘산, 시트라콘산 등),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에스테르 (말레산메틸, 이타콘산메틸, 시트라콘산메틸 등),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 무수물 (무수 말레산, 무수 이타콘산, 무수 시트라콘산 등) 을 들 수 있다. 탄소수 2 ∼ 20 의 α-올레핀 유래의 구조 단위를 갖는 수지의 변성에는,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류의 1 종만을 사용해도 되고, 그 2 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탄소수 2 ∼ 20 의 α-올레핀 유래의 구조 단위를 갖는 수지의 변성물은, 상기 수지를 용융시킨 후, 용융물에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류 등을 첨가하고, 상기 수지를 변성시키는 방법, 톨루엔, 자일렌 등의 유기 용제에 상기 수지를 용해시킨 후, 그 용액에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류 등을 첨가하여, 상기 수지를 변성시키는 방법 등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염소화된 탄소수 2 ∼ 20 의 α-올레핀 유래의 구조 단위를 갖는 수지의 염소화율로는, 변성 전의 공중합체 100 중량% 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5 ∼ 80 중량%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 75 중량%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5 ∼ 70 중량% 이다.
탄소수 2 ∼ 20 의 α-올레핀 유래의 구조 단위를 갖는 수지의 염소화는, 탄소수 2 ∼ 20 의 α-올레핀 유래의 구조 단위를 갖는 수지를 유기 용제에 용해 또는 분산시키고, 얻어진 혼합물에 염소 가스를 분사하는 방법 등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탄소수 2 ∼ 20 의 α-올레핀 유래의 구조 단위를 갖는 수지 및 그 변성물로는, 예를 들어, 멜텐 (등록상표) H-6410M, H-6051, H-6960, H-6820 및 H-6822X (토소 (주)), 에발 (등록상표) L171B, F171B, H171B, E105B 및 G156B ((주) 쿠라레), 소아놀 (등록상표) D2908, DT2904, DC3212, DC3203, E3808, ET3803, A4412, AT4403, BX, 16DX, D2908H4 및 A4412H4 (닛폰 합성 화학 공업 (주)), 소아레진 (등록상표) PG505 (닛폰 합성 화학 공업 (주)), NISSO (등록상표) PB (닛폰 소다 (주)), 폴리테일 (등록상표) H (미츠비시 화학 (주)), 에폴 (등록상표) (이데미츠 흥산 (주)), OREVAC (등록상표) G 18211, OE808 및 OE825 (아르케마 (주)), LOTADAR MAH2210, 3200, P3 3200, 3210, 4210, 6200, 3410, 3430 및 4720 (아르케마 (주)), BONDINE (등록상표) LX4110, HX8210, TX8030, HX8290, HX8410 및 AX8390 (아르케마 (주)), OREVAC (등록상표) T9314, T9318 및 G18211 (아르케마 (주)), 유멕스 (등록상표) 2000 (산요 화성 공업 (주)), 그리고 아우로렌 (등록상표) 100S 및 200T (닛폰 제지 케미컬 (주)) 등을 들 수 있다.
탄소수 2 ∼ 20 의 α-올레핀 유래의 구조 단위를 갖는 수지 및 그 변성물은, 에멀션의 형태여도 된다. 이와 같은 에멀션은, 탄소수 2 ∼ 20 의 α-올레핀 유래의 구조 단위를 갖는 수지 및 그 변성물을 유화하는 것에 의해 제조해도 되고, 시판되는 것을 사용해도 된다. 탄소수 2 ∼ 20 의 α-올레핀 유래의 구조 단위를 갖는 수지 및 그 변성물의 에멀션으로는, 예를 들어, 아로베이스 (등록상표) SA-1200, SB-1200, SE-1200, SB-1010 (유니티카 (주)), 압토로크 (등록상표) BW-5550 (미츠비시 화학 (주)), 아우로렌 (등록상표) AE-202, AE-301 (닛폰 제지 (주)), 아쿠아텍스 (등록상표) EC-1200, EC-1700, AC-3100, MC-4400, HA-1100, 909 (츄오 이화 공업 (주)) 등을 들 수 있다.
염소화된 탄소수 2 ∼ 20 의 α-올레핀 유래의 구조 단위를 갖는 수지로는, 예를 들어, 엘라슬렌 (등록상표) 401A, 303B (쇼와 전공 (주)), 하들렌 (등록상표) CY-9122P, CY-9124P, HM-21P, M-28P, F-2P, F-6P, F-69, 13-LP, 13-LLP, 14-LWP, 14-WL-P, 15-LP, 15-LLP, 16-LP, DX-526P, DX-530P 및 BS-40 (토요보 (주)), 그리고, 수퍼클론 (등록상표) 803L, 803MW, 814HS, 390S, HE-305, HE-505, HE-510, HE-515, HE-910, HE-915, HE-1070, HE-1200, HP-205, HP-215 및 HP-620 (닛폰 제지 케미컬 (주)) 등을 들 수 있다.
염소화된 탄소수 2 ∼ 20 의 α-올레핀 유래의 구조 단위를 갖는 수지는, 에멀션의 형태여도 된다. 이와 같은 에멀션은, 염소화된 탄소수 2 ∼ 20 의 α-올레핀 유래의 구조 단위를 갖는 수지를 유화하는 것에 의해 제조해도 되고, 시판되는 것을 사용해도 된다. 염소화된 탄소수 2 ∼ 20 의 α-올레핀 유래의 구조 단위를 갖는 수지의 에멀션으로는, 예를 들어, 하들렌 (등록상표) EW-5303, EH-801, EW-5504, EZ-1000 및 EZ-2000 (토요보 (주)), 수퍼클론 (등록상표) E-604, E-480T 및 E-415 (닛폰 제지 케미컬 (주))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우레탄은, 발포 폴리우레탄이어도 되고, 비발포 폴리우레탄이어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비발포 폴리우레탄이다. 비발포 폴리우레탄 중에서도,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 폴리우레탄이 바람직하다. 폴리우레탄은, 시판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시판되는 폴리우레탄으로는, 예를 들어, 닙포란 (등록상표) 3110, 3116, 3016, 3113, 3124, 3126, 3230 (닛폰 폴리우레탄 공업 (주)) 등을 들 수 있다. 시판되는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 폴리우레탄으로는, 예를 들어, 디스퍼콜 (등록상표) U-42, U-53, U-54, U-56, KA-8481, KA-8584, KA-8755, KA-8756 및 KA-8766 (스미토모 코베스트로 우레탄 (주)), 하이드란 (등록상표) HW-111, HW-311, HW-333, HW-350, HW-337, HW-374, AP-20, AP-60LM 및 AP-80 (DIC (주)), 유프렌 (등록상표) UXA-306, UXA-307, 퍼마린 UA-150, 퍼마린 UA-200, 퍼마린 UA-300, 퍼마린 UA-310 및 유코트 UWS-145 (산요 화성 공업 (주)), 슈퍼 플렉스 (등록상표) 107M, 110, 126, 130, 150, 160, 210, 300, 361, 370, 410, 420, 460, 500M, 700, 750, 820 및 860 (다이이치 공업 제약 (주)), 그리고 아데카 본타이터 (등록상표) HUX-401, HUX-420A, HUX-380, HUX-561, HUX-210, HUX-822, HUX-895 및 HUX-830 ((주) ADEKA)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염화비닐은, 염화비닐을 현탁 중합 또는 괴상 중합하는 방법 등으로 얻어진다. 폴리염화비닐로는, 예를 들어, 경질 폴리염화비닐, 반경질 폴리염화비닐, 연질 폴리염화비닐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연질 폴리염화비닐이다. 폴리염화비닐은, 예를 들어, 가네비닐 S-400, PSH-180, PSL-180 ((주) 가네카)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염화비닐의 에멀션으로는, 예를 들어, 비니블란 701, 700, 711 (닛신 화학 공업 (주)) 등을 들 수 있다.
염소화폴리염화비닐이란, 폴리염화비닐을, 기상 또는 액상 등의 염소화 방법에 의해 염소화한 것이다. 폴리염화비닐로는, 예를 들어, 염화비닐의 단독 중합체 및 염화비닐과 다른 단량체의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다른 단량체로는, 예를 들어, 에틸렌, 프로필렌, 알킬비닐에테르, 비닐리덴클로라이드, 아세트산비닐, 아크릴산에스테르, 및 말레산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염소화폴리염화비닐은, 예를 들어, 세키스이 PVC-HA (세키스이 화학 공업 (주))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염화비닐리덴으로는, 예를 들어, 사란 (SARAN) X05253-16 (다우·케미컬사 제조), 사란 랩 (등록상표) 용 수지 (아사히 화성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염화비닐리덴의 에멀션으로는, 예를 들어, Diofan 193D, A736, A036, A050, A063, B204, A115 (솔베이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염화비닐-염화비닐리덴 공중합체로는, 예를 들어, IXAN SGA-1 (솔베이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염화비닐리덴-(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로는, 예를 들어, IXAN PVS-109, 801, 815, Diofan A586, A602, A610 (솔베이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클로로프렌계 수지는, 클로로프렌의 단독 중합체, 또는 클로로프렌과 다른 단량체의 공중합체이다. 다른 단량체로는, 예를 들어, 이소프렌, 부타디엔, 디클로로부타디엔,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아크릴산에스테르, 메타크릴산에스테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이타콘산 등을 들 수 있다.
산 변성 클로로프렌계 수지는, 상기 클로로프렌계 수지에,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 및 그 무수물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을 그래프트 공중합함으로써 얻어진다.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 및 그 산무수물로는, 예를 들어, 탄소수 2 ∼ 20 의 α-올레핀 유래의 구조 단위를 갖는 수지의 변성물로서 예시한 것을 들 수 있다.
클로로프렌계 수지 및 산 변성 클로로프렌계 수지로는, 예를 들어, 스카이프렌 (등록상표) G-42, G-40S, G-55, G-40, S-1, G-40T, B-30S, Y-31 (토소 (주)), 쇼프렌 (등록상표) W, AF, WHV, WXJ, WB (쇼와 전공 (주)), 그리고 덴카클로로프렌 (등록상표) A-30, A-70, A-90, A-91, M-130L, DCR-11 (덴카 (주)) 등을 들 수 있다. 클로로프렌계 수지 및 산 변성 클로로프렌계 수지의 에멀션으로는, 예를 들어, 스카이프렌 (등록상표) GFL-820, GFL-890, GFL-280, LA-502, LA-660, SL-360, SL-390 및 SL-590 (토소 (주)), 쇼프렌 (등록상표) 115, 571, 572, 650, 671A, 750, SD78 및 SD77S (쇼와 전공 (주)), 그리고 덴카클로로프렌 (등록상표) LA-50 및 LC-501 (덴카 (주)) 등을 들 수 있다.
브롬화부틸 고무로는, 예를 들어, JSR BROMOBUTYL 2255, 2244 (JSR 사), 엑손 브로모부틸 2255 (엑손 모빌 케미컬사) 등을 들 수 있다.
변성 고무로는, 예를 들어 이소모노올레핀과 파라메틸스티렌의 공중합체의 염소화 또는 브롬화 변성 공중합체를 들 수 있고, 시판품으로는, 예를 들어, Expro50 (엑슨사) 을 들 수 있다.
스티렌계 블록 공중합체로는, 예를 들어, 디엔 블록와 스티렌 블록으로 이루어지는 블록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 (SB),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SBS),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SIS), 스티렌-부타디엔-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 (SBBS) 혹은 그것들 블록 공중합체의 수소 첨가물, 스티렌·이소부틸렌-스티렌 트리 블록 공중합체 (SIBS), 스티렌-이소부틸렌 디블록 공중합체 (SIB) 를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수소 첨가물은, 스티렌 블록과 디엔 블록 모두가 수소 첨가된 블록 공중합체여도 되고, 디엔 블록만 수소 첨가된 블록 공중합체 혹은 스티렌 블록과 디엔 블록의 일부가 수소 첨가된 블록 공중합체 등의 부분 수소 첨가물이어도 된다.
분산액의 안정성을 보다 높이기 위해서, 본 발명의 분산액은, 다른 수지로서,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아크릴산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및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등의 수용성 수지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분산액은, 다른 수지로서, 점착 부여 수지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은 수지로는, 예를 들어, 로진류, 테르펜계 수지, 탄소수 5 의 석유 유분을 중합한 석유계 수지 및 이 수소 첨가 수지, 탄소수 9 의 석유 유분을 중합한 석유계 수지 및 이 수소 첨가 수지, 그 밖의 석유계 수지, 쿠마론 수지 그리고 인덴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로진, 중합 로진, 불균화 로진, 수소 첨가 로진, 말레화로진, 푸마르화로진 및 이들의 글리세린에스테르, 펜타에리트리톨에스테르, 메틸에스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에스테르, 페놀 변성물 및 그 에스테르화물 등의 로진류 ; 테르펜 중합체, 테르펜페놀, β-피넨 중합체, 방향족 변성 테르펜 중합체, α-피넨 중합체, 테르펜계 수소 첨가 수지 등의 테르펜계 수지 ; 탄소수 5 의 석유 유분을 중합한 석유계 수지, 탄소수 9 의 석유 유분을 중합한 석유계 수지 및 이들의 수소 첨가 수지 ; 말레산 변성물 그리고 푸마르산 변성물 등의 석유계 수지, 염소화파라핀 등을 들 수 있다.
테르펜계 수지로는, 예를 들어, YS 레진 PX, PXN, YS 폴리스타, 마이티에이스, YS 레진 TO, TR 및 클리어론 P, M, K (야스하라 케미컬 (주)), 타마놀 803L, 901 (아라카와 화학 공업 (주)) 그리고, 테르택 80 (니혼 테르펜 화학 (주)) 등을 들 수 있다. 테르펜계 수지의 에멀션으로는, 예를 들어, 타마놀 E-200NT, E100 (아라카와 화학 공업 (주)) 등을 들 수 있다.
염소화파라핀으로는, 예를 들어, 엔파라 (등록상표) 70, 50, AR-500 (아지노모토 파인 테크노 (주)), 토요파락스 (등록상표) 250, 265, 270, 150, A50 (토소 (주))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분산액이 다른 수지 또는 고무를 포함하는 경우, 그 양은, 염소화 고무 및 중합성기를 갖는 화합물의 합계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1 중량부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100 중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중량부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중량부 이하,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중량부 이하이다.
<증점제>
증점제는, 분산액의 점성 조정을 위해서 사용할 수 있다. 증점제로는, 예를 들어, 아데카놀 (등록상표) UH-140 S, UH-420, UH-438, UH-450VF, UH-462, UH-472, UH-526, UH-530, UH-540, UH-541VF, UH-550, UH-752 및 H-756VF ((주) ADEKA), 그리고 SN 시크너 920, 922, 924, 926, 929-S, A-801, A-806, A-812, A-813, A-818, 621N, 636, 601, 603, 612, 613, 615, 618, 621N, 630, 634, 636 및 4050 (산놉코 (주)) 등을 들 수 있다.
<분산액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분산액은,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하는 것과 같은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분산액의 제조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물, 염소화 고무 및 중합성기를 갖는 화합물, 및 필요에 따라 다른 성분 (특히, 계면 활성제 등) 을 혼합 및 교반하여, 예비 분산액을 조제한다. 이 예비 분산의 방법에 특별히 한정은 없고, 공지된 수단 및 장치를 사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공지된 장치로는, 예를 들어, 호모 믹서를 들 수 있다. 호모 믹서를 사용하는 경우, 그 교반 수는, 바람직하게는 5,000 ∼ 20,000 rpm, 보다 바람직하게는 8,000 ∼ 20,000 rpm 이고, 교반 시간은, 바람직하게는 2 ∼ 10 분, 보다 바람직하게는 3 ∼ 10 분이다. 실온인 혼합물을 사용하여, 교반을 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고압 호모게나이저를 사용하여, 얻어진 예비 분산액의 균질화 처리를 실시한다. 고압 호모게나이저의 압력은, 바람직하게는 40 ∼ 1,000 bar,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 800 bar 이다. 상기 압력이 40 bar 보다 작으면, 분산질의 미세 분산화가 불충분하게 되고, 반대로 상기 압력이 1,000 bar 를 초과해도, 분산질의 미세 분산화는 향상되지 않는다. 고압 호모게나이저에 의한 균질화 처리의 횟수는, 바람직하게는 2 ∼ 10 회, 보다 바람직하게는 3 ∼ 8 회이다. 상기 처리의 횟수가 2 회보다 적으면, 분산질의 미세 분산화가 불충분하게 되고, 반대로 상기 처리의 횟수가 10 회를 초과해도, 분산질의 미세 분산화는 향상되지 않는다. 호모 믹서에 의해 얻어진 예비 분산액을 실온까지 냉각시키고 나서, 고압 호모게나이저에 의한 균질화 처리를 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압 호모게나이저로는, 예를 들어, (주) 에스엠티 제조의 「LAB1000」, 「LAB2000」, 「15MR」, 「G-MODEL」, 「R-MODEL」 등을 들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하여 제조한 본 발명의 분산액에, 추가로 물을 첨가하고, 교반하여, 희석한 분산액을 제조해도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하여 제조한 본 발명의 분산액에, 추가로 다른 성분 (예를 들어, 레벨링제) 을 첨가하고, 교반하여, 다른 성분을 함유하는 분산액을 제조해도 된다.
<분산액의 사용>
본 발명의 분산액은,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수계 접착제, 프라이머 또는 그들의 원료로서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분산액으로부터 형성되는 도막, 및 상기 도막의 경화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 1 기재와, 상기 경화물과, 접착제층과, 제 2 기재가, 이 순서로 적층되어 있는 적층체를 제공한다. 제 1 기재는, 올레핀계 중합체 또는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적층체에 있어서, 접착제층과 제 2 기재 사이에, 추가로 상기 경화물이 존재하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분산액을 도포하는 피착체, 또는 본 발명의 도막 및 경화물을 적층시키는 피착체 (제 1 기재 및 제 2 기재를 포함한다) 의 재료로는, 예를 들어, 목재, 합판, 중밀도 섬유판 (MDF), 파티클 보드, 파이버 보드 등의 목질계 재료 ; 면포, 면 함유 섬유, 마포, 레이온 등의 셀룰로오스계 재료 ; (1) 에틸렌의 단독 중합체 및 공중합체, 프로필렌의 단독 중합체 및 공중합체 등의 올레핀계 중합체, (2) 스티렌의 단독 중합체 및 공중합체, (3) 폴리카보네이트, (4)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ABS 수지), (5) 폴리(메트)아크릴 수지, (6) 폴리에스테르, (7) 폴리에테르, (8) 폴리염화비닐, (9) 발포 또는 비발포의 폴리우레탄, (10) 발포 또는 미발포의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EVA), (11) 폴리아미드 6, 폴리아미드 66 등의 발포 또는 미발포의 폴리아미드계 수지 등의 플라스틱 재료 ; 고무 ; 폴리아미노산 ; 천연 피혁 ; 합성 피혁 ; 유리, 도자기 등의 세라믹 재료 ; 및 철, 스테인리스, 동, 알루미늄 등의 금속 재료 등을 들 수 있다. 피착체는, 1 종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되고, 2 종 이상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피착체는, 상기 플라스틱 재료와, 탤크, 실리카, 활성탄, 탄소 섬유 등의 충전제의 혼련 성형품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분산액은, 상기 피착체 중에서도, 셀룰로오스계 재료와 플라스틱 재료의 접착, 폴리염화비닐,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면 함유 섬유, 폴리아미드계 수지, 올레핀계 중합체, 폴리우레탄, 고무 또는 가교 고무, 및 합성 피혁 등의 접착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들 피착체의 형상으로는, 예를 들어, 필름, 시트 및 블록상 등을 들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필름 또는 시트의 형상의 피착체가 바람직하다.
올레핀계 중합체로는, 예를 들어, <다른 수지 또는 고무> 에서 설명한 탄소수 2 ∼ 20 의 α-올레핀 유래의 구조 단위를 갖는 수지 및 변성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플라스틱 재료로는, 예를 들어, <다른 수지 또는 고무> 에서 설명한 것을 들 수 있다.
면 함유 섬유는, 면 100 % 의 섬유여도 되고, 면과, 다른 천연 섬유 및/또는 화학 섬유의 혼방 섬유여도 된다. 다른 천연 섬유로는, 예를 들어, 양모, 비단 및 마 등을 들 수 있다. 화학 섬유로는, 예를 들어, 합성 섬유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계 섬유, 폴리아미드계 섬유), 반합성 섬유 (예를 들어, 아세테이트 등의 셀룰로오스계 섬유, 프로믹스 등의 단백질계 섬유), 재생 섬유 (예를 들어, 레이온, 큐프라, 폴리노직 등의 셀룰로오스계 섬유) 및 무기 섬유 (예를 들어, 탄소 섬유, 유리 섬유) 등을 들 수 있다. 면 함유 섬유의 형상으로는, 예를 들어, 직물, 편물, 부직포, 메리야스, 펠트, 필름 또는 블록상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아미드계 수지로는, 예를 들어, 폴리아미드 6, 폴리아미드 6,6, 폴리아미드 4,6, 폴리아미드 11 및 폴리아미드 12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아미드계 수지의 형상은, 필름, 블록, 섬유 또는 발포체상 등의 어느 것이어도 된다.
고무 또는 가교 고무로는, 예를 들어, 열 가소성 고무 ; 천연 고무, 이소프렌 고무, 부타디엔 고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이소프렌 고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 클로로프렌 고무 등의 디엔계 고무 ; 부틸 고무,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고무, 실리콘 고무, 불소 고무 등의 비디엔계 고무 ; 및 이들의 가교물을 들 수 있다. 고무는 또는 가교 고무는, 각각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또한 2 종 이상 병용해도 된다. 필요에 따라, 클레이, 카본 블랙 또는 실리카 등의 보강제, 실란 커플링제, 노화 방지제, 연화제, 아연화, 스테아르산, 가류 촉진제, 가류제, 황 등을 병용해도 된다.
합성 피혁이란, 협의의 합성 피혁과 인공 피혁의 쌍방을 포함한다. 요컨대, 합성 피혁은, 천연 또는 합성의 천 등에 합성 수지를 도포하여 얻어지는 합성 피혁이어도 되고, 마이크로 파이버 등의 천 (통상적으로, 부직포) 에 합성 수지를 함침시켜 얻어지는 인공 피혁이어도 되고, 마이크로 파이버 등의 천 (통상적으로, 부직포) 에 합성 수지를 함침시키고, 추가로 합성 수지를 도포하여 얻어지는 인공 피혁이어도 된다. 이들 합성 수지로는,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및 폴리아미노산계 수지 등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폴리우레탄계 수지이다.
본 발명의 분산액은, 필름, 시트, 구조 재료, 건축 재료, 자동차 부품, 전기·전자 제품, 포장 재료, 의료 및 신발 등의 피착체의 접착에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분산액은, 스포츠 슈즈, 타운 슈즈, 비즈니스 슈즈 등의 신사화, 부인화, 및 공업용의 작업화 등의 신발에 있어서의, 갑피, 중저, 외저 등의 구성 재료 (피착체) 를 접착하기 위한 접착제, 프라이머 또는 그들의 원료로서 바람직하다. 이들 피착체의 표면은, 평활해도 되고, 요철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또한, 접착성을 높이기 위해서, 피착체에 표면 처리를 실시해도 된다. 표면 처리로는, 예를 들어, 프라이머 처리, 블라스트 처리, 약품 처리, 탈지, 화염 처리, 산화 처리, 증기 처리, 코로나 방전 처리, 자외선 조사 처리, 플라즈마 처리, 이온 처리, 앵커층의 형성 등을 들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서술한 본 발명의 적층체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제 1 기재, 임의로 제 2 기재의 표면에 분산액을 도포한다. 도포는, 공지된 방법으로 실시하면 된다. 공지된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그라비아 롤 코팅, 리버스 롤 코팅, 바 코팅, 와이어 바 코팅, 립 코팅, 에어 나이프 코팅, 커튼 플로우 코팅, 스프레이 코팅, 침지 코팅, 솔칠 및 주걱칠 등을 들 수 있다.
분산액의 도포 및 건조는, 각각 1 회만 실시해도 되고, 2 회 이상 실시해도 된다. 도포 및 건조의 방법은, 각각 동일한 방법을 조합해도 되고, 상이한 방법을 조합해도 된다.
제 1 기재에 분산액을 도포한 후, 도막의 건조 또는 가열 처리를 실시해도 되고, 또한, 그 후에 전자파를 조사해도 된다. 가열 온도는, 예를 들어 30 ∼ 150 ℃ 정도, 바람직하게는 40 ∼ 80 ℃ 정도이다. 가열 시간은, 예를 들어 1 초 ∼ 1 시간 정도, 바람직하게는 5 초 ∼ 30 분간 정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5 초 ∼ 10 분간 정도이다. 도막의 건조 또는 가열 처리의 전후에, 추가로 도막의 방치 (자연 건조) 를 실시해도 된다. 분산액으로부터 형성된 도막에 전자선 (특히, 자외선) 을 조사하여, 도막의 경화물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막에 전자파를 조사하는 경우, 그것을 위한 광원으로는, 예를 들어, 메탈 할라이드 램프, 고압 수은등, 초고압 수은등, 저압 수은등, 크세논 램프, 아크 램프, 레이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메탈 할라이드 램프, 고압 수은등, 초고압 수은등, 저압 수은등이 바람직하다. 전자선 조사의 피크 조도는, 바람직하게는 5 ∼ 2000 ㎽/㎠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2000 ㎽/㎠ 이다. 적산 조사량은, 바람직하게는 20 ∼ 3000 mJ/㎠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 2500 mJ/㎠ 이다.
분산액을 피착체에 도포하기 전에, 제 1 기재에 표면 처리를 실시해도 된다. 표면 처리로는, 예를 들어, 프라이머 처리, 블라스트 처리, 약품 처리, 탈지 처리, 화염 처리, 산화 처리, 증기 처리, 코로나 방전 처리, 자외선 조사 처리, 플라즈마 처리, 이온 처리 및 앵커층의 형성 등을 들 수 있다.
건조 후의 도막에서는, 분산액에 함유되어 있던 물의 95 중량% 이상이 제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도막 중의 수분을 저감시킴으로써, 도막 및 그것으로부터 얻어지는 경화물의 접착성을 확보할 수 있다.
건조 후의 도막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01 ∼ 300 ㎛ 정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 200 ㎛ 정도,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 ∼ 50 ㎛ 정도이다.
이어서, 분산액을 도포한 제 1 기재 및 제 2 기재의 적어도 일방에 액상의 접착제를 도포하고, 건조 또는 가열 처리한다. 이들 도포 및 건조 또는 가열 처리는, 제 1 기재 및 제 2 기재의 적어도 일방에만 1 회 실시하면 되지만, 쌍방에, 1 회 이상의 접착제의 도포 및 가열 건조를 실시해도 된다. 접착제의 도포 방법, 건조 후의 도막의 두께, 건조 또는 가열 처리의 방법, 온도 및 시간 등의 조건 등은,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서술한 분산액의 도포 등과 동일한 조건을 선택해도 되고, 상이한 조건을 선택해도 된다.
제 1 기재 및 제 2 기재의 쌍방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경우, 제 1 기재 및 제 2 기재에 대하여 동일한 접착제를 도포해도 되고, 상이한 접착제를 도포해도 된다. 제 1 기재 및 제 2 기재를 양호하게 접착시키기 위해서는, 동일한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제는, 상기에서 사용한 분산액이어도 되고, 시판되는 접착제여도 된다.
접착제층의 두께는, 사용하는 접착제의 조성, 기재의 재료 및 형태 등에 따라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 접착제층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01 ∼ 300 ㎛ 정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 200 ㎛ 정도이다.
액상의 접착제를 피착체 (제 1 기재 및/또는 제 2 기재) 에 도포하기 전에, 피착체에 상기 서술한 표면 처리를 실시해도 된다.
분산액 및/또는 접착제가 도포된, 제 1 기재 및 제 2 기재를 첩합하는 방법으로는, 특별히 한정은 없고, 이들을 기계적 조작 또는 수동으로 첩합하면 된다. 첩합시, 열, 압력 또는 그 쌍방을 가해도 된다. 가열하는 경우에는, 제 1 기재 및 제 2 기재 그리고 접착제층이 변질되지 않는 온도 범위에서 가열로 할 필요가 있고, 가열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120 ℃ 정도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 정도 이하이다. 가열은, 통상적인 열풍 순환형의 오븐, 적외선 히터, 전자 렌지 등을 사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가압하는 경우, 그 압력은, 예를 들어 100 g/㎠ 정도 이상, 또한 제 1 기재 및 제 2 기재의 형상이 변형되는 압력 미만이다. 가열 및/또는 가압하는 경우, 그 시간은, 예를 들어, 1 초 ∼ 10 일간 정도이다.
제 1 기재 및 제 2 기재로는, 예를 들어, 상기 서술한 피착체와 동일한 것을 들 수 있다. 제 1 기재는, 바람직하게는 올레핀계 중합체 또는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기재이다. 제 2 기재는, 바람직하게는, 폴리염화비닐, 합성 피혁, 고무, 면 함유 섬유 및 폴리올레핀계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기재이다.
접착제층은, 예를 들어, 액상의 폴리우레탄 접착제, 액상의 고무계 접착제, 액상의 아크릴 접착제, 또는 액상의 에폭시 접착제 등을 도포하고, 물이나 유기 용제 등을 제거함으로써 얻어진다.
액상의 폴리우레탄 접착제로는, 예를 들어, 상기 서술한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 폴리우레탄 등을 들 수 있다.
액상의 고무계 접착제로는, 예를 들어, 천연 고무, 클로로프렌 고무,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 고무 (SBR), 이소부틸렌 고무, 부틸 고무,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 고무 (SIS),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 고무 (SBS), 부타디엔-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 고무 (NBR), 부타디엔 고무 (BR) 등의 고무 성분을 포함하는 액상의 접착제를 들 수 있다. 고무 성분은, 1 종만을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또한, 이들 고무 성분에 더하여, 로진 수지, 테르펜 수지, 석유 수지 등의 접착 부여 수지를 고무계 접착제에 첨가해도 된다.
액상의 아크릴 접착제로는, 예를 들어, 점착 성분으로서 아크릴산에스테르 및/또는 메타크릴산에스테르와, 관능기 함유 모노머와, 응집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 모노머의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액상의 접착제를 들 수 있다. 액상의 아크릴계 접착제에는, 이소시아네이트 가교제, 킬레이트 가교제, 에폭시 가교제 등을 첨가해도 된다.
아크릴산에스테르로는, 아크릴산메틸, 아크릴산에틸, 아크릴산이소프로필, 아크릴산n-부틸, 아크릴산이소부틸, 아크릴산n-아밀, 아크릴산이소아밀, 아크릴산n-헥실, 아크릴산2-에틸헥실, 아크릴산n-옥틸, 아크릴산n-라우릴 등을 바람직하게 예시할 수 있다. 메타크릴산에스테르로는, 메타크릴산메틸, 메타크릴산에틸, 메타크릴산이소프로필, 메타크릴산n-부틸, 메타크릴산이소부틸, 메타크릴산n-아밀, 메타크릴산이소아밀, 메타크릴산n-헥실, 메타크릴산2-에틸헥실, 메타크릴산n-옥틸, 메타크릴산n-라우릴 등을 바람직하게 예시할 수 있다.
아크릴산에스테르 및/또는 메타크릴산에스테르와 공중합 가능한 관능기 함유 모노머로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크로톤산, 이타콘산, 말레산, 푸마르산 등의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 ; 아크릴산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산하이드록시프로필, 메타크릴산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산하이드록시프로필 등의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의 하이드록시알킬에스테르 ; 아크릴아미드, 메타크릴아미드, 디아세톤(메트)아크릴아미드, N-메틸올아크릴아미드, N-메틸올메타크릴아미드, N-부톡시메틸아크릴아미드, N-부톡시메타크릴아미드 등의 N-치환 또는 미치환 아크릴아미드 ; 메타크릴산글리시딜, 메타크릴산글리시딜 등의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의 글리시딜에스테르 ; 아크릴로니트릴 등을 바람직하게 예시할 수 있다.
액상의 에폭시 접착제로는, 예를 들어, 평균하여 1 분자 당 1 이상의 에폭시기를 갖는 에폭시 수지를 포함하는 액상의 접착제를 들 수 있다. 에폭시 수지로는, 비스페놀 A 와 에피클로르히드린으로부터 얻어지는 에폭시 수지, 비스페놀 F 와 에피클로르히드린 또는 수소화비스페놀 A 와 에피클로르히드린으로부터 얻어지는 폴리글리시딜에테르 등이 예시된다. 이 외에, 옥사졸리돈 변성 에폭시 수지,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다관능 페놀형 에폭시 수지, 각종 할로겐화에폭시 수지, 글리시딜에스테르형 에폭시 수지, 폴리글리콜형 에폭시 수지, 고리형 지방족 에폭시 수지 등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에폭시 수지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액상의 폴리우레탄 접착제, 액상의 고무계 접착제, 액상의 아크릴 접착제 및 액상의 에폭시 접착제는, 용액, 분산액 또는 유탁액의 형태의 접착제여도 되고, 용융 상태로 사용되는 핫 멜트 접착제여도 된다.
접착제층을 구성하는 접착제는, 상기 서술한 성분과는 상이한 다른 성분 (예를 들어, 수지) 을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접착제가 함유하고 있어도 되는 수지로는, 예를 들어, 올레핀계 수지, 폴리염화비닐 (PVC), 폴리염화비닐리덴, 폴리스티렌 (PS), 폴리아세트산비닐 (PVAc),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PTFE),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ABS 수지), AS 수지, 상기 수지의 변성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또한, 접착제가 함유하고 있어도 되는 수지로는, 예를 들어, 점착 부여 수지를 들 수 있다. 점착 부여 수지로는, 예를 들어, 로진류, 테르펜계 수지, 탄소수 5 의 석유 유분을 중합한 석유계 수지 및 이 수소 첨가 수지, 탄소수 9 의 석유 유분을 중합한 석유계 수지 및 이 수소 첨가 수지, 그 밖의 석유계 수지, 쿠마론 수지 그리고 인덴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접착제가 함유하고 있어도 되는 다른 성분으로는, 예를 들어, 계면 활성제, 광 중합 개시제, 광 안정제, 자외선 경화성 올리고머, 형광 증백제, 레벨링제, 염기성 화합물, 유기 용제, 가교제, 광 증감제, 페놀계 안정제, 포스파이트계 안정제, 아민계 안정제, 아미드계 안정제, 노화 방지제, 내후 안정제, 침강 방지제, 산화 방지제, 열 안정제, 요변제, 증점제, 소포제, 점도 조정제, 내후제, 안료 분산제, 대전 방지제, 활제, 핵제, 난연제, 유제, 염료, 경화제 ; 산화티탄 (루틸형) 및 산화아연 등의 천이 금속 화합물 ; 카본 블랙 등의 안료 ; 유리 섬유, 탄소 섬유, 티탄산칼륨 섬유, 월라스토나이트, 탄산칼슘, 황산칼슘, 탤크, 유리 플레이크, 황산바륨, 클레이, 카올린, 미세 분말 실리카, 마이카, 규산칼슘,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산화알루미늄, 산화마그네슘, 및 셀라이트 등의 무기 또는 유기의 충전제 ; 등을 들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 등을 들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 등에 의해 제한을 받는 것이 아니고, 상기·하기의 취지에 적합할 수 있는 범위에서 적당하게 변경을 가하여 실시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고, 그것들은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이하에 기재된 「부」, 「%」 및 「ppm」 은,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각각 「중량부」, 「중량%」 및 「중량ppm」 을 의미한다.
염소화 고무의 염소 원자 함유량은, 플라스크 연소-이온 크로마토 그래프법에 의해 측정한 값이다.
하기 표에 기재된 분산질의 메디안 직경 (체적 기준) 은, HORIBA 제작소 제조, 레이저 회절 입자경 측정 장치 LA-950V2 로 측정한 값이다.
후방 산란 광 강도의 측정 시료를 조제하기 위한 자전 공전 교반기로서, 싱키사 제조 「자전·공전 믹서 아와토리 렌타로 ARE-310」 을 사용하였다.
측정 시료의 후방 산란 광 강도를 측정하는 장치로서, Formulation 사 제조 「타비스캔 TOWER」 를 사용하였다.
상기 자전 공전 교반기를 사용하여, 후술하는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분산액으로부터 측정 시료를 조제하고, 시료 조제로부터 10 분 이내에 측정을 개시하고, 시료 셀 중의 측정 시료의 상부, 중간부 및 저부의 각각에 있어서의, 측정을 개시하고 나서 30 분 후에 측정한 후방 산란 광 강도 (%) 에 대한, 측정을 개시하고 나서 24 시간 후에 측정한 후방 산란 광 강도 (%) 의 변화량의 절대치에 있어서의 최대치 α 를 산출하고,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결과를 하기 표에 나타낸다.
○ : 상기 식 (I) ∼ (III) 의 요건을 모두 만족한다.
× : 상기 식 (I) ∼ (III) 의 요건의 어느 것 또는 모두를 만족하지 않는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한 염소화 고무, 중합성기를 갖는 화합물, 광 중합 개시제, 계면 활성제, 및 레벨링제는 이하와 같다.
염소화 고무 1 : 페르구트 S20 (코베스트로사, 염소 원자 함유량 : 64.5 % 이상, 융점 : 250 ℃, 폴리스티렌 환산의 중량 평균 분자량 (Mw) : 75,000, 카르복시기 및 카르복실산 무수물 구조를 갖지 않는 염소화 고무)
중합성기를 갖는 화합물 1 : 도데실메타크릴레이트 (970 ppm 의 4-메톡시페놀을 함유, 도쿄 화성 공업사)
중합성기를 갖는 화합물 2 : 1,6-헥산디올디메타크릴레이트 (60 ppm 의 4-메톡시페놀을 함유, 도쿄 화성 공업사)
중합성기를 갖는 화합물 3 : 2-페녹시에틸렌글리콜메타크릴레이트 (100 ppm 의 4-메톡시페놀을 함유, 신나카무라 화학사)
중합성기를 갖는 화합물 4 : 트리시클로데칸디메탄올디아크릴레이트 (800 ppm 의 4-메톡시페놀을 함유, 신나카무라 화학사)
중합성기를 갖는 화합물 5 : 트리시클로데칸디메탄올디메타크릴레이트 (300 ppm 의 4-메톡시페놀 함유, 신나카무라 화학사)
광 중합 개시제 1 : 2-하이드록시-2-메틸프로피오페논 (도쿄 화성 공업사)
계면 활성제 1 : 아쿠아론 KH-10 (다이이치 공업 제약 (주))
계면 활성제 2 : 에말겐 109P (카오 (주))
염기성 화합물 1 : 2-(디메틸아미노)에탄올 (도쿄 화성 공업사)
형광 증백제 1 : Nikkafluor OB ((주) 닛폰 화학 공업소)
레벨링제 1 : BYK-349 (빅케미·재팬사)
<제조예 1 : 분산액 E1 의 제조>
교반기, 온도계, 및 환류 냉각관을 구비한 세퍼러블 플라스크 반응 용기에, 염소화 고무 1 (15 부), 중합성기를 갖는 화합물 1 (30 부), 중합성기를 갖는 화합물 2 (45 부), 및 중합성기를 갖는 화합물 3 (10 부), 광 중합 개시제 1 (1 부) 을 주입하고, 60 ℃ 에서 교반하여, 용액 (이하 「용액 1」 이라고 기재한다) 을 조제하고, 용액 1 을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계면 활성제 1 (5 부) 을 이온 교환수 (300 부) 에 넣고, 60 ℃ 에서 교반하여, 계면 활성제 1 의 수용액 (이하 「용액 2」 라고 기재한다) 을 조제하였다.
실온에서, 용액 1 에, 용액 2 를 첨가하고, 교반하여, 혼합물을 조제하였다. 이어서, 실온에서, 호모 믹서 MARKII 를 장착한 TK 로보믹스 ((주) PRIMIX 제조) 를 사용하여, 얻어진 혼합물을 16,000 rpm 으로 5 분간 교반하여, 유백색의 유탁액을 얻었다. 분산액을 실온까지 냉각시키고 나서, 800 bar 로 (주) 에스엠티 제조의 고압 호모게나이저 「LAB1000」 을 사용하여, 균질화 처리를 4 회 실시하고, 얻어진 유탁액을 200 메시 나일론망으로 여과하여, 유탁액인 분산액 E1 을 얻었다. 얻어진 분산액 E1 의 불휘발분 농도는 25 % 였다.
<제조예 2 ∼ 7 : 분산액 E2 ∼ E7 의 제조>
표 1 에 나타내는 양의 염소화 고무, 중합성기를 갖는 화합물, 광 중합 개시제, 계면 활성제, 및 이온 교환수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유탁액인 분산액 E2 ∼ E7 을 얻었다. 또한, 제조예 6 에서는, 표 1 에 나타내는 양의 형광 증백제를 첨가한 용액을 사용하여 분산액 E6 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7 에서는, 광 중합 개시제를 사용하지 않고, 분산액 E7 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8 ∼ 12 : 분산액 E8 ∼ E12 의 제조>
표 1 에 나타내는 염소화 고무, 중합성기를 갖는 화합물, 광 중합 개시제, 계면 활성제, 및 이온 교환수의 양, 호모 믹서에 의한 교반 시간, 고압 호모게나이저에 의한 균질화 처리의 횟수 이외에는 제조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유탁액인 분산액 E8 ∼ E12 를 얻었다. 또한, 제조예 12 에서는, 표 1 에 나타내는 양의 염기성 화합물을 첨가한 용액을 사용하여 분산액 E12 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1 ∼ 12 에서 제조한 분산액의 종류 ; 사용한 성분의 종류 및 양 (부) ; 얻어진 분산액 중의 염소화 고무 및 중합성기를 갖는 화합물의 합계량 (%), 염소화 고무의 양 (%), 중합성기를 갖고, 또한 고리형 구조를 갖지 않는 화합물의 양 (%), 그리고 중합성기 및 고리형 구조를 갖는 화합물의 양 (%) (모두, 염소화 고무, 중합성기를 갖는 화합물 및 물의 합계에 대한 값이다) ; 호모 믹서에 의한 교반 시간 (분) ; 고압 호모게나이저에 의한 처리 횟수 ; 그리고 분산질의 메디안 직경 (㎛) 의 평가 결과를, 하기 표 1 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실시예 1 ∼ 7 및 비교예 1 ∼ 5 : 수계 접착제 F1 ∼ F12 의 제조>
표 2 에 나타내는 양의, 분산액 E1 ∼ E12 의 어느 것, 레벨링제 1 (BYK (등록상표)-349, 빅케미·재팬사), 및 이온 교환수를 혼합하고, 쓰리 원 모터로 교반하여, 유탁액인 수계 접착제 F1 ∼ F12 를 얻었다.
또한, 실시예 1 ∼ 7 및 비교예 1 ∼ 5 이후에는, 레벨링제를 추가로 함유하고, 접착제로서 바람직한 분산액을 「수계 접착제」 라고 기재한다.
실시예 1 ∼ 7 및 비교예 1 ∼ 5 에서 제조한 수계 접착제의 종류 ; 사용한 분산액의 종류 및 양 (부) ; 사용한 레벨링제 1 및 이온 교환수의 양 (부) ; 얻어진 수계 접착제 중의 염소화 고무 및 중합성기를 갖는 화합물의 합계량 (%), 염소화 고무의 양 (%), 중합성기를 갖고, 또한 고리형 구조를 갖지 않는 화합물의 양 (%), 그리고 중합성기 및 고리형 구조를 갖는 화합물의 양 (%) (모두, 염소화 고무, 중합성기를 갖는 화합물 및 물의 합계에 대한 값이다) ; 분산질의 메디안 직경 (㎛) ; 그리고 후방 산란 광 강도의 변화량의 평가 결과를, 하기 표 2 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2
<제조예 13 : 액상의 접착제 1 의 제조>
폴리우레탄 에멀션 (디스퍼콜 (등록상표) U-54, 스미카 코베스트로 우레탄 (주)), 이소시아네이트 (데스모쥬르 (등록상표) N3300, 스미카 코베스트로 우레탄 (주)), 및 레벨링제 1 을, 폴리우레탄 에멀션 : 이소시아네이트 : 레벨링제 1 의 불휘발분의 비가 100 부 : 5 부 : 1 부가 되도록 혼합하여, 유탁액인 접착제 1 을 얻었다.
<실시예 8 : 적층체 1 의 제조>
수계 접착제 F1 을, 송풍 정온 항온기로 50 ℃ 에서 7 일간 방치한 후에, 브러쉬를 사용하여, 제 1 기재인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EVA) 의 발포체에 도포 (건조 후의 도막의 단위 면적 당의 중량 : 약 3 g/㎡) 하고, 70 ℃ 에서 5 분간 건조시키고, 컨베이어식 UV 조사 장치 (아이그래픽스 주식회사 제조, 아이그란데이지 ECS-4011GX) 로 자외선을 조사하여, EVA 와 경화물의 적층체를 얻었다 (램프 : 고압 수은 램프, 램프 출력 : 3 ㎾, 램프 높이 : 110 ㎜, 컨베이어 스피드 : 276 m/min, 피크 조도 : 250 ㎽/㎠, 적산 조사량 : 700 mJ/㎠ (자외선 적산 광량계 UVICURE PLUS II, UV-A 측정치, FusionUV Systems Japan K.K.).
계속해서, 제 2 기재인 면 범포 (죠호쿠 공업사) 에 접착제 1 을, 솔을 사용하여 도포하고 (건조 후의 도막의 단위 면적 당의 중량 : 약 50 g/㎡), 70 ℃ 에서 5 분간 오븐 건조시켜, 면 범포와 접착제층의 적층체를 얻었다.
상기와 같이 하여 얻어진 EVA 와 경화물의 적층체의 경화물측의 표면, 및 면범포와 접착제층의 적층체의 접착제층측의 표면에, 각각 접착제 1 을, 브러쉬를 사용하여 도포하고 (건조 후의 도막의 단위 면적 당의 중량 : 약 50 g/㎡), 70 ℃ 에서 5 분간 오븐 건조시켰다. 그 후, 얻어진 EVA 와 경화물과 접착제층의 적층체 및 면 범포와 접착제층의 적층체의, 접착제층끼리를 첩합하여, 손으로 압착하고, 추가로 프레스로 3 ㎫ 로 20 초간 압착하여, EVA (제 1 기재) 와 경화물과 접착제층과 면 범포 (제 2 기재) 의 적층체인 적층체 1 을 얻었다.
<실시예 9 ∼ 14 및 비교예 6 ∼ 10 : 적층체 2 ∼ 12 의 제조>
수계 접착제 F1 을, 수계 접착제 F2 ∼ F12 의 어느 것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8 과 동일하게 하여, EVA (제 1 기재) 와 경화물과 접착제층과 면 범포 (제 2 기재) 의 적층체인 적층체 2 ∼ 12 를 얻었다.
또한, 상기 실시예 8 ∼ 14 및 비교예 6 ∼ 10 에서는, 실시예 1 ∼ 7 및 비교예 1 ∼ 5 에서 얻어진 수계 접착제 F1 ∼ F12 의 장기 보존 후의 접착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50 ℃ 에서 7 일간 보존한 수계 접착제 F1 ∼ F12 를 사용하여, 적층체 1 ∼ 12 를 제조하였다. 또한, 50 ℃ 에서 7 일간 보존한 수계 접착제의 접착성은, 실온에서 수개월 보존한 수계 접착제의 접착성에 대응한다고 생각할 수 있다.
<시험예 1 : 초기 접착성의 평가>
적층체를, 그 제조 후에 실온에서 5 분간 방치하고 나서, 박리 속도 50 ㎜/분, 박리 각도 180 도 및 실온의 조건하에서 인장 시험기 (시마즈 제작소사 제조, 오토 그래프) 를 사용하여, 적층체에 있어서의 EVA (제 1 기재) 와 면 범포 (제 2 기재) 의 박리 강도를 측정하고, 이하의 기준으로 초기 접착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
○ : 박리 강도가 45 N/inch 이상
× : 박리 강도가 45 N/inch 미만
<시험예 2 : 최종 접착성의 평가>
적층체를, 그 제조 후에 실온에서 24 시간 방치하고 나서, 박리 속도 50 ㎜/분, 박리 각도 180 도 및 실온의 조건하에서 인장 시험기 (시마즈 제작소사 제조, 오토 그래프) 를 사용하여, 적층체에 있어서의 EVA (제 1 기재) 와 면 범포 (제 2 기재) 의 박리 강도를 측정하고, 이하의 기준으로 최종 접착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
○ : 박리 강도가 90 N/inch 이상 또는 재료 파괴
× : 박리 강도가 90 N/inch 미만
실시예 8 ∼ 14 및 비교예 6 ∼ 10 에서 제조한 적층체의 종류 ; 사용한 수계 접착제의 종류 및 그 후방 산란 광 강도의 변화량의 평가 결과 ; 그리고 초기 접착성 및 최종 접착성의 평가 결과를, 하기 표 3 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3
본 발명의 후방 산란 광 강도의 변화량의 요건을 만족하는 수계 접착제 F1 ∼ F7 을 사용하여 제조한 적층체 1 ∼ 7 은, 본 발명의 후방 산란 광 강도의 변화량의 요건을 만족하지 않는 수계 접착제 F8 ∼ F12 를 사용하여 제조한 적층체 8 ∼ 12 에 비하여, 초기 접착성 및 최종 접착성이 양호하였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분산액은, 수계 접착제, 프라이머 또는 그들의 원료 등으로서 유용하다.
본원은, 일본에서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2016-212088호를 기초로 하고 있고, 그 내용은 본원 명세서에 모두 포함된다.

Claims (18)

  1. 분산매로서 물을 포함하고, 분산질로서 염소화 고무 및 중합성기를 갖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분산액으로서,
    염소화 고무 및 중합성기를 갖는 화합물의 합계량이, 염소화 고무, 중합성기를 갖는 화합물 및 물의 합계 중에 1 ∼ 60 중량% 이고,
    30 ㎖ 의 분산액을 100 ㎖ 용기에 붓고, 자전 공전 교반기를 사용하여, 자전 속도 800 rpm 및 공전 속도 2,000 rpm 의 조건으로 1 분간 교반하여 측정 시료를 조제하고, 20 ㎖ 의 측정 시료를 직경 25 ㎜ 의 실린더상의 시료 셀에 붓고, 시료 셀 중의 측정 시료에 파장이 880 ㎚ 인 입사 광을 조사하고, 입사 광에 대하여 45°의 위치에서 측정 시료로부터의 후방 산란 광을 검출하는 것에 의한 후방 산란 광 강도 (%) 의 측정을, 측정 시료의 조제로부터 10 분 이내에 개시하고, 시료 셀 중의 측정 시료의 상부, 중간부 및 저부의 각각에 있어서의, 측정을 개시하고 나서 30 분 후에 측정한 후방 산란 광 강도 (%) 에 대한, 측정을 개시하고 나서 24 시간 후에 측정한 후방 산란 광 강도 (%) 의 변화량의 절대치에 있어서의 최대치 α (%) 가, 하기 식 (I) ∼ (III) :
    α (상부) < 20 (I)
    α (중간부) < 5 (II)
    α (저부) < 10 (III)
    [식 중, α (상부) 는, 측정 시료의 상부에 있어서의 상기 최대치 α (%) 를 나타내고, α (중간부) 는, 측정 시료의 중간부에 있어서의 상기 최대치 α (%) 를 나타내고, α (저부) 는, 측정 시료의 저부에 있어서의 상기 최대치 α (%) 를 나타내고, 측정 시료의 상부, 중간부 및 저부는, 각각, 메니스커스의 부분을 제외한 시료 셀 중의 측정 시료의 높이를 위로부터 1/3 씩 분할한 측정 시료의 부분을 나타낸다.]
    의 요건을 만족하는 분산액.
  2. 제 1 항에 있어서,
    염소화 고무 중의 염소 원자 함유량이, 45 중량% 이상인 분산액.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염소화 고무의 양이, 염소화 고무 및 중합성기를 갖는 화합물의 합계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 30 중량부인 분산액.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염소화 고무의 적어도 일부가, 액상의 분산질 중에 용해되어 있는 분산액.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합성기를 갖는 화합물의 적어도 일부가, 23 ℃ 및 대기압하에서 액상인 분산액.
  6. 제 5 항에 있어서,
    염소화 고무의 적어도 일부가, 23 ℃ 및 대기압하에서 액상인 중합성기를 갖는 화합물 중에 용해되어 있는 분산액.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분산질이, 액상인 분산액.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합성기를 갖는 화합물이,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화합물인 분산액.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가로 계면 활성제를 포함하는 분산액.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가로 광 중합 개시제를 포함하는 분산액.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가로 형광 증백제를 포함하는 분산액.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가로 레벨링제를 포함하는 분산액.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분산액 중의 분산질의 체적 기준의 메디안 직경이, 10 ㎛ 이하인 분산액.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염소화 고무가, 카르복시기 및 카르복실산 무수물 구조를 갖지 않는 염소화 고무인 분산액.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분산액으로부터 형성되는 도막.
  16. 제 15 항에 기재된 도막의 경화물.
  17. 제 1 기재와, 제 16 항에 기재된 경화물과, 접착제층과, 제 2 기재가, 이 순서로 적층되어 있는 적층체.
  18. 제 17 항에 있어서,
    제 1 기재가, 올레핀계 중합체 또는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적층체.
KR1020197011158A 2016-10-28 2017-10-26 분산액 KR1024127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212088 2016-10-28
JP2016212088A JP6910783B2 (ja) 2016-10-28 2016-10-28 分散液
PCT/JP2017/038601 WO2018079634A1 (ja) 2016-10-28 2017-10-26 分散液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7342A true KR20190077342A (ko) 2019-07-03
KR102412701B1 KR102412701B1 (ko) 2022-06-23

Family

ID=62025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1158A KR102412701B1 (ko) 2016-10-28 2017-10-26 분산액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910783B2 (ko)
KR (1) KR102412701B1 (ko)
CN (1) CN109843935B (ko)
TW (1) TWI771334B (ko)
WO (1) WO201807963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4773B1 (ko) * 2019-07-11 2020-08-14 (주)촌시스 기능성 핫멜트 점착제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른 기능성 핫멜트 점착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9188A (ja) * 1991-08-29 1993-03-09 Dainippon Ink & Chem Inc 塩素化ポリオレフイン樹脂水性分散液の製造方法
JP2007031473A (ja) 2005-07-22 2007-02-08 Toyo Kasei Kogyo Co Ltd 水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15194617A1 (ja) * 2014-06-20 2015-12-23 住友化学株式会社 水性エマルション並びに塗膜、硬化物及び積層体
WO2015194611A1 (ja) 2014-06-20 2015-12-23 住友化学株式会社 水性エマルション並びに塗膜、硬化物及び積層体
WO2015194612A1 (ja) * 2014-06-20 2015-12-23 住友化学株式会社 水性エマルション並びに塗膜、硬化物及び積層体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03828B2 (ja) * 1994-09-19 2003-05-06 株式会社日本触媒 水性複合樹脂分散液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7091997A (ja) * 2005-09-30 2007-04-12 Dainippon Ink & Chem Inc 一液型水性コーティング剤、その製造方法および塗装物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9188A (ja) * 1991-08-29 1993-03-09 Dainippon Ink & Chem Inc 塩素化ポリオレフイン樹脂水性分散液の製造方法
JP2007031473A (ja) 2005-07-22 2007-02-08 Toyo Kasei Kogyo Co Ltd 水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15194617A1 (ja) * 2014-06-20 2015-12-23 住友化学株式会社 水性エマルション並びに塗膜、硬化物及び積層体
WO2015194611A1 (ja) 2014-06-20 2015-12-23 住友化学株式会社 水性エマルション並びに塗膜、硬化物及び積層体
WO2015194612A1 (ja) * 2014-06-20 2015-12-23 住友化学株式会社 水性エマルション並びに塗膜、硬化物及び積層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8070768A (ja) 2018-05-10
WO2018079634A1 (ja) 2018-05-03
CN109843935A (zh) 2019-06-04
WO2018079634A8 (ja) 2019-05-02
KR102412701B1 (ko) 2022-06-23
TW201829497A (zh) 2018-08-16
TWI771334B (zh) 2022-07-21
JP6910783B2 (ja) 2021-07-28
CN109843935B (zh) 2021-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3804B1 (ko) 수성 에멀션 그리고 도막, 경화물 및 적층체
KR20170028310A (ko) 수성 에멀션 그리고 도막, 경화물 및 적층체
KR20170020775A (ko) 수성 에멀션 그리고 도막, 경화물 및 적층체
KR101432455B1 (ko) 단층막 및 이것으로 이루어지는 친수성 재료
TWI685420B (zh) 積層體、附有著色層之積層體、積層體的製造方法、附有著色層之積層體的製造方法、及墨水記錄方法
JP4887864B2 (ja) 化粧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4368124B2 (ja) 化粧シート
JP5959764B2 (ja) 親水性単層膜
KR102412701B1 (ko) 분산액
JP6923064B1 (ja) 積層体、及び波長カットフィルター
JP2020122166A (ja) 水性エマルション並びに塗膜、硬化物及び積層体
JP2005053012A (ja) 化粧シート
JP2023024632A (ja) 水性エマルション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2250493A (ja) インクセット、印刷物および成形体
JP2019155687A (ja) 化粧シートおよび化粧部材
WO2015093517A1 (ja) 水性エマルション
JP6011925B2 (ja) 熱転写箔およびそれを用いた加飾成形体
JP2015147874A (ja) 水性コーティング剤、ガラスのコーティング方法及びコーティングガラス
JP2023082516A (ja) 化粧シート及び化粧シートの製造方法
JP2010084248A (ja) クリーンルーム用壁紙
JP2022144456A (ja) 化粧シート及び化粧シートの製造方法
JP2003285411A (ja) 化粧シートの製造方法および化粧シート
JP2024004463A (ja) 加飾用転写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