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6841A - 리튬 금속 이차 전지용 액체 전해질 제제 및 그 액체 전해질 제제를 포함하는 리튬 금속 이차 전지 - Google Patents

리튬 금속 이차 전지용 액체 전해질 제제 및 그 액체 전해질 제제를 포함하는 리튬 금속 이차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6841A
KR20190076841A KR1020180132377A KR20180132377A KR20190076841A KR 20190076841 A KR20190076841 A KR 20190076841A KR 1020180132377 A KR1020180132377 A KR 1020180132377A KR 20180132377 A KR20180132377 A KR 20180132377A KR 20190076841 A KR20190076841 A KR 201900768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onic liquid
cation
secondary battery
anion
liquid electroly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2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1846B1 (ko
Inventor
요안 메탄
Original Assignee
벨레노스 클린 파워 홀딩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벨레노스 클린 파워 홀딩 아게 filed Critical 벨레노스 클린 파워 홀딩 아게
Publication of KR201900768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68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18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18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6Liquid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6Liquid materials
    • H01M10/0567Liqu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6Liquid materials
    • H01M10/0568Liqu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olu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6Liquid materials
    • H01M10/0569Liqu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olv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3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elements or alloys
    • H01M4/381Alkaline or alkaline earth metals elements
    • H01M4/382Lithiu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17Non-aqueous electrolytes
    • H01M2300/0025Organic electrolyte
    • H01M2300/0028Organic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solv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17Non-aqueous electrolytes
    • H01M2300/0025Organic electrolyte
    • H01M2300/0045Room temperature molten salt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튬 금속 이차 전지용 액체 전해질 제제에 관한 것이고, 그 리튬 금속 이차 전지용 액체 전해질 제제는:
- LiTFSI, LiFSI, LiCl, LiF, LiCN, LiC2N3, LiN3, LiNO2, LiNO3, LiBF4, LiPF6, LiAsF6, LiSbF6, LiAlCl4 를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전도성 리튬 염,
- 화학식 (CATION)FSI 를 갖는 제 1 이온성 액체로서, 여기서, CATION 은 알킬 피롤리디늄 및 알킬 피페리디늄을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상기 제 1 이온성 액체,
- 항부식제로서의 제 2 이온성 액체로서, 상기 제 2 이온성 액체는 화학식 (CATION)(ANION) 을 가지고, 여기서, (CATION) 은 상기와 같이 정의되고, (ANION) 은 적어도 하나의 니트릴 작용기를 포함하는 음이온인, 상기 제 2 이온성 액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액체 전해질 제제를 조제하기 위한 프로세스 및 상기 액체 전해질 제제를 포함하는 리튬 금속 이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리튬 금속 이차 전지용 액체 전해질 제제 및 그 액체 전해질 제제를 포함하는 리튬 금속 이차 전지{LIQUID ELECTROLYTE FORMULATION FOR LITHIUM METAL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 METAL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SAID LIQUID ELECTROLYTE FORMULATION}
본 발명은 리튬 금속 이차 전지 (lithium metal secondary battery) 용 액체 전해질 제제 (liquid electrolyte formulation) 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액체 전해질 제제를 조제 (prepare) 하기 위한 프로세스 및 상기 액체 전해질 제제를 포함하는 리튬 금속 이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용매-기반 전해질 제제들은 가역적 리튬 전착 (reversible lithium electrodeposition) 을 수행하기에 적합하지 않다. 리튬 용해가 부드럽게 진행되는 동안, 리튬 상의 리튬 금속의 디포지션 (deposition) 은 상당한 전해질 분해를 수반한다. 분해 생성물들은 리튬 상에 소위 고체 전해질 계면 (solid electrolyte interface; SEI) 을 형성한다. 분해는 매 사이클마다 발생하고, 이러한 시스템들의 낮은 쿨롬 효율 (coulombic efficiency) 에서 보여준다. 이러한 현상은 셀의 전해질 소모 및 "건조 (drying out)" 를 초래한다.
또한, 이러한 전해질들의 분해는 가스 방출을 수반하고, 이는 파우치 셀들 및 다른 압력 민감 설계들에서 셀 고장을 야기할 것이다.
더욱이, 리튬 디포지션은 불균일하게 발생하고, 수지상결정 (dendrites) 의 형성을 야기한다. 그 현상은 금속 전극들에 흔하고, 종종 이차 전지들에서의 그들의 사용을 방해한다. 수지상결정의 리튬 디포짓들 (deposits) 은 쪼개져서 데드 리튬 (dead lithium) 을 초래하거나, 또는, 세퍼레이터를 통해서 또는 세퍼레이터 주위에 성장하여 셀 단락을 초래한다.
높은 표면의 수지상결정의 디포짓들 및 유기 용매의 인화성 (낮은 발화점 및 높은 휘발성) 사이의 조합은 심각한 위험을 나타낸다. 임의의 셀 오작동은, 그것이 1980년대 말에 초기 상업적 제품들에서 발생하였듯이, 잠재적으로 화재 및 폭발을 일으킬 수 있을 것이다.
이온성 액체들은, 이온성 액체 전해질들을 본질적으로 보다 안전하게 하는 그들의 비-휘발성 (non-volatility) 및 비-인화성 (non-flammability) 때문에, 유기 용매들에 대한 대안으로서 이용되었다. 하지만, 리튬 금속 디포지션은 유기 용매들에서와 동일한 문제점들에 의해 골치를 앓는다.
이온성 액체들에 기초한 많은 수의 제제 (formulation) 는 충분한 쿨롬 효율을 보장하기 위해 리튬 금속에 대해 여전히 반응성이 있다. 높은 임피던스를 야기하는 SEI 는 작동 과정에서 계속적으로 성장하고 셀 고장을 초래한다.
또 다른 불리한 점은, 특히 리튬 염이 추가될 때, 혼합물들의 높은 점성이다. 이것은 대부분의 애플리케이션들이 필요로 하는 것보다 낮게 방전 용량비 (rate capability) 를 제한하는 낮은 전도성들 또는 낮은 리튬 활성도를 갖는 혼합물들을 초래한다.
일부 유형들의 이온성 액체들은 5.5V 대 Li+/Li 까지의 또는 그보다 더 높은, 넓은 전기화학적 윈도우 (electrochemical window) 를 보이지만, 90% 이상의 쿨롬 효율을 갖는 리튬 금속 디포지션을 허용하는 것들은 더 높은 전압에서 안정적이지 않다. 특히, 리튬에 의한 환원에 대해 안정적인 음이온들은 2.5 V 대 Li+/Li 만큼 낮게 포지티브 전류 컬렉터 (positive current collector) 를 분해 및/또는 부식시킨다.
상기한 점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가역적 리튬 용해-디포지션을 허용하는 이온성 액체들에 기초한 전해질 제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은 넓은 전기화학적 안정성 윈도우를 갖는 전해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은 98% 이상의 리튬 금속 사이클링 효율 (cycling efficiency) 을 허용하는 전해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은 상용 리튬 이온 전지 전해질들에 비해 높은 이온 전도성 (적어도 1 mS/cm 25℃) 을 갖는 전해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은 양호한 습윤 특성들 (wetting properties) 을 갖는 전해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은 가스들을 발생시키지 않고 분해하는 전해질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들 목적들 및 추가적인 이점들은,
- LiCl, LiF, LiTFSI, LiFSI, LiCN, LiC2N3, LiN3, LiNO2, LiNO3, LiBF4, LiPF6, LiAsF6, LiSbF6, LiAlCl4 를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전도성 리튬 염 (conductive lithium salt),
- 화학식 (CATION)FSI 를 갖는 제 1 이온성 액체 (ionic liquid) 로서, 여기서, CATION 은 알킬 피롤리디늄 (alkyl pyrollidinium) 및 알킬 피페리디늄 (alkyl piperidinium) 을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상기 제 1 이온성 액체,
- 항부식제 (anti-corrosion agent) 로서의 제 2 이온성 액체로서, 상기 제 2 이온성 액체는 화학식 (CATION)(ANION) 을 가지고, 여기서, (CATION) 은 상기와 같이 정의되고, (ANION) 은 적어도 하나의 니트릴 작용기 (nitrile functionality) 를 포함하는 음이온 (anion) 인, 상기 제 2 이온성 액체
를 포함하는, 리튬 금속 이차 전지용 액체 전해질 제제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액체 전해질 제제는 적어도 5V 대 Li+/Li 의 전기화학적 윈도우를 갖는 전지를 획득하도록 허용한다.
본 발명은 또한,
a) 제 1 이온성 액체에 상기 전도성 리튬 염을 용해하여 혼합물을 획득하는 단계
b) 50℃ 와 130℃ 사이에 포함되는 온도에서 단계 a) 의 혼합물을 가열하는 단계
c) 선택적으로 안정제 (stabilizer) 를 추가하는 단계
d) 50℃ 와 130℃ 사이에 포함되는 온도를 유지하면서 단계 b) 또는 단계 c) 의 혼합물에 제 2 이온성 액체를 추가하는 단계
e) 혼합물이 현탁 물질 (suspended matter) 이 완전히 없어질 때까지 50℃ 와 130℃ 사이에 포함되는 온도를 유지하면서 단계 d) 의 혼합물을 교반하는 단계
f) 단계 e) 의 혼합물을 실온 (25℃) 으로 냉각시키는 단계
의 단계들을 포함하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액체 전해질 제제를 조제하기 위한 프로세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액체 전해질 제제를 포함하는 리튬 금속 이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형태들은 종속 청구항들에서 정의되고 상세한 설명에서 설명된다.
본 발명은 그것의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대한 고려가 주어질 때 더 잘 이해될 것이고 상기 전개된 것들 외의 목적들이 분명해질 것이다. 이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한다.
도 1 : 예 1 의 스테인레스 강 2025 코인 셀에서 수행된 스테인레스 강 대 금속성 리튬에 대한 10 mV/s 의 사이클로볼타메트리.
도 2 : 예 2 의 스테인레스 강 2025 코인 셀에서 수행된 스테인레스 강에 대한 0.5 mA/cm2 및 0.1 mAh/cm2 의 정전류 리튬 디포지션-용해.
도 3 : 항부식제를 이용한 (연속선) 및 이용하지 않은 (점선) 스테인레스 강 대 금속성 리튬에 대한 10 mV/s 의 사이클로볼타메트리. 도면은 사이클들 2, 20, 50 및 100 을 보여준다. 측정은 스테인레스 강 2025 코인 셀에서 수행되었다.
도 4 : 2025 코인 셀에서의 100 사이클들에 걸쳐 측정된 음극 및 양극 용량들.
도 5 : 2 시간 2.5 mAh/cm2 디포지션을 위한 1.25 mA/cm2 의 전류 펄스들을 이용하여 예 4 의 스테인레스 강 2025 코인 셀에서 수행된 시간의 함수로서의 전위 대 Li/Li+.
도 6 : 예 5 의 스테인레스 강 2025 코인 셀에서 수행된, 0.5 mA/cm2 를 이용한 LiCoO2 의 정전류 사이클링.
도 7 : 예 6 의 스테인레스 강 2025 코인 셀에서 수행된, 0.2 mA/cm2 를 이용한 LiFePO4 의 정전류 사이클링.
도 8 : 예 7 의 스테인레스 강 2025 코인 셀에서 수행된, 0.5 mA/cm2 를 이용한 LixHyV3O8 의 정전류 사이클링.
도 9 : 예 8 의 0.4 mA/cm2 를 이용한 파우치 형식에서의 LFP-리튬 이차 전지의 충전-방전 곡선.
상기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 리튬 비스(플루오로술포닐)이미드 (LiFSI), LiTFSI, LiCl, LiF, LiCN, LiC2N3, LiN3, LiNO2, LiNO3, LiBF4, LiPF6, LiAsF6, LiSbF6, LiAlCl4 를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전도성 리튬 염,
- 화학식 (CATION)FSI 를 갖는 제 1 이온성 액체로서, 여기서, FSI 는 음이온 비스(플루오로술포닐)이미드이고, CATION 은 알킬 피롤리디늄 (PYR) 및 알킬 피페리디늄 (PIP) 을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상기 제 1 이온성 액체,
- 화학식 (CATION)(ANION) 을 갖는 제 2 이온성 액체로서, 여기서, (CATION) 은 상기와 같이 정의되고, (ANION) 은 적어도 하나의 니트릴 (즉, 적어도 하나의 니트릴 작용 기들 (N≡ ),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 개의 니트릴을 포함하는 음이온인, 상기 제 2 이온성 액체를 포함하는, 리튬 금속 이차 전지용 액체 전해질 제제에 관한 것이다.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 (이하, '통상의 기술자' 라 함) 가 아는 바와 같이, 이온성 액체들은 100℃ 미만의 용융점을 갖는 금속 염들이다.
제 1 이온성 액체는 전도성 리튬 염의 용매로서 사용되고, 제 2 이온성 액체는 항부식제로서 사용된다.
바람직하게는, 알킬 피롤리디늄 및 알킬 피페리디늄이 갖는 알킬 기들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도 있고,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펜틸, 및 헥실을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따라서, 제 1 이온성 액체 (CATION)FSI 는 PYR14FSI, PYR13FSI, PIP13FSI, PIP14FSI 일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2 이온성 액체의 (ANION) 은 디시안아미드 (dicyanamide; DCA), 트리시아노메타니드 (tricyanomethanide; TCM), 테트라시아노보레이트 (Tetracyanoborate; TCB), 4,5-디시아노-1,2,3-트리아졸라이드 (DCTA), 및 3,5-디시아노-1,2,4-트리아졸라이드 (DCTR) 를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따라서, 제 2 이온성 액체 (CATION)(ANION) 는 PYR14DCA, PYR14TCM, PYR14TCB, PYR14DCTA, PYR14DCTR, PYR13DCA, PYR13TCB, PYR13DCTA, PYR13DCTR, PIP13DCA, PIP13TCB, PIP13DCTA, PIP13DCTR, PIP14DCA, PIP14TCB, PIP14DCTA, PIP14DCTR 일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쌍 (CATION)FSI / (CATION)(ANION) 은:
- Pyr14FSI / Pyr14DCA
- Pyr13FSI / Pyr14DCA
- Pyr13FSI / Pyr13DCA
- Pyr14FSI / Pyr14DCA
이다.
유리하게는, 액제 전해질 제제는 형성 (formation) 에 참여하는 것을 방지하는 안정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안정제는 염화 리튬 및 물을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항부식제로서 사용된 제 2 이온성 액체 (CATION)(ANION) 가 LiFSI-(CATION)FSI 혼합물 (예를 들어) 에서 안정적인 경우에, 안정제는 필요하지 않고, 이는 매우 낮은 농도 (100 ppm 스케일) 에서의 경우일 수도 있다. 사용된 안정제의 양은 제 2 이온성 액체 (CATION)(ANION) 의 양에 비례할 것이다.
유리하게는, 전도성 리튬 염의 양은 액체 전해질 제제에 기초하여 5 중량% 와 40 중량% 사이에 포함되고, 제 2 이온성 액체의 양은 액체 전해질 제제에 기초하여 0.01 중량% 와 5 중량% 사이에 포함되며, 안정제의 양은 1% 미만이고, 사용될 때, 액체 전해질 제제에 기초하여 0.001 중량% 와 1 중량% 사이에 포함된다.
유리하게는, 본 발명의 액체 전해질 제제는 비양자성 방향족 용매 (aprotic aromatic solvent) 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비양자성 방향족 용매는 벤젠, 톨루엔, 자일렌, 듀렌을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액체 전해질 제제는 0.1 및 50 mS/cm 25℃ 사이에 포함되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 mS/cm 25℃) 이온 전도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전해질 제제는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틸렌에 잘 젖는다. 세퍼레이터 (separator) 에서의 흡수는 통상적으로 수초 내에 일어난다.
본 발명은 또한,
a) 제 1 이온성 액체에 상기 전도성 리튬 염을 용해하여 혼합물을 획득하는 단계
b) 50℃ 와 130℃ 사이에 포함되는 온도에서 단계 a) 의 혼합물을 가열하는 단계
c) 선택적으로 안정제를 추가하는 단계
d) 50℃ 와 130℃ 사이에 포함되는 온도를 유지하면서 단계 b) 또는 단계 c) 의 혼합물에 제 2 이온성 액체를 추가하는 단계
e) 혼합물이 현탁 물질이 완전히 없어질 때까지 50℃ 와 130℃ 사이에 포함되는 온도를 유지하면서 단계 d) 의 혼합물을 교반하는 단계
f) 단계 e) 의 혼합물을 실온 (25℃) 에서 냉각시키는 단계
의 단계들을 포함하는, 상기 개시된 바와 같은 액체 전해질 제제를 조제하기 위한 프로세스에 관한 것이다.
모든 준비 단계들은 아르곤-충전된 글로브 박스에서 수행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개시된 바와 같은 액체 전해질 제제를 포함하는 리튬 금속 이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이차 전지에서, 음극의 재료는 리튬, 나트륨, 마그네슘, 알루미늄, 아연과 같은 금속이다.
양극의 재료는, EP 2 698 854 에서 개시된 바와 같이, 리튬 전이 금속 산화물 (예컨대, LiMO2 여기서 M=Co, Ni, Mn, Al 또는 혼합물), 리튬 전이 금속 인산염 (예컨대, LiMPO4 여기서 M=Fe, Ni, Co, V), 및 LixHyV3O8 를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이차 전지들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잘 알려져 있고, 여기서 추가적으로 상세하게 설명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의 액체 전해질 제제는 전해질이 가스들을 생성함이 없이 분해되는 리튬 금속 이차 전지를 제공하도록 허용한다. 낮은 전위에서의 FSI 의 분해는 어떤 가스도 생성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패시베이션 (passivation) 또는 부반응은 파우치 형식에서의 셀들의 관찰가능한 가스발생을 야기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액체 전해질 제제는 넓은 전기화학적 안정성 윈도우를 갖는 리튬 금속 이차 전지를 제공하도록 허용한다. 본 발명의 전해질 제제는 구리 및 강 전류 컬렉터들의 경우 -0.5 V 대 Li+/Li 및 강 또는 알루미늄 전류 컬렉터들의 경우 5 Volts 까지 사이의 동작을 허용한다.
본 발명의 액체 전해질 제제는 98% 이상의 리튬 금속 사이클링 효율을 허용하는 리튬 금속 이차 전지를 제공하도록 허용한다. 사이클링 시에, 쿨롬 효율 (coulombic efficiency; CE) 은 셀 컴포넌트들을 보존하기 위한 트렌드만큼이나 더욱 더 높아져야만 한다.
다음의 예들은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함이 본 발명을 예시한다.
전해질 제제
다음과 같은 제제가 이하의 예들에서 사용되었다:
- 제 1 이온성 액체로서 Pyr14FSI
- 비율 LiFSI : Pyr14FSI 1:3 중량
- 제 2 이온성 액체 (항부식제) 로서 1 w-% Pyr14DCA
- 안정제로서 0.01 w-% LiCl.
LiFSI 는 CoorsTek Specialty Chemicals 로부터 구입되었고, Pyr14FSI 및 Pyr14DCA 는 Solvionic 으로부터 구입되었으며, 무수 LiCl 은 Sigma-Aldrich Inc. 로부터 구입되었다.
LiFSI 는 Pyr14FSI 에 용해되었다. 용액은 대략적으로 80℃ 로 가열되었고, LiCl 이 추가되었다. 혼합물은 80℃ 의 온도에서 유지되었고, Pyr14DCA 가 추가되었다. 용액은 교반되었고, 현탁 물질이 완전히 없어질 때까지 따뜻하게 유지되었으며, 그 다음에, 실온으로 냉각되도록 허용되었다. 모든 준비 단계들은 아르곤-충전된 글로브 박스에서 수행되었다.
예 1
리튬 디포지션-용해가 발생하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그리고 뚜렷한 부식이 보이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2025 버튼 셀이 조립되었다. 그렇게 하기 위해, 1 cm2 리튬 포일 (foil) (0.1mm 두께) 로 이루어진 음극, Celgard 2400 세퍼레이터 및 양극으로서의 스테인레스 강 디스크가 2025 하우징에서 적층되었다. 필요한 경우에 스페이서 (spacer) 로서 추가적인 스테인레스 강 디스크들이 사용되었다. 그 다음에, 도 1 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100 사이클들에 대해 -3 mA 내지 5V 사이에서 10mV/s 에서 사이클로볼타메트리 (cyclovoltametry) 가 수행되었다 (도 1 은 사이클들 2, 20, 50 및 100 을 도시한다). 리튬 디포지션 및 용해의 패턴은 깨끗하고 안정적이며, 다른 전기화학적 프로세스는 보이지 않는다. 이러한 시스템의 전기화학적 윈도우는 따라서 적어도 5 V 대 Li+/Li 이다.
예 2
전해질을 제외하고는 예 1 과 동일한 컴포넌트들을 이용하여 동일한 프로시저가 사용되었다. 전해질은 항부식제로서 어떤 제 2 이온성 액체 (CATION)(ANION) 나 안정제도 포함하지 않는다. 스테인레스 강의 부식은 제 1 사이클부터 뚜렷하고 시간에 걸쳐 증가한다 (도 2). 도 2 는 사이클들 1, 5, 10, 30, 50, 80 및 99 를 도시한다. 쿨롬 효율은 제 1 사이클에서 75% 에 도달하고, 99 번째 사이클에서 99% 이상 도달하도록 사이클링 시에 증가한다.
예 3
예 1 에서와 동일한 구성 및 컴포넌트들이 사용되었다. 리튬 디포지션은 0.5mA 에서 0.1mAh 까지로 수행되었고, 리튬 용해는 0.5mA 에서 500mV 로 수행되었다. 이러한 설정은 주어진 전류 레이트에서 쿨롬 효율 (CE) 의 결정을 목적으로 한다. CE 는 제 1 사이클에서 단지 약 75% 에 도달하지만, 그것의 값은 후속 사이클들에 걸쳐 향상되고, 20 사이클들 후에 99% 이상에 놓인다 (도 4).
예 4
2 개의 리튬 전극들로 예 1 로부터의 2025 바닥 셀 구성을 이용하여 대칭적 리튬-리튬 셀이 구성되었다. 1.25 mA/cm2 의 전류가 제 1 절반 사이클에서 2 시간 동안 인가되었다. 제 2 절반 사이클에서 -1.25 mA/cm2 의 전류가 2 시간 동안 인가되었다. 이러한 방식으로, 2.5 mAh/cm2 의 리튬이 각 전극에서 디포지션되고 용해된다. 매 10 사이클들마다 측정이 중단되고, 2 시간 후에 사이클링을 재개한다 (도 5). 이 프로시저는 디포지션된 리튬의 성질 및 SEI 를 양질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해질 제제가 부적합한 경우에 상승 임피던스가 보통 관찰된다. 대부분의 경우들에서, 이것은 종국적으로 셀 단락을 초래한다. 본 예에서, 디포지션 과전압은 사이클링 시에 감소하고, 이는 디포지션-용해 프로세서의 안정화에 대응한다. 과전압은 2 시간 브레이크 후에 심각하게 증가하지 않고, 이는 벌크 (bulk) 리튬의 계속적인 열화를 방지하는 안정적인 SEI 를 시사한다.
예 5
이차 리튬 금속 셀은, 양극으로서 알루미늄 상에 LiCoO2 가 코팅되고 (6 내지 8 mg/cm2) 음극으로서 리튬 포일을 사용하여 예 1 에서와 동일한 구성을 이용하여 구축되었다. 도 6 은 0.5 mA/cm2 의 LiCoO2 의 정전류 사이클링을 나타낸다 (활물질 로드는 노출된 알루미늄 포일 상에 1 mg/cm2 로 코팅된다). 도 6 은 사이클들 7, 8, 9 및 10 을 나타낸다. 선택된 사이클링 범위에서 용량 손실도 과전압에서의 증가도 검출될 수 없다.
예 6
이차 리튬 금속 셀은, 양극으로서 알루미늄 상에 LFP 가 코팅되고 (12 내지 15 mg/cm2) 음극으로서 리튬 포일을 사용하여 예 1 에서와 동일한 구성을 이용하여 구축되었다. 도 7 은 0.2 mA/cm2 의 LiFePO4 의 정전류 사이클링을 나타낸다 (활물질 로드는 노출된 알루미늄 포일 상에 13 mg/cm2 로 코팅된다). 도 7 은 사이클들 7, 8, 9 및 10 을 나타낸다. 선택된 사이클링 범위에서 용량 손실도 과전압에서의 증가도 검출될 수 없다.
예 7
이차 리튬 금속 셀은, 양극으로서 알루미늄 상에 LixHyV3O8 가 코팅되고 (10-12 mg/cm2) 음극으로서 리튬 포일을 사용하여 예 1 에서와 동일한 구성을 이용하여 구축되었다. 도 8 은 0.5 mA/cm2 의 LixHyV3O8 의 정전류 사이클링을 나타낸다 (활물질 로드는 탄소 코팅된 알루미늄 포일 상에 10 mg/cm2 로 코팅된다). 도 8 은 사이클들 55, 60, 65 및 75 를 나타낸다. 선택된 사이클링 범위에서 용량 손실도 과전압에서의 증가도 검출될 수 없다.
예 8
이차 프리즘형 리튬 금속 셀은 파우치 포일 및 스테인레스 강 전류 컬렉터들을 이용하여 구성되었다. 음극은 50μm 의 리튬 포일로 이루어지고 양극은 LFP (강 상에 12-15 mg/cm2 코팅) 로 이루어진다. 진공 시일링 (vacuum sealing) 전에 음극 표면에 8 ㎕/cm2 의 전해질이 도입되었다. 세퍼레이터로서 Teijin MFS FZA1101 이 사용되었다. 전기화학적 측정들이 2V 및 3.8V 사이에서 0.4 mA/cm2 에서 수행되었다. 셀에 어떤 외부 압력도 인가되지 않았다. 도 9 는 처음 50 사이클들에 대해 충전-방전 곡선을 나타낸다.

Claims (12)

  1. 리튬 금속 이차 전지용 액체 전해질 제제로서,
    - LiTFSI, LiFSI, LiCl, LiF, LiCN, LiC2N3, LiN3, LiNO2, LiNO3, LiBF4, LiPF6, LiAsF6, LiSbF6, LiAlCl4 를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전도성 리튬 염,
    - 화학식 (CATION)FSI 를 갖는 제 1 이온성 액체로서, 여기서, CATION 은 알킬 피롤리디늄 및 알킬 피페리디늄을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상기 제 1 이온성 액체,
    - 항부식제로서의 제 2 이온성 액체로서, 상기 제 2 이온성 액체는 화학식 (CATION)(ANION) 을 가지고, 여기서, (CATION) 은 상기와 같이 정의되고, (ANION) 은 적어도 하나의 니트릴 작용기를 포함하는 음이온인, 상기 제 2 이온성 액체를 포함하는, 액체 전해질 제제.
  2. 제 1 항에 있어서,
    형성에 참여하는 것을 방지하는 안정제를 더 포함하는, 액체 전해질 제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제는 염화 리튬 및 물을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액체 전해질 제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제의 양은 상기 액체 전해질 제제에 기초하여 0.001 중량% 와 1 중량% 사이에 포함되는, 액체 전해질 제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리튬 염의 양은 상기 액체 전해질 제제에 기초하여 5 중량% 와 40 중량% 사이에 포함되는, 액체 전해질 제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이온성 액체의 양은 상기 액체 전해질 제제에 기초하여 0.01 중량% 와 5 중량% 사이에 포함되는, 액체 전해질 제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온성 액체 (CATION)FSI 는 PYR14FSI, PYR13FSI, PIP13FSI, 및 PIP14FSI 를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액체 전해질 제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NION) 은 디시안아미드 (DCA), 트리시아노메타니드 (TCM), 테트라시아노보레이트 (TCB), 4,5-디시아노-1,2,3-트리아졸라이드 (DCTA), 및 3,5-디시아노-1,2,4-트리아졸라이드 (DCTR) 를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액체 전해질 제제.
  9. 제 1 항에 있어서,
    비양자성 방향족 용매를 더 포함하는, 액체 전해질 제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비양자성 방향족 용매는 벤젠, 톨루엔, 자일렌, 듀렌을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액체 전해질 제제.
  11. 리튬 금속 이차 전지용 액체 전해질 제제를 조제하기 위한 프로세스로서,
    상기 리튬 금속 이차 전지용 액체 전해질 제제는,
    - LiTFSI, LiFSI, LiCl, LiF, LiCN, LiC2N3, LiN3, LiNO2, LiNO3, LiBF4, LiPF6, LiAsF6, LiSbF6, LiAlCl4 를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전도성 리튬 염,
    - 화학식 (CATION)FSI 를 갖는 제 1 이온성 액체로서, 여기서, CATION 은 알킬 피롤리디늄 및 알킬 피페리디늄을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상기 제 1 이온성 액체,
    - 항부식제로서의 제 2 이온성 액체로서, 상기 제 2 이온성 액체는 화학식 (CATION)(ANION) 을 가지고, 여기서, (CATION) 은 상기와 같이 정의되고, (ANION) 은 적어도 하나의 니트릴 작용기를 포함하는 음이온인, 상기 제 2 이온성 액체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스는,
    a) 상기 제 1 이온성 액체에 상기 전도성 리튬 염을 용해하여 혼합물을 획득하는 단계
    b) 50℃ 와 130℃ 사이에 포함되는 온도에서 단계 a) 의 상기 혼합물을 가열하는 단계
    c) 선택적으로 안정제를 추가하는 단계
    d) 50℃ 와 130℃ 사이에 포함되는 온도를 유지하면서 단계 b) 또는 단계 c) 의 혼합물에 상기 제 2 이온성 액체를 추가하는 단계
    e) 단계 d) 의 혼합물이 현탁 물질이 완전히 없어질 때까지 50℃ 와 130℃ 사이에 포함되는 온도를 유지하면서 단계 d) 의 상기 혼합물을 교반하는 단계
    f) 단계 e) 의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리튬 금속 이차 전지용 액체 전해질 제제를 조제하기 위한 프로세스.
  12. 리튬 금속 이차 전지용 액체 전해질 제제를 포함하는 리튬 금속 이차 전지로서,
    상기 리튬 금속 이차 전지용 액체 전해질 제제는,
    - LiTFSI, LiFSI, LiCl, LiF, LiCN, LiC2N3, LiN3, LiNO2, LiNO3, LiBF4, LiPF6, LiAsF6, LiSbF6, LiAlCl4 를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전도성 리튬 염,
    - 화학식 (CATION)FSI 를 갖는 제 1 이온성 액체로서, 여기서, CATION 은 알킬 피롤리디늄 및 알킬 피페리디늄을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상기 제 1 이온성 액체,
    - 항부식제로서의 제 2 이온성 액체로서, 상기 제 2 이온성 액체는 화학식 (CATION)(ANION) 을 가지고, 여기서, (CATION) 은 상기와 같이 정의되고, (ANION) 은 적어도 하나의 니트릴 작용기를 포함하는 음이온인, 상기 제 2 이온성 액체를 포함하는, 리튬 금속 이차 전지.
KR1020180132377A 2017-12-22 2018-10-31 리튬 금속 이차 전지용 액체 전해질 제제 및 그 액체 전해질 제제를 포함하는 리튬 금속 이차 전지 KR1021818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7210329.3 2017-12-22
EP17210329.3A EP3503268B1 (en) 2017-12-22 2017-12-22 Liquid electrolyte formulation for lithium metal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 metal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6841A true KR20190076841A (ko) 2019-07-02
KR102181846B1 KR102181846B1 (ko) 2020-11-24

Family

ID=60811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2377A KR102181846B1 (ko) 2017-12-22 2018-10-31 리튬 금속 이차 전지용 액체 전해질 제제 및 그 액체 전해질 제제를 포함하는 리튬 금속 이차 전지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050090B2 (ko)
EP (1) EP3503268B1 (ko)
JP (1) JP6744899B2 (ko)
KR (1) KR102181846B1 (ko)
CN (1) CN109962286B (ko)
ES (1) ES2833924T3 (ko)
PL (1) PL3503268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88659A (zh) * 2021-12-07 2022-03-15 浙江工业大学 一种锂金属电池用明胶纤维隔膜的制备及应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45490A (ja) * 2001-07-30 2003-02-14 Tomoegawa Paper Co Ltd ポリマー電解質基材、ポリマー電解質および非水二次電池用ポリマー電解質シート
JP2012009158A (ja) * 2010-06-22 2012-01-12 Nippon Synthetic Chem Ind Co Ltd:The 電解質及びそれを用いたリチウム二次電池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70363A (en) * 1986-09-22 1987-06-02 Duracell Inc. Non-aqueous electrochemical cell
JPH04137472A (ja) * 1990-09-28 1992-05-12 Furukawa Battery Co Ltd:The リチウム二次電池用非水電解液
JPH10168028A (ja) * 1996-12-10 1998-06-23 Mitsubishi Chem Corp 常温溶融塩及びそれを用いた電気化学的デバイス
US7008728B2 (en) * 2001-04-09 2006-03-07 Samsung Sdi Co., Ltd. Non-aqueous electrolyt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same
JP4467247B2 (ja) * 2002-04-02 2010-05-26 株式会社日本触媒 新規溶融塩を用いたイオン伝導体
JP3962806B2 (ja) * 2002-05-16 2007-08-22 独立行政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常温溶融塩及び常温溶融塩を用いたリチウム二次電池
AU2003901144A0 (en) * 2003-03-13 2003-03-27 Monash University School Of Chemistry Room temperature ionic liquid electrolytes for lithium secondary batteries
JP4271971B2 (ja) * 2003-03-26 2009-06-03 株式会社日本触媒 イオン性化合物
JP4292876B2 (ja) * 2003-06-03 2009-07-0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蓄電素子用電解質および蓄電素子
JP2005032551A (ja) * 2003-07-11 2005-02-03 Toshiba Corp 非水電解質二次電池
JP4883903B2 (ja) * 2004-05-10 2012-02-22 株式会社日本触媒 電解液材料
JP4572602B2 (ja) * 2004-06-30 2010-11-0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非水電解質および非水電解質二次電池ならびにそれらの製造法
KR100977974B1 (ko) * 2007-01-16 2010-08-24 주식회사 엘지화학 공융혼합물을 포함하는 전해질 및 이를 이용하는 이차 전지
JP5256481B2 (ja) * 2007-04-04 2013-08-07 一般財団法人電力中央研究所 非水電解質二次電池
JP2010532071A (ja) * 2007-06-29 2010-09-30 コモンウェルス サイエンティフィック アンド インダストリアル リサーチ オーガニゼイション リチウムエネルギー蓄積デバイス
JP5429845B2 (ja) * 2007-12-04 2014-02-26 Necエナジーデバイス株式会社 非水電解液、ゲル電解質及びそれらを用いた二次電池
CA2625271A1 (en) * 2008-03-11 2009-09-11 Hydro-Quebec Method for preparing an electrochemical cell having a gel electrolyte
FR2933814B1 (fr) * 2008-07-11 2011-03-25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Electrolytes liquides ioniques comprenant un surfactant et dispositifs electrochimiques tels que des accumulateurs les comprenant
FR2935382B1 (fr) * 2008-08-29 2010-10-08 Centre Nat Rech Scient Sel d'anion pentacylique et son utilisation comme electrolyte
WO2010107034A1 (ja) * 2009-03-18 2010-09-23 日本合成化学工業株式会社 イオン液体、電解質、それを用いたリチウム二次電池及びイオン液体の製造方法
JP2011181427A (ja) * 2010-03-03 2011-09-15 Sanyo Electric Co Ltd リチウム二次電池
JP5702362B2 (ja) * 2010-03-19 2015-04-15 第一工業製薬株式会社 イオン液体を用いたリチウム二次電池
CN103250297B (zh) * 2010-10-12 2015-08-26 丰田自动车株式会社 离子液体、包含所述离子液体的锂二次电池电解质和包含所述电解质的锂二次电池
EP2698854B1 (en) 2010-10-22 2017-02-22 Belenos Clean Power Holding AG Method of an electrode (anode and cathode) performance enhancement by composite formation with graphene oxide
WO2012145796A1 (en) 2011-04-27 2012-11-01 Commonwealth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Organisation Lithium energy storage device
JP5742865B2 (ja) * 2013-03-29 2015-07-0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リチウム金属電池用の電解液
US9190696B2 (en) * 2013-05-16 2015-11-17 Nanotek Instruments, Inc. Lithium secondary batteries containing lithium salt-ionic liquid solvent electrolyte
CN104781977B (zh) * 2013-07-05 2019-07-16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电化学能存储装置
JP2015115209A (ja) * 2013-12-12 2015-06-22 株式会社アルバック リチウム硫黄二次電池
CN103985903A (zh) * 2014-04-22 2014-08-13 中南大学 一种改善锰酸锂动力电池高温性能的电解液及锰酸锂动力电池
US11949071B2 (en) * 2014-05-15 2024-04-02 NOHMs Technologies, Inc. Ionic liquids for solvating cyclic carbonates
US10530011B1 (en) * 2014-07-21 2020-01-07 Imprint Energy, Inc. Electrochemical cells and metal salt-based electrolytes
EP3136475B1 (en) * 2015-08-31 2021-09-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Lithium metal battery
KR102547797B1 (ko) * 2015-11-04 2023-06-26 삼성전자주식회사 고분자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45490A (ja) * 2001-07-30 2003-02-14 Tomoegawa Paper Co Ltd ポリマー電解質基材、ポリマー電解質および非水二次電池用ポリマー電解質シート
JP2012009158A (ja) * 2010-06-22 2012-01-12 Nippon Synthetic Chem Ind Co Ltd:The 電解質及びそれを用いたリチウム二次電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9114531A (ja) 2019-07-11
CN109962286B (zh) 2022-05-13
CN109962286A (zh) 2019-07-02
EP3503268B1 (en) 2020-09-16
KR102181846B1 (ko) 2020-11-24
ES2833924T3 (es) 2021-06-16
US11050090B2 (en) 2021-06-29
PL3503268T3 (pl) 2021-04-06
US20190198930A1 (en) 2019-06-27
EP3503268A1 (en) 2019-06-26
JP6744899B2 (ja) 2020-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orsyth et al. Inorganic-organic ionic liquid electrolytes enabling high energy-density metal electrodes for energy storage
US11901504B2 (en) Rechargeable battery cell having an SO2-based electrolyte
US7582380B1 (en) Lithium-ion cell with a wide operating temperature range
US10367189B2 (en) Anode-free rechargeable battery
Lewandowski et al. Ionic liquids as electrolytes for Li-ion batteries—An overview of electrochemical studies
JP5727372B2 (ja) 陰イオン界面活性剤を含むイオン性液状電解質およびそれらを含む蓄電池のような電気化学的デバイス
KR101488542B1 (ko) 넓은 전위 윈도우를 갖는 플라스틱 결정 전해질
Theivaprakasam et al. Electrochemical studies of N-Methyl N-Propyl Pyrrolidinium bis (trifluoromethanesulfonyl) imide ionic liquid mixtures with conventional electrolytes in LiFePO4/Li cells
JP2018530141A (ja) 広い電気化学的安定性ウィンドウを有する水性およびハイブリッド電解質
Feng et al. Dimethyl methyl phosphate: A new nonflammable electrolyte solvent for lithium-ion batteries
US11450884B2 (en) Electrolyte, anode-free rechargeable battery, method of forming anode-free rechargeable battery, battery, and method of forming battery
CN109088099A (zh) 一种兼顾高低温性能的磺酰类电解液添加剂及含该添加剂的电解液
JP6993167B2 (ja) カーボネートを有する水系電解質及びそれを用いた電池
KR20170095324A (ko) 플루오르화 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전해질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Tian et al. Concentrated electrolytes for rechargeable lithium metal batteries
US7824800B1 (en) Lithium-ion cell with a wide operating temperature range
Jin et al. The synergistic effect of lithium bis (fluorosulfonyl) imide and lithium nitrate for high-performance lithium metal anode
US20220376222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n electrode comprising a polymer matrix trapping an electrolyte
KR102181846B1 (ko) 리튬 금속 이차 전지용 액체 전해질 제제 및 그 액체 전해질 제제를 포함하는 리튬 금속 이차 전지
Tsunashima et al. Effect of quaternary phosphonium salts in organic electrolyt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ies
US9466437B2 (en) Electrolyte additive for a lithium-based energy storage device
US20210203002A1 (en) Fast-charging lithium ion batteries with electrolytes that do not react on the anodes
Grünebaum et al. Development of new pyrazole-based lithium salts for battery applications–Do established basic design concepts really work?
EP2399263A1 (en) High safety lithium-ion battery
KR101225893B1 (ko) 높은 안전성을 가진 전기화학소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